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vs하이브리드 제대로 알아보자 f. 삼프로TV 류종은 기자 [인뎁스 60]

💎건강한 투자 습관, [삼프로 멤버십]
👉 삼프로 멤버십 바로가기 : apps.3protv.com/membership/intro
❤️당부 말씀
- 삼프로TV는 시청자의 다양한 해석과 의견을 존중합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비판과 평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하지만, 출연자에 대한 근거없는 비난, 욕설, 인신공격, 비하성 표현이 담긴 댓글은 안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삼프로TV가 건강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늘 감사합니다^^
📢아래 프로그램은 3/4(월) 부터 [삼프로 머니]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삼프로 머니 바로가기 : / @3promoney
-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中 월가 뉴스레터
- 오프닝벨 라이브
- 클로징벨 라이브
-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 뉴스룸
📺 평일 라이브 프로그램 안내
[06:00-07:15]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글로벌 인터뷰)
[07:15-09:00] 오늘아침 라이브 (뉴스3, 마켓 인사이드, 인뎁스60)
[09:00-10:00] 오프닝벨 라이브
[10:00-11:00] 맞동산 (부동산)
[15:20-16:30] 클로징벨 라이브
[16:30-17:10] 뉴스룸
[17:10-18:00]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18:00-19:00] 퇴근길 라이브
[19:00-21:00] 언더스탠딩
🗂️ 영상에서 언급된 자료를 찾으시나요?
웹사이트 : apps.3protv.com/original/pds
모바일 앱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를 검색하세요.
앱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오리지널] - [신의자료] 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3PRO 고객센터
- (전화) 02-2118-0707, 010-3898-2324
- (메일) edu.help@3protv.com
- (1:1 문의 게시판) apps.3protv.com/myqna/write
- 평일 09:00-18:00 운영됩니다.
- 주말에는 메일 혹은 3PRO 앱/웹에서 1:1 문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즈니스 문의 채널 안내
- 광고/협업/제작대행 문의 : (메일) ad@3protv.com, (전화) 010-2090-6748, (설문지 제출) url.kr/yi4rpg
- 전문가(연사) 섭외 및 기업교육 문의 : (메일) edu@3protv.com, (전화) 02-2118-0096, (웹사이트) zrr.kr/lRQq
- 언더스탠딩 문의 : (메일) gygesring@naver.com
- 삼프로TV IR 문의 : ir@3protv.com
📢사칭 주의
-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 출연자는 문자메시지/카카오톡/전화/텔레그램 등을 통해 절대 개인적인 투자권유 및 리딩방, SNS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Пікірлер: 577

  • @songsteven848
    @songsteven848Ай бұрын

    전기차는 내 생활반경 내에 충분한 충전 인프라가 있으면 이보다 좋을 수 없는 차고, 안되는 사람은 이만큼 불편한 차가 없다.

  • @user-iu8qc7lq7j

    @user-iu8qc7lq7j

    17 күн бұрын

    전국구에 인프라 없으면 똥망이죠 여행가도 충전 해야 하는데

  • @jarrod6577
    @jarrod65779 күн бұрын

    전기차.. 2년째 사용중인데.. 대 만족입니다.

  • @square87
    @square87Ай бұрын

    10년 내연기관 타다가 최근 전기치로 간지 두달 됏는데. 다시는 내연기관 못탈거 같아요. 한달 기름값 80나오던게.. 6만원 7만원? 거기에 카드 할인 30 퍼되고.. 가속력!! 왠만한 억대 스포츠카에서 느끼는 가속감!! 근데 아기를 키우는 입장에서 실내 정숙함은.. 미쳤습니다..

  • @user-si7to9sd5c
    @user-si7to9sd5cАй бұрын

    전기차의 충전 불편함과 전기차 자율주행의 편리성과의 싸움에서 어느 편이 승리할지가 핵심일 것 같습니다.

  • @cyi1311
    @cyi1311Ай бұрын

    전기차 1분기 판매량은 보조금 확정이 안되있어서 그런거잖아요 자료 비교가 적절하지 않음 차라리 23년 전체 자료를 가지고 비교 분석 했으면 어땠을까요?

  • @karimajac4727

    @karimajac472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기준이 아니라 북미, 세계판마량 가지고 이야기 하는데?

  • @cyi1311

    @cyi1311

    Ай бұрын

    ​​@@karimajac4727국내시장 말하는거다 영상 똑바로 보고 답해라

  • @mathadmission1742

    @mathadmission1742

    Ай бұрын

    세부적인 걸 떠나서 기자가 산업전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 그냥 2-3일 공부하고 나온 사람임.

  • @whiskeywithjazz
    @whiskeywithjazz5 күн бұрын

    기후변화, 미세먼지 이슈 때문에 차 살때도 가솔린이나 디젤보다는 최소 하이브리드 이상의 친환경차를 사서 환경에 기여해야 한다는 분위기도 있는게 사실임

  • @azi-bv9ze
    @azi-bv9zeАй бұрын

    말에서 내연기관 자동차넘어갈때도 비슷했다던데 시간이 필요하겠지요. 주유소도 없어서 기름통달고 다닐바에 말타고다니지 하던시대가 있었듯.

  • @daeinpark6975
    @daeinpark6975Ай бұрын

    삼프로 보고 반대로 투자하면 돈 벌어요. 삼프로 믿으면 바보

  • @BONGKEUNKIM

    @BONGKEUNKIM

    12 күн бұрын

    돈 잃었구나?

  • @yskimu

    @yskimu

    2 күн бұрын

    빙고! 요즘은 어찌 어찌 삼프로 나와서 이름팔아 장사하려는 애들만 나오는듯

  • @user-fh2nx1op7n
    @user-fh2nx1op7nАй бұрын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사용자가 구매하는 차량의 경우, 하이브리드가 당분간 강세겠지만.. 법인이 구매하는 소형 상용차시장에서의 전기차 성장이 빠르게 이루어질것같아요.

  • @SHKim-uv4wo
    @SHKim-uv4woАй бұрын

    전기차 대상의 걸림돌은 보조금임을 다들 알면서 왜 전기차에 올인한 거죠. 즉 전기차가 제대로 대세가 될려면 보조금 없이 다른 차들과 경쟁해야 합니다.

