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반도체 꿈? 그 꿈에서 깰 시간입니다. (강성용 교수)

강성용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교수
(녹화 시점. 2023년 7월 26일)
Q. 폭스콘, 왜 베단타와 깨졌나?
Q. 인도는 어쩌다 반도체 불모지 되었나
Q. 중국 대체할 인도, 아직은 멀었다?
Q. 미국은 인도 내 반도체 구축 도울까?
Q. 베단타는 도대체 어떤 기업?
Q. 베단타 자금난이 결정적 이유?
박종훈의 경제한방은 공영방송 KBS의 경제전문 유튜브 채널입니다.

Пікірлер: 344

  • @user-wd7es4qf7y
    @user-wd7es4qf7y11 ай бұрын

    인도 여행가보세요 내가 느끼기에는 과연 그곳에서 반도체가 생산될곳인지 내가 볼때는 우리나라는 둘째치고 중국 따라갈여면 아직 까마득 할것 같은데

  • @SK0814
    @SK081411 ай бұрын

    인도인들은 믿음이 가지않고 같이 사업관계를 유지하기 어렵다. 마치 그렇게 행동하도록 교육받은것처럼 99%의 인도인들이 똑같이 행동한다

  • @chulkjoung5148

    @chulkjoung5148

    11 ай бұрын

    100% 왠만하면 다른곳에 투자.

  • @Wheueiororldfb

    @Wheueiororldfb

    11 ай бұрын

    정답

  • @funlifestyle8001

    @funlifestyle8001

    10 ай бұрын

    인도에 오지 마세요, 한국인들은 사업을 하는 데 있어서 최악입니다 그들은 혜택만 원하고 적은 혜택을 위해 무엇이든 할 수 있습니다. 인도에 가지 말고 일본에 가십시오.

  • @chul-habaik5649
    @chul-habaik564911 ай бұрын

    전에 강성용교수님이 인도의 문화에 대하여 설명하셨던 비디오 클립을 유심히 듣고나서야 과거에 만났던 인도, 파키스탄사람들에 대해서 이해가 되더군요. 인도, 파키스탄사람들은 개인적으로 만나면 너무나도 순진하고, 착하고 좋은 사람들입니다. 하지만 사업관계에 들어가면 180도 돌변하죠. 말바꾸기가 당연한 일이죠. 그런데 강성용교수님의 설명을 듣고 나서, 아 인도, 파키스탄 사람들에게는 거짓말을 한다는 것이 절대로 도덕적으로 악한 행동이라는 생각자체가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 사람들은 자신들의 생존과, 이익을 위해서 거짓말을 하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통용이 되는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라는 것이죠. 그래서 인도사람들과 사업을 할려면 모든 것을 문서화하고, 만일에 자신들이 한 약속을 지키지 않을 경우 어떠한 불이익을 당하게 되는 가에 대해서 명시하지 않으면, 말로 하는 약속은 전혀 의미가 없죠. 인도사람들에게는 거짓과 사기조차도 arts of business로 당연히 통용이 됩니다. 당하는 사람이 그냥 바보죠. 그걸 알고 나서는 인도나 파키스탄 사람들과 사업관계를 맺는 것을 아주 조심하게 되었습니다.

  • @funlifestyle8001

    @funlifestyle8001

    10 ай бұрын

    나는 많은 한국인을 만났고, 그들은 내가 만난 다른 국적 중에서 가장 부정직했습니다. 그들은 무엇이든 거짓말하고 속일 수 있습니다. 개인 생활이나 직업 생활에서 그들은 결코 정직하지 않습니다.

  • @funlifestyle8001

    @funlifestyle8001

    10 ай бұрын

    인도인은 거짓말쟁이입니다. 그래서 인도인은 어디에서나 성공한 것입니다.

  • @user-tj8hm7kn6d

    @user-tj8hm7kn6d

    10 ай бұрын

    ​@@funlifestyle8001인도분이신것 같은데 한글로 글들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위 글이나 영상은 인도가 나쁘다고 이야기하는게 목적인것은 아닙니다 인도가 품고 있는 꿈과 현실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말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너희도 나빠 욕하지마 라는 식의 태도는 상황해결에 큰도움이 안될것 같습니다 인도는 외부에서의 투자가 필요하고 그투자는 예측가능한 정치 사회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어야 가능하고 이점에서 인도 투자하려는 사람들에게 상황설명이 필요하니 설명하는 겁니다 영어로 답변주셔도 됩니다 긍정적인 토론 해보시죠

  • @user-wl5vy1ut5v

    @user-wl5vy1ut5v

    10 ай бұрын

    ​@@funlifestyle8001조선족 아니면 인도 파키스탄인이네

  • @CapyCapie

    @CapyCapie

    10 ай бұрын

    @@funlifestyle8001 카레맨들만할까 ㅋㅋㅋ

  • @zzangpchkk
    @zzangpchkk10 ай бұрын

    인도가 인구와 노동인구가 풍족하지만 외자본이 안들어가는건 다 이유가 있다.....사업하시는분들 거이 대다수가 하는말씀....

  • @appp7566
    @appp756611 ай бұрын

    예전에 지인중에 중국에서 오래 사업했던 분이 계신데 이분이 여러가지 이유등으로 (가장 컸던게 인건비 상승) 인도로 옮기셨는데 정확히 1년 반만에 접으셨죠 한국 들어오셨을때 왜 그랬느냐고 물으니 하셨던 말이 아직도 기억에 남습니다. 어려워져서 피했더니 절망을 맛봤어... 아예 이건 뭐 그냥 벽이야... 중국에선 꽌시문화라도 있었는데 이건 도대체 할말이 없더라고... 하셨죠

  • @KoreaLiveTrends

    @KoreaLiveTrends

    11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비문명이란 무엇인가를 볼 수있는 나라죠. 21세기지만 아직도 19세기로 살고 있는 나라가 많습니다. 답없죠.

  • @user-gm8rm1cw9q

    @user-gm8rm1cw9q

    11 ай бұрын

    미국에서는 탈세하면 안되고 인도에서 기업을 하면 안된다는 속설이 있지요.글로벌기업이 두손두발다들고 나오는곳이 인도입니다.

