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는 과연 넥스트 중국이 될까 [강성용의 남아시아 인사이드 2화]

📢 정말 많은 분들의 요청으로 오랜 고민 끝에...드디어!
최준영 박사님 강의(16시간 분량) 개별 판매를 시작합니다.
[ 흔들리는 패권과 비정상적 세계, 우리의 선택은? ㅣ 최준영 박사 ]
👉얼리버드 37% 할인받기 : bit.ly/3MfXfpw (~6/30 마감)
📢 144시간 강의 전체 수강에, 특전&오프라인 이벤트까지!
풀 패키지로 누리고 싶다면?
👉위즈덤 칼리지 : bit.ly/3FvVeDN
★수강 문의 : 010-3898-2324★
※현재 [야미잘X미주미] 카페에 ✨위즈덤 칼리지✨ 수강을 희망하시는 분들을 위한 게시판이 개설되었습니다. 많은 분들께서 이 게시판을 통해 4인 수강하실 분들을 자발적으로 매칭하고 계시더라구요! 해당 게시판 링크 공유드리니, 4인 모집을 원하시는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 링크 : bit.ly/3EbcsWv
-------
😂징징쇼 참여 신청서 : forms.gle/oneJMvh9wkftyQ6B7
★ 광고 및 협업 문의 : ad@ebroadcasting.co.kr
★ 광고 및 협업 문의 : 010-2090-6748
#인도 #강성용 #남아시아인사이드

Пікірлер: 529

  • @3protv
    @3protv2 жыл бұрын

    📢 정말 많은 분들의 요청으로 오랜 고민 끝에...드디어! 최준영 박사님 강의(16시간 분량) 개별 판매를 시작합니다. [ 흔들리는 패권과 비정상적 세계, 우리의 선택은? ㅣ 최준영 박사 ] 👉얼리버드 37% 할인받기 : bit.ly/3MfXfpw (~6/30 마감) 📢 144시간 강의 전체 수강에, 특전&오프라인 이벤트까지! 풀 패키지로 누리고 싶다면? 👉위즈덤 칼리지 : bit.ly/3FvVeDN ★수강 문의 : 010-3898-2324★ ※현재 [야미잘X미주미] 카페에 ✨위즈덤 칼리지✨ 수강을 희망하시는 분들을 위한 게시판이 개설되었습니다. 많은 분들께서 이 게시판을 통해 4인 수강하실 분들을 자발적으로 매칭하고 계시더라구요! 해당 게시판 링크 공유드리니, 4인 모집을 원하시는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 링크 : bit.ly/3EbcsWv ------- 😂징징쇼 참여 신청서 : forms.gle/oneJMvh9wkftyQ6B7 ★ 광고 및 협업 문의 : ad@ebroadcasting.co.kr ★ 광고 및 협업 문의 : 010-2090-6748

  • @Time_to_Stop_Animal_Abuse

    @Time_to_Stop_Animal_Abuse

    2 жыл бұрын

    @nitin pandey - exactly

  • @user-ef6el1dw8v

    @user-ef6el1dw8v

    2 жыл бұрын

    느슨한 ㄴㅈㅇ

  • @yongjunkim4756
    @yongjunkim47562 жыл бұрын

    강교수님의 말씀에는 군더더기가 없이 간단 명료합니다 듣기에 너무 편하고 이해가 속속 됩니다 감사합니다

  • @user-pd9fm7oz6r
    @user-pd9fm7oz6r2 жыл бұрын

    강교수님 전달법은 유창한 스타일은 아니라 느껴질 수 있지만 강교수님 특유의 전달 유머코드가 있습니다 강교수님의 5년전 강의에 반해서 강교수님 영상은 꼭 챙겨봅니다

  • @user-wr8on7oz8q
    @user-wr8on7oz8q2 жыл бұрын

    강 교수님말씀 계속듣고있지만 .너무나정확합니다 저도 30년을여기살고있지만.처음엔너무너무힘들었어요. 도저히이해할수없는일들이너무많아 어떻게 해결해나가야하는 생각연구 머리가허였게됐어요.

