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뉴스] "나날이 가난해지는 일본 직장인들"...일본이 '슈퍼 엔저' 덫에 빠진 이유 (ft.이창민 한국외대 교수) / 교양이를 부탁해 / 비디오머그

슈퍼 엔저 때문에 일본 정부는 부유해지고 직장인은 가난해진다? 일본에 '원코인 런치'라고 있었잖아요. 500엔짜리 동전 하나로 식사를 할 수 있는 식당이 되게 많았는데 원코인 런치가 사라졌어요. '일본에서 음식값이 이렇게 올랐다고?' 기름값 오르고 식량 가격 오르고 이것저것 다 오르는데 내 월급은 생각보다 오른 것 같지는 않고. 왜냐하면 일본이 물가가 오르는 거에 비해서 임금 오르는 속도가 늦어서 실질임금은 지금 하락했거든요. 그러니까 일본에 살고 있는 평범한 직장인들은 좋은 게 별로 없죠. 사실 일본이 30년 동안 명목임금과 실질임금이 크게 변하지 않은 이상한 나라이거든요. 실질임금이 변화하지 않았다는 거는 구매력 그다음에 생활 수준이 계속 하락을 했다는 뜻이죠. 이거는 일본 말고 한 나라가 더 있습니다. 이탈리아가 그래요. 그런데 명목임금이 큰 변화가 없는 나라는 전 세계에서 일본이 유일합니다. 명목임금이 변화가 없다는 건 어떤 뜻이냐 하면 아버지가 직장에서 받은 초임 월급과 내가 직장에서 받은 초임 첫 월급이 금액적으로 비교가 가능하죠. '아버지 얼마 받으셨어요? 나하고 1만 원 차인데' 이게 가능하다는 얘기거든요. 30년이 지났는데 그렇죠. 일본이 실제로 90년대 중반에 대졸 초임 첫 월급이 한 20만 엔쯤 됐어요. 30년 동안 큰 변화가 없다가 2022년 돼서 21만 엔 됐고요. 올해 22만 엔 됐습니다. 그러니깐 뒤집어서 얘기하면 뭐냐 하면 작년과 올해에 엄청나게 오른 거예요. 그래서 아직까지 경기가 좋아졌다는 걸 체감하는 일본인은 없겠지만 그래도 뭔가 변하고는 있다. 주가도 오르고 물가도 오르고 임금도 오르기 시작하고 변하고 있다는 걸 체감하고 있을 겁니다.
[제작진]
기획•연출: David / 작가: 김성민 / 영상취재: 박승원•박영일 / 편집: 현승호 / 콘텐츠디자인: 고결•김정연 / 인턴: 권도인
[비즈니스 문의]
교양이를 부탁해, 출연•협찬•콘텐츠 문의: davidhan@sbs.co.kr
✔신뢰할 수 있는 재미, 비디오머그 VIDEOMUG
#비디오머그 #슈퍼엔저고착화 #일본직장인 #원코인런치 #인플레이션 #임금격차 #교양이를부탁해
▶비디오머그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mugTube
▶Homepage : n.sbs.co.kr/videomug
▶Facebook : / videomug
▶Twitter : / videomug_sb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Пікірлер: 510

  • @spgj1552
    @spgj15527 күн бұрын

    현재 우리나라도 내수기반의 중.소기업이 너무어렵습니다... 원료는 대기업것 사용하고 내수판매는 줄어든 반면에 인건비하고 전기세가 엄청 올라서 너무 힘들어요... 정부나 관계부처는 신경을 전혀 안써요....중소기업 사라지고 있습니다

  • @superboard2930

    @superboard2930

    7 күн бұрын

    어떡합니까.. 국민들 돈으로 생색내는 그쪽 정치인들에 몰표 몰아주는 님들이 만든 세상인데 이 악물고 버티세요

  • @user-gi9qs5jt7q

    @user-gi9qs5jt7q

    7 күн бұрын

    경쟁력 없고 친인척 꽂아서 인건비만 빼먹는 좀비기업들 다 없애야죠

  • @hemlama111

    @hemlama111

    6 күн бұрын

    ​@@superboard2930국힘이라고 다르노 ㅋ 2찍이나 1찍이나 그서그다

  • @superboard2930

    @superboard2930

    6 күн бұрын

    @@hemlama111 님 하는 이야기가 국힘뽑아놯더니 여가부도 안없앤다 ㅇㅈㄹ 여가부 없애자는 당 vs 여가부 두배키우자는 당 이걸 비교하는 정도의 수준임

  • @user-be8eu8to4z

    @user-be8eu8to4z

    6 күн бұрын

    뭐 원레부터 안 좋았는데 더 안 좋아지는 거지 뭐

  • @user-ym2un7oi7r
    @user-ym2un7oi7r2 күн бұрын

    일본은 90년대 부터 버블붕괴, 저출산, 고령화, 자연재난 등 사회가 발전하면서 겪는 문제들을 다 지나왔음 이제 바닥까지 내려온거임 본래 일본이라는 나라의 경제수준으로 회기한 것임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하고 노인이 되면 국가 경쟁력이 하락할 수밖에 없음 반면 유럽 선진국들은 아랍계 이민자들을 대거 받아서 어찌저찌 굴러가는 것처럼 보이는거지 순수 백인 출산률은 한국보다도 못할것임 반면 그럼에도 일본은 초고령화 정점을 지나서 점차 나아지고 있음 본질적인 문제는 경제력이 아니라 국가 존속여부에 있음 한국 사회는 이 긴 터널을 넘지 못 할것으로 보임 인구가 1천만명만 줄어도 현재 국가시스템 붕괴됨, 2050년 한국의 인구예측이 3,500만명임 결론: 일본은 가난할지언정 안망함 한국은 이미 망해있음

  • @user-ow7ze1qn3g
    @user-ow7ze1qn3g7 күн бұрын

    둘다 서민은 가난하고 부자는 더 부자가 된다.

  • @Buildinglord

    @Buildinglord

    6 күн бұрын

    원래 그런거임... 자산가치가 항상 물가 상승률보다 높아지고 노동가치는 항상 물가 상승률보다 낮아져서 ㅇㅅㅇ

  • @nanashingo6294

    @nanashingo6294

    6 күн бұрын

    안 그런 세상이 있나? 뭔 소리야 ㅋㅋㅋㅋㅋㅋㅋ 가난하니 서민이고 부자니까 부자인거지 그럼 가난한 사람이 부자가 되고 부자가 거지가 되는게 정상인가?? 서민서민 거리는 서민코스프레 좌파충들 진짜 뇌가 없는 거 같아

  • @e0173

    @e0173

    5 күн бұрын

    차이는 하나지 행복도, 소속 자부심, 안정감.. 대기업이 ㅈ소라 불리는 계급판 한국과, 중소나 대기업 월급이 엄청 큰 차이가 아니라서 직장서민들이 극한 시기질투, 계급화에 몰두안하고 자기일에 프라이드있게 사는것

  • @muntangi

    @muntangi

    5 күн бұрын

    자본주의시대에 뭔..

