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카메라다 공사 중지"... 비 쏟아지는데 뭐 하세요? / KBS 2023.07.17

비가 쏟아지는데 콘크리트 타설 중이란 제보를 받고 현장으로 가봤습니다.
작업 대기 중인 레미콘 차량이 눈에 띕니다.
인근 건물에서 내려다보니, 빗줄기 속에서 인부들이 바삐 움직이고...
호스에선 콘크리트가 콸콸 쏟아집니다.
현장이 있는 인천에는 제보가 접수된 그제(13일) 오전 기습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오전부터 계속 비가 오는 와중에도, 이곳 현장에선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진행됐습니다.
현장 관찰 30분 째.
한 관계자가 KBS 카메라를 발견하고 손가락질 하더니...
잠시 후 현장이 정리됩니다.
[현장 관계자/음성변조 : "안해요. 지금 중단시켰어요. (아침에는 하시다가?) 하려고 했다가, 비가 와서. 어제 예정돼 있던 거라서."]
타설 작업을 한 곳에는 대충 천막을 덮어놨는데, 이미 빗물이 흠뻑 스며든 뒤입니다.
[조원철/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 "지금 작업상의 불편 때문에 천막 없이 (콘크리트를) 바로 치고 있거든요. 치는 동안에도 물이 원칙적으로는 들어가선 안 돼요."]
전국적으로 집중 호우가 이어진 요 며칠 새,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한다는 제보는 곳곳에서 접수됐습니다.
["와... 비가... 비가 이렇게 와 가지고..."]
억수같이 쏟아지는 장대비와 콘크리트가 뒤섞여도 나몰라라, 합니다.
[건설 현장 노동자/음성변조 : "건설업 하는 사람들이 다 알고 있지만 콘크리트 강도가 약해지는 건 100% 사실이기 때문에 다 알고 있고."]
충남 홍성에서도... 경기 평택에서도...
인천의 또 다른 현장에서도...
공사 기한을 맞추기 위한 우중 타설은 결국 건축물의 안전 문제로 이어집니다.
[최명기/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 :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균열이 발생되기 쉽고요. 내구성이 떨어져서 건물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게 되는 겁니다."]
하지만 법적으로는 '비가 많이 오면 책임기술자의 확인을 거치라'는 국토교통부 지침이 전부.
그러니까 책임자 확인만 거치면 우중 타설에 문제가 없는 겁니다.
철근을 덜쓴 아파트로 건설업계가 한바탕 홍역을 치렀지만, 안전 불감증은 달라진 게 없습니다.
KBS 뉴스, 신현욱입니다.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공사현장 #콘크리트 #안전성

Пікірлер: 4 500

  • @user-rv1nj7ql1h
    @user-rv1nj7ql1h10 ай бұрын

    그렇게 아파트 무너진다고 말을 했는데~ 변한게 없네~ 이건 건설사랑 하청에 확실히 책임을 물어야함!

  • @user-en5iy3ox9q

    @user-en5iy3ox9q

    10 ай бұрын

    하청은 무슨 죄임? 위에서 까라고 해서 까는건데

  • @user-rv1nj7ql1h

    @user-rv1nj7ql1h

    10 ай бұрын

    @@user-en5iy3ox9q 물론 오더가 있었겠지 그렇다고 잘못이 없는거 아니지 노동자들은 불쌍해도 하청사장들은 하나도 안불쌍함.

  • @user-kw4qm5tl7c

    @user-kw4qm5tl7c

    10 ай бұрын

    @@user-rv1nj7ql1h 글치 ㅋㅋㅋ 건설사랑 하청사장들이 문제지 ㅋㅋㅋ

  • @user-hy1co2yt1b

    @user-hy1co2yt1b

    10 ай бұрын

    실질적 공사는 하청들이 해요. 원청과 감리는 감리.감독만 하고 최저 입찰로 들어온 업체라 계획된 공사 계획대로 진행 안하면 그게 다 마이너스가 되어서 원청 이나 감리도 어쩔 수 없음 몇 억 마이너스 나는 금액을 누가 책임 지지 않은 이상. 공사 중지 명령 내려면 정식으로 공문으로 공사 중지 해주세요 하고 하면 그 공문 아무도 못씀 ㅋㅋ

  • @JJ-gb4lo

    @JJ-gb4lo

    10 ай бұрын

    하청은 원청이 강합적으로 시키는대로 합니다 원청이 하지말라는데 하청이 무슨수로 우중타설을합니까 감리도문제에요

  • @jungwon4906
    @jungwon490610 ай бұрын

    제보받고 인근 건물까지 올라가서 취재하시는 기자님 너무 대단하십니다. 감사합니다

  • @user-fd1bs4xw2q

    @user-fd1bs4xw2q

    10 ай бұрын

    ㄹㅇ 최고

  • @JM-sf1fq

    @JM-sf1fq

    10 ай бұрын

    공사현장 저정도면 양반이죠

  • @user-ex7ip2fu4v

    @user-ex7ip2fu4v

    10 ай бұрын

    특종인데 함박웃음지으면서 좋다고 달려가지

  • @user-zr9rm3qm9e

    @user-zr9rm3qm9e

    10 ай бұрын

    답은 공기를 늘려야함 근데 공기 늘리면 들어가는 돈도 많아지기 때문에 집값을 올려야하는데 ㅋ 집은 싸게 사고 싶고... 안전은 하고 싶고... 그래도 안전이 우선이니, 공기 넉넉하게 늘리고,건설업도 주 5일제에 아침 9시까지 출근 저녁 5시 30분 퇴근, 공휴일 다 쉬고, 안전하게 천천히 건물 짓자!! 집값이야 올리면되지~~~ 돈보다 안전이 중요하지~

  • @dlwodbs3527

    @dlwodbs3527

    10 ай бұрын

    편의점 알바생인데 노가다아저씨들 점심시간에 와서 술마시고 감..

  • @user-yb9hz2ob9h
    @user-yb9hz2ob9h10 ай бұрын

    이런 건설사 꼭 확인하고 벌금은 당연하고 다시는 건설 허가도 못하게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한참 멀었네요. 본보기로 강력한 조치해서 부실 공사 할 엄두도 못 내게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건물은 많은 사람들의 인명피해와 직결되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user-wk1sc5br4n

    @user-wk1sc5br4n

    10 ай бұрын

    에이, 그게 가능한가요? 건설사들이 국짐당 민죹당 양다리 로비해온게 수십년입니다. 이재명이 대통령 되기전까지 절대 안 없어져요. 층간소음으로 살인사건 수십건 나도 여태 똑같자나요.

