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지내는법

제사지내는절차~

Пікірлер: 30

  • @user-ye1bd5yx4w
    @user-ye1bd5yx4w2 жыл бұрын

    좋은동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koreainfo365

    @koreainfo365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vo4yj3fg2k
    @user-vo4yj3fg2k2 жыл бұрын

    이집안은양반이네요배울점이많습니다조상님을정성스럽게모시네요

  • @koreainfo365

    @koreainfo365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go2bo3ih8f
    @user-go2bo3ih8f6 ай бұрын

    향로 연기에 술 잔을 쬐이면 되지 무당집가서 뱅뱅뱅 돌리는건 좀?

  • @user-hb7qn9ey7m
    @user-hb7qn9ey7m2 жыл бұрын

    밥뚜껑에 술을 따러서 첨잔을 하는 이유를 꼭 알고 싶어요. 부탁합니다.

  • @koreainfo365

    @koreainfo365

    2 жыл бұрын

    조상님께 예법에 따라 이제 더이상 술을 올리지 않으니~ 아쉬운 마음으로 첨잔을 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 @bearje75
    @bearje752 жыл бұрын

    숭늉까지 올리고 합문을....? 합문이 끝난 후, 숭늉을 올리는 거 아닌가요? -_)a

  • @koreainfo365

    @koreainfo365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ns9lt8uv7p
    @user-ns9lt8uv7p Жыл бұрын

    절(拜)하는 것이 매우 어색 특히 손은 남좌여우 동작 많이 생각해야 할것 같고 독축역시 사성을 따라야 할것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전통예절 그나마 다행임이다. 잘 하셨습니다.

  • @koreainfo365

    @koreainfo36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go2bo3ih8f
    @user-go2bo3ih8f6 ай бұрын

    종헌은 술잔을 제대로 올리시네

  • @GBKwn
    @GBKwn3 жыл бұрын

    두부와 전 사이에 있는건 삶은계란인가요? 상에 계란 올라간건 처음 봅니다

  • @koreainfo365

    @koreainfo365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koreainfo365

    @koreainfo365

    3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koreainfo365

    @koreainfo365

    3 жыл бұрын

    저희 지역에서는 빠지지 않고 올리는 제수입니다~감사합니다!!

  • @koreainfo365

    @koreainfo365

    3 жыл бұрын

    관심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j2hb9pe7f
    @user-tj2hb9pe7f2 жыл бұрын

    노서방(본가) 세전해온 제례절차...

  • @koreainfo365

    @koreainfo365

    2 жыл бұрын

    아이고~작은아버지께서 친히 댓글도 올려 주시고 감사합니다^^

  • @TheGon0213
    @TheGon02132 жыл бұрын

    가가예문인데.. 그래도 기본 순서는 있는데..

  • @user-vd8gv9dc9y
    @user-vd8gv9dc9y3 жыл бұрын

    울 집이란제례법이 똑같아요

  • @koreainfo365

    @koreainfo365

    3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ig8jx5yz2y
    @user-ig8jx5yz2y3 жыл бұрын

    다른 실과는 위둥을 치면서 배는 왜 안쳤을까 ㅋㅋㅋ 삼시 하면서 젓가락을 하나는 가로로 놓고 하나는 세로로 놓고 ㅋㅋ 기준이 없네요 ㅋㅋ 진설이 지방마다 가문마다 다르다고는 하지만 삶은 달걀은 부재료로 쓰지 주음식으론 안쓰는데 ㅋㅋ 여긴 삶아서 올렷네 닭도 있는데 굳이 달걀을 왜 올렸을까 엉망진창인거 같아요 ㅋㅋㅋ 문어 쓰시는거 보니 경북도 쪽이신거 같은데 ㅋㅋ 재수는 많이 차리셨네요 재관은 그리 많지 않은거 같은데 ㅋㅋㅋ

  • @user-bb4gx5jw5j

    @user-bb4gx5jw5j

    3 жыл бұрын

    가가예문이라 관심있게 봤습니다. 우리도 강신할 때 고비합설을 해도 아버님께만 잔을 들이는데 이집도 그렇게 하시네요. 일전에 다른 동영상에 질의를 하니 합설일 경우 모두 다 잔을 들려야 한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동두서미를 기본으로 하는데 우리하고 다르네요. 앞에 댓글을 보니 계란에 대한 반응이 있는데 어느 종가집은 조(대추) 보다 먼저 과자를 올린 제상도 있다고 하는데 그 이유를 물어보니 살아 계실때 과자를 좋아하셨어 언저 올렸다고 하더랍니다. 정성이 중요하지요. 잘봤습니다

  • @user-zr6xv4ou7n

    @user-zr6xv4ou7n

    3 жыл бұрын

    재수 재관이 아니고 제수 제관입니다 가가예문인데 따질일은 아니니 님집안에 행사하는것도 좀올려주세요 계란도 좋은제수입니다 지금은흔해도 예전엔귀한음식입니다

  • @user-ig8jx5yz2y

    @user-ig8jx5yz2y

    3 жыл бұрын

    @@user-zr6xv4ou7n 계란은 격이 떨어진다는 뜻입니다 비싸다고 좋은건 아닙니다 ㅎ 격이 떨어진다는 거에 촛점을 해주시지요ㅎ

  • @user-kt6ug5zm8g
    @user-kt6ug5zm8g Жыл бұрын

    우리도 서두동미로 진설합니다. 윗어른께 여쭸더니 조선시대엔 지금마냥 당파싸움이 심해서 웬수집안이 쓰는 방식 반대로 많이덜 했다는 군요~ㅋ 믿거나 말거나~~

  • @cuolans3142
    @cuolans3142 Жыл бұрын

    제사순서는 집안마다 다를순있지만 제사상 기본부터가 틀렸네. 생선머리방향도 틀리고 어적,소적,육적 전이 2열에 있어야하고 3열은 탕류 4열이 나물류와 식혜가 올라가야하는데 전부뒤죽박죽이네.

  • @koreainfo365

    @koreainfo365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