  • @voiceofwind6588

    @voiceofwind6588

    11 ай бұрын

    강성용교수님 다른 인도강의 보고 망상의 나래 펼쳐서 쓴거네

  • @penyoung2416

    @penyoung2416

    11 ай бұрын

    준 공산국가임, 인도서 까라고하면 까야함, 안그럼 뒤끝오짐, 돈을 쓰던지 같이술먹고 같은패거리 되어도 돈필요하면 싹 돌아섬..사촌형님도 학을띠고 3년만에 평타하고 나오셨음

  • @upperhand3099

    @upperhand3099

    11 ай бұрын

    ​@@KoreaLiveTrends19세기면 다행이지 14세기도 볼 수 있음

  • @tomahawk1917
    @tomahawk191711 ай бұрын

    대다수의 장사꾼 같이 장미빛 전망만 말하는 전문가와 달리 냉철하게 장단점 분석하는 전문가는 강성용 교수 뿐이네요

  • @jjgg8640

    @jjgg8640

    11 ай бұрын

    왜 긍정적으로 말하면 냉철하지 않은거임?

  • @user-xq8tm5nm7s

    @user-xq8tm5nm7s

    11 ай бұрын

    ​@@jjgg8640긍정적인 면만 말하니까요

  • @user-ub1ty6qk2z

    @user-ub1ty6qk2z

    11 ай бұрын

    @@jjgg8640그런 사람들은 인도투자펀드 팔아먹으려고 마케팅하러 오는 사람들 많음

  • @user-ub1ty6qk2z

    @user-ub1ty6qk2z

    11 ай бұрын

    @@jjgg8640이머징 마켓 투자는 선진국 투자보다 훨신 어려운데 높은 성장률만 부각시켜서 투자금 받아먹으려는 시도가 비일비재함

  • @user-earthling

    @user-earthling

    10 ай бұрын

    @@jjgg8640 윗댓글에서 언급한 것처럼 장단점을 모두 분석해야 냉철한 거죠. 단점은 숨기고 장점만 말하면 냉철하지 않은 게 맞죠. 세상 어디에 장점만 있을 수 있나요?

  • @goora4
    @goora411 ай бұрын

    일단 가장 큰문제는 인도자체가 인프라가 힘듭니다... 노답입니다... 가보셔도 알고 현지인들을 만나도 알지만... 우리나가 세계에서 만나는 인도인들은 상위 1~3%인 사람들입니다...인도의 노동력이 좋을거라고 생각하지만... 언어 문화 중국보다 더 험난합니다... 일본 IT가 왜 산으로 가는질 안다면 인도 IT는 노답이라는걸 알수 있습니다... 인도는 자국내 인프라를 신뢰 할 수 없어서 해외 제조사에게 자신들이 만든 물건을 보증하라고 하는 나라입니다... 저나라가 성장할 길은 자국산 광물이나 단순 제조업 노동 분야가 답입니다... 문제는 4차 산업이 진행되면 자동화와 무인화로 인도는 넓은 국가를 통제하는데 있어서 중대 기로에 올겁니다... 인도나 베트남은 대체가능 한 국가가 아니라 저 인금 저 소비국가입니다.

  • @billyj1374
    @billyj137410 ай бұрын

    인도에 대해 긍정적인 면만 부각하며 눈먼돈 투자를 유도하는 장사꾼과 달리, 객관적인 시각 전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zd6sh2lk3h

    @user-zd6sh2lk3h

    10 ай бұрын

    그 나라에 가려면 그나라의 습성을 알아야죠. 처음 중국으로 진출할때 사기 엄청 당했었죠 중국 갔다 온 사람들 입에서 중국가니 회사 고위층이 마중나왔다고 ㅎㅎㅎㅎ 시간이 흘러 보니 대부분의 회사들이 사람이 능력이 없어도 다 직위를 가지고 있더라는 ㅎㅎㅎ 암튼 처음에 사기 엄청 당한걸로 알아요 인도에 진출 하려면 인도가 어떤 민족이고 생활이나 사고방식 이런거 알고 가는게 중요하겠죠. 우리 속담이 있지요 적을 알고 나를 알면 100전 100승이라고요 제 지인이 인도 처음에 은행 지점장으로 갔는데 조카가 서울에서 대학 못가고 지방대 가니 인도로 유학시키더라구요 지금 어찌 사는지 모르지만 외화만 유출되었을 거라 생각합니다

  • @wonhong8287
    @wonhong828711 ай бұрын

    츨장과 여행으로 많은 나라를 돌아다녀 봤지만, 인도가 제일 답이 없다고 느꼈음. 복잡한 정치 경제적 분석보다 그 나라에 사는 사람들의 성품과 수준을 접하고 내린 결론임. 중동도 마찬가지인데 운좋게 땅파서 먹고 살 수 있는 것 뿐임. 게으르고 무식함이 문제가 아님. 허세, 거짓, 교활,거칠음, 악랄, 약자에 대한 잔인함.... 전세계 피싱 사기 센터의 85퍼센트가 인도에 위치...

  • @KoreaLiveTrends

    @KoreaLiveTrends

    11 ай бұрын

    인도, 남미, ~스탄으로 끝나는 국가 등 답없는 국가 많죠. 21세기에 아직도 비문명국가.

  • @chosenjinbaka

    @chosenjinbaka

    11 ай бұрын

    허세 거짓 교활함 악랄 강약약강 이거 죠셍징을 표현하는 단어 아니야?

  • @starride4530

    @starride4530

    11 ай бұрын

    @@chosenjinbaka ㅎㅎ 썸네일부터 매국노네 ㅎㅎㅎ

  • @chosenjinbaka

    @chosenjinbaka

    11 ай бұрын

    @@starride4530 ㅎㅎ 그런데 내 말 자체엔 동의하지 않아?

  • @ABAB-qn3rw

    @ABAB-qn3rw

    11 ай бұрын

    @@chosenjinbaka 니가 제일 그럴거 같다. ㅎㅎㅎ 닉이 그게뭐냐? 유치하게 ㅎㅎㅎ

  • @won3711
    @won371111 ай бұрын

    남아시아 전문가 강성용 교수님❤

  • @user-ez1cl8fv9e
    @user-ez1cl8fv9e10 ай бұрын

    두 양반 다, 문장완성을 엄청 잘해서..신기함. 말 하다보면, 한 문장을 수정할 필요없이 완벽하게 , 구사하는 사람이 매우 드뭄. 인도 이야기도 흥미롭지만.. 언어 구사력때문에 놀람. 두분 다 머리 엄청 좋으신 듯

  • @user-rt3le3xy6z

    @user-rt3le3xy6z

    9 ай бұрын

    비문이 없죠 정말로

  • @moosimja
    @moosimja11 ай бұрын

    미국입장에서 인도 반도체를 키워주기 힘들듯 한국,대만은 컨트롤 할수 있지만 어디로 틜지 모르는 인도를 키웠다고 컨트롤 못하면 자칫 큰일 나버리니깐

  • @user-xu6lm8vl6s
    @user-xu6lm8vl6s11 ай бұрын

    강교수님 정말 대단하시다...... 최고

  • @michaelkim4103
    @michaelkim41039 ай бұрын

    어려움.. 반도체 공장 설립조건이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깨끗한 공업용수임. 인도에 가보면 알겠지만, 전력도 불안하고 상하수도는 진짜 꽝임. 인도가 첨단사업으로 가기위해선 국가개조가 진짜 필요함.

