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역사스페셜 - 선각대사비의 증언, 궁예는 폭군인가

궁예는 신비로운 인물이다. 기록은 얼마 없고 그마저도 부정적인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 역사 속 궁예는 무고한 사람을 살해한 ‘미치광이 폭군’으로 그려진다. 하지만 궁예에 대한 기존의 학설을 뒤집는 단서가 발견됐다. 전라남도 강진 무위사에 세워진 선각대사비에는 베일에 싸인 궁예의 행적이 담겨 있다.
왕건의 지시로 선각대사 형미의 행적을 기록해 놓은 비문엔 ‘삼국사기’와 ‘고려사’로만 전해졌던 후삼국 통일과 고려 건국의 비화가 새겨져 있다. 비문에는 왕을 지칭하는 표현이 나오는데 금상과 대왕이다. 금상은 현재의 왕인 왕건을 가리키는 것인데 논란이 되고 있는 표현은 대왕이다. 그간 일반적으로 대왕을 왕건으로 해석해왔다. 그런데 목포대 최연식 교수가 이 해석을 뒤집었다.
대왕이 궁예를 가리킨다는 것이다. 비문에 따르면 대왕이 912년 나주를 공격했다고 한다. 비문의 또 다른 표현인 나주귀명도 이 해석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로써 왕건이 고려를 창건하는데 초석이 된 ‘912년 나주공략’은 궁예의 지휘 아래 이뤄졌음이 새롭게 밝혀졌다.
- 912년 나주 공략은 궁예가 주도했다
나주공략은 후삼국 통일의 핵심이다. 왕건은 912년 나주를 점령하고 이 성과를 기반으로 승승장구한다. 918년 마침내 궁예를 몰아내고 고려를 세운다. 나주 정벌은 곧 왕건의 정치, 군사적 역량을 의미한다.
그러나 선각대사비는 궁예가 직접 나주 경략을 지휘했다고 증언한다.
후삼국 통일의 주역이 바뀌는 셈이다. 당시 이미 한반도 중원을 차지한 궁예가 나주까지 손에 쥐면서 삼한의 절반을 장악하는 대업을 이룬 것이다.
- 궁예는 왜 미륵신앙과 관심법에 빠져들었나?
당시 선종의 고승 선각대사 형미는 궁예의 최측근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당나라에서 10년 간 유학하고 돌아온 선각대사를 눈여겨보고 그를 철원으로 초빙한다. 궁예가 후삼국시대 큰 사상적 영향을 미친 선종불교에 관심을 가졌다는 점 또한 이번에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왕건에 의해 자신의 입지가 흔들릴 것을 우려해 강력한 왕권을 추구했지만 이 과정에서 신하와 백성은 그에게 등을 돌린다.
궁예는 말년으로 갈수록 미륵신앙에 심취한다. 스스로 미륵불을 자처하며 관심법을 이용해 공포정치를 실시한다. 그리고 결국 자신의 부인과 두 아들을 살해하는 비극을 저지른다.
- ‘담대한 정복 군주’, 궁예의 재발견
궁예의 최후는 비참했다. 왕건에게 내몰리고 믿었던 부하들의 모반으로 끝내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려사’ 中 -“보리이삭을 훔쳐먹다 부양백성에게 살해되다.”
‘삼국사기’와 ‘고려사’는 왕건에 초점을 맞춘 역사서다. 때문에 궁예가 한반도의 중원을 차지하고 서남해 지역을 장악한 사실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궁예가 적어도 선각대사비에 따르면 고려 초까지는 ‘대왕’으로 인정받았다는 사실이다. 목포대 최연식 교수는 궁예의 업적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아 그를 대왕으로 존칭했다고 해석한다.
‘역사스페셜’은 이번 선각대사비문의 재해석을 통해 ‘폭군’이 아닌 ‘정복 군주’ 궁예를 재조명한다.
신역사스페셜 89회 - 선각대사비의 증언, 궁예는 폭군인가 (2011.11.24.방송)
history.kbs.co.kr/

Пікірлер: 1 500

  • @YogurtingMisono
    @YogurtingMisono4 жыл бұрын

    마스크도 안쓰고 기침 증상을 보이는 사람 바로 저세상으로 격리시키는 선견지명을 가짐.

  • @OYT0724

    @OYT0724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ig1ln5bb9s

    @user-ig1ln5bb9s

    4 жыл бұрын

    옴마니반메홈 옴마니반메홈..

  • @user-db2cc1eb8n

    @user-db2cc1eb8n

    4 жыл бұрын

    레알 보건복지군주

  • @castleh2372

    @castleh2372

    4 жыл бұрын

    보건국가를 꿈꾼 불교군주

  • @user-vj7qr5fo4s

    @user-vj7qr5fo4s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ㅆㅂ랄ㅋㅌㅌㅋㅋㅋ

  • @user-dj8vp8qn1b
    @user-dj8vp8qn1b3 жыл бұрын

    역사는 언제나 승자의 기록이었음을 항상 잊어선 안될것입니다.

  •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先覺대사비 👄 나주정벌 912년 👄 궁예는 이재 국방과학원 역사학자 입니다 고려시대를 준비한 대왕이요 비운의 신라왕자입니다 마진국 태봉국 철원군 월정역 비무장지대내 현존하다.

  • @kordsjeong

    @kordsjeong

    Жыл бұрын

    야사가 진짜 리얼에 가깝지... 역사는 가짜가 더 많아

  • @teemo6752

    @teemo6752

    Жыл бұрын

    @@user-wg3ul8tl4q 중국인이세요? 구글 번역 하셨어요?

  • @user-pu3gf6bf5z

    @user-pu3gf6bf5z

    Жыл бұрын

    @@teemo6752 노인네들이 저런식으로 복붙 많이 쓰심;;

  • @zsdaxc4567

    @zsdaxc4567

    7 ай бұрын

    광해 연산군도..

  • @Ttriple_III
    @Ttriple_III4 жыл бұрын

    일반인들에겐 잊혀질 수밖에 없는 인물인데 한 배우의 연기 때문에 기억되는 걸 보면, 김영철 연기가 엄청나긴 한 것 같다

  • @user-iw8wn7yw7k

    @user-iw8wn7yw7k

    3 жыл бұрын

    @@user-qd8ci2jo4c 신이옵니다 저언하!

  • @blacksmith1991

    @blacksmith1991

    3 жыл бұрын

    뎅겅!

  • @user-rs9jm4wp8f

    @user-rs9jm4wp8f

    3 жыл бұрын

    사딸라

  • @user-iw8wn7yw7k

    @user-iw8wn7yw7k

    3 жыл бұрын

    @@user-rs9jm4wp8f 1.5딸라로 살려 주시옵소서~~

  • @user-lx2bw7ws9m

    @user-lx2bw7ws9m

    3 жыл бұрын

    김영철 배우님의 연기도 연기지만 태조왕건이라는 드라마의 파급력이 어마어마했다고 할수있겠져

  • @ddgrm
    @ddgrm4 жыл бұрын

    저 태봉 왕궁터가 아직도 남아있는데 하필 군사분계선 한가운데 있어서 양측 모두 연구를 못하고 있는 실정이죠. 참 안타까운...

  • @user-yv1pk4mx9u

    @user-yv1pk4mx9u

    Жыл бұрын

    자네가연구를해보게 윤허하리니

  • @type0911

    @type0911

    6 ай бұрын

    일코 소름끼치네;

  • @user-wd6sq7wk2x
    @user-wd6sq7wk2x4 жыл бұрын

    이런 역사프로그램 정기적으로 해주세요!!

  • @user-gj2ss6qz4h

    @user-gj2ss6qz4h

    7 ай бұрын

    쓰잘때기없는 🤡 나와서 헛소리하는 방송말고...!🧐😎

  • @sjpark4237
    @sjpark42374 жыл бұрын

    역사는 승자에 의하여 기록된다.

