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난방비 걱정이 없습니다? 이유는 신소재 때문입니다! 건식난방 끝판왕을 체험했습니다

Ойын-сауық

저의 생각으로는 세상 많이 발전했다는 걸 새삼 느끼게 되네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혹시 제품이 궁금하시다면?
👉 호야온돌 시공문의 : 1577-9762
👉 영상內 시공 대리점 (서울중랑 케이온돌) : 010-9033-4677
👉 호야온돌 홈페이지 : bit.ly/49McEtK

Пікірлер: 556

  • @jasonyu6344
    @jasonyu63443 ай бұрын

    사무실에 설치 후 사용 중 입니다. 8평 대략 26 만원이고 (겨울평균) 일반 가정 방2개 돌리면 가정용 누진세때문에 폭탄 나옵니다. 70~80만원 나와서 한전에서 방문옵니다. (보일러는 전기말고 가스로)

  • @DS-fk7sw

    @DS-fk7sw

    2 ай бұрын

    원래 전기난방은 가정용이 아닙니다 ㅎㅎ

  • @shaunyeo5079

    @shaunyeo5079

    2 ай бұрын

    일단 바닥 신소재가 insulation이 잘되는것은 사실. 그러나 전기난방류는 에너지를 그대로 가져가 난방으로 전환하는 방식이기에 누진세 있는 가정에서는 전기장판침대에 놓은거 이외엔 사용하시면 비용폭탄을 맞습니다. 누진세가 약하거나 없는 공업용,농업용,상업용환경에서는 전기보일러, 전기 난방필름, 전기난방판넬 쓰셔도 메리트 있습니다. 저거 쓰시되...전기보일러는 가정에서 쓰지마세요. 중앙난방 열량계 있는집이면 그거는 가능..

  • @hwahn5094

    @hwahn5094

    2 ай бұрын

    시골들도 가스가 답이에요.. 산업용전기쓰시는곳아닌이상..답이없죠

  • @ysyysy9045

    @ysyysy9045

    2 ай бұрын

    국산 재품절때 이길 빕니다

  • @user-yy1rd7gu1j

    @user-yy1rd7gu1j

    2 ай бұрын

    도시가스로도 가능한가?마루위에 설치해도 되냐?

  • @user-xj2kz7lk4b
    @user-xj2kz7lk4b2 ай бұрын

    약 3년전에 건식으로 설치를 했는데 위에 아연도금 철판 덮개 연결 부위를 은박 테이프로 마감을 해서 시간이 지나니까 연결부위가 다 찢어 졌네요. 또한 열전도는 좋은데 금방 식어 버리는게 문제입니다. 확실한 장점은, 첫째 설치 비용이 싸고, 빠르다와 빠른 열전도와 에너지 절감 입니다. 설치는 보통 1~2일이면 다 끝납니다. 단점은 시간이 지나면서 열 팽창에 의해 꿀렁거리고, 걸어 다니면 덮개 연결 부위에서 마찰 소리가 난다는 겁니다. 또한 장판도 늘었다 줄었다를 많이 합니다.

  • @user-kj4li4ll5g
    @user-kj4li4ll5g3 ай бұрын

    굿 👍 👍 👍 👍 👍 시공이 간편해서 좋네요

  • @hjkim2065
    @hjkim20653 ай бұрын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appletree196
    @appletree1963 ай бұрын

    꾀 쓸만한 난방공법이네요 음~~!!좋네요 신속한 설치와 효과적인 난방기능 이 두가지 장점만 있어도 매리트가 있습니다 국산이라 더 좋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user-dt1ls5fw8n
    @user-dt1ls5fw8n2 ай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제가 왠제 뿌듯합니다. 불경기라하는데 많은 노력을 해주셨군요. 국내는 물론 해외에도 수출하시고 유익한 상품이니 경쟁력도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저도 집 수리할때 호야 판넬로 바꿀게요. 사업의 번창 을 빕니다.

  • @yongyounpark6796
    @yongyounpark67963 ай бұрын

    3년전에 군산에 직접 방문 구입설치했는데 정말 따뜻하고 연료비도 절감되고 좋습니다.

