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짜장면!!! 중국 춘장이 우리나라 짜장면으로 진화되다. 썬킴의 역사 스토리

출연 및 제작문의
knoutube@gmail.com
본방송은 북플레이3 영상중 일부로
방송대학tv로 시청 가능하며,
추후 풀버전이 공개됩니다.
#썬킴 #중국 #짜장면
- 세상에 모든 전문지식!
여러분의 교양채널입니다.
👉재미지다 꽁교육+ 채널
/ @꽁교육
👉방송대 정보+
/ tvoun
👉유노캠퍼스(대학강의)
ucampus.knou.ac.kr

Пікірлер: 356

  • @hc5021
    @hc502126 күн бұрын

    썬킴님 너무 멋지고 개성있는 분 이십니다. 항상 유익하고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happyday3933
    @happyday393321 күн бұрын

    천재 썬킴~~♡

  • @injeju578
    @injeju57828 күн бұрын

    썬킴님~! CBS 이강민의 잡지사' 출연 영상 여러번 반복하며 모두 봤습니다. 그래서 유튜브 알고리즘이 썬킴님을 매번 메인에 뜨게하네요ㅋ~~ 또봐도 반갑습니다~!!

  • @user-zr6sh8hh5q
    @user-zr6sh8hh5q28 күн бұрын

    썬킴이 강의하는 모든것 즐겁게 듣습니다. 썬킴 브라보 👏 🎉😊

  • @user-so6dd2qw4x
    @user-so6dd2qw4x28 күн бұрын

    썬킴쌤 늘 응원합니다 최고십니다.

  • @Blac53774
    @Blac5377427 күн бұрын

    다음 시간에는 탕수육 팔보채 이야기 해주세여 ㅋㅋ

  • @jaeinjung1213
    @jaeinjung121328 күн бұрын

    정말 재미있고 유익한 강의 썬킴님 그러니 팬이 안될수가 없지 짜장면과 짬뽕의 유래 잘봤습니다.

  • @Jdjskjxsi
    @Jdjskjxsi25 күн бұрын

    내가 먹던 곳. 신당동에 동신각 여러분운 어디지요?

  • @smilebaby0704
    @smilebaby070421 күн бұрын

    재밌는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 @ymku-yu1im
    @ymku-yu1im26 күн бұрын

    전에유툽보니까 짬뽕을중국인이 먹어보더니 중국에는 이런음식이없다고함 첨먹어본다던데 그런사연이있었군요

  • @user-zs5rz1rp1j

    @user-zs5rz1rp1j

    21 күн бұрын

    중국인이 한국에서 개량 개발한 것이 최초의 새로운 짜장면이 탄생

  • @user-vu1qx7ej2d
    @user-vu1qx7ej2d24 күн бұрын

    재밌어요

  • @user-ip6ir8dx5j
    @user-ip6ir8dx5j21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 @teoruck
    @teoruck25 күн бұрын

    한국식 짜장면과 짬뽕 참 맛나지 ㅎㅎㅎ

  • @user-uh9my9nx8p
    @user-uh9my9nx8p18 күн бұрын

    짜장면은 1800년말에 인천에서 일하던 청나라 노동자들이 돈을 벌기위해 식사시간을 줄이기 위해 점심시간에 산동지역에서 자주먹던 면요리를 먹었는데, 이것을 본, 화교가 춘장도 만들고 가게를 열어 중국산동지방의 면요리처럼 만들어서 판매하다가 춘장에다가 캬라멜을 넣어서 좀 더 달콤함 맛을 내게 되면서 팔기 시작했고 이게 인천에서 유명해지면서 차이나타운거리에서 짜장면 가게가 많이 들어서게 된 원인이 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춘장을 만든 업체가 영화식품이고 영화식품의 춘장 브랜드가 사자표 춘장입니다. 사자표 춘장은 형제간에 브랜드 소유권관련해서 소송이 진행된 이력이 있습니다. 산동의 챠오장미엔은 면에 간장을 넣은 맛이라면, 우리 짜장면은 춘장에 캬라멜을 넣어서 단 맛이 더 나고 이게 신의 한수였다고 알고있습니다.

