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치 영화의 도입부 같아! 흥미진진해! ❤️‍🔥그림에 美친자

멤버십 회원은 라이브 풀영상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rockhekim
월요일 저녁 8시 라이브 그림방송
'좋아요'와 '댓글'은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구독'도 꾸욱!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슈룹 - • [사극 OST느낌 동양풍 음악] 슈룹 |...
[Video Source Support]
/ 쟈니클래스
자막: 나눔템플릿, 론자막연구소,편파디쟌

Пікірлер: 108

  • @kimchiyap6888
    @kimchiyap6888 Жыл бұрын

    영상요약:좋아하는 일이기에 하는거다 쉬운길만 찾고싶다면 포기해라

  • @user-gw9ey3ll1p
    @user-gw9ey3ll1p Жыл бұрын

    그림이라는 '결과론'에 매몰되면 AI 시대가 두려울 수 있죠. 그런데 반대로 생각해보면, '그리는 행위 그 자체'에 대한 가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림이란 사실 '표현에 대한 기술과 감성' 못지 않게 '그리는 행위의 감성'도 큰 몫을 차지할테니까요. 즉, AI시대가 오면 그림이 '결과물'로서 가치가 하락할지 몰라도, '그리는 행위에 대한 감성'이 더 커질 것 같기도 하네요. 이것이 '오리지널리티'로서 가치평가로 이어질지도 모르겠네요. 결과보다 '과정의 가치'가 더 커지는 시대로 말이죠. 기술은 기존산업의 거품을 꺼지게하지만, 본질은 죽이지 못하죠. 특히나 인간 본성이 담긴 '예술'은 말입니다. 과거도 그랬지만 미래도 '본질'은 여전히 그 가치를 가질 것이라 생각됩니다.

  • @user-zv6mb5sw2m

    @user-zv6mb5sw2m

    Жыл бұрын

    드로우홀릭이 딱 그 예시. 그리는 행위 그 자체에 가치가 매겨짐

  • @user-yy4ru8lh2o

    @user-yy4ru8lh2o

    8 ай бұрын

    그림은 본디 결과물로써 보여주고 증명하는 바닥 아니었나요

  • @user-yy4ru8lh2o

    @user-yy4ru8lh2o

    8 ай бұрын

    "본질" 이라.. 상업미술의 본질은 대중이 선호하는 보편적인 아름다움을 완성도있게 표현하는게 아니었나요?

  • @bae560
    @bae560 Жыл бұрын

    저는 웹디쪽 일을 하는데 예전엔 전공자만 하고 뭔가 범접할 수 없다고 치면 지금은 프로그램 같은게 잘 되어 있고 굳이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할 수 있게 됐고 프로그램만 잘 다루고 학습 열심히 하다보면 할 수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림쪽도 그런 대중화가 된거라 생각해요. 앞으로 그림뿐만 아니라 더 많은 직종들이 대중화가 될거 같아요. 이건 불공평해 하고 불만만 내비치면 뒤떨어져 가는거고 이걸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내다보면 또 나만의 재산이 될 수 있다 생각해요. 김락희님 방송에 저는 많은 대리만족을 느껴서 영상 자주 보는데 항상 좋은 말씀 많이 해주셔서 인생의 멘토같아요.

  • @oaeie
    @oaeie Жыл бұрын

    ai도 놀라운 일이었지만 문외한인 사람들이 그림쟁이들 조롱하고 신났던게 더 충격이긴 했음 그 모습이 안쓰러웠다고 하면 너무 성자 코스프레 같고.. 솔직히 한 명의 그림쟁이로서 기분 나빴음 자기들 열등감을 이런 식으로 표출하고 노력 안 한 인간들이 노력한 사람들을 깎아내리는게 짜증났음 과연 본인들이 손대는 분야에 ai가 들어왔을 때 누군가 똑같이 조롱한다면 반성이나 할까 궁금하기도 하지만 아무튼 꿈꾸는 그림쟁이들은 작은 소동으로 멘탈 한 번 단련했다고 생각하고 꾸준히 노력하는게 역시 최선인 것 같음 조롱하는 문외한들이 나타날 거라고 상상도 못했던 것처럼 창작자들의 길에 예상치 못한 행운이 찾아올지는 또 모르는 일이니까

  • @user-jz3ly5hn1g

    @user-jz3ly5hn1g

    Жыл бұрын

    너무 공감이네요.. 왜 그런 의견들을 보면서 기분이 나빴는지 이유를 알았어요...

  • @user-rl7if7gg5b

    @user-rl7if7gg5b

    Жыл бұрын

    ㅠㅠㅠ 위안받고 갑니다

  • @user-xd3xc9qm3h

    @user-xd3xc9qm3h

    Жыл бұрын

    말한번 예쁘게 하시네요.. 전 취미로 그림그리는거니 큰 타격이 없었지만 그림이 업인 친구들은 나쁜말때문에 상처 받기도 하더라구요. 암튼 좋은하루 보내세요.

  • @kimchiyap6888

    @kimchiyap6888

    Жыл бұрын

    솔직히 ai사태로 멘탈이 바사삭난 것도 크지만 조롱때문에 힘들어하는 사람들도 적지는 않을거같네요 좋은 글 잘봤습니다

  • @Chill-bp3lm

    @Chill-bp3lm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공감합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gz6ju7jg3v
    @user-gz6ju7jg3v Жыл бұрын

    엄청 현실적인 말들이네요! 앞으로도 그림공부를 열심히 해야겠네요! 오늘 영상도 재미있어용^^

  • @user-bu3rk3ns2m
    @user-bu3rk3ns2m Жыл бұрын

    요즘 핫한 주제를 영상으로도 만들어주셨네요... 시청 잘 하겠습니다

  • @user-ul3vr3kz2v
    @user-ul3vr3kz2v Жыл бұрын

    그치 그림의 근본은 나 자신의 만족에서 부터 시작하는 거니까요..

