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첫 알바를 앞둔 분들 이것만 보고 가세요|크랩

#크랩 #알바 #손해배상 #kbs뉴스
아르바이트할 때 카운터를 보는데,
시재금이 안 맞았던 경험 있는 분 꽤 있을 텐데요.
이럴 때 펑크 난 돈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인생 첫 알바를 앞둔 사회초년생을 위해
크랩이 ‘알바 법률 상식’을 정리해 봤습니다.

Пікірлер: 461

  • @nox13230
    @nox132307 ай бұрын

    수년 전에 가게 알바를 했던 적이 있는데, 한 번 계산 실수로 몇 만원 정도의 월급에서 제한적이 있긴한데, 계산을 실수하기도 했고 해서 월급에서 뺀 게 그다지 억울하다는 느낌은 없었는데. 당시 가게 사장님이 막 윽박지르면서 책임을 지라는 식으로 이야기하지 않고 그냥 좋게 말씀하셔서 다음 번에는 그러지 말아야지 하고 넘어갔던 적이 있네요.

  •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7 ай бұрын

    그렇구나 그럼 불법을 저지를땐 좋게 말을 하면 대체로 그냥 넘어간다는 소리죠?? 그렇다면 저도 좋게 말하면서 월급 까야겠네요 ㅋㅋㅋ

  • @3ae992

    @3ae992

    7 ай бұрын

    ​@@user-lq6lm8fh6m 사람 참 꼬여있네

  • @user-lo1og6me4y

    @user-lo1og6me4y

    7 ай бұрын

    @@user-lq6lm8fh6m 응 노동부 신고 까봐 니만 피곤해지지 영상을 발로 보나

  • @user-ky9vs2ze6y

    @user-ky9vs2ze6y

    7 ай бұрын

    이런거 볼때마다 요즘들어 별것도아닌거 가지고 트집잡고 서로 얼굴붉히고 뭐 고소를하느니 법정가느니 하는게 요즘 너무많은거 같음. 큰 사건 아닌이상 법적인 문제로 끌고가지 않고 좋게좋게 그냥 상식선에서 해결하면 좋을것들까지 너무 팍팍하게.. 마음에 여유가 없어서 그런가 세상 너무 팍팍해진 느낌임.

  • @Runea1180

    @Runea1180

    7 ай бұрын

    ​@@user-lq6lm8fh6m그런 마인드면 어떻게 말해도 좋게 안 들림 포기하셈

  • @user-jg9fq2nx1n
    @user-jg9fq2nx1n7 ай бұрын

    스무살 때 처음 해본 배달음식점 알바에서 '음식이 다 식어서 왔으니 환불해달라' 한 손님이 있어서 사장님께 말씀드렸더니 돌아온 대답은 '네가 알아서 해라.' 였다. 손님은 손님대로, 사장님은 사장님대로 화를 내는 상황에 배달기사님을 늦게 부른 내 잘못 때문인 것 같아서 손님에게 환불해준 음식값으로 이틀치 일급을 잃었다. 너무 서러워서 퇴근길에 울었던 기억이 있다.

  • @user-wn5ct2ym8f

    @user-wn5ct2ym8f

    7 ай бұрын

    그 사장님들이 mz세대를 욕하는 현실 인성하나는 최악인 그들 ㅎ

  • @user-cp7yo6ms3i

    @user-cp7yo6ms3i

    7 ай бұрын

    그럴땐 그냥 ㅈ까라 했어야지 ㅋㅋ

  • @DagungHana

    @DagungHana

    7 ай бұрын

    고생많으셨습니다..

  • @user-sg8fx5hb4s

    @user-sg8fx5hb4s

    7 ай бұрын

    마음이 아프다...

  • @user-jl8se6ch4r

    @user-jl8se6ch4r

    7 ай бұрын

    본인이있어 이득을 더 보는건데 더주지는 못해도 잘챙겨주지못할망정 돈을까네 모든일이 그럴듯

  • @AA-dk5cw
    @AA-dk5cw7 ай бұрын

    편의점 알바생들 근로계약서 쓸때 꼭 기간 써놔라 1년 미만으로 일하면 수습10% 때가는거 불법이다

  • @xjsbw18382

    @xjsbw18382

    7 ай бұрын

    그걸 모르는건 아닌데 그렇게 하려면 편의점은 다시 그 동네에서 편의점 할 생각 접어야함 그래서 보통 오래 일하고 취직을 하거나 타지로 떠날 애들이 그렇게 하더라

  • @user-lz9ye7fm2j

    @user-lz9ye7fm2j

    7 ай бұрын

    ​@@xjsbw18382 그런가요? 같은 브랜드 편의점이 아니면 점주끼리 알바생 이야기를 나누는 경우는 흔치 않던데요.

  • @xjsbw18382

    @xjsbw18382

    7 ай бұрын

    @@user-lz9ye7fm2j 보통 지역별로 점주들끼리 단톡방이나 카페같은 커뮤니티가 있는데 거기서 다 공유되는거로 알아요...

  • @user-wd9ln6uq9x

    @user-wd9ln6uq9x

    7 ай бұрын

    헐 알바 여러번 해봤는데 처음 알았어요

  • @5752380

    @5752380

    7 ай бұрын

    @@xjsbw18382 상관없음 만약 다른곳가서 면접봤는데 다른 편의점주한테 뭔가 들었다는 말 등등 이런거 언급하면 바로 신고하면 됨 전직장에대한 평판 이런거 들을려면 근로자 동의없이 안됨 그리고 설령 그렇다쳐도 편의점이 평생직장임? 편의점 점주끼리 뭉쳐서 알바생 안뽑으면 어쩔껀데... 대기업도아니고 ㅋㅋ

  • @user-mt7bi5vu5z
    @user-mt7bi5vu5z7 ай бұрын

    친절한 사장님들도 많지만 분명 악덕 사업주라고 불릴만한 사람들도 사회에는 꽤나 있습니다. 조금 아르바이트 경험이 많은 사람이라면 잘 대처할 수 있겠지만 이제 막 처음 사회로 나와본 사람들은 대처하기 어려울테니 이런 영상 한 번쯤 보고가도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올려주신 채널 '크랩' 감사합니다!

  • @user-hl6rm6xs5y
    @user-hl6rm6xs5y7 ай бұрын

    생각보다 세상은 정의롭지 않다.. 시재금 비는거 자기돈 채우는건 법적으론 저럴지라도 실제론 당연한 것처럼 취급되고 주휴수당은 커녕 최저도 안주는 곳 수두룩함

  •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7 ай бұрын

    몇천원이 비는것도 아니고 딱 하루만에 70만원이 비는건 저 알바생이 의도적으로 훔쳤거나 뭔가 중대한 실수를 저지른건데 좋게좋게 월급에서 까지않고 굳이 소송을 해서 돈 날린다고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Cheese-Zilwhan

    @Cheese-Zilwhan

    7 ай бұрын

    대전에 편의점 10곳 이상 면접을 봤는데 최저시급 주는 곳은 정말 드물어요. 심지어는 면접봤을 때 점장이 대전은 올해 시급 8천원으로 통일했다고 하네요.ㅋㅋㅋㅋ 알바천국에 최저임금 미지급으로 해당 점포 신고해도 그 점포 공고는 계속 올라와요. 조치도 안 하니까 이 모양.

