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퇴하는 대학생들

#경상국립대 #자퇴 #대학
#진주 #뉴스
#진주시_사천시_하동군_남해군_산청군_함양군 #뉴스

Пікірлер: 6 100

  • @user-ft4qw8et2z
    @user-ft4qw8et2z Жыл бұрын

    딱 이거임 고딩때는 대학가면 그냥 다 끝난줄알아서 성적맞춰 관심고없는 과에 입학함 그렇기 입학하니 자기가 하고싶은건 뭔지 모르고 성적맞춰오니 자기가 하고싶은 공부도 못하고 대학만 가면 끝일줄 알았는데 이제 시작이니 방황이 오는거임. 고딩때부터 아 난 저 과에 가서 저런 공부를 하고싶다! 란 소수의 애들 빼고

  • @user-cg2qt5hy5m

    @user-cg2qt5hy5m

    Жыл бұрын

    지금 내가 딱 그 상태. 진짜 자퇴 오지게 하고 싶음

  • @user-xe7qi2gd8i

    @user-xe7qi2gd8i

    Жыл бұрын

    @@user-cg2qt5hy5m 난이미함

  • @2BeABetterMan

    @2BeABetterMan

    Жыл бұрын

    그래서 학종 제도가 있는거지 ㅋㅋ

  • @user-pq5yu4hm9d

    @user-pq5yu4hm9d

    Жыл бұрын

    난 철도학과 가고싶음

  • @ZiralNo

    @ZiralNo

    Жыл бұрын

    정답이다

  • @xyzweb21
    @xyzweb21 Жыл бұрын

    취업하기 위한 대학이 과연 필요한가? 라는 질문이 먼저이지 않을까?

  • @hayan_nonggoh

    @hayan_nonggoh

    Жыл бұрын

    그러나 이 나이때 애매한 공부를 하면 대학이 필요한게 느껴집니다. 그러나 저와 같이 애매한 애들은 대학 졸업해도.... 취업이...

  • @user-rq2gu5vu2i

    @user-rq2gu5vu2i

    Жыл бұрын

    같은 생각입니다. 취업이 목적이라면 직업학교가 많아져야하는게 아닌가 싶어요.

  • @user-yx5qs6xg5n

    @user-yx5qs6xg5n

    Жыл бұрын

    전문적인 영역이라던가 대졸만 뽑는 공고에 들어가기 위해 대학 가는 거지. 전문적인 영역은 아무래도 경력자 위주 또는 석박사 위주로 뽑고 대졸은 주로 대기업에서 많이 뽑음. 중소기업 대부분은 고졸 뽑음.

  • @kts1631

    @kts1631

    Жыл бұрын

    연봉많이 받을려면 대학은 필수임 우리나라에서 대졸과 전졸 고졸은 연봉은 엄청 차이남

  • @user-syu4

    @user-syu4

    Жыл бұрын

    그냥 개발자공부해서 취업노선타는게 더 나은 선택일 수 도 있지 않을까요~; 아님 기타 전문직이나 기술 또는 기능직도 ㄷㄷㄷ 지금 모두들 지식은 많은데 경험이 아쉬운 시대에 살고 있는 듯한 ㅠ

  • @user-pd5qt2bq6w
    @user-pd5qt2bq6w Жыл бұрын

    나는 너무 부러운 사람들이 일찍이 어릴때부터 자기 적성을 깨닫고 그 길로 가는 사람들임… 청소년기에 정말 아무 생각없이 시키는 것만 하고, 별 생각 없이 성적에 맞춰 대학 오고 과 선택하고 그 계열로 취직까지 했는데… 성인의 내가 알아서 적응하고 살아가겠지 하며 아무생각없이 살았던 과거의 내가 너무 불쌍함…

  • @user-sm7sy6bv8v

    @user-sm7sy6bv8v

    Жыл бұрын

    진심 내가 쓴건줄...

  • @user-jl2bh1lw6r

    @user-jl2bh1lw6r

    2 ай бұрын

    진심 재가 쓴건줄...

  • @user-xi6ow8pv8q

    @user-xi6ow8pv8q

    2 ай бұрын

    근데 어려서 자기 적성이 뭔지 아는게 진짜 힘듬

  • @user-jy2os5jh9j

    @user-jy2os5jh9j

    Ай бұрын

    제가 그런사람인데요 딱히 그렇지만도않아요. 생각이 확고한대신 한정적인 길에서 미끄러지면 스트레스 엄청 받아요. 그 길이 아니면 다른 선택을 하는것도 불가능하고. 특히 저는 예술계통이라 개고생했어요. 반대로 제 부모님이 님같은 분이신데, 저보다 항상 행복하세요. 그냥 인생 대충 사시며 즐기시는데 참 편해보여요. 저는 죽을때까지 여기 붙들려 살아야하거든요. 누가 시킨것도 아니고 제 스스로 선택해서. 물론 저는 저대로 만족하기는 해요. 인생이란게 그렇죠

  • @hyznloco4641

    @hyznloco4641

    Ай бұрын

    그런사람 없어

  • @feridbathory7280
    @feridbathory7280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때부터 명확하게 "나는 이 과에 가서 이런 공부를 하겠다" 라던지 이런식으로 미래 설계가 돼 있어서 그걸 목표로 잡고 대학과 학부 전부를 맞춰서 간 학생이면 그런 비율이 적겠지만 안타깝게도 그냥 어느 과인지 관심없고 그냥 점수맞춰서 가는 학생들이 적지 않아서 이런 문제가 더 늘어나는듯. 대학 그 자체가 학부보다 훨씬 더 중요해진 대한민국의 현실임. 전공보다 대학을 노림;;

  • @sjwon

    @sjwon

    2 ай бұрын

    공대 가보면 기계,전기전자 장치 한번도 만져보지 않은 학생들도 있슴

  • @DG_Seo

    @DG_Seo

    Ай бұрын

    @@sjwon 공학을 공부하는데 장치를 만져본 경험이 중요한가? 난 반대임. 공학자와 기술자는 다름. 오히려 공학적 사고가 풍부해진 후에 대학에서 이론이 접목된 장치를 보고 이해를 하는게 나쁘지 않다고 봄. 이학/공학/기술 의 요구하는 영역은 다르기에 공대애들이 공업고 교육방식을 경험할 필요는 없음

  • @CHLee-dm1kg

    @CHLee-dm1kg

    Ай бұрын

    성적 맞춰서 간판 달려고 가는거라 그렇게 원대하게 설계를 못함...

  • @flomuda
    @flomuda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공부도 힘들고 졸업해도 취업을 할 수 있는지 의문인데 계속 다니기 보다는 자신이 하고싶은걸 하는게 맞는듯

  • @corona__virus

    @corona__virus

    Жыл бұрын

    자기가하고싶은것보단 코딩배우는게 더 나을거라고 생각됩니다

  • @user-kk9eb3rn5b

    @user-kk9eb3rn5b

    Жыл бұрын

    @@corona__virus 코드몽키로 전락해서 인생 ㅈ됩니다

  • @user-pi5bt3nh2b

    @user-pi5bt3nh2b

    Жыл бұрын

    @@user-kk9eb3rn5b 헉

  • @user-se8by9yu4q

    @user-se8by9yu4q

    Жыл бұрын

    @@zz-ux2tf 다 생각없이 살지는 않음 하고 싶은 분야는 많고 할 수 있는 분야는 널리고 널림

  • @Jack-jb3tc

    @Jack-jb3tc

    Жыл бұрын

    대학보다 직업훈련학교 6개월 과정이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자기가 하고 싶은거 하셈.

  • @user-yl2yz3sy1y
    @user-yl2yz3sy1y Жыл бұрын

    젊은 세대가 똑똑해지고 잇는게 느껴지네. 대학은 졸업하라고 부모들이 얘기할텐데 자퇴를 하는 선택을 하는걸보면

  • @user-ch6jp5hz1p

    @user-ch6jp5hz1p

    Жыл бұрын

    자녀를 수용해주는 부모님들이 똑똑한거죠 오히려 지금 부모세대가 기성세대랑은 달라지는중인거

  • @Saramsalyeo

    @Saramsalyeo

    Жыл бұрын

    더 좋은대학 가려고 자퇴히는 건데 부모라면 지원해준다는 입장이 대부분 아닌가..?

  • @fpelgo12

    @fpelgo12

    Жыл бұрын

    더 좋은대 갈려고 자퇴하는건데?..

  • @stanleydan9159

    @stanleydan9159

    Жыл бұрын

    요즘엔 부모들이 별로 가라고 안합니다..

  • @Saramsalyeo

    @Saramsalyeo

    Жыл бұрын

    @@stanleydan9159 글쎄요? 공부에 연이 없었던 애들은 간혹 부모도 학위취득에 회의적이지만 입시를 준비하는 인문자연계라면 적어도 '어느정도의 대학은 나와야지' 라고 생각하는게 태반 아닌가요. 솔까 대학을 가라고 말을 안하는 건 안가는게 아니라 못 가는 애들한테 해당하기 때문에..ㅋㅋ

  • @user-zt3vm2nq2x
    @user-zt3vm2nq2x12 күн бұрын

    교육개혁이 필요하지만 자기 밥그릇 싸움이기 때문에 아무도 움직이지 않아 학생들만 피해보고 있는거죠

  • @user-lo5iz4dv6b
    @user-lo5iz4dv6b Жыл бұрын

    40넘은 나이에 이직 때문에 꼭 필요해서 대학 갔는데 나는 내가 이렇게 공부를 좋아하고 잘 할줄 몰랐지..올해 평점 4.2로 졸업합니다. 대학은 꼭 필요한 사람만, 공부할 사람만 가는 사회가 되면 좋겠습니다. 아.가지말란 말은 아닙니다.

  • @user-ry1fr4eg6j

    @user-ry1fr4eg6j

    Жыл бұрын

    존경스럽습니다. 공부는 진짜 평생동안 원한 방향으로 해야합니다.

  • @user-is6tl5zq9m

    @user-is6tl5zq9m

    Ай бұрын

    야간 대학인가여? 아무래도 직장인이실 테니깐…

  • @user-kj7gv9ks4r

    @user-kj7gv9ks4r

    Ай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근데 45되면 회사에서 나가라고 함 ㅜㅜ

  • @pp011le9

    @pp011le9

    22 күн бұрын

    자랑질이야 팍씨

  • @user-oz7xl9ye3d
    @user-oz7xl9ye3d Жыл бұрын

    나도 성적에 맞춰 대학에 왔지만 그 전까지만 해도 그 길이 유일한 답이라고 믿어왔음 근데 학교 다니면서 알바 여러 번 하고 느낀 것은 세상에 직업은 다양하고 내 생각이 꼭 정답은 아니구나 그걸 대학 다니면서 깨닫게 됨 나 뿐만 아닌 지금도 주변에 휴학이나 자퇴 후 앱을 개발하는 중이거나 워홀을 가거나 아님 창업하고 싶어서 배우러 간 친구들이 있는데 모두 대단하다고 생각함 주관이 있어도 행동하기는 어려운 일이라 더 그렇게 느껴지는듯

  • @user-pc7hn1yi7l

    @user-pc7hn1yi7l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보통 군대갔다온 남자들이 휴학하거나 자퇴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저도 그런 생각이 많이 들고 있었요

  • @user-jb3em4gs6q

    @user-jb3em4gs6q

    Жыл бұрын

    저는 대학이 하고 싶은 일을 발목 잡는 케이스에요. 고졸도 할 수 있는 일이거든요. 그래서 주변애서 '그럼 뭣허러 고생해서 대학 갔냐'며 저를 이상한 사람 취급해요. 그런데 님 글을 보고 용기를 다시 한 번 얻네요. 사회가 만든 틀을 깨고 제 주관대로 행동해보려고요.