  • @nameless_789
    @nameless_789 Жыл бұрын

    댓글 안 달고 영상만 보던 사람인데 그림그리면서 작가님 영상 틀어놓으면 라디오 듣는 거 같기도 하고 도움도 돼고 너무 좋아요 흑륵 최고

  • @miraclekim1393
    @miraclekim1393 Жыл бұрын

    나도 그림좋아 하는데 역시 👍 잘보고갑니다 ㅎㅎ

  • @user-nx9jm1qo1w
    @user-nx9jm1qo1w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말해서 처음 봤을 때 펑펑 울었어요. 근데 그런 와중 저 자신한테 물어봤어요. 그래서 그림 안 그릴거야?... 그리고 제 대답은... 어... 아니? 였어요. 결국은 하고 싶기 때문에 하는 거기 때문에 어쩔 수 없더라고요.

  • @homemadein3348
    @homemadein3348 Жыл бұрын

    '어디까지가 창작의 영역인가?' 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던 방송이었습니다. 지금은 당연하게 쓰고있는 스케치업이나 클튜의 소재들이 모든 것을 직접 다 그렸던 세대가 봤을 땐 저걸 창작이라고 할 수 있을까 싶었을 것 같아요. 그 덕에 잘 그리는 수준의 연령대가 급격하게 낮아졌고요. 우리 다음 세대에는 ai가 그런 식으로 받아들여 질 것 같아요. 효울적인 도구로. 창작의 의미가 변해온 모든 시간 속에서 꿋꿋하게 자신의 가치관을 잃지 않고 그림을 그려오신 분의 말씀이기에 더욱 와닿습니다.

  • @user-bb1jc5ow4r

    @user-bb1jc5ow4r

    9 ай бұрын

    그림 못 그리는 사람은 죽어야돼.

  • @user-bk9qr7fh1k
    @user-bk9qr7fh1k Жыл бұрын

    40살에 다시 어릴적 꿈꾸던 만화를 촌구석에서 아이들이 배울수 있게 장소를 만들고 싶은 아저씨인데 만화를 우습게 보고 만화학원을 차린 미술학원들이 있더라구요 만화를 해본적이 없는 사람들이 강사를 하더라구요

  • @lapkim5315

    @lapkim5315

    Жыл бұрын

    서울에도 많습니다. 전공 이후 교육학 거치지 않고 소위 야매로 배워서 학원에서 학생들 이메레스 시키고, 인강도 인체 모르는 분들이 카피한 강의 올린거도 너무 많아요... 이런 변질된 현재의 그림시장의 모습 보면 ai가 출시한 이후 정말 실력자들만 살아남겠구나 싶습니다.

  • @user-bk9qr7fh1k

    @user-bk9qr7fh1k

    Жыл бұрын

    @@lapkim5315 직업적 소명의식이 사라지고 있어요

  • @user-bb1jc5ow4r

    @user-bb1jc5ow4r

    9 ай бұрын

    ​@@user-bk9qr7fh1k그림 못 그리는 사람은 죽어야돼.

  • @user-bk9qr7fh1k

    @user-bk9qr7fh1k

    9 ай бұрын

    @@user-bb1jc5ow4r 미친놈 아냐 그럼 너는 자키질을 잘하냐 몽키질을 잘하냐 그림 못그린다고 죽어야된다니

  • @user-kn5hh1lb9e
    @user-kn5hh1lb9e Жыл бұрын

    중요한건 꺾이지 않는 의지~!!!

  • @user-fn5bu2ms4r
    @user-fn5bu2ms4r Жыл бұрын

    어떤 분야든 정상에 계신 분들의 마인드, 세상을 대하는 태도, 자신만의 눈으로 세상을 읽어내는 통찰력에는 공통점들이 있네요. 그림과는 전혀 무관한 삶을 살고 있지만 많은 걸 배워갑니다 :)

  • @user-nr8qr2kz5m
    @user-nr8qr2kz5m Жыл бұрын

    저는 처음에 모작이 재밌어서 시작을 했습니다. 그림을 그리는 자체가 즐겁고 잘그리고 싶은 마음도 가지고 있습니다. 한편으론 나는 그림을 못그리는데 계속하는게 맞나 싶은 생각도 많습니다. 하지만 제가 처음으로 게임을 제외하고 재밌다고 느꼈던게 그림입니다. 아직 그림시작한지 1년도 안된 22살이지만 ai가 발전하더라도 그림을 포기하진 않을 겁니다. 좋은영상 너무 감사드립니다.

  • @limll3872
    @limll3872 Жыл бұрын

    제 인생 멘토십니다. 락희쌤처럼 예술적인 드로잉을 할 수 있을때까지 계속해서 열심히 정진하겠습니다.

