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우주에서 얼마나 강력한 문명일까? 전 우주 문명을 분류하는 카르다쇼프 척도!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우주에는 수없이 많은 은하와 별들이 있다. 관측 가능한 우주에만 1700억 개의 은하들이 있고 우리 은하에만 4000억개가 넘는 별이 있다.
우주 전체를 놓고 본다면 외계 문명은 정말 무수히 많을 텐데 이걸 어떻게 다 분류할까? 러시아의 물리학자 니콜라이 카르다쇼프는 '카르다쇼프 척도'로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한다면 문명의 수준을 나눌 수 있다고 주장했다.
참고 자료 및 문헌 정보
www.coseti.org/lemarch1.htm
Detectability of Extraterrestrial Technological Activities
by Guillermo A. Lemarchand
Kardashev, Nikolai (1964).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y Extraterrestrial Civilizations”
《Soviet Astronomy》 8: 217.

Пікірлер: 3 100

  • @help_you
    @help_you Жыл бұрын

    겁나... 스트레스 받거나 외로울 때 우주사진을 보면 초월적인 위로가 느껴진다.. 나만 그런가

  • @help_you

    @help_you

    Жыл бұрын

    🙏

  • @user-vr4xy9nu1s

    @user-vr4xy9nu1s

    Жыл бұрын

    같이 느낍시다 부엉이 형제여

  • @doit_

    @doit_

    Жыл бұрын

    🙏🏻붱붱

  • @help_you

    @help_you

    Жыл бұрын

    @@user-vr4xy9nu1s 고맙소 형제여..

  • @help_you

    @help_you

    Жыл бұрын

    @@doit_ 붱붱ㅠㅠ..

  • @madeun
    @madeun Жыл бұрын

    인터스텔라를 되돌아 보면서 듄 파트1의 리뷰와 파트2에 대한 프리뷰 영상 잘 봤습니다. 역시 과학유튜버 인줄 알았는데 진골 영화 유튜버셨군요

  • @user-tr6pu6nq8l
    @user-tr6pu6nq8l Жыл бұрын

    이분은 묘하게 목소리가 듣기 좋습니다 듣는동안 편안히 시청합니다 목소리도 좋은편이 아닌데 말이죠 너무 잘설명해줍니다 ㅋㅋㅋㅋㅋㅋㅋ

  • @FireFist-
    @FireFist- Жыл бұрын

    덕분에 우주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rr4px2in2m

    @user-rr4px2in2m

    Жыл бұрын

    외계인 만나는 순간 예수쟁이들 멘붕오는거지 교황청 사라지고 ㅋㅋㅋㅋㅋ

  • @Lee_Yuil

    @Lee_Yuil

    10 ай бұрын

    @@user-rr4px2in2m예수쟁이한테 맞고다님?

  • @user-bg5cj9pp9c

    @user-bg5cj9pp9c

    9 ай бұрын

    ​@@user-rr4px2in2m 애냐? 요즘 누가 그런 생각을 하냐

  • @user-rr4px2in2m

    @user-rr4px2in2m

    9 ай бұрын

    @@user-bg5cj9pp9c 뭐라노 그럼 이 땅에만 생명을 민들었다고 나오는데 성경 개구라 밝혀지는데도 믿을라고?

  • @user-bg5cj9pp9c

    @user-bg5cj9pp9c

    9 ай бұрын

    @@user-rr4px2in2m 개구라인거 알면 안믿냐? 무식아 종교적으로 그냥 그렇다 생각하는거지 무식아 그럼 우리나라 사람은 곰이 100일동안 쑥과 마늘 먹고 사람이 됐다고 믿냐? 그거 안믿으면 한국사람 아니고? 생각이란걸 하고 살아라

  • @mxmb0514
    @mxmb051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정보집약적인데도 전혀 지루하지않다니. 역시 최고에요 좋아요 누르고 갑니당!

  • @yaba3000

    @yaba3000

    Жыл бұрын

    @@ForthePeaceoftheWorld 그게 무슨 말이죠 저도 어릴 때부터 과학에서도 우주파트 제일 좋아하고 지금도 좋아하는데.. 성별과는 큰 관련이 없는듯 합니다😅 제가 너무 진지했다면 죄송 ㅎㅎ

  • @user-ov2kz1ty6m

    @user-ov2kz1ty6m

    17 күн бұрын

    님 댓글보고 느꼈는데요. 같은 정보라도 받아들이는 사람 입장에 따라 천지차이라는걸ㅎ 저 내용들이 학생들이 시험대비 외워야하는것들이라면 과연 지루하지않고 재밌었을까 그런 생각을 해봤네요ㅎ

  • @user-fs8sc2el6o
    @user-fs8sc2el6o Жыл бұрын

    와 이것저것 짜집기를 했다고 해도 영상미가 대단하네 중간중간 알고있는 영상들이 있으니 더욱 집중하게 되고.. 천문학 입문하기엔 최고의 영상 내용도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고 딱 흥미로울 주제를 잘 찾아내기도 하고 이런 영상들을 보고 흥미를 가져 우주천체물리학이라던지 관련 전공자가 생겨서 나중에 더욱 학문이 발달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면 유튜버하는 보람을 느끼겠다 영상 진짜 잘봤습니다

  • @JunLivePension
    @JunLivePension Жыл бұрын

    자료가 엄청나네요. 볼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 @leedaq7767
    @leedaq7767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고 즐겁운 내용입니다 상상만해도 흥분됩니다

  • @user-cp1pu3vb3y
    @user-cp1pu3vb3y Жыл бұрын

    내가 살면서 가장 아쉬운 것 중에 하나는 우주의 수없이 많을 생명체, 혹은 문화들 중에 단 하나도 알지 못하고 죽을 확률이 매우 높다는 사실

  • @baeibi

    @baeibi

    7 күн бұрын

    다음 생에는 알 수도 있으니까 너무 상심하진 마.. 안 된다면 그 다음 생에는..

  • @sbecaus7463
    @sbecaus7463 Жыл бұрын

    부엉이형 전달력도 좋고, 컨텐츠도 정말좋네요 ㅋㅋ 형 덕분에 과학이 좋아지고 재밌어졌어요

  • @3mark417

    @3mark417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 이과선생님. 효기심 문과선생님. ㅋㅋㅋㅋㅋㅋㅋㅋ

  • @perising

    @perising

    Жыл бұрын

    이름부터 웃김 부엉이가 뭐야 ㅋㅋㅋㅋㅋ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떠나는 왕눈이밤새

  • @sumrini

    @sumrini

    Жыл бұрын

    저 바위로 가자

  • @user-dv2pd1uj4z
    @user-dv2pd1uj4z Жыл бұрын

    저한테는 이 영상이 외계인과 문명, 있다고 가정 예측 예지 과학적이게 논리와 함께 예상 과 해석들 대해서 잘 정리했고 영상 자체도 재미있고 뭔가 잘 말이되고 잘 몰입되고 여러모로 좋은 영상이며 풀어지는 식으로 탄탄하며 유익하네요 정말로요 앞으로 더 잘 되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이런거 연구하는 직업이 뭔지도 그 종류들이 과학자들 말고도 있는지 궁금하고요 그리고 영상 감사하고 늘상 응원합니다 힘내세요 힘들더라도 포기하지 마세요 참된 행복한 좋은 하루들 잘 되세요 그리고 저게 정말 사실이면... 정말 그 막대함, 거대함 큰 그런 방대함을 가히 감을 쉽게 잡기가 정말 최소한 이라도 노력도 같이 계속 한다면 가능하긴 해도 어렵고 받아드리고 알고는 있다만 인식의 힘듬과 함께 동시에 인간은 아직 아득히 멀고 먼, 그리고 알수없는 상상도 못한 문명들 그것에 대해서 숨이 턱 막힐 그 정도로 압도적인 면들도 느낄듯해요 압박감 압력들과 함께 엄청난 문명들에 대해서 마치 북한이 진실을 언젠가 알게될거보다 훨씬 더 넘어 나아가서 많이 소름돋고 여러모로 깨닫고 새롭게 알고, 또 거듭해서 알게되고 곧 그리고 그것을 우리들은 실행, 이행 실현들을 잘 해야하고 알아야 할듯요 그리고 그렇게 따지면 인간은 아직 어둡게 되게 멀었네요 아주요...

