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교육에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부모님들의 궁금증을 해결 해줄 그녀가 왔다!

Ойын-сауық

티빙에서 스트리밍 : tving.onelink.me/xHqC/30a78d6f
#유퀴즈 #유재석 #조세호
유퀴즈온더블럭 YOU QUIZ ON THE BLOCK EP.211
#그날이_왔다
현실 양육 솔루션 제공!
대한민국 부모 멘토!
정신건강의학과 조선미 자기님
매주 (수) 저녁 8시 45분 tvN 방송
#티빙에서스트리밍

Пікірлер: 176

  • @user-se9mp1sm5o
    @user-se9mp1sm5o9 ай бұрын

    조선미 교수님 진짜 최고의 교수님이세요~~ 많이 안 알려져서 그렇지 스타성이 아니고 아동심리 교육분야 최고이심👍👍👍😍😍😍

  • @user-un1yt3lm5u

    @user-un1yt3lm5u

    9 ай бұрын

    너무많이 알려지면 몸값올라감..지금 티비 나오는것도 마니 알려진것임 ㅠ

  • @kellyahns

    @kellyahns

    9 ай бұрын

    진짜 나만 알고 싶은 꼭꼭 숨겨놓고 싶은 교수님이었는데 ㅜㅠ. 말도 진짜 재밌게 잘 하심요

  • @luvehem

    @luvehem

    9 ай бұрын

    전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저쪽 학문에서 전문가들 실력 거기서 거기임. 인간 심리는 아직도 깊은 심연임.

  • @sujioo4846
    @sujioo48469 ай бұрын

    아이가 초등학생인데 아이들 친구 사이에서 보면 사과 잘하고 하니 마음이 좀 그럴때 많습니다. 자기가 잘못해도 사과하지 않고 "그래서 왜 "하는 애들이 많다고 아이가 이야기 하더군요. 자기에게 잘못하면 난리치면서 정작 남에게 그러면 사과할줄 모르고 왕자 공주로 크는 아이들이 너무 많다 느낍니다. 그런데 항상 담임선생님들에 말씀이 힘이 납니다. 아이가 참 바르다고 칭찬해주시고 만나는 선생님들 마다 이뻐해주셔서 내가 괜히 규칙이나 예의를 너무 중시했나 하는 어리석은 생각을 깨우치게 해주시네요

  • @wlwlgus5070

    @wlwlgus5070

    9 ай бұрын

    잘키우고계신거에요^^ 인사,감사,사과 이세가지만 잘해도 좋은 평가받는 현실이 참 어이가 없지만 그만큼 기본이 안된 아이들이 많답니다ㅠ

  • @user-lh9hh2kc6e
    @user-lh9hh2kc6e9 ай бұрын

    안돼! 도 하지 말라는 인스타 방구석전문가들의 릴스만 보다가.. 조선미교수님을 유퀴즈로 만나다니 너무 감개무량합니다ㅠㅠ... 복도에서 뛰지마!!!! 하고 소리만 질러도 기함하는 요즘 부모들.. 제발.. 제대로 키우세요ㅠㅠ...

  • @user-jh3tm6dd7b

    @user-jh3tm6dd7b

    9 ай бұрын

    미국에 사는데 두어살 정도까지는 위험한 상황이 아니면 안돼같은 부정적인 말을 하지 말라고 하긴 함. 유아기가 지나도 한계를 안가르치고 훈육을 안하는게 문제지.

  • @user-qo1wj9so3m

    @user-qo1wj9so3m

    9 ай бұрын

    사실 근데 그 "뛰지마" 가 "소란스럽게 하지마 "일수도 있지만 "그러다 다치니 조심해" 라는 의미도 내포되어있을텐데 ㅠㅠㅠ

  • @user-ps7qb8sy5u

    @user-ps7qb8sy5u

    9 ай бұрын

    진짜 그 안돼가 몇살인데 안돼인지 ㅜㅜ 말을 못알아 듣는 애한테 안돼하지 뭐라고 말해야 돼요 대체... 하 그런육아법 진짜 싫어요. 그럼 안돼란 말은 왜 있는거야🥵

  • @kellyahns

    @kellyahns

    9 ай бұрын

    @@user-jh3tm6dd7b근데 미국도 방구석 오은영박사님들이 많아서 … 이상하게 애 키우는 사람들도 많아요. 어느 의사도 두살전에 노 하지 말라고 안하더라구요. 이상한 인스타 애들이 그러지 😅

  • @user-jh3tm6dd7b

    @user-jh3tm6dd7b

    9 ай бұрын

    @@kellyahns 아뇨. 우리 아이 소아과샘이 그러셨어요. 어디 인스타에서 들은게 아니라.

  • @Dev_King_ez
    @Dev_King_ez9 ай бұрын

    공항에서 보안 검색대 지나야 하는데, 유모차에 타고있던 여자 아이(대략 3~4살)를 부모가 내리게 하려고 안았는데, 때를 쓰고 난리가 남. 그때 엄마 왈 "내려야 해요. 내리기 싫어요?" 하면서 애를 내버려둠. 아빠가 나서서 애를 업음. 울고 불고 때쓰고 난리남. 검색대 다 지나고 엄마가 아이에게 하는 말 "내리기 싫었어요? 짜증났어요?"하는데 애 표정은 세상 싫은 짜증난 얼굴 유지.. 내가 꼰대인지 모르겠으나, 이런식으로 애를 키우면 그 애가 나중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지 걱정되더라. 해야할 일에 대한 명확한 구분을 안해주는 멍청한 부모, 그 상황에서도 애의 마음을 봐주겠다며 존대해가며 애의 마을을 살피는 부모,, 노답이더라 진짜. 이거 내가 잘못된건가?