  • @user-ay0kt140

    @user-ay0kt140

    10 ай бұрын

    영상보셨어요 ? 법적으로 관리자 확이받으면 문제없데요 ㅎㅎ

  • @Rave-djixnmqp

    @Rave-djixnmqp

    10 ай бұрын

    말만 나불대지 마시고 직접 1인시위로 고치라고 시위하시던가 총선 나가셔서 국회위원되시고 직접 고치세요 말로는 누가 못해 나불나불

  • @user-op9pv1jt7p

    @user-op9pv1jt7p

    10 ай бұрын

    @@Rave-djixnmqpㄹㅇ 하는게 근거없이 나불거리는거 말곤 없음

  • @user-ex7ip2fu4v

    @user-ex7ip2fu4v

    10 ай бұрын

    공무원9급 붙으려고 18년동안 공부한다고 호적파이고 편의점 알바하면서 최저임금받으면서 전주비빔삼각김밥 사장몰래 잘안보이게 뒤에 숨겨놨다가 시간지났다고 좋다고 챙겨오고 고시원 전전하면서 나혼자산다보면서 낄낄거리며 즐거운분한테 말씀들 너무 심하신거 아니오

  • @hiyeo0522
    @hiyeo052210 ай бұрын

    진짜 국토교통부가 문제입니다. 사람들이 착각하는게 건설사, 시공사 양심문제라고 생각하는데 물론 이것도 맞는 말이긴 하지만 사실 국토교통부에서 제대로 법 기준 마련하고 강력하게 관리, 규정을 어기는 곳에 대한 강력한 처벌만 해줘도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나지는 않을 겁니다. 지금 일어나고 있는 대부분의 부실공사의 문제(나중에 층간소음, 하자 등 여러 문제로 이어짐)는 국토교통부의 안일한 처사 때문입니다. 이정도면 국토부가 건설사, 시공사들하고 짜고 뒷돈 받아먹고 쉬쉬하는걸로 볼 수 밖에 없네요.

  • @hanbaedal
    @hanbaedal10 ай бұрын

    부실공사 건설비리 신고 보상제도가 활성화 되어야 하고 감독기관부터 각성해야.

  • @user-qf1if8dd8g

    @user-qf1if8dd8g

    10 ай бұрын

    원희룡이 만든 지침. 비와도 타설하라!

  • @mudbomb2962

    @mudbomb2962

    10 ай бұрын

    @@user-qf1if8dd8g 원희룡이 국토교통부 장관을 20년 해먹음...?

  • @mcheeba

    @mcheeba

    10 ай бұрын

    언론사들 대부분 건설사가 잡고 있어서 그런지 KBS가 독을 품은 듯

  • @user-px3td8vc1u

    @user-px3td8vc1u

    10 ай бұрын

    감독기관이 썩겠지 이제

  • @kingcard7

    @kingcard7

    10 ай бұрын

    @@user-qf1if8dd8g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1찍 지능 수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OHㅁl 없는 지능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ce7yv3wn8l
    @user-ce7yv3wn8l10 ай бұрын

    국토부랑 건설사들이랑 한몸이라 둘다 조지지 않는 이상은 변화가 쉽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 @user-dy3qp3bw1q

    @user-dy3qp3bw1q

    10 ай бұрын

    엉뚱한거 대모나 할줄 알지

  • @Jinsung-Ha

    @Jinsung-Ha

    10 ай бұрын

    네? 민주노총이요? 작업하는사람이 = 건살사에요? 국토부에요?

  • @user-jm6hm6fm4z

    @user-jm6hm6fm4z

    10 ай бұрын

    ​@@Jinsung-Ha건설사지 그럼 뭐냐?

  • @elwk4471

    @elwk4471

    10 ай бұрын

    틀리 영감님 한분 계시네 ㅋ 건설사가 공기 맞출려고 시키니까 작업하는건데 데모?? 뭐 건설노조 욕하고 싶으세요 비오는날 저런 환경에서 작업 하는거 시키니까 하는거죠 거부하면 짤리죠 딴일 해야됨 회사 윗대가리 그리고 국토부넘들이 지침을 강화해야하는데 돈받아먹고 상부상조 지금까지 쭉 ~~~

  • @Jinsung-Ha

    @Jinsung-Ha

    10 ай бұрын

    @@elwk4471 1. 건설사가 공기 맞출려고 시키니까 작업하는건데 = 공기 맞출려고? 몬소리야 ㅋㅋㅋ 2. 비오늘날 저런환경에서 작업하는걸 시켰다고요? = 농떙이 피다 그러신게아니라요 ㅋㅋ? 3. 농떙이 피우다 기일맞추는거 요즘 시민들 다알아요 그러니 부실공사 하고있는거고 4. 건설하시면서 민노총분들 노상방뇨 이거까지 말해드릴까 ㅋㅋ?

  • @user-dy1gz1bc6d
    @user-dy1gz1bc6d10 ай бұрын

    돈만 받으면 되는 거니까 입주민이든 아파트의 부실은 딱히 상관없다는 거죠. 이런 문제 때문에 아파트에 하자가 생기고 여러 문제가 생기는 겁니다.. 이런 걸 생각을 안하시는 우리 건설업자분들은.... 에휴.. 입주민이든 아파트 부실은 신경도 안쓰시는 분들 정말 존.경. 합니다 진짜..

  • @hrcho9676

    @hrcho9676

    10 ай бұрын

    직장인이 무슨 죄가 있나요 재촉하는 윗 분들이 문제지 저 분들이 일하고 싶어서 할까요

  • @user-vp3ki3to4v
    @user-vp3ki3to4v10 ай бұрын

    이런게 진짜 기자들의 역할이지..멋지십니다!

  • @BBQ01
    @BBQ0110 ай бұрын

    초고층 아파트를 2년만에 완공 할수 있는데에는 이런 이유가 있다.

  • @user-xy1rl8ki3w
    @user-xy1rl8ki3w10 ай бұрын

    에~혀 저따위로 공사하니 아파트가 무너지지 강력하게 처벌해라 🤬

  • @user-mi2zw5fl6p

    @user-mi2zw5fl6p

    10 ай бұрын

    아파트 무너진게 몇개나된다고 ㅋㅋ

  • @user0wjd

    @user0wjd

    10 ай бұрын

    ​@@user-mi2zw5fl6p 무너진거 1개 주차장 1개 벽 외부로 나온 철근 아파트 1개 옹벽 무너진거 1개외에 건설 후 외벽에 금가는 아파트 전부 ㅋㅋㅋㅋㅋㅋ

  • @user-mi2zw5fl6p

    @user-mi2zw5fl6p

    10 ай бұрын

    @@user0wjd 겨우?? ㅋㅋ 전국에 아파트가 몇갠데 겨우 그거?