  • @user-ck8il5lv6f
    @user-ck8il5lv6f2 жыл бұрын

    넘 재미있게 들었어요. 우리나라도 세상 구석구석 교수님과 같은 전문가들이 많아지고 그들의 목소리를 소중하게 들어야 도약이 가능할 듯 합니다.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 @wsxokn77
    @wsxokn77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인도 강의 정주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나라의 역사, 문화에 관심과 호기심이 많은 저에게 교수님 강의는 정말 유익하고 재미있고 또한 우리나라와 비교해서 많은 생각도 하게 됩니다. 국가나 국가 시스템이 얼마나 소중하며 감사한지.. 국가발전에 교수님같은 각 분야의 전문가분들의 소중한 이야기를 귀담아 들어 외교나 정책 반영에 최고의 시너지를 내고는 있는건지..교수님 강의 들으면서 왜 내 나라가 이리 걱정이 되는 마음은 왜 일까요?

  • @user-qi3jb2ej9b
    @user-qi3jb2ej9b2 жыл бұрын

    강성용 교수님은 아주 긴 문장도 주술구조가 딱딱 맞아서, 정말 신기해요.. 누구나 대본없이 긴문장을 말하다보면 말이 방향이 바뀌거나 주술구조가 흩어지기 쉬운데 늘 깔끔하심!!! 내용은 말할것도 없고, 진짜 너무 좋아요~

  • @cocosette_papa
    @cocosette_papa2 жыл бұрын

    요즘 최고의 꿀잼 영상은 강성용 교수님의 남아시아 콘텐츠입니다! 인도의 생리를 재밌고 쉬우면서도 유익하게 풀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user-el3bt5rn3s
    @user-el3bt5rn3s2 жыл бұрын

    남아시아 관심이 많아서 책을 몇권 읽어봤는데... 그책들 보다 강교수님 강의가 훨신 많은 지식을 알려주네요. 멋지십니다.

  • @anez1166
    @anez1166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인도에 별로 관심은 없는데 교수님 설명이 너무 재밌어서 듣게 됩니다

  • @athiranair5260

    @athiranair5260

    2 жыл бұрын

    I'm from India I'm very much interested to learn about the whole world it makes me updated to the current crisis, economy, welfare of other countries

  • @kevinchoi6792

    @kevinchoi6792

    Жыл бұрын

    @@athiranair5260 I'm unsure how it's translated, but this guy's intention wasn't as bad as you might think it was

  • @hrna0
    @hrna02 жыл бұрын

    강성용교수님 팬입니다. 이렇게 자주 뵙고 고견을 들을수 있게되어 너무 고맙습니다 ^^

  • @user-fy6cx6mi3b
    @user-fy6cx6mi3b2 жыл бұрын

    믿고 보는 강 교수님 강의. 감사합니다.

  • @mpark3209
    @mpark3209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인도를 몇차례 방문했는데, 참~ 흥미로운 나라입니다. 직간접적으로 인도를 알고있다보니 교수님 강의가 너무나도 재미있고, 고개가 끄덕여지고, 또 몰랐던 사실에 감탄?하기도 합니다. 좋은 강의 해주신 강교수님과 삼프로께 감사 말씀 드립니다. 앞으로도 못다한 얘기를 더 들려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ohj.w.6999
    @ohj.w.69992 жыл бұрын

    강성용 교수님 인도 강의 너무 흥미진진하고 매번 새로운 걸 배우는지라 늘 기다립니다. 오늘 영상도 좋네요. 계속 기대하고 기다리고 있을께요.

  • @user-yk9rw8vd1z
    @user-yk9rw8vd1z2 жыл бұрын

    강성용교수님을 먼저 알았다면,,🤔 포스코가 인도에서 실패할 이유가 없을 듯 하네요,,😭재미있게 잘 듣고 배우고 있읍니다 ✍감사합니다 🙏

  • @jijjjijiiijijiijiijjijjjijijj
    @jijjjijiiijijiijiijjijjjijijj2 жыл бұрын

    강성용 교수님 말씀하실때 너무나 명확하고 전달력있는 용어 사용에 감동하며 듣고 있습니다 이런 내용은 교양강의로 듣는다면 2~3시간정도가 할애될 내용같은데 45분 들은 내용들이 교양강의보다도 재밌고 유익했습니다

  • @GyeongbokPalace
    @GyeongbokPalace2 жыл бұрын

    이 분 자주좀 불러주세요... 인도얘기 이렇게 재미있게 해줄 수 있는사람 몇안됩니다!!

  • @htlim1296
    @htlim12962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시네요. 교수님은 우리나라의 큰 자산이십니다~

  • @user-ut8cm2ff4r
    @user-ut8cm2ff4r2 жыл бұрын

    정말 최고입니다^^ 삼프로가 없었을때는 뭘 보고 듣고 살았나 싶을 정도입니다! 영원히 함께하길 기원하는 삼프로 최고입니다!

