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인류가 장애를 가지고 있는 세상에서 유일하게 장애를 갖지 않고 태어난 아이

Фильм және анимация

영화 제목: Downside Up
풀영상 링크: • Downside Up | A short ...
--------------------------------------------
영화 리뷰 추천은 메일로!
gamtice0802@gmail.com
--------------------------------------------
Director - Peter Ghesquiere
Producers - Hendrik Verthé, Kobe Van Steenberghe, Frank Van Passel, Bo De Group
Writers - Peter Ghesquière, Nicolas Daenens, Kobe Van Steenberghe
Cast - Hélène De Vos, Jan De Vroey, Milo Huyghebaert, Nico Sturm
#엠터 #단편영화 #다운증후군

Пікірлер: 1 000

  • @mter
    @mter Жыл бұрын

    영화 제목: Downside Up 풀영상 링크: kzread.info/dash/bejne/iIKssY-wppa5adI.html

  • @Herbivorist

    @Herbivorist

    Жыл бұрын

    마지막 크레딧 스크롤이 평소 보던 영화와 달리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것도 다른 시선으로 보는 영화의 주제를 한번 더 생각하게 해주네요

  • @TuftedCloud

    @TuftedCloud

    Жыл бұрын

    Zㄷㄷㄷㄷ

  • @astro4261

    @astro4261

    10 күн бұрын

    ​@@Herbivorist크레딧은 원래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데 뭔 개소리냐

  • @Herbivorist

    @Herbivorist

    9 күн бұрын

    @@astro4261 대부분의 영화는 엔딩 크래딧이 아래에서 위로 올라옵니다.

  • @user-cx1lp4dt3o
    @user-cx1lp4dt3o Жыл бұрын

    규모는 아주 작지만.. 출연자가 모두 장애인인 장애인 단편영화를 제작한 경험이 있어 감정이 묘하네요 그때 어떻게 풀어내야 오해 없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을지 정말 많이 고민했던 것 같습니다 저 혼자 세상을 변화시킬 답을 찾기는 힘들겠지만 관심이 많아진다면 답에 점점 가까워질 거라고 믿습니다

  • @user-ey6qx4zr8f

    @user-ey6qx4zr8f

    Жыл бұрын

    제작한 영상 제목이 모임

  • @ydh4jd.2011

    @ydh4jd.2011

    Жыл бұрын

    제작하신 영화의 제목이 뭔가요

  • @user-wk2fu8wb9q

    @user-wk2fu8wb9q

    Жыл бұрын

    장애인학교 근무하시는 선생님이신가?

  • @user-cx1lp4dt3o

    @user-cx1lp4dt3o

    Жыл бұрын

    유명 감독, 학교 선생님이 아닌 저도 제작할 수 있을 만큼 우리나라에 장애인 영화가 참 많아요! 꼭 찾아주세용 애매한 대답이지만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D

  • @QeQp

    @QeQp

    Жыл бұрын

    @@user-cx1lp4dt3o 그래서 제목이….

  • @godib4840
    @godib4840 Жыл бұрын

    세상을 바꾸고 역사에 기록될 천재가 보는 세상이라면...

  • @genevieve_kor

    @genevieve_kor

    Жыл бұрын

    ㅇ0ㅇ 굉장히 시각의 폭이 넓으시네요 그렇게도 볼수 있겠네요

  • @user-rc9ew3no5p

    @user-rc9ew3no5p

    Жыл бұрын

    ​@@genevieve_kor 다른사람을 칭찬하는 모습도 멋잇어요

  • @slimedjam

    @slimedjam

    Жыл бұрын

    수많은 -들 사이 0의 존재와 수많은 +-10 사이 100의 존재네요 확실히 조금 다르다 가 +로써 작용하면 혁신을 일으키기 수월하지만 나만 -20을 지닌 채로 혁신을 일으키긴 쉽지 않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거기에 더불어 저는 과연 +일지, -일지 아님 이도저도 아닌 0일지 궁금해지구요.

  • @warf32330

    @warf32330

    Жыл бұрын

    치킨을 머글랭

  • @user-ff4mw6ij2d

    @user-ff4mw6ij2d

    Жыл бұрын

    실제로 발달장애인과 일반인의 지능차이는 천재와 일반인의 차이와 비슷하다고 해요

  • @nanjeng
    @nanjeng Жыл бұрын

    천재가 사회를 바라보는 시선같이도 느껴지네

  • @user-vm1jd9ri5i

    @user-vm1jd9ri5i

    Жыл бұрын

    얘는 도대체 뭐하는 애임

  • @winter5man

    @winter5man

    Жыл бұрын

    ​​@@user-vm1jd9ri5i 음.. 저희는 저걸 이미 마주하였죠 게임에서도 쇼핑몰에서도 저것은 매크로입니다

  • @mandii_produce

    @mandii_produce

    Жыл бұрын

    와 ㄹㅇ...

  • @selligu4885

    @selligu4885

    Жыл бұрын

    @@winter5man 특히 해킹당한 계정(해킹 업체에서 판거)이거나 아님 새 계정일건데말이죠...

  • @chlgus628

    @chlgus628

    Жыл бұрын

    ​@@selligu4885 가입이 2년전으로 봐선 해킹입니다

  • @Re-wind
    @Re-wind Жыл бұрын

    출연자까지 실제 다운증후군을 가진 분들로 채웠다는 것은 단순히 이 단편 영화가 빛 좋은 개살구에 지나지 않고 정말로 평등을 실천하고 했다고 보입니다. 그냥 사람들의 감동만을 이끌어낼 용도가 아니라 정말로 다운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을 이 단편영화 하나에서 '고용'하여 '임금'을 준 것이죠 이는 평등권을 실천하기 위해 국가가 기업들에게 권고하는 사항으로 이 영화를 만든 제작진은 어떻게 보면 적극적인 참된 인권 운동가입니다.

  • @user-ro1wd8zt9u

    @user-ro1wd8zt9u

    10 ай бұрын

    저런거 한국에서 개봉하면 민주당이 전장연끌고와서 폭동일으킴 ㅋㅋㅋㅋ 장애인을 차별하는것이 아닙니다. 그들을 위해 조금 더 나은세상을 만들어 주기 위해 노력하는것입니다. 여러분들은 감수성이 없습니까? 깨어있는 시민의식 부탁드립니다. 하면서 ytn mbc kbs jtbc 주구장창 이런내용으로 하루종일 뉴스나오면서 결국 선동당하고 세뇌당해 저 영화감독은 한국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쓰레기 감독으로 기록될거임 ㅋㅋㅋ 뻔한 k식패턴 ㅋㅋㅋㅋㅋ