  • @user-tm1fm8es3p

    @user-tm1fm8es3p

    10 ай бұрын

    ​@@user-mi2zw5fl6p무너지지 않아야 되는게 정상아님? 찢어진 콘돔 사이에서 태어났어도 말은 똑바로 해야지 벌레야^^

  • @mammoth_426

    @mammoth_426

    10 ай бұрын

    ​@@user-mi2zw5fl6p우리 조선족 친구 나라에선 건물 무너지는게 일상이라 이 수가 적게 느껴지는건 알겠는데 애초에 아파트는 무너지면 안되게 만들어야 한단다~

  • @user-rc9sb5yn8d
    @user-rc9sb5yn8d10 ай бұрын

    이렇게 공공연하게 밝혀지는데 아무런 조치가 없다.. 나라가 미쳐간다...

  • @user-jh4mo3kq7m
    @user-jh4mo3kq7m10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의 건설업계는 여기까지가 한계입니다 오직 빨리빨리 .... 국민의 눈, 국민의신고, 국민의제보만이 단한걸음이라도 발전하는길입니다.!

  • @mm-jf7kw
    @mm-jf7kw10 ай бұрын

    곳곳에서 진짜 업자들 해도 너무한다.. 처벌이 없다는것도 충격이네

  • @user-us1ll4ok7d
    @user-us1ll4ok7d10 ай бұрын

    이런 건설사 꼭 확인하고 벌금은 당연하고 다시는 건설 허가도 못하게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한참 멀었네요. 본보기로 강력한 조치해서 부실공사 할 생각도 못하게해주세요~

  • @Yu-to8lo

    @Yu-to8lo

    10 ай бұрын

    저런공사 한국에 있는 건설사들 다 그래요~

  • @jaeokpark9696

    @jaeokpark9696

    10 ай бұрын

    처벌할 법안이 없다라고 가지가 말하고 있읍니다

  • @Truesone81

    @Truesone81

    10 ай бұрын

    @@Yu-to8lo 그럼 그런 건설사들 싹 다 허가취소 시키면 됩니다. 기득권이 사라지면 뛰어들고 싶은 사람은 많을걸요.

  • @kalamel00

    @kalamel00

    10 ай бұрын

    평생 유투브에 말해봐라 되나 ㅋ

  • @LawJoon

    @LawJoon

    10 ай бұрын

    죄다 하청이라서 그놈이 그놈임ㅋㅋㅋㅋ

  • @mya_4614
    @mya_461410 ай бұрын

    빨리 빨리 일하시다가 이렇게 일을 진행시키는 관계자분께서 몸소 불안전성을 체험하게 되기를 깊이 바랍니다

  • @greenbee735
    @greenbee73510 ай бұрын

    은행들 뒤에 기재부가 있듯이 건설사와 현기차 뒤엔 국토부가 있음

  • @joonbae8732
    @joonbae873210 ай бұрын

    공사기간 단축이 중요하냐, 아파트에 살 사람의 목숨이 중요하냐? 천벌을 받을놈들!!!!!!!!

  • @sadaricha82

    @sadaricha82

    10 ай бұрын

    공사기간 = 돈이니깐요

  • @user-pu3or9rn4o

    @user-pu3or9rn4o

    10 ай бұрын

    쟤네는 당연히 공기단축이 중요하죠. 하루만 늘어져도 나가는돈이 얼만데요. "쟤네"는 저기 입주할 사람들보다 공기맞추는게 더 중요합니다. 지가 살것도 아닌데 무너지지만 않으면 내구성같은건 상관없다는거죠.

  • @user-bl9vs1hu2g

    @user-bl9vs1hu2g

    10 ай бұрын

    돈이니까 그렇지 ㅋㅋㅋ 내 알빠노 니들이 살집인대~~

  • @user-re5mi7hc5l

    @user-re5mi7hc5l

    10 ай бұрын

    불법하도급=공사비 저감 답은 공기 단축 무조건 타설 해야함

  • @user-yo9fv9rw1e

    @user-yo9fv9rw1e

    10 ай бұрын

    돈보다 사람 목숨이 중요한거지 여기 댓글들 인성 수준봐라.. 못난이들

  • @allthatlove904
    @allthatlove90410 ай бұрын

    언제쯤 정상적이고 상식적인 나라가 될런지

  • @qwklejfqkwnf2299

    @qwklejfqkwnf2299

    10 ай бұрын

    우리는 중국인의 후손임

  • @dudwls20

    @dudwls20

    10 ай бұрын

    @@qwklejfqkwnf2299 노노 일본인의 후손임....기시다 총리께서 오셨을 때 못 보셨음? 굥이 너무 좋아하는거....오염수 문제도 강제징용 문제도 다 해결해 줬잖음...진핑이에게는 안그러지만 기시다에게 하는걸 보면 우린 일본인의 후손임...

  • @user-hb2fl6nu8w

    @user-hb2fl6nu8w

    10 ай бұрын

    소중국이라 영원불변

  • @what_the_fxck

    @what_the_fxck

    10 ай бұрын

    @@user-hb2fl6nu8w 소중국 소일본 환상의 나라

  • @Shendoru

    @Shendoru

    10 ай бұрын

    걍 중국, 일본 짬뽕국이라고 하자

  • @user-hq9tw8ru2u
    @user-hq9tw8ru2u10 ай бұрын

    와ㅡㅡ 미친거아니냐 대한민국 법이 왜그러냐

  • @user-tu6tz3hw3u
    @user-tu6tz3hw3u10 ай бұрын

    영상 속 인천시 아파트 현장 어디인가요?

  • @user-gd6bv2no5f
    @user-gd6bv2no5f10 ай бұрын

    시공사 현장 근무자입니다. 무리한 원가절감, 공기단축, 본사의 터무니없는 공사수주로 인한 문제들이 발생하는거 같습니다. 고쳐지지않는 이상 절대 변하지 않습니다.

  • @user-ib9ui6mv4q

    @user-ib9ui6mv4q

    10 ай бұрын

    안하면 돼잖아?? 그거라도 벌겠다고 안전무시하는건 뭔심보

  • @user-rm2zc1yl1c

    @user-rm2zc1yl1c

    10 ай бұрын

    ​@@user-ib9ui6mv4q그걸 왜 이 작업자분한테 따지냐?

  • @cmj4440

    @cmj4440

    10 ай бұрын

    ​​@@user-ib9ui6mv4q작업지시를 내리는건 건설사입니다.하청업체가 거부할수 있는 환경 아닙니다. 최저입찰제.원가절감 이란 큰테두리가 있는한 변화가 거의 없을것입니다.

