몸이 좋으면 머리가 고생을 안 한다(마인크래프트)

Ойындар

아 왜 푸냐고 ㅋㅋㅋㅋ 그냥 깨면 되는데 ㅋㅋㅋ
풀버전 다시보기
kzread.infocHtdj1iX...

cafe.naver.com/marplecafe/36571
메일
edward2065@naver.com
개인블로그
blog.naver.com/edward2065/223...
컨텐츠용 카페
cafe.naver.com/marplecafe
[hisaweb]
/ hisaweb
gumroad.com/a_hisa
[H/MIX GALLERY]
www.hmix.net/
Musicⓒ Smiley

Пікірлер: 236

  • @RuteNa01
    @RuteNa0118 күн бұрын

    9:08 석신산의 수용액 속에서 해리 과정은 (1)H2Suc + H2O (H3O+) + (HSuc-) (2)HSuc- + H2O (H3O+) + (Suc2-) 2가지가 있다. 이때, 1번째 반응 만이 유효하다고 했으니 반응(1)이 평형에 도달 할 때까지 감소한 H2Suc를 xM이라고 하면 H3O+ 와 HSuc- 는 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xM이 생성된다. 평형상수 식에 대입하면 x^2/(0.32-x) = Ka1 = 6.9 x 10^(-5), 5% 근사법을 사용해서 0.32-x를 0.32로 근사하면 x^2 = 2.208 x 10^(-5), x = 4.698 x 10^(-3)이다. 이때, x는 0.32 의 1.468%이므로 근사가 통한다. x 즉, 평형상태에서 [H30+] = 4.698 x 10^(-3)이므로 pH = -log([H3O+])= 2.328이다. 따라서 답은 2번

  • @SunnyKimDev

    @SunnyKimDev

    17 күн бұрын

    참고로 2번 반응까지 고려하면 이는 버퍼 솔루션(완충 용액)에서의 평형문제가 되므로 조금 더 많이 어려워집니다

  • @user-el8nv4ug2y

    @user-el8nv4ug2y

    15 күн бұрын

    뭐에요 무서워요

  • @2794

    @2794

    14 күн бұрын

    화2 ㄷㄷ

  • @blitz6317

    @blitz6317

    13 күн бұрын

    ​@@2794 화2에 저런게 있었나? 내가 공부한 화2는 뭐였던거지

  • @TINGSTAR-zz7uj

    @TINGSTAR-zz7uj

    13 күн бұрын

    님 ㄹㅇ 화학황인가;;

  • @user-iu1op7qx1d
    @user-iu1op7qx1d18 күн бұрын

    저런거 특) 중간에 ×0 있는지 찾아봄

  • @1214smilE

    @1214smilE

    18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

  • @user-qj7gy3mh5h

    @user-qj7gy3mh5h

    18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 @al-jl8dr

    @al-jl8dr

    18 күн бұрын

    저런거 특) 중간에 x0 있어서 답 0썼는데 +로만 연결된 식 있음

  • @lettuce_half_bundle_3299

    @lettuce_half_bundle_3299

    18 күн бұрын

    하남자특:문제 쳐다봄

  • @You_just_active_my_trab_card

    @You_just_active_my_trab_card

    18 күн бұрын

    그 후 특) 0만보고 식 끝까지 안봐서 틀림

  • @user-fg8ot8rm2u
    @user-fg8ot8rm2u18 күн бұрын

    이게 진짜 파능이지ㅋㅋㅋ

  • @user-hv6yu3wp3w
    @user-hv6yu3wp3w18 күн бұрын

    9:08 ㅇㄴ 이양성자산 줘놓고 두번째 해리 의미없다는게 개웃기네ㅋㅋㅋㅋㅋ

  • @SunnyKimDev

    @SunnyKimDev

    13 күн бұрын

    버퍼 용액 (버퍼 아님)

  • @SunnyKimDev
    @SunnyKimDev18 күн бұрын

    8:55 1번 문장이 약간 애매한 게 맞긴 합니다. "엔트로피"->"우주(Universe)의 엔트로피" "생성"->"증가" "소멸"->"감소" 이렇게 용어를 수정하면 정확하게 참인 문장이 됩니다. 엔트로피를 생성, 소멸이라고 부르는 건 처음 보고, 또한 우주의 엔트로피와 달리 계의 엔트로피는 닫힌계가 아닌 이상 감소할 수 있습니다. (냉장고 내부=계의 엔트로피 감소, 냉장고 외부=환경의 엔트로피 증가, 다만 합치면 우주의 엔트로피 소폭 증가) 그러나 나머지 두 문제가 명백하게 틀렸기 때문에 문제를 푸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 같습니다. 2. 우주의 엔트로피 변화 = 0 (+12-12) 이므로 평형 반응입니다. 3. 가역적인 반응을 겪을 때 우주의 엔트로피는 증가하지 않습니다.