  • @user-bz3xm5hm9v
    @user-bz3xm5hm9v9 ай бұрын

    제가 육아를 하면서 이론과 현실에서의 괴리감이 느껴질 때 조선미교수님의 영상으로 명쾌한 조언을 듣고 많이 배웠습니다. 유퀴즈에서 보니 신기하고 반갑네요. 이렇게 댓글로나마 제 진심 전합니다. 감사합니다.

  • @sooinjeong3443

    @sooinjeong3443

    5 ай бұрын

    😅😅😅😅

  • @user-ps7qb8sy5u
    @user-ps7qb8sy5u9 ай бұрын

    요즘육아... 요즘교육에 좀 뭐랄까..너무 애위주다 했던게, 애들이 이상해지는건지 부모가 이상해지는건지 애들이랑 부모들이랑 같이 있을때도 유독 뭔가가 이상하다고 느끼고 있었어요...애들의 자존감에 문제가 있을까봐 걱정하고 배려한다고 하는게 애들을 망칠수 있다는 생각을 좀 하고 키우는 환경이 될수있게 해주셔서 오히려 감사합니다. 아주 속시원한 방송이였어요❤

  • @chanheelee4077
    @chanheelee40779 ай бұрын

    정말 최고셔요! 아이 때문에 힘들다면 조선미 교수님 영상 다 찾아보세요 정말 명료하고 간결하게 메시지 전달해주셔서 적용도 쉽습니다. 아이들을 사랑한다면 다른 사람에게 폐를 끼치지 않는 사람으로 키워야 해요 그래야 내가 사랑하는 아이가 모든 사람에게 사랑 받습니다. 그 방법을 알려주고 계신 분이세요!!!!!! 자주자주 나와주세요 교수님!!!!!!!

  • @kyoungwonlee4377
    @kyoungwonlee43779 ай бұрын

    팬이에요 정말. 내면이 강한 아이로 키우라는 말씀. 너무많이 공감하고 그렇게 키우려고 노력합니다. 오늘 방송도 정말 유익합니다. 교수님을 게스트로 초대하신 제작진 최고!

  • @user-sd2gz6sh7o
    @user-sd2gz6sh7o9 ай бұрын

    최근에는 늘 아이의 말에 경청을 하고 의견을 귀울여야만 좋은 교사, 학부모인지 아는데, 때로는 교사, 학부모와 지나치게 허물없이 지내는건 좋지 않다. 어른은 어른다워야 하며 그에 따른 권위가 있어야 한다.

  • @user-qr5es6dx4d

    @user-qr5es6dx4d

    9 ай бұрын

    ❤❤

  • @user-ew6kn9no4v

    @user-ew6kn9no4v

    9 ай бұрын

    😊

  • @luvehem

    @luvehem

    9 ай бұрын

    잘못된 가치관만큼 위험한게 없습니다. 책도 읽고 사고력도 넓히세요. 권위가 과연 뭘까요? 히틀러가 혼자 그 일을 했을까요?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히틀러를 지지하고 추종했기에 대학살이 일어났다는거 잊지마세요. 아주 권위있거든요

  • @user-uq5cb2iz4l

    @user-uq5cb2iz4l

    9 ай бұрын

    ​@@luvehem'권위적'과 '권위가 있는' 것을 이해못하신 분이네요. 여기서 얘기하는건 민주적인 권위를 말하는거에요.

  • @gracelee5322

    @gracelee5322

    5 ай бұрын

    @@luvehem 히틀러는 권위가 문제가 아니고 그냥 독재 사이코패스 입니다. 권위란 단어를 이해 못하고 계시군요.

  • @nunyoo
    @nunyoo9 ай бұрын

    이게맞지..공감도좋지만 통제가어려운 아이들한테 공감 위로 만 해주다보니 자기중심적이고 조금의 데미지만 입어도 끄앵..되고..

  • @playwithalisha4947
    @playwithalisha49479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에 진짜 필요한 전문가, 잘못된 육아법때문에 교실붕괴가 일어나지 않았나 싶어요. 교수님, 감사해요!!

  • @user-is6sp5ir9r
    @user-is6sp5ir9r9 ай бұрын

    보육 - 돌봄 교육 - 가르침 훈육 - 훈련, 반복을 통해서 익힘 (매, 큰소리는 훈육의 잘못된 방법) 싫어도 해야하는 것 하고 싶어도 참아야 하는것을 반복을 통해 배우고 익히면 사회에 빨리 적응 할 수 있다. ✔️부모가 주도권을 쥐어야 한다. 책임질 수 있는 사람 = 부모 ✔️자녀와의 소통의 황금 공식 소통의 책임은 부모에게 있다. 소통은 아이가 하고 싶어할 때 듣는 것 (소통보다는 경청) ✔️부모가 절대 하지 말아야하는 행동 - 격한 부부싸움, 이혼 이야기 - 심혈을 기울여서 하는 비교

  • @zee-ct7ex
    @zee-ct7ex9 ай бұрын

    와 진짜 ...교수님 감사합니다 교육업계에 있으면 왜 우리아이 칭찬안해주냐는 항의전화 진짜 많이옵니다. 칭찬좀 많이해달라고... 칭찬을 아무때나 하는걸 바라시는건지 칭찬받을 행동을 하지 않는데 칭찬을 억지로 해줘야 하는지.. 칭찬도 선생님이 알아서 적당히 하시는데 본인아이가 교실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도 모르시면서 칭찬을 무조건 좀 해달라고. 상장도 받을 성적이 아닌데 상장 무조건 좀 주시라고... 본인 아이 이름을 교실에서 프린세스 xx라고 불러 달라고 하는 분도 있어요. 정말 적당히들 하세요 😂

