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도 마음대로 못 간다는.. 돈 많아도 사기 어려운 스펙, 서울대학교 이야기 / 소비더머니

수많은 경제, 정치, 사회, 문화계 엘리트를 배출한 서울대학교. 돈으로 안 되는 것이 점점 적어지는 세상에서, 여전히 재력 만으로는 갖기 어렵다는 스펙의 상징. 서울대학교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 #수능100일 #소비더머니

Пікірлер: 1 500

  • @Terix2023
    @Terix20232 жыл бұрын

    서울대학교 소개하면서 배경음악이 '뱅크-가질수 없는 너' 깔아주신게 저한테는 킬링포인트였네요~ ㅋㅋㅋㅋ

  • @lei860

    @lei860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개웃겨

  • @_rib_one9458

    @_rib_one9458

    2 жыл бұрын

    댓글보고 봐서 더 웃겼어요 ㅋㅋㅋㅋㅋ

  • @user-sj9iw3vm5q

    @user-sj9iw3vm5q

    2 жыл бұрын

    국민여러분 조심하세요 수원에서 경찰이 병원에 몰래 잠복하고 있다가 정체불명의 주사를 주입합니다 제가 당했는데 몇달동안 먹지도 못하고 움직이지도 못하고 위독하다가 간신히 살았어요 경찰이 주사를 놓은 후부터 사설구급차들이 저의 위치정보를 다 알고 싸이렌 울리며 저를 따라다녀요 경찰에게 감시 괴롭힘 당하는 사람들 절대 병원가지 마세요.

  • @dicationbb3146

    @dicationbb3146

    2 жыл бұрын

    @@user-sj9iw3vm5q 중국인 어서오고

  • @user-sgsvej375

    @user-sgsvej375

    2 жыл бұрын

    @@user-sj9iw3vm5q ㅇ

  • @user-ri4bu8ly7d
    @user-ri4bu8ly7d2 жыл бұрын

    주변 서울대생 친구들 보면 평소에는 잠도 많고 게으른 친구들 정말 많지만 무언가 할 일을 해야 하는 순간이 오면 고도의 집중력을 발휘해서 최상의 결과물을 내려고 하더라...

  • @jiwonmoon5657

    @jiwonmoon5657

    2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 입니다 동아리 후배가 재수해서 들어왔는데 알고보니 승급전 17시간씩 하던 정신으로 고3때 버닝해서 수능 박살내고 들어온 거였어요 ㅌㅋㅋ

  • @user-jn5ip6zt4k

    @user-jn5ip6zt4k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말이 나오기 시작한 게 공부도 재능. 똑같은 노력을 했다하여 같은 결과가 나오는 건 아닌데. 다른 재능은 다 인정하면서 유독 공부 재능은 인정하지 않으려는 한국사회.. 이게 지금 대한민국 사교육 과열의 원동력이고 그 목표의 정점이 서울대가 아닐까..

  • @Lucas-dt1yf

    @Lucas-dt1yf

    2 жыл бұрын

    @@user-jn5ip6zt4k 어느정도 공부가 재능인건 인정하지만 어느정도 환경이랑 노력만 받쳐주면 충분히 커버가능한 것도 사실이기 때문에 사실 재능만이라고도 볼 수 없고 노력이나 환경만 이라고도 볼 수 없음

  • @poiste00

    @poiste00

    2 жыл бұрын

    @@user-jn5ip6zt4k 노력을 쟤들만큼 안해본 놈들은 재능을 입에 담을 자격이 없음

  • @user-jn5ip6zt4k

    @user-jn5ip6zt4k

    2 жыл бұрын

    @@poiste00 논점이탈. 공부에는 노력도 재능도 환경도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게 사실인데. 재능의 영역을 인정하지 않는 사회 이야기를 한 거임. 근데 갑자기 뭔 노력 안해본 놈들 재능을 입에 담네 마네..

  • @user-oc9pu9ri7f
    @user-oc9pu9ri7f2 жыл бұрын

    소비더머니는 내용도 진짜 좋지만 아웃트로에 깔리는 음악이 진짜 예술임ㅋㅋ

  • @user-mr3no9kf2c
    @user-mr3no9kf2c2 жыл бұрын

    꼭 서울대 출신만 그런건 아니겠지만 대부분 서울대 포함한 똑똑한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메타인지가 있음. 본인이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고있고, 본인이 아는 것에 대해서 설명을 대체로 명확하게 잘 할 수 있음. 다른것도 대단하지만 일단 그게 정말 멋있고 대단해보임.

  • @user-hl8el5jv3b
    @user-hl8el5jv3b2 жыл бұрын

    인구수가 감소함에 따라 학벌주의 대학의 중요성이 점점 사라지는 추세라고는 하지만 어느 시대든 서울대의 명성은 굳건할것같습니다

  • @user-zb5jo3ls2l

    @user-zb5jo3ls2l

    2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더군다나 국립이여서 앞으로 쭉 1등대학

  • @user-sv4gb9ru5l

    @user-sv4gb9ru5l

    2 жыл бұрын

    인구수 줄면 건동홍 아래 지잡대들 다 망할거라 상위권 대학의 프리미엄은 계속갈거임 ㅇㅇ

  • @anchilla4660

    @anchilla4660

    2 жыл бұрын

    @@user-sv4gb9ru5l 노노, 서울대는 계속 프리미엄을 가지겠지만, 앞으로의 사회는 고생산성의 사회임. 건동홍도 위험함. 주입식교육으로 대가리수 많이 뽑는 교육은 앞으로 지양될수밖에 없음.

  • @uhyeok8659

    @uhyeok8659

    2 жыл бұрын

    이름만 대학뿐인 곳은 사라지고 철저히 성과위주의 대학만 남을듯

  • @wallowed

    @wallowed

    2 жыл бұрын

    @@user-zb5jo3ls2l 법인입니다..

  • @SiNKING_GenshinImpact
    @SiNKING_GenshinImpact2 жыл бұрын

    서울대 관련 명언중 가장 감명 깊었던게 "성공을 하고싶으면 꼭 서울대를 가야되는건 아니다 다만 성공한 사람들은 서울대를 나왔다" 라는 말을 듣고 고등학생 때 공부했던 기억이 있네요

  • @ddjj3183

    @ddjj3183

    2 жыл бұрын

    맨날 좋은 대학 안나와도 성공할 수 있다면서 자기합리화하는 애들 개역겨움 솔직히 지가 열심히 안 해 놓고서는 남들 노력 폄하하는 것도 역겹고, 고딩 때 인생에서 그나마 제일 쉬운 일인 공부마저 안 한 애들이 솔직히 나이 먹는다고 정신차리고 성공 할 확률은 별로 안되는거 같음(물론 특정 분야에서 특출났지만 나머지를 잘 못해서 대학 잘 못 간 사람들 제외하고) 그리고 기업들 임원진만 봐도 싹 다 서울대 라인임..제약쪽은 설약, it쪽은 설컴공, 물류 쪽은 설산공이 꽉 잡는거 처럼

  • @user-xv8um2nz1b

    @user-xv8um2nz1b

    2 жыл бұрын

    @@ddjj3183 ㅋㅋㅋ나는 서울대 아닌데 연봉 벌써 2억넘쥬?

  • @SiNKING_GenshinImpact

    @SiNKING_GenshinImpact

    2 жыл бұрын

    여러분들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한데 싸우지는 말아주세요 ㅠㅠ 제가 좋아하던 채널에서 서울대 주제인 영상이 올라와서 제가 공부할때 선생님이 해주셨던 말이 기억이 나서 댓글 남긴것 뿐 입니다

  • @ddjj3183

    @ddjj3183

    2 жыл бұрын

    미안해용

  • @user-zb5jo3ls2l

    @user-zb5jo3ls2l

    2 жыл бұрын

    @@ddjj3183 자기합리화 하는 애들 역겨운건 맞는데 꼭 서울대=성공 공식이 성립되는건 아님

  • @user-mg1hs9wi4h
    @user-mg1hs9wi4h2 жыл бұрын

    주제확장수준.... 대학교를 주제로 하실 줄이야..👍👍

  • @carrotpig1977
    @carrotpig19772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면 서울대를 가서 성공할 확률이 높은게 아니라.. 성공할 확률이 높은 인재들이 서울대를 가는거... 세상은 결국 재능간의 싸움.

