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일은 나를 담는 그릇이다 | 장강명 소설가 |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제가 소설가가 되기 전에는 신문기자였고, 그 전에는 건설사 직원이었어요. 소설가는 저한테 마지막 직업일 것 같습니다. 어느 정도의 수입은 벌고 있고, 소설가로 인정도 받고 있습니다. 제가 쓰고 싶은 그런 글을 쓰고 있어요. 저한테는 딱 맞는 일인 것 같아요. 그렇게 퇴사를 두 번 하고 마지막 직업으로 도달하기까지 나름대로 배운 게 있는데요. 그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 이 강연은 경기도와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이 함께합니다. 경기도 평생학습포털 지식에서 더 많은 배움을 찾아보세요! ☞ www.gseek.kr
✻ 장강명 강연자의 강연 섭외는 이 링크로 문의주세요👉🏻 speaker.sebasi.co.kr/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bit.ly/2odEydm
📭 세바시 '인생질문 레터' 구독하기! 세바시 강연 콘텐츠를 월 2회 소개해드려요! 👉🏻 page.stibee.com/subscriptions...
⭐️ 세바시가 만든 배움 커뮤니티 플랫폼, 세바시랜드 ⭐️
지금 다운로드 하세요 👉🏻 sebasiland.page.link/KZread
✻ 세바시 홈페이지에서 강연회와 연사들의 다양한 강의를 만나보세요! 👉🏻 www.sebasi.co.kr
✻ 가장 빠른 세바시 강연회 신청 apply.sebasi.co.kr
✻ 세바시 대학에 입학하세요. 내일을 바꾸는 배움은 물론, 여러분도 스피치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 bit.ly/3rqQQiS
페이스북 페이지 | / sebasi15
인스타그램 | / sebasi15
카카오스토리 | story.kakao.com/ch/sebasi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 한국어 자막: 세바시 열린번역 크루 2기, 김진아 (himahima421@hotmail.com)
'열린번역 프로젝트'는 세바시의 좋은 강연을 외국어로 번역하여 세계로 알리는 프로젝트입니다. 세상을 바꾸는 의미있는 강연들을 세계인들에게 전하는 일을 통해 한국의 좋은 컨텐츠를 해외로 알리는 일에 동참할 수도 있고, 프로젝트를 함께하는 이들과의 네트워크의 일원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영어, 중국어, 일어, 불어 등 모든 언어로 참여가 가능하며, 번역이 힘든 경우 한글자막 작업에만 참여하시는 것도 큰 힘이 됩니다. 외국인의 경우 외국어 번역의 감수자로도 참여할 수 있습니다. 세바시의 강연을 세계로 알리는 '오픈번역 프로젝트'에 동참하세요!
Open Translation Project : Make this great speech with your Language with passionate Koreans!

Пікірлер: 84

  • @fruitgreen5256
    @fruitgreen5256 Жыл бұрын

    1 수입이 없으면 마음이 뒤틀린다. 본인은 괜찮아도 옆에서 불편한 존재가 된다. 2 잘하지 못하는 일을 오래하면 비굴해진다. 남들 인정도 필요하다. 그게 계속되면 자존감이 무너진다. 사람이 일을 하면서 유능감을 느껴야한다. 3 나를 담지 못하면 불행해지더라. 직업이라는 그릇을 통해서 세상을 만난다. 직업이 나라는 개성을 담을 수 있어야 한다. 1 생계 유지 가능한지 2 업계 평균 이상으로 잘할 수 있는 일인지 3 그 일이 나를 담을 수 있는 그릇인가 모든 직업 안에 지루한 부분이 있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직업을 바꿀 고민을 하는 건 남은 인생을 더 의미있게 보내려는 시작이다.