  • @NewPurity

    @NewPurity

    Жыл бұрын

    멋지네

  • @user-th4wy3pl5o

    @user-th4wy3pl5o

    Жыл бұрын

    저는 대학 안 가면 부모님이랑 대립각 보이기도 하고 대학이 그렇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도 성적 맞춰 갔는데 미래를 파는 행위였죠 1학년 오티때 대학원 이야기 하고 대졸해서 갈 수 있는 곳 보니 현타가 오더라고요 굳이 이 전공을 해서 등록금과 시간 날려서 얻을 이점이 과연 뭔가 차라리 빠른 시기에 공시 붙는 것이 더욱 가성비 있고 더욱 나에게 맞지 않을까 이런 생각이 들어서 했는데 준비하는 과정에서 힘들기도 했지만 정말 행복했어요 대학 말고 갈 길이 있구나 하면서 괜히 어중간하게 살지 않아도 되겠다는 확신과 희망이 생겨서 매일 10시간 공부해서 올해 합격했고 입대 예정인데 다시 생각해도 정말 저에게 이런 기회가 있는 것이 감사하더라고요

  • @yohane_PARHELION

    @yohane_PARHELION

    Жыл бұрын

    @@user-th4wy3pl5o 과가 답없으면 전과하거나 대학 다시 가는거도 방법

  • @user-sv3mx7pz4n
    @user-sv3mx7pz4n Жыл бұрын

    점수맞춰 입학한 대학교 억지로 졸업해서 꾸역꾸역 30살까지 일하다가 제가 어릴때부터 꿈꿔왔던 그림작가 도전해보려고 합니다. 퇴근후 시간 활용해서 차근차근 공부하려구요. 하고싶은 일 하면서 살아도 된다고 말해주는 어른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 @user-qq1yb5rd1l

    @user-qq1yb5rd1l

    Жыл бұрын

    리스펙합니다

  • @yohane_PARHELION

    @yohane_PARHELION

    Жыл бұрын

    소희쫭 화이팅

  • @kms2490

    @kms2490

    Жыл бұрын

    @@gtl1686 맞긴해..ㄹㅇ 근데 재능이 오지게 있다면 생각해볼만 한듯 결국 그림은 재능99라고 본다.학원은 필수긴 하겠지만.갠적으로 노력은 당연하게 해야하는거고 그걸 했을때 따라가는 정도의 차가 재능이라고 봄

  • @juwonseong0312

    @juwonseong0312

    Жыл бұрын

    좋아하는 것도 재능이라고 생각해요. 파이팅하세요!!

  • @kms2490

    @kms2490

    Жыл бұрын

    @@juwonseong0312 그 말이맞지 관심의 정도도 중요한 재능인듯

  • @user-tl5hb8nj4p
    @user-tl5hb8nj4p Жыл бұрын

    수능치면 끝판왕 되는거 같았지만 대학가니 군대가 문제요 군대가서 고참되니 세상 무서울거 없다 생각하나 제대하고 복학해보니 먹고살 걱정부터 직장 잡으니 적응도 힘들고 결혼해보니 돈나갈일은 많고 집안행사는 왜이렇게 빨리 돌아오는지 자식낳을걱정 키울걱정 돈도 안모이는데 집살꿈에 저축과 대출을 해보지만 그마저도 쉽지않고 직장에서는 진급도 잘안되고 애는 언제 낳아야되는건지.. 수능끝나면 세상일이 퍼펙트 해질거라 생각했고 벤츠타고 다닐줄알알았는데 아반떼가 그렇게 비싼차인줄 몰랐다

  • @user-bf3tv9my4i
    @user-bf3tv9my4i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문제는 취미같은것도 쉽게 배울곳이 너무 한정된곳에만 몰려있고 배울곳이 많지가 않다는거임. 이번기회에 직업학교를 늘려줬으면 좋겠습니다.취미도 쉽게 취업공부도 쉽게 배울수있는 그런 곳으로 개발이 됬으면

  • @user-ck4sz5yn9g

    @user-ck4sz5yn9g

    Жыл бұрын

    그런 학교는 대한민국에 정말 많이 있습니다..문제는 중학교때 뭘 할지 몰라 일반고 가서 후회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지만요..

  • @user-48fk3kkd99

    @user-48fk3kkd99

    Жыл бұрын

    현재 있는 직업학교들부터 경쟁력 키워놓고나서 늘리던지 해야할걸요? 국비지원 이런거 취업률 80몇퍼 걸어놓고 그런거 실상을 알고나면 진짜 기가찹니다 나랏돈으로 학생들 꾸준하게 들어오니 굳이 더 높은 강의수준이나 취업연계지원으로 학생들 유치하려는 노력조차 없어요 취업률 80~90퍼? 졸업 후 몇년내 고용보험 가입되어 보험료 내고있으면 취업한걸로 간주하여 맥도날드 SK주유소 쿠팡 이런데서 알바해도 졸업생 취업현황에 들어가서 취업률 안나올수가 없으욬ㅋㅋㅋㅋㅋ 이딴것도 세금으로 계속 지원해주니 경쟁력 ㅈ도 없어서 대부분 진짜 취업목적으로 학원가는 사람들은 국비지원직업학교 믿고 거르고 사비100% 받는 그런데를 골라갑니다.. 저도 특정 자격증 취득하려고 그런 직업학교 졸업한 사람인데 정말 돈아깝고 시간아깝습니다 학생들 90%는 부모님이 강요해서 온것처럼 퍼질러 잠만자고 배울 생각도 없고 교수들도 가르칠 생각도 없고 전공관련 취업생은 1%에 꼽을까 말까하는 수준으로 아주 처참합니다

  • @hahahahaha7824
    @hahahahaha7824 Жыл бұрын

    이게 맞는거임. 대학은 다가는게 아님. 해외에서도 4년제 나와서 다시 직업 전문대 가는게 오래전부터 유행 탔는데 애초에 안가야될걸 간사람들이 많음.

  • @hahahahaha7824

    @hahahahaha7824

    Жыл бұрын

    @@user-ft4so6vd2h 직업으로 연결안되는 4년제 문과를 나온 경우 기술직, 직업으로 연결되는 전문대로 진학하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

  • @asdf_128

    @asdf_128

    Жыл бұрын

    @@hahahahaha7824 지금 우리나라도 문과나온 백수들이 코딩배운답시고 학원가죠 ㅎㅎ

  • @Camille0112

    @Camille0112

    Жыл бұрын

    @@user-ft4so6vd2h 많이가여 캐나다임

  • @Camille0112

    @Camille0112

    Жыл бұрын

    ​@@user-ft4so6vd2h 워터루 나왔는데요.. 많이 봤어요.

  • @UnknwonAnonymous

    @UnknwonAnonymous

    Жыл бұрын

    @@user-ft4so6vd2h 저는 SFU 나왔는데, UBC에 CST(Computer Systems Technology) major가 있나요? BCIT 2년제 코스는 들어봤어도 UBC Bsc (Bachelor's of science) Major는 CS(Computer Science) 밖에 없을건데. "? diploma 딴 사람들이 CC를 왜 감?? 이상한 헛소리하네" 이게 의심스러운게 보통 Diploma는 전문대 학위, 학부 학위는 Bachelor’s Degree라고 하고 캐나다 4년제 졸업생이 이걸 모를 수가 없거든요. 마지막으로 밴쿠버에 살면 특성화 대학인 BCIT에 대졸들이 얼마나 많은지 충분히 알 수 있는데 전문대에서 가장 급이 낮은 CC (community college)를 왜 가냐는 이상한 소리를 하네요

  • @bigbrother7201
    @bigbrother7201 Жыл бұрын

    대학만이 답이 아니다라는걸 제일 잘 아는 세대. 응원한다.

  • @user-bs6gi7jp8x

    @user-bs6gi7jp8x

    Жыл бұрын

    시끄러워 틀딱아 니가 뭘안다는거야

  • @user-bi7wu8wj8h

    @user-bi7wu8wj8h

    Жыл бұрын

    잡대생은 루저 맞죠 . 아무 생각 없이 공부에 재능없는데 "남들이 가니까" 아무 이유없이 자기 인생 말아먹으러 지잡대 가는건데... 공부 재능없으면 기술 배우면되는데 그건 또 싫데 ㅋㅋㅋㅋㅋ

  • @user-yg6ev6dc4z

    @user-yg6ev6dc4z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자기가 원하는 전공도 아닌데, 가스라이팅 존나 당하면서 공부 억지로하고 정작 자기가 뭘 좋아하고 잘하는지도 모르는 애들.. 있는 집안만 대학교 졸업장 쉽게 받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이러니하다

  • @user-iv4hc5oo9g

    @user-iv4hc5oo9g

    Жыл бұрын

    @@user-yg6ev6dc4z 그래서 니 대학은? ㅋㅋ

  • @user-yg6ev6dc4z

    @user-yg6ev6dc4z

    Жыл бұрын

    @@user-iv4hc5oo9g 아빠 총장빽으로 나도 중앙대 입학해서 ㅋㅋㅋㅋ못 따라가 자퇴함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gv7ne9db3i
    @user-gv7ne9db3i Жыл бұрын

    꿈과 목표를가지고 실천을 하며 그 과정중에 대학졸업장이 필요하다면 졸업하는게 맞고 굳이 필요없다 생각하면 자퇴하거나 안가는것도 맞다생각합니다. 그리고 대학가면 선택의 폭이 넓어지니 안가는것보다야 가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전 서울안에 전문대 졸업했는데 호텔 취업하려면 전문대졸업장이 필요해서 졸업했습니다. 이처럼 내가 취업하고자하는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것처럼 본인의 진로를 잘 파악한뒤 필요한것만 챙기면 될것같습니다

  • @user-ue1ux8jp6c
    @user-ue1ux8jp6c Жыл бұрын

    내가 그랬는데..취업의문이 도저히 보이지 않아 자퇴하고 다시 반수 하고 그랬는데..자퇴 하는 학생분들 심정 이해가 되서 너무.. 참 안타깝네요..

  • @user-pu9nn2es7g
    @user-pu9nn2es7g Жыл бұрын

    대학은 진짜 학문 연구하는 그런곳으로 만들고, 대학을 안가도 되는 분위기로 만들어야 하는게 맞는거 같아요.

  • @rakenzarnsworld2

    @rakenzarnsworld2

    Жыл бұрын

    @@Ahcless in jung. 제발 수능 5등급 따리들이 대학 맞춰서 가거나 무지성 n수 이런 거 근절시켜야 함.

  • @user-io3ro7tc2f

    @user-io3ro7tc2f

    Жыл бұрын

    @@Ahcless 소신? 현실감각, 군중심리. 생존본능의 알람입니다. 소신을 만드는 것은 생존이 가능하다는 확신입니다. 필즈상 수상자도 수학하면서 먹고 살 수 있기를 빌었다고하지요.

  • @user-el1jv7kq5k

    @user-el1jv7kq5k

    Жыл бұрын

    @@Ahcless 대학 안 나오면 회사에서 뽑아는준답니까

  • @maryyy000

    @maryyy000

    Жыл бұрын

    이게 맞다

  • @rakenzarnsworld2

    @rakenzarnsworld2

    Жыл бұрын

    @@smaII_head 헬조선...

  • @joy8637
    @joy8637 Жыл бұрын

    적성 빨리 찾는것도 복이에요 4년 안에 적성에 맞는 직업하나라도 발견한다면 복받은것 ㅠ 진짜 20대때 수많은길을 돌아돌아 방황을 많이했어서 여러가지 시도해보고 버린돈 시간낭비도 했었는데 실패도 해보고 좌절도 겪어봐서 돌아보니 그것들이 저를 여기까지 성장시켜준것 같네요 여러가지 본인을 시험해보세요 진짜 중요한건 적성에 맞지 않으면 금방 질리고 현타옵니다 여러시도 해보고 나와맞는지 안맞는지 다 겪어보세요 진로선택 빠르게하고 자퇴하는것도 방법이에요 응원합니다

  • @user-nd8nw8ii3h

    @user-nd8nw8ii3h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독일에서는 예전부터 초등 중등 고등 교육이 다양한 전공을 학습해보고 거기에 가장 잘맞는 진로를 학교와 선생님 부모가 찾아주려고 합니다. 그게 중요함 허경영은 입시제도 폐지하고 본인이 가장잘하는 한과목만 시험 보게 한다고 제시 했었죠 한국교육제도가 국.영.수만 높게 평가하고 붙잡게 하고 있으니 사설학원 과외가 판을치고 부모는 등골휘고 학생은 지치고 업자들만 떼돈 법니다.

  • @zergjung12
    @zergjung12 Жыл бұрын

    석사하면서 드는 생각이 어차피 취업만을 위하는거면 학교보단 직업훈련이 훨씬 낫긴 한거 같음 이론같은거 연구할때는 기초이고 중요하긴 하지만 일할때는 그렇게 많이 사용하지 않는게 현실임 그래서 기업들도 연구직 뽑을땐 석사 이상 뽑는거 같기도 하고 공대 나와서 생산관리 품질관리 많이 가긴하는데 4년동안 배운 전공 아까운거 같음

  • @user-on3sh1ur4e
    @user-on3sh1ur4e2 ай бұрын

    올해 2월에 고졸했는데요.3년동안 고등학교에서 경쟁 엄청시키고 얘들은 고등학교생활이 너무 힘드니까 대학가면 다 편해질거라고 생각하는데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고...본인 적성찾고 직업탐색할 시간을 좀 줘야되는데 그런거 없이 전부 4퍼센트안에 드려고하니까 경쟁이 너무 과열이 되서 그냥 점수맞춰서 대학가니까 본인이랑 안맞으니까 방황좀 하다가 전과하거나 재수하면 몇년 그냥 훅가버리고...제발 언젠간 우리나라 입시가 좀 바꼈으면 좋겠어요. 저도 대학오면 편할줄알았는데 절대 아니구요.오히려 적성 안맞아서 더힘드네요.고등학교때 알아본거랑 직접와서 전공공부하는건 엄청 달라요.내가 조사했던건 정말 10분에 1이더라구요.하..제발 언젠간 좀 바꼈으면 좋겠어요

  • @sniper-yt5hc
    @sniper-yt5hc Жыл бұрын

    이제 대학좀 없애라 진짜공부할애들만 대학가고 기술배우고 장사할 사람은 빨리 사회에 뛰어 들어야지

  • @user-bu4gf7ev2o

    @user-bu4gf7ev2o

    Жыл бұрын

    대학 안나오면 갈곳이 없음

  • @user-oo3id9fr2z

    @user-oo3id9fr2z

    Жыл бұрын

    @@user-bu4gf7ev2o 고졸도 갈곳많아요 시간,돈아끼고 은근많고 더이득이지

  • @user-jn1jt2lc1u

    @user-jn1jt2lc1u

    Жыл бұрын

    대학을 없애긴 왜 없애요? sniper님 말대로 공부하고 좋은 기업 취업할 애들은 대학 오고 기술 배우고 사업할 애들은 알아서 사회에 뛰어 들면 되지 ㅋㅋㅋ 알아서 자기 갈 길 가면 되는 걸 대학을 없애라고 하면...