  • @user-rg6bg1si3p

    @user-rg6bg1si3p

    Ай бұрын

    연료비 절감 동의할수 없네요 하루 50~60kw 5평형 이건 서민 죽이는 물건 입니다 잘 알아보시고 해야 되는데

  • @user-ru1yh1gf9d
    @user-ru1yh1gf9d3 ай бұрын

    유용하고 좋은정보감사합니다 ^*^ 잘보고갑니다

  • @luckyguykorea960
    @luckyguykorea9603 ай бұрын

    약국에 설치해서 잘 사용중입니다. 바닥재 위를 덮는 적절한 재료와 보일러 누수 문제를 잡아주시면 아주 유용할 듯 합니다.

  • @earllee4375
    @earllee43753 ай бұрын

    좋네요 난방 한번 터지면 해당 위치 찾는것도 힘들고 수리도 힘들고 그런데 이건 훨씬 편하고 좋네요 앞으로 난방은 이 공법이 훨씬 좋을 것 같습니다

  • @user-yo3ms3oo1q
    @user-yo3ms3oo1q3 ай бұрын

    저도 비슷한거 사무실에 직접 시공 했습니다. 방통보다 비싼건 사실이지만 타일마냥 기존바닥위에 덧방이 된다는거 복구가 가능하며 어느정도 재활용이 가능한정도가 장점이고 전기사용량이 생각보다 큽니다. 6kw 10평에 좀 뜨습게 돌리면 한달 25~30정도 들어갑니다

  • @user-ky5zl7ms8x

    @user-ky5zl7ms8x

    2 ай бұрын

    고작 10평에 전기요금 25-30정도 들면 에너지 효율이거의 없는거나 마찬가진데 그러면 아무도 아거 안쓸텐데 무슨 말씀이신지..

  • @user-zr3mi6mk5u

    @user-zr3mi6mk5u

    2 ай бұрын

    그나마 사무실 전기요금이라 그정도겠지만 가정용이라면 누진세로 70만 나올듯..

  • @jinukim8001

    @jinukim8001

    2 ай бұрын

    아니 정말 이저도전기세가 나오는건가요??그럼이거 싼게아닌대…크게 의미가없어지는대 …

  • @user-yo3ms3oo1q

    @user-yo3ms3oo1q

    2 ай бұрын

    ​@@user-ky5zl7ms8x 비용이 높지만 바닥 난방 시공이 어려운곳에도 쉽게 자가설치가 가능하다는 점이 높지요. 원상복구또한 쉽지요. 그래서 선택했어요

  • @user-yo3ms3oo1q

    @user-yo3ms3oo1q

    2 ай бұрын

    ​@@jinukim8001바닥난방은 저렇게 쓰고 난방기계는 가스로 쓰는게 더 좋지 않을까 싶어요.

  • @bravo5244
    @bravo52443 ай бұрын

    좋아 보이네요 굿 굿 굿

  • @ioup5875
    @ioup58752 ай бұрын

    😅😊 시골 별장 같은곳에 정말 좋겠네요. 물 파이프 동파 안되고, 아무때나 가서 스위치 올리면 바로 데워질거니까요. 관심있습니다.

  • @7603st
    @7603st2 ай бұрын

    내년 집사서이사갈건데 이거로 시공해야겠네요 고장나도 쉽게 찾을수있고 빠른시공이 장정같아요

  • @asyncronize
    @asyncronize3 ай бұрын

    바닥은 따뜻할것 같습니다. 본래대로 시공하면 다 까내고 몰탈 다시해야해서 모든 짐 다 빼고 날씨영향도 있고해서 쉽지 않은데 저 방식은 다른 집 피해도 덜주고 좋네요. 근데 궁금한게 본래 바닥보다 높아질텐데 문은 어찌 될지….

  • @hoyaondol

    @hoyaondol

    3 ай бұрын

    호야온돌 높이는 2.6cm로 문짝 하단을 재단 후 다시 설치합니다.