  • @user-pi8ke9pg1c
    @user-pi8ke9pg1c7 ай бұрын

    사실 월급 덜 주거나 안주는거보다 안준다고 신고했을때 사장지들끼리 카톡방에 공유해서 알바 못구하게 만드는게 더 문제인거같음.. 촌에서 이러면 다른동네가거나 타지역까지 가야되니까 문제지

  • @hellohell-o
    @hellohell-o7 ай бұрын

    우리 사장님은 비어도 채우지 말라고 그거 다 생활비아니냐고 차라리 돈이 좀 있는 내가 채우겠다고하셨는데...존경합니다.

  • @monmon_55
    @monmon_557 ай бұрын

    알바할 때 식당이였는데 손님이 계산 안하고 그냥 가는 바람에 2만원인가 비어서 나랑 알바 언니랑 만원 반반씩 채워넣었었는데...물론..주문 많고 정신 없어도 계산을 신경 못 쓴 우리가 잘못이긴 하지만.....솔직히 먹었는데 계산 안 한 손님이 더 잘못 아닌가요..ㅠ 억울햇던.........

  • @leostuhler7440

    @leostuhler7440

    7 ай бұрын

    ㄴㄴ아직 님이 어려서 그렇게 자기탓하는거지 님은 잘못없음. 외국나가서 알바만 해봐도 느끼는건데 한국은 일 자체가 사람은 항상 적고 일은 물마실시간도 없이 바쁨. 거기다 시급은 훨씬 더 짜서 일끝나고 도저히 그돈을 쓸 용기가 안날 정도. 애초에 실수가 안 생길수가 없는 환경임.

  • @song_537

    @song_537

    7 ай бұрын

    그겐 먹튀한 인간이 잘못한거죠 님에겐 아무 잘못이 없습니다 더 잘못이 아니라 그냥 잘못

  •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7 ай бұрын

    @@leostuhler7440 실수가 안생길수가 없는 환경이니까 실수를 해도 그냥 넘어가야된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럼 저도 살인을 안할수가 없는 상황이니까 님 죽이러 가도 되는거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7 ай бұрын

    @@song_537 ?? 그렇게 따지면 제가 님 집 문을 열고 갔는데 도둑이 들었으면 저는 아무 잘못이 없고 그 도둑만 전액배상하는게 맞는거죠??

  • @103AAA90

    @103AAA90

    7 ай бұрын

    ​@@user-lq6lm8fh6m이건 뭔 개소리냐

  • @88bb43
    @88bb437 ай бұрын

    사회생활을 하면서 필요한 또는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이제는 중 고등학교에서도 배워야 되는 시대가 온 것 같습니다. 고등학교 졸업 하고 사회 나와서 배운 것은 정말 사용할 곳은 없고 정말 필요한 건 1도 모르는 내가 참 한심스럽더군요. 부모님이나 다른 사람에게 물어보기는 쪽팔리고.

  • @user-wb6mn8zu3t
    @user-wb6mn8zu3t7 ай бұрын

    변호사님이 법률적으로 얘기해주시니 참 좋네요~ 이게 법입니다!

  • @user-kd3df4pj2c
    @user-kd3df4pj2c7 ай бұрын

    수능공부도 공분데, 근로계약서 작성하는 방법. 임대차 계약서 작성하는 방법. 같은 것 훈련 시켜서 사회에 배출 되었으면 하네요.

  • @OP-cl9iq
    @OP-cl9iq7 ай бұрын

    부모님 데리고오면 ㅈㄹ 그렇다고 따박따박 대들면 대든다고 ㅈㄹ 늦게 태어난게 죄지 아주 그냥ㅋㅋㅋ 그런데 그와중에 왜 결혼 안하냐 애 안낳냐... 진짜 미친거지ㅅㅂㅋㅋㅋ 애당초 지금 사회를 이 꼬라지를 만든 장본인들은 이제 갓 사회로 나온 청년들 탓하는게 참 ㅈ같은 일임

  • @user-ly4zo5zw8o
    @user-ly4zo5zw8o7 ай бұрын

    법률가의 조언은 정말 도움이 되지만 현실은 메꾸라고 했을 때 메꾸지 않으면 고용주와 관계가 틀어지는 건 당연한 수순이고 어렵게 구한 알바 자리 짤리니까 알바생들은 약간의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메꿀 수 밖에 없는 입장이지..

  • @ynappalty9234

    @ynappalty9234

    7 ай бұрын

    결국 법쪽이 이런부분을 고려했으면 싶은.

  • @Ruhi-pb2fg

    @Ruhi-pb2fg

    7 ай бұрын

    그래서 개인이 매꾸지말고 급여에서 까라고 하고 나중에 임금체불로 신고해서 받아내면됌

  • @dlwlrma12340

    @dlwlrma12340

    7 ай бұрын

    저도 편순이인데 시재점검때 마이너스되는거 제가 다 메꾸고있습니다…😅

  • @dadada9858
    @dadada98587 ай бұрын

    크랩이 정말 좋은 일 하네요! 이 영상으로 수많은 피해자들이 자기 권리를 잘 챙겼으면 좋겠습니다.

  • @user-ou1hz8wq9n
    @user-ou1hz8wq9n7 ай бұрын

    솔직히 몇천원 없으면 걍 빨리 가고 싶고 또 세기 귀찮아서 걍 넣어놓고 감ㅋㅋㅋㅋ

  • @kunyom02
    @kunyom027 ай бұрын

    편의점에서 그날 70만원이 비는 건 솔직히 상식상 이해가 안되는데…

  • @user-lf3nn1cq1x

    @user-lf3nn1cq1x

    7 ай бұрын

    편의점 깊티 보이스피싱 당한경우봤는데 몇십만원 이긴해요

  • @user-im6fb2iz9k

    @user-im6fb2iz9k

    7 ай бұрын

    원글에서는 편의점이란 얘기 없어요

  •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7 ай бұрын

    몇천원이 비는것도 아니고 딱 하루만에 70만원이 비는건 저 알바생이 의도적으로 훔쳤거나 뭔가 중대한 실수를 저지른건데 좋게좋게 월급에서 까지않고 굳이 소송을 해서 돈 날린다고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bm5ki5xp2i

    @user-bm5ki5xp2i

    7 ай бұрын

    원글은 편의점이나 그런게아니라 전산업무 갑자기 맡긴걸로 알아용

  • @user-wn5ct2ym8f

    @user-wn5ct2ym8f

    7 ай бұрын

    전산업무라잖어

  • @user-os1km1nd6w
    @user-os1km1nd6w7 ай бұрын

    21살에 첫 알바했는데 편의점 알바였는데 물건 불량 나서 손님이 나중에 와서 때졌답니다 ㅋㅋㅋ 확인안하고 팔았다고 내월급에서 2만원 뺌 배터리가 불량인데 그걸 알바생이 어떻게 아냐 ㅋㅋ 업체에 따져야지 지금생각하니까 너무 어이없음 ㅋㅋㅋ 거기다가 당시 최저시급 4800원인데 수습이라고 4200원 줌 평일 알바인데 주말알바 못나온다고 수시로 부름 3개월하고 그만뒀는데 나이들고 보니 21살짜리한테 참 너무 했다 싶네요

  • @istp_a

    @istp_a

    7 ай бұрын

    진짜 미친놈들 많네...