  • @user-dv2pd1uj4z

    @user-dv2pd1uj4z

    Жыл бұрын

    생각보다요

  • @user-gs2ph7uh8x

    @user-gs2ph7uh8x

    10 ай бұрын

    😮

  • @user-pz1ee1yj4q

    @user-pz1ee1yj4q

    4 ай бұрын

    아 길어~ 하암~~

  • @user-dv2pd1uj4z

    @user-dv2pd1uj4z

    4 ай бұрын

    @@user-pz1ee1yj4q ㅎㅎ...

  • @stock-us9234
    @stock-us9234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방문합니다.... 수면 성공률 100%를 자랑하는 리뷰엉이님 감사합니다. 영상 보기 전에 댓글 작성하는데 이번만큼은 영상 풀로 다보고 자보도록 할게요😊

  • @amiokay3794
    @amiokay3794 Жыл бұрын

    이제는 완벽한 과학유튜버가 되어버린 리뷰엉이

  • @user-bf2iw1vl1w

    @user-bf2iw1vl1w

    Жыл бұрын

    과학고 나왔을듯

  • @Opheliabuckingham

    @Opheliabuckingham

    Жыл бұрын

    "이제는" ....?

  • @skfogkwp

    @skfogkwp

    Жыл бұрын

    @@Opheliabuckingham 원래는 영화리뷰 유튜버였습니다... 언제부터 바뀐건지...

  • @user-it2jq8yo1s

    @user-it2jq8yo1s

    Жыл бұрын

    @@skfogkwp 인터스텔라..

  • @Korean5678

    @Korean5678

    Жыл бұрын

    개씹노잼 뇌절 드립좀 그만해라

  • @user-fc8lq5uk2p
    @user-fc8lq5uk2p Жыл бұрын

    영상 맨마지막 부분에 지극히 공감합니다! 에너지 사용량이 많을 수록 발달한 문명일 가능성이 높겠지만 무조건 높다고해서 높은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네요. 에너지 효율이 너무 높으면 그만큼 적게 만들고 에너지를 뽑아낸다면 더 높은 문명일테니까요. 정말 알차게 공부했습니다. 과학유튜버 리뷰엉이님

  • @user-pp4vn6tu4n

    @user-pp4vn6tu4n

    Жыл бұрын

    근데 에너지 효율이 엄청 높아도 100%이상이 될 순 없다고 본다면 지금과 그렇게 큰 차이는 아니지 않을까요?

  • @infrared_

    @infrared_

    Жыл бұрын

    @@user-pp4vn6tu4n 에너지 효율은 열역학 제 2법칙에 따라 100%에 도달하는 것 부터가 불가능함.

  • @user-LGtwins0827

    @user-LGtwins0827

    Жыл бұрын

    에너지효율이 높는게 극으로 가면 석유 10g으로도 서울서 부산가고 100%일때 1g 으로 서울서 부산간다고 해요. 차이 많죠.

  • @user-vc2df4xo9m

    @user-vc2df4xo9m

    3 күн бұрын

    ​@@user-LGtwins082710ml 1ml로 어케가요 애바임

  • @user-corja
    @user-corja Жыл бұрын

    진짜 시간가는줄 모르고 보게되네요 꿀잼채널..

  • @user-oj8en4gp8h
    @user-oj8en4gp8h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고 흥미로워요😚👍👍👍

  • @user-hn4yv9tb1c
    @user-hn4yv9tb1c Жыл бұрын

    리뷰엉님 자료들은 항상 재밌고 귀에 팍팍들어오는 감미로운 목소리 게다가 대단한 천문학지식까지 어우러져있으니 최고십니다. 항상다음영상 매시간마다 확인할정도로 흥미롭습니다. 리뷰엉님 짱!

  • @jerbil6855

    @jerbil6855

    Жыл бұрын

    ㅇㅈ 목소리랑 발음이 너무 좋아요.가끔씩 튀어나오는 부엉이 만화도 재밌고요.

  • @yune5597

    @yune5597

    Жыл бұрын

    💥💥이리 되려면 우선 기후위기부터 해결해야됨. 인류가 멸망함 다 헛된 망상일뿐

  • @user-gh7et6me4v

    @user-gh7et6me4v

    6 ай бұрын

    저도요^^

  • @soho4059
    @soho4059 Жыл бұрын

    실생활을 과학적으로 풀어내는 최고의 과학채널 리뷰엉이~!! 재미있게 잘~보고 있습니다. ^^🤗🤗🤗

  • @Marosi10126
    @Marosi10126 Жыл бұрын

    문득 보고있다가 스카이림 브금때문에 잠시 집중을 못했네요.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blacksherry5214
    @blacksherry5214 Жыл бұрын

    내용정리 설명 목소리 머하나 빠짐 없는 완벽한 과학유튜버

  • @rainy501
    @rainy501 Жыл бұрын

    와 이채널 엄청 재밌네요.. 구독하고 갈께요. 이런 얘긴지 몰랐음. 과학이란 틀에 가두기는 알고보면 상식인데 뭐라고 얘기해야 되나요. 역시 과학이란 단어를 써서 역시 표현할수 밖에 없겠죠. 과학공부 자체는 우리식으로 하려면 엄청 어렵다고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건데, 리부엉이 쉽게 개념을 말씀해 주시니까 이해가 되네요. 암턴 뭔가 뇌안의 전구가 켜진 느낌이에요. 학교에서 다 이런식으로 가르쳐야 하는데, 말씀대로 1단계만 되도 전인류 교수법이 다 이해시키도록 바뀔것 같아요. 알려주신 카르다쇼프에 따르면요^^ 4단계만 되도 신급이네요. 지금 우리로선. 말하고 보니 정말 개미같다.ㅎ 고맙습니다.

  • @user-vv5pf6gi3b

    @user-vv5pf6gi3b

    Жыл бұрын

    이분 인터스텔라 이후로 과학영상 보면 다른 과학 유투버달 보다 이해하기 쉽게 잘 알려주심요

  • @user-bf2iw1vl1w

    @user-bf2iw1vl1w

    Жыл бұрын

    여기 영화 KZread 채널 입니다

  • @user-iu8wk2y

    @user-iu8wk2y

    Жыл бұрын

    근데 카르다쇼프의 척도는 아닌거 같음 문명이 발달할수록 에너지를 극대화 시키고 극소의 에너지로 최고의 효율을 얻는 쪽으로 기술이 발전한다고 봐야하지 않을까함 글고 다중우주는 세포 분열로 쉽게 이해할수 있다고봄..세포 분열은 모든 dna를 그대로 복사해서 만들어지지만 만들어지는 순간부터 각세포별로 따로 역사가 시작되고 우리가 예언이라고 하는거도 틀린것도 맞는거도 있는데 앞서 말한 세포별로 새로운 역사가 만들어진거처럼 다른 지구에서 그 예언이 실행되고 있지않나하는 생각이.

