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특집] 트라우마에서 벗어나는 방법! 트라우마의 실체와 극복법 | 세계적인 정신과 전문의 '베셀 반 데어 콜크' 강의 몰아보기

Ойын-сауық

“트라우마가 무서운 점은 사랑하기 어려워진다는 겁니다. 트라우마는 뇌를 바꿔놓거든요.”
-베셀 반 데어 콜크
몸과 마음이 지칠 대로 지친 당신을 위로하기 위해
세계 최고의 정신건강 분야 권위자들이 모였습니다.❤️‍🩹
위대한 수업, 그레이트 마인즈에서
우울, 불안, 성격장애, 트라우마와 같이
가장 흔하게 경험하지만 나와 주변인을 가장 고통스럽게 하는
네 가지 주제의 강의를 준비했습니다!
어디서도 볼 수 없는 웅장한 라인업,
전 세계 최고 지성을 한 자리에!!
위대한 수업, 그레이트 마인즈의 정신건강 특집을
EBS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도 모음집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5월 5일(금) 오후 9시, 린다 개스크 ‘우울장애’
5월 12일(금) 오후 9시, 보르빈 반델로 ‘불안장애’
5월 19일(금) 오후 9시, 피터 포나기 ‘성격장애’
5월 26일(금) 오수 9시, 베셀 반 데어 콜크 ‘트라우마’
위로와 공감이 필요한 당신에게 세계 최고의 정신건강 석학들이 찾아옵니다.
전체 영상은 위대한 수업, 그레이트 마인즈 홈페이지에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위대한 수업, 그레이트 마인즈
👉매주 월 ~ 금 오후 11시 40분, EBS1
🖋️ 네 번째 강연자 '베셀 반 데어 콜크'
베셀 반 데어 콜크의 특강을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트라우마 #PTSD #상처 #극복 #애착 #정신과 #상담 #부모갈등 #부모 #관계 #사고 #정신건강 #위로 #베셀반데어콜크 #위대한수업 #이벤트 #ebs #강연 #공감 #힘들때 #지칠때 #몸은기억한다

Пікірлер: 854

  • @user-lt2dv8xd7x
    @user-lt2dv8xd7x6 ай бұрын

    엄마는 제가 초등학교 저학년때 조현병이 발병하셨고 아빠는 집을 나갔습니다. 엄마의 병은 제가 초등학교 5학년때 엄청 심해지셔서 제 머리채를 잡고 벽에 쾅쾅 찧고, 발로 온몸을 밟고, 마늘 찧는 절구로 머리를 때리고.. 거의 기절직전까지 심하게 때렸어요. 칼을들고 같이 죽자고도 했습니다. 그렇게 다 때리고 나면 눈물 흘리며 미안하다고 안아주셨습니다. 엄마가 환청때문에 일 나가도 쫒겨오자 집세를 낼 수 없어 전기,수도, 가스 다 끊켰고, 하루에 한끼도 제대로 못먹으며 살았습니다. 엄마는 저와 동생을 데리고 대형마트에서 도둑질을 시켰고, 목숨은 유지하며 살았습니다. 온몸은 항상 쑤시고 아팠고, 엄마가 너무 무서웠지만 주위엔 아무도 없었습니다. 친가/외가 모두 저희와 엄마를 외면했어요. 그 2년동안의 기억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정도로 힘들었어요. 근데 그보다 더 심한 트라우마는 엄마가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 당하셨을때 제 눈앞에서 짐승취급 받으며 끌려가는 모습이 가장 충격적 이였고, 심장이 내려앉는 듯한 슬픔을 느꼈습니다. 병세가 심하셨지만 그래도 정신이 좀 온전하신 날엔 예쁜딸, 멋진 아들이라고 해주며 저희를 사랑해 주시는 엄마 셨습니다. 그런 엄마를 세상은 미친 여자 취급하는 걸 보며 많은 상처를 받아왔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 세상이 싫었습니다. 지금도 세상은 고통이라 생각하구요. 학교생활도 힘들었지만 제 성격이 사나운 편이라 그런지 저를 왕따 시키고, 괴롭히는 친구들과 맞서 싸우니 건들지 않았습니다. 우리와 엄마를 무시하는 친척들을 보며 나중에 내가 꼭 성공해서 코를 짓밟아 주겠다 생각하며 살아왔습니다. 세상에 대한 원망과 분노가 마음에 가득하였고, 항상 날이 서있는 채로 살았습니다. 교회 목사님 도움으로 보육원에서 잠깐 살다가 친할머니가 저와 동생을 데리러 오셔서, 중.고등학교 시절을 할아버지가 폐지를 주운 돈으로 4식구가 먹고 살았습니다. 21살에 독립을 하였고, 엄마와 다시 살게 되면서 정신적으로 엄청나게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엄마는 매일 환청과 싸우시며 혼잣말 하시고 소리를 마구 질러 대셨습니다. 옆에서 보는 사람은 진짜 미쳐요. 이웃집들은 모두 이사를 갔고, 경찰도 와서 보고 도망갔습니다. 병원 입퇴원을 반복시키며, 매일이 불안하고 미칠거 같아서 엄마가 없었음 좋겠다 생각하였지만 엄마 곁엔 저와 동생밖에 없었기에 엄마를 놓지 못하겠더라구요. 그렇게 불안정 하게 20대를 살아오다 2년전 엄마를 보내드리고, 30대 초반인 지금에서야 심리치료를 받기 시작 했습니다. 다행히 좋은 남편 만나 점차 안정적인 사람으로 변하고 있고, 제 자신을 가엾게 여기며 엄마 몫까지 더 행복 하려고 노력합니다. 제 학창 시절, 학교 선생님들이 잘 챙겨주셔서 감사한 마음이 있고, 종교에 많이 의지를 하였으며 고전서적과 자기개발 서적이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살아보니 사람을 잘 만나는 것이 인생에 큰 영향을 받는 것 같습니다. 나쁜길로 빠지지 않고, 자해한 적도 없고, 강하게 마음 먹으며 이 모든걸 견뎌내고, 성실히 살아온 제 자신이 대견스럽습니다. 흙수저도 아닌 마이너스 수저에서 시작하니 저에겐 앞으로 올라갈 계단만 있더라구요. 그렇게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한걸음씩 올라가는 재미로 살아왔습니다. 제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며 살았고, 평범한 사람만큼 올라왔다는 성취감이 들었습니다. 그럼에도 저는 사회 공포증이 심했었고, 사소한 걸로도 분조장처럼 화낼 때가 있었으며 항상 외롭고 불안정 했지만 그런 저에게 끝없는 믿음을 주며 치료가 되기를 기다려 준다는 남편 덕에 사람을 다시 믿게 되었고, 안정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과거의 아팠던 트라우마 이겨내며 남은 여생 행복하게 살거에요. 누가 뭐라하든 저는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입니다. 그지같든 어떻든 나의 인생은 내가 만드는 거에요. 성공한 사람들의 생각을 모방하며 사는게 도움 됩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추가) 사실 지금도 한번씩 엄마 꿈을 꾸고나면 걷잡을 수 없는 큰 슬픔에 빠져 당장 죽고 싶을 정도로 깊은 절망감을 느낍니다. 결혼 3년차인데 남편과 함께하는 일상이 정말 행복하지만, 고통스러운 과거가 한번씩 저를 괴롭히고, 그 고통에 잠식되어 많이 힘들 때가 있습니다.. 어떠한 트라우마는 아무리 노력하고 이겨내려 해도 잊혀지지 않는 트라우마도 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비참하게 잃었거나, 오랜 기간 끔찍한 고통을 당해온 사람의 상처는 굉장히 오래, 아니 평생 갑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상처가 점점 옅어지길 희망합니다.. 인생은 고통이지만, 그럼에도 행복한 날들도 있기에 살아가게 되는것 같습니다. 아픈 트라우마 가지신 모든 분들이 행복한 날이 더 많아지길 소망합니다. ++ 좋은 댓글과 추천 정말 감사합니다😢❤ 따뜻한 댓글들을 읽고 감동을 받고, 용기를 많이 얻어갑니다. 따뜻한 마음만큼 더 따스하고 행복한 일들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 글에 제가 생략한 부분이 많고 여기에 다 작성할 순 없지만, 사람은 누구나 각자의 상처와 아픔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굉장히 힘들고 불행했던 시절엔 시기/질투가 심했고, 행복해 보이는 사람이 모두 불행해 졌음 싶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마음이 여유로워지고 행복해져 보니 깨닫게 되었습니다. 내가 행복하니 다른 사람의 행복에 관대해 지게 되더라구요. 했었고, 사소한 걸로도 분조장처럼 화낼 때가 있었으며 항상 외롭하늘의 도움인지 그

  • @Ninaaaa444

    @Ninaaaa444

    3 ай бұрын

    용기있는 말씀 감사해요

  • @user-wp7um1ov1f

    @user-wp7um1ov1f

    3 ай бұрын

    선생님께서는 괴롭고 힘든 상황에서도 용기를 잊지 않고 성찰하신 분이기에 행복해질 자격이 있으신 분이에요. 행복하세요.

  • @user-sd4gg5xi9o

    @user-sd4gg5xi9o

    3 ай бұрын

    좋은남편이 맞는지요 보통 그런환경에서 자란 여자는 티가나는데 좋은남자가 곁에 있다는게 가능한지요

  • @oldromance00

    @oldromance00

    3 ай бұрын

    그 어린 몸으로 힘든 시간 잘 버티고 견뎌오신 거 정말 대단한 거에요 그런 스스로에 대한 굳건한 의지와 믿음이 있기에 말씀처럼 가시밭길 끝나고 앞으로는 평탄한 길 이어질 것이라 믿어집니다 마음의 상처들 잘 치유하시고, 행복한 가정 예쁘고 건강하게 잘 꾸려가세요 ^^

  • @keunwookang5499

    @keunwookang5499

    3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좋은남자 아닐까요 ​@@user-sd4gg5xi9o

  • @Gloria_Aria
    @Gloria_AriaАй бұрын

    나의 최고 가해자는 부모였음… 신체학대와 언어학대… 그리고 내가 나이들어서도 나를 힘들게 함. 지들 기분 안 좋으면 자식 목조르고, 발로 밟고… 추운 겨울에 옷 벗겨서 내보내고.. 10살에는 부모 둘다 자식 버리고 도망쳐서 배고파서 구걸도 해 봄. 월세도 빼가고, 가스도 다 끊겨서 찬 바닥에 벌발 떨던 기억이 생생함. 어릴 때 기억은 “살아야 한다.”라는 기억밖에 없음. 어떻게 그렇게 작고 힘없는 8살 아이를 그렇게 학대했는지 내가 그들의 나이가 된 지금…. 정말 이해가 안감. 난 악착같이 살음. 공부도 열심히, 일도 열심히…. 늙어서 두고 보자는 생각으로 이제 늙어가는 부모. 갑자기 친한척 착한척 연약한척 하며 돈을 요구하더라. 어릴 때 이를 갈고 버텼다. 늙어서 두고보자고.. *이제 버려질 차례는 당신들이라고*

  • @snowcountry322

    @snowcountry322

    Ай бұрын

    고생하셨습니다.