  • @user1loveyou
    @user1loveyou7 ай бұрын

    나도 편의점 할때 시재 만원 안 맞아서 내 돈 채워 넣은 적이 있음.... 그때는 알바 5일차였고 1일차에 -2만원, 계속 안맞다가 4일째부터 딱 맞아서 아쉬워서 채워 넣었음... 어디서 잘못준지도 되새겨보니까 알 수 있었고... 근데 사장님이 너무 좋으시고 가끔 팁도 주고 하셔서 후회는 안함 그 이후로 한번도 안맞은 적은 없음

  • @user-vj4pu3tj1c
    @user-vj4pu3tj1c7 ай бұрын

    계약직 최대 근무기간인 2년을 다 채워서 퇴사 예정인데, 후임자가 구해지지 않는다면 어떻게 되나요? 사측에서 일단 정규직으로 전환해주고, 후임자가 구해지면 퇴사처리되는지?(이 경우에 퇴사는 자의에 의한건지 타의에 의한건지? 실업급여 지급 가능 여부 궁금함) 아니면 2년 계약 만료처리하고 다시 처음 입사처럼 계약직으로 근무기간 0일부터 시작하고 후임자 구해질때까지 일하는지? (이 경우도 최종 퇴사시 실업급여 지급 가능 여부 궁금!)

  • @user-kj6go4zw3u

    @user-kj6go4zw3u

    7 ай бұрын

    계약직이면 후임자가 구해졌든 말든 나의 계약기간이 만료되는 순간 내 알빠임?? 시전이 가능한게 팩트임. 회사 측에서 후임자가 없어 계약을 연장하자고 하더라도, 내가 거부하면 끝임.(계약연장을 거부하는건 노동자의 자유임) 그리고 정규직으로 전환되면 오히려 퇴사처리가 어렵지. 후임자가 구해지더라도 정규직을 자른다? 그 말은 정규직을 해고를 해야하는데 우리나라에서 정규직 해고는 사유가 당연히 정당해야하는데 후임자 구했다고 정규직 자르는건 당연히 말도 안되는 소리임 ㅋㅋㅋ (이게 되는거면 신입 들어올 때마다 모든 회사들은 기존 정규직들을 다 잘라야죠?) 이건 잘못하다간 사측이 부당해고가 되는데.. 아마 정규직 전환을 시켰으면 후임자 구하기 힘드니깐 걍 얘를 계속 평생 쓰겠단 소리나 다름 없음. 물론 정규직 전환도 거부하는건 자유임. 즉 결론은 후임자가 안 구해지는건 노동자의 책임이 아니고 그건 회사의 사정이지 일하는 노동자의 사정이 전혀 아님. 내 계약기간이 만료되는 순간 노동자가 그 회사를 나가는건 당연한 선택 중 하나임.

  • @user-fy7oz7mm8o
    @user-fy7oz7mm8o7 ай бұрын

    해외에서만 알바 해서 주급수당 필수인지 모르고 알바했다가. 필수라는 것을 알고 조사후 사장조졋습니다. 계약서에 주급수당 미지급 동의한다고 썻다 해도 법에 위법한 계약서라 무효처리된다고 합니다.

  • @Ri-ram
    @Ri-ram7 ай бұрын

    저는 20살 군대가기전 첫 알바로 편의점에서 일했는데 다행이도 점장님이 착한 편이셔서 따로 시재 안맞거나 자잘하게 실수한부분은 딱히 책임을 물게 하거나 하진 않아서 참 좋았음 한창 돈이 필요하고 시간은 남는때였는데 근무 빵꾸난거 대타 불러주신것도 부담스럽지 않고 고맙다고 해주셔서 좋았던 기억이 있음 물론 주휴수당같은건 따로 안받긴했는데 여러모로 근무 환경이나 근무지 위치가 너무 꿀이라 별 생각 안나는듯

  • @CowJoker

    @CowJoker

    7 ай бұрын

    선택하는거지 근무지가 여유로우면 꿀빨면서 시급만받는거고 지옥이면 이악물고 돈 다뜯고 "나 나가면 니가 뭘 할수있는데" 하는거지뭐

  • @ReNyaNg

    @ReNyaNg

    7 ай бұрын

    다른건 다 줘도 주휴수당 안 주는 점포들은 정말정말 많음.. 설령 서울이라 할지라도

  • @RuriwebUSER

    @RuriwebUSER

    7 ай бұрын

    전 에이스급으로 하니까 주휴 받았었음ㅋㅋㅋ

  • @user-lg2ry3jn9l

    @user-lg2ry3jn9l

    7 ай бұрын

    @@RuriwebUSER그거랑 그거랑 관련 없음 ㅇㅇ 주는곳은 그냥 다 주는거고 대부분은 돈 아까워서 안 주는 곳이 많음

  • @RuriwebUSER

    @RuriwebUSER

    7 ай бұрын

    @@user-lg2ry3jn9l 원래 걍 법적으로 안줘도 되는 케이스였는데 준거

  • @user-id7uv5rs7i
    @user-id7uv5rs7i7 ай бұрын

    수능이 끝나서 이제 아르바이트 많이 할거 같은데 이영상 꼭 봤으면 합니다. 착한 학생들은 업주가 하자는 대로 할거 같은데 절대 그러면 고쳐지지 않아요.업주도 손해 배상 청구 하고 알바생은 책임질 있으면 지면 되요

  • @kangkangkang8323
    @kangkangkang83237 ай бұрын

    2:33 현실적으로 몇천원은 그냥 도의적으로 메꿔넣었음...

  • @user-yu1tt1nx6c
    @user-yu1tt1nx6c7 ай бұрын

    알바하다 시재 비는거 채워놓으라고하면 증거 다 남겨 놓았다가 퇴사하고 노동청에 바로 신고박으면됨

  • @MiYo6219
    @MiYo62197 ай бұрын

    이 영상은 진짜 좋다

  • @jaykim4336
    @jaykim43367 ай бұрын

    처음 취업하신분들 힘내세요 화이팅~~

  • @user-xn8pi3oz6h
    @user-xn8pi3oz6h7 ай бұрын

    내가 만났던 사장님은 좋으신 분이셔서 다행이였넹...카운터 현금 정산 안 해도 괜찮았고 실수해서 손해 났을때도 괜찮다고 해주시고 내가 책임지고 메꾸는 일 전혀 없었당

  • @user_comment19
    @user_comment197 ай бұрын

    외국계 대기업도 한국에서 52시간 넘었다고 돈 안주려고 합니다. 그런것 보면 대한민국 노동법 위반시 처벌 수위가 너무 낮다고 느껴집니다. 전에 있었던 대기업에서 설비관련일은 52시간 넘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52시간 근로시간 지킨다고 EP에 52시간이 넘어가면 초과근무 자체가 안올라갑니다. 52시간 초과라는 팝업창이 뜨면서 안올라가요.

