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웹이 새롭게 포착한 이상한 먼지 기둥?! | 파괴설을 파.괘.한.다.✨😎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 #제임스웹 #독수리성운 #창조의기둥 #허블 #우주망원경 #NASA #옛날이야기 #라떼 #제임스웹우주망원경 #jameswebb #jameswebbspacetelescope #pillarsofcreation #eaglenebula #성운 #초신성
📝 칼럼 링크
m.post.naver.com/my/series/detail.nhn?seriesNo=351775&memberNo=30808112&prev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r.com/channels/143
레퍼런스
ui.adsabs.harvard.edu/abs/2015MNRAS.450.1057M/abstract
www.pbs.org/wgbh/nova/origins/hubb-02.html
www.nasa.gov/mission_pages/spitzer/news/spitzer-20070109.html
ui.adsabs.harvard.edu/abs/2009AAS...21332401F/abstract
www.jpl.nasa.gov/images/pia09107-cosmic-epic-unfolds-in-infrared
www.nasa.gov/image-feature/the-pillars-of-creation
hubblesite.org/contents/media/images/2015/01/3467-Image.html?news=true
iopscience.iop.org/article/10.3847/2041-8213/aac771
aasnova.org/2018/06/27/peering-inside-the-pillars-of-creation/
www.eaobservatory.org/jcmt/2018/06/first-observations-of-the-magnetic-field-inside-the-pillars-of-creation-results-from-the-bistro-survey/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Пікірлер: 212

  • @user-vj9ov2nv7l
    @user-vj9ov2nv7l Жыл бұрын

    울나르..창조의 숨결... 그곳에서 젤나가가 우리를 기다린다

  • @user-qb5gt4jh9d

    @user-qb5gt4jh9d

    Жыл бұрын

    ㅗㅜㅑ

  • @tagaby

    @tagaby

    Жыл бұрын

    아몬 : 시부랄것들. 언제 오는거야. 흥! 삐뚤어질거야.

  • @user-fv1lm3fc7b

    @user-fv1lm3fc7b

    6 ай бұрын

    @@user-qb5gt4jh9d 77피

  •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봤습니다!

  • @asteroidpark
    @asteroidpark Жыл бұрын

    자칫 어렵고 지루할 수 있는 이야기를 쉽고 재밌게, 그렇지만 깊이 있게 전달해주셔서 너무 고맙습니다.

  • @jakefield
    @jakefield Жыл бұрын

    설득력이 있는 추정 내용이네요, 1995년에 관측한 내용과 그 후에 관측한 내용의, 창조의 기둥들의 변화된 모습의 차이를 7천만년 전의 시간에 대입해봐도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거군요(우리가 보는 외관상 큰 차이), 그리고 개인 생각인데, 우리 평범한 일반인의 입장에서 초속 200km는 크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땅바닥을 기어다니는 작은 개미가 10초 사이에 우리 인간이 걸어 움직이는 거리를 보면 매우 빠르다고 느낄 수 있겠지만, 우리 인간의 입장에서는 고작 몇십미터일거고요, 저 성운의 자체 움직임도 그 규모의 크기에서 초속 200km라면 아무 움직임도 없는거라고 봐야겠네요. 시간을 늘여서 수천년이 지나면 모양이 좀 달라질 수 있겠지만요. 이번 영상은 “창조의 기둥들”이 지금은 없을 수도 있다는 추정을 논파하는 내용을 일반인들에게도 쉽게 알려주는 그런 내용입니다. 고개가 절로 끄덕여집니다.

  • @gemem33
    @gemem33 Жыл бұрын

    감사히 잘 봤습니다

  • @user-ud3ek6gj7t
    @user-ud3ek6gj7t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 @user-ry7kb1ry4h
    @user-ry7kb1ry4h Жыл бұрын

    굿 👍

  •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Жыл бұрын

    현자타임즈 창조의 기둥 재밌어요

  • @cataclysmhw4394
    @cataclysmhw4394 Жыл бұрын

    창조의 기둥 속에서 바라본 우주는 어떤 느낌일까요? 정말 우주적 스케일은 빠르면서도 느리네요

  • @dominion8998
    @dominion8998 Жыл бұрын

    7천년전의 모습을 보고 있는건 사실인데 어떻게 반박하는지 너무 잘 봤습니다 덕분에 잘 배우고가요

  • @infinitecuriosity365
    @infinitecuriosity36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우즈이텐겐
    @우즈이텐겐 Жыл бұрын

    오 신기하네요

  • @호랑좌
    @호랑좌 Жыл бұрын

    으앗 왜 내 바지 속을 멋대로 찍고 그래욧

  • @therock79983
    @therock79983 Жыл бұрын

    구독자 7만 축하

  • @touchetouche6272
    @touchetouche6272 Жыл бұрын

    오오

  • @kimmaru6452
    @kimmaru6452 Жыл бұрын

    크고 아름답네요..

  • @kim_crane
    @kim_crane Жыл бұрын

    근데 저 좋은 카메라로 가장 가까운 행성중 하나를 초근접 촬영하면 어떨지 궁금하네요.

  • @pool71026
    @pool71026 Жыл бұрын

    매우 크고.. 아름답습니다.

  • @hawks008
    @hawks008 Жыл бұрын

    우리 인생 사는동안 아무것도 변하는거는 없다 ㅋㅋㅋㅋㅋ

  • @24kim
    @24kim Жыл бұрын

    내가 지금 보는 우주의 시간은 지금의 시간이다~

  • @kty198222
    @kty198222 Жыл бұрын

    무슨말인진 모르겠고 사진 개이뻐요 ㅋㅋ

  • @ChunJoStockMan
    @ChunJoStockMan Жыл бұрын

    센타우리 프록시마 B에 외계문명 존재여부는 언제 관측하나요?

  • @Just_painkiller
    @Just_painkiller Жыл бұрын

    진짜 천문학은 ㅈㄴ 지린다

  • @ssl558
    @ssl558 Жыл бұрын

    우주의 만물은 인간의 시간개념으로 그 단위를 재거나, 판단하거나, 셀 수 있는 것들이 아님

  • @ssk00069
    @ssk00069 Жыл бұрын

    그림같이 항상 똑같을 것 같은 성운이 200km/s로 움직이고 있었다는게 신기합니다. 우주는 현재 진행형이네요.