  • @user-bb9or2gl9l

    @user-bb9or2gl9l

    15 күн бұрын

    버려

  • @user-co7zm4iw1x

    @user-co7zm4iw1x

    14 күн бұрын

    행복한 길만 길으시길요

  • @user-uh9ci1eb1r

    @user-uh9ci1eb1r

    14 күн бұрын

    이제 버리고 꽃길만

  • @yy3135

    @yy3135

    13 күн бұрын

    버려버려요

  • @jennykim1583
    @jennykim158311 ай бұрын

    진짜 맞아요. 왕따를 당한 경험이 있어서 이게 30대 중반까지 지배해요. 트라우마 때문에 조금만 다른친구한테 싫은 소리 들어도 위축되고 눈치보이고 멍청해지고 그래서 저는 왕따 가해자들이 악질이라 생각함

  • @abcdefgpqmn

    @abcdefgpqmn

    11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전 초등학교6학년때 7살때부터 알던 친했던 친구한테 투명인간 취급당하는 왕따당한적있는데요 30대초반인데 아직도 왕따당하는 꿈을꿔요 그 친구는 한번도 꿈에 나온적 없지만 현재도 알고지내는 친구들한테 왕따당하는 꿈이요 무시하는 패턴의..똑같이 꿈안에서 두려움과 긴장됨을 느끼고 꿈 깨서도 그 감정이 현실에서도 이어지고.. 절 왕따시켰던 친구는 저말고도 다른친구도 왕따시켰는데 그친구가 당시에 얼마나 가벼운 마음으로 행동했었는지 성인되니까 알겠더라구요 그 생각없고 가벼운 마음과 행동으로 인해 정작 당한 사람들은 무거운 트라우마를 간직한채 살아가야하는게.. 그래서 저도 진짜 왕따가해자들 악질이라고 생각해요

  • @jennykim1583

    @jennykim1583

    11 ай бұрын

    @@abcdefgpqmn우리 자기자신을 더 사랑하고 아껴줍시다. 공감해주는 이가 있어서 위로가 됩니다❤️❤️

  • @uoujj

    @uoujj

    11 ай бұрын

    과거경험에서 벗어나 앞으로 좋은 인간관계만있으시길

  • @user-wz4jn6uf8j

    @user-wz4jn6uf8j

    11 ай бұрын

    가폭,학폭 지옥임. 대인기피증 안고쳐져요

  • @koko-737

    @koko-737

    11 ай бұрын

    공감. 초등학교 3학년때 반 남자애들로부터 당했던 폭행과 놀림. 지금 30살인데 20년이 지났는데도 잊혀지지가 않아요. 다른사람들과 막 떠들고 지내다가 조금만 시선 싸해지는거 느껴지면 바로 위축. 내가 점점 찐따되는 느낌에 점점 주눅들고. 개인적으로 왕따 가해자들은 세상에서 가장 고통스럽게 살다가 죽어야한다고 생각해요.

  • @user-wi7xo5ry4t
    @user-wi7xo5ry4t11 ай бұрын

    내 생각엔 우리나라 많은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트라우마를 주고 있고 부모들은 그 사실을 모릅니다.

  • @sweetallier

    @sweetallier

    Ай бұрын

    문제는 그렇게 자란 자녀가 다시 부모가 되어도 똑같은 악습을 반복한다는 것임...

  • @user-fk9cl7fk9r

    @user-fk9cl7fk9r

    Ай бұрын

    걔네도 이기적이고 욕 먹게 되고 그 자식이 이제 본인도 욕하고 ㄹㅈㄷ 난 인과관계 인간 도덕 수준 때문에 결혼도 연인 관계도 친구도 벅참 문제는 사람들도 약아​@@sweetallier

  • @user-db2fu8gx1x

    @user-db2fu8gx1x

    Ай бұрын

    과거로 갈수록 더 어려웠고 x같았던 일들 투성이라 이건 세대적 전승이고 역사적 배경인 원인도 있습니다..

  • @ssamssae

    @ssamssae

    Ай бұрын

    출산율이 떨어지는 이유가 이거다😂😂😂

  • @user-hx4ly8os3p

    @user-hx4ly8os3p

    Ай бұрын

    애초에 도덕적인 사람이 지구상에 몇 없음

  • @sonasoo
    @sonasoo11 ай бұрын

    요즘 결혼도 안하고 연애도 안하는 세대들보면 그 뿌리가 깊다...

  • @user-zf2dq8iz3p
    @user-zf2dq8iz3p9 ай бұрын

    중학교때 학교에서 은따당할때 집에서 힘들어서 엄마한테 말해보려고 했을때 귀찮다고 시큰둥하던 엄마 화장실가서 엉엉 몇시간을 쓰러질때까지 울어도 관심도 없어서 그후로 남앞에서 안울게됨 어차피 위로 못받을걸 알았나봄 근데 엄마하고 떨어져서 독립하고 좋은 친구들도 많이 사귀었음 나를 정말 있는 그대로 봐주고 따뜻한 위로 부족한 내 모습도 그대로 봐주는 친구들 덕분에 삶에 우울증이라는게 사라졌음 근데 귀신같이 6년만에 엄마를 보게 되니까 우울증 생김 가족이니까 봐야된다는 전근대적인 사고방식은 완전히 버렸음

  • @sj4891

    @sj4891

    3 ай бұрын

    아이고 어머니의 무관심에 상처를 받으셨군요

  • @user-dc3hp1rl1u

    @user-dc3hp1rl1u

    Ай бұрын

    서로 버린듯

  • @user-vo8kc5kf7y

    @user-vo8kc5kf7y

    Ай бұрын

    @@user-dc3hp1rl1u 남한테 할말 하지말아야할말을 구분하고 사세요

  • @Oliviaoo622

    @Oliviaoo622

    Ай бұрын

    ​@@user-dc3hp1rl1u 입이 뚫렸다고 다 인간같이 말하는건 아니네

  • @user-er5mi2we5s

    @user-er5mi2we5s

    Ай бұрын

    전 고딩때 엄마 바람나서 돈 다 날리고 저보고 대학 시험 포기하라고해서 울고 또 울다 폐렴 걸렸음. 의사가 치료안하면 일년 못 넘긴다고 함. 다행히 치료약은 공짜라 목숨 건짐.일년을 밤마다 울어서 한번도 물어보지도 않음. 그래도 이십년째 엄마 먹여살리는 중. 그때부터 가족애 그딴거 없어짐. 그저 은혜갚는다 하고 부양중. 생활비 보내고 얼굴은 잘 안 봄.

  • @shy9319
    @shy931911 ай бұрын

    지금 생각해보면 1990년대까지 교육을 받아왔던 사람들은 정신치료 한 번씩 다 받아야 한다고 본다. 가정 폭력은 복불복이지만, 공교육을 가장한 폭력이 일상적이었거든. 시골에서 많이 당해서 도시로 가면 ''무식한 촌동네보다는 낫겠지''했는데 웬걸? 도시 선생들의 숫자만큼 고문의 방식이 다양해서 놀라웠다. 그리고 군대에서 폭력의 최정점을 경험하게 되지. 그러니까 몸이 기억하는 트라우마가 하나도 없을 수 없다는 게 당연한 추론임.

  • @user-wq3vf4xs9h

    @user-wq3vf4xs9h

    4 ай бұрын

    😢어느정도 옳습니다

  • @user-bn3vo6sd3r

    @user-bn3vo6sd3r

    3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 @user-ln5ho4jq4u

    @user-ln5ho4jq4u

    3 ай бұрын

    맞아요 ㅠㅠ 초등학교때 선생님이 너무 무서워서 1년동안 말을 거의 안하고 학교 다녔었어요 체벌이 너무 심해서 학교가기가 엄청 두려웠었어요

  • @olivia-hr3dz

    @olivia-hr3dz

    3 ай бұрын

    부모에게 맞는게 이상한게 아닌 문화였죠 학교선생이 치마붙이고 벽대고 서라하면 그게 당연했고요

  • @elie8496

    @elie8496

    3 ай бұрын

    맞아요 때리고 각목으로 성적 떨어졌다고 20대씩 엉덩이 때리고 솔직히 개무식했죠 ㅋ 집에서 맞고 학교에서 맞고 억울함이 쌓이니 지금은 분노조절장애가 저절로 생긴것 같아요ㅠ

  • @user-gt6md1xz4q
    @user-gt6md1xz4q11 ай бұрын

    부모도 이기적이고 자기들 기분이 먼저이고 회피만해요 그래서 자식 마음이 병들어도 부모는 아무런 도움이안되요 인간은 다 이기적이예요 남보다 내가 우선인거죠 이건 부모도 똑같아요 자기들 입장 기분이 먼저더라구요 아무도 내마음 알아주는사람은없어요 나 스스로가 극복해야될 문제같아요

  • @pdm6569

    @pdm6569

    11 ай бұрын

    무던히 애 쓰셨겠죠 아무리 내 나름 노력해도 부모가 바뀌지 않았을거예요 님은 어떤 방식으로든 치료하고 나아지겠죠 할만큼 하셨고 최선을 다하신겁니다 그들은 안바뀔겁니다 내버려두세요 어쩌면 그들이 죽을때까지 깨닫지 못하는게 최고의 복수일지도 몰라요

  • @user-ey2ms7ly5h

    @user-ey2ms7ly5h

    3 ай бұрын

    그 사실이 가끔 너무 외롭게 느껴지기도 해요.. 어차피 내가 바뀌지 않으면 아무것도 바뀌지 않을거라는게.. 내가 바뀌지 않으면 나를 이해하려던 사람들도 결국은 지쳐서 떠나갈거고 결국 모든건 내가 어떤 사람이 되냐에 달렸다는게.. 지금의 나여도 그래도 나를 꾸준히 사랑해줄 수 있는 이가 없을것 같아서

  • @user-he4mk9vg7w

    @user-he4mk9vg7w

    3 ай бұрын

    그 무엇도 극복할수 없어요. 자살을 준비중입니다.

  • @olivia-hr3dz

    @olivia-hr3dz

    3 ай бұрын

    맞아요

  • @bellasongi2

    @bellasongi2

    3 ай бұрын

    ​@@user-ey2ms7ly5h너무나 공감해요 .. 힘내요우리❤

  • @danbeek
    @danbeek Жыл бұрын

    가슴이 턱 막힌다 잘 지내는것 같으면서도 이렇게 문득 과거를 건드려지는 매체라도 접하게 되면 순식간에 30살의 나는 15살이 된다

  • @Sad-qu6ju

    @Sad-qu6ju

    11 ай бұрын

    캬...

  • @user-sy8li7yt8e

    @user-sy8li7yt8e

    11 ай бұрын

    힘내세요 강의대로 예전 일이에요 속상한 마음 위로해드려요. 힘내세여ㅠㅠ

  • @sweetallier

    @sweetallier

    Ай бұрын

  • @user-ib7gs5nd6j
    @user-ib7gs5nd6j3 ай бұрын

    육체적폭력보다 언어폭력이나 경멸의눈빛 그리고 방임이 더 무서운건 가해자가 본인이 가해자인걸 인지를 못한다는겁니다 그리고 가정불화와 부부싸움 그리고 배우자욕을 자식에게 하는건 두고두고 그냥 내 자식 망치겠다고 작정한거에요

  • @Hosanna.Rabonni

    @Hosanna.Rabonni

    19 күн бұрын

    육체적 폭력보다 라는 가정을 굳이 하시는 이유가 뭔가요? 굳이 비교해서 폭력중에 더하고 덜한게 뭐가 있나요

  • @menoexist3971

    @menoexist3971

    17 күн бұрын

    다르다고 생각해요 저도. 비교할 수 있는 ‘다름’이라고 생각합니다. 같지 않으니까요. 저분의 의견은 그럴 수 있지요.

  • @a0a0--0ao0

    @a0a0--0ao0

    16 күн бұрын

    육체적 폭력은 물리적인 경험이고 상처나 자국이 남잖아요 원댓글에서 말하는 언어적 비언어적 폭력/방임은 증거도 없고 내 경험뿐이고

  • @seongjunpark7034

    @seongjunpark7034

    4 күн бұрын

    보통 동반하죠

  • @user-xl3pf8vq2x
    @user-xl3pf8vq2x3 ай бұрын

    잡혀갈 정도의 학대는 아니어도.. 말로 짓밟는 부모도 많아요.

  • @user-gy1zn5vu6e
    @user-gy1zn5vu6e Жыл бұрын

    화를 멋지게 못내겠음. 제대로 내본적이 없어서 그런듯. 화를 내면 관계가 틀어질만큼 막말도 나오고 들어보면 내가 맞는데 내가 이상한 사람이 될까봐 못내겠음

  • @Healing_the_Brain-WhaleTrainer

    @Healing_the_Brain-WhaleTrainer

    3 ай бұрын

    엣 저도.... 화 못 내더라구여 심지어는 연기 수업할 때는 화를 못 내서 스스로가 되게 우스꽝스럽게 느껴졌음 ㅋㅋㅋ큐ㅠㅠㅠㅠㅠㅠ그래서 요즘엔 화를 내는 게 아니라... 그냥 내 할 말만 한다...하고 생각합니다. 이건 화내는 기 아니라, 그냥 해야할 말을 하고 있는 것 뿐이야. 침착하자, 이건 그냥 해야할 일이고, 어떤 결과가 나오든 상관없어. 라고 생각하고 살아갑니다..ㅎㅎ 제겐 나름의 꿀팁이었는데 님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여!

  • @user-qt6bv2hk7o
    @user-qt6bv2hk7o Жыл бұрын

    내 부모가 대체 내게 무슨 짓을 한건지... 대체 내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친건지.. 이따위로 키울거면 차라리 낳지나 말지..