  • @user-cx4oe1uo8j

    @user-cx4oe1uo8j

    4 жыл бұрын

    역사를 대하는 후대인들도 내가 승리자라는 가정하에 역사를 배우죠!

  • @user-dv5gq1ic7k

    @user-dv5gq1ic7k

    4 жыл бұрын

    @@user-cx4oe1uo8j !! 맞는 말씀입니다. 요즘에 교과서에서 배운 역사를 비판적인 사고로 다시 보고 있습니다.

  • @kk-di2qh

    @kk-di2qh

    4 жыл бұрын

    따라서 죽이되든 밥이되든 어떻게든 이기고 봐야되는겁니다. 개같이 벌어 정승 같이 쓰자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죠.

  • @smin838

    @smin838

    4 жыл бұрын

    그렇다고해서 패자가 실제로는 기록과 반대거나 다르다는 명확한것 역시 없죠 역사가 승자에 의해 기록되니까 [이러한 이러한 또다른 기록들로써 유추해보면 달랐을 가능성도 있을수있다] 라는것뿐이죠

  • @cdplay89

    @cdplay89

    4 жыл бұрын

    @@smin838 그런데 삼국지도 정사로는 유비욕을하죠 귀가커서 귀가 얇아 다른 사람말을 잘믿었다구요 그리고 제갈량도 게임과 연의와는 달리 무식한 전략을 구사 오히려 유선이 똑똑했고 전략도 잘세웠다는 설이 있지요 따라서 님 말대로 그시대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도 모른다는 것이죠

  • @tv-qg5qy
    @tv-qg5qy4 жыл бұрын

    궁예: 지금 누가 기침소리를 내었는가? 신하: 우한이옵니다.

  • @user-du1jj6tr8j

    @user-du1jj6tr8j

    4 жыл бұрын

    @@thsutleoek 중세 유럽에선 종교개혁.. 중세 조선에서 종교혁명 ...불교에서 유교로 바꾸버림 ..이런 종교혁명을 한나라는 역사이래 없었다

  • @nunupanties

    @nunupanties

    4 жыл бұрын

    바이러스와 함께 사람까지 죽임 ㄷㄷ

  • @jus4637

    @jus4637

    4 жыл бұрын

    ?? : 영균이는 들으라!, 저 자의 머릿속엔 우한이 가득~ 하다 그 마구니를 때려죽여라! ??? : 예 큰형님! ㅋ, 알겠습니다 큰형님! ㅋ, 이리와 이새끼야! 큰형님께서 지금 관심법으로 우한폐렴을 막고 계시는데 어디서 기침이야! 너 오늘한번 죽어봐라 이새꺄! 야! 만길이 관철이! 저새끼 당장 때려죽여!

  • @kimjuni

    @kimjuni

    4 жыл бұрын

    @@user-du1jj6tr8j 있음 아프칸텔레반 이란호메니이 등 이조는 쿠테타로 집권한 반동의 역사임

  • @guesswho9463

    @guesswho9463

    4 жыл бұрын

    관심법으로 보았는데 왜 물어

  • @user-si4qt2sq9h
    @user-si4qt2sq9h4 жыл бұрын

    왕건의 집정하에서 만들어진 선각비에 대왕이란 표현을 썼다는 것은 그 당시 백성들에게 존경 받는 왕이었다는 것을 알수가 있지 않는가. 궁예에 대하여 다른 시각으로의 대하드라마 같은것좀 나와봤으면 좋겠다.

  • @hwk6246
    @hwk62463 жыл бұрын

    실제로는 송악쪽 호족들과의 세력싸움에서 패해 쫓겨났다는게 정설이라고 할 수 있음. 개성에서 철원으로 수도를 옮기고 충청도 유민들을 철원으로 이주시킨것도 송악쪽 세력을 견제하기 위한 조치였다는게 역시 가장 설득력 있는 해석이고, 역사가 승자의 기록이라는 측면에서도 왕건의 정당성을 세우기 위해서 궁예를 폄훼했다는게 역시 합리적 추측이라 할 수 있음.

  • @ldy04271

    @ldy04271

    5 ай бұрын

    😊ㅔㅏㅏㅔㅓㅔ

  • @bombj01
    @bombj01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최초의 신도시를 건설한 분이셨구나..

  • @user-sm7lr1um2y
    @user-sm7lr1um2y4 жыл бұрын

    기침의 위험성을 천년전에 미리 인지하신 분!

  • @dabinchoi3746

    @dabinchoi3746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bbangsang382

    @bbangsang382

    4 жыл бұрын

    대박 ㅋㅋㅋㅋ

  • @jisuw2747

    @jisuw2747

    4 жыл бұрын

    중국은 황건적의 난 때 장각이 황천이 천하를 뒤 덮는다 라는 말로 현재의 미세먼지(?)를 예언하고, 궁예는 1000년 전에 현재 기침의 위험성을 미리 예견하고........ 그들은 도대체;;;;;;??

  • @jins8686

    @jins8686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kv2rc4xd8s

    @user-kv2rc4xd8s

    4 жыл бұрын

    미친ㅋㅋ

  • @user-gd1uy2ke8n
    @user-gd1uy2ke8n4 жыл бұрын

    44:20 "궁예를 일컫는 대왕 전주는 왕건을 표현하는 금상과 동급의 존칭으로 사용됐다. 비록 몰락했지만, 고려초까지 궁예는 왕건도 폄하하지 못하는 대왕이었던 것이다." 고려초까지만 해도 이러했던 궁예에 대해 고려 후기에는 폭군으로 묘사하고 낮춰부르는 등 그 평가와 대우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진 까닭은 왕건이 쿠데타를 정당화하기 위해 역사를 왜곡한 탓일 듯

  • @user-lp6ks2pk1b

    @user-lp6ks2pk1b

    4 ай бұрын

    오호. 궁예대왕이군요

  • @sleepingguy3148
    @sleepingguy31483 жыл бұрын

    34:44 ㄹㅇ 미륵이되버리심

  • @skyfotress5782
    @skyfotress57823 жыл бұрын

    역사채널 썸네일에까지 태조 왕건에 나온 장면이 쓰일 정도면 얼마나 임팩트가 큰 드라마였는지 알 수 있지

  • @khansteve9363
    @khansteve93634 жыл бұрын

    철원에 메르스나 코로나도 감히 넘볼 수 없는 보건국가를 만들려고 하였던 태봉군주 누구인가?

  • @karmaoo3865

    @karmaoo3865

    4 жыл бұрын

    북벌해서 대륙을 먹었으면 코로나도 없었을텐데 아쉬움

  • @wenmi7786
    @wenmi77864 жыл бұрын

    역사스페셜 새로 해도 될거 같은데..12년도까지 방영했는데 그 사이에 새로 발굴되거나 밝혀진 사실들로 해도 30작은 할 수 있을 거 같은데..(익산 쌍릉 주인이라던지..)

  • @ij9265

    @ij9265

    3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ㅠㅠ 부활했으면 ㅠㅠㅠ

  • @user-dh2wh6ig6s

    @user-dh2wh6ig6s

    3 жыл бұрын

    정말 바라는 바네요 ㅠㅠ 진짜 신선하고 흥미로운 주제 많이 했는데...

  • @user-nt5vl5eq9l
    @user-nt5vl5eq9l4 жыл бұрын

    역사는 승자의 기록

  • @user-yp8mk3ol3j
    @user-yp8mk3ol3j Жыл бұрын

    언제들어도.역사스폐셜은 최고의 프로.

  • @YogurtingMisono
    @YogurtingMisono4 жыл бұрын

    태봉 박물관 관람료 : 4달라

  • @Mars21483

    @Mars21483

    3 жыл бұрын

    ???: 4달라는 너무적소 4딸라로 합시다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3 жыл бұрын

    5000 원...