  • @user-ic5tt6qc9r
    @user-ic5tt6qc9r Жыл бұрын

    제 실력이 모자란 탓인 것을 돈벌이가 시원치 않다는 이유로 그림을 그만두려고 했었습니다. 헌데 다시 마음을 다잡고 그림을 그리고자 하니 이제는 ai그림이 나와 꽤 절망스러웠어요. 처음엔 분명 혼란스러웠지만 결국 그 소식을 접해도 저는 계속 그림을 그리고 있더라고요. 저는 워낙 딱 떨어지고 정해진 것에 편안함을 느껴 그림도 항상 눈 각도, 얼굴 각도 러프 하나하나 그리며 그 각도에 맞춰 자로 잰 듯 그리는 스타일이 었습니다. 예쁘게 나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걸 깨닫지 못한 사람이었죠.애초에 그림은 제 적성과 너무 맞지 않는 겁니다. 그렇기에 힘들게 내려놓으며 적성에 맞는 캐드를 시작했었습니다. 하지만 공부를 할때 마다 아, 오늘은 시간이 좀 남으니까 그림을. 오늘은 이만큼만 공부하고 그림을. 공부를 해도 남는 시간마다 그림을 그리고 핑계를 대고 자꾸 그림을 그리는 시간이 더 많아졌습니다. 그제서야 깨달은거예요. 저는 그림을 놓을 수 없구나. 그래서 제가 미련이 다할 때 까진 그림을 그려야겠다고 다짐하고 그림에 전념하며 결과물에 뿌듯함을 느끼는 것이 아닌 선 하나하나 긋는것에, 색을 칠하는것에 즐거움을 느끼며 제가 이것이 즐겁기 떄문에 다른 공부를 한다해도 그림을 놓을 수 없다는 걸 깨달았었어요. 그렇기에 ai그림이 나와 절망스러웠던 것도 잠시였고 그래도 저는 제가 선 하나 긋는것에 더 즐거움을 느끼니까. 선생님이 이 영상에서 말씀하신 것 처럼 이렇게 선 하나 긋는것에 즐거움을 느끼는 사람들은 그래봤자 포기하지 못하고 계속 그림을 그린다는 사실에 엄청나게 공감을 했어요. 이제는 락희 선생님처럼 오히려 좀 기대가 돼요. 우리가 그림 실력이 상향평준화 될 수 있던건 그만큼 많은 그림 정보가 쏟아져 인풋이 많아 아웃풋이 많아 졌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렇기에 우리가 ai그림 마저도 인풋으로 써서 더 좋은 아웃풋을 만들어 낼 수 있지 않을까? 인간이 그릴 수 있는 그림의 한계는 어디일까? 하는 기대가 있어요. 이제는 ai가 그려주는데 뭐하러 그림을 그리냐는 말에 화나지 않아요. 선을 긋는것 자체가 즐거워서 그리는 것이라고 대답할 수 있으니까요. 누군가는 이 조차도 현실적이지 못하다고 비웃을지도 모르지만... 이제는 그런 말을 들어도 이 영상을 보았기에 멘탈이 덜 흔들릴 수 있을 것 같아요. 이렇게 확신을 가지고 있어도 멘탈이 좋은 편은 아니라 그런 말을 들었을 때 스트레스 받지 않는 건 아니었거든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dy1oz6yc9h
    @user-dy1oz6yc9h Жыл бұрын

    AI 나오던지 말던지... 그림을 좋아하시는 분들 과 그림을 사랑하고, 즐기면서 같이 그림 그리며 살아가렵니다. 😗

  • @user-ve7xq1uf5v
    @user-ve7xq1uf5v Жыл бұрын

    진짜 ai때문에 의욕 확 떨어졌는데.. 이 영상보고 제가 자본주의에 찌들었다는 걸 한 번 더 느끼는 것 같아요..ㅎㅎ 그림 자체에 대한 욕심을 가져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김사합니다, 갑자기 그림이 너무 그리고 싶어졌어요!

  • @user-kp5ww2we3e

    @user-kp5ww2we3e

    Жыл бұрын

    우와... 뭔가 댓글이 감동적이에요 특히 마지막 말..ㅠㅠ

  • @user-xn6ep9fy9y
    @user-xn6ep9fy9y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감사합니다...

  • @user-xn8fq1pl4c
    @user-xn8fq1pl4c Жыл бұрын

    14:55 조선시대 너무하신거 아니냐고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xb6ry8zt5m
    @user-xb6ry8zt5m Жыл бұрын

    당신이 최고입니다

  • @user-mc8hy4vu1k
    @user-mc8hy4vu1k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 @user-wi6bh5jr9s
    @user-wi6bh5jr9s Жыл бұрын

    ai 자체가 두렵다기보다는 그림 그리는 사람들을 고용하는 회사나 기업 같은 윗사람들이 무섭습니다 전문적인 인력은 필요로 하면서 돈은 적게 주고 싶어하고 한 사람에게 여럿이 해야 할 일을 몰빵시키는 둥 좋지 않은 기업의 횡포는 뉴스로 줄줄이 나오곤 했으니까요 본래 ai 그림은 어떤 목적으로 나왔는지는 알 수 없지만 파파고가 번역업계로 들어가면서 번역기를 통해 한 번 번역되었으니 일이 더 쉬워졌을거라 생각하고 임금을 후려치든 많은 양의 노동을 시키든 했던 것처럼 ai 역시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으리라는 생각은 들지 않아요 기술 자체가 문제인 게 아니라 그걸 이용하는 사람들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mjk-bu9pl
    @mjk-bu9pl Жыл бұрын

    ai에 어떤 그림을 어떻게 먹이느냐 어떤 권리를 지키고 어떤 행동을 처벌해야 하는가에 대한 저작권법은 확실히 나와줬으면 하는 바람은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현실적으로 해야하는 일에 대한 말씀 감사합니다. 그림그리러 가야겠어요......

  • @jaysplayground8445
    @jaysplayground8445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이 이제야 올라 오는군요....저 역시도 AI랑 놀지 않을듯 싶네요 모르겠습니다 아직은 그림으로 돈을 번다거나...뭐 그런쪽이 아니라 그런걸지도..... 하지만...그래서 인지는 몰라도 일단 성취감 때문 이라도 Ai하고는 놀지 않을듯 ㅋ 저번 영상에서도 언급 했듯이 저는 아직도 AI 서식지 싸이트도 한번 들어가 본적 없으며 그렇게 까지 관심도 나오지 않는군요 ㅋ 이히 ㅋ 모든분들~힘들 내세요~~ㅋ

  • @user-rc6lx2cq2i
    @user-rc6lx2cq2i Жыл бұрын

    음...솔직히 뭐 잘그리는 편이 아니여서 ai가 나와도 별 생각이 없었지만 이 영상을 보고 그림을 더 열심히 그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감사합니다!

