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과 미국, 그림에 숨겨진 도시 생활

#조선 #미국 #한양 #뉴욕 #도시 #역사
그림에 숨겨진 조선과 미국의 도시 생활 :
김홍도와 신윤복,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 분석

Пікірлер: 213

  • @user-or4sl1pb2g
    @user-or4sl1pb2g6 ай бұрын

    거의 한시간짜리 교양강의를 방구석에서 볼 수 있다니...감동... 그리고 교수님의 스토리텔링 능력 너무 대단하세요 16시간 공부하고 넉다운됐는데도 귀에 쏙쏙 들어올정도예요

  • @user-ff6mn4sk2b

    @user-ff6mn4sk2b

    4 ай бұрын

    오 마이 갓! 16시간 공부! 굉장한 공부 관성력을 지닌 습성이 느껴지는 군요! 중요한것은 가치 있는 분야의 역량 축적을 통한 차별화된 자신의 의식층 영역대의 진입 장벽이 고도 전문화되는 것 입니다. 시간의 분산 보다는 세계적 전문고도화 분야의 지적,창조적 설계자급의 인간의 길을 가셨으면 합니다. 본명 변상규 1973년생 도인임. 기존의 인식층 패턴 보다는 창조적 미지의 영역대의 길을 독창적으로 정립해야만 세계의 인간계 문명계 지구 행성 환경 영향성들에 기여하는 공존의 고차원적 의식층의 기여자로 가치 있는 인간의 길을 살아가는 것입니다. 세계적 탁월한 인재급들은 그 어느 누구와도 경쟁하지 않는 자신만의 가치 추구의 무한 영역대의 길을 가는 분들 입니다. 오마이 갓! 16시간! 써프라이징~~~~~~~ ❤❤❤❤😊😊😊😊😊

  • @chd2127
    @chd21277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현재 미국에서 살고 있는 저로서는 이런 강의를 편안한 식탁에서 볼수 있도록 해주셔서 너무 축복이라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의 부탁드릴게요! 감사합니다!

  • @Mins908

    @Mins908

    4 ай бұрын

    싫어

  • @user-bp6ko7hl8k

    @user-bp6ko7hl8k

    4 ай бұрын

    😊❤

  • @user-zz5gf4js8q
    @user-zz5gf4js8q7 ай бұрын

    모든 대가들은 분야가 달라도 통한다는 말이 있는데 .. 교수님의 영상을 볼 때마다 곱씹게 되는 말인 것 같습니다. 통섭이라는 단어가 가장 잘 어울리는 채널이 아닌가 싶은데요, 이런 강의(!)를 정말 이렇게 편하게 봐도 되는건가... 싶을 정도로 정말 감탄의 연속입니다. 계속해서 양질의 강의 기대하겠습니다^^

  • @roots508
    @roots5087 ай бұрын

    너무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특히 영조시대에 한양이라는 도시가 어떻게 발달하게 되었는지 부분이 너무나 흥미진진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onbluenight
    @onbluenight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진짜 복 받은 나라이지 이런 나라 해외여행 가보면 느낀다 땅에서 깨끗한 물이 흐른다는건 정말 축복이다

  • @kj3244

    @kj3244

    7 күн бұрын

    일본 가봤는데 거기가 더 깨끗하던데.

  • @richardrhee57
    @richardrhee577 ай бұрын

    정말 똑똑하고 꿰뚤ㅎ어보는 눈이 있는 사람이십니다

  • @user-bf4wk6lp1o
    @user-bf4wk6lp1o7 ай бұрын

    호퍼의 전시때문에 수많은 해석을 보았지만 유현준교수님의 해석은 또 다른 시각인 것 같아서 무척 흥미로웠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에 대한 생각들 공유해주세요!

  • @hyunho_07
    @hyunho_077 ай бұрын

    그림으로 보는 미국과 조선 도시 생활이 흥미롭게 여겨진거 같습니다. 그림으로 도시 생활 파악을 정확하게 그 점을 찝어네시다니 정말 대단합니다.

