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정반대로 가는 거점 국립대…지방 대학들은 '불만 속출' / KBS 2024.05.07.

경북대가 확정한 2025학년도 입학정원은 5천 269명.
전년도보다 220여 명 늘었습니다.
반도체 관련학과와 의과대학 정원이 늘어난 게 주된 이유입니다.
줄곧 4천6백 명대에 머물던 입학 정원은 2024학년도부터 급격하게 늘어 전국 최대가 됐습니다.
[임상규/경북대 교무처장 : "수도권 대학 정원을 늘릴 수 없는 상황입니다. 그 상황에서 첨단분야 인력은 양산해야 해요. 지방대학을 늘려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잖아요."]
학령인구 감소 시대, 살아남기 위해 몸집을 줄이는 다른 대학들은 불만이 큽니다.
거점 국립대학이 입학자원을 빨아들이는 이른바 블랙홀이 돼 지방대학 위기를 부채질한다는 겁니다.
[▲▲대학 관계자/음성변조 : "국민 세금으로 운영하는 경북대가 정원을 확대하는 것은 지역 대학을 위기로 만들고 해당 학교가 폐교로 이어질 경우 지역경제도 무너질 수 있으니..."]
경북대의 수시모집 비율은 2023학년도까지 60%대이던 것이 80%대로 확대됐고, 최저학력기준은 완화됐습니다.
[■■ 대학 관계자/음성변조 : "최대한 인원을 수시에서 확보하겠다. 아무래도 정시로 가게 되면 수도권과 겹치는 부분이 더 많기 때문에 확보가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대학원 위주의 연구중심대학이 되겠다면서도 덩치를 키워가는 경북대.
이 같은 행보가 적절한지는 취업률 등 4년간의 교육 성과가 판가름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영재입니다.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경북대학교 #국립대 #대학교

Пікірлер: 301

  • @user-qp3pm4mk6l
    @user-qp3pm4mk6lАй бұрын

    지거국은 어떻게든 살리는게 맞지 이건 차별이아니라 선택과 집중이다 막말로 지방대 싹다 문닫고 지역별로 하나만 남기라하면 누구나 지거국을 보존해야한다고 보지않을까

  • @power_99135

    @power_99135

    Ай бұрын

    지잡대랑 지거국은 엄연히 다름

  • @heojun58

    @heojun58

    Ай бұрын

    지방사립은 도태되겠지

  • @user-ghlfhdsladfyt

    @user-ghlfhdsladfyt

    Ай бұрын

    ㄹㅇ 지거국을 살려놔야 되살리기라도 가능하지 개지잡들 다 끌고 가려다가 지거국도 망한다

  • @user-yy3uo4rw2f

    @user-yy3uo4rw2f

    24 күн бұрын

    지거국은 그럼 시민들에게도배려해야지 왜시민들눈치를함?ㅋ그리고지거국도지적당할거는당해야함ㅋ

  • @user-qp3pm4mk6l

    @user-qp3pm4mk6l

    24 күн бұрын

    윗댓 무슨소린지를 모르겠음; 그 지적같은건 대학구조평가에서 알아서 잘 할거고 시민들에대한 배려는 무슨뜻인지 모르겠지만 내가살고있는 지역의 지거국인 부산대 상권은 건물주들 욕심때문에 퇴화되고있긴한데 이건 대학측 문제가 아니고 여전히 부산의 중심적인 상권으로 유지되고있음

  • @ytl5808
    @ytl5808Ай бұрын

    지방은 국립대 중심으로 집중하는 게 맞지. 어차피 대학 수는 줄어야 함.

  • @user-yp3iv1nl8p

    @user-yp3iv1nl8p

    Ай бұрын

    지거국 중심으로 가는건 좋은데 그렇다고 정원을 늘릴것 까지 있을까요? 어차피 학령인구가 주는데요

  • @minzokielizabeth3830

    @minzokielizabeth3830

    Ай бұрын

    집중은 맞는데 인원을 늘리는게 맞나? 욕심만 많아 보이는데

  • @judiciousspectator9815

    @judiciousspectator9815

    Ай бұрын

    국립대 다 썩었는데 국립대 위주로 간다는 건 나라가 망할 징조라는 거다. 가장 부패한 집단이 국립대다.

  • @power_99135

    @power_99135

    Ай бұрын

    지잡대보단 지거국을 살려야함

  • @yosepkim3135

    @yosepkim3135

    Ай бұрын

    ​​@@minzokielizabeth3830지잡대 갈 애들을 지거국으로 모으는듯 ㅇㅇ

  • @user-fy2gr2ww3b
    @user-fy2gr2ww3bАй бұрын

    지방거점대학 중심으로 지방대학 질서를 재편하는게 맞다고 본다.

  • @jwp-yh8wh

    @jwp-yh8wh

    28 күн бұрын

    지역거점국립대임. 서울대도 지거국이란다

  • @user-st4yh6mp7g

    @user-st4yh6mp7g

    23 күн бұрын

    @@jwp-yh8wh 그니까 서울대말고 지방을 거점으로 하는 국립대 질서를 개편하자는거잖아 병ㅅ아

  • @RlarjsEor

    @RlarjsEor

    22 күн бұрын

    ​@@jwp-yh8wh맥락이라는 단어를 모르나?

  • @Scathantheapprover

    @Scathantheapprover

    Күн бұрын

    ​@@jwp-yh8wh 지거국 중심으로 지방대학을 개편해야 한다는 의견과 서울대가 지거국이라는 사실이 어떠한 관계가 있음?