  • @BonbonKitchen

    @BonbonKitchen

    9 ай бұрын

    프린세스라니.. 😂 왕의 dna만큼 황당하네요. 🤬

  • @user-hv1hu1br5w

    @user-hv1hu1br5w

    9 ай бұрын

    ㅋㅋㅋ프린세슼ㅋㅋㅋㅋㅋㅋ

  • @user-gg6pn5kn3f

    @user-gg6pn5kn3f

    9 ай бұрын

    우리 때는 칭찬은 커녕 선생들한테 맞거나 단체 기합받는 게 일상이었는데 말이죠ㅋㅋ

  • @user_quhdxr16hf43

    @user_quhdxr16hf43

    8 ай бұрын

    와 프린세스는 커서 주변인들을 다 시녀취급하려 들겠네요 ㅠㅠ 진짜 한국의 미래가 암담하다

  • @jessica-bn1zw
    @jessica-bn1zw9 ай бұрын

    속이 시원합니다 진짜 맞는 말씀 이세요 부모가 주도권을 잡고 안되는거는 안된다라고 정확히 가르쳐야죠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vv9zv8wt2z
    @user-vv9zv8wt2z9 ай бұрын

    보육교사입니다. 아동권리 존중이 강해지면서 교사가 하는 훈육은 아동학대로 왜곡되어 해석이 되었습니다 . 마음 읽기만 하고 상황을 종료하는 교사가 마음이 좋은 교사로 인정을 받고 아이들은 점점 이기심이 커져 지도하기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아동권리 존중 교사 교육을 듣다보면 아이들에게 "안돼","안되는 거야.""옳지 않아." 등 부정어를 사용하는 교사는 아동학대라고 교육을 받고 있습니다.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에도 아이의 생각을 존중해주고 교사의 시각에서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판단하지 말라고 합니다. 현실은 옳고 그름을 알려주는 올바른 교육을 할 수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ㅠ.ㅠ

  • @user-is5mj4rz5e

    @user-is5mj4rz5e

    9 ай бұрын

    b

  • @user-ez6bb3cu2o

    @user-ez6bb3cu2o

    9 ай бұрын

    힘내세요

  • @rt_ro2953

    @rt_ro2953

    9 ай бұрын

    맞아요.... 전 그럼에도 일과 중에 상해, 자해, 위생적이지 않은 건 안된다고 말하는데 그걸로 민원 들어온 적 있고 참.. 그렇더라구요..😅

  • @user-hv1hu1br5w

    @user-hv1hu1br5w

    9 ай бұрын

    애엄만데 이해안되는 현실이네요? 안되는걸 안된다고 말을 안해주면 사리분별을 어떻게 하나요..? 별...

  • @hlee6471

    @hlee6471

    9 ай бұрын

    평가인증시 교사 반응을 중점으로보며 무조건 청유형으로 안돼. 등 부정형하면 절대 안되고 감점요인입니다. 아동학대로 인정되는게 현실입니다. ㅠㅠ

  • @user-hs3ii8qj1r
    @user-hs3ii8qj1r9 ай бұрын

    이 시기에 꼭 필요한 교육법 이야기예요.. 맞아요.. 정말 어릴 때 훈육이 정말 중요해요.. 아닌건 아니라는 건 꼭 어릴 때 부모에게 배워야해요… 부모와 단단한 애착을 기반으로 훈육을 해야하는데 어릴 때 애정없이 기관에 오랜 시간 맡겨진 채 훈육이 부재한 경우 커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해요… 부모와의 관계도 안 좋고 자기 관리, 통제도 안되서 문제 상황이 많이 발생한답니다. 시기 적절한 방송 감사해요~~

  • @tomato42920
    @tomato429209 ай бұрын

    아유 속이 시원하다

  • @user-cy1ld2pt5v
    @user-cy1ld2pt5v9 ай бұрын

    아이들을 떠받들어 키우는 부모들이 문제

  • @user-ps7qb8sy5u

    @user-ps7qb8sy5u

    9 ай бұрын

    그런데 제주변에 너무 많아요..거의 다라고 할수 있죠.저도 뒤돌아보고 안그럴려고 해야하구요.🧐

  • @domh6861
    @domh68619 ай бұрын

    저도 8년전에 첫아이 낳고 돌때까지 애 꽁무니 쫒아다니며 절절 매다가 조선미 선생님 팟캐스트 듣고 정신 차리고 애 잘 키우고 저도 잘 지내고 있어요. 무한 사랑해주고 든든한 부모님이지만 권위있는 부모가 되려고 노력해요.