  • @user-ln2pi3zt6c

    @user-ln2pi3zt6c

    18 күн бұрын

    "나도 이 생각했는데. 엔트로피는 절때 소멸하거나 감소하지 않는다"(닫힌계가 아닌 이상) 가 이 세상의 기본적인 몇 가지 법칙들이죠. 레고 부품을 던져놨다고 레고가 자동으로 완성되지 않는것 처럼

  • @blitz6317

    @blitz6317

    13 күн бұрын

    이야 이문장 읽으면서 아는게 가역밖에 없었는데 왜 내가 아는 가역이랑 다른것 같냐. 가역(역함수가 존재한다)로 외웠단 말이지 흐음 내 대학교 생활 괜찮은거 맞냐?😅

  • @SunnyKimDev

    @SunnyKimDev

    13 күн бұрын

    @@blitz6317 둘 다에 쓰입니다. 가역(可逆)은 옳을 가에 거스를 역을 써서 "거꾸로 갈 수 있음(reversibility)를 뜻합니다. 가역함수(可逆函數)는 y에서 특정 x로 거꾸로 갈 수 있는, 즉 역함수가 존재하는 함수를 뜻합니다. 가역반응(可逆反應)은 x->y 반응에서 엔트로피 변화가 없어 특정 조건(온도, 기압 등)을 만족하면 반응이 역방향이 우세할 수 있는, 즉 역반응이 조건적으로 일어나는 반응을 뜻합니다.

  • @user-sh7iw8op1l

    @user-sh7iw8op1l

    6 күн бұрын

    나도 첨봤을 때 틀린건줄 알았음;;

  • @Reppo_
    @Reppo_18 күн бұрын

    5:59 그리고 애초에 상남자는 커피 한잔에 30초도 안걸린다구...

  • @user-ln3uk2ot3i

    @user-ln3uk2ot3i

    16 күн бұрын

    상특 뭐든 일단 원샷때림

  • @slimedjam

    @slimedjam

    8 күн бұрын

    입천장따위 고려하지 않는다

  • @shubi2run

    @shubi2run

    2 күн бұрын

    커피 30잔 마시라는 제작자의 배려

  • @dragontv2508
    @dragontv250818 күн бұрын

    9:54 마치 한 지나가던 사람이 '그 누구도 풀지 못한 난제의 문제 세가지'를 모두 푸는 느낌?

  • @BLUEjh

    @BLUEjh

    18 күн бұрын

    ???:이렇게 이렇게 하면 이렇게 그려지는데 이걸 왜 못 한다는거지

  • @DaerongE
    @DaerongE18 күн бұрын

    5:20 초 못찾으면이 두번 출력되어있습니다~

  • @sungminyoon6392

    @sungminyoon6392

    18 күн бұрын

  • @없는닉이없네
    @없는닉이없네18 күн бұрын

    9:32 없잖아 개웃기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yo4kx1wg7p
    @user-yo4kx1wg7p18 күн бұрын

    6:22 진정한 상남자는 짐수레 위에 쌀포대를 얹고 그것도 들어서 가지 않을까요?

  • @Pikachu-Master254

    @Pikachu-Master254

    18 күн бұрын

    와 상남자ㄷㄷ

  • @user-kk6ry3gr9o

    @user-kk6ry3gr9o

    18 күн бұрын

    그건 그냥 힘자랑 아닌가?