  • @youngpark3019
    @youngpark3019Ай бұрын

    쓸데 없는 대학은 다 없어지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인데......뭔 소리야? 그럼, 사립대를 계속 세금으로 지원하라는 말이냐? 국가재정 적자로 더 물가를 올려야 겠냐고!!!!!!!!!!!!!!!!!!!!!!

  • @pure68a
    @pure68aАй бұрын

    학령인구 감소로 볼 때 지방대학은 거점 국립대학교 빼고 없어져야 합니다.

  • @qWeRtYhhhh
    @qWeRtYhhhhАй бұрын

    등록금 저렴한 지거국은 냅둬라 등록금 비싼 지방 사립대가 문제지

  • @djeiw94j29d
    @djeiw94j29d26 күн бұрын

    지방은 쓸데없는 지방대는 정리하고 지거국 중심으로 개편해야하는건 그냥 옳은 일임

  • @user-dw7fu7un6k
    @user-dw7fu7un6kАй бұрын

    지방은 거점국립대로 살아남아야 하는게 맞다. 그리고, 산업단지가 있는 각 지방은 특성화 대학이 있어야 한다.

  • @castlep7570
    @castlep7570Ай бұрын

    일단 지방 주요 사립은 살리지만 듣보는 대학의 역할도 못함.. 구조조정 해야하고.. 서울에 집중된 현상 해결을 위해 서울에 정원감축 할당은 더 크게해야함. 대학자체 역량보다 단순 서울에 위치한다는 이유로 성장한거기 때문에. 국립은 전액 등록금 면제, 지방 주요 사립은 등록금 자율화+국장, 수도권 사립은 등록금 자율화 + 국장 지원0 으로 하면 과거처럼 서울 명문 사립 빼고는 서울 사립 좀 하향 그릴거임.. 사립 가는게 부담될 수준까지 등록금 올라가서

  • @Jay-gw4le
    @Jay-gw4leАй бұрын

    대구 신생아수가 2023년 기준으로 1만명도 안됨. 지금 약 5000명대 정원 수준 유지하면 20년 뒤에는 대구에서 태어난 사람 둘 중 하나는 경북대 간다는 소린데ㅋㅋ 지방대 망하는 소리가 벌써 들린다.

  • @jm832048

    @jm832048

    23 күн бұрын

    와 대박

  • @jwhwang5659

    @jwhwang5659

    21 күн бұрын

    경북대가 대구만 가낭 ㅋㅋㅋㅋㅋ

  • @user-lk1xm2cd7w

    @user-lk1xm2cd7w

    19 күн бұрын

    @@jwhwang5659지역인재80%라잖아 더 줄겠냐?

  • @dykwak3531

    @dykwak3531

    7 күн бұрын

    그땐 대학은 입학정원 안줄이냐 ㅋㅋㅋ 진짜 개멍청한소리를 하노

  • @Jay-gw4le

    @Jay-gw4le

    6 күн бұрын

    @@dykwak3531 진짜 개멍청하네; 대학정원은 출생률 맞춰서 줄일 수가 없다; 특히 국립대는 교직원 및 교수들 고용보장 때문에 급격한 경영축소는 불가능함. 이런 대학정원 비탄력성때문에 이미 20년대 들어서 인서울 하위권부터 입결 작살나고 있는데 뭘 좀 알고 말해라ㅋㅋ 그리고 너보단 내가 좋은 대학 나왔을듯ㅋㅋ

  • @DTEX2
    @DTEX210 күн бұрын

    지거국은 국가의 명운을 걸고 살리는 게 맞는거다.

  • @user-yc8ju9vo9h
    @user-yc8ju9vo9hАй бұрын

    경북대 입결이 자꾸 하락하는 이유이다. 학생수가 적더라도 알차게 교육시켜 질좋은 곳에 취업이나 학업이 이어가도록 해야 하는데... 소통과 협의가 부족한 대구, 경북만의 고집불통이 만들어내는 역주행을 막아야 한다. 안타깝다.

  • @junsoh8204

    @junsoh8204

    28 күн бұрын

    경북대 다른 과들 특히 인문사회계열 과들 정원은 주기적으로 계속 줄어들었고, 몇몇과들은 아예 없어진 곳도 있습니다. 지금 입학정원 늘어난 것도 반도체하고 정부가 추진한 의대 2천명 증원 정책 때문입니다. 입결이 하락하는건 계속해서 학령인구가 줄어들기 때문이구요. 뉴스만 보면 경북대가 모든 과들 정원을 계속 늘린것처럼 나오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습니다.

  • @user-fukboy

    @user-fukboy

    24 күн бұрын

    인문계열은 상경빼고 정시로 많이 안뽑음..

  • @user-nh8uw4rq4o

    @user-nh8uw4rq4o

    Күн бұрын

    애초에 그냥 경상남도에서 알아주는 대학이었지 엄청 높지도 않았는데? ㅋㅋ 입시입결이 2등급이더라도 서울에 있는 2등급이 걍 쌉바르지. 인지도며 서울생활이며 등등

  • @user-Neapolitan6
    @user-Neapolitan6Ай бұрын

    일본처럼 수도권 대학들 지원 줄여서 그 재정으로 지방 거점 국립대학에 지원을 몰빵해주고 지방 사립대들은 어느 정도는 적자생존 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 물론 일본이 수 많은 부작용을 겪긴 했으나, 지방경제가 유지되는 이유기도 함. 명문대의 96%가 서울에 몰려있는 건 매우 비정상적인 게 사실임. 다른 국가들도 수도권에 몰려있지만 이 정도로 심각하진 않음. 게다가 한국은 현재 일본보다 더욱 심각한 저출산을 맞고 있으므로 이거 저거 따질 여유가 없음. 따질 거였으면 수 십 년 전에 진작 연구 용역 발주해서 따져봤어야지.