  • @user-dv6yx3ll4g

    @user-dv6yx3ll4g

    3 жыл бұрын

    사딸라는 4,568.84원입니다

  • @user-dv6yx3ll4g

    @user-dv6yx3ll4g

    3 жыл бұрын

    사달라

  • @user-fw7pd3nh2c

    @user-fw7pd3nh2c

    3 жыл бұрын

    태봉 박물관 오데 있나여?

  • @mcbts2
    @mcbts24 жыл бұрын

    궁예의 끝이 어땠는지는 그를 내친 왕건을 보면 알수 있을것네요. 역사에 유래없는 29명의 호족여인과 결혼을 한것을 보면 자신을 포함한 호족들의 쿠테타가 다시 벌어지는걸 두려워했던 왕건의 조금은 과한 행동이었을것 같습니다.

  • @user-vr5bd7jv1x

    @user-vr5bd7jv1x

    3 жыл бұрын

    그만큼 지지세력이 없었음

  • @user-sj5ki3hf8t

    @user-sj5ki3hf8t

    3 жыл бұрын

    그 때 당시에는 많은 유력 호족 가문과 혈연관계를 맺는 것이 필연적이었어요. 고려는 태조 당시 때만 해도 중앙집권체제가 아니라 호족 연합체 국가였기 때문에 호족들을 내 편으로 만들지 못하면 왕의 자리는 얼마든지 빼앗길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통일을 이루고 나서 왕건 사후에 자식들간의 왕권다툼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희생됐죠. 결과론적으로 보면 결국 왕건의 혼인정책은 큰 패착이었습니다.

  • @user-zq1ek8xl6h

    @user-zq1ek8xl6h

    2 жыл бұрын

    왕건은 제비의 시초인가요?

  • @jkkim5877

    @jkkim5877

    2 жыл бұрын

    @Mono Crom 조선도 쿠데타(위화도회군)로 시작해서 쿠데타(청일전쟁, 을미사변)로 망했죠.

  • @rusiferon

    @rusiferon

    Жыл бұрын

    @@jkkim5877 청일전쟁하고 을미사변이 쿠데타임? ㅡ.ㅡ거참....

  • @fresh-berry
    @fresh-berry4 жыл бұрын

    그냥 내 상상이지만 궁예 정책중에 반 호족적인게 많아서 왕건을 필두로 한 호족세력에게 축출된 것 같음. 너무 급진적이었던 거지.

  • @user-cx4oe1uo8j

    @user-cx4oe1uo8j

    4 жыл бұрын

    궁예는 아마 친호족적이진 않았나봅니다.태봉성의 규모를 봤을때 상당히 왕권이 강했던거 같고, 친호족적인 성향이진 않았을 것입니다. 그래서 호족에 의해서추대된 왕건이 호족의 힘에 의해 쿠테타가 성공했을것이고, 고려에 의해서 궁예의 혁명정신들은 폄하 되었을 것이란 추측을 해봅니다.

  • @user-dc7sj4sj4p

    @user-dc7sj4sj4p

    4 жыл бұрын

    왕권 강화가 호족 배척이죠,, 궁예 = 호족을 부하로 둠 왕건 = 호족의 사위 호족의 사병들 위력을 잘아는 이성계는,, 사병제도 금지시켜 왕권 강화,,,,,, 사병제도 인정하고 호족의 사위가 되엇지만 왕권을 제대로 확립못한 왕건보다,, 사병제도 인정하며 왕권이 더쎈 궁예가 훨씬 더 대단함

  • @kk-di2qh

    @kk-di2qh

    4 жыл бұрын

    다시 말해서 궁예의 철원 천도처럼 난세에 시달리던 자신의 부하와 백성들을 급진적으로 괴롭혔다는 거죠.

  • @user-cx4oe1uo8j

    @user-cx4oe1uo8j

    4 жыл бұрын

    @@kk-di2qh 철원으로의 천도는 나쁘지 않았다고 봅니다. 왕권강화를 위해선 호족의 힘을 빼야할 필요성을 느꼈을 것이고, 개성에 기반을 둔 호족세력의 힘을 빼기위해선 좋은 판단이었을 것입니다. 태조 이성계의 한양천도처럼 말입니다.또 철원평야의 광활함을 본다면 도읍지로 삼기엔 좋은곳입니다. 더불어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서 폭력적으로 정치를 한것이 문제였을 것입니다.

  • @kk-di2qh

    @kk-di2qh

    4 жыл бұрын

    @@user-cx4oe1uo8j 물론 님이 사례로 든 이성계의 한양천도처럼 정치공학적으로 일리는 있습니다만, 아직 세상이 평정되지도 않았는데 난세에 시달리던 백성들에게는 고된 중노동과 중과세에 시달렸던 것은 분명할테고 제가 지적하는 점도 그것입니다. 이 백성들에게 궁예는 갑자기 자신들의 왕이라고 나타나더니 중노역을 시키고 세금을 왕창 뜯어가던 말 그대로 폭군에 불과했겠죠. 조선시대 세종의 사군육진 개척과 하삼도 주민 강제이주는 분명 국가전략상 합리적인 결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만, 강제로 북방의 허허벌판으로 끌려가서 가족들이 떼로 죽어나가는 고통을 겪어야 했던 주민들 입장에서는 폭군일 수밖에 없는 것처럼 말이죠.

  • @user-km8mu4zv4c
    @user-km8mu4zv4c3 жыл бұрын

    궁예를 예기할때 단재 신채효선생이쓴 꿈하늘책을 보시면 일목대왕궁예편에서 신라왕자출생에서 성장 업적까지 잘나와 있습니다

  • @jeongobak2345
    @jeongobak23454 жыл бұрын

    잘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MegaAmoled
    @MegaAmoled4 жыл бұрын

    정치적으로 봐야합니다. 궁예는 일개 스님이 오로지 자신의 능력과 덕으로 사람들을 모으고 적들을 제압하며 일국을 건설한 영웅입니다. 그런 영웅이 갑자기 악당이 된다는건 사실 설득력이 없죠. 또 궁예 실각 후 많은 호족들이 반란을 일으키거나 백제로 귀순한게 어떻게 설명되려나요. 궁예는 왕권이 강한 중앙집권을 추구했고, 왕건은 호족들의 권한을 인정해주는 정치를 했습니다. 처음 궁예가 나라를 세울 때 왕건과 그를 따르는 패서호족들은 거대세력이었기에 궁예로서도 적대시하기보단 품어야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어쩄든 서로 정치적 계산이 맞았으니 후고구려가 성립되었겠죠. 하지만 당시의 정치를 조선시대처럼 중앙집권으로 생각하면 안되는게, 저때는 중앙정부의 힘이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호족들의 집합이었고 이는 왕건의 수십번의 결혼, 혜종의 약한 왕권 등이 보여줍니다. 즉 엄연히 언제든 배신과 분열이 일어날 수 있는 시대였고 왕이라 해봤자 호족의 힘이 강하다면 맘에 안들면 언제든 통수치고 죽이면 그만이었습니다. 그러나 궁예는 철원을 중심으로 거대한 세력을 형성해 이미 호족들이 맞설 수 없는 수준이 되었으니 일단 복종하되, 속으로는 자기 이익을 챙길 생각을 했겠죠. 궁예는 이처럼 따로 노는 호족들을 복종시키고 연맹 수준에서 중앙집권 국가로의 발전을 꾀했겠으나, 그간 자기 세력권에서 특권을 누려온 지방 호족들이 기득권을 포기할 리 만무했을겁니다. 이렇게 보면 궁예가 많은 사람들을 죽인 것도 일종의 정치적 숙청이었다고 생각해볼 수 있고, 연호 제정, 송악에서 철원으로의 천도도 일종의 정치적 싸움이었음을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왕건은 궁예 하에서도 세력을 계속 키우며 잠재적인 위협이 되어갔으니, 궁예는 친왕건 세력인 송악일대를 벗어나 철원일대의 자신의 지지세력을 중심으로 중앙집권을 추구하고자 한거죠. 왕건이 역모를 인정해서 궁예가 봐주고 살려줬다는 이야기도, 오히려 왕건의 세력이 너무 강대해져서 궁예가 컨트롤할 수 없었던 것이라 해석하는 분도 있더군요. 미륵 타령도 지금보면 허무맹랑하지만 당시의 기준에서는 왕권 강화를 위한 일종의 정신적 이념이었다 볼 수 있습니다. 자기 부인과 자식도 죽였다지만 좀만 생각해보면 왕인 궁예와 혼인관계를 맺을 집안이라면 당시엔 영향력있는 세력가였을 겁니다. 그런 집안이 궁예와 정치적 계산이 맞지 않다면 궁예라고 신검에게 쫓겨난 견훤 꼴 되지 말란 법이 없죠. 하지만 당연히 기득권이 우선인 호족들은 궁예의 이런 조치에 반발했을테고 자연히 궁예의 철원세력처럼 거대 정치 세력인 패서일대 호족의 맹주 왕건을 지지하게 되었을겁니다. 궁예를 실각시키고 친호족 성향의 왕건으로 갈아탄거죠. 그리고 수도도 다시 송악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즉 기득권을 포기하기 싫은 호족들과 중앙집권을 추구하는 궁예의 세력 다툼에서 궁예가 패배하고, 호족들은 대체제로 왕건을 택한겁니다. 철원도 안좋은 땅인 것처럼 여겨지지만 지금도 농사짓기 좋고 북과 남을 잇는 교통의 요지입니다.