  • @user-yw7pr4yb3w

    @user-yw7pr4yb3w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최소한 결혼해야할사람과 결혼하지말아야할사람이 있다는거는 알게되네요 그걸 아는사람은 최소 다른사람들처럼 평범하게 부모와는 다르게 살수있지않을까요

  • @user-vd5ye6yb8r

    @user-vd5ye6yb8r

    9 ай бұрын

    부모 병신인거 인정했으면 탓 그만하고 앞으로가자😊

  • @user-ir5gh9cv5g

    @user-ir5gh9cv5g

    3 ай бұрын

    시발 인정

  • @hazelnuttree8843

    @hazelnuttree8843

    3 ай бұрын

    ​@@user-yw7pr4yb3w 그걸 나중에 알아버렸네요. 정말 후회합니다.

  • @user-ch7uq5yf5y

    @user-ch7uq5yf5y

    16 күн бұрын

    내 부모도...

  • @user-rw1px9qd2r
    @user-rw1px9qd2r11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이야말로 가정폭력에 찌든사회지. 그리고 그것을 사회에선 철저하게 외면하고 남과 비교하며 겉모습만 집착하는 기괴한 사회지

  • @user-pm9cc3kw7x

    @user-pm9cc3kw7x

    3 ай бұрын

    ㄹㅇ 신체폭력만 폭력은 아님

  • @jennyjang5844

    @jennyjang5844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 @user-eb9vy4id3z

    @user-eb9vy4id3z

    Ай бұрын

    기괴하긴하네요 ㅜㅜ 부정할순없는것같아요

  • @maxkoo2926

    @maxkoo2926

    15 күн бұрын

    ㄹㅇ 전래동화책보면 어릴때 오줌싼다고 키쓰고 소금얻어오라고하고 뭐 좀 잘못하면 내복입고 집밖에 내쫓고 ㅋㅋㅋㅋㅋ 외국은 외출금지를 시키는데 우리나라는 집밖으로 내버림ㅋㅋㅋㅋ얼탱 대한민국

  • @user-zp2yk6bu4v

    @user-zp2yk6bu4v

    13 күн бұрын

    ​@@maxkoo2926심봉사를 위해서 목숨을 버리는 심청이를 찬양하는 나라니까요. 저희 아버지가 알콜중독으로 주폭을 달고 살았는데, 어릴때는 그런 아버지께 나중에 간을 당연히 기증해줘야한다고 생각하고 살았네요. 자식은 그렇게 효도해야하는거라고. 어릴때는 그게 당연한건 줄 알았고, 그렇게 교육받았죠.

  • @user-be6nx6eg8y
    @user-be6nx6eg8y11 ай бұрын

    몸은 기억한다. 상담과정에서 어린시절 겪었던 부모싸움이 재연되는 장면에서 온몸이 굳어버리고 고개조차 돌리지 못했다. 엄마는 이웃집으로 도망가고 깜깜한 어둠속에서 엄마를 기다리던 아이. 아빠 아빠 ~유난히 아빠를 따랐던 아이. 그런 딸에게 장난치고 뽀뽀하고 종이접기와 옛날이야기를 들려주던 아빠가 왜 엄마에겐 그러는지 이해하기 힘들었다. 그러다 어린딸이 거짓말을 했다고 저수지에 던져버린 아버지. 살려고 발버둥치며 나왔는데 다시 던져졌을때 그 아이 마음이 어땠을까... 거짓말 했던게 아닌데도 너가 실수하지 말았어야지... 늘 자신을 채찍질하며 살았고 인간을 이해하고 싶어서 심리학책을 무던히도 읽었었다. 미우면서도 한 인간으로 바라보면 아버지, 어머니 또한 애잔하고 미움과 분노밑에 가라앉아있었던 다시 사랑받고 싶었던 그 마음. 스스로를 비난하며 살아온 자신을 마주한 순간 미안해서 며칠을 울었었다. 그런데도 여전히 실수에 대해 관대하지 못하다. 부모에게 어리광을 부려본적도 없고 아이에게 엄마는 언제나 짠한 존재였다.(심리적으로 돌봐야하는 대상) 아무도 너를 지켜주지 않아. 너 스스로 지키고 살아야돼. 어린맘에 했던 다짐이 자신의 감정을 억눌러버리고 이성적 인간으로 살아가게 만들었다. 아직도 난 내 감정을 잘 모르겠다. 진짜 감정인지 스스로를 설득하는건지...

  • @moonmidnights4070

    @moonmidnights4070

    11 ай бұрын

    저랑 너무 생각이 똑같아서 눈물이나요..

  • @pdm6569

    @pdm6569

    11 ай бұрын

    너무 가슴 아파요 쓰니님 응원합니다

  • @sootenn4487

    @sootenn4487

    11 ай бұрын

    너무 비슷하네요. 제일 섬뜩했던 순간은 어느 하루는 아버지의 엄마를 향한 폭력에 약간의 희열감을 느끼고 있던 나를 발견 했던것. 그러다 왜 말리지 않냐던 엄마의 목소리에 그 순간에서 깨어났죠. 이제 내일 모레 오십. 손가락 제법 셀만한 인생을 살아보니 그저 지난 시간속 경험속에서 좋은것만 걸러내어 나로 만들어 가는 것. 굳이 나를 찾는것이 아닌 매일 나를 만들어 가는 것이라 생각하고 뗄 것 떼어내고 부칠 것 부쳐 살아가려 하죠. 어떤 내가 진짜인지 굳이 생각하려 하지 않아요. 오늘 보는 내가 진짜이죠. 어차피 영원히 같은 사람은 없으니까요. 나를 지켜 낼 수 있는 힘을 길러낸것에 대견해 하고, 누군가를 돌봐 주고 싶다는 나를 기특해 하고, 조금이나마 그럴 수 있음에 감사하고. 지치는 날에는 내가 나를 다독거리며 또 주어진 날을 살아가요. 어느날에는 기쁘게, 어느 날에는 힘겹게 꾸역꾸역. 어차피 살아가야 하는 날들이라면 이왕 이리 된것 잘 만들어 보자… 그러다 어떤 날은 정말 외로울 때도 있어요.그런 날은 또 그런대로…

  • @user-wq3vf4xs9h

    @user-wq3vf4xs9h

    4 ай бұрын

    😢짠하네요 저도 비슷한 경험이 ㅜ 결국 결혼도 분별없이하게되고 불륜으로 이혼하고😢

  • @euporia238

    @euporia238

    4 ай бұрын

    토닥토닥

  • @iningj3333
    @iningj33333 ай бұрын

    폭행은 아니었지만 신경질적으로 화내는 부모님 밑에서 컸어요....더 힘들게 살아오신 분이 많아 어디서 말도 못 꺼내지만 언어로 상처받은 트라우마라서....부모님 두 분 다 나를 보호해 줄 사람이 아니다 라는 생각을 가지고 쭉 자랐습니다.. 아직도 내 공간(집, 일터)에 부모님이 들어오는 거 병적으로 싫어하고 스트레스 받을 때마다 뛰어내릴까 내가 죽은 다음에 후회해줄까 이런 생각해요. 악지르고 싫어해도 부모님은 바뀌지 않고......한번씩 부딪히면 멘탈 산산조각 납니다... 아이들한테 정서적으로 힘이 되 주는거 정말 중요해요. 경제적으로 조금 못 받쳐주더라도 성장기에 정서 교감이 나중에 자산이 됩니다.

  • @user-tq6sr9gy6i

    @user-tq6sr9gy6i

    3 ай бұрын

    독립하셧나요?

  • @simplejoo

    @simplejoo

    3 ай бұрын

    저와 같네요ㅋㅋ저는 조울증 모와 나르시스트 부가 언어 폭력을 꾸준히 해줘서 서른 넘은 지금에야 스트레스로 온 몸이 망가졌답니다ㅋㅋ 잘 버텼죠. 부모는 절대로 바뀌지 않아요. 안타깝게도 내가 죽거나 부모가 죽거나 하지 않는 이상 평생 벗어날 수도 없는 거고. 유일한 방법은 한 쪽이 죽는 것, 아니면 이민을 가서 평생 대면할 일 없게 만드는 것 뿐... 많이 힘드셨겠네요.. 부디 자유로워지는 날이 오기를.

  • @snowcountry322

    @snowcountry322

    Ай бұрын

    그럼요... 꼭 폭력이 있어야 큰 상처가 되는 거 아닙니다.. 저도 부모님이 같이 소리지르는 일이 자주 있었는데 골이 깨집니다... 정말 트라우마 오래갑니다..

  • @aa-sz3bs

    @aa-sz3bs

    21 күн бұрын

    저는 여기에 폭행 추가할게요. 빈번했던 건 아니지만, 어디 한 번 버릇 고쳐보겠다는 식으로 개패듯이 패는 폭행이 몇 번 있었네요. 저도 그래요. 내 공간(저 같은 경우에는 독립을 못해서 아직 방이네요) 에 들어오는 거 병적으로 싫어해요. 정서적으로 힘이 되어주지 못한 부모는 자기 힘든 일 있으면 딸이 지금 어떤 상황인지는 안중에도 없이 자기 힘듦만 쏟아내기 바쁘고.. 뭐, 그 핑계로 저는 끊임없는 무기력에 빠졌네요. 벌써 집에서 칩거한지 몇 년 되어 가는데 아무래도 못 벗어나고 죽을 거 같아서 요즘 정말 참담합니다..

  • @user-tq6sr9gy6i

    @user-tq6sr9gy6i

    20 күн бұрын

    @@aa-sz3bs 저도요..내공간에 들어오는거 병적으로 싫어하고 예전에 밝은시절 건강하게 독립해보고자 돈도벌고 모으고했는데 넌 부모님과살다가 결혼하면 나가는거라는 말듣고 충격받아서 돈벌어서나갈의지도없이 그냥 백수로 칩거중 인생욕심도안나요 어차피 혼자 뭐 할수도없는데 하면 욕먹고

  • @user-lj1oj3pu6g
    @user-lj1oj3pu6g Жыл бұрын

    트라우마가 무서운 점은 다시 사랑하기가 어려워진다는 것

  • @ariiiiiiiiii

    @ariiiiiiiiii

    Жыл бұрын

    타인뿐 아니라 자신마저도

  • @user-ip9vw2yq9v

    @user-ip9vw2yq9v

    11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 @Sad-qu6ju

    @Sad-qu6ju

    11 ай бұрын

    @@ariiiiiiiiii 캬...

  • @hansranda3205

    @hansranda3205

    11 ай бұрын

    난 그래서 내 아버지를 버렸음

  • @user-vw9yl6nl5z

    @user-vw9yl6nl5z

    7 ай бұрын

    @@Eyjoobfr5bnki악행을 저지르는 인간탓에 인간에대한 믿음이 사라지기때문이죠

  • @tbrkfjtnl
    @tbrkfjtnl11 ай бұрын

    개같은 부모 때문에 안겪어도 될 걸 겪고 정신건강을 돌보기 위해 많은 시간을 투자했다. 트라우마 그 자체보다 하지 않아도 될 노력을 남보다 배로 해야했던 시간이 억울하고 분하다.

  • @user-ch7uq5yf5y

    @user-ch7uq5yf5y

    16 күн бұрын

    저도요..지금도 트라우마랑 싸우는중

  • @user-il2ue4nh7k
    @user-il2ue4nh7k3 ай бұрын

    그들은 왜 애를 낳은것일까요 이유는 각자 여러가지 겠지만 행복하게 해줄 자신이 있던걸까요 아님 본인들 노후의 보험 같은 것이었을까요... 제가느낀건 그냥 남들 다 하니까 반 본인들 노후 보험 반 인 느낌입니다. 자식이 살아갈 인생이 행복한지는 별로 중요하지가 않아요 그래서 그런가 낳아준것 자체가 원망스런 사람들이 많은것 같아요 낳아준것만으로도 감사해야한다 가스라이팅 하지만 감사를 느끼고 말고는 자식의 몫인데 정말 아이를 낳아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신중하게 생각했으면 좋겠습니다 또다른 내가 없도록 내가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다시태어난다면 다신 부모가 낳아준 사실이 원망스럽지 않길 바랄뿐입니다

  • @oh2523
    @oh25233 ай бұрын

    내 부모가 그러지 못했어도 나는 최선을 다해 좋은 사람으로 살아야 합니다. 자식을 사랑한다는 건 그런 거겠죠. 내가 가지지 못했던 거 나에게 부족했던 걸 나 대신 채우려 하는 게 아니라 나를 끊임없이 벗겨내고 이겨내서 어떤 시련에서도 선한마음으로 살아갈 수 있게 보여주는 거. 그게 부모의 역할 인 것 같습니다.