  • @sparrow82463
    @sparrow824637 ай бұрын

    저도 어릴때 편의점 알바하다가 교대시간 다 돼서 미리 정산하다가 금액이 안맞으면 그냥 제가 채워 넣었던 적이 있습니다. 분명 계산을 잘못한것같진 않은데 몇천원씩 빌 때가 있죠 ㅠㅠ

  • @skalder3847
    @skalder38477 ай бұрын

    2:00 얼굴 공개 하시면서 '네 바로 제 얘기 입니다ㅎㅎ' 하시는데 빵 터졌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 웃픈 상황인데, 막내 동생 보는것 같네요 ㅋㅋㅋㅋ

  • @kangbee_003
    @kangbee_0037 ай бұрын

    어떤 할머니 카카오 선물로 빼빼로 선물 받은 거 보여주면서 빼빼로 어딨냐고 물어서 알려드리고 아무거나 3개 고르시면 돼요 라고 말하고 결제 안하시고 나가심… 추측으로는 할머니가 상품 찍고 선물 바코드까지 다 찍어야 결제가 끝나는 줄 모르시고 그냥 들고 나가신 것 같던데 하필 또 3개여서 5100원 빵꾸나서 메꿈… 당시에 축제여서 손님 너무 많아서 신경 못 썼는데 쎄하다 싶어서 찾아보니 할머니는 나가고 없던 상태…ㅋ..ㅋㅋㅋ 저번엔 담배 1보루랑 다른 상품 5000원어치로 사가는 손님 카드 계산하고 띠리링 소리 난다고 결제 다됐다고 보냈는데 알고보니 결제가 안돼 있어서 50000원 메꿈… 물론 그 손놈이 결제가 안됐다고 찾아오는 일은 없었음..

  • @user-zb7si9fm1d

    @user-zb7si9fm1d

    7 ай бұрын

    ㅜㅜ

  • @user-tx9lg3re6w

    @user-tx9lg3re6w

    2 ай бұрын

    헉 5만원 이상이면 서명해야 해서 그랬나 봐요..ㅜㅜ

  • @Odie_19d
    @Odie_19d7 ай бұрын

    요즘은 카드결제가 많아져서 어찌보면 저런 리스크는 줄어들었네요.

  • @threeofall
    @threeofall7 ай бұрын

    모든 알바생분들 응원합니다 특히 사회초년생인 스물살 때는 모든 일이 익숙하지 않고 사회생활도 처음 해보는 것이라 허둥지둥 대기 일쑤일텐데 조금만 하다 보면 금방 적응할거예요 그리고 많은 피해자들이 자기 권리를 잘 챙겼으면 좋겠네요

  • @user-vb5qz1uf2u
    @user-vb5qz1uf2u7 ай бұрын

    진짜 잘알고있어야지..

  • @user-qy5uc6ux7c
    @user-qy5uc6ux7c7 ай бұрын

    노동법 공부해보면 근로자 권리가 생각보다 엄청 큼 이거 좀 부당한데 싶으면 거의 노동법 위반이라고 보면됨 ㅋㅋ

  •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7 ай бұрын

    그런데 왜 한국인들은 아무도 법을 지키지 않는거죠??ㅠ 역시 한국이나 중국이나 법이 있으나 마나한 나라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rm8pn8ft9s

    @user-rm8pn8ft9s

    7 ай бұрын

    일하는데서 손님이 없는 날은 일 안해도 될거 같다며 오지 말라는 경우가 잦은데 이것도 위반이라 볼수 있을까요? 3명이서 가족같이 화기애애 일하는 분위기라 딱히 신경안쓰긴 했는데 생각해보니 부당하게 느껴져서.. 근로계약서도 안쓴 상태

  • @user-qy5uc6ux7c

    @user-qy5uc6ux7c

    7 ай бұрын

    @@user-rm8pn8ft9s 저도 공인노무사가 아니라 정확한건 아니구요. 일단 근로계약서 안쓴거부터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벌금 나올수있습니다. 그리고 사람 없다고 오지말라는건 귀책사유가 사용자한테 있어서 휴업수당 줘야할수도있겠네요. 자세한건 노무사한테 가서 상담한번 받아보세요.

  • @user-ke8pw4kn6q

    @user-ke8pw4kn6q

    7 ай бұрын

    @@user-rm8pn8ft9s 근로계약서 안쓰고 일 시키는 것 자체가 근로기준법 위반입니다. 근데 실상은 이런거 따지면 알바도 못하죠. 그만 둘 마음 생기셨을 때 신고하시면 계약서 쓰라고 시정명령 내려오는데 2주기간 안에 계약서 작성 안하거나 근로기간, 근로시간 등의 항목을 명시하지 않으면 항목당 30만∼50만 원씩, 최대 5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그리고 피크타임 때 만 부른다는 소린데 그건 근로계약서에 근로시간이 적시되어 있어야 따지고 볼 수 있는데 미작성 상태시라 어쩔 수 없어요. 그리고 주휴수당 안주려고 피크타임 때만 불러서 일주일 40시간 못채우게 하려는 꼼수도 못잡고 있는게 현실이라..

  • @Wwananda

    @Wwananda

    7 ай бұрын

    @@user-rm8pn8ft9s 일단 근로계약서부터 안쓴다는게 기본적인 절차를 안지키는 부분인듯

  • @mr.philip5163
    @mr.philip51637 ай бұрын

    네 제 얘기입니다 할때 진짜 귀엽네요

  • @user-cb3nz6gr3o
    @user-cb3nz6gr3o7 ай бұрын

    그리고 담배랑 술 사는 사람 좀 젊어 보이면 무조건 하세요~ 거기다 대고 뭐라 하는 손님이 문제니깐 스트레스 받아도 검사하는 게 중요합니다! 정말 간혹 부모한테 걸려서 부모가 편의점 신고하는 경우가 있어서 잘못 걸려서 점주가 손해배상 청구하면 정말 골치 아파집니다~

  • @user-uc8jt6yq5n
    @user-uc8jt6yq5n7 ай бұрын

    진상손님을 도저히 상대 못하겠어서 추가비용은 제가 대신 계산하겠다고 했는데 사장님께서 얘 19살인데 그러고싶냐고 잘라주셨음.. ㅠㅜㅠ❤

  • @mangmul
    @mangmul7 ай бұрын

    난 예전에 손님이 술병 마시다가 남은거 한병 들고 가셨었는데 사장님이 소주 갯수 확인하시더니 한병 더 계산한거 아니냐고 시급에서 까겠다고 뭐라하셔서 억울해갖고 그 테이블 소주 병뚜껑 꼬다리? 다 주워갖고 보여드린 적 있음.. 손님이 드시다가 한병 가져갔다고 했는데 자꾸 시급에서 까겠다고 하니깐 안그래도 힘들어죽겠는데 너무 속상해서 눈물 날뻔..

  • @user-ez3jr9vz8l

    @user-ez3jr9vz8l

    7 ай бұрын

    한병 덜도 아니고 한병을 더 계산한건데 시급에서 대체 왜 까는건지..??? 이러나 저러나 0아니면 +인데 알바시급을 왜까는거임 글이 저만이해안되는건지..

  • @mangmul

    @mangmul

    7 ай бұрын

    @@user-ez3jr9vz8l 덜 계산했든 더 계산했든 실수니깐 알바비에서 까겠다고 하시더라구요.. 솔직히 저도 이해는 안됐어요 ㅋㅋㅋ큐ㅠㅠ 꼬다리 다 주워서 보여드리니깐 와 진짜 독하다면서 다음부터는 손님보고 가져가지 말라고 하고 넘어갔어요..