  • @libertytaken1313
    @libertytaken13139 ай бұрын

    교수님, 지금은 초등학생인 제 아이가 아기일 때부터 교수님 말씀에 도움을 정말 많이 받으며 키우고 있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부모들에게 좋은 가르침 많이 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jihayelee7858
    @jihayelee78589 ай бұрын

    기질이 강한 아이는 공감과 격려만으로는 이끌기 힘들더라구요. 조선미 교수님 도움 많이 받았습니다

  • @user-pn8gn6cq9l
    @user-pn8gn6cq9l9 ай бұрын

    진짜 속 시원하네요. 교수님의 이야기를 들으니 그 동안 아이들과 생활하면서 지냈던 일화들이 쭈르륵 지나갑니다. 아이들의 첫 사회생활은 유치원, 어린이집과 같은 또래 많이 있는 공간에서 생활하게 됩니다. 함께 지내며 지켜야할 약속은 당연히 만들어지게 되고요. 어느 날 한 여아가 교실에서 수시로 뛰고, 책상에 올라가 점프하길래 안 되는 행동이라고 제지하자 5세 아이는 “선생님은 왜 안 된다고 해요? 우리 엄마는 내가 하고 싶은 거 다 하면서 살라고 했는데” 이 말에 너무나 당황스러웠습니다. 아이와 이야기 나누며 “00이가 뛰게 되면 친구들도 당연하게 뛰어도 된다고 생각하겠지? 그럼 교실에서 모두다 뛰면 어떤일이 생길까?” 라고 말하자 다칠 수 있다는 걸 인지하였지만 자신을 제지한 게 억울한지 소리를 지르며 고집을 부리더라구요. 아이의 의사 중요합니다. 그로 인해 피해 받는 타인은 어떻게 보상해주나요? 아이에게 안 된다고 말하는 건 아동학대가 아닙니다. 사회에서 지켜야할 규범을 알고 자신이 한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어떠한 영향이 가는지 생각하고 행동하기 위해 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ara5884
    @ara58849 ай бұрын

    너무 좋습니다. 요즘 아이들 키울때 주변인들이 아이들에게 심하게 하는거 아니냐는 소리를 들었었는데 선생님 말씀듣고 제가 잘하고 있다는 생각도 들고 힘이나네요! 앞으로 좋은강의 많이 해주세요~~

  • @TKKo-sw8mq
    @TKKo-sw8mq9 ай бұрын

    조선미 교수님 책 아주 예전 것까지 다 찾아 읽었어요. 보물과 같은 말씀 늘 감사합니다~

  • @user-qc9rt9yf4s
    @user-qc9rt9yf4s9 ай бұрын

    우와 조선미교수님이 나오셨다니!!! 너무 반갑고 깜짝 놀랐어요 믿고 보는 교수님!❤ 일단 댓글 남기고 봅니다

  • @sheshome8386
    @sheshome83869 ай бұрын

    오은영 박사님은 정말 문제가많은 금쪽이들 말하자면 일반 가정에서 평범한 훈육과는 다른거 같아요. 오은영 박사님 훈육방법을 일반 정상 아이들과 대입시켜 훈육하시면 안될거 같아요. 그냥 참고만… 오박사님은 오박사님데로 훌륭하시고 조박사님은 조박사님데로 너무 훌륭하셔요. 😊

  • @James_McAvoy
    @James_McAvoy9 ай бұрын

    아 제발 애 만드는 연습 먼저말고 부모가 되는 연습 먼저 했으면 좋겠어요.. 정말요 근데 생각 없는 인간들은 이런거 안보죠ㅋ..

  • @ohhyunkyung7528
    @ohhyunkyung75289 ай бұрын

    조선미 교수님도 드뎌 유퀴즈에 ㅎㅎㅎ 하정훈 쌤도 나오면 좋겠네요

  • @justincho4147
    @justincho41479 ай бұрын

    교수님 무엇보다 너무 아름다우세요 오늘 메이크업이 우아하게 잘 되셨네요😉😍❤

  • @user-kf5zj6ww9f
    @user-kf5zj6ww9f9 ай бұрын

    임상심리전문가 조선미 교수님💕💕 역시 전문가 다운 육아법입니다 늘 경청하고 있습니다!!

  • @Cdghjyfjkyd23
    @Cdghjyfjkyd239 ай бұрын

    현실적인 훈육법 정말 도움이 많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user-sh1zg4jk3y
    @user-sh1zg4jk3y9 ай бұрын

    충분히 좋은 부모❤ 함께하는 부모~잘 하려는 마음 내려놓기^^ 교수님의 말씀은 지식과 교훈을 얻을 수 있어 좋아요!

  • @user-by2ce3yu3w
    @user-by2ce3yu3w9 ай бұрын

    내 아이를 사랑하는만큼 아이가 사회에 잘적응하고 다른사람들과 어울려살며 사랑받고 사랑할줄 알게 알려주고 키워야한다고 생각해요 선생님 방송에 자주자주 나오셔서 이런 정보, 생각들을 널리 퍼트려 주세요

  • @user-vd2zo6ds3d
    @user-vd2zo6ds3d9 ай бұрын

    5:21 먹고 씻으면 어떨까?에서 빵터짐ㅋㅋㅋㅋ

  • @user-nx5sb8xz6k
    @user-nx5sb8xz6k9 ай бұрын

    조선미 교수님 육아 및 훈육 방법이 널리널리 퍼졌으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키운 아이들이 학교 생활 및 사회 생활도 잘 합니다.

  • @user-fx2sj6wh6y
    @user-fx2sj6wh6y9 ай бұрын

    교수님 팬입니다

  • @user-sr9eb7oi2v
    @user-sr9eb7oi2v9 ай бұрын

    우리 아이들 5살, 3살부터 선생님 팟캐스트 들으며 엄청 도움받고 힘이 되었어요 유퀴즈까지 진출하시다니 제가 다 자랑스럽습니다 그 아이들이 10살, 8살 되었어요(한국 나이로^^)

  • @won3739
    @won37399 ай бұрын

    좋은말씀 정말 많이 해주셨네요 정작 진상 부모들은 이런 걸 보지도 않을거라 문제지만...