  • @xanadugirl200

    @xanadugirl200

    2 ай бұрын

    예전식으로 시공해도 이삿짐 싸지 않고 .. 같은 식으로 공사가 가능합니다.. ^^

  • @user-xt3ls5dv2i
    @user-xt3ls5dv2i3 ай бұрын

    직접주문해서 설치했는데 정말 좋아요 유지비걱정없이 겨울이 따뜻합니다~~

  • @user-dl2do9ff8w

    @user-dl2do9ff8w

    3 ай бұрын

    얼마들었나요

  • @user-bu9zw5wd4g

    @user-bu9zw5wd4g

    2 ай бұрын

    전기세 좀 나올겁니다

  • @dlfjftnrk5505
    @dlfjftnrk55053 ай бұрын

    바닥난방 쪽에서 일해봤는데, 그 어떤 업체든 구라가 판을 치는 부분이 열효율&난방비절감. 고등학교 이과만 나와도 말이 안된다는 걸 알 수 있는 부분인데요. 오래 열을 머금고 있다 = 데우는데 오래걸린다 / 금방 후끈해진다 = 금방식는다. 전자가 차라리 나은게, 금방 후끈해진다는 바닥에 뭘 덮지 않으면 우풍 좀 들면 그냥 냉기에 아예 따뜻해지지도 않음. 결국 덮은 것까지 따뜻해져야(그만큼 에너지소비가 많음) 온기가 생깁니다. 그러니 박람회가서 그만들 속으시고.. 시공 똑바로 못하는 업체만 잘 걸르시길.. 하자나면 나몰라라 합니다 ㅋㅋ 하자보수하는척만 하고 아주..

  • @hoyaondol

    @hoyaondol

    3 ай бұрын

    호야온돌은 습식난방 대비 에너지효율 2배 이상입니다. 습식 대비 단위 면적당 전력량 55% 감소, 습식 대비 약 5배 높은 열전달율로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킴, 습식보다 22KJ/㎡ 적은 열량 투입으로 에너지효율이 2배 이상 좋음. 연구기관 : 2023년 국립 군산대학교 연구결과 / 시험기관 : KCL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호야온돌 상세페이지에 보다 자세한 내용이 있으니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jamesmillerjo

    @jamesmillerjo

    3 ай бұрын

    @@hoyaondol 열전달율이 높으면 빨리 식는다는 얘기고, 에너지가 적게 들어가면 전달하는 에너지도 적은겁니다. 효율이 좋다고 하려면 열전달율 얘기를 할게 아니라 벽이나 하방으로 새는 에너지를 얼마나 더 잡았는지를 말해야지, 과학하고 싸우자는 게 아니라면 표현을 명시적으로 하시길 바랍니다. '온도가 2배 빠르게 올랐다' 라는건 '에너지가 2배 많이 전달되었다' 하고는 전혀 다른건데 홍보를 하려면 좀 더 논리적으로 표현을 사용해야 하지 않을까요?

  • @user-zs9wm8hs3d

    @user-zs9wm8hs3d

    3 ай бұрын

    @@jamesmillerjo ㅎㅎ 맞는 말씀입니다. 에너지 효율을 말하려면 단열 쪽으로 보는게 맞죠. 습식보다는 온도가 빠르게 오를 수 밖에 없는게 위에 방열판을 깔면 그렇게 되죠. 하지만 금방 식겠죠. 중요한건 내구성인데 그건 알 수가 없습니다. 적어도 10년은 봐야 하니까..

  • @BBB-yn8wu

    @BBB-yn8wu

    2 ай бұрын

    ​@@hoyaondol돈주고 받아온 결과

  • @paampaju

    @paampaju

    2 ай бұрын

    @@jamesmillerjo 습식난방에 비해서는 열 효율이 좋을 수 밖에 없겠죠. 몰탈에 파묻힌거랑, 단열재 위 건식난방이랑 비교도 안될듯.

  • @user-yr6ik1ex7e
    @user-yr6ik1ex7e3 ай бұрын

    굿~ 정보!!! 자세한 리뷰~ 역쉬!!! 블랙~툴!!! 아이갓~👍👍👍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ㅎㅎ

  • @yun-sikjeong5635
    @yun-sikjeong56353 ай бұрын

    에너지 절약이 바로 이런 것! 좋은 소개 감사합니다.

  • @user-be5fm6pp4r

    @user-be5fm6pp4r

    3 ай бұрын

    5.5평에 5평자리 난방했는데 일반전기로 한달에 30만원 전기료가 발생함. 그래서 다시 단열제 추가설치했음. 그래도 난방비가 30만 가까이 나옴, 바닥이 고르지 않음