  • @user-it1kj7ps8r
    @user-it1kj7ps8r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경연 잘 듣고 있습니다. 참 유식하시고 많이 배워 갑니다

  • @deosomenio
    @deosomenio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 들으니 새롭게 알게된 사실이 정말 많네요. 더 많은 이야기 들려주셨으면 합니다.

  • @agile154
    @agile1542 жыл бұрын

    인도는 그 나라에 있는 신들의 숫자 만큼이나 다양하고 혼란스러운 느낌이 있어요. 인크레더블한 혼돈속에 강교수님의 강의는 소중한 길잡이가 되어줍니다. 알아 갈수록 더욱 궁금해지는 인도이야기, 앞으로도 쭉 이어졌으면 좋겠어요.

  • @musicandsky
    @musicandsky2 жыл бұрын

    평소에 인도가 중국을 뛰어 넘는 강국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오늘 영상을 보니 생각보다 시간은 더 걸릴것 같은 생각도 드는군요 한국이 인도와의 협력이 좋은 길이라는 강 교수님의 생각은 공감하고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user-lh4zg3tt1s
    @user-lh4zg3tt1s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덕분에 막연하게 알고 있던 인도에 대한 정치적 상황과 경제적 발전 가능성 및 한계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할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러한 양질의 컨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신 삼프로 관계자분들께도 늘 감사합니다 ^^ 다음에도 강성용 교수님의 남아시아에 관한 진솔하고 귀한 말씀 기대하겠습니다.

  • @kim-yl3bm
    @kim-yl3bm2 жыл бұрын

    강성용 교수님 강의 정말 명확하고 좋네요.같은 아시아지만 멀게 느껴지는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이야기를 자주 듣고 싶습니다.시리즈로 쭉 해주세요.

  • @bertocontapark2195
    @bertocontapark21952 жыл бұрын

    인도편 너무 재밌네요~~ 교수님 말씀해주시는 실력이 쉽고도 너무 재밌습니다~~

  • @emfhrla4736
    @emfhrla47362 жыл бұрын

    강성용 교수님 설먕이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너무 제미있습니다. 계속 들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jayounyi9766
    @jayounyi97662 жыл бұрын

    아.... 봐도 봐도 느므 재밌어요. 인도를 알려고 봤는데 자본주의 경제 발전까지 공부하게 되는 핵꿀 강의에요 강추합니다.!!!!!!! 'IT는 미국의 하청업자' 라는말씀.. 급 중국과 러시아의 미국 반기에 한표를 던져볼까 망설여집니다. 제발 우리 대한의 젊은분들이 이번의 주식이나 코인등의 하락에 용기를 잃지말고 큰 경험으로 삼고 다시금 힘내서 세계의 경제를 아우르는 금융의 리더가 되기를 간절히 바라봅니다. 대한민국은 종나 똑똑합니다.

  • @user-eo3ok5kx1o
    @user-eo3ok5kx1o2 жыл бұрын

    경쟁구도를 싫어하는 인도...이해가 되기도 하고 언제까지 그렇게 살지 이해도 않됩니다.. 좋은 인사이트였습니다...교수님 인도를 알게해 주셔셔 감사드립니다.

  • @user-yv6io5cb9o
    @user-yv6io5cb9o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네요. 교수님 영상은 다 찾아보는 중 다음편 기다립니다 ㅎㅎ

  • @r_u_happy
    @r_u_happy2 жыл бұрын

    어려운내용은 아주 쉽게 예로 설명해주시네

  • @sjh548
    @sjh5482 жыл бұрын

    인도의 교육과 경쟁에 대해 얘기해 주시면 정말 흥미진진할거 같습니다!!!

  • @silverhyang4569
    @silverhyang45692 жыл бұрын

    강성용교수님 강의 다 찾아들어보구 싶어졌습니다. 최고이십니다~^^

  • @sunjungkim9494
    @sunjungkim94942 жыл бұрын

    귀에 쏙쏙.이해하기 쉽게 강의해주셔서 막연하게 알고 있었던 인도에 대해서 조금은.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계속~~못다한 이야기 꼭!!!들려주셨으면 ♡♡♡ 교수님.정말 존경합니다.화이팅

  • @skchung1221
    @skchung12212 жыл бұрын

    인도에 관해서는 인도음식, 크리켓, 카스트제도, 간디의 비폭력운동, 유명 사업가들 같은 단순한 정보만 알고 있었는데, 그런 소재없이도 인도사회와 경제를 이리 짧은 시간에 다각적이면서 포괄적으로 다뤄주셔서 정말 흥미롭고 값진 시간들이었습니다. 다음 강의도 기다리겠습니다!