  • @user-eh1re2vg8g

    @user-eh1re2vg8g

    Жыл бұрын

    당장 지구도 30km/s 로 공전중임

  • @Ihihih12

    @Ihihih12

    Жыл бұрын

    @@user-eh1re2vg8g ㄷ ㄷ 거의 광속이네여..

  • @hunter8483

    @hunter8483

    Жыл бұрын

    @@Ihihih12 초속 30만km인 광속과 비교하기는 좀...

  • @Ihihih12

    @Ihihih12

    Жыл бұрын

    @@hunter8483 ...? 뭐가요 지구공전속도랑 광속이랑 말한건데

  • @Ardllan

    @Ardllan

    Жыл бұрын

    참고로 지구의 공전속도 30km/sec는 선속입니다.

  • @Masanajae
    @Masanajae Жыл бұрын

    아멘

  • @a_lxx.10
    @a_lxx.10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천체들이 몇 천, 몇 억년 전에 모습을 보고 있다는게 정말 신기하네요

  • @user-dk7tj5wm7o

    @user-dk7tj5wm7o

    Жыл бұрын

    사실은 우리가 보던 하늘이 타임머신이었네요

  • @user-pf6xx7hu5p

    @user-pf6xx7hu5p

    Жыл бұрын

    빛의 속도는 중학교 과학시간에도 배워요

  • @President-Loon.s.g
    @President-Loon.s.g Жыл бұрын

    다행이다.

  • @jayshim3302
    @jayshim3302 Жыл бұрын

    없어지기 전에 한 번 가봐야 되는데 ...

  • @TV-kr6uv
    @TV-kr6uv Жыл бұрын

    저기 가보고 싶다

  • @ttongttenggom9112
    @ttongttenggom9112 Жыл бұрын

    저게 바로 그 우주 곳ㅎ..

  • @user-pv3eq2gt9e
    @user-pv3eq2gt9e Жыл бұрын

    창조의 기둥은 어떻게해서 생겨난거에요?

  • @user-ze6ri2ly8h
    @user-ze6ri2ly8h Жыл бұрын

    우주에서온 키키요요

  • @user-ph5wl4xv9e
    @user-ph5wl4xv9e Жыл бұрын

    아무리 생각해봐도 인류가 존속하는 동안 안 바뀔 것 같다~

  • @userseongirm
    @userseongirm Жыл бұрын

    사진으로 보면 와 진짜 신기하다 정도지만 실제 크기는 감도 안 잡힐만큼 어마어마하겠지..?

  • @Suck_luck_love

    @Suck_luck_love

    Жыл бұрын

    어 먼지속에 들어왔다..? 좌표상으론 목적지인데? 도착한건가? 딱 이느낌일듯

  • @kim_crane
    @kim_crane Жыл бұрын

    아 짧다 짧아 와 잼있는데 영상이 짧아서 아쉽다…

  • @graycain
    @graycain Жыл бұрын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비행하면 2배로 빨리 늙어 가는 창조의 기둥을 볼 수 있겠군.

  • @고흐tv
    @고흐tv Жыл бұрын

    근데 만약에 우리가 창조의 기둥을 향해서 빛의속도로 날라가면서 관측한다면 가만 서서 관측할때보다 먼지구름들이 2배의 속도로 빠르게 움직이나요???

  • @gjy9542

    @gjy9542

    Жыл бұрын

    나랑 같은생각 하는 사람이 있네 ㅋㅋ

  • @hellowolrd

    @hellowolrd

    Жыл бұрын

    광속불변의 원리 때문에 그대로일듯 합니다

  • @고흐tv

    @고흐tv

    Жыл бұрын

    @@hellowolrd 그래요? 신기하네요? 빛도 날라오는 시간이 있는데 그빛을 향해가도 변화가 없다니.. 원래는 1광년뒤에 와야하는 빛을 그방향으로 빛의속도로 날라가는데 . 신기하네요

  • @Froglogue

    @Froglogue

    Жыл бұрын

    킹대성이론

  • @user-dg3wp8nv2d
    @user-dg3wp8nv2d Жыл бұрын

    저속에 별집단인 은하수가 수천억개가 들어갈수있는 크기겠지만 우리가보는 저성운은 작은도화지속에 흩뿌려진 작은 그림같을뿐 우주속에포함된 우리지구와 인류라부르는 우리는 하루 살이도안되는 날파리보다 미약한 존재일뿐 주변인들과 잘지내고 겸손겸손 감사감사하게 살고 마지막즈음 세상구경잘해서 행복했다라고 간직한체 생을 마감해야지

  • @ABC-DoReMi

    @ABC-DoReMi

    Жыл бұрын

    창조의 기둥은 우리은하 안에 있는 독수리 성운의 구조물이에요. 따라서 창조의 기둥은 은하수를 이루는 아주 작은 부분이에요.

  • @lpg1430
    @lpg1430 Жыл бұрын

    썸네일이 너무 선정적이네요 ㅋㅋ

  • @--KinggodNY

    @--KinggodNY

    Жыл бұрын

    이름도 하필 창조의 기둥 ㅋㅋㅋ

  • @user-us7tx2xi2v
    @user-us7tx2xi2v6 ай бұрын

    02:57 정지지키면 사람얼굴 나만보임? 너무선명한 사람얼굴이 보임😮

  • @seowlite
    @seowlite Жыл бұрын

    먼 곳에도 지구가 있다면 좋겠네요 과거의 모든걸 리얼타임으로 생생하게 볼 수 있으니...

  • @ksong5589
    @ksong5589 Жыл бұрын

    무식한질문인데요, |창조의 기둥~지구| 까지의 거리와 유사한거리의 행성에서 창조의기둥을 관측하는데, 그 행성의 중력이 너무쎄서 시간이 느리게 간다면 지구에서 보는 창조의 기둥의 모습과 다른모습으로 관측되나요??