  • @user-rm7jz9of5e

    @user-rm7jz9of5e

    3 ай бұрын

    ​@@user-be5fm6pp4r와 문제가 있다는 얘기네요 ㅠ

  • @leesangbin
    @leesangbin2 ай бұрын

    층간소음도 잡고 누수도 잡고 온돌도 되고 1석 3조 훌륭하십니다.❤

  • @user-sv2nk5qs6d

    @user-sv2nk5qs6d

    2 ай бұрын

    바닥수평 ~~아니면 소리남

  • @mifasoul9627
    @mifasoul96273 ай бұрын

    기존 바닥에 덧대기 하는 형식에 건식열판을 놓는 것은 좋아보이네요. XL파이프가 30년 이상 사용 가능한 소재이고(변형율을 고려해도 문제있진 않음) 완벽소재를 찾는 분들은 열대지역으로 이민 가시는게...(어떤 소재도 열변형이 존재함) 일단 공사기간 짧고 이웃에게 불편 안 줘서 좋고 다만 설치를 하는 업체의 시공능력이 관건일듯.(무엇이든 디테일에서 차이남)

  • @user-gh5ez8ws5y

    @user-gh5ez8ws5y

    Ай бұрын

    컨테이너 바닥시공 그이상을 꿈꾸신다면 절대적으로 후회합니다

  • @yjljami7850
    @yjljami78502 ай бұрын

    건식바닥 난방의 단점은, 신규바닥 시공시 걸어다닐때는 소음이 없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찌걱~ 거리는 소음의 문제가 있다.

  • @user-sh7sp6wx8y
    @user-sh7sp6wx8y3 ай бұрын

    제가 철물점 하는데 저희 집 18평 호야 에서 직접 주문해서 혼자 하루만에 끝냄 ㅎ 물건갑 백 이십인가 들엇음 습식으로 하면 배 정도 더듬 온돌 깐지가 3년 정도 지낫는데 보일러 2시간에 10분 만 돌려도 겨울에 충분함 좀 추우면 1시간에 10 분 돌림 ㅎ 급방 뜨거워짐 다른 건식에 비할바가 아님 좋은건 좋다고 하는 거임 난 철물 점 생활 20년 햇음 하지만 초보도 할수 있음

  • @burro2986

    @burro2986

    2 ай бұрын

    겨울 난방비 얼마나 나오나요 윗글에 10평에 25-30나온다는데 그러면 30평대 80-90만원 나온다는소리인데 말이안되서 여쭤봅니다

  • @user-in8rs5ex9z

    @user-in8rs5ex9z

    2 ай бұрын

    제가 4시간에 20분 돌려서 한달에 8만원 나옵니다... 충분히 따뜻한건 아니지만 지내는데는 별 문제없드라구요

  • @user-sh7sp6wx8y

    @user-sh7sp6wx8y

    2 ай бұрын

    저희는 130000 정도 나옵니다

  • @Ilikewoodworkinq
    @Ilikewoodworkinq3 ай бұрын

    뚜껑자체를 마감재로 만든다면 대박나겠는데요. ㅎ

  • @user-cd7bt1jo6p
    @user-cd7bt1jo6p2 ай бұрын

    건식난방은 열기가 빨리올라오는 장점이 있어요, 30~40분이면 따뜻해지는 장점이 있어요 대신 보일러 꺼지면 열기가 금방식어요, 당연한 겁니다 세상에 빨리 따뜻해지고 꺼져도 열기가 오래가는 장점만 있는 난방은 없어요

  • @user-fg2ju2ib2g
    @user-fg2ju2ib2g2 ай бұрын

    대박이네요 2년후 집지을건데 오오~~ 그때까지 이회사 건승 부자되세요

  • @japanioi7242

    @japanioi7242

    2 ай бұрын

    아마도 부도나 없어질 업체다 한둘이가

  • @user-gh5ez8ws5y

    @user-gh5ez8ws5y

    Ай бұрын

    집 지을거면. 하지 마세요. 난방시공 안 되있는 상가나 컨테이너용 입니다. 차라리 벽난로 하나 설치 하세요. 장작용 으로.

  • @user-gh5ez8ws5y

    @user-gh5ez8ws5y

    Ай бұрын

    참고로 장작 구입은 주변 벌채하는곳에서 구입하면 거의 운송비+ 거의 공짜 입니다.

  • @qwe4543
    @qwe45433 ай бұрын

    직접 설치했는데 솔직히 방통 보일러 까는거보다 싸진 않음.. 시공이 빠르고 간편하고 원상복구가 편한게 장점..