  • @n1n1n11n1n

    @n1n1n11n1n

    Жыл бұрын

    개나소나 졸업하는 대학을 난 졸업도 못하는 것이냐 ㅋㅋㅋㅋ 으아 ㅠㅠ

  • @Zeliton1

    @Zeliton1

    Жыл бұрын

    @@n1n1n11n1n 님은 예뻐서 괜찮음

  • @user-ib3dc2fo4t
    @user-ib3dc2fo4t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우리나라 산업이 점점 고도화 된다는 것 그리고 점점 애들이 줄어든다는 것

  • @user-pi5tl4br3p

    @user-pi5tl4br3p

    Жыл бұрын

    쓸데없는것만 배우니까 문제지 ㅋㅋㅋ서연고대성경한 아니면 다 쓰레기 대학인데 뭐하러 가냐 ㅋㅋㅋ

  • @gogogo587

    @gogogo587

    Жыл бұрын

    애들은 줄어드는게 맞지. 다 자동화에 후진국 사람들 다불러서 평범한 청년들이 들어가야할 일자리 다먹었는데 성욕에 눈멀어서 싸지르면 불행 시작이다

  • @lIlIlIlIlIlIll00

    @lIlIlIlIlIlIll00

    Жыл бұрын

    좆병신같은 교육수준 여유없는 경제상황 솜방망이 처벌문제 팽배한 개인주의 양부모 간 저조한 육아 참여율 중국소황제마냥 키워지는 현대 아이들 등등 생각없이 계획없이 책임없이 자격미달인 사람들이 싸질러놓은게 사회에 도움이 되었냐 하면 1차원적으로 노동력은 확보되겠지 ㅋㅋ 근데 걔네가 장기적으로 사회발전에 도움이 되겠냐는 별개의 이야기지 이제 겨우 사람들이 문제 의식하고 방안을 마련하라는 수준인데 저출생에만 눈깔 뒤집혀서 애만 낳ㅇ면 된다는듯이 굼.. 그럴거면 저기 어디 고딩엄빠보고 애국자라고 박수 쳐주던지 이중잣대마냥 손가락질 할꺼면서 말은 저출산~ 저출산~

  • @user-vh5jh3fc6r

    @user-vh5jh3fc6r

    Жыл бұрын

    @@gogogo587 ㄹㅇ 태어나봐야 백수로 살면서 불행하게 살게될텐데 뭐하러 낳는건지

  • @user-pg5hn6ei7u

    @user-pg5hn6ei7u

    Жыл бұрын

    @@gogogo587 후진국 사람들쓰는곳엔 젊은사람들이 안할려고하지

  • @user-kp4fm1ld4f
    @user-kp4fm1ld4f Жыл бұрын

    현재 고등학생이고 커서도 저렇게 방황하고 싶지 않아서 끊임없이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데, 전 제가 하고싶은게 뭔지 도저히 모르겠어요. 공부는 열심히 하고 있고 생기부는 진로가 명확하지 않아서 일단 포괄적으로 채우고 있는데, 중학생때부터 족히 3년은 넘게 고민하고 있지만 여전히 모르겠어요. 어른되면 방황할게 뻔해서 걱정되네요.. 한가지 확실한건 전 가만히 앉아서 업무만 하는 회사원이 되고 싶진 않다는 거뿐이고ㅠㅠ

  • @user-ry9qp8ls3p
    @user-ry9qp8ls3p5 ай бұрын

    적성과 연결되는 원하는 과를 선택해야 대학다닐때 더 흥미가 생길것같은데 우리나라의 사회는 ‘대학이름’ ‘어느대학인가’를 먼저 물어보고 사람을 판단하기 때문에 인서울대학,스카이대학을 위해 죽어라 공부하죠..근데 사회적으로 바뀔것같진않더라고요ㅎㅎ

  • @useruserlllooo

    @useruserlllooo

    5 күн бұрын

    인문계 고 나와서 인서울대학도 제때못갔으면 조용히 있어야지 않을까요?

  • @Self_Reliance
    @Self_Reliance Жыл бұрын

    교육 구조를 바꿔야 하는데, 이렇게 상처입고 구조의 무의미함을 깨달은 우리 20~30대가 목소리를 내서 우리가 부모가 되었을 땐 아이들이 이런 아픔을 똑같이 겪지 않도록 해야한다

  • @zezetjddn

    @zezetjddn

    Жыл бұрын

    무슨소리세요 이건 교육구조문제보단 인구구조문제가 더 큰데 왜 다들 대학보내려고 또는 가려고 했나요 왜 대학을 나와도 취업을 하기 힘들었나요 베이비붐세대, 국가 최대의 성장기에 열심히만 하면 집도 살 수 있었고 경제적으로 힘든건 IMF 구조조정때뿐이였는데 본인들의 유일한 흠인 학력을 애들한테 어거지로 달성시켜 대리만족과 학력을 통해 애들이 본인보다 더 잘살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가 애들을 망쳤어요 지금 태어난 인구절벽 세대는 아무 대책을 안새워도 월급 400이상 받으며 군생활 할테고 고졸만해도 어기저기 모셔가려할테고

  • @richarddell6392

    @richarddell6392

    Жыл бұрын

    @@zezetjddn 인구절벽세대 나온게 다~20~30꼴페미때문에 그럼 ㅇㅇ 여성가족부라는 쓸데없는 집단이 다 망쳐놓음.

  • @user-yh2bn2fg1j

    @user-yh2bn2fg1j

    Жыл бұрын

    30대가 목소리를 내서 20대부터 조금씩 해방되는거임

  • @user-jw4dh9wv6w

    @user-jw4dh9wv6w

    Жыл бұрын

    그게 가능했으면 윤석열 탄핵되었음

  • @Racotta

    @Racotta

    Жыл бұрын

    @@zezetjddn 동의합니다. 하지만 마지막 문단은 다른 의견이에요. 결국 가치없으면 희소성이 높아도 아무도 불러주질 않습니다. 게다가 외국인 노동자 or 그들의 2세,3세가 무능한 한민족 아이들을 대체할 겁니다. 이미 농촌은 외국인 숫자가 더 많은 지역도 있고 우리나라에 현재 거주 중인 외국인(다문화) 비율은 5%가 넘어갔어요. oecd 기준으론 다민족국가 입니다. 결국 누가되었든 경쟁을 피할 방법이 없어요.

  • @user-bi9dg9by2d
    @user-bi9dg9by2d Жыл бұрын

    대학을 가고싶어하는 재수생은 폭발하고 대학을 다니기 싫어서 자퇴하는 학생도 폭발하는 아이러니한 상황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ro4gz4dw8x

    @user-ro4gz4dw8x

    Жыл бұрын

    대학은 많아요 ㅋㅋㅋㅋ 다만 어딜 가느냐의 차이일 뿐이지

  • @rakenzarnsworld2

    @rakenzarnsworld2

    Жыл бұрын

    @@user-ro4gz4dw8x 근데 지방 국립대도 나쁘지는 않음. 굳이 비유하자면 6성급 호텔 못 갔다고 5성급 호텔을 포기하는 말도 안 되는 짓을 벌이는 거임. 5성급 호텔도 굉장히 좋은데 이놈의 학생들이 눈이 너무 높아서 저렇게 나대는 건데, 저리 나대는 학생들 치고 90%는 본전도 못 뽑음.

  • @kylekim7011

    @kylekim7011

    Жыл бұрын

    @@rakenzarnsworld2 네다 지방대

  • @dgh06175

    @dgh06175

    Жыл бұрын

    @@rakenzarnsworld2 학교 졸업해서 4년동안 등록금 내고 다닌거 본전뽑는 학생도 거의 없을거같아요

  • @user-ro4gz4dw8x

    @user-ro4gz4dw8x

    Жыл бұрын

    @@rakenzarnsworld2 각자의 목표에 따라 만족도는 상대적이겠지요 이상향이 고학벌을 요구한다면 좋은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힘 쓰는 것이 마땅하며, 지거국 나오더라도 본인이 만족하는 삶을 살 수 있다면 최소한 지거국에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을 갖추기 위해 정진해야겠죠 누군가에겐 지거국이 한 없이 높을수도, 또 다른 이에게는 성에 차지 못할 수도 있는겁니다~

  • @user-wf2to5iw2q
    @user-wf2to5iw2q Жыл бұрын

    어문과 다니는데 대충 고딩시절에 성적 맞춰서 온 애들, 취업을 위해 높은 과를 가고 싶은데 성적은 안 되서 전과하기 위해서 우리 과 온 애들 90%는 전과할 학점 조차도 안 나오거나 자퇴 선택함

  • @ngp1208
    @ngp1208 Жыл бұрын

    사회 생활 많이 해본건 아니지만 십년 가까이하면서 느낀건 공부머리 일머리 따로고 서울대보다 지방대가 일 잘하는 경우도 많은데 대학나오고 안나오고는 색안경끼게 되는거 같더라..

  • @rpn353
    @rpn353 Жыл бұрын

    뭐 서울권 학교 가려고 자퇴하는게 아직까진 주요한 이유일 순 있겠지만 결론적으론 대학이 존재하는 이유가 취업으로 가는 과정이 아니라 학문 연구 본연의 목적을 살리는 방향으로 정리되는 과정이면 좋겠네요

  • @UniPhil

    @UniPhil

    Жыл бұрын

    애새끼들이 뭘 알음. 대학가면 성인되고 뭐하고 지들인생 꽃피는줄만 알지. 성인 돼서도 부모한테 지원 받는 애새끼들 ㅈㄴ 배아프네. 인생에서 1번 써먹을까 말까한 지식들을 뒤지게 가르치고 돈받아가는게 교육기관 아님? 노예인증을 대학 등록금 꼬박꼬박 쳐내가면서 해야하는 시스템에서 뭐가 핵심인지 1도 언급없는 댓글들 보면 기분 ㅈ같음. 고용법이 문제라고

  • @UniPhil

    @UniPhil

    Жыл бұрын

    에타 들어가보면 알겠지만 정신머리가 애새끼인 애들 많음. 부모한테 지원받는게 무슨 지들 권리인것 마냥. 근데 독립할 능력은 없고 ㅋㅋ 하긴 대학생활 해야하는데 대출 안받고 가능하긴 한가. 밥 하루 세 끼 꼬박꼬박 먹는 다고 치면 하루 2만원씩은 나올텐데

  • @user-ss8vm7xn2y

    @user-ss8vm7xn2y

    Жыл бұрын

    @@kch9957 명문대 대학원은 낮은대학에서 잘해도 충분히 간다 ㅋㅋ 연구할 생각이면 서성한 지유디 수준만 되어도 충분하고도 남는다

  • @user-cn8zc2eu6p

    @user-cn8zc2eu6p

    Жыл бұрын

    중고등학교에서 남들 놀때 학문 연구하면 명문대감. 중고딩때 놀다 지잡대 가놓고 취업안될꺼같으니까 학문연구 타령함

  • @lch0523

    @lch0523

    Жыл бұрын

    그게 말이되는 소리냐. 그 학문연구도 돈이있어야하지 최소한 공대는 취업하려고가는거다 그리고 명문대일수록 연구도잘된다 취업안되는 문과놈의 헛소리잘들었다

  • @easymathbyduncan5594
    @easymathbyduncan5594 Жыл бұрын

    저는 점수 맞춰 간 공대 나와서 20년 일한 후에 진짜 하고 싶은 일이 생겨서 다시 원하는 대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제 2의 인생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요즘 자기가 어떤 직업을 갖고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이미 아는 청소년들이 얼마나 될까요? 경험해 봐야 어떤 일이 재미있는지 자신에게 맞는지 아는 건데, 청소년이어서 경험해 볼 수도 없고. 살면서 경험하면서 찾아가는 방법 밖엔 없습니다. 물론 청소년 때부터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분명하게 깨닫고 진로를 선택하고 후회없이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은 복 받은 사람입니다.