  • @KJH-vx4og

    @KJH-vx4og

    Жыл бұрын

    일단 그 행성에서 생명체가 살 수 있는가, 그 행성에서 관측이 가능한가는 둘째치고(중력이 시간을 왜곡할 정도가 되려면 질량이 최소한 백색왜성급~블랙홀급이라야 해서...) 관측이 가능하다면 조금 더 과거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근거는 광속도 불변의 법칙입니다. 중력에 의해 빛이 더 빨라질거라 생각할수는 있으나, 빛이 빛의속도 이상으로 빨라지는 건 불가능해서 동일한 시간에 도달합니다만 중력행성 영향권에 들면서부터 실제 거리가 늘어나 중력행성의 관측자에게 도달하는데 조금 더 시간이 걸릴겁니다. 더불어, 자전이나 중력렌즈 현상에 의해 좀 다르게(좀더 좁게 보인다거나, 휘어보인다거나 하는 식으로) 보일 수는 있겠네요. 그리고 지구와 그 행성을 동일거리에서 동시에 봤을 때는 지구에서 보는 것 보다 더 이전의 모습을 보고 있는걸로 보이거나(관측하는 시간대가 지구와 완전히 틀려지는지라...) 아에 안보일 겁니다. 이건 그 행성을 보는 제3자에게 그 행성의 빛이 지구의 빛보다 느리게 도달하거나, 혹은 행성의 중력이 블랙홀급이라 행성에 있는 관측자의 모습이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엄밀히 말해서 행성의 시간이 느리게 가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보았을때 행성의 시간이 느리게 가는 것 처럼 관측되는겁니다. 실제 시간의 흐름은 동일하죠.

  • @ksong5589

    @ksong5589

    Жыл бұрын

    @@KJH-vx4og 답변감시합니다. 중력이 세도 관측가능하다면 중력이쎈 곳에서 귄측시 지구보다 이전의 것을 보고있단 말씀이신거죠? 창조의 기둥입장에선 동일하게 빛이 각 관측지점에 나아갔는데 그 관측지점주변의 중력권에서 서로의 시간이 다르게 왜곡되면서 결국 서로 조금이라도 다른모습을 본다 이말이맞는거죠?

  • @KJH-vx4og

    @KJH-vx4og

    Жыл бұрын

    @@ksong5589 중력이 일그러뜨리는건 실제로는 공간입니다. 겉보기로는 같은 거리인데, 중력행성의 주변 공간이 일그러져 창조의기둥에서 지구까지의 거리보다 중력행성까지의 거리가 더 늘어나는셈이 되는거죠. 그러다보니 중력행성 주변의 공간은 보이는 거리보다 실제 거리가 길어져서 겉으로 보기에는 시간이 왜곡된것처럼 보이는겁니다. 결론적으로는 더 과거를 보는셈이 되긴 하네요.

  • @ksong5589

    @ksong5589

    Жыл бұрын

    @@KJH-vx4og 그렇군요 잘배우고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jv7me9lw8x
    @user-jv7me9lw8x Жыл бұрын

    생긴 거 땜에 창조의 기둥인가??

  • @achtnull

    @achtnull

    Жыл бұрын

    엄...... 아마

  • @ummni875

    @ummni875

    Жыл бұрын

    네에 알려드렸습니다

  • @Chocolate_margarine

    @Chocolate_margarine

    Жыл бұрын

  • @user-cp3fd9ec4i

    @user-cp3fd9ec4i

    Жыл бұрын

    별들의 창조겠죠 아마도..?

  • @user-cp3fd9ec4i

    @user-cp3fd9ec4i

    Жыл бұрын

    좀 좉같긴 한데

  • @The_Feaster
    @The_Feaster Жыл бұрын

    창조의 기둥이 존재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제 기둥은 생명을 창조할 수 있습니다.

  • @ohjaprincess9533
    @ohjaprincess9533 Жыл бұрын

    인류의 반절은 창조의 기둥을 가지고 있죠

  • @user-vf1ux4uy7k
    @user-vf1ux4uy7k Жыл бұрын

    아주 발기찬 기둥이구만!!!

  • @user-fq7kr4js7n
    @user-fq7kr4js7n Жыл бұрын

    1:10 노래 제목먼가요

  • @nojeeeee9607
    @nojeeeee9607 Жыл бұрын

    망원경으로 본 모습이 과거의 모습을 보고있다고 하는데요. 망원경은 단순히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작은것을 확대만 시켜주는 역할뿐인가요? 광속과 거리, 그리고 망원경으로 관측 할 수 있는 거리는 시간에 관계없이, 눈으로 보나 망원경으로 보나 같은 시간대의 빛을 보는것인지 궁금합니다

  • @user-qm9lv9wt8o

    @user-qm9lv9wt8o

    Жыл бұрын

    눈으로 보든 망원경으로 보든 빛이 지구에 도착해야 볼수 있죠 그러니 관측 시간대는 똑같고 같은 모습을 보고 있는겁니다 그리고 적외선 망원경은 단순히 작은것을 확대하는 의미보다 더큰게 먼지구름 같은 것으로 가려져 있는 그 뒤쪽 모습도 포착할 수 있죠

  • @choe7146

    @choe7146

    Жыл бұрын

    작은 것을 크게도 보지만 눈으론 못보는 어둡고 희미한 것을 더 밝고 진하게 볼 수 있습니다.

  • @wilpark
    @wilpark Жыл бұрын

    창조의기둥은 제가 가지고 있습니다 창조를 못하고 기둥만 남아있지만...

  • @user-ck6on8dk7i
    @user-ck6on8dk7i Жыл бұрын

    7천년전의 상황과 1천년 후의 폭발에 영향을 받은 창조의기둥은 다른데 1천년 후 폭발에 영향을 받은 창조의 기둥을 관측하고 해석해야 창조의기둥 분해속도에 대한 예상치를 낼 수 있는 것 아닌가요? 현재의 기둥을 기준으로 300만년을 잡는건 폭발의 영향을 받기 전 상태 그대로 시간이 지났을 경우를 가정하는 것 같은데 1천년 후 관측을 통해 분해속도를 재관측해야 폭발 영향력을 알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댓글에도 다들 비슷한 이유로 궁금해 하는데 명확한 답변이 없는것 같아 저도 질문 남겨봅니다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복잡하게 생각하실 필요 없습니다. 이미 파괴되었다는 가설은 결국 창조의 기둥이 아주 빠르게 불려나갔다고 주장하는 겁니다. 즉, 실제론 이미 사라지고 없고 우린 아직 파괴되기 천 년 전의 잔상을 보고 있을 뿐일지언정, 이미 천년 전부터 빠르게 불려나가는 과정을 겪고 있는 모습이 보이고 있어야합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고, 훨씬 느리게 불려나가는 과정만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이 역시 기존의 파괴설에 반하는 발견이라 할 수 있습니다.

