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벌 '제갈량'을 이기고 끝까지 살아남은 삼국지 최후의 주인공! '사마의'..!

Ойын-сауық

티빙에서 스트리밍 : tving.onelink.me/xHqC/30a78d6f
〈벌거벗은 세계사〉
[화] 밤 10:10 tvN 방송
#벌거벗은세계사 #은지원 #규현 #이혜성
#티빙에서스트리밍

Пікірлер: 291

  • @user-jl2ll1ow9i
    @user-jl2ll1ow9i5 ай бұрын

    너무 흥미진진합니다! 교수님 짱!!!😊❤

  • @user-dd3jn2tb9q
    @user-dd3jn2tb9q5 ай бұрын

    그래도 심국지 인물 중 유일하게 사마의 만이 후세에 큰 뜻이 있는 사람이라면 어떠한 어려움에도 포기하지 말고 노력하라는 취지의 말을 하였지요. 가장 위에 올라 갈려면 가장 밑에까지 가봐야한다고 했던가요. 저도 큰 격려를 얻고 있습니다.

  • @user-jt9em3oz6e

    @user-jt9em3oz6e

    3 ай бұрын

    근데.자식농사개망함

  • @drmtc4948

    @drmtc4948

    2 ай бұрын

    솔직히 21세기에 쓰마이배워서 뭐함 아스퍼거인들이 전 세계 부자 탑인 세상임

  • @user-is5ge8ul8j

    @user-is5ge8ul8j

    Ай бұрын

    ​@@user-jt9em3oz6e?? 자싟들은 훌륭했지

  • @oo0109

    @oo0109

    Ай бұрын

    ​@@user-jt9em3oz6e 자식농사는 잘했지 손자놈대부터 문제라 그렇지

  • @EmiyaMuljomda5o

    @EmiyaMuljomda5o

    Ай бұрын

    정사에 기록된 말인가요?

  • @user-yy1js5uf4j
    @user-yy1js5uf4j4 ай бұрын

    눈으로 보고 마음에 새기되 얼굴엔 드러내지마라 딱 사마의랑 잘어울리는 말이엇지 ㅋㅋ

  • @goahead.nextgen
    @goahead.nextgenАй бұрын

    센놈이 강한게 아니라 살아남는 놈이 강한거더라 -사마의

  • @user-vo4eq9oi5l
    @user-vo4eq9oi5l2 ай бұрын

    건강이 최고다

  • @user-rt2fr2pl3w
    @user-rt2fr2pl3wАй бұрын

    최고 연기를

  • @user-rt2fr2pl3w
    @user-rt2fr2pl3wАй бұрын

    맑은 날날벼락

  • @user-mx2em1kt4n
    @user-mx2em1kt4n5 ай бұрын

    사마염 사후 막장 팔왕의난... 5호16국 시대

  • @Sigorjabzong

    @Sigorjabzong

    Күн бұрын

    최전성기

  • @user-oj6kn1el7l
    @user-oj6kn1el7lАй бұрын

    제갈량은 사마의의 적수가 아니지요 국력으로보나 제갈량의 지략을 사마의는 꿰뚫고 있었지요 글구 일부러 지는척 한거지요 사마의는 너무 잘 나가면 조예의 시기로 죽을 운명 이란걸 알고있었지요

  • @user-ps3gi1qq7i
    @user-ps3gi1qq7i2 ай бұрын

    고구려를 괴롭히던 공손강을 제거해주고, 그의자손들은 팔왕의난으로 중국영토가 분리되어 혼란스러워지고, 결국 고구려가 영토확장할수있는 기회가 생겼음

  • @d_gomdol
    @d_gomdol29 күн бұрын

    제갈량은 뛰어난 정치가, 사마의는 뛰어난 책사였다고 함. 정사상으론 제갈량은 사마의한테 지략싸움은 게임이안되고 화친, 정치 등에 능했다고함

  • @user-lx1oe9mk2q
    @user-lx1oe9mk2q2 ай бұрын

    사마의 가 진짜 똑똑한 사람이네...

  • @batuu2601

    @batuu2601

    Ай бұрын

    문무를 겸비한 사마의

  • @user-pk9bh3zt4t
    @user-pk9bh3zt4tАй бұрын

    존버는 승리한다

  • @user-vg1zb3rs6x
    @user-vg1zb3rs6x5 ай бұрын

    사마의도 참 대단한 사람이긴 한데 말년에 고평릉 사변 일으킨 거랑 후손들의 뻘짓 때문에 저평가되는 경향이 있는 듯.