  • @shashank-sama

    @shashank-sama

    2 жыл бұрын

    외국인이 카스트 제도를 이해한다는 말을 듣는 것은 매우 이상한 일입니다. 인도에서 태어나 평생을 이곳에서 살아도 카스트를 완전히 이해했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내가 말하고 싶은 한 가지는 그것이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4개의 학급 시스템으로 가르치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한 시스템이라는 것입니다. 또한 인디언과 함께 살아가야 비로소 이해할 수 있는 인간과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나날이 약해지고 있다.

  • @skchung1221

    @skchung1221

    2 жыл бұрын

    @@shashank-sama 인도의 카스트제도는 단순히 오래된 사회계급 정도로만 이해하고 있었는데 역시나 훨씬 복잡하고 동적인 사회문화적 제도이자 유산이겠구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답글 감사합니다~

  • @shashank-sama

    @shashank-sama

    2 жыл бұрын

    @@skchung1221 인도(특히 도시)에서도 학교 책에서 카스트에 대해 먼저 배웁니다. 4개의 클래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면 남은 삶의 시간이 지나면 현실이 책에 기록된 것과 얼마나 다르고 복잡한지 알게 됩니다.

  • @shashank-sama

    @shashank-sama

    2 жыл бұрын

    예를 들어, 최근 선거에서 일반적으로 불가촉천민을 대표하는 정당 중 하나가 선거 모토를 내놓았습니다. 불가촉천민들과 바라문들이 사회에서 가장 고통받는 집단이므로 함께 모여 당을 지지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당신은 책에서 카스트에 대해 읽은 사람이라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사회의 반대편에 있는 두 카스트가 같은 조건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그러나 이는 시스템이 얼마나 복잡하고 역동적이며 끊임없이 변화하는지 보여줍니다. 책에서 가르치는 엄격한 시스템과 같은 것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 @shashank-sama

    @shashank-sama

    2 жыл бұрын

    @@skchung1221 더 흥미로운 것을 알려드립니다. 카스트는 특정 종교의 문제가 아닙니다. 인도에는 힌두교, 이슬람교,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주요 종교에 카스트가 있습니다.

  • @user-du8fq3vi9l
    @user-du8fq3vi9l2 жыл бұрын

    귀에 쏙쏙들어오는 예시와 구수한 말투 너무 재밌어서 두번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us8ot9vh1s
    @user-us8ot9vh1s2 жыл бұрын

    수준높은 설명잘들었습니다 우연히 들어왔다 1.2부다봤는데 인도의현실에 대해서 조금알게된거 같네요 무엇보다 강남일타강사처럼 머리속에 쏙쏙박히게 설명잘하시네요 그만큼 깊이가 있는 강연들은것 같습니다

  • @hyungwooklee2417
    @hyungwooklee2417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너무 재밌습니다!

  • @doin-E
    @doin-E2 жыл бұрын

    인도에 4년살다왔는데 그때느낀 모든게 설명이됨 상식의 경계선을 체험할수있는나라임

  • @user-el5wk6im2n
    @user-el5wk6im2n2 жыл бұрын

    인도 교육제도와 전반적인 내용도 강의 듣고싶습니다.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user-nu4hm7kt7k
    @user-nu4hm7kt7k Жыл бұрын

    재미있는 이야기와 정보 제공해주신 삼프로TV와, 강성용 교수님 감사합니다

  • @moredore
    @moredore2 жыл бұрын

    거래처 중 인도사람 있었지만 우리나라에 최적화됐다고 할지 비지니스 할 때 이질감을 못느꼈는데...말씀해주신 것처럼 인도가 그 정도로라면 현지에서 사업할 때 뒷목잡고 쓰러질 것 같아요.

  • @paulsaint2366
    @paulsaint2366 Жыл бұрын

    진짜 한국에서 인도 및 남아시아 일대의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컨텐츠가 거의 없다시피 한데 정말 감사합니다 교수님

  • @user-eb7ol4nc8y
    @user-eb7ol4nc8y2 жыл бұрын

    이 교수님 너무 좋아요.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예시!!