  • @wcatpkh
    @wcatpkh Жыл бұрын

    신의 꽈추

  • @GanGoob
    @GanGoob Жыл бұрын

    정말 크고 우람한 창조의 기둥이네요. 저도 갖고 있습니다

  • @user-ui8df8jh6w
    @user-ui8df8jh6w Жыл бұрын

    3:19 에서 아주 미세한 변화라고 하셨는데 20년동안 이게 가능한가요? 인간에 나이로는 20년이 정말 긴 세월이지만 우주규모는 아주짧습니다 그리고 충격파가 먼지기둥을 휩쓸고 갔다면은 거기서 여기까지 오는데 7000년이라는 시간이걸리는데 어떻게 고작 20년만에 그게 바뀔수가 있나요?

  • @nawul9997

    @nawul9997

    Жыл бұрын

    지구 20년이나 저쪽 20년이나 기간은 같죠

  • @gen4171

    @gen4171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겹쳐놔야 겨우 보일까말까 하는거잖음 ㅋㅋㅋㅋㅋㅋㅋ

  • @user-hf1ne3rp7y
    @user-hf1ne3rp7y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있는데, 빛이 도달하기도 먼 거리인데, 우리가 망원경으로 관측한다고 해도 그것이 7천년 전의 모습이 아닌가요? 그렇게 치면 우리가 어떤 방식으로 보든 그건 7천년 전의 모습 아닌가여? 이부분은 잘 모르겠네요.

  • @user-kq7lx9bx2v

    @user-kq7lx9bx2v

    Жыл бұрын

    우리가 그것으로 순간이동해서 지구를 바라보면 7000년전 지구가 보입니다. 과거를 볼 수 있죠

  • @user-cj1vf8rs7e
    @user-cj1vf8rs7e Жыл бұрын

    저 먼지 구름은 대체 어떻게 형성돼나? 우주에 먼지가 있다는것도 나는 이해가 안된다 먼지 알갱이의 크기는 얼마나 되는가? 저 거대한 먼지 기둥은 어디서 나와 저렇게 기둥처럼 형성이 돼었나 우주는 보면 볼수록 신비하다 미스터리다 우주를 안다는건 인간의 시간으로 만년이 지나도 다 모를것같다

  • @kty198222

    @kty198222

    Жыл бұрын

    마저 빅뱅이론은 한점에서 시작되었다는데 지금 우주에 있는 이 모든 에너지와 부피들이 한점에 어케 압축이 되어있었는지도 감이 1도 안옴 안드로메다에 태양급 별이 1조개라는데 어휴

  • @vertrag007
    @vertrag007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아직 빛이 현역이긴 하네 저런 거리에서 달려오는데 7000년밖에 안걸리네 ㅋㅋ

  • @Tg_Valentina_Kim
    @Tg_Valentina_Kim Жыл бұрын

    헤으응... 창조의 기둥...

  • @user-ut2tp2es4k
    @user-ut2tp2es4k Жыл бұрын

    우주얘기하면 하도 몇만광년, 몇억광년 하는데 창조의 기둥 붕괴가 3백만년 남았다니깐 왠지 짧은거같아 뭔가 아쉬움ㅋㅋㅋㅋ3백만년이면 난 일백번 고쳐죽고도 흔적도 없을텐데

  • @Philaias
    @Philaias Жыл бұрын

    인간을 창조할 수 있는 우리 몸에 달린 하나의 기둥

  • @user-nw1wb9ju6o
    @user-nw1wb9ju6o Жыл бұрын

    부처님의 환생 점점 사실임이 드러나는구나

  • @user-imimim
    @user-imimim Жыл бұрын

    7000년 전의 빛이 관찰되고 있고 6000년 전에 폭팔이 있다고 했는데 그럼 아직 1000년의 시간이 남았는데 20년이 지났다고 그 폭팔의 모습이 보이겠어요? 또 20년 동안 움직인 성운 이랑은 폭팔이 휩쓸고 간거랑 상관이 없는데 그걸 왜 근거로 대시지 이해거 안가네요.

  • @user-jr5fd5le4w
    @user-jr5fd5le4w Жыл бұрын

    몇억 몇백억 몇천억 무한시간 전에 것을 이제 보는거다. 본인에 눈에 흙이나 불들어 가면 그때까지 만 볼수가 있지

  • @user-mi3cv5fr7v
    @user-mi3cv5fr7v Жыл бұрын

    창조의 기둥이라.... 음... 그런 표현 보다는 더 직관적으로 비슷하게 생긴개...있.. 읍!!읍!!!!

  • @user-ip8ep4tk2s
    @user-ip8ep4tk2s Жыл бұрын

    내꺼처럼 우람하군

  • @hsjsjnau
    @hsjsjnau Жыл бұрын

    제목 파괘불편....

  • @skel9835
    @skel9835 Жыл бұрын

    1000년 뒤에 없어지는게 보인다면서 지금 20년 관찰해서 조금 움직였다고 1000년 뒤에 없어지는게 아니라는건 무슨 소리지 하늘에 구름 찍은다음에 20초 뒤에 사진 또 찍고 자 아주 조금밖에 안움직였죠 이 구름이 몇시간 뒤 사라진다는건 거짓입니다 하는거랑 같은거잖음

  • @user-imimim

    @user-imimim

    Жыл бұрын

    근거가 합당하지 않음

  • @user-as6974
    @user-as6974 Жыл бұрын

    우주의 모든 비밀을 알고 다음날 사망 (지구의 과거 현재 미래 다 알수있음) 다만 발설하지 못함 vs 그냥 살기

  • @blesim6491

    @blesim6491

    Жыл бұрын

    가만있어그냥..

  • @user-ec7tv6gs6u
    @user-ec7tv6gs6u Жыл бұрын

    난 성운 사진만 보면 소름끼치면서 무섭더라 ..