  • @user-ez3jr9vz8l

    @user-ez3jr9vz8l

    7 ай бұрын

    @@mangmul 진짜 뭣같은 사장이 다있네 무슨 --;;;;; 어휴 ㅋ

  • @Lee_myeong_hun

    @Lee_myeong_hun

    7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내가 글을 잘못읽은줄 ㅋㅋㅋㅋㅋ 더 계산한걸 월급에서 까는거면 보너스 주는건가요? 웃기는 사장이네 ㅋㅋㅋㅋㅋ

  • @user-cw3ew8xi5z
    @user-cw3ew8xi5z7 ай бұрын

    근로계약서 안 써주는 알바직장들 많음. 쓰려고 해도 말 꺼내기조차 분위기가 어려움.

  • @freedomisnotfree5096
    @freedomisnotfree50967 ай бұрын

    손해배상청구까지 하는건 서로 꺼림직해지고 그냥 원만하게 가는게 맞다고 봄 ㅋㅋㅋ

  • @5752380
    @57523807 ай бұрын

    진짜 여기 댓글들 사장들 수준낮네.. 알바생이 지각하면 분단위로 임금에서 차감하고 심하면 주휴수당도 안주면 됩니다. 말 그대로 법대로하세요 그리고 제.발 사장끼리 뭉쳐서 나눈 이야기를 상식이라고 하지마세요... 사장님들 모여서 이야기나누는 커뮤니티가 정말 많은데 그 커뮤에서 서로 응원하고 위로만 받으세요.. 한 사장이 '난 ~이러이러하게 대처했다. 아무문제 없었다 그 알바만 손해다' 이런글 올리면 진짜 그래도되는줄알고 다들 따라해요... 그냥 알바생이 노동청에 신고를 안했을뿐인데; 그러다가 빡쎈 알바만나면 사장이 무조건 집니다. 이길수없어요. 임금을 늦게줘도된다? 지연이자 감당하실거에요? 갑자기 그만뒀다? 법적으로 보장하는 근로자의 권리인데 그 앞에서 본인이 어떤 주장을 하실거에요? 상식? 사장의 입장은 존중하나 법안에 있어야 상식이지 그 외는 그저 본인들의 입장일 뿐이에요. 근로 계약서에 그만두기 2달전에 말해야한다. 이런거 아무런 쓰잘데기 없는 조항이에요.... 본인이 작성한 근로계약서가 법보다 위에 있나요? 사장이라면, 본인이 한 사업체를 운영한다면 당연히 경영과정에서 ㅈ같은 근로자 만나기 마련이에요. 앞으로도 계속 만나겠죠. 근데 그럴때마다 기싸움하고 노동청에 판결문 맞고 뒤늦게 후회하고 스트레스 받을거에요? 그런애들 돈쥐어주고 꺼지라해요 사장이라면 사소한 일에 얽매이지말고 ㅈ같은 인연 빨리 끝내버려요. 솔직히 새로운 직원 뽑기 바쁘잖아요? 언제까지나 애처럼 법앞에서 개인의 기준으로 맞춘 상식을 주장할거면.. 사장 하지마세요. 진짜 최근에 실제로 직접 본 사례 말씀드릴게요. A회사에서 부서변동으로인해 직원을 강제로 해고했는데 이때 합의로 해고위로금을 줬습니다.

  • @user-rq3bm8eg8qkeofjf83iqjsbf

    @user-rq3bm8eg8qkeofjf83iqjsbf

    7 ай бұрын

    이렇게 하면 그 지역에서 다 소문 날듯... ㅋㅋ 절대 취업 못함 ㅋㅋㅋㅋ

  • @user-rh4qy8kn8c

    @user-rh4qy8kn8c

    7 ай бұрын

    ​@@user-rq3bm8eg8qkeofjf83iqjsbf취업 ㅇㅈㄹ 겨우 알바가지고 ㅋㅋ

  • @HellO-hp9dn

    @HellO-hp9dn

    7 ай бұрын

    @@user-rq3bm8eg8qkeofjf83iqjsbf 사람들 사이에서 사업장도 소문 남ㅋㅋ 법 지지리도 안 지키는 ㅈ 같은 사업장이니 가지 말라고 ㅎ 잡플래닛 같은 곳에서 평점 개 꼬라박은 사업장 이직률 얼만 줄 알고?? 사람이 들어와도 금방 나간단 소리는 사업장 곧 망한다는 거임 사장들 착각하는 게 혼자 일하는 1인 사업장 아닌 이상 돈이 아니라 사람을 잡아야 하는데 돈만 보니 법은 개무시하고 살다가 일터지면 사람 잃고 다 잃는 거임

  • @Linedi05

    @Linedi05

    7 ай бұрын

    ​@@user-rh4qy8kn8cㄹㅇㅋㅋ

  • @user-oo3hi6wi1d

    @user-oo3hi6wi1d

    7 ай бұрын

    ​@@user-rq3bm8eg8qkeofjf83iqjsbf뭔ㅋㅋ 알바도 블랙리스트 있냐? ㅋㅋ

  • @koridasiable
    @koridasiable7 ай бұрын

    내 편의점은 출근때 시재확인시키고 퇴근전에도 시재확인 한번더함. 천원단위에서 오만원미만의 시재차이있을때 한번도 너가 매꿔라 한적은없으나 소액의 책임을 스스로 지는건 본인도 책임감에있어 성장하는데 거름이 되어줄것같은데.. 70마넌이면 나도 알바생한테 책임지라 할것같음.

  • @user-cg2yj6be4b
    @user-cg2yj6be4b7 ай бұрын

    근데 진짜 궁금한게 정산할때 비면 채워넣는다 치면 남으면 내가 가져가도 되는거예요?? 그게 이치상 맞는거 아닐까요?

  • @user-bq2jr8py7k
    @user-bq2jr8py7k7 ай бұрын

    돈 메꾸는건 본인의 실수로 인한 죄책감이라기 보단, 500원 ~1000원 때문에 미안해 하는게 싫어서 그런 경우가 대부분이고, 흔하게 발생하는 일은 아니다보니... 그럴수 있다고 생각함

  • @smk9398
    @smk93987 ай бұрын

    더벤티 본사에서 알바들 근로계약서를 일주일에 한번씩 쓰라는 방침을 갖고 있는데 왜그런건지 현행법상 문제되는게 없는건지 궁금합니다

  • @hengbokhagil
    @hengbokhagil7 ай бұрын

    나도 알바하다가 중간정산 안 맞았는데 그때가 알바시작 한지 얼마 안됐을때 초보라 내가 실수했을거다 해서 알바선배?가 나한테 돈 메꾸라고 했었는데...사장님은 너그러우신분이었는데 같이 하는 알바중에 별로인 사람이 많았음... 매번 정산 안 맞으면 내가 실수한거 아니냐고 했음 다시 생각해도 억울하네

  • @user-vp2sm8sx4r
    @user-vp2sm8sx4r7 ай бұрын

    현실적으로 손해를 입혔을 때 월급은 다 주시고 나중에 손해보상 청구하세요 라고 말하면 과연 다음 날 출근할 수 있을까요 ?? ㅋㅋ

  • @HanSHangul
    @HanSHangul7 ай бұрын

    어디서 봤는데(픽션인지 아닌지 모르지만) 변호사의 가족에게 부당대우하고 촛된 악덕업주 이야기도 있더라구요.