  • @ahsvdh-1248

    @ahsvdh-1248

    5 күн бұрын

    자연스러운거지 부자 시기질투하고 세금팍팍걷으라는 1찍이 되지말고 노력해서 부자가 될생각을 하자

  • @Dragon-ht3nv
    @Dragon-ht3nv7 күн бұрын

    제가 일본에 있으면서 본 치명적인 모습은 사회분위기상 기본급은 인상하지만 보너스를 과감히 삭감하면서 회사의 총인건비는 변화가 없슴. 그런데 문제는 65세 정년시행으로 정년이후의 재계약자가 엄청 늘었음에도 총인건비는 변화가 없다는 무시무시한 현실. 돈이 없으니 회식도 , 여행 심지어 국내여행도 포기함. 25개월 연속으로 실질임금 감소중인데 일본경기가 좋아지고 있다 ???

  • @user-jo7bp5xb2e

    @user-jo7bp5xb2e

    7 күн бұрын

    일본은 임금상승하고 돈풀고 있어서 평균 가정당 백만원이상 받고 있는데, 님은 못 받았는지? 전 6월에 세금감면으로 8만엔 돌려 받고, 미성년자 있음 1명당 4만엔씩 더 받고요 ㅋㅋ 작년말엔 연금만 받는 노인들 가정당 3만엔씩 줬고 올초엔 저소득층 가정당 7만엔씩 주며, 물가상승 2%대를 위해 계속 0.1%금리 유지고 계속 돈 풀고 있죠 ㅋㅋ

  • @stevek26

    @stevek26

    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랑 똑같네 우리나라도 상위임금만 오르지 하위는 변화없음 기본급 오른만큼 상여링 수당 다 깎음

  • @eropero

    @eropero

    7 күн бұрын

    ​@@user-jo7bp5xb2e6월에는 소득세만 감면 아니였나요?? 7월부터 주민세도 빠지고

  • @user-ke5bp7kb5y

    @user-ke5bp7kb5y

    7 күн бұрын

    @@stevek26도대체 어느 회사를 다니길래; 주변 중소다니는 애들 말 들어봐도 다 오르던데

  • @user-jo7bp5xb2e

    @user-jo7bp5xb2e

    7 күн бұрын

    @@eropero 찾아보니 지역마다 다르다네요 ㅋㅋ제가 사는 곳은 6월에 주민세 세금감면으로 돌려받네요 ㅋㅋ

  • @jkstyle9597
    @jkstyle95973 күн бұрын

    제가 생각하는 양국의 주목할만한 차이점은 1. 연금개혁 일본은 2004년부터 연금개혁을 시작하여 13%대에서 현재 18.3% 까지 보험료율이 인상된 상태입니다. 하지만 일본도 출산율 감소로 현재 연금수령액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험료율이 20% 이상이 되어야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이제 연금개혁을 고려중임으로 회사와 개인의 부담이 앞으로 커질거란 의미입니다. 현재 출산율 추이로 정부가 이야기하는 요율로 많이 부담하고 많이 받는다는게 과연 가능할지는 모르겠습니다. 2. 국민연금수령 한국의 자영업자비율은 25% 정도, 일본은 10% 정도라고 합니다. 90% 정도의 일본국민이 급여생활자라 후생연금(국민연금)에 가입되어 있는데 일본의 경우 본인 이외에도 배우자까지 연금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이 부분이 한국과 가장 큰 차이점인데, 국내의 높은 노인빈곤율 측면에서 생각해볼 문제인것 같네요. 뭔가 일본은 길고 긴 터널을 빠져나오는 느낌인데 우리는 이제 끝이 안보이는 터널앞에 서 있는 느낌이라 쫄리긴 하네요.

  • @ryukiryung
    @ryukiryung6 күн бұрын

    선생님의 논리가 저한테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좋은 말씀 잘 듣고 갑닏..😊❤

  • @xxpk9901
    @xxpk99016 күн бұрын

    일본 경기가 좋아져 보이는건 허상이죠 .. 실제로는 엔화의 가치가 떨어진거죠 ... 돈의가치가 떨어지니깐 ... 자산 물건 노동의 가치가 올라간것 처럼 보이는거죠 실질적 가치는 그대로인데 말이죠

  • @jwk5178

    @jwk5178

    4 күн бұрын

    엔화 달러당 160엔 ㄷㄷㄷ

  • @gapdpt3215

    @gapdpt3215

    2 күн бұрын

    금리차이는 모르고… 우리나라는 금리 올려놓고도 슈퍼달러라고 이러고있는데…

  • @user-rl9el5pn8s
    @user-rl9el5pn8s4 күн бұрын

    다른 나라랑 임금차이를 비교하지말자..어느나라든 돈 있는 자들이 싸게 노동력 사용할려는게 현실이다..더 많이 줄이느냐 더 많이 주느냐 차이일뿐..물가를 비교하면..다 적게 주고 있는거다

  • @user-uc3fk5cv2o
    @user-uc3fk5cv2o5 күн бұрын

    유익하네요.

  • @MINHO_J
    @MINHO_J7 күн бұрын

    일본 갓시절에 부동산으로 망가진분들 공원가면 많이 보여요 여행가는 분들은 모르실수도 있겠지만 빈부도 엄청 심하고 한국도 일본처럼 가는중

  • @e0173

    @e0173

    5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다를듯 일본이 중국인들이 막 들어와서 집사고 막 그러나. 한국은 정치인들이 다 한마음으로 중국인 환대하는 방향이지 부자 중국인이 많이 차지하고 들어와야 내 자산부동산이 팔리니까. 일본이랑 다르게 갈듯

  • @assaassa7663
    @assaassa76636 күн бұрын

    0:03 한국 직장인들이 일본 직장인들보다 부유한가?? --> 중요하지 않은 질문.. 도토리 키재기.. 둘다 3만5천달러. 지금 우리는 1인당 국민소득 8만달러 이상 상위국가인 미국, 싱가폴, 서/북유럽과 비교해서 한국이 어떻게 하면 이런 나라들처럼 부자나라가 될수 있는지를 고만해야.. 그 나라들은 "기술발전"으로 부자가 되었다.. 따라서, 한국정부는 R&D 투자를 늘리고 똑똑한 인재들이 의대보다는 이공계로 진학할 수 있도록 두 직업군(의사 vs 연구원)간 "상대적" 처우를 조절해야.. (수능 상위 0.1% 수재들이 모두 의대에 진학하는 이유는, 의사가 연구원보다 3배 이상 많이 버니까 .. ) 상대적 처우 조절하면 한국 국민들도 1인당 소득 8만달러 될것이다. 그럼 의대증원 해야할까? 말아야할까? 20년전 변호사 수를 3배 이상 늘렸을 때 변호사 연봉이 어떻게 됐는지 보면 답은 나온다..