  • @sjrnfl1914
    @sjrnfl1914 Жыл бұрын

    님들 저거 은하나 은하가 모인게 아니아 예를 들자면 안개나 연기같은게 저런 형태로있는거임?

  • @user-zl6bd5id7n
    @user-zl6bd5id7n Жыл бұрын

    아우솔이 실제로 있었어

  • @ohmytrance
    @ohmytrance Жыл бұрын

    반드시 반중력을 제어해서 음의질량 비행체를 구현해서 광속을 돌파해야한다

  • @user-ph8xc6ru8p

    @user-ph8xc6ru8p

    Жыл бұрын

    응 판타지야~ 음의 질량ㅋㅋㅋㅋ

  • @ohmytrance

    @ohmytrance

    Жыл бұрын

    @@user-ph8xc6ru8p 딱히 허무맹랑한 얘기도아님 이동관성과 중력은 정확히 일치해서 일치할 이유도 없는데 중력을 제어하면 이동을 제어할 수 잇다는 힌트?

  • @Orange_77

    @Orange_77

    Жыл бұрын

    안타깝게도 광속돌파는 불가능합니다.

  • @Orange_77

    @Orange_77

    Жыл бұрын

    @@burger_king_kr 음... 광속을 우리가 돌파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으로는, 광속 불변 등의 법칙은 시간상에서 깨어져도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빛의 전파" 가 하나의 물리 법칙이 아니여야 합니다. 만약 빛의 전파가 물리 법칙이 맞다면 특수, 일반 상대성 이론의 논리에서 우리는 절대 광속을 넘어설 수 없습니다. 모든 현재의 진리가 뒤집어질 것이라 생각하는 것은 상당히 흐릿한 생각입니다. 비수학적인 현상학은 모든것이 뒤집어질 큰 확률이 있겠지만, 충분한 수학적 근거를 가진 현대의 물리 이론은 뒤집어지기 매우 힘듭니다. 설령 일어난다 하더라도 하위 이론으로 들어간다거나 하는 정도일 것입니다.

  • @bacw5352

    @bacw5352

    Жыл бұрын

    @@burger_king_kr 뭔소리야ㅋㅋㅋ지금 진리라고 믿는것들 때문에 님이 핸드폰도 볼수 있는거임.. 과학 아니었음 아무것도 못함 이 사실들은 몇천년이 지나도 절대 바뀌지 않음 새로운걸 발견하는 거겠지ㅋ

  • @lithium--ion
    @lithium--ion Жыл бұрын

    2.5메가픽셀은 250만 화소고 그건 그리 대단한 크기는 아닌데.. 아이폰도 12메가픽셀 입니다

  • @devchan1
    @devchan1 Жыл бұрын

    최근사진은 뭔가 별이 엄청 많이 찍혀서 징그럽네요 ㅋㅋ 허블로 찍은 게 더 멋진듯

  • @alsid_
    @alsid_ Жыл бұрын

    일단 창조의 기둥이 불려나갔다는 썰 자체부터 이해하기 어려운데요... 찾아본 결과를 적어보겠습니다. (맨 밑에 요약본이 있는데, 요약해도 길어서 다섯줄 나옵니다.) 일단 우리가 창조의 기둥을 보고있는 시점 기준 1000~2000년 전쯤, 아마도 수십 광년 더 떨어진 곳에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났다고 가정해봅시다. 초신성 폭발의 강력한 빛은 고작 수십년이 지난 뒤 창조의 기둥을 꿰뚫고 지나갔을겁니다. 이때 달궈진 먼지들이 적외선을 방출하며 꾸준히 식게 됩니다. 예전 연구팀이 발견한 적외선 패턴은 그런 상황에서 초신성 폭발의 빛을 맞고 1000~2000년 정도 식은 상황이라야 설명이 가능하고, 당장 보이는 천체들로는 설명이 안되었던 것이죠. 여기서 그 가상의 초신성의 빛은 진작에 지나갔지만, 그 잔해물들이 수십 광년을 건너 창조의 기둥까지 도달하려면 2000~3000년 정도 걸린다는 것입니다. 즉, 창조의 기둥에 가려져 안보이긴 하지만, 게 성운 같은 초신성 폭발의 잔해가 그 뒤편에서 현재 무럭무럭 자라고 있는 중이라는 가설이지요. 위 가설이 맞다면, 이제부터 1000여년 간 인류는 창조의 기둥 뒤편에서 성장하는 초신성의 잔해를 발견하게 될 것이고, 그렇게 성장하는 초신성의 잔해가 창조의 기둥을 박살내 흡수하면서 커가는 과정을 목격하게 될 것입니다. 그 과정에서 항성들도 몇 개 급탄생 하겠구요. 그런데 이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찾아낸 두가지 결과로 인하여 확실하게 반박되었습니다. 첫번째는 창조의 기둥을 반투명화 하여 그 너머를 볼 수 있는 제임스 웹의 성능으로 초신성 잔해 같은건 없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지요. 두번째는 압도적인 해상도로 살펴볼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하여 정말 갓 태어나는 중인 항성을 찾아내었고, 그 뒤엔 영상에도 나오듯이 그 항성에 의해 달궈진 먼지 구름이 방출하는 적외선으로 예전 의문의 적외선 신호를 설명할 수 있게 된 것이지요. 그리하여 이젠 초신성의 빛을 맞은 먼지구름으로 해석되던 적외선 신호는 다른 방식으로 재해석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보이진 않지만, 이제 막 항성이 탄생했다는 신호를 예전 스피처가 발견한 적외선 신호 패턴을 통해 알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요약본 옛날 스피처가 창조의 기둥에서 이상한 적외선 신호를 포착했다. 그 신호는 창조의 기둥 및 그 주변에 보이는 천체로는 설명할 수 없었다. 그래서 천문학자들이 가상의 초신성 폭발을 도입하자 설명이 가능해졌다. 그런데 그 가설이 맞다면, 이어지는 결과는 창조의 기둥이 쓸려나가는 것이었다. 결국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그 이상한 적외선 신호의 원인이 갓 태어난 항성임을 밝혀내었다.