  • @yeonseochoi88

    @yeonseochoi88

    Жыл бұрын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sang72

    @ssang72

    Жыл бұрын

    오 요약 감사해요

  • @user-bu5qm2wt2b
    @user-bu5qm2wt2b Жыл бұрын

    생계유지는 중요합니다. 더불어 큰힘 안들이는데 남보다 잘하는일이 분명 있습니다. 그게 능력인겁니다. 나의 역량을 70%만 발휘해도 되는곳에서 일해야 한다는 글을 읽은적이 있습니다(게을리가 아님^^) 내 역량을 100이상을 발휘하는거 사실은 주변사람들의 여력을 빌리거나 힘들게 하는것이라는 것이였습니다. 인생은 어쩌면 나를 알아가다가 죽는과정인지도 모릅니다. 매일 내가 어떤 사람인지 질문하며 살아야겠습니다. 좋은강연 감사합니다^^장강명 믓찌다~~~

  • @pjs0864
    @pjs0864 Жыл бұрын

    거의 20년 전인가…서울지검에서 본 장강명 기자, 지금은 소설가 장강명 ㅋ 후자가 정말 더 잘 어울린다 … 행복해보이네!!!

  • @user-hv3it8bc5b
    @user-hv3it8bc5b Жыл бұрын

    천재 아니신가요? 와닿네요. 최소한의 생계유지, 평균이상 의 일 처리 자신, 나름 담을수 있는지

  • @ch-ed7217
    @ch-ed7217 Жыл бұрын

    유능감 정말 공감해요. 그런데 유능감도 느끼면서 나를 담는 일 찾기가 정말 너무 어렵습니다 ㅠㅠ저도 작가님과 비슷한 성향이에요 느리고, 혼자서 일하는거 좋아하고, 내가 만든것이 보여야 하고(개인적으로 이 성향으로 사는거 힘들다고 생각..ㅠㅠ) 어릴때 장래희망이 소설가였는데 어릴때 저는 알고 있었나봅니다. 어떤 직업이 맞을지..어렵네요..

  • @JieunleeMD

    @JieunleeMD

    Жыл бұрын

    지지 합니다❤ 꼭 꿈도 이루시고 생계도 다 잘 되시길, 님의 가족을 위해, 정말 바라고 기도합니다

  • @user-jv4wy3te4e
    @user-jv4wy3te4e Жыл бұрын

    정말 맞는 말씀이세요! 안정적이라고 남들이 좋은직장이라고 한다고 절대만족이없더라구요..내가생각하는 나와 실제 일을 하며 느끼는 내가 다르더라구요😂

  • @343peace27
    @343peace2729 күн бұрын

    정말 현실적인 조언입니다. 일이 적성에는 맞는데, 나머지 것들이 안맞아서 퇴사 고민중이었는데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 @user-vf4jh7jf8x
    @user-vf4jh7jf8x Жыл бұрын

    너무 너무 현실적인 말씀입니다 한 마디도 뺄 말씀이 없을 정도로 완전 빨려들어 들었습니다. 너무 공감합니다

  • @sebasi15

    @sebasi15

    Жыл бұрын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kellykim5613
    @kellykim5613 Жыл бұрын

    저도 후배들에게 하는 얘기가 연애든 일이든 많이 해봐야 안다...본인을 알게된다...해요. 작가님 강연 재밌게 잘 들었어요. 대화의 희열부터 팬이었어요❤

  • @user-lo2hc3jj8k

    @user-lo2hc3jj8k

    Жыл бұрын

    ‘제대로’ 하는 게 중요하죠. 횟수보다는. 그저 “많이 해봐야 안다”는 말, 정말 별로입니다.

  • @Joy-qv8og
    @Joy-qv8og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연 잘 봤습니다! 스스로 고민했던 부분이 정리가 된 거 같아요!!