  • @user-snw8292

    @user-snw8292

    Жыл бұрын

    하고 싶은 일이 뭐에요

  • @user-xz5uv5ht5f

    @user-xz5uv5ht5f

    Жыл бұрын

    진짜ㅠ요거 맞말..ㅠ

  • @mnmnnmnmn6192

    @mnmnnmnmn6192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저도 전화기공대 나와서 대기업 취업에 급급해 취업해 취업했다가 이제는 열정이 사라졌네요..하고 싶은 일이 보건이었는데, 이젠 저도 멀리왔네요. 멀리온 만큼 고생 많이 하실텐데 정말 멋지십니다.

  • @user-mw3gj3qc9t

    @user-mw3gj3qc9t

    Жыл бұрын

    @@user-snw8292 전 게관위 위원장이 되고 싶습니다

  • @user-xh1sl2ni7y

    @user-xh1sl2ni7y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 @user-yh3jd5uc3j
    @user-yh3jd5uc3j Жыл бұрын

    대학의 존재가 중요한게 아니라 커리큘럼이 과거에 머물러 있어 현대 사회와 맞지 않는게 중요하죠.. 그러니 취업을 위해 수도권 이탈이 많아진다고 생각합니다. 기업과 연합하여 체험 학습과 기업 정보를 제공하는 컨소시엄 등 보다 더 차별화된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user-lb7by7pf8v
    @user-lb7by7pf8v Жыл бұрын

    십대에 다양한 경험도 해보고 멋진 여행고 해보고 사랑도 해보고 모험도 해보고 해야 하는데 그 아름다운 시간을 못하게하고 한 길로 다 몰아 넣으니까… 그런 경험을 기반으로 얼마나 많은 전세계 젊은이들이 다른 나라에 가서 살고 있는데… 외국인 친구가 많은데 정말 걔네들이 우리보다 낫다 이런게 아니고 그냥 인생 자체를 자기가 하고 싶은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요. 아 말로 어떻게 설명이 안됩니다.

  • @Delluna7777

    @Delluna7777

    2 ай бұрын

    대신 좋은대학은 보상이 쩔지 옛날이 비정상적으로 보상이 많았던거고 전문직 대기업 대부분 좋은학벌인게 팩트인데

  • @money-makerkang1947
    @money-makerkang1947 Жыл бұрын

    난 지금 없어진 지방 잡대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2년하다가 현타와서 편입준비하다가 영어 배워야 겠다 어학연수갔다가 미국 유학한 케이스인데 지금 지방잡대에서 2년 배운 디자인 스킬이 아주 유용하게 쓰이고 있음 ㅋㅋ 진짜 돈주면 가는 그런 대학이고 과였는데, 그때 교수님한테 배운 디자인 철학이나 스킬들이 나이들어서 이렇게 도움될지 몰랐음.. 진짜 젊었을때는 뭐든 배우는건 정말 좋은거임. 너무 돈돈 쫓지말고, 견문을 넓히고 뭐든 배우고 경험하는게 중요하다 생각.. 대학에서도 너무 간판이나 취업만 생각하지말고, 훌륭한 교수님들 강의 들으면서 많이 배우면 언젠가 인생살면서 도움이 됨.. 진짜임.

  • @user-ld1ul7yt9y

    @user-ld1ul7yt9y

    Жыл бұрын

    @@user-lo1p2pw0s1ess 책은 도서관에서 무료로 읽으세요

  • @user-ld1ul7yt9y

    @user-ld1ul7yt9y

    Жыл бұрын

    @@user-lo1p2pw0s1ess수많은 도서관 중에 없는 책이 뭐 얼마나 많다고... 항상 도서관에 못가면 한 번 가서 책을 여러권 빌리면 되는거죠.

  • @user-ld1ul7yt9y

    @user-ld1ul7yt9y

    Жыл бұрын

    @@user-lo1p2pw0s1ess 그 중에서 자기가 흥미로워서 계속 간직해서 읽고싶은책만 사는거죠ㅋㅋㅋㅋㅋㅋㅋ 님은 집에 님 돈 주고 산 책이 몇백권이나 있나봐요.

  • @user-ld1ul7yt9y

    @user-ld1ul7yt9y

    Жыл бұрын

    @@user-lo1p2pw0s1ess 네ㅋㅋㅋㅋ 유튜브 영상으로ㅠ찍어서 인증이나 해보세요. 책 몇백권이나 집에 있으실지 기대되네요

  • @user-ld1ul7yt9y

    @user-ld1ul7yt9y

    Жыл бұрын

    @@user-lo1p2pw0s1ess 가족이랑 같이 살기라도 하는거임??ㅋㅋㅋㅋㅋ 집에 책 몇백권이나 있는 사람이 몇명이나 있겠냐?ㅋ 인증샷이나 찍어보라고

  • @zerg4me
    @zerg4me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대학자퇴하고 창업하는 천재들 보다도 '그래도 대학 졸업장은 있어야 한다'는 어르신 말씀을 따르는 착한(?) 학생들이 많음. 대학은 본래 학문을 닦는 곳이지 취업 기관이 아님. 우리나라는 대학을 취업기관으로 만들고 취업으로 대학을 평가하는 세계 유일이 되었음. 졸업 후 전공과 무관한 일을 하는 청년들이 대다수인 것을 생각하면 수능끝나고 점수 맞춰가는 대학은 시간 낭비가 될 수 있음. 독일처럼 수능끝나면 1년 유예기간을 줘서 취업을 할지 대학에 갈지 선택권을 주고 정말로 원하는 바를 하게 해야 함. 아니면 (독일처럼) 취업과 연계된 마이스터 고등학교가 발전되어야 함. 미국 같은 경우, 학위장사 하는 대학 중퇴하고도 성공한 케이스 많음. 대학 중퇴한 스티브잡스나 빌게이츠, 피터 틸, 트래비스 캘러닉, 저커버그, 마이클 델, 에반 윌리엄스, 래리 엘리슨, 얀쿰 등과 같은 창업자들이 한국에서 나오기 시작할 때 비로소 선진국 소리 들을 수 있을 것임.

  • @kikyo0000

    @kikyo0000

    Жыл бұрын

    누가 미쳤다고 대학에 배우러감 ㅋㅋ 자기 학벌 타이틀 달러가지

  • @ryankim0912

    @ryankim0912

    Жыл бұрын

    학문을 닦는 곳 이러네…아리스토텔레스 있을 때 할 법한 얘기 아님? ㅋㅋㅋㅋ 자연,인문 전문 분야면 몰라도 공대 의대 등은 취업하러 가는 게 맞지

  • @liiliiliilii6523

    @liiliiliilii6523

    Жыл бұрын

    이건 감성적인 말이고 지금 현실은 그냥 졸업장 있어야 하고 취업을 위해 가는곳임 ㅋㅋ

  • @user-rruu25qp8p

    @user-rruu25qp8p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국립대 학생들이 이 글 보면 뒤집어지겠네 ㅋㅋㅋㅋㅋㅋㅋ 인생자퇴는 안하냐???

  • @jac256

    @jac256

    Жыл бұрын

    ㅎㅎ 멍청한 그건, 대학교수님 입장이고 학생은 취업이지 그리믿으면? 교수 일자리창출 위해 희생 하는것

  • @sukmin9088
    @sukmin9088 Жыл бұрын

    살아보니까 느낀건데 대학보다 중요한것은 사회에서 다양한 경험을 해보고 거기에서 나와 맞는 길이 뭔지 찾아내는 거 같습니다. 저는 원래 사학(한국사랑 세계사 둘다)이랑 국제관계학 쪽에 관심이 많은 순수 문돌이 출신인데 학부때는 그나마 문과에서 취업이된다는 경영분야로 갔었죠 허나 대학 졸업 후에는 전공대로 취업이 녹록치 않아 고졸이라도 할수 있는 일에 뛰어들어 현재 장기근속중이지만 돈이 어느정도 모이니까 원래 배우고 싶었던 전공에 늦게라도 대학원을 갈까 싶은 생각이 드네요.뭐 졸업후에 꿈꾸고 있는 테크가 있기도 하고...(학예연구직 공무원)뭐 하고싶은일이랑 잘하는 일이랑 꼭 등가공식이 성립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아무생각없이 대학가는거랑 목표를 두고 가는거랑은 완전 천지차이라는걸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 @user-en5zy8fn6f

    @user-en5zy8fn6f

    Жыл бұрын

    독일처럼 대학교는 모두 국립만 두고 등록금 전액 국가에서 대는걸로 하되 진짜 그 분야의 학문을 넓히고 전문가가 되고싶은 사람만 가는걸로 하자 근데 대한민국은 기득권땜에 사실상 실현 불가하다고 봄. 대학평준화한다고 하면 누구부터 들고일어날거같음? SKY?

  • @akremember9398

    @akremember9398

    Жыл бұрын

    @@user-en5zy8fn6f 갠적으로 당시 후진국당시 교육받은세대는 좀 비켜줬음 좋겠음 지금세대가 단군이래 가장 많이 교육받은 똑똑한 세대임 대응이 왜 이렇게 늦은지모르겠음

  • @user-ml5jl2nq3l

    @user-ml5jl2nq3l

    Жыл бұрын

    데이트 할때도 등가공식이니 막그럼? 말투부터 교육학에 세뇌됐네

  • @chopin5717

    @chopin5717

    Жыл бұрын

    혹시 어떤일 하고 계신가요?

  • @sukmin9088

    @sukmin9088

    Жыл бұрын

    @@chopin5717 물류센터일이에요 적성에는 맞는데 주위 인식은 좋지 않아서

  • @user-ls2xb7yw6n
    @user-ls2xb7yw6nАй бұрын

    세상은 빠른속도로 복잡해지고 있고 변화하고있으며 직업의다양성 자기자신이 옳지못한일을 저질렀을때 누군가 옳지못하다고 지적했을때 그것을 자기자신이 기민하게 변화시킬수있는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느끼며 그러한 마음 또는 자세가 수오지심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yx5qs6xg5n
    @user-yx5qs6xg5n Жыл бұрын

    대학을 취업의 도구로 만든거 자체가 넌센스

  • @vuvuga5206

    @vuvuga5206

    Жыл бұрын

    @@fragrant2082 인생 대부분의 문제는 목표를 뒤에 두고 허울을 앞에 두면서 생기죠.. "대학을 잘 가면 좋은 곳에 취업을 할거야" 돈을 잘 벌고 싶으면 돈벌 생각을 먼저 해야 하는데 돈이라는 목표를 뒤에두고 좋은 곳에 취업할 생각, 그걸 위해 좋은 대학에 가야한다는 생각.. 그게 인간에게는 쉽게 받아 들여지는거 같아요

  • @zer0less750

    @zer0less750

    Жыл бұрын

    @@fragrant2082 그게 현실은 맞지만, 오히려 현실적으로 우리나라 교육제도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점은 대학이 취업의 도구로 전락했다는 점입니다. 서로 핀트가 조금 어긋나지 않았나 싶네요

  • @user-od3gp6my8c

    @user-od3gp6my8c

    Жыл бұрын

    @@fragrant2082 에베베ㅔㅂ?

  • @wizmaker

    @wizmaker

    Жыл бұрын

    자원이 없는 섬은 인력이 국력인데… 에휴…..

  • @curvedspace

    @curvedspace

    Жыл бұрын

    @@fragrant2082 그런 현실이 됐다는 게 넌센스라는 건데 무슨 ㅋㅋㅋ

  • @sootman7
    @sootman7 Жыл бұрын

    내가 하고 싶은 일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배우기 위해 대학을 가려는게 아니라 대학을 가려고 공부 하는 교육 분위기가 문제라고 생각 합니다 초등 중등때 자기가 뭘 하고 싶은지 찾는 시간에 학원을 뺑뺑이 돌고 있으니...