  • @ilandkim3260

    @ilandkim3260

    Күн бұрын

    와~~영화식품 오랫만에 들어봅니다~~

  • @user-ui3qb8ym4i
    @user-ui3qb8ym4i27 күн бұрын

    시간 순서가 섞이네요. 어떤 분들은 헛갈리시겠어요. 편집이 문제인지 강연자 문제인지 모르나 정리가 필요해 보입니다.

  • @agm1144
    @agm114423 күн бұрын

    임오군란에 대해서 조금 덧붙여 설명하자면 1. 원래 조선 군인들은 1년에 월급 2달어치만 받았음. 실제 병영 복무를 1년에 2달 정도만 했기 때문. 나머지 10개월은 각자 생업에 종사하며 살았음. 그래서 직업 군인이라지만 실제로는 상공업 및 농업으로 생계 유지하는 투잡러들이였음 2. 대부분 군인들은 월급이 아니라 별도 생업으로 먹고 살았기에 월급 못받아도 밥 굶을 처지는 아니였음. 그러나 체불된 임금을 썩은 쌀과 모래로 주는 행동은 그들의 자존심을 긁어버렸고 그래서 폭력사태로 이어진거임.

  • @christomt.5594

    @christomt.5594

    22 күн бұрын

    오~ 그런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었군요 처음 알았습니다.

  • @JPNHY

    @JPNHY

    17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아는 만큼 보인다는거네요 잘 배우고 갑니다

  • @user-lv3oj6ok7y
    @user-lv3oj6ok7y28 күн бұрын

    썬킴 넘 좋아❤

  • @union641

    @union641

    24 күн бұрын

    좌파라도? ㅎㅎ

  • @user-bs2me4xm5o

    @user-bs2me4xm5o

    24 күн бұрын

    ​@@union641 누굴 좋아하면 좌파라 단정지어 댓글다는 님 사고와 인성에서의 문젯점은 없는지~?

  • @user-xp5pk8sb3w
    @user-xp5pk8sb3w22 күн бұрын

    듣다보니 더듣고싶네!!!❤❤❤

  • @user-gj5um8dz9y
    @user-gj5um8dz9y23 күн бұрын

    재밌네

  • @쿠우쿠우-389
    @쿠우쿠우-38928 күн бұрын

    귀에 쏙쏙 이강민 잡지사 듣다가 여기까지 왔네요

  • @ngtop5559
    @ngtop555924 күн бұрын

    본차이나는 강한도자기 만들려고 시작한게아니고 백자를 따라가려고 만들기 시작한거로압니다. 중국산 백자같은 색을 내려고 여러가지 넣어보다 소뼛가루를 넣으니 백색이 잘나고 추가적으로 강도도 높아진거로 알아요

  • @user-bs2me4xm5o

    @user-bs2me4xm5o

    24 күн бұрын

    제가 알기로는 아닙니다 중국 경덕진에서 화려한 도자기를 보고 한눈에 반한 영국인들이 도자기하고 중국차맛에 반해 만들어진것 맞습니다 영국은 홍차밖에 뿐이었든 시절 녹차에반해 그때부터 녹차로 바꿔마셨고 경덕진의 화려한 도자기가 잘깨지니 안깨지도록 만든게 소뼈갈아 넣은게 본차이나맞습니다 그런데 깨지진않았는데 중국경덕진의 화려한색감을 살릴수가 없었어요 지금 경덕진도자기를 생각하지말고 색깔표현을 못한시절 중국도자기의 화려한 색깔이 영국인들에게 센세이션을 일으킨건 맞습니다 현재는 조잡하게 보일지몰라도 ᆢ

  • @ngtop5559

    @ngtop5559

    23 күн бұрын

    @@user-bs2me4xm5o 본차이나의 기원은 중국 자기가 인기를 끌자 독일 마이센지역에서 중국 자기를 모방해서 만드는데 성공하고 영국에 이기술이 수출되었는데 영국에서는 백자의 원료인 고령토를 구하지못해 발색에 어려움을 겪다가 1748년 토마스 프라이라는 도공이 소뼛가루를 섞어 만들기 시작한게 최초입니다

  • @ngtop5559

    @ngtop5559

    23 күн бұрын

    @@user-bs2me4xm5o 튼튼한자기를 만들려고 시작한게아니고 백자의 원료인 고령토를 구하지못해 비슷한색을 내려고 노력하던중에 뼛가루를 섞어 색깔과함께 강한 특성을 덤으로 얻은것이지요.