  • @J.H__

    @J.H__

    Ай бұрын

    맞네요

  • @user-kn3kb5ls6c

    @user-kn3kb5ls6c

    Ай бұрын

    당장에 유럽이 유로7 발동하면 그 기준 만족할 차는 전기차밖에 없으니까요. 유럽은 자기들 차 회사들이 전기차 시장도 주도할 거라 생각하고 진행했겠지만 그게 안되니 6를 버전업 하면서 시간끄는 판이 현재고요. 보조금은 일단 배터리 가격이 비싸니 소비자들의 구입 유도를 위해 친환경 명목으로 준 것이고요. 어찌보면 탄소 크래딧 캐쉬백같은 느낌이죠.

  • @NADAGA-yl1cx

    @NADAGA-yl1cx

    Ай бұрын

    @@user-kn3kb5ls6c생산단계부터 탄소배출량 따지면 전기차들 죄다 폭망임. 주행중에만 탄소 안나오고 배터리 생산단계에서 탄소 ㅇ항창 뿜어서 하이브리드랑 차이도 없는게 전기차이고, 유럽은 생산단계부터 폐기때까지 전라이프싸이클로 탄소배출량 따지는데 뭔 전기차만 충족한다는 헛소리를 하나 ㅋㅋㅋ 그리고 여기서도 기자가 도표로 설명했지만 phev도 전기차로 포함 된다는데 순수전기 폭망간지 오래인데 아직도 환상에 사로잡혀 뜬구름 잡는건 뭐다? ㅋㅋㅋ 마지막으로 전기차 따위는 내연기관 미래기술 e-fuel 로도 탄소중립 뿐만아니라 전 라이프 싸이클에서 훨씬 친환경이 가능해 점점더 전기차 입지는 좁아질 뿐인데 전기차 무새들 개그다 현실파악좀 해라 ㅋㅋㅋ

  • @seonmojin437

    @seonmojin437

    Ай бұрын

    전기치가 경쟁력이 없고 충전의 불편함 때문에 보조금을 지급했던건데 막상 운영해보니 만들때 환경파괴되고 전기 쓸때 탄소배출되니 이제는 각국이 보조금을 줄이고 있죠 좋은 시도였다거 생각합니다 여러가지 시도는 좋은거죠

  • @intolerance

    @intolerance

    Ай бұрын

    생산이 지속적으로 되면서 규모가 늘어야 가격경쟁력이 생기니까 보조금을 주는 거잖아 산업 키워보라고. 그 보조금 없이 경쟁하려면 커지면서 규모의 경제가 확립 돼야하는 거고

  • @user-wh9nz9ky3n
    @user-wh9nz9ky3nАй бұрын

    나도 전기차 사고싶은 사람중 하나~~미래 안목이 없는 사람들 이야긴 듣고 그냥 웃는다ㅎㅎ

  • @motione1843
    @motione1843Ай бұрын

    테슬라 5년째 타고 있는데 너무좋은데...벌써 13만 탐. 유지관리비도 거의 안듬. 고속도로 운전 개편함. 모델S라 충전비도 공짜. 단지 아쉬운건 장거리 충전 계획은 세워야 함.

  • @millerlim4974
    @millerlim4974Ай бұрын

    전기차는 충전시간이 젤 문제임.. 그 짓을 왜 하나

  • @user-zz5zn7cm1g
    @user-zz5zn7cm1gАй бұрын

    erev는 배터리도 큰게 들어갈 거 같네요.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장점을 모두 살릴 수 있지만 반면 단점 또한 모두 가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배터리가 발전할수록 bev로 갈 거 같습니다.

  • @user-kn3kb5ls6c

    @user-kn3kb5ls6c

    Ай бұрын

    이건 삽질이죠. 뭘해도 bev만 못한 상황이라. 예전에 했던 것도 전차등 무거운 놈의 동력제어가 용이해서 한 거고요. 지금도 디젤전기기관차는 이 방식이긴 하고요.

  • @zespy82
    @zespy82Ай бұрын

    EREV가 전기찬데 충전스트레스를 일정부분 걷어난거라면 우리도 따라가겠네.

  • @user-ll9ep7hw8b
    @user-ll9ep7hw8bАй бұрын

    우리 나라 전기차 전기차 보급률이 5% 수준이다보니 이런 언론이 나오네요 ㅠㅠ(우리 나라만 보면 딱 맞는 이야기로 보여요)

  • @mkj7758

    @mkj7758

    Ай бұрын

    그런거죠?? 내용이 좀 이상한거같애서… 저는 미국에 살고있는데 충전이 힘들다는게 정말 이해가 안되요. 주차공간 자체가 부족한 대도시의 도심한복판이라면 모르겠는데 대부분 다른 전기차 충전기는 좀 적을지 몰라도 테슬라 챠져는 넘쳐나요. 충전기가 50대 100대씩 있는곳도 많아서 대부분 널널하게 비어있어요. 보통은 집에서 충전하고 10시간이상 장거리 갈때는 수퍼챠져로 하는데 30분도 안되서 충전되요. 15~20분? 오히려 식사를 하거나 화장실 가거나 커피사온다거나 뭐 그러느라고 충전이 다 끝난 후에 늦게 가게되니까 충전시간때문에 불편한건 거의 없어요. 어차피 두시간정도 운전하면 한번씩 쉬어줘야 좋다면서요. 그리고 미국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차는 어차피 픽업트럭이라 내연기관이다 전기차다 이거 상관없는것같아요. 뭐 사거나 했을때 배달서비스가 워낙 비싸기도 하고요. 오프로드도 많고 사냥이나 캠핑다닐때는 캠핑트레일러 끌고다녀야하니까요. 거기다가 남자라면 픽업트럭 타야할거같은? 로망? 뭐 그런것도 있는거같애요. 그래서 저희집도 픽업트럭 큰거 하나있고 도요타 suv, 그리고 테슬라 있거든요. 내연기관이 아닌 픽업트럭은 최근에 나온 테슬라 사이버트럭이 유일하잖아요. 그건 다른것보다 좀 비싸기도 하고 아직 초기라 완전하지 않은것같아서 저희도 다음에 테슬라 바꿀때 괜찮으면 사이버트럭으로 바꾸려고 생각하고있어요.

  • @albertshim4809

    @albertshim4809

    Ай бұрын

    ​@@mkj7758 우리나라는 집밥이 힘들어서 상황이 많이 다를 겁니다.