  • @IAMPRESENCE144

    @IAMPRESENCE144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 @yesdssirr3786

    @yesdssirr3786

    Жыл бұрын

    100% fact

  • @youtubeDwellEyday

    @youtubeDwellEyday

    Жыл бұрын

    그치만 학원을 돌리는 데에도 이유가 있는게.. 퇴근하고 집에 오기 전까지는 누가 애를 봐줍니까? 초등학교 기준으로는 밥 지어먹는법을 온전히 알기도 힘들텐데

  • @user-bw4mw8ic8m

    @user-bw4mw8ic8m

    Жыл бұрын

    @@youtubeDwellEyday 학원 돌리는건 문제 되지 않습니다 단 아이가 좋아하고 즐기고 싶은 활동이 아닌 남들 따라 국영수사과 같은 과목으로 돌리는게 문제죠

  • @user-rt1kp5nx8o

    @user-rt1kp5nx8o

    Жыл бұрын

    학원 누가 다니래요?ㅋ 안다니고 혼자 시키는게 공부 아예 안할까봐 불안해서 보내지

  • @livelikepeabo5691
    @livelikepeabo5691 Жыл бұрын

    반대로 진짜 좋아하는 걸 못찾으면 공부라도 열심히 해야합니다 그게 학교든 자격증이든 외국어능력이든 아니면 지식이라도요. 일을 열심히 해서 업무능력 및 대인관계를 키우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 @ryanpark1107

    @ryanpark1107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대학은 내가 뭘해야할 지 모를 때 가는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sh3lh3ns7z
    @user-sh3lh3ns7zАй бұрын

    뚜렷한 목표가 있어야 됨 비젼을 가지고 도전하는 사람만이 성취라는 달콤한 과실을 먹는다. 자신이 누구인지, 뮐하고 싶은지, 뮐해야 행복하고 나의 역량은 얼마인지 부족하다면 얼마나 시간을 투자할지 방향부터 정하는 게 우선

  • @user-ym1wr8vk3p
    @user-ym1wr8vk3p Жыл бұрын

    괜찮은 직장이 있어야 주변대학도 살지

  • @user-ch2jz2vj7i

    @user-ch2jz2vj7i

    Жыл бұрын

    ㅇㅈ 충남 충북 경기도 취업할때가 드릅게 많음 오송 세종 진천 오창 청주 충북이 공돌이들의 꿀임 또 충북에들 ㅈㄴ 좋아해서 취업하기 좋음 반박시 니말 맞음

  • @user-jg5fy3xj7w

    @user-jg5fy3xj7w

    Жыл бұрын

    충북대 바로 위 가경동 하이닉스 단지 내 입주한 내노라하는 중견 대기업 공학사 필요한 티오만 합쳐도 몇백에서 천대까지도 나올듯 ㄹㅇ

  • @user-fx3eq4yi7z

    @user-fx3eq4yi7z

    Жыл бұрын

    수도권에 다몰려있어서 답이없음 지방은

  • @user-fn8rr9sn9g

    @user-fn8rr9sn9g

    Жыл бұрын

    @@user-he2fu3jv7q 머리 나쁜 건 댓글 복붙하고 다니는 너고~

  • @user-hj5jp6nn9y

    @user-hj5jp6nn9y

    Жыл бұрын

    @@user-he2fu3jv7q ㅋㅋㅋ 이과면서 공부 너처럼 못하면 그것도 소용없는데 뭘 ㅋㅋㅋ

  • @user-my9wr3nm3p
    @user-my9wr3nm3p Жыл бұрын

    ㄹㅇ 대학교 나와서 전공살려서 취업이라도 하면 상관이 없는데 대부분 전공살릴거 아니면 빨리 자신이 좋아하는거 찾아서 꾸준히 밀고가는게 좋은거 같아요 ㅠㅠ

  • @uk_kult1434
    @uk_kult1434 Жыл бұрын

    서울이라고 취업잘되고 지방이라고 취업안되는게아니라 본인이 힘든일이든 쉬운일이든 가리지 않고 할수 있는 마음가짐 있으면 일자리는 널려있음. 쉽게 돈벌고 몸편한것만 생각하니깐 일자리가 없는거지.. 물론 편한것만 찾고싶은건 사람 심리지만 마인드 자체를 바꾸는 사회가 필요함

  • @user-hj1ib2zj6c
    @user-hj1ib2zj6c Жыл бұрын

    대학교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교육과정 및 방식을 다 뜯어고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kaminus51

    @kaminus51

    6 ай бұрын

    한국교육방식은 그냥 조선시대 과거시험의 연장선상이라고 보면됨. 서울대 고시촌이랑 미국 실리콘 벨리를 보면 답이나옴

  • @illlilllilliiiill5269
    @illlilllilliiiill5269 Жыл бұрын

    대학이름보다 적성과 자기실력이 중요하다는 걸 중고등학교다닐 때는 몰랐죠... 그저 좋은 대학 유명한 과 가려고 눈막귀막 밤새서 입시공부하는 게 미덕이라 생각했습니다. 막상 살아보니 번지르르한 학위 자체가 내 인생을 책임지고 밥 먹여주지않아요. 어느 필드를 가든 “잘해야” 살아남습니다. 부디 학생분들 일찍부터 자아정체성 찾는 연습을 했으면 좋겠어요. 무엇을 내가 잘하고 무엇을 좋아하는지 적성을 찾으세요. 대학 가서 전공 정해지고 뒤늦게 자신을 돌아보면 인생을 돌아가게 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 @snowyyy5145

    @snowyyy5145

    Жыл бұрын

    @@user-ui2gk6sf5x 전공 안에서 관심 분야 찾으신 거 부럽네요.. 😂

  • @billgimm2393
    @billgimm2393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졸업해도 취직이 보장안되는 학과나 대학이라면 그냥 기술 배워서 공장이나 자영업 또는 군대 등 무엇이던 시작해서 훗날을 대비해야한다.

  • @gogogo587

    @gogogo587

    Жыл бұрын

    중소기업 공장 자영업 ㅋㅋㅋㅋㅋ 자살충동만 안들어도 성공

  • @user-bf6fm2ve2v

    @user-bf6fm2ve2v

    Жыл бұрын

    공장도 공장 나름이고 솔직히 대부분의 공장은 노답임

  • @fleg7808

    @fleg7808

    Жыл бұрын

    지방대는 이제 망했음. 난 제일 이해 안 됐던 애들이 수도권 살면서 지방 국립대학 쓰는 애들 ㅋㅋㅋㅋㅋ 지방으로 학교다니는 순간 수도권 취직은 끝남.

  • @user-pf9sm1ik4k

    @user-pf9sm1ik4k

    Жыл бұрын

    @@user-bf6fm2ve2v 솔직히 니같은 지잡대들은 공장가서 빡시게 일이라도 해야 부모 등골이라도 안빼지 않을까?

  • @user-bf6fm2ve2v

    @user-bf6fm2ve2v

    Жыл бұрын

    @@user-pf9sm1ik4k 왜 갑자기 급발진함? 팩트를 말한거임 산업기능요원으로 오퍼레이터로 일했고 특성화 출신이라 직접 경험과 친구들 이야기 등 대부분의 공장들은 노답임 지금같은 시대에 여자한테 성희롱 및 성추행하고 나도 당했고 라떼는 기본장착 등 많은걸 경험했음 상장 되어있는데 중견기업임 그리고 또 시비걸까봐 미리 말하는데 독일 대기업 한국지사에서 엔지니어로 일하고있음; 님 인생 힘들고 안풀리는걸 남한테 풀지마세요

  • @user-rs4cl1pp4o
    @user-rs4cl1pp4o Жыл бұрын

    우리때만해도 대학교까지 다니면 다 취직이 가능했었는데.. 사회로 나오면 대학때부터 취직보장 집 차 시스템이 나와줘야 출산율이 늘을듯..

  • @j_sure5141
    @j_sure5141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교육현실이 문제지... 학생의 올바르고 좋은 목표를 찾아주는 교육이 아니라 목표를 정해놓고 교육하는 교육. 초등학생은 중학교를 가기위해 흥미없는 과목까지도 심도있게 해야하고 중학교에서도 고등학교를 가기위해 똑같은 일을 반복하고 결국 학생들은 자신이 뭐에 흥미가 있고 잘 할수있는지 찾지 못하고 그냥 성적맞춰서 대학교가기 바쁘고 대학가서 재미도없고 미래가 캄캄하니 내가 왜 대학을 다니지 싶고 교육제도부터 달라져야한다고 봅니다.

  • @user-pl2tz4er7l
    @user-pl2tz4er7l Жыл бұрын

    진짜 똑똑해 요즘 애들…🤙🏻🤙🏻🤙🏻

  • @user-hj5jp6nn9y

    @user-hj5jp6nn9y

    Жыл бұрын

    똑똑하다기보다 눈치를 덜 보고 결정하지... 예전엔 감히 .. 라는 생각으로 그냥 순응했고

  • @izi2913

    @izi2913

    Жыл бұрын

    @Fernando 영감재이 도랏네

  • @user-yp1rt1jy8c

    @user-yp1rt1jy8c

    Жыл бұрын

    ​@Fernando딱딱딱

  • @user-kf3lw9ne2f

    @user-kf3lw9ne2f

    Жыл бұрын

    @@white.8817 그 사람을 원하는게 아니라 노예를 원하는거죠?ㅋ 틀딱냄새 너무난다

  • @sponenew4306

    @sponenew4306

    Жыл бұрын

    멍청한건 부모들 ㅎㅎㅎ 지자식 공부만 시키면 무조건 성공하는줄 ㅎㅎ 그냥 하고싶은거 시키고 자유를 주는게 낫지

  • @user-gj7iq6un9s
    @user-gj7iq6un9s Жыл бұрын

    물론 취업의 목표로 대학을 가는 것도 맞지만... 원래 대학의 본질은 자신이 배우고 싶은 것을 탐구하면서 그 어려움을 직면할때 인내하는 것을 배우는게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그 시간동안 자신이 무엇을 하고싶은지 미래를 위해 자아성찰하는 중요한 시기이기도 한데 점점 줄어드니 안타깝군요... 대학은 다니든 안 다니든 필수가 아닌 선택이니 자퇴생들도 자신의 길을 잘 찾아 성공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user-pt8dj5dv2r

    @user-pt8dj5dv2r

    Жыл бұрын

    지잡대는 퇴학이 답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Жыл бұрын

    물려 받은게 많아서 먹고살 걱정이 없는 사람이면, 자기 하고 싶은거 꼴리는데 로 하고 살면 되는데, 물려받을게 별로 없는 사람은, 확실한 직장이 필요하지.

  • @user-zi5vm2mh9s

    @user-zi5vm2mh9s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배우고 싶은건 여러곳에서 직접 일 해보면서 괜찮은거 고르는거라 생각하구 인내심은 그냥 직장에서 욕처먹으면서 기르는게 더 빠르다고 생각합니다. (욕을 하고싶다는건 아니고 실제 직장에서는 꼰대들이 욕을 달고살기 때문에 어쩔수없이 듣게됨) 탐구하는건 그냥 가볍게는 학원이나 유튜브 보는게 전공수업보다 더 도움된다 생각하고 영어나 외국어 배워서 전문서적 읽는게 더 도움된다고 생각하네요

  • @user-ig7gx9cy1n

    @user-ig7gx9cy1n

    Жыл бұрын

    @@davidjacobs8558 ㅇㅇ현실이 기다려주지 않으니까, 결국 현실에 쫓기다보니 하고싶은게 뭔지도 뭘 해야할지도 모르는 상태로 사회에 던져진 채로 의미없는 부속품처럼 사는 자신을 돌아보게 되고 그게 우리나라 현 젊은이들의 대부분인거지

  • @ryanpark1107

    @ryanpark1107

    Жыл бұрын

    매우 훌륭한 지적이다.

  • @user-im8fp7uo1s
    @user-im8fp7uo1s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저는 대학 안가고 일자리 구하고 기술및 회사를 다녓는데요 어느회사 들어가서 면접보면서 단 한번도 대학에 대해 질문 1도 없었습니다 이전에 무슨일 했는지를 가장 중요하게 봅니다....

  • @user-rk4jd4zg2j

    @user-rk4jd4zg2j

    Жыл бұрын

    그건 기업 수준이..

  • @user-im8fp7uo1s

    @user-im8fp7uo1s

    Жыл бұрын

    @@user-rk4jd4zg2j 수준수준 따지신다면 지금 그런 글을 적으신 님에 일자리는 얼마나 대단하신 회사 이신지 알수있을가요??