  • @perising

    @perising

    Жыл бұрын

    열역학 복사 를 숨길수 있는 문명은 없다? 이말은 틀린 과학일 겁니다 우리가 속한 모든 우주를 통틀어 티끌속에 가루일수도 있습니다 우주의 현상들을 관찰하면 할수록 인간의 뇌파와 유사하다고 합니다 우주가 어떤 생물의 뇌속이라면 그생물의 수가 바닷속 플랑크톤만큼 많을수도 있고 은하계내의 행생 항성 생명을 유추할때조차 생명의 발생 유지원칙을 세워서 그기준으로 찾아 헤맸는데 얼마전에 기준을 넘어서는 환경조건에서도 생존하는 생명체가 존재하다는 사실이 밝혀짐

  • @rejester83

    @rejester83

    Жыл бұрын

    놀랍게도 자칭 영화리뷰 채널입니다.

  • @user-zw4zt6xq6y
    @user-zw4zt6xq6y Жыл бұрын

    부엉이형 컨텐츠 장르 바꾸고서 떡상하네ㅋㅋㅋ

  • @withKnowledge
    @withKnowledge Жыл бұрын

    우주 문명에 대한 카르다쇼프의 가설,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무엇보다 영상 초반 지구 즉 인류가 고도의 문명이 되기 위해 달이나 다른 행성을 식민지화해서 그 에너지를 이용해야한다는 내용이 무척 인상적이었어요. 지구, 인류의 관점이 아닌 우주 외계 고도 문명의 관점으로 바꿔 생각해본다면 그들은 선진 기술에 필요한 자원을 구하기 위해 생물, 자원이 풍부한 곳(지구)를 식민지화하려고 하겠지요? ​'우주에서 인류의 고립은 끝났다. 이제부터 인류는 지구에서 이득을 얻고자 이곳에 온 다양한 세력들과 대적해야 할 것이다. 인류는 천연자원이 풍부한 아름다운 행성에서 산다. 하지만 지구는 우주 밀집 주거지역에 위치하며, 이 지역에는 복잡한 무역 조직망을 구축한, 영향력 있는 기술사회들이 많다.​이 사회들은 (우주)큰 공동체에 있는 다른 많은 사회(고도 외계 문명)처럼 그들 행성의 천연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하였으며, 이제 그들에게 필요한 바로 그 자원을 구하기 위해 대단히 복잡한 상업·무역 협정에 관여해야 한다.' 마샬 비안 서머즈가 쓴 책 큰 공동체,  제 1 장: 인류의 큰 공동체 출현 중에 나오는 글이 생각 났습니다.

  • @sjbang287

    @sjbang287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johnchapman5125

    @johnchapman512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uf7qe2kn7c

    @user-uf7qe2kn7c

    Жыл бұрын

    외계 문명에 의해 우리가 멸종 혹은 노예화되지 않기 위해서 더욱 강한 기술을 발달시키기 위해 노력할 수밖에 없는 거죠.

  • @user-dm7py2tj9o

    @user-dm7py2tj9o

    Жыл бұрын

    외계문명이 발달해서 우리를 관찰할 정도면, 솔직히 우리 현상황을 속속들이 파악하고 있을텐데, 만약 외계문명이 정말로 존재하면서도 우리를 마냥 관조하고 있는 거라면, 우리는 일종의 테스트를 겪고 있는 셈이고 이를 통과하지 못하면 그들과 상종하지도 못할 거란 생각이 들어요

  • @HUI2650

    @HUI2650

    10 ай бұрын

    2단계나 3단계의 문명이 봤을때 인간의 문명은 우리가 열대우림속 개미무리처럼 볼수도 있어요. 열대우림속 개미집이 탐나는건 아니죠. 지나가는 소행성만 채굴해도 각종 금속 및 물을 쉽게 얻을 수 있고 굳이 에너지 소모해가며 은하계 변두리까지 올 이유도 없을거에요. 생명체가 살기 좋은 행성이라고 해도 막상 외계생명체의 신체조건과 맞지 않을 가능성도 높고 테라포밍을 할 문명정도면 지구 보다 더 효율적으로 테라포밍할 행성을 찾았겠죠. 아니면 너무 낮은 문명이라서 우리가 멸종위기 생물보둣이 지구를 관리할 수도 있죠.

  • @user-dv2pd1uj4z
    @user-dv2pd1uj4z Жыл бұрын

    전 요즘에 이런식의 컨텐츠, 만드는 채널과 영상들도 무엇보다 여기에 관심있고 좋아요 지식들과 함께 재미있고요 어느정도 유추는 긍정적으로 가능하겠네요

  • @user-iq6kf8kb2i
    @user-iq6kf8kb2i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ee9yp2nh2c
    @user-ee9yp2nh2c Жыл бұрын

    "극도로 발전한 문명에 속한 개개인은 자신만의 우주를 창조해서 살아갈수도 있다" 위 말대로 라면 우리가 한 개인을 위한 우주의 구성원일수도 있다는 생각도 드네요

  • @user-zm3rw1yi8i

    @user-zm3rw1yi8i

    Жыл бұрын

    첫 우주의 극도로 발전한 문명이 각 자신들만의 우주를 1조개만 만들어도, 총 우주의 갯수는 1조 하고도 1개, 그 중 첫째일 확률은 1조1분의 1.....

  • @Vivy-nj9du

    @Vivy-nj9du

    Жыл бұрын

    그들을 우리는 신이라고 부르기로했어요 신들의 다중구조

  • @user-cf7kn3wn8l

    @user-cf7kn3wn8l

    Жыл бұрын

    마치 gta 스토리모드 npc 느낌? ㅋㅋ

  • @a0xuy

    @a0xuy

    Жыл бұрын

    @Jonh Burr 무슨 주인공이요?

  • @user-fj3lr2sf6k

    @user-fj3lr2sf6k

    Жыл бұрын

    @@a0xuy 지구의 주인공

  • @user-ke8qw3dp3q
    @user-ke8qw3dp3q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미있어요👍👍👍어려운 내용을 어렵지않게 집중하게 하는 능려자이십니다👏👏👏👏👏👏👏

  • @onoa578
    @onoa57810 ай бұрын

    수면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 @JUAN-ko7yx
    @JUAN-ko7yx Жыл бұрын

    돌고돌아 또 도착한 우주 알고리즘.. 이번엔 몇 일동안 계속 날 흥미롭게 만들려나

  • @frozen9221
    @frozen9221 Жыл бұрын

    관측장비가 발전을 거듭할수록 우주에서 생명체의 존재가 매우 작은 먼지처럼 느껴진다

  • @user-tn5bw5ml5s

    @user-tn5bw5ml5s

    Жыл бұрын

    @열심히살자 크으..

  • @sca7531

    @sca7531

    Жыл бұрын

    @열심히살자 캬....

  • @user-ou3qd8uc9e

    @user-ou3qd8uc9e

    Жыл бұрын

    . 지가 어떻게 존재하는지 어떻게 돌아가는지도 모르는 멍청한 우주 ㅅㅋ 만년후에 인간이 너희들을 지배하리라

  • @StarBoard0905

    @StarBoard0905

    Жыл бұрын

    @@user-ou3qd8uc9e 오...

  • @user-hd3bj7ws4g

    @user-hd3bj7ws4g

    Жыл бұрын

    생명체가 아니라 지구가 먼지 크기도 안됨ㅋㅋ

  • @ehdaud1356
    @ehdaud1356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님 에일리언 시리즈별 카르다쇼프 척도 어느정도 되려나요. 재미있을 거 같아요.

  • @comdarak2220
    @comdarak2220 Жыл бұрын

    와 머리를 때리는 진짜 좋은 정보였어요. 감사합니다.