  • @mkj7758

    @mkj7758

    Ай бұрын

    @@albertshim4809 영상에서 미국얘길 그리 하길래요 한국이야 충전이 여기처럼 편하지 않다는거 알지만 미국도 그렇다잖아요 거기다 한국이 충전기 대수도 더 많다하고요

  • @doordie1525
    @doordie1525Ай бұрын

    PHEV는 큰용량 배터리 무게와 그로인한 연비 , 배터리 충전 시간등을 생각하면 장점이 없어지는듯...

  • @user-kj3cm8vi3e

    @user-kj3cm8vi3e

    Ай бұрын

    Phev는 내연기관 운행으로 배터리가 충전되며 출력, 연비도 더 좋습니다

  • @user-rq9eq3qn5u
    @user-rq9eq3qn5u22 күн бұрын

    지금은 충전 인프라가 적고...급속 충전 시간도 50분 정도 걸리고 앞으로 충전 인프라 늘어나고 급속 충전시간도 10분대로 완충되면 내연기관은 끝인듯 충전 인프라 시간 단축이 언제 될지가 관건인듯

  • @user-yh2zx9om2m

    @user-yh2zx9om2m

    Күн бұрын

    그때되면 사야겠네요.

  • @user-cl5cn9yd5i
    @user-cl5cn9yd5iАй бұрын

    벤츠, BMW, 볼보는 거의 대부분의 차량이 마일드 하이브리드를 기본이기에 하이브리드 비중이 높지. 현기차는 풀 하이브리드만 있으니 MHEV, PHEV는 없고.

  • @silentium-ko5my
    @silentium-ko5myАй бұрын

    주유소가 차많이 대기하면 짜증나는데 충전은 오죽할까? 단독세대가 많으면 집집마다 충전기달면 되는데 대한민국은 아파트 대세라서

  • @donotinvite

    @donotinvite

    Ай бұрын

    아파트도 자리마다 깔면 됩니다 10kw같은 큰 시설 말고 그냥 3kw초저속이라도 달면 됩니다

  • @teartorn

    @teartorn

    Ай бұрын

    누구 돈으로 까나요?

  • @asdfghqwerty5295

    @asdfghqwerty5295

    Ай бұрын

    이미 내연 전기 구분없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에 전체 칸에 선만 연결하면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 설치돼있는 아파트도 있습니다

  • @user-nt9lk8ei6g

    @user-nt9lk8ei6g

    Ай бұрын

    아파트 주타장 바닥에 무선충전기......설치 유망사업.

  • @honggeeroh1605

    @honggeeroh1605

    Ай бұрын

    @@teartorn 아파트에서 신청만 하면 충전 회사에서 무료로 충전기 설치해 줍니다.

  • @00kanu00
    @00kanu00Ай бұрын

    당분간은 지금까지와는 다르다 가 요점인거 같습니다. 항상 시기가 문제지 방향은 거의 다 맞추잖아요

  • @inkim2057
    @inkim2057Ай бұрын

    Erev사야겠다!

  • @htjungle
    @htjungle23 күн бұрын

    전기차 인프라가 상당 수준 달성되면 모르지만 현재 프리우스 5세대 하이브리드 차주로서 만족도 300%입니다.

  • @user-nh4bx7pt2s
    @user-nh4bx7pt2sАй бұрын

    자동차에 컴퓨팅 파워가 필요한 시대가 오느냐 마느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전 온다고 믿긴 하는데 ㅋㅋㅋㅋㅋ 뭐 안온다고 믿으면 하이브리드에 배팅 하는거죠 뭐

  • @user-lz1we8ev5g

    @user-lz1we8ev5g

    Ай бұрын

    헐 내연기관차에도 컴퓨팅 다들어가는데 뭔 상관이지...

  • @user-gh6hl8xw8n
    @user-gh6hl8xw8n19 күн бұрын

    기술의 과도기라고나 할까 하이브리드도 종류가 여러가지고...개솔린이냐 전기차냐도 주도적인 기술이 아직 확립이 되지 않았고 전체적으로 완전 자율주행으로 가기까지 기술적인 측면에서 혼란의 시기가 될것 같네요. 자동차 기업의 입장에서도 이런 틈새를 찾아서 과도기에서 기업이익이 되는 차를 빨리빨리 개발해서 치고 나가면서 주류를 먼저 잡으면 자동차시장을 주도할수 있는 춘추전국시대라고나 할까요...

  • @user-vs8il2zd3w
    @user-vs8il2zd3wАй бұрын

    가솔린으로 발전에서 배터리 충전하면서 달린다니 신기하네요

  • @jordanlee289
    @jordanlee28910 күн бұрын

    디젤기관차가 알고보면 디젤엔진으로 출력을 내는게 아니라 발전을 하고 그 전기로 모터를 돌려서 달렸었죠. EREV 오래된 그러나 새로운 기술인듯..

  • @user-sx5oe5vy7t
    @user-sx5oe5vy7tАй бұрын

    전기차 오너가 엔진차를 다시 구매할 확률보다 전기차 오너가 다른 전기차를 구매할 확률이 월등히 높습니다. 저도 그렇구요. 약 20년전에도 가스차 위험하다 난리엿죠 근대 어느덧 택시가 전부 가스차네요 ㅎㅎ

  • @naminami7456
    @naminami7456Ай бұрын

    전기차 1년 돼가는데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시각에 되레 안도감이 든다 . 전기차가 대중화되지 않아야 현재 평온하게 누리고 있는 혜택들이 계속될테니

  • @samseo664
    @samseo664Ай бұрын

    한국이 충전인프라가 1대당 충전인프라 수로는 높습니다. 하지만 그 숫자로만 판단하면 안되는 것이 1) 절반이 제주도에 있습니다. 2) 나머지 절반중 상당수가 정부의 충전인프라 확충 정책에 따라 잘 가지않는 동사무소 등 정부기관 주차장에 설치되었습니다. 3)이게 가장 큰건데, 한국은 아파트베이스 주거라, 미국 노르웨이 등 태반이 단독주택의 주거의 경우 자신의 집에 완속충전기가 있고 이건 집계되지 않습니다. 한국의 충전인프라보다 “차량당 1대”의 숫자가 삐져있습니다.

  • @jung6556
    @jung6556Ай бұрын

    처음에는 친환경이니 뭐니 하다가 충전의 불편함 감수하고 샀더만 충전비용 계속 올림 .