  • @user-td3wb2vu8t

    @user-td3wb2vu8t

    4 ай бұрын

    빛 좋은 개살구

  • @coffeedreamer4778
    @coffeedreamer4778 Жыл бұрын

    장애다 아니다를 떠나서, 실제로 이 세상에는 절대다수와 다른 극소수들이 살기에는 참으로 힘겹고 어려운 점이 많죠. 이 영화의 극단적 설정처럼, 모두가 장애를 가진 세상에서 장애가 없는 극소수는 오히려 장애처럼 보이고 편견과 차별 속에서 살아가야하는게 실상이니까요. 남들과 다른 극소수가 남들이 하지못하는 생각과 하지못하는 방법으로 세상을 바꿔가는 이야기...아름답지만 그냥 동화속 이야기로만 보이는 이유는, 현실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겠지요...ㅠ.ㅜ 그래도 이런 영화가 있다는게 왠지 모르게 좋습니다. 마음이 따뜻해지네요. 그래서 좋습니다 ^^ 게다가 신발끈 매듭과 벨크로는 참 멋진 장치이자 비유같습니다. 혼자 매듭을 묶을줄 알아봐야 그건 남들과 다르다는 차별을 도드러지게 하는 요소일 뿐이고, 자꾸 묶이고 꼬여서 갈등을 풀어갈 수 없음을 나타내는 영화적 장치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벨크로는 그 누구나 단 한손으로 단 한번에 조작할 수 있고 간결하고도 단순명료해서 평등함을 나타내기에 좋은 수단이군요. 감독님의 멋진 주제선택, 그리고 그걸 풀어가는 방식과 멋진 비유와 은유가 있어서 좋은 작품 같아요. 그래서 두번 연속으로 봤습니다 +_+

  • @adlibber

    @adlibber

    Жыл бұрын

    장애인이 정상인보다 뛰어났을때나 차별을 느끼겠죠. 일반인 사이에 천재일때로 비유한다면 차별이 아니라 대우받을것 같은데요. 이 영화는 무언가 비유가 적절하지 못한걸로 보이네요. 우영우나 포레스트검프 같은 내용을 보여주려 했다면 공감이 안되네요. 차라리 눈세개나 손가락 6개인 사람들 사이에 정상인이라면 더 비유가 적절할것 같네요

  • @_Nill_.

    @_Nill_.

    Жыл бұрын

    @@adlibber 정확히 똑같이 생각했음. 오히려 영화가 역으로 장애라는 것에 대한 차별을 하는게 아닌가 싶을 정도. 똑같은 다운증후군임에도 사회에 잘 적응하고 이겨내고 있던 일부 사람들을 싹다 멍청이로 만들어버림. 장애인 = 멍청이라는듯.

  • @ghost-exist-in-everywhere

    @ghost-exist-in-everywhere

    Жыл бұрын

    ㅎㅎ

  • @user-bb8sc5hw1h

    @user-bb8sc5hw1h

    Жыл бұрын

    장애가 왜 장애인데 모두가 장애(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결함이 있는상태) 모두가 다운증후군인 세상의 정상지능의 주인공은 신의 영역임 여러 종교에서 믿는 신이 장애인이란 논리랑 똑같은 소리임 ㅋㅋㅋ ㅇㅈ?

  • @mandii_produce

    @mandii_produce

    Жыл бұрын

    ​@@skypthead1265 장애인 사이의 정상인은 장애인이 할수있는 모든걸 할수있고, 장애인이 할수없는 것도 해낼수있습니다. 이게 우리사회에서의 천재의 이미지와 일치한다는거죠. 영화에서는 천재를 장애인으로 비유하고있고 이는 틀렸다고 지적하네요

  • @i12b
    @i12b11 ай бұрын

    풀버전까지 보고 왔는데요. 엔딩 크레딧이 거꾸로 위에서 내려오는데 마지막까지 세계관에 세심하게 충실한 걸보고 정말 잘만든 영화라는 생각이 드네요.

  • @Regina.5005
    @Regina.5005 Жыл бұрын

    감독이 너무 표현을 잘 해준거 같아요 다양함을 인정하고 살면 언젠간 모두 같은세상이 오겠죠❤

  • @Frekz29

    @Frekz29

    Жыл бұрын

    @슬기⏪볏방LIVE 프사눌러🅥 응... 니 아빠랑 가서 같이해...

  • @He-qj1ed

    @He-qj1ed

    Жыл бұрын

    다양함을 인정하는데 모두가 같아진다는건 어떻게 이해를 해야하는거죠?

  • @noahwhite3964

    @noahwhite3964

    Жыл бұрын

    NONO 님의 말씀은 모든 사람들이 다양함을 인정한다면 모두에게 동일한 대우를 할 수 있다는 말씀이시겠지만 다양함이 있기에 차별도 있는 거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양함을 인정한다면 차별도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이 될 테고요. 우리가 차별이 옳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나"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사회적 통념이겠고요. 그냥 생각이 없었는데 이렇게도 생각할 수 있겠네요. ㅎ

  • @noahwhite3964

    @noahwhite3964

    Жыл бұрын

    @@MJ-gx1nf 다양함을 인정하면 차별을 이해할 수 있죠. 왜냐하면 차별이라는 것도 하나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기제이기 때문이에요. 우리가 차별하지 말자 이런 것도 보호기제에서 나온 말이지만 차별이라는 것도 자신의 위험을 배제하기 위한 보호기제일 뿐입니다. 결국은 다양성을 인정하면 차별도 이해하게 된다는 것이죠. 다양함을 인정하면 차별이 없어질 거 같나요? 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차별(집단속 배제)들은 계속 존재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noahwhite3964

    @noahwhite3964

    Жыл бұрын

    @@MJ-gx1nf 저는 차별이 옳고 그름에 평향되었다라고 보지 않기 때문이에요. 위에도 말했지만, 차별은 보호기제에서 나왔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결국 이것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회적 문제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차별에 포함되는 것일 뿐, 결국은 우리도 어떤 형태로 지금은 차별이라고 부르지 않지만, 차별을 하고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게 제가 차별을 옳고 그림에 평향되었다고 생각하지 않는 이유이고요. 그리고 저는 차별주의자들을 인정해야 한다는 말이 아닙니다. 단지 차별이라는 것이 옳고 그름에 편향되었다고 보지 않을 뿐인거죠.

  • @Oknamu
    @Oknamu Жыл бұрын

    오... 눈물이 났어요. 세상 속에 분명히 존재하지만 소수이기때문에 분리되고 차가운 시선을 느끼는 부류에 대한 것을 통렬하게 꼬집었네요. 감독과 작가 멋집니다. 내가 속한 부류가 다르면 모두 배척하고 악으로 치부하는 면을 가지고 있지요. 때론 그 다름안에서 획기적이고도 멋진 아이디어가 나오구요. 하지만 그렇게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지 않아도 그들 모두 우리 모두 차가운 시선을 받을 일 없이 살아있는 존재 인데 말이에요.. ❤❤ 이번 작품은 특히 감슴에 남네요. 수고하셨습니다. 고맙습니다.😊

  • @moonblade4406

    @moonblade4406

    Жыл бұрын

    이 영화는 님같은 사람이 뽕주입을 하라고 만든 영화가 아닌 것 같은데요

  • @user-tn3ej8xe6e
    @user-tn3ej8xe6e Жыл бұрын

    와 어떻게 이렇게 많은 분들을 동원해서 이 이야기를 완성했는지 소재와 노력에 박수를 보냅니다. 충분히 이해가 되는 명작이네요..