  • @user-jr7tu8nj8j
    @user-jr7tu8nj8j Жыл бұрын

    AI고 뭐고 여러분들 하고 싶은 거 다 하세요!

  • @barkhan88
    @barkhan88 Жыл бұрын

    ai는 욕망이 없어요. 욕망 뿜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건 인간 뿐이에요.

  • @user-sx4mk9eb1u
    @user-sx4mk9eb1u Жыл бұрын

    Ai때문에현타가오는게아니라 그냥 그림그릴때 연필들면 자꾸현타오는데 이건어떻게해결하나요

  • @XxxxxX-fi4og
    @XxxxxX-fi4og Жыл бұрын

    16:10 듣고 정신이 확 들었습니다 ㅋㅋ

  • @user-vj8ub6ip9w
    @user-vj8ub6ip9w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그림 ai가 나왔을 때 정말 혁신적이다 라고 생각했었는데 ㅎㅎ 꿈이 웹툰작가인 만큼 제 그림체를 딥러닝 시켜서 더이상 어시의 도움 없이도 배경 작업이나 채색의 디테일을 올려주는 등 많은 부분에 도움을 주지 않을까...생각합니당

  • @nomisonai

    @nomisonai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좋겠지만 아무래도 AI가 그 수준에서 멈추지 않으니까 다들 이렇게까지 얘기중인거겠죠?ㅠㅠ 시나리오도 AI가 쓰기 시작했고 만화도 AI가 그리게 될 날이 머지 않았으니.. 물론 그런식으로 AI가 막 양산해낼수 있는 수준이 된다면 AI작품은 가치가 더 떨어질테지만 그건 나중얘기고 그림 그리는 사람들에겐 지금 빠르게 사람그림의 가치가 떨어지는 상황이 곤란할 뿐...

  • @user-yy4ru8lh2o

    @user-yy4ru8lh2o

    8 ай бұрын

    전문성이 사라진거죠 이제 아무나 창작의도만 있으면 작품제작이 가능 해지는거죠

  • @inkless533
    @inkless533 Жыл бұрын

    아직 잘 그리는 편은 아니지만 그림으로 먹고 살 생각을 하고 있던 사람입니다. 사실 제가 생각하는 방향성은 AI에 크게 상관 없는 방향이라 상관 안써도 되는데 괜히 신경쓰이고 불안하네요. 물론 락희쌤 말씀대로 저는 잘 그리는 것 자체에도 욕심이 있어서 그만두진 않을 것 같지만요...

  • @user-xj5bc3ld1g
    @user-xj5bc3ld1g Жыл бұрын

    앗아...

  • @user-rj6vz7jz5d
    @user-rj6vz7jz5d Жыл бұрын

    존나슬픈게 나중엔 웹툰자체도 스토리 입력한거 넣고 주인공 사진 넣고 돌리면 그냥 웹툰한권나올듯

  • @user-uf7ee1sb4u
    @user-uf7ee1sb4u Жыл бұрын

    ai가 발전해도 그걸로 작업시간이 단축된 만큼 더 퀄업을 하는 방향으로 바뀌지 않을까 합니다. 웹툰에 중요한 장면은 애니메이션을 넣는다던지 일러스트 기존에 라이브2d로 하던 걸 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으로 한다던지 배경을 진짜 디테일하게 한다던지

  • @Sanwool10238

    @Sanwool10238

    Жыл бұрын

    오오... 그렇네요

  • @drawingpatterns9929

    @drawingpatterns9929

    Жыл бұрын

    웹툰 부분 애니는 정말 보고 싶다

  • @Nec0rama
    @Nec0rama Жыл бұрын

    수십~~3~4일 밤새 그려서 많은 고퀄그림을 10분만에 10장씩 찍어내니까 답이 안나옴 // 그리고 ai 는 진화하고 있어서 사람을 훨 뛰어넘음

  • @user-yy4ru8lh2o
    @user-yy4ru8lh2o8 ай бұрын

    사는게 악몽같다 솔직히 나름 고등학교 대학교 이 길로 선택하고 살아왔는데

  • @user-yy4ru8lh2o

    @user-yy4ru8lh2o

    8 ай бұрын

    오늘도 밤 샜다 다른분들은 어떻게 사시나요 요새?

  • @user-yy4ru8lh2o

    @user-yy4ru8lh2o

    8 ай бұрын

    전여친이 나에게 했던말이 아직도 귀에 맴도는게, "너한테서는 미래가 보이지를 않는다" "네가 이렇게 될걸 예측을 했어야지"

  • @user-yy4ru8lh2o

    @user-yy4ru8lh2o

    8 ай бұрын

    어딜가서 이 얘기를 해야하나 일러레갤? ai그림채널? 방사? 애니고 동기들도 마찬가지로 모르겠단다

  • @user-yy4ru8lh2o

    @user-yy4ru8lh2o

    8 ай бұрын

    달리3 이 나오고 어도비 메타 마소 대기업에서 "일단 써라 저작권 문제생기면 다 책임지겠다" 일단 소잃고 외양간 고치려나 본데 법 윤리 퍽이나 지켜주겠다 헐리웃처럼 들고 일어나지 않는이상 아무도 안지켜준다

  • @user-yy4ru8lh2o

    @user-yy4ru8lh2o

    8 ай бұрын

    눈앞이 캄캄해서 도망칠곳을 둘러보니 다른곳들도 마찬가지네 그나마 명줄 길어보이는 곳들(의사 변호사 공대)은 이제와서 시작하기엔 갈길이 아득해보여

  • @jun8568
    @jun8568 Жыл бұрын

    예술분야는 ai가 가장 늦게 들어올거라했는데 지금 여기까지 왔네요. 근데 작가님 말처럼 두려워하거나 포기하시진 말길. 왜냐면 다른 분야는 ai침범이 더 심하면 심했지 덜하지는 않다는거죠. 이미 5년전? 쯤 이미 뉴스 기사를 ai가 쓴다는 기사도 있었고, 얼마전에 소설 신인 작가 공모전에 쳇gpt로 쓴 글들이 너무 많아 심사중단을 했던 일도 있었죠.. 다 헬입니다. 하지만 분명한건 과도기를 거쳐 언제 그랬냐는 듯이 또 일상화 될 것이라는 것.