  • @uwin-rj4rj
    @uwin-rj4rjАй бұрын

    PHeV가 사실 가장 수명이 짧고, 고장도 많고, 화재도 잘납니다. 많이들 사셔야 카센터가 먹고 살지요😊

  • @dongilkim1887
    @dongilkim1887Ай бұрын

    역사는 언제나 효율적이었다!!내연기관과 전기차 에너지 효율로 보면 게임이 안됨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Ай бұрын

    "하이브리드는 잠깐이고, 결국 전기차가 대세가 될 것이다." => 근데 그 잠깐이 30년이 될 줄은 몰랐다.

  • @user-nk9jc3xe9p

    @user-nk9jc3xe9p

    Ай бұрын

    마차타다 내연 자동차 바뀌는데 10년 걸렸음 ㅎ 앞으로 5년이면 인식자체가 바뀌고 다 전기차만탈것이다 ㅎ

  • @SHKim-uv4wo

    @SHKim-uv4wo

    Ай бұрын

    그 정도 기간이면 전기차보다 수소전기차가 대세가 될 것입니다.

  • @real3243

    @real3243

    Ай бұрын

    ​@user-nk9jc3xe9p 개인 소비자한테 장점이 대체 뭐임?사실상 지금까지도 구매안한 사람들은 전기차 단점이 너무 크게 느껴지는 사람들이라 안 산거야. 예시로 든 마차에서 내연차로의 변경은 소비자가 편하니까 금방 갈아탄거고, 내연차에서 전기차는 소비자 입장에서 뭐가 좋은데? 내연차 타면 생각할 꺼리도 아닌데 전기차 타면 충전소 위치 생각 한번 해봐야해, 긴 충전시간 감수해야해, 그 와중에 차값은 오히려 비싸. 충전 문제 암만 별거 아니라고 해봐야 아예 그런거 생각 할 필요도 없는 대안이 있는데 굳이 왜? 화재? 진짜 전기차 안산 사람들이 그것때문에 안 산다고 생각하는거야? 환경? 경제 좀 어려워지니까 유럽 국가도 환경법안 무르는 판국에 개인이 불편함 감수하고 환경을 위해 전기차 탄다?

  • @user-nk9jc3xe9p

    @user-nk9jc3xe9p

    Ай бұрын

    @@real3243 테슬라가 답! 이상한 전기차 말고요 테슬라는 안타보면. 모름…타보고 단점 말해도 결국 테슬라만 타게됨

  • @user-nt9nz4nu5l

    @user-nt9nz4nu5l

    Ай бұрын

    @@silverclip7666 혹시 모카 관계자?

  • @naminami7456
    @naminami7456Ай бұрын

    전기차 1년 돼가는데 내연은 생각도안난다. 고속도로에서 내연차들은 그냥 경운기 같고 국도에서는 자전거 같이 느껴진다

  • @doom9344

    @doom9344

    28 күн бұрын

    그건 니 우쭐 망상 ㅋㅋㅋㅋ 현실부정이고 ㅋㅋㅋㅋㅋ

  • @naminami7456

    @naminami7456

    27 күн бұрын

    @@doom9344 똥싸

  • @user-wp9ew8je3d

    @user-wp9ew8je3d

    5 күн бұрын

    차를 그렇게 모니까 사람들이 전기차 극혐을 하지ㅉㅉ

  • @naminami7456

    @naminami7456

    5 күн бұрын

    @@user-wp9ew8je3d 차가 성능이 그런걸 뭐어쩌라고 타봐라 ㅎ

  • @naminami7456

    @naminami7456

    5 күн бұрын

    @@doom9344 똥싸라 ㅎ

  • @cleanvibes-nb3hq
    @cleanvibes-nb3hqАй бұрын

    Google에 치면 hybrid차가 화재에 가장 취약하다는데, 이건 뭔가요?

  • @user-by5sd8if1k

    @user-by5sd8if1k

    Ай бұрын

    그많큼 많은 부품이 달렸으니 당연하죠.. 엔진에 배터리에 모터에 그거 다 연결하는 전선등 등

  • @gjwlsgh1

    @gjwlsgh1

    Ай бұрын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이야기 입니다. 배터리는 용량대비 출력이 높을 수록 화재 위험이 높은데 플러그인하이브리드는 배터리 용량이 워낙 작다보니 화재 위험이 높습니다.

  • @leegun9867

    @leegun9867

    Ай бұрын

    용량 적은데 고 c-rate로. 전기차 베터리에 비해 작은 용량으로 고 충방전하니 과열이 쉬워서 불남......

  • @user-tv6ci5go7w

    @user-tv6ci5go7w

    Ай бұрын

    화석연료도 화재 많이 납니다 뉴스에 안나올뿐, 전기차도 화재 많이 납니다 나는족족 뉴스에 나옵니다 하이브리 = 화석 + 전기 불날곳이 넘쳐흐르지요

  • @NADAGA-yl1cx

    @NADAGA-yl1cx

    Ай бұрын

    불만 많이나는거랑 달리는 유골함 전기차처럼 한번 불나자마자 급격하게 차량 탑승인원을 바로 가루로 만들 정도로 전소되는거랑은 엄연한 차이임.. 내연기관이나 하이브리드는 불나도 바로 대피하면 대부분 인명피해는 없는게 팩트

  • @user-tn9by6qk1u
    @user-tn9by6qk1u3 күн бұрын

    전기차는 충전 문제 뿐만 아니라, 사고 났을때 배터리 폭발 위험성 고려 해야 한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그런 사고를 염두에 안두고 있는데, 폭발 위험성은 실재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에 비해 수리비가 아주 많이 들어간다. 수리비 폭탄 한번 맞으면 전기차 못탈거 같다.

  • @user-rr3bo3hu3m
    @user-rr3bo3hu3mАй бұрын

    중국시장의 자국우선 주위에 따른 성장 불확실성과 경기침체가 가정 큰 이유. 유럽의 경기침체+중국전기차 강세+전기차 통합 제어SW&HW개발 난항 결국 장기적으로 전기차로 가겠으나 급진적인 개발비용이 아닌 점진적인 개발로 전환했을뿐 하이브리드가 대세라는 말은 좀 ;;;

  • @user-ws8ic5gv2c
    @user-ws8ic5gv2c3 күн бұрын

    전세계에 충전인프라가 다 깔릴수없죠.. 전기차는전기차대로 이것도 이것대로 좋은방향인거같습니다.