  • @you_suck_bitch

    @you_suck_bitch

    18 күн бұрын

    ​@@user-kk6ry3gr9o 그게 상남자1지

  • @Lidin09

    @Lidin09

    18 күн бұрын

    상놈

  • @tridish7383

    @tridish7383

    18 күн бұрын

    진정한 상남자는 그냥 짐수레에 올라타면 쌀포대가 알아서 밀어준다

  • @leethy_
    @leethy_18 күн бұрын

    2:31 랜턴: 원목, 조약돌, 철 주괴 피스톤: 원목, 조약돌, 철 주괴, 레드스톤 갑옷 거치대: 원목, 조약돌 횃불은 목탄으로, 화로에 굽는건 나무만 사용

  • @fieldtm1able

    @fieldtm1able

    18 күн бұрын

    철 주괴도 철 원석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고민했는데 어차피 원석을 캐는 돌 곡괭이도 원목이랑 조약돌로 만들 수 있어서 종류는 똑같았다

  • @TaeikJang_
    @TaeikJang_18 күн бұрын

    퍼즐들 퀄리티가 너무 좋은데요!! 이번 맵은 다운받아서 퍼즐들 하나하나 뜯고 즐겨야겠다

  • @Screw_bar11
    @Screw_bar1118 күн бұрын

    마플님 키보드 뭐쓰시는지 알수 있나요? 소리가 너무 좋아서

  • @user-vf7mu2jh6y
    @user-vf7mu2jh6y18 күн бұрын

    8:48 원 댓글에서는 엔트로피의 소멸이 미시적인 관점에서 일어나는 감소라고 생각하고 1번 지문이 틀렸다고 말했습니다. 엔트로피에 관한 설명을 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증가와 감소의 개념 중에서 '엔트로피의 생성'이라는 부분을 무의식적으로 증가와 동일시했으며, 그 후에 등장하는 표현을 자연스럽게 감소와 동일시하면서 일어난 실수였으리라 생각합니다. 엔트로피는 생성이 가능하나, 파괴가 불가능한 것이 맞습니다. 먼저 글을 읽으셨을 분들에게 오개념을 알려드리게 되어 죄송합니다.

  • @user-zb3nv8cn3s

    @user-zb3nv8cn3s

    18 күн бұрын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 냉장고는 엔트로피를 감소 시켜주는거지 소멸은 아니지 않나요?

  • @user-vf7mu2jh6y

    @user-vf7mu2jh6y

    18 күн бұрын

    @@user-zb3nv8cn3s 제가 실수했네요. 본래 존재하던 양 만큼의 엔트로피가 거시적으로 보았을 때 그 양보다 적어지게 되면 미시적으로 보았을 때는 감소량만큼 소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처음부터 다시 생각해보니 엔트로피의 소멸이라 함은 감소보다 파괴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오개념의 지적에 감사드립니다.

  • @minhtungle3681

    @minhtungle3681

    18 күн бұрын

    엔트로피고 뭐고 걍 삼성냉장고 사셈

  • @SunnyKimDev

    @SunnyKimDev

    18 күн бұрын

    "엔트로피"->"우주(Universe)의 엔트로피" "생성"->"증가" "소멸"->"감소" 이렇게 용어를 수정하면 정확하게 참인 문장이 됩니다. 엔트로피를 생성, 소멸이라고 부르는 건 처음 보고, 또한 우주의 엔트로피와 달리 계의 엔트로피는 닫힌계가 아닌 이상 감소할 수 있습니다. (냉장고 내부=계의 엔트로피 감소, 냉장고 외부=환경의 엔트로피 증가, 다만 합치면 우주의 엔트로피 소폭 증가) 그러나 나머지 두 문제가 명백하게 틀렸기 때문에 문제를 푸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 같습니다. 2. 우주의 엔트로피 변화 = 0 (+12-12) 이므로 평형 반응입니다. 3. 가역적인 반응을 겪을 때 우주의 엔트로피는 증가하지 않습니다.

  • @hyeok7393

    @hyeok7393

    18 күн бұрын

    @@SunnyKimDev 작년에 쓰던 전공책에서 그대로 가져온 문제입니다. 아마 원문이 아니라 번역본 책이기 때문에 오역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런 전공책에서 번역본을 꺼려하는 이유가 이런 이유이긴 하죠...

  • @SunnyKimDev
    @SunnyKimDev18 күн бұрын

    9:08 이거...(대학)화학 1 내용인데...제작자는 도대체? + 재료공학과인가...

