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락에 절여진 뇌를, 회복하는 두 가지 방법 (배종빈 원장)

■ 오늘의 심리학자
서울더나은정신건강의학과의원 배종빈 원장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석박통합과정 수료
-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 국방부 26사단 정신건강반장
- 중앙치매센터 부센터장
저서 『생각의 배신』
■ 인터뷰 및 문의
nolsimpsy@gmail.com

Пікірлер: 22

  • @nolsim
    @nolsim29 күн бұрын

    📚배종빈 원장 『생각의 배신』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2779518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_ 신간 『양수인간』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2720649

  • @chamaemelumnobile
    @chamaemelumnobile22 күн бұрын

    중독을 불러오는 행위 1. 시각적 자극 - 무언가를 보는 행위 0:28 시각적 자극이 주는 행복의 실체 2:23 2. 억압된 욕망의 해소 3:30 3. 미루기 5:24 이 세 가지 행동을 계속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 6:52, 7:51 전전두엽 기능 저하 = 집중력, 무언가를 찾는 능력, 기억력 저하 (인지 기능 저하) 중독인지 아닌지 구분하는 방법 9:40, 10:21 중독에서 회복하려면 12:01 1. 쾌락에 노출되는 시간 제한하기 12:05 2. 잔잔한 자극에 집중하기 13:16 건강한 뇌를 만들기 위한 습관 14:16, 15:16 1. 특정 상황에서 특정 행동 반복하기 15:44 특정 상황은 구체적일수록 좋다 16:16 2. 적어도 2-3개월 꾸준히 반복하기 16:51 3. 책읽기 18:03 말씀도 너무 알아듣기 쉽게 잘해 주시고 예시도 재미있어서 몰입하면서 들었어요! 선생님이 내신 책도 곧 읽어보고 싶네요. 도움되는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

  • @user-cv2qp7bx5c
    @user-cv2qp7bx5c28 күн бұрын

    습관은 본능을 이긴다.. 습관을 생활화 하여.. 본능을 이김으로써 현실적인 삶 살아가겠습니다 늘~놀심응원 합니다.

  • @hayeonkim7838
    @hayeonkim783829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도움되는 영상 많이 감사합니다 ㅎㅎ

  • @plokij789
    @plokij78929 күн бұрын

    오 영화보듯이 책을 읽는다라.. 적용해볼게요!

  • @soo-pk6uq
    @soo-pk6uq29 күн бұрын

    생각의 배신 책도 내용이 알차고 좋았는게~ 적용할 부분 까지 잘 알려주셔서 좋네요!

  • @user-vt3fz5yw7p
    @user-vt3fz5yw7p29 күн бұрын

    운동하면 기분이 엄청나게 좋은데 왜 시작이 이리 힘든지 ㅡㅡ

  • @ip1780
    @ip178029 күн бұрын

    유익한 주제였어요, 감사합니다!!

  • @hikorea260
    @hikorea26029 күн бұрын

    정말 유익한 내용이네요😊

  • @user-li1id6oj7e
    @user-li1id6oj7e26 күн бұрын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꼭 읽을게요

  • @user-gv6qp5im2n
    @user-gv6qp5im2n26 күн бұрын

    두분의 책 주문합니다. 고맙습니다

  • @how5555
    @how555519 күн бұрын

    14:27 습관

  • @yonk4260
    @yonk426029 күн бұрын

    땡큐써 ㄹ❤

  • @jinji32
    @jinji3225 күн бұрын

    근데 ..얘기할때 저렇게 바라바주면 너무 기분좋을것 같다는 생각이 갑자기 들었어요😅😅

  • @cesaro6150
    @cesaro615029 күн бұрын

    아이들이 책 읽을 때 나오는 도파민과 뽀로로 볼 때 나오는 도파민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 @luluchacha_

    @luluchacha_

    29 күн бұрын

    책읽는건 잔잔한 자극 아닐까요? 뽀로로는 색깔도 알록달록하고 아이들 재미있게 만든거라 자극이 훨씬 강렬할 것 같네요

  • @secretview-td6wv

    @secretview-td6wv

    29 күн бұрын

    쉽게 얻는 도파민이 아닌, 예를 들어 운동으로 인한 도파민은 천천히 오르고 천천히 내려간다고 들었어요. 책ㅈ읽는것도 단순히 입력되는 시각적 자극보다 더 필요한 과정이 동반돼서 어렵게 얻은 도파민과 비슷하지 않을까요?

  • @user-du9li5ig6d

    @user-du9li5ig6d

    29 күн бұрын

    영어로 된 뽀로로도 있네요. 근데 출생원어민에겐 시각 도파민일 뿐 이겠지요.

  • @ChroIlo_

    @ChroIlo_

    28 күн бұрын

    책을 읽을 때 나오는 도파민은 중피질계 경로로 흐르기에 전전두피질에 도달합니다. 전전두 피질에 분포한 도파민 수용체는 변연계 피질에 분포되어 있는 수용체와는 다르게 도파민이 과다분비 되어도 억압하지 않기에 어떠한 부작용도 초래하지 않게 됩니다. 또한 책을 읽을 때에는 베르니케와 브로카 영역의 활성화와 전전두엽의 활성도가 증가하여 쉽게 말해 똑똑해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반면에 뽀로로같은 영상매체로 도파민을 얻을 경우 도파민은 중변연계 경로로 흐르게 되어 이러한 자극이 반복될 경우 수용체를 줄여 도파민 역치를 높이게 되어 중독,우울증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게 되며 변연계와 후두엽이 과활성화 되어 전전두엽,베르니케와 브로카 영역의 활성도가 떨어져 지속될 경우 뇌의 노화가 가속, 영상매체에 의존할 경우 파충류의 뇌구조와 흡사하게 변화하게 되며 어린아이일 경우 뇌기능이 저하된 채로 자랄 수 있습니다.

  • @user-rr2pz8ru8h
    @user-rr2pz8ru8h29 күн бұрын

    17:25

  • @user-qb2nd1zc8p
    @user-qb2nd1zc8p28 күн бұрын

    2:27

  • @vz5rg
    @vz5rg27 күн бұрын

    아.. 다 알겠는데 점점실천행지는게어렵네요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