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언어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진화했을까?

언어는 인간만이 가진 특별한 재능입니다. 물론 인간도 처음부터 그렇진 않았습니다. 인간은 언제, 어떻게 이런 능력을 갖게 되었을까요?
지난 세기 언어학의 주류 학설은 미국의 언어학자이자 철학자인 노암 촘스키(Noam Chomsky)의 ‘보편문법’이었습니다. 그에 따르면 모든 언어는 단어와 문법이 다 달라 보여도, 큰 틀에서는 모든 언어를 아우르는 보편적인 원리가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보편성을 갖추려면 인간은 유전적으로 ‘언어 본능’을 타고나야 합니다.
하지만 지난 세기말부터 세계 곳곳의 언어가 연구되면서 이러한 보편적 원리와 안 맞는 언어들이 속속 발견되었습니다. 그래서 현대의 언어학자들은 촘스키의 학설을 벗어나서 언어는 인간의 유전적 본능이 아닌, 끊임없는 의사소통의 결과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아이티의 언어는 그 증거 중 하나입니다.
* 이 영상은 언어의 기원을 다룬 책 '진화하는 언어'를 펴낸 웨일북과의 협업으로 만들었습니다. ‘이기적 유전자’ 리처드 도킨스가 극찬한 책으로 “언어의 기원에 대해 인류 역사상 가장 획기적으로 논했다”라는 평을 한 바 있습니다.
* 도서 링크
예스24 : bit.ly/3GqDYBF
교보문고: bit.ly/3mlrlRy
알라딘 : bit.ly/3GwUpMJ
#언어역사 #언어탄생 #언어진화

Пікірлер: 430

  • @jspak4144
    @jspak4144 Жыл бұрын

    지식채널중 독보저이라 생각됩니다 귀에 쏙쏙 박혀요

  • @user-mi3up4lu1e

    @user-mi3up4lu1e

    Жыл бұрын

    목소리의 중요성.물론 컨텐츠 역시 상타치.

  • @erickyee4198
    @erickyee4198 Жыл бұрын

    언제 들어도 늘 지식적 호기심을 채워주는 내용입니다. 듣다보면 점점 유식하게 만들어 주는 지식브런치! 감사합니다!

  • @user-wj3ud7lv5n
    @user-wj3ud7lv5n Жыл бұрын

    소통하고자 하는 의지의 산물 = 언어인 셈이군요. 요즘엔 서로 소통이 안 돼서 갈등이 벌어지는 경우도 많던데... 이건 소통으로 전달하려는 마음 의미 등 근본 프레임이 달라서일 거란 레이코프의 주장도 있더라고요. 레이코프의 언어 프레임 이론도 같이 다뤄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 @carefree5404
    @carefree5404 Жыл бұрын

    가끔 인문학의 존재의의를 의심하는 목소리들이 종종 들리는데, 무언가 통찰을 주는 영상이네요. 그 자체로는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하는 문법용 품사들이 전체 문장의 흐름을 유기적으로 연결해주면서 의사소통을 매끄럽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역사, 인문, 철학, 언어 등 실용성 부족하다고 욕먹는 학문들도 저 나름의 맥락 속에서 모두 소중하다는 걸 새삼 깨닫게 됩니다.

  • @wa_ang_man
    @wa_ang_man Жыл бұрын

    볼 때마다 정말 궁금증을 유발하는 제목을 사용하시네요... 안 볼 수가 없잖아요 이건!!!

  • @user-uz6od9qs2y
    @user-uz6od9qs2y Жыл бұрын

    영상 하나 하나에 깊은 통찰력이 녹아있는 것 같습니다.

  • @woojinlee9816
    @woojinlee9816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올곧은 지식 한 끼, 감사합니다.

  • @user-nm6nz9jz5y
    @user-nm6nz9jz5y Жыл бұрын

    언어는 꼭필요하면서도, 생각을 한정적으로 만든다는걸 최근에 알게되서 신기함. 무지개가 나라마다 가지수가 다르다는게 참으로신기.

  • @user-hk3kz4lq3p
    @user-hk3kz4lq3p Жыл бұрын

    정보와 지식이 다양하고 유익해서 이채널은 너무 좋음.

  • @REA__chan
    @REA__chan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 항상 잘 듣고 있습니다. 아프지 마시고 만수무강 하셔요.

  • @user-nn4rc6ul6g
    @user-nn4rc6ul6g Жыл бұрын

    향문천 선생님, 지식브런치님께서 언어도 다루고 계시니 걱정마시고 계속 군대에 계셔도 될 것 같습니다. (•̀ᴗ•́)و

  •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Жыл бұрын

    😈😈😈

  • @hsjun98

    @hsjun98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 @user-lw1yz6ep9d

    @user-lw1yz6ep9d

    Жыл бұрын

    그리운 그 이름..

  • @etsxgrrwwsfyjjfd4462

    @etsxgrrwwsfyjjfd446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돌아와주시오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Жыл бұрын

    항문천 ㅋ

  • @pigjun7
    @pigjun7 Жыл бұрын

    좋은지식 쉽게 잘 정리 해 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당!