  • @yis0146
    @yis01462 жыл бұрын

    참 유익한 정보입니다. 강교수님 자주좀 나오셔야 하겠네요~~~

  • @ihan74
    @ihan742 жыл бұрын

    캐나다 사는데 많은 보이스피싱전화를 받읍니다. 한국은 중국발이겠지만 여기는 죄다 인도사람들입니다. 거의 100%입니다.

  • @user-tv5yf5bu8i

    @user-tv5yf5bu8i

    Жыл бұрын

    ㅋㅋ

  • @CaptainBoat
    @CaptainBoat2 жыл бұрын

    이런 분을 정부에서 데려가야하는데 ㅠ

  • @user-kq8mz1gd4q
    @user-kq8mz1gd4q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강의 너무나 흥미롭게~, 집중하며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주 작은 예로... 대한민국의 끝자락 제주도에 내륙의 정서를 가지고 투자하고 장사하려는 사람들중에.. 90%이상이 손털고 돌아가는 모습이 떠오릅니다. 그곳의 정서를 알지못하면 성공할 수가 없는것처럼..... 어느곳이든 그러할거고.. 우리나라 안에서도 그러한데 하물며 말과 모습이 다른 나라끼리는 더 어렵겠죠...

  • @rpyn1203
    @rpyn12032 жыл бұрын

    일주일동안 기다렸어요 ㅎㅎ 뭐랄까 교수님 강의 들으면서 들었던 단편적 생각은 ... 개판이네요 . 마치 서울과 한양이 있는 느낌이랄까요... ㅎㅎ 참 인도 만년유망주 느낌이네요 . 재가 어릴때도 인도는 유망하다고 했던거 같은데 벌써 20년이 지났는데.. 음... 그래도 우리나라와 상생이 가능할꺼 라는 부분은 정말 가슴이 와닿네요 ㅎㅎ 좋은 강의감사합니다 ㅎ

  • @user-op8hu6eg9o
    @user-op8hu6eg9o Жыл бұрын

    결국은 인도에서 사업 크게 하려면 합작형태가 최선인것같네요. 공장만드는데 필요한 서류처리 인허가등은 인도사람이 공장짓고 운영은 한국기업이....중간중간 발생하는 비법적인 문제는 인도사람이.....

  • @user-sc7vc6pi9f
    @user-sc7vc6pi9f2 жыл бұрын

    인도이야기가 이렇게 재미있을 줄이야 ㅋㅋㅋ 교수님 감사합니다~

  • @lucky58245
    @lucky58245 Жыл бұрын

    미중 패권전쟁때문에 인도에 관심이 많았는데 교수님 강의 덕분에 기본 틀이 완성되었습니다 알림 설정해놓고 언제나 기다려야겠습니다 교수님과 삼프로TV 에 무한 감사드립니다^^

  • @user-db4ew6ni8d
    @user-db4ew6ni8d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을 듣고 자발적 구독료 느낌으로 글 남깁니다 ^^ 감사합니다. 아는 듯 모르는 부분을 잘 짚어주셨습니다. 우리나라는 어느새 어른이 된 고딩... 그 지적과 통찰에 동의합니다. 덕분에 좋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 @user-th4lo7rp5d
    @user-th4lo7rp5d2 жыл бұрын

    이프로님 너무 좋은게 개도국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많은 흥미를 보이는게 정말 멋있습니다 한국이든 미국이든 인도든 사람은 태어나면 그 환경에 적응 하는 동물이거든요 어느 나라 사람은 우월하고 어디는 미개한게 절대 아닙니다:)

  • @user-st5vc2vd4u
    @user-st5vc2vd4u2 жыл бұрын

    강교수님 인도 얘기 무척 흥미있게 공감하며 잘 들었습니다

  • @MrZiachi
    @MrZiachi2 жыл бұрын

    인도 친구 한테 들었던 이야기인데 다른 서방 새계의 예제로 들어가면서 설명을 들으니 이해가 쏙쏙 되네요 ㅎㅎ

  • @jieunshin6475
    @jieunshin6475Ай бұрын

    인도거주중입니다. 우연히 발견하고 1,2화 보게되었는데 정말 시간 가는줄 모르고 봤어요. 강성용 교수님 처음 뵙는데 정말 인도 특성을 정확하게 보고 계셔서 몇번이나 공감하며 봤습니다. 귀에 쏙쏙 들어오는 설명 정말 최고에요. 다른 회차도 찾아보려고요. 소중한 말씀 감사합니다!