  • @user-et6ph3eo3v
    @user-et6ph3eo3v Жыл бұрын

    생긴게…ㅋㅋㅋㅋㅋㅋ

  • @user-de3th7gj3g
    @user-de3th7gj3g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그빛이지금보고있는빛이라네 ㅋㅋㅋㅋ웃기네 지금계산이라면빛이1광년인데 ㅋㅋㅋ그걸괜축?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우리가 아니다 지구가 먼지버다 입자로 변할때요먼개소리여

  • @STEVEJOVS
    @STEVEJOVS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만, 결론은 현재 창조의기둥의 존재 유무는 관측불가능한 것 아닌지요? 아무리 관측기술이 발달하고 정밀한 관측이 가능해졌다 하더라도 결국 관측가능한 창조의기둥은 7천년 전 창조의기둥일 뿐이지요. 그 사이 초신성폭발이 있어 현재 창조의기둥이 없더라도 우리는 초신성폭발도, 현재 독수리자리의 소멸한 창조의기둥도 관측불가능하다고 해석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당장 내일이라도 창조의기둥 뒤편 독수리자리 어딘가에서 초신성폭발이 일어나 이미 흐트러지기 시작한 창조의기둥이 관측될 수 있지 않나요?

  • @despot37
    @despot37 Жыл бұрын

    이런걸 보면 인간이란 존재는 참 개미보다도 못하는것 같다.

  • @user-bi3nc7ky5c
    @user-bi3nc7ky5c Жыл бұрын

    아 진짜 파 괘는 좀 고쳐주시면 안됩니까 진짜 개불편한데

  • @BOODAMS
    @BOODAMS Жыл бұрын

    무려 2.5 메가픽셀이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younghwangbo6198
    @younghwangbo6198 Жыл бұрын

    삼백만년 뒤에 흩어질 예정.

  • @eLl886
    @eLl886 Жыл бұрын

    너무... 꽈추같이생김.....

  • @moemoekyoong
    @moemoekyoong Жыл бұрын

    브금이 너무 안 어울려욬ㅋㅋㅋㅋ

  • @user-no6yt5mz3e
    @user-no6yt5mz3e Жыл бұрын

    하나 물어나 봅시다 뭘 근거로 빛이 과거의 빛이라고 말 하나요? 그럼 태양계에 있는 태양도 과거에서 오는 빛이고 달은 태양으로 부터 반사로 오는 빛도 과거고 그럼 1키로 떨어진 빛도 과거라는거네요 과거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무에서 시작을 해서 유로 변 했는데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정답입니다 😊 태양빛 달빛 발가락에 반사된 빛 다 미세하게 과거 빛입니다

  • @user-ec8tx2tx6e

    @user-ec8tx2tx6e

    Жыл бұрын

    반사되서 눈에 들어온 거니 죄다 과거의 빛 맞습니다. 빛이 이동하는데 시간이 걸리니까요. 그리고 무에서 유는 안 나옵니다.

  • @user-no6yt5mz3e

    @user-no6yt5mz3e

    Жыл бұрын

    앗 그 점은 죄송 합니다 ㅎㅎ

  • @user-no6yt5mz3e

    @user-no6yt5mz3e

    Жыл бұрын

    우주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구독 눌렀어요 너무 유익한 내용입니다 ㅎㅎ짱앙

  • @TangoAlphaLima300

    @TangoAlphaLima300

    Жыл бұрын

    태양빛=약 5분전의 빛 달빛=약 1~2초 과거의 빛 1키로 떨어진 빛 = 약 0.000003초 과거의 빛

  • @JenOh_daemon
    @JenOh_daemon Жыл бұрын

    광년...1광년=태양과 지구 거리. 100광년 이라면 우리가 100년전 있던 행성을 보는것 으로 이해가능 창조의 기둥 7000광년전 7000광년=7000년 고로 7000년이 지난다면 1995년도 기준 5005년도 남음 2022기준으로 4978년 남았다 4978년뒤 7000년이 된다면 더이상 관측이 안될수도 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잘못 생각한걸수도 있지만...

  • @claid4919
    @claid4919 Жыл бұрын

    설명을 보고 의문이 들어서 다는건데...... 창조의 기둥과 지구의 거리 7천만년. 고로 우리는 7천만년전의 모습을 보고있는것이다. 가설의 경우 6천만년전에 초신성폭발이 일어났다. 그리고 창조의 기둥은 사라졌다. 그럼 여기서 천만년 정도의 갭이생기 잖아요? 처음 저런말이 나왔을때, 부터라고 쳐도 아직 천만년이 흐른게 아닌이상 확인이 불가능한게 정상아님? 왜냐하면 지금 보고있는건 7천만년전의 모습이니 초신성폭발의 흔적이 관측안되는게 당연한거고...... 천만년이 흐른 후에나 확인되는 것아닌가요?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 게 바로 그 부분입니다. 우선 정정부터 하겠습니다. 영상에서 언급했듯이 창조의 기둥까지 거리는 '7천만'광년이 아니라 '7천'광년입니다. 기존의 가설도 초신성 폭발이'6천만'년 전이 아니라 '6천년' 전에 있었다는 가설이었습니다. (거리와 시점을 곱하기 만 배 하셔서 잘못 오해하고 계셔서 정정해드립니다.) 더불어, 초신성 폭발로 인해 가스 구름이 불려나간다 하더라도, 그 역시 오랜 세월에 걸쳐 진행됩니다. 폭발하자마자 곧바로 슝 하고 다 불려나가는게 아니라, 초신성 폭발의 충격파 역시 아주 긴 세월에 걸쳐 퍼져나갑니다. 만약 기존의 가설, 즉 이미 오래전에 초신성 폭발로 불려나갔다는 가설이 사실이라면, 7천 광년 거리에 있는 지구에서 봤을 때는 7천년 전 서서히 충격파로 인해 수천 년에 걸쳐 불려나가고 있는 중간 과정이 관측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실제 관측된 모습을 보니, 수천년에 걸쳐 불려나가는게 아니라 훨씬 더~~ 느린 수십/수백만년에 걸쳐 불려나가는 모습으로 관측됩니다. 즉 7천 광년 거리에 있어서, 7천년 전의 모습을 뒤늦게 보고 있다는 걸 감안하더라도, 초신성 폭발의 충격파 때문이라고 보기엔 너무 지나치게 느리게 먼지 기둥이 불려나가고 있습니다.