  • @user-yy4ru8lh2o

    @user-yy4ru8lh2o

    8 ай бұрын

    간호는 언제쯤 먹힐까요? GPT 5 6 7 나오고 테슬라봇이 인간급으로 올라오고 인건비보다 싸질때쯤?

  • @user-xe1pe8ot2t
    @user-xe1pe8ot2t Жыл бұрын

    ai 기술은 그림프로그램에 있는 쓰리디 모델링이나 쓰리디 배경처럼 이용가능한 기술로써 쓰이지 않을까요? 오히려 더 발전하는 계기가 될거 같아 저는 좋은 부분이라고 생각해요.

  • @LunaGOM
    @LunaGOM Жыл бұрын

    반박시 님말이 맞고 그림쟁이는 아니라서 개인적인 생각임 이런상황이 혼파망스럽겠지만 이미 과거에 다 있던일임 사진기 처음 나왔을때도 그림계가 망한다 했지만 답을찾았고 사진이할수없는 초현실주의로 그리던가 반대로 사진과 같이 사실적이지만 사실적인 '그림'으로 극사실주의로 하던가했음 영상대로 결국엔 뭔가를 찾아내고 발전시켜 사람만의 무언가를 만들어낼것이고 그리고 처음에 그림이 좋아서 그린거지 처음부터 그림을 그려서 큰돈을 벌꺼야 하진 않았을거 아녀 걍하고싶은거 하면된다

  • @zu_u3675
    @zu_u36758 ай бұрын

    솔직히 ai때문에 그림시장 아예 망할 때 되면 다른 직업들도 ai때문에 비슷하게 망할거같은데 걍 지금당장 가장 최선을 다하는 게 맞는듯

  • @user-yy4ru8lh2o

    @user-yy4ru8lh2o

    8 ай бұрын

    의료계 법조계는 윤리적 책임소재도 있고 자기들끼리 뭉쳐서 방어하는 움직임이 적어도 그림쟁이들 보다는 강하리라 봅니다

  • @user-uu3no9ix7i
    @user-uu3no9ix7i Жыл бұрын

    좋은 도구가 생긴 느낌이라 좋더라고여 저는

  • @user-oy5mz6uk8f
    @user-oy5mz6uk8f Жыл бұрын

    그림 그리는 것을 업으로 삼아서 생각이 많아지네요, AI 그림이 미소녀나 요즘 트렌드에 맞게 나와서 그런지 화제가 되더군요 이미 AI의 그림 실력은 몇 년 전부터 높았고요 AI가 그림만 발달이 아니라 코딩, 채팅이나 검색 기능적인 면에도 다양하게 발달이 되어가고 있고 긍정적인 영향도 있을 거라 생각이 됩니다. 사진의 발명이 된 시대의 예술가들이 생각나네요

  • @user-bb1jc5ow4r

    @user-bb1jc5ow4r

    9 ай бұрын

    제2차 러다이트 운동

  • @user-yy4ru8lh2o

    @user-yy4ru8lh2o

    8 ай бұрын

    러다이트는 현실성없는 말장난에 불과하죠

  • @myourmother
    @myourmother Жыл бұрын

    예전 같았으면 자료 참고 많이 하면 뭐라 그랬잖아 근데 요즘은 그런 말 안하잖아 ㄹㅇ

  • @axis6755
    @axis6755 Жыл бұрын

    원하는 구도,포즈, 그림체 ai 로 넣고 돌려서 마음에 드는거 선택해서 리터칭해서 원하는 아웃풋을 만들어내는게 아마도 미래 일러레의 작업방식 아닐까요 작업 시간은 엄청나게 줄어들거 같네요

  • @Nec0rama

    @Nec0rama

    Жыл бұрын

    리터칭 조차 ai 에게 맡길걸요. 모든건 ai 툴을 더 잘다루는 사람이 이제 돈을 범

  • @user-zv6mb5sw2m

    @user-zv6mb5sw2m

    Жыл бұрын

    몇년 더 발전하면 리터칭 따위도 필요 없어지는 거지. AI를 도구라고 착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그냥 대체 되는 거임.

  • @axis6755

    @axis6755

    Жыл бұрын

    @@user-zv6mb5sw2m ai가 원신 캐릭터 같은거 창조해 낼 수 있다고 생각함? ai는 어디까지나 기존의 의상을 학습해서 표현하는거지 새로운 스타일의 캐릭터를 만드는건 인간의 영역임 아직까지 ai 그림의 한계는 웹소설 표지 팬아트 정도 , 어느정도 자료가 있는 옷을 표현하는것뿐 완전 새로운 개념의 의상 디자인은 만들지 못함 나도 Web ui , Lora , controlnet 같은거 쓰면서 ai 그림 많이 뽑아봐서 느낀거임