  • @carrotpig1977

    @carrotpig1977

    2 жыл бұрын

    @시비충2A🖕 그러게 ㅎㅎ 40중반에 쥐똥같은 시비충에게 시비나 당하고 인생 잘못 산듯 ㅋㅋㅋㅋㅋ

  • @user-sj9iw3vm5q

    @user-sj9iw3vm5q

    2 жыл бұрын

    국민여러분 조심하세요 수원에서 경찰이 병원에 몰래 잠복하고 있다가 정체불명의 주사를 주입합니다 제가 당했는데 몇달동안 먹지도 못하고 움직이지도 못하고 위독하다가 간신히 살았어요 경찰이 주사를 놓은 후부터 사설구급차들이 저의 위치정보를 다 알고 싸이렌 울리며 저를 따라다녀요 경찰에게 감시 괴롭힘 당하는 사람들 절대 병원가지 마세요.

  • @mgjgddrng12

    @mgjgddrng12

    2 жыл бұрын

    @@user-sj9iw3vm5q 부모님 윤석렬?

  • @user-hl8ef4mf3r

    @user-hl8ef4mf3r

    2 жыл бұрын

    @@user-py9bx9jd8k ㅂ1ㅅ인가 ㅋㅋㅋ 넌 둘 다 못감 ㅋㅋㅋ

  • @rg1gs67

    @rg1gs67

    2 жыл бұрын

    @@user-py9bx9jd8k ? 뭐래 설컴은 지방의 이상인데 작년에만 예외적으로 터졌지먄

  • @user-xg5mk8wo4p
    @user-xg5mk8wo4p2 жыл бұрын

    여담이지만 이재용 시절에는 학력고사 시절이었는데 그때는 대학을 먼저 지원하고 시험을 보는 방식이었습니다 내 점수가 몇점이 나올지도 모르는데 대학을 먼저 지망했어야 했죠...그러니까 서울대 법학과에 합격한 학생들은 내가 학력고사에서 즉 수능에서 전국상위 0.5% 점수를 맞을 자신이 있다고 믿는 학생들만 지원했습니다 이재용 시절에는 또 1반에 학생이 60명이 넘었고 한 학년에 10반이상 있는 고등학교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지금같은 저출산시기에는 상상도 안되죠

  • @stayy5

    @stayy5

    2 жыл бұрын

    이재용 87학번이라고 나오는데 그땐 선시험 후지원으로 점수 받고 나중에 지원하는 눈치 지원 최고였을 때입니다. 그거 없애려고 선지원 후시험으로 바뀐 거죠.

  • @user-xx7ro4jc2w
    @user-xx7ro4jc2w2 жыл бұрын

    소비더머니가 좋은 건 깔끔한 말솜씨와 다양한 주제도 있지만 각 주제마다 다른 편집도 너무 좋다.. 기업 색깔로 아예 맞추거나 이번 편 같은 대학교는 대학생들이 많이 쓰는 아이패드 필기하는 거 진짜 좋아요,,,

  • @Hwang_Chem_Engineering_Story
    @Hwang_Chem_Engineering_Story2 жыл бұрын

    화학/화학공학과 전공 관련 강의 동영상이 제 KZread 채널에 많이 있어요.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There are many lecture videos about chemistry/chemical engineering majors on my KZread channel. I hope it helps you a lot in studying.)^^.

  • @user-ky7jx7zi9t
    @user-ky7jx7zi9t2 жыл бұрын

    정말 특수한 경우들을 제외하면 여전히 20대 미만 학생들이 딸수있는 최고의 브랜드는 서울대고 이건 수십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을겁니다 10대에 목숨걸어서 이뤄야할 일이 아니라면 저는 무조건 공부하라고 말하고 싶네요

  • @user-sv4gb9ru5l

    @user-sv4gb9ru5l

    2 жыл бұрын

    공부가 가성비 가장 좋음

  • @xjswldls

    @xjswldls

    2 жыл бұрын

    카이스트

  • @user-lb5qj1nu5s

    @user-lb5qj1nu5s

    2 жыл бұрын

    의치한약 스카포 고연 이곳은 한국망해도 꾸준히 인정받을 곳들임

  • @noworld2044

    @noworld2044

    2 жыл бұрын

    @@user-bs6td4st8b ㅋㅋㅋㅋㅋㅋㅋㅋ이게맞지

  • @user-ep3lm4di7x

    @user-ep3lm4di7x

    2 жыл бұрын

    의대박살내고돌아온다.

  • @klee4870
    @klee48702 жыл бұрын

    입학식때 교수님이 서울대랑 연을 맺는 방법중 제일 어려운건 학부모로서 연을 맺는거라고 하셨었죠

  • @ryankim0912

    @ryankim0912

    2 жыл бұрын

    간지 ㄷㄷ

  • @songdoj1653

    @songdoj1653

    2 жыл бұрын

    조국과 조민..? ㅜ

  • @ryankim0912

    @ryankim0912

    2 жыл бұрын

    @@songdoj1653 어쨋든 어려움 ㄹㅇㅌㅋ

  • @user-hl8ef4mf3r

    @user-hl8ef4mf3r

    2 жыл бұрын

    @@songdoj1653 개어렵긴 하네 ㅋㅋ

  • @hanae8995

    @hanae8995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 @kysy1724
    @kysy17242 жыл бұрын

    학교 다닐때 애들 맨날 '누가 한국의 미래를 묻거든 고개를 들어 관악을 보게하라' 크 서울대 간지 이랬는데

  • @junsnow_255

    @junsnow_255

    2 жыл бұрын

    좀만 고개 더 들어서 흑석도 봐주셨으면,,,!

  • @user-ql7hx9jj1n

    @user-ql7hx9jj1n

    2 жыл бұрын

    조국의 미래를 묻거든!! 크~~

  • @zzzzzz3505

    @zzzzzz3505

    2 жыл бұрын

    이제는 고개를 전국 각지의 의대로 향해야할 듯ㅋㅋ

  • @user-on7ri5bd5d

    @user-on7ri5bd5d

    2 жыл бұрын

    @@zzzzzz3505 의대에선 의사만 나오지만 서울대에선 고위관료들이 다 나오죠

  • @user-gg8vm3di4f

    @user-gg8vm3di4f

    2 жыл бұрын

    외삼촌이 이를 가는 학교가 서울대학교 학력고사 전국 7등의 성적,, 하지만 장애가 있는 사람은 서울대 이과에서는 무조건 탈락시켰던 시절 그 후 카이스트로 가서 미국에서 전액장학금과 생활비까지 준다해서 미국유학,, 박사까지 취득후 하버드 교수로 재직하다 모교 교수로 복귀...

  • @jjk1035
    @jjk10352 жыл бұрын

    이제는 개천에 용이 날까 싶은... 다만 인맥을 가지고 싶으면 서울대를 가야됨.

  • @cntkdals2
    @cntkdals23 ай бұрын

    확실히 회사에 설대출신 많이보는데 일처리 할 때 작은거라도 헛으로 넘어가지 않음

  • @user-vf1go7xk7x
    @user-vf1go7xk7x2 жыл бұрын

    서울대를 가서 성공하는게 아니라 성공할 사람이 서울대를 가는거지 뭐,, 주변에 서울대생 친구 있는데 과제 해야하는데 집중이 안된다고 한겨울에 눈까지 내렸었는데 패딩 벗고 나가서 한바퀴 뛰고 오더라,, ㅋㅋㅋㅋ 나도 인서울에 알아주는 대학갔는데 걔는 진짜 대단하다고 느꼈음

  • @JH-kc6sz
    @JH-kc6sz2 жыл бұрын

    서울대가 가지는 가장 큰 브랜드가치는, 본인이 똑똑하다는 것을 증명할 필요가 없다는 것 같아요...유능한건 별개의 문제지만

  • @_jinb7917
    @_jinb79172 жыл бұрын

    매번 양질의 컨텐츠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잘 보고 있어요!!^^

  • @serenin8206
    @serenin82062 жыл бұрын

    서울대 출신이 왜 성공한 사람이 많긴... 지능의 지표가 아니라 노력의 지표에요.. 그리고 사람은 살던대로 살려는 경향이 있죠.. 이 두개가 개인의 능력의 한계치를 결정하게 되고 그래서 중요한겁니다.. 학력이라는 낙인이 아니라요.