  • @zsysk8083

    @zsysk8083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방통 채우고 미장하는 습식 방식이랑 얼마 차이 안난다고?? 만약 네가 습식을 이거랑 비슷한 단가로 한다면 당장 오더줄수잇다. 그냥 이영상 깔려고 되지도 않는 헛소리 나불대지 말고 가서 일이나해 우리 진짜 업자들은 다알어 ㅋㅋ

  • @user-po2ep1vn8f

    @user-po2ep1vn8f

    3 ай бұрын

    헐~~!!어디에 손해 봐가면서 시공해주는 공사업체가 있나요?? 업체정보좀 주세요~우리집 재시공 좀 하게요ㅋㅋ 말이되는 소릴 하셔야죠^^

  • @joonhowoo311

    @joonhowoo311

    3 ай бұрын

    ​@@zsysk8083저분이 눈탱이 맞았다는 생각은 안하시나요?

  • @user-bi8bt2ok3e

    @user-bi8bt2ok3e

    3 ай бұрын

    Cm 메터당 하중몇Kg 공인인증서를 제출해야 인정함 구두로 말고

  • @user-rw7bl9mx8w

    @user-rw7bl9mx8w

    3 ай бұрын

    ​@zsysk8083 재료비만 따지면 습식이 싸지ㅋㅋ 이건 직접 시공 할 수 있어서 직접 고생좀 할 생각하면 인건비 안들여도 그럴싸한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게 큰 장점인거지 직접 안하고 인건비 들어가면 별 차이없다. 생각없이 쳐나불거리는건 당신 같네.

  • @user-rz8st1tv6k
    @user-rz8st1tv6k3 ай бұрын

    호야난방. 외국에서도 인기있다고 들었습니다^^

  • @xanadugirl200

    @xanadugirl200

    2 ай бұрын

    원래 저 방식 독일에 오래전에 있던 방식입니다... 한국에서 난방코일 깔기 전부터 독일에 있던 방식일겁니다.

  • @solmyson

    @solmyson

    2 ай бұрын

    우리집에 시급한데, 외국이고, 방이 많고 , 바닥이 마루고, 무엇보다 태양열 에너지를 설치가 안됩니다. 잣 나무로 집 남쪽으로둘러 있다고 합니다. 눈팅만 잘 했고, 부럽고 그러네요.

  • @B-bong501
    @B-bong5013 ай бұрын

    호야온돌 침대에 설치해서 사용하는데 배관호스가 고무호스로 되어 있던데~ 저기는 호스가 다르네요~ 고무호스를 손으로 잡으면 뜨거운데 위에 뚜껑덥고 그 위에 얇은 이불깔고 나면 온돌방처럼 뜨겁지는 않고, 이불속이 훈훈한 정도입니다~ 전기장판 보다는 건강에 좋을 듯 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 @ltlkf-ir2vm

    @ltlkf-ir2vm

    3 ай бұрын

    보일러는 어떤 종류로 했나요? 전기인가요?

  • @B-bong501

    @B-bong501

    3 ай бұрын

    @@ltlkf-ir2vm 전기 보일러로해요~

  • @user-xo2qo5me9c

    @user-xo2qo5me9c

    3 ай бұрын

    전기라면 전자파문제가 심각할텐데요?

  • @jamesmillerjo

    @jamesmillerjo

    3 ай бұрын

    @@user-xo2qo5me9c 보일러에서 나오는건 온수입니다. 혹시 보일러 위에 드러누워서 사세요?

  • @burro2986

    @burro2986

    2 ай бұрын

    ​@@user-xo2qo5me9c전기로 물을데워서 따뜻한물이 호수로들어가는거죠 온수 매트랑 같은원리

  • @ssss-ou4bn
    @ssss-ou4bn2 ай бұрын

    이거 일본 유투버가 깔았는거 봤는데..대박이더군요.....한국보다 일본에 진출하면 대박일듯요!! 대단합니다!!

  • @dalgwan1
    @dalgwan12 ай бұрын

    저도 작년에 설치해서 썻는데 전기난방비 가 너무 많이나와서 그냥 기름보일러 쓰는중 입니다 본사에서 보신다면 이유를 설명해 주셨음 합니다.