  • @saladin4491
    @saladin4491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은... 인류는 지금 남 걱정할때가 아니라 자기 발등에 떨어진 불부터 꺼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겨우 지들 스스로 정한 문명단계중 1단계의 3분의2 도 못넘어서 멸종할 위기니 말입니다. 그러고보면...우리 은하계에서 우리처럼 발전하다 역시 같은 문제로 없어진 문명도 꽤 될것 같네요. 앞으로 수십년이 인류의 운명을 좌우할 시간인거 같습니다. 인터스텔라에서 다른행성을 찾아나서는 얘기만 빼버린 모습이 현시점에서 인류의 가장 가능성이 큰 미래인거 같네요. 건설은 오랜시간 걸리지만 붕괴는 수초만에 끝납니다. 건설과 붕괴사이엔 징후라는게 있고 이미 지구는 우리에게 그 징후를 보여줄건 다 보여주고 있고요. 지구는 인류의 고향이지만 지구 = 인류는 아닙니다. 제가 늙었을땐 모든 환경문제가 해결된 세상에서 녹음진 숲에서 지금처럼 벤치에 앉아 따뜻한 커피를 마시고 싶지만....그럴 가능성은 점점더 실시간으로 줄어들고 있네요. 어느 특정 나라나 단체를 원망하고 탓하고 싶진 않습니다. 그저 인류가 멸종해가는 것이 슬플뿐.

  • @Punch_Nello
    @Punch_Nello Жыл бұрын

    3단계 외계문명은 우리은하에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우리는 개미이기 때문에 지배할가치도 없고 커다란 문명을 지닌 외계인들이 우릴 지켜보는거 뿐입니다 우리가 어렸을때 개미를 보면 밟고 괴롭히고 모르기 때문에 괴롭히고 그랬지만 어른들은 다릅니다 배운사람은 그냥 개미도 살아가는 생명체라고 생각하며 보고도 냅둡니다 외계인도 그렇습니다 그냥 지켜보는것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ufo를 타고 지구에 방문해서 구경하고 지구샘플도 채취하고 지구 밭에 그림도 남기고 그러는것입니다 그들은 초공간 도약기술은 기본적으로 탑재상태라 3단계 이상일거라 확신합니다

  • @user-ld4to7tx3c
    @user-ld4to7tx3c Жыл бұрын

    광활하고 깊은 우주의 매력에 빠져있는지 오래인데 특히나 사회생활 인간관계에 회의감이 들 때보면 마음이 차분해지고 힐링됨을 느낍니다 제 주변에 저와같은 공통분모를 가진사람이 없어 우주이야기 할때마다 이상한취급받는데 슬프고 외롭네요 원초적인 우주와 인류에 대해 오프라인에서도 토론하고싶은건 욕심일까요ㅠ-ㅠ 이곳에서 평안찾고갑니당

  • @user-vu5dh4nx7w
    @user-vu5dh4nx7w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강의 감사합니다~ 앞으로 제임스 망원경이 많은 비밀을 알려주겠죠

  • @blackjein
    @blackjein Жыл бұрын

    우리가 급격히 발전했지만 그걸 알아볼 수 있는 건 200광년 안이라는 이야기는 많은 영감을 주는군요.

  • @user-fk9dx3sp6t

    @user-fk9dx3sp6t

    Жыл бұрын

    외계인입장에서 우리는 뉴욕맨해튼한복판에서 살던문명인이 아마존 원시부족보는 느낌일듯

  • @user-mm7yb7uy9x

    @user-mm7yb7uy9x

    Жыл бұрын

    @@user-fk9dx3sp6t 원시 부족으로라도 취급 해주면 다행..

  • @user-gn2nm3no9t

    @user-gn2nm3no9t

    Жыл бұрын

    우주 머나먼 곳에서 원시인 같은 우리를 발견하고 침략하려고 출발했다가 도착하고 보니 그 사이에 우리는 엄청나게 발전된 문명을 이룩하고 있을 수도 있겠네요

  • @_Kim_Parrot_

    @_Kim_Parrot_

    Жыл бұрын

    @@user-gn2nm3no9t 그거 생각 못할지능이면 발전을 못할듯

  • @user-mr3cq2mt1g

    @user-mr3cq2mt1g

    Жыл бұрын

    @@_Kim_Parrot_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ㄹㅇ ㅋㅋㅋ그정도 지능으로 물리법칙을 정복한 지적 생명체로 진화는 절대못하지

  • @checkze4547
    @checkze4547 Жыл бұрын

    와 계속 해달라고 했던건데ㅜㅜ 진짜 해주셨네 리뷰엉님 감사요!!😀

  • @inspiration0515
    @inspiration05155 ай бұрын

    예전게 본건데 또 보러 왔슈 설레서 이따가 볼래요 ㅎㅎㅎㅎ

  • @JIN-M24
    @JIN-M24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님 영상을 끝까지 볼수가 없네 항상 듣다가 잠들어서ㅋㅋㄱ 감사해요 덕분에 매일 꿀잠

  • @godsu7563
    @godsu7563 Жыл бұрын

    우주의 나이만 수백억년에 당장 지구만 해도 곤충과 인간의 지능차이만 해도 어마무시한데 우주엔 얼마나 고차원적인 존재가 많을지 상상도 안됨 물론 우리랑 비슷한 지능을 가진 외계인이 있다쳐도 우리랑 100년 이상의 기술 격차가 있다면 실험용은 몰라도 같이 상종하긴 힘들듯

  • @user-is6um5bp1x
    @user-is6um5bp1x Жыл бұрын

    3차원까지만 생각하면 외계문명의 존재를 찾는다는게 너무 당연해보이는데, 4차원까지 생각하면 우리가 외계문명을 발견하지 못하는게 너무나도 당연한듯.. 우주의 역사 속에서 지금 현재의 인류가 점유하고 있는 시간이 정말 극히 일부분인데 이 점에 가까운 이 시간을 공유하는 문명을 찾기란 너무나도 어려운 일일지도...

  • @user-lf7wp4iz5v
    @user-lf7wp4iz5v3 күн бұрын

    본인 중학교때 국어 발표 주제로 다루었던 카르다쇼프 척도를 이렇게 다시보니 참 반가우면서도 아는 내용을 더 상세하게 배우는게 재미나네요 히히

  • @happyhah
    @happyhah Жыл бұрын

    과학의 대해서 잘아시네요!

  • @carlyounsh
    @carlyounsh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하는 생각으론, 카르다쇼프 척도는 사실 자기보다 높은 등급은 측정이 안되는거 아닌가 생각합니다. 항성을 완전히 가둬버린 문명이라면 애초에 그 항성의 빛이 새어나오질 않을테니 우리는 못볼테고, 은하를 완전히 이용해서 우주의 법칙 자체를 바꿔버릴 정도의 문명이라면 능숙하게 우리같은 저급한 문명의 카메라 앞에 그럴싸한 영상을 덧씌울지모르고 우주 전체를 사용한다면? 애초에 우리는 우주 바깥을 볼 수 없을테니 의미가 없겠죠

  • @skykim8740
    @skykim8740 Жыл бұрын

    우리보다 앞선 문명들은 열에너지를 안 쓸수도 있는 가능성도 있겠네요. 프로토스처럼 사이오닉 에너지를 쓴다던가, 암흑물질을 이용한 다크에너지를 쓴다던가, 이세계 처럼 마법을 쓴다던가 등... 에너지의 형태 자체가 다를수도 있을 것 같네요.

  • @Matak22

    @Matak22

    Жыл бұрын

    엄청 발달된 문명이면 블랙홀 근처에 살지 않을까유?