  • @user-uy6nx1gx9d
    @user-uy6nx1gx9d Жыл бұрын

    저 오늘 마음이 너무 무거웠는데 강연 듣고 머리가 조금은 정리되었습니다. 작가님이 말씀해주신 3가지 곰곰이 생각해볼게요. 따뜻하지만 현실적인 정말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 @rachelkim8610
    @rachelkim8610 Жыл бұрын

    정말 너무 공감되오요 ㅠㅠ 대단한 경험인데 소소하게 풀어서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happi.S2
    @happi.S2 Жыл бұрын

    지금 현상황에 맞는 조언.위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th5qc8ir3o
    @user-th5qc8ir3o Жыл бұрын

    장강명 작가님 팬이에요. 작가님 강연 잘들었습니다. 좋은강연 고맙습니다

  • @littleforest2020
    @littleforest2020 Жыл бұрын

    정말 부러운 분…❤ 저도 비슷한 길을 걸어서 너무 위로가 되는 강의였어요…🎉😊 저는 하고 싶은 일을 찾아서 그래도 감사한 삶을 살고 있네요…^^ 모두 화이팅

  • @jolly9172
    @jolly9172 Жыл бұрын

    저는 제가 흥미 있는 일, 저와 잘 맞는 일을 십년 넘게 했다가 앞으로의 비전을 생각해서 목표와 계획을 바꿔 이번에 이직을 하게 됐습니다. 제가 했던 업무들과 다르고 생소한 부분들이 많아서 조건을 갖추기위해 죽어라 쫓아가고 있는데요. 확실히 모르는 일을 시작하니 많이 위축이 됩니다.ㅠㅠ 시간이 지나면서 적응을 할 것이고 능률이 오르겠지만 그 기간동안 겪을 일들이 솔직히 두렵습니다.~ 용기 얻으려고 강의들었는데 하아~ 강의내용과 반대상황이라... 악으로 깡으로 해보겠습니다.ㅜㅜ 어차피 1년뒤에 결과물이 어찌됐건 저에게는 좋은 경험일 것이고 없었던 기술이 추가는 되니까 전혀 손해는 없습니다. 도전하는 과정이 힘들뿐! 노력하시는 모든 분들 응원합니다. 모두 파이팅~^^

  • @ljy7465
    @ljy7465 Жыл бұрын

    장강명작가님 목소리 넘 좋아요~ 신뢰감을 주는 목소리😍 강연내용은 말해모해👍 작가님의 글도❤️

  • @user-up4id9zy4b
    @user-up4id9zy4b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도움이되서~~ 새로운 길을 찾아야 되군요

  • @user-tn4nc2lt2l
    @user-tn4nc2lt2l Жыл бұрын

    장강명 작가님 팬입니다.

  • @camillejang6289
    @camillejang6289 Жыл бұрын

    요즘 업에대한 고민이 많았는데 너무 공감됩니다... 기준을 잘 생각해서 업을 선택해야겠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드립니다

  • @user-js1lg3he9m
    @user-js1lg3he9m Жыл бұрын

    작가님 강연 회사에서도 듣고 또 듣네요. 항상 좋은 인사이트 재밌는 강의 감사합니다.

  • @hje5194
    @hje51945 ай бұрын

    메모하며 들었습니다. 하나하나 맘에 새기겠습니다. 감사해요 명강연

  • @osori4690
    @osori4690 Жыл бұрын

    어쩜 말하는것까지 매력적이시지? 진짜 제 이상형♥️

  • @fruitgreen5256
    @fruitgreen5256 Жыл бұрын

    내 안에 나를 찾는 건 정말 평생 끊임없이 해야하는 거네요😮

  • @sebasi15

    @sebasi15

    Жыл бұрын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svlee64
    @svlee64 Жыл бұрын

    짧았지만 충분히 공감되는 강연이었습니다.

  • @user-zz8ft6hq4r
    @user-zz8ft6hq4r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hf6ec4em3m
    @user-hf6ec4em3m Жыл бұрын

    장강명 소설가님의 직업에 대한 경험과 생각에 귀를 기울여 보며 위로와 힘과 전략도 얻어봅니다ㆍ 직업에 대한 고민이 자신에 대한 의심이나 위축이 아닌, 자신과 직업에 대한 출발선이 될수 있도록!