  • @devkim8433
    @devkim8433Ай бұрын

    전기차의 장점이 수만개가 되더라도 가장 중요한거...가격적 메리트 + 충전 가격적 메리트는 모든 사람들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기준이 애매모호하긴함... 다만 충전 + 주차...겪어본 사람들만 알꺼임...

  • @user-wd5fq5rw8y

    @user-wd5fq5rw8y

    Ай бұрын

    얘는 못겪어봤나보네

  • @user-qi8nt7xs5c
    @user-qi8nt7xs5cАй бұрын

    하이브리드는 20년전에 나왔고 도요타였죠

  • @TheKimjinman
    @TheKimjinmanАй бұрын

    리얼 대박 놀라운 전기차의진실 정말 찐 프로그램이네

  • @lakemoon2104
    @lakemoon2104Ай бұрын

    화재때문에 무서워서 전기차 안사는 사람은 내연기관 대비 화재발생율이 중요한게 아닙니다. 엔진은 적어도 운전자 앞에 또는 뒤에 있고 폭발하는 경우는 흔치 않음. 그러나 배터리는 폭발한단 표현은 그렇지만 발 아래에 있고, 화재 발열시 빠져나오기 전에 무섭게 타올라 산채로 타죽은 경우가 왕왕 있기 때문에 무서워 하는것.

  • @gap7162

    @gap7162

    Ай бұрын

    저도 이 이슈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전기차를 탈 일은 없을 거 같습니다. 집 지하주차장에서 전기차 화재사고 한 번 있었는데 정말 난리도 아니었음...

  • @TT-rt5ib

    @TT-rt5ib

    Ай бұрын

    전기차 옹호자들은 이 말 하면 무슨 음모론자 취급 하더라구요. 실제로 내연기관이었으면 털끝 하나 다치지 않았을 사고에서 배터리 화재로 사망자가 발생한 사례도 있는데 말이죠...

  • @luv2233

    @luv2233

    Ай бұрын

    그게 공포면 그냥 그렇게 사세요. 남들한테 합리화시키려하지말고요. 사고보면 운전자과실이었고 운전ㅈ같이 못하는인간들이었음.

  • @lakemoon2104

    @lakemoon2104

    Ай бұрын

    @@luv2233 네 운전자 과실과 자동차의 구조적 위험을 구분하지 못하는사람과는 상대안하고 살려구요 ㅋㅋ

  • @tmvmfpemchqh

    @tmvmfpemchqh

    Ай бұрын

    @@luv2233 바본가? 소비자 과실이라도 불이 나면 안됩니다. 소비자가 완벽하면 충돌시험을 왜 하며 26262 규제는 왜 할까요? 다들 이런 생각이었으면 우린 아직도 석기시대에 살고 있었을 듯

  • @user-hl4eg5kd8q
    @user-hl4eg5kd8qАй бұрын

    아직 배터리 기술이 부족한 것일지도?

  • @dempskim
    @dempskimАй бұрын

    내연차 전기차 보유중입니다. 내연차 이번주에 한번도 안탔습니다

  • @real3243

    @real3243

    Ай бұрын

    넵 열심히 고생하십쇼!

  • @nekotan313

    @nekotan313

    Ай бұрын

    저도 그래염 ㅎㅎ 주행질감이나 뭐나 충전말곤 정말 단점이 없는거같아여 ㅎㅎ

  • @heartafire82

    @heartafire82

    Ай бұрын

    라고 말 할만한 사람들은 이미 다 구매 하신것 같아요 ㅎㅎㅎ

  • @Galileo9.81

    @Galileo9.81

    Ай бұрын

    전 지금 2대 다 전기차지만 만약 내연차가 여분으로 있다해도 사실 잘 안 탈 것 같기도 하네요.🤔

  • @lakemoon2104

    @lakemoon2104

    Ай бұрын

    불에타죽기전까진 전기차가 편리하지 암

  • @user-qg5lj6bn2s
    @user-qg5lj6bn2sАй бұрын

    엔진으로 충전만 하는 방식, 예전에도 있었습니다. 탑기어UK에서 한 20년 전에 소개한 적 있죠.

  • @user-fh2nx1op7n
    @user-fh2nx1op7nАй бұрын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문제가.. 단거리만 운전하면 엔진이 돌일이 없음; 그게 반복되면 엔진퍼짐;;

  • @fastdunn

    @fastdunn

    Ай бұрын

    가끔 세게 달리면 엔진 돌아가지 않나요?

  • @gjwlsgh1

    @gjwlsgh1

    Ай бұрын

    @@fastdunn 아니오.. 배터리를 다 사용하면 그때부터 엔진이 돌아가죠.. 단거리 왔다갔다 하고 충전계속하면 전기차 처럼 사용하죠..

  • @cloudjang5380

    @cloudjang5380

    Ай бұрын

    전기차 모드로 할건지 하이브리드로 할건지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가 있을건데요.. 가끔 하이브리드 모드로 바꿔서 굴려주면 되죠~

  • @user-zo2vt5fe3k

    @user-zo2vt5fe3k

    Ай бұрын

    단거리는 전기 타면되져 굳이 하이브리드를…..

  • @acttz

    @acttz

    Ай бұрын

    플러그인 타본적 없는것 같음. 플러그인 하브는 주기적으로 엔진 돌게 되어있다. 좀 타보고 예기하셈.

  • @user-bq4te8xz2v
    @user-bq4te8xz2vАй бұрын

    단기로 볼때 하이게죠 장기보면 답나옴

  • @user-ch7wh8rr6u
    @user-ch7wh8rr6uАй бұрын

    외국은 전기차 판매 증가세. 한국은 내림세. 원인이 뭘까? 한국 전기차는 현기차 독점 체제를 잘 파악해서 곰곰히 생각해보면 답이 있음.

  • @user-kb2tw4zg7c
    @user-kb2tw4zg7c14 күн бұрын

    키로수를 더 늘리든, 충전시간을 최대 10분이내로 줄이든 둘중 하나는 해야 좋을듯

  • @user-sx6ob4qn2n
    @user-sx6ob4qn2nАй бұрын

    문과?