  • @user-db8bl9xu9k
    @user-db8bl9xu9k11 ай бұрын

    인도는 기본 인프라가 제대로 안되는데, 무슨 반도체?

  • @userganada

    @userganada

    11 ай бұрын

    자본주의 끝판왕 인도~ 이미 성장끝남~ 하지만 성장가능성은 무궁무진하긴함 ㅎㅎ 하지만 자본가들이 성장할 이유가없음 ㅋㅋ

  • @user-nu6gs6ei1m
    @user-nu6gs6ei1m11 ай бұрын

    귀한 말씀에 많은 영감을 얻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하며 시청하고 있습니다♡

  • @sintsoo
    @sintsoo11 ай бұрын

    아... 덥다. 이걸로 말 다한거 같은데요. 고급인력문제, 기후문제,지형문제,법적제도문제 등등 다 떠나서 더우면...힘들어요.

  • @user-ik9zl8ev9t
    @user-ik9zl8ev9t11 ай бұрын

    기다렸습니다. 강성용 교수님 박종훈 기자님과 콜라보 멋져요

  • @user-pw5rz1wl7u
    @user-pw5rz1wl7u11 ай бұрын

    인구 많은 국가가 성장하면 골치 아파집니다.

  • @fadaf610
    @fadaf61011 ай бұрын

    인도와 중국상황은 다르지 ㅋㅋ 인도는 일단 주변국에 잘사는 나라가 없는데 .. 흐름을 보자면 일본은 이미 메이지유신때 중공업발전에 성공함 .. 그다음 중국의 중공업을 쏘련에서 전수받고 .. 그다음 아시아의 4마리 용해서 한국 홍콩 대만 싱가폴이 제조업으로 성장하고 산업구조조정을 업그레드한상태 .. 이런 경제체들이 중국의 경공업발전과 상호보완하면서 + 미국유럽 (시장) 한테 팔았는데 .. 인도주변엔 저런 튼튼한 경제체들이 없음 파키스탄 미안마 방글라데시 이런 작은나라들이 정치적으로 안정적이고 전력문제 교통문제없이 신발만들수있는 물류수준이 되면 그때쯤이나 성공가능한 말이겠지

  • @schragwerk
    @schragwerk11 ай бұрын

    일본,한국,대만의 하이테크 반도체 기업 발전사를 보면 공통적으로, 기업 몇개가 아예 그룹 전체 몇십년 미래를 묻을걸 각오하고 계속 실패해도 포기하지 않고 성공할때까지 몰빵해서 겨우 해낸게 이정도입니다. 즉, 장기적 손해를 감수하고 차곡차곡 빌드업해서 쌓아올린 결과죠. 그런 조약돌 하나도 버리지 않고 긁어모아 쌓아올린 몇십년 공들인 탑을 1년에도 몇번씩 선거하느라 길바닥에 돈을 뿌리는 인도 정치판 주도로 하라구요? 이미 인도도 BJP가 장기집권 밀어붙이려고 또 길바닥에 돈 뿌릴 준비하는데? 하이테크 기술집약 산업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건 이 기술이 우리 미래 먹거리다라고 믿음을 줄수 있는 신용과 기술을 갖춘 기업의 집중투자 그리고 이를 끈기 있게 지원할 정부와 국민적 합의입니다. 독재 이딴게 아니구요.

  • @robotcobit6439

    @robotcobit6439

    11 ай бұрын

    유교권인 동북아가 좀 언급하신 노력에 잘 맞네요.

  • @ghsehs

    @ghsehs

    11 ай бұрын

    중국은? 그래서 않되는건가? 건아니고 미국이 튀어나와서 조지기전에 1700억달 러 투입해서 넘어설라고 한다고 언론 설레발친게 엇그제 같은데? 이얘기 아니고 독재를 말하려고 햇는데? 어떤일을 달성하는데는 고상한 뜻이나 관념 따위보다는. 현실적 문제해결이,의지가 주가된다는것!

  • @user-fo7es6ip4h

    @user-fo7es6ip4h

    11 ай бұрын

    인도는 민주주의 국가입니다. 독재와 거리가 멀어요. 그리고 한국의 반도체 산업의 발전은 삼성이란 재벌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재벌이 돈이 많았으니까요. 어떻게 돈이 많았을까요? 박정희 시대 개발독재의 부산물입니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박정희 독재의 혜택을 입고 있는 중입니다.

  • @ghsehs

    @ghsehs

    11 ай бұрын

    @@user-fo7es6ip4h 그것을 어떤 b모는 미국이 일본을 견제하려고,별거없는 제품을 밀어줬다는듯이 말하더군! 언론출신이나 문.사.철 애들은 그런식으로 결과를 보고 끼워 맞추기식으로 해석하고 무슨통찰이라도 발휘한듯이 말하더군! 물론 영향 없다고는 할수없지! 하나 다 그렇게 맞춘것처럼 그리돌아가던가? 미래는 예측은 맨날 틀리더군!인정하는법이없이 이유가. 매번있어! 고혓바닥을 치을놔줘야 할듯! 민주화운동하던 놈들 조선 유교쓰레기 들 하는행태와 똑같애! 주둥질하는 것들 좀배제하고, 일을 하는 사람들끼리 미래계획을 가지고 추진해보고싶다. 또 박정희식 개발독재라고 씹어대겠지! 상관없다! 어차피 뒤에서 주둥질하는 것들이 뭘 이루는것을 역사에서 본적이없다. 누가 그랫던가? 내게 걸리적거리는 것들을 모두치웠다! 그리고 칭기즈칸이되었다! 이게 실체다!

  • @heyteed7143

    @heyteed7143

    11 ай бұрын

    20%의 인도인 칩 설계인력도 곧 실업자가 되겠네요.. AI와 로봇시대는 개발직, 설계직, 법무직, 의료직, 문화예술분야 등등에게는 지옥도를 만들어 줄겁니다. 외국자본으로 들여온 기업에게 AI와 로봇세를 걷을 수 있는 강력한 시장이나 정부를 지니지 못한 나라들(한국포함)은 어려운 시대가 될듯요.

  • @ojk2901
    @ojk290111 ай бұрын

    중국도 십년이 넘는시간동안 몇백조쓰고도 자리 못잡은 반도체인데.. 인도가 하고싶다고 .. 중국만큼 쓸어넣을 생각아니라면~~

  • @user-ns6sb6rl3h
    @user-ns6sb6rl3h11 ай бұрын

    중국 전문가들은 중국 평할때 매우 우호적이고 낙관적으로 평가하는데 강성용교수님은 전문 분야 국가를 냉정하게 평가하심.