  • @Idontknowwhomi
    @Idontknowwhomi Жыл бұрын

    근래 일주일동안 강교수님 영상만 너댓개 봤습니다. 보면 볼수록 말에 근더더기 없는 언변이 탁월함ㄹ 떠나 경지에 있지않나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무지한 저에게 지식을 주셔서

  • @user-vp3lf1uq9k
    @user-vp3lf1uq9k2 жыл бұрын

    강성용 교수님 너무 좋아요..

  • @user-lm2ef4dk6l
    @user-lm2ef4dk6l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관점과 알려주시는 방식이 너무 좋습니다 감사드려요^^~ 인도시리즈에 푹 빠져있어요

  • @kandawn
    @kandawn2 жыл бұрын

    이게 삼프로지.. 증권맨들 Yes맨은 제끼세요. 그게 살아나는 길일겁니다. 현상에만 만족하면 그게 끝이고 미래에 대한 쓴소리, 다만 변곡점을 맞추는 분들 위주로 해주셔야 해요! 아실겁니다.

  • @user-jk2fw5dp5p
    @user-jk2fw5dp5p2 жыл бұрын

    나 완전 교수님 말투에 중독되어벌임 ..너무 조아요 겨수님!!!!

  • @ESS373
    @ESS3732 жыл бұрын

    귀에 술술 들어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 @perestohum7153
    @perestohum71532 жыл бұрын

    인도에 별로 관심은 없는데 . 교수님 설명이 너무 재밌어서 듣게 됩니다

  • @user-gi4ss8ry5q
    @user-gi4ss8ry5q2 жыл бұрын

    인도에 대한 관점이 새롭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이렇게 인도에 대해 고견을 듣고 생각해볼 시간을 갖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less8245
    @less8245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우파니샤드 강의도 정말 재밌게 들었습니다. 삼프로 콘텐츠도 너무 즐겁습니다.

  • @user-ro6fe2id2u
    @user-ro6fe2id2u2 жыл бұрын

    인도가 중국처럼 되기는 힘들다고 봅니다 인도를 중국처럼 키워주는 실수를 미국은 다시는 하지 않을거라 봅니다 중국과 인도를 서로 견제시키면서 적당한수준까지만 유지할거라 봅니다

  • @jsgun6170

    @jsgun6170

    2 жыл бұрын

    인도가 중국처럼될확룰은 0에가깝지 힌두교관습 전통 악법같은거 타파하지않는 이상 (카스트제도.>>불가천촉민)여성의 인권 문제 우리보다 심각하면 심각하지 덜하지는 않음 아직도 힌두교의 악습중하나인 사티제도나라에서 금해도 남편이죽어면 여성도 따라죽는 명예니 이지랄하고 자빠지고 있는데 인도는 15세기와 21세기가공존하는나라

  • @user-ww9hp9fo5n

    @user-ww9hp9fo5n

    Жыл бұрын

    @@qmz1004 중국이 성장한건 미국의 하청기지 역할을 했기 때문임 ㅋㅋㅋㅋ 이걸 부정하는건 아니지? 중국이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한 덕분에 세계의 인플레이션이 억제되고 있는거고.. 물론 지금은 중국이 꽤 강해져서 단순 하청기지에서 벗어나 미국의 과학기술을 따라잡으려고 노력하고 있지

  • @user-oj9zg2np7m

    @user-oj9zg2np7m

    Жыл бұрын

    @@qmz1004 사대주의가 아니라 지금까지 그래왔으니까요 힘이 빠지긴 했다지만 미국의 영향력이 큰건 부정할수 없죠

  • @user-oz7km9vp2g
    @user-oz7km9vp2g2 жыл бұрын

    진짜 전문가이십니다.

  • @user-vc1to6oe1u
    @user-vc1to6oe1u2 жыл бұрын

    강교수님 명강의 오늘도 순삭했네요 감사합니다 ^^

  • @iiliil_ilil
    @iiliil_ilil2 жыл бұрын

    상사 다니는 선배 친구들하고 이야기 해보면, 절대 거래하면 안되는 애들이 인도 파키 그리고 XX 이었다 ㅋ

  • @Time_to_Stop_Animal_Abuse

    @Time_to_Stop_Animal_Abuse

    2 жыл бұрын

    What country is XX?

  • @gigated80
    @gigated802 жыл бұрын

    외국에서 살다보면 모든 인종이 비슷한 생각을 하는 경우가 있다 그중에 하나가 왠만하면 인도 그쪽은 피한다.