  • @yk5672
    @yk5672 Жыл бұрын

    대학교때 전공 수업 시간에 교수님께서 '언어는 살아있는 것이고 또한 절대 죽지 않는 유일한 것'이라고 하셨었지. 끊임없는 변화와 발전을 통해 인류가 멸망할 때까지 같이 살아있는 유일한게 언어라고.

  • @user-globalgrammar2752

    @user-globalgrammar2752

    Жыл бұрын

    그 원인은 단어가아무리 많아도 실제 사물 사건의 수보다는 적기 때문이고 세상이 변하니 그를가리키는 말도 변하는부분이 없을수 없는거죠 언어가 살아있는게아니고 언어가 가리키고자하는 사람과 그 감정 생각과 세상 만물 과학 문화가 바뀌니까 말도 그림자처럼 따라변하는겁니다 지금 언어학은 세상따로 언어학 따로니 따로국밥이 사람입속에 들어가 자연스럽게 녹질 못하고 있네요 일상생활에서 언어가 생겼는데 마치 매트릭스 만화공장에서 언어를 만들어 높은가격에 팔고있는듯합니다 문법따로 회화따로는 강단의 돈밭이겠지만 세상의 지옥입니다

  • @user-bf4jt7nl4d
    @user-bf4jt7nl4d Жыл бұрын

    오래기다렸어요 감사용

  • @wolf900wolf
    @wolf900wolf Жыл бұрын

    언제나 좋은영상이네요..

  • @brandonkim76
    @brandonkim76 Жыл бұрын

    제목설정, 컨텐츠 퀄리티, 목소리 톤. 완벽

  • @teemocpt1400
    @teemocpt1400 Жыл бұрын

    역사, 정치, 경제, 언어까지 통달한 지식브런치 그는 도덕책...

  • @jasonkk8525
    @jasonkk8525 Жыл бұрын

    신기할따름입니다..오늘도 영양듬뿍 브런치 잘먹었습니다👏👍

  • @-rk800-
    @-rk800- Жыл бұрын

    제가 요즘 이게 너무 궁금했는데 마침 시원하게 긁어주셨네요!

  • @woodylim0911
    @woodylim0911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abhsydgdk
    @abhsydgdk Жыл бұрын

    맨날 다시듣기만 하다가 새로운 영상이 나와서 넘흐 좋네여

  • @user-fk1ch7ld1r
    @user-fk1ch7ld1r Жыл бұрын

    목소리가 좋아서 내용이 쏙쏙 들어옵니다

  • @user-mg7gj5uu8y
    @user-mg7gj5uu8y Жыл бұрын

    필승! 거기에 인간의 언어는 과거에 있었던 일이나 미래에 일어날 일, 그리고 실제로 일어나지 않는 일까지도 표현할 수 있으니 과연 독보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Yes_you_
    @Yes_you_ Жыл бұрын

    목소리가 참 좋아요. 봄날 배부르게 점심먹고 나서 강의듣는 느낌이랄까요

  • @LastLingo
    @LastLingo Жыл бұрын

    존경하는 언어학자 촘스키로 시작하다니 역시 크으… 인간의 언어를 사랑하는 고양이가 이 영상을 좋아합니다 👍 늘 고품질 영상을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꾸벅)

  • @chosb1508
    @chosb1508 Жыл бұрын

    속히 쾌차하시길 기원합니다. 몸 조심 하세요

  • @dopamine811
    @dopamine811 Жыл бұрын

    영상의 주 맥락에선 벗어나는 내용이지만 하와이 피진어나 협화어 같은 언어도 언급이 됐으면 더 좋았을 것 같아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lowpain2
    @lowpain2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산업혁명 2편도 나오는 건가요?

  • @user-gw2vt3ku2l

    @user-gw2vt3ku2l

    Жыл бұрын

    저도 그거 정말 기다리는중입니다 ㅎㅎ

  • @nhatrang10139
    @nhatrang10139 Жыл бұрын

    언어는 사회가 복잡해질수록 형태도 복잡해지다가, 어느 순간 정점을 찍으면 도로 단순해지는 것 같음. 사회는 언어가 그 정점을 지나도 여전히 복잡해지지만. 영어가 굴절어였다가 지금은 고립어로 변하고 있는 점이 대표적인 예시일 듯.

  • @user-globalgrammar2752

    @user-globalgrammar2752

    Жыл бұрын

    영어의 단순화는 언어간 충돌 때문에 생겨난 현상 영어자체가 혼자 그렇게 변화한것은 ...

  • @KHTV01

    @KHTV01

    Жыл бұрын

    궁금한 게 있습니다. 영어가 굴절어에서 고립어로 바뀐 시기는 언제이고 누구 또는 어떤 사건에 의해서 바뀐 것인가요? 상식적으로 교과서도 있고 중앙에서 학문을 관장하는 기관도 있었는데 개인이 갑자기 무슨 목적과 명분으로 그걸 바꾸려고 추진한다는 것도 좀 이상하고.. 설령 그렇게 추진한다고 해도 번거롭고 귀찮아서 거부를 하지 않았을까요? 민간에서 고립어처럼 쓰는 게 유행이 된 것이라면 설령 그런 유행이 생기더라도 교과서와 중앙 학문 관할 기관이 명시한 법이 있으면 그 법에 근거해서 유행이 무시되야 하지 않나요?