  • @inra1092

    @inra1092

    Жыл бұрын

    사이오닉 에너지는 진짜 있을법하지 않나ㅋㅋㅋ 그냥 프로토스라는 종족 자체가 있을법함

  • @Uy-zv2sb

    @Uy-zv2sb

    Жыл бұрын

    @@inra1092 어쩔스톰은 레알 사기임 ㅋ

  • @wonseoklee-qj2li

    @wonseoklee-qj2li

    Жыл бұрын

    열역학2법칙이 나왓다고 열에너지라고 생각하시는건 아니겟죠...?

  • @polarnight8337

    @polarnight8337

    Жыл бұрын

    @@wonseoklee-qj2li 열역학이 열에너지에 대해 다루는 학문일건데 열에너지 아니에요?

  • @user-yj2sq2wq4y
    @user-yj2sq2wq4y Жыл бұрын

    엉이님 우주 이야기는 너무 좋음

  • @benkenik
    @benkenik Жыл бұрын

    엘더스크롤 음악 좋습니다 언제 한번 엘더스크롤도 다루어주셔용

  • @theduck3311
    @theduck3311 Жыл бұрын

    우주의 공간(크기)만 고려한다면 그럴 수 있겠지만 그렇다면 우주의 시간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함 우주의 초기에 나타난 문명이라면 지금 없어질 수도 있고 우리 이후에 나타날 문명도 고려한다면 만나지 못하는게 자연스러울수도 있음

  • @user-qt4ii1wt2d
    @user-qt4ii1wt2d Жыл бұрын

    일단 우리 행성의 에너지만 완벽하게 활용해서 환경오염을 통제할 정도만 되면 국가간의 전쟁이나 갈등이라는 변수만 없으면 환경오염이나 기상이변으로 지구가 멸망할 일은 없을듯

  • @user-dv2pd1uj4z
    @user-dv2pd1uj4z Жыл бұрын

    몰입도도 최고 입니다

  • @memrock_3732
    @memrock_3732 Жыл бұрын

    외계 문명이 있다 해도 멀리 있는 만큼 그 거리 만큼의 시간이 지나야 관측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관측이 엄청나게 어렵겠군요; 와 어떻게 보면 참.. 이 넓은 우주의 외계 생명체가 없다는 게 말이 안되면서 동시에 그 외계 생명체를 인간이 발견하는 것도 말이 안되네요..

  • @SPH-df3yw
    @SPH-df3yw Жыл бұрын

    생명체를 관측하기에는 너무 멀리있고, 관측하기 전에 대부분의 문명이 멸망해서 관측된 생명체가 없는게 아닐까 합니다. '지금 이 시간'의 100만광년 바깥에는 지적 생명체가 존재하지만 지구문명과 비슷한 수준이기 때문에 관측될 즈음이면 흔적조차 남지 않아서 발견할수 없는것일지도.

  • @jeehun1234
    @jeehun1234 Жыл бұрын

    우주를 이해하기엔 너무 빨리 태어나버렸다..

  • @sahrahnghahndah
    @sahrahnghahndah Жыл бұрын

    제일 고퀄 채널 👍

  • @Chutori12
    @Chutori12 Жыл бұрын

    리부엉님 오랜만애봐요 영화리뷰 잘보고 있다 ㅋㅋㅋ 마션이후로 급격히 과학유튜버로 변화하셨돈고로 기억하는데😂😂 넷플릭스 다크 이후로 오랜만에 찾아왔어요. 1형2형 이런거 다 처움봐요!!! 되게 신비롭내요 ㅎㅎㅎㅎ🎉🎉🎉 옛날초등학교때는 지금쯤 하늘나는 자동차나오고 그럴꺼라 생각했는데 이젠 더이상 그런 상상이 안되내요 ㅋㅋ 어려서가능했던 거겠죠…? 지금드는생각 : 저렇게 까지 발전하려다 멸망하지않을까…?

  • @0Ooc
    @0Ooc Жыл бұрын

    항성의 에너지를 이용한다는 발상 자체가 구시대적 발상이 될수도 있음. 마치 로마시대에 에너지 사용량을 기준으로 하는 척도가 있었다면 로마의 나무를 다 태우는 에너지, 유럽 대륙의 나무를 태우는 에너지, 지구 전체의 나무를 태우는 애너지를 생각했을거임. 마찬가지로 2단계 초반 정도만 되도 항성에서 나오는 에너지가 아닌 다른 방식의 에너지를 사용하게 될거임. 물론 그 에너지가 어떤건지는 모름. 마치 나무를 태우는 로마시대 사람이 핵분열, 핵융합을 이해 못하듯이.

  • @swte4840

    @swte4840

    Жыл бұрын

    오... 그럴수도 있겠네요 좋은 생각입니다

  • @Tristan_yo

    @Tristan_yo

    Жыл бұрын

    우주의 빈공간들이 항성과 암흑물질들을 자원으로 쓴 흔적일수도요?..

  • @leeyagi2241

    @leeyagi2241

    Жыл бұрын

    @@Tristan_yo 와아.. 그건 정말 코스믹 호러 수준의 기술이겠네요 ㄷㄷ

  • @Tristan_yo

    @Tristan_yo

    Жыл бұрын

    @@leeyagi2241 아니면 그레이 구 일수도요 ㅋㅋ

  • @Cro-cop

    @Cro-cop

    Жыл бұрын

    난 이래서 우주 관련 영상이 좋아... 영상도 재밌지만 상상력을 마구 자극하는 신박하고 재밌는 댓글들도 많아서 ㅎ

  • @ehguuddl
    @ehguuddl Жыл бұрын

    다른 지적생명체들은 어떤 방식으로 문명을 이룰지 너무 궁금함 ㅠㅠ

  • @user-is5jb8mu8i

    @user-is5jb8mu8i

    Жыл бұрын

    가상세계에서 살고있는 히키코모리 문명 많을듯요 여기서 말한 히키코모리는요 각개체가 집에 틀어박혀서 가상세계를 하는것이 아니라 외계인 A종족 자체가 수명이 매우 긴 적색왜성 같은곳에 다이슨스피어를 지어두고 관리만 AI에게 맡겨두고 자신들의 존재를 매우 숨기는 문명을 말해요. 외계인 AI또한 외부존재들에게 들키지않게 노력하고요. 괜히 외부존재들에게 자신들의 위치가 노출되면 꿈같은 가상라이프를 즐기는게 방해될테니까요. AI또한 자신들의 창조주가 자신들을 안전하게 보호해달라 했을테니, 히키코모리처럼 숨어있는것이 안전하다고 판단했을테고요. 우주진출의 야욕이 가상세계때문에 소멸된 문명을 히키코모리 문명이라고 들었습니다. 이 단계에 도달한 외계인들은 이미 육신도 존재하지않고요.

  • @user-ls3dz8yw5l

    @user-ls3dz8yw5l

    Жыл бұрын

    어떻게 생겼을지도 궁금하네요

  • @enyoh321

    @enyoh321

    Жыл бұрын

    없음

  • @daydreamer_mooni

    @daydreamer_mooni

    Жыл бұрын

    @@enyoh321 어떻게 생각하든 당신의 자유지만, 감히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우주에 심지어 팽창하고 있는 이 우주에 (우주가 하나가 아닐 수도 있고..) 우리밖에 없으면 너무 재미없지 않을까요? 끈이론도 있고요..! 고차원 존재도 있을 수 있고..

  • @averyavellan2788

    @averyavellan2788

    Жыл бұрын

    @@user-is5jb8mu8i 본체는 가상에 있고 생체로봇이나 강화된 로봇이 돌아댕기면서 현실세계를 조작하는 경우라면 나름의 방식으로 엄청 발전한 세상 아닐까요. 히키코모리가 아니라ㅋㅋ

  • @TooBigNose
    @TooBigNose Жыл бұрын

    그냥 시작부터 스카이림 음악을 틀어버리니 자동으로 집중하네요.