  • @user-vp5hw8mq1v

    @user-vp5hw8mq1v

    2 ай бұрын

    전 오히려 연의에서 고평가되었다 보는게 제갈량을 올려치면서 라이벌 구도로 사마의가 떡상한거 아닌가 싶긴합니다. 실질적으로 가정 전투는 장합이, 진창은 학소가, 그리고 관중지역은 이전부터 곽회가 계속해서 싸운이력이 있으니까요... 애초에 국력차이가 3배이상 나는시점에 공세도 아닌 수비를 하기에 훨씬 유리한구도니... 다만 조비가 진군을 시켜 구품관인을 시행한 시점에서 사대부가 득세하면서 종친인 조씨가 아닌 사마의가 사대부의 대표가 되면서 자연스레 떡상하고 조상이 10만을 촉한 정벌하겠다고 흥세산에 꼬라박은 시점부터 주도권을 확실하게 잡게 된거죠.

  • @user-tx5qf3dq8g
    @user-tx5qf3dq8g3 ай бұрын

    제갈공명 라이벌 사마위 최우에 승리 ~ 사마위 하지만 그 후손들은 으로 부터 혼돈의 시대가 시작

  • @user-pn8jr6dt3b
    @user-pn8jr6dt3b4 ай бұрын

    쓰마이..

  • @eralfeelgen1498

    @eralfeelgen1498

    Ай бұрын

    Feat. 조방~

  • @tv-qr1vu
    @tv-qr1vuАй бұрын

    명줄이 긴 것이 승부의 최대 갈림길이였군

  • @user-gg9mx7or6w
    @user-gg9mx7or6w16 күн бұрын

    수렴청정하겠네요

  • @h9981025
    @h99810252 ай бұрын

    삼국지의 승리자

  • @styracosaurusalbertensis
    @styracosaurusalbertensisАй бұрын

    21:59 실제론 의외로 정사에도 나옵니다

  • @user-tp1ev7qv4l
    @user-tp1ev7qv4l5 күн бұрын

    임용한 박사님께서 하신 말씀이 있지, 제갈량은 뛰어난 지략가나, 책사가 아니라, 행정능력이 탁월한 사람이라고 그 능력으로 촉을 재정비하고 북벌을 할 수 있었던 것뿐... 그리고 연의의 최대수혜자인 제갈량은 사마의 이전에도 주유의 압적도 대량으로 가로챈... ㅋㅋ

  • @K2sMeT
    @K2sMeT4 ай бұрын

    연의 때문에 촉이 과대평가 된 경향이 있죠. 사실 국력 차이는 위가 훨씬 앞선 상황이였음

  • @user-po7by7eb1x

    @user-po7by7eb1x

    Ай бұрын

    잘 몰라서 그런데 그럼 촉나라 제갈량의 위나라 정벌은 어떻게 이루어진거죠? 약국이.대국을 공격, 정벌을 하는건 쉽지 않을텐데

  • @K2sMeT

    @K2sMeT

    Ай бұрын

    @@user-po7by7eb1x 제갈량 북벌 말하는거? 그거 다 실패하지 않았음?

  • @user-vl5jn6gn3d

    @user-vl5jn6gn3d

    Ай бұрын

    @@user-po7by7eb1x 촉나라 땅이 수성에는 최고인 지역입니다 내부에서 배신 하지 않는 한 공격하기 쉽지 않는 지역이예요 실제 중국 서촉땅 보시면 방어에는 최강인데 그대신 반대로 공격하러 가기가 개빡센곳 그걸 제갈량이 한거죠 제갈량 입장에선 진출할려면 장안을 처야 중원 진출이 가능 자신의 군주였던 유비가 한나라 황실 회복 과 한을 위해 거병한인물이니 제갈량은 그 유지를 따르기 위해 한을 멸망시킨 위나라를 처야 함 위에 말씀 드린거처럼 진출지가 장안뿐이 없음 형주를 치러 가자니 그럼 손권이랑도 싸우게 됨 그리고 장안을 먹는다 해도 문제는 강족 (마초 고향쪽) 위험성 인재 부족 식량 공급 문제 병력 문제등 한계가 있음 그런데도 대부분 승리는 함 문제는 진출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그리고 중원 진출 잘될뻔 했는데 망친 애들이 있긴 했죠 이엄 . 무능한 유선 , 마속 등 유선은 그래도 제갈량 말이라도 잘 들었지 ㅋㅋㅋㅋㅋㅋㅋㅋ 심지어 위 칠려고 모와 놓은 군대 유비가 동생들 복수한다고 손권이랑 싸우나 갈아버리고 결론적으로 제갈량 입장에선 안할수가 없는 입장이였고 오나라 촉나라 위나라나 셋다 누굴 공격하기 어렵고 위 나라 강하다해도 촉이던 오던 공격 하면 두나라 연합 가능성이나 뒷지기 당할 가능성 큰데다가 위나라는 이민족에게 둘러싸여 있어요 심지어 고구려까지 있음