  • @user-bl1my7ro4m
    @user-bl1my7ro4m2 жыл бұрын

    정말 어마어마한 분이신듯 👍

  • @stare_a_casa
    @stare_a_casa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Don-xn3xx
    @Don-xn3xx2 жыл бұрын

    제조업 없이 선진국 ?? 꿈같은 이야기 인도는 기득권 세력과 일반 민중의 갭이 너무너무 커서 절대 중국처럼은 안된다 국민의 절반 이상이 문맹인데 상층 몇프로로 국가부유를 꿈꾸는건 넌센스 지금부터라도 기반시설을 완비해라 그게 시작이다

  • @davidkim9759
    @davidkim97592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인도가 거리도 멀어서 한국이랑 부딪힐 일도 없고.. 친해지면 좋을 나라죠.

  • @user-eq9le9vn2j
    @user-eq9le9vn2j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미있게 잘 들었습니다^^ 역시 삼프로의 기획력 섭외력 ! 리스펙트~^^

  • @worldisi
    @worldisi2 жыл бұрын

    영원한 파트너는 없다. 최소 경쟁자로 변할 가능성은 말할 것도 없고 적의 지지자나 적 자체가 될 가능성도 항상 고려해서 협력도 진행해야 한다.

  • @user-he5rv5rl8l
    @user-he5rv5rl8l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최고최고!!

  • @p.854
    @p.8542 жыл бұрын

    진짜 최고에요..ㅠ너무조음 잘듣고있습니다

  • @user-wc6wt5xi6u
    @user-wc6wt5xi6u2 жыл бұрын

    델리에서 20년 살고 있는데 정말로 강교수님 인도에 대해 잘 아시네요. ㅎㅎ. 참전문가이십니다.

  • @ori5581

    @ori5581

    3 ай бұрын

    실례지만 거기서 뭐 하면서 사시나요...?한국인이 돈벌만한 일이 있나요? 일단 언어부터 생소한데

  • @user-rp5ib5ns9m
    @user-rp5ib5ns9m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이야기로는 90년대의 중국과 비교해도 인도는 더 극강의 투자위험의 제조업 지역이 아닐까요??

  • @nanyoungkim444
    @nanyoungkim4442 жыл бұрын

    너무 신기하고 재미있어요. 항상 감사합니다.

  • @michaelkim4103
    @michaelkim41032 жыл бұрын

    남아시아는 교수님덕분에 새롭게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 @user-tb2gw7tu7u
    @user-tb2gw7tu7u2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이런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한국에 대한 특집도 만들어서 한국을 되돌아보는 자성하는 그 과정을 통해 개혁하는 일을 하였으면 합니다.

  • @jajawoo6590
    @jajawoo65902 жыл бұрын

    수도 뉴델리 옆 구르가온에 살게된지 1 년 된 주부입니다. 인도에 살면서 의아했던 의문점들이 교수님의 강의로 어느 정도 해소가 되었어요. 인도의 교육제도에 대한 교수님의 고견 궁금합니다.

  • @user-ie1jg5fb2n

    @user-ie1jg5fb2n

    2 жыл бұрын

    인도 현지 생활은 어떠신가요??

  • @jsgun6170

    @jsgun6170

    2 жыл бұрын

    @@user-ie1jg5fb2n 인도는 15세기와21세기가 공존하는나라 ㅇㅇ 그기다 힌두교의 관습괴전통이악습악통인데 나라에서 하지말라해도 하는 힌두교믿는 사람들의 특징 그기다 여성인권 최악 지역마다 편차가있지만 우리나라보다 더최악이다생각 하면됨 명예살인 사티제도

  • @user-gm4qh5is8w
    @user-gm4qh5is8w2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게 들었습니다

  • @user-dh9lp8hn4g
    @user-dh9lp8hn4g Жыл бұрын

    인도에 대해 관념적인 부분에서 실체적인 부분을 잘 배우고 재미있습니다. 교수님 우파니샤드 강의도 찾아서 듣고 있습니다.

  • @currykim91
    @currykim912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재밌습니다.ㅋㅋ 이런 특집 많이해주세요~!!