  • @user-ld6ls7xj3v
    @user-ld6ls7xj3v7 ай бұрын

    저는 신윤복의 그림들을 볼때마다 당시 투시도법이 완벽하게 정리되지 않아서라기 보다 부감법을 썼지만 더 많이 자세히 그려 보여주고 싶은 부분에 따라 한폭의 그림안에 선택적으로 투시법을 적용 한게 작가의 의도라고 생각해서 더 흥미로웠는데 건축가가 바라보는 관점은 또다르니 참 재밌습니다^^ 늘 흥미롭고 다양한 영상들 보면서 많이 배우고 즐겁습니다❤

  • @HissingGeotrauma

    @HissingGeotrauma

    7 ай бұрын

    님 말씀이 맞아요 투시도법에 대해서는 중국에서부터 발달해서 한국에서 자리잡은 맥락이 따로 있고 그걸 의도적으로 쓰는 거죠

  • @bkmk

    @bkmk

    7 ай бұрын

    @@HissingGeotrauma청나라에서 한국으로 정조가 가져온 투시도법은 그시기엔 궁중화원들만 제작했을테니 신윤복은 알수없었지 않았을까요?

  • @smchoi12

    @smchoi12

    7 ай бұрын

    신윤복 아버지가 도화서 화원이었어서 모르긴 어려웠을 것 같아요.

  • @Studio_Jina_Park

    @Studio_Jina_Park

    5 ай бұрын

    동양화에서 이동시점이라는 중요한 개념이 있는데 이는 감상자가 그림밖에서 창문프레임 개념으로 그림을 감상을 하는 서양화와 달리 감상자가 그림 안으로 들어가 시점을 이동 즉 부유하며 감상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몽유도원도가 대표적.

  • @yun2826

    @yun2826

    4 ай бұрын

    저도 투시법에대해 생각해 보자면, 신윤복은 자기가 요리 조리 눈으로 본, 그 장면의 이모저모를 풍자스럽게 그린 거라고 생각해요. 투시 기법을 생각할 필요가 없는거죠. 눈은 두 개고, 머리와 목은 이리 저리 움직이니, 사진처럼 정지된 장면을 그릴 필요가 있나요? 그리고 신윤복 그림은 뭔가 그 상황의 드라마가 상상되는 게 멋지죠. 쎄잔이 카메라 발명 이후, 인상파 작가들 이후, 사람 두 눈에 시시각각 보이는 그 순간의 여러 모습, 눈 앞의 앞뒤옆을 작품에 담은 거랑 비슷한 맥락이라고 봅니다. 하지만 세잔은 여기서 그 시각에 대한 중요성을 중요하게 생각했다면, 신윤복은 그 때의 분위기, 생동감, 흥, 그 느낌을 그리기 위해 배경을 적당하게 마음대로 (혹은 어울리게? 또는 선이 적절히 그럴듯하게 화면을 나눠주게?) 그려 넣었다 정도일까요? 신윤복은 투시와 상관이 없는 작품을 그린 작가인 것 같습니다. 색과 선, 그리고 빠른 필력과 나름 날카로운 묘사력과 주변 분위기 설정으로, 그 시대의 실상과 해학, 유머가 깃든 작품을 그린 거 같아요. 신윤복 작품들은 특히 중요한 작품인데, 일러스트나 만화적 설정을 잘 이용한 거라고 생각해요. (신윤복 춘화를 보면 더 그 극적인 상황 드라마에 몰입되며, 배경은 그저 거들 뿐, 그저 보는이를 위해 그려줬다~ 정도로 보입니다. 😂😂😂😂☺️😊😍)

  • @user-mu3iy8fq3d
    @user-mu3iy8fq3d3 ай бұрын

    우리가 살면서 알면 좋을만한 교양 내용을 이렇게 접하게 되어 너무 황홀합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도시가 어떻게 발달되어 지금 이 모습인지 알게되어 너무 재밌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Ratatou2
    @Ratatou27 ай бұрын

    제가 시골길 드라이브 하는걸 좋아하는 이유가 마지막 자동차부분에 잘 설명해주네요. 고속도로를 빠져나와 언덕길이나 호숫길을 달리면서 바뀌는 풍경 나무 바다 집들 그리고 일광 이게 정말 보는 재미가 있어요