  • @user-eric_cartman
    @user-eric_cartman Жыл бұрын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상처를 주지 맙시다

  • @user-pr9xp2vg9b

    @user-pr9xp2vg9b

    Жыл бұрын

    네! 정말 옳으신 말씀입니다.

  • @koko-737

    @koko-737

    11 ай бұрын

    맞는말이지만 학대와 교육은 구분해야 합니다. 요즘은 아이들 상처 안주겠다고 혼도 안내고 꾸중도 안하는 부모들이 많아서 문제.

  • @user-pr9xp2vg9b

    @user-pr9xp2vg9b

    11 ай бұрын

    네, 좋은 말씀입니다. 그 의견에 동의합니다. 조금더 첨언하자면... 이 동영상의 내용은 정상적인 교육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누가 보더라도 명확한 학대에 관해 살펴보자는 것입니다.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 @hayoungjoo8685

    @hayoungjoo8685

    11 ай бұрын

    @@koko-737 너무나 옳은 말씀입니다^^

  • @juliasgarden6968

    @juliasgarden6968

    3 ай бұрын

    @@koko-737 제가 보기엔 어릴 때 너무도 가혹하게 혼나고 그것이 학대가 된 경우, 커서는 그 반동작용으로 자신의 아이에게 너무 관대해지는 게 아닐까 해요. 자신의 부모처럼 되지 않으려고 애쓰다보니 어느 정도가 맞는지 헷갈리는 거죠.

  • @user-iw6il9xw9d
    @user-iw6il9xw9d11 ай бұрын

    부모의 품성 고하가 자녀의 미래를 정하는 듯. 자녀 키우다 보니 내부모가 얼마나 나쁜 부모였는지 깨달음.

  • @user-fw2go9qs5s
    @user-fw2go9qs5s3 ай бұрын

    부모와 연을 끊은지 15년이 넘었지만 미워하지 않아요. 나를 치유하기위해 오랜 상담으로 알게된건 우리의 부모들도 제대로된 사랑과 가르침을 못받은 트라우마를 지닌 한 인간이란거예요. 결국 대물림되는거죠. 이제 나는 성인이고 나의 잘못이 아니였다해도 극복하고 나를 구해줄 사람은 결국 나뿐인거죠. 모두들 평안해지시길..

  • @user-mb6xx5dd7u

    @user-mb6xx5dd7u

    2 ай бұрын

    감사해요❤

  • @zerosum44

    @zerosum44

    2 ай бұрын

    평안을 찾으셨나봐요.. 다함께 고요한 호수와같은 잔잔한 평온을 얻길..

  • @bingoandtoto

    @bingoandtoto

    27 күн бұрын

    글쎄요 그 용서가 진짜일까요 아니면 아직도 부모에게 사랑 받고 싶은 아이의 아우성일까요

  • @II-jx7ce

    @II-jx7ce

    5 күн бұрын

    @@bingoandtoto미워하지 않는다 했지 용서라는 단어는 꺼내지 조차 않았어요 글쓴이는

  • @user-fw2go9qs5s

    @user-fw2go9qs5s

    3 күн бұрын

    ​@@bingoandtoto댓글 감사해요. 말씀에 제 마음을 찬찬히 다시 들여다볼수있는 계기가 됐네요. 용서가 굳이 필요하지 않은건 그분들은 제게 이제 부모로, 가족으로의 의미가 없습니다. 그렇기에 시간이 걸렸지만 한인간으로만 바라볼수 있었고 미워하지 않는다는건 진심입니다. 다시 만나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건강히 잘 사시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사랑받고자 하는 내면아이는 당연히 여전히 존재하죠. 근데 그건 그분들에게 원하는게 아닙니다. 좋은 시댁과 남편을 만나 사랑받고 있지만 정말 제가 원하는건 내가 나를 온전히 사랑해주는것인데 아직 거기까지는 가지 못했네요. 행복하시고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 @plzSS22
    @plzSS22Ай бұрын

    2:40 트라우마 증상 1. 표정이 딱딱하게 굳고 자세가 움츠러든다 2. 몹시불안해 어찌할줄을 모른다 3. 충격적 사건이 머릿속에서 잊혀지지 않고 자꾸 떠오른다 4. 악몽을 꾼다 5. 당장 끔찍한 일이 일어나는것 처럼 행동한다

  • @dawngwak1590

    @dawngwak1590

    Ай бұрын

    순간적으로나마 그러쵸

  • @user-pz3tp2vh9r
    @user-pz3tp2vh9r Жыл бұрын

    아빠에 대한 외도 의심 관련으로 10대 후반부터 30대 중반까지 엄마는 내가 무슨일을 하고있는지는 개의치 않고 불쑥불쑥 별거아닌 사소한걸로 심각하게 얘기하고, 전화하고, 사진보내고, 끊임없이 불안을 전가.. 그걸 받아주지 않거나 불편하다고 의사표시를 하면 자기를 만만하게 본다며 온갖 쌍욕에 연을 끊자는둥, 나가라는 둥, 너도 아빠랑 똑같다는 둥, 언어적, 육체적 폭력을 일삼았다. 최근엔 경찰서 신고 및 부부싸움 말리는 과정에서 내가 물리적 피해를 받아 가정법원사건으로까지 커지고... 아빠 이름으로 보호관찰소에서 통지서 온걸 보고 불안하고 놀라서 수강을 수감으로 읽어버리는 착각에 빠질 지경에 이르렀다.. 밖에서 일할 때는 꼼꼼하고 침착하다고 인정받는 사람인데 집에서는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 놀란 격으로 심장이 쪼그라들게 된다.. 가족이 아니라 웬수들이다 자기객관화가 안된 채 짐승마냥 본능대로 살아가는 결혼할 자질이 없는 인간들은 제발 하지좀 말길.. 차라리 우리 젊은 세대들이 결혼을 함부로 안해서 오히려 이런 면에선 잘됐다는 생각이 든다. 불행한 가정을 재생산하지는 않으니.

  • @Sad-qu6ju

    @Sad-qu6ju

    11 ай бұрын

    첫 문단 특히 공감입니다... 제 경우는 느네 아빠가 바람핀다 라는 말을 대놓고 하는 경우였죠... "제가 뭔말을 하든 개의치 않는다"는 문장 진짜 공감입니다.. 제 말 듣는 눈, 그리고 바로 다음의 반응, 차후의 대우 등을 보면 안듣는게, 안들었었다는게 확 느껴져요. 기억조차 못하거나, 자기 좋은 쪽으로 미화되거나, 심하면 그래 내가 나쁜년이다 나가라, 나 자살해버릴거다 하면서 뻘떡펄떡대는 등... 고생 많으셨습니다

  • @DOENEE

    @DOENEE

    4 ай бұрын

    어머니가 정신쪽으로 가족유전이있나요? 짜증많고 신경질적인것도 정신병의 일종이더라구요

  • @Jennifer-fi9bw

    @Jennifer-fi9bw

    3 ай бұрын

    신경증이죠 의부증

  • @user-pz3tp2vh9r

    @user-pz3tp2vh9r

    3 ай бұрын

    불과 며칠전 협의이혼으로 마무리됐습니다. 본 글 쓰고 한달 뒤 부친이 가정이 있는 보통의 남자라면 할 수 없는 비상식적인 행동을 보여, 자식인 저조차 답답하고 이대로는 안되겠다싶어 탐정사무소 몇군데 검색해보고, 변호사 알아보라고 엄마에게 추천드려 진행했더니 하루만에 외도하는 꼴을 보게 되더군요. 몇 달간 확보한 증거자료와 선임한 변호사의 조언을 토대로 밀어붙이니 부친도 인정하여 재산분할도 대략 65;35로 엄마에게 유리하게 정리됐습니다. 가족 모두가 진실을 다 알고 있는 입장에서 부친은 지인에게 외도에 대한 합리화랍시고 개소리를 늘어놓고, 변호사 빼고 유리하게 합의보려고 이랬다 저랬다 말을 바꾸고, 이혼도 질질 끌면서 엄마를 바보취급하고 가스라이팅을 하는 과정을 모두 지켜보니 모든 원흉은 부친이었고 그 부친의 이기적인 행동으로 피해가 고스란히 엄마에게, 그리고 자식들에게 전가되는 삶을 살면서 부친만 평생을 희희낙락, 그 외 구성원들은 정신적으로 피폐한 삶을 살아왔던거죠. 잦은 이사와 이직, 업의 변경 아빠의 즉흥적인 계획에 최우선적으로 평생동안 가족이 협조해주고 지금은 일이 안정되어 하루 2시간만 일해도 될정도로 개인시간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가족과의 시간은 전무하고 1년 365일을 기상하자마자 밥먹고 바로 외출 후 연락은 거의 되지 않고 자정 전후로 복귀하는것도 존중하고 싫은소리 못하는 엄마였습니다. 남편의 외도가 들통나지않으면 의부증, 신경증. 우울증, 자살로 끝났을 수도 있는데 진실이 밝혀진 덕분에 정신과 치료, 심리상담, 취미활동, 운동으로 지금은 엄마에게 평화가 찾아왔고 저도 직업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일이 잘 풀리게 됐네요. 허구한날 접하는 엄마의 우울한 하소연과 표정, 아빠의 납득안되고 제멋대로인 행동들과 그걸 조목조목 따지거나 바로잡지 못하는 엄마의 모습, 그러다가 1년에 한두번 크게 터지는 부부싸움 그 꼴들을 더이상 안보게되서 너무 행복합니다.

  • @user-pz3tp2vh9r

    @user-pz3tp2vh9r

    3 ай бұрын

    @@DOENEE 신경증쪽은 부친쪽이 강합니다. 친가쪽이 말도못하게 예민하고 작은일에도 지적질, 훈계. 비교질, 짜증, 뒷담이 일상입니다. 그런 사람들에게 아빠를 제외한 저희 가족들은 을입장에서 눈치보며 살아오니 둥글둥글한 저희도 예민해지더군요...

  • @user-vt3fz5yw7p
    @user-vt3fz5yw7p Жыл бұрын

    모든 부모가 이 강의를 보아야합니다. 특히, 아이들을 무섭게 만들어서 말 듣게 하는 무식한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꼭 봐야할 영상입니다. 대물림의 대물림 정말 끔찍합니다.

  • @user-up9qh3fg1w

    @user-up9qh3fg1w

    Жыл бұрын

    너무 오냐오냐해도 안돼요

  • @BBuble

    @BBuble

    Жыл бұрын

    ​@@user-up9qh3fg1w 이 영상에 원 댓글 작성자가 이런 댓글을 작성한 의도가 뭐라고 생각하길래 아이에게 트라우마를 남기지 말라는 말에 대고 오냐오냐하지 말라는 말을 할 수 있는지 거참

  • @user-up9qh3fg1w

    @user-up9qh3fg1w

    Жыл бұрын

    @@BBuble 나르시시스트로 커서 대물림 된다구요

  • @user-vt3fz5yw7p

    @user-vt3fz5yw7p

    Жыл бұрын

    @@user-up9qh3fg1w 제 말씀의 요지는 부모의 화난감정만으로 소리지르고 말 안듣는다고 어린아이를 집어던지고 하는 이런 무식한 행위들이 아이들에게 트라우마로 남아 평생 무의식적인 무기력을 준다는 겁니다. 우울증과 공포에 시달리지만 일어설 힘도 없게 만들수도 있다는겁니다. 아이들을 존중하는 법을 배워야되고 말로 훈육해야 한다는 것이 요지입니다. 오은영박사님이 얘기하셨지요 천번을 말로해서라도 가르치는 것이 아이들이라고요

  • @user-up9qh3fg1w

    @user-up9qh3fg1w

    Жыл бұрын

    @@user-vt3fz5yw7p 그래서 그 박사님은 성추행하는 아빠를 신고 안했었죠?

  • @user-ym3yl7xy6x
    @user-ym3yl7xy6x11 ай бұрын

    부모한테 '니 가졌을때 낙태하려고 했다' 이런 말 듣고 자랐는데 확실히 사람들에게 선을 많이 그어요 슬푸다 그런 부모한테 길러져서 자살 안한게 다행이라고 생각해요

  • @julielee8375

    @julielee8375

    10 ай бұрын

    나도이말엄청듣고자랐고 유치원때부터 우울증있어요

  • @joyj5447

    @joyj5447

    8 ай бұрын

    저는 "너 낳을 때 엄청 고생했다. 다른 형제들은 쉽게 낳았고. " 라는 말 주구장창 하더라고요. 좀 쓸만하다 싶으니 낳아준 값 청구하려고 했는지 원!