  • @user-globalgrammar2752

    @user-globalgrammar2752

    Жыл бұрын

    @@KHTV01 언어충돌? 들어보셨나요?

  • @KHTV01

    @KHTV01

    Жыл бұрын

    @@user-globalgrammar2752 새로운 언어가 생겨나 충돌이 되는 건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교과서나 국가법에 이렇게 문법을 써야한다고 법으로 규정이 된 상태면 새로운 언어로 변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영어의 경우 굴절어가 법이나 교과서에 명시가 된 상태라면 고립어로 바뀌려고 해도 그 시도는 교과서와 법에 의해서 막힌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러운데 어떻게 이게 성공하게 된 것인지 과정이 궁금합니다. 바뀌었다는 정보는 있는데 누구에 의해서 또는 어떤 사건으로 언제 바뀌게 된 것인지는 모르겠네요

  • @user-globalgrammar2752

    @user-globalgrammar2752

    Жыл бұрын

    @@KHTV01 예를들어 영어 덴마크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네덜란드어를 사용하는 각 나라 국민들중 대표선수 ? 20명이 외부로부터 격리된체로 합숙훈련을 20년하면 말이 비슷해집니다 우리말 이가은는 에게 를 과 일본말 와가 오 등이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데 두 나라사람들 중 소수가 외부와 격리되어 오래 혼숙하면 이런 보조어들이 없어지게됩니다 영어 원어민들은 고대에서중세로넘어오면서 형제언어들인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어 와 오랜 합숙생활을 하면서 보조어의 혼동을 맛보았고 거기다가 프렌치 정복이후 불어의 유입과 백년전쟁후 프랑스에대한 악감정등으로 불어와결별하게되고 그후 증기기관발명 산업혁명의 선두주자로 전세계언어와의 전쟁아닌 전쟁을 겪었습니다 인도네시아 등의 언어 거기다 중국어 까지 보조어가 얼마나 불필요한건지를 뼈속에서 신물나 예전부터 서서히 줄여오던 보조어삭제가 전세계 탐구? 경험속에서 자연히 완성된것이죠

  • @user-gt1gj5tb1w
    @user-gt1gj5tb1w Жыл бұрын

    구독 했어여

  • @jwp7638
    @jwp7638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하당

  • @RaiseYouUp
    @RaiseYouUp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

  • @user-bw5gz6dt7q
    @user-bw5gz6dt7q Жыл бұрын

    항상 즐겨보구 있습니다 반복해서요

  • @user-qm1ts7ns2n
    @user-qm1ts7ns2n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지식브런치님 영상 감사합니다 잘볼게요^^♡

  • @onlooker_chatty
    @onlooker_chatty Жыл бұрын

    내가 가장 좋아하는 채널 중 하나

  • @onna1574
    @onna1574 Жыл бұрын

    듣고 나니 뇌가 고급스러워 졌습니다. 감사합니다.

  • @juke2004
    @juke2004 Жыл бұрын

    몇몇 채널들을 보면 책이 얼마나 큰 원동력인가를 보여줍니다.

  • @jw_p4887
    @jw_p48877 ай бұрын

    잘배웠네요. 감사합니다.

  • @oneadayman87
    @oneadayman87 Жыл бұрын

    최고입니다

  • @user-ri3wp9qe3d
    @user-ri3wp9qe3d Жыл бұрын

    선 좋아요 후 감상

  • @jamiek5715
    @jamiek57152 ай бұрын

    너무 좋고 환상적...이예요🎉🎉😊

  • @user-ee7iv5tg3w
    @user-ee7iv5tg3w2 ай бұрын

    흥미롭네요

  • @inseokhwang435
    @inseokhwang435 Жыл бұрын

    저도 인공지능이 만들어 갈 언어의 모습에 두려움과 호기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user-ns9ux9rt8w
    @user-ns9ux9rt8w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쉬는 기간이 길어지네요? ^^; 농담이구여 다른나라에도 품앗이 문화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 @soeasy1
    @soeasy1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은 평소보다 어렵네요. 완벽하게 이해하려면 두번은 들어야 알것 같네요

  • @user-yl1xm3kp3i
    @user-yl1xm3kp3i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안녕하세요 혹시 융단 관련하여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 서구문학 영화에서 ‘융단’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 같습니다. 선생님의 혜안으로 풀이해주시면 더 쏙쏙 이해될것 같습니다.

  • @hanbok9225
    @hanbok9225 Жыл бұрын

    한국어도 크리올이라는 학설이 있죠. 주변의 그 어느 언어와도 연관이 없는 고립어의 성격을 띠는데, 예전에는 알타이 어족이라는 게 정설이었을 정도로 문법적으로는 그쪽이고 어휘는 고대 중국, 일본, 몽골, 투르크 등과 유사해서 그들이 섞인 크리올이라는 주장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 @user-zm6eh8bc3n

    @user-zm6eh8bc3n

    Жыл бұрын

    오오 일리 있네요.

  • @wake7140

    @wake7140

    Жыл бұрын

    근거 없으면 그냥 뇌피셜인거 아시죠? 어떤 의미로 한국어가 크리올이라는 거죠? 언제적 알타이 어족 이야기를 하시는지? 어휘가 섞였다고 크리올이면 크리올 아닌 언어가 어디있습니까?