  • @user-nn7vg6ys2w

    @user-nn7vg6ys2w

    10 күн бұрын

    일본은 각 지역을 대표하는 대기업들이 많아서 그런거고 한국은 100대 기업중 80개가 서울에 있는데 일본이랑 같냐?

  • @meloosovd

    @meloosovd

    5 күн бұрын

    @@user-nn7vg6ys2w 그니까 지금이라도 해야지ㅋㅋ 일본은 달랐나? 일본도 개혁개방 시기에 주요 지역에 먼저 대학부터 들여놓고 그 다음에 그 사람들 데려다가 지역에서 자리잡은 회사가 나온거

  • @user-yi8ws1rb1s
    @user-yi8ws1rb1sАй бұрын

    모집인원을 늘리면 그만큼 입시결과는 하락할텐데… 안그래도 요즘 광명상가 라인이랑 경북대랑 고민 많이 하던데.. 지거국의 위상이 더 떨어지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 @yusepgjd

    @yusepgjd

    Ай бұрын

    경북대는 번래 광명상가에 비빌곳이 못됨 ㅋㅋ

  • @user-km5oe1dm3r

    @user-km5oe1dm3r

    Ай бұрын

    @@yusepgjd설잡 ㅎㅇ

  • @KyungHee_GukJeHak

    @KyungHee_GukJeHak

    Ай бұрын

    라고 말하는 애들 특 : 설잡대

  • @user-vc6dq6hi2h

    @user-vc6dq6hi2h

    Ай бұрын

    설카포연고 말고 학벌 의미가 없습니다

  • @user-kw4qm6px2f

    @user-kw4qm6px2f

    Ай бұрын

    @@gdhgehjobkkg중경외시도 의미 없음. 진짜 하이클래스 직종, 직장은 한양대도 높게 안 봄. 그냥 학벌 따지지말고 본인들 능력이나 키워라.

  • @845marine845
    @845marine845Ай бұрын

    특수 목적이나 학문 연구 교육 대학을 제외하면 대학은 줄어야지. 누구나 다 아는 불편한 진실이, 상위 5% 정도를 제외하면 공부하는 애들은 없고, 그러니 서울도 상위 5개 대학을 제외한 잡대들 없어지는 것이 맞지 않나? 지방은 지거국과 해양대, 교대나 사범대를 제외하면 어차피 공부 안 하는 애들 대학 간판 달아주는 목적으로 존재하는데. 아니면 정말 해외처럼 입학은 편하게 졸업은 힘들게 해서 사교육이나 입시 문제를 줄이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아도 좋겠고. 지거국이 정원 늘려서 잡대들 없애는 데 한 몫을 한다면 좋은 현상이 아닐까 하는데?

  • @user-hy1nj9pd2f
    @user-hy1nj9pd2f3 күн бұрын

    부산대는 입결방어 선방하고, 경북대는 올해 입결 상승에다 경쟁률도 올라감. 문제는 전남대가 완전 하락해서; 지거국 위한 지원이 더 필요해 보이긴 함

  • @user-nh8uw4rq4o

    @user-nh8uw4rq4o

    Күн бұрын

    그래봤자 지방대

  • @user-hy1nj9pd2f

    @user-hy1nj9pd2f

    Күн бұрын

    @@user-nh8uw4rq4o 네 다음 인생 찡찡이

  • @geunho__
    @geunho__Ай бұрын

    지방 사립대가 어려워지고, 국립대인 경북대가 덩치커지면 결국 지방 국립대가 살아남는것이니 좋은것아닌가?

  • @bokkwonsu
    @bokkwonsuАй бұрын

    학력수준 떨어지는 사립대(사학재단)는 쓸데없는 정부지원금 지출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정리되어야죠.

  • @tH0Ma5_1Una
    @tH0Ma5_1UnaАй бұрын

    비출산시대인데 대학이 살아 남겠냐? 지금 2/3는 없어진다고 봄. 그때를 대비해 돈장사하는 사립대는 인재를 절대 못키우니 국립대 위주의 인재양성에 힘써야함.