  • @user_DoreJoAYo

    @user_DoreJoAYo

    9 ай бұрын

    ?? : 애 키워보셨어요?! (그들의 베스트 논리)

  • @user-kv9jd7kb3w
    @user-kv9jd7kb3w9 ай бұрын

    와우 이분이 여기에 나오셨네요♡

  • @user-xr5tu3jd7d
    @user-xr5tu3jd7d9 ай бұрын

    구구절절 맞는 말씀에 고개가 절로 끄덕거려지네요, 좀더 일찍 조선미 교수님 말씀을 들었더라면 첫째를 더 잘 키울 수 있었을텐데.. 저도 너무 왕자처럼 키운 것 같아서 후회되요

  • @thanks_iluvu
    @thanks_iluvu9 ай бұрын

    조선미 교수님 늘 좋은 영상 감사히 보고있습니다~!!

  • @Grida-bh4vn
    @Grida-bh4vn9 ай бұрын

    어려울때마다 찾아보는 육아바이블 조선미교수님 감사합니다❤️

  • @seungokjeong6151
    @seungokjeong61519 ай бұрын

    존경하는 조선미 교수님..그냥 교수님 강의를 부모의 필수과목으로 해주시면!!

  • @danggura
    @danggura9 ай бұрын

    금쪽이를 양성하는건 결국 부모였지

  • @cristinashin2501
    @cristinashin25019 ай бұрын

    조선미 교수님 강의 찾아서 계속 반복해서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allyh3748
    @allyh37489 ай бұрын

    저도 감정읽기로 키우다가 아이가 점점 클수록 감당이 안되어 사춘기 오기전에 권위를 찾으려고 많이 애써서 지금은 훨씬 편해요 아이도 어른도요^^

  • @Mu66388

    @Mu66388

    9 ай бұрын

    저도 감정읽기로 키우다가 점점 크면서 힘들어져서 바꾸려합니다 ㅜ 전 초등1학년인데 언제부터 바꾸셨을까요...? 존댓말도 도움이 되겠지요?

  • @allyh3748

    @allyh3748

    9 ай бұрын

    @@Mu66388 초4학년 말부터 슬슬 시작했어요. 말은 일단 높이구요, 어른과 아이는 같은 위치가 아니라는 개념부터 설명해줬어요. 중요한 의사결정은 부모가 하고 너는 그것을 따라야 한다는 것부터요. 첨엔 왜 그래야 하냐고 불공평하다고 하죠. 그건 너는 아직 미성년자이고 부모에겐 올바르게 키울 책임이 있다는 것도 끝없이 설명해줬어요. 자기 할일은 하나씩 안도와 주기 시작했구요, 스스로한 행동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는 것도 가르쳤어요. 안그럼 점점 더 모든게 잘 안되면 엄마탓이라고 여기더라구요. 꼰대같고 시대역행하는 것 같지만 저희 어릴때 부모님이 하셨던것처럼 부모 주도로 살기 시작했어요. 외식하러 갈때도 늘 아이 먹고 싶은 곳으로 갔는데 때때로는 엄마아빠 위주로 그냥 싫어도 가족이니까 따라가야한다는 것도 하나하나 설명했어요. 과정이 즐겁지만은 않아요. 첨엔 사이가 갑자기 안좋아져서 이래도 되나 싶었지만 하지만 엄마가 기본적인 사랑을 튼튼하게 주었다면 아이는 결국 교육이 되는 것 같아요. 지금은 아이가 예전보다 훨씬 말을 잘 듣고 책임감이 생기고 저도 뭔가 육아에 더 자신감이 생기니 아이에게 오히려 더 다정하게 대할 수 있더라구요. 물론!! 사춘기전에 해야되요! 우리 함께 힘내어요^^

  • @user-dg3dy8cb5j
    @user-dg3dy8cb5j9 ай бұрын

    정말 속이 시원하네요~

  • @hojusupplement
    @hojusupplement9 ай бұрын

    굉장히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 @Daniel-br8gm
    @Daniel-br8gm9 ай бұрын

    너무 너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요즘 지나치게 마음 읽기 심하고 어른이 얘한테 끌려다니는 기괴한 일들이 많았어요.

  • @v0v0v0v
    @v0v0v0v9 ай бұрын

    몰랐지만.... 10년전부터 이미 교수님 방법대로 아이를 키웠었어요. 그러면서 내 아이만 규칙을 지키고 사과를 하는 상황에 힘들기도 했어도 제 방법을 지키고 지금까지 키우고 있어요. 작년부터 교수님 영상도 찾아보고 책도 읽었어요. 교수님 방식이 저하고도 잘 맞고 제 아이에게도 너무 좋은 것 같아요!! 교수님 덕분에 제 자신에게도 칭찬할 수 있었어요. 다만 이번 영상에서 아쉬운건 (모두모두 좋은 말씀이지만) 외동에 대한 이야기가 전부 그런건 아니라는걸 강조해주시면 좋겠어요 ㅠㅠ 안그래도 외동에 대해 편견이 가득한 사회인데 편견이 더 늘어날까봐 걱정돼요 ㅠㅠ

  • @user-lx4lx8uh4n

    @user-lx4lx8uh4n

    9 ай бұрын

    이미 심리학에서는 외동이 더 여러면에서 좋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교수님이 말씀하시는건 외동이어서 문제가 아니라 아이중심으로 돌아가는 가정의 분위기를 이야기하시는거 같네요

  • @v0v0v0v

    @v0v0v0v

    9 ай бұрын

    @@user-lx4lx8uh4n 교수님의 말씀의 뜻도 알고 이미 외동에 대한 이야기는 편견일 뿐이라는 사실도 알고 있어요. 하지만 교수님 말씀 하나로 많은 이야기가 파생될까 걱정하는 것 뿐이에요.