  • @lunascape5289

    @lunascape5289

    4 жыл бұрын

    어떻게 설명되긴 건국폭군이 뭐 한둘인가? 스탈린 히틀러 챠우세스쿠 모택동 인류사에 한획을 그은 폭군들마다 추종자 수백만명씩 달고 있는건 뭐임? 호족들이야 지들의 정치적 이익에 따라서 얼마든지 배신때리지 그런 논리면 왕건 정권은 그런 영웅을 폭군으로 몰아 죽였는데 보복으로 1년도 못가서 무너졌어야지

  • @lunascape5289

    @lunascape5289

    4 жыл бұрын

    @louis a molang 냉정하게 생각했을 때 건국왕의 능력과 폭군이 되는 건 별개의 문제임. 역사상 수많은 건국폭군들이 있었고 그런 폭군에게도 정치적 이익 때문에 추종자가 있었고 궁예도 그 중 하나일 뿐임. 궁예가 폭군이라는 소리는 드라마 때문에 나온 게 아니라 드라마가 수백년간 내려왔던 폭군이라는 이미지를 잘 살렸을 뿐임. 요새 무슨 재평가랍시고 동탁같은 새끼도 개혁가니 뭐니 하면서 팔아먹으려 드는 인간들 많은데 한번만 다시 생각해보면 택도 없는 소리들임

  • @fossilfresh8995

    @fossilfresh8995

    4 жыл бұрын

    주원장(명 태조) ㅋㅋㅋㅋㅋㅋ

  • @user-zx2gv7be1s

    @user-zx2gv7be1s

    4 жыл бұрын

    대영웅이시죠 원래 기득권이 쓴 사서들은 거의 믿을수 없죠 ? 궁예보다 더 많이 죽인 임금도 많은데 다들 이긴군주는 떠받들죠

  • @g.cuvier

    @g.cuvier

    4 жыл бұрын

    북과 남??;;; 남과 북이라고 해야하는게 맞지 않나요...

  • @user-mo4xh7vo4l
    @user-mo4xh7vo4l3 жыл бұрын

    누가 기침 소리를 내었는가 그는 진정 미래를 구원할 미륵이었다

  • @TV-ph1tw
    @TV-ph1tw Жыл бұрын

    김영철 연기중 가장 인상적인 연기가 궁예 연기! 김영철 캐릭터에 딱맞는 역할!

  • @DIO-zr9oh
    @DIO-zr9oh2 жыл бұрын

    별다른 배경없이 손수 국가를 세워 연호도 정하고 천도를 위해 신도시까지 지어 고려의 기틀을 마련한 역대급 자수성가 대왕…. 그 잘나고 막강한 왕권에 겁을 먹은 호족들이 그를 끌어내리고 승자의 기록을 쓰지 않았을까…

  •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先覺대사비 👄 나주정벌 912년 👄 궁예는 이재 국방과학원 역사학자 입니다 고려시대를 준비한 대왕이요 비운의 신라왕자입니다 마진국 태봉국 철원군 월정역 비무장지대내 현존하다.

  •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파키스탄 🇵🇰 카슈미르 🇮🇳 1947년 분리 독립하다 인도는 러시아 🇷🇺 형제단團 둥굴레차 다 🇳🇵네팔 🇳🇵 국가는 인도 🇮🇳 형제단 입니다 중국 형제단들아 네팔 🇳🇵 건들지 마라 모디 총리 Make in India 🇮🇳 ♥️

  • @gomanaru222

    @gomanaru222

    Жыл бұрын

    궁예가 철원으로 천도를 결정한 후 송악, 패서등 왕건세력은 불만이 많았죠. 자기들이 궁예를 도와 고려를 세웠으니 자기들이 가장 대접을 받아야하는데 천도를 하게 되니 입지가 좁아지게 되었고 이에 불만을 품은 놈들이 모반을 일으킨 것.

  • @eatshowman538

    @eatshowman538

    Жыл бұрын

    별다른 배경없이 순수 나라를 일으킨 박정희. 나라의 경제를 위해 현대 삼성 포스코의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환경을 위해 나무까지 심은 애국대통령 … 그 잘난 대통령에 겁을 먹은 좌빨 세력들이 암살하고 역사를 호도한게 아닐까 … 그에 반해 나라성장시기에 농사짓자고 경부고속도로 반대하고 드러누운 매국노 김대중…

  • @user-yw3sw4qw2b

    @user-yw3sw4qw2b

    Жыл бұрын

    @@gomanaru222 나보고 철원으로 강제 이주시키면 왕건 편에 붙어서 반정 할거임 ㅇㅇ

  • @user-rp2ny5di5h
    @user-rp2ny5di5h3 жыл бұрын

    관심법으로 천년뒤를 보고 기침 한 자를 마구니라고 말한 그는 대체.....

  • @xelnagak3458
    @xelnagak34584 жыл бұрын

    중앙집권을 노렸다가 실패하면 승자들이 광증이니 폭군으로 몰고간것임. 고려때 비슷한 시도한 광종 역시 비슷한 이유로 폭군처럼 기술됨

  • @user-qz7cw7lz9b

    @user-qz7cw7lz9b

    4 жыл бұрын

    궁예가 무리하게 호족들의 힘을 빼앗고자 도성을 크게짓고 호족들의 힘을 서서히 약화시키려다가 화를당한케이스이죠

  • @dongseokShin

    @dongseokShin

    4 жыл бұрын

    @@user-uq7zi6up9p 민주주의시대의 중앙집권하고, 왕정시대의 중앙집권이 똑같냐 빙딱아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3 жыл бұрын

    @@dongseokShin 빙딱아 란 말만 빼고...

  • @user-yn8dw3or4d

    @user-yn8dw3or4d

    2 жыл бұрын

    이건 무슨 소리죠? 고려 광종이 왜 폭군입니까?

  • @mgj6977

    @mgj6977

    2 жыл бұрын

    @@user-yn8dw3or4d 최승로가 쓴 글때문인듯?