  • @potatopizza9386

    @potatopizza9386

    2 жыл бұрын

    운이 젤 타고 나야죠 ㅋㅋㅋㅋㅋ

  • @stanleydan9159

    @stanleydan9159

    2 жыл бұрын

    @@user-hg7go5wt8j 맞죠 이런걸 인정을 못하는 순간 결국 신포도보면서 침흘리다 인생 망하는거. 한번은 운이지만, 두번 세번은 운이 아니고 그 두세번의 기회안에 인생의 갭은 확 벌어지더군요.

  • @breakthewall5566

    @breakthewall5566

    2 жыл бұрын

    ? 지능을 가지고 노력을 때려박는거지 무슨 ㅋㅋㅋ

  • @user-xc4fq3bu2q

    @user-xc4fq3bu2q

    2 жыл бұрын

    그냥 재능에 노력을더할뿐.. 노력만으로는못가는게맞음

  • @user-os1zq1rf5t

    @user-os1zq1rf5t

    2 жыл бұрын

    @@user-xc4fq3bu2q 재능이 아니라 노력+운이지 노력은 죽도록 하되 수능날 3개이하로 틀려야가니까

  • @user-xg5mk8wo4p
    @user-xg5mk8wo4p2 жыл бұрын

    제가 나이들어서 철이 들고 보니 좋은 대학을 가야 하는 이유는 보다 넓은 세상을 볼수 있어서 그렇습니다 좋지 않은 대학을 가면 주변환경이나 동기나 선배들이나 수준이 비슷하기 때문에 세상을 보는 시야도 좁아져요 사람이 나쁘다는게 아니라 환경이 인간을 게으르게 만들어요 반대로 좋은 대학을 갈수록 더 고급정보 더 질좋은 친구들 선배들이 많습니다 해외유명대학과의 교류도 많고요 사람밑에 사람없고 사람위에 사람없다고 하지만 그건 도덕적인 기준이고 세상에는 엄연히 계층이라는게 존재해요 높은 계층에 속하고 싶으면 공부 열심히 해서 좋은 대학가려고 노력하세요 과를 낮추고 대학을 높은데를 쓰세요 이과는 워낙 수요가 많고 앞으로 전망도 좋아서 좀 덜한데 본인이 문과라면 더더욱 그래야 합니다 한국은 미국이 아닙니다 어느 과를 졸업했냐보다 어느 대학을 나왔느냐가 인생전체내내 영향을 끼쳐요 제가 90년대 학번인데 그때도 이미 고3담임선생님이 앞으로는 학과가 중요하다고 말씀을 하셨지만 20여년이 지난 지금도 학과보다 대학간판이 더 중요한걸 느끼고 있습니다 그 선생님은 본의아니게 거짓말을 하신게 되었지요

  • @anjolinajelie2168
    @anjolinajelie21682 жыл бұрын

    서울대 가는 애들은 진짜 다르긴 다르더라 꼭 이루고 싶은 목표가 하나 생기면 그 순간부터 그 목표가 무조건 1순위임

  • @user-xl4bh8ni7z
    @user-xl4bh8ni7z2 жыл бұрын

    난 처음에 우리 사촌언니가 서울대 합격했다길래 그때 난 초딩이었어서 그냥 공부 잘하면 가는 곳인줄 알았는데 최근 많은 깨닳음을 얻은거 같음.. 아무나 갈수 있는 곳이 아니라는걸 깨닳음

  • @user-fz7wu4rn1t
    @user-fz7wu4rn1t2 жыл бұрын

    대학이 발전하기 위해선 장사가 아닌 교육이 되어야 하고, 취업을 위한 목적이 아닌 배움의 목적이 더 커야 한다 봄

  • @user-zy3ny4md6k

    @user-zy3ny4md6k

    2 жыл бұрын

    근데 대한민국이 허락 안 함

  • @user-te7oi2ev6r

    @user-te7oi2ev6r

    2 жыл бұрын

    배움이 목적이면 대학이 발전할 수 있나요?

  • @user-zy3ny4md6k

    @user-zy3ny4md6k

    2 жыл бұрын

    @@user-te7oi2ev6r 미국 같은 경우가 그럼

  • @user-zy3ny4md6k

    @user-zy3ny4md6k

    2 жыл бұрын

    @@user-te7oi2ev6r 실적으로 발전하는데는 한계가 있음 오히려 과도한 경쟁을 유발함

  • @user-fz7wu4rn1t

    @user-fz7wu4rn1t

    2 жыл бұрын

    @@user-te7oi2ev6r 음, 대학을 배움의 기관으로 보느냐, 단순히 기엄/취업 목적으로 보느냐에 따라 다르지 싶네요 요즘 대학은 교육기관이 아닌, 단순히 매출을 올리기 위함과 예비 취업자들의 단순테크 정도라서요 입학을 하자 보다 일정 학점에 들어야 졸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게 좋다 봅니다 입학은 등록비 정도로만. 아니면 무료. 졸업시 자격(논문, 학점)을 갖춘 사람들만 졸업비를 내고 졸업 하는게 맞다 봅니다.

  • @songwoosh8549
    @songwoosh8549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보고 다시 도전합니다! 나중에 더 나이먹고 후회하고 싶지 않네요 시작도 하지 않고 포기하기엔 아직 어린 나이기에

  • @JDamascenus
    @JDamascenus2 жыл бұрын

    우아 이렇게 학교 시리즈도 올라오면 재밌겠다ㅋㅋ

  • @user-.-Tjsakxm
    @user-.-Tjsakxm2 жыл бұрын

    아빠가 그토록 바랬는데 마지막 조용필노래 가슴을 뛰게 만드는구나 ㅎㅎ비록 공부는 못했지만 거의 다 와갑니다 기대에 부응할게요 약속합니다 하늘에서 지켜봐주세요

  • @user-cm3tt9kp3z
    @user-cm3tt9kp3z2 жыл бұрын

    다들 수능 화이팅 하세요ㅜㅜ 어렸을때 들은 말이지만, 세상 살면서 제일 공평한게 교육이라는 말이 제일 기억에 남고 들은 얘기중 가장 정확함.

  • @dy8263
    @dy82632 жыл бұрын

    미래에셋을 창업하신 박현주 회장님 다뤄주시면 좋겠습니다!!!! 항상 진짜 재밌게 잘보고 있어요 전달력이 진짜 최고인거 같아요

  • @user-hf4qv2cp6v
    @user-hf4qv2cp6v2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잘 봤습니다..!! 다음엔 KAIST도 해주시면 재밌을 거 같아요😀😀

  • @user-vg7nl7pc8x
    @user-vg7nl7pc8x2 жыл бұрын

    시대가 변하면서 서울대보다 의치약한수가 오르고 이제는 서울대도 과 별로 천차만별로 바뀌었죠.....

  • @user-ky9kg5qs2k

    @user-ky9kg5qs2k

    2 жыл бұрын

    허허...서울대보다 의치까지 맞겠지만 한약수는 서울대 공대랑 비슷한 대학도 많고 어차피 서울대 가는게 무조건 좋은건 누구나 아는데...억까가 아닐가 싶습니다.

  • @ddjj3183

    @ddjj3183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여전히 지방의랑 대부분 치한들은 설공라인보단 입결 떨어짐 근데 올해 뒤집힐 것 같은건 안 비밀

  • @user-wb2ng2ih5j

    @user-wb2ng2ih5j

    2 жыл бұрын

    @@user-ky9kg5qs2k 컷 자체는 한의대랑 설대랑 비슷함... 근데 설대는 2과목 필수니까 타 대학이랑 1대1로 비교가 불가능한 건 사실이죵.