  • @user-xs2zu4yg3h
    @user-xs2zu4yg3h3 ай бұрын

    사장님 존경 합니다 국산화가 애국 하는 것입니다 화이팅

  • @maedajinstudio552
    @maedajinstudio5523 ай бұрын

    호야 온돌 분명 좋은 제품이라고 생각하지만 확실한건 단가가 생각보다 높다는게 문제임 개인적으로 취급을 원하는 고객을 만나 사용해 본적이 있는 사람으로서 좋은 제품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가격을 무시하기는 어려운 제품임

  • @user-mk5to6lh2w
    @user-mk5to6lh2w2 ай бұрын

    우와 😍 국내선 응원합니다 🎉

  • @user-zr3mi6mk5u
    @user-zr3mi6mk5u3 ай бұрын

    침대하나크기에 1kw로 아는데 장판은 보통 150w ~200w 일텐데 5배나 전기를 많이쓰는거 아닌가요? 아이디어는 좋지만 전기세폭탄으로 힘들듯. 전기효율만 좋다면 대박 아이템

  • @hyuksangyoon8215
    @hyuksangyoon82153 ай бұрын

    뭘 묻기만 하면 다 괜찮대. 이유와 특징 원리는 하나도 없고 무조건 다 좋고 문제 없다…. 영업 경쟁력 보완이 필요해 보임

  • @Kingmankm
    @Kingmankm3 ай бұрын

    평당18만원 인건비 별도 좋은게 뭐가 좋을까요? 높은 단가를 많이 낮추어야 겠네요. 소재가 뭐가 되었던간에 기자재 가격이 너무 높은게 큰 단점이네요.

  • @user-cw6ih4js8h

    @user-cw6ih4js8h

    3 ай бұрын

    넘비싸.던가를마니내려대중화해야돈벌너ㅣ요

  • @user-sh7sp6wx8y

    @user-sh7sp6wx8y

    3 ай бұрын

    답답 이거 하루만에 모든 공사 끝넬수 있음 습식하고 비교하지 마셈

  • @Kingmankm

    @Kingmankm

    3 ай бұрын

    0:51 ​@@user-sh7sp6wx8y 답답은 다른곳도 하루면 공사끝남. 자재 소재가 특허라고 해도 평당18만원이 부담이 가는게 인지상정이지요. 인건비는 따로이고 비싸죠.

  • @user-if8sk5xm4n

    @user-if8sk5xm4n

    3 ай бұрын

    ​@@Kingmankm 공구리안치고?

  • @OmOmOm333

    @OmOmOm333

    3 ай бұрын

    자재만 사면 된다면 Good!!!!

  • @user-dg7di9uw7y
    @user-dg7di9uw7yАй бұрын

    수출로 대박을 내시길!!!

  • @user-cd7bt1jo6p
    @user-cd7bt1jo6p2 ай бұрын

    단점 : 상하판 조립이 잘안맞어 끌렁거리고 소리가 난다, 보일러 꺼지면 열기가 금방 식는다, 가격 저렴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많이하는 레미콘차가 와서 하는 방통 습식 난방과 가격이 거의 비슷합니다

  • @zsysk8083
    @zsysk80833 ай бұрын

    기존바닥 들어나지 않고 하면 저 두깨만큼 높아지고. 그럼 문짝이 ..하부를 잘라야하고..그리고 분배기쪽 ..씽크대밑 어쩔까? 또 저 난방공사할때는 수도(급수.급탕) 배관도 같이 하는데 .그래야 수도 터졋읉대 보수가 수월하지 사장님 이런거 보완하시면 좋을듯해요 현재 는 어떤평수든 어떤 바닥이던 들어내지 않고 하루에 시공완료 되는 특허.독점 공법이 잇어요 평당 소비자가 약 16~18 이사짐 안빼도되고 완료하면 담날.장판이나 마루깔수잇고요

  • @user-wp2pz1rj5n
    @user-wp2pz1rj5n3 ай бұрын

    팀장님 긍정에너지듬뿍

  • @tebgel1485
    @tebgel14853 ай бұрын

    와 난방 신개념이네요 기대됩니다.

  • @user-ch1nq8lq2d

    @user-ch1nq8lq2d

    3 ай бұрын

    건식자체는 20년넘은 기술입니다

  • @xanadugirl200

    @xanadugirl200

    2 ай бұрын

    에고.. 벌써 어마어마하게 오래전에 독일등에 있던 방식이예요

  • @user-tk8ui8zm5y
    @user-tk8ui8zm5y2 ай бұрын

    방 문턱이 있는 경우의 문제 해결 방법과 (문턱을 들어내고 문 밑 부분을 잘라내야 하는지???) 분배기 바로 앞부분은 최소 8~10개 정도의 엑셀을 처리하는 영상까지 보여줘야 셀프 시공이 가능 할거 같네요

  • @ssjj4314
    @ssjj43143 ай бұрын

    저거 독일에서 이미 개발하고 판매했던거. 그냥 복제해서 파는거네, 유럽넘들 돌로만든 집들 부수고 공사할수 없고 돈도 많이들어서 저런걸 이미 10-20년전에 만들었었음.