  • @194hu
    @194hu7 ай бұрын

    알바 경험이 상당히 많은 사람으로써 얘길 해보자면 메꾸는 게 당연한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였다니 좀 놀랍네요

  • @bielo8013
    @bielo80137 ай бұрын

    벌써 현 시점으로 딱 내년에 수능이네.. 한것도 없이 세월은 참으로 빠르고 20대가 되어가는 구나 하하ㅏㅎ

  • @user-es7xd9wk2f
    @user-es7xd9wk2f7 ай бұрын

    야 인간적으로 시재안맞으면 좀 그시간 알바가 매꿔라좀

  • @user-vb9nt9ez7y
    @user-vb9nt9ez7y7 ай бұрын

    시민이 죽어가도 보고 못받았다고 당당히 다니는데, 도둑 무서워 도망간 알바는 중과실이라네

  •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7 ай бұрын

    시민을 살릴 의무가 있는 경찰이었으면 중과실 맞지만 그런 의무가 없으면 당당히 무죄 맞는데요 혹시 빠가세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알바도 도둑을 제압할 의무가 있는 직위인데 당연히 중과실이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cheese-like33
    @cheese-like337 ай бұрын

    근로계약서에 무었이든 금전적 패널티를 부여하는것이 법적으로 금지되있습니다 손해가 발생했다면 정식으로 손배청구를 해야되요 그리고 카운터 알바생분들은 출근하자마자 현금 확인하고 퇴근할때 한번 확인해서 이상없는지 체크해서 사진으로 남겨야놔야지 증명할수단이 생깁니다

  • @kgloria9334
    @kgloria93347 ай бұрын

    난 시재 그냥 채워넣고 말았는데 몰랐군여

  • @user-ip8ni5mj1t
    @user-ip8ni5mj1t7 ай бұрын

    나도 편의점 알바할때 시재 안맞은적이 몇번 있었는데 부족했던 적은 없었고 항상 돈이 넘쳤는데.. 점주도 이런 사람 처음 본다고 했음..ㅜㅠ

  • @christmassongs9457
    @christmassongs94577 ай бұрын

    근데 지 타임에 현금시재 안 맞는건 당연히 지 잘못 아닌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nbread4955
    @anbread49557 ай бұрын

    고용노동부는 근로자편이에요 근로계약서에 명확히 기재되어 있지않음 근로자편이 이기게 되어있음

  • @lotkyu-731
    @lotkyu-7317 ай бұрын

    알바할때 몇천 몇만 몇백원 잘만 메꾸고 다녔는데 이제 내가 사업주되니까 이런 진실들이 널리 퍼지네 손해보는 느낌이야~~~ 난 그땐그냥 내 시간대에 나온 실수니 내가 내는게 맞지 싶었는데 ㅋㅋ

  • @violoncellolife
    @violoncellolife7 ай бұрын

    약자의 억울한 일은 없게 하자.

  • @kjyrety123
    @kjyrety1237 ай бұрын

    편의점 알바하는데 1시간중에 10분은 휴게시간이라고 1/6은 차감하고 주는거는 합법인가요? 실질적으로 화장실 가는거 길어봐야 6~7시간 근무중에 30분정도인데

  • @hanhwi6043

    @hanhwi6043

    7 ай бұрын

    4시간 일하면 30분 휴식 8시간 이상 근무시 1시간 휴계시간이 있지만 그런식으로 차감하는건 노동부로가시는게 빠를듯

  • @T1_pengu
    @T1_pengu7 ай бұрын

    정산이 잘못돠서 자기 책임 때문에 보다 걍 빨리 퇴근하고 싶어서 채워놓는 경우가 많을듯

  • @user-fi3tx8nn7z
    @user-fi3tx8nn7z7 ай бұрын

    알바할때 돈 안맞다고 채워넣고 교대하는사람 중 늦는사람은 본인 금액에서 벌금비 지출 알바 그만할려해도 사람구해져야한다 및 강제적으로 일시킴 등 존나많았음 특히 시시티비 보면서 계속 지켜보고있어서 많이힘들었음

  • @user-ge5mh8ew8g
    @user-ge5mh8ew8g7 ай бұрын

    시재금은 폰으로 금고안 찍어둬요.

  • @user-pr5xl3bq6k
    @user-pr5xl3bq6k7 ай бұрын

    옛날 맥도날드 매니저님들^^ 급하다고 자고 있는 사람 전화해서 쉬는날인데 대타로 나와달라고 매번 찾고 찾고 휴무날 대타 근무하면 1.5배인 건 아시죠? ^^ 근데 siba 1원도 안주고 얼탱이 없었음. 1.5배 연장 근무 그리고 추가수당 주휴수당 전부 다 챙겨줘야 하는걸 죄다 누락시켜놓고 준다 준다 하던걸 3개월 미루다가 마지막에 주셨죠^^ 진짜 그때 고용노동부 신고해서 확 엎었어야했는데 ㅡㅡ 다들 알바하면서 모르겠다 헷갈린다 이상하다 싶은건 꼭 물어보거나 찾고 자기 권리는 자기 스스로 찾는겁니다. 누가 챙겨주거나 알려주지 않아요 ㅠㅠ 다치면 산재 꼭 받구!!! 알바 말고 ㅈ소 가도 수없이 생기는 일들 넘쳐요... 크랩 아주 칭찬해♡

  • @user-fj3bl3bp8n
    @user-fj3bl3bp8n7 ай бұрын

    작년에 내가 다니는 교회의 후배가 알바한다고 했었음. 뭐든지 경험(실전)이 중요하지만 어설픈 사람은 민폐끼칠 가능성이 높으니까 알바하면 안되는 거임. 알바도 업무연습임. 결론:뭐든지 어설픈 사람은 알바할 때는 물론이고 조별과제나 직장근무할 때도 빌런 될 가능성 높음.

  • @user-sc6ep2os7i
    @user-sc6ep2os7i7 ай бұрын

    저런 사장들좀 법적으로처벌해라 최저안지키는것도 벌금 안준비용의 100배때려버리고

  • @quuu213
    @quuu2137 ай бұрын

    근데 몇만원 정도로 법원다닐것도 아니고 어차피 본인 혼자 일하다 본인이 정산빵꾸낸거면 본인 책임 맞잖음. 현행법만 따지고 앉아있으면 손님 가장해 친구들한테 매장 돈 뗴어먹어도 사장은 할말이 없겠네ㅋㅋㅋㅋ 그냥 조금만 정산 안맞으면 일단 말해보고 지밖에 모른다 싶으면 바로 짜르는게 맞는 듯. 알바수듄ㅋㅋㅋㅋ

  • @Bruce-dt7ej
    @Bruce-dt7ej7 ай бұрын

    알바를 꼭 해야하는데 사장이 최저를 안맞춰준다 근데 이 알바 꼭해야한다 안그럼 나 굶어 죽는다 이런 경우는 사정 괜찮아 질때까지 일단 일하고 그만 둔 다음 노동청에 신고하면 못 받은 돈 전부 받을 수 있음 물론 증거는 있어야함 최저 주휴수당 전부 다

  • @user-ke8pw4kn6q

    @user-ke8pw4kn6q

    7 ай бұрын

    증거 = 본인의 출퇴근 기록 (사진or영상이면 좋음) 일 하고 있을 때 사진 (많을수록 좋음) 사장과의 대화기록 (문자나 카톡같은 메신저) 다른건 몰라도 출퇴근 기록은 사진 영상까지 아니더라도 출퇴근기록 하는 어플 같은거라도 쓰시는게 좋아요.