  • @user-by6xz8eg3u
    @user-by6xz8eg3u8 күн бұрын

    이젠 종합을, 이것저것 다하겠다고 하기 보다는, 어느 분류 안에서 관련된 학문을 다룬다는 걸로 좀 길을 틀어야 하지 않을까? 국립이고 사립이고, 제일 중요한 건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인데, 입학 정원 준다고 걱정할 게 아니라, 어떤 걸 해당 학교의 정체성으로 만들 수 있을지 생각해야지. 나머지 분야에서 전문적인 교육은 해당 지역 타 대학에 맡기고 지역 대학 네트워크 구축해. 학년제 없애고, 절대평가를 기반으로 학습이력제를 도입하면서 세부전공을 운용해. 재수강도 하고 싶으면 얼마든지 할 수 있게 하고. 수강 태도 불량이나 지성인 품위 유지 위반 등의 학사 경고 사유가 걸려 있지 않은 한, 횟수 제한 없이 휴ㆍ복학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바꾸고. 부전공은 기존의 복수전공ㆍ융복합전공ㆍ산학협력전공 따위를 다 합치고 학위논문 작성 면제하자고. 졸업은 별 역할도 없는 이수 학점 따위가 아니라, 오직 논문이나 작품 등을 통한 엄격한 심사를 거치도록 하자고. 오직 연구와 관련해서만, 대학 내 학술원 사용 승인을 내는 걸로 바꿀 수 있게. 석사는 제1저자가 아니더라도 참여한 연구 및 개발 사업에 저자로 올라가 심사를 받고 여러 성과를 인정 받았다면 수여하고, 박사는 석사와는 달리 제1저자로서 발표한 것이 최소한 연구원 소속국 영역에서 활동하는 해당 학계 차원에서 비판이 진행되어 그 성과가 인정된다고 할 때, 석사로서 작성한 최초의 제1저자로서의 채택 논문을 근거로 수여하자고. 당장은 미봉책을 구사하는 게 편할 수 있어. 학령인구가 급격하게 줄어드니까. 그런데 초등ㆍ중등ㆍ고등 전 교육과정이 썩 좋다고 하기엔 부족해보이는 현황 속에, 그냥 국립대 몸집만 불려서 국립대 네트워크 결성해봐야 국토균형발전은 죽어도 안 돼. 몇몇 재정 운영 방만 재단 소속의 무늬만 대학은 사라질 수밖에 없겠지만, 색을 분명히 해서 서로가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가 되어야 오래도록 상생 협력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빈 건물이 생길 경우, 개조 후 사무실 임대나 유료 시민강좌 유치, 야간학교 위탁 운영 등 공간 임대 사업 도입 및 다각화로 수익을 창출해봐. 하고 있는 곳이 있다면 더 적극적으로 해보고. 대학이 지금은 향토 기업의 산실이 되어 지역 사회에 보탬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 @Terry9024
    @Terry9024Ай бұрын

    지방 인구 소멸하는데 국립대학 중심으로 재편되는 게 바람직하다. 즉 지방에 교육의 질이 떨어지고 시설도 낙후된 공납금만 비싼 사립대는 소멸하는 게 답이다.

  • @moosoyou
    @moosoyouАй бұрын

    의대 증원 숫자의 두 배 정도를 다른 학과에서 줄여야 함

  • @johanninekim6390

    @johanninekim6390

    Ай бұрын

    근데 그러면 교수들 강의 시수가 줄어들고 승진 길이 막히게 됨. 학과 자체마저 고사하게 됨.

  • @user-gr7fs9ud5r

    @user-gr7fs9ud5r

    24 күн бұрын

    의대 증원이 다른 학과에 영향을 줘선 안되겠죠

  • @user-op9pv1jt7p

    @user-op9pv1jt7p

    24 күн бұрын

    @@user-gr7fs9ud5r줄수밖에 없는데 뭔 안되겠죠 이러고있네

  • @user-se6ii6zp4q
    @user-se6ii6zp4qАй бұрын

    지방사립대는 학력인구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지방거점대학에 흡수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 대학을 전부 정부에서 관리를 해주는것이 좋을것 같다

  • @user-cp7lq9lo8h
    @user-cp7lq9lo8hАй бұрын

    이건 욕심이지. 가뜩이나 저출산으로 서서히 인구 줄어들텐데

  • @Ducksam
    @DucksamАй бұрын

    어차피 인구감소 저출산은 현실인데 지방 사립대는 다 문닫을 준비 해야지 무슨;; 서울에 10개 광역시별로 한두개 남기고 다 폐교가 맞다

  • @user-yl2co4xp9z
    @user-yl2co4xp9z2 күн бұрын

    그리고 대학정원을 늘리는게 문제라고하면 결국 비인기과에서 인원을 줄여야하는데, 지방거점국립대마져 경제논리의 맞춰 인원을 줄인다면 그것또한 문제아니겠음? 돈이 안되고 별 필요도없는 인문사회를, 기초 자연이학학과를 줄이고 의대,반도체공학 늘리는게 맞나, 아니면 필수정원으로 유지중이라면, 의대정원,느니까 전체 정원은 늘어날수밖에

  • @user-uq4cn6yf2e
    @user-uq4cn6yf2eАй бұрын

    자연스런 인구감소를 역행하는 정책들은 결국은 국민세금 잡아먹는 하마됩니다.

  • @user-pt5eg4hj8h

    @user-pt5eg4hj8h

    Ай бұрын

    경북대가즈아 나도 9등급

  • @user-tu7jw4wx1k

    @user-tu7jw4wx1k

    29 күн бұрын

    ㄹㅇㅋㅋ 의대정원늘리고있는 나라

  • @user-py7gs9bg8s
    @user-py7gs9bg8sАй бұрын

    연구중심 대학 타령하는데 이미 경상도엔 Unist와 digist가 있다. 두 과기웟이 경상도에 있는데 무슨 연구중심이냐 인문계나 키우면 모를까..

  • @user-bj5rd7yc3w

    @user-bj5rd7yc3w

    Ай бұрын

    포스텍도...