  • @yohane_PARHELION

    @yohane_PARHELION

    Жыл бұрын

    @@user-im8fp7uo1s 개좆소에선 학교 안물어보지

  • @belreach4909

    @belreach4909

    Жыл бұрын

    @@user-im8fp7uo1s ㅋㅋ어느 미친 회사가 대학에 대해 안 물어봐요 ㅋㅋ 이력서에 떡하니 올려져있는데. 물어볼 가치나 없거나 회사 역량이 물어볼 생각을 못할 수준이던가. 공기업 아닌 이상 안 보는 곳 없습니다. 전형이 아예 다른게 아니면요. 걍 개 좆소라서 안물어보는거임 자존심 올리지말고 ㅋㅋ

  • @lingubarrier9558
    @lingubarrier9558 Жыл бұрын

    보통 공대나 의예/간호 등 병원에서 필요로 하는 거 전공한 사람 아니면 안정적인 직장 못 구하고 노는 경우가 많음. 애초에 취업만 보고 이런 과 가는게 아니라면 그 큰 돈 써가면서 4년의 시간을 갈아넣는걸 쉽게 선택해선 안 됨. 대학교만이 답은 아니다

  • @user-bq4xy8ct7r
    @user-bq4xy8ct7r Жыл бұрын

    너무 공감이 가네여 전공은 안맞고 학교도 서울이지만 평판이 좋은곳은 아니여서 방황중이네요..,

  • @user-bd6qu5yq2r
    @user-bd6qu5yq2r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어중간한 대학 나오느니 자퇴하고 다른 길 알아보는거도 괜찮은 선택인거 같아요 고등학생때까지는 공부가 다인줄 알았는데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시야가 넓어지긴함

  • @paulhan7856

    @paulhan7856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는 서울대 아니면 갈 곳이 없습니다! 다른 대학은 모두 돈에 눈이 어두워 세운 대학들입니다!^^

  • @cooling8246

    @cooling8246

    Жыл бұрын

    서울대도 여러 이유로 욕먹긴 하던데 걍 한국 대학 자체가 개판인듯

  • @user-tc3nb3cd5s

    @user-tc3nb3cd5s

    Жыл бұрын

    @@cooling8246 ㅇㅈ 차라리 유학을 가는게 더 이득인듯

  • @cccc271

    @cccc271

    Жыл бұрын

    @@cooling8246 대학교나 대학교 교수가 클럽이나 술집 다니는 애들보다 수준 엄청 떨어짐 술집이나 클럽다니는애들 여러가지 알바나 사회경험이나 투잡이상 뛰는애들 많고 또 본인들이 살기위해서 더 열심히 뛰는 분도 전세계+전국적으로 많죠 그래서 슈퍼카끌고 다니는분도 많아요 ... 이런분들이 왜 돈이 많고 ...람보르기니 + 페라리 + 마세타리 + BMW + 벤츠 + 아우디 등등 이런 고성능 슈퍼카를 왜 끌고 다니겟어요? ㅋㅋㅋ 다 이유가 있습니다 차라리 학교에서 실패할 바에 어릴떄부터 그 시간에 돈 존나 모으고 차사고 집사고 피부과 가고 얼굴에 외모 더 신경쓰고 극복하고 운동가고 하면서 요즘 유행하는 존잘+존예인지 뭔지 그거에 맞게 인생 각 매년 맞게 살면서 본인의 커리어 쌓고 살아가는게 훨씬 요즘 세상에는 그게 더 큰 이득입니다 리얼

  • @cccc271

    @cccc271

    Жыл бұрын

    @@user-tc3nb3cd5s 대학교나 대학교 교수가 클럽이나 술집 다니는 애들보다 수준 엄청 떨어짐 술집이나 클럽다니는애들 여러가지 알바나 사회경험이나 투잡이상 뛰는애들 많고 또 본인들이 살기위해서 더 열심히 뛰는 분도 전세계+전국적으로 많죠 그래서 슈퍼카끌고 다니는분도 많아요 ... 이런분들이 왜 돈이 많고 ...람보르기니 + 페라리 + 마세타리 + BMW + 벤츠 + 아우디 등등 이런 고성능 슈퍼카를 왜 끌고 다니겟어요? ㅋㅋㅋ 다 이유가 있습니다 차라리 학교에서 실패할 바에 어릴떄부터 그 시간에 돈 존나 모으고 차사고 집사고 피부과 가고 얼굴에 외모 더 신경쓰고 극복하고 운동가고 하면서 요즘 유행하는 존잘+존예인지 뭔지 그거에 맞게 인생 각 매년 맞게 살면서 본인의 커리어 쌓고 살아가는게 훨씬 요즘 세상에는 그게 더 큰 이득입니다 리얼

  • @user-cg2sc6ml8s
    @user-cg2sc6ml8s Жыл бұрын

    1. 고등학교때 대학교만 가면 취업 문제 없는 줄 알고 전공 생각 안하고 성적에 맞춰 대학에 진학함 - 이후 적성에 안맞아서 방황 2. 요즘 채용은 대부분이 블라인드라 대학을 안봄.. 대학 졸업반에서 스카웃하는 경우도 없고 교수가 보내줄 수도 없음.. 그래서 굳이… 지방쪽은 고생하면서 안다녀도 될듯.. 어차피 취업은 대학교 성적이 아니라 내가 준비하는 부분이라.. 근데 막상 취업하고 동기들 학교 어디나왔냐고 물어보면 대부분 인서울이긴함..ㅋㅋ;

  • @Fhbvjcyghvjvsucjjvj
    @Fhbvjcyghvjvsucjjvj Жыл бұрын

    취업때문애 학교에 갔는데 취업이 생각 보다 더 어려운 과에 자기한테 맞는 공부도 아니니깐 버겁기만 하고 공부 할 수록 내가 왜 이걸 하고 있지 이런 생각들이 자퇴로 가게 합니다

  • @user-pt3ye6bv5d
    @user-pt3ye6bv5d Жыл бұрын

    대학은 이제 취업들과 학업을 둘 다 잡는 실무위주교육 목표로 가야 대학의 교육목표 뜻이 될 듯 싶다. 좋은교육방향들과 명확한 교육목표가 있는 대학 이라면 조금불리한환경들을 잘이긴다고 봅니다

  • @dtd6797

    @dtd6797

    Жыл бұрын

    최상위권 빼고는 취업만 잡았으면 좋겠음

  • @user-ux8fj7iv8n
    @user-ux8fj7iv8n Жыл бұрын

    창창한 20대 후회없는 행복한 삶을 응원합니다!!

  • @MS-rt8st
    @MS-rt8st Жыл бұрын

    댓글들 읽다보니, 대학 안 가고도, 자신이 하고 싶어 하는 일을 하시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은 숫자여서 놀라긴 했네요. 찬찬히 읽어보면 자기만족도도 상당히 높은 것 같아서 그 점도 인상깊었네요. 다만, 그 비율(?)은 정말 궁금하긴 합니다. 댓글을 쓰지 않(못)은 비슷한 경로를 선택하신 분들의 지금 모습들요.

  • @sx_hu
    @sx_hu Жыл бұрын

    이번에 들어오니까 알겠더라 고딩 때는 하고 싶은 게 없었고 꿈도 없었다 아니 하고 싶은 게 너무 많아서 꿈이 없다고 느껴졌을지도 모르지 난 그냥 노력 없이 되는 대로만, 풀리는 대로만 공부를 했고 그냥저냥 평범한 성적으로 평범한 대학에 왔다 그나마 재밌을 것 같은 대학, 과에 들어갔는데 내가 하고 싶은 게 아니더라 이번에 대학 입학하고 나서야 가고 싶은 대학이 생겼고 정말 배우고 싶은 전공도 생겼고 꿈도 생겼다 노력해서 반드시 그 대학에 입학하고 싶다 다시금 새로운 시작을 도전하고 싶다

  • @bluerain2094
    @bluerain2094 Жыл бұрын

    공부도 재능이다 공부할 사람이나 대학가고 취업을 위해선 진짜 대학등록금으로 제대로 기술익혀서 취업하는게 낫다 학부모들의 대학에 대한 인식도 바뀌어야함

  • @user-mc1oi1vf5d
    @user-mc1oi1vf5d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요즘 웬만한 학교만 가면 다 비슷비슷한거 가르치기 때문에 취업하는데 문제없음.... 우리학교 그리 높은 편 아닌데 같이 놀던 동기가 삼전 드가는거 보고 엄청 놀랬던 기억이 있네요. 대학와서 포기하지 말고 커리큘럼만 열심히 따라가도 면접의 절반은 준비됩니다 다들 열심히 삽시다

  • @user-st2mk8op2u
    @user-st2mk8op2u Жыл бұрын

    자퇴가 옳은길인지는 모르겠지만, 하찮은 아웃풋 대비 인풋이 너무 과도하게 들어가야 되는건 확실히 생각해볼만한 이슈인듯. 응원한다 애들아

  • @zzizimholic
    @zzizimholicАй бұрын

    지역에는 높은질의 일자리가 없고 취업시장에서는 지방 거점대라도 서울 경기 일반 대학만도 취급을 하지 않으니 이탈하는 게 당연... 과거 처럼 중소기업과 대기업간의 임금 차이가 작은것도 아니고 애초에 대기업이 취업하지 않으면 따라 갈 수 없으니... 하지만 저렇게 이탈한다고 해도 대부분이 낙오하니 더 큰 문제지. 과거에는 학업 인플레가 경제 성장에 도음을 줬지만 계속 우상향 하던 경기도 이제 끝났고 오히려 짐이 될 시기가 온 듯

  • @yangkyungwoon
    @yangkyungwoon Жыл бұрын

    지방대 입학해서 공부를 등한시하고 학점도 형편없게 졸업하는것이 최악의 상황...졸업후 이도저도 못하게됨

  • @jeonhj1740

    @jeonhj1740

    Жыл бұрын

    난 저걸 17살때 예상하고 고등학교 자퇴하고 기술배워서 지금은 내 공업사차려서 월 1000~2000벌면서 잘놀러다니며 즐기며 잘살고있음 절대 대학이 다가아님 그 학원비며 등록금이며 모아서 애들한테 주는게 더낫다고 생각함

  • @user-ui7bm8in4e

    @user-ui7bm8in4e

    Жыл бұрын

    4대보험되는 안정적인 편의점이 전국에 수십만개다 걱정들마

  • @user-kq5ko4mz8x

    @user-kq5ko4mz8x

    Жыл бұрын

    @@jeonhj1740 인정.

  • @user-tk7ys3zf7t

    @user-tk7ys3zf7t

    Жыл бұрын

    @@jeonhj1740 얌마 너는 인생에 화폐만이 전부냐..머리에 양질의 지식이 있어야 된다. 니 수준이 딱 맞는 돈을 번다. 그게 마니 번다고 자랑이냐. 너는 그릇이 그것뿐이다.. 옛말에 머리좋은 고졸며느리를 맞을래 뒷문으로 나온 대학나온 며느리를 맞을래. 주저없이 대학나온 며느리 라고 그런데다 .니 자식도 그냥 짬밥 먹여

  • @JAY_1_29

    @JAY_1_29

    Жыл бұрын

    @@jeonhj1740 대단하시네요.. 결단력이 대단하신 듯.

  • @user-jr3vq7xo1c
    @user-jr3vq7xo1c Жыл бұрын

    지방도시나 촌이 점점사라지고 현재 나이드신분들이 20~30년후 돌아가시면 지방은 정말 암울합니다.지금부터라도 정부와 각 지자체,공기업분산,지역주민채용 우선등 많은 노력해야합니다.수도권몰림현상 심각하네요

  • @wonderlady6552

    @wonderlady6552

    Жыл бұрын

    지방에 일자리가 읎다. 공장밖에 안보임

  • @cccc271

    @cccc271

    Жыл бұрын

    @@wonderlady6552 ​ 대학교나 대학교 교수가 클럽이나 술집 다니는 애들보다 수준 엄청 떨어짐... 이게 지금 대한민국 현실 술집이나 클럽다니는애들 여러가지 알바나 사회경험이나 투잡이상 뛰는애들 많고 또 본인들이 살기위해서 더 열심히 뛰는 분도 전세계+전국적으로 많죠 그래서 슈퍼카끌고 다니는분도 많아요 ... 이런분들이 왜 돈이 많고 ... 수천억에서 수억원에 도달하는 람보르기니 + 페라리 + 마세타리 + BMW + 벤츠 + 아우디 등등 이런 고성능 슈퍼카를 왜 끌고 다니겟어요? 다 이유가 있습니다 차라리 학교에서 실패할 바에 어릴떄부터 그 시간에 돈 존나 모으고 차사고 집사고 피부과 가고 얼굴에 외모 더 신경쓰고 극복하고 운동가고 하면서 요즘 유행하는 존잘+존예인지 뭔지 그거에 맞게 인생 각 매년 맞게 살면서 본인의 커리어 쌓고 살아가는게 훨씬 요즘 세상에는 그게 더 큰 이득입니다 리얼

  • @wonderlady6552

    @wonderlady6552

    Жыл бұрын

    @@cccc271 ㅇㅈ

  • @gsm2331
    @gsm2331 Жыл бұрын

    참 잘됐군요~!

  • @user-gf7nv7lr1i
    @user-gf7nv7lr1i Жыл бұрын

    하고 싶은 걸 배우는게 맞다. 전공대로 사는사람 몇이나 있다고... 원하는 과에 들어갔다면 다행인데 아니라면 전과 복수전공 편입 방법은 많다. 아니다 싶으면 바꾸는거고 잘 모르겠으면 타과 수업 들으면서 버텨도 되지싶다. 돈 잘 벌까봐도 좋고 뭐라도 좋으니 일단 대학 졸업하면 된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 이제 신세계가 펼쳐진다... 먹고 사는 생존세계...