  • @msg6218
    @msg6218 Жыл бұрын

    섭외 대박이다… 큰 결심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네요

  • @flick_11
    @flick_11 Жыл бұрын

    고등학생때 사회 선생님이 해주셨던 말이 기억나네요.장애는 절대적인게 아닌 상대적인 기준의 것이라고…이 영화를 보니까 그말이 더 깊게 느껴지는거 같아요

  • @Aruru84
    @Aruru84 Жыл бұрын

    숙제때문에 딱 이런 방식의 생각을 한적이 있는데 이런 영화가 있는줄은 몰랐네요 영화로 표현진짜 잘한듯

  • @user-gf9bw7xg6o
    @user-gf9bw7xg6o Жыл бұрын

    배우분들의 용기에 박수를 보냅니다 대단하네요 저라면 시선 무서워서 영화는 커녕 길에도 못 나갔을 것 같은데.. 멋집니다

  • @yijun825
    @yijun825 Жыл бұрын

    진짜 현실과 반대로된 영화이네요. 현실에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얼마나 차별받는지를 돌려서 나타낸영화라서 안타깝네요. 하지만 그걸 표현을 해내서 좋은영화네요.

  • @janghyun8076

    @janghyun8076

    Жыл бұрын

    굳이 장애인들이 받는 부당한 대우에 대해 표현하려한것보단, 남들과 다르면 배척하는 사회에 대해서 풍자한것같음. 우리나라처럼요 ㅋㅋ

  • @kasanovak-1106

    @kasanovak-1106

    Жыл бұрын

    ​@@user-io8vt6ub5j 무조건 한국은 어쩌구저쩌구 하는 태도는 옳지 않습니다. 뭔가 시민의식이 높아보이는 나라들도 상세히 보면 죄다 그 부분에 대해 법제화 되어서 통제되기 때문에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을 뿐입니다. 미국에서 스쿨버스가 정차하면 무조건 멈추는 이유도 안 멈추면 벌금이 어마무시하기 때문이죠. 한국도 미국처럼 벌금이 어마하다면 안 멈출 사람 아무도 없습니다. 아쉽지만 장애고 성소수자고 간에 뭔가 소수에 처해진 사람들은 세상 그 어디를 가더라도 그들을 차별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이 존재합니다. 세상에 유토피아는 없고 세상 사람 사는 모습 다 똑같습니다. 그 인간의 본성을 통제하는 법의 모습에 따라 저마다 통제된 모습이 다를 뿐이죠.

  • @user-uv4ts2qp4b

    @user-uv4ts2qp4b

    Жыл бұрын

    @@user-io8vt6ub5j 본능적으로 인간은 나와 같은 그룹이 아닌 다른 그룹을 배척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나와 같은 집단으로 분류하는 뭔가가 아닌 다른 집단으로 인식할때 거부감을 느낍니다. 그것이 외모이건, 언어이건, 생활양식이건 뭐건 말이죠... 그러한 본능을 제도를 통해, 시스템을 통해 억제하는 것이 사회화구요...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 어느 나라건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마음은 비슷합니다. 단지 그것을 교육을 통해 다르게 보지 않고 잘못되었다 생각하지 않도록 연습하고 훈련하는 것이 필요할 뿐.... 상대적으로 우리나라가 그런 부분이 약한건 맞지만 그렇다고 외국에서는 무조건 장애인이라고 다른 시선으로 보지 않는건 아닙니다. 당장 내 자식이 결혼하겠다고 데려온 상대가 장애를 갖고 있으면 반대하는게 동서양을 막론하고 부모들의 모습이니까요...

  • @titanl3472

    @titanl3472

    Жыл бұрын

    ​@@janghyun8076 크게 보면 그렇지만 초반에 평균과 너무 다른 아이니까 낙태 가능하다는 건 장애에 대한 차별을 뜻하는게 맞습니다 타국은 모르겠지만 적어도 우리나라는 실제로 장애를 가졌을 시 합법적으로 낙태가 가능하고 좀 더 전에는 장애를 가진 임신부를 강제로 낙태시키고 심지어 강제 불임수술까지 했었다고 합니다. 어떤 책에서 안경이란 도구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시력이 안좋은 사람이 장애인이 될수 있다는 가정을 듣고 난 후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장애도 다름에 대한 차별이 맞다고 생각 됩니다

  • @illucoder595

    @illucoder595

    Жыл бұрын

    그 의도가 아닐텐데요

  • @user-ck8bd7hs1g
    @user-ck8bd7hs1g Жыл бұрын

    20대 때 재활승마활동을 하면서 많은 케이스의 친구들과 수업을 해봤는데 거기서 하나 느꼈던건 서로 표현의 정도는 다를지라도 새로운 경험의 대한 열망과 환희는 비장애인과 다를바 없었던게 기억에 남아있네요

  • @4LJAYWALKING

    @4LJAYWALKING

    Жыл бұрын

    당연하지 걔네는 머리는 안다쳤으니깐 다운증후군 수발들어봐라 평생 장애인에대해 나쁘게생각해본적이없는데 얘가 일부로 날 속이고 장에인인척 하는건가 싶을정도로 악랄하다

  • @beads30
    @beads30 Жыл бұрын

    좋은 영화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꼭 한번 봐야겠어요

  • @0n_nue
    @0n_nue Жыл бұрын

    차이점(매듭)을 없애버린 세상이라니.. 웅장하고 멋진 말이네요!

  • @user-ul3tq9pb8j
    @user-ul3tq9pb8j Жыл бұрын

    와... 소재부터 연출, 메시지까지... 이런 시나리오를 언젠가 쓰고 싶다 ㅠㅠ

  • @user-mr5lc9kf2y
    @user-mr5lc9kf2y Жыл бұрын

    저도 이런상상을 혼자 하고는 했는데 엠터님 채널에서 보게되네요.. 평행우주같은 다른공간에 저런 세계도 있을까? 또 다른 기준의 세계가 있겠지? 상상하곤 했었는데 제 상상을 여기서 보니 좋고 재밌네여. 교훈을 주는 영화 잘봤습니다

  • @singasong785
    @singasong785 Жыл бұрын

    전 오히려 다운증후군을 임신중에 알았을때 지우는 선택이 다행이라고 생각해요, 많은 사회에서, 특히 한국사회에서 소수의 장애자로써 살아간다는 것은 너무나도 가혹한 것이기에… 일단 낳고보자 하고 나중에 감당이 안되니 유기견 마냥 가족을 버리는 부모들도 많구요 (해당 센터에서 봉사활동 다녔었음), 이 단편은 따뜻하지만 현실은 정말 차갑고 암담한것같아요.

  • @jhoonw90

    @jhoonw90

    Жыл бұрын

    너무나 슬픈 결정이지만.... 앞으로 이 아이가 태어나서 감당할 세상은 너무나 가혹하고 곁에서 보기에 지켜주지 못할 큰 슬픈 미래이기에...... 차라리 부모가 그 큰 아픔을 평생안고 가는게 낫다고 저도... 공감해요ㅠ

  • @user-dy5ft1pe4w

    @user-dy5ft1pe4w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아이는 나보다 더 살텐데 나는 죽기 전까지 아이 걱정만 하다가 살아야 하며 내가 없으면 아이는 아무것도 할 줄 모르는 것… 너무 끔찍할 것 같네요. 1분 1초도 내 세상이 없는 삶. 그게 과연 삶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 @user-gd9mk1or9v

    @user-gd9mk1or9v

    Жыл бұрын

    불행할 수 있으니 죽으라?

  • @lattelatte0707

    @lattelatte0707

    Жыл бұрын

    장애아를 키워보니 더욱더...동의합니다. 너무 사랑스럽지만 이자리까지 오는 고통은 평범한 사람들은 짐작도 못할 정도입니다

  • @user-qp6mt5rl1w

    @user-qp6mt5rl1w

    Жыл бұрын

    치매처럼 다운증후군 환자 본인은 자각 못하는거 아니었나요?