  • @HeraKang-st5dr
    @HeraKang-st5dr7 ай бұрын

    Wow~~~^^ 셜록현준님은 타고난 professor 입니다 (어쩜 그렇게 설명을 잘 하는지 ~~~^^🤗👏👍) You are the best ~~~^^👍

  • @vamp_c502

    @vamp_c502

    7 ай бұрын

    태클은 아니고 Professor 라고 셜록현준 교수님처럼 설명 다 잘 하시는 것 아닙니다 ㅋㅋㅋ 즉, 설명 잘 하는 것은 교수로 타고나서가 아니라 셜록현준이기 때문에

  • @user-yw7pm2ym5h

    @user-yw7pm2ym5h

    7 ай бұрын

    @@vamp_c502 태클이 맞으신거 같은데요 프로페서로서 능력이 출중하시다는 뜻이인거 같은데요

  • @vamp_c502

    @vamp_c502

    7 ай бұрын

    @@user-yw7pm2ym5h 읽는 사람이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그렇게 생각할 수 있기에 오해를 방지하고자 ‘태클은 아니고’란 말을 달았건만, 이 말 자체를 부정하면 ‘네 말 안 믿는다’로밖에 안 읽혀지고 말싸움하자는 것밖에 더 되나요? 제가 User-yw7pm2ym5h님의 다른 댓글에 부정적인 답댓글을 달아서 여기서 꼬투리(?) 잡을 심정으로 다신 댓글이라면 그냥 넘어 가겠습니다. 이 원댓글님만 괜한 알람 받게 되니까.

  • @user-yw7pm2ym5h

    @user-yw7pm2ym5h

    7 ай бұрын

    @@vamp_c502 제 댓글에 님께서 무슨 글을 남긴것 여부는 상관이 없어요 오해하셨다면 죄송해요 단지 저는 글 쓴분의 논리나 맥락이 님의 취지와는 다른거 같아서 썼을 뿐이예요 기분상하셨다면 미안하네요 ㅎㅎ

  • @Silver_099
    @Silver_0997 ай бұрын

    메가시티 이슈와 맞물려서 😂😂😂더 흥미로웠던 주제였어여. 서울은 더 팽창하기 보다 도시 곳곳에 녹지가 많아졌으면 합니다. 😊

  • @madeun
    @madeun7 ай бұрын

    오늘도 귀한 강의 너무 감사드립니다🎉

  • @Q-connect
    @Q-connect7 ай бұрын

    그림을 보는 재미를 더욱 키워주셔서 감사합니다. ~~너무 재미있었요 교수님의 눈빛 또한 반짝반짝하시네요 ^^ㅎㅎ

  • @user-tt9rr8mv9q
    @user-tt9rr8mv9q7 ай бұрын

    에드워드 호퍼전에 다녀와서 실망을 많이 했는데(특히 우리나라 기획에 대해)호퍼 그림을 건축가적 시각으로 다시 설명해주셔 새롭게 돌아보는 기회가 되었고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bkmk

    @bkmk

    7 ай бұрын

    '건축가적 시각' 인것은 아닙니다. 특히 호퍼의 창문과 보이어리즘에 관한 내용은 미술적 설명인것이고, 도시와 시대를 엿볼수있다는 의미로 만드신 영상같네요. 미술품을 이해할때는 그 시대와 배경이 매우 중요하니까요. 교수님의 미술과 화가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신 설명을 '건축가적 시각' 이라고 한정 지으시는것이 아쉬워서 댓글 남깁니다.

  • @user-bs8fs2hh9b
    @user-bs8fs2hh9b7 ай бұрын

    이야... 현시대의 최고 화가는 모두다! 결말까지 완벽하네요 좋아요 안누르는데 누를 수 밖에 없는 영상

  • @jisukim6394
    @jisukim63947 ай бұрын

    최고의 강의

  • @user-br5qu9uj9b
    @user-br5qu9uj9b7 ай бұрын

    더나은 세상을 만들기위해서 아이들한테 꿈을 꿀수있는공간이 필요하지요. 감사합니다.