  • @won3739

    @won3739

    9 ай бұрын

    핀트가 외동이 아닌 것 같은데요.. 보면서 외동가정만의 문제라고는 전혀 생각 안들었어서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네요

  • @Mu66388

    @Mu66388

    9 ай бұрын

    외동 키우고 있는데 딱.. 저래서 거울치료됐어요. 아이말을 잘 들어주려했던게 독이되었네요 ㅠ 깨닫고 갑니다.

  • @user-xb3ms4jq8w
    @user-xb3ms4jq8w9 ай бұрын

    조선미 선생님 덕분에 힘든 육아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팟빵 모두 들었고 영상도 모두 찾아서 보았네요~좀더많은 출연영상 올라오길 바랍니다~^^

  • @miha5845
    @miha58459 ай бұрын

    진짜 조선미교수님의 강의 들으며 기준 명확히 잡고 육아하고 있습니다. 늘 감사드리며 유퀴즈편 특별히 아름다우십니다~ 😊

  • @Mu66388
    @Mu663889 ай бұрын

    1:00 와... 너무 맞아서 소름.....

  • @user-oi3pw8lt8e
    @user-oi3pw8lt8e9 ай бұрын

    실시간 라방으로 우리끼리 보던 조선미 교수님 이렇게 유퀴즈까지 나오시고 연예인같아용^^

  • @jasminechae5535
    @jasminechae55359 ай бұрын

    현실적인육아방법 감사합니다!

  • @ez-hp7wi
    @ez-hp7wi9 ай бұрын

    가장 정확하고 정말 필요한 말씀입니다

  • @parisHa_rry
    @parisHa_rry9 ай бұрын

    유퀴즈에서 조고수님을 초대했다는 사실!!!! 넘 좋아요!!!!

  • @user-qw5vh7kn9q
    @user-qw5vh7kn9q9 ай бұрын

    조선미교수님 언제나 감사합니다❤

  • @user-wg4gj5pd7e
    @user-wg4gj5pd7e9 ай бұрын

    마음을 알아주되 행동은 통제하라!!너무 좋아요

  • @user-yl6qz4ny8b
    @user-yl6qz4ny8b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의 육아가 무언가 유행처럼 보여지는 것이 염려되는 시점입니다~ 그 땐 맞고 지금은 틀리다는 식이라던가 한 두명 유명강사님들의 의견이 맹신되고 퍼지는 것들이 올바른 육아방향을 잡아 줄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 생각하게 합니다. 부모교육이 보다 체계화되어 스스로 부모로서 가져야 할 육아 방향 보육철학을 세우는 것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요? 아이들은 모두다 다른데...어떤 방법이 정답인 것처럼 몰아가는 것은 좋지 않다고 봅니다.

  • @user-lk6dz1wk2f
    @user-lk6dz1wk2f9 ай бұрын

    교수님은 정말 최고!

  • @lorie2460
    @lorie24609 ай бұрын

    마음읽기와 더불어 요즘 부모들 중에는 모든 의사결정을 아이와 상의하고 아이의 의견을 존중한다는 이유로 잘못된 답을 내리는 부모도 많아요. 공부든 운동이든 힘든 과정을 지나야 열매를 맺는건데 어렵다 힘들다 하기싫다 등의 이유로 죄다 중도포기.. 말은 아이 의견존중이지만 사실 애 하고 싶은대로 끌려다니는거죠. 어른이 지혜롭고 현명한 판단으로 끌어줘야 할때가 있는겁니다.

  • @user-vg5op4ve4e
    @user-vg5op4ve4e9 ай бұрын

    선생님규칙을 따라야지 무슨 우리아이 마음을 읽어줬냐는 무식한 학부모가 있다니

  • @user-fh3gi6ow2g
    @user-fh3gi6ow2g9 ай бұрын

    요새 부모들 거의 보면 우리애는 그럴리없다. 우리애는 무조건적으로 착하다는 착각속에 빠져서 오냐오냐만 해주고 잘못해도 남에게 사과하는 기본조차 모르는 아이들이 많더군요..

  • @user-wo7lg3zy2n
    @user-wo7lg3zy2n9 ай бұрын

    유퀴즈에서 보게되어 정말 기쁩니다!! 교수님의 많은 올바른 훈육에 대한 메시지가 대중에게 잘 전달되면 정말 좋겠습니다. 구체적 내용들이 많이 검색되고 알려지길 기대해봅니다! 미래 우리 아이가 커나가야할 사회까지 걱정하지 않길… 저도 다시한번 되새기고 갑니다!

  • @user-hd5rb6ys6x
    @user-hd5rb6ys6x9 ай бұрын

    아이 교육에 정말 도움 많이 받아요

  • @user-le9fr6nw1o
    @user-le9fr6nw1o9 ай бұрын

    조선미 교수님이 진짜죠

  • @user-df7pp8mw3i
    @user-df7pp8mw3i9 ай бұрын

    그저 건강하게만 크면 되는건데 부모들이 자식한테 기대를 많이 하는게 문제죠 정서적으로도 사회화가 안되는 경우도 많이 있어요

  • @doubledragonshin-yi9fx
    @doubledragonshin-yi9fx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swagcatnana
    @swagcatnana9 ай бұрын