  • @leEJIw0o
    @leEJIw0o Жыл бұрын

    저는 보행장애를 갖고 태어난 열여덟 여고생입니다. 물론 사회의 무수한 시선 속에서 장애는 그 정도와 상관 없이 그저 남들과 다르게 눈에 보이는 요소일 뿐이기에 경중을 따지는 건 무의미하지만, 다른 장애인 분들보다는 비교적 가벼운 장애(보행이 불안하고 체육 활동이 어려움)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어요. 그렇지만 제가 이렇게 다른 장애인 분들에 비해 조금이나마 나은 삶을 살 수 있게 된 건 십 년이 넘도록 이어오고 있는 저와 부모님, 그 외 많은 분들의 무수한 노력의 결과고 이는 매우 특수한 경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장애인 분들의 현실은 소수 집단이자 사회적 약쟈라는 이유만으로 너무나도 차갑고 냉정해요. 이건 과장도, 동정을 유발하려는 의도도 없이 겪어본 바에 의한 사실입니디. 다른 장애인 분들에 비해 나은 쪽이라면서 어떻게 사실임을 단언하냐면, 그 기반을 조금만 바꿔볼까요? 특수한 경우인 저조차도 장애인에게 냉혹한 현실 사회를 뼛속 깊이 절감하고 매일 매일 수없이 느끼는데, 보다 더 어려운 조건에 놓여계시는 많은 장애인 분들에게는 얼마나 더 크게 다가올까요. 실제로 저는 남들과 다르다는 이유로 일부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일과 배려가 충분하지 않은 사회에 열심히 익숙해져야 했습니다. 제가 원하는 삷을 살려면 다수에 뒤처지지 않으려는 노력도 해야만 했구요. 물론 이런 일들은 온전히 제가 원해서 해내왔고, 누구의 강요도 없었기 때문에 사회의 탓을 해선 안되고 할 수도 없다는 걸 압니다. 그리고 모든 비장애인 분들이 장애인 분들을 배척하고 경시하지 않는다는 것도 정말 잘 알고 있습니다. 저도 살면서 진심으로 저에게 호의적이고 따뜻한 사람들을 많이 만났거든요. 다만... 이 두서 없고 긴 말의 요지는, 어쩌면 겪어본 적 없는 삶이기에 당연한 것이고 아직 어린 제 투정에 불과할지는 몰라도 미디어에 비춰지는 일부 특수한 경우(지금 이 댓글을 쓰는 저도 포함해서)나 비장애인 분들의 능력치를 기준으로 판단해서 장애인 분들이 받는 사회적 배려나 혜택을 단편적으로만 바라보고 불공평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조금이나마 줄었으면 좋겠다는 제 작은 바람이었습니다. 저의 작은 댓글 하나가 사회에 팽배한 시선을 바꿔놓기란 불가능하다는 걸 알면서도요. 그리고 Downside up은 장애인 분들이 자신을 사회적 소수자라고 여기는 뿌리깊은 정의와 아픈 족쇄에서 잠시라도 벗어날 수 있게 해주는 것 같아요. 비장애인 분들에게는 시야를 보다 더 넓혀주는 영화가 될 것 같구요. 저도 정말 좋은 영화라 생각하는데 리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영상을 보시는 분들도 여기까지 읽어주셨다면 정말 감사해요...🥹)

  • @user-jj7bj3kz1r

    @user-jj7bj3kz1r

    Жыл бұрын

    보편성을 따라가는 세상 또는 한국적 상황은 비장애인 위주로 만들어져있죠 그 각박한 코리안스타일은 지난 장애인 전철시위만 봐도 소수에대한 존중이 부족한게 현실이구요 여러모로 교육의 중요성 사회의 유연함이 인간의 인식을 바꾸는데 큰역활을 한다고 봅니다 반대로는 개인주의적 현상이 자존감을 만들어주는 동시에 과도한 엘리트리즘으로 발현돼는듯하네요 성숙한 사회는 개인이 만들어낼수없죠 그래도 사회적 변화는 먼길이지만 조금씩 변화해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InterstellarTurtle

    @InterstellarTurtle

    Жыл бұрын

    철학적인 발상이라 얘기하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세상을 바라보는 시점과 그 세상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출발선이 생깁니다. 이 질문은 '철학이 존재하느냐', '선악이 존재하느냐'를 떠나서 인류가 오래 살아남으면서 가장 많이 떠오른 의문임과 동시에 더 넓은 식견을 가질 수 있게 해줬으리라 생각됩니다. 인간은 '나'라는 무수히 많은 하나의 정의뿐만이 아니라 다른 것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구를 사용해 왔습니다. 나와 다른 것에 대해 생존을 목적으로 타협을 하고 만들어낸 약속을 지키면서요. 내가 무엇인지조차 의문이 드는데 다른 것을 정의한다는 것은 초월적인 방법이나 뛰어난 과학 기술이 있지 않는 이상 불가능에 가까우니까요. 더 나아가 지금 사회는 시간이 꽤 지난 만큼 변화하고 축적되어 세상을 바라보는 시점과 상호작용보다 나와 다른 사람과의 관계, 갈등, 소통에 힘 쓰고자 살아가죠. 인간은 앞서 말한 것처럼 초월적인 존재도 아니고 뛰어난 과학 발전을 이루지 않았고 나와 다른 것을 마주하며 생존을 목적으로 고려되지 않았던, 고려할 필요 없이 살아왔기에 이것들이 모두 급부상하게 되어 예상보다 더 불편하고 고통 받는 일이 계속 생기게 되는 겁니다. 하지만 이것은 정확하게 옳고 그름을 따질 것은 아닙니다. 분명히 할 것은 인간이 지금이라도 나와 다른 것을 마주하는 것에서 끝내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갈 준비를 할 수 있고 아직은 부족하다는 것이죠. 영화 리뷰로 잠깐 훑어본 거에 불구하지만 느낀 건 영화가 주는 메세지에 특정 대상을 향한 비하나 찬양 의도가 담겨 있다고 해석하기보다 영화가 만들어질 수 있던 배경과 시도, 거기에 더해서 그걸 본 시청자들의 생각의 전환은 정말 아름답고 칭찬받을 수 있는 것이라 보입니다. 볼 수 없는 것과 알 수 없는 것은 결코 무가치한 것이 아니라고도 말할 수 있겠습니다. 글쓴이가 열여덟의 나이에 영화를 보고 동일 주제를 놓고 이렇게 댓글을 적는 것은 정말 다수를 위해 힘쓰는 사람들 안 부러워지는 능력이라 생각돼요. 잘 읽었습니다. 😁 그리고 차갑게 느껴지는 현실을 어떻게 살아왔을지 저도 막막해 보이면서도 스스로를 위하며 따뜻한 노력을 하는 모습 또한 대단함을 느낍니다. 혼자 살아가지 않으니까요.

  • @micky4236

    @micky4236

    10 ай бұрын

    혹시 전장연 가입하셨나요?