  • @user-ns6sb6rl3h

    @user-ns6sb6rl3h

    11 ай бұрын

    @@byndspark1790 죄송합니다 조선족 나으리

  • @np.6283

    @np.6283

    11 ай бұрын

    ​@@byndspark1790죄송합니다

  • @whuh8344

    @whuh8344

    11 ай бұрын

    중국이랑 인도가 비교가됨? 걍 중국옹호하면 그저 조선족으로 몰고가지 예전에 우리가 일본에서 기술훔쳐올때도 일본 틀딱들이 이렇게 무시했겠지

  • @whuh8344

    @whuh8344

    11 ай бұрын

    ​@@byndspark1790오히려 너같은 틀딱들때문에 중국이랑 진핑이한테 따라잡히지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은 이미 중국한테 가성비로 상대가 안됨. 계속 견제하고 쫓기는 입장인걸 생각하고 발전할 생각을 해야지

  • @fadaf610

    @fadaf610

    11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6퍼성장한거보고 디플레라고 하는 한국ㅈ문가 ㅋㅋㅋㅋㅋㅋㅋㅋ 자기네들은 1조7천 규모에 1퍼성장한거는 긍정적이고 18조 규모에 6퍼성장한 중국은 디플레래요 아이고 깔깔깔 지들 레고랜드 50조 +@ 한거로 겨우막고 쉬쉬하고 중국은 3년내내 헝다가지고 중국 망한다고 분석하는게 한국 ㅈ문가 아니노 ? 한국은 서울수도권에 몰빵해서 인구의 절반이 수도권이살지 지방도시는 거의 황무지수준인데 ㅋㅋ 근데 중국 지방도시를 비웃네 ?ㅋㅋㅋ 중국 재해는 인프라탓이고 지네홍수재해는 기후탓이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이고 언론의 자유 ? ㅈ문가들과 언론이 사람들의 사상과 인식을 그쪽으로 유도하는데 이게 언론의 자유 ? 생각의 자유 ? 풉ㅂㅂㅂㅂ

  • @user-ue9kw9lo5y
    @user-ue9kw9lo5y11 ай бұрын

    결국 인도 정부가 70~80% 지원하고 인도 기업이 20~25% 출자하고 5~10% 투자한 외국 반도체 기업이 경영권+..?을 가져야 투자 가능한 상태...

  • @user-mq1rx2em1d
    @user-mq1rx2em1d11 ай бұрын

    내용... 고맙습니다.

  • @johnwoo665
    @johnwoo6656 ай бұрын

    강성용 교수님 영상을 볼 때마다 이분은 정말 인도에 대해서 뼈속까지 아시는 분이구나 싶은 감탄이 드네요 ㅎㅎ 그리고 한가지 또 재미있는 게 동영상 제목이 너무 재미있어요. '중국은 명함도 못 내밀 인도의 국뽕주의' , '인도의 반도체 꿈? 그 꿈에서 깰시간입니다' , '인도가 지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등등 ㅋㅋㅋㅋ 인도의 적나라한 현실에 대한 재미있는 풍자 같아서 유머감각도 있으신 분처럼 느껴지네요.

  • @jks9110
    @jks911010 ай бұрын

    인도가 아무튼 발전할거라는 장밋빛 희망보다는 차라리 차근차근 제조업 밑바닥부터 다져가는 방글라데시가 더 희망적으로 보임

  • @P01tava

    @P01tava

    9 ай бұрын

    내 말이 ㅋㅋㅋ 방글라가 얼마전에 인도 인당 GDP랑 성장률도 추월해버림, 인도는 벌써 원동력이 시들해지는 중

  • @user-dq6do3ri4o
    @user-dq6do3ri4o11 ай бұрын

    고인력은 많은데 그 인력을 받아줄 일자리는 20년째 없다.. 할 말 다했네요 인도

  • @gice591
    @gice59110 ай бұрын

    관료제가 심하지 않은 나라는 없지만 인도는 좀 많이 심하죠;; 거의 모든 산업에 대해서 지방관료 중앙관료에서 부처를 가리지 않고 이런 저런 명목으로 빨대 하나씩 꽂아놓은곳이라

  • @user-uw4pm2xz6h
    @user-uw4pm2xz6h11 ай бұрын

    산업이란 1차산업 => 중공업=>정밀공업으로 차근차근 진행해야지. 건너뛰면 실패하지.

  • @Wicle

    @Wicle

    11 ай бұрын

    어차피 전국에 전신주 까는건 늦옸으니, 바로 무선 인터넷으로 가자! 하는게 인도 정부임

  • @P01tava

    @P01tava

    9 ай бұрын

    당장 옆나라 방글라가 1차 -> 2차 중/정밀공업 타니까 얼마전에 인도 성장률이랑 인당 GDP 추월함. 인도는 실패함.

  • @KaycyC-kn9bq
    @KaycyC-kn9bq11 ай бұрын

    선생님 말씀 찰지게 재미있게 하시네요! 👏 전문가 시네요.

  • @jkijljbnj7165
    @jkijljbnj71657 ай бұрын

    인당 gdp 5000달러도 안되는 나라 경험하고 와서 좋은 얘기만 한다는 건 그냥 그 나라에 대해 잘 아는 게 아무것도 앖다는 얘기죠. 그런 면에서 강성용 교수님은 보물과 같은분

  • @jw.p4015
    @jw.p401511 ай бұрын

    it잘하고 똑똑하고 부지런한 인도인은 다 미국인임 ㅋ 인도계 아메리칸ㅋㅋ 본토랑 관계가 없음..다들 헷갈려함 ㅋ

  • @youcantata
    @youcantata11 ай бұрын

    반도체는 공장하나 짓는 데 100억 달러씩 들어가는 자본집약적 사업인데 아무리 인도유수의 재벌이라도 자금난에 시달리는 기업이 할만한 업종을 아님. 정유공장처럼 공장만 짓는다고 물건이 나오는 것도 아니고 경기가 나쁠때는 몇십억 달러씩 적자를 내면서 버텨야 하는 사업인데 인도 재벌은 그게 가능하지를 않지. 일본이나 유럽도 한국 대만을 따라잡는데 어려움을 겪는데 인도가 가능한 사업이 아님. 중국이 90년대 중진국으로 올라서기 위해 했던 노동집약 산업부터 이제 임금이 비싸져 경쟁력이 떨어지는 중국으로 부터 물려받아야 할 때임. 예를 들어 인도의 이웃인 방글라데시를 보면 지금 중국이 하던 봉재의류업이나 선박해체업 같은 이제는 중국도 임금이 비싸지고 인력을 구하기 어려워 손을 떼고 있는 산업들을 가져와서 요즘 방글라 경제가 인도보다 잘나가고 있음. 인도 파키 방글라 중 제일 못살던 방글라가 요즘 1인당 GDP 는 셋 중에서 1위로 올라감. 또 저임금 제조업도 꾸준히 발전하고 있음.