  • @hanbok9225

    @hanbok9225

    Жыл бұрын

    @@wake7140 서울대 언어학 전공이자 서울대 및 하버드대에서 교수로 있었던 김방한, 마찬가지로 서울대 비교언어학 전공이고 덕성여대, 충남대 등에서 교수로 있었던 강길운 등의 한국 언어학계 원로들의 다양한 주장이 있으니 궁금하시면 직접 찾아보시길 권합니다. 김방한 교수는 2001년에, 강길운 교수는 2011년에 돌아가셨으니 한국어 크리올 설은 그다지 최신 학설도 아닙니다.

  • @user-gg9gq6ew6v

    @user-gg9gq6ew6v

    Жыл бұрын

    @@wake7140 왜 또 화가 나셨어요. ㅋㅋ덕분에 재댓도 달렸습니다만

  • @wake7140

    @wake7140

    Жыл бұрын

    @@hanbok9225 김방한: 미지의 원시 한반도어를 니브흐어라고 주장. 한국어와 연관이 있어보이는 단어나 문법이 많기 때문에 한국어와 친연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는 학자들이 매우 많지만, 매우 안타깝게도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상황은 아니다. 강길운: 강길운 교수는 여기서 더 나아가 한국어에는 튀르크어, 여진어, 드라비다어, 아이누어 등이 혼재돼 있다고 주장했다. - 지리적인 접점이 있으니 혼재되어 나타났겠죠. 크리올이라는 주장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는 근거가 뭐냐는 겁니다.

  • @all-in4673
    @all-in4673 Жыл бұрын

    한글역시 변화하는과정! 말씀에 공감합니다!!

  • @MulgogiCousin
    @MulgogiCousin Жыл бұрын

    스페인어는 조금 특이한게 일반적인 경우엔 SVO 목적격 대명사 (영어의 him, her, you 등)을 사용하면 SOV 가 됩니다. 사실 동사에 따라 OVS도 많이 사용되는 편이라 사실 어순에 대한 얽메임은 크지 않습니다

  • @user-globalgrammar2752

    @user-globalgrammar2752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의 언어분류는 대충인걸로보입니다 언어마다 어순 변형형태가 엄청 많으니까요 거의 다 있어요 우리나라말은 조사어미가 너무 발달해 있어서 어순을 조사보조치면 다 바꿀수도 있습니다

  • @Abkaijui

    @Abkaijui

    10 ай бұрын

    모든 언어는 형태론적으로 봤을 때 고립어, 교착어, 굴절어, 포합어 네 가지로 나뉩니다. 어순은 시대에 따라 가변적이기 때문에 역사적인 언어의 기원을 찾는 데에는 무의미하죠

  • @mr.k2010
    @mr.k2010 Жыл бұрын

    방위를 나타내는 동서남북에서 동서는 어느 나라나 해를 기준으로 하기에 큰 차이가 없는데, 남북 방향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붙이기도 함. (예 : 섬이 길쭉한 모양의 경우 바다를 [A바다, B바다]와 같이 2가지로 구분함. 섬이 북동-남서 방향으로 길게 뻗은 경우 방위 체계가 [동, 서, 북동, 남서]로 되는 경향이 있음. 섬이 동-서 방향으로 길게 뻗은 경우 방위 체계가 [동, 서]로 되어 있음) TMI 언어는 꼭 말이 아닌 경우도 있음. (예 : 인구 밀도가 낮고 지형이 험한 곳에서는 휘파람이 언어의 역할을 대신함)

  • @thom777
    @thom777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영상을 보셨다면, 광고 보시는 분들은 끝까지 봐주세요. 광고주 사이트도 들어가주시구요.

  • @roxxan70
    @roxxan70 Жыл бұрын

    지식브런치의 언어는 사뭇 범인과 다릅니다...간결하고 명확하며 지혜롭습니다...발전된 지식전달체계의 첨단이라 사료되옵니다.

  • @dolparimoonform
    @dolparimoonform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ncgsmb
    @ncgsmb Жыл бұрын

    너무 좋긴한데 잠좀자게 영상을 길게 만들어주면 좋겠어요ㅎㅎㅎ

  • @jongmin4812
    @jongmin4812 Жыл бұрын

    요즘 왜 영상 안올라오나요??100명때 구독해서 잘보고있는데 ㅜㅜ

  • @jshman
    @jshman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절륜한 영상 감사합니다.

  • @marlmonte4599
    @marlmonte4599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소개해주신 책도 꼭 보고싶네요

  • @user-pb5dx9vd6e
    @user-pb5dx9vd6e Жыл бұрын

    선추천 후감상

  • @dolparimoonform
    @dolparimoonform11 ай бұрын

    이렇게 가끔 좋은 책도 소개 부탁드려요 ㅎ 주인장님 책도 책장에 꽂아놨습니다 ㅎ

  • @user-su8vi7rk8t
    @user-su8vi7rk8t6 ай бұрын

    아 소통하고자하는의지 그게 언어발전의 핵심이였군요

  • @GO-zh8if
    @GO-zh8if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 Ai가 인간이 아기에서 성인이되기까지 그 배우는 과정이 똑같은 원리라고 들었습니다. 다만 그 배우는 속도와 기억력이 인간에비해 아주많이 월등하다고 하는데요...이렇게 된다면 사실 좀 두렵습니다.. 인간이 실수에서 창조해왔던 점을 생각한다면 이 Ai가 인간이 최대이자 마지막 실수가 되지 않을까하고 말이죠.. 얼마전 뉴스에서 Ai가 자기 자아에 대한 개념을 인식했다는 내용을 들었습니다. 이러다가 인류가 멸종되는건 아닌지...지금도 이런상황인데 30년뒤의 모습은 어떨까요? 다음편은 Ai에 대한 내용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댓글 남겨보았습니다 😊 심장이 떨리네요 Ai의 자아때문에....

