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의 위대한 일대기 팩트체크

Ойын-сауық

이순신은 누구의 총에 맞아 전사한 것일까요?
명장 이순신을 책 ''이순신, 홀로 조선을 구하다"로 바라봤습니다

Пікірлер: 52

  • @perituscmj
    @perituscmj5 ай бұрын

    전쟁이란게 그래 몇십년을 전사로 살아도 어제 입대한 놈한테 죽고 그런거야

  • @13579TV
    @13579TV4 ай бұрын

    정확한 역사 전달,, 정확한 역사 전달,, 정확한 역사 전달,, 감사합니다 !!!!!!

  • @solla3130
    @solla31305 ай бұрын

    노량 해전 보고 느낀점 = 조선군 : 지휘부가 솔선수범해서 지휘관들은 많이 죽었지만 병졸들은 별로 안죽었음 // 일본군 : 지휘부만 살아서 돌아간다고 병졸들 다 죽게 만듬.. 그래서 50척만 살아서 돌아감 ㄹㅇ

  • @hunhj827

    @hunhj827

    3 ай бұрын

    영화는 판타지입니다,., 제발 영화로 역사를 배우지마세요

  • @solla3130

    @solla3130

    3 ай бұрын

    @@hunhj827 사서에 나오는 기록들임 일본측 기록에서도 조명연합 함대의 피해는 총합 10척 이하임 ㅇㅇ

  • @hewonlee5232

    @hewonlee5232

    3 ай бұрын

    ​@@hunhj827기록은 장식품이 아닙니다.

  • @user-ue3sb1yv9k
    @user-ue3sb1yv9k5 ай бұрын

    아무리 생각해봐도 100원에 이순신장군이 있고 5만원에 신사임당이 있는게 이해가 안되네요 ㅋㅋ 10만원짜리에 들어가 있어도 부족한데

  • @loubnaibnqurtuba5305

    @loubnaibnqurtuba5305

    3 ай бұрын

    왜냐하면 그만큼 중요한 인물이라 옛날부터화폐에 넣어버렸고, 5만원은 나중에 생긴거라 5000원 이이 엄마 넣은거죠

  • @user-du8wl1xy7m
    @user-du8wl1xy7m5 ай бұрын

    10만원짜리로 승진이 필요합니다

  • @europa_jupiter_moon
    @europa_jupiter_moon5 ай бұрын

    임진왜란때 전사한 조선 고위 장수랑 일본 고위 장수를 보면 조선 고위 장수가 많이 전사했다고 하죠 그 이유가 조선은 중앙집권 국가고 일본은 봉건제 국가라 고위 장수 한명 한명이 지역의 영주나 가신이라서 그 장수가 전투에서 죽기라도 하면 그 집안과 지역은 풍비박산이 나서 휘하의 병사들이 어떻게든 보호하려고 했죠

  • @user-ke2qq7hq5x
    @user-ke2qq7hq5x5 ай бұрын

    몰락한 집안은 도대체 어디서 나온거죠?ㅎ

  • @jesuslovesyou3228
    @jesuslovesyou32285 ай бұрын

    아까 병조정랑 서익이 높은 관직이라고 하셨는데, 만호가 정랑보다 . 위 품계입니다. 정랑은 정5품이고, 만호는 종4품입니다.

  • @user-ys3lk4wn5i

    @user-ys3lk4wn5i

    5 ай бұрын

    니 똥 굵다 ㅎㅎ

  • @user-cd8dx8vy8h
    @user-cd8dx8vy8h5 ай бұрын

    노량 명량 한산 123을 한눈에ㄷㄷ ㄷ

  • @khokang9683
    @khokang96835 ай бұрын

    아니 아군장수의 죽음을 누가 적에게 알리냐??말가튼 소릴??

  • @Horang2.
    @Horang2.5 ай бұрын

    6:22 이거 잘못아는 분들이 너무 많음 류성룡이 천거는 했지만 좌수사로 천거한건 아니었습니다 이건 선조가 독단적으로 밀어붙인거에요 전례없는 파격승진을요 류성룡도 그정도 파격승진은 좀;; 이라는 뉘앙스였습니다 하물며 선조는 그의(이순신)의 심기를 건드리지 말라고 조정대신들에게 엄포를 놓죠 13:45 이순신저격에 성공했다는 기쁨도 잠시 바로 대포맞고 침몰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정유재란 이후부터는 조총의 유효사거리가 100미터로 업그레이드 되었어요

  • @user-qs7pq1zt3k

    @user-qs7pq1zt3k

    5 ай бұрын

    조총유효사거리가100m까지 늘어나긴하지만 명중률이낮았죠 그리고 유효사정거리들어왔다해도 조선의화포의 사정거리에는 훨씬 못미쳤죠 물론 조선군도 명중률높이기위해 근접에서 화포를쏘며 근접전을펼치긴했지만 조총사정거리에 들어갈정도의 해전은 그리많지않죠 사천,노량,명량 말곤 거의없다봐야죠 노량이야 뭐 대규모해전이였으니 당연 사정거리에들어갔을수밖에없죠

  •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5 ай бұрын

    그렇죠. 선조가 이순신을 경상좌수사로 보냈다면 왜군이 상륙하기 전에 수전에서 격파했을 수도 있었을 것 같습니다. 종6품 벼슬 살다가 정3품 당상관으로 승진시켜려니 선조도 부담스러워서 5관 5포를 관할하는 전라좌수사로 임명한 것 같습니다. 경상좌수사였다면 임진왜란이 조기에 끝났을 수도 있었을 것 같아서 아쉽습니다.