  • @user-tf2lw4nr8u

    @user-tf2lw4nr8u

    Ай бұрын

    ​@@user-po7by7eb1x실책이죠 그런데 제갈량의 잘못이라기보단 당시 촉의 입장에선 뭐라도 해야 하긴 했습니다

  • @sho4424

    @sho4424

    Ай бұрын

    @@user-po7by7eb1x 가만히 있으면 국력차이는 더 벌어지니까 조금이라도 차이가 적을 때 뭐라도 하자 였을겁니다. 위나라를 멸망시키진 못하더라도 최소한 영토의 일부라도 정복해서 반반이라도 가게 해놔야 후일을 도모할 수 있으니까요. 사실 촉나라가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면 오나라도 이에 맞춰서 위나라로 쳐들어가면 양면전쟁을 해야하는 위나라 입장에서 자칫하단 위태로워질 수 있는건데 촉오 동맹이 손발이 잘 안맞기도 했음.

  • @user-ys9ss7kw6c
    @user-ys9ss7kw6c14 күн бұрын

    최고 군사령관이 군량미를 태우러 왜감?

  • @user-wn6jw3tb2e

    @user-wn6jw3tb2e

    Күн бұрын

    소설이라

  • @user-ox1qm3os2j
    @user-ox1qm3os2j17 күн бұрын

    승자인줄 알았지만 최종 패자 팔왕의 난으로 사마씨들 간 서로 죽이다 패망

  • @naruhd
    @naruhd4 ай бұрын

    원래 사마의 형이 그렇게 잘나서 사마의는 기대주가 아니었는데…형이 급사해 나서게 됨😂

  • @user-mz5sg3bf3s
    @user-mz5sg3bf3sКүн бұрын

    책사라는 명칭이 가장 잘 어울리는 인물인 것 같다..

  • @user-gg9mx7or6w
    @user-gg9mx7or6w16 күн бұрын

    책사배틀이네요

  • @Yarorepapa
    @YarorepapaАй бұрын

    결국에 킹기는 갓마의

  • @user-yo6sy2kr1t
    @user-yo6sy2kr1t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지도자가 국민을 속이고 배신하면 참수해야 한다.

  • @picu3224
    @picu32242 ай бұрын

    그나저나 사마의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사뭇 비슷하네 가늘고 길게~ 기다림의 지혜인가

  • @user-nt5zg3cs5d

    @user-nt5zg3cs5d

    2 ай бұрын

    찐은 가후지 ㅋㅋ 진짜 그냥 가늘고 길게 ~ 감 ㅋㅋ 이에야스랑 사마의는 막판에 굵어짐

  • @HwangSimok

    @HwangSimok

    2 ай бұрын

    @@user-nt5zg3cs5d 그래서 어떻게보면 그 둘이 역사의 승자아님?ㅋㅋ 사마의라는 인물이 더 유명하잖아

  • @EmiyaMuljomda5o

    @EmiyaMuljomda5o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능글능글한 것도 비슷하네요

  • @user-rt2fr2pl3w
    @user-rt2fr2pl3wАй бұрын

    코끼리 🐘 👀 침꼴깍

  • @user-ik5mi5kf8h
    @user-ik5mi5kf8h26 күн бұрын

    삼국지의 최후승자 사마의

  • @happyhour2133
    @happyhour21332 ай бұрын

    아무리 제갈량위주의 소설을 쓰려해도 사마의가 끝까지 살아남았기 때문에 협곡에 갇혀 100%죽어야 되는 상황에서도 비가내려 기적적으로 살아날수 밖 에없는 결말로 이어지는군.

  • @user-zj7be9ck6z
    @user-zj7be9ck6zАй бұрын

  • @TV-pk2xj
    @TV-pk2xj2 ай бұрын

    제갈량과 관우, 장비 등은 과장된 인물로 보인다. 진짜 인물은 위나라에 많았고 다음으로 오나라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user-pp2sd5hk3q

    @user-pp2sd5hk3q

    2 ай бұрын

    애초에 연의가 실제 사건 천년 후에 쓰여진거라 진실은 오리무중

  • @user-bj2ho7he5m

    @user-bj2ho7he5m

    Ай бұрын

    집필한 작가가 정통성을 어디에 두는가에 따라 관점이 달라집니다.