  • @jason_cha
    @jason_cha7 күн бұрын

    직장인도 대기업 다니는 상위권과 중하위권의 상황이 다르겠죠. 일본의 경우 임금격차가 벌어지고 있어서 중하위권은 임금이 아직 올랐다고 할 수 없을 거 같고요. 그건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인데, 대기업 다니는 상위권은 잘나가고 있지만, 물가 오른 거에 비해 중하위권 직장인 연봉은 거의 오르지 않았기 때문에 체감상 느끼는 실질 임금은 오히려 떨어지고 있죠.

  • @Cresent999

    @Cresent999

    6 күн бұрын

    정답

  • @Sky-tm4hc
    @Sky-tm4hc4 күн бұрын

    근데 일본의 이런 사실을 우리가 왜 알아야하지! 우리도 힘든데!!

  • @user-ge6ef7pq1p
    @user-ge6ef7pq1p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정치인들 중에 절반정도는 일본을 롤모델로 삼고 있는 것같음...정책펴는 거 보면 일본 따라감

  • @ultra-devilsparrow2917

    @ultra-devilsparrow2917

    5 күн бұрын

    따라가는 건 좋은데 개선이 아니라 개악이 된 것도 꽤 많음.

  • @hsisyk70

    @hsisyk70

    3 күн бұрын

    일본 엔저는 아베가 무제한 달러스와프 믿고 엔화를 마구 찍어서인데, 우리나라 국가부채 많다니까 찢이 원화 찍어서 갚으면 된다했었음

  •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Күн бұрын

    여가는 한국만 있음

  • @ThomasKim0128
    @ThomasKim01286 күн бұрын

    저는 올해 4.2% 기본급 올랐네요... 6월에 주민세랑 소득세 감면받아서 평달보다 조금 더 받은 느낌..

  • @user-jq9ll9yk8y
    @user-jq9ll9yk8y7 күн бұрын

    들어보고 나니까 전부 우리나라 문제인데... 심지어 일본은 대기업 근로자가 전체의 30%인데 우리나라는 고작 10%라서 중소기업과의 격차가 실질적으로 더 크게옴 양극화 더 심각함

  • @user-kl3ls2oi5d

    @user-kl3ls2oi5d

    6 күн бұрын

    중견기업이 열심히 커서 대기업되면 대기업이라고 뿅망치 때리기만 급급하니 참... 와중에 제조업 죽어가는데 아무도 관심 안가져주고 반도체만 바라보고 있고

  • @FactBomber0922

    @FactBomber0922

    5 күн бұрын

    대기업 국책사업 일감 몰아주기+그걸로인한 낙수효과 대기업의 하도급 단가 후려치기, 대기업의 중소&하청 기술뻇기 한국의 기업문화죠

  • @user-uf3pi8of2q
    @user-uf3pi8of2q2 күн бұрын

    한국 걱정하지말고 일본걱정이나 해라❤❤❤❤❤😊😊😊😊😊😊😊

  • @user-um8qj1fu4t
    @user-um8qj1fu4t5 күн бұрын

    현실은 일본걱정이 아니라 우리나라가 더 심각하고 큰문제 입니다.

  • @kyw1125
    @kyw11257 күн бұрын

    한국 깁밥 포지션인 규동도 가격이 오름 하지만 아직도 한국뽀다는 개저렴

  • @user-kl2us4sr3v
    @user-kl2us4sr3v6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일본 둘다 중소기업 시작임금 200남짓합니다. 근데 한국은 사과 하나가 7000원입니다. 일본보다 한국이 쓸수잇는게 더많다? 빅맥지수가 한국이 압도하는데 어떻게 쓸돈이 더많은지... 참 기묘한 분석이네요... 일본 전문가들도 한국의 물가를보고 기겁을하는데 정작 내국인은 물가가 안정적이라는 분석... 참 기묘한 내용 입니다

  • @jinjeon2034

    @jinjeon2034

    6 күн бұрын

    공공요금 세금 때문에 그렇습니다 단순히 주민세만 비교해도 일본은 거의 연봉 10%입니다 한국은 얼마인가요?2-3만원 하나요?단순히 슈퍼물가가 전부가 아닙니다 여행이랑 사는건 전혀 다릅니다

  • @jinjeon2034

    @jinjeon2034

    6 күн бұрын

    물론 한국이 일본보다 잘산다 일본이긴다 이런뜻도 아니니깐 오해는 하지마세요 단순히 옛날 일본이 아니다 이얘기를 하고 싶은겁니다 저도 한국이나 일본이나 다를거 없어요 굳이 일본까지 와서 살필요는 이젠 없다 이뜻

  • @jinhokorean1129

    @jinhokorean1129

    6 күн бұрын

    공공요금, 세금때문임... 쇼핑물가는 한국에 비해 많이 싸죠 ㅎㅎㅎ... 한국도 공공요금 세금 오르면 일본이랑 비슷해질 거예요...

  • @user-kl2us4sr3v

    @user-kl2us4sr3v

    6 күн бұрын

    @@jinjeon2034 내년부터 국민연금만 14프로 떼갑니다만...일본보다 적지않아요 35프로면

  • @orangeandpeko

    @orangeandpeko

    6 күн бұрын

    쿠팡 가면 사과 한알에 2천원이면 사던데요? 그냥 명절 직전 단합 못잡아서 그렇게 오른거 아닌가요? 일본도 올해 토마토 한알에 5-6천원 하던 시기가 있었는데 그게 평상시 가격은 아니죠. 막상 일본살면 식재료 그렇게 싸지도 않습니다. 당장 보면 주식인 쌀 감자 계란도 한국이 싸고, 수박도 한국이 싸고... 그냥 주로 쓰는것중에 더 싼거 더 비싼거 있는거죠.

  • @choi0no
    @choi0no7 күн бұрын

    우리는 만원짜리 점심도 없는데...

  • @toteac1

    @toteac1

    5 күн бұрын

    서울, 경기도만 그런거 아닌가요? 지방에만 와도 점심 만원도 안되는거 차고 넘치는데

  • @user-gj3it1qq2k

    @user-gj3it1qq2k

    5 күн бұрын

    대전기준 기사식당 최소 8천원 스타트네요 엔화로 치면 900엔정도 되겠네요 ㅋㅋㅋㅋ

  • @idol272

    @idol272

    Күн бұрын

    뭔소리를 개소리를 하노

  • @aloha314
    @aloha314Күн бұрын

    일본 밥값이 올랐다고 하더라도 한국보단 혜자임

  • @user-ob7mz1qo8c
    @user-ob7mz1qo8c7 күн бұрын

    과연...... 30년전에 알바할때보다 지금 살아가는게 더 갑갑하다

  • @user-ub1dx6fp7g

    @user-ub1dx6fp7g

    6 күн бұрын

    막상 그때가면 또힘듦

  • @Happynism

    @Happynism

    6 күн бұрын

    그럴까요?? 근데 제 기준엔 그당시 기본 주6일 무조건 야근이라 그래도 지금보단 안좋지 않았나? 글고 알바할 당시엔 워냥 최저시급이 작아서 주7일 12시간씩 일하고 80이 안되는돈 가져갔습니다. 당시 경제성장률 매년 최고치 갱신할 즈음인데... 많게는 8~12%까지..