  • @user-yn8cn8fs4w
    @user-yn8cn8fs4w7 ай бұрын

    시각과 관점을 넓혀주는 유익하고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보여주시는 영상 하나하나 다 몇 번씩 반복해서 듣고 싶지요. 책으로 비유하자면 소장 가치가 있는거죠. 행복한 기분이 들어요.

  • @user-mo3ny8cq4r
    @user-mo3ny8cq4r7 ай бұрын

    전 유아교육관련 강사예요 제 지경을 넓혀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재능과 능력을 공유할수있는 유툽의 순기능 만세!! ❤❤❤❤

  • @maya24601
    @maya246017 ай бұрын

    와.................. 박수 치면서 봤습니다.

  • @user-bj6cf9fe7x
    @user-bj6cf9fe7x7 ай бұрын

    교수님 ❤

  • @hyj7862
    @hyj78627 ай бұрын

    몇달전에 호퍼 전시회 관람한 적이 있는데 거기서 제공한 녹음된 큐레이터의 설명보다 현준님 설명이 더 좋네요 ㅋㅋㅋㅋ

  • @rubber-ball
    @rubber-ball7 ай бұрын

    와 그림과 역사를 건축의 관점에서 해석하시는거 너무 좋아요 교수님

  • @kkumirumi9260
    @kkumirumi92603 ай бұрын

    이런 강의 넘 좋아요!❤

  • @jaaeeshiny7936
    @jaaeeshiny79367 ай бұрын

    촬영 후 급한 일이 있으셨나봐요. 전체적으로 뭔가 서두르는 느낌이... 아무튼 흥미로운 관점에서의 해석 너무 감사합니다.

  • @vamp_c502

    @vamp_c502

    7 ай бұрын

    ‘편집’의 문제가 아닐까 추측됩니다. 많은 자료화면들을 삽입해서 그 자료화면들을 빨리 지나가게 만들다보니 ‘급한 느낌’이 든 것이 아닐까 하는… 그런데 또 모르죠, 실제로 교수님 일정이 워낙 빡빡해서 촬영 뒤 다른 약속이 있었을지도…

  • @user-en7ux3ty3t
    @user-en7ux3ty3t7 ай бұрын

    이번편 너무 재밌어요!!!

  • @novicemaster
    @novicemaster7 ай бұрын

    그림 안에서 그렇게 많은 것을 보신다니... 놀랍습니다. 가끔 알쓸2에 나왔었다는 걸 까먹어요. 그때 보여주신 건축학도는 인문학에도 밝아야 하는구나 하는 감상을 이 영상에서 다시 느낍니다.

  • @jee-eunback8065
    @jee-eunback80657 ай бұрын

    이런 강의를 듣다니 넘 감사합니다~~

  • @user-cj1hv2fu2j
    @user-cj1hv2fu2j7 ай бұрын

    제가 가장 좋아하는 스타일의 영상입니다. 다른 시대와 다른 분야의 연결점을 찾아서 요리조리 뜯어보고 다시 생각해보는... 그래서 내가 소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 @anaiega
    @anaiega7 ай бұрын

    1분전! 항상 잘 듣고 있습니다.

  • @user-yv2hz4xn4t
    @user-yv2hz4xn4t7 ай бұрын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oq1gz9sf2b
    @user-oq1gz9sf2b7 ай бұрын

    뭔가 오늘 따라 탬포가 더 빨라진 느낌이에요 장소와 시대를 초월해서 활동했던 작가들의 모습이 정말 흥비롭네요

  • @mieux4604
    @mieux46047 ай бұрын

    잘봤습니다 정말 좋네요!

  • @eychoi3131
    @eychoi31317 ай бұрын

    넘 잼있어요😊

  • @sskim1882
    @sskim18827 ай бұрын

    현대로 오면서 창문이 1개에서 새롭게 창문, 자동차 창문, 티브이, 셀폰 이렇게 늘었다 멋진 혜안입니다~~~

  • @user-nowhere
    @user-nowhere7 ай бұрын

    할 얘기와 하고싶은 얘기가 많으셨네요. 같은 풍경도 어떻게 창을 내어서 담느냐에 따라 건물 내외부의 분위기가 달라진다는 점에서 화가와 건축가도 같은 맥락에 있는거 같아요. 프레임의 힘이군요.