  • @user-er6sr1dq2g
    @user-er6sr1dq2g25 күн бұрын

    잘 보고 듣고 있어요.

  • @user-qz7zj3yt5f
    @user-qz7zj3yt5f18 күн бұрын

    궁금했었는데. 재미 있네요

  • @seungmingo1105
    @seungmingo110521 күн бұрын

    동의 하기 애매하네요

  • @user-gp7sd7vm9z
    @user-gp7sd7vm9z21 күн бұрын

    잘 강의하시는데요?~🎉

  • @user-no5hu9pn7k
    @user-no5hu9pn7k23 күн бұрын

    썬킴쌤은 재미남

  • @user-pd7rj4ug8q
    @user-pd7rj4ug8q28 күн бұрын

    썬킴...역시 똑똑해...^^ 그리고 방송 꿀잼....😊

  • @user-wl8lz6gy8z
    @user-wl8lz6gy8z25 күн бұрын

    썬킴가는곳은 다간다.ㅋ 오늘도 썬킴 강의 재미나게 보고 갑니다^^

  • @user-gn1mo3vs1u
    @user-gn1mo3vs1u21 күн бұрын

    귀에 쏙쏙 들어오고 재미 있어요.

  • @seongtaimoon1473
    @seongtaimoon1473Күн бұрын

    매불쇼에선 패널이 꿍짝을 맞춰주니까 재밌고 삼천포로가도 다시돌아오면서 중심이 잡히는데. 대중강연에서는 장점이 살아나지 못해서 밋밋하네요.

  • @ejoynet
    @ejoynet27 күн бұрын

    우리동네. 중국집. 짜장면이. 전세계에서 제일 맛있습니다. ㅋㅋ

  • @wsz750802

    @wsz750802

    22 күн бұрын

    사시는데가 어디신지요? 함가볼라구 ^^

  • @ejoynet

    @ejoynet

    22 күн бұрын

    @@wsz750802 광진구 영화사로 88 홍콩이란 조그만 중국집 입니다. 단, 미각이란 주관적인 것이라서 각자다 다를 수 있다는 것 아시고 시도 해 보셔도 될듯 합니다. ^^

  • @morningkim7066
    @morningkim706622 күн бұрын

    밝아... 정신없어..... 그런데 재미있어. ㅎㅎ

  • @user-it7pv9xn3s
    @user-it7pv9xn3s28 күн бұрын

    노랑고무줄 혹시 아닌가여 면빠리 증말 죽여주네여 나는 개인적으로 하얀고무줄이좋은대

  • @kephas7772
    @kephas777228 күн бұрын

    산동 지방의 장(酱)인 톈몐장에다 1948년 화교 왕송산 씨가 톈몐장에 캐러멜을 혼합한 것을 "사자표 춘장"으로 브랜드화한 것이 그 시작이라 했는데 아닌가? 이연복 요리사를 비롯 화교 출신 요리사분들이 말하길 전국 모든 중국요리집 춘장은 한 곳에서 공급한다고 말하던게 생각남...

  • @20cmusic

    @20cmusic

    20 күн бұрын

    요리사가 역사를 압니까. 이 사람은 그래도 일 때문에 역사공부라도 많이 했지

  • @user-gx3dv8mk8c

    @user-gx3dv8mk8c

    19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하지만 일부 화교가 운영하는 중식당에선 직접 담근 춘장을 사용하는 곳도 있답니다.