  • @user-zv6mb5sw2m

    @user-zv6mb5sw2m

    Жыл бұрын

    @@axis6755 알게떵

  • @user-qw9ex9sj7u
    @user-qw9ex9sj7u Жыл бұрын

    모든애니가 144프레임 QHD화 되겠죠

  • @Qwesesss
    @Qwesesss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전 사람들이 너무 오버한다고 생각해요. AI로 그린 그림, 그냥 이쁘장하고 신기해서 재밌어하는거지 대부분 다 구립니다. 결국 그 그림 속 스토리나 art direction이 없으니 그냥 한번 보고 쓱 지나갈? 그런 그림이죠. AI가 완전히 그림 그리는 사람을 대체할수 없다고 봅니다. 물론 당분간 특정 분야에서는 당분간 AI가 사람의 일자리를 뺏어갈 순 있겠죠. 사진기가 개발되고 초상화 전문 화가가 줄어든 것처럼요. 근데 그림 말고도 AI나 로봇 등등이 직업 이것저것 다 뺏어가고 있어요. 그림같은 창작 부분이 AI한테서 그나마 안전한 게 맞습니다. 사진기가 많이 발전했지만, 포토리얼리즘이라는 것도 있는데요 뭐. 어차피 지금 현재 나온는 Stable Diffusion같은 기술로는.. 사람의 인체, 투시도법... 등등을 이해 못하니 그냥 그럴듯하게 보이는, 정말 어디서 본 듯한 구도로 찍어내는 것밖에 못 합니다. 액션씬 같은데서 인삐 안 나오게 그리려면 현재 기술로는 한~참은 멀었어요. 소신발언 하자면 반-AI론자의 의견도... 다 동의는 안 합니다... 일각에선 AI 원리를 대충 뭉뚱그려 단순화해서 그냥 복붙이나 다름없다. 대충 짜집기만 하는 교묘한 카피머신이다라고 설명하거나, (논리적인 척 원리를 비정확하게 설명해서 그 부분만 정정해줘도 자기가 맞다 결국 짜집기다 라고 빡빡 우기는 걸 보는 뭔가 이공계쪽 사람으로선 보기 좀 많이 그래요.) 편가르기 하듯이 재미로 AI그림 해보려고 하는 사람들에게까지 눈치주고, "AI 그림을 하면 남들의 그림을 훔치는 것에 동조하는 것이니 당신을 존중할수 없다." 뭐 이런식으로...당연히 기계학습 시 그림을 그린 사람의 동의 없는 학습은 저작권 침해의 일종이다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싫어하는 것도 자유지요. 하지만 AI그림이나 AI 관련 사람들은 무조건 악으로 규정하는 건 솔직히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 기술을 이용해서 비상업적으로 활용하거나 어차피 기술 발전을 막을 수도 없으니 본인 그림그릴 때 활용을 시도를 해보고 싶을 사람들도 있을텐데... 이런 SNS에 떠도는 물타기로 엉엉 AI 때문에 그림계는 망했어~ 이렇게 생각할 필요도 그리고 그렇게 조롱당할 이유도 없어요. 어차피 미술의 본질은 안 변했어요.

  • @user-kb7jl9xc1o

    @user-kb7jl9xc1o

    Жыл бұрын

    스토리 있는 일러스트 잘 만들던데요? 소꿉친구 뭐시기

  • @Blqnt1029

    @Blqnt1029

    Жыл бұрын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정말 공감되는 말씀입니다.

  • @l_yc8756

    @l_yc8756

    Жыл бұрын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에겐 이런 생각은 불가능하겠죠. AI가 상용화 된다면 아마 많은 사람들이 AI관련 직종 사람들에게 분노를 돌릴겁니다. 그것도 기술 발전을 위해 받아들여야하는 흐름이죠. 기술발전을 위해 희생되는 사람들도 있는거니깐요

  • @inkless533
    @inkless533 Жыл бұрын

    아직 끝까지 보진 않았지만 AI가 그림을 잘 그린다고 해서 '취미로'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이 없어질까요? 그건 아니죠. 취미로 하기 위해서 학원(이나 원데이 클래스, 인터넷 강의 등)을 다니는 사람들은 여전히 있을 거에요. 뭔가 예시를 들고 싶은데 생각이 안나네... 12:21 아무래도 AI도 사람이 그린 그림을 통해 학습하니까 사람 이상의 그림은 나오지 않겠죠?