  • @minhochoi7823

    @minhochoi7823

    8 ай бұрын

    와 저도 그런말 많이 듣고 자랐는데 15년이 지난 지금도, 그 말을 항상 입에 달고 사시던 할머니가 죽었어도 아직도 생각나네요. 화이팅입니다..

  • @mrham3695

    @mrham3695

    3 ай бұрын

    나는 성인돼서 듣고 엄마취급 안함

  • @user-uq5zg1uw9t

    @user-uq5zg1uw9t

    3 ай бұрын

    초등시절 내가 애기때 아빠가 버리라고 했다는 말을 엄마에게몇번이나 들었어도 성인인 지금 상처도 트라우마도 아무것도 남아있지않아 감사할뿐입니다 드는생각이 트라우마와 상처도 성향과 기질따라 받는것이 다른건가싶습니다~~

  • @disneymagic3012
    @disneymagic30124 ай бұрын

    어릴때 아부지가 하루가 멀다하고 술마시고와서 큰소리내고 엄마랑 싸우는 소리에 늘 무서웠다.. 그래서 내가 층간소음에 엄청 예민하고 소음에 늘 불안하다.. 그래도 좋은 남편 만났고 걷기도 빠짐없이 하니 조금 편해진걸 느낀다.. 백프로는 아니지만.. 몸을 움직이는게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user-ux4qm7pj7d
    @user-ux4qm7pj7d11 ай бұрын

    3-10세 때 아이를 너무 무섭게 다루는 아버지는 아이를 평생 바보아이 상태로 살아가게 만듭니다. 이렇게 자란 사람을 어른아이라고 부릅니다. 한국인들중 많은 분들이 적게 많게 이런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 시절 대부분의 아버지는 무서우니까요

  • @doydoyii

    @doydoyii

    2 ай бұрын

    그시절 무서운 아버지들 = 방구석 여포

  • @user-gm9hv1tu4t
    @user-gm9hv1tu4t Жыл бұрын

    이분이 쓰신 , 정말 훌륭한 책입니다. 감동적.. 일독을 권합니다.

  • @KimTaejeong2

    @KimTaejeong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정말 명강의 예요.

  • @user-tk4pw8ds4c

    @user-tk4pw8ds4c

    Жыл бұрын

    저자는 다르지만 최근에 번역된 '괴롭힘은 어떻게 뇌를 망가뜨리는가'도 한 번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 @user-vt3fz5yw7p

    @user-vt3fz5yw7p

    Жыл бұрын

    저도 지금 읽고 있는데 정말 작가의 노력과 애씀이 느껴지는 명저입니다.

  • @user-lq9ql1yy2t

    @user-lq9ql1yy2t

    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저도 읽어볼게요

  • @user-mr4nv4cd8e

    @user-mr4nv4cd8e

    11 ай бұрын

    뇌와 정신을 다르게 생각한다 Good!!

  • @biblessomnoh7949
    @biblessomnoh794911 ай бұрын

    EBS 감사해요 수신료는 모두 ebs가 받아야함

  • @juliasgarden6968
    @juliasgarden69683 ай бұрын

    사소하게 들리지만, 엄마가 나에게 했던 여러 가지 끔찍한 언행들 중에 '놀리기'가 있었다. 반에서 왕따 시키는 아이 놀리듯, 엄마는 늘 재미로 나를 놀렸다. '얘! 이빨이 누래서 너무 꼴보기 싫어.' "네 일기장에 이렇게저렇게 써놨더라?' '너는 어릴 때 머리에 이가 득실득실했어. 얼마나 지저분했는지. 머리도 안 감고 다녀가지고.' 등등. 내가 한 말과 행동을 이상한 방식으로 따라하면서 놀리고 오빠랑 깔깔대고 웃었다. '어버버거리면서, 넌 말도 제대로 못하냐?' 이런 말을 자기 망신인 줄도 모르고 남들 앞에서도 했다. 내가 중학교 들어간 후 자기 딸이 전교 1등이라고 만나는 사람마다 자랑하게 되기 전까지, 엄마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나를 놀리며 웃음거리로 삼았다. 그 트라우마가 평생 따라다닌다. 다른 사람이 나를 조금만 놀려도, 순간 불같은 감정이 속에서 올라온다. 분노, 슬픔, 서러움, 불안감 등등. 상대방은 가볍게 한 농담인데도 나는 짓밟힌 기분이 들어서 미치도록 분노하고 며칠동안 그 상황을 반복재생한다. 트라우마가 이렇게 오래간다. 그나마 늘 느끼던 불안전한 느낌, 불안감이나 공허감, 엄마가 집에 들어와서 날 고문하기 시작하던 시간인 저녁이 되면 느끼던 슬픔과 초조함 등 가장 중요한 것들을 하나하나 치료해나간지 4년이 되어가는데도, 여전히 깊은 곳에 묻혀있던 트라우마는 계속 하나씩 드러난다.

  • @do3101

    @do3101

    Ай бұрын

    저와 비슷한 과거를 겪으신것같습니다. 덕분에 제 감정 트라우마라는걸 알게되었어요. 귀한경험을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ht8pn6dv9j

    @user-ht8pn6dv9j

    17 күн бұрын

    아 어머님, 대체 왜 그랬냐고요??!!! ㅠㅠ

  • @user-ch7uq5yf5y

    @user-ch7uq5yf5y

    16 күн бұрын

    후...저도 비슷해요...

  • @kordojjang
    @kordojjang Жыл бұрын

    가정 내 트라우마가 사회적 트라우마보다 더 강한데도 너무 약한 사람 취급하며 공감 안 하는게 아쉽네요

  • @user-dj3zu6de3i
    @user-dj3zu6de3i11 ай бұрын

    8년쯤 된 것 같네요. 이 분이 쓰신 를 읽고 정신과 치료를 받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일 년쯤 전에 단약을 했어요. 단약이 끝일 줄 알았는데 아니더군요. 단약은 시작이네요. 이제야 트라우마에 휩쓸리지 않고 일상 속에서 증상을 다루어가고 있습니다. 병원은 조만간 졸업하고 이제 상담을 시작합니다. 내일 첫 상담을 가요. 저는 저를 돕고 싶습니다. 트라우마 때문에 힘드신 분들 마음속에도 자신을 돕고 싶은 자기 자신이 있다고 믿어요. 그 목소리를 따라가세요. 모두의 행운을 빕니다❤ 귀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 @bingoandtoto

    @bingoandtoto

    27 күн бұрын

    내가 나를 돕고 싶습니다. 이 한마디가 깊이 와닿습니다.

  • @Hosanna.Rabonni

    @Hosanna.Rabonni

    18 күн бұрын

    대단하세요…!

  • @elie8496
    @elie84963 ай бұрын

    내가 알콜중독이 됀 이유 ...그리고 자식 키우면서 더 크게 깨닫게 됐다 어떻게 이렇게 귀엽고 예쁜 아이를 방안에 가둬놓고 사정없이 때릴수 있었는지 . 부모가 뒤지던 말던 내 알바아니다 난 눈물 안흘릴 자신있음

  • @user-sd7yu3nz5b

    @user-sd7yu3nz5b

    Ай бұрын

    헐 자식키우고 있으면 술 끊으세요 당신은 상처받은 아동일 뿐이었겠지만 배우자와 자녀를 가진 그 순간부터 상처받은 아이의 마음속 상처표현이 가정폭력을 행하는 두려운 가해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게 됩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정신차리고 무조건 술 끊고 운동하세요 아이를 키운다는건 그런겁니다 어떤 변명도 안 먹혀요

  • @user-ch7uq5yf5y

    @user-ch7uq5yf5y

    16 күн бұрын

    저도 부모 뒤1지면 장례식 장에도 안 가려고요 ㅋㅋㅋ일생 일대의 축제날일듯

  • @srwagner324
    @srwagner324 Жыл бұрын

    인구의 1/4이 이런 병을 앓고 있다. 특히 어릴적 겪은것에서... 부모의 책임이 얼마나 막중한지 다시금 드러낸 강의였다. 한 인간이 행복한 사람으로 살 수 있는 기초가 바로 가정, 부모에서 출발.

  • @syk6950

    @syk6950

    3 ай бұрын

    자격 안 되면 낳지 말아야함

  • @user-os4ul4nu7l

    @user-os4ul4nu7l

    3 ай бұрын

    뭐든지 누구에 책임으로 떠넘기는 종특. 대단해.

  • @user-db2fu8gx1x

    @user-db2fu8gx1x

    Ай бұрын

    한국인의 피해의식과 그로 인한 국민성은 전세계에 유례가 없을거다 정말😢

  • @LlLGgGBbBTtT

    @LlLGgGBbBTtT

    8 күн бұрын

    ​@@user-os4ul4nu7l이건 또 뭔 무식한 소리냐ㅋㅋㅋ

  • @honeybonbonnie

    @honeybonbonnie

    4 күн бұрын

    @@user-os4ul4nu7l이 사람은 댓글을 몇 십개씩 써 제끼고 다니는 건지.. 현생을 사세요

  • @user-er5mi2we5s
    @user-er5mi2we5s5 ай бұрын

    어릴적 엄마의 심한 가정폭력 그리고 방관한 아빠 그리고 아빠가 엄마 때리는 모습 엄마의 바람 등등 그 트라우마로 남자는 언제든 여자를 때린다고 생각해서 일부러 남친을 자극해보고 폭력성이 없는지 테스트하고 바람피는 인간은 상대 안 합니다 그 트라우마로 평생 마음속은 지옥인데 남들앞에서 웃으며 삽니다 이 세상 날 불쌍하게 여기는 사람은 없을테니까. 혼자 감당해야 하는 몫. 부모 잘못 만난 죄 세상에 제일 큰 불행. 그래서 부모 잘 만나 행복한 애들보면 너무 부러워요

  • @Gloria_Aria

    @Gloria_Aria

    Ай бұрын

    저도요… 진짜 그게 가장 부러움. 부모가 돈 많은 거 그런게 부러운 게 아니라…. 화목한 가정의 아이들이 정말 부러움😢

  • @SHJ-mx3zn
    @SHJ-mx3zn2 ай бұрын

    1. 행동하기 2. 말로표현하기(사건 인정) 3. 스스로 감정 통제하는 방법을 배우기(진정법) 4. 연극연기해보기(익숙했던 것과 다른 경험을하여, 상상력,창의성이 자극되어 가능성을 보는것) 5. EMDR치료법(트라우마 기억이 날때 안구를 좌우로 크게 움직이기) 트라우마 치유과정: 인정, 그러한 사건이 내게 있었음을 > 무력감을 되새김(당시 느낌,기분) >자기 연민 >인지(그러나 과거임. 지난 일임) 지난 일이라고 생각하는게 중요하며,신체적, 정신적으로 인정하고 나아가야한다. 강연자가 강조한 치료에 가장 중요한 것은 특정한 한가지 방법에 집착하지말고 '뇌와 정신을 다르게 생각하면 환자를 도울 수 있지 않을까'처럼 의사는 항상 다른 가능성을 염두해두어야한다.

  • @bbonjjoong
    @bbonjjoong11 ай бұрын

    수동적이 되는 게 트라우마를 만든다니. 이건 진짜 생각도 못했어요! '난 스스로 어려움에 대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는 경험.. 이게 정말 중요하네요..ㅜㅜ

  • @vivienne8097
    @vivienne80974 ай бұрын

    중학교 처음 들어 갔을때 였나, 엄마가 내 말을 들어주지 않고 무시하고 너무 힘들게 해서 그 앞에서 지지 않을려고 바락바락 소리지르고 대들다가 세상에는 내 편이 하나도 없구나 절망감에 방에 들어가서 문을 닫고 그대로 쓰러져 기절했었다. 어차피 엄마는 나한테 관심이 없으니 내가 기절한지도 알지 못했다. 항상 그랬다 나는 방치되어 지고 관심 받지 못했다

  • @user-wc9di4zo7g

    @user-wc9di4zo7g

    3 ай бұрын

    외로우셨겠어요..