  • @ddjj3183

    @ddjj3183

    2 жыл бұрын

    죄송합니다 설공 대신 컴공, 전전공 정도로 범위를 해야 맞겠네요

  • @user-zv3dd5rf8e

    @user-zv3dd5rf8e

    2 жыл бұрын

    @Naver블로그: 성재기의 유산 ㅋㅋㅋㅋㅋ

  • @고니_TV
    @고니_TV2 жыл бұрын

    1:59 갑자기 제 모교 이야기 나와서 너무 반갑네요 🤣🤣🤣

  • @user-pu6cz4vv6g
    @user-pu6cz4vv6g2 жыл бұрын

    서울대도 좋지만 미국처럼 고등학교 졸업하고 크게 성공하는 사람이 많아졌으면 한다

  • @user-zb5jo3ls2l

    @user-zb5jo3ls2l

    2 жыл бұрын

    대학을 가고 싶은 사람만 가게 해야함

  • @igenselil4823

    @igenselil4823

    2 жыл бұрын

    미국도 대학안나와도 성공하는 시대 이제 끝남 대학졸업계층과 비졸업계층격차 계속 커지는 중

  • @Evergreen319

    @Evergreen319

    2 жыл бұрын

    @@igenselil4823계속해서 성공하는 스타트업이 미국서 나오는데? 그걸 따라하는게 한국 스타트업이고.....

  • @musiccafe8895

    @musiccafe8895

    2 жыл бұрын

    그건 니가 1970년대 미국에 살아서 그런거 아닐까? 이제 그런 시대는 어떤나라도 없는데?

  • @igenselil4823

    @igenselil4823

    2 жыл бұрын

    @@Evergreen319 그니까 그걸 성공하는 사람들중에서 대학 나온 사람들이 압도적으로 많음 이전에도 대졸이 압도적으로 많았지만 그 비율이 점점 늘어나는 중

  • @depluie1223
    @depluie12232 жыл бұрын

    가질 수 없는 너가 왜 나오나 했는데 ㅋㅋㅋ ㅋ마지막 곡 서울서울서울 나오는 거 듣고서야 아?! 그렇지... 했네요 오늘 따라 끝맺음 멘트에 더 비장한 표정에 감명 받았습니다아 :) 건강 챙기며 일 하셔요! :)

  • @minyoungpark3075
    @minyoungpark30752 жыл бұрын

    서울대 졸업식 때 참석하신 부모님께 하는 말이있죠. 본인이 졸업생으로서 서울대 졸업식에 참석하는 것보다 학부모로 서울대 졸업식에 참석하는 것이 더 어렵다고ㅎㅎ

  • @user-ry3eq9ru5n
    @user-ry3eq9ru5n2 жыл бұрын

    서울대생들 보면 진짜 존경스러움~!! 들어가려고 얼마나 노력했을지

  • @enclosedspace6801
    @enclosedspace68012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입학때 학교차원에서 명문대 순회간적있는데, 고대 서울대 다 견학갔음. 서울대 먼저 가고, 고대 갔는데.. 고대 홍보대사로 나온 분이 하신 말이 아직도 기억에 남음ㅋㅋ 자신이 고대를 다니고있지만 느끼는건데, 고대 연대는 공부만 잘해도 갈 수 있지만, 서울대는 공부는 당연하고 다 잘해야 갈 수 있다고

  • @jsy663

    @jsy663

    2 жыл бұрын

    공부만 잘하면 감 ㅋㅋㅋㅋ

  • @Joy-ge2yb

    @Joy-ge2yb

    2 жыл бұрын

    다 잘해야한다는게 무슨말인지..? 서울대가 오히려 공부 잘하는거 보는 비중이 클텐데..전 고대 연대는 머리빨로 야매로 공부해서 가는 사람들이 종종 (전부는 아니고) 있지만 서울대는 좋은 머리로 제대로 공부해서 가는 사람들이 많은거 같다고 느꼈어요.

  • @user-vz7fy3kr7t

    @user-vz7fy3kr7t

    2 жыл бұрын

    @@Joy-ge2yb 빈틈이 없다는 말 아닐까요?

  • @user-zw4mk8wc6l

    @user-zw4mk8wc6l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sky가보면 무슨 뜻인지 이해함

  • @user-jv7ch9qn2x

    @user-jv7ch9qn2x

    2 жыл бұрын

    @@Joy-ge2yb 서울대가 정시는 공부만 잘하면 되지만 학종은 다잘해야 가는거 맞음 서울대에 내신 1점 극초반대가 원서 넣고 떨어지는게 흔한 이유가 서울대는 대한민국 정점에 위치한 대학교이다 보니 지원자들이 다 공부는 기본으로 잘해서 누구를 뽑든 공부를 잘하니 공부 이외에 본인만의 특출난 강점이 있는 학생을 뽑을라고 해서 공부'만' 잘하는 학생은 좀 싫어함 이게 어느정도냐면 서울대는 일반고 내신 1점 극초반에 생기부는 질적으로는 우수하다곤 할수 없고 양은 많은 생기부를 가진 학생보다 일반고 내신 2점 극초반이어도 생기부가 질적으로 ㄹㅈㄷ인 학생을 훨씬 좋아함 그래서 서울대가 생기부를 다른 대학들에 비해서 엄청나게 생기부를 많이 보는 경향이 있음

  • @user-ze4xo1wi8i
    @user-ze4xo1wi8i2 жыл бұрын

    조사 자료 충실 하고 삽입 자료 퀄리티 좋고 영상 편집 방송국 급이고 사회자 안나운서 보다 더 발음좋고 분위기 잘 끌고 무엇보다 넘나 재밌어 감사히 잘보고 있어요. 꿀잼이에요

  • @AngAng012

    @AngAng012

    Жыл бұрын

    방송국꺼니까zz

  • @wizle7772
    @wizle77722 жыл бұрын

    누군가 조국의 미래를 묻거든 고개를 들어 관악을 보게 하라

  • @ralphlauren3923

    @ralphlauren3923

    2 жыл бұрын

    누군가 조국의 미래를 묻거든 고개를 돌려 안암도 조금만 봐달라고 해라

  • @jsy663

    @jsy663

    2 жыл бұрын

    근데 존망 미래.... ㅠㅠ

  • @user-fv2ye2mh1d

    @user-fv2ye2mh1d

    2 жыл бұрын

    서울대 곧 폐쇄되겠노 ㅋㅋㅋㅋ

  • @user-xg5mk8wo4p
    @user-xg5mk8wo4p2 жыл бұрын

    서울대가 성공한 사람들을 배출하는게 아니라 성공한 사람들이 서울대를 그냥 거쳐갈 뿐..

  • @02ni
    @02ni2 жыл бұрын

    서울대학교를 목표로 재수하고 있는데 요새 힘들었던 저에게 다시금 동기부여를 해주는 영상이였던 것 같아요..! 재수하면서 유튜브 소비더머니만 챙겨보는데 영상 감사합니다:)

  • @user-ow2ey4kr5v

    @user-ow2ey4kr5v

    2 жыл бұрын

    후회 없이 좋은결과 되셨으면 좋겠어요! 힘내세요!!

  • @user-wm1ve9ns2x

    @user-wm1ve9ns2x

    2 жыл бұрын

    화이팅!

  • @leem9868

    @leem9868

    2 жыл бұрын

    힘내요

  • @user-wm1ve9ns2x

    @user-wm1ve9ns2x

    2 жыл бұрын

    @@andy-ez8qz 이건 뭔데 ㅋㅋㅋㅋㅋㅋㅋ

  • @unngehh

    @unngehh

    2 жыл бұрын

    @@andy-ez8qz 수능 본적 없죠?

  • @user-jv3xc9zs2s
    @user-jv3xc9zs2s2 жыл бұрын

    서울대란 틀에 갇히지 않고 자기 뜻을 이루는 동문들이 있어서 더 빛나는거 같음 ㅋㅋ 나두 인생 최대 업적이 서울대 나온게 아니기 위해 발버둥🥲

  • @user-xu6fl1ey2y

    @user-xu6fl1ey2y

    2 жыл бұрын

    ㅇㅈ 저도 서울대 의대 수석입학했지만 노력중

  • @bbo9meneck1000

    @bbo9meneck1000

    2 жыл бұрын

    헐ㅠ 부럽습니다 저도 빡세게 공부해서 2023~2025에 꼭 서울대 수학교육과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user-nt8qg5tx7x

    @user-nt8qg5tx7x

    2 жыл бұрын

    학교 입학하고 교수님께 제일 처음 들은 얘기가 학교 네이밍에 먹히지 않도록 발버둥쳐라….

  • @elonstark7453

    @elonstark7453

    2 жыл бұрын

    서울대 게으름 학과 수석인데 이제 자퇴하려합니다...