  • @al_nobody27

    @al_nobody27

    13 күн бұрын

    초기엔 당연히 직접 담궈서 요리를 했고.. 이후 덜 숙성된 춘장색을 검게 만들기위해 카라멜을 넣기 시작했다고 들음. 근데 카라멜이 섞인 춘장의 단맛을 사람들이 좋아하자 너도나도 카라멜을 섞었고 이후 사자표 춘장이 해당 레시피를 기반으로 만든 것으로 알고 있음. 사자표 외에도 춘장회사가 있는데도 대부분 사자표를 사용하는 이유는 사람들의 입맛을 선점했기 때문이고요. 삼성이 그토록 노력했어도 미원을 꺾지 못한거랑 같은 이유였죠.

  • @user-fo5kx2bl9q

    @user-fo5kx2bl9q

    9 күн бұрын

    처음에는 두곳인가 세곳에서 춘장을 만들었는데 지금남아있는 검정색춘장에 밀려서 사라진거랍니다.

  • @user-tj4ob2yv9b

    @user-tj4ob2yv9b

    9 күн бұрын

    10:37

  • @babivest9949
    @babivest994920 күн бұрын

    수타면은 수천년 전부터 만들어 오던건데? 수타면의 기원인 중앙아시아엔 알칼리성물이 흔해서 자연스럽게 밀가루와 반죽하게됐고 그결과 점성과 탄성이 늘어난 수타면을 일상적으로 먹어왔습니다 예를 들어 라그만 같은거요

  • @user-fh5zl7yx7i
    @user-fh5zl7yx7i19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도 옛날 집에서 찜빵 반죽할때 소오다 넣어서 반죽 숙성 시켜서 해먹었었지요.

  • @user-ld5yw2ts8k
    @user-ld5yw2ts8k28 күн бұрын

    안녕 하세요

  • @all-in4673
    @all-in467324 күн бұрын

    일식당의백단무지는 고가로 단골손님에게만 몇점씩제공!

  • @gracemir2
    @gracemir226 күн бұрын

    썬킴님이 하는 역사이야기처럼 초중고딩때 역사를 배웟으면 100 점 맞앗슴

  • @jeiwaisi
    @jeiwaisi22 күн бұрын

    미국 중국집에서 단무지대신에 양배추김치가 나와요. 단무지 주는 중국집도 있긴한데 비율적으로 훨씬 적어요. 그 이유가 좀 궁금해요

  • @all-in4673
    @all-in467324 күн бұрын

    짜장,갈비냄새는 못참아!!

  • @user-sr3dx7lb2r
    @user-sr3dx7lb2r27 күн бұрын

    중국춘장재료면짜장도중국거군요 햇갈리네요 짜장도국산으로해야진정우리건데 그러질못하니ㅎㅎ

  • @all-in4673
    @all-in467324 күн бұрын

    전가복,해삼탕,수정방,기스면

  • @user-st6kv4jv9d
    @user-st6kv4jv9d25 күн бұрын

    썬킴님 독서량이 장난이 아닌데~

  • @user-fl2nx2kf3q
    @user-fl2nx2kf3q28 күн бұрын

    중국짜장면은 춘장하고 야채조금올려서 주던데 엣날에 티비에서 봤음

  • @user-no5hu9pn7k
    @user-no5hu9pn7k23 күн бұрын

    전세계 나쁜거엔 영국이 낀다~~

  • @zoozeonja158

    @zoozeonja158

    12 күн бұрын

    전쟁광 미국도

  • @soonchoungbartsch3995
    @soonchoungbartsch399526 күн бұрын

    14:20, 다꽝이름의 유래, 저도 들은 말인데요 그 스님의 이름이 다꾸안 이였다네요, 일본 억양으로도 다꽝 보다는 다꾸안이 어울리지요, 그렇게 불려오다가 어느시점에 다꽝으로 불려졌다는 썰요, 썬킴님의 강의는 언제나 흥미롭습니다^^ 건강하시고 행복한 주말 되십시요^^ 감사합니다^^~

  • @youngsikna8169

    @youngsikna8169

    24 күн бұрын

    사실 닥광 스님은 타짜였습니다. 인생사 새옹지마 번뇌에 휩싸이지 말고 닥치고 광이나 팔자.