  • @e0173

    @e0173

    5 күн бұрын

    지금 일본여행, 동남아 여행 경험이라도 가는 회사원들 대기업들이 안죽고 살아있어 더 먾은 자국시민이 누렸어요 과거 아버지들 보세요.. 주6일, 주말엔 부장에 등산 끌려가도 찍소리못하던 시대가 얼마 안됐어요..

  • @rnrnrnrn-ho5fj
    @rnrnrnrn-ho5fj5 күн бұрын

    보통 보면 인구 적은 나라가 gdp 높고 인구많은 나라는 gdp가 비해서 별로 높지 않은 거 같은데 인구수가 gdp에 영향을 주나요?

  • @xxpk9901

    @xxpk9901

    4 күн бұрын

    인구수가 적으면 그만큼 총gdp 도 적으니까요 특정산업 한개만 잘되거나 석유가 터지거나 하면 Gdp가 수직상승하게되죠 반면에 인구수가 많으면 한두개 잘된다고 해도 조금 올라갈뿐이지 큰 영향을 못끼칩니다 인구수 적다고 gdp가 올라가는건 아니지만 인구수가 적으면 gdp를 빠르게 올릴수 있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겁니다

  • @dreamer5958
    @dreamer59585 күн бұрын

    남 얘기하고 있을 때가 아닌거 같은데

  • @sungmook21
    @sungmook215 күн бұрын

    일본 사는데 회사 주변에 가도 점심 보통 1000엔에서 1200엔 사이.. 맥도날드가면 800엔정도임..

  • @hwanholee529
    @hwanholee5296 күн бұрын

    이렇게나 똑똑한 사람도 많은데 한국 증시나 서민 경제는 왜 개판일까요?

  • @user-er9yi8ch1i
    @user-er9yi8ch1i6 күн бұрын

    내각제 정치구조 때문임, 우리나라 언론적폐도 시도 중입니다, 분권형대통령제, 국무총리 복수추천제, 중대선거구제가 그 시초 임.

  • @toto__1926

    @toto__1926

    5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어이가 없네 ㅋㅋㅋㅋㅋㅋㅋ 그래서 대통령이 임금하는 한국에서는 문재앙 임금님때 그렇게 나라가 조져졌음 ?

  • @ksh3561
    @ksh35615 күн бұрын

    왜 자꾸 선진국 일본이랑 동급인것처럼 비교해;;;

  • @renoacine
    @renoacine5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격차가 49%입니다. 대기업이 월급 100만원 받으면 중소기업은 49만원 받는거에요 그게 90년대 초 까지만 해도 100 대 89였습니다. 이게 아이엠에프 터지고 개판난거죠 이 격차를 해결 안하면 계속 서민부담이 커지는거고.. 이 체계가 국난극복한다고 만든건데 아이엠에프 지나고도 안고쳐진겁니다.

  • @junolee3424
    @junolee34245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가 더 심각하다 남의 나라 걱정할 때가 아니다

  • @kkimkkim
    @kkimkkim6 күн бұрын

    그냥 한국인들이 듣고 싶어하는 말만 해주네요ㅎㅎ

  • @roidkou

    @roidkou

    5 күн бұрын

    그러니 다들 국뽕채널보고 자기위안하며 나락가는거죠

  • @user-fr5xv7kh4x
    @user-fr5xv7kh4x7 күн бұрын

    오늘 엔달러160엔봤냐??~30년끝나고 다시50년온다!!~

  • @darkngel012
    @darkngel0127 күн бұрын

    인구는 적어지고 빈부격차는 늘어나고 이게 전형적인 망하고 있는 나라의 표본이지

  • @user-ht5ub9mt7w

    @user-ht5ub9mt7w

    7 күн бұрын

    한국이 일본보다 더 심한가라고 질문하면 yes

  • @otoshikami52

    @otoshikami52

    7 күн бұрын

    한국이 몇 배는 더 심하고 남녀갈등 좌우갈등 나이갈등에 혐오커뮤니티는 존나 활성된 나라에서 일본 망했네 끌끌 거리는 게 제일 코미디임

  • @user-iamwhoiam4141

    @user-iamwhoiam4141

    7 күн бұрын

    한국이잖아?

  • @user-bk3uy1md1v

    @user-bk3uy1md1v

    7 күн бұрын

    ​@@otoshikami52 일본은안그런거같냐? 요새 일본도 남녀갈등 개심해지고 일본인들도 헬재팬 헬재팬이라는 말이 유행한다드라 ㅋ 일본인 유튜버가 직접말한말이고 일본인도 결혼 연애 출산 안할려고 한다드라 ㅋ 영토크기 인구 대략 2~3배아니냐 ㅋ 출산율 1. 몇대면 한국 2배정도아니냐 딱 또이또이다 ㅋ 일본 찬양해서 니가 얻는게 뭐냐 ㅋ

  • @Swamde

    @Swamde

    7 күн бұрын

    한국이 더심해 일본이 먼저 죽을까 한국이 먼저 죽을까? ㅋㅋ

  • @Sungjin1000
    @Sungjin10005 күн бұрын

    0.6출산률 2030 취업안하는 대한민국이 더 심한거같은데 ㅋㅋ

  • @gapdpt3215
    @gapdpt32152 күн бұрын

    일본 대기업 30퍼… 우리나라 자영업자가 몇이더라… 누가 누굴걱정할때가 아닌거 같은데

  • @user-ju8fj7xd4g
    @user-ju8fj7xd4g5 күн бұрын

    한국, 일본 둘 중에 누가 더 잘 사는 지 보다 과거의 나보다 지금의 내가 더 잘 사는 게 나에겐 더 중요합니다

  • @mranderson_2961
    @mranderson_29617 күн бұрын

    잃어버린 30년 끝! 잃어버린 40년 시작!

  • @SteelBloodQueen
    @SteelBloodQueen5 күн бұрын

    4:36 일본은 국민의 30%가 대기업 근무한다니 대단하네요.. 울나라는 5%도 안된다고 하던데...

  • @user-yl1bx5le5m

    @user-yl1bx5le5m

    Күн бұрын

    그만큼 비용 효율이 안나온다는거겠죠?