  • @Mia-fe1gk
    @Mia-fe1gk Жыл бұрын

    너무 공감합니다. 저도 좋아서 시작했던 일인데, 조금만 못 해도 엄청 자책하게 되고, 뭔가 계속 찔리는 기분이 들어서 잘하는 일을 하기 위해 관련 자격부터 얻기 위한 원점부터 시작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자신있는 일이라, 좋아하는 일을 하기 위한 만큼의 시기를 지나면 훨씬 잘 해낼 거라는 자신, 기대감이 들기에 당장은 원점이라도 버텨낼 수 있게 되네요. 지금이라도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하려 합니다.

  • @Lawreformisneeded
    @Lawreformisneeded Жыл бұрын

    이 말이 진리로 느껴져요 ㅎㅎㅎ

  • @friendlyfiresyeah
    @friendlyfiresyeah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vy3pc4zx7m
    @user-vy3pc4zx7m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 @mindsglee3320
    @mindsglee3320 Жыл бұрын

    작가님, 좋은 말씀 잘들었습니다 책 찾아보고 읽어보겠습니다💚

  • @sebasi15

    @sebasi15

    Жыл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nx1zv3fz4v
    @user-nx1zv3fz4v Жыл бұрын

    현실적이어서 좋네요~

  • @sebasi15

    @sebasi15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sollee9575
    @sollee9575 Жыл бұрын

    와 건설사에서 휙 바꿨네요 비슷한 생활에서 너무 와 닿아요

  • @user-hk3zr5xp9u
    @user-hk3zr5xp9u Жыл бұрын

    유익하네요

  • @inhwa_readingbook
    @inhwa_readingbook Жыл бұрын

    하고싶은 일과 할 수있는 일이 같다면 생각만해도 삶이 즐거워질것같네요~ 영상감사합니다! 👍

  • @andnoah
    @andnoah10 ай бұрын

    인생에 중요한 선택이 직업인거 같습니다... 행복한 직업선택을 위한 좋은 기준인것 같습니다

  • @youja_ssam
    @youja_ssam Жыл бұрын

    작가님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너무 재밌게 봤어요!!

  • @sebasi15

    @sebasi15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pj5jw2gu4b
    @user-pj5jw2gu4b Жыл бұрын

    장강명 작가님 만나서 반갑습니다 저도 글을 쓰고 싶어하는 사람인데 꿈과 현실 그 중간인 직업을 가지고 일하고 있어요 내가 하고 싶은 말만 하면 돈이 되지 않는다는 걸 알아서 그만두더라도 꼭 저만의 울림이 있는 글쓰기를 연습하고 확신이 생기면 그때 그만두려고해요 작가님의 강연으로 조금 더 깊게 제 퇴사를 잠시나마 미뤄두고 좀 더 숙고할 수 있을 거 같아요 고맙습니다!

  • @user-un1hb6vg4z
    @user-un1hb6vg4z Жыл бұрын

    읽어보고싶어요

  • @midasacipop9569
    @midasacipop9569 Жыл бұрын

    금융소득이 급여를 넘어선순간 정말 내가 하고싶은일을 하면서 살고있다 현재를 이뤄내기위해 정말 인생을 바쳤었다

  • @qaztrewqaz9960

    @qaztrewqaz9960

    Жыл бұрын

    꿀팁좀 공유해주세요. 어떻게 이루셨나요?

  • @mill9891

    @mill9891

    Жыл бұрын

    진짜 부러워요 정말

  • @user-dd1jz1hs9n

    @user-dd1jz1hs9n

    Жыл бұрын

    일단 자기 전문기술로 시드를 모아야하는거 아님? 뭘 이뤄 ㅋㅋㅋ개웃기네

  • @twou4851

    @twou4851

    Жыл бұрын

    자랑 잘들엇습니다

  • @user-bk1mm5ng5v

    @user-bk1mm5ng5v

    5 ай бұрын

    그 하고 싶은 일이 뭔가요?