    갠적으로 오은영쌤은 뭐랄까 좀 AI같은 반면 조선미 쌤은 인간미가 넘치는 것 같아 난 예전부터 조쌤의 찐 팬이었음. 쌤의 여러 책들, 팟캐스트, 유툽 거의 다 보고 듣고, 심지어 판교에 있는 아이맘심리상담소에서 상담까지 받아본 사람으로서 지난한 육아에 힘들고 지칠때 가장 든든한 버팀목이 되 주시는 조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매우 존경함. 유명세와는 상관없이 묵묵히, 늘 한결같이 제 자리를 지켜주시길… ❤

  • @lalala3595

    @lalala3595

    9 ай бұрын

    조선미 교수님이 바로 이 방송에서 타인과 이런식으로 비교하지 말라고 하셨는데;

  • @swagcatnana

    @swagcatnana

    9 ай бұрын

    @@lalala3595 비교는 아이들 양육할때 하지 말라 그랬지 성인이현재 회자되는 두 분의 스타일 차이를 언급 못할 이유는 없다고 보는데요? 그리고 맨 앞에 “갠적으로” 붙인거 안보이세요? 누굴 좋아하던 그건 개인적 취향일뿐 정답은 없다고 봅니다.

  • @user-ms9bw5co9c
    @user-ms9bw5co9c9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말씀이 참 도움이 됩니다. 저도 아이들을 상담 치료에 오랫동안 있었고 수퍼비젼도 받지만 조금 흔들리거나 힘들때 교수님의 영상으로도 너무나 힘을 받고 도움을 받습니다. 코로나 이후로 이런 좋은 영상을 들을수 있어 고맙게 생각합니다.

  • @user-fm4fl9iq7v
    @user-fm4fl9iq7v9 ай бұрын

    좋아요 100개 하고 싶어요. ❤

  • @jinia.b3716
    @jinia.b37169 ай бұрын

    너무 속시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ht5wm4xu6t
    @user-ht5wm4xu6t9 ай бұрын

    꺅! 조선미쌤이당❤❤❤😂

  • @sophielee5345
    @sophielee53459 ай бұрын

    조선미 박사님 최고예요

  • @syukaforever
    @syukaforever9 ай бұрын

    느낌상 예전에 중국 소황제들 키우듯이 키우는거같네요.. 일례로 나온 엄마한테 내가 공주인데 재가 공주래 라고했을때 부모가 저렇게하면 자기중심적으로 자라는거 아닌가란 생각도 들게됩니다. 내가 귀한만큼 상대도 귀하다라는 인식을 갈켜야되는거 아닌가싶지만 서도 육아현장을 많이보신분이니 여러 판단을 하셔서 저런 솔루션 하신거라 생각해보네요

  • @user-ob3zx9nh7k
    @user-ob3zx9nh7k9 ай бұрын

    ㅋㅋ 첫 장면 우리 딸래미 하는 짓이에요. 저는 이거 요새 훈육 중인데 어른이 말씀하실 땐 끼어들면 안된다 엄마 잠깐 저 할 말 있는데 해도 되냐고 물어봐라 못 껴들게 합니다 ㅋㅋ

  • @user-xq6pp5dz3p
    @user-xq6pp5dz3p8 ай бұрын

    선생님 우리 애 마음은 읽어주셨어요?라니...진짜 충격적이다.

  • @user-fl1or3wj3i
    @user-fl1or3wj3i9 ай бұрын

    첫째땐 뭣 모르고 좋은 엄마처럼 하는 방법들을 배우다. 6,7,8개월 지나며 동생이 태어날 날이 다가오니 자연스레 교수님이 말했던 것 처럼 하게 되더라구요. 아직 두돌, 세돌인 어린이들도 밖에 나가서의 규칙을 알고, 해야 할 행동들을 알고 있어요. 차에서 도착 하기전에 우린 어디 갈 것이고, 어떤걸 보고, 어떻게 해서 나올 것이다. 원하는 것은 단 하나만 사줄 수 있으며 약속하지 않은 행동을 했을땐 그마저도 없다고 알아들었든 아니든 규칙을 정하게 되더라구요. 집 안에서도 마찬가지 이구요. 한창 뽀로로 보다가도 밥 시간이 되어 밥상을 차리면 스스로 티비를 끕니다. 밥 다 먹고 양치하고 봐야하는 규칙을 만들어서 그 규칙을 지키고, 어느 시간대 까지 볼 수 있는지도 매일 반복하다보니 이젠 밥 시간에 엄마가 보는 티비를 켜고 보면 엄마 지금은 밥 시간이니까 티비를 꺼야한다며 끕니다. 저도 그럼 동참하구요. 아이에게 깜빡했는데 알려줘서 고맙다며 밥을 같이 먹자고 해요. 첫째 아기때부터 했었는데 다들 너무한거 아니냐며 하던데 저는 꿋꿋하게 했어요. 지금은 연년생 아이 둘이서 스스로 규칙을 만들어 본인들끼리 규칙을 지키고, 순서를 지키면서 놀아요.

  • @GOLDEN_RING
    @GOLDEN_RING9 ай бұрын

    금쪽이방송을 이분이 하셔도 좋을듯^^

  • @user-bs9qs8qn4e
    @user-bs9qs8qn4e9 ай бұрын

    아이가 둘인데 아이 둘이 성향이 달라요. 큰 아이는 한번 얘기한거 두번 얘기하지 않도록 하는 성향이라 마음만 읽어줘도 알아서 잘해요. 단지 공감만 해줘도 스스로 잘해요. 둘째는 모험심이 강하고 밝지만 한 번 얘기하면 안되고 여러번 얘기해야하며 단호하게 얘기해야 들어요. 공중도덕 예의범절을 가르쳐야 할 나이에는 단호박으로 가르쳐야 합니다. 둘째를 안키워봤다면 조선미교수님이 너무 쎄다고 생각했을것 같은데 둘째를 키우고 나니 지금 단호해야 나중의 교육이 가능함을 깨달았습니다.