  • @user-rp1te5pc3s

    @user-rp1te5pc3s

    10 ай бұрын

    ​@@user-ib9ui6mv4q모자란거 티내노

  • @user-gi6tw2qc5h

    @user-gi6tw2qc5h

    10 ай бұрын

    건설업 구조 특성상 건물 올릴 때 수백~수천억씩 대출 끼고 작업하다보니 요즘같은 고금리에 하루 이자만 몇백이 나갈텐데 빨리빨리 진행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인듯 허가받는데 시간 오래쓰면 안되니 로비도 많이 먹일거고

  • @user-le2vp4kj5q
    @user-le2vp4kj5q10 ай бұрын

    대단한 대한민국 건설업에 우수성을 보여주네요. 내가 살집이 아니면 된다는 안전불감증에 대한 책임자를 강력하게 처벌하지 않으면 부실공사는 지속 될겁니다. 감리와 건설사 사장을 즉시 구속시켜야 하는데..

  • @hyoseonkim5017

    @hyoseonkim5017

    10 ай бұрын

    대신 저기서 콩크리트강도 감리도 빗물맞은거로 하시는거죠? 그런데도 합격나오구요?

  • @user-le2vp4kj5q

    @user-le2vp4kj5q

    10 ай бұрын

    @@hyoseonkim5017 감리가 뭘 받지 않고서는 그렇게 하겠습니다.

  • @user-le2vp4kj5q

    @user-le2vp4kj5q

    10 ай бұрын

    @@hyoseonkim5017 돈이면 불가능이 없는 나라이니깐요.

  • @hyoseonkim5017

    @hyoseonkim5017

    10 ай бұрын

    @@user-le2vp4kj5q 인정합니다. 제가게 근처에 아파트들 2002~2006년까지 공사하는거보니까 비와도 공구리치더라구요.한곳도 빠짐없이 오히려 옆동네LH는 기초하고3층까지 올렸는데 감리가 빡빡하게 들어간건지 어느날3층까지올린 건물이 없어지고 다시올리는건 봤네요 깜짝놀람

  • @kyunkkg

    @kyunkkg

    10 ай бұрын

    ​@@hyoseonkim5017애당초 인장강도 깨는 콘크리트는 시험원이 레미콘에서 소량 뽑아서 쓰는거라 빗물 맞아도 조금밖에 안맞겠죠 감리는 그거보고 합격주고

  • @andrew4885
    @andrew488510 ай бұрын

    처음에 나오는 아파트 지역 어딘가요?

  • @user-eo7vz2fe5q
    @user-eo7vz2fe5q10 ай бұрын

    중요한건 이미 지어진아파트가 다 저렇게 지어졌다는거죠

  • @user-kw9cc9kw8i
    @user-kw9cc9kw8i10 ай бұрын

    이래서 새로지은 건물들이 입주도전에 여기저기 갈라지는구나...ㅋ

  • @user-mx6yr5pl8g
    @user-mx6yr5pl8g10 ай бұрын

    이 대한민국은 짧은기간에 많은 발전을 하긴 했지만.. 그중간에 숨어있는 비리가 너무나도 많다...

  • @fase1713

    @fase1713

    10 ай бұрын

    침략 당하면서 없이 살다 발전해서 사람들이 급하고 우악스럽고 욕심 많고 남 잘되는 꼴을 못보는 전 세계 유일한 한국인들

  • @user-rd6kh4sb9c

    @user-rd6kh4sb9c

    10 ай бұрын

    소국중국화이또!!

  • @user-gw8iv3uz4y

    @user-gw8iv3uz4y

    10 ай бұрын

    "일 잘 하는 아이" 소리 듣고 싶어서 저런 개 같은 짓을 하는 거야 안전이 완벽에 가장 가까운 해답인데.. 빨리하면 잘 하는 거라고 착각 하는 거지.. 저런거 뷱한 보내여 돼 인간 재해 일으키기 딱 좋은 담당자다

  • @user-sz6ry9wh5f

    @user-sz6ry9wh5f

    10 ай бұрын

    이런데도 우직하게 기득권의 개가 되어 짖는 저학력 2찍 틀베ㅋㅋㅋㅋ

  • @junseoklee69

    @junseoklee69

    10 ай бұрын

    ​@@fase1713 등쳐먹고 잘되는게 정상이냐 ㅋㅋㅋ

  • @darin-kb6ng
    @darin-kb6ng10 ай бұрын

    얼마전 한창 비가 심할때 아시는 분이 이렇게 비오는데 건설현장에서 일하시다가 미끄러지셔서 생을 달리하신 분도 계십니다…너무 안타까워요

  • @user-jj8qi3vw7s

    @user-jj8qi3vw7s

    10 ай бұрын

  • @user-uc1tp8vi4o
    @user-uc1tp8vi4o10 ай бұрын

    영상 고맙습니다. 기자님들 응원합니다!!

  • @joonbae8732
    @joonbae873210 ай бұрын

    국민의 신뢰를 잃은 건설사는 멸망할것이다.

  • @zjaaosi

    @zjaaosi

    10 ай бұрын

    회사 따질것 없어서 의미가 없는데, 거의 모든 건설 현장 입니다.

  • @user-wx6vl7bj5x

    @user-wx6vl7bj5x

    10 ай бұрын

    그럼 이제 집은 본인이 짓고 살아야죠 모든 건설사가 같을텐데 그렇게 안하면 지금보다 훨씬 비싸게 살수밖엔

  • @user-kj8li6yb1t

    @user-kj8li6yb1t

    10 ай бұрын

    업체 다 순살이다

  • @butter_almond

    @butter_almond

    10 ай бұрын

    후분양으로가야지 약간이나마 하자 줄일수있음. 선분양은 사기짓할게 뻔한거고

  • @user-cm7kf2lo9x

    @user-cm7kf2lo9x

    10 ай бұрын

    그럼 우리나라 건설사 다 멸망이네 ㅋㅋ

  • @mapsings6344
    @mapsings634410 ай бұрын

    무서운 사실은 뉴스 뒷부부에도 나와있지만 저게 불법이 아니라는것, 법적으로 막을수 있는 없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그나마 국토교통부가 최소한 현장책임자 승인이라도 거쳐라는 규정만 만들어 놨을뿐. 국회에서 3년째 법이 통과되고 있지 않으니 저걸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방법 자체가 현재로썬 없습니다. 현 국회! 너무 화가 나요!