  • @woodstar7231
    @woodstar723126 күн бұрын

    연료가격대비 효율로따지면 현재로는 LPG가 아닌가요? 전기차가 차가격이비싸고, 충전인프라가 부족하고, 충전비용 전기할인율이없어진다면요, 하이브리드도 결국은 10년뒤면은 수도권에서 운행금지인데, 유럽에서는 내연기관 생산도못하게 법제화되고요, 우리나라만 일본도요타 같이 하이브리드에 집착하는것같네요, 선진국들과의 인식차이겠죠, 유럽신재생에너지가 화석연료나 원자력보다 더싸다고 강조하는마당에,,

  • @afac0119
    @afac0119Ай бұрын

    회사 업무차로 GV60 타고 있는데 개편함. 다음차는 무조건 전기차ㄱㄱ

  • @ble3145
    @ble31454 күн бұрын

    정부의 정책이란, 기업과의 단계적 정책에 따른다. 어차피 세상 차들은 전기로 다 가게 되어있다. 단지 기업의 계획과 돈과 시간의 문제일 뿐.

  • @user-jv3qj1hf4i
    @user-jv3qj1hf4i6 күн бұрын

    빌라에 살고 있다보니 전기차는 인프라 의존도가 너무 높다는 점으로 단기적으로는 확댜에 한계가 오겠다 싶었고 그래서 다음차는 일단 하이브리드가 현실적이겠다 생각하고 있던 처에 흥미로운 영상이라 잘 봤습니다

  • @pyunsoodo473
    @pyunsoodo473Ай бұрын

    예전에 운행했던 주황색 디젤기관차가 디젤엔진으로 발전기를 돌려서 발전하여 지금의 KTX처럼 모터를 구동해서 열차를 많게는 50량 이상도 끌고 갈 수 있는 무지막지한 기관차였습니다. 미국에서는 앞과 뒤로 두대의 기관차를 붙여서 그 이상도 끌고가는 동영상을 유투브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차역 플랫폼이 작아서 여기에 맞게 작게 운행하고 있었습니다. 예전에 미국자동차 GM의 EV1 이런 방식이었는데 안전성 문제라는 알 수 없는 이유로 모두 회수해서 전량 폐기한 적이 있습니다.

  • @sprnt
    @sprntАй бұрын

    전기차는 영업용차가 최고더라. 일하다가 충전할때 잠도 잘수있고 폰보면서 쉴수도 있고…

  • @kkpklm4154
    @kkpklm415425 күн бұрын

    과도기죠..대세는 전기차가 답이고 내연을 하이브리드가 대체하도 있는건 사실이지만 일시적으로 판단됨

  • @user-rk1ji8tr6f
    @user-rk1ji8tr6fАй бұрын

    정영진 ㅎㅎ 음,, 아,, 그래요~.. 네네

  • @YJ-dk1lw
    @YJ-dk1lwАй бұрын

    어차피 앞으로의 대세는 자율주행이 될 것이고 그 베이스는 전기차이기 때문에 성장성엔 문제가 없어요.

  • @user-dw3wk8hh9c

    @user-dw3wk8hh9c

    Ай бұрын

    자율 주행은 상당기간 어려울 것이란게 업계의 판단.아니 거의 불가능이란 결론도 나옵니다.

  • @user-oc1bg7wr7w
    @user-oc1bg7wr7wАй бұрын

    지금 경기가 넘 안 좋아요. 차량 구매에 보다 더 신중하고 함부로 구매 못해요 ㅜㅜ . 전기차의 구매 하락이 아니라 관망 시기라 보는 것이 맞는 듯 합니다. 현재 내연기관 차량 구매량도 엄청 떨어졌죠. 지금 그 사이 차량 교환 주기가 꼭 필요하신 분들은 하이브리드 차량을 선택 하시는 듯 하구요. 하지만 내연 엔진 개발을 제조사들이 거의 중단, 멈췄기에 어쩔 수 없이 지금은 대부분 중국산 하이브리드용 엔진을 장착 했는데 큰 이슈가 많은 편 입니다. 그래서 하이브리드 선택도 현재는 꼭 잘한 선택이라 보기도 애매하죠. 전기차 화재도 잘 보시면 저렴한 중국산 lfp배터리를 장착한 차량들의 화재가 높은 편 입니다. 아무튼 지금은 전기차든 하이브리차든 마지막 내연기관 차량이든 선택이 쉽지 않은 관망 시기라 전기가 대세를 알아도 쉽게 구매로 이어지지 않는 듯 합니다.

  • @cloudjang5380

    @cloudjang5380

    Ай бұрын

    중국산 엔진 일부 수입해서 쓰는지 모르겠지만.. 현대기아 대부분 국산 엔진 쓰는걸로 아는데요..

  • @user-oc1bg7wr7w

    @user-oc1bg7wr7w

    Ай бұрын

    @@cloudjang5380 요즘 출시된 국산 전기 코나 .니로 등 꽤 많은 차량들이 중국산 lfp 입니다^^;

  • @user-oc1bg7wr7w

    @user-oc1bg7wr7w

    Ай бұрын

    @@cloudjang5380 그리고 국산 하이브리드 서브 엔진 역시 중국산 입니다 요즘 출시차량들은...

  • @user-ld7lq4kk9u

    @user-ld7lq4kk9u

    Ай бұрын

    코나 니로 전부 lfp아닙니다 국내에 lfp는 테슬라y 레이ev 토레스evx 그리고 새로나오는 테슬라3모델에 적용되는걸로 알고있고 해외는 모르겠는데 국내기준 lfp열폭주한적 단한번도 없습니다

  • @zmfreeroo
    @zmfreerooАй бұрын

    자동차 개발 시 고려하지 않는 가장 큰 문제는 카센터임. 특히나 하이브리드, 전기차처럼 기존 내연기관과는 완전 다른 개념이 들어간 것들은 기존 동네 카센터에서 안받아줌. 제조사 메인 정비소만 가야 되는데 대기만 최소 한달은 걸림;;

  • @user-ll9ep7hw8b
    @user-ll9ep7hw8b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전기차 한대당 충전기 비율이 높은건 전기차 보급율이 주요국 중에서 꼴찌라서 그런건데, 무슨 충전인프 잘깔려서 그런것 처럼 이야기하네

  • @2TTTRIO
    @2TTTRIOАй бұрын

    일단 한번 좝솨바~ 먹어보기도 전에 넘들 먹는거보고, 이야기만 듣고 맛이없네. 짜네. 비싸네.😊

  • @karimajac4727
    @karimajac4727Ай бұрын

    전기차가 먼저나오도 가솔린이 늦게 나왔다면 내연기관을 혁신이라고 했을꺼다

  • @sangseobLee
    @sangseobLeeАй бұрын

    하이브리드는 전기차로가는 과도기...