  • @claid4919

    @claid4919

    Жыл бұрын

    @@wz_mz 음 천을 천만으로 잘못적었군요. 그것을 빼면 같은 내용입니다만... 7천년 전의 모습을 보고있고 6천년전에 초신성 폭발이 일어나서 충격파가 덮쳤고 사라졌다. 라는 걸텐데..... 지금 우리가 관측하는 것은 7천년전의 모습이구요. 그러니 우리가 보고있는 7천년전의 모습에선 충격파가 덮치지 않았다는 것이죠. 말씀하신것과 같이 충격파 때문에 빠르게 퍼지는게 관측되려면 천년이 지난 후에야 관측되는게 맞지 않나 하는거죠. 왜냐하면 7천광년 떨어져있고 현재는 7천년전의 모습을 보는것이잖아요? 성운의 입장으로 보자면 우리는 충격파가 덮치기 천년전의 모습을 보는 것이구요. 성운의 입장에선 과거이지만 우리의 입장에선 천년후의 미래인것이죠. 영상에서 지금으로부터 6천년전이라고 표현을 한것으로 봤을때 천년후의 미래로 봐야하는것이아닌가 하는것이죠.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claid4919 7천광년 거리에 있으니 7천년 전의 모습으로 보여야합니다. 맞습니다. 다만, 계속 말씀드리지만 초신성 충격파로 인해 불려나가는 과정이 순식간에 벌어지는게 아닙니다. 이 역시 수천년에 걸쳐 천천히 벌어지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만약 기존의 초신성으로 인한 파괴 가설이 맞다면, 먼지 기둥이 실제론 이미 없어졌겠지만, 7천년 전의 모습을 뒤늦게 보게될 지구에서는 한창 서서히 붕괴되어가는 중간 과정으로 관측되어야하는게 맞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실제 추가 관측을 해본 결과, 7천년 전의 모습을 보고 있다는 걸 감안하더라도, 초신성 충격파로 불려나가고 있다기엔 한참 모자란 더 느린 속도로 먼지 기둥이 움직인다는 겁니다. 이는 7천년 전의 모습을 뒤늦게 보는 걸 감안하더라도, 비교적 빠르게 불려나가는 중간 과정을 보는게 아니라. 훨씬 더 느리게 불려나가는 전혀 다른 메커니즘의 중간 과정을 보고 있다는 뜻입니다.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claid4919 지금 착각하고 계신 가장 큰 원인은, 초신성 폭발로 인해 먼지 기둥이 무너지기까지의 전 과정을 마치 순식간에 팡! 하고 먼지 기둥이 곧바로 흩어져버리는 순간적인 현상처럼 인식하고 계시다는 겁니다.

  • @claid4919

    @claid4919

    Жыл бұрын

    @@wz_mz 지금 이야기하시는 것은 8~9천년전의 초신성폭발로 퍼지는 것을 이야기하는건가요? 그것과 6천년전에 독수리성운이 충격파에 당했을것이다 라는것을 이야기하는것인가요? 저는 이것에 관한 내용은 모르며 영상의 내용만을 가지고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영상에서 8~9천년전에 초신성이 폭발하여 팽창을 하였고 지금으로부터 6천년전 그러니까 폭발이 일어나고 2~3천년이 흐른 후에야 충격파가 덮쳤다는 건가요? 영상을 보고 제가 이해한건 8~9천년전 초신성이 폭발하면서 독수리 성운이 만들어졌고 이후 다른 초신성의 폭발 충격파가 지금으로부터 6천년전에 독수리성운을 덮쳤다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만...... 댓글을 다시는것으로 보았을떄 "7천년 전의 모습을 보고 있다는 걸 감안하더라도, 초신성 충격파로 불려나가고 있다기엔 한참 모자란 더 느린 속도로 먼지 기둥이 움직인다는 겁니다. " 라고 달은 내용대로라면 지금 퍼져나가는 속도가 충격파로 인해 퍼져나가는 속도보다 훨씬 느리다이죠? 그래서 충격파가 독수리 성운에 도달한 것은 6천년전이고 지금 우리가 보는 것은 7천년전이다라는것이죠. 말하신 충격파는 아직 도달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7천년전 모습(우리가 보는모습) = 현재 , 6천년전 모습(충격파가 덮쳤다는 시기) = 천년후 미래. "지금 착각하고 계신 가장 큰 원인은, 초신성 폭발로 인해 먼지 기둥이 무너지기까지의 전 과정을 마치 순식간에 팡! 하고 먼지 기둥이 곧바로 흩어져버리는 순간적인 현상처럼 인식하고 계시다는 겁니다." 제가 착각하는것이 아닌 영상에 분명하게...... 성운이 존재를 하고있고 6천년전에 충격파가 덮쳤다. 라고 영상으로 만들어 보여주셨잖아요? 영상에서는 충격파가 덮치고 성운이 빠르게 흩어지는 모습으로 되어있습니다. (2:13초의 내용입니다.)

  • @mersma
    @mersma Жыл бұрын

    뭔가 내가 이해력이 상당히 부족한가보다. 7천년전 과거의 모습을 보고있기에 당장의 모습은 알기 힘들다. 근데 20년간의 관측데이터를 보고판단했을때 창조의기둥이 파괴됬을 가능성은 전무하다. 근데 창조의기둥이 파괴되었을거라 추측되는건 최소 천년후에나 관측이 가능하다. ....그럼 당장 관측되는건 7천년전 데이터니 당연히 파괴전 데이터 아닌가요? 파괴의 모습이 보이기도 전의 빛을 보고 데이터를뽑고있는데 그게 파괴설에 정확히 반증하는 데이터가 된다는게 이해가 잘 안되네요. 현재 7천년전의 창조의 기둥을 보고있고 최소 천년후에나 초신성이 폭발해서 창조의 기둥에 영향을주었을것이라 판단 되는 상태인데 당장 관측해봐야 천년이라는 긴 시간의 텀이있어서 당연히 창조의기둥이 아무런 타격도없는 상태 아닌가 싶은데. 좀 짧게 비유하자면 관측까지 1시간거리의 건물이있는데 지진으로 크게 손상을 입었고 근처 사람들이 저 건물크게 손상된듯? 했더니 10분간 관측한 결과 손상이전혀없었다 라고 말하는 느낌이라서 뭔가 묘하네요. 뭐 아무튼 과학자들이 관측해서 낸 결과이니 제가 이해를 잘못한거겠죠.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20년 사이 관측을 통해 창조의 기둥이 파괴되는 속도를 알 수 있습니다. 물론 7천년 뒤늦게 날아온 7천년 전 당시의 파괴 속도죠. 그런데 그걸 감안하더라도, 이미 파괴되었다고 보기엔 한참 느린 속도라는 걸 발견했습니다. 😊