  • @seung-jeyang3746
    @seung-jeyang37467 күн бұрын

    유독 일본에 대해 부정적인 영상 나오면 남 걱정 할 때 아님 변호하네 ㅋㅋ 중국이나 다른나라 부정적인 뉴스 나오면 신나게 까면서

  • @user-it9vu7mu6i

    @user-it9vu7mu6i

    7 күн бұрын

    ㅋㅋ ㅇㅈ 그낭 일본이 이런 상황이다 라고 이야기 해주는데 자꾸 우리나라 비교 대입해서 이야기함 이러니 노답이지 저런 사람들은 어떤 이야기를 해도 주제와 맞지 않는 비관적인.이야기만 할 사람들입니다. 서로 소통이 가능한지 의문임.. ㅋㅋ

  • @normal77079

    @normal77079

    7 күн бұрын

    일뽕은 답이 없음. 그 어떤 뉴스가 나와도 한국과 비교하며 일본을 쳐올리느라 정신없음. 일본의 상황만을 판단하고 생각해야하는데 뜬금없이 한국을 대입함. 저런 애들은 미팅 해보면 하나의 주제로 이야기 못함. 그냥 물타기나 주제를 비껴나간 이야기만 하니까 대체 쟤는 어떻게 회사생활하나 싶은 애들이 댓글에 수두룩하게 보임. 일본을 논해야지 왜 한국 이야기하는지 모르겠음.

  • @user-sk7wt5mh2p

    @user-sk7wt5mh2p

    7 күн бұрын

    일본이 겪은 일들이 한국에서 그대로 일어나기 때문에 일본 걱정이 아니라 한국 걱정이라 봐야지. 1찍은 능지문제로..

  • @voxclear

    @voxclear

    7 күн бұрын

    남걱정할게 아니라고 하는게 변호냐?

  • @noopen8282

    @noopen8282

    7 күн бұрын

    산업구조도 비슷하고 인구상황도 비슷하고 한국의 10년후가 일본이라는 조크가 있듯이 한국 일본 앞으로의 발전의 원동력이 있나? 둘다 피크는 이미 찍고 서서히 내려오는 상황임 심지어 중국도 이제 내리막임

  • @owleyez
    @owleyez5 күн бұрын

    일본, 중국, 한국이 나란히 내려앉나요? 힘냅시다.

  • @maykim8916
    @maykim89165 күн бұрын

    지금 한국이 일본경제 걱정할 상황인가요? 대리 만족용 진통제인가요?

  • @toto__1926

    @toto__1926

    5 күн бұрын

    586, 4050, 멍청한 여자들 민주당 찍으라고, 이민가지 말라고 이러는거죠 ㅋㅋ

  • @Urattatt

    @Urattatt

    3 күн бұрын

    일본걱정좀 하세요. 저거 우리나라에 똑같이 일어나고 있는데 일본정책이 성공을 해야 우리나라도 답을 찾을 수 있죠. 전에 책을 보니 우리나란 광복이래 일본 독일이 성공한 정책만 골라와서 이렇게 역대급 성장이 가능했다고 본적 있네요.

  • @mujuchopa

    @mujuchopa

    2 күн бұрын

    @@Urattatt 자원도 없어 땅도 쫍아 주위에 전세계 탑급 꼴통들에 둘러 쌓여있어 가진건 머리와 몸뿐....그래도 이만큼 살고있다는게

  • @dj-k3044
    @dj-k30443 күн бұрын

    일본을 걱정할때가 아니에요. 우리나라가 지금 너무 조용하지 않나요? 고요속의 폭풍이라고 왜 우리나라에 대한 경제 현실반영 뉴스는 현재 어디에도 나오질 않아요.

  • @user-ng8ib2mi3b
    @user-ng8ib2mi3b6 күн бұрын

    현실은 완전고용의 일본 VS 취업빙하기가 끝나지않는 한국 일본에서 주재원으로 오는 엔지니어들 숱하게 만나봤지만 다들 대학도안나오고도 연봉 6~700만엔대 받는 고졸출신도 많음.

  • @user-ok9hu9rr6y
    @user-ok9hu9rr6y5 күн бұрын

    그래서 금이 안전자산인 것이죠.

  • @betlelis
    @betlelis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나 일본이나 직장인들은 도찐개찐이다!!

  • @jhh7933
    @jhh79337 күн бұрын

    그래도 일본은 금융수지에서 엄청난 흑자를 벌어들이고 있기 때문에 무역수지와 서비스 수지 적자를 보전하는 형태지만 우리나라는 무역 수지 적자나면 답이 없음 즉 똑같은 무역수지 적자라고 해도 같이 생각하면 안된다는 거

  • @ashhh2210

    @ashhh2210

    7 күн бұрын

    (엔은 160을 돌파하며) ㅋㅋ

  • @user-hj5zp2pw5s

    @user-hj5zp2pw5s

    6 күн бұрын

    잘 찾아보셈 이제 단순히 그런구조아님

  • @mujuchopa

    @mujuchopa

    2 күн бұрын

    엔저가 뭔지 모르는 머저리인듯

  • @JG-in4nl
    @JG-in4nl7 күн бұрын

    일본이 과거, 임금상승이 없고, 물가상승이 없다는 통계를 본인이 해석하면, 기업들 입장에서, 임금을 동결하고, 종신고용의 형태로 묶어두는 구조였고 , 그러니 . 직장인들 입장에서도, 임금상승이 높지 않더라도, 종신고용이라는 안전성을 보장받으니. 받아들이고 살았던 것임. 이런 상황에 기업들은, 인건비 비중이 고정돼 있는 상황이니. 굳이 물건 가격을 올릴 필요성이 없었음, 그대로 과거와 비슷한 가격으로 판매해도 , 가능한 비진니스 구조를 갖추고 있었던 것임. 위의 이야기는 대부분 일본 내수 기업들의 상황을 말한것임. 여기서 이제 의문점이 생기기 시작함. 예전에는 글로벌 고물가가 아니였으니. 저런 시스템이 가능했는데 갑자기 세계적 고물가 상황이 생겼고, 그에 따라, 외부적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상황임 . 또한 , 일본의 엔저를 보면, 말도 안되는 수준인데도 불구하고, 일본의 물가 상승률은 높지 않았음, 다른 국가들은 미친듯 뛰는 상황에서도 , 영향을 덜 받았다 보임. 그 이유를 , 일본 경제 주체중 누군가가 그 부담을 감당하고 있다 생각함. 그 주체를 본인은 기업들이라 생각하고 있음 특히. 중소기업들, 대기업들 입장에서는 수출을 통해, 소득을 거두니. 상관없지만, 중소기업들은, 내수시장에 초점을 둔 기업들도 있으며, 대기업에 비해 이익이 크지 않은 상황인데. 상품 가격에 그것을 전가 하지 않았다? 그것은 기업들이 총대 매고 있다는 의미임. 그러니. 중소기업들은 물가의 총대를 매고 있는 상황에. 임금까지 올려라? 구조적으로 불가능한 조건들임. 중소기업에 임금을 올려라라는 말은, 스스로 도산의 길을 걸어라 라는 말과 같음 즉, 일본의 물가 상승보다 임금상승이 높아질 수있는 방법은, 지금 상황에선 없음, 다시말해 실질임금상승이 플러스가 되는 경우는 쉽지 않다는 말임. 언론이나, 다양한 매체에서, 계속 일본 관련 나올때마다 하는 내용이. 실질임금만 오르면 일본은 선순환구조다라고 말하는게 보이는데 솔직히 , 말하면, 그것이 구조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움, 위에 말한 것때문에도 불가능한데. 다른 이유에도 그것이 불가능하게 돌아가고 있음, 현 일본의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꿀 요인은, 하나뿐임. 구조개혁을 통해. 뼈를 깍는 시간들이 필요함. 그것 이외의 방법은 현재로서는 존재하지 않음.