  • @user-ln2pi3zt6c

    @user-ln2pi3zt6c

    18 күн бұрын

    화학 극혐..... ㅠㅠ 차라리 물리가 좋음

  • @standingonyourtrail

    @standingonyourtrail

    16 күн бұрын

    영과고 고등학생일 수도 전 이거 고1때 했음

  • @뭉게뭉게
    @뭉게뭉게18 күн бұрын

    저녁먹으려할때 딱 업로드라니.. 반찬 감사합니다

  • @영화관
    @영화관18 күн бұрын

    5:26 어디서 카페인에 취약한 맢님을 암살(?) 하려고?!

  • @IceBear-cn1eh
    @IceBear-cn1eh18 күн бұрын

    마플님은 둘다 안좋아서 둘다 고생하네요.

  • @Reppo_

    @Reppo_

    18 күн бұрын

    젠장 세월의 풍파를 맞아버렸어

  • @iampig_2010

    @iampig_2010

    18 күн бұрын

    게다가 키도 169.9cm...

  • @Ismehhj

    @Ismehhj

    18 күн бұрын

    170임

  • @Reppo_

    @Reppo_

    18 күн бұрын

    @@Ismehhj mm

  • @iampig_2010

    @iampig_2010

    18 күн бұрын

    @@Ismehhj 마플씨 부계파지 마세요

  • @user-fg1nt5xs3i
    @user-fg1nt5xs3i18 күн бұрын

    맛있는 영상 감사합니다!!❤❤

  • @hajun-kim
    @hajun-kim18 күн бұрын

    견론: 옆에 인터넷이 있으면 몸이 고생을 안한다

  • @Dahakgagoshipda

    @Dahakgagoshipda

    18 күн бұрын

    결론 결론 결론 결론 결론 결론 결론 결론 결론 결론 결론 결론

  • @Soooo_ez
    @Soooo_ez17 күн бұрын

    5:20 여기에 못 찾으면 1 개 더 들어감

  • @salamandd
    @salamandd18 күн бұрын

    6:01 상남자 특) 효율 따위 신경쓰지 않음 6:08 상남자 특) 동의를 구하지 않음

  • @user-gr4ii6ud6h
    @user-gr4ii6ud6h18 күн бұрын

    부모님께서 공부를 해야 나중에 편하게 일한다 하지만 결국 우리는 머리와 몸 둘 중 하나는 고생해야한다는 현대 사회의 딜레마를 다룬 굉장히 현대 예술에 해당하는 맵이었다. 그래도 공부하면 시야가 넓어져요 ㅎㅎ

  • @º.스톤.º
    @º.스톤.º18 күн бұрын

    똑똑한 두뇌와 피지컬을 가졌지만 *운빨은 가지지 못한 남자 ㅋㅋㅋㅋ*

  • @user-bg2tv7nk6j
    @user-bg2tv7nk6j18 күн бұрын

    1:45 제곱이 들어간 이상 사칙연산이 아니게 되었는데?

  • @formothy

    @formothy

    18 күн бұрын

    1. 덧셈은 사칙연산이다 2. 곱셈은 덧셈의 반복이며 사칙연산이다. 3. 고로 곱셈의 반복인 제곱도 사칙연산인가? 4. 그럼 제곱의 반복인 테트레이션은?? 5. ????

  • @user-ds8mj3yw8y

    @user-ds8mj3yw8y

    17 күн бұрын

    제곱이 곱셈 반복하는건데 왜 사칙연산이 아님

  • @user-bg2tv7nk6j

    @user-bg2tv7nk6j

    17 күн бұрын

    @@user-ds8mj3yw8y 제곱 과 제곱근 은 사칙연산으로 분류하지 않아요. 제곱은 곱셈을 반복하는것이긴 하지만 식의 연계형태가 곱셈과는 완전히 다른 형태를 띄기 때문에 사칙연산으로 분류하지 않습니다

  • @Steinich
    @Steinich18 күн бұрын

    마지막에 재학중인 학과 없는 게 ㅋㅋ 그냥 하라는 거잖아 ㅋㅋㅋㅋㅋ

  • @wooahae12
    @wooahae1218 күн бұрын

    마플님은 피지컬이 좋아서 다행이네요 ㅋㅋㅋ

  • @오오트
    @오오트16 күн бұрын

    적당하고 센스있었다ㅋㅋㅋㅋ꿀잼

  • @Wawowawowa
    @Wawowawowa18 күн бұрын

    저거 다 풀 순 있을텐데 너무 기네요 ㅋㅋㅋ 파쿠르가 더 귀찮은가 계산이 더 귀찮은가

  • @apple0924
    @apple092418 күн бұрын

    8:15 "도망친 하남자에게 낙원은 없다"

  • @latone47
    @latone4718 күн бұрын

    예체능이 이과를 이기는 세계라니...