  • @news_IT-my1610

    @news_IT-my1610

    10 ай бұрын

    민주당 개무능 ㅋㅋㅋ 행복해라 😂😂😂

  • @Black-qm5iq

    @Black-qm5iq

    10 ай бұрын

    @@news_IT-my1610 누가 보면 현정부가 민주당인줄 알것네

  • @SandkutchTv
    @SandkutchTv10 ай бұрын

    무너지겟네 어디건물인가요?

  • @AAA-qh7xy
    @AAA-qh7xy10 ай бұрын

    기상이 안 좋으면 건설기간 그만큼 연장해줘라

  • @user-wx5ve5th8g
    @user-wx5ve5th8g10 ай бұрын

    업체대표 관계자 모두 사법처리하고 공사중지해야 이런 일이 없어질거 같음

  • @user-yu2tw8zv3b
    @user-yu2tw8zv3b10 ай бұрын

    사람은 하던 것에 익숙하게 아무런 생각없이 하게 됨. 늘상 하는 방식이라...

  • @user-yh3ec1hd5t
    @user-yh3ec1hd5t10 ай бұрын

    콘크리트 이송 자체를 못하게 법적으로 막아놔야지 에휴..답답하다..

  • @ryulea78
    @ryulea7810 ай бұрын

    건설사를 본보기로 퇴출시켜야 이런일이 없어진다

  • @user-ye5lb9bl3d
    @user-ye5lb9bl3d10 ай бұрын

    무너지면 몰라도 신경쓰것어 빨리끝내고 많이남으면된다 이생각뿐...

  • @user-ib6di5sz6e
    @user-ib6di5sz6e10 ай бұрын

    인천 어디임?

  • @kgun1727
    @kgun172710 ай бұрын

    건설현장 안전관리자는 뭐하냐 비오는날 현장 작업 자체가 불법인데 제정신인건지... 큰 사고가 또 나야 스톱을 하냐... 제발 현장 관리자 . 안전관리자 . 소장 전부 올 스톱 시켜라 저렇게 건물이 올라가면 부실 공사가 되는걸 알면서 하는것들이 제정신이냐

  • @justjustice992
    @justjustice99210 ай бұрын

    빗물 들어가면 시멘트와 섞이지 않은 수분층이 생기고 콘크리트가 굳으면 진공상태로 증발도 안 되고 겨울철 얼면서 콘크리트 균열 일으키고 균열된 벽체로 물들어오고

  • @hitfwdt8084

    @hitfwdt8084

    10 ай бұрын

    시멘트 강도가 개박살 납니다 물 많이 들어가면 물시멘트...

  • @getme7270
    @getme727010 ай бұрын

    소비자 피해는 나몰라라 걍 공기만채워 대충 짓는 아파트 ..이런 건설사들 좀 강력재제 강력처벌 과징금 팍팍 때리시고 면허 취소는 물론 대형건설 못하게 해 주시길 바랍니다 건설업 관리감독도 철저히 하고 법규도 강화 해주세요

  • @user-fe9ei6mf7o
    @user-fe9ei6mf7o10 ай бұрын

    우리 아파트 옆에 아파트 짓고 있는데 비와도 계속 작업하던데~ 여기에 누가 입주할지 상당히 걱정입니다. 근데 오겠죠.. 다들 신축을 좋아하니까..

  • @youngmom9218
    @youngmom921810 ай бұрын

    어디브랜드일까.

  • @user-sl9re3st2g
    @user-sl9re3st2g10 ай бұрын

    저런 쓰레기같은... 지들이 살 집이라고 생각해도 저렇게 하겠나 기본이 안되면 직업 박탈해야 합니다. 책임감 없는 인간은 처벌을 받아야 합니다.

  • @all-nothinggohe9556
    @all-nothinggohe955610 ай бұрын

    언론의 역할이 정말 중요하다봅니다. 비오는 와중에도 정말 수고하셨습니다.

  • @user-mb4zb5kx4b
    @user-mb4zb5kx4b10 ай бұрын

    저런 현장이 진짜 있긴 있구나

  • @sshgh0315
    @sshgh031510 ай бұрын

    인천 어디에요 여기

  • @user-lp8wu4rl6g
    @user-lp8wu4rl6g10 ай бұрын

    멋지다 대한민국 건설의 위상

  • @user-fp6zw3ro9x
    @user-fp6zw3ro9x10 ай бұрын

    정말 부지런한 국민이다...

  • @bbangsu2
    @bbangsu210 ай бұрын

    돈이랑 관련있는 것들이라서 양심에 맡겨서는 절대 바뀌지 않을꺼 같고 비오는날엔 타설하지 못하도록 강제하는 장치가 있어야 할듯요~

  • @user-nx6ly8hc9b
    @user-nx6ly8hc9b10 ай бұрын

    법으로 강력히 처벌과 몰수가 필요

  • @92kws105
    @92kws10510 ай бұрын

    원칙상으로는 비오는날 말고도 한겨울에도 콘트리트 타설을 하면 안되죠.(수분침투로 인해 콘트리트 내부에 구멍이 생김) 꼭 해야한다면 실내가 훈훈할정도로 난방설비를 가동시켜야하는제 지켜지지가 않는

  • @economypark7935

    @economypark7935

    10 ай бұрын

    틀어서 밀폐공간 생겨서 질식으로 인한 사망사고 남

  • @economypark7935

    @economypark7935

    10 ай бұрын

    온도20도 이상만 맞추면 됨

  • @user-zy7oh5cw4s

    @user-zy7oh5cw4s

    10 ай бұрын

    호주정도만 해도 보도블럭 까는데도 일주일 넘게 걸림.

  • @user-mw9fw1ec6u

    @user-mw9fw1ec6u

    10 ай бұрын

    뉴스 못봄?? 난로펴놓고 말리다가 질식으로 뒤지는거 ㅋ

  • @kalamel00

    @kalamel00

    10 ай бұрын

    레미콘 올때부터 물희석 이빠이 하고온다 ㅋㅋ 빗물들어가면 시멘량 10프로되냐 ㅋㅋ

  • @user-ow4nk4so8g
    @user-ow4nk4so8g10 ай бұрын

    나라가 망해가는모습을 보니 가슴이 웅장해진다

  • @Rem0001
    @Rem000110 ай бұрын

    저렇게 건물을 지어서는 당연히 안되는 일인데 현장 인부들은 공수, 일당으로 급여가 계산 되는것도 문제죠 장마철에 1~2주 쉬어버리면 월급 반토막납니다 이런 부분도 참 문제네요

  • @rainbowsea9679
    @rainbowsea967910 ай бұрын

    정부와 건설사가 담합이 되어 있어서 사고나도 큰 문제는 안 된다고 봐야 . . .