  • @enklotr07
    @enklotr07 Жыл бұрын

    이직해본 사람 입장에서 너무 공감되는 내용이네요.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 @JieunleeMD
    @JieunleeMD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말씀, 뻔하지 않은 말씀 너무 너무 감사드립니다… 되새김질을 많이 하게 되는 말씀이네요.. 계속 보면서 저 자신에게 remind 를 해야겠어요…. future 강연/인터뷰 추천해도 될까요? 계속 일만 그리고 앞만 보고 달리던 제가 사표내고 얼마 안된 지금, 너무 감명깊게 읽은 책들이 있습니다. 정유선 교수님의 괜찮은 사람이 되고싶다. 하형석 님의 p31 (잠언31장). 김해영님의 네 인생이잖아. 이민 삶으로 고단하고 지친 분들에게, 남과 비교하느라 자존감이 바닥인 우리에게 참 따뜻하게 다가온 책들입니다. 이지은 드림

  • @user-xz3qy5br5o
    @user-xz3qy5br5o Жыл бұрын

    일의 본질 자체가 강제성을 포함하기에 내가 하기 싫어도 해야 되는 것이죠.. 그래서 어짜피 해야 한다면 나에게 맞는 일을 하는 것이 좋겠지만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해 도전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죠...

  • @user-ui3zc1fl9q
    @user-ui3zc1fl9q Жыл бұрын

    우연히 쇼츠 영상보다가 공감되어 풀영상까지 시청하게 되었는데요, 질문 한가지만 여쭤볼게요~ 혹시 직업 선택 기준 3가지를 모두 만족하는게 좋겠지만 두 가지만 충족되고 현재 상태에 만족을 한다면 괜찮을까요? 말씀하신 3가지를 모두 맞추긴 어려울꺼같아서요~ !

  • @yedamkim2374
    @yedamkim237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장강명 작가님. 예전 “책 읽어드립니다” 프로그램 애청자로 그때부터 작가님 팬이었습니다. 현재 취업준비 중에 주위와 비교하며 자존감도 많이 떨어지고 마음이 뒤틀린 상태였습니다. 그러던 중 작가님께서 해주신 조언들이 저 스스로를 다시 돌아보게 도와주고, 중구난방이었던 생각들이 많이 정리되었습니다. 너무 감사드립니다 😊 인상 좋으시고 생각 깊으시고 저랑 성향과 성격이 많이 비슷한 거 같아 예전부터 작가님을 저의 롤모델 중 한분으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항상 응원드리며 앞으로도 좋은 말씀 많이 들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 @empirecamping
    @empirecamping Жыл бұрын

    직업 어떻게 정해야 되는냐 퇴사2번 직업을 3번가져본 소설가 장강명 작가님 직업을 구하거나 바꿀때 꼭 따져봐야할 3가지 1.고정수입이 없으면 않된다. 2.잘하지 못하는일을 오래하면 비굴해진다.3.나를 담지못하는 그릇이 아니면 불행해진다. 강의 잘듣었습니다 직업을 구하거나 빠꿀계획이 있으신분들 응원드립니다 💜항상 응원드립니다💜 구독 ✅ 좋아요👍알림🔔꾸욱 👇 꾸욱 👇 눌러 주시는것은 기본입니다💜

  • @svlee64
    @svlee64 Жыл бұрын

    저랑 비슷한 과이신 것 같네요

  • @blainechoi3040
    @blainechoi3040 Жыл бұрын

    1.내가 생계유지 할 수 있느냐 2.내가 업계 평균 이상으로 잘 할 수 있는 일이냐 3.나를 담는 그릇이 될 수 있는 일이냐 / 저 역시도 주변에 보면 높은 연봉을 받고 정년이 보장된 직장이라 생각하는 곳을 사람들이 이직하거나 퇴사를 하는 지 생각해보게 되는데, 특히 나를 담는 그릇이 될 수 있는 일이 아니라 그만두지 않을까 합니다. 좋은 강연 감사 드립니다!