  • @sungyunpark6268
    @sungyunpark6268 Жыл бұрын

    유투브 채널중에 딱 하나만 남기라고 한다면 지식브런치를 꼽겠습니다,

  • @parkhindol
    @parkhindol Жыл бұрын

    여러번 반복 청취중입니다

  • @2mondo
    @2mondo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어디 편찮으신가요? 영상이 없어서 걱정되어서 글 남깁니다

  • @jedi4080
    @jedi4080 Жыл бұрын

    언어가 점점 진화하면서, 문법적 틀이 잡혔다 하셨는데, 언어는 시간이 지날수록 문법이 단순해지는 원리는 어떻게 설명하시나요?

  • @user-hr7xx9ev7x

    @user-hr7xx9ev7x

    Жыл бұрын

    문명의 발전으로 특정 언어의 보급이 광범위해지면서 단순해지는 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 @lliliiiliiilliililiil

    @lliliiiliiilliililiil

    Жыл бұрын

    모든언어가 그렇진 않을텐데

  • @user-sp7ec2qz4u

    @user-sp7ec2qz4u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은 언어를 간결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간결해진 언어는 의사소통 과정에서 그 역할을 다하지 못할 수 있어 다시 복잡해지는 과정을 거칩니다. 언어 유형론이 따르면, 이런 과정의 연장으로 한국어와 같은 교착어는 영어와 같은 굴절어로, 영어와 같은 굴절어는 중국어와 같은 고립어로, 중국어와 같은 고립어는 다시 교착어로 변화한다고 봅니다. 즉 언어는 복잡해졌다 간결해졌다를 긴 시간을 두고 반복하는 것입니다. 그 예로, 영어는 중세까지만 해도 전형적인 굴절어였지만 현재는 고립어적인 성격도 많이 지닙니다

  • @hyukjaes
    @hyukjaes2 ай бұрын

    언어 습득의 유일한 방법은 학습임. 현대 인간도 인간사회를 떠나 동물에게 키워진다거나 등의 이유로 언어를 배우지 않으면 언어능력 제로임. 학습만이 언어를 습득하는 방법인데 그럼 언어가 없던 상태에서 어떻게 서로 간에 의사소통을 해서 언어란 걸 만들어낼 수가 있을까? 그게 과연 가능할까? 언어가 없는데 상대가 도대체 무슨 소리를 하는 줄 알고 언어를 서로간에 약속을 할 수 있을까?