  • @flffl9638
    @flffl9638 Жыл бұрын

    대학교를 나와야 적어도 같이 일하기 창피하지않은 사람들이 있는 곳으로 취업할 기회라도 얻습니다 ,, 열심히 공부해서 대학교 입학 후 좋은 사람들과 제대로 대학생활 즐기고 준비해서 취업한사람중에 아무도 대학 가지마라할 사람 없을듯 ,, 대학이 필수는 아니지만 사업이 아닌 사회로 올바른 길 걸을 사람들에겐 인생의 지표, 보기가 될수있어요,, 그리고 당연히 지방전문대 이런 곳 갈정도로만 노력하고 입학했다면 돈만 버리는게 맞고 안다니는게 이롭습니다 ,,

  • @flffl9638

    @flffl9638

    Жыл бұрын

    @@CCC-xy9dy 그렇게 살거라면 대학을 안가는게 맞지요 사실상 유능한 교수의 가르침보다는 4년제 대졸이라는 졸업장 받기위해 가는것이고 기업 취업이 목적이라면 거의 필수이니까요 ,, 애매한 지잡대가거나 전문대, 안다니느만 못한 학교 입학해서 등록금 몇천만원 버릴빠엔 님 말처럼 노동직을 가거나 평생 알바만 하는게 더 나은거같긴해요

  • @Life-qj2qq
    @Life-qj2qq Жыл бұрын

    순수한 학문의 배움은 사라지고, 취업하기 위해서 대학교 가고, 자퇴하는 현실이 참 안타깝습니다...

  • @Mingcream

    @Mingcream

    Жыл бұрын

    순수한 학문의 배움으로 대학이 성립된 르네상스 시기의 대학생은 대체로 금수저~부르주아들이었습니다. 그러니 순수 학문 추구가 가능했죠. 지금 이 시대에 취업 수단으로서 대학이 존재하는 게 영 이상하진 않다고 봅니다. 다만 수도권에 모든 게 몰려서 지방대를 자퇴해야하는 현실이 안타깝네요.

  • @TV-ff8qj

    @TV-ff8qj

    Жыл бұрын

    돈이 문제죠. 지금도 금수저고 학문에 흥미가 있는 애들은 순수배움의 목적으로 대학교 입학합니다. 돈없는데 똑같은 목적으로 가면 그게 세상물정을 모르는거임.

  • @user-vj6ip6no1q

    @user-vj6ip6no1q

    Жыл бұрын

    @@TV-ff8qj ㄹㅇ 맞는말

  • @gwiy7688

    @gwiy7688

    Жыл бұрын

    @@TV-ff8qj 그렇죠. 학문의 배움 이전에 먹고 살아야하잖아요. 당연한 선택 같네요

  • @markseo2146

    @markseo2146

    Жыл бұрын

    고졸이면 서류전형 탈락

  • @user-qy7uh3gz8r
    @user-qy7uh3gz8r Жыл бұрын

    서울수도권이냐? 아니냐?의 차이가 크고 지방의 경우 기업체의 비율이 떨어지니... 지방대들이 각과의 최우수 학생비율을 정해서 취업이 가능한 우수인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기업과의 파트너쉽이 중요하지 않을까요?

  • @alsrusla
    @alsrusla Жыл бұрын

    학업에 뜻을 가지고 한 과목을 집중 탐구하고 싶다 하는 목적을 가지고 대학에 진학해야 하는게 맞는건데 취업을 목적으로 대학교를 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게 되는 사회이니 이 얼마나 안타까운가

  • @user-ie6xc4ij1l

    @user-ie6xc4ij1l

    2 ай бұрын

    기업이 대졸을 원해서 그래요

  • @shoveler_kaist
    @shoveler_kaist Жыл бұрын

    나도 사실 학벌세탁하려는 목적으로 대학원 왔지만 아주 솔직히 이걸로 다른 무언가를 이루기보다는 개인의 만족이 훨씬 큰 부분을 차지해서이지...직장인의 목표 1위가 퇴사인 이 상황에서 대학으로 좋은 직장가고 하는거에 의미를 두기는 힘든 것이 현실이고 나이가 어릴수록 본인의 것을 찾아가는 것이 훨씬 좋다고 봄

  • @pplkp3619

    @pplkp3619

    Жыл бұрын

    마즘 학벌주의가 확산된 것도 크지만 사실은 개개인의 욕구 만족을 위한 게 대학진학인데 여기 댓글들은 쓸데없는 말이 너무 많다

  • @shoveler_kaist

    @shoveler_kaist

    Жыл бұрын

    @@pplkp3619 공감해줘서 고마워 형. 근데 사실 개빡세긴하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NewPurity

    @NewPurity

    Жыл бұрын

    @@pplkp3619 ㅇㅈㅇㅈ

  • @junks727
    @junks727 Жыл бұрын

    저는 이번에 전자공 졸업하지만 다니는 내내 원하지 않는 공부라고 느끼기만 하고 자퇴는 꿈도 못 꿨는데 지나고 보니 저런 결단력이 부럽기만 하네요.

  • @yohane_PARHELION

    @yohane_PARHELION

    Жыл бұрын

    그렇긴함 20대초반에 빠르게 결단 내리고 행동하는게 가장 현명

  • @joy8637

    @joy8637

    Жыл бұрын

    저도 결단력이없었어서 4년내내 방황만 하다 졸업했네요 ㅠ

  • @skk4517

    @skk4517

    Жыл бұрын

    결단력이 오판과 후회로 점철되는 사람 많습니다. 부러워하지마세요. 그냥 묵묵히 버티는 것도 아무나 못하는거에요.

  • @jackblack6081

    @jackblack6081

    22 күн бұрын

    전자공학 어렵죠, 커리쿨럼 내내 외계를 들었으니. 수면제 교수님 수업들어가면ㅜㅜ 그것도 지도 교수님시라면ㅠㅠ

  • @user-di7ff5ji7u
    @user-di7ff5ji7uАй бұрын

    원레 대학이라는곳은 인생을 더 크게 배우라을 의미로 사람의 자질을 더 발전시키면서 배우는곳이여야 하는데 오로지 취업의 목적으로만 배우려다 하니 생각이 있는사람들은 차라리 대학을 안가고 다른방법으로 돈벌려고 방법을 찾겠지 ..

  • @dennylucy
    @dennylucy22 күн бұрын

    좋은 대학, 대기업이 목표면 나중에 현타가 씨게 옵니다 적성에 맞는거 하는게 최곱니다 선생님이 됐건 도배장인이 됐건간에 적성에 맞는건 따로 있음

  • @tuna-dw127
    @tuna-dw127 Жыл бұрын

    맞아....내가나온 과에서 전공살려 취업하기 힘듬...차라리 동록금으로 다른걸 하는게.....

  • @user-oz1no4kk5v
    @user-oz1no4kk5v Жыл бұрын

    취업은 어짜피 힘드니 그냥 자기 가고싶은, 배우고싶은 학과 선택해서 가는걸 추천. 차라리 그래야 본인 취향이나 잘하는 분야라도 알아서 그쪽으로 일자리 알아보고 준비할수있지 성적맞춰서 대학가는건 수도권 아님 의미없는거 같다. 조금이라도 자기가 즐겁고 잘할수있는 일을 찾아서 하는게 중요한데 고등학교때 못찾았다면 흥미있어보이는 학과에서 무엇을배우는지 찾아보고(과이름과 다른걸 배울수도 있습니다) 선택하는게 좋을것같다

  • @user-kv2gb5pf6b
    @user-kv2gb5pf6b Жыл бұрын

    지금 40대인 입장에서 친구들 둘러보면 과 맞춰서 졸업한 친구는 탄탄하게 자리잡았고, 과도 모르고 학교보고 간 친구들은 아직까지 고정수입X, 결혼X, 자녀X, 집X ....결국 자기 의지가 뚜렷하고 소신있게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 @myYoyacs

    @myYoyacs

    Жыл бұрын

    하지만 학교집학원 루틴만 도는 일상 속에서 소신을 찾기가 쉽지 않죠.

  • @user-st6vb5pu6s

    @user-st6vb5pu6s

    Жыл бұрын

    @RookieZin 그건 핑계라고 봅니다.. 항상 부각시켜서 이것 때문이다 또는 저것때문이다 하고 일부 국민들이 핑계를 너무 잘 대면서 사회탓 나라탓하고 있네요 취업못하는 건 그 사람 역량이 문제가 큰거라고 봐야죠

  • @user-st6vb5pu6s

    @user-st6vb5pu6s

    Жыл бұрын

    @RookieZin 그래서 취업을 못하시고 돈을 못벌고 있으시나요??????? 네??

  • @user-st6vb5pu6s

    @user-st6vb5pu6s

    Жыл бұрын

    @RookieZin 정부탓 안해도 잘 살고 있는 분들은 많습니다. ㅋㅋㅋㅋ 그래서 취업시장이 무너져서 취업을 못하는건가요???? 애초에 취업난이 아니라 인력 난입니다.. 학업이 딸려도 대우받고 돈많이 벌고 워라벨 보증되고 그런 직장을 구할려고 하니까 취업난이다 어렵다 하시는겁니다.. 정작 필드에서는 사람이 없어서 모든 일을 도맡아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글의 요지는 잘배우고 잘 취업을 해서 사는게 힘들다 라는건데 뭔 쌉소리를 하시나요? 잘 못배운건 그 사람 역량이 딸리고 사고 방식이 딸려서 못큰겁니다... 계속 정부탓 나라탓 하세요 그럼 변하는게 있나 내가 올라갈 생각을 해서 어케서든 비집고 올라갈 준비를 하는 사람만 위에 있을껍니다. 님처럼 탓 탓 탓 하시는 분들은 무엇을 해도 바뀌지 않을꺼구요 ㅋㅋㅋ

  • @user-st6vb5pu6s

    @user-st6vb5pu6s

    Жыл бұрын

    @RookieZin 애초에 과거에 운운하시면 높이 올라갈 수가 없는데 계속 변함없으시는거 같습니다. 정부가 개판쳐서 취업을 못하는건 핑계가 맞습니다. 2018년 2017년 후배들도 지금 본인이 열심히해서 금융권, 증권, 대기업 과장, 사기업 과장으로 승진해서 잘살고 있습니다.. 천재처럼 범재가 열심히 준비해서 취업을 한다면 못할 께 뭐가 있을까요? 결국 잘 알아본적 없는 그 분 소수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 안하시나요? 사회가 어려워진대도 어케 서든 절약하고 존버를 하던 버티던 해서 집마련하고 자가 마련한 분들은 뭐 뒷돈 받고 일하셔서 그리 번건가요???? ㅋㅋㅋ 말 가려하십쇼 그냥 일부 사람들이 쉽게 돈벌고 쉽게 살고 싶어서 꾀부리다가 결국 나라탓 정부탓 하시는 분들이 주위에 많습니다. 그런 분들은 제가 승승장구할때마다 할말이 없으시더라구요 ㅎㅎ

  • @jsejun
    @jsejun Жыл бұрын

    제 동생도 경기도에 가족 모두 처음 들어본 대학 들어가서 1년 만에 자퇴하고 공부해서 경찰 됐는데요. 쓰는 중에도 가서 머리 쓰다듬어 주고 싶네요.

  • @useruserlllooo

    @useruserlllooo

    5 күн бұрын

    용인송담대 인가요? ㅋㅋㅋ

  • @user-hp6wq4kq9f
    @user-hp6wq4kq9f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취업한 후 드는 생각은 진짜 내가 좋아하는 일을 찾거나 한 분야에 관심이 생겨 공부를 하고 싶은 생각이 들 때 대학이라는 길은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대학을 굳이 나오지 않아도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거나 자신이 생각하는 행복이 실현될 수 있다면 대학은 필수가 아니라고 본다. 이게 내 결론.

  • @user-wf7bf3rg5y
    @user-wf7bf3rg5y Жыл бұрын

    대학교가 단지 공부만하는 곳은 아닌것 같아요 이런 저런 사람도 겪고 사회경험미리 하면서 학생회같은 활동도 했던 경험이 사회나와서 그대로 다 활용됩니다. 놀더라도 대학생활을 하고 안하고는 차이가 있고 대학수준이 연봉과 직결되지는 않아요 확률적으로는 물론 좋은 대학 좋은 배경이 더 좋은 결과를 만들 가능성을 높이긴하지만 본인의 선택에따라 그 뒤의 환경은 만들어가기 나름입니다. 남들이 다 하는 경험을 가능하다면 포기하지 마세요... 물론 가능하다면에 여러 경제적 환경도 포함되지만

  • @JHitory
    @JHitory Жыл бұрын

    전 오히려 대학이 중요한게 아니고 과 선택이 중요하다 생각해요. 그 과를 나와야만 할 수 있는 직장이나 공무원직업들이 있는데 그런걸 알아봐야 할듯 합니다.