  • @victor45815
    @victor458154 жыл бұрын

    아나 역사 다큐하다가 음식 소개까지 하는 디테일한 센스 ㅋㅋ 역사저널 너무 좋아 짐처럼 세트에서 말장난 하지말고 현장 다큐로 다시 부활해 주세용 제발~~~~

  • @user-nq2vc2gc2l
    @user-nq2vc2gc2l4 жыл бұрын

    내가 보기엔 단순히 고려조의 기록이 아니더라도 남아있는 민간의 이야기나 기록으로 봐서 궁예가 정치를 잘못했던 건 분명히 맞지만 드라마에서 처럼 그게 정말 미쳐서가 아니라 왕권 강화와 같은 정치적 목적이었고 그런 시도가 실패하면서 당연히 궁예가 나라를 잘못 이끌어 간다고 비춰지고 있었고 관심법이라는 것도 왕권에 위협이 될만한 자들을 솎아내려는 방법으로 보임 드라마 처럼 정말 궁예가 미쳐서 본인을 미륵으로 자처하고 관심법이란 병크를 터트린게 아니라 왕건의 쿠데타도 왕건 만큼은 건드리지 않았던 궁예가 왕건의 세력이 커지자 이에 위협을 느끼고 왕건도 제거하려던 찰나에 왕건이 선수를 친 것이고 즉 드라마 처럼 왕건이 측근에 의해 추대 된 것이 아니라 크게 신임받고 호족세력 1인자인 왕건마저 제거하려는 낌새가 보이자 덩달아 위협을 느낀 주변 호족들 측근들을 모아서 왕건이 직접 주도 했을 거라 생각함 아니면 반대로 측근들이 주도했고 왕건이 후에 참여했거나 왕건 즉위 이후에 일어난 궁예 지지세력의 반란만 보더라도 궁예에 직접적인 위험이 없는 지방 세력들이죠 김순식 이흔암 등등 이것만 봐도 중앙에서 위협을 느낀 왕건과 그 주변 측근의 선쿠테다로 보여집니다 조선이 고려를 멸망하고 우왕이 신돈의 아들이라는 주장을 한 것도 고려의 정통성을 무너뜨리려는 조선의 날조로 보기도 하는 등 새국가를 세울때 이전 왕조를 깎아내려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 즉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란 말이니까요 그런 면에서 궁예도 희생자가 아니었을까 싶음

  • @kaiser1679

    @kaiser1679

    8 ай бұрын

    왕건이 직접 주도한게 맞고 실제 기록을 보면 호족들은 왕건의 역성혁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도 않았음.

  • @user-im8kd3ib8q
    @user-im8kd3ib8q3 жыл бұрын

    궁예가 자신을 비판한 자기 부인과 두 아들을 죽였다고 비판받는데 궁예의 부인은 당시 가장 세력이 컸던 호족 집안 사람이었습니다. 부인이 궁예를 비판했다는건 부인 뒤에 있던 호족 세력이 도전장을 내밀었다는 뜻이죠. 그렇기 때문에 혼란의 싹을 자르기 위해 자신의 두 아들까지 죽였다는 해석이 있습니다

  • @sumtingwong5451

    @sumtingwong5451

    Жыл бұрын

    그 강씨집안은 고려 내내 쳡첩 산속에서 숨어 살았습니다. 궁예를 피해서가 아니라 왕건을 피해서...

  • @chatroomful

    @chatroomful

    Жыл бұрын

    ​@@sumtingwong5451 그건 왕건이 자신 이외의 강한 귀족을 두지 않으려 한 것 아닐까요.

  • @user-bq9ez5ds7j

    @user-bq9ez5ds7j

    7 ай бұрын

    궁예는 다 잘했음 원래 국가를 세우면 공신들 과 외척을 조지게 되어있음 근데 꿈이 큰게 탈이었던거 통일하고 위쪽으로도 진출할 생각이었음 그럴려면 왕건세력이 너무 필요했고 의지해버린게 탈이었음 왕건세력까지 조졌어야 했는데 백제는 나라를 세우고 외척과 공신들을 조지질 못해 그들이 자식들 세력이 되버려서 그 사단이 난거고 이방원은 확실하게 다 조져버린거고

  • @kapetane2155

    @kapetane2155

    7 ай бұрын

    @@user-bq9ez5ds7j 궁예가 이방원처럼 금수저출신이었으면 가능했을텐데 신분의 한계지 아니면 주원장처럼 더 뛰어났었으면 됐는데

  • @user-nh1ks4cz4q

    @user-nh1ks4cz4q

    Ай бұрын

    @@user-bq9ez5ds7j 이방원은 궁예보다 더한짓을 했는데 역사의 승자란 이유로 추켜 세워지고 있는데 크게 잘못된거죠 이방원이야말로 의심과 권력욕이 과한 광인이었죠

  • @user-fj9vf9cf3t
    @user-fj9vf9cf3t Жыл бұрын

    역사 스페셜 또 만들어 주세요

  • @user-iv8if4lh1t
    @user-iv8if4lh1t3 жыл бұрын

    실제로 궁예 배우분 본적있음 인상이 진짜 미륵임

  • @user-fu2xj5ln9g

    @user-fu2xj5ln9g

    3 жыл бұрын

    좋게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gb2fl8ep1z
    @user-gb2fl8ep1z3 жыл бұрын

    드라마에서는 나오지 않지만 완건은 공공연히 자신은 왕이 될거라 애기하고 다니는 사람이었다죠 그런 사람을 부하로 두었던게 궁예의 불행인거죠

  • @user-zt5dk3bw7z
    @user-zt5dk3bw7z4 жыл бұрын

    심영선생의 기운이 저를 여기로 이끌었습니다.. 아아.. 정말 위대합니다 선생!!

  • @user-vc7kb9ex2f
    @user-vc7kb9ex2f4 жыл бұрын

    1.25배속이 보기 딱좋네요

  • @Runlight
    @Runlight4 жыл бұрын

    궁예를 따르던 많은 장수 중 왕건라인이 쿠데타를 일으킨 것이지 않을까요.... 기록의로서의 역사도 중요하지만 그 역사에 의문을 갖고 지속적인 조사와 발굴 또한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 @kaiser1679

    @kaiser1679

    8 ай бұрын

    그 왕건 라인이 많은 장수들이고 대부분 궁예에게 등을 돌려 왕건편이 된거야.

  • @BianJinyan
    @BianJinyan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jaeminryou9831
    @jaeminryou98313 жыл бұрын

    궁예가 죽자 사방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진압에 10년이나 걸렸으며 궁예의 심복 김순식이 항복 했을때 왕건이 눈물을 흘리며 왕씨 성을 준 걸 보면 궁예는 태조왕건의 미치광이왕은 절대 아니었다고 봅니다.

  • @siwoopark4011

    @siwoopark4011

    Жыл бұрын

    정신병에 걸려 고생하고 신하들을 많이죽인건 팩트죠 그러니 모든신하가 다 돌아선거지

  • @gomanaru222

    @gomanaru222

    Жыл бұрын

    @@siwoopark4011 그러니까 그게 왜곡이라고요. 사후에도 여전히 궁예를 따르던 자가 많았으며 돌아선 자들은 대게 패서쪽이었죠. 왕건세력말이예요.

  • @user-eo9hj2rp9q

    @user-eo9hj2rp9q

    Жыл бұрын

    @@siwoopark4011 궁예는 호족들 숙청하다 축출된걸수도 있음 의자왕도 실제론 방탕한게 아니라 호족 귀족들이랑 사이가 틀어지고 그때 신라 당나라 쳐들어와서 망했지만 역사에 방탕하게 기록된거랑 비슷할수있어요

  • @user-cy7tb9uz3s

    @user-cy7tb9uz3s

    Жыл бұрын

    @@user-eo9hj2rp9q 맞습니다 백제 멸망 1년 전까지만해도 신라 공격하고 세력싸움 치열했어요. 국력이 쇠퇴하는 상황도 아니었습니다. 나당연합군이 결정되면서 웅진성에서 수비전으로 가려했는데 예식진이 배반해버리면서 멸망했습니다.