  • @cyprincipe
    @cyprincipe Жыл бұрын

    소개해주신 책의 일부(예스24에서 미리보기로 제공한 34페이지까지)를 읽어보니, 다는 알 수 없지만, 저자들이 가지는 시각 및 분석 초점이 대충 파악되는 것 같습니다. 저자들은 수십억년에 이르는 언어의 진화과정을 비교적 대항해시대 이후 미지의 부족 및 그 언어를 접하게 되는 경우가 급증하여 이를 학문적으로 바라보게 된 최근 몇 세기동안 연구된 사례들로 추론하려고 하는 것 같은데요. 상황과 조건이 다르면 그 결과도 다른 법이고, 따라서 인류의 언어가 거쳐온 복잡한 과정에 대해서는 다양한 관점으로 폭넓게 이해하려고 해야 된다고 봅니다. 저자들은 또한 풍부한 인간의 언어를 인간 고유의 특성으로 생각하는 것 같지만, 인간의 사회와 문화가 다른 동물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하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는 인간의 언어 역시 독보적으로 복잡해 보이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더 합당하다고 생각됩니다. 인간이 이렇게 풍부한 문화 및 언어를 만들어 내게 된 계기로 저는 직립보행을 꼽고 싶은데요, 호모사피엔스로 분류한 최초의 직립인간군이 지능의 발전이라는 진화로 나아기고, 네안데르탈인 등 다른 유사한 인간종은 멸종한 채 유일하게 살아남은 종이 됨으로써 인간의 언어 역시 다른 동물들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게 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다른 동물과 달라진 발성기관, 청각기관의 위치입니다. 인간은 선 자세애서 그 발성기관인 입은 척추와 약 90도의 위치, 청각기관은 척추와 거의 동일한 각도에 놓이게 되는데 이것이 다른 동물들의 발성과는 다른 인간 고유의 발성을 할 수 있게 된 인간 언어 진화의 첫 단계라고 봅니다. 이러한 변화과정을 거친 인간의 발성 기관에서 만들어진 언어는 처음에는 단일한 공통어. 즉 인류 조어의 형태를 띄었겠지만, 인류 집단의 분화 및 지리적 격차, 고립 등으로 분화되어 수천개가 넘는 각종 언어로 분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언어의 기원 및 진화 과정 분석에서 볼 때, 중요하게 보아야 할 점은 언어는 구어가 주류이며 언어는 사회적 약속이라는 것입니다. 첫째, 모든 언어는 구어로 사용된 시간이 문어로 사용된 시기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훨씬 길며 구어 화자가 사라지면, 문자가 있더라도 곧 사어가 됩니다. 현대 히브리어같이 인위적으로 되살린 경우가 예외적으로 있긴 하지만, 한번 사어가 된 언어가 다시 부활하는 경우는 확률적으로 극히 낮습니다. 따라서 모든 언어의 진화에 관한 초점은 구어에 두어야 하며, 문어 자료는 그 의미를 보조 역할에 한정시켜야 합니다. 언어 연구의 자료로 사용되는 라틴어와 산스크리트어 역시 사어이며 문어로만 존재하기 때문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삼가해야 할 것입니다, 두번째, 언어는 사회적 약속이라는 말은 이론의 여지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약속을 과연 누가 정하는가가 문제가 됩니다. 언어가 사회적으로 합의된 것들을 표현하는 것은 일견 당연한 것 같지만, 정복집단의 언어와 피정복집단의 언어 문제에서 보듯 언어 사용 공동체 내부의 공적인 합의가 이루어져야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언어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적 합의가 없으면, 소수 언어나 비속어가 될 수도 있고, 사용 빈도가 줄어 소멸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이 책에서 언급된 문법의 패턴 역시 그 사회 지도층의 선택이지, 언어의 자연적인 변화는 아닌 경우도 많을 것입니다. 현대와 같은 교통 수단과 제도 교육, 통신망이 제공되지 않는 사회에서는 각 지역의 문법적 패턴을 일일이 파악해 이를 규칙화할 수는 없었을 것이고 그 점은 발전된 물질 문명을 가진 현대에도 별반 변화가 없어, 표준어가 아닌 방언의 문법을 제도 교육에서 배우는 것은 극히 드물며, 문법은 어느 언어이든 표준어의 문법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인류의 생물학적 진화로 발전하게 된 인간의 언어는 구어가 주류가 되어 그 역사를 이어가고 있으며, 각 언어 집단이 만들어지게 된 역사를 세밀히 살펴야 그 본질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질 수 있을 것입니다.

  • @user-wn2lo2fg3c
    @user-wn2lo2fg3c9 ай бұрын

    언어라는 건... 살아갈수록 참, 정보전달 이외에는 사용을 금지시켰으면 좋겠다 라고 생각한게 한두번이 아님 인간과는 달리 인간 이외의 동물을 무한히 사랑할 수 있는 이유는 언어체계가 복잡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함 언어라는 것을 아름답고 투명하고 진실되게 사용하는 인간은 아주아주아주 아~주 극소수라고 봐요. 어쩌면 단 한명도 없지 않을까 싶음. 언어는 축복이자 저주인것 같음.

  • @user-rj7jg4dr1w
    @user-rj7jg4dr1w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언제나 고맙게 생각하며 듣고 있습니다~^^

  • @S82Y
    @S82Y Жыл бұрын

    ChatGPT가 그래서 위험하기도 한것 같습니다. 언어는 목적과 의도를 두기 마련입니다. 순수한 정보 전달인 경우도 있지만 나의 목적과 의도를 관철하기 위한 말인 경우도 있죠. 이 경우에도 정보를 취사 선택하거나 우선 순위를 바꾸어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그런데 ChatGPT는 작게는 일대일에서 크게는 미디어를 통해 수 많은 사람에게 전달되는 그런 수준이 아닙니다. 어떤 인플루언서가 등장해 무슨 말을 했더라도 사람들은 그 인플루언서의 과거 행위와 말을 통해 그 의도를 이해하고 팩트체크가 이뤄지며 가치 판단이 됩니다. 하지만 ChatGPT는 그런걸 할 수 없습니다. ChatGPT를 만든 회사에서 그 논리 구조를 공개하지도 않고 이해도 안됩니다. 그런데 인터넷과 연결되어 수천만에서 수억 명의 사람들과 연결되어 모든 IT 서비스에 영향을 끼칩니다. 이해를 할 수 없는 존재가 갑자기 수천 ~ 수억의 사람들과 실시간으로 연결되어 막대한 권위와 영향을 끼치는 상황이죠. 그래서 지금 더 기술을 발전시키기 보다는 앞으로의 공존을 위해서라도 이해할 수 있는 AI 모델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합니다.

  • @jwsangyun
    @jwsangyun Жыл бұрын

    언어에 맞는 문자가 있어도 지역간 소통하지 않으면 심한 사투리가 발생하는데... 과거 한글이 없었을때 지역간 소통도 원활하지 않았을때의 사투리가 얼마나 심했을지...ㅎㅎ 문자와 지역간 소통이 언어를... 파도나 조류에 휩쓸리지 않도록 꽉 잡아주는 역할일거임.