  • @esha7702
    @esha770210 ай бұрын

    저는 책을 먼저 읽었어요. 도서관에서 제목에 끌려 읽게 되었는데, 제 인생을 되돌아보게 되었어요. 왜 그렇게 사소한 일에 겁먹고 짜증이 솟구치고 무력했는지 깨닫게 되었어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치르며 우리 부모님과 윗세대는 엄청난 혼란을 겪었을거고, 자녀세대에게 그 트라우마가 영향을 준 것 같습니다. 한 분야에서 30년 이상 연구하고 헌신해오신 박사님께 존경과 감사를 보냅니다. 운동 등으로 움직이며 스트레스를 풀고, 자신의 감각에 집중하며, 말과 글로 트라우마를 표현하고, 연극 등으로 타인의 입장을 헤아려보고 표현해보고, 여러 다양한 것들에 호기심을 가지고 도전하면서 사랑하며 누리고 살기에도 부족한 시간을 아깝게 허비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 @theduos1413
    @theduos14133 ай бұрын

    전 아주 잘 살고 있어요 우울증도 없고 비흡연자이며 음주는 하지만 조절가능합니다. 하지만 어릴적 부모님의 끝없는 싸움, 매번 엄마에게 시비걸던 아빠, 조절 불가능한 아빠의 흡연과 음주, 나를 향한 엄마와 언니의 비난은 절대 잊을 수 없고 잊지 않을 겁니다. 아빠가 엄마에게 시비를 걸듯 몇년전 언니가 저에게 억지시비를 걸릴래 바로 절연했습니다 더이상 참지 않을 것입니다 이제는 나는 날 보호해 줄 수 있으니까요

  • @abigailkim8147

    @abigailkim8147

    Ай бұрын

    저희 언니도 그래요.발작하듯요.

  • @user-uo5tp3tm1k

    @user-uo5tp3tm1k

    Ай бұрын

    언니 진짜 아빠랑 똑같다ㅋㄱ꺌깔꺈 해주세요

  • @BBuble
    @BBuble Жыл бұрын

    20:38 뇌에서 시간을 담당하는 부위가 기능을 멈춰버리면 자신이 느끼는 모든 걸 계속해서 느끼게 된다. 내일은 기분이 나아질지 알 수 없고 어제는 기분이 괜찮았다는 것도 거의 깨닫기 힘들다. 시간관념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 @hdough857dhjdugvdhgrdvbjdj
    @hdough857dhjdugvdhgrdvbjdj3 ай бұрын

    어릴때 날 학대했던 애비와 인연을 끊고 사는 이유는, 내 나이 50살이 넘어 가면서 점점 더 그 기억들이 자꾸 떠올라 나를 자극하고 애비를 면전하면 때려 죽이고 싶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인간을 만나지 않는것이 서로에게 좋은 것이다. 늙어 죽을 수 있게 자비를 베푸는 것이다. 어릴때 애비에게 학대 안 당해 본 사람은 이해 못 한다. 21살 때도 지랄하길래 "아버지 대화 좀 하시죠" 라고 했더니 바로 싸다구 날린 새끼가 무슨 애비냐.

  • @user-yr1lk5fv5p
    @user-yr1lk5fv5p Жыл бұрын

    위 방송에서 언급됐던 트라우마의 기억들 대부분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데요. 정신과 의사도 마땅한 처방을 내리진 못하던데 이 프로그램으로 참 많은 도움과 위로를 받습니다. 좋은 방송 기획해주신 EBS제작진에게 감사드립니다.

  • @BBuble

    @BBuble

    Жыл бұрын

    내일은 오늘과 다를 겁니다 매일 나아지겠죠 모든 순간에 행복할 수는 없더라도 일상이라는 말에 웃을 수 있게 되시길 바랍니다

  • @LunaKang-bj6qb

    @LunaKang-bj6qb

    10 ай бұрын

    여력이 되시면, 압구정 다이룸 한의원 추천드립니다. 저도 트라우마라서 치료 중인데 1년 좀 넘었는데 증상이 50% 이상 좋아졌습니다.

  • @user-vh3ko7ko8c

    @user-vh3ko7ko8c

    9 ай бұрын

    트라우마 치료를 받으실 거라면 한의원이나 정신병원에 가지 마시고, 심리상담사(심리치료사)에게 가세요. 영상에 나온 박사님과 비슷한 분들이 직접 치료해주십니다. 저도 우울증,무기력,강박증 등등 병원입원 해야 할 만큼 심각했었는데, 심리치료 받고 정말 많이 좋아졌어요. 심리치료에 약만 쓴다면 평생 약을 입에 달고 살아야 하고, 정상적인 심리치료 자격증이 없는 한의사?(한의사가 카운슬러를 한다는 얘기는 처음 들었는데 윗 댓글분 말씀이 맞다면 좀 충격적이네요.)같은 분에게 받는다면 증상이 더 악화되거나 돈만 날릴 수도 있습니다. 심리상담사를 고를 때에는 왠만해선 한시간에 8~12만원정도 하는 가장 기본적인 센터로 가시고, 상담사의 경력이 비교적 쉬운 '미술치료사' 이런 거 말고, 석박사 하신 슈퍼바이저 분을 찾아가세요. 석박사가 능사는 아니지만 심리치료는 정말 많은 공부가 필요한 분야이고, 우리나라는 공부도 별로 안 한 자격미달의 병아리 심리치료사가 굉장히 많습니다. 그런분들에게 받으면 오히려 위험합니다. 그러니 안전하게 가려면 석박사에 상담경험이 많은 나이 좀 있으신 분을 선택하세요. 센터는 집에서 가까운 곳 어디든 상관없습니다. 사이트 들어가보면 상담사 이름이랑 나이랑 경력 다 나와있으니 그분들 중에 고르세요. 그리고 상담 시작한 후에도, '뭔가 나랑 안 맞는데...'라는 생각이 들거나, 내 얘기를 잘 안들어준다는 느낌이 들거나, 날 비난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면 다른 상담사로 바꾸세요. 상담사 여러 명 돌아가면서 하다가, 그 중에 괜찮다 싶은 사람 추려서 만나도 좋습니다. 치과도 여러군데 가 보는 것 처럼요. 저는 지금까지 두 명의 상담사를 만났고, 첫번째 상담사와 굉장히 안 맞았습니다. 운 좋게 두번째 상담사와는 정말 잘 맞았고, 지금까지 4년 넘게 상담받고 있어요. 이 두 번째 상담사분이 저와 상담을 하며 3번 센터를 바꾸셨고, 저도 자연스럽게 상담사분을 따라 다니며 센터를 이전했습니다. 센터별로 상담금액이 조금씩 다를 수 있고, 위치도 바뀌기 때문에 곤란할 수 있지만, 왠만해선 나와 잘 맞는 선생님을 따라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정신과 의사는 그냥 병명을 알려주고 약을 처방해주는 사람입니다. 심리치료를 하고 싶다면, 심리치료사에게 가야해요. 돈이 있다면 무조건 하시길 바랍니다... 이 영상을 보시고 느끼셨던 도움과 위로를 당신은 앞으로 100번 넘게 느끼셔야 합니다. 그래야 치유가 가능하고, 그래야 인생이 바뀔 수 있어요. 저는 살기 위해 상담사를 찾아갔고, 지금 이렇게 목숨이 붙어 있습니다. 당신도 그렇게 되길 바랍니다. 당신에게 부디 행운이 있길...

  • @spak-dc2on
    @spak-dc2on11 ай бұрын

    살인전과자 엄마에게 13년 동안 학대를 당했는데 가슴 아프고 무서워서 영상을 볼수가 없네요... 사람을 믿지 못해서 50평생 사랑에 빠져 본적이 없는데 사람들이 자꾸 왜 결혼을 안했냐고 물어봅니다. 사랑 받으며 저와 다른 세상에서 살아온 사람들에게 어떻게 설명할까요..

  • @user-mh4zj3dh4m

    @user-mh4zj3dh4m

    11 ай бұрын

    저는 중학생때 강간미수를 당했는데 40가까이 된 지금도 연애한번도 해본적 없고 결혼조차 안했습니다. 부모님은 자꾸 절 보시면서 본인의 인생을 실패자처럼 말씀하셔서 괴롭고 짜증나요. 사건 이후로 저는 살이 찌기 시작했고 외모에는 관심이 사라져서 화장품도 잘 안바르고요. 남들은 왜 살안빼냐 연애안하냐 결혼안하냐 오지랖인데 이해를 바라지도 않고 날 인생의 패배자 취급하지말고 그냥 날 내버려뒀으면 좋겠어요. 그냥 님도 저도 아무일없이 고요하게 다들 잘살았으면 좋겠어요.....

  • @user-fh6hi6zi8q

    @user-fh6hi6zi8q

    3 ай бұрын

    두분 모두 힘내요 님들 잘못이 아니예요

  • @user-fy2ou1if2f
    @user-fy2ou1if2f11 ай бұрын

    아동대상성범죄자들을 단호히 무겁게 처벌해야하는 이유입니다. 뉴질랜드같은 나라는 그런 범죄자들은 무거운 처벌뿐 아니라 고개를 들고 살아가기어려운 사회분위기가 형성돼 있다고 합니다. 그런 선진국입법례를 받아들이고 사회가 아이들을 돌봐야합니다.

  • @Lauren-308

    @Lauren-308

    3 ай бұрын

    이 죄목은 사형이 답입니다. 이 후유증으로 인생을 망치는 사람이 너무 많아요.

  • @user-gr4sq9id6h

    @user-gr4sq9id6h

    3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한사람의 인생을 망치는 짓입니다

  • @gyeonghuijeong6939
    @gyeonghuijeong693911 ай бұрын

    트라우마 이후에 남자들의 관심받고 싶지 않아서 다시 비만이 되었다는 거 너무 공감가요. 무의식적으로도 저렇게 되는 거 같아요. 패션도 일부러 중성적이거나 후줄근하게 입고..

  • @user-zz3tr6qw4g

    @user-zz3tr6qw4g

    3 ай бұрын

    와 나같은사람들이 또있구나...

  • @pp-1954
    @pp-1954 Жыл бұрын

    미쳤다 정말. 돈주고도 못듣는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20년 동안 트라우마에 시달린 것 같은데 이제라도 대처방법을 해봐야겠네요. "수동적임은 치명적이고 트라우마를 만든다"

  • @user-kr8gt3mv8b

    @user-kr8gt3mv8b

    Жыл бұрын

    돈 주면 들어요... 돈이 없어서 문제지. 돈 주면 바로 앞에서 1:1 강의도 해줍니다.

  • @firstfeellife

    @firstfeellife

    Жыл бұрын

    @@user-kr8gt3mv8b 말이 그렇다는거죠. 공감능력 떨어지네 이양반. 사회생활 어떻게 하시나

  • @user-iz8ev5ll9o

    @user-iz8ev5ll9o

    5 ай бұрын

    @@user-kr8gt3mv8b 돈주면 1:1강의해주는 곳이 어딘가요 사기같은건 딱보면 아는데 혹시나 그런게 진짜 있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user-do6ox9xp1o
    @user-do6ox9xp1o10 ай бұрын

    트라우마는 과거의 일이다 라는 말에 위로를 얻었습니다. 과거는 과거로 흘려보내고 현재를 사는 내가 되길 소망합니다.

  • @refrigerate_after_opening
    @refrigerate_after_opening Жыл бұрын

    아동청소년기는 물론 심지어 성인이 된 후에도 폭력을 경험했던 사람으로써 폭력을 한번도 경험하지 않았던 사람의 비율이 4분의 3이나 된다는 게 놀랍네요. 그래서 이해 받기가 그렇게 어려운 일인가 봅니다. 예전에 사귀었던 사람에게 제가 겪었던 폭력에 대해 이야기한 적이 있는데 그런 얘기는 무서우니까 하지 말라고 하더라구요. 내가 일상처럼 겪었던 일이 그렇게 말만 들어도 무서운 일인 줄 그때 알았습니다. 이 영상에서 지적하는 것처럼 저를 이해해줄 사람을 만날 수 있다는 희망을 거의 버린 것 같아요.

  • @firstfeellife

    @firstfeellife

    Жыл бұрын

    자기 상처를 연인이나 배우자에게 치유받고 이해받기를 원하지만 반대입장에서 한번 보시길.. 감당할수 있는 사람 많이 없어요.

  • @refrigerate_after_opening

    @refrigerate_after_opening

    Жыл бұрын

    @@firstfeellife 제 생각에도 그걸 이해해줄 정도로 멘탈이 강하고 건강한 사람이 정말 극소수인 것 같습니다. 심지어는 정신과 의사나 상담사 중에서도요.