  • @kevindevaojoo8882

    @kevindevaojoo8882

    10 ай бұрын

    인도 방글라는 다 똑같은 족속임 종교 다르다고 다른나라 인양 쑈하는 저질 잡종들

  • @Frogvitamin
    @Frogvitamin11 ай бұрын

    중국대체가 쉽지않음 중국공산당이라 강제로 환경 노동인권 신경 안쓰면서 할수있는거임 동남아는 기술력때매 순도및경제성이안나오고 선진국은 환경인권문제 ESG를 하면 할수록 중국의존도에서 벗어날수없는 아이러니

  • @grandstrategy8987
    @grandstrategy898711 ай бұрын

    돈으로 가능했으면 진작에 중국이나 중동에서 반도체 산업을 석권했겠죠. 인도는 지정학적으로 반도체 산업으로 뛰어들기 너무나도 가혹한 상황이에요. 한국은 적어도 옆에 일본이라는 나라가 있어서 오늘날 반도체 생태계의 가장 아랫자리를 하나 차지할 수 있게 되었던 거죠. 인도 주변에 인도를 도와줄 만한 나라가 1도 없어요.

  • @KoreaLiveTrends

    @KoreaLiveTrends

    11 ай бұрын

    돈이된다 미래산업이다 하니 지들 주제도 모르고 뛰어드는거죠, 베트남이 삼성에 반도체 공장 세우라고 압력하는것처럼ㅋㅋㅋ

  • @grandstrategy8987

    @grandstrategy8987

    11 ай бұрын

    @@KoreaLiveTrends 베트남은 지정학적으로 현실적인 제안이죠. 인도는 일단 소부장을 근거리에서 제공해줄 나라가 없어요. 베트남은 바로 위에 중국있고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일본과 한국이 있잖아요. 베트남의 지정학은 경제만 고려하면 인도보다 훨씬 좋죠. 인도주변엔 싸우거나[파국 중국], 돌봐줘야 하는 나라[스국 방국]만 있을 뿐이니 말그대로 고립된 섬입니다.

  • @abjsjhhr4574

    @abjsjhhr4574

    11 ай бұрын

    ​@@grandstrategy8987맞아요. 반도체를 겉으로만 아는 사람들은 공장만 만들면 끝인줄 알아요. 한국도 소부장에서 자유롭지가 않은데 인도는 말할것도 없고 100% 수입이죠. 국산이라고 따라만든 국내 장비도 주요부품은 죄다 일본 미국 유럽산...

  • @kaungj5633
    @kaungj563311 ай бұрын

    인도는 중국과 베트남 시장을 대신할 수 없는 나라라 봅니다..정치가와 공무원 모두가 부팽해서 도저히....중국만큼 부패한 나라

  • @kevindevaojoo8882

    @kevindevaojoo8882

    10 ай бұрын

    여자 강간해도 대부분 처벌도 안하는 나라인데 한국 방송사 개색히들 인도 파키 방글라 엄청 미화해줌 개대중세력이 장악해서리

  • @Tube.jong_hyeok
    @Tube.jong_hyeok11 ай бұрын

    제조업은 나라가 중요한게 아니라 일하는 사람이 중요한듯보입니다 사람이요. 인도인들? 글쎄요..한국인만큼 게으르지않고 열심히 할까요. 사람갈아넣어서 만든다는 말이 괜히 나오는게 아닌데 ㅎㅎ

  • @Hwa-ng60
    @Hwa-ng6010 ай бұрын

    강성용 교수님. 모든 방송 재미있게 잘 듣고 있어요. 들을수록 인도는 참 신기한 나라 같아요.

  • @user-yb6gt3yg4h
    @user-yb6gt3yg4h11 ай бұрын

    후배중에 인도로 주재원 3년 다녀온 친구가 있는데. 혀를 내두름...

  • @youngyoung7080
    @youngyoung708011 ай бұрын

    인도나 한국인이나 태어날때 능력은 같은데, 인도는 능력있으면 이민가니까 본국에 바보만 남아서 그래요

  • @seaname1
    @seaname111 ай бұрын

    에? 6초전? 인도이야기? 이건 못참지

  • @LRX40
    @LRX4011 ай бұрын

    인도인들은 욕심이 많고 똑똑한데 게으른게 약점😂

  • @JH-ek5bn

    @JH-ek5bn

    11 ай бұрын

    그런 욕심많고 똑똑한 인도인들은 대부분 미국가 있음ㅋ

  • @user-fl3of2wp6w
    @user-fl3of2wp6w11 ай бұрын

    베단타가 이전에 디스플레이도 하려고했던 회산데 ㅎ~~~

  • @user-fl2nr7vi5m
    @user-fl2nr7vi5m11 ай бұрын

    중국이 임금상승기인데도 임금 안올리고 버티고 있던데 임금상승에의한 공장이탈로 다른곳에 간다면 그렇다면 갈만한데가 있을까 인도베트남 둘다 힘들다는데 그럼 어디에?

  • @user-fz6il5im3r
    @user-fz6il5im3r10 ай бұрын

    이런 영상을 볼 때마다 우리나라 기업인들의 선견지명이 돋보입니다.

  • @user-gu4vj6im7v
    @user-gu4vj6im7v10 ай бұрын

    인도가 정치적 제도만 잘 셋팅하면 해외 공학계열 인력 수출 보다 더 많은 고용 인력 창출과 국가 이익이 높아질 텐데...아직 준비가 없다는 것이 아쉽다.

  • @user-pc2yg1re7d

    @user-pc2yg1re7d

    10 ай бұрын

    글쎄요. 해외 공학 인력이 미쳤다고 인도에 다시 돌아갈까요. 우리나라도 만만치 않을 정도인데 ㅋ

  • @jiseo6298
    @jiseo629811 ай бұрын

    폭스콘이 중국에서 하던데로 인도에서 그냥 하겠다면 절대 성공못하지. 공산당 독재에서 사람부리는거하고 인도에서 사람 쓰는게 천지차이인데.