  • @NfK
    @NfK18 күн бұрын

    고도로 발달한 지적능력은 상남자와 구별할 수 없다

  • @rame_ang
    @rame_ang18 күн бұрын

    상남자특)에 원시인특)을 넣어도 대부분 맞는다던데...

  • @normal_someone777
    @normal_someone7773 күн бұрын

    5:18 그와중에 다 못찾으면 못찾으면 ㅋㅋ

  • @Mreong1920
    @Mreong192018 күн бұрын

    둘다 고생 시켜야할 것 같은데요

  • @ocenian
    @ocenian18 күн бұрын

    9:32 HOXY 고졸 읍읍

  • @hyeok7393

    @hyeok7393

    18 күн бұрын

    대학생은 문서상 고졸이 맞긴 합니다 ㅋㅋㅋㅋㅋ

  • @나라천재TV
    @나라천재TV18 күн бұрын

    고생한당

  • @915hikari
    @915hikari6 күн бұрын

    4:45 "보통 인터넷에서 상남자와 멍청이의 정의는 크게 다르지 않아요"

  • @hicom1236
    @hicom123618 күн бұрын

    근데 그와중에 찍은거 하나도 못맞추는거ㅋㅋㅋㅋㅋ

  • @TV-ur4ge
    @TV-ur4ge18 күн бұрын

    찍은 것중에 맞은게 하나밖에 없는게 더 레전드

  • @user-fe4dj4oo2v
    @user-fe4dj4oo2v18 күн бұрын

    몸이 나쁘면 머리가 고생한다

  • @user-en5yx6ie4o
    @user-en5yx6ie4o18 күн бұрын

    6:24 상남자 특) 쌀포대 10개 수레에 안 담고 그냥 10개 한 번에 들고 감

  • @my_surname_is_cho
    @my_surname_is_cho18 күн бұрын

    마플님은 머리가 좋아서 몸이 고생할 필요가 없어 169.9cm이군요!!!

  • @이뭔_2뭔
    @이뭔_2뭔18 күн бұрын

    려러분은 지금 마플의 혁명적일 정도로 놀라운 기적을 보고계십니다.

  • @eziswtk0863
    @eziswtk086318 күн бұрын

    애초에 저거는 사칙연산도 아니고 피지컬이 좋다면 당신은 170이 될수 있습니다

  • @user-xx9xi6rs8x
    @user-xx9xi6rs8x18 күн бұрын

    운 좋으면 고생할 필요 없는 맵이구만

  • @Msjyn
    @Msjyn16 күн бұрын

    5:19 다 못찾으면 못찾으면 난이도가 상승하는군요

  • @마조majo_드레싱
    @마조majo_드레싱18 күн бұрын

    그죠 머리가 고생하냐 피지컬이 고생하냐죠ㅋㅋㅋㅋ

  • @sagoa3978
    @sagoa397818 күн бұрын

    "머리가 나쁘면 파쿠르를 잘한다(?)"

  • @organic_chicken
    @organic_chicken17 күн бұрын

    그 와중에 하나쯤 찍어서 맞출법도 한데 다 틀린 것도 용하시네

  • @key2007prchoi
    @key2007prchoi15 күн бұрын

    9:31 저기 나온 문제들 전부 이공계열 문제인걸 보면 그쪽 학과 지망하는 것 같은데 선택지에 없다.. 그렇다면 혹시..?

  • @yangsamo7297
    @yangsamo72978 күн бұрын

    상남자와 저지능을 구분 못하는 세상

  • @user-cn2dt9gc7z
    @user-cn2dt9gc7z17 күн бұрын

    1:34 1699 ㅋㅋ

  • @qwer-1230
    @qwer-123017 күн бұрын

    피지컬은 가졌지만 공부 두뇌는 못가지신 마플님

  • @915hikari
    @915hikari6 күн бұрын

    9:23 "진짜 교수님 너무한거 아니냐? 그냥 휴대폰 좀 봤다고 F 래 ㅠㅠ" "왜 그래? 거기 어디야?" "대학교 안다녀!"