  • @jbmzzang
    @jbmzzang8 ай бұрын

    5년 전 대전에서 조선미 교수님 강의를 들은적이 있습니다. 작은 체구에서 나오는 강단이 대단하셨고, 영상보니 조곤조곤한 말투도 변하지 않으셨네요 ^^

  • @ocean0070
    @ocean00709 ай бұрын

    교수님~ 2008년 60분부모에서 교수님을 만나고 교수님 책도 사보면서 아들을 키웠어요 첨엔.특히 우리 시어머니가 귀한 손주 너무 몰아부친다고 뭐라하셨는데 16살 아들 선하게 잘자라고 있어요~

  • @user-ox8gb9zk9h

    @user-ox8gb9zk9h

    9 ай бұрын

    애들이 아주 어릴때는 제 시어머니도 애 혼낸다고 싫어하셨는데 큰애가 초고학년 된 지금은 주위분들이 애들을 참 잘키웠다! 라고 저를 아시는분들끼리 얘기 하신다네요.. 저도 전해 들은 얘기 입니다^^

  • @arakim754
    @arakim7549 ай бұрын

    폭력은 반대한다 하지만 육아는 단호해야한다. 사랑을 주는것과 해달라는대로 해주며 사실상 교육없이 방치하는 것은 다른것이다. 인간은 당연히 모든사람으로부터 사랑을 받기위해 태어난 것이 아니라 자존감을 갖고 스스로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만들며 살아가야한다고 분명히 알려주는게 사랑이다.

  • @sori900
    @sori9009 ай бұрын

    공감해요❤

  • @songheeahn4869
    @songheeahn48699 ай бұрын

    공감도 맞고 통제도 맞고 둘다 해야되는게 중요한거 맞아요. 한쪽으로 너무 치우치면 이사달이 나는거죠 ㅠ

  • @youngp675
    @youngp6759 ай бұрын

    저도 남자아이 키우면서 너무 도움받고 있어요 자꾸 까먹어서 걔속 봐야해요

  • @inyou21
    @inyou219 ай бұрын

    교수님 풀메 받고 나오셨네 ❤

  • @adorable2582
    @adorable25829 ай бұрын

    육아 최고의 전문가이십니다.!!!

  • @dokyeonglee2077
    @dokyeonglee20779 ай бұрын

    오은영박사님도 마음읽기후에 그럼 안돼!라는 훈육을 시작하기하죠 훈육을 위해 마음읽기라는 너를 이해해라는 감정을 알아줄려고하는거죠 오은영박사님도 마음읽기만 하진않죠. 단편적으로만 받아드린 부모가 이상하게 육아를 하는거죠 몇 댓글이 오은영박사님한테 화살을 돌리길래 댓글써봐요

  • @phoenixl5392
    @phoenixl53929 ай бұрын

    아이를 훈육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근거와 이유가 분명해야 한다. 선생님들은 과외선생이 아니고 모든 학생들의 선생이기 때문에 우리 모두의 안전함과 편안함을 위해 질서와 규칙을 먼저 정하고 학기를 시작해야 한다. 저학년의 경우 신호등으로 규칙을 만들면 빠르게 이해한다. 서로의 안전과 행복을 위해서 같이 규칙을 정하면서 하기를 시작하길 바란다.

  • @yoonjessica7778
    @yoonjessica77789 ай бұрын

    그쵸. 이게 교육이죠.. 요즘은 책임, 절제는 빠진 채로 교육하니까 뭐기ㅣ 좀 부족한 사람으로 성장하는 거 같습니다

  • @brav750
    @brav7509 ай бұрын

    내 아이만 우뚝서게 키우지 마시고 남의 아이와 균형있게 키우세요 내아이만 보다가 놓치고 알려주지 못해 사회성없는 아이들이 너무 많죠 부모에게만 소중한 아이가 아니라 모두에게 소중한 아이로 키워 주세요 아이보다 부모에게 눈살 찌푸려지게하는 사람들 많잖아요 요즘 부모들 아이교육지식은 박사급인데 예전 부모님들만큼도 못해요

  • @todayiloveyou3676
    @todayiloveyou36769 ай бұрын

    큰소리안내면서 단호하기가 쉽지않네요ㅋㅋ자꾸 소리가 나도모르게커져요 안돼!!!

  • @SARA-db1yf
    @SARA-db1yf9 ай бұрын

    0:06 one more piece chocolate on his hand

  • @user-rl4zj3kr2t
    @user-rl4zj3kr2t9 ай бұрын

    왜이렇게 변했을까..현재 부모들은 어렸을때는 엄격히 잘 자라놓고 자기아이는 막키우네 ㅜㅜ

  • @user-zb5gn7cf8b
    @user-zb5gn7cf8b9 ай бұрын

    조선미, 하정훈 박사는 보편적 육아를 말하고 있다. 지극히 정상적인...!

  • @SGPark-cg3nl
    @SGPark-cg3nl9 ай бұрын

    ❤❤❤

  • @precious8641
    @precious86419 ай бұрын

    주제파악 잘 해야 살아남는다.

  • @user-ez6bb3cu2o
    @user-ez6bb3cu2o9 ай бұрын

    오은영보다 훨씬 유익합니다. 애들위주로 끌려가다가 선생님 패고 학부모가 괴롭혀서 아까운 젊은 선생님들 돌아가시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