  • @Lucky-qz5yy
    @Lucky-qz5yy Жыл бұрын

    요런거 볼때마다 진짜 좋다

  • @_biker
    @_biker Жыл бұрын

    관측 가능한 우주가 465억광년... 45억광년 밖에서 지구를 봤을때도 문명따윈 1도없을 45억년전의 태초의 지구일텐데, 생각해보면 저 멀리있는곳에 다른 문명이 있더라도 아직 그 빛이 도달하기 전이라 우리가 관측을 못하고 과거의 모습만 보고있다고 생각합니다

  • @catsby7673

    @catsby7673

    Жыл бұрын

    이탈리아에 있는 하루살이와 한국의 하루살이가 만나지 못하는것처럼

  • @leeyagi2241

    @leeyagi2241

    Жыл бұрын

    @@catsby7673 오오 비유 좋네요

  • @_biker

    @_biker

    Жыл бұрын

    @@catsby7673 비유를 하자면 천둥번개가 치는걸 본 후 몇초뒤 (음속 343m/s) 소리가 들리는 것처럼, 빛도 너무 멀다보니 억년단위로 뒤늦게 (광속 299,792,458m/s) 보이는거에요~

  • @user-id4pt6vk9t

    @user-id4pt6vk9t

    Жыл бұрын

    @@_biker 비유는 이미 했고 그건 왜 못보는지에 대한 원인을 얘기한거임

  • @_biker

    @_biker

    Жыл бұрын

    @@user-id4pt6vk9t 윗분 비유가 잘못되어 다른비유를 드린겁니다 상식적으로 384,448.141km거리의 달까지도 빛의속도론 약1.2초밖에 안걸리는데 한국 이탈리아는 9,141km라 빛의속도로 0.0003초 차이일뿐 거리때문에 현실과거 구분 못할정도로 먼것이 아닙니다 한국 이탈리아는 단지 지구가 둥그렇고 장애물때문에 못보는거고, 하물며 만나는건 다른 문제라 비유가 잘못됬잖아요?

  • @user-mf4ll6in6g
    @user-mf4ll6in6g Жыл бұрын

    다른 행성에 줄 수 있는 영향력이 미미한 현시점에서 큰 의미가 있나 싶은…

  • @user-ku2kf2kg6g
    @user-ku2kf2kg6g Жыл бұрын

    Tmi : 카르다쇼프 척도에서 소수점 단위까지 사용하는 건 칼 세이건의 추가 의견입니다. 행성급, 항성급이라 해봤자 크기가 다 제각각이고 지구와 태양 기준으로 표현하면 야드파운드법처럼 비율이 일정하지 않으니 대략 근삿값으로 10^6W(1MW)를 0단계, 10^16W(10PW)를 1단계로 하며 이상 1단계마다 10^10배(100억배)씩 증가하도록 조율하였습니다.(즉, 0.1마다 10배씩 증가하는 로그 스케일) 이때 0단계는 중간 크기 모닥불 수십개, 하나의 부족 정도의 규모이며 이를 '문명'의 시작이라고 칭할 수 있습니다. 현대의 1GW급 발전소 하나는 0.3에 해당합니다. 1단계에 도달하려면 이런 발전소가 천만개 필요합니다.

  • @user-om5xl4od4y
    @user-om5xl4od4y Жыл бұрын

    형님 오늘도 영화같은 리뷰 잘 보았습니다!

  • @user-db3dj4ju9x
    @user-db3dj4ju9x Жыл бұрын

    외계문명 만날 확률보다 그 전에 인간 문명이 멸종할 확률이 100프로에 가까울 듯...

  • @user-ni6tz3xq5i

    @user-ni6tz3xq5i

    Жыл бұрын

    파우웅시인

  • @user-db3dj4ju9x

    @user-db3dj4ju9x

    Жыл бұрын

    @@user-ni6tz3xq5i 왜 피우웅시인아

  • @user-ni6tz3xq5i

    @user-ni6tz3xq5i

    Жыл бұрын

    @@user-db3dj4ju9x 너같은 패배주의자 땜에 이나라가 멸종위기지 ㅉ

  • @qwerqwerqwer64

    @qwerqwerqwer64

    Жыл бұрын

    아인데 나 만낫는데

  • @user-bb9cq9gi8g

    @user-bb9cq9gi8g

    Жыл бұрын

    @@qwerqwerqwer64거울속에서?

  • @sugasung
    @sugasung Жыл бұрын

    구독 누르는데 굉장히 인색합니다. 하지만 구독 바로 박아버림~ 영상 퀄리티 린정!!

  • @mmchoi3471
    @mmchoi3471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 점점 리뷰가아니라 과학유튜버가 되고있어요ㅋㅋㅋㅋ

  • @fridaytvtv9290
    @fridaytvtv9290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형 과학관련 영상 진짜 너무 재밌어요 ㅎㅎㅎ 오늘 영업 잘되서 와인깠는데 술취해서 듣는데도 귀에 쏙쏙들어와서 신기했어요 ㅎㅎ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려요^^

  • @PC_OverClock

    @PC_OverClock

    Жыл бұрын

    오 이 불황의 시대에 좋은 결과가 … 축하합니다.🎉

  • @Ruhiro_
    @Ruhiro_ Жыл бұрын

    2단계 이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문명이라면 자연적 생명체가 아닌 사이보그 개념의 문명으로 봐야한다고 봄. 왜냐면 자연형성된 생명체도 굉장히 비효율적이기 때문임. 때문에 이후에는 인공몸체에 기존 뇌에 있던 메모리들을 이전시키고 새로운 몸으로 불사에 가까운 삶을 사는 문영이 되지 않을까 함.

  • @user-dv3hb7mb4e

    @user-dv3hb7mb4e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 문명이라고 봐야죠. 개별적 사유가 종합되는 영역에 머무르는 문명이 아니라 사유를 직접 집단 공유하는 문명일 가능성이 높음. 당연히 우주 횡단할때는 기계임. 행성에서는 유기물로 이루어진 육체를 가질수도 있음. 뇌가 송수신기 역할을 하고 더미역할을 하는 육체를 만들어서 그 행성 인류 집단에 섞일 수도 있음. 아예 태어나서 늙어죽는 인간의 육신을 더미삼아 인간의 번민 고통 다 느끼고 그 정보는 모행성의 지능체와도 공유되고 다시 다른 행성의 외계인으로도 살아보고 시공의 제약에 얽매이지 않으니 그런식으로 게임하듯 저능한 행성문명들 방문해 체험식으로 관여할 수도 있음. 게임에서 경험하는 모든 정보는 공유되고 다른 개별체들도 얻을수 있고 개별체험이 공동체험이 되는 거지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문명.. 자연적으로 진화된 지적생명체들이였던 최초 창조자들의 호기심을 반영해 진화하며 우주의 진실에 다다가며 점점 전지전능에 가까워지지

  • @FBI-bq7ns

    @FBI-bq7ns

    Жыл бұрын

    사실 정신 정보화는 곧 가능해질거같긴 함 기억 지우는 기술도 있는데 곧있으면 기억 저장 및 삽입도 가능해질듯

  • @y76050
    @y76050 Жыл бұрын

    재밋어요 ㅎ

  • @ramsesodin
    @ramsesodin Жыл бұрын

    리부엉이님 좋은 영상 늘 잘 보고 있습니다. 😊 처음엔 우주가 무한대고 별이 많아 생명체도 어마어마하게 많을 줄 알았는데 영상들을 보면 볼수록 생명체가 존재할 조건이 생각보다 너무 까다롭고 힘들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물론 당연히 확률상 존재는 하겠지만요. 그 존재도 별의 수명 때문에 영원할 수도 없구요.