  • @hj.c7070
    @hj.c70707 ай бұрын

    19분 내내 몰입하면서 본 늘 한결같은 꽉 찬 느낌의 영상 감사드립니다~^^

  • @Blue-db3hl
    @Blue-db3hl7 ай бұрын

    너무 재미있고 통찰력 있는 교수님의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 @user-gs8ik4hm2p
    @user-gs8ik4hm2p2 ай бұрын

    예술문화에 밝은 사람은 이토록 섹시하구나를 몸소 보여주시는 분... 너무 재미있고 유익해요 행복합니다ㅠㅠ

  • @jun1635XVI
    @jun1635XVI7 ай бұрын

    항상 셜록님 영상을 보며 느끼는거지만 말씀을 참 잘 들어오게 쉽게 풀어서하지만 깊이는 놓치지않으심.. 정말 유튜브에 몇안되는 교양이 가득한 채널

  • @gaemsung
    @gaemsung7 ай бұрын

    재밌네요. 기존 건축과 관련된 지식과 예술이 만나니 정말 흥미로운 시각으로 해석이 가능하군요 즐겁게 보았습니다

  • @vnfma7
    @vnfma77 ай бұрын

    정말 애드워드 호퍼의 설명을 들을때 이창이 떠올랐는데 선물같은 해석입니다

  • @chu6257
    @chu62577 ай бұрын

    색다른 시선이 저에게 새롭게 다가오네요. 오늘 퇴근하고 12살 아들과 한번 더 보고싶네요. 감사합니다

  • @user-zd3gg8qz9s
    @user-zd3gg8qz9s6 ай бұрын

    어떻게 19분 내내 재미있을 수가 있죠 ㅋㅋ 고맙습니다

  • @user-in9lr4yw1x
    @user-in9lr4yw1x7 ай бұрын

    매번 영상 볼 때마다 과제, 시험없는 재미있는 교양수업을 무료로 듣는 기분이에요!

  • @NK-bl2jk
    @NK-bl2jk4 ай бұрын

    명강의 감사합니다

  • @jiheesee
    @jiheesee7 ай бұрын

    바라보시는 관점 view가 참 좋네요 컨텐츠 너무 유익합니다 ^^

  • @wygk5577
    @wygk55777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rx9lv6gt4g
    @user-rx9lv6gt4g7 ай бұрын

    연결을 잘해서 잘 해석해주시는군요. ^^

  • @user-wt6we8ob1m
    @user-wt6we8ob1m7 ай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의 건축가적인 시각으로 요새 화제가 되고있는 메가시티에 대한 견해를 듣고싶습니다! 정치적 내용은 최대한 피하고 도시개발에 관심이 많으신 건축가의 눈으로 봤을때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user-hu4pl9bb9h

    @user-hu4pl9bb9h

    7 ай бұрын

    진짜 메가시티에 대한 도시공학 전문가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 @chefearther7288
    @chefearther72887 ай бұрын

    재미있다~!

  • @user-yy6lv6vy7z
    @user-yy6lv6vy7z7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영상 감사합니다

  • @user-qy1be6ol8f
    @user-qy1be6ol8f7 ай бұрын

    재밌는 관점이였습니다. 👍

  • @psh0213
    @psh02137 ай бұрын

    교수님 몇주전에 스타필드에서 본적이 있있는데 정말 영광이였습니다

  • @user-ef5ik5fm9n
    @user-ef5ik5fm9nАй бұрын

    와👍👍진짜 귀에 쏙쏙~~~넘 재밌어요😍😍

  • @user-md1sb6oj1z
    @user-md1sb6oj1z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교수님 유투브를 통하여 서울 화신백화점앞 풍경 1960년대를 떠올리며 아름답고 찬란한 서울의 모습이 되돌려지기를 기대하고 기도합니다. 😊