  • @user-uq5cb2iz4l

    @user-uq5cb2iz4l

    Жыл бұрын

    어린시절에 폭력을 겪었던 사람은 기가 막히게 비슷한 사람을 알아보고 만납니다.편안하고 익숙한것이죠. 그래서 꼭 치유해야 다른 좋은 사람을 알아볼 수 있어요

  • @refrigerate_after_opening

    @refrigerate_after_opening

    Жыл бұрын

    @@user-uq5cb2iz4l 네 맞아요 세상 쫄보 찐따들도 저한테는 화 되게 잘 내고 폭력적? 억압적인 모습 드러내요. 근데 저는 그게 그 사람들의 본성이라고 봐요. 나 아닌 다른 사람에게 예의바르고 잘해줘봤자 그건 본성이 아니고, 약자에게 드러내는 모습이 진짜 본성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yw7pr4yb3w

    @user-yw7pr4yb3w

    Жыл бұрын

    슬프지만 이게 현실인듯하네요 인간은 자기가겪어본 경험에한해서만 타인을 공감할수있는범위가 정해지는거같습니다

  • @danbida7977
    @danbida79774 ай бұрын

    현대 심리학 트라우마 치료의 살아있는 거장입니다. 티비로 만나다니 정말 감동과 영광입니다. 수신료가 아깝지 않고 이 기획을 해주신 피디와 섭외자와 작가들에게 감사드려요

  • @yenergy2308
    @yenergy230811 ай бұрын

    저도 한번의 충격적 트라우마로 자아가 강간당하는 느낌? 자아 자살 하는 느낌을 겪고 그 후로 감정을 못느끼게 되었습니다. 약 70번이 넘는 심리상담 기간을 거쳐서 조금씩 감정을 회복해가고 있는 단계입니다. 아픔과 상처가 있는 분들 모두 같이 힘내보아요 이런영상을 보는 것부터가 우리에게는 아직은 조금이라도 자생할 수 있는 힘이 있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 @ook6418

    @ook6418

    3 ай бұрын

    감정을 회복한다... 가슴 아프네요. 전 감정을 표현하지 못했고 억압하고 살았네요... 요즘 가슴도 아프고 몸도 아픕니다.

  • @ssss-ou4bn
    @ssss-ou4bn3 ай бұрын

    결혼하기전에 의무적으로 결혼에 대한 자식교육에 대한 교육을 이수 하게 해야 합니다..우리는 결혼 하고 아이를 키우는게 어떤 의미인줄 모르고 결혼합니다..그리고 아이를 교육시킨다고 함부로 때리면 그게 평생갈수 있다는걸 알아야 해요.. !

  • @rlaEnsanf
    @rlaEnsanf3 ай бұрын

    애기 때 잘못하면 아빠가 화장실에 불끄고 가뒀어요. 그 트라우마로 어둡고 밀폐된 곳 가면 패닉오고 밤에 불 끄고 못 자요. 엄청 공포심들어서 심장 미친듯이 뜁니다.

  • @user-dr2jd1kb9b

    @user-dr2jd1kb9b

    Ай бұрын

  • @user-ou7pt8lk2g
    @user-ou7pt8lk2g6 ай бұрын

    저도 부모의 불화로 소리에 대한 공포가 있었던거 같아요, 어린 제 딸이 울거나 징징거리면 저는 불안과 분노가 솟구쳐올라, 그 순간 어딘가로 사라져버리고 싶은 생각이 들곤 하면서 아이한테 왜 그러냐고 소리를 지르곤 했어요. 늦었지만 아이만이라도 공포와 불안에서 벗어나고 하고 싶은데 너무 늦은건 아닌지..정말 부모 잘 만나야 됩니다. 3대 가 아니고 두고두고 되물림하는듯요

  • @user-dq6dy5eo2u

    @user-dq6dy5eo2u

    Ай бұрын

    깨닫기라도 하셨으니 다행이네요. 저는 아빠가 그러셔서 길거리에서 남성이 짜증내는 것만 봐도, 큰 소리만 들려도 불안해요. 아빠는 집에서 폭력적인 콘텐츠를 큰 소리로 보시고는 했는데 그것도 그래서 너무 싫어서 항상 방에서 이어폰 끼고 있었죠. 말해봤자 내가 번 돈으로 내 집에서 내가 영화도 못보냐고 하시니까. 뭐 틀린 말은 아니기는 해요. 아빠랑 따로 살게 된 후에는 TV를 무음으로 해놓고 보는데, 엄마는 왜 TV를 벙어리로 해놓냐고 하시네요. 설명드렸었는데 중요하다고 생각안하시니까 또 잊어버리신 거겠죠.

  • @aloha_h

    @aloha_h

    5 күн бұрын

    저도요 ㅜㅜ 영화나 드라마에 요새 욕 많이 나오는데 그거 듣는것도 괴로워요

  • @user-ye3qx8zl7g
    @user-ye3qx8zl7g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피해자 자녀가. 너무. 많다 근데 부모는 자기가 피의자인지. 모르는게 큰 문제

  • @user-go3ls9ii1z
    @user-go3ls9ii1z3 ай бұрын

    법륜스님 즉문즉설에서 하신 말씀과 같습니다.

  • @yuuuuuuua
    @yuuuuuuuaАй бұрын

    출산율 낮아지는현상은 당연하고도 현명한선택같아요 저는행복하지않았고 아직도고통스러워요 준비되지않은사람들이 부모가 되는건 피해자 양산하는꼴이에요

  • @user-om8lj3ng2x
    @user-om8lj3ng2xАй бұрын

    가장 위험한 케이스는 뭔 줄 암? 부모가 분명 본인에게 잘못된 행동을 한게 맞는데 이걸 좋은쪽, 아니면 모두 본인탓으로 합리화 해버리는 부류임. 차라리 부모탓하는 사람들은 대물림하지 않을 일말의 가능성이라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정말로 잘못된지 모르기 때문에 고대로~ 본인 자녀에게 똑같이 행동함.

  • @dawngwak1590

    @dawngwak1590

    Ай бұрын

    그러쵸 누가 봐도 부모와 똑같은 행동하지만. 정작 본인은 모르죠

  • @qtskorea007
    @qtskorea00711 ай бұрын

    EBS에 수신료 내고 싶다.

  • @user-fh5ou2nd1w
    @user-fh5ou2nd1w11 ай бұрын

    트라우마는 못된 타인이 만든 천벌받을짓임.그러니 업보 죗값치르게 될것이예요.가만히 있는데 만들어지는건 아님.

  • @user-li1id6oj7e
    @user-li1id6oj7e Жыл бұрын

    저도 트라우마를 겪은 적이 있기에 너무 와닿네요 사람이 과하게 예민해지고 경직되죠

  • @jhy7995
    @jhy79958 ай бұрын

    왕따 가해자들은 죽을때까지 피해자들한테 돈으로 갚아야 되는 형벌을 줘야 함. 어디에 기록해두고 잘하고 있나 국가적으로 감시도 하고 그래야 돼

  • @srwagner324
    @srwagner32411 ай бұрын

    다 부모탓여요.아무나 부모였기에. 세상이 이지경.

  • @user-pm9cc3kw7x

    @user-pm9cc3kw7x

    3 ай бұрын

    그래서 그 자식들이 지금 부모가 되기 싫어하는 듯

  • @user-jv5tp9yd6u
    @user-jv5tp9yd6u11 ай бұрын

    그래서, 부모가 되려면 제대로 교육받고 반성하고 아이들을 잘 키우기 위해서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한것 같습니다. 제가 평생 트라우마에서 벗어나지 못해서 더이상의 인연을 만들고 싶지 않거든요.

  • @geneyu9887
    @geneyu98878 ай бұрын

    30대인데, 많은 부분 제가 어렴풋이 생각했던 부분을 전문화된 지식으로 잘 풀어서 정리해주시니 정말 감사하네요. 어릴적에는 한국사회 정말 어딜가나 폭력과 위계 소위 말해 '나보다 낮은 사람을 찍어 눌러서 말을 듣게 한다'는 기조가 어딜가든 존재했었는데. 쓸데없이 조심하고 위축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를 알게된 것 같아서 좋습니다. 양질의 컨텐츠를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zz3tr6qw4g

    @user-zz3tr6qw4g

    3 ай бұрын

    지금도 어디든 존재하지않나요 집단,조직이라면

  • @amoryoung0
    @amoryoung03 ай бұрын

    부모도 부족한 인간일 뿐이란 걸 이해하면, 부모가 어렸을 때 내게 준 상처가 조금 덜 아프게 느껴져요.

  • @a-jin1309
    @a-jin13092 ай бұрын

    정말 그림자처럼 붙어 다닙니다. 사람 정신이 때때론 건강할 수도, 약할수도 있는데 조금이라도 약해지면 그 그림자가 상대적으로 순식간에 커집니다. 보통은 자기 객관화를 하면서 살려고 하지만 가끔 그 그림자에 먹힐 때가 있어요. 인생을 외줄타기하는 기분이 듬. 특히 평소에는 괜찮지만 제가 겪은 일과 유사한 것들이 영화나 드라마에서 연출 될 땐 깊은 분노나 절망감이 생겨서 자기 객관화를 계속해야만 해요. 그래서 에너지 소모가 평소에 많아서 사람을 싫어하진 않지만 덜 만나려해요. 이마져도 다행이죠. 일적으로 사람을 만나야만 한다면 제가 저를 잘 돌볼 에너지가 남아 있을까 싶거든요.

  • @duman4023
    @duman402311 ай бұрын

    트라우마를 견디려하지말고. 고집부리는 대상으로부터 멀어지는것도 방법... 한국은 시월드가 정서상 화두로 나오긴함.

  • @Apriltrue
    @Apriltrue3 ай бұрын

    트라우마가 정말 최악의 핫대 즁 하나인건 제댜로 치료 되지 않으면 평생 그 늪에 빠져 살아야 한다는거예요 예를 들면. 10대때 왕따 당했는데 6070 넘어서도 인간관계를 형성하는데 그 트라우마가 영향을 끼치거나 아주 어린시절 성폭력을 당했는데 평생 이성을 못만난다거나 희한하게 신체적 상처는 대부분은 흉터만 남는데 반에 정신적 상처는 말그대로 평생 그 역할을 계속 한다는거죠

  • @user-ys6sh1ws5r
    @user-ys6sh1ws5r9 ай бұрын

    박사님이 언급하신 트라우마를 어릴때 겪었던 사람인데요. 바보짓하고 인간관계를 못해 늘 외로워하는 저자신을 비난하며 항상 저를 미워하고 자학해왔어요. 그런데 얼마전부터 지금 나의 모습은 내가 부족하고 못나서가 아니라 여러 열악한 환경이 오늘의 나를 빚어낸 거라는 자각이 생기면서 저를 가엾게 여기고 제스스로 저를 칭찬하며 '괜찮아. 다 잘될거야!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했어!' 라고 저 자신을 격려해주려고 노력한답니다. 우울할 때마다 산책을했구요. 제가 늘 써먹는 방법에 박사님의 조언을 받아들여 열심히 살려고 노력하겠습니다. Thank you!

  • @HWK-jc1ec

    @HWK-jc1ec

    4 ай бұрын

    같이 노력해요

  • @pearl_77
    @pearl_773 ай бұрын

    내가 선택하지 않은 환경에서 자란 것으로 내 무의식의 뿌리가 만들어지는게 억울하네요 스트레스 받으면 운동해라 트라우마를 겪은 후에는 안전감 찾기 믿을 수 있는 사람과 함께하기 액션이 중요함 자신의 상황을 말로 표현하기 그 경험을 인정 스스로 감정을 통제하는 방법을 배우기

  • @user-lu5wy1ip7w
    @user-lu5wy1ip7w Жыл бұрын

    근무 하면서 부당하게 떠밀리듯 퇴사 당한 뒤로 .. 회사 관련된 생각을 하면 트라우마가 된듯.. 재이직 하는게 두렵네요 .. ;

  • @user-xc6ft1ts1j

    @user-xc6ft1ts1j

    18 күн бұрын

    저도 그런 경험 있는데..ㅠ😢

  • @user-yf4zz3re9r
    @user-yf4zz3re9r8 ай бұрын

    저를 이해할만한 몇 안되는 분입니다 왜냐면 아동학대와 초등학교부터 군대까지 왕따에 온갖 괴롭힘과 시달림에 시달렸거든요 그래서 인생 자체가 극한직업입니다

  • @sj4891

    @sj4891

    3 ай бұрын

    힘내세요 좋으신분들이 더 많을텐데 안타깝네요. 외국에 가서 사는것도 괜찮습니다. 한국이 유독 심한것같아요

  • @user-xv4wr6jv4s

    @user-xv4wr6jv4s

    3 ай бұрын

    이유가뭘까

  • @jink9078

    @jink9078

    Ай бұрын

    어릴 때 받은 사랑 자본이 많지 않으면 사람들 관계에서도 잘 헤쳐나가기 어렵지요. 억울하겠지만 나를 가장 잘 사랑해 줄 수 있는 사람은 자기 자신입니다. 자신을 우선에 두고 좋은 책과 음식으로 잘 먹이고 잘 커 나가시길 바래요. 몇 살이시든.

