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보다 유럽에서 항해술이 더 빨리 발달했던 이유 (곽재식 작가) [이강민의 잡지사]

-근대를 열어젖힌 항해술
-후추 나비효과.. 난 바다로 갈끄니까!
-항해 기술 이모저모
※10/28 금요일 방송분
잡지사 방송 | 매주 월~금 오후 7시30분~8시 CBS 라디오 표준FM 98.1MHz
#잡다한지식사전 #항해술 #곽재식

Пікірлер: 31

  • @user-gj8tf5zm2v
    @user-gj8tf5zm2v11 ай бұрын

    두분의 아재개그는 완전 나의 취향입니다

  • @user-hh1eo3lf1s
    @user-hh1eo3lf1sАй бұрын

    잡지사 다 영상 다본줄 알았는데 요걸 안봤네요. 썸널보고 이걸놓쳤네 하고 이마를 탁 첬습니다.

  • @icefrog73able
    @icefrog73able Жыл бұрын

    정말 이강민 편집장님은 썸네일 만들어주는 스텝분에게 맛있는 밥은 꼭 사줘야함... 어떻게 조니뎁보다 더 멋진 선장으로 만들어주는 건지..^^ 곽재식작가님은 너무 귀여운 루피가 아닌지~~ㅋ

  • @user-mm2mo8ed1g

    @user-mm2mo8ed1g

    Жыл бұрын

    썸네일 마려운 외모 마성의 남자 이강민

  • @colorpurple75
    @colorpurple75 Жыл бұрын

    괴학재식 선생님...별명 붙여주시니 아주 흐뭇하게 웃으시네요! 대항해시대 아니고 신항로개척시대...어디가서 유식한척 해야겠네욥~^^

  • @user-ll4hb3zc2f
    @user-ll4hb3zc2f Жыл бұрын

    편집장님은 목소리만 들으면 한없이 진지한 뉴스만 진행할 것 같은데 꼭 그렇지는 않네요 ㅋㅋㅋ

  • @user-bo3ic8fi3n
    @user-bo3ic8fi3n7 ай бұрын

    항해술을 해장술로 봤다. 술 줄여야겠다 근데 역시 재미있네요.

  • @user-dc8gu1om4v
    @user-dc8gu1om4vАй бұрын

    편집장님 어찌 그리 쎈쑤가 쩌나요???? ㅎㅎㅎ

  • @silver_sirius
    @silver_sirius Жыл бұрын

    멕시코 친구 하나를 알게 되었는데... 신라면 때문에 친해졌습니다^^ 너~~~~무 맘에 드는 매운맛이라고^^ 곽재식 작가님 보면볼수록 볼매시네요^^

  • @user-ko2kt5jk5z
    @user-ko2kt5jk5z7 ай бұрын

    잘봤습니다 언제나 두분 화이팅입니다 ^^

  • @user-er3oe1ew5w
    @user-er3oe1ew5wАй бұрын

    걸리버여행기, 뛰어난 풍자소설입니다. 아동용 아니에요^^천공의 섬 라퓨타, 야후 다 거기서 나왔죠.

  • @user-tx3ss9pc7t
    @user-tx3ss9pc7t Жыл бұрын

    오 항해술이요??

  • @user-lm7fe7dw3q
    @user-lm7fe7dw3q Жыл бұрын

    재밋고 유익한 방송 잘보고있습니다 오늘내용중 궁금한게 예전사람들이 별자리를보고 항해에도움을 받았다는데 위도파악에는 도움이 되도 경도 측정까지 가능한걸까? 의문이드네요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6 ай бұрын

    24:48 개인적 킬포

  • @jypark6182
    @jypark61823 ай бұрын

    삼각돛 역할이 컸죠.

  • @sehyeon6752
    @sehyeon67526 ай бұрын

    대식국 중학교때 역사샘께서 아라비아인들이(사라센) 땅을 정복을 많이 한것을 빗대어 중국에서 그렇게 불렀다고 설명해 주셨었음 와~그날 설명해 주셨던 칠판도 기억이 왜 나지? 40년쯤 전에

  • @many2533
    @many2533 Жыл бұрын

    명청이 해상무역으로 이익을 얻었다면....조선도 청에 덜의지하고 해상무역했다면 유럽보다 더 빨리 발달했을껀더....유럽보다 한중이 더 일찍 멀리갔었지만 큰 이익을 못봐서 지속되지 못한

  • @user-jc7pq9qn2p

    @user-jc7pq9qn2p

    Жыл бұрын

    큰배를 만들 나무가 부족해서...

  • @wggg676
    @wggg676 Жыл бұрын

    아... 정말 목소리 중요하네... 참고 듣다보면 화나서 자꾸 돌리게됨

  • @user-fc5pg7os2o

    @user-fc5pg7os2o

    8 ай бұрын

    아..정말 정신상태가 중요하네.... 듣기 싫으면 안들으면 되는데 그걸 참긴 왜 참으며 또 화는 왜 나는지 ㅋ 영상 보면서 혼자 화내고 참고 난리시네... 정신 이상있어요?

  • @wggg676

    @wggg676

    8 ай бұрын

    @@user-fc5pg7os2o 중간중간 튀는 목소리 잘 못들어. 뭐 너도 힘내자

  • @user-fc5pg7os2o

    @user-fc5pg7os2o

    8 ай бұрын

    @@wggg676 잘 못들으면 듣지 말던가ㅋㅋㅋ 뭔 화가 난다는둥 목소리가 중요하다는둥 이딴소리 왜함?

  • @wggg676

    @wggg676

    8 ай бұрын

    @@user-fc5pg7os2o 댓글이니까

  • @user-fc5pg7os2o

    @user-fc5pg7os2o

    8 ай бұрын

    @@wggg676 이 뭔 초딩같은 소리 하누.. 댓글이 뭐ㅋㅋ? 그냥 아무말 안하는게 나을뻔했다

  • @kdyu178
    @kdyu178 Жыл бұрын

    신항로 개척의 방향성이 동에서 서로 이어지지 않고, 서에서 동으로 간 이유를 설명하는 학설 중에 중론으로는… 기본적으로 유럽에 물자가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목숨을 걸고하는 원거리 항해를 통해 수입하는 물품은 마진율이 높은 사치품으로 들여와야 합니다. (물론 생활 용품 수입도 하긴 합니다) 그런데 그 사치품들이 전부 아라비아 인도 동남아시아에서 나는 겁니다. 아라비아의 몰약 향유, 아프리카의 상아. 인도와 동남아 보석 산호, 면직물, 향신료, 중국의 견직물 도자기 등.. 교환할 물자가 부족한 유럽은 아시아와 무역을 할 때 막대한 금과 은이 필요했다고 합니다. 반대로 중국과 동남아시아 인도는 물산이 자체적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에 굳이 신항로 개척이 필요가 없었습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