  • @slavtachankach3055
    @slavtachankach3055 Жыл бұрын

    내가 그림그리는것은 자유라고생각하지만 그림의 가치가 심하게 낮아지는게 굉장히 심적으로힘드네요

  • @mangomad73
    @mangomad73 Жыл бұрын

    어떤 산업이든 '예측(predict)'이랑 '적응(adaptive)'라는 알고리즘은 정확 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적응이라는 알고리즘만 해도 되먹임(feedback)이 필요하기에 어느정도 선행작업이 이루어져야 그 이후에 적응알고리즘이 정상 동작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그 정확도가 100%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100%에 '수렴'할 수 있도록 계속 '적응'할 뿐인것 같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통계를 통한 예측도, 과거 사례에 의한 예측도 100% 정확하다고 말 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선생님도 꽤나 조심스럽게 말씀을 하시는 것 같이 느껴집니다. 꽤나 부담이 되신것은 아닌지 모르겠네요. 민감한 주제에 대해 방송하고 영상 제작하느라 정말 고생많으셨습니다. 문화나 사회현상을 연구하는 분들도 리포트라던가 아니면 분석을 통해 향후 어떤 시장이 생성되고 무엇이 팔릴것인지 예측을 많이들 하십니다. 헌데 중요한 사실은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고민해야할 내용은 한가지다.' 라는 것 같습니다. [고객이 이것을 원하는가? 아닌가?] 고객이 원한다면, 수요가 생기고 그에맞는 공급역시 따라갈 것입니다. 물론, 수요/공급만으로 모든게 설명되는 것은 아니지만... AI의 그림 역시 공급이 먼저생겼든, 수요가 먼저생겼든 선생님 말씀대로 새로운 시장이 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현재의 화가는 무엇을 해야할까요...? 제 생각에는 '차별화'가 답인것 같습니다. 음... 예시가 조금 이상하기는 하겠지만, 종이와 연필을 두 사람에게 주고 그림을 그려서 판매해보라고 했다고 해보겠습니다. 한 사람은 정말 간단하게 별을 하나씩 1000장을 그려서 개당 500원에 팔았고, 다른사람은 정말 몇시간, 몇일을 들여서 한장의 무수한 별이 떠있는 밤하늘 일러스트를 그려서 10만원에 팔았다고 해보겠습니다.(당연히 둘 다 완판입니다~) 사는 사람 입장에서는 둘 다 별이 있는 그림입니다.(당연히 들어간 노력의 양이나 질은 다르겠지만...) 여기서 어떤 사람은 500원짜리 그림을 살것이고 어떤사람은 10만원짜리 그림을 살 수도 있을겁니다. 게다가 500원짜리든 10만원짜리든 구매한 사람은 본인이 생각하는 가격에의해 최대의 효용을 이끌어 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다음은? 500원짜리 그림으로 수익을 낸 화가는 생각할 수 있겠죠. 종이와 연필을 사서 이번에는 별과 달을 그려 1,500원에 팔아보자고. 그리고 10만원짜리 그림으로 수익을 낸 화가는 선생님 말씀대로 커미션이라는 시장을 개척 할 수 있습니다. 헌데 10만원짜리 그림을 그린 사람이 보기에는... 내가 한장을 판매할 동안 500원짜리 그림을 1000장이나 팔았으니 '내 그림은 인기가 없다.'고 생각해야 할까요? 아니면, 500원짜리라도 저것은 대량생산된 1000장이나 세상에 판매되어 있으니,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내 그림은 더 희소가치가 있어.'라고 생각해야할까요...? 전자의 경우라면, 다음에 시도하는 작품은 보다 간단하게 그려서 대량생산을 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을겁니다. 헌데 후자의 경우라면, 다음 그림은 자신이 보기에 더 고도화된 작품을 만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어느쪽도 마찬가지로 고객이 원하는 작품을 생산할 생각을 할것입니다. 그래야 팔릴테고, 자신이 자신의 그림에 대한 효용 또는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테니말입니다. 그러니 자신의 그림을 친구든 선생님이든 주변 누구든 좋아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분이 당신의 잠재적 고객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분들에게 적극적으로 피드벡을 받으시면서 자신의 고객이 사고싶어지는 그림을 열심히 그려나가시는게 바로 '차별화'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판매자분들은 그렇게 생각하실 수 있을 것 같아요. 개발자들도 종종 그렇게 생각하거든요... '열심히 만들어 줬더니, 메뉴얼도 읽지않고 지멋대로 쓰다가 막 고장내먹고는 개발자가 잘 못만든 탓이라고 한다.'고 말입니다. 이처럼 어떤 분들은 '그림도 모르는 것들이...', '저딴 싸구려 그림에 열광하다니, 멍청한것들...'이라고 생각 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 네, 맞는 말씀입니다. 취미로 하루에 한시간? 혹은 그보다 적은시간을 끄적이는 이놈같은 무지렁이는 그림에 대해 아무것도 모릅니다. 그리고 구매자의 일부는 그림에 현혹되어 충동적인 소비를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도 소비이고 그 충동을 이끌어낸 것은 화가의 능력입니다! 그런 소비자들과 생활전선에서 치열하게 그림에 목숨을 거시는 분들은 절대 같은 가치를 만들 수 없을거라고 저도 생각합니다. 헌데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 현업 화가분들이 이미 시장에서 무언가를 공급하고 계신다는 것이고 나아가 그것이 수요를 만들고 시장을 활성화 시키고 있다는 것 같습니다. 어떤 조직에 속해계시든, 아니면 개인이 프리렌서로 작업중이시든 시장에 뛰어든 화가분들은 이미 자신의 그림을 소비해 줄 주체와의 작은 시장을 만들고 계신겁니다. 이건 정말 굉장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 판 위에 계시는 분들이 제게는 굉장히 멋있고 아름다워 보여요. 시장이라는 판 위에서 춤을 추고 계시니까요! 아 물론, 시장에서 판매되는 그림은 락희 선생님의 말씀대로 구매주체가 원하는 그림일것입니다. 시장에서 가격을 형성하는 것은 원자재의 가격과 최종 결과물이 창출하는 가치를 기반으로 경제상황, 개인의 여건등 굉장히 많은 조건들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집니다. (이처럼 가격이 결정되는 과정은 더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이 들어가지만, 그것은 생략하겠습니다!!) 자신이 원치 않는 그림을, 나정도 되는 실력의 화가가, 이정도 돈때문에 이렇게 그리고 있다? 네, 충분히 그런 생각을 하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림 실력이요? 연습이요? 속된말로 그래도 사주는 사람 있고, 팔리면 그만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시장은 계속 변화합니다. 그 변화에 맞추어 그럼 '내 고객들은 이것을 원하는가? 아니면, 이런걸 원하는건가?'라고 생각한다면, 그리고 거기에 맞춰서 변화할 마음이 있고 그것을 두려워하지 않을 용기와 자신감이 있다면, AI같은것이 시장에 들어와도 크게 두려워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분명 '적응'하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이 어려운 것은 그 '적응'의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과정을 선생님 말씀대로 '노력'하고 준비한다면, 더 멋진 시장이 화가선생님들 앞에 열리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상론이라고 하면, 네, 맞습니다. 현실성이 좀 없게 읽힐 수 도 있습니다. 하지만, 화가선생님들은 비현실을 현실의 2D, 3D로 만들고 계시니 분명 이겨내실 것이라고 전 생각합니다. 멋진 아나토미선생님들 그리고 많은 화가분들! 힘내시길 바랍니다~ 여기까지 읽느라 고생많으셨고 좋은 주말 보내십시요!