  • @ROWROLLIN
    @ROWROLLIN Жыл бұрын

    이름 자체가 소설 써야할 이름같다

  • @headnuclear

    @headnuclear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맞아요 소설가 이름에 어울려요 범상치 않고 주관이 있어보이는 느낌

  • @mjfov3265
    @mjfov32654 ай бұрын

    직업은 그릇. 나와 모양이 다른 그릇에서는 일이 아니라 살지도 못한다. 이제야 내가 어떤 모양인지 알았다. 나는 이 일과 맞지 않다.

  • @jiniqeee
    @jiniqeee Жыл бұрын

    2022년의 조세희 = 장강명.

  • @fdh4951
    @fdh4951 Жыл бұрын

    경험에서 우러나온 좋은 말쓰 감사합니다. 두고두고 되새기겠습니다. 생계유지, 유능감 느끼기, 내 성향과 맞는일 하기 그러고 보니 어떻든 간에 경제적 자유를 달성해두면 그 이후에는 유능감을 느끼면서 내 성향에 맞는 일을 골라서 할 수 있다는 뜻도 될 것 같습니다. ^^

  • @katelee7897
    @katelee7897 Жыл бұрын

    잘하는 일과 하고싶은 일이 없으면 어떻게하죠? 잘하거나 하고싶은 일이 있다면 벌써 했겠죠..둘다 없으니 살고싶지 않아요..미국에서처럼 잘하지 않아도 남들 눈치를 안보며 살고싶어요..

  • @headnuclear

    @headnuclear

    Жыл бұрын

    케이트님 미국은 무슨 일을 잘하지 않아도 남의 눈치를 안 볼 수 있나요??? 취미에만 국한해서 말씀하셨다면 이해가 가요......

  • @jeonga01

    @jeonga01

    Жыл бұрын

    맞음 잘하는 일과 하고싶은 일이 없으면 어떻게 하나..

  • @LILACPIANO

    @LILACPIANO

    Жыл бұрын

    어느 책에서 봤는데, 인간은 본래 욕망하는 동물이라고 계속 무언갈 하고싶어 하는데, 만약 아무것도 하고싶지 않다면 그건 너무 지쳐있어서 그런 거라고 쉼이 필요한 시기일 거라고 들었던 게 생각나네요. Kate lee님도 마음 깊은 곳에서는 원래 하고싶은 좋아하는 일이 있으셨을 것 같아요.. 아마 지금은 잠깐 지치신 게 아닐까요..? 응원드립니다

  • @user-cl6nm4dv7n
    @user-cl6nm4dv7n Жыл бұрын

    서울공대,한양공대 나와도 건설사 적응 ,유지, 성공 쉽지 않습니다 ~

  • @user-pb6es2xl2i
    @user-pb6es2xl2i Жыл бұрын

    건설사에서 몸노동(?)도 해 보셨나요, 장강명 작가님?

  • @user-re1vt9nb5k
    @user-re1vt9nb5k Жыл бұрын

    작가님의 3가지 직업선택기준 1. 생계유지는기본 최소한 먹고사는방편갖기 2. 평균이상능력보유 적성맞으나 속도.능률등에 즉,평균적유능감 3. 나를담을수있는 그릇인지 즉, 적성맞냐 ㅡㅡㅡ 제 기준 생각대로,뜻대로 파고파고 또파다보면 길이열린다 물론 인내동반필수... 뵤통기준하 선택했으면 끝까지 그길이진리이고 진리는다통한다 물론 이것저것할능력 있으면 많은경험도도움 진리발견위해 많은경험이라면 깊이들어가면 다 보이는세상발견.. 직업특성: 먹고사는방편, 그속에서 자아실현 끝 넘고민마세요 생각이현실이 되는이치이니까~@