  • @user-er3xm9eq8d

    @user-er3xm9eq8d

    7 күн бұрын

    일본 정부 입장에서는 그걸로 국가 유지가 안됨. 일본 정부는 국민이나 기업처럼 개인당 가계부를 가지고 있는 게 아니라 국가 전체대한 세수를 내고 세출을 맡고 있는 구조임. 일본 세수는 결국 내수가 담당하니 내수기업들이 물건 가격을 올리고 임금을 올려야 국가는 원금에서 플러스 되는 이자를 갚으며 정부 재원을 꾸려갈 수 있음. 대충 잡아 원금 갚으면 되지 않냐! 하는데 침체오면 세수가 줄어서 오히려 이자를 갚을 수가 없음. 한마디로 일본 중소기업을이 경쟁을 이어나게는 게 아니라 고정을 택했기 때문에 정부가 부담을 지고 그들을 움직이기 위해 금리를 올리지 않고 있는 거임.

  • @user-er3xm9eq8d

    @user-er3xm9eq8d

    7 күн бұрын

    일본 중앙 정부 빚은 이미 모두가 알겠지만 한계에 종착해있고 그걸 갚기 위해서는 내수기업들이 지금처럼 물가 고정이 아니라 물가의 오름과 내림사이에서 도태와 경쟁을 해줘야 하는 거지. 일본 정부가 기업들한테 망하라고 하는 거 맞음. 근데 일부는 그렇게 되고 그 일부를 복지를 해주며 전체 경제 규모가 계속 상승해주지 않는다면 일본 정부 부채는 언제가 터지게 될 거고 그쯤되면 한국의 베네수엘라 드립이 우숩게 될 듯.

  • @JG-in4nl

    @JG-in4nl

    7 күн бұрын

    @@user-er3xm9eq8d 일본의 기업 도산이 터지기 시작하면, 그와 함께 . 일본 시중은행 신용 문제도 터질거고, 그에 따라 , 해외 투자자산가들도 일본에서 떠나고, 일본 국채도 갑자기 떨어지면서 , 국채 금리가 급격하게 올라가겠죠. 한마디로, 말하면, 중소기업을 도산으로 정부가 밀어넣는다는 것은, 일본 이라는 국가 경제를 구조개혁하겠다는 의미와 같게 느껴짐. 30년 이상을 저금리에 살았고, 물가의 생각이 없던 국가였으니. 얼마나 정부 통계에 보이지 않는 좀비기업(한계기업)이 존재하겠어요? 한두 중소기업에서 도산이 시작하면, 연쇄도산으로 이어질것으로 판단함. 그것을 알고 있는 일본은행으로서는, 어떻해서든, 도산을 막기위해 , 버티고 있는것이고,

  • @JG-in4nl

    @JG-in4nl

    7 күн бұрын

    @@user-er3xm9eq8d 눈에 보이는 경제지표만 그럴싸하게 좋게 포장해 , 문제 없다 말하고 있는듯한데. 그 속은 말도 안되는 지경에 이르렇다 생각함. 조금 심한 표현으로, 말기 암 환자라 볼 정도임. 적당히 도려내서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 총제적으로 다시 검토하고 , 시간과 노력이 쓰여야 정상화가 가능한 수준이라 말하고 싶음,

  • @JG-in4nl

    @JG-in4nl

    7 күн бұрын

    @@user-er3xm9eq8d 그리고, 일본은행이 중소기업의 도산이라는 카드를 선택했다면, 금리를 주기적으로 꾸준히 올리면서, 한계기업을 정리하는 수순으로 움직이고 있겠죠. 현실은 어떤가요? 미국 금리 인하의 눈치만을 보면서, 어떻하면 엔저에서 탈피할수 있을까만 고민하는게 보이는데. 이게 과연 중소기업의 도산을 밀어넣는 정부의 입장인지?

  • @sjyoon0603
    @sjyoon06036 күн бұрын

    이교수님 스마트 하신거 같아요.

  • @cyh831214
    @cyh8312145 күн бұрын

    원화도 깨지고 있는데 거울 좀 봤으면 ㅋ

  • @user-jo6fy9cy1s
    @user-jo6fy9cy1s5 күн бұрын

    일본은 취직도 잘 되고 내수도 탄탄 관광도 잘되고 남 걱정할 때가 아님. 우리는 취직 자체거 안됨.

  • @moonsh4550
    @moonsh45505 күн бұрын

    댓글 보니 웃기네요 남걱정 할 필요 없어요 여기가 더 문제 입니다 누가 누굴 걱정하나요

  • @Urattatt

    @Urattatt

    3 күн бұрын

    웃기는 사람아. 일본이 저 양적완화 임금격차 저환율 정책이 성공하면 저거 한국에서 저거 참고해서 돌파구로 쓸꺼야. 반대로 실패하면 한국도 답 못찾고 헤메다 일본이랑 손잡고 같이 망하는거야. 일본 걱정좀 하세요.

  • @user-wu8wg3nz4w
    @user-wu8wg3nz4w5 күн бұрын

    일본서민도 어렵고 여기도어렵고

  • @user-rb5ee7ik8g
    @user-rb5ee7ik8g7 күн бұрын

    중소기업 평균 임금111프로 올랐다는거 보고 웃고 갑니다 ㅋㅋ

  • @dks-pi4ku
    @dks-pi4ku4 күн бұрын

    임금반으로줄이면 물가도 반으로 줄것지. 그걸 원하는거니 하자고.과연 그런지. 줄인 인금반이 누군가의 자산으로 물가상승시킬텐데. 백번말해봐야 소용없어. 경험시켜야지 그때가 후회해도 소용없것지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2 күн бұрын

    일본 정부의 한 해 예산의 1/4 이상은 항상 빚 갚는데 쓰는 걸로 나옵니다. 금리 올리면 이자 비용이 더 늘어날듯. 우리가 왜놈들을 걱정할 이유는 없고 걔네들이 알아서 잘 하길.

  • @user-zz5el2dw8u
    @user-zz5el2dw8u4 күн бұрын

    누가 누굴 걱정하냐 ㅋㅋ

  • @tv-jp2kp
    @tv-jp2kp5 күн бұрын

    ?? 뭔 일본을 얘기해... 우리는 안 그러냐??

  • @user-Dantae_JOO77
    @user-Dantae_JOO775 күн бұрын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임금 차이가 적다는 거 저건 좋은 거지

  • @user-bt5qy7mb8w
    @user-bt5qy7mb8w5 күн бұрын

    세수의 40프로 복지 에 쓰는 데 채권발행해서 했으니 정부의 부채가 어마한데. 주 채권자가 일본은행에게 진 빚은 탕감하면 되는데 엔화과 너무 발행되서 엔고는 당연할 듯. 돈의 가치가 30프로 떨어진것.