  • @user-lk2lw3jq2k

    @user-lk2lw3jq2k

    Жыл бұрын

    님 내용 안보신거죠?내용은 얼마나 발전된 문명이냐?얼마나 에너지를 쓰느냐 인데?무슨 외계생명체의 존재 유무를 말하는 거에요?외계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가정을 하고 얼마나 과학이 발전된 생명체 이냐는걸 묻는 건데?

  • @philipshin4422

    @philipshin4422

    Жыл бұрын

    ​@@user-lk2lw3jq2k .

  • @Masochist.

    @Masochist.

    11 ай бұрын

    ⁠@@philipshin4422예전부터 궁금했는데 회신으로 점 왜찍는곤가용? 트롤 박제 이런거임?

  • @blueblue4401

    @blueblue4401

    10 ай бұрын

    ​​​@@Masochist. .

  • @Crocodile_Shark

    @Crocodile_Shark

    9 ай бұрын

    ​@@Masochist.무시하겠다. 라는 뜻이에요 ㅋ랑 비슷한 의미

  • @user-bj1rm7en5c
    @user-bj1rm7en5c Жыл бұрын

    반대로 500광년 또는 1000광년 이상 떨어진 곳에서 에너지 사용 흔적이 관측된다면 현재는 얼마나 발전 했을까 소름…

  • @user-mu5wx4ed9f
    @user-mu5wx4ed9f Жыл бұрын

    2단계부터는 진짜 신의 영역이네요

  • @user-nz3nh6sb9q
    @user-nz3nh6sb9q7 ай бұрын

    이런상상을하는존재가 인간이란게대단합니다.

  • @user-un9pt3ru4u
    @user-un9pt3ru4u Жыл бұрын

    카르다쇼프 척도 의 예외로 소개된 후반부 설명이 더욱 신빙성이 있어보입니다. 카르다쇼프척도도 충분히 과학적이고 척도의 기준도 문명과 에너지 다룸의 척도에서 아주 접근이 좋은데.. 후반부에서도 첨부한 예외와 같이.. 문명의 진보는 효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또 태양과 지구 내의 에너지 다룸도 어마어마한 도전인 인류에게.. 척도를 측정하는 방식 또한 아직 진보에 미치지 못 함도 감안되야 한다는 점이 느껴집니다.. 좋은 영상 시청에 시야가 넓어지네요^^

  • @user-gh7et6me4v

    @user-gh7et6me4v

    6 ай бұрын

    측도 맞는것 같아요

  • @Ari97000
    @Ari97000 Жыл бұрын

    우린 잊지않아야 합니다 이사람은 영화유튜버라는걸요!

  • @user-cl2en4bm5x
    @user-cl2en4bm5x Жыл бұрын

    영화리뷰를 하라했더니 과학영화 위주로 리뷰하다가 완전 과학유튜버가 되어버린 리뷰엉이

  • @perising

    @perising

    Жыл бұрын

    그래서 15:50 듄 시리즈물 이야기도 끼워넣음 ㅋㅋㅋㅋ..

  • @LTE_math_sqrt33

    @LTE_math_sqrt33

    Жыл бұрын

    ㅇㅈ

  • @user-mb2ro9ve1x
    @user-mb2ro9ve1x9 ай бұрын

    ㅋㅋ 카르다 뭐시기 착더 빵 터졌네요. 같은 일을 해도 작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욘하는 것이 좋은 기술인데 무지성 에너지 총량을 따지나요?

  • @public_free_wifi_7001
    @public_free_wifi_7001 Жыл бұрын

    심심할때마다 챙겨볼정도 ㄷㄷ...

  • @RNS0909
    @RNS0909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다른 문명들도 우리랑 똑같이 유튜브 보면서 다른 문명을 찾고 있다는거군요!

  • @user-qv6xz9wk7g
    @user-qv6xz9wk7g Жыл бұрын

    과학채널이니까 만우절에 영화 리뷰 올리시면 시청자 분들이 재밌어할것 같아요

  • @Ari97000
    @Ari970006 ай бұрын

    지금 우리우주가 초기라서 저희가 유일한 문명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게 시뮬레이션이라면 목적이 초월적인 문명을 만드는게 목적일지몰라요! 그리고 저희우주는 아직 성장기로 치면 갓난아기라는 가설도있구요! 우주수명이 몇조 면 아기가 맞겟져?? 상상은 자유니까!😊

  • @user-kn5hh1lb9e
    @user-kn5hh1lb9e Жыл бұрын

    재밌네요ㅎ

  • @user-dl9mp5jx1c
    @user-dl9mp5jx1c Жыл бұрын

    다른 우주 문명발전 척도 개념들도 단편으로 알려주실려나? - 문명이 저장한 정보의 총량이 얼마인가 - 미시세계의 어디까지 조종 혹은 통제를 할 수있나 - 행성,항성,은하계 중 어디까지 영역으로 삼고 활동하는가

  • @user-ik4bx7cd3o

    @user-ik4bx7cd3o

    Жыл бұрын

    어차피 객관적이지 않으니 에너지 총량으로 하는둣

  • @user-fj7cx1tx9w
    @user-fj7cx1tx9w Жыл бұрын

    어쩌면 모든 외계 문명이 지구와 같은 상황에 처했던 것이 아닐까요? 문명의 고도화가 이루어지기 직전에 그 외계 문명도 지구처럼 온난화로 인해 1단계 진입에 실패한 채로 멸망하게 되는거죠. 1단계 이상부터는 우리의 상상 속에만 존재하고 실제로는 도달할 수 없는 문명의 경지이기에 지구에 사는 인류 역시 고도로 발달한 외계 문명을 못 찾는 거라면…

  • @user-fg3wo8hi4z

    @user-fg3wo8hi4z

    Жыл бұрын

  • @user-mo4kq2ge4u
    @user-mo4kq2ge4u Жыл бұрын

    가장 연약하다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서로 상처주기 바쁘기 때문이죠

  • @janelee5902
    @janelee5902 Жыл бұрын

    우리 인류가 앞으로도 많이 발전했으면 좋겠다

  • @GAENODAP

    @GAENODAP

    Жыл бұрын

    그 전에 우리가 망할듯 ㅠㅠ 본인의 발전에 따른 지구 오염을 못이겨서 멸망당할 문명 ㅠ

  • @aaaakkaajaai

    @aaaakkaajaai

    6 ай бұрын

    초..전..도..체……

  • @Byron_Lenon

    @Byron_Lenon

    4 ай бұрын

    AI에 당한다😱😰😭

  • @djdfmf
    @djdfmf Жыл бұрын

    20년 전 까지만 해도 우리가 누워서 스마트폰으로 보는 리뷰엉이가 과학유튜버가 될거라고 생각도 못했듯이 20년 후에는 저걸 활용할지도 모르지 않을까요?

  • @ashleysmith-nq4vf

    @ashleysmith-nq4vf

    Жыл бұрын

    저희 어머니 어릴땐 2000년대엔 수학여행 달나라로가고 하늘나는자동차가 보편화된다했고 저어릴땐 2020년 냉동인간 소생가능, 암정복, 자기부상열차 보편화된다했는데 하나도 이루어진게 없네요 ㅠ

  • @ashleysmith-nq4vf

    @ashleysmith-nq4vf

    Жыл бұрын

    @Chupa Chup Snim글쎄요. 홍보나 기술검증용으로 운행하는게 전부로 알고있습니다 보편화에 성공했다면 ktx나 srt가 자기부상열차였겠지요

  • @user-dv3hb7mb4e

    @user-dv3hb7mb4e

    Жыл бұрын

    @@ashleysmith-nq4vf 에어리언 2020 ... 2020년이면 인류는 우주로 퍼지고 에어리언의 습격을 받음.... 제목 ㅋ 리딕인줄 모르고 에어리언 시리즈인줄 알았음.