  • @mindisnoting

    @mindisnoting

    Жыл бұрын

    @@siwoopark4011 너가 믿는것중에 팩트가 얼마나 있을까? 니눈으로 확인하지 않은것을 절대 확정하지마라 안그러면 살기가 괴롭나니

  • @rlaeowkd88
    @rlaeowkd883 жыл бұрын

    다큐에 이런말 뭣한데 김영철 섭외했으면 시청률 대박쳤음

  • @user-hp6zz8kf1m

    @user-hp6zz8kf1m

    3 жыл бұрын

    그래ㅡㅡ영철 형 짱

  • @suhxehu27hwyxts96
    @suhxehu27hwyxts963 жыл бұрын

    역사 기록중 진실만 기록된 건 없을 것으로 생각됌 오늘 이 방송을 보고 또 한번 더 확실해진다

  • @josephkang6513
    @josephkang65133 жыл бұрын

    나중에 궁예를 배경으로한 드라마가 있었으면 좋겠다.

  • @winnie_love_honey00

    @winnie_love_honey00

    Жыл бұрын

    태조왕건 1부가 태조궁예임 그냥 궁예가 주인공

  • @user-ic3sv1sl2o

    @user-ic3sv1sl2o

    7 ай бұрын

    @@winnie_love_honey00그 방증으로 궁예가 죽고 더 이상 등장하지 않게 되자마자 시청률이 반토막 났다는 ㅋㅋㅋ 대한민국 전설의 대하사극

  • @user-fq1kj6wu2g
    @user-fq1kj6wu2g Жыл бұрын

    궁예는 알면 알수록 매력적인 사람이다. 개인적으로 궁예에 대한 다른 해석을 한 사극을 보고 싶다

  • @user-oi3xm6rp1t
    @user-oi3xm6rp1t4 жыл бұрын

    도성이 어떻게 군사분계선을 딱 지나냐ㅋㅋㅋ

  • @fossilfresh8995

    @fossilfresh8995

    4 жыл бұрын

    두쪽이 다 후세에 관광자원이 될 저 후고구려성을 먹으려고 바득바득 버텼나봅니다 ㅋㅋㅋㅋ

  • @fossilfresh8995

    @fossilfresh8995

    4 жыл бұрын

    미국-멕시코 국경선에는 한 도시가 가운데로 갈린 곳도 있어요, 같은 도시가 미국-멕시코로 분단됨.

  • @fossilfresh8995

    @fossilfresh8995

    4 жыл бұрын

    벨기에-네덜란드 인가 프랑스-벨기에 인가에는, 국경선에 걸친 술집도 있대요. 이쪽 문이랑 저쪽 문이 각각 다른 나라로 나감.

  • @z456852z

    @z456852z

    3 жыл бұрын

    동서로는 군사분계선이 자나가고 남북으로는 경원선터가 있어서 도성이 4분할ㅋㅋ

  • @ia4058

    @ia4058

    2 жыл бұрын

    @@fossilfresh8995 투머치토커인데 정보가 너무 알차네

  • @siwoopark4011
    @siwoopark4011 Жыл бұрын

    한반도 역사상 가장 특이했던 왕 한쪽눈이없기도하고 맨손으로 국가를세우고 한반도 3분의2땅을 가진 엄청난 인물이었죠 정신병만 안걸렸어도..

  • @voyw
    @voyw4 жыл бұрын

    원래 역사는 승자의 편이라고 알려진것보다 궁예가 좋았던 사람일 수도 있음

  • @user-uf9fv1qo9k
    @user-uf9fv1qo9k Жыл бұрын

    승리해야하는 이유

  • @user-rn6dj2ts6k
    @user-rn6dj2ts6k4 жыл бұрын

    궁예는 강력한 왕권정치를 추구 왕건은 지방 호족들의 세력을 인정한 정치를 하였기에 당연히 왕건을 지지할수 밖에 없었다고 봅니다.

  • @OYT0724
    @OYT07244 жыл бұрын

    캬 썸네일 부터 김영철 형님의 카리스마에 끌려 들어오게 되부렀다!!!

  • @moomoomoo09
    @moomoomoo09 Жыл бұрын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 하니까 궁예의 업적이 기록으로 있어도 없어졌을 가능성이 높은듯

  • @solla3130

    @solla3130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 고려 왕씨들이 날조 왜곡하여서 기록으로 남겼을 가능성도 매우 큰듯

  • @user-pm8tq3cy9r
    @user-pm8tq3cy9r4 жыл бұрын

    혹시 태봉 도성의 외벽과 내벽을 토벽으로 쌓은 이유가 있을까요? 그당시에는 석벽이 보편화되지 않았었나요?

  • @user-di9er1mt8l

    @user-di9er1mt8l

    4 жыл бұрын

    외벽의 길이가 12.5km... 라고 나오네요. 그리고 철원은 여타 다른 수도들과 달리 큰강이없습니다. 석재 운송에 어려움이있을것입니다

  • @user-qj2ou8nj5e
    @user-qj2ou8nj5e4 жыл бұрын

    누가 기침소리를 내었는가 ~~~~♥

  • @user-jp8eu4it5d
    @user-jp8eu4it5d4 жыл бұрын

    흥미롭네요... 개혁에 성공한 케이스와 궁예처럼 실패한 케이스의 차이는 무엇일까? 급진적 하나뿐일까? 그럼 어찌했어야 개혁에 성공할 수 있었을까?

  • @user-cy6et7cp8n
    @user-cy6et7cp8n3 жыл бұрын

    역사는 승자의 기록일 뿐이다

  • @prinjame1754
    @prinjame17542 жыл бұрын

    '궁예대왕'으로 드라마 다시 찍자 김영철님 궁예역 그대로 하고. 궁예와 함께 김영철님의 재평가가 이뤄져야 한다

  • @user-ww1yv8sp1z

    @user-ww1yv8sp1z

    Жыл бұрын

    궁예를 주인공으로 한 드라마 기대되네요

  • @user-ic3sv1sl2o

    @user-ic3sv1sl2o

    7 ай бұрын

    태조 왕건은 왕건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니 왕건의 입장(시점)에서 이야기가 그려지지만 궁예가 주인공 시점인 드라마가 나온다면?

  • @ktw2957
    @ktw29574 жыл бұрын

    수도를 그 춥다는 철원으로 하고 기침소리 냈다고 죽였다. VS 기침으로 인한 전염을 걱정하여 살처분(?)을 한것이다.

  • @user-sz1ic7pj5s
    @user-sz1ic7pj5s7 ай бұрын

    왕건도 분명 후삼국 통일만 아니면 이성계처럼 역적 타이틀이 씌워졌을 수도 있음

  • @yoonaeyoon
    @yoonaeyoon4 жыл бұрын

    특별할 것도 없이 다 아는 스토리였습니다. 네로, 이반4세, 연산군이 그랬던 것처럼 시작은 명군, 본색은 폭군.

  • @user-rk1sh8tw6u
    @user-rk1sh8tw6u Жыл бұрын

    아랑전설 스페셜도 해주세요.

  • @h.s.k9723
    @h.s.k97234 жыл бұрын

    원래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 어느정도 걸러들어야함은 맞음 근데 시험칠때 그리치면 좆됨 ㅋㅋㅋ

  • @Art-Joe

    @Art-Joe

    4 жыл бұрын

    중국에서 학교 다닐 때 고구려와 발해가 중국 지방 정권이 아니라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한 독립국이라고 썼다가 낙제 점수 맞은 기억이 ...ㅋㅋㅋㅋ

  • @Art-Joe

    @Art-Joe

    4 жыл бұрын

    @새우 아 비하는 하지 말아주세요

  • @smin838

    @smin838

    4 жыл бұрын

    걸러 듣는다기보다는 다른 가능성도 생각해볼만하다는거죠 기록이 있는걸 안믿으면서 그렇다고 기록이 없는걸 믿을수는 없는거니까요

  • @user-xt6yr7fv7t

    @user-xt6yr7fv7t

    4 жыл бұрын

    @@Art-Joe 중국은 비하 받아도 싸요.

  • @user-cheongwadae

    @user-cheongwadae

    4 жыл бұрын

    @@Art-Joe 애국자다!