  • @user-ny3uq3tf2h
    @user-ny3uq3tf2h7 ай бұрын

    먹튀같은 무전취식 범죄가 아닌 이상, 개인의 실수로 인해서 사용자에게 피해를 끼쳤으면 신의칙상 메꾸는 것이 맞다고 봄. 근데 사용자가 좋게 말하지 않고, 인격모독같은 개인의 명예훼손이나 비방같은 경우가 곁들여 진다면 그땐 그냥 배째야지.

  • @user-default-value
    @user-default-value7 ай бұрын

    이런 생활법률 추천!

  • @sinsinboy79
    @sinsinboy797 ай бұрын

    양아치 알바들 이거보고 악용할수있겄네

  • @user-wd9ln6uq9x

    @user-wd9ln6uq9x

    7 ай бұрын

    양아치보다 악덕 사장이 더 많음요

  • @als816e

    @als816e

    3 ай бұрын

    요즘은 지 성격때문에 회사 적응하지 못한 양아치들이 자영업하는 경우가 많아서..

  • @user-go9he2nk8y
    @user-go9he2nk8y7 ай бұрын

    알바하는데 손님이 환불처리해달라는걸 알바생끼리 부담하게 하고 주휴도 없음 ㅋㅋㅋㅋ

  • @ketsokuband
    @ketsokuband7 ай бұрын

    나도 편돌이할때 모자를때 채운적 있긴함 큰돈도아니고 몇백원이고 그거가지고 욕먹느니 걍 채우는게 나은거같음....

  • @sahrahnghahndah
    @sahrahnghahndah7 ай бұрын

    여지껏 불법으로 알바 써온 사장들 다 벌 받아라!!!!

  • @user-nq7gh7id5e
    @user-nq7gh7id5e7 ай бұрын

    토토계산 실수해서 돈 물어줬었는데....안 그래도되는거였구나

  • @GN-dx5lg
    @GN-dx5lg7 ай бұрын

    편의점알바 교대할때 시재 맞추고 교대했었는데 다시 내가 퇴근할때 돈이 안맞으면 내가 실수했을가능성 90퍼센트 이상이니 내돈으로 메꾸고 가는게 맞지

  • @AKLK528
    @AKLK5287 ай бұрын

    사장한테 법대로하라면서 시재금 안채우기가 힘들지..

  • @taijitankor
    @taijitankor7 ай бұрын

    20년전주유소알바할때 빵꾸날때도 내월급으로 메꿨는데

  • @Arunyang999ho
    @Arunyang999ho7 ай бұрын

    저도 대학생때 편의점 알바하다가 돈이 몇천원, 몇백원 비어서 내돈으로 메꿔놓은 경험이 있습니다.

  • @tenkoo3336
    @tenkoo33367 ай бұрын

    70만원이 비면 좀 책임을 져야지..

  • @user-uc1vl4te8l
    @user-uc1vl4te8l7 ай бұрын

    돈이 왔다갔다 하는 계산대에선 정신 똑바로 차려야함. 돈통을 맞겨놨는데 계산이 자꾸 안맞으면 사비 매꾸기나 질책이 없더라도 당신은 믿을수 없는 사람이 되는겁니다. 당신의 능력이든 정직함이든 타인이 판단할때 좋게 볼 요소는 아니죠.

  • @user-tk6te1of3q
    @user-tk6te1of3q7 ай бұрын

    근데 70만원이 비는 경우는 대체 어떻게 전산실수를 했길래 금액이 그런거지...?

  • @user-jf3wd4mu7b
    @user-jf3wd4mu7b6 ай бұрын

    나도 편의점 알바할때 시재점검 할때 100원 200원이 모자른데 요즘은 계좌이체나 카드만 써서 동전이 없어서 어카지 이러면서 고민하다가 다시 새보니까 시재가 딱 맞아서 개다행이었음;;;

  • @5team-pz5xj
    @5team-pz5xj7 ай бұрын

    나도 편의점에서 첫알바할때 몇번 실수해서 3000원? 정도 채워넣은적 있음.

  • @xodnjs36
    @xodnjs367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편의점 사장들이 싫어합니다

  • @user-oe4ue1ou7s
    @user-oe4ue1ou7s7 ай бұрын

    아마 대부분 있을꺼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있음

  • @clement4999
    @clement49997 ай бұрын

    20살에 개인카페 알바 했는데 갑자기 보안유지서약서, 기밀 유출방지계약서 쓰라더라 알고보니까 나 나중에 자를려고 쓰라는 거 였는데 계약서에 싸인 안하고 나가서 다행이지 만약에 계약서 싸인 했으면 나중에 무슨 일 났을때 손해배상 다 해야했는데 요즘 mzmz거리는데 솔직히 말해서 사장님이 악덕인 경우가 더 많은 거 같습니다.

  • @vivian_lob
    @vivian_lob7 ай бұрын

    사장입장에서는 당연할지는 몰라도 알바입장에서는 배려해주는거지 당장 내가 출근 안하겠다면 끝인거임

  • @user-ru4td3fk1m

    @user-ru4td3fk1m

    7 ай бұрын

    그럼 하지마

  • @1bk63

    @1bk63

    7 ай бұрын

    이 짧은 글에서 학력이나 생활수준 , 정치성향 등이 보이네요

  • @user-abc27

    @user-abc27

    7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책임감이 하나도없노

  • @5752380

    @5752380

    7 ай бұрын

    ㅋㅋ부들거리네 사장들 책임감은 돈에서나오는거고 지가 돈벌기싫어서 안나오겠다는데 사장들입장에선 뭐 신경안쓰면 그만임 그리고 이런글에서 무슨 생활수준에 정치성향까지 언급을하냐 진짜 한심하네 게다가 법언급할 필요없음 법적으로 3개월 안에만 지급하면 되는거니까 늦게줘도 상관없다? 지연이자 무시하는거임?ㅋㅋㅋ 알바들이 걸고넘어져서 본인들이 뒤늦게 막 알아보고 노무사상담하고 이러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냥 넘어가주는거지 니들이 3개월 늦게주는게 무슨 권리인줄아냐 지연이자까지 챙겨줄거면 그러던가 게다가 근로계약서에 임금지급일 기록해야하고 그걸 작성안했다면 그건 그것대로 문제인거니 고작 요즘 알바들이 몇십만원에 생계가 위태로울것같냐 오히려 사장입장에서 노동청에 찔리는 순간 머리만 ㅈㄴ아프겠지 팩트는 본댓글은 법적으로 문제없고 실제로도 근로기준법 즉, 법적으로 보호하는 근로자의 권리임. 갑자기 그만둔 알바때문에 피해사실입증하고 소송걸고 그러는게 아닌이상 불가임. 그리고 대부분 승소못하고 근데 니들이 말하는건 다 헛소리지 제때받고싶으면 좋게좋게 나가다니 노동청에 불려가서 판결문 내려받기 싫으면 사장입장에선 개똥같은 알바만나도 그냥 돈주고 빨리 관계를 끝내버리는게 맞는거임 괜히 어린애들 상대로 기싸움하려고 3개월 늦게줘서 계약서위반, 지연이자 토해내면서 싸대기맞지말고; 진짜 사장들 모여있는 카페가면 저런식으로 말하는 멍청이들이 ㅈㄴ많음 거기선 어차피 다 사장이라서 지들끼리 '맞음맞음' 이러면서 법무시하고 노무사 말 무시하고 지들끼리 서로 맞다고 알바생들이랑 기싸움하다가 피보는 애들이 열트럭임 진짜 개한심함. 본인이 사장위치에있다면 그딴 사소한일에 기싸움하지말고 걍 돈주고 꺼지라하는게 내 사업체 운영하는 옳은방법임