  • @geunseokpark6260
    @geunseokpark626010 ай бұрын

    이렇게 중대한 사항이 양심에 맡겨진다는 것 또한 놀랍다.... 대단하다 정말 대한민국.. 갈길이 너무 멀다

  • @CapJJangggg
    @CapJJangggg10 ай бұрын

    근본원인은 과한 공기단축임.... 밑에 시공사가 하도급업체에 공기단축 압박 넣는데 어쩔수 없이 하는거지, 누가 비오는날 작업하고 싶음? 돈 더주는것도 아닌데, 현대에서 중동에 가서 공기단축 공기단축 하다가 감리한테 걸리고 재시공하고 손해본게 몇조인걸 보면, 우리나라만 법이 물렁하고 감리가 물렁한거임. 건설개혁 해야함

  • @yoonjulee3166

    @yoonjulee3166

    10 ай бұрын

    시공사만에 문제가아님 계약부터 주어진 공기가 빠듯함 몇십개에 공정이 모여서 만들어지는 구조물이라 돌발사항에대해 건축주가 공기연장을 받아들이지않음 법적으로 공기 보장해줬으면 하내요

  • @user-kh7yo1kv3i
    @user-kh7yo1kv3i10 ай бұрын

    실 국토부 지침엔 우천 타설시 감리판단하에 더 높은 콘크리트 강도로 타설하게 되어있습니다. 공기때문에 어쩔수 없이 타설한다 하면 24mpa라면 30이상 강도로 타설해야 비에 쓸려내려가도 원 강도 이상 나올수 있다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과연 더 높은 강도로 타설 했을지 의문이네요.

  • @user-rg2fm2eh1j
    @user-rg2fm2eh1j10 ай бұрын

    아파트 선시공 후분양 공사과정공개 원가공개 어렵나? 법만들어라 국회의원들이여.

  • @user-yc8ub4nr1q
    @user-yc8ub4nr1q10 ай бұрын

    돈이 아무리 좋아도 저건 아니다 사람들 목숨이 달렸는데😢😢😢😢😢😢

  • @user-lg2iq1pp7x
    @user-lg2iq1pp7x10 ай бұрын

    기간이 연장되더라도 협의보고 안전하게좀지어주세요ㅠ무서워

  • @hyunwookbaik6743
    @hyunwookbaik674310 ай бұрын

    진짜큰일이다

  • @cmy4416
    @cmy441610 ай бұрын

    시공 다 하시고 꼭 자녀분들이 사셨으면 좋겠습니다

  • @iiillliliill7568
    @iiillliliill756810 ай бұрын

    이게 사실 엄청 애매한 부분임 타설은 한번 시작하면 멈출수없음… 그에따라 펌프카하고 레미콘도 미리 준비를 해두는데 소나기 온다고 펌프카하고 레미콘을 가라고 돌려보내기는 힘든 상황임 그렇다고 소나기 비 예보 있는 날에도 공사를 안해버리면 공기가 엄청 밀리게됨 법적으로 못하게 막던지 아니면 천막 치고 하던디 해야할듯

  • @user-dq7hr6ym6w

    @user-dq7hr6ym6w

    10 ай бұрын

    정확히아시네요 맞습니다

  • @korea_kim9

    @korea_kim9

    10 ай бұрын

    콘크리트 타설을 하고있는데 타설하려고하는 한국사람 많이 없습니다. 한국사람 1명 2명이 중국사람 2명 3명정도 쓰면서 일하는데 중국사람들이 다그런건 아닌데 대충대충일합니다. 그리고 토,일은 국토부에서 쉬라고 해서 한달에 20일 일합니다.근데 비오는날 3일정도 뺀다고하면 17일 일이 없는 날도 있으니 2일3일빼면 대충 15일에서 14일입니다. 이번장마기간처럼 비가 계속오면 일을거의 못하겠죠 월급이 아니라 일당이기때문에 일이없으면 중국인들도 다른일로 다 가버립니다. 그리고 강도조절만 신경쓰면 콘크리트가 잘 안퍼지고 안들어가면 콘크리트 면인 잘안나와요 철근보이고 철근사이에 구멍이생겨서 어차피 땜빵하면 강도가 좋지 않습니다.

  • @korea_kim9

    @korea_kim9

    10 ай бұрын

    펌프카가 이리저리 왔다 갔다해야해서 천막치기도 힘들어요 그리고 콘크리트에서 열이 발생해서 여름에는 아마 타설공들 다쓰러질듯.

  • @TJpark42
    @TJpark4210 ай бұрын

    발주처- 무조건 금액이 1순위이기때문에 최저가입찰넣은 시공사쪽으로 수주할 확률 99% 시공사(본사)-최저가맞추기위해서는 당연히 공사기간도 줄여야하기때문에(1일당 시공사,하청,직영 인건비,작업대,유지비,경비 등등) 타이트하게 공기설정할수밖에없음 시공사(현장)-공사기간 엄수하느냐에따라 본사에서 엄청쪼기때문에 현장소장 모가지날라가느냐 임원승진하느냐 팀장들또한마찬가지 ...이런상황이므로 당일날 폭우가쏟아지지않는이상 거의 일정대로 강행하려고함 더군다나 일단 장비 및 인력 세팅해놓고나면 취소한다고해도 일정부분 지불을해줘야하기때문에 웬만하면 강행함. 더군다나 기상예보가아니라 기상현황이라고 해야할정도로 수시로 예보가바뀌기때문에 비온다고하고 안와서 공사기간 하루 날리는경우도 허다함 하청(협력업체)-시공사에서 하라고하니까 하는거임. 물론 요즘엔 비오는경우 작업안한다고 거부하는 업체들도 많음 이사람들도 시공사쪽에서 일단 세팅하라고하면 새벽5시반,6시부터일어나서 현장출근해서 대기하고 하기때문에 일정부분 인건비 요구하는건 당연한부분이긴함 건자재납품업체(철근,단열재,레미콘,포시멘트 등등)- 마찬가지로 일단 시공사에서 요청한 납품요구일에 맞춰 운송,원자재 등 세팅을 해놓을수밖에없음. 현장에서 진행한다고하는데 납품업체에서 혼자 점쟁이마냥 '비오니까 어차피 취소되겠지~'하고 준비안해놨다가 정작 그날 비가안오거나 비가와도 강행해버리면 납품빵꾸낸걸로 작살나버리기때문에.. 입주자회-비오는날 공구리치면 난리치지만 그렇다고 공사기간이 늘어지는걸 이해해주지도 않음.. 뭐근데 공사기간이 많이늘어져 입주일자에도 차질이생겨버리면 이사,대출계획에 다 차질이생겨버리니 이해는됨 결국 착공허가내주는 관할부서에서 우기,폭설,극서기 이런부분들을 감안해서 공기가 타이트하다고 여겨지면 공기조정을 명령하던지(권고사항으론안됨) 아니면 아예 국토교통부에서 규칙이나 법령으로라도 기준이생겨야하는데 관할부서사람들은 건설현장에 프로세싱을 거의 모른다고 봐야하기때문에 이런게 불가능한실정임 개인적으론 요즘자재값폭등 등을 시공사에서 많이얘기하는데 지방 평당 1500~2천만원분양가 육박하는 현시장에서 마진을 좀포기하고 공사기간을 조금넉넉히 설정하고(발주처도 인식이바껴야함,특히 조합 재개발,재건축) 당해 강수일정등을 년말에 계산하여 국가나 지자체에서 어느정도 공사기간이 지연되도 고려받거나 손실금액을 보전해줄수있는 방안이 꼭 제도화되어야한다고생각함...