  • @csj2319

    @csj2319

    6 ай бұрын

    알겠습니다. 장애인님 화이팅

  •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Жыл бұрын

    이 영화를 보니 우영우에서 나온 대사가 생각나네요. 우영우는 모든 법전을 외울 수 있지만 병뚜껑 하나를 못 딴다구요. 영화에서도 나오듯 사람들이 신발끈은 못 묶지만 그들은 의사 선생 기자 과학자 등 현실과 똑같은 사회를 구성하여 살아가고 있어요. 저는 이 영화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차이가 틀림과 다름의 차이가 아님을 알려주는 것 같아 인상 깊습니다.

  • @user-wu7rq9tq1c

    @user-wu7rq9tq1c

    Жыл бұрын

    틀림과 다름의 차이가 아니라는 게 무슨 뜻이죠? 틀림이 아닌 다름이라고 말하고 싶으신 건가요?

  • @Sarno-

    @Sarno-

    Жыл бұрын

    @@user-wu7rq9tq1c 그런듯 하네요

  • @He-qj1ed

    @He-qj1ed

    Жыл бұрын

    우영우는 정말 특수한 케이스죠 정상인들 중에서도 흔치 않은 대부분 의사도, 선생도 과학자도 못하면서 신발끈도 못묶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 @user-dp5wt2sv5f

    @user-dp5wt2sv5f

    Жыл бұрын

    보통 의사도 과학자도 기자도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pswsa6281

    @pswsa6281

    Жыл бұрын

    우영우는 자폐고.. 이 영화는 다운증후군이고.. 완전 다름

  • @user-or5gs2pj4n
    @user-or5gs2pj4n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요즘 재미난게 없었는데 소재가 맘에 드네요. 영화 추천 고마워요.

  • @kodasoo
    @kodasoo Жыл бұрын

    발달장애 친구랑 일을 하면서... 그 친구가 운동화 끈 매듭을 맘에 안 들어 할 때면 제가 그 친구의 운동화 끈을 고쳐 매주곤 하는데... 운동화 끈 매듭을 매개체로 풀어가는 이야기의 명료함이 돋보이네요... 영상 잘 봤습니다~

  • @gomdorij3213
    @gomdorij3213 Жыл бұрын

    엠터님 고맙습니다 ^^* 보통 사람들 사이에서 인정 받지 못하고 따돌림 당하는 천재네요...ㅜㅜ 다운증후군 을 겪고 있는 사람들을 저렇게 많이 캐스팅 하기도 쉽지 않았을 텐데....

  • @user-yh5ub1lg5n
    @user-yh5ub1lg5n Жыл бұрын

    부조리한 상황에서 그저 사회에 불만을 표출하는것이아닌 자기 스스로 극복해 나가는게 좋네요

  • @user-dd9xw6lt3d
    @user-dd9xw6lt3d Жыл бұрын

    의미있는 영화네요 좋은 딕션과목소리로 좋은 영화 리뷰해주셔서 감사합니당

  • @user-tt4qr8ni9zsswq
    @user-tt4qr8ni9zsswq Жыл бұрын

    결말 잘 풀었다 ㅎㅎㅎㅎ좋은 작품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q6wh6bf2p
    @user-tq6wh6bf2p Жыл бұрын

    댜른 채널에선 볼 수 없는 작품들을 볼 수 있어서 너무 좋습니당❤

  • @calm7143
    @calm7143 Жыл бұрын

    리뷰만 보자면 시기 질투 사기 이런 악행들은 없어서 가능한 스토리 같아요. 현실에는 뛰어나건 동등하건 못나면 더한 악행이라는게 있죠. 이는 뛰어난 천재입장에서도 마찬가지라 생각해요. 아무래도 손익을 따지고 계산을 하기 때문에요.

  • @user-mm2ri7wj7j
    @user-mm2ri7wj7j11 ай бұрын

    영화 내용 정말 너무 좋네요.

  • @Kojuhong
    @Kojuhong Жыл бұрын

    좋은 작품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em2zr3wd4j
    @user-em2zr3wd4j Жыл бұрын

    역차별 설정을 통해 감동적인 메세지를 전하려는 감독의 의도와는 다르게 오히려 정상인의 우월감을 부각시키는 결과로 인해 많은 사람들에게 쓰디쓴 비평도 들어야 했던 영화입니다. 하지만 참으로 신선한 소재였고 영상속의 여러 메세지들, 제작의도도 훌륭합니다. 다운증후군의 세상은 편협하고 불편한 세상이지만 정상인들의 노력과 관심과 아이디어로 이런 불편한 세상을 바꿀 수있다는 것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 @fivedoors917

    @fivedoors917

    Жыл бұрын

    정상인이요^^

  • @Qwerlity

    @Qwerlity

    Жыл бұрын

    ​@@user-io8vt6ub5j 저는 비성인 비노인 비흑인 비페미니스트 비여성 비게이 비레즈비언 비비건 비유럽인 비아메리카인 비장애인 입니다.

  • @winter5man

    @winter5man

    Жыл бұрын

    ​@@Qwerlity 반갑습니다 이하동문입니다...

  • @user-ed3co2wj4g

    @user-ed3co2wj4g

    Жыл бұрын

    ​@@user-io8vt6ub5j 정상인도 맞는표현이고 비장애인도 맞다면 맞는 표현임 정치적올바름을 시 발 남한테 강요하지마세요

  • @Qwerlity

    @Qwerlity

    Жыл бұрын

    @@user-io8vt6ub5j 저희는 정상인인가요? 정상인이란 무엇입니까?

  • @park47682
    @park476827 ай бұрын

    나레이션 개킹받네 ㅋㅋㅋㅋ 유튜버말구용

  • @ttatmouse
    @ttatmouse Жыл бұрын

    좋은 영화 소개 감사합니다~

  • @user-np9tw7lk7k
    @user-np9tw7lk7k Жыл бұрын

    재밌는 발상을 짧지만 묵직하게 풀어낸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 @cms-mdvr
    @cms-mdvr Жыл бұрын

    오늘도 흥미로운 영화 감사합니다 :) ❤ 장애학적으로 얘기를 해 보자면 장애는 사회가 만들어낸 개념이라고 볼 수 있어요. 인류의 사회가 개체의 주류(비장애인) 집단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사회이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발전한 생활양식에 적응이 어려운 비주류 개체를 장애인 이라고 분류하는 거구요. 정의와는 별개로 개개인의 장애 라는 게 분류가 법적으로 얘기되지 않는 범주 역시도 포함이 돼서 굉장히 광범위 하고 그 양상과 빈도도 제각각이에요. 안경이나 돋보기 등을 쓰는 이들이 시력적인 면에서 불편함을 겪지만 일상에 지장이 갈 정도는 아니기 때문에 법외 장애인, 보다 정확히는 비장애인으로 구분되어 살아가듯이요. 반면 누군가는 일상에 지장이 생길 정도로 장애로 인해 겪는 불편함이 클 수도 있어요. 예를 들자면 중독(ㅁ ㅏ약)성진통제 없이는 일상에 지장이 갈 정도인 분들이 있겠죠? 그래서 어떤 이가 가진 장애의 비-사회적이고 동시에 개인적인 범위에서 받는 고통 역시 다양하기 때문에 간과 할 수 없어요.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 만으로 살아가는데에 있어 불편함을 겪지 않는 사회를 지향하며 다 함께 살아가기 위해선 상대의 정체성을 기준으로 판가름 하기 보다는 있는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타인에게 관용적인 모습을 기준삼아 살아가야죠.