  • @user-bm6hj4wf5u

    @user-bm6hj4wf5u

    11 ай бұрын

    슬리넘치고 조쿠만

  • @1stepofall918

    @1stepofall918

    11 ай бұрын

    공산당 독재나 힌두 국수주의 독재나 다를건 없지 오히려 중국이 학력 수준이나 사회 인프라나 좋기 때문에 다른곳으로 떠날수 없는거야 자본주의 원리 그대로 중국이 인도보다 훨씬 좋기 때문에 거기서 빠저나오기 쉽지 않은거고

  • @feelssogood4011

    @feelssogood4011

    11 ай бұрын

    ​@1stepofall918 대표적으로 박종훈임. 일본 망했다고 하다가 최근 탈중국 하면서 대체국가 논하면서 나오는 뇌피셜에 일침 가하는듯.

  • @userganada

    @userganada

    11 ай бұрын

    공산당이 왜 독재임?? 미국자본이 세계를 독점했는데 공산당이 독재임?? 누가봐도 미국이 독재하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jambread848
    @jambread84811 ай бұрын

    거 인도는 알면 알수록 더 노호프 노퓨처 초썩스 하네요 ㅋㅋㅋㅋㅋㅋ

  • @chairshot

    @chairshot

    11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pc2yg1re7d

    @user-pc2yg1re7d

    10 ай бұрын

    와 나도 해외경험은 필리핀 뿐이지만 인도 애기 들어보면 동남아보다 더 밑이 있다는 것에 충격임 ㅋ

  • @youcantata
    @youcantata11 ай бұрын

    인도가 반도체 사업을 하고 싶으면 반도체 패키징 사업을 해야함. 원래 한국이나 필리핀 같은 나라가 하던 노동집야 산업인데 거대 자본없이도 저임금으로 적쟎이 수출 실적과 괜찮은 외화 획득이 가능함. 지금은 말레이지와 태국이 이 분야 1등인데 특히 말레이의 수출비중 1위가 반도체 패키지 이고 이들이 중진국 최 선두권에 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한 사업임. 이들도 이제 점차 임금이 올라서 어려워지고 있음. 그런 사업을 인도(GDP 1 인당 2257달러) 가 가져와서 하면 지금 말레이 (11,110 달러) 태국 (7,066) 정도 까지는 발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임. 다만 그러기 위해선 선진국 공장을 유치할만한 도로 공항 항만 전기 수도 치안 법원 등 사회적 인프라를 갖추어야 함. 필리핀은 그런 조건이 안되어 몰락함.

  • @user-mn3gk6ci3r

    @user-mn3gk6ci3r

    11 ай бұрын

    오늘 아침에 비슷한 내용을 신문에서 봤는데 까막눈이어서 잘 이해는 안갑니다. 패키징이란게 쉽게말해 그냥 완제품 조립인가요? 미국 마이크론인가 뭔가 하는 반도체 회사가 8억달러 투자하고 20억달러 인도로부터 보조금 받아서 구자라트주에 공장을 지었다합니다. 구자라트에 지은 이유는 정치적 선전목적이 크다고.... 그래서 20억달러라는 거액의 보조금을 인도로부터 받을수 있었다고 그러네요.

  • @abjsjhhr4574

    @abjsjhhr4574

    11 ай бұрын

    ​@@user-mn3gk6ci3r 반도체공정은 크게 웨이퍼제작 그리고 웨이퍼를 다시 패키징하능 공정으로 나뉩니다. 패키징은 쉽게말해 컴퓨터 CPU로 예를들면 CPU껍데기 제작 공정입니다. 웨이퍼는 그 껍데기 안에 들어있어서 겉으론 보이지 않아요.

  • @abjsjhhr4574

    @abjsjhhr4574

    11 ай бұрын

    ​@@user-mn3gk6ci3r 그나마 패키징이 쉽긴 하지만 인도에서 가능할지 의문이네요. 성실하고 정직하고 꼼꼼한 사람들이 해야하는 업종인데 거짓말 밥먹듯이 하는 인도인들이 만들면 분명 수율 개판날것같네요

  • @kor_cinnamon

    @kor_cinnamon

    10 ай бұрын

    와ㅠ말레이시아가 만달러를 넘노

  • @victorchoi8102
    @victorchoi810211 ай бұрын

    성공한 외자 기업 살례도 살펴 볼필요가 잇겟네요

  • @gumsaeout-33
    @gumsaeout-3311 ай бұрын

    왜 안들어갈까요. 감사합니다

  • @ThinkpadMania
    @ThinkpadMania11 ай бұрын

    핵까지 보유한 나라. 미국이 같은 실수를 반복할까. 인도에게까지 관대해지지는 않을것 같은데.

  • @user-xn4xn6np7t
    @user-xn4xn6np7t10 ай бұрын

    아세아에서 공업부문 장사는 딱 베트남까지다...더 남쪽으로 더 서쪽으로는 망길

  • @user-gj7cf5jj7j
    @user-gj7cf5jj7j11 ай бұрын

    인도는 이론은 정말 빠삭하지만 공장이 되기엔..

  • @user-jk2cj1fy3z
    @user-jk2cj1fy3z10 ай бұрын

    전기도 불안한 인도에서 무슨 반도체😅

  • @SGNA-um7uw
    @SGNA-um7uw11 ай бұрын

    순간의 비난이나 책임을 모면하기 위해 거짓말을 밥먹듯이 하는 걸 겪고나면 이것들과는 상종을 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절로 들죠 ㅋㅋㅋㅋ 머린 좋은 것 같은데 성실함, 정직성과는 매우 거리가 있습니다.

  • @G80G70
    @G80G7011 ай бұрын

    한국내 기적처럼 성장한 IT기업 한컴도 인도에서 싸고 능력있는 인재들 쓸수있다는 희망으로 인도 갔다가 학을 띠고 발을 뺀거는 다 이유가 있었던거.

  • @__Kimes

    @__Kimes

    10 ай бұрын

    한컴....기적처럼 성장..ㅋㅋㅋ..부들부들합니다.

  • @codex-oe3xu

    @codex-oe3xu

    10 ай бұрын

    등신 기업 한컴을 이야기 하네요 ㅋㅋㅋㅋㅋㅋ

  • @user-cn7ll2zc5v
    @user-cn7ll2zc5v11 ай бұрын

    위아래털이언발란스하네요ㄷㄷㄷ

  • @captinpriceentarozeratul8114
    @captinpriceentarozeratul811411 ай бұрын

    강교수님 말씀데로 아다니 사태는 1달만에 유야 무야 되었습니다 월가의 공매도 세력들이 아다니그룹과 인도 사회를 너무 만만하게 본 것 같습니다 그놈들 엿먹은 거 보면 고소하고 유쾌 상쾌 통쾌 하군요 😂😂😂

  • @Justin-cw3sp
    @Justin-cw3sp11 ай бұрын

    역시 남아시아에 정세 관한한 한국 최고의 석학. 이런분을 외교부 중책을 맡겨야하는데.