  • @Awesome-im1sf
    @Awesome-im1sfАй бұрын

    어릴때부터 대학 가야된다는 분위기에 등떠밀려 겨우겨우 성적으로 갈수있는데 들어갔지만 대학교 공부도 별로 막 와닿지 않고 인터넷에 경험담들이나 후회등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니까 저럴수 있지 이상한 현상이 아님. 대졸중에 자기 과랑 관련있는 취업하는 사람이 생각보다 엄청 소수거든.. 경영학과 나온 사람이 가짜음식 만드는 곳 가서 딸기모형 씨앗 찍고 있던데 자기한테 진짜 맞는 일이 뭔지 고민해보는 시간이 공부보다 더 필요함. 둘을 밸런스있게 같이 하면 더 좋고 베스트는 고민 먼저 해보고 진로 정한후 거기에 필요한 공부들만 집중적으로 하면 생각없이 그냥그냥 있다가 대졸 겨우 하고 자기 과랑 안맞는 일하는 사람보다는 돈.시간 낭비 훨씬 덜하는거

  • @user-qb7bb6ve9h
    @user-qb7bb6ve9h Жыл бұрын

    제일 중요한건 본인이 관심있고 열정이가는 일임. 대기업 공기업 좋지만 적성안맞음 지옥. 맞춰살거나 때려치거나. 대학이 중요한게아니라 본인이 무엇을 하고 보냈는가가 중요함. 지방대에서도 그걸찾아 노력하면 적성찾고 실적많이 쌓을수 있음. 하지만 더 욕심이 생겼을때 그 기회가 상위권대학이나 서울쪽에 상대적으로 많다는거

  • @dodori0007
    @dodori0007 Жыл бұрын

    생각보다 대학생 모두가 취업 한길만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공방,미용,창업 등 다양하게 가요! 저도 신입생 때는 취직만 생각했는데 막학기 동기나 선배들 보면 그게 전부가 아니더라구요.

  • @SiriusJay
    @SiriusJayАй бұрын

    중고등학생들에게 정말하고싶은 얘기가 공부를 왜해야하는지 답할수없다면 공부 하지말고 자기가 하고싶은 일을 찾는 것을 먼저 추천하고싶음 전 고등학생때 물리가 좋아서 대학을 물리학과로 가고싶었고 고등학생때도 전과목 공부가 아닌 물리 수학만 공부했고 다행히도 공부했던 과목들 성적도 오르고 운좋게 도내 경시대회도 나갔었음 전과목 잘할거 아니면 선택과집중을 해서 자기가 하고싶은 한과목이라 제대로 파서 관심을 가지고 대학을 갔으면 좋겠음 정말 공부를 잘해서가는 의대나 특수한 학과들을 제외하고는 학창시절에 공부도 집중하면서 여가시간에 다른 취미도 가지면좋겠음(악기나 스포츠) 요즘학생들 취미가 게임말고 뭐가 있을까 궁금함 암튼 저는 하고싶은 공부 계속해서 비록 지방대 박사출신이지만 해외에서 연구원으로 생활중인데 그냥 하고싶은 일 따라서 했으면좋겠음 당장의 돈이나 상황에 신경쓰지말고 잘하는 일에 집중하다보면 돈은 따라오게 되어있음

  • @user-zt6cp3ts3i
    @user-zt6cp3ts3i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등록금도 한몫한다고본다 사립대 등록금이너무비싸니까 가고싶은학과 하고싶은일 등 무시하고 그냥 지거국으로 몰리는거고 다니다보니 아니다싶어자퇴하는거지 일반 지방사립대보다 지거국 자퇴율이 더높은게분명할게 집안형편때문에 등록금에쫓겨서 떠밀려서 그 학교로 간 학생들이 많기때문임 막상 대학가서 다니다보니 학바금대출등 다른 방도가 있는걸 알게되고 또 다른 현실들을 파악하고 그때서야 진짜로 본인들 하고싶은대로 해보는거임

  • @user-hp8zm1qx6t
    @user-hp8zm1qx6t Жыл бұрын

    이제는 교육제도 바꿔야 합니다 공부가 적성에 맞는 학생은 대학에 가고 나머진 기술을 배우거나 다른길로 가야합니다 그렇게 하는것이 진정한 선진국으로 가는길 입니다

  • @102manwon

    @102manwon

    Жыл бұрын

    언제적 기술이냐 이제는 기술로는 밥 못벌어먹고 산다

  • @user-vb1ds7nb5s

    @user-vb1ds7nb5s

    Жыл бұрын

    @@102manwon 우리나라 석유나옴? 기술없이 어떻게살까나

  • @user-hp1es7qe7q

    @user-hp1es7qe7q

    Жыл бұрын

    @@102manwon ㅋㅋㅋㅋㅋㅋ ㅄ

  • @IlIllIlIllllllIIIIll

    @IlIllIlIllllllIIIIll

    Жыл бұрын

    @@102manwon ? 기술의 중요성은 옛날보다 현재가 더 중요한데

  • @IlIllIlIllllllIIIIll

    @IlIllIlIllllllIIIIll

    Жыл бұрын

    @@102manwon 우리나라 주력산업이 전부 이공계열 산업인데 뭔 ㅋㅋㅋㅋㅋㅋㅋ

  • @jerrykim4837
    @jerrykim4837 Жыл бұрын

    요즘 시대엔 수도권이나 원하는 직업 전공과 아니면 대학교 시간낭비임

  • @user-sv5mj3tw4x
    @user-sv5mj3tw4x22 күн бұрын

    잘 하는 일을 찾아 직업을 삼아야 합니다,, 좋아하는 일을 직업으로 삼으면 망하기 십상이고, 내 인생에서 그 좋아하는 일마저 사라져버리기 쉽습니다

  • @GolGoDiA
    @GolGoDiA Жыл бұрын

    대학3때 교수님이 자격증 못따면 어떡할거냐는 질문에 물어보는 학생마다(여초과) 결혼한다는 대답에 충격먹은 교수님 잊혀지지가 않는다. 하고싶어 하는 사람이였으면 다시 도전한다 또는 비슷한 다른걸 공부해보겠다 그랬을텐데 성적맞춰 아무생각없이 들어오니까 그렇게 되는거 같았음.

  • @kiky_witch

    @kiky_witch

    Жыл бұрын

    간호학과인가요?

  • @user-tl5wy5jg4w
    @user-tl5wy5jg4w Жыл бұрын

    대학은 원래 학문탐구와 연구가 목적인 사람이 가는곳이다. 취업이 목적이라면 직업전문학교를 가야지. 앞으로 대학교는 도마나 하나씩만 남기고 나머지는 다 직업전문학교로 만들어야 함.

  • @arsenal_of_democracy

    @arsenal_of_democracy

    Жыл бұрын

    유럽이 진작 그랬었음 학문에 뜻 있는 사람만 대학 보내고 취업할사람은 직업학교보냄 한국 특유의 학벌주의가 한국 망하게 하는 길일 거임

  • @user-sj1bw2ll8m

    @user-sj1bw2ll8m

    Жыл бұрын

    저는 고등학생 내도록 꿈이 생명과학 연구원이되어서 난치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 치료해주는 약 개발하는 거여서.. 알아보니 석박사는 나와야 한대서ㅠㅠ지방 생명과학과 이지만….. 남은 학년 열심히 잘 계획해서 박사나 석사는 해외에서 배우고싶어여… 올해 23살인데 2년을 휴학에 쓰고 약학대학. 편입 시험에 쏟아부어서ㅠㅠㅠㅠ 내년에 3학년이에여

  • @user-tl5wy5jg4w

    @user-tl5wy5jg4w

    Жыл бұрын

    @@systemhacking 사회에서 알아주는 일 하고 싶으면 대학을 가면 되죠. 우리나라의 문제는 대학을 갈 필요가 없는 사람들도 부모가, 사회가 대학을 가도록 강요한다는것에 문제가 있어요. 사회가 대학을 강요하니깐 뚜렷한 꿈이나 목표없이 그냥 대학을 가는걸 지적한 겁니다

  • @azzinny

    @azzinny

    Жыл бұрын

    사실은 두 목적이 절충되어 있는 게 현실이에요.

  • @kookitube6563

    @kookitube6563

    Жыл бұрын

    원래 대학은 중세 유럽에서 교회에서 필요한 기술자들을 양성하기 위해 만든곳이란다

  • @Hwang9451
    @Hwang9451 Жыл бұрын

    1학년때 선배 및 규율 따지다가 반수하다가 서울에 들어 왔는데... 지하철타고 다니는게 환상이며... 서로 바빠서 선배라고 규율따지는거 없음,,, 그리고 국장이 너무 좋음ㅁ.

  • @user-dz7ej1ic1x
    @user-dz7ej1ic1x Жыл бұрын

    자기가 하고 싶은걸 하는게 제일 좋음 자기한테 안 맞는 일 해서 괜히 스트레스 받는거 보다.대학도 수준 따지고 오로직 대기업 취직만 할라고 안 하고 자기가 관심있는 학과 가는게 좋을듯.

  • @user-nd8nw8ii3h
    @user-nd8nw8ii3h Жыл бұрын

    대학들어가서 소득과 안정적인 취업이 보장이 안된다면 비싼 등록금내고 다닐필요가 없기때문에 돈하고 시간만 아깝습니다.

  • @user-dg7qy2ep2y
    @user-dg7qy2ep2y Жыл бұрын

    엊그제같은 고등학생시절 그땐 내가 뭘하고싶은지도모르고 공부만했죠 12시까지 야자하고 도망가면 담날 아침 엎드려 뻗혀서 매를맞으면서요 내가 뭘하고싶은가와는 상관없이 그저 좋은 대학을 가기위해서 미친듯이 경쟁하고 성적을 올려야하는 현 교육시스템이 만들어낸 문제같습니다 곧 30을 바라보는 아저씨가 되어버렸지만 아직도 변한게 하나도고 바꿀려는 의지도 안보이는 이 나라가 참 안타깝네요 그때 내가 너무 힘들었기에 지금 학생들이 얼마나 힘들지 마음이 아파요

  • @0906ILGOYAMADO

    @0906ILGOYAMADO

    Жыл бұрын

    @@CCC-xy9dy 삐끼 새끼 매크로 돌리나?

  • @glowch2575

    @glowch2575

    Жыл бұрын

    곧 30을 바라보는 아저씨;; 애새끼가 무슨 영감탱이처럼말하네

  • @user-rn1mu6oc4o

    @user-rn1mu6oc4o

    Жыл бұрын

    당신 자식 있습니까? 당신 자식도 대물림 될기예요

  • @user-ck4sz5yn9g

    @user-ck4sz5yn9g

    Жыл бұрын

    아니 그럼 특성화고 가시지 왜 일반고 가심요?

  • @Light_ysh

    @Light_ysh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2030대들 대부분이 다 무능한 교육과정으로 인한 피해자들임. 가르치는데에만 열중하느라고 어떻게 배워야하는지 전략조차 안짜고 무조건 배우고 열심히 하라고만 하니 나이먹고 할게 없어짐. 내 10대의 인생목표는 대학교였으나 막상 대학을 나와보니 허무함 그자체였음. 이걸로 취업을 하는게.될까 난 여기서 뭘 하고있는걸까. 내가 지금 여기에 앉아서 이짓거리를 하는게 맞나. 그래서 그때부터 삐딱선을 타기 시작함. 그리고 군대가면서 자퇴결정하고 자퇴하고 바로 직장에 무지성 박치기함.

  • @user-qu1pi2ok5y
    @user-qu1pi2ok5y Жыл бұрын

    이 좁은 땅덩어리에 대학이 너무 많음 그리고 취업이나 자격증 때문에 대학 들어오지 뭐 때문에 4년이란 시간을 낭비하겠음?

  • @akeiakeh4555

    @akeiakeh4555

    Жыл бұрын

    졸업장이라도있는게 고졸보단 나음

  • @user-um5kx3wx1i

    @user-um5kx3wx1i

    Жыл бұрын

    @Chicago Cubs 생산직 안들어가려고 대학가는 건데?

  • @user-di1ox6fe3f

    @user-di1ox6fe3f

    Жыл бұрын

    @Chicago Cubs 우리나라가 아무리변했어도 사농공상은 바뀌지 않을텐데, 가방끈 긴 애들이 생산직 누가하려하나요 부모가 그 전에 때려말릴듯

  • @user-sj8vy7gl8n

    @user-sj8vy7gl8n

    Жыл бұрын

    이 좁은 땅덩어리에 5200만명이 더 많은데 호주를 봐봐 미국하고

  • @ahfld5959

    @ahfld5959

    Жыл бұрын

    생산직 무시하는 사람많은데... 대기업 생산직 초봉 6000넘음... 학력포기서 쓰고 들어가는 사람이 태반이고 내 사촌형도 금호석유화학인가 들어가서 6천 후반대 받던데 ㅋㅋ

  • @user-th8lr9tz9m
    @user-th8lr9tz9m Жыл бұрын

    수도권에 교육 정치 경제가 다 집중 되어 읐으니 서울 외 다른 지역은 점점 낙후되고 서울은 살기 더 빡세질 수 밖에 없지. 서울에서 기업과 대학을 몰아내고 다른지역으로 보내야 균형있게 발전할듯.

  • @user-yn4od5dj3q
    @user-yn4od5dj3q Жыл бұрын

    여태 살면서 후회하는게 단 1년반이라도 대학다닌게 제일후회된다 에휴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