  • @user-ch7uq5yf5y

    @user-ch7uq5yf5y

    16 күн бұрын

    저도요...

  • @sobin1050
    @sobin105011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을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5:12 트라우마를 경험한 사람과 사는 것 - 자기 역할의 한계를 알아야 함 27:08 조지프 루두의 연구 - 몸을 움직여라 36:04 트라우마 치유과정 - 인정->무력감->자기연민->(과거의 일임을)인지 ‘깨달음’은 트라우마 치료의 핵심임 신체적, 정신적으로 인정하고 나아가야 해요. 환자들에게서 이런 납득과 발전을 이끌어 낸 걸, 저는 EMDR에서 처음으로 목격했습니다. (성인기 트라우마) 제가 의료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하나의 방법만을 고집해서는 안된다는 거죠. 의사는 환자를 치료하면서 항상 다른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해요. ‘뇌와 정신을 다르게 생각하면, 환자를 도울 수 있지 않을까’ 처럼요.

  • @michelledavies571

    @michelledavies571

    11 ай бұрын

    하나의 방법만을 고집하지 않는다는 의견에 공감합니다. 또 그에 맞는 방법을 찾아 내는 것이 나의 본분이겠죠!

  • @user-fn1wf9zg2i

    @user-fn1wf9zg2i

    11 ай бұрын

    정신과 다녔을 때(3년 전) 의사 선생님께 emdr 여쭤보니 무슨 사이비 민간요법 말하는 사람 취급하시던데 병원, 의사 잘만나는 것도 복인 듯 싶습니다. 제일 좋은 건 이런 트라우마를 안 겪는 거겠지만.

  • @user-oc7gr6bw9i

    @user-oc7gr6bw9i

    6 ай бұрын

    정리감사해요

  • @love.happiness.official
    @love.happiness.official Жыл бұрын

    "트라우마가 무서운 건 사랑하기 어려워진다는 거예요"라는 교수님의 말씀이 가장 인상 깊었습니다. 트라우마 관련 교육에서 강조하는 키워드는 '안전감', '연결감'입니다. 안전감과 연결감을 충분히 경험하기 위해서는 교수님의 말씀처럼 몸을 움직이면서 사람들과 교류하려는 노력이 꼭 필요하겠죠. 하지만 세상으로부터 위협을 받게 되면 세상으로부터 회피하려는 선택을 취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변에서 피해 당사자가 세상 밖으로 안전하게 나올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 같습니다. 우리 모두는 결코 혼자가 아니며, 생각보다 우리를 도와줄 사람들이 많다는 걸 꼭 기억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강의를 준비해주신 EBS 제작진과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 @user-hw8cs2dz8i
    @user-hw8cs2dz8i3 ай бұрын

    어릴적 엄마와 아빠의 몸싸움..엄마의 폭행,폭언,형제들과의 차별..부모님을 사랑했지만..중년이 된 지금도 한번씩 생각하면..힘들다 .. 하지만 난 잘살고있다.부모님을 이해하면서..

  • @user-ye3lj7rw9s
    @user-ye3lj7rw9s11 ай бұрын

    저도 가족한테 받은 강처를 이겨냈던 과정이 인정,무력감,자기연민, 인지 였어요 그 과정이 절대 쉽지 않았고 자주 우울해 했지만 이 영상에 나온 해결법을 무의식 적으로 모두 행해왔던것 같아요. 이론적으로 정리해주니 머리가 훨씬 맑아지고 정리된것 같네요. 트라우마 해결을 위해 여러책과 강의들을 봐왔지만 최고로 도움이 된것 같습니다.

  • @user-pw9du8vr8q
    @user-pw9du8vr8q3 ай бұрын

    이분의 책을 읽으며, 내가 실망으로 스스로를 속이며, 회피하기에 급급했던 감정들을 만납니다. 주로 공정성, 사회적정의등으로 포장되어서 회피하기 때문에 저 자신에게 잘 들켜지지않았던 상처들입니다. 과하게 비대해지거나, 위축된 뇌기능을 이해하고 정상화 될 수 있도록 , 건강하고, 평화롭게 살아갈 희망을 만들고 싶습니다.

  • @xxxhyun7
    @xxxhyun7 Жыл бұрын

    영상을 클릭하셔서 보신 분들은 모두 학식에 대한 탐구를 갈구하는 분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지혜가 깊어지는건 여러모로 좋은 일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im-universe
    @im-universe11 ай бұрын

    무의식이죠. 깊은 영역입니다. 마주하기싫죠. 하지만 들어가서 마주하고 느껴서 놔줘야합니다.

  • @user-wu6ck3sf6o

    @user-wu6ck3sf6o

    11 ай бұрын

    혹시 무의식에 들어가서 마주하고 느끼고 놔주던 경험이 있으신지요~~?

  • @im-universe

    @im-universe

    3 ай бұрын

    @@user-wu6ck3sf6o네 지금도 계속 하고있지요. 무의식의 경계는 평상시에도 알아차릴수있습니다.

  • @snowcountry322
    @snowcountry322Ай бұрын

    자동차 앞자리에서 부모님 둘이서 나를 향해 괴성 비명을 지른 트라우마. 좁은 차 안. 어디 도망가지도 못하고. 고막이 터지고 뇌가 분열되고.. 온몸이 떨리고.. 트라우마가 이만 저만 아니었습니다.. 치유되기를 갈망합니다. 유리창에 머리를 기대어 비참해했던 기억..

  • @luke8.392

    @luke8.392

    10 күн бұрын

    너무 힘든 기억이네요. 꼭 치유되시길.

  • @snowcountry322

    @snowcountry322

    9 күн бұрын

    @@luke8.392 네 감사합니다.. 시험공부 미리 안했다고 소리지른건데.. 부모가 내 나이 8살때부터 소리질러서 그런지 트라우마가 심합니다.. 뒤통수만 봐도 소름 악마같았죠..

  • @canidoit2247
    @canidoit2247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저는 이 시리즈가 여러 집단의 연구목적으로 제작된 영상인줄 알았습니다만 ebs만의 영상이었군요. 이렇게 유익한 영상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영상에서 배웠던 내용은 자신의 트라우마를 인식하고 인정하고 그것이 옛날일이라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분명 쉽지는 않겠지만 저는 노력해보려 합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좋은 영상만들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srwagner324
    @srwagner32411 ай бұрын

    그렇군요.. 말말말... 세상을 구할려면 부모 자격증 필요시대. 의사라며, 어릴적 경험이 평생을 좌우한다고 목청에 핏대세우기전에 부모자격증 필요치 않나요? 기계사용,소유에도 자격증이 필요한데!!! 어찌 한 인간 창조역할에...개나소나...때론 짐승만도 못한 인간창조하는 ..ㅠ 😢

  • @user-ej1tu3qs5b
    @user-ej1tu3qs5b11 ай бұрын

    평생동안 아빠의 폭력이 지워지지 않고 생생합니다 어제겪었던일처럼 떠올릴수 있어요 서운했던 감정도... 평생 결핍을 느끼며 살아가겠죠 안좋은 선택을 할수도 있겠죠 그래도 후회하더라도 해보렵니다 나도 태어나서 한번쯤은 사랑받아보고 싶거든요

  • @user-dr2jd1kb9b

    @user-dr2jd1kb9b

    Ай бұрын

  • @YesRight-oq2lz
    @YesRight-oq2lz11 ай бұрын

    우울증이나 트라우마뿐 아니라 뉴스에 나오는 강력범죄자 90프로가 아동학대자라는 통계에서도 알 수있다 사회가 가정에 개입해야 할 강력한 이유가 여기 있다 이건 통계다 어른들이 망친 세상을 아이들도 배우는 거지

  • @jsl8192
    @jsl819218 күн бұрын

    정치인은 집단 트라우마를 정치적으로 이용하죠!!

  • @viakim5203
    @viakim520311 ай бұрын

    유아기/아동기 가정폭력으로 경험한 트라우마는 극복은 힘들지만, 자신의 과거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그로 인해 겪고 있는 어려움의 원인을 인식하고 지금의 자신의 감정을 이해한다면 부정적인 마음을 조금더 다루기 쉬워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과거의 나와 마주하는것. 그것이 첫 걸음이 되지 않을까요

  • @user-Latteishorse-
    @user-Latteishorse-17 күн бұрын

    트라우마가 무서운점은 사랑하지 못하게 되는것뿐만아니라 쾌감을 느끼지 못한다는게 진짜 공감된다 진짜 그 순간 눈이 커지면서 세상 모든게 내것 같고 짜릿하고 상쾌하고 내가 자랑스럽고 대견하고 스스로가 기특하고 뿌듯하고 막 옆에있는 아무에게나 자랑하고 싶고 내가 해냈다는 그 쾌감을 못니끼게 된다는게 너무 공감된다. 어릴때는 조그만한거에도 진짜 하루하루 내일 아침에 워터파크가는데 빨리 내일이 왔으면 좋겠다 라고 생각하거나 그랬는데 요새는 뭐 인생이 즐겁지가 않다 그냥 죽지못해 산달까 일하고 집와서 씻고 밥먹고 잔업자고 일하고 집와서 씻고 밥먹고 남은거하고 자고 뭘 해도 우울하고 그냥 그런거 같다.

  • @user-Latteishorse-

    @user-Latteishorse-

    17 күн бұрын

    쾌락으로 정정하겠ㅅㅂ니다

  • @sodhvcruh4746
    @sodhvcruh4746 Жыл бұрын

    감사 또 감사합니다! ㅜㅜ

  • @user-lc4dj6vf7t
    @user-lc4dj6vf7t11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minhochoi7823
    @minhochoi78238 ай бұрын

    태어난지 3개월 되자마자 부모님은 이혼하고 아버지란 작자는 한번도 안찾아와서 23살먹고 처음봤는데 하는거라곤 우리 집안 탓.. 엄마가 조금 무책임한 부분도 있어서 정신적으로 많이 힘드신 할머니 밑에서 자랐는데 정말 생각해보면 이해하기 힘든일이 참 많았다. 4살때 엄마 보고싶다고 엄청 울었는데 욕조에 물받아서 물고문 시킨거, 할머니가 자기가 얼마나 자기 딸보고 나를 낙태하라 했던것, 엄마 말 안들으면 애비한테 버림받은거처럼 고아원에 갈것이라는둥 정서적으로 학대했고 엄마는 항상 가끔 한번 찾아올때 그런걸 알면서도 책임을 피했고 할머니는 아빠가 보내준 양육비를 주식으로 날리고 가난뱅이 기르듯 나, 그리고 삼형제를 힘들게 했다. 24살먹고 독일에서 대학교를 다니고 있고 여자친구도 있지만 아직도 꿈에 나오고 항상 사랑하려고 노력해야하는 결핍적 상태가 무의식 적으로 있는거 보면 트라우마는 정말 무서운것 같다. 트라우마를 겪으신 모든 분들에게 계속 열심히 살아간다는 것에 존중을 표합니다.

  • @ehn723
    @ehn7232 ай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 @user-qf6nc8qn8n
    @user-qf6nc8qn8n2 ай бұрын

    좋은강의 잘봤습니다

  • @user-kt1zq3ww7t
    @user-kt1zq3ww7t8 ай бұрын

    아, 정말 좋은 강의, 유익합니다!!! 감사합니다!!!

  • @ngelmarie
    @ngelmarie Жыл бұрын

    정말 훌륭한 강의입니다.

  • @user-gw8ud8nc8h
    @user-gw8ud8nc8h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kimchibbq5242
    @kimchibbq52423 ай бұрын

    너무 존경합니다 선생님 🎉❤

  • @hedgehog1962
    @hedgehog196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감사해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