  • @user-bo2cg5mw7y

    @user-bo2cg5mw7y

    Ай бұрын

    농업

  • @sjsim6991
    @sjsim6991Ай бұрын

    ㅋㅋㅋ 총장때문에 지역 세금 엄청 나게 나올껄 장기적으로 한번 볼까

  • @user-lv1bg8xe9n
    @user-lv1bg8xe9n24 күн бұрын

    지방대 살리려면 특정 분야들을 대학들마다 배정해서 특성있는 대학으로 만드는건 어떰

  • @ryu2151
    @ryu215122 күн бұрын

    늘어난게 문제가아니라 그만큼 다른분야 인재들이 다 빠져나가는거지...

  • @user-ag7qm93jl
    @user-ag7qm93jlАй бұрын

    국가장학금을 국립대에만 주면 되는 간단한 문제를

  • @theTruth-as-a-lamp
    @theTruth-as-a-lampАй бұрын

    IMF시절엔 전국민이 자식들 공부 조금 할 줄 알면, 다들 국립대 보내려해서 지방거점국립대라도 보냈는데 경북대,부산대,부경대,창원대,전남,전북대,강원대 등등 국립대가 20년전엔 인기 많고 입결도 좋았음. 근데 지금 다시 사실상 IMF급으로 경제가 안 좋은데도 죄다 서울로 대학 보내는건 수시전형 확대의 부작용이 주된 원인이다. 게다가 국가장학재단의 역효과도 작용했음. 지방 청소년애들이 지방대 들어가면 전폭적인 지원을 해줘야하는데, 서울수도권 사립 잡대를 입결 키워주는데에 장학재단 역할도 큼. 또 유니스트,디지스트,지스트 때문에 지방 국립대 망한거지. 경북대 공대를 지원해주면 되는데 디지스트를 왜 만들며, 울산에 대학없다며 정치인들 표 받으려고 유니스트 만들어주고 전남대,전북대 공대 지원해주면 될걸 가지고 지스트,한전공대 만들고 뭐 하는 짓들인제. 국립대 불필요하게 늘리다보니 사학재단 먹여살려주려고 장학재단 만들고. 이 모든 것들이 지난 20~30년간 벌어진 일이다. 다 정치인들이 나라 망친거임.

  • @user-rv2vv4ff6q

    @user-rv2vv4ff6q

    Ай бұрын

    역사의 산 증인이신가 그런 디테일함은 겪지않고 모르겠죠 결국 정치인들의 지역차별적 지원으로 이지경이 된거네요? 하지만 정치인도 정치인이지만 그런 인간을 뽑고 지지한 지역민이 더 잘못이겠죠 나만 잘살면 내지역만 잘살면 망하던말던 이런 심보

  • @user-or9lq6wy3l

    @user-or9lq6wy3l

    Ай бұрын

    수시가 노무현때 확장됐었나?

  • @user-bo2cg5mw7y

    @user-bo2cg5mw7y

    Ай бұрын

    창원대?

  • @user-sd1xu5mv8l

    @user-sd1xu5mv8l

    Ай бұрын

    영남대 동아대도 나쁘진 않은데

  • @gl1935

    @gl1935

    Ай бұрын

    ​@@user-or9lq6wy3l수시 30 정시 70까진 괜찮았지 박근혜 때 수시 70 정시 30으로 바꾸면 ㅇㅈㄹ 됨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4 күн бұрын

    애초에 지방마다 국립대 하나와 명문 사립 한두개만 있으면 되는 거지 대학이 굳이 많이 필요한가?

  • @useruserlllooo
    @useruserlllooo5 күн бұрын

    더 놀라운건 이분이 박사 학위를 2015년에 받았다는 겁니다. 예전에 공대 유학 준비하려고 미국 대학원 찾아보니까 호서대 출신 미국 공대 교수님도 계시더군요(주립대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 @SIGNIEL
    @SIGNIEL16 күн бұрын

    지거국은 살려야지 지역인재가 있어야 지역산업을 발전시키고 그나마 과밀화 해소를 할까 말까인데

  • @user-fq5kg5tr6n
    @user-fq5kg5tr6nАй бұрын

    경북대 총장 욕심때문

  • @user-pt5re9wt7o
    @user-pt5re9wt7oАй бұрын

    학비 싼 국립대 정원 늘면 국민들은 좋죠. 근데 교수들 수도 충원되는 건가?

  • @user-tr1gr5rl1i
    @user-tr1gr5rl1iАй бұрын

    지방대. 나와도 아무쓰잘데기없는 학교 졸업장만따는학교. 없어져야한다

  • @user-zm2if1tt9l
    @user-zm2if1tt9l26 күн бұрын

    사범대도 지역거점대학에서만 양성하면 좋겠어요

  • @nevermind5685
    @nevermind5685Ай бұрын

    부산 경북대 밑으론 걍 전문대가는게 요즘 추세

  • @user-sd1xu5mv8l

    @user-sd1xu5mv8l

    Ай бұрын

    영남대도 대학자체는 나쁘지 않아요

  • @user-zd8os9vk9u
    @user-zd8os9vk9uАй бұрын

    다른과는 줄어야지

  • @user-ix6wy2wx1z
    @user-ix6wy2wx1z23 күн бұрын

    그래 대학원연구중심 가자 근데 입학정원 늘리고 수시비중 늘리면 경쟁력떨어지는거 아님…?