  • @user-bs6zv9qi4e

    @user-bs6zv9qi4e

    Жыл бұрын

    @Chupa Chup Snim 현직 초전도연구자인데 자기부상 열차가 보편화되어있다는게 뭔 개소린지 모르겠네요 ㅋㅋ

  • @user-hg2nj4hw8d

    @user-hg2nj4hw8d

    Жыл бұрын

    @Chupa Chup Snim 보편화 시키세요 방구석에서 누워계시지마시고

  • @MrWjdrjsgus2
    @MrWjdrjsgus2 Жыл бұрын

    인류는 경쟁심 하나로 여기까지 발전할 수 있었음. 몇 광년 거리에 또 다른 지적 생명체 발견만 되면 과학 발전속도는 어마어마하게 빨라질텐데

  • @user-uo6ge4qv1v

    @user-uo6ge4qv1v

    Жыл бұрын

    경쟁심으로 발전했다는 것 자체가 존나 미개한데 지적 생명체가 우리한테 도움을 줄 거 같음? 이미 인간을 발견했어도 절대 상종 안 하려하겠죠 같은 사는 모든 생물, 자기와 같은 종들도 생체실험해대고 자신들이 살고있는 지구도 더럽히고 있는 미개한생물에겐 더이상의 발전은 악임

  • @user-sd2he4cp1o

    @user-sd2he4cp1o

    Жыл бұрын

    @@user-uo6ge4qv1v ㄹㅇ 그 미개한 경쟁심이 금세기말에 제6차 대멸종을 부르는 자충수급 가불기임

  • @user-ww9hp9fo5n

    @user-ww9hp9fo5n

    Жыл бұрын

    @@user-uo6ge4qv1v 외계인도 딱히 우리랑 다를거같진 않은데 ㅋㅋ

  • @GYEODEURANGI_JJIREUGI

    @GYEODEURANGI_JJIREUGI

    Жыл бұрын

    ​@@user-uo6ge4qv1v 일뽕이 아닌 외계뽕ㅋㅋㅋ 지구인은 미계하다ㅋㅋㅋ

  • @user-mt6tz3jy8d
    @user-mt6tz3jy8d Жыл бұрын

    3단계 문명의 테라리움 = 지구 영향권 아래에 있는지조자 자각을 못하는건 아닐까?

  • @JChoi-nk1ex

    @JChoi-nk1ex

    Жыл бұрын

    3단계 이상의 문명이 있다면 이미 지구의 자원을 가져가기 위해 왔지 않을까요 ?

  • @ditto-wc9xv

    @ditto-wc9xv

    Жыл бұрын

    @@JChoi-nk1ex 우리 인류가 개미밥에 관심가짐?

  • @user-fm5ow5sp1w

    @user-fm5ow5sp1w

    Жыл бұрын

    @@ditto-wc9xv와 이건 ㄹㅇ 소름이다

  • @alpengrow

    @alpengrow

    Жыл бұрын

    가상현실임

  • @user-bi4xt1sc6q

    @user-bi4xt1sc6q

    Жыл бұрын

    @@user-tk8fs5zz8q 우리가 개미라고 생각하는 것도 과대평가 아닐까. 2단계와 3단계의 에너지 차이도 100억배 이상인데 1단계도 미치지 못한 우리 문명을 개미라고 평가하는게 과연 맞는 생각인지 의심이 간다. 3단계를 이룩한 문명이 우릴 보기엔 우린 개미보다 더욱 더 하찮은 존재인 먼지만도 못한 기생수는 아닐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 한다.

  • @user-mq2hi7nb4w
    @user-mq2hi7nb4w Жыл бұрын

    간만에 홈에떠서 왔는데 영상처럼 될려면 우리 인류가 현재 확률높은 멸망요인들은 전부 피해야 하는데 버틸 수 있을까요 환경파괴문제, 전쟁 등 다른요인도 너무 많은데 물론 이 영상은 재미로 보는 공상과학 느낌이긴하지만 정말 이렇게되면 좋겠네요...

  • @aeonian4255
    @aeonian4255 Жыл бұрын

    나만 그런진 모르겠는데 이런 우주 영상 보다 보면 우주의 압도적 크기 때문에 압도돼서 약간 무기력하고 현타 오기도 함...

  • @user-it7fn7sv3u
    @user-it7fn7sv3u Жыл бұрын

    4:05 카르다쇼프 척도는 에너지 효율에 따라 분류되는게 아니라 에너지 사용량에 따라 단계가 정해지는게 아닌가요? 카르다쇼프 척도가 높을수록 효율이 높을 수는 있겠지만.. 이 부분은 비약이 있는 것 같습니다.

  • @user-ol4ic6bo6r
    @user-ol4ic6bo6r Жыл бұрын

    과학은 싫어하지만 우주나 행성에 대해 알아가는건 신기하게도 이과 중에서 가장 흥미가 있고 재밌게 느껴지네요ㅋㅋㅋㅋ

  • @kmin5344
    @kmin5344 Жыл бұрын

    진짜 걍 영화같은 내용이네요

  • @ulo9006
    @ulo9006 Жыл бұрын

    우리 문명만 보더라도 한참 발전한건 전체 역사중에서도 얼마 되지 않고 그 인류의 문명 전체를 봐도 1만년 미만으로 우주 시간으로 보면 아주 짧은 시간인데 서로가 존재하더라도 상호간 발견하거나 통신 가능할 수 있는 수준의 문명이 같은 시간대에 존재 할 수 있으리라는 법이 없죠 외계 문명과의 접촉은 무척 어려운 일인거 같아요

  • @user-wr6eg8zx1i
    @user-wr6eg8zx1i Жыл бұрын

    은하에 단 1개의 문명이 있다고 하더라도 우주에 1700억개의 은하가 있으면 어우 ㄷㄷㄷ.. 외계문명이 없을거라고 생각하기엔 너무 우주가 크네요

  • @user-iz4qd7ox2f

    @user-iz4qd7ox2f

    Жыл бұрын

    우주에 누가 1700개 있댜고 ? 무한대임

  • @user-vn3hc6kc8r
    @user-vn3hc6kc8r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모든 다중우주에 에너지를 끌어쓰기전에 열리학법칙 을 깨겠죠? 그리고 모든 다중우주에 에너지를 다 쓸수있다고 할때 그걸 다 쓸곳이 없을듯

  • @Kang-kg3ux
    @Kang-kg3ux Жыл бұрын

    잘 지내시죠? 화이팅!

  • @jangji0714
    @jangji0714 Жыл бұрын

    1. 뜬금없는 이론이지만 어렸을적 봤던 만화 그레이트 다간에서 나온 마지막 보스는 여러행성을 파괴시키고는 행성 핵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먹기위해 여러행성을 여행중인 외계인이라고 하더라고요 이런 종류의 외계인은 몇단계 분류이며 에너지 소비 자체가 의미없는 존재일지도... 2. 가령 외계인들이 행성을 찾을때 꼭 에너지소비로 행성을 찾는것이 아닌 자신들의 행성과 비슷한 행성을 찾는다는것은 어떨까요?? 우리 지구처럼 산소가 가득한 오존층이 있는지 아닌 지구와 반대로 이산화탄소로 가득한 오존층이 없는 행성을 먼곳에서 관측한후 이동하는 방식 또한 예상됩니다. 그래서 외계인들에게는 지구는 의미가 없는 행성이었을지도....

  • @mirainocouple

    @mirainocouple

    Жыл бұрын

    갤럭투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