  • @nobody-ow8gu
    @nobody-ow8gu Жыл бұрын

    동화같은 이야기네요 항상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ENFJ_ENFP

    @ENFJ_ENFP

    Жыл бұрын

    동화가 아니라 우화

  • @user-ng1go8xx5j

    @user-ng1go8xx5j

    Жыл бұрын

    ​@@ENFJ_ENFP 근하하하하

  • @ENFJ_ENFP

    @ENFJ_ENFP

    Жыл бұрын

    @@user-ng1go8xx5j 제하하하하하 슈로로로로

  • @user-mj1dh1fq6o
    @user-mj1dh1fq6o9 ай бұрын

    굉장히 좋은 영화 네요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 @Talpadak
    @Talpadak Жыл бұрын

    잘보고 갑니다.

  • @bidulgiyanalabwa
    @bidulgiyanalabwa Жыл бұрын

    금붕어로 하여금 자신이 성장할 수록 세상이 좁아지고 갑갑하고 옥죄어 온다는 것은 연출한게 마음에 드네요

  • @hakunik5023
    @hakunik5023 Жыл бұрын

    장애에 대한 편견을 뒤집어서 해석한 영화군요.

  • @min-geanpark276
    @min-geanpark276 Жыл бұрын

    뭔가 심오한 영화네요. 원본 링크까지 공유해주셔셔 감사합니다.

  • @user-mf6dq6oh6o
    @user-mf6dq6oh6o7 ай бұрын

    리뷰맛집이네

  • @stensmde
    @stensmde Жыл бұрын

    조금 뻔한 애기일 수도 있지만 오히려 그래서 더 생각이 많아지는 영화네요 좋은 리뷰 감사합니다

  • @shinesun5202
    @shinesun5202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하도 생각을바꿔못하니까 직관적으로 이래도 생각을 바꾸지않을거냐! 라고 직관적으로 알려주는것 같네요... 너무좋은영화입니다..

  • @EdenKim1985
    @EdenKim1985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메세지네요

  • @user-xq8dx3is7u
    @user-xq8dx3is7u11 ай бұрын

    이런 영화들 어디서 알고 가져오시는 거에용 ㅠㅠ? 진짜 너무 좋아요 소개해주시는 영화들!

  • @peniel3490
    @peniel3490 Жыл бұрын

    에릭을 믿고 영상 내내 뿌듯하게 쳐다보시는 부모님도 뭔가 감동이다ㅜㅜ

  • @user-py4lf6gd5d
    @user-py4lf6gd5d Жыл бұрын

    만약 전세계 인구중 시력이 안좋아 안경을 쓴 사람이 30명 뿐이라면 대단한 장애라고 하겠죠. 장애와 비장애는 다수에 있냐 소수에 있냐 하는 차이도 있는 것 같아요

  • @user-dy5ft1pe4w

    @user-dy5ft1pe4w

    Жыл бұрын

    @@mandii_produce 공감합니다. 안경은 어쩌면 패션 아이템이 될 수도 있는데, 장애는요…? 보기 좋은 장애는 없습니다.

  • @NalDa_handle

    @NalDa_handle

    Жыл бұрын

    @@user-dy5ft1pe4w 우리는 이미 안경을 많이 접해봤기에 패션아이템이라고도 보는 게 아닐까요? 보안경이나, 고글 등 바람을 막거나 위험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비들과 달리, 안경은 눈의 시력을 보정하기 위한 것이죠. 그 말인즉슨, 안경을 낄 정도로 시력이 안 좋은 이들이 전 세계에 30명뿐이라면 안경을 구매할 고객도 30명밖에 없다는 소리가 됩니다. 그러면 지금처럼 안경점이라는 업종 자체가 있지도 않을테죠. 그러면 안경을 맞추기는 커녕 애초에 안경을 구하는 것, 아니지... 아예 안경이라는 개념 자체가 탄생하지 않을 수도 있겠네요. 그래도 장애가 아니라고 할 수 있을까요?

  • @D-user-Oo

    @D-user-Oo

    Жыл бұрын

    70억 인구 중 모두가 눈이 좋은데 약 30명 꼴로만 눈이 안 좋아서 안경을 쓴다 즉 소수자가 된다,,, 라는 초점에 이의를 두신게 아닐까용? 비약된 비유이지만 도금된 의족을 보고 와! 패션용으로 달아야겠어라는 현실이 없듯.

  • @NalDa_handle

    @NalDa_handle

    Жыл бұрын

    @@user-dy5ft1pe4w 애매한 시력이라면 장애까지는 아니겠죠. 하지만 시력이 0에 가까워질수록 시각장애인과 다름없어지게 될 겁니다.

  • @user-fn8vf3ut6f

    @user-fn8vf3ut6f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외형이 제일 중요함 겉으로 보기에 멀쩡해보이면 큰 차별안받음

  • @alwaysawakeee
    @alwaysawakeee Жыл бұрын

    좋은영화보고갑니다

  • @user-ut5rg7gj6e
    @user-ut5rg7gj6e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한수배우고갑니다

  • @user-gw8iv3uz4y
    @user-gw8iv3uz4y Жыл бұрын

    인간은 누구나 신체적이던, 정신적이던.. 장애를 가지고 있어.. 그게 드러나지 않는 사람도 그 것을 자각하지 못 할 수도 알고 있지만 가리고 있을 뿐이야 자신이 완벽하다 느끼는 오만함이 때때로 장애가 될 수도 있다는 거다.

  • @user-jd1xf7pc4b
    @user-jd1xf7pc4b Жыл бұрын

    영화에 나오는 주인공을 제외한 주변 인물들이 다운증후군으로 이루어 져있네욥 다운증후군의 큰 특징으로는 다운증후군의 외모가 대부분 비슷합니다 또한 목뼈가 많이 약하기 때문에 구르기등 목에 충격이 가는 행동을 절때적으로 삼가해야합니다🙂 +영화에도 나오지만 다운증후군은 21번 염색체가 1개 더많아서 생기는 질병입니다 영화에서는 이를 반대로 풀어놨네요

  • @endless2082
    @endless20827 ай бұрын

    너무 귀한 작품이네요

  • @binlu7969
    @binlu7969 Жыл бұрын

    10~12주에 양수를 통해 유전자검사에서 이상징후가 보이면 부모가 결정을 할수있어요 다운증후군은 외모가 동서양 할거없이 비슷한것도 특징이라 영화에서는 따로 분장을 하지 않았을겁니다

  • @inktainmentlee
    @inktainmentlee Жыл бұрын

    어떻게 보면 어른들을 위한 동화, 우화적 이야기네요. 요정이나 마법 따위 없지만, 현실을 빗대면서도 인간미가 있는 이야기... 아주 예전에 나왔던, 차별과 관련된 공익광고 문구가 생각납니다. '당신도 나와 다르게 생겼어요.'