  • @user-ts7jp3cb5y

    @user-ts7jp3cb5y

    23 күн бұрын

    다꾸안? 다꾸앙이라 발음하는게 정상.

  • @marinej7267

    @marinej7267

    5 күн бұрын

    타구앙임..

  • @user-pu4id4iy8o
    @user-pu4id4iy8o28 күн бұрын

    역사 스토리셀러 " 썬 킴 "

  • @DAVID-rw9uj
    @DAVID-rw9uj28 күн бұрын

    일단 정말 잘들었습니다 팬입니다.썬킴님 ~! 마지막에 일본에서의 짬뽕의 의미는 찬퐁으로 섞이다 인데 중국에서의 의미는 안가르쳐 주나요

  • @방송대지식

    @방송대지식

    28 күн бұрын

    아직 편집중이라서;;;; 서두르겠습니다.!!

  • @user-hy7yt8yg3j

    @user-hy7yt8yg3j

    28 күн бұрын

    짜장면이 부자들 음식이였군요. 나중에 지금 우리가 비싸서 못먹는 요리음식들이 저렴해지면 좋겠네요. 장어요리 같은거나 그런거요

  • @youngsikna8169

    @youngsikna8169

    24 күн бұрын

    @@user-hy7yt8yg3j 장어는 양식이 되기 때문에 이미 싸진거죠. 자연산이면 물량이 적어서 훨씬 비싸지 않겠어요. 양식기술이 더 발전하면 조금 더 싸지겠지만요.

  • @user-uh9my9nx8p

    @user-uh9my9nx8p

    18 күн бұрын

    일본에서의 한자표기는 잡본(雜本)으로 알고있습니다. 우리나라로치면 부대찌개, 돈없는 중국유학생을 위해 나가사키 음식점에서 중국인 요리사가 자국의 유학생을 위해 만들어준 음식..

  • @user-le6mj3se3t
    @user-le6mj3se3t27 күн бұрын

    1388년 음력 7월 12일 명이 북평에 행도를 설치 (비로소 도착하였음을 알림).~새로운 요서의 시작 음력 7월 22일 명이 산해위를 설치. (새로운 만주의 시작) 음력 9월 15일 8개 점령지에 대한 분봉 (秦王,晉王,周王,楚王,齊王,湘王,魯王,潭王) 분봉된 8개 지역을 점령하기 1년전의 요서 요동이 그 당시의 요서 요동.

  • @youngsikna8169
    @youngsikna816925 күн бұрын

    어렸을때부터 왜 중국집은 일본 반찬 닥광을 줄까 궁금했는데 답이 거기 있었군요. 그래서 흔해져 닥광을 고추가루 살살 뿌려서 그냥 무우채처럼 반찬해서 먹고는 했네요.

  • @user-tc5um7rz1u

    @user-tc5um7rz1u

    23 күн бұрын

    다쿠앙임ㅋㅋ지금 노란단무지는 감미 넣고 달달 시큼맛이지만 원래 다쿠앙은 소금에 절인 무짱아치임ㅋㅋ 소금에 절임 무짱아치는 조선이대때도 있었음 간장에도 절이고 나중에 식초에도 절이고 감미도 넣기시작함 식초에 절이는 반찬은 중국에 많음

  • @dreaming606
    @dreaming60623 күн бұрын

    灼醬麵

  • @user-de9wr4qb6f
    @user-de9wr4qb6f26 күн бұрын

    일본 라면집에 갔는데 자장멘 짬뽕이 있던데...

  • @youngsikna8169

    @youngsikna8169

    25 күн бұрын

    일본 짬뽕은 하얀색. 빨갰다면 조리법이 이쪽에서 다시 넘어간것. 짜장면도 한국식 짜장면을 파는 가게가 중국과 일본에도 있지요.