  • @user-yw7pm2ym5h
    @user-yw7pm2ym5h7 ай бұрын

    뉴욕은 17세기 뉴암스테르담에서 출발해서 자본주의의 물류와 금융의 중심지로서 200년의 번영을 구가한 역사와 서울은 조선봉건왕조의 도읍으로 자본주의 이전의 권력의 중심에서 몇차례의 파멸적 위기를 거쳐 지금은 자본주의 도시로 세계적 허브가 된 역사 참으로 격동의 삶을 살아왔네요. 그림작품 속 역사적 맥락을 읽어 내시다니 감동받았습니다.

  • @itouch905
    @itouch9056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본 영상중에 가장 집중해서 본것 같습니다. 건축가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내용이라 너무 흥미롭네요

  • @btc_1217
    @btc_12177 ай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 @motions_world
    @motions_world7 ай бұрын

    셜록현준 채널 영상은 참 볼 때마다 새로운 세계에 발을 디디는 것 같네요. 단순히 예술적인 그린 한 장만으로 그 시대상을 자세히 파고들 수 있다는 게 신기하기도 하고, 또 얼마나 많은 배경지식을 알고 계시길래 상세한 내용 전달이 가능하신건지. 존경스럽네요.

  • @2daniel613
    @2daniel6137 ай бұрын

    와 대단하십니다. 교수님! 많이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 @cojaee
    @cojaee2 ай бұрын

    어려운걸 가볍게 풀어내시는게 교수님 능력이신듯 재밋네요😊

  • @user-xs7hh8ng7h
    @user-xs7hh8ng7h2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잘보았습니다

  • @JDI1225
    @JDI12257 ай бұрын

    정말이지 감탄하며 보게 된 통찰력 크으!!

  • @BaniaBanya
    @BaniaBanya7 ай бұрын

    항상 재미있게 강의 듣고 있어요. 항상 공부하고 연구하시는 분인 것 같아 존경합니다.

  • @user-ke8fu8vp3u
    @user-ke8fu8vp3u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edinson7370
    @edinson7370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lw3qr4xd5d
    @user-lw3qr4xd5d7 ай бұрын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항상 영상 감사히 잘듣고있는 건축과 대학생입니다 교수님의 시간이 허락한다면 피라미드와 스핑크스 등 불가사의 건축물에 대한 교수님의 견해를 들어보고싶습니다 !!😊

  • @bluepants135
    @bluepants1357 ай бұрын

    교수님 역사 얘기도 제가 좋아하지만 건축관련한 얘기를 할때 집중하게 되는 것 같아요

  • @ameliakim6089
    @ameliakim60897 ай бұрын

    재밌게 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 @lovesonnyhi9878
    @lovesonnyhi98787 ай бұрын

    Wow...진짜 이번꺼는 디테일에 디테일에 디테일이시네요👍👍👍 어케 이런걸 캐취하시지 이런게 보이는거 자체가 너무 신기하구 저도 그렇게 되고싶네요😊😊 마지막에 모두가 화가라는 멋진말도 기분좋게 듣구 갑니다~~~

  • @user-fc6ju2vy8g
    @user-fc6ju2vy8g7 ай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 @allegedINFJ
    @allegedINFJ7 ай бұрын

    최근에 에드워드호퍼 전시회에서 직접 본 그림들니 많네요. 교수님의 시선으로 다시 감상한거 같아 너무 유익했습니다.

  • @user-lq7bq4ho4i
    @user-lq7bq4ho4i7 ай бұрын

    교수님 요즘 가장 핫한 이슈인 메가시티도 다뤄주세요! 재밌을 거 같아요

  • @kinh8525
    @kinh85257 ай бұрын

    창문....🫢🫢🫢 명강의에요 진짜로....

  • @user-cd7rf2vo8v
    @user-cd7rf2vo8v7 ай бұрын

    새로운 레전드 영상..!

  • @japan_xes_food
    @japan_xes_food7 ай бұрын

    재미있는 강의 감사합니다

  • @trybeopen
    @trybeopen7 ай бұрын

    오늘도 고급진 내용 감사합니다.