  • @user-we6fx6ui1x

    @user-we6fx6ui1x

    2 жыл бұрын

    하 설대 컴공 가고싶다

  • @user-ep6mo8cj3f
    @user-ep6mo8cj3f2 жыл бұрын

    공부 얼마 안 해도 암기 잘 하고 시험 잘보는 천재들이 정말 있어요. 그렇다고 일반적인 학생들은 재능이 없다는 건 아니지만, 목표 달성을 위해 혹독하게 노력합니다. 졸린거 다 참고 밤 잠 안 자고 공부해요. 고된 과정들을 인내하고 목표를 달성하고자하는 의지가 뛰어난 것 같습니다. 시험기간 끝나자마자 노는 거에 미친듯이 달려드는거 보면, 공부든 노는 것이든 어떤 일에 대해 빡집중을 잘 하는 듯 하네요.

  • @yuchan063
    @yuchan063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처음 세워질때부터 국가 주요 인재들이 서울대 출신이였기 때문에 인맥빨로 지금까지 각 분야에서 서울대가 탑을먹는거다 라는 말이 있지만 이건 틀린말이다. 서울대를 나와서 성공하는게 아니라 성공할만한 의지를 가진 사람이 서울대를 가는거다. 서울대 안나오고 성공한 사람들은 그만큼의 의지가 있었던 것이고,,,

  • @slee8601

    @slee8601

    2 жыл бұрын

    그럼요. 요즘 휴먼 스토리나 장사로 성공하신 분들 보면 다들 남다른 면이 있더군요. 잠도 얼마 못자고 노력하시는 분들보면 저 노력을 공부에 쏟았으면 서울대는 갔겠는데? 싶은 분들 많아요.

  • @user-zz5jw2bc6c
    @user-zz5jw2bc6c2 жыл бұрын

    ㅋㅋㅋ돈으로 사고싶으니까 사법고시 폐지하고 행정고시도 폐지하려는거 저렇게 공정하게 경쟁해서 들어가야지 그리고 전문직시험이나 편입이나 각종시험에 영어점수들어가는것도 그래 ㅋㅋ돈많은집애들은어릴때 다와국살다와서 노력없이도 토익 950그냥넘기는데 외국계대학도 수능으로경쟁해서 학교입학할 자신없으니까 돈으로 외국계대학가는거 잖음 ㅋㅋㅋㅋ

  • @user-of1nu5jt1v
    @user-of1nu5jt1v2 жыл бұрын

    창의적 생각, 다양한 생각. 마지막 멘트 감사합니다.

  • @user-el2lu5tt9s
    @user-el2lu5tt9s2 жыл бұрын

    다음은 무한도전 어떤가요?

  • @user-ee8zw3kl8j

    @user-ee8zw3kl8j

    2 жыл бұрын

    무야호~

  • @user-yb6fp7vc2h

    @user-yb6fp7vc2h

    2 жыл бұрын

    안돼요 마지막이라고요 ㅠㅠ

  • @levjerraz6983

    @levjerraz6983

    2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에서 절대 나오면 안되는거임 끝나버리거둔..

  • @user-yr9cg4cm2y

    @user-yr9cg4cm2y

    2 жыл бұрын

    대본유출 오늘 소개해드릴 건요 예능 프로그램에서 가요제도 하고 드라마도 만들고 다 같이 광고도 찍고 하시마섬 피해자들을 찾아가 감동도 주고 우주여행까지 갈 뻔한 대한민국의 예능 선두주자 유느님의 대표작 무한도전입니다 왜 그런 거 있잖아요~~~

  • @user_q10rgt7sk

    @user_q10rgt7sk

    2 жыл бұрын

    프로불편러 꼰대들때문에 몰락한 부분 꼭 비중있게 다뤄주길...

  • @user-wk9yw4vi7v
    @user-wk9yw4vi7v2 жыл бұрын

    9년 전 서울대학교 합격 후 포기하고 의과대학 진학해서 현재 대형병원 의사입니다. 서울대학교를 포기했어서 그런지 이런 유튜브 보면 더 드는 생각이 많아지는 거 같아요. 주변에 서울대 간 친구들 많은데 보면 서울대에 간다고 요즘 세상에 취직 잘 되는 것도, 돈 많이 버는 것도 아니지만, 서울대학교라는 학벌 자체로 대한민국에서는 그것과는 별개로 큰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저희 아버지랑 누나도 서울대 출신이고 사촌들도 서울대 간 사람들 보면 그들만의 프라이드 같은 게 있더라구요.. 근데 웃긴게 그런 느낌이 오히려 공부 더 잘하고 사회경제적으로 더 잘 나가는 연대, 성대 의대생들 보면 잘 안 느껴지는 느낌적인 느낌??

  • @jayr777

    @jayr777

    2 жыл бұрын

    근데 또 반대로 생각해보면 의대 사람들도 오히려 내집단의식이 굉장히 강하다고 느끼는 것 같더라구요. 그리고 설공은 의대 포기하고 온 사람들도 많으니까 우리는 꿀릴게 없다 뭐 이런 생각인 것 같아요. 전 문과라 잘 몰라용

  • @user-xe2ql2ft2c

    @user-xe2ql2ft2c

    2 жыл бұрын

    의사시면 페이가 서울대 졸업생에 비해 압도적으로 차이날텐데... 너무 기만 아닌가요..ㅋㅋ 서울대에서 의대 보내준다면 4열 종대로 운동장 열 바퀴일텐데 ㅋㅋㅋ 그 반대는 아무도 안가죠...

  • @jayr777

    @jayr777

    2 жыл бұрын

    @@user-xe2ql2ft2c ? 제 친구들 중에 카대 의대 붙고 설컴공 간 친구도 있고, 저도 지방대 치대랑 경찰대 붙고 경제학부 갔고, 서울대에는 매니아들이 많긴 해서 반대가 적진 않아요. 그리고 잘 풀리면 상한도 없고 하니까 모험하는 느낌이죠.

  • @user-xe2ql2ft2c

    @user-xe2ql2ft2c

    2 жыл бұрын

    @@jayr777 학생인가보네요... 생각은 자유입니다.

  • @jayr777

    @jayr777

    2 жыл бұрын

    @@user-xe2ql2ft2c 뭐 팔은 안으로 굽는거니까요. 카대 버리고 컴공간 친구도 조부모님과 부모님 다 서울대 의대 출신인데도 그런 선택을 했으니까 말이에요. 페이와 안정된 삶은 제가 힘들때마다 부러워지지만, 세상에서 돈을 제일 많은 직업이 의사도 아니고, 페이가 제 1의 기준도 아니라고 생각한 것 같아요.

  • @ujin2021
    @ujin20212 жыл бұрын

    소비더머니 개인적으로 최고의 유튭채널이에요💚💚 나중에 향수 브랜드들도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당(조말론..💙) 영상잘봤습니당

  • @user-im5vr5gs2u
    @user-im5vr5gs2u2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때 에이그까이꺼 경기권이라도 가면 됐지 생각해서 최선을 다하지 않은걸 진짜 뼈저리게 후회하고 있어요.. 어딜가나 학벌이 스펙이 될수밖에 없는건 여전히 유효하더군요ㅠ좋은 학교를 나왔다는건 학창시절에 열심히 했다는 증거 중 하나기 때문에 좋은 기업에 들어간 사람들이 거의 명문대를 나온건 너무나도 당연한 일인거 같네요.. .

  • @user-gh9iz1qk9f

    @user-gh9iz1qk9f

    2 жыл бұрын

    그쵸 세상 사람들도 다아는거죠 우리나라는 유독 학벌주의가 심하기때문에 학벌하나만으로 평가하곤하죠

  • @user-gh9iz1qk9f

    @user-gh9iz1qk9f

    2 жыл бұрын

    대신에 그걸가지고 한탄하지말고 주어진삶속에서 얼마나최선을다하냐죠

  • @PinguYu
    @PinguYu2 жыл бұрын

    언훌은 4/3깐 현용!!!!! 기댯님이시네오😆😆 잘 생 겼 따! 조 현 용! 항상 서울대 로고 보면서 저 영어는 무슨 뜻인가 햤더니 진리는 나의 빛이라는 뜻이 있었군요 이렇게 오늘도 지식 흡수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ds8mx3uk7b
    @user-ds8mx3uk7b2 жыл бұрын

    최근 알게된 채널인데~사회생활에 전무한 사람으로써 재밌어요~ 지식적인 도움도 되구요~

  • @multiple0117
    @multiple01172 жыл бұрын

    크으 소비더머니 주제 선정 센스 최고최고 호랑이의 기운 뿜뿜하는 고려대도,,,,한 번 부탁드려요오ㅎ❤️

  • @user-eg3og2jo1l
    @user-eg3og2jo1l2 жыл бұрын

    인트로 가질 수 없는 너 찰떡이다 (눈물 줄줄)

  • @krgamb
    @krgamb2 жыл бұрын

    오늘 소비더머니는 ㄹㅇ 엄빠주의다...