  • @FMMediaKr
    @FMMediaKrАй бұрын

    다 서울대로 이름 바꾸려고 했었지.,

  • @sssy950
    @sssy950Ай бұрын

    어차피 안되는 거 국립대 몰빵으로 가고 사립은 자율성 더 주고 재단 돈으로 하던가 문 닫던지 선택하게 해야 한다

  • @user-lv3lv2li8o
    @user-lv3lv2li8oАй бұрын

    지방대를 무작정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지방대 근처 상권을 지키거나 옮길 방도를 만들고 난 뒤에 지방대를 하나하나 줄여나가야한다 상권 개박살나서 주변상인들 인생 조지면 그건 누가 책임져주나 잘 모르겠고 아무튼 지방대 없애야함~ 같은 생각은 수도권 거주민들이나 쉽게쉽게하지 지방 사는 사람은 대학이 주변 상권형성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 잘 안다 근데 내 생각엔 서울에 인구가 다 몰려서 서울 쪽에 대학이 집중형성되긴하지만 사람들 말의 요지로 볼 때 서울인구집중현상을 완화한뒤에 설잡대들도 줄이고 서울에도 대학 한 개만 남겨둬야하지않나? 각 지역에 학문에 뜻이 있는 사람은 가까운 지역국립대 1곳으로 가는거야

  • @user-db7si9oe4b
    @user-db7si9oe4b2 күн бұрын

    지방대는 지거국 말곤 없어질수밖에 없지

  • @djsm9270
    @djsm9270Ай бұрын

    왜 의대처럼 반발안함?? 반도체학과는 바로 시위 나가야지 ㅠㅠ 본인들 경쟁상대 들어오는데

  • @JN-ve3jv
    @JN-ve3jvАй бұрын

    거점국립대도 별로인곳이나 정원늘리지 보통은 경쟁력을 위해서 정원감축함

  • @user-et3ny9nz6d
    @user-et3ny9nz6dАй бұрын

    부재칠 아니라 자연사 중인겁니다 사람 주는데 어떻게 방법 있음?

  • @user-ij5vy7tz9f
    @user-ij5vy7tz9f25 күн бұрын

    나쁘지 않은 방향 아닐까 하는데...

  • @illusion3026
    @illusion3026Ай бұрын

    연구중심대학을 만들겠다면서 학생 수를 늘리면 강의는 누가 함?

  • @egn7294
    @egn7294Ай бұрын

    전국에 4년제는 40개정도면 충분합니다. 그 이상은 필요가 없어요.

  • @user-fo4xu6bq1z
    @user-fo4xu6bq1zАй бұрын

    지방대는 희망고문 하지말고 그냥 하루라도 빨리 문닫는게 모두를 위한 길일 듯

  • @hope9170
    @hope917025 күн бұрын

    위기의식을 느낀다는 건 그리 좋은 대학은 아니라는 것 같은데...

  • @user-jt5ti9lu2d
    @user-jt5ti9lu2d14 күн бұрын

    지방 사립대는 지금까지 지원 많이 받고 부를 축적했으니 합병하든지 주요과 두고 쓸데없는 과들은 없애야지

  • @user-zc2rz5ly4w
    @user-zc2rz5ly4w3 күн бұрын

    지금 지거국들 입결 보면 글러먹음. 그리고 부산 경북 훌리들은 중경외시랑 비비려고 하지마라 국숭세단한테도 따잇당한 대학이 뭔…

  • @whatdoesitmeanhandle
    @whatdoesitmeanhandle4 күн бұрын

    이게 적절한지 논란이라고? 너무 적절한데? 원래 인구감소에 따른 지역대학감축논의가, 거점국립대 중심으로 통폐합하는 거 아니었나?? 당연한 수순인데???

  • @user-ti1bn4mf2n
    @user-ti1bn4mf2nАй бұрын

    총장이 교육부와 사바사바 잘 하나보네.

  • @user-vi6pj2ir2e
    @user-vi6pj2ir2eАй бұрын

    어차피 인가는 절대 증가 안됩니다~ 사립대는 폐교하고 국립대만 남아있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 돈이없어 대학 못가는 사람도 많습니다~ 이건 장사하는거나 마찬가지 입니다~~ 국립대학교외에는 폐지하는게 나을듯 합니다~~

  • @mendes3111
    @mendes31112 күн бұрын

    어쨌든 지방에도 기업은 있고 일할 인재들은 필요한데 거점국립대라도 몰빵하는게 맞지

  • @tempjhutube505
    @tempjhutube505Ай бұрын

    지역대학은 필연적으로 무너질 거고, 그나마 지거국을 살려야 하는게 맞음

  • @iveronflated
    @iveronflatedАй бұрын

    경북대는 주변 대학들 다 흡수해서 100년 뒤에도 지역 거점 대학으로 남아있으면 좋겠습니다. 학령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데 과거부터 무분별하게 지어져온 대학들은 사업성이 나빠지니 자연히 폐교하는게 맞고 교육기관이라는 목적에 맞게 좀더 합리적인 방식으로 대학 체계가 바뀌길 바랍키다.

  • @user-kt5bo3dg3w
    @user-kt5bo3dg3wАй бұрын

    17년후면. 지거국 빼고 모든 지방대가 사라진다

  • @user-hh2bf9dk3b
    @user-hh2bf9dk3bАй бұрын

    공무원만의 세상...나라가 점점 북한스럽다..