  • @user-ut4jw4lx2h
    @user-ut4jw4lx2h Жыл бұрын

    카메라가 탄생했을 때 인간은 인상주의라는 새로운 길을 만들어냈습니다. 당시에는 카메라가 흑백이었기에 빛 자체를 탐구한 예술이 없었습니다. 이후 컬러 카메라가 등장했을 때 인간은 카툰이라는 새로운 길을 만들어냈습니다. 당시의 카메라는 카툰화 기능이 없었기에 현실과 완전히 멀리 있는 예술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지금 Ai그림이 탄생했습니다. 이제 기계가 현실과 완전히 멀리 있는 예술을 다룰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인간이 또다시 새로운 길을 찾을 시간입니다.

  • @user-zx5kk3dh3t
    @user-zx5kk3dh3t Жыл бұрын

    지금 노벨 ai는 배경도 그렇고 캐릭터 디테일도 스토리구상도 못해내기에 여전히 그냥 사람이 부분적으로 써먹어볼만한 툴일뿐이죠

  • @user-uf7ee1sb4u

    @user-uf7ee1sb4u

    Жыл бұрын

    부분적으로 써먹어볼려 했는데 배경도 너무 못그리고 캐릭터도 뻣뻣하고 매력없는 포즈만 취해서 아직까진 도구로 쓰기도 어렵네요ㅠㅠ 정적인 자세만 잘나오고 현재로썬 발전이 멀은 듯 합니다

  • @cinnamo4582

    @cinnamo4582

    Жыл бұрын

    곧 ai충들이 몰려와서 발작할 댓글입니다😂😂😂

  • @user-zx5kk3dh3t

    @user-zx5kk3dh3t

    Жыл бұрын

    @@user-uf7ee1sb4u 부족한점은 많아도 작업속도 자체가 인간이 따라갈게 아니라서 안쓸수는 없을듯

  • @YeoNl211

    @YeoNl211

    Жыл бұрын

    그림에는 정답이 없고, 또 사진기라는 존재가 있다 하더라도 지금 실사를 잘 그리는 영상들 보면 댓글에 이런거 왜 하냐, 사진보다 현실성 떨어진다 이런식으로 비아냥거리지는 않죠. 어떤 부분이든 원하는 대로 노력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노력이 결실을 맺을 때, 모조품이 있든, AI가 있든 사람들로부터 인정과 존경을 받을 수 있을거에요.

  • @kingh981

    @kingh981

    Жыл бұрын

    @@user-uf7ee1sb4u 지금은 어떤가요?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시나요?

  • @kikuchiHina
    @kikuchiHina Жыл бұрын

    글은 어찌될라나 그림은 사실 본격적으로 대기업등이 뛰어들면 지금 단점이라는 문제들은 어지간하면 다 정복할꺼같은데 시간문제 같고 글은 인간만큼 쓸수있을지 궁금하긴하네요

  • @user-yp9zz2zr1v

    @user-yp9zz2zr1v

    Жыл бұрын

    소설 ai는 진작 나왔던 걸로 알아요

  • @kimsungggillli

    @kimsungggillli

    Жыл бұрын

    Gpt4 나오면 금방 소설도 찍어낼거 같아요

  • @user-od7iw2ny1s
    @user-od7iw2ny1s Жыл бұрын

    쌤의 말씀하신 것처럼 자본주의 사회에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그것을 받아들이고 앞으로 나아갈것이냐, 머물러 있을것이냐는 결국 각자 본인의 선택이 아닐까..하는 생각입니다:)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 @makablack8892
    @makablack8892 Жыл бұрын

    뭐하러 그렇게 까지 하냐 누가 알아주냐? 내가 안다

  • @user-yy4ru8lh2o

    @user-yy4ru8lh2o

    8 ай бұрын

    미켈

  • @user-yy4ru8lh2o
    @user-yy4ru8lh2o8 ай бұрын

    그림체 로라파일이 144메가로 돌아 다니더군요 그거 일일히 잡아가지고 형에 처할수 있을까요? 그거 다 작가들 땀 시간 갈아만든거 아닌가요

  • @user-yy4ru8lh2o

    @user-yy4ru8lh2o

    8 ай бұрын

    음원 수익처럼 분배 되려나요? 상상만해도 한결 나아지는

  • @user-xq4tg5og8z
    @user-xq4tg5og8z Жыл бұрын

    웹툰 없을때 만화가들은 돈 많이벌려고 만화가 했나? 자기 재밌어서 했지 미래일은 모르는거니까 자기 하고 싶은거 하는게 맞는듯

  • @user-bb1jc5ow4r

    @user-bb1jc5ow4r

    9 ай бұрын

    그림 못 그리는 사람은 죽어야돼.

  • @cpa6375
    @cpa637510 ай бұрын

    연필을 깎아서 그림을 그리고 물감을 풀어서 오랫동안 작품을 만들어서 명성을 쌓았던 사람이 디지털 드로잉으로 그림을 그리려고 또는 활동을 하는 사람을 보는 것과 비슷한 논리 아닐까요? AI 기술 발전으로 예술의 분야에서 자신의 일자리를 빼앗길 염려를 하는 사람은 실력이 없는 사람입니다.

  • @user-yy4ru8lh2o

    @user-yy4ru8lh2o

    8 ай бұрын

    그게 그런식으로 단순하게 판단내릴게 아니라고 봅니다

  • @user-hd1lz7dh1h
    @user-hd1lz7dh1h Жыл бұрын

    아무리 ai더라도 태그를 넣는건 인간이니까 태그로 정의되지 못하는 걸 그리면 되면 경쟁력이 생기지 않을까요? 예를 들면 유니크함을 살려서 어떤 디자인에 보통 잘 섞이지 않는 요소를 섞어서 새로 디자인하는거죠. 이런 하나하나의 요소를 태그로 정의하는건 힘들지 않을까요?

  • @user-yy4ru8lh2o

    @user-yy4ru8lh2o

    8 ай бұрын

    그거의 끝이 순수/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