  • @tsg2201

    @tsg2201

    5 ай бұрын

    @@user-gw2zu5do2r 그건 그냥 결과론이고 그당시에는 왜군이 전라도로 올지 경상도로 올지(+충청도로 올지) 아무도 몰랐음 오히려 임진왜란 직전 최대 왜란이었던 을묘왜변은 전라도로 쳐들어왔음

  • @shanestory3879

    @shanestory3879

    5 ай бұрын

    아니... 선조가 독단적으로 밀어붙였다구요? 정말루요?? 선조가 그의 심기를 건들지 말라고 했다구요???... 아니 님 말씀이야말로 신빙성이 떨어지네요. 선조가 이순신을 어떻게 알고 그런 말을 했을까요? 실록에 그렇게 나와있나요? 믿기질 않아서요... 그랬던 선조가 도대체 왜 이순신을 그렇게 괴롭혔나요, 왜

  • @Horang2.

    @Horang2.

    5 ай бұрын

    @@shanestory3879 믿기어렵겠지만 사실입니다 전쟁터지고 왕권이 위태해지며 정통성에 문제가있는 반계로 오른 최초의 조선왕이었습니다 하지만 나름 현명한군주였는데 20일만에 한양을 점령당한 공포심으로 소인배 그리고 인간의 치졸함이 극에 달하게 된거에요 언제죽을지 모르는 공포심과 언제 왕의자리에서 내쫓길까하는 조바심이 그를 인간이하로 만들었습니다 그사람(이순신)이라면 충분히 감당할터이니 관작의 고하를 따질필요가없다 다시 논하여 그의 마음을 동요시키지 말라 하였다. 선조 25권 24년.2월 16일 두번째 기사

  • @user-nn3vt5hn3z
    @user-nn3vt5hn3z5 ай бұрын

    아직도 나의죽음을 적에게 알리지마라라고 하는족속들이있네ㅠ

  • @ChanHo_LeeSMM

    @ChanHo_LeeSMM

    5 ай бұрын

    류성룡의 징비록에는 '싸움이 급하니, 나의 죽음을 알리지 마라' 라고 이순신의 유언이 기록되어 있는데, 아군에게 알려지면 지휘관을 잃은 충격에 사기가 크게 떨어질 수 있어서 이런 유언이 오히려 신빙성이 있지 않을까 해요.

  • @user-if6nk7cg8i

    @user-if6nk7cg8i

    5 ай бұрын

    사실 말이지, 적에게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누가 알리겠나 ^^?

  • @user-xp3xl2ce8h
    @user-xp3xl2ce8h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사람들은 충무공에 대해 1도 모른다. 국방의 의무를 1년반에서 길게는 3년 가량 했지만 전쟁과 전투에는 일자 무식 그 자체이고 밀리터리에 덕질하면 이상한 눈으로 바라보는 분위기인데 충무공에 대해 알리가 없지.

  • @ShinRamenRider
    @ShinRamenRider5 ай бұрын

    1:24 한양과 충남의 위치가 한참 잘못 표기되어있네요... 저긴 지금의 평양인데..

  • @user-qs7pq1zt3k
    @user-qs7pq1zt3k5 ай бұрын

    5:50 조정에서몰아가다뇨 오히려 저땐 북병사 이일이 이순신 사형시켜야한다고 하지만 나중에 이일이 병력증강요청했지만 해주지않았던것과 사실상 뭐 죽여야 될만큼 큰 잘못도아니였고백의종군시키죠 오히려 백의종군때 당시 여진족의 대장 우울기네를 사로잡아 공을세워 백의종군을 벗어나죠 제대로 알고 좀 영상을만드시죠

  • @user-un4sl1qc2n
    @user-un4sl1qc2n5 ай бұрын

    어차피 전쟁끝나면 역적으로 몰려 죽을거 뻔하니 죽음을 가장하고 숨어서 지내다 돌아가셨습니다..

  • @user-pg9su7oz3m
    @user-pg9su7oz3m5 ай бұрын

    한양과 충남 지도위치가 뭐냐? 초딩도 아는걸 이렇게 하는 의도가 설마 댓글도 수입에 도움이 되니 유도를 위해??????

  • @kim-yd7le
    @kim-yd7le5 ай бұрын

    23전23승 아니였나요?