  • @bizlaw8241
    @bizlaw82412 жыл бұрын

    학벌 위력이 떨어졌다곤 하지만 여전히 다 갖춘 사람들은 학벌도 갖추고 싶어하지요. 모 정당사람들 자식들 기를 써서 서울대나 한국 명문대 보내려고 하고 그럴 능력조차 안 되면 유학보내고 그 와중에 서울대 폐지시키자 이러는 게 왜 그렇겠습니까.

  • @iviryyn3078
    @iviryyn30782 жыл бұрын

    20대 되서 보니깐 어릴때 부터 똑똑하던 애들은 대부분 좋은 대학 감 애매했던 애들은 애매한 대학 갔고 명문대에 성공한 사람이 많은건 애초에 떡잎부터 남달랐던 애들이 많이 갔고 그런 애들이 모여서 서로 자극 받으면서 할테니 성공 확률이 높을 수 밖에 없름

  • @user-pz7ns5kk4o
    @user-pz7ns5kk4o2 жыл бұрын

    한국 sky 서울 관악 연건 이라는데 고민할 게 대체 어딨어? -서울대 트리플 h - 무대 가사

  • @user-tv4zu2cv4j

    @user-tv4zu2cv4j

    2 жыл бұрын

    츄플짱..

  • @pajkl2
    @pajkl22 жыл бұрын

    돈 많아도 사기 어려운 스펙인건 맞지만... 돈 많으면 살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가는 건 확실하죠..

  • @user-fs2nj5zn8r
    @user-fs2nj5zn8r2 жыл бұрын

    오늘 아침에 서울대 수신사이트 터지고 학교에 정떨어졌는데 이거 보고 힐링합니다

  • @user-yn2en1yi9j
    @user-yn2en1yi9j2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영상에 나오신 분들 집안이 나쁘지 않다는게 함정이죠. 다들 (대부분) 그래도 유복한집안이라고 소개할만 하니까요.

  • @user-kt3qo2ho7o
    @user-kt3qo2ho7o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학구열(학문 연구에 대한 정열)이 높은게 아니라 입학하기 위한 애를 쓰는거라고 누가 그랬는데 너무 맞는말..

  • @namename0005

    @namename0005

    2 жыл бұрын

    당연하지 학구열이 불타기엔 아직 내실은 개도국이니까...아무리 선진국이라고 비명도지르고 발악하고다녀봐 슬쩍만 열어봐도 개도국인거 다티나지. 아직 더 개발 많이 필요하고 그걸 위해서 성실한 친구들끼리만 모이려고 입학에 기를 쓰는거임..

  • @user-op8vr2hc9m
    @user-op8vr2hc9m2 жыл бұрын

    서울대 나온사람보다 더똑똑 하신것 같아요 지식이 최고시네요 머리에 쏙쏙 들어와요 ♡♡♡♡

  • @by-wt2bn
    @by-wt2bn2 жыл бұрын

    기자님 오늘착장너무좋아요♡ 주제의 넘사벽 소비더머니 오늘도 잘봣습니다♡

  • @user-ff3md5oj3z
    @user-ff3md5oj3z2 жыл бұрын

    서울대 영상 감사합니닷^^

  • @user-qu9ov8gc5e
    @user-qu9ov8gc5e2 жыл бұрын

    부자되는게 더 어려운거 같은데여ㅠㅠㅠ흫허헣헣 취업면접 가보면 서울대? 우리회사 연구소 거기있는데~ 이 취급받고 마상....★

  • @user-hw1jv6uv3p
    @user-hw1jv6uv3p2 жыл бұрын

    경성제국대학 출신 외할아버지 말에 의하면 그 당시 각 도에서 1등하면 갈 수 있었다고 하시더라고요. 제가 고려대 갔을 때 외할아버지가 고려대도 나름 괜찮은 대학이라고 하셨던 기억이….

  • @user-vn6nl8vx1k

    @user-vn6nl8vx1k

    2 жыл бұрын

    @@systemhacking 서울대학교 전신인 경성제국대학교 시절이 1920~1947년도였습니다 20~40년대 경성제국대학시절 자료찾아보니 1941년도 경성제국대학교 입학생이 해마다 160명 1942년부터 260명 독립전까지 일본 학생이 70%였다고함.. 1935년 자료에 전국 고등보통학교가 26개 학생수 1만4천명이였네요 1945년 광복 당시에는 일반계.실업계 다합쳐서 165개학교에 학생수 8만3천명 저분 말씀이 맞는것같네요

  • @user-ed1ne6zg1g

    @user-ed1ne6zg1g

    Жыл бұрын

    고려대가 나름..나름 괜찮은..

  • @Rainforest-alliance
    @Rainforest-alliance2 жыл бұрын

    똑똑한 젊은이들이 만들어낼 밝은 한국의 미래를 기원합니다 😄😄

  • @user-me5el2pv6y

    @user-me5el2pv6y

    2 жыл бұрын

    망조의길인데무슨 ㅋㅋㅋㅋ출산율0.7퍼대임

  • @tmdwo21
    @tmdwo212 жыл бұрын

    졸업한지 반 년 되고 회사 일 찌들어 있다가 학교 얘기 보니깐 좋네요~ 감사합니다!

  • @user-my4wz6zk3l

    @user-my4wz6zk3l

    2 жыл бұрын

    설대생도 취업 어렵나요??

  • @user-we6fx6ui1x

    @user-we6fx6ui1x

    2 жыл бұрын

    @@user-my4wz6zk3l 아니요 잘 돼요 인터넷 사람들 뇌피셜 듣지 말고 지금 당장 취업률만 봐도 설대는 취업 잘됩니다

  • @firstnamelastname6244

    @firstnamelastname6244

    2 жыл бұрын

    @@user-my4wz6zk3l 학사경고 받을 수준으로 학점 집어 던지고, 인맥 안쌓고, 대외활동 아예 안하고, 그럼 취직 힘들 순 있겠죠, 근데 애초에 그런 인간은 샤대 못갑니다. 취업이 개인 역량 싸움이지만, 서울대를 입학해서 준수한 성적으로 졸업하면, 그 자체로 역량이 입증 된겁니다. 극단적 학벌주의는 문제지만, 그렇다고 학벌주의가 아주 잘못된건 아닙니다. 소위 말하는 명문대를 못가고 지잡을 다니는건 결국 본인의 노력과 재능이 부족했다는 건데, 학벌주의 찡찡거리는 사람 보면 좀 한심해요. 그 시간에 본인의 지잡 학력을 덮을 수 있는 다른 역량이나 쌓지

  • @user-vz7fy3kr7t

    @user-vz7fy3kr7t

    2 жыл бұрын

    @현현 가만히있어도 중견기업에서 모셔감 걱정 안해도됨

  • @user-ti5ey1oy8g
    @user-ti5ey1oy8g2 жыл бұрын

    7:36 이거 맞아요 저희 아빠도 회사 면접감독관이신데 해외유학파들 보다가 진짜 전문영어마저도 잘하는 국내파 뽑았대요;;

  • @kyeonghyeonnam8855

    @kyeonghyeonnam8855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그런 국내파 어차피 조기유학갔다온 애들임

  • @immabee542

    @immabee542

    2 жыл бұрын

    유학파 대부분이 도피유학으로 그저그런 대학 나온사람이 대부분이여서 그렇지 유학파도 유학파 나름이죠

  • @thebiguncutone

    @thebiguncutone

    2 жыл бұрын

    @@immabee542 ㅇㄱㄹㅇ

  • @thebiguncutone

    @thebiguncutone

    2 жыл бұрын

    @@kyeonghyeonnam8855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feyliegh2493

    @feyliegh2493

    Жыл бұрын

    한국어도 같이 잘해야해서 그래요..영어만 잘하는게 아니라 한국어도 아주 잘해야하니까

  • @user-fm9vk3sq5f
    @user-fm9vk3sq5f2 жыл бұрын

    난 이분이 설명해주는 컨텐츠만 본다,, 너무 재밌어

  • @eyebrows5318
    @eyebrows5318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지방대 출신이라 딴나라 얘기라 전혀 관심없지만, 소비더머니는... 이걸 이렇게 재밌게 영상만드네.. 이것도 능력이다. 재밌게 봤슴당~

  • @LoveU_animal

    @LoveU_animal

    2 жыл бұрын

    비명문대 인구가.. 더 많아요~ㅎㅎ ㅠ 보통 사람들의 이야기..