  • @5752380

    @5752380

    7 ай бұрын

    진짜 사장이면 사장들이 모여있는 커뮤, 사장끼리 서로 하는말 믿지말고 전문가를 찾던가 아님 문제가 애초에 안생기게 사소한일은 빨리 끝내야함 한명의 멍청한애가 '난 3개월 늦게줬음 아무문제없던데?'이런말하면 다들 그 말 믿고 오 그래도 되는가보구나 이러다가 빡쎈알바 한명 제대로 만나면 그냥 털리는거임 솔직히 대부분의 사장이 오히려 요즘 알바생들보다 학력끈이 짧은데 뭔 학력언급에 정치언급 개 한심함. 이런거보면 아무나 사장하는게 맞는말인것같음

  • @user-ld2rg9nt5z
    @user-ld2rg9nt5z7 ай бұрын

    걍 뭐 이 영상은 자영업자들 다 뒤져라는거네...법대로 하라는건데 그럼 손해배상 청구하면 계속적으로 고용인이랑 피고용인으로 지낼수 있는걸까 ... 이거 기획 한 사람 사회성이 좀 떨어짐

  • @user-ir7nj4om8v

    @user-ir7nj4om8v

    7 ай бұрын

    알바/직원은 죽어도 되고 자영업자는 죽으면 안 되나?

  • @5team-pz5xj

    @5team-pz5xj

    7 ай бұрын

    법대로가 어렵나요? 법은 도덕의 최소한이라고 하는데 그 최소한도 못지키면서 사업은 어떻게 하겠어요.

  • @user-ul9jz6wv3j
    @user-ul9jz6wv3j7 ай бұрын

    본인 계산 실수로 로스났으면 본인이 메꾸는게 상식 아닌가

  • @user-cr6lm5oy5i
    @user-cr6lm5oy5i7 ай бұрын

    알바나 일이없어서 아웃소싱 가시는분들 참고하세요 일구하다보면 여기는 3일이상 일해야 일주일이상일해야 등등 몇일이상 일해야 급여 나온다고하는데 그것도 불법 입니다. 안주면 노동부에 신고하세요 바로처리가능합니다.

  • @user-uf3bz6lq3k
    @user-uf3bz6lq3k7 ай бұрын

    알바해봤을 때 보면 월급에 보증금을 걸거나 최저임금도 못 주는 사장은 가게경영도 못하고 지가 백종원ㆍ은현장이 된 것처럼 꼭 쓸데없는 말이 많고 인생교육이니뭐니 함 임금지불능력없으면서 사장완장질 하고싶은지 웃김 근데 최저임금 이상 주거나 이것저것 잘 챙겨주는 사장님은 가게경영 마인드가 다름 진짜 책임감있고 자기가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여주니까 직원도 열심히하게 됨

  • @user-pu5kr5pe1g
    @user-pu5kr5pe1g7 ай бұрын

    편의점 알바 꽤 오래 했는데 대체 어떤 사장이 전산 미스로 돈이 빈 걸 알바생에게 청구하는지 참나…

  • @user-dy1jj1jf5h

    @user-dy1jj1jf5h

    7 ай бұрын

    그럼 당장 돈 비면 어케 해야 하는 거죠?

  • @ROKMC-dh8eq

    @ROKMC-dh8eq

    7 ай бұрын

    ? 거의 대부분은 알바한테 메꾸라함. 한번도 안해본거같은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jw3gh8xs4m

    @user-jw3gh8xs4m

    7 ай бұрын

    저도 과거에 편의점 알바 오래 했었는데 생각보다 마이너스나면 알바한테 돈 물리는곳 많았고 근로계약서 안쓰는곳, 최저 안주는곳도 많았습니다. 최저주는곳 그나마 두곳정도 봤는데 그중에 한 매장은 최저주는거 생색내고그랬어요. 노동자의 권리로 당연한건데 말이에요😅 또 어디는 최저는 안주면서 14시간이상 뽕 뽑아먹으려고 어떻게든 사람 굴리려는곳도 봤고. 그런데는 오래못함. 저 그만둘때쯤에 다른 알바가 신고넣더라구요 ㅎ..ㅎ

  • @suminlee8660
    @suminlee86607 ай бұрын

    70만원 비는거면 실수가 아니라 횡령있을 것 같은데?ㅋㅋ

  • @user-or5my7wb6k
    @user-or5my7wb6k7 ай бұрын

    시재점검을 교대할때 마다 하는데 본인의 실수로 돈이 빈다면 본인이 넣는게 맞지않을까요?

  • @user-nm8nm3cw5x
    @user-nm8nm3cw5x7 ай бұрын

    회사에서 온라인 교육 안들으면 임금이 삭감된다고 하는데 최저임금만 받고있는 직원한테도 적용이 되나요?

  • @Yk_ko914

    @Yk_ko914

    7 ай бұрын

    이게 무슨말이지?!

  • @user-nm8nm3cw5x

    @user-nm8nm3cw5x

    7 ай бұрын

    @@Yk_ko914 온라인 교육을 안받으면 월급을 50%로 깎겠다는 회사에서 최저임금만 받는 인턴들 월급을 그렇게 할수있냐는 얘기입니다

  • @Yk_ko914

    @Yk_ko914

    7 ай бұрын

    @@user-nm8nm3cw5x 절대 못함. 법적으로도 상식적으로도

  • @user-lh3qn2rr4g

    @user-lh3qn2rr4g

    7 ай бұрын

    안됩니다 기억이 맞으면 한번에 임금 50% 삭감도 안될겁니다 월급 현금으로 주는것도 아닐거고 전산에 기록 다 남기에 어차피 그렇게 못합니다

  • @user-gv6pt6bg6w
    @user-gv6pt6bg6w7 ай бұрын

    근데.. 돈 주고 알바 썼는데 알바가 실수해서 피해가 생기면 메꾸는 게... 당연한 거 아닌가.. 아니라고..?

  • @sylee16
    @sylee167 ай бұрын

    이러니 무인이나 로봇이 유행이지.

  • @user-gl9jo1ud2c
    @user-gl9jo1ud2c7 ай бұрын

    편의점 같은 경우에 출근해서 시재점검 허고 퇴근할때 하는데 이게 안 맞으면 당연히 그 타임에 일한사람 잘못이고 메꿔야 하지 않나 싶네요 하나를 더 찍었건 덜 찍었건 자기 잘못인데.... 이런거 메꾸면서 나는 부당대우 받고 있는거다 생각하면 참... 내가 사업주가 아니라 매번 알바 입장이였지만 자기 실수에 대해서 왜 업주가 변상해 주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정말 성인이 맞나 싶은 내용이네요; 월급 퇴직금 주간수당 같이 당연한 부분도 아니라서 공감이 안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