  • @jonglee6162
    @jonglee6162Ай бұрын

    앞을 볼줄모르는... 슬프군...

  • @user-yc6xw4ek2p
    @user-yc6xw4ek2p27 күн бұрын

    내연기관 실험실 효율도 30% 넘기 힘듬.. 상용 소형 내연기과 최대 20% 초반 대임... 증기발전기(원자력이나 화력)가 40%초반 발전소에서 30% 초반 대 여기에 전력 예비율+ 송배전 손실 등등 따지면 집에서 쓰는 전기는 25%정도 여기에 전기차 충전 손실등을 따지면 전기차 베터리까지 오는데 20% 초반임... 그래서 하이브리드 엔진 효율 최적화 효율 20% 맞추고 충전 효율 최대화하면 전기차와의 경쟁력 확보한다 라는 논리가 20년전 부터....

  • @user-sy7dl4os1h
    @user-sy7dl4os1h7 күн бұрын

    시장전문가들이 너무 과도한 목표를 전망했던건 서실임. 개인적으로 하이브리드 기술이 PCS폰 생각나게 하네요.

  • @healinghouse7
    @healinghouse7Ай бұрын

    중국에서 EREV 하이브리드 타고 있습니다.전기로 200키로 달리고 기름까지 만땅하면 1000키로 이상 달립니다.충전여건되면 충전하고 않되면 기름쓰고..승차감,출력,정숙성 전기차랑 일체합니다.EREV는 정말 잘만든 차인것 같습니다.

  • @grbfpvfreestyle7614
    @grbfpvfreestyle7614Ай бұрын

    전기차는 아직 시기상조죠.(전기차 시기상조회)😅

  • @user-rf8oj7gs8r
    @user-rf8oj7gs8rАй бұрын

    1년에 3만이상 타는데 전기차 좋음…죽고사는건 팔자소관…ev9 참 좋아유 1만 5천 탔는데 별 불만 없슈

  • @stephane...

    @stephane...

    3 күн бұрын

    결국 이분 갔어요

  • @user-xb4os3dc3o
    @user-xb4os3dc3oАй бұрын

    전기차 베리굿입니다

  • @user-bw3cg3xe3y
    @user-bw3cg3xe3yАй бұрын

    전기차가 지금 잠깐 주춤하지만 내년부터 다시 오를것이다

  • @user-yc6xw4ek2p
    @user-yc6xw4ek2p27 күн бұрын

    친환경 에너지 생산 추세 주춤으로(환경 문제 등으로 화력 등 전통 발전 확대 불가) 전기차의 전력 생산/공급망에 대한 우려로 전기차의 급격하한 전환이 어려움을 .... 즉 다시금 친환경에너지에 대한 투자가 확대 되면 다시 전기차로 감... 참고로 가정에서 하루 쓰는 전력량(전기요금 고지서 보면 쉽게)과 전기차 전력 사용량 비교해 보셈....그럼 전기차 확대가 전력이 얼마나 문제인지 확 옴....

  • @hsg9934
    @hsg9934Ай бұрын

    BMW I3 2018-2021년까지 리스에서 탔었는데 발전기 돌아가는 소리가 무슨 옛날 시골 경운기소리 (조금 과장해서) 같았어요 로컬에서 타기는 괜찮았던거 같구요. 장거리에는 불안해서 못타구요. ㅎㅎ

  • @luv2233

    @luv2233

    23 күн бұрын

    전기차 무진동,무소음이라 정숙성 좋은데 언제적 전기차 얘기하는지..?

  • @user-lh9gk3bm7e
    @user-lh9gk3bm7e7 күн бұрын

    전기차 한 번 타면 내연기관 다시는 못타지.

  • @kaytex711
    @kaytex711Ай бұрын

    도요타나 혼다 딜러쉽 가면 하이브리드는 구경도 못함 ㅋㅋ 바로바로 재고처리됨

  • @user-br7bb6pd7r
    @user-br7bb6pd7rАй бұрын

    노키아 IBM 소니 GM .....잠깐이다...축억은...

  • @nigagarahawaii
    @nigagarahawaii15 күн бұрын

    전기차 소유운행경험이 있는사람만 전기차 얘기해야한다고 본다 ㅋㅋㅋㅋ

  • @user-wp3zd1he8u
    @user-wp3zd1he8uАй бұрын

    법인 벤츠전기차탑니다. 집밥있어서 개꿀 다음차도 전기차 빠르쉐

  • @freebird5042
    @freebird5042Ай бұрын

    생각이 이렇게 짧아서 되겠습니까 차량 판매량만 놓고 어떤게 잘팔렸냐를 따지는건 너무 일차원이죠 신차효과, 다양한 종류의 선택지가 차량 판매에 큰 영향이 있는거에요 예를 들어 현재 가솔린 모델 전체가 전기차고 현재 나와있는 전기차 모델만큼이 가솔린이나 플하라고 한다면 지금같은 결과일까요? 아마 더 차이날걸요? 현대차만 예를 들어도 가솔린에 비해 전기차는 진입 가능한 , 그리고 살만한 매력적인 모델이 너무 적자나요. 곧 다양한 모델이 나와서 전기차 선택지가 많아지면 그땐 머라하실건지 그리고 충전인프라도 아직 미흡하죠. 미래는 어차피 전기차에요

  • @JeonSeoungWon
    @JeonSeoungWonАй бұрын

    이모든 문제를 해결할 완벽한 대안은 전고체로 가는것뿐이다

  • @user-wy1wy1td3l
    @user-wy1wy1td3lАй бұрын

    ㅎㅎ..전기차시대의 흐름에 반하는 자들.....삼프로?

  • @Darkbee11
    @Darkbee11Ай бұрын

    전기차보다 이퓨얼연료가 더나은미래에너지 수단일수도 전기차 싼맛에 좋지만 지하에서 불나면 너무위험하고 매번충전하기도 너무 귀찮음

  • @user-xr4df7vm5h
    @user-xr4df7vm5h26 күн бұрын

    요즘 전기차가 대량 늘어나고 디젤차량 조기 폐차 해서 동네 카센터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전국 카센터 통계 좀 보시지요. 전기차는 수리가 거의 없습니다.