  • @dmdxhltkz

    @dmdxhltkz

    10 ай бұрын

    와 이 댓글 ㄹㅇ이다 이렇게 서로 얽힌 프로세스로 묶여있는 현실을 쫙 다뤄주는 영상이 나오고 그걸 모두가 봐서 제대로 된 의제가 나왔으면!! 근데 진짜 여러 댓글들 쭉 읽어보면 지금 관련 건설법 개정 제정부터 이뤄져야하는건 일단 확실한듯

  • @dmdxhltkz

    @dmdxhltkz

    10 ай бұрын

    그리고 기상'현황'도 ㄹㅇㅋㅋ 성격상 옛날부터 기상예보를 주단위로 늘 보고 하루에도 몇번씩 당일예보 시간대별로 보고 그것도 모자라 시간대별 습도까지..ㅋㅋ 보고다니는 사람인데 당일 예보도 실시간으로 바뀌어서 ... 날씨개고보면 다음시간대 비온다던 표시가 바뀌어있고 비오고보면 또 비오는표시로 바뀌어있고ㅋㅋㅋ 그런정도 .. 기상예보하는 곳에서도 많이 애쓸테니 이정도면 걍 날씨가 잘못했네 해야하는 수준 ..

  • @user-tm5eh3xm6k
    @user-tm5eh3xm6k10 ай бұрын

    어디 건설사임?

  • @atnmkn6870
    @atnmkn687010 ай бұрын

    수도권은 지진 안나기를 기도하는 수밖에 없는 것 같네요... 지진 한번 나면 인명피해가 상당히 클 것 같습니다...

  • @gomjo3391

    @gomjo3391

    10 ай бұрын

    진짜 우리나라는 지진나면 큰 일날까 걱정입니다

  • @user-tf1ub1dw6c

    @user-tf1ub1dw6c

    10 ай бұрын

    저렇게 얼마나 많이 지어졌을까 ㅋㅋ 난 꼭 신축아파트로가야징~

  • @AaA-bf9ue

    @AaA-bf9ue

    10 ай бұрын

    @@user-tf1ub1dw6c 지금 신축을 저렇게 짓고있는데 바보임? ㅋㅋ

  • @user-wp2jo9cl9s

    @user-wp2jo9cl9s

    10 ай бұрын

    @@user-tf1ub1dw6c 신축도 똑같음 최근뉴스 안보셨나? 분양받아서 갔더니 누수고 뭐고 부실공사 투성이임 제가사는 아파트도 그렇게 좋은아파트는 아니지만 누수있길래 관리실에 신고를해도 관리실마저 나몰라라 하거나 아님 그냥 임시방편으로 통으로 커비치는 수준(그게 1년 넘었는데 최근 폭우로 민원 터져서 6월말부터 7월초에 공사 마무리함) 아 제가 사는 아파트 3년전에 완공된 아파트입니다

  • @user-mi8ho1yj7j

    @user-mi8ho1yj7j

    10 ай бұрын

    @@user-tf1ub1dw6c 최근 5년동안 지어진 건물은 거의 다 부실 하자 투성이임.. 20~30년 전에 지어진 아파트들이 훨~씬 튼튼함

  • @faustjeon
    @faustjeon10 ай бұрын

    칭찬해 KBS!!

  • @sunny-dv7pu
    @sunny-dv7pu10 ай бұрын

    어디 건설사??

  • @ccomjirak
    @ccomjirak10 ай бұрын

    후분양이면 저럴 수 있을까???

  • @mean9395
    @mean939510 ай бұрын

    와 진짜 대단하다. 이렇게 큰 사건이 일어나도 여전하구나 역시 내 주변 사람들에게 일이 발생하지 않는 한 다들 강 건너 불구경 하듯 생각한다. 그러니 계속 발생하는 듯 이러다가 큰 사고 거쳐야 다시 그레이트 리셋 되는거고... 우리 민족 정체성은 사후약방문, 소잃고 외양간 고치기가 확실하다.

  • @grapheyes32
    @grapheyes3210 ай бұрын

    최근 무너진 건물들 처벌 어떻게 받았는지 알면 여전히 왜 저러는지 알 수 있지.

  • @user-yp3fs6gz4p
    @user-yp3fs6gz4p10 ай бұрын

    비오는날 전부 공사기간 연장 부탁드립니다 .

  • @segunkim23
    @segunkim2310 ай бұрын

    법으로 기상이변시 공사기간을 보장해디줘야합니다. 비오는날 타설은 잘못됬지만 현실적으로 발주처는 공기를 늘려주지않고 시공사는 가운데서 해가갈수록 심해지는 기상악화시에도 공사기간내에 완공을해야하기에 완공후에도 품질면에서도 추후 문제가 생깁니다.

  • @yoonjulee3166

    @yoonjulee3166

    10 ай бұрын

    인정합니다 날씨,노조파업,자재값인상등등 시공에는 돌발사항이너무많아서 보장해줘야되요

  • @user-mq3ty5vg2y
    @user-mq3ty5vg2y10 ай бұрын

    이런건 몰랐어. kbs기자분 대단하다

  • @blacktalker96
    @blacktalker9610 ай бұрын

    못배워먹었다는 게 지식의 차이가 아니라 인간의 됨됨이 차인데 진짜 건설현장은 답이 없다

  • @user-km6qe4jz8u
    @user-km6qe4jz8u8 ай бұрын

    건설사들 진짜 정신을 못차렸다.

  • @user-dk7bx6kq8e
    @user-dk7bx6kq8e10 ай бұрын

    솔직비가문제야 건설은시간이 문제지!