  • @inekinga
    @inekinga18 күн бұрын

    가만 보면 마플님 즉시 라는말을 좋아하신단 말이야

  • @user-vt7qw2oy8n
    @user-vt7qw2oy8n18 күн бұрын

    와 싶은 뜻이 담겨있는 영상이군여(?)

  • @user-qh1rm7sb5l
    @user-qh1rm7sb5l18 күн бұрын

    머리가 나쁘면 몸이 고생한다...?

  • @seoeun-08
    @seoeun-0818 күн бұрын

    머리가 안 좋은 걸 몸(실력)으로 대신할 수 있다.

  • @sawsee3003
    @sawsee300318 күн бұрын

    상남자 특: 상남자니 하남자니 남이 정해놓은 규정 따위 무시하고 자기가 하고싶은대로 함.

  • @bin_7499
    @bin_749918 күн бұрын

    이게 바로 간zl?!

  • @Some_La
    @Some_La18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제작자 무슨 관데

  • @user-mm1pg9nv1r
    @user-mm1pg9nv1r12 күн бұрын

    원자력발전소 개발보다 원자력 만큼에 힘을 키운다

  • @Heodang1
    @Heodang118 күн бұрын

    버튼찾기 시작하고 버튼 안찾으면 빨간색버튼 생겨서 어려워 지는거 아녜요?

  • @user-gu4om6gu3w
    @user-gu4om6gu3w18 күн бұрын

    데스모스도 모르는 마플님이 이런문제를!

  • @Ang_gimozze
    @Ang_gimozze15 күн бұрын

    ???:혼돈이다 혼돈이야!

  • @빵집_빵가루도둑_둘기
    @빵집_빵가루도둑_둘기18 күн бұрын

    머리가 좋으면 몸이 고생할 필요가 없고, 몸이 좋으면 머리가 고생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운이 좋으면 머리와 몸 둘 다 고생할 필요가 없다

  • @user-ns3nk5gr2u
    @user-ns3nk5gr2u18 күн бұрын

    버튼 찾기의 마플님은 한국인행동이에요

  • @Bibongbanggoo
    @Bibongbanggoo18 күн бұрын

    만약 제작자가 숙제 풀기 귀찮아서 파쿠르에 숙제 문제 넣은거면..?

  • @신이넣은
    @신이넣은18 күн бұрын

    영상 올리자마자 밥 먹으러 오는 모모처럼 달려왔다

  • @user-ul5xy7ez7r
    @user-ul5xy7ez7r17 күн бұрын

    사직연산이 아니잖앜ㅋㅋ

  • @user-ln2pi3zt6c
    @user-ln2pi3zt6c18 күн бұрын

    8:48 이중에 참인 문장은 존재 하지 않음. 생성과 소멸은 증가와 감소와 동일시 될수 없음.또, 우주와 달리 닫힌계가 아닌 경우는 엔트로피가 감소할수 있음 그래도 3답 중에서는 이게 가장 사실에 가까움으로 푸는데 문제는 없음

  • @hyeok7393

    @hyeok7393

    18 күн бұрын

    작년에 쓰던 전공책에 있던거 낸건데, 원문이 아니라 번역본이라서 오역이 있었나 봅니다.

  • @user-ln2pi3zt6c

    @user-ln2pi3zt6c

    17 күн бұрын

    @@hyeok7393 아하... 그래서 어느 학과신가요?

  • @unusual_person_03
    @unusual_person_0317 күн бұрын

    문제 못맞히면 3칸회오리 시켜버려야지

  • @tohye99
    @tohye9918 күн бұрын

    근데 어떻게 다 찍는데 맞춘게 없지 ㅋㅋㅋ

  • @Teahyun_games
    @Teahyun_games18 күн бұрын

  • @user-yp8rm6xj2o
    @user-yp8rm6xj2o18 күн бұрын

    에피타이져가 메인보다 맛있는 버튼 찾기 맵

  • @sluim
    @sluim18 күн бұрын

    어우마싯따

  • @reginelee2331
    @reginelee23314 күн бұрын

    오! 저건 속담 탈출 2 이스터애그! 근데 늦었다...