  • @agm1144
    @agm114423 күн бұрын

    임오군란 이후 조선은 청의 속국화가 심화되었음. 조선과 청의 조약으로 청나라 사람들이 조선에 들어와 치외법권을 누리며 상업을 할 수 있게 되었음. 이에 한양, 평양, 인천에 청나라 사람들이 들어와 집단 거주하며 장사를 시작하면서 차이나타운이 생겨남. 조선에 화교들이 대거 들어와 살기 시작한게 이때부터임.

  • @ScaryCamp
    @ScaryCamp24 күн бұрын

    이 영상에 춘장 부심부리는 조선족들이 태클 많이 거네요~ 짜장면이 한국음식이라고하니깐 많이 긁혔나봅니다!

  • @how3080
    @how30808 күн бұрын

    요즘 제 알고리즘에 1등이세요 ㅋㅋㅋ

  • @longinus1732
    @longinus173222 күн бұрын

    8:31 가성소다? 락스? 이건 먹으면 죽는데.

  • @kookjames4202
    @kookjames420224 күн бұрын

    군인들 월급을 13개월 밀리고 그걸 해결하기 위해 청나라 군대를 불러 ? ㅋㅋㅋ 나라 뺏길만 했네

  • @user-le6lb5xz6e
    @user-le6lb5xz6e27 күн бұрын

    제목없음TV로가야 빛이난다 썬킴

  • @all-in4673
    @all-in467324 күн бұрын

    중식당단무자는 절대사양! 양파많이

  • @jeongragjeon
    @jeongragjeon28 күн бұрын

    강사님 이번 영상에 안티 답글들이 많네요. 반박하는 분들에게 확실한 고증을 들이미세요

  • @user-vh2vj2nh5p
    @user-vh2vj2nh5p9 күн бұрын

    연태의 "태" 자가 "대"자로 쓰기도 하지만 " 태" 자로도 읽힘..

  • @user-jq8os9ry6l
    @user-jq8os9ry6l26 күн бұрын

    썬킴 선생님은 정말 모르는 게 없으셩 ㅋㅋㅋ

  • @user-ym8cn6yj7b
    @user-ym8cn6yj7b18 күн бұрын

    썬킴 재밌는데 가끔 발음이 꼬일때가 많음

  • @user-hj1ey1hk9y
    @user-hj1ey1hk9y23 күн бұрын

    하..이분 전문가 맞습니까;;

  • @drmphy

    @drmphy

    19 күн бұрын

    이야기꾼이지 정보를 걸러 듣는 건 각자의 지능의 문제

  • @zoozeonja158

    @zoozeonja158

    12 күн бұрын

    @@drmphy 지능같은 소리하고 있네

  • @SidneyBae

    @SidneyBae

    12 күн бұрын

    그냥 좌빨이예요

  • @kim-jm4wm
    @kim-jm4wm23 күн бұрын

    짜장면은 한국 음식이다.

  • @unionskhynix7424
    @unionskhynix742424 күн бұрын

    1800년대면 청나라시대 중국인이 아니라 청나라사람.

  • @sws9195
    @sws919528 күн бұрын

    현 중국내 음식은 북방유목 지배층들에 이어왔다고 합니다.

  • @user-cl1wi2kn9o
    @user-cl1wi2kn9o23 күн бұрын

    이 분 말 재밌게 하시네

  • @matchalatte-ok8rx
    @matchalatte-ok8rx19 күн бұрын

    다꽝이 아니라. 다쿠앙 입니다. 외래어라면 명칭을 정확하게 전달해야죠.