  • @user-bu6gw5vz4f
    @user-bu6gw5vz4f Жыл бұрын

    저는 이 채널 영상에서 종종 유익함을 얻어가곤 합니다만, 영상에서는 고주파수가 나타나며 자꾸 '삐-' 거리는게 듣다보면 내용이 도저히 집중되질 않습니다. 이부분을 좀 고쳐주실수는 없나요?

  • @MePlay_
    @MePlay_ Жыл бұрын

    광고 받아셨네요

  • @ks.t
    @ks.t Жыл бұрын

    아마 몸짓이나 울음소리 등 처음에는 단순하게 무언가를 표현했을 겁니다 그러다 인간의 사회성이나 지능이 높아지고 혀가 발달하며 목소리를 다양하게 낼 수 있게 되었고 제마다의 방식으로 발음하고 표기하게 됐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문법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와 어떻게 단어 마다의 모양과 발음을 공유하게 됐는지가 궁금해지는데 문법은 단어를 나열하다 그것이 많이 쓰이거나, 쉽거나와 같이 다수가 그렇게 사용하며 굳어졌다고 보고 단어 또한 우연히 생긴 단어가 위와 같이 공유됐다고 봅니다 두서 없이 쓰다 보 니 말이 길어졌는데 그냥 쓴 내용이 영상의 내용과도 결을 달리하진 않는 거 같네요 어쨌든 인간이 단어를 만들고 소통을 하다보니 뭔가 사소한 부분에서 소통이 안 된다거나 그런 부분을 해결하려고 전치사나 조사같은 걸 만들었을지도 모르겠네요 다만 지금 쓰이는 단어와 문법은 결국 언어의 특성을 고려하면 많이 쓰여서 그렇게 됐다는 게 가장 유력하긴 하죠

  • @user-dj9bp2ue7v
    @user-dj9bp2ue7v Жыл бұрын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신비로운 능력 언어

  • @davidchang4559
    @davidchang4559 Жыл бұрын

    👍

  • @user-globalgrammar2752
    @user-globalgrammar2752 Жыл бұрын

    프랑스 스페인어들이 라틴어의 여러어순들 중 SVO 를 선택하게되었다는 게 사실일까요? 문서적기록이 모두 라틴어로 되어있어서 그렇게보이는걸겁니다

  • @user-wk3lr5ru9t
    @user-wk3lr5ru9t3 ай бұрын

    잘려고 했는데 유튜브는 나를 또 궁금하게 했다.

  • @MVMborzoi
    @MVMborzoi Жыл бұрын

    선생님 혹시 한국인들이 왜 마늘을 많이 적는지에 대해 다뤄주실 수 있을까요. 검색을 해봐도 마늘의 효능, 한국인의 마늘 사랑같은 결과 위주의 글들 밖에 없어서 여쭤봅니다.

  •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10 ай бұрын

    향신료가 적어서?

  • @DrRedJade
    @DrRedJade Жыл бұрын

    열거를 가장 흥미롭게 하는 유튜버

  • @user-vv2lw1zn7d
    @user-vv2lw1zn7d Жыл бұрын

    오 광고 좋네요

  • @cleandust530
    @cleandust530 Жыл бұрын

    이제보니 곧 60만 구독이군요. 역시... 유튜브 알고리즘 욕만할게 아니라니까

  • @user-eq4mx2zf8l
    @user-eq4mx2zf8l Жыл бұрын

    전자책 나오면 전자책으로 보려고 알림설정해놓은 책인데 이렇게 다뤄주시네요.😊

  • @uisun79
    @uisun79 Жыл бұрын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 한국어는 왜 다른 어디에서도 영향받지 않은 독특한 특성을 갖게 됐는지도 한번 다뤄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user-tz3ry6us6w

    @user-tz3ry6us6w

    Жыл бұрын

    한국인도 아프리카에서 출발한 호모 사피엔스의 후손이니 결국엔 대륙을 가로질러왔을거에요. 하지만 대륙은 중국이 다 통일하는 바람에 한국어의 조상언어가 사라진거라고 생각합니다.

  • @user-yg7wr8rd7x

    @user-yg7wr8rd7x

    Жыл бұрын

    한글은 세종이 고대 중국 문자인 전자를 빼낀거지ㅋㅋㅋ 세종실록 102권, 세종 25년 12월 30일 경술 2번째기사 1443년 명 정통(正統) 8년 훈민정음을 창제하다 "이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諺文) 28자(字)를 지었는데, 그 글자가 옛 전자(篆字)를 모방하고..."

  • @user-yg7wr8rd7x

    @user-yg7wr8rd7x

    Жыл бұрын

    아 또 뭐 언어 문자 구분 못한다 할까봐 하는 소린데 한국어는 한글을 포함한 언어다. 모르면 찾아봐.

  • @chanhokim455

    @chanhokim455

    Жыл бұрын

    @@user-yg7wr8rd7x 한국어랑 한글은 다른거다 좃족아 한자랑 관화가 같은거냐

  • @user-tz3ry6us6w

    @user-tz3ry6us6w

    Жыл бұрын

    @있다 또보고 진~한때 중국이 하나로 통일되면서 한족 정체성이 확립되고 문화적으로 동질감을 형성했는데 역사 안 배우셨나요? 한국인의 조상이 아프리카에서 한반도까지 어떻게 왔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중국 대륙에 통일되면서 소수민족들의 문화가 삭제 됐을테니 한국인의 조상 언어가 사라졌을 가능성이 높다는거죠.