  • @user-qr5zh7ij4p
    @user-qr5zh7ij4p10 ай бұрын

    이런걸 빠르게 처리하고 처벌해야 저런 사람들도 빨리 없어지죠ㅜ 지도자한테만 맡기자고 하다니 무책임하네..나중에 일이 생겨도 지도자에게만 책임을 물라고 할거임??

  • @samual_cycling
    @samual_cycling10 ай бұрын

    10여년전에 작은 아버지가 운영하시던 조그마한 건설사를 접으셨습니다. 큰 건설사에서 하청을 받아서 건물 올리는 일을 하셨는데 밤마다 건물이 본인 앞으로 넘어지는 악몽에 시달리셨다고 하더라구요. 이 바닥은 10여년 전이나 지금이나 바뀐게 하나도 없네요.

  • @user-vn5dc3ln8m

    @user-vn5dc3ln8m

    10 ай бұрын

    ㅋㅋㅋㅋ골조업체가 원가절감하려고 가닥수 줄이는건뎈ㅋㅋㅋㅋ작은아버지가 많이 빼먹어서 불안하셨나보네요ㅎㅎ

  • @user-vn5dc3ln8m

    @user-vn5dc3ln8m

    10 ай бұрын

    막 뉴스보다보니 시공사들이 죽일놈같죠? 떠들라면 조직구조를 알고 떠드세요ㅎㅎ

  • @samual_cycling

    @samual_cycling

    10 ай бұрын

    제가 건설업에 몸 담고 있는게 아니니 조직 구조나 그런건 잘 모르겠습니다만, 하청 대부분이 역입찰로 이뤄지니 공사비용을 줄일 수 밖에 없고 그러면 부실공사를 할 수 밖에 없다고 하셨던게 기억에 남습니다.

  • @samual_cycling

    @samual_cycling

    10 ай бұрын

    그리고 저는 골조에 대해서 말한적이 없습니다. 본인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서 평생을 바쳐 키워온 사업을 접으신것 만으로도 존경받아 마땅하셨던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vn5dc3ln8m

    @user-vn5dc3ln8m

    10 ай бұрын

    큰 건설사에서 하청을 받는 조그만한건설사.. 그게 곧 골조회사인데요ㅎㅎ

  • @Bbiing
    @Bbiing10 ай бұрын

    순살에 이어 수비드까지 대단하다 진짜

  • @user-mo9ff2iu3p
    @user-mo9ff2iu3p10 ай бұрын

    법적으로 제대로를 마련해야지 정치인들아

  • @samak-xh1vt
    @samak-xh1vt2 ай бұрын

    요즘입주아파트 거의다 부실공사

  • @zjaaosi
    @zjaaosi10 ай бұрын

    옛날 부터 거의 모든 현장이 이랬거든. 이렇게 만들어준 국민들께 경의를 표 합니다.

  • @user-uc1xs5ms2q

    @user-uc1xs5ms2q

    10 ай бұрын

    저기 누가 살겠냐...

  • @dudans33

    @dudans33

    10 ай бұрын

    ​@@user-uc1xs5ms2q지금살고계시네요 옛날부터쭉이래왔습니다

  • @user-mx4oy6tv5v

    @user-mx4oy6tv5v

    10 ай бұрын

    조선족들 이나라에 들어오면서 나라가 개판 공사판 됨.

  • @79YTK

    @79YTK

    10 ай бұрын

    @@user-uc1xs5ms2q 니가 현재 살고있는집이 저런집이야 이제 알겠지?

  • @user-kv8wx6vr5o

    @user-kv8wx6vr5o

    10 ай бұрын

    당신의 명복을 빌어야겠네....

  • @onnya4753
    @onnya475310 ай бұрын

    건설사-국토부-언론이 한 몸이라 변하지 않는것임 최근엔 몇몇 언론에서 그 커넥션을 끊고 보도하는게 변화의 조짐이긴한데

  • @user-ot5qp5ik4k
    @user-ot5qp5ik4k10 ай бұрын

    흔히보던일이였는데 맙소사

  • @jkk6593
    @jkk659310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건설사들 세무조사 실시해라

  • @zhem44
    @zhem4410 ай бұрын

    다른나라보다 울나라가 더 부끄럽다..

  • @ssongheemang
    @ssongheemang10 ай бұрын

    곧 큰 거 온다. 부디 조심들 하시길~

  • @onlypeace2076
    @onlypeace207610 ай бұрын

    울집 옆에도 아파트공사 하는데 비와도 콘크리트공사 하던데....참...

  • @user-yz8is3bt9n
    @user-yz8is3bt9n10 ай бұрын

    비오는중에도 타설하는것도 문제지만.. 레미콘에다가 물타서 타설하는것도 문제입니다 전국에 어느현장이래도 물암타고 타설하는데도 없울듯해요

  • @goyusam
    @goyusam10 ай бұрын

    사람이 사는곳은 진짜 공사관리 잘해야 할듯

  • @user-ju6qr7mh2u
    @user-ju6qr7mh2u10 ай бұрын

    I파크가?

  • @sunfllower78
    @sunfllower7810 ай бұрын

    20년전에는 안전화에 빗방울 한방울만 떨어져도 노가다 현장 쉬는 날있는데

  • @user-cn8zq9et3p
    @user-cn8zq9et3p10 ай бұрын

    어느지역 어디 건설사인지도 밝혀야 소비자가 피해를 안볼꺼 아녀ㅡㅡ

  • @user-lz5jl7gr1l
    @user-lz5jl7gr1l10 ай бұрын

    이런 안전에 영향을 주는 취재 좀 더 많이 좀 해주세요

  • @dae_han_min_guk
    @dae_han_min_guk10 ай бұрын

    아무리 공사기간을 맞추려고 한다지만 어떻게 안전과 직결되는 엄청난 일을 저렇게 아무렇지 않게 할 수 있는지 도저히 납득이 안 가네요. 천하의 쳐 죽일놈들 같으니라고.

  • @user-yz2im2cn9x
    @user-yz2im2cn9x10 ай бұрын

    콘크리트는 수분 함유량이 제대로 지켜져야 내구성이 보장이 되는데 비오는날 콘크리트 타설하면 배합이 제대로 된 콘크리트를 써도 의미가 없지..

  • @__KOREA
    @__KOREA10 ай бұрын

    이야 세상이 이난리인데도 참 대단하다. 대단해...

  • @user-zy6nq1qo9i
    @user-zy6nq1qo9i10 ай бұрын

    공사책임자 놈들 가족들 입주시켜서 오래오래 살았으면 좋겠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