  • @ksk4703

    @ksk4703

    Ай бұрын

    다른 시대에서 영광을 누렸던 몇몇 무패장군들에 비하면 평이 떨어지지만 관우 장비는 위, 오에서도 인정한 당대의 자타공인 최고의 장군이었음 둘 다 성격이 지랄맞아서 최후가 좋지 못한거지

  • @user-kn3we4ch6h

    @user-kn3we4ch6h

    14 күн бұрын

    사마의도 별수 없는게 자식들 잘못키워 역사상 가장짧은 왕조였다

  • @user-wf9sb8cr6x

    @user-wf9sb8cr6x

    8 күн бұрын

    아니지 아니지 애초에 명장들이 없었다면 삼국지가 형성된게 말이 안되고 작은 국력으로 오랜동안 버틴건 그들의 능력이 뒷받침 되었다는 증거지

  • @user-hj2cz3pf8e
    @user-hj2cz3pf8e13 күн бұрын

    패널들의 위치가 교수랑 혼동되서 누구를 집중해야 할지 모르겠어

  • @-tv3724
    @-tv37245 ай бұрын

    초인으로불리우는 세계최강 맨발의사나이 조승환이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 @tlsrldy1

    @tlsrldy1

    4 ай бұрын

    와 얼음위에 맨발로 4시간.. 대단하네 승환이

  • @user-or4ej6hx4o
    @user-or4ej6hx4oАй бұрын

    후대의 평가를 걱정할 사람이 저런짓을 하겠냐??

  • @yorshigol85
    @yorshigol85Ай бұрын

    제갈량을 박살낸 건 사마의가 아니라 사마의를 원격조종한 명제 조예임..

  • @84lanie77
    @84lanie774 ай бұрын

    상방곡전투는 실제로 없옸는데

  • @gloomyday4299

    @gloomyday4299

    2 ай бұрын

    14:47 그래서 소설이라고 영상에 나오는데요

  • @user-ik8sz5pe1z
    @user-ik8sz5pe1zАй бұрын

    상방곡에서 불에타죽을때 제갈량이 기후변화를 일으켜야 했다

  • @user-br9fx8kz4d

    @user-br9fx8kz4d

    22 күн бұрын

    동남풍.

  • @user-br9fx8kz4d

    @user-br9fx8kz4d

    22 күн бұрын

    상방곡밑에다. 수류탄. 세계. 던졎는데사마의가. 방탄복. 착용. 구조댓대. ㅎ ㅎ

  • @soongpark683
    @soongpark683Ай бұрын

    모면 해도 결국은 어차피 죽는데 연장이 아닌 협의에 뜻을 둬라

  • @user-ub5qg9bq7p
    @user-ub5qg9bq7pАй бұрын

    자기만 승리자짘ㅋㅋㅋ후손들 싹 다 흉노한테 뒤지는뎈ㅋㅋㅋ

  • @user-co3ee8xm9d
    @user-co3ee8xm9dАй бұрын

    저 시대에 화약이 있었다고? 흐음

  • @user-rt2fr2pl3w
    @user-rt2fr2pl3wАй бұрын

    쏙았찌

  • @user-dh2bh7sh1k
    @user-dh2bh7sh1k4 ай бұрын

    상방곡은 정사에는없는이야기아닌가?😢

  • @gloomyday4299

    @gloomyday4299

    2 ай бұрын

    14:47 영상에 소설이라고 설명하잖아요

  • @user-xh3go6ms8w
    @user-xh3go6ms8w2 ай бұрын

    팔왕의 난 딱대

  • @Sean-wn5dk
    @Sean-wn5dk7 күн бұрын

    대륙에있던 우리나라 3국이 왜 지도에 없나요? 서진이라는 나라이름처럼 동쪽엔 대륙 3국이있고 그 서쪽에 서진이 있지않았는지요?

  • @dubu6478
    @dubu64785 ай бұрын

    w o w

  • @skyclan
    @skyclan3 ай бұрын

    하지만 충신으로서는 사마의가 패배한게 맞음 그후에 진나라 개막장보면

  • @user-cr4hx8og6y
    @user-cr4hx8og6yАй бұрын

    상용부터 맥성까지 거리 서울에서 부산 거리라는데... 형주는 한 달만에 털렸고. 관우도 버프 너무 받은 듯.

  • @seulementlabi
    @seulementlabiКүн бұрын

    도대체 무핑 저 인간은 왜 초청한거냐 ㅋㅋㅋㅋㅋㅋ

  • @SamchunFC
    @SamchunFC2 сағат бұрын

    조조는 자기와 닮은 사마의를 유비는 제갈량을 등용했다. 사마씨는 조조의 후손을 참살했고, 제갈씨들은 끝까지 자기의 임무를 완수했다. 승리자가 중요한것이 아님. 결국 대의 명분이 없는 사마씨들은 자기들끼리 죽고 죽인 끝에 진시황 통일 이후 처음으로 하북을 잃어버림.