  • @Sinra1999
    @Sinra1999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보고갑니다

  • @superpatrick8902
    @superpatrick8902 Жыл бұрын

    이세상에서 다르다는 것은 기존의 것보다 더 좋은 퍼포먼스를 내는지, 아닌지에 따라 받아들여지는 방식이 다릅니다. 긍정적인 방향의 다름과 부정적인 방향의 다름을 받아들이는 것은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된다는거지요 감독이 무엇을 표현하고 싶었는지는 알겠으나 현실을 뒤집었다고 해서 그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 @c1ub
    @c1ub Жыл бұрын

    이거 천재가 일반인을 보면 느끼는 거랑 다를게 없는데

  • @user-ss6ty3te6g
    @user-ss6ty3te6g Жыл бұрын

    메듭으로 비유한게 넘 아름답다❤ㅏ❤❤❤

  • @lifeissooofun
    @lifeissooofun Жыл бұрын

    이것이.. 천재들이 우리를 바로 보는 시선일수도 있겠네요. 시선의 차별이 다른것이 아닌 특별함을 뜻하며 그 특별함으로 모두와 함께 더 나은 세상으로 변화시킬수도 있다는 희망찬 메세지를 보니 기분이 좋네요. 한국에서도 해외에서 모두 ...천재들이 비극적인 삶을 살았다고 하죠. 우리가 다른 방식이 천재들을 살기 힘들게 한건 아닐까요?

  • @user-fq9ew8te1h
    @user-fq9ew8te1h Жыл бұрын

    와우 이런 멋진 영화가 있다니 ㅠㅠ

  • @user-pw8wo2pn6u
    @user-pw8wo2pn6u Жыл бұрын

    장애는 앓는 것이 아닌 갖고 있다라고 표현하는게 더 좋은 것 같네요 좋은 영화 추천 감사드려요

  • @user-uz5ph8cz1x
    @user-uz5ph8cz1x Жыл бұрын

    와 이 영상은 대단하네요.

  • @smk4342
    @smk4342 Жыл бұрын

    누가 비장애인인지 장애인인지 구분할수없다 최대다수의 무언가가 소수의 의미를 결정짓는다 라는걸 알게됨

  • @hyong5252
    @hyong5252 Жыл бұрын

    천재가 세상을 바라보면 분명 이렇게 보일껄 이 영화처럼 남들을 돕는데 쓰느냐 어리석은 사람들을 속이며 등쳐먹고 사느냐 는 그 사람의 선택이겠고

  • @blue-opal

    @blue-opal

    Жыл бұрын

    ㄹㅇ 아마 주인공이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사람 못만나거나 중간에 어중간하게 교정되면 등쳐먹는 사람이 될지도 몰랐겠죠

  • @delres
    @delres Жыл бұрын

    와 이건 진짜.. 놀랍네요

  • @MessiOfTFT8778
    @MessiOfTFT8778 Жыл бұрын

    엠터님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근데 채널이름이 엠터는 조금 말넘심? 인거같아요 ㅠㅠㅠㅠ

  • @user-zw9ws5gj5j
    @user-zw9ws5gj5j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장애를 가진 아이를 낳는건 참 어려운 일입니다 평생을 수발들며 살아야하고 그것도 경제력이 먼저 뒷받침이 되어야 어느정도 그게 가능한거고 보통 20~28까진 부모가 케어를 해준다해도 그건 어디까지나 자립 할수있도록 도와주는거지 다큰 성인을 수발들진 않습니다 생명이란 이유로 평생을 책임진다는건 가혹한 일이죠

  • @bradleysbullm1673
    @bradleysbullm1673 Жыл бұрын

    여기서 나오는 장애가 다운증후군이란 것도 의미심장... 산전진찰로 예측할 수 있는 선천적 이상 중 하나여서 부모들이 그대로 출산할지, 중절을 할지 어마어마한 갈등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pigman_ms
    @pigman_ms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영화 같네요

  • @titanl3472
    @titanl3472 Жыл бұрын

    중요한 부분을 반대로 표현해서 부정적인 상황과 앞으로의 기대를 표현했네요.. 현실에서 주인공이 장애를 가졌다면, 태어나기 전부터 관심을 받으며 낳기를 결심한 부모에게 먼저 폭언부터 시작하고, 처음 가정 밖으로 나온 주인공은 본인과 다른 아이들을 보고 차이를 느낍니다 자신의 몸에 맞춘 화장실 같은 것도 뉴스 기사가 되고 단지 화장실을 가는 사소한 일 마저 몸이 불편해도 살아가는 아름다운 사람이 되어버리죠 이런 시선과 차별 때문에 치료를 하려던 주인공은 같은 장애인을 만나게 되고, 정말 현실이라면 어디에서나 관심을 받으며 아이라도 가질 땐 조언이란 이름의 폭언을 받게 되겠네요.. 거기에 그 장애가 지능에 관한 문제라면 낙태 시키고 국가에서 강제로 불임수술을 하라고 까지 쓴 댓글을 봤네요 내용에서 주인공이 다름을 이용해 보통의 사람들을 위한 물건을 만든 상황이 됐으면 보통과 더 과장된 감탄과 찬사를 받았을 것이 생각나서 기분이 묘합니다 중간에 배를타고 가다가 의사가 아이의 목과 연결된 돌을 던져 죽이려고 한 장면과 자신의 다름을 보여주는 매듭을 해주지 않고 보통 사람처럼 지나가려고 하는 모습이 충격적으로 다가왔습니다... 장애를 가진 한 사람의 심정을 저렇게 쉽게 표현하는게 정말 대단하고 생각하지 못했다는게 바보같네용... 장애를 가졌어도 같은 사람인데 동등하지 않는 관계를 넘어서서 마치 유아처럼 대해지거나 다르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불쾌한 시선을 받았던 상황을 불쾌하지 않으면서도 적나라하게 연출한게 이 작품의 강점인듯 합니다 소장하러 가야겠네요!

  • @user-wd3xy5qc9o
    @user-wd3xy5qc9o10 ай бұрын

    근데 애초에 매듭을 묶을 줄 모른다면 매듭을 묶는 신발을 어떻게, 누가, 왜 만든거임..? 그리고 그게 왜 상용화가 된거고?? 신발끈이라는게 매듭을 묶을 줄 아니까 만든건데

  • @sd68127

    @sd68127

    9 ай бұрын

    건물 외형도 비현실적인거 보면 연속성은 배제하고 봐도 됨ㅋㅋ.. 어차피 개연성보다 메시지에 집중하니까

  • @justicejung2
    @justicejung2 Жыл бұрын

    그치만...다운증후군을 가진 아이를 낳지 않는 것 또한 부모의 선택 아닐까요...아이가 불행하지 않게...뭐든지 바라보기 나름인 것 같아요

  • @user-uh3is9my9i
    @user-uh3is9my9i11 ай бұрын

    영화 주제가 진짜 신선하고, 창의적 이여서 너무 좋다.

  • @poor_mi
    @poor_mi Жыл бұрын

    헐.... 무엇보다 감독의 센스가 진짜 엄청나네요 물고기 진짜 지린다... 발달장애 의사 배우분이나 어린이들 다 엄청난 영화네요 이게 바로 딩그작

  • @Gidalyeoss-eo
    @Gidalyeoss-eo Жыл бұрын

    와 저게 세상 0.0001%의 천재가 세상을 바라보는 느낌인가...?

  • @user-rs6bp4dz3r
    @user-rs6bp4dz3r Жыл бұрын

    비스마르크를 격침하라도 해주실수 있나요? 워낙 오래된 영화고 찾기도 힘든 영화라서요.

  • @somyul1104
    @somyul1104 Жыл бұрын

    진짜 멋있는 영화다....