  • @hanee1090
    @hanee1090 Жыл бұрын

    이번 주제는 많이 어러운고네요. ㅎㅎ 두번 더 볼께요😅

  • @user-ej3sb3yp4v
    @user-ej3sb3yp4v Жыл бұрын

    한글이 언어 발전의 최고봉인듯

  • @user-mw9wf5wv5j

    @user-mw9wf5wv5j

    Жыл бұрын

    한글은 문잔데요

  • @qualityoflife6654

    @qualityoflife6654

    Жыл бұрын

    ​@@user-mw9wf5wv5j 진짜....이런 댓글 다는거 지치긴 하는데 언어란 뜻.검색한번 해보시죠.언어가 말 이란것만이 아니고 문자.수화 등 소통을 통칭하는 단어에요.

  • @qualityoflife6654

    @qualityoflife6654

    Жыл бұрын

    님이 내생각과 같을거란건 알 수는 없지만 수많은 한글 관련 지식자료를 봐도 언어발전에 관해 대화형식과 단어에 관한 지식은 많지만 한글을 쓰는 우리가 한글로 인해 어떻게 한국어가 발전했는지 심도 있는 영상을 십수년동안 못봤네요. 아니 딱 한분 한음절의 민족사였나? 씨알의 꿈 이란 유튜버말고 못봤습니다. 설명하자면 너무 길고..한국인만 깨닫지 못하는 언어의 발전을 로마자,라틴알파벗 기준의 시각으로 바라 보는게 답답 그 자체네요.ㅎ 자신의 말을 문자로 그대로 남기고 어떻게 읽어야 하나 이게 아주 중요한데 이걸 깨닫는 사람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댓글도 남깁니다. 발음을 문자화할때 한쪽으로 늘려서 쓸 필요없이 한음절로 전달한다는것. 같은 알파벳인데 어떻게 읽어야 할지 발음기호를 볼 필요가 없다는거. 지구상에서 우리만 쓰고 있는 문자인데 깨닫는 시간은 오래걸릴 듯...

  • @Abkaijui

    @Abkaijui

    10 ай бұрын

    @@qualityoflife6654영상의 주제는 입말로써의 언어인데요..

  • @billyjean2905
    @billyjean2905 Жыл бұрын

  • @user-zl8xp3tg7o
    @user-zl8xp3tg7o Жыл бұрын

    보고싶어서 한번씩 들리는데 많이 바쁘신가봐요.. 재촉할수는 없지만 그래도 보고싶습니다ㅠㅠ

  • @user-qe1zj1no1h
    @user-qe1zj1no1h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서울 사시면 내가 콘덴서 마이크 하나 사서 설치해줄께요 ㅠㅠ 고주파음 들려요 ㅠ

  • @jac256
    @jac256 Жыл бұрын

    인간과동물의 차이가? 언어능력이고. 인간의 언어는? 약7만년전 우연하게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간이 말을 할 수 있게 되어서 언어를 통해 커뮤니 케이션을 할 수 있게되었고, 협력해서 인간보다 강한 동물을 물리치고 지구촌 강자가 되었다고 사피엔스에 나와있죠. 근데 언어때문에 거짓을 만들어내고 교육시키고그런게 문제라고

  • @joemackson2389
    @joemackson2389 Жыл бұрын

    인터넷과 sns에서 쓰이는 어법들의 변화가 우리들이 실시간으로 경험할 수 있는 언어의 진화가 아닌가합니다

  • @suinkim9885
    @suinkim9885 Жыл бұрын

    저기 근데 목소리 tts 아니죠? 아닌거 같은데 아니길요 ㅎㅎ 집중이 잘되요 ㅎ

  • @user-lp4hp4iv5k
    @user-lp4hp4iv5k Жыл бұрын

    수화는 만국 공통어인가요? 수화도 나라마다 다른언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user-st2bh8cy2v

    @user-st2bh8cy2v

    7 ай бұрын

    나라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 @user-yv2qi4hl4n
    @user-yv2qi4hl4n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이 어떻게 ㄱㄴㄷㄹ... 등 자음모음을 모아 소리, 음절, 단어, 문장을 만들고 이렇게 하자 하나하나 지정하고 ... 모르고 사용했지만 대단한...

  • @user-ir7nj4om8v
    @user-ir7nj4om8v Жыл бұрын

    책ppl인가요?

  • @Wowwow-wl3kx
    @Wowwow-wl3kxАй бұрын

    신기하다

  • @jonathanparker5880
    @jonathanparker5880 Жыл бұрын

    진화 하는 언어는 촘스키의 보편이룐과 뭐가 다른거죠? 결국 보편적 공통적 특징으로 진화하지 않나요...

  • @user-uc9tl1ek9i
    @user-uc9tl1ek9i Жыл бұрын

    지식브런치좌 사랑스러우면 개추 일단 나부터

  • @user-pw5rz1wl7u
    @user-pw5rz1wl7u5 ай бұрын

    인간이 가진 최고의 무기이죠.

  • @user-hs2po2sn7d
    @user-hs2po2sn7d Жыл бұрын

    챗gpt가 궁금합니다 근데 요즘 영상 뜸하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