  • @drmtc4948
    @drmtc49482 ай бұрын

    한국에 제갈씨는 있는데 사마씨는 없는게 아쉽네 동진 망할때 배타지 ㅋㅋ

  • @user-dt2ys6nj1m
    @user-dt2ys6nj1m2 ай бұрын

    중간부터 자료화면 인물이 서로 뒤바뀌네요

  • @changmoungkim3035
    @changmoungkim3035Ай бұрын

    제갈량의 북벌이 실패만하다가 음평,무도두군을평정하고 후계자 강유를 얻은때도 있었음

  • @mini-ryan
    @mini-ryan4 ай бұрын

    망탁조의..

  • @SAVI-vw7qh
    @SAVI-vw7qh4 ай бұрын

    어릴때 연의 2~3번 읽었을때 ㅡ ,아~사마씨가 실제 삼국지 주연이었네,라고 생각들었음

  • @charmcharmee
    @charmcharmee4 ай бұрын

    무핑은 톡토로톡톡을 그 따위로 스토리 쓰면서 저기엔 왜 앉아있는거임?

  • @user-rt2fr2pl3w
    @user-rt2fr2pl3wАй бұрын

    어이구 속터져 지라라네

  • @batuu2601
    @batuu26015 ай бұрын

    사마팔달

  • @hollandholland9250
    @hollandholland92506 күн бұрын

    대중을 상대로 한 강연이라 소설이랑 정사를 섞어서 하는 건가요

  • @user-rt2fr2pl3w
    @user-rt2fr2pl3wАй бұрын

    ㅇ.씸,자제

  • @user-vu1er8bm2i
    @user-vu1er8bm2i2 ай бұрын

    죽은 제갈량이 산 사마의를 이겼다 라는 말은 나관중 이전에도 있던 일화라고 하는데 그걸 나관중 탓으로 돌리네요 그만큼 이 강의에 대한 신뢰성이 드러나는지 알 수 있음

  • @all-in4673
    @all-in4673Ай бұрын

    학생들 교육시키는 분위기!

  • @user-su7dl7wp6c
    @user-su7dl7wp6c5 ай бұрын

    만약에 사마의 없는 위나라 엿고 제갈량이 펄펄했으면 촉이 삼국통일 했을까

  • @user-vd2np1ec9i

    @user-vd2np1ec9i

    4 ай бұрын

    그래도 힘들었음....위나라엔 인재가 많았음. 실제로 사마의 이전에 조진과 장합, 이후에 곽회와 등애, 종회 등등.. 이미 위와 촉의 국력차이는 지금의 우리와 미국보다더 더 벌어져 있는 수준이라, 한 명의 영웅이 뒤집을만한 수준이 아니었음...

  • @user-wo4ul5ly7t

    @user-wo4ul5ly7t

    4 ай бұрын

    아니요. 위에 비하면 촉은 그냥 지방민 집단입니다.

  • @user-ko1di6np4p

    @user-ko1di6np4p

    4 ай бұрын

    난 어느정도 가능성 있다고 봄. 사마의란 걸출한 사람이 없었다는 이 전제 하나만 달라야함. 제갈량의 북벌을 막을 지략가의 부재, 조비의 능력 부족, 조씨 일가의 무능은 위나라의 좋은 인재의 적시적소 사용을 못하게 하는 요인으로 볼수있음. 그런 이점과 강유의 등장이 적절하게 이뤄진다면 어쩜 사례까진 가지 않을까 함. 물론 촉이 통일하지 못하고 삼국의 힘의 균형이 잘 맞아서 삼국시대가 좀더 오래 지속될수 있음. 또 실크로드 서량쪽을 차지한 촉한은 오히려 무역이점을취하여 더 부강해 질수도 있고 초한지 유방처럼 다시 중국을 호령할수도 있는 상상도 가능함 ㅋㅋ

  • @kjihun13

    @kjihun13

    3 ай бұрын

    기본적인 중원(중국 중심지역)을 다 차지한 위나라 vs 산간지역 촉나라 차이가 극심함 인구수는 4배 차이요 중원에 어지간한 인재들은 가문이 속한 지역에 충성해서 인재들 규모 차이도 어마무시함

  • @seank8050

    @seank8050

    2 ай бұрын

    항우의 진나라를 이긴 유방의 한나라가 촉에서 올라온걸 생각하면 아주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유비가 죽기전에 다음 세대를 이끌 인재들을 너무 날려먹었음

  • @user-mv4gn1hj7z
    @user-mv4gn1hj7zАй бұрын

    장량이 최고의 승자

  • @onmove1539
    @onmove15395 ай бұрын

    역적 사마씨는 갈기갈기 찢어야됨 명분없는 고평릉사변일으킴

  • @dk69kim29
    @dk69kim29Ай бұрын

    한국아들은 너무 소설 삼국지에 미쳐있음. 그게 뭐라고. 우리나라 삼국사도 그렇게 모르면서.