  • @myongsukchoe1346
    @myongsukchoe13462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선 살고있는 인도인들은 전문직이 많은것같아요. 사업도 많이하고 자녀교육열이 최고라고 합니다

  • @younggun7002
    @younggun70022 жыл бұрын

    갑자기 궁금한데 미국 대기업 중에 ceo가 인도계인 경우가 많은데 이 분야도 한번 다뤄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교수님 말씀처럼 인도 it와 공과대학이 강해서 그 사람들이 미국으로 가서 성공한 케이스가 많은 것으로 알고있는데 자세히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pstarke1066

    @pstarke1066

    2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영어강사쪽으론 폭넓게 비자를 주는것처럼 미국은 it관련된 인도인 이주를 많이 받아준 결과임 그렇게 좋아할것도 아닌게 인도입장에선 인재유출이죠

  • @user-qw1et2yk8g

    @user-qw1et2yk8g

    2 жыл бұрын

    저도 궁금했어요!!!

  • @John-em4vf

    @John-em4vf

    2 жыл бұрын

    @@pstarke1066 그것도 그런데 본토 백인, 흑인들이 공학을 안 하려고 해요. 똑똑하면 의대나 로스쿨, 경영대 가지 공돌이 안하려고 해서 지금 공과 교수들 보면 점점 동아시아계(주로 중국계), 인도계가 다수가 되고 있습니다.

  • @user-tc7ug2rs1u

    @user-tc7ug2rs1u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해외나가서 인도인들이 제일 잘 삽니다 교육열도 높고 … 그런데 한국계는 왜 세탁소 편의점만 할까요 ?? 소득도 낮아요 ㅠ

  • @bry2579

    @bry2579

    2 жыл бұрын

    일단 인구도 많은만큼 성공한사람의 수가 많을 수 밖에 없고 성향의 차이도 많습니다. 확실히 인도사람들과 일해보면 자기 주장을 강하게 하고 자기가 한 일에대해 과대포장을 잘하고 일에 미쳐있는 친구들도 많습니다. 한국인들은 겸손하기도 하고 정이 많아 싫은걸 안만들고 적을 안만들려고 하는데 그게 높은자리에 올라가는데는 도움이 안되는듯...

  • @Iminlove579
    @Iminlove5792 жыл бұрын

    이해도가 너무 높고 넓으셔서 설명이 길어지네용. 역시 단편적인 이해는 한계가 있는것 같습니다. 잘배우고 갑니다.

  • @user-hl1dg2tp9y
    @user-hl1dg2tp9y2 жыл бұрын

    강교수님의. 강의를 정책으로. 선택 되기를 바랍니다

  • @user-ge2en9fb9k
    @user-ge2en9fb9k2 жыл бұрын

    정프로님 말대로 동남아시아 투자는 이런 인문 지식이 바탕이 되야 겠어요

  • @user-sc3ts9ko9r
    @user-sc3ts9ko9r2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네요. 인도에 대해 더 듣고싶네요. 감사합니다^^

  • @michaelyjli1809
    @michaelyjli18092 жыл бұрын

    인도 입시 문화, 제도도 관심 가네요. 나중에 한번 자세하고 듣고 싶습니다.

  • @user-tm7fj9my8h
    @user-tm7fj9my8h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재미있게 들었습니다.

  • @user-xk5xe9nu3z
    @user-xk5xe9nu3z2 жыл бұрын

    계속 언제 영상이 올라오나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 @user-rc5fd4it5m
    @user-rc5fd4it5m Жыл бұрын

    강교수 얘기를 들으면 참 모르던 아니 그렇겠지 했던게 그냥 그게 아니다 라는 새로운 걸 알았네요 ㆍ 말씀도 참 매력있게 재미있게 하십니다ㆍ

  • @user-ik6fk3yg6l
    @user-ik6fk3yg6l2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면 어떤 한 분야만 깊이 파거나 수박 컽핥기 식으로 인도를 알았던 사람들의 이야기만 들었던 것 같습니다. 세상 모든 일에는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고 서로 깊이 연결되어 있는데도... 이슬람 왕조인 무글제국이 근세의 인도 정체성인데, 힌두 정체성으로 대전환의 과정도 너무 힘들었을 것 같습니다. 영국의 지배가 오히려 통일된 오늘의 인도가 있게 된 아이러니 때문에 영국 지배에 대한 여러가지 평가도 섞여 있을 것이고... 인도 같이 다인종, 다민족, 다언어 국가가 민주주의를 하면 대부분 쪼개지는데 통일 국가로 유지되는 것도 신기하고...

  • @user-gd6vl2ho3v
    @user-gd6vl2ho3v2 жыл бұрын

    재미있네요~~다른나라에대해서도강의듣고싶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