  • @user-zr8uw8eh4d
    @user-zr8uw8eh4d28 күн бұрын

    탕수육도 대한민국 요리가되겠네 ㅋㅋ

  • @Korea-kb5qf

    @Korea-kb5qf

    28 күн бұрын

    너희 나라에 없는거 탐내지 마셔 ㅉㅊ

  • @user-tc5um7rz1u

    @user-tc5um7rz1u

    23 күн бұрын

    짜장을 만든게 한국에서 만든거라ㅋ 현지화된지도 오래 됐고

  • @hoonwaretien8363

    @hoonwaretien8363

    22 күн бұрын

    @@user-tc5um7rz1u宇宙来自韩国

  • @giant3770
    @giant377023 күн бұрын

    ㅋㅋㅋ

  • @narumimizumoto7934
    @narumimizumoto793417 күн бұрын

    단무지는 타쿠앙 たくあん

  • @hilee9624
    @hilee962421 күн бұрын

    저렇게 재미 있게 이야기 하는것도 능력임. 욕하는 사람은 썬킴 보다 재미있게 강의할 자신 있는건가😊

  • @user-ml7bh4tt9x

    @user-ml7bh4tt9x

    18 күн бұрын

    🤪

  • @user-xk2ox1el7x
    @user-xk2ox1el7x16 күн бұрын

    알고 있는 지식을 말로 전달 하는게 아니라 외운 것을 말 하려니 전개가 어색하고 버벅 거리는게 보이네요

  • @kashiwa6775
    @kashiwa67759 күн бұрын

    썬킴보다 내가 더 잘아는 것 같은 역사 공부 느낌은 뭘까....

  • @user-zs5rz1rp1j
    @user-zs5rz1rp1j21 күн бұрын

    중국인이 한국에서는 뉴짜장면 일본에서는 라면 과 나가사키짬뽕을 만듬

  • @anna-vm9nz
    @anna-vm9nz21 күн бұрын

    역사 개그맨 ㅎㅎㅎㅎ

  • @user-uh9my9nx8p
    @user-uh9my9nx8p18 күн бұрын

    다꾸앙은 일본스님중 한자로 택암이라는 스님이 만들어서 먹던 것이라서, 택암을 일본어로 발음하면 다꾸앙(or 타쿠앙)이라서 우리나라에서 다꽝으로 불리게 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 @user-gi4ru5pk7u
    @user-gi4ru5pk7u28 күн бұрын

    막걸리 한잔 걸치셨나? 초반에 혀가 꼬이는디

  • @psh6116
    @psh611628 күн бұрын

    이교수님 잘모름~

  • @ulyrhee8123
    @ulyrhee812324 күн бұрын

    한국식 쭝국음식. 좋다. 그러치만 한국음식이라 하지말라. 쭝국사람들이 보고 "거봐, 한국이 매번 쭝국문화 훔친다 " 할려고 비루고 있다.

  • @특쟁이
    @특쟁이28 күн бұрын

    선영이형.. 다꾸앙입니다 닥꽝 아녀요. ㅋㅋ

  • @bangziNo.1
    @bangziNo.15 күн бұрын

    좀 있으면 마라탕도 국물베이스가 다르다고 한국음식이라고 우기겠네 ㅋㅋ

  • @qusainghan6427
    @qusainghan642722 күн бұрын

    친척은 중국 일본 이지만 태어난곳은 현지인도 인정한 한국탄새믐식 짜장 짬봉 ㅋㅋㅋ

  • @Domestic_egg
    @Domestic_egg29 күн бұрын

    니들 썬킴이 언론학 전공인거 알고 있냐

  • @308Winchester
    @308Winchester28 күн бұрын

    캬 고명으로 오이 완두콩 삶은 계란.. 환상이네요

  • @youngsikna8169

    @youngsikna8169

    24 күн бұрын

    감자가 비싸지기전엔 감자도 듬뿍 넣어주곤 했지요.

  • @308Winchester

    @308Winchester

    24 күн бұрын

    @@youngsikna8169 그러고보니 감자도 있었죠!

  • @zoozeonja158

    @zoozeonja158

    12 күн бұрын

    @@308Winchester 닝기리 양파비싸다고 요즘엔 간짜장 안파는곳 태반이다

  • @308Winchester

    @308Winchester

    12 күн бұрын

    @@zoozeonja158 ㅠㅠ

  • @jwkim2973
    @jwkim297324 күн бұрын

    짜증나는세상, 짜증날 때 비벼서라도 풀라고 먹었던 면이 짜장면

  • @yummyenglish3795
    @yummyenglish379527 күн бұрын

    일본의 다꾸앙이라는 스님이 만들어서 그렇게 부른다고 들었는데... 다꾸앙 --> 다꽝

  • @user-uh9my9nx8p

    @user-uh9my9nx8p

    18 күн бұрын

    한자로는 택암(澤庵)스님이 만든거라서, 다꾸앙, 택암스님은 우리나라 사람이라는 설도 있음. 그 근거로 일본은 택암스님 이전 시대에 절임음식이 없었다는 것을 근거로..