  • @user-rt2fr2pl3w
    @user-rt2fr2pl3wАй бұрын

    사마귀 밝아서 👀 밝아서 점안식 안하면 동부전선 아 네

  • @user-rt2fr2pl3w
    @user-rt2fr2pl3wАй бұрын

    하야부지 손바닥안

  • @user-qk7ei6gz4r
    @user-qk7ei6gz4rАй бұрын

    사마의는 제갈무후를 이기지 못했고 더 오래 살아 역적질을 했을뿐이기에 역사적 평가는 과부(곽태후)를 속이고 고아(조방)를 핍박했다는 것이지.

  • @user-bx6nk6ue8v
    @user-bx6nk6ue8v2 ай бұрын

    중국은 사마의 일본은 이에야스 대한민국은???

  • @jamespark1582
    @jamespark15822 ай бұрын

    제일 왼쪽 누구냐 이쁘네

  • @user-kt3oj9us1p

    @user-kt3oj9us1p

    2 ай бұрын

    이혜성

  • @h-3816
    @h-3816Ай бұрын

    난 왠지 현대 중국도 다시 한번 찢어질거라고 봐

  • @kspark5939
    @kspark5939Ай бұрын

    사공명주생중달 진짜중국어는 코메디네요. 알아서 그럴듯하게 해석해주네요. 죽은공명달린중달

  • @Cmk0201
    @Cmk020127 күн бұрын

    화약이 없던 시대인데 연의에선 화약으로 이길뻔한 ㅋㅋ

  • @user-pt5km8uz5f
    @user-pt5km8uz5fАй бұрын

    저 시대에는 화약이 없었던 것으로 압니다 서기 3세기에 해당하는 저때는 화약이 등장할래야 할 수없는 이른시기, 진수의 삼국지도 원본이 소실되고 남송시기 판본으로 화약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시기므로 당시 첨삭되거나 과장ㆍ왜곡됐을 것입니다ᆢ 이를 검증없이 삼국시대에 열병기 등장의 전초인 화약 사용을 검증ㆍ검토없이 언급하는 것은 학자로서 전문성이 의심스로운 부분입니다ᆢ 중국에서도 10세기 초 당나라 말에 초보적인 화약무기 흔적이 나타나다가 11세기인 송나라 시기에 가서야 본격적인 실전무기 사용된 것으로, 아무리 이른 시기라해도 당나라 초 8세기에야 문헌에 화약 발명흔적이 등장해요

  • @user-gf8bu7iw5m
    @user-gf8bu7iw5mАй бұрын

    최후의 승자 사마의, 그러나 그 후손들은 안습...........

  • @user-rt2fr2pl3w

    @user-rt2fr2pl3w

    Ай бұрын

    신의경지 하야부지 마으미야 아 네

  • @user-rt2fr2pl3w

    @user-rt2fr2pl3w

    Ай бұрын

    날고기는제주라도 하야부지 마으미야 아 네

  • @user-rt2fr2pl3w

    @user-rt2fr2pl3w

    Ай бұрын

    공명 하늘 은사마귈돕는다! 참기름 이아쉽다

  • @user-rt2fr2pl3w

    @user-rt2fr2pl3w

    Ай бұрын

    지략은공명도상위수준?인간한계 🐔 이

  • @user-rt2fr2pl3w

    @user-rt2fr2pl3w

    Ай бұрын

    하야부지 천안 신부 닭 🐔

  • @user-vg9cv6qh4h
    @user-vg9cv6qh4h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삼국지 속의 승자는 유선이라고 본다. 원래 바보 연기가 제일 힘들어..

  • @user-xk6qx2nq1p
    @user-xk6qx2nq1pАй бұрын

    😊 지구전의 대가 사마의. 😊 인생승자도 버틴자가 짱임

  • @youngone999
    @youngone9995 ай бұрын

    댓글이 거진 삐딱하네. 믿음을 깨고싶지 않은가봄. 하긴 정사가 옳다는 보장은 없으니까.