  • @user-nc2tc5ty5e
    @user-nc2tc5ty5e4 жыл бұрын

    우환 사태 이후 강제 재조명된 그 인물 ㅋㅋ

  • @user-bw2cc6sc6u

    @user-bw2cc6sc6u

    4 жыл бұрын

    메르스 사태때대에도

  • @daebokpark5343

    @daebokpark5343

    4 жыл бұрын

    ???: 신.. 신이옵니다 폐하

  • @feny8186

    @feny8186

    4 жыл бұрын

    누구인가?

  • @hahman1st

    @hahman1st

    4 жыл бұрын

    누가 기침소리를 내었는가?

  • @jangeochobob

    @jangeochobob

    4 жыл бұрын

    우한 우환ㅇ아니고

  • @user-tb2id7wf1i
    @user-tb2id7wf1i2 жыл бұрын

    이 방송을 김영철씨가 제일 좋아 합니다

  • @user-hp5zm3lm2q
    @user-hp5zm3lm2q2 жыл бұрын

    역사는 승자의편이다. 언제나

  • @user-lk6nu1yr6s

    @user-lk6nu1yr6s

    Жыл бұрын

    그러므로 역사는 배울가치가없다 어차피 지어낸 이야기가 대부분이기때문

  • @link6317
    @link63174 жыл бұрын

    16:06 버퍼링

  • @Noname-ey6qe

    @Noname-ey6qe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goongyes
    @goongyes4 жыл бұрын

    짐은, 미륵 이니라, 이 미련한 것아!

  • @vesim6420

    @vesim6420

    4 жыл бұрын

    사딸라!!!!

  • @user-vr5bd7jv1x

    @user-vr5bd7jv1x

    3 жыл бұрын

    ㅋㅋ

  • @user-ov7kd2jf5l

    @user-ov7kd2jf5l

    3 жыл бұрын

    궁예 ㅎㄷㄷ

  • @XX-gb8gn
    @XX-gb8gn4 жыл бұрын

    현명하고 냉혹한 군주 궁예의 재평가, "누가 기침 소리를 내었는가?"

  • @user-po3ed4ky1i
    @user-po3ed4ky1i4 жыл бұрын

    머지않아 태조 왕건이 리메이크 될 것 같은 생각이 드는군요.

  • @Werner4voss
    @Werner4voss4 жыл бұрын

    왕건의 쿠데타였지

  • @user-xv6cq5ic9n

    @user-xv6cq5ic9n

    3 жыл бұрын

    왕건의 쿠데타였습니다.

  • @vedo7065

    @vedo7065

    3 жыл бұрын

    @@user-xv6cq5ic9n 왕건이 날로 먹엇죠

  • @kk-di2qh

    @kk-di2qh

    3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원래 왕조시절에는 쿠데타 아니면 새로운 왕조를 열 방법이 없긴하죠ㅋ 어차피 한국사도 위만조선 이후로 대한민국 수립 이전에는 대부분 쿠데타로 집권한 정권들인데.

  • @user-st3lb9re1b
    @user-st3lb9re1b3 жыл бұрын

    궁예는 깨어있는 사람이었죠 개인적으로 존경합니다.

  • @MYNIGGA1
    @MYNIGGA14 жыл бұрын

    관심법이란 무엇인가? 나의 마음으로 그대들의 마음을 읽는것이야

  • @user-tj9xp5ee6x
    @user-tj9xp5ee6x4 жыл бұрын

    1:33 누구인가? 누가 기침소리를 내었어...?

  • @user-ul7dr1jh6q

    @user-ul7dr1jh6q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

  • @han_river_ggongggong_cat

    @han_river_ggongggong_cat

    4 жыл бұрын

    신이옵니다 폐하~

  • @user-ke8tj9de5z

    @user-ke8tj9de5z

    4 жыл бұрын

    김정은외

  • @jins8686

    @jins8686

    4 жыл бұрын

    마구니로다 철퇴로 으깨어주어라~

  • @CafeNight921
    @CafeNight9214 жыл бұрын

    왕건의 반란이 성공적이었기 때문에 궁예는 폭군이 된 거고 조선을 세운 이성계도 마찬가지로 위화도 회군 후 반란에 실패했다면 조선 1대 왕이 아닌 역적으로 남았겠지

  • @graycain
    @graycain4 жыл бұрын

    보통 나라를 건국한 인물들은 역사에서 폭군이기 힘들지 않나? 징기스칸이나 이세민이나 이성계 등등 리더쉽이 있어야 그를 따를텐데...

  • @kaiser1679

    @kaiser1679

    8 ай бұрын

    나라를 건국한 인물들이 폭군이면 안된다는 법이 있음? 중국을 보면 어려 건국왕들 중에서 폭군인 인물들이 널려있음.

  • @user-nh1ks4cz4q

    @user-nh1ks4cz4q

    Ай бұрын

    폭군인데 승자라서 미화가 쩌는것이죠

  • @green_tea_piccolo
    @green_tea_piccolo4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 @user-vu1fi7xd7v
    @user-vu1fi7xd7v4 жыл бұрын

    댐건설 하구둑 건설로 수위가 급격히 낮아져 수로없어짐 , 광주광역시 담양읍 까지 뱃길 이 있었다 하네요

  • @nty7214
    @nty72144 жыл бұрын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니 승자인 왕건이 정통성이나 궁예를 뒤통수 친 정당성을 인정받을려면 궁예는 폭군이 될수밖에 없는거지 ㅋㅋㅋ

  • @user-zm6sn4kr1k
    @user-zm6sn4kr1k4 жыл бұрын

    역사는 승자의 기록. 과연 궁예의 기록은 그대로 믿을수 있을까????

  • @user-lp5uz5vg2q
    @user-lp5uz5vg2q3 жыл бұрын

    궁예에 대해 새로이 알게되네요~ 진실은 언젠가는 밝혀지게 되네요 ㅎ

  • @user-jx7ik1bx3g
    @user-jx7ik1bx3g Жыл бұрын

    궁예는 혁명가임엔 분명하다

  • @user-jb7wm5xr3t
    @user-jb7wm5xr3t4 жыл бұрын

    그럼 그렇지 나라를 세울 정도의 능력자면 미친놈이 아니지

  • @user-xn2zc9tm4m

    @user-xn2zc9tm4m

    4 жыл бұрын

    김일성 ...

  • @user-bc5zj5ph8w

    @user-bc5zj5ph8w

    4 жыл бұрын

    일성이도 미친놈은 아님 빨갱이지

  • @alliswell7482

    @alliswell7482

    4 жыл бұрын

    빨갱이는 우리나라 관점에서 그렇지 처음에 김일성은 호족과 같죠 그리고 궁예처럼 중앙집권 세력을 만든게 아직도...

  • @user-jb7wm5xr3t

    @user-jb7wm5xr3t

    4 жыл бұрын

    @@alliswell7482 김일성은 마적질 하다가 붙잡혀서 군대 들어간 케이스에요 호족도 안되던 놈이에요. 근데 스탈린이 북한을 먹어야 되니 아부떨던 김일성을 간택한거죠.

  • @user-jz7dg1jm9s

    @user-jz7dg1jm9s

    3 жыл бұрын

    @@user-xn2zc9tm4m 김일성은 미친놈이 아니라, 걍 멍청한거임. 전쟁 일으켜놓고 도망가는 놈이 어딧누

  • @Love-Peace-Culture_KimGu.37
    @Love-Peace-Culture_KimGu.373 жыл бұрын

    국민이 정치에 관심을 두지 않을 때, 우리 중 약자가 고통받는다.

  • @user-eq6pq6ly2k
    @user-eq6pq6ly2k4 жыл бұрын

    좋아요

  • @bombbange
    @bombbange4 жыл бұрын

    방역 하나는 확실했던 군주.. 확진 통제는 철저했던 군주...