  • @Iadi0105
    @Iadi010518 күн бұрын

    만들면서 머리 쥐어짰을듯 ㅋㅋ

  • @CRAZY오미자196
    @CRAZY오미자19618 күн бұрын

    "머리가 좋아도 몸이169.999면 소용없다"

  • @nuguseyo-
    @nuguseyo-18 күн бұрын

    영상 올리자마자 바다를 헤엄쳐오고 산을 오르며 얌전하게 걸어왔다

  • @user-ld4me4tl4t
    @user-ld4me4tl4t18 күн бұрын

    이거 운터도하면 재미있을것같은데

  • @gongweon
    @gongweon18 күн бұрын

    화학 나온 김에 질산은(AgNo3) 분자량 문제 만들지 그랬어 . . . . . . . 참고 질산은 분자량은 약약 169.9이다

  • @rxxillonp
    @rxxillonp18 күн бұрын

    1:37 틀릴 수도 있는데, 이거 계산하니까 2470과 29/30 나오는데요?

  • @user-vu7ir1mn6t

    @user-vu7ir1mn6t

    17 күн бұрын

    똑같이 계산기 두드려본 결과는 609.8333~ 순환소수로 나왔음..

  • @rbs062864
    @rbs06286418 күн бұрын

    상남자란 대체 뭘까...

  • @user-ie1bs9gi7c
    @user-ie1bs9gi7c18 күн бұрын

    사칙연산 마지막 문제 정답이 보기에 없는 것 같은데...?!?

  • @q1w21

    @q1w21

    18 күн бұрын

    그걸 또 푸신 건가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ie1bs9gi7c

    @user-ie1bs9gi7c

    18 күн бұрын

    @@q1w21 우리에겐 컴퓨터 계산기가 있고 공업용 계산기 기능도 있는걸요

  • @Dahakgagoshipda

    @Dahakgagoshipda

    18 күн бұрын

    @@user-ie1bs9gi7c공학용 계산기는 입력순서대로 계산해서 사칙연산 계산이 안됨

  • @q1w21

    @q1w21

    18 күн бұрын

    @@Dahakgagoshipda 공학용 계산기 쯤 되면 어지간히 후진 녀석이 아닌 이상 곱셈, 나눗셈부터 계산해 줄 겁니다

  • @hyeok7393

    @hyeok7393

    18 күн бұрын

    당시에 대충 종이에 끄적거리면서 만들었더니 실수를 했나 봅니다. 공학용 계산기 가져다 하니까 어림도 없는 숫자가 나오긴 하네요...

  • @LqDh-wu7uh
    @LqDh-wu7uh18 күн бұрын

    문제 보자마자 푸는 건 상남자가 아니라 그냥 입시생....

  • @replay12347
    @replay1234717 күн бұрын

    상남자였으면 유리깨고 들어갔다

  • @mielly0216
    @mielly021618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재밌 겠다

  • @Rani_of_Schrodinger
    @Rani_of_Schrodinger18 күн бұрын

    운이 좋으면 몸과 머리가 고생하지 않는다.

  • @tenmongking
    @tenmongking18 күн бұрын

    벌써 머리아파여

  • @pimq_
    @pimq_17 күн бұрын

    1:35 문제에 오류가 있는거같은데 제가 계산을 잘못 한건가요

  • @somethingweirdo8518
    @somethingweirdo851817 күн бұрын

    상남자들은 짐수레를 가방으로 활용합니다. 짐수레를 들쳐메고 빈손으로 쌀10포대를 들고가십시오

  • @ddedde03
    @ddedde0318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버튼 찾기랑 머리랑 무슨 관련이 있는 거죠

  • @teaspoon_furry
    @teaspoon_furry18 күн бұрын

    이건 상남자가 아니라 문제를 피하기 위해 변명을 하는 하남자라고 생각합니다!

  • @leedohyun9
    @leedohyun918 күн бұрын

    아이디어는 좋았다

  • @핑토
    @핑토18 күн бұрын

    엔트로피 ph 문제 맞췄으니 마지막에 따라 나도 상남자

  • @jiku5828
    @jiku582818 күн бұрын

    우리는 머리도 피지컬도 안좋아요

  • @DAYATUBE다야튜브
    @DAYATUBE다야튜브18 күн бұрын

    와우 재밌다

  • @papapagoo
    @papapagoo18 күн бұрын

    여기서 명심 해야 할 것:마플님은 IQ가 높은편에 속한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