  • @user-rt2fr2pl3w
    @user-rt2fr2pl3wАй бұрын

    쏙고쏙이고그식끼덜

  • @Jr.Samchi-Jorim
    @Jr.Samchi-JorimАй бұрын

    연의는 그냥 연의로 보세요 애초에 소설로 쓴걸 왜 역사로 받아들이고 자꾸 사기네 거짓말이나 하셔들 ㅋㅋ

  • @lovematsu4
    @lovematsu4Ай бұрын

    시마이

  • @goindol-eu1yo
    @goindol-eu1yoАй бұрын

    (위.촉.오는 40년밖에 존속하지 못한 작은 나라들인거 아시나요?) 위.촉.오는 중국 서부지역에 잠시 있다 사라진 나라들이고, 중국 동부지역은 고구려,백제, 신라가 다스렸습니다.(영상의 그림 잘못됐습니다) (고려, 중국 동부를 다스린 나라) 한반도의 서경,개경은 가짜입니다. 1980년대까지 중국의 역사관은 중국 동부지역과 만주, 한반도를 동이문화권. 중국 서쪽지역을 한족문화권 중국 남부지역을 남만문화권. 이렇게 3개의 문화권으로 나뉘서 역사를 인식하고 학교에서 가르쳤습니다. 그러다가 1980년대 이후부터 동북공정이 시작되면서 중국 동부지역을 지배했던 고조선, 부여, 고구려,백제, 발해 역사를 중국역사로 편입해서 가르치고 있고, 전 세계의 주요도서관에 책을 배포해서 홍보하고 있습니다. 동이의 "이"자가 오랑캐의 뜻을 갖게 된건 불과 일제강점기 최근의 일입니다. "이"자의 초기 상형문자는 큰사람이라는 뜻입니다. 은(상)나라 시대에 동이족의 거주지는 산서성(태행산맥 지역), 하북지역(황하 이북), 산동지역, 절강성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동이족이라 하였으며, 고조선, 은나라, 고죽국도 동이족 국가였습니다. 후대에 당나라때 "구당서 기록"과 많은 중국의 정사기록에 따르면 ""동이는 고구려,백제,신라,왜국,일본은 동이족이다"" 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고조선의 주활동 무대는 산동지역 있었습니다. 중국측 사서기록에 산동에 "구이"(아홉개의 동이국가)가 있어 단군을 임금으로 추대하였다.라고 기록 부여는 대동시(북경 서북쪽)인근에, 고구려는 하북지역,산서성까지 백제는 산동과 요서지역 신라는 양자강 안휘성 유역, 우산국, 산동반도까지 다스렸습니다. (신당서,구당서,남제서,송서 기록) 그리고 유물론적으로 보면 중국 산동지역, 절강성지역, 하북지역, 만주, 한반도에 걸처 비파형청동검, 고인돌, 제기 등 같은 문화권을 형성했던 유물들이 또렷하게 중국 중.서부와는 구분되어 나타납니다. 그리고 동이가 한국인이 아니라고 주장하시면, 중국역사서인 구당서와 여러 중국사서 기록을 부정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당신은 고구려,백제,신라의 후손이 아닌것이 됩니다. !! 중국 동북공정에 동조하면서 역사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화교인가요? 혹시 중국인인가요? 남의 문화와 역사까지 빼앗아 자기들것인냥 포장하는 중국인들은 세계에서 가장 추악한 민족입니다. 중국역사를 공부하시면 알겠지만 중국 한족들의 역사는 동.북방 민족들에게 침략받은 역사밖엔 없습니다. 그러니까 몽골역사도 갖다붙이고, 여진족,선비족,거란족 역사까지 지들역사로 갖다붙이려고 하고 있습니다. 정말 추악한 민족임을 잊지말아야 합니다. 참고로 여진족 금나라를 세운 사람은 "신라인 김함보"입니다. 완안함보라고도 하지만, 왕실기록과 여러사서에는 "김"함보로 기록하고 있고, 신라말기, 왕건이 안휘성 인근의 경주를 본거지로 하고 있던 신라를 접수하고, 고려를 세울무렵. 이에 반대한 신라인 김함보가 여진(말갈)의 땅 완안부로 가서 금(김)나라를 건국합니다. 이때 말갈은 흑수말갈과 남말갈로 나뉘어져 있었는데, 흑수말갈의 위치는 대동시(북경 서북쪽) 인근 "흑수하"라는 강이 흐르는 지역에 있던 말갈입니다. 흑룡강성쪽이 아닙니다. 후금(청나라) 왕조의 성씨는 아이신교로 입니다. 즉 김씨 가계 라는 뜻입니다. 또한 초기 발해는 북경을 중심으로 나라를 건국했습니다. 이후 산동지역의 백제와 하북지역의 고구려가 망한후, 북경유역에 자리잡은 발해는 통일신라와 당의 공습으로 북경 유역을 빼앗기고 만주지역으로 이주하였다가 거란에 망하게 됩니다. 이후 중국 동부지역은 후삼국 시기가 도래하고, 절강성, 양자강 유역에서 왕건이 견훤을 수군으로 대파한 이후, 안휘성 인근 경주에 있던 신라는 왕건에 복속하게 되고, 중국 동부지역은 왕건의 고려가 시작하게 된것입니다. 최근 TV에서 방영된 "고려-거란 전쟁"의 무대는 한반도가 아니고, 서경(북경), 그 오른쪽에(개주, 개경), 태행산맥 인근의 흥화진, 안문관, 석문(석가장), 통주(북경 바로 아래)에서 치러진 전투입니다. 지금도, 그리고, 고지도에 그 지명들이 하북지역(황하이북)을 중심으로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한반도에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안나오죠! 이후 원나라의 중원 침략, 원이 고려에게 서안 인근의 황건적 토벌요청, 산동지역의 제주 삼별초 전쟁, 산동반도 아래 강화도 천도, 원의 북송점령, 다시 원나라의 퇴각, 농민반란으로 일어선 명나라의 북경유역 점령 등으로 고려 후기에 중국동부를 지배했던 고려는 심양, 만주, 한반도로 대거 이주하게 된것입니다. 여러분이 많이 보시는 위키백과 내용들은 사실과 다른 내용들이 많으며, 오히려 동북공정과 궤를같이하는 내용들이 대부분입니다. 꼭 걸러서 보시길 바랍니다(중국 동북공정 영향 받음) 진짜역사는 사서를 해석해서 확인해야 합니다.