  • @JayKimJr

    @JayKimJr

    11 ай бұрын

    인도는 서 아시아 아닌가요

  • @__Kimes

    @__Kimes

    10 ай бұрын

    ​@@JayKimJr서아시아면 중앙아보다 더 서쪽이어야지요

  • @tomlee9736
    @tomlee973611 ай бұрын

    나라 돈 빼먹기가 제일 쉬워요..

  • @NADA--NADA.
    @NADA--NADA.11 ай бұрын

    내가아는 폭스콘은 제조업 하청이나하는 기업이고 디스플레이 기술도 솔직히 대만제나 중국제가 싸서 쓰지 아이폰도 그냥 부품주면 조립이나하는게 폭스콘일텐데 LG 디스플레이수준은 절대아닌데 갑자기 최첨단기술 반도체를 생산하겟다는게 어불성설이죠 나름 과거 기술력이있는 일본조차도 10나노이하는 어림도 없고 20나노대에서 놀고잇을텐데 삼성이나 tsmc 괸히 2대 기업이 아니죠 유이하게 5나노이하 생산기술가졋으니

  • @user-ny2cu8os3j
    @user-ny2cu8os3j11 ай бұрын

    영상편집을 누가하는지 왜 끝이 꼭 잘린것 같은 기분은 볼때마다 들까???????????????????????????? 끝이 꼭 잘린 것 같은 느낌.......................................................

  • @Supermario0429
    @Supermario042911 ай бұрын

    종팔이형 폼 미쳤다

  • @jeonggeunkim6002
    @jeonggeunkim60023 ай бұрын

    인구와 국토위치 그리고 광대한 바다를끼고 있고 유럽도 동아시아 3국보다는 더가깝고 그런 인도가 영국이 엄청난 철도와 항만등 온갖 인프라와 공장들을 건설해서 물려 주었는데도 발전을 못했을까? 그냥 쓰레기 국가였음 10분마다 강간이 일어나고 일년에 수만건의 강간 사건과 살인사건 등 온갖 범죄도 일어나는 국가.. 인프라는 영국에서 독립당시 그대로이고 (별로 발전을 못했고 노력이 없었다는 이야기임) 바다에다 유럽 전체가 200년동안 버려온 쓰레기 량과 오물을 단 30년만에 버려 오염 시키고 지구온난화를 가속시키며 바다속 생물들을 멸종시키는 나라 중국과 쌍벽을 이룸 인도네시아 필리핀 방글라데시 모두 마찮가지 이지만 인도가 심함

  • @user-tj8mi5hd3x
    @user-tj8mi5hd3x11 ай бұрын

    에코급* 백배 간다? 로봇 전기차 배터리_티피씨글로벌 ❤ 현대 인수..시총 280억ㆍ배터리.로봇.전기차❤ 티피씨글로벌 -현대가 인수한다? 현대 투자-로봇감속기 점유율 1위...실적,기술,특허 1위- 현대로보틱스 엘베 현대차 등 현대 독점 공급

  • @user-vn5ms3vi8s
    @user-vn5ms3vi8s9 ай бұрын

    외국인에게는 비판조차 용납 못하면서 정작 자국민에게는 일상적으로 혐오발언을 하고(거의 모든 댓글마다 보임) 역차별을 하는 한국인들의 이중성도 툐나옵니다. 자국민에게는 한없이 엄격하고 쟌인하고 싸우기만 하면서 외국인에게는 한없이 관대하고 굴죵적이고 자국민보다 더 우대하는게 한국인들 입니다. 부끄러운 줄 아시길....

  • @user-nu2el5yt5d
    @user-nu2el5yt5d10 ай бұрын

    지금이 인도가 강국으로 클 절호의 찬스인데, 외자 유치에 전심전력 다해서 인도 경제 부흥시키면 힘의 균형도 유지하고 좋을 텐데, 하늘이 준 기회를 박차고 마는구나! 인도의 it인력 우수성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만 발휘되나 보네!!

  • @P01tava

    @P01tava

    9 ай бұрын

    기회가 있어도 걷어차는게 아니라 내부문제가 너무 심각해서 폭망

  • @Shell_Mini
    @Shell_Mini11 ай бұрын

    인도인들 뒷통수 잘치는 것을 칭찬하던 교수가 있던데.... 그 교수는 이 문제를 강성용 교수와 어떻게 다르게 볼지 궁금하네요.

  • @user-kq5kk1nf3y
    @user-kq5kk1nf3y11 ай бұрын

    아! 인도 계륵이다

  • @jhh7933
    @jhh793310 ай бұрын

    인도는 그냥 소프트만 하는 걸로

  • @iternetlee
    @iternetlee11 ай бұрын

    애시당초 폭스콘이 반도체기술이 없으면서 저 프로젝트를 하려고 한거부터가 개그아닌가요?ㅋㅋㅋ

  • @batuu2601
    @batuu260110 ай бұрын

    로봇을 개발해서 국내에서 다만드는것이 인건비 절약

  • @No-ur5ej
    @No-ur5ej11 ай бұрын

    byd하고 인도사건도 다뤄보시죠 잼날건데

  • @Dioxine666
    @Dioxine66611 ай бұрын

    종훈이형, 가즈아!

  • @user-op8hu6eg9o
    @user-op8hu6eg9o10 ай бұрын

    인도 제조업 기반이 전무한 나라입니다. 그나마 소프트웨어로 먹고 사는게 전부입니다.

  • @jks9110

    @jks9110

    10 ай бұрын

    그 소프트웨어도 뜯어보면 그냥 코딩인력 저가로 팔아먹는 수준이죠. 자체적 소프트웨어 산업도 거의 없다고 봐야함.

  • @P01tava

    @P01tava

    9 ай бұрын

    소프트웨어도 허울뿐이고 사실상 제약산업 제외하고는 농사밖에 없죠.

  • @user-dw3qx9od2u
    @user-dw3qx9od2u27 күн бұрын

    인도 광물자원 회사 베단타.

  • @user-ie2qc6vl2p
    @user-ie2qc6vl2p21 күн бұрын

    인도에 반도체 패권은 절대로 못감 미국이 콘트롤 불가능 하거든….

  • @heontaekim8829
    @heontaekim882911 ай бұрын

    덤앤더머인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가 그렇게 우습게 보여?

  • @abckorea38
    @abckorea3810 ай бұрын

    아 폭스콘 들어오지말어~~ㅎㅎ 너말고도 들어올 사람 많어 뭐 2주만에 다시 인도로 옮기고 싶다고? 어림도없지

  • @captinpriceentarozeratul8114
    @captinpriceentarozeratul811411 ай бұрын

    역시나 .. 저도 강교수님 견해에 동의 합니다 발전소나 항만 공항 인프라가 아다니나 릴라이언스에게 기대는 데.. 그리고 세금이 안걷히는 구조로 정책이 유지 안되죠 ..