  • @bravehearthaha
    @bravehearthaha7 ай бұрын

    Sorry but can staff add english subtitles? I really need it... Thank you!

  • @parkminkuk
    @parkminkuk3 ай бұрын

    좋은 건축가는 좋은 스토리 텔러인가 너무재밋군

  • @jinojohn3111
    @jinojohn31112 ай бұрын

    선생님은 셜록이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hi1ph1fq6e
    @user-hi1ph1fq6e4 ай бұрын

    씨름 발음 특이하셔서 인상 깊어요ㅋㅋ

  • @whshshssjs4053
    @whshshssjs4053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안목을 넓혀 주시네요.

  • @nadialiszt
    @nadialiszt4 ай бұрын

    유익한 영상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4:10에 나오는 월하정인(月下情人)이 월화정인으로 잘못 표기되어있네요:)

  • @user-lm6df5sb1u
    @user-lm6df5sb1u7 ай бұрын

    영화 이스케이프룸의 방 분석해주세요..!

  • @user-hw8xu2fd1h
    @user-hw8xu2fd1h7 ай бұрын

    빌드업 지렸다...

  • @eiee7436
    @eiee74367 ай бұрын

    정말 재미있고 신나요 ❤ 감사합니다

  • @user-td5js6yg5k
    @user-td5js6yg5k7 ай бұрын

    오늘 영상 정말 유익했어요. 저의 그림보는 안목이 한단계 올라간 느낌 입니다 에드워드 호퍼의 영화 셀리의 ^^^. 제목이 생각안나는데 다시 보고 싶어요. 혹시 아시는분 계시면 올려주세요. 너무 오래전 영화라 제목이 가물가물 합니다 . 언제나 멋진 교수님 감사드립니다 ❤

  • @vamp_c502

    @vamp_c502

    7 ай бұрын

    SHIRLEY - VISIONS OF REALITY. kzread.info/dash/bejne/dqmVma18pM6vnZM.htmlfeature=shared

  • @user-no7om1tm1f
    @user-no7om1tm1f7 ай бұрын

    제발 제발 제발 제발 제발 제발 도시문헌학자 김시덕 박사님과의 콜라보 부탁드립니다❤❤인문학점 관점에서 건축과 도시에 관한 토론을 통해 좋은 인사이트를 얻고싶습니다^^

  • @fix_do112
    @fix_do1127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인프라가 중요하구나..

  • @Maniac_Sora
    @Maniac_Sora7 ай бұрын

    에드워드 호퍼 그림 무드가 너무 좋음 ㅜㅜ

  • @user-ev9ni7ch8s
    @user-ev9ni7ch8s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정조시절 유럽에는 최초의 근대화가이자 궁정화가인 동시에 기록화가인 고야가 등장했죠. 서양 미술사의 역사는 생각보다 길지 않습니다.

  • @newn8977
    @newn89777 ай бұрын

    셜록현준님 메가시티 어떻게 생각하세요. 메가시티 장단점 얘기해주세요~!

  • @ThePunkthaus
    @ThePunkthaus7 ай бұрын

    와 0:04

  • @jaebokjoung6106
    @jaebokjoung61067 ай бұрын

    교수님 오늘은 바쁜일 있으신가봐요

  • @walkers4683
    @walkers46833 ай бұрын

    영정조 시대는 소빙하기 시대라서 이때부터 온돌이 크게 유행했다 하더라구요 그래서 온돌의 뗄감으로 쓰기 위해 전국적인 벌목이 일어났고 우리가 아는 "조선의 붉은 산"은 이 시대부터 나타난 현상이라고해요 정조만하더라도 어릴적까지만해도 산들이 그래도 푸르렀는데 왕이 되고 보니 전부 민둥산이구나 라고 탄식하는 내용이 실록에 적혀있기도 하죠

  • @user-nx5sb8xz6k
    @user-nx5sb8xz6k5 ай бұрын

    몰랐던 이야기들을 재미있고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교수님의 언변에 놀랍니다.😅

  • @Yi_Ryeong
    @Yi_Ryeong7 ай бұрын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