  • @TheCwar111
    @TheCwar111Ай бұрын

    제갈량의 능력은 나관중의 작품.

  • @user-rt2fr2pl3w
    @user-rt2fr2pl3wАй бұрын

    하시리자바른데 맘대로 안된다니까

  • @user-rt2fr2pl3w
    @user-rt2fr2pl3wАй бұрын

    허공에

  • @shootingStar236
    @shootingStar2364 ай бұрын

    인생은 사마의 처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qe6bv3qj2i
    @user-qe6bv3qj2i20 күн бұрын

    남의땅 가지고 싸우노.. 동이의 후손이라는 흔적이 지워진 시대가 오지.. 시황제마저 단군제사로 황제라 고했건만..

  • @user-bb7kt5jd6x
    @user-bb7kt5jd6x3 ай бұрын

    아는분들은 아시겠지만 제갈량은 원래 군사적 전문가가 아닙니다 ; 내정 전문가죠 이릉전투에서 유비가 인재를 다 죽여버리는 바람에 인재가없어서 할수없이 제갈량이 승상에 오른거구요...사마의는 이미 그방면 전문가인데다 지역도 좋고.. 방어하는 입장이라.. 유리할수밖에...

  • @kjihun13

    @kjihun13

    3 ай бұрын

    이미 인구수(4배)+지역 차이에 모이는 인재의 수도 달랐는데 겨우 겨우 모은 인재에 군사 병량까지 다 소모했는데 공격하고 역으로 바로 멸망 안한게 대단함

  • @photo1864

    @photo1864

    2 ай бұрын

    사천성이 풍부한 농업 생산력과 천연의 요세라는 지형적 이점과 사천성 본토인과 이주민을 융합시킨 통치력으로 버틸 수 있었덙거죠

  • @turnofange

    @turnofange

    2 ай бұрын

    내정에 치중했던 제갈량이 직접 군을 이끌고 인적 물적 자원 다 부족한 상황에서 야전에서 사마의랑 2번 붙고 탈탈 털어버린 뒤에야 사마의가 존버 수비 들어간거에요 ㅡ_ㅡ

  • @user-cw5px8fl5x

    @user-cw5px8fl5x

    2 ай бұрын

    맞아요 저도 이렇게알고있어요

  • @luckyatm1968
    @luckyatm19683 ай бұрын

    전두광 양화와 같은 맥락이네

  • @user-rt2fr2pl3w
    @user-rt2fr2pl3wАй бұрын

    날알고적알고 알 유빙뭇환 돌다리오함마로두들겨보지

  • @user-nj9km3xe2i
    @user-nj9km3xe2iАй бұрын

    수명 차이로 이긴 게 이긴거냐???

  • @sandi579
    @sandi5795 ай бұрын

    정사도 아닌갈 막 얘기하네

  • @makiseify
    @makiseify17 күн бұрын

    참으로 아이러니 한 것이 위연의 자오곡 계책을 후세에 동진에서 써먹다가 실패했다는 점입니다.

  • @all-in4673
    @all-in4673Ай бұрын

    역사적사실을 굳이 소설화/상당히 헷갈려!!

  • @user-yj6el1or8c
    @user-yj6el1or8cАй бұрын

    진삼국무쌍 사마의는 왜 20대처럼 생김?

  • @luckyatm1968
    @luckyatm19683 ай бұрын

    역사를 소설로 배우면 안됨. 요즘은 역사를 영ㅇ화나 드라마로 배움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