  • @user-gj3it1qq2k
    @user-gj3it1qq2k5 күн бұрын

    결론은 한국이든 일본이든 본인 하기 나름인거..... 그리고 원코인은 아직도 찾으면 많습니다~

  • @user-fu5ef1jt6i
    @user-fu5ef1jt6i6 күн бұрын

    잃어버린 40년 😂

  • @get_my_happy
    @get_my_happy5 күн бұрын

    근데요 가장 중요한건 집이 싸요... 수도권 1시간 거리 신축 단독주택 비싸도 6억.. 이네요.

  • @user-ho4jq5im4z
    @user-ho4jq5im4z3 күн бұрын

    일본을 걱정할때가 아니야 우리나라가 더 심각해 😂😂😂😂 당장 저출산땜에 10년후 세상이 많이 바뀔거다 😂😂😂

  • @Quible100
    @Quible1004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 한가지 확신하는 건 일본이 망할때 한국은 이미 멸망해있다 ㅋㅌㅌ 체급차이는 생각하고 떠들자 ㅋㅋㅋ

  • @out6844

    @out6844

    4 күн бұрын

    기축통화국을 걱정하고 있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reammatrix4090

    @dreammatrix4090

    3 күн бұрын

    일자리도 없는 한국이 입 터는중.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llowEverythingInMyDevice

    @AllowEverythingInMyDevice

    Күн бұрын

    ​@@out6844 일본이 기축 통화국이라는 건 ㅋㅋㅋㅋㅋ 진짜 그렇게 생각함?

  • @hbsci0204
    @hbsci02045 күн бұрын

    잃어버린 30년은 끝났고 지워버릴 30년은 시작이다

  • @user-my8en5ys6h
    @user-my8en5ys6h5 күн бұрын

    그게 보호주의가 아니라 자국 산업 이익 주읩니다.. 달라요..

  • @user-oe3tl1rk1y
    @user-oe3tl1rk1y3 күн бұрын

    한국. 잃어버린 30년 진행중..

  • @Buildinglord
    @Buildinglord6 күн бұрын

    근데 엔저가 되니까 해외 사람들이 와서 돈을 쓰자늠...그게 어디임

  • @cyx0406
    @cyx040622 сағат бұрын

    잘나가던 시절 생각에 화폐 찍고 채권 발행 아둥바둥 고공행진 계속 하는것처럼 서커스 하다가 정상으로 돌아오는거지 제조업이 흥 하던 시절엔 일본이 흥했지 전국시대 거치면서 거주 이전의 자유 통제했고 넌 하던거 계속해 대장장이는 계속 대대로 대장장이 이런 문화가 생기면서 제조업에 특화된 나라였고 그렇게 전성기를 보냈는데 지금 4차산업 시장에선 쪽박차고있으니

  • @FactBomber0922
    @FactBomber09225 күн бұрын

    그런데 소득을 알아볼때는 평균소득보다 중위 50%값을 구하는게 더바람직한것 같습니다

  • @user-su3wc8fe4x
    @user-su3wc8fe4x3 күн бұрын

    ㅋㅋㅋ 아니 ㅋㅋㅋㅋㅋ레알 ㅋㅋㅋ 건물주 월급 200만원 일본을 월셋방 월급 210만원 한국이 끝났다고 나무라는 격ㅋ

  • @mujuchopa

    @mujuchopa

    2 күн бұрын

    국가부채 vs 가게부채

  • @user-ue3zr6zl7z
    @user-ue3zr6zl7z5 күн бұрын

    앙드레김이 생각나요…

  • @suninno
    @suninno5 күн бұрын

    왜 자꾸 일본이랑 비교하고 그래....

  • @user-nm4lh5gv8u
    @user-nm4lh5gv8u3 күн бұрын

    ㅋㅋ 한국출산율보면 저것보다ㅠ심할듯 10년후에보면

  • @polytankjet
    @polytankjet5 күн бұрын

    어찌됐든 벌사람은 벌고 못버는 사람은 못번다

  • @sonsungwoong
    @sonsungwoong4 күн бұрын

    한국도 실질임금 안 좋아진거 한국도 그럼

  • @user-dw1zy9qy8j
    @user-dw1zy9qy8j7 күн бұрын

    솔찍히 한국 일본 대만 이 세나라의 서민의삶은 다 거기서 거기

  • @user-emiya_kookejja
    @user-emiya_kookejja5 күн бұрын

    일본은 원천기술, 해외투자 등을 잘해놔서 저정도로 버티는건데 우리나란 저출산에 미래 먹거리 부족 등으로 조만간 무너질것임 저출산부터 해외 수출 기여도는 없이 오로지 내수만 뜯어먹는 배민, 카카오 같은 신규 유니콘기업들 이런거 해결 못하면 미래가 없다

  • @user-fm6zk2qk1z
    @user-fm6zk2qk1z5 күн бұрын

    최근 일본의 스포츠 경쟁력을 보면 일본은 잃어버린 30년 탈출 맞음...

  • @toto__1926

    @toto__1926

    5 күн бұрын

    이게 진짜임. 단적인 예를 가지고 비약시키는게 아니라 일본의 교육정책과 사회인프라 정책, 지자체 정책이 동시에 성공했다는걸 증명하는거라고 봅니다 입시위주의 살인경쟁적인 교육을 포기하고, 다양한 활동(클럽)을 통해서 인재 및 적성 발굴을 잘해주었고, 지역의 다양한 스포츠 팀들, 양질의 체육시설을 통해서 아마추어~프로 폭넓을 수준에서 인재 발굴이 된거죠... 단순히 뽀록이 아니라 축구, 야구, 배구 등에서 일본이 피크 찍는거보면 확실함. 이제 일본인은 키가 작다, 왜소하다 이런 고정관념도 달라지는것 같아요. 이것도 일종의 교육적인 관점에서 영유아, 청소년에 대해서 올바른 정책, 가치관이 이뤄지고 있다는거죠

  • @user-yl2cc9th2s
    @user-yl2cc9th2s6 күн бұрын

    아직도 필기하는 일본 너무 뒤쳐지는중

  • @Heisenberg_.-
    @Heisenberg_.-3 күн бұрын

    누가 누굴 ㅋㅋ

  • @user-yw8op6lb8l
    @user-yw8op6lb8l5 күн бұрын

    왜 일본이랑 비교하려고 하지 일본 중국에 관심 갖지 맙시다.