  • @yeomddang
    @yeomddang2 жыл бұрын

    3:00 1/3인데 비율이 1:3?! 지금 보니까 서울대 표어가 예일대랑 상당히 유사하네요 ㅋㅋㅋㅋ

  • @user-kt1kw2ch4s

    @user-kt1kw2ch4s

    2 жыл бұрын

    우리 문과 현용이형 놀리지마!!

  • @kkddjj1994
    @kkddjj19942 жыл бұрын

    누가 그랬지 노력만으로 갈수있는 최고의 대학은 연고대고 서울대는 그 이상의 모든것이 뒷받침되어야 갈수있는 곳이라고..

  • @GzGzbabae
    @GzGzbabae11 ай бұрын

    대학원 졸업한 모기업 사원입니다... 한줄로 추가 설명 가능합니다. 교수님들 아들 딸... 공대 안가고 의치대가려소 n수 박습니다 이상

  • @JCK8991
    @JCK89912 жыл бұрын

    꼭 뭐 우리나라만 학벌주의가 있는게 아닙니다. 외국 가도 학벌은 어디나 다 있고, 엘리트주의자랑 학벌에 대한 자격지심이 넘치는 자도 다 있습니다. 그리고 명문대에 들어가도 클라스가 갈립니다. 당장 저도 세계 순위권 명문대에 들어가고 제 학벌에 대해 안 사람들이 감탄하고 치켜세우지만 제 자신의 능력에 대해선 같은 학과 동기들하고도 비교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 @KoPianoBeautiful
    @KoPianoBeautiful2 жыл бұрын

    서울대도 붙었었지만 전 아이비리그 택했었는데 둘다 메리트가 있는듯. 한국에서 성공하려면 서울대 태그가 더 좋은거같음 HYPS 아니면. 최고가 아이비 학사 -> 서울대 석사 or 서울대 학사/석사 -> 아이비 박사 인거같음. oxford/cambridge 석사도 최고고. 미국에서 일하려면 아이비 학사 메리트는 엄청 큼 인맥과 학벌로만 이제까지 좋은 길들 밟았음 근데 한국에서 지금 2년째 살고있는데 미국에 있을때보다 버프가 그만큼 크지 않은듯 (hyps 제외)

  • @cppcompile

    @cppcompile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서울대랑 hyps 밑 아이비 둘다 붙으면 저 같으면 아이비 감 ㅋㅋ 놀 수 있는 풀이 틀려질 것 같음

  • @emiliofermi9994

    @emiliofermi9994

    2 жыл бұрын

    아이비리그 중에서도 좋은 학교는 한국에서 서울대보다 높게 쳐줍니다. 하버드, 프린스턴, 예일, MIT, 펜실베이니아, 스탠포드처럼 한국인 모두 알고있는 세계적인 명문대 출신이면 한국에서도 서울대보다 좋은 대우 받을거 같아요. 근데 아이비리그 중에서 좀 낮은 다트머스, 브라운 같은 학교 출신이면 한국인들은 이런 학교 모르는 경우가 많죠.

  • @mckinseyand2022
    @mckinseyand20222 жыл бұрын

    아닙니다.. 재벌들은 일부러 국내 대학 피한다고 해요. 피곤한 일이 많이 생겨 주로 미국 대학을 선호 한다고 하더군요. - 대기업 인사과 근무-

  • @artpen32

    @artpen32

    2 жыл бұрын

    믿을 수 있는 자식이 공부 잘하면 서울대 보내는 것 같습니다. 근데 얘가 사고칠까봐 두려우면 해외로 돌리는 듯요. 실제로 이건희 회장이 이재용 부회장이 서울대 간 걸 자랑했고 다른 사람들이 부러워했다는걸 보면...

  • @user-cd9xw6ds8m

    @user-cd9xw6ds8m

    2 жыл бұрын

    재벌총수 60%가 스카이 출신이고 나머지도 거의 국내대 출신ㅇㅇ 국내학부-> 미국 대학원 코스를 선호함 서울대 갈 수 있으면 최대한 보냄 서울대에서 만들수 있는 인맥이란거 무시 못함 ㅇㅇ 동아리 활동하며 잘 놀기만 해도 친해진 선후배동기중에 대법원 판사나오고 정부 중앙부처 처장 나오고 국회의원과 교수가 나오는데..

  • @go_muhyun

    @go_muhyun

    2 жыл бұрын

    @@user-cd9xw6ds8m 그거는 창업주 바로 직계자식이야기고.. 재벌 3세~4세는 전부 다 해외유학 보냄. 에초에 미국 기부입학으로 자식들 프린스턴 하버드 존나쉽게 보낼수 있는데 굳이 SKY보낼 이유가 없음....ㅋㅋ 서울대가 국내에서는 원탑이어도 해외에서 알아주지도 않는 대학인데 굳이 서울대 보낼 이유가 없음...

  • @user-cd9xw6ds8m

    @user-cd9xw6ds8m

    2 жыл бұрын

    @@go_muhyun 아직도 재벌 3,4세들 서울대 조용히 많이 입학함 기업 물려줄거면 학부는 최대한 스카이로하고 대학원을 미국으로 보내는데 스카이 못갈듯하면 지방대 보내느니 미국대학 보낸후 대학원에서 다 함께 모여서 인맥강화 하며 그 안에서 연애하고 결혼함 뭐 연구직이나 교수할 것도 아닌데 대학순위가 왜 필요하겠음 그것보다 기업경영하며 부딪히고 만나게 될 정치인과 법조계가 다 스카이판인데 기왕이면 아는 사람이 있는게 낫지ㅇㅇ 기업 세금 문제 꼬여서 재판장 갔는데 법무팀이 열일한다고 해도 판사가 서울대에서 밥사준 동아리 후배의 절친인게 하버드 출신인 것보다 형량에 유리하잖슴 정치인 법조인 고위공무원에 언론사 임원들 방송국 피디들도 거의다 스카이임ㅇㅇ.. 근데 사실 그것보단 학벌이란것만은 돈을 쳐부어도 쉽게 가질 수 없고 개인 재능과 노력이 따라야 얻을 수 있어서 일반인들보다 스카이 입학을 더 크게 의미를 두고 개인능력의 증명으로 여기는 것 같음

  • @go_muhyun

    @go_muhyun

    2 жыл бұрын

    @@user-cd9xw6ds8m 근데 그건 서울대갈만큼 공부를 잘할때 이야기 아님? 한화그룹 김승연 아들도 한국 고등학교 다니면서 공부 전교1등 했었는데 하버드갔다더라 나머지 두 아들도 다 외국대학갔고. 이재용 자식들도 다 외국대학 갔고ㅇㅇ 서울대갈급 아니면 웬만하면 외국대학 가더라 나무위키에 재벌가문 족보 다 나와있는데 재벌들 족보들 보면 대부분 외국대학임 하고싶은말은 공부를 정말 잘하면 서울대 보내겠지만 공부를 빡세게 시킬필요는 없다는거임ㅇㅇ 걔네는 우리랑 다르게 기부입학으로 하버드 프린스턴 이런곳 그냥 공짜로 입학 가능함

  • @rainforest555
    @rainforest5552 жыл бұрын

    교육원조의 중요성에 대해 느끼게 하는 영상입니다. 한번 조사해 보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우리가 아시아의 진정한 리더로서 동남아시아 등에 할 수 있는 좋은 공적 원조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ㅋㅋ 서울대에 가고 싶기는 합니다만....못가더라도 좌절하지 않고 열심히 살아야 할 것 같아요.