  • @seomike9459
    @seomike945910 ай бұрын

    믿을수 있는 인도인은 어디있나요?

  • @DI-gc4sn
    @DI-gc4sn11 ай бұрын

    인도는 중국의 견제용으로 활용되는거...

  • @taenggu7454
    @taenggu745411 ай бұрын

    중롸 여자 스파이.로비 라도 받으신 듯

  • @P01tava

    @P01tava

    9 ай бұрын

    팩트를 말해도 그냥 스파이로 매도 ㅋㅋㅋㅋ 님은 인도에 투자하십쇼 ㅋㅋㅋ

  • @kasasagi-kun
    @kasasagi-kun11 ай бұрын

    26일 녹화하고 자막달고 금일 영상준비하신 KBS 직원분들께 감사를 표합니다

  • @DokdoHanbokKimchiDaemadoKOREA
    @DokdoHanbokKimchiDaemadoKOREA11 ай бұрын

    인도는 반도체 할 때가 아니라 중국이 하고 있는 자원가공납품, 제조공장 만들어서 대체해야지 중국 경제성장 고대로 뺏어서 인도경제 부흥하고 중국 몰락시키기까지 1타 쌍피인걸 적극적으로 안하고

  • @userganada

    @userganada

    11 ай бұрын

    도대체 중국망하게 해서 득이뭐임? 중국중산층이 하두많아서 그러는거임? 부러워?

  • @userganada

    @userganada

    11 ай бұрын

    하여간 자유주의자들은 남 망하게하는걸 더럽게 좋아해 그러니 내란일을키려고 별짓을하자지

  • @gemstonesongof2070

    @gemstonesongof2070

    11 ай бұрын

    ​@@userganada 중국에 대해 뭐라고 하면 한족 친구가 중국이 잘 살아서 그러냐고, 부러워서 그러냐고 자꾸 그랬었는데;;(그 친구 현재 한국 회사 재직중)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중국의 정치체제가 계급사상에 기초한 '인민민주주의 독재(人民民主 专政)'를 지향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함. 근거리에 정치체제가 너무나 상극인 국가이기에 언제라도 적이 될 수 있음.(북한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이미 적이지만) 경제적으로는 기업 vs 기업으로 싸울때도 독재를 지향하는 국가의 기업과 싸울땐 기업 vs 국가가 되어 국민 주권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국가의 기업이 불리할 수 있다고 생각함. cf.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1조 1항 : '중화인민공화국은 노동 계급이 지도하고 노농동맹을 기초로 하는 인민민주주의 독재의 사회주의 국가이다' // 1조 2항 : '사회주의 제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근본 제도이다

  • @youngpark3594

    @youngpark3594

    11 ай бұрын

    ​@@userganada미국이 중국을 부러워해서 중국을 망하게하려는것. 다른나라는 관심없고. 누가 이기든. ㅎ ㅎ

  • @user-zp5yl9cd4j

    @user-zp5yl9cd4j

    11 ай бұрын

    ​@@userganada응 중국은 커지고 강해지면 주변 국가 침략해서 싫어. 미워 죽겠어. 그리고 6.25때 북한에 항미원조라면서 군인들 보낸곳도 중국이잖아? 응 그래서 엄청 싫어. 됐니?

  • @cityace328
    @cityace32811 ай бұрын

    인도에는 머리는 까맣고 수염은 허연 사람이 많은데, 저분은 인도전문가 이기 때문에 용모를 인도스타일을 따른겁니다...

  • @sigsigsigsig427
    @sigsigsigsig42711 ай бұрын

    인도? 폭스콘? 경험도 없는 하청끼리 뭘 하려고 둘다 별 볼일 없는 것들

  • @hesist
    @hesist11 ай бұрын

    집에 화장실도 없는 나라에서 무슨...

  • @joedrtic0032
    @joedrtic003211 ай бұрын

    본질은 미국의 투자의지임.. 전체주의 중공의 국가총력 투자인 반도체도 미국이 막으니 실패했음 반면 미국이 밀어준 대만, 한국은 반도체가 성공함.. 안밀어줬으면 미국/일본/유럽이 독식했을거임

  • @userganada

    @userganada

    11 ай бұрын

    전체주의가 뭐에요?

  • @2jaemyungE
    @2jaemyungE10 ай бұрын

    후진국은 중진국이 될 수 없고, 중진국은 선진국 진입할 수 없음. 벽이 엄청나게 두껍고 높아져 버렸음.

  • @user-yr2uz1xt6e
    @user-yr2uz1xt6e10 ай бұрын

    인도에는 사람들은 몇없고 동물들만 우글우글해요 그런데서 무슨 반도체놀 ㅋㅋ

  • @luckg-7280
    @luckg-72806 ай бұрын

    현재 인도에서 일하고 있는 입장으로 장미빛 미래는 확실합니다. 문화가 문제이긴 하지만 정부자체가 달라졌고 아직 국민의식이 문제 이긴한데 놀라운건 길거리음식파는곳도 핸드폰결제를 한다는것 그러니까 디지털화의 이루어지는 중간과정을 건너 뛴거죠. 인도의반도체사업가능성...? 뭐 이런건 잘모르겠습니다만 어찌됬건 결과론적인 수치가 모든걸 증명해주고 있습니다. 소수가 다수를 이끕니다. 이번정부 재집권하면 더욱 빠른 성장이 예상됩니다.

  • @hamartia334
    @hamartia33410 ай бұрын

    영국은 무죄다

  • @user-hv9bu8hh9g
    @user-hv9bu8hh9g11 ай бұрын

    인도는 중국이랑 다름

  • @seomike9459
    @seomike945910 ай бұрын

    반도체는 책임있고 ㅈ유능한 인재를 갈아넣어야 가능 인도 유능하긴하나책임의식 제로 갈아넣을 재료 없슴

  • @조선닌자핫토리
    @조선닌자핫토리10 ай бұрын

    한국은 뭐 반도체 시작할 때 남 도움 받아서 했는 줄 아나. 남의 돈 남의 기술 쉽게 먹을 생각만 하네.

  • @thk8895
    @thk889510 ай бұрын

    머리염색하신건가요? 수염만 어떻게 흰색....

  • @P01tava

    @P01tava

    9 ай бұрын

    자연스럽게 수염부터 하얘지셨대요 ㅋㅋ

  • @tspark1071
    @tspark107111 ай бұрын

    실력 안되는 두 업체가 의욕이 넘쳐 결과적으로 사기친 사건이 되었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