  • @kimdongnam
    @kimdongnam Жыл бұрын

    일리는 있지만 모 절대적인 진리는 아니죠. 받아 쓸 정도로 필기의 가치가 있다고 느끼진 않았어요. 너무 당연한 이야기여서요. 더구나 저는 개인적으로 강연자에게 호감을 갖고 있기도 했지만 이제 소설가로서는 환상을 깨트리는 계기가 되었어요. 이런 이야기는 이미 우리 안에서 수도 없이 자신과 토론되고 경험된 언어들이에요. 너무 일반적이잖아요. 자신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여서 분노와 충격요법이 섞인듯 타이르고 가르치듯, 현실을 각성시키고 싶으셨다면 자신에게만 하셨음 더 좋았을 것 같아요. 혼자 읽을 수 있는 일기장에 쓸만한 이야기나 대학교 영화 동아리 단편영화의 소재가 될 현실과 꿈 사이의 괴리감과 갈등에 대한 현실의 언어를 저희가 소설가에게 기대하지는 않을 거에요. 직업 채널 강연에서도 들을 수 있는 이야기를 굳이 전업 소설가를 불러서 들어야 하는 걸까. 돈을 내고 이 사람이 쓴 글을 읽고 싶지는 않다는 느낌을 느꼈습니다. 직종을 바꿔서 하고 싶은 분야의 이직에 성공한 회사원이나 창업가의 강의였다면 그럭저럭 고개를 끄덕였겠지만 하필이면 직업이 그러셔서, 이렇게 강한 아쉬움을 좀 표현해도 될 것 같았습니다. 너무 담백하고 전형적이어서 아쉬워요. 기자처럼 말씀하시는 것 같기도 하고요. 소설가라면 좀 그 이상의 무언가를 보여 주실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끝까지 하면서 듣는데 그 이상의 이야기가 차올랐을 때 이런 강연을 하시면 훨씬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사촌동생에게 해주고 싶은 말을 대중강연에서 해도 물론 괜찮은 강의가 될 수 있지만 그만큼 또 평이하고 현실적인 이야기여서 흥미롭게 듣기는 아려울 것 같아요. 언론인처럼 말을 조리있게 잘 하시니까, 이제 문학가로서 바라보는 이야기를 제철 게살처럼 좀 토실토실하게 채워오시면 그때부터 듣는 것이 좋겠습니다.

  • @user-se1ic8hj9o

    @user-se1ic8hj9o

    Жыл бұрын

    학교인데 이사람 강연 듣고 필기하라는거 어이없음

  • @user-hq7nl9oz4v

    @user-hq7nl9oz4v

    5 ай бұрын

    왜 그렇게 화가나신지 이유를 모르겠네요.. 11개월이나 지났지만 장강명 작가가 남 피해주려고 한 강연도 아닌데 단지 본인이 생각하기에 ‘소설가 치고는 일반적이다’라는 이유로 이렇게 비난 받을 일인가 의문이 남습니다. ‘돈내고 이사람 책 읽고 싶지 않다는’ 의견을 보아 건전한 비판보다는 감정적인 비난에 가까워보여 글을 남깁니다.

  • @ROCK_godlife

    @ROCK_godlife

    5 ай бұрын

    ​@@user-hq7nl9oz4v 분명히 어떤 포인트에 긁히고 배알 꼴린 거죠. 아마 직장을 그만두고 싶은데 현실적인 이유들로 그러지 못한 경우가 아닐까 싶네요. 응원이나 해줍시다

  • @user-qh6kz8lv6i
    @user-qh6kz8lv6i Жыл бұрын

    정신차리라 소설가해가지고밥벌이되겠나

  • @user-zq9qr1cf4s

    @user-zq9qr1cf4s

    Жыл бұрын

    ? 하고있으신데ㅋㅋ

  • @chelseab7333

    @chelseab7333

    Жыл бұрын

    Shame on you. Please remind yourself what YOU'RE TALKING ABOUT, like your nick, mate!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