  • @Enfermito
    @Enfermito Жыл бұрын

    내용 외적으로도 저 세상을 표현한 연출도 기발한건 인정해야함... 바보가 설계한듯한 말도 안 되는 건물들 모양, 발음이 줄줄 새는 나레이션, 그리고 장면마다 말하고자 하는 바를 천재적인 사물과 인물 배치, 그리고 상징으로 드러내는 게 맘에 듬. 그리고 바보들의 세상의 천재가 보는 세상의 칙칙한 색감까지. 장면마다 디테일이 있어서 재미있음.

  • @GloWonsiK
    @GloWonsiK Жыл бұрын

    평범이라는게 참 어려운거 같습니다.

  • @user-nv8ow8cg1l
    @user-nv8ow8cg1l Жыл бұрын

    좋은 영화 입니다

  • @user-gw2pg8tf9o
    @user-gw2pg8tf9o Жыл бұрын

    Danny Boy(머리 없는 나라의 머리 있는 남자 이야기)랑 같이 보면 좋은 작품이네요!

  • @user-cl9so9xy3l
    @user-cl9so9xy3l Жыл бұрын

    아.. 한국에서 거의 없는 이유는.. 그렇구나.. 생각해보면 우리 친가에 큰고모 두분도 장애를 가진건 알고있지만 장애에 대해 별 생각을 안했던지라 정확한 명칭을 물어보진 않았는데 다운증후군같네.. 돌아가신지 오랜데 영상보니 비슷해서. 나는 어릴때부터 장애에 대한 편견이 그리 없었던지라.. 사람들이 자신과 다름을 이해하고 어려움을 도와주되 차별하지않고 편견을 가지지 않았으면 좋겠다. 근데 장애를 가진 사람이라고 다 착한것도 아닌지라 저는 장애가 있든 없든 전부 똑같은 사람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장애인을 위한 활동이 돈낭비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장애는 선천적인 경우도 있지만 후천적인 경우도 많아요 사고로 인해 신체의 일부가 없어지거나 등등 장애를 위한 일은 자신 혹은 가족의 미래를 위한 어찌보면 투자의 일이기도 해요 우리가 언제 어떻게 장애를 가지게 될지 모르는 일이잖아요

  • @DogBarkingAtMoon

    @DogBarkingAtMoon

    Жыл бұрын

    자기는 편견이 없다면서 속마음으로는 자기 멋대로 장애가 있는 사람은 착해야한다고 정해놓고 그렇지 않은 장애인을보면 실망을 표하는 사람들 보면서 암걸릴것같던 순간 많았는데 정말 간결하게 그 응어릴 풀어주시네요… 이게 진짜로 편견없는거지

  • @GloWonsiK

    @GloWonsiK

    Жыл бұрын

    글 잘 읽었습니다 :D 멋진 마음과 생각을 갖고 계신 것 같습니다.

  • @user_Naeng-sue

    @user_Naeng-sue

    Жыл бұрын

    그까짓 투자마저 받지 못하는 사람이 많댔습니다. 소말리아는 도적질을 국가산업으로 정했고, 콜롬비아는 미국에 마약을 파는 일이 국가 산업이랬어요. 이런 나라에서는 장애 여부로 차이가 나기는 커녕 태어나는 족족 죽어나가서 고통받는다고 합니다. 먹을 것 없어 쓰레기통 안의 패티를 고급 재료로 취긎하는 이들을 외면한 채로 행복복지를 추구하는 모습이 참 모순적이에요

  • @kiwjang4
    @kiwjang47 ай бұрын

    예시가 너무 긍정적이라고 느껴집니다. 우리가 장애인분들을 꺼려하는 이유는 제어할 수 없는 행동으로 인한 사고발생이 꾸준히 일어나기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무작정 차별없는 시선으로 보기 쉽지 않죠 자신들이 불편하다고 일반 사람들에게도 불편함을 주는 일이 다반사이기 때문에 좀 어려운 주제 같네요

  • @sojungkwon8157
    @sojungkwon8157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영화로 보니 이해가 되네요

  • @021835
    @021835 Жыл бұрын

    남과 다름, 사회적 시선, 등등 많은 이야기들이 영화속에 있는데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나와 교감이 가능한 존재가 세상에 있느냐 인 것 같네요

  • @user-pn8li8bb5p
    @user-pn8li8bb5p Жыл бұрын

    07:47 다운증후군을 앓는 것이 아닌 다운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입니다.

  • @Mr.kim.7942
    @Mr.kim.7942 Жыл бұрын

    21번 염색체가 하나 없다는것에서 소름이 돋네요ㄷㄷ

  • @user-hy5xu5sk5u
    @user-hy5xu5sk5u Жыл бұрын

    단편영화 참 멋지네요.

  • @user-vd9uz9mz9u
    @user-vd9uz9mz9u Жыл бұрын

    좋은영화인것같네요

  • @JjingJjingfamily
    @JjingJjingfamily Жыл бұрын

    온 세상의 사람들이 장애인이라면 비장애인은 초능력자로 보여질 수 있지않을까요

  • @user-zo3pc2on5i
    @user-zo3pc2on5i Жыл бұрын

    일단 제목만 보면 모든 사람이 장애인이지만 나만 비장애인이면 내가 장애인인거지...

  • @JINRED5914

    @JINRED5914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

  • @JINRED5914

    @JINRED5914

    Жыл бұрын

    @@BCA-yb8tq 그건 너무 비장애인적 사고방식 아닌가요? 예를 들어 모든 사람들이 왼손엔 손가락6개 오른손에 손가락7개를 가지고 있는데 당신만 왼손,오른손 손가락 5개라면 당신이 장애아닐까요?

  • @bf0427

    @bf0427

    Жыл бұрын

    ​​​​@@JINRED5914 장애는 소수이면서 기능이 더 안 좋은걸 말하는거죠. 소수인 것만으로 장애가 되진 않습니다. 소수이면서 기능이 더 뛰어난 사람들은 천재라 부르고, 소수이면서 기능이 더 안 좋은 사람들을 우린 장애라고 부르죠. 말씀하신 손가락 개수 관련해서도 세상 모든 것들이 6개,7개 인 사람들 위주로 맞춰져 있기 때문에 5개인 사람들이 사회에서 기능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장애로 보는거죠. 말씀하신 손가락 개수는 비장애인이 장애인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 경우 지능, 달리기, 힘, 시력, 청력, 후각, 언어능력, 반응속도 등등 전부 비장애인이 장애인보다 기능이 뛰어나면 장애인 취급이 아닌 천재 취급을 받죠.

  • @o5s3i1
    @o5s3i1 Жыл бұрын

    앤딩이 행복해요~

  • @wbc9849
    @wbc9849 Жыл бұрын

    감동

  • @liiilllillilillli8076
    @liiilllillilillli8076 Жыл бұрын

    오히려 정상인의 우월함을더 드러낸것 같은 느낌인데...?

  • @abyssray
    @abyssray7 ай бұрын

    색맹은 붉은색 계열을 잘 못 보지만 대신에 같은 녹색 계열의 구분 능력이 뛰어나서 녹색 숲 속에 보호색으로 숨은 동물들을 더 잘 찾아낼 수 있었을거라고 하네요. 인류가 사냥만 하던 시절에는 색맹이 오히려 필요한 능력이었을지도 모른다고...

  • @user-oo2ch7wi7p
    @user-oo2ch7wi7p Жыл бұрын

    2:35 21번 염색체 3개면 다운증후군이고 2개가 정상인데 되게 디테일하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