  • @silverrest1982
    @silverrest198228 күн бұрын

    민족사학자이신가?

  • @user-el4lz1mm6v
    @user-el4lz1mm6v4 күн бұрын

    구독이 안돼네ㅠ

  • @user-fn6mo1xf3i
    @user-fn6mo1xf3i25 күн бұрын

    한식짜장면

  • @user-pj1iz7vh3t
    @user-pj1iz7vh3t26 күн бұрын

    ㅣ😂❤😂❤😂❤😂❤❤😂❤

  • @user-tc5um7rz1u
    @user-tc5um7rz1u23 күн бұрын

    무를 소금에절인 무짱아치는 중국이나 한국에 옛날부터 있던 기본 반찬임ㅋㅋ 현대 단무지는 단무지공장에서 감미넣고 노란색소 식초로 절여 맛나게 만든거고 진짜 다쿠앙은 소금에 절인 무라 수분이 빠져 쪼그라들고 색깔도 히리끼리 회색빛깔임

  • @all-in4673
    @all-in467324 күн бұрын

    주종목이 무엇인지? 이곳 저곳 얼굴은 자주내밀더만!

  • @user-tx3px9sz1k
    @user-tx3px9sz1k23 күн бұрын

    단무지는 우리나라 말이고 다꾸앙 은 일본스님에 이름입니다ㆍ일본스님이 만든 염장 식품 입니다

  • @user-mo4zs8gs1z
    @user-mo4zs8gs1z24 күн бұрын

    개그맨 고명환?

  • @hong7955
    @hong795522 күн бұрын

    엄청재미짐 ㄱ구내 몇없는.박식한 교수임

  • @TK-Stories
    @TK-Stories25 күн бұрын

    대 발음도 있지만 태 발음도 있는데요.. 별 태, 태풍 태, 나 이, 대 대, 이을 사 그리고 태 발음이 더 많이 쓰이지 않나요?? ㅋㅋㅋㅋ 여튼 썬킴님 너무 재밌고 좋아요~!!

  • @JPNHY

    @JPNHY

    17 күн бұрын

    들어보니 일리가 있으시군요 대만의 경우 연태와 같은 台잔데 다르게 쓰이는군요

  • @user-qe5ho2ns8h

    @user-qe5ho2ns8h

    6 күн бұрын

    대로 읽는 것이 맞습니다. 연기를 올리던 봉화대의 뜻으로 연대(煙臺)라고 씁니다. 근데 이 대(臺)자를 중국에서 간자로 써서 台가 된 것인데 이 대(台)자는 본래부터 있는 다른 글자로 대 혹은 이끼태 등으로도 읽히지요. 그러므로 원래 글자인 돈대대 자의 "대"가 맞습니다.

  • @TK-Stories

    @TK-Stories

    6 күн бұрын

    @@user-qe5ho2ns8h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전 그냥 한자만 읽어서 대의 간체자인지 몰랐네요.

  • @user-ci5li3tm9f
    @user-ci5li3tm9f24 күн бұрын

    단무지가 처음 만들어진건 에도막부 초기에 타쿠앙 소호라는 스님이 쇼군이었던 도쿠가와 이에미츠를 대접하기 위해서 만든겁니다..

  • @jc8ms

    @jc8ms

    19 күн бұрын

    ​@@user-ts7jp3cb5y이에야스의 아들 이데타다 히데타다의 아들 이에미츠 에도막부 3대 쇼군

  • @zoozeonja158

    @zoozeonja158

    12 күн бұрын

    풍미라고는 1도 없는 일본음식들 ㅋㅋㅋ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