  • @user-qm9lv9wt8o

    @user-qm9lv9wt8o

    Жыл бұрын

    @@wz_mz 다큐에서 천문학자가 그렇게 말하기에 철썩 같이 믿었는데 제임스웹이 가동하고 관측하면서 파괴 되지 않았을거란걸 더 확신 했다는거네요

  • @user-by6qy1bs4z

    @user-by6qy1bs4z

    Жыл бұрын

    저도 머스마님이랑 같이 이해를 했는데요 ㅎ 지금 우리가 보고있는건 7천 전의 창조의 기둥이죠.. 이때는 파괴되지 않았으니 관측을 여러번 해도 모습의 변화가 거의 없는거고.. 지구시점에는 1000년정도는 더 지나야 초신성폭발에 영향을 받은 창조의 기둥을 관찰할 수 있는것 아닌가요? 초신성폭발에 휘말려 창조의 기둥이 사라졌던 안사라졌던 지금 우리는 알수있는 방법이 없지 않나요?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user-by6qy1bs4z 기존의 파괴설 주장이 맞다면 말씀하신 것처럼, 지구까지의 거리 때문에 아직은 지구에서 파괴 순간을 볼 수는 없고 천년 뒤에 그 파괴 장면을 보게 됩니다. 하지만 영상에서 설명드렸듯이, 최근의 분석에 따르면 창조의 기둥은 7천년 전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그 때 기준 3백만년은 더 잘 서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즉 거리로 인해 7천 년 전의 모습을 보고 있다는 걸 고려하더라도, 창조의 기둥이 무너지기까진 한참 많은 시간이 남아있다는 게 중요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우린 지구의 하늘에서 창조의 기둥이 부서지는 모습을 천년뒤에 보게 되는 것이 아니라, 300만 7천년 뒤에나 보게 된다는 뜻입니다.

  • @ABC-DoReMi

    @ABC-DoReMi

    Жыл бұрын

    간단히 설명하면 최초 허블망원경이 찍은 사진을 보고 근처에서 초신성 폭발이 있었다고 판단한 과학자들이 있었고, 초신성 폭발이 있었다면 그 영향으로 천년 후에는 창조의 기둥이 사라졌을거라는 주장이 있었어요. 그렇지만 이후 허블, 스피처의 관측자료와 최근 제임스 웹의 관측자료를 보면 창조의 기둥 근처에서 초신성 폭발은 없었다는 것이 확실해졌죠. 따라서 초신성 폭발의 영향으로 창조의 기둥이 사라졌다는 주장은 틀린 주장이고, 지금 추세대로 창조의 기둥이 흩어진다면 완전히 사라지는데 수백만년이 걸린다는 내용이에요.

  • @hkyboxer
    @hkyboxer Жыл бұрын

    창조의 기둥이 변경하는 걸 관측하기 전 우리 인류는 이미 멸망하고 없을 것이다.

  • @welcome1656
    @welcome1656 Жыл бұрын

    파괘라는말은 2011년 말부터 인터넷에서 간혹 볼 수 있는 유행어+오타체 파괴가 맞는 말입니다. 파괘란건 없습니다

  • @user-ph8xc6ru8p

    @user-ph8xc6ru8p

    Жыл бұрын

    멍청ㅋㅋㅋㅋ 댁이 지적하는 파괘 앞에 써있는 파괴설은 눈에 안보임? 딱봐도 일부러 쓴건데 그걸 지적하고 앉았네~

  • @전자기기

    @전자기기

    Жыл бұрын

    당연히 알고 쓰는거죠...

  • @NfK

    @NfK

    Жыл бұрын

    원래 저런 말투에는 맞춤법 틀려주는게 원칙입니다ㅋㅋㅋㅋㅋ 자매품으로 폭.팔.한.다. 도 있습니다

  • @user-zw5id3rt7g
    @user-zw5id3rt7g Жыл бұрын

    7천광년 떨어져잇는걸 겨우 몇십년 지났다고 안 찍히겟냐.

  • @user-zo9dw1df5h
    @user-zo9dw1df5h Жыл бұрын

    아 이게 창조의기둥이구나 난 오빠의기둥인줄....

  • @user-qy1pc3mo4l
    @user-qy1pc3mo4l Жыл бұрын

    우주 과학자 할만하네 아무말 대잔치 ㅋ

  • @user-xt5hj6zh8m
    @user-xt5hj6zh8m Жыл бұрын

    저 창조의 기둥은 어디서 기인하죠 ? 저게 옛날배웠던 말머리 성운이죠?

  • @user-yl1ur7ky3h
    @user-yl1ur7ky3h Жыл бұрын

    고추가 달려있어

  • @user-gz9bd9gi7g
    @user-gz9bd9gi7g Жыл бұрын

    유사과학자것들의짓 ㅋㅋ

  • @amgulwang
    @amgulwang Жыл бұрын

    수백안년후 인간은 없다

  • @tagaby
    @tagaby Жыл бұрын

    중국 : 먼지 기둥 멋지다해. made in china 먼지 기둥 만들겠다해. 미세 먼지 기둥이다해.

  • @user-kb3qn8dg9h
    @user-kb3qn8dg9h Жыл бұрын

    1억 광년전이라 하면 지구의 년으로 몇년으로 계산하면 맞는지요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똑같이 1억 년 전입니다

  • @user-kb3qn8dg9h

    @user-kb3qn8dg9h

    Жыл бұрын

    @@wz_mz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