  • @user-gb8gz5jr1t
    @user-gb8gz5jr1tАй бұрын

    집밥 회사밥 있는 나는 전기차로 바꾸고 출퇴근 유류비 40들던게 충전비 10밖에 안든다. 대만족~~~ 아무도 전기차사지마라. 제발 충전편하게 나만하게 ㅋㅋ

  • @user-cd4wu8gn6q

    @user-cd4wu8gn6q

    Ай бұрын

    응 안사 다들 하이브리드만 살려구 수개월 대기해서 사더라 ㅋㅋ

  • @luv2233

    @luv2233

    23 күн бұрын

    @@user-cd4wu8gn6q 당연하지 전기차실차주들은 제발 늘어나지않았으면 하거든. ㅋㅋㅋㅋㅋ 내연기관 하브가 짱이니까 전기차 절대 오지마라 터진다.

  • @yangluke76
    @yangluke7612 күн бұрын

    전기차 충전 5분내로 끝내는 기술 나오면 사줄께.

  • @aiohmygod
    @aiohmygod18 күн бұрын

    난 얼마전에 전기차 샀다... 디젤차 타다가 전기차로 갔는데 넘 좋타. 일일 디젤차 연비 20리터안팍으로 출근 5800원에 타고다녔었는데... 전기차로 바꾸고 나서 1800원 나온다. 승차감, 고급감, 정숙성... 압도적이다.

  • @sky9900
    @sky990020 күн бұрын

    세계 자동차회사 모두 전기차 몰입할 때 일본차 회사들 전기차 대신 하이브리드 치중한 것이 적중.

  • @map2t619
    @map2t619Ай бұрын

    전기차 충전기대수만 많고 환경부가 세금만 쓰고 관리를 안해서 고장이 너무 많음

  • @tkskdl7258
    @tkskdl7258Ай бұрын

    삐삐 다음 핸드폰 나오기전에 pcs 라고 생각하면됨 결국 다 전기차로바뀜

  • @DTEX2
    @DTEX2Ай бұрын

    충전속도가 많~~~~~~~~~~~~~~~~이 개선되어야 함 말 그대로 쭈우우우욱~~~ 하면 쫘아아아아악 하는 수준으로 되야지 지금처럼 무슨 20분 30분씩 충전하게 하면.... 지금도 주유소에 갑자기 차 몰리면 답 없는데, 중국도 비슷한 일로 화물차 몇 대가 충전소 다 먹고 있어서 일반인들 제대로 충전 못하고 싸움나고 그랬습니다. 적어도 전기차 보급률 한해서는 중국이 한국보다 선진국인데 차보급되는 속도보다 충전소 숫자와 충전속도가 솔직히 기대에 못 미침 그래서 전기차 오너들도 다 얘기 하잖아요 집밥이나 회사밥없으면 사지 말라고 사서 굴리는 사람들은 집밥 먹일 수 있는 사람들

  • @user-ww9qd3wx3s
    @user-ww9qd3wx3s26 күн бұрын

    전기차 사지마라 나만 탈거다

  • @user-zd9st9wj2y
    @user-zd9st9wj2yАй бұрын

    대단히 감사합니다.ㅎ 회사업무용로 자주 타는데, 제 차가 아니라서 너무 좋습니다.ㅎ 한번씩 당기면, 어지간한 오토바이 순간가속처럼 나가네요.ㅎ 칼치기는 장난입니다.ㅎ 겨울철 사람 태우고 난방 돌리면 드는 생각이 내 차가 아니라서 너무 좋습니다.ㅎ

  • @user-wp3zd1he8u

    @user-wp3zd1he8u

    Ай бұрын

    한심 직원수준 지차아니라고 막 달린다니 ㅉㅉ

  • @user-zd9st9wj2y

    @user-zd9st9wj2y

    Ай бұрын

    @@user-wp3zd1he8u 글내용 파악하는 수준하고는! 뭔말인지 행간을 좀 읽자!

  • @stephane...

    @stephane...

    3 күн бұрын

    ​@@user-zd9st9wj2y이놈 짤렸어요

  • @JWKim-sw7ce
    @JWKim-sw7ceАй бұрын

    충전비도 오르고 장점이 거의 없다.

  • @soonjung8355
    @soonjung8355Ай бұрын

    하이브리드는 과도기....에 필요한거지....5.6년은 인기 있겠어

  • @jwp409
    @jwp409Ай бұрын

    전기차인생 어언4년 이젠 전기차만 봅니다

  • @user-eb6fu3yq3j
    @user-eb6fu3yq3jАй бұрын

    전기차를 타는사람들은 괜찮다고 생각하는데 않타는사람들이 이상하게 꺼리더군요. 난 좋던데

  • @Hhhappy1234

    @Hhhappy1234

    Ай бұрын

    저도 좋던데요. 요즘은 휴게소 마다 충전기 보급도 너무 잘되있어 걱정 하나도 없고요.😅

  • @user-se8lg7ty6t

    @user-se8lg7ty6t

    Ай бұрын

    샀는데 아쉬운 소리 안하겠죠 ㅋㅋㅋㅋㅋㅋㅋㅋ

  • @hc.jeon_

    @hc.jeon_

    Ай бұрын

    @@user-se8lg7ty6t정말 아쉬운게 없어서 그래요 ㅋㅋㅋ

  • @user-lr2he5ct1d

    @user-lr2he5ct1d

    Ай бұрын

    저도 내연기관으로는 못돌아가겠던데 ㅋㅋㅋ

  • @seonmojin437

    @seonmojin437

    Ай бұрын

    만족하면 타는거죠 ㅎㅎㅎ전 아파트 사는데 전기치 충전소에 하루 종일 주차되어 있는거 보고 안 사게 되더라구요~개인 생각 차이죠 전 핸드펀 충전도 귀찮아서리

  • @Kklee6017
    @Kklee6017Ай бұрын

    당연한 결과 이지요. 하이브리드는 수요자 중심에서 나왔고 전기차는 공급자 중심에서 나온 것 이지요. 수요자 중심의 상품이 항상 이기게 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