  • @user-yy5zo2hs7o

    @user-yy5zo2hs7o

    5 ай бұрын

    불명의 이순신 드라마 봐 그럼 알수있어

  • @user-gx7ch8yk9y

    @user-gx7ch8yk9y

    5 ай бұрын

    45전투: 40승 5무

  • @user-vp3hs4qm2w
    @user-vp3hs4qm2w5 ай бұрын

    얼마전에 어떤 유투버가 강감찬과 이순신을 비교 하면서 이순신에게 더 높은 점수를 주더군요 한마디로 코메디입니다 강감찬과 이순신은 비교대상이 아닙니다 권투로 치면 강감찬은 해비급 챔피온 정도면 이순신은 아마추어 국가대표 상비군 정도입니다 그럼 신에게 12척이 있습니다 그 이야기를 풀죠 과연 조정에서 수군을 페 하라고 했을까요? 어디서 나온 이야기인가요? 난중일기?? 징비록?? 일단 이 둘은 개인 기록이니 객관성이 떨어집니다 왜? 객관성이 떨어지냐? 임란 9년동안 일기를 써온 인물이 있어요 오희문에 쇄미록이죠 거긴 이순신보다 원균 평가가 더 크게 나와요 딱 봐도 객관성이 있어요 그럼 이어 신에게 12척(중략) 수군 페지?? 그 당시 명나라군이 재참전하고 남하하고 있어요 그리고 명랑해전 10일전에 충청도 직산에서 일본군을 쳐셔 승리합니다 그러자 왜군은 더 진격 못하고 머물다 남하합니다 명랑해전후 이순신에 행동은 ?? 전라북도 고군산 열도 위도에서 도망?? 작전상 후퇴?? 하고 있었어요 육군은 남하하는데 수군은 후퇴?? 그럼 수군 페지가 아니라는 이야기죠 명랑해전 지역이 지금 진도지역입니다 거기엔 피난민 등 백성들이 엄청 몰려 있었어요 수군을 페지 하라는게 아니라 육군이 남하하니 그 지역에 육군과 수군을 동시에 양성하고 기지를 만들라는 이야기 아닌가요? 결과적으로 이야기 하자면 이순신이 그러는 동안 고니시가 순천에 내려와 기지를 구축 했어요? 이른바 순천 왜교성!!! 진도와 순천 거리 그리 멀지 않습니다 그리고 아군에게 총을 맞아 전사 했다??? 소설 쓰세요? 노량해전 전황이 이렇게 돌아 갑니다 고니시를 구원 하기 위하여 부산에서 시마즈가 출발하여 야간에 기습공격을 합니다 이순신 지역이 아니라 명나라 지역으로요 그러자 이순신이 구원하러 옵니다 그 사이 고니시는 탈출 합니다 ㅅ로 전투가 치열 했어요 명군은 부총병 등자룡 전사 등 엄청 피해를 받고 조선수군은 이순신 이영남 등 고급군관 10여명이 전사 했어요 조선수군도 피해 많았죠 물런 시마즈도 피해 입엇겠죠 하지만 해상봉쇄가 뚫리고 고니시 탈출을 본 시마즈도 탈출 합니다 참고로 명랑이란 영화에서 그렇게 깐 배설 친동생 배줍도 고급군관으로 전사 했어요 왜? 이리 역사왜곡이 심할까? 그건 영화감독도 영상제자님도 잘못 없어요 다 사학자들 잘못입니다 찾아보면 다 있어요 그리고 해군 전사관련자도 마찬가지입니다 식민사학에 찌든 남한 식민 사학자들 연구 공부도 안하고 그걸 권력 카르텔을 사용 하기 때문입니다 가야사 유네스코 등재시 그 위원들 전라도 천년사 편찬 위원들 그들에 논리를 보면 저게 한국사람인가? 의심이 갈정도입니다 방한퉁수입니다

  • @onefunnyman925

    @onefunnyman925

    5 ай бұрын

    페 페 페 페 원균 올려치기 하는 것만 봐도 긴 똥글이구만 이런 망상은 일기장에나 적으렴

  • @user-kp8tg8yo1w
    @user-kp8tg8yo1w5 ай бұрын

    이순신장군과 박정희대통령 성장과정과 주변의 질투 그리고 정직함이 유사하고 문인의 기질과 무장의 용맹이 겹치네요

  • @dudthq0148

    @dudthq0148

    4 ай бұрын

    박정희가 정직한 인물은 아니지 좀만 찾아봐도 이기적이고 기회주의적인 면모를 많이 보였음.

  • @KOREANJP1
    @KOREANJP15 ай бұрын

    임진왜란이 일어나기도전에 임진왜란에서 큰 공을 세울것이라고하면서 선조에게 이순신을 중히 쓸 것을 권유했다는 류성용. 이게 말이 되냐? 좀 앞뒤가 맞게 떠들어라. 아무나 유튜브를 하는 혼탁한 세상이구나

  • @user-xp3xl2ce8h

    @user-xp3xl2ce8h

    5 ай бұрын

    유튜브 라는게 아무나 하라고 있는거임. 그래서 잘 걸러서 들어야 함.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