  • @math_r9250

    @math_r9250

    Ай бұрын

    공무원 숫자를 누가 ㅈㄴ게 늘려서 ㅋㅋ

  • @tikitokus

    @tikitokus

    Ай бұрын

    공무원 X 일부 고위 공무원 O

  • @user-nh8uw4rq4o

    @user-nh8uw4rq4o

    Күн бұрын

    @@math_r9250공무원수 우리나라 다른 선진국에비해 10%나 모자릅니다. 국가별 공무원수 검색해보셈. 꼭 공부못한 틀니세기들이 공무원 열등감 심하더라

  • @user-ze9gm1if7b
    @user-ze9gm1if7bАй бұрын

    대구경북

  • @user-xt1id5yy6o
    @user-xt1id5yy6o15 күн бұрын

    학교 항정안이 학교 황정안 학교 졸업합니다. 황정안이 졸업이에요.

  • @user-gk6hn8ow2u
    @user-gk6hn8ow2uАй бұрын

    늘리는게 있으면 다른 정원은 줄이긴 해야됨

  • @user-py7gs9bg8s
    @user-py7gs9bg8sАй бұрын

    인구는 감소하는데 지방대학생정원은 증가ㅋㅋ

  • @user-yd8my6nd6b
    @user-yd8my6nd6b27 күн бұрын

    근데 즁요한 건 지거국 수준이 점점 떨어지는 문제 아니냐? 이러다 지방 수험생들 태반이 다 지거국에 입학할 듯;

  • @user-zo8vq1qq8q
    @user-zo8vq1qq8qАй бұрын

    현국립대 의대. 세금 지원 축소 정원 제한 또는 감축

  • @user-ki1qb7ww9p
    @user-ki1qb7ww9p22 күн бұрын

    경북대는 의대랑 모바일학과는 최저기준 강화시켜라

  • @user-pb8rm9gr3n
    @user-pb8rm9gr3nАй бұрын

    지거국은발전되어야되는게맞아요

  • @user-wi3gx5jq6i
    @user-wi3gx5jq6i9 сағат бұрын

    지방대학 위기는 정작 지방 사립대 지들이 만들고 있음 지거국이 망하면 나라 진짜 망한다

  • @user-sm4mq3gl6b
    @user-sm4mq3gl6bАй бұрын

    부산대는 증원 안한단다.. 대구는 시장부터 문제다. 부산가서 좀 배워오세요.

  • @user-vf4jf8cg6h

    @user-vf4jf8cg6h

    Ай бұрын

    그게 잘하는 거냐? 의새들의 외압에 굴복해서리.. 돈에 미쳐서 발광하는 전공의와 의새들 정말 역겹다

  • @user-kb2rj9nx4m

    @user-kb2rj9nx4m

    Ай бұрын

    뭐래 준표시장이 금오공대랑 통합하려는거 앞장서서 막았는데

  • @user-rj7rg5bg1k

    @user-rj7rg5bg1k

    Ай бұрын

    배울게있나?

  • @doh6909

    @doh6909

    Ай бұрын

    ​@@user-kb2rj9nx4mㄹㅇ.

  • @1341fdsa
    @1341fdsaАй бұрын

    학생 숫자 많은 거 너무 안 좋아요! 저는 부산대 3년전에 졸업했는데 학교다닐때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싫었어요 학식이며 도서관이며 맨날 미어터지고 줄서고 돈내고 학교 다니는데 도서관은 맨날 자리없어서 자리경쟁하고 맘편하게 써본 적이 없어요 이게 뭔가요? 수업들을 때에도 학생이 너무 많아...출석 부르는데만 한세월에 교수대비 학생이 너무 많아요 더군다나 학교 앞은 왜그렇게 번화한지 그냥 조용히 하교하고 싶은데 학교앞이 너무 번잡하고 사람이 너무 많아서 스트레스! 어차피 국립대면 예산도 동일한데 학생수 줄여야 학생당 투입 지원금이 늘어날테고 어차피 나라에 돈도 없어서 지거국 경쟁력도 싹다 하수구로 쳐박고 있는데 한국의 국립대학은 죄다 능력도 없는 저품질 싸구려인 주제에 학생만 엄청나게 받잖아요, 수준 파악이 안 되나? 아예 지거국 싸그리 폐교하는 것도 좋은듯해요 돈도 없는 나라가 국립대 운영을 왜이리 많이 하려는거야 주제넘게 어차피 지거국 수준도 노답이고 출산율도 0.6인데 세금들여 있어야 할 이유가 뭔지 수수께끼~ 진짜 해도해도 너무 많음 지거국 대학 정원을 3천명 이하로 줄여야함, 일본처럼 지거국은 예체능 학과 그냥 없애고 사이즈 줄여야 한다고 봐요

  • @user-wooqhqn61

    @user-wooqhqn61

    Ай бұрын

    진짜 대공감, 교수들이랑 원룸 노인들 밥그릇 챙겨줄려고 학생만 미친듯이 뽑고 정작 학생 관리할 능력도 없어 지거국은 그냥 싼마이 잡탕에 지역에서 인재도 못모아서 존재가치 자체가 아예 없는데 세금만 쳐먹음 갖다버릴때 되긴함 ㅇㅇㅋㅋ

  • @Ghsertyion

    @Ghsertyion

    Ай бұрын

    국가 수준이 싼마이니까 지거국 수준도 싼마이 ㅋㅋ 일본이면 국립대를 절대 이딴식으로 관리안함 ㅋㅋ

  • @user-jx9pv8wx8b

    @user-jx9pv8wx8b

    26 күн бұрын

    그럼 지잡대를 가면 됨. 아니면 국민대 가면 고속도로 옆이라 환하다던데.