  • @cchocopie
    @cchocopie2 жыл бұрын

    서울대 가는 공부 비법들이 책 인터넷에 참 많죠? 이와중에 이연복 셰프님이 이렇게 말씀하셨죠? 이렇게 다 알려줘도 못해요 알려줘도 안 해요

  • @skystar9594
    @skystar95942 жыл бұрын

    서울대는 국가에서 지원해주니 다른 대학들이 따라가긴 어렵나보네요.포스텍이랑 카이스트도 들어가긴 겁나 어려운데

  • @user-ms1nn1ti1y
    @user-ms1nn1ti1y2 жыл бұрын

    7:19 오히려 예전이 비하면 난이도는 살인적으로 올라갔습니다

  • @daltasha
    @daltasha2 жыл бұрын

    자랑스럽네용😆

  • @busanmath
    @busanmath2 жыл бұрын

    오... 서울대..

  • @bbo9meneck1000
    @bbo9meneck10002 жыл бұрын

    지금 고2 비록 문과이지만, 제일 좋아하고 잘하는 과목이 수학이여서 꼭 2024~5년도에 꼭 서울대 수리과학부, 수학교육과 꼭 가도록 하겠습니다!

  • @feelpassion1

    @feelpassion1

    2 жыл бұрын

    꼭 목표이루세요 응원합니다

  • @newkind_203
    @newkind_2032 жыл бұрын

    하..수능 102일 남은 나에게 이걸 보여주는 유튭은 대체ㅋㅋㅋ그래도 덕분에 자극은 됐네요

  • @user-tw8rl2bx6q

    @user-tw8rl2bx6q

    2 жыл бұрын

    유튜브보고있는거보니 서울대갈급은 아닌듯 그냥 즐기세요ㅎㅎ

  • @newkind_203

    @newkind_203

    2 жыл бұрын

    @@user-tw8rl2bx6q ㅋㅋㅋ그래도 덕분에 자극은 됐네요

  • @newkind_203

    @newkind_203

    2 жыл бұрын

    @@user-tw8rl2bx6q 역시 사람 빡치게 하는게 자극이 더 잘 되는군요 고마워요

  • @user-tw8rl2bx6q

    @user-tw8rl2bx6q

    2 жыл бұрын

    @@newkind_203 서울대 합격하시면 댓글줘요 맛있는거 사드리겠습니다.

  • @meowwwww42

    @meowwwww42

    2 жыл бұрын

    @@user-tw8rl2bx6q ?? 병주고 약주고

  • @Son_of_Satan
    @Son_of_Satan2 жыл бұрын

    12특 ← 검색해보고 오세요 재외국민특별전형으로 수능 6~7등급 받고도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입학 가능합니다. 12특은 심지어 폐지도 못하고 있음 " 특례생(특히 12특)들의 학업 능력 저조와 부정 입학 등 여러 문제가 있지만, 그럼에도 없앨 수 없다. 특례생의 대부분은 중산층 이상의 자녀들이라 쉽게 건들 수 있는 문제가 아닌 듯 하다. 대부분이 고위층이다. 문제가 많다는 얘기가 끊임없이 나오지만 없어질 일은 거의 없을 듯 하니, 마음놓고 있어도 될 듯 하다. " 돈 많으면 충분히 살 수 있는 스펙입니다.

  • @cofey7193
    @cofey71932 жыл бұрын

    제 집 하고 같은 구인 걸로 만족합니다. ㅎ ㅎ 서울대 화이팅!^^

  • @user-lp3fb9zd9u
    @user-lp3fb9zd9u2 жыл бұрын

    여전히 문과는 서울대가 최고이지만 이과는 솔직히 의대가 성적상 위라는 거 (예전같지는 않죠). 2024 서울대에 과탐1 과목 유형 추가한다는 거 보면 답 보임. 의대 100명 보내는 휘문 나왔지만 모의고사든 내신 최상위권 친구들이나 재수생 형들 거의 대부분 원과목 선택한거만 보면.. 뭐 근데 학교와서 보니까 인재상이 갈리는게 보이긴 하더군요. 머리 좋은 애들은 카포인 반면 기본 머리에 성실성 까지 갖춘 친구들은 서울대. 2년전 고3일때만 하더라도 서울대 때문에 투과목 할까말까 진짜 고민 많이 했었어서 ㅋㅋㅋ.. 2024 친구들이 부러울 따름입니다. 전 결국 의대 다니고 있네요.

  • @emiliofermi9994

    @emiliofermi9994

    2 жыл бұрын

    서울대는 원래 과탐 2과목을 응시해야만 지원이 가능했었는데... 2024부터는 그게 사라진다는건가요?

  • @splendid-eric3764
    @splendid-eric37642 жыл бұрын

    2:00 저 때 전설의 1997학년도 수능 만점자가 373점이고 200점대도 연고대 지원이 가능했다던 ...

  • @user-zl7bm1oy4b
    @user-zl7bm1oy4b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이 다시 서울대의 브랜드가치를 높이고있다.

  • @user-ww8cn6jr1i
    @user-ww8cn6jr1i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멘트 좋네요

  • @UhjinYang
    @UhjinYang2 жыл бұрын

    곧 마지막 학기지만...막막합니다^^ 그래도 뛰어난 친구들 보며 채찍삼아 공부할 수 있다는 점은 장점이겠네요

  • @user-qi9ly1mm3d

    @user-qi9ly1mm3d

    2 жыл бұрын

    ...? 혹시 제가 아는 그 어진님?(아니라면 실례했습니다.)

  • @UhjinYang

    @UhjinYang

    2 жыл бұрын

    @@user-qi9ly1mm3d 어머나~~잘 지내시나요?? 일전에 크게 신세 진 것도 있고 하니, 나중에 밥이라도 한 번 사야만 하겠네요! 더운 여름 지치지 않도록 몸 조심하시고 여유 생기면 연락주세요^^

  • @j4wdjuw608

    @j4wdjuw608

    2 жыл бұрын

    @@UhjinYang 삼수실패로 인해 실패했고 그 이후 연쇄적으로 인생이 다 꼬이고 망해서 너무 자책감, 자괴감이 들고 자해충동이 들고 결국 못참고 자해를하고 소리를 지르는데 어떻게 해야될까요...

  • @jubilee9994
    @jubilee99942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보여주셨듯 서울대만 봐도 근현대사에 당시 일본과 미국의 영향력이 정말 컸던걸 알 수 있죠.

  • @emiliofermi9994

    @emiliofermi9994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일본 식민지였다가 지금은 미국 식민지가 된건데 당연하죠.

  • @user-oy5or1rg3v
    @user-oy5or1rg3v2 жыл бұрын

    참고로 조현용기자님도 서울대 출신은 아니지만 연세대학 법학과 출신임. 사법고시에 뜻 없어서 평소 좋아하던 기사 읽기와 강점이었던 언어능력을 살려서 언론사 시험 응시해서 2007년 보도기자로 mbc입사함

  • @jhiam
    @jhiam2 жыл бұрын

    부자가 서울대 가는 것도 어렵지만 서울대가 부자 되는 건 더 어려움

  • @user-gr2wq4xg3x
    @user-gr2wq4xg3x2 жыл бұрын

    와 우리 대덕전자 창업주께서 기부 1위이시구나 ㄷㄷ

  • @brianlee2674

    @brianlee2674

    2 жыл бұрын

  • @good.things
    @good.things2 жыл бұрын

    난 서울대 나온 사람보다, 밥 3끼 잘 먹고 평생 건강하게 살다 잠자듯이 편안히 죽는 사람이 제일 부럽다.

  • @TV-mr4fn
    @TV-mr4fn2 жыл бұрын

    교육은 유대인들 방법이 최상인듯. 선진국들은 입시경쟁교육을 야만적 .인격살인행위라 당장 폐지해야 된다고 그렇게 강조 하는데. ㅜ.ㅜ

  • @khj6794
    @khj67942 жыл бұрын

    현 고3이고 올해 수능 준비를 잘 못했지만 내년에는 꼭 열심히 준비해서 서울대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에 입학하고 싶다...

  • @geographics_

    @geographics_

    Жыл бұрын

    근황좀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