  • @user-gx5nm4zk4o
    @user-gx5nm4zk4o3 күн бұрын

    듣자마자 어? 한국얘기아니야?했는데 남의나라상황으로 위안삼기에는 한국이 훨씬더 심각한데 정신차리자

  • @user-Dantae_JOO77
    @user-Dantae_JOO775 күн бұрын

    GDP만 봤을 때는 34위나 35위나 거기서 거기지

  • @user-wn5zk9pn6o
    @user-wn5zk9pn6o4 күн бұрын

    이래도 한국보다 나아보이는거면 한국은 얼마나 작살나있는거냐

  • @user-ob1zw4zz5x
    @user-ob1zw4zz5x4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우리회사 큰일남 월급은 올려야하고 거즘 일본내수시장 수익만 있다보니 적자는 계속 발생하고있고 그래서 월급 올리고 잔업 완전제한시켜서 박리다매 회사라 일이 ㅈㄴ 많은데 잔업을 못하니 일이 계속 뒤로 밀림 진짜 큰일남

  • @user-Dantae_JOO77
    @user-Dantae_JOO775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도 점점 저렇게 변하고 있는 걸 체감

  • @jinoodaddy8363
    @jinoodaddy83637 күн бұрын

    이미 본받을 나라는 아닌 나라가 된지 오래

  • @user-jw9uq8oq8k

    @user-jw9uq8oq8k

    5 күн бұрын

    조국 조선 최윤종 최원종 안인득 김성수 김상훈 장재진 이영학 고윤정 이은해의 나라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Cresent999
    @Cresent9996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이제 잃어버린 50년시작할 예정인데 ㅋㅋ

  • @user-rv9mc1st1e
    @user-rv9mc1st1e7 күн бұрын

    현재 일반인은 한국이 낫지.. 미래로 갈수록 출산율땜에 문제지

  • @user-ye4ph1uu7h

    @user-ye4ph1uu7h

    6 күн бұрын

    노인 안락사 허용으로 해결할 예정...

  • @e0173

    @e0173

    5 күн бұрын

    @@user-ye4ph1uu7h노인 안락사보다 청년 자살유도가 더 현실적 사회 나가봐라 누가 기 펴고 사는지. 그런 극단적 방법이면 후자가 더 현실임

  • @user-lx5ql5zh5y
    @user-lx5ql5zh5y5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자꾸 일본하고 비교하는데, 여기 일본와보니 여기는 그래도 복지국가입니다. 장애인들이 어디서나 마음껏 다닐수 있고 아이서부터 노인까지 복지혜택을 다 누리며 삽니다. 한국은 각자도생의 사회죠. 임금 조금 더 높아져서 좋은게 있습니까? 물가가 일본보다 더 높은데요.. 일본하고 비교하지 말고 왜 저출산인지 스스로 돌아보길 바랍니다.

  • @Imyourbigbrother

    @Imyourbigbrother

    5 күн бұрын

    일본은 선진국 된지 60년도 더 된 나라다. 사회 시스템은 당연히 우리보다 좋지. 일본과의 비교는 상하이 사는 중국인들이 한국과 비교하며 한국 별거 없네라고 씨부리는 격 ㅋㅋㅋ

  • @toto__1926

    @toto__1926

    5 күн бұрын

    ㅇㄱㄹㅇ. 고용기간연수랑 복지혜택 등을 따지면 한국이랑 엄청 차이가 많이나는것도 아님.

  • @user-co5ri6dp3c

    @user-co5ri6dp3c

    5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다운 증후군 수출 & 고아 수출, OECD1위...

  • @user-co5ri6dp3c

    @user-co5ri6dp3c

    5 күн бұрын

    @@toto__1926 한국은 일반적으로 정년 퇴직은 45-55세가 많습니다. 60세은 아직 적어요. 노후 연금 수령액 (공무원 제외한) 은 일본의 삼분의 일, 10명 중 7명 퇴직금 1000만원 (일본의 십오분의 일) 미만.

  • @roidkou

    @roidkou

    5 күн бұрын

    정답이네요

  • @user-tw7ev8dv2o
    @user-tw7ev8dv2o5 күн бұрын

    분명한건. 한국이 일본 비웃을 처지가 아니다

  • @user-fh5xd3wx7s

    @user-fh5xd3wx7s

    2 күн бұрын

    @@Urattatt 굥썩열이 일본 따라가고 있음!!!!

  • @AllowEverythingInMyDevice

    @AllowEverythingInMyDevice

    Күн бұрын

    어케 사람 이름이 홍영택 ㅋㅋㅋㅋㅋ

  • @user-yu4df3ev6z

    @user-yu4df3ev6z

    6 сағат бұрын

    영택아 너 친일파지?

  • @KPYSU
    @KPYSU5 күн бұрын

    앞으로 정상적으로 일본 임금이 올라갈 것이라고요. 무슨 근거인가요?

  • @101adelade6
    @101adelade65 күн бұрын

    아버지 첫 월급이 200만원이었는데.. 30년 지난 아들의 첫 월급이 210만원이 됐는데.. 작년 올해 엄청나게 오른거라고 ? 이 사람의 핵심은 일본의 경기가 좋아지고는 있는데.. 우리나 다른 나라에 비해서는 살짝 비정상이었다가.. 이제는 정상궤도가 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임금 노동자들아.. 니들은 일본보다 그나마 나은편에 속하니까 지금 이 순간을 감지덕지하게 살아라.. 뭐 이런거잖아 ? 이 사람 일본 전문가 맞아 ? .. 그런 마취제를 쓸거면 일본말고 저개발 국가에서 노동착취 당하는 미성년 노동자들이나 끌고 왔어야지..

  • @user-oj2pn2rr6q

    @user-oj2pn2rr6q

    5 күн бұрын

    아버지가 뭐하시는데 아니면 몇살이시기에 200만원을 첫월급을 받으셨는지요? 불과 20년전만 해도 월급 100만원 미만이 태반이였는디요?

  • @101adelade6

    @101adelade6

    4 күн бұрын

    @@user-oj2pn2rr6q 일본 얘깁니다.. 20만엔, 21만엔.. 방송에 나온 교수라는 사람이 일본 월급 예를 든거..

  • @raputa8034

    @raputa8034

    4 күн бұрын

    @@user-oj2pn2rr6q영상을 안보시나요?

  • @user-by4hq5nb2w
    @user-by4hq5nb2w7 күн бұрын

    12분도 집중 못하는 영포티 및 데들리피프티 이해하시게 쉽게 말씀드리자면 '일본 망했다 부활했다 아니구요, 변화를 시작했다'니깐 개거품 그만 무시고 기다려보라는 거예요

  • @Buildinglord
    @Buildinglord6 күн бұрын

    솔직히 고물가의 고통이 더 좋지 않나?

  • @jinandjiny
    @jinandjiny4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 일본걱정할때냐? 지금 우리나라가 개심각한데 일본보면서 정신승리하고싶어서 이런거 만드는거임? 이런거 만들 시간에 한국 중소기업 경영난에대해서 컨텐츠 만들어봐라. 하등 쓸모없는 일본걱정하고있노

  • @user-le9qd6lu6k
    @user-le9qd6lu6k6 күн бұрын

    한국이 워낙에 임금이 쌌었지

  • @iook__
    @iook__3 күн бұрын

    걱정마라 한국이 30년 더 느려서 그렇게 보이는거다. 곧 한국도 일본 따라간다 ㅜㅜ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