  • @user-ks4xe1rf8k

    @user-ks4xe1rf8k

    7 ай бұрын

    철의 군주, 옴마니 반메흠

  • @carpkorea
    @carpkorea4 жыл бұрын

    kbs는 국민 수신료 받으면서 역사방송,사극 왜 안하냐? 돈 이 많이 들어서 안한다고 하더만 돈이 들어도 해야 하는게 역사교육 아니냐 쓸대없는 로코물 방송하지말고 사극해라 판타지 사극 말고 정통사극 솔직히 국민방송이라고 모든 컨텐츠들이 올드하면서 정통사극이라도 잘 만들면 시청률 잘나오겠지 오히려 더 꼰대로 가는거다.

  • @lee-rf2eu

    @lee-rf2eu

    4 жыл бұрын

    왜냐면 중국한테 나라갖다바쳐야 되거든ㅋ

  • @soul-nw3tr

    @soul-nw3tr

    4 жыл бұрын

    @@lee-rf2eu 뭐래니 걍 정부에서 뭐만 한다하면 중국타령이구나 이 기세로 노재팬이나 하면 애국 소리나 들을텐데...

  • @cucucu

    @cucucu

    4 жыл бұрын

    @@lee-rf2eu 기승전 중국 아님 북한 ㅎㅎ 이게 꼴보수들의 논리의 전부 ㅎㅎ 자칭 보수라고 말하는 놈들을 느그들 좋아하는 중국이나 북한에 버려야 하는 이유지 ㅇㅇ

  • @user-gj6eq9tn9k

    @user-gj6eq9tn9k

    4 жыл бұрын

    s oul 노재팬이 왜 애국임?ㅋㅋㅋ

  • @IHATECHINA

    @IHATECHINA

    4 жыл бұрын

    중국몽 해야합니다 훠훠후허허

  •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4 жыл бұрын

    ??: 내 분명히 말했어. 철퇴를 기억하라 이거야.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3 жыл бұрын

    법봉 법 봉 법 봉

  • @user-qz8gm5jp6w
    @user-qz8gm5jp6w4 жыл бұрын

    철원같은 노스랜드에 도읍한 것만 봐도 리치킹 못지않은 폭군임 얼마나 추위에 시달렸으면 왕건이 쿠데타 일으켰겠냐!

  • @user-ed4gb2jq2p

    @user-ed4gb2jq2p

    4 жыл бұрын

    추위가 문제가 아니라 큰 강도 없는 내륙 고지대에 물자 수송하려면 인부들 죽어났을듯. 태봉은 그냥 개념이 없는 삼류 정권.

  • @user-mp9nf1gq5o
    @user-mp9nf1gq5o4 жыл бұрын

    영철행님 건강하시죠?

  • @hyonkwanyun8432
    @hyonkwanyun84324 жыл бұрын

    오다 노부나가랑 비슷한 경우구만

  • @user-ec4dj2un3p
    @user-ec4dj2un3p4 жыл бұрын

    태조왕건 드라마떄문에 관심법이니..궁예를 상똘아이로 보는 사람들 많음 ;;;;;

  • @user-nx8jc1se9s
    @user-nx8jc1se9s3 жыл бұрын

    패전 하면 역사 에서 잊혀 지거니와 승자 의 나름 대로 새역사 를 써갑니다 폭군 이냐 아니냐 는 중요하지 않아요,누구든 나라를 세워서 잘 다스리려 했겠죠,영원한 챔피언 은 없습니다 도전자 들이 항상 노리고 있으니까요.

  • @user-vw5kd4or6o
    @user-vw5kd4or6o4 жыл бұрын

    네이버 지식인에도 글을 올렸지만 답변을 들을수없어서요 혹시 후백제가 저 나주를 빼앗긴뒤 왜 재탈환을 하지 않았는지 아시는분 계시나요? 후방거점이면서 곡창지대를 빼앗겨서 뒤가 불안할텐데 왜 그대로 두었는지 궁금합니다

  • @user-rw9gq5dg5l

    @user-rw9gq5dg5l

    4 жыл бұрын

    신승호 20분부터 20:00 부터 보시면 계속 탈환 점령 역습 탈환점령 역습을 계속 한것이지요 그당시 후백제에서 견훤은 신라를 공격해서 먹으려고 치고나가려다가 궁예 명령 하에 왕건이 배타고 나주기습 자기는 위쪽에서 막으며 신라를 갈지 백제로 갈지 양동으로 갈지 가능하니 제일 믿엇던 왕건믿고 배타고 나주로 상륙해서 치려던거 같아요 거기서 금성을 나주로 바꿧고 나주는 왕건이 치고 받고 하며 지키고 하는사이에 궁예는 빨짓거리하는거 처럼 샌드위치로 안내려 오니까 의심이 생기기 시작 거기에 돌아가니 나주는 나의 땅이다 하니 왕건은 억울햇을꺼고 삐닥선 타지않앗을지 ㅋㅋㅋ 그냥 뇌피셜 입니다 하지만 20분부터 나오는 금성 탈환 대가 다나오네용

  • @user-dc7sj4sj4p

    @user-dc7sj4sj4p

    Жыл бұрын

    호야 / 나주를 뺏기고나서 다시뺏으려햇지만 못뺏은거에요,,,, 지금이야 나주가 촌구석이지만,,, 일제시대 까지만해도 나주가 전남에서 가장 넓은지역, 부강한지역 였슴

  • @mnbvcxzlkjh2869
    @mnbvcxzlkjh28694 жыл бұрын

    조조가 통일의 기반을 닦아 놨는데 사마가문이 쿠데타를 일으켯 듯이, 궁예가 통일의 기반을 닦아 놨는데 왕씨가문이 쿠데타를 일으킨 것은 아닐지. 궁예가 통치만 잘 했어도 창업 군주로써 후대의 평가가 좋았을 것인데 안타깝네.

  • @b_h_liblew4740
    @b_h_liblew47402 жыл бұрын

    원래 이기면 왕이되고 지면 도적이 되는게지. 난세에 살아남을 역량을 지녔다는것만 해도 인물이라 할만하다

  • @jeahwanoh5342
    @jeahwanoh53424 жыл бұрын

    시청률을 반토막으로 만드는 힘!

  • @peanut-san8127
    @peanut-san81274 жыл бұрын

    옴마니반메음~온마니반매움~

  • @user-qwer116
    @user-qwer1164 жыл бұрын

    야 지금 너네들에 대해서도 사이 안좋은 친구들보고 니네들에 대해 평가해달라고 해봐라. 좋게 평가 하겠냐? 심지어 있는 사실도 숨기고, 없는 허위도 만들어내서 개쓰레기로 만들어놓을껄? 진짜 역사를 올바로 보는 눈을 길러라

  • @user-we3dy8qn9k

    @user-we3dy8qn9k

    4 жыл бұрын

    그시대때 살지 않았던 우리한태 왜그러세요? 아재님 우린 드라마 보고 자란 죄밖에 없어요 이 잔소리꾼 아재야

  • @user-gr1ep4ny7b

    @user-gr1ep4ny7b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자기는 뭘안다고 저렇게말해 ㅋㅋㅋㅋ

  • @Red_882

    @Red_882

    3 жыл бұрын

    누구한테 말하는거지?

  • @user-eg5vt1ic1c

    @user-eg5vt1ic1c

    3 жыл бұрын

    왜 혼자....흥분했지;;

  • @mykang6574

    @mykang6574

    3 жыл бұрын

    왜 혼자 급발진이야? 일상생활문제없음?

  • @user-wq9rc6rc4c
    @user-wq9rc6rc4c4 жыл бұрын

    "누가 기침 소리를 내었는가!" 감염병의 초기 차단의 중요성을 알고있던 궁예...그립읍니다..

  • @user-jw7qf3rs8k
    @user-jw7qf3rs8k3 жыл бұрын

    관동별곡에 '궁왕 대궐터에 오작이 지지괴니' 정철은 담벼락이라도 봤을테지요...

  • @user-rh8hj6te3d
    @user-rh8hj6te3d3 жыл бұрын

    인트로 개멋있누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