  • @user-bh4vx9dq5f
    @user-bh4vx9dq5f11 күн бұрын

    지방의 모든 대학도 정원늘려도 사회 나가면 채용안함!왜?인서울 아니니!!! 지방대일뿐!!!!!지방

  • @user-dg3wi4bm3v
    @user-dg3wi4bm3v4 күн бұрын

    서울쪽 인원을 줄이고 지거국 정원 늘리는게 맞다 지방 살릴려면

  • @user-pj7qh9iv5v
    @user-pj7qh9iv5vАй бұрын

    아니.. 국가거점대학을 놔두고 이사장, 총장 돈벌려고 만든 지역 사립대학을 학생들이 넘쳐난다면 모를까 학령인구 감소시대에 지역 사립대학을 굳이 이시국에 살려야하는 이유는 뭔가? 재단 이사장 돈벌어야돼서? 아니 설명을 좀 들어나 보고싶다. 교육부가 국민 세금을 국가거점대학이 아니라 사립대학에 지원하는것도 코미디임... 이사장이 명확한 사립대학은 개인 대학 아닌가? 지방대 위기란 말은 국가거점대학의 위기를 두고하는 말임.

  • @user-kl8zs6vx8o
    @user-kl8zs6vx8oАй бұрын

    지역거점국립대라는 곳이,, 덩치만 키우려하네. 독식하겠다는건가; 공무원들만 배불리는 나라

  • @power_99135
    @power_991353 күн бұрын

    지거국과 지잡대는 엄연히 다르다

  • @user-bk2wz8od5k
    @user-bk2wz8od5kАй бұрын

    총장이 일 잘하네... 욕먹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위기였던 경북대가 오히려 확장할수 있는 기회였네...

  • @clova3955
    @clova3955Ай бұрын

    부산대 본받아라.

  • @user-xk1ub5uz3x
    @user-xk1ub5uz3xАй бұрын

    사립대 전부 다 없애고 지방거점대학 1~2 수도권 10개 정도 빼고 다 없어져야됨

  • @user-pm5yg5hq9w
    @user-pm5yg5hq9wАй бұрын

    마지막멘트에 정말 무식함의 극치가 나오네 취업률? 교육의 성과? 대학이 취업학원이냐? 전세계의 비웃음거리로 전락했다 대한민국 대학들이... 세계유일의 취업학원... 코리아의 대학들... ㅉㅉㅉ

  • @KyungHee_GukJeHak

    @KyungHee_GukJeHak

    Ай бұрын

    근데 대한민국 대부분 국민들이 대학을 취업의 수단으로 여기는게 맞잖음. 대학이 문제가 아니라 님 말대로라면 국민들 대부분이 무식하다는거

  • @user-hi6mf5bp9d

    @user-hi6mf5bp9d

    Ай бұрын

    ​@@KyungHee_GukJeHak실제로 국민 대부분 무식한거 맞음

  • @user-xp4vk1qy4d
    @user-xp4vk1qy4d6 күн бұрын

    지거국 키우는건 당연히 해야 된다고 생각함

  • @threesonstv82
    @threesonstv823 күн бұрын

    지방대는 국립대 살리고 사립대는 없어지는게 맞아요 지방 사립대는 학점 장사였음

  • @David-tl7qn
    @David-tl7qn4 күн бұрын

    진짜 공부잘한 지역인재들은 다 서울로 간다. 어중이떠중이들이 성적 안되어서 지거국 가놓고 지역 인재라 자칭한다면 그건 가짜인재다. 폐교해라 지거국

  • @skyler2408
    @skyler2408Ай бұрын

    총장이하는 타이틀을 가진 자영업자

  • @user-zn5oh6ky6v
    @user-zn5oh6ky6vАй бұрын

    이게 잘못된 건가? 당연한 것 같은데...

  • @leesooho1443
    @leesooho144323 күн бұрын

    국립대가 살아야 뭐든 되지 장난하냐 ㅋㅋㅋㅋ

  • @leemin35
    @leemin35Ай бұрын

    경북대에 매년 오천명 씩 갈만한 애들이 경상도에 언제까지 있을 것 같냐? 제정신이 아니네

  • @biya74

    @biya74

    Ай бұрын

    수도권 중심은 언제까지 유지될 것 같음? 미래 상황은 아무도 모름

  • @thxyouu
    @thxyouuАй бұрын

    입결 더 떨어지겠네😂😂

  • @subidubob0321
    @subidubob03212 күн бұрын

    지거국 하나놔두고 쓰잘떼기없는 대학들 다 폐지가 답

  • @user-of3ft9ey4n
    @user-of3ft9ey4n6 күн бұрын

    쓸데없는대학 줄이고 지거국 키워라

  • @ubpbi
    @ubpbi27 күн бұрын

    지방대 지금부터 구조조정 하고 폐교 준비 안하면 10년 후에 애먼 재학생들이 날벼락 맞는다

  • @user-gc2qd6po1q
    @user-gc2qd6po1q5 күн бұрын

    걍 지방사립들은 어떻게하든간에 조만간 폐교당하고 통폐합당하고 그럴텐데 그냥 지거국이나 살리자

  • @user-kh5nq7nf2n
    @user-kh5nq7nf2n27 күн бұрын

    캬 킹북대 한 잔해

  • @limal2003
    @limal200325 күн бұрын

    국립대는 학비 무료로하고 사립대는 나라지원 끊어야 균형적 발전이 생김 ㅇㅇ

  • @Sohn-ek7wh
    @Sohn-ek7whАй бұрын

    광명상가 갈빠에야 지거국 가세요 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