  • @user-be5fm6pp4r
    @user-be5fm6pp4rАй бұрын

    5평 설치하고 전기세 폭탄 맞았어요. 일반전기 5kw입니다. 12월 35만원 나왔습니다. 겁나서 별로 사용하지 않았지만 1월에는 25만원 나왔습니다. 바닥이 꿀렁거려서 재 시공했는데도 역시 꿀렁거림. 전기세가 많이 낼려면 설치하세요. 바닥은 절대로 평탄하지 않음. 설치하는 방법은 쉽습니다. 전기보다는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user-io7kn1sx7l
    @user-io7kn1sx7l2 ай бұрын

    호야온돌 좋아요 군산 화이팅

  • @01jpg58
    @01jpg582 ай бұрын

    난 여기 댓글에 전기•가스 요금으로 딴지 거는사람들 이해가 안가네ㅋㅋ 요금은 본인집 물끓이는 보일러가 귀뚜라미, 린나이 같은 업체에서 나오는 보일러의 효율이 좋은가 를 따져야되는거고 또 보일러 타입이 LNG 도시가스냐 LPG가스냐 아님 전기를 사용하냐, 전기면 가정용인지 산업용인지 이런걸 따져야지ㅋㅋ 엑셀파이프 깔면 혼자 물끓음? 스스로 생각을 못하네.

  • @moonanrenthouse7540
    @moonanrenthouse75403 ай бұрын

    난방비 걱정 없앨정도면 노벨상감이네요~~ㅎㅎㅎ

  • @hoyaondol

    @hoyaondol

    3 ай бұрын

    호야온돌은 습식난방 대비 에너지효율 2배 이상입니다. 습식 대비 단위 면적당 전력량 55% 감소, 습식 대비 약 5배 높은 열전달율로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킴, 습식보다 22KJ/㎡ 적은 열량 투입으로 에너지효율이 2배 이상 좋음. 연구기관 : 2023년 국립 군산대학교 연구결과 / 시험기관 : KCL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호야온돌 상세페이지에 보다 자세한 내용이 있으니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user-kc3ch2nz2r
    @user-kc3ch2nz2r3 ай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역시 툴플레이어님 화이팅 입니다...

  • @parkherenow

    @parkherenow

    3 ай бұрын

    정보는 없고 그냥 믿어주세요,뿐 아닌가 싶은데?

  • @user-je1ig2le5c
    @user-je1ig2le5c3 ай бұрын

    저거 전기비 폭탄 나옴. 농막에 설치해도, 농업용 전기로 계산해도 전기비 폭탄 나옴. 특히 농막의 경우 전기비 폭탄나오면 한전에서 조사원까지 나옴. 농막 용도로 쓰지 않는다고...

  • @wantaekim1206
    @wantaekim12063 ай бұрын

    난방은 기존 습식난방이 월등합니다 축열기능이 더 높기 때문입니다 건식난방은 축열기능이 약합니다

  • @hoyaondol

    @hoyaondol

    3 ай бұрын

    호야온돌은 말그대로 온돌패널로 열전도성, 축열성이 뛰어난 제품입니다. 바닥만 따뜻한 것이 아닌 원적외선 복사열로 공기까지 훈훈합니다.

  • @kojo6309

    @kojo6309

    2 ай бұрын

    ㄴㄴ 진짜 축열 기능이 좋은건 구들장이 최곱니다 구들은 일반 집에 시공 하기 힘드니 계량 해서 나온게 습식 난방 입니다

  • @lionoosupa2081

    @lionoosupa2081

    2 ай бұрын

    @@hoyaondol 먼 시발 뛰어나단 뻔한 소리 ㅋㅋ 안쪽팔리나

  • @lionoosupa2081

    @lionoosupa2081

    2 ай бұрын

    난방은 습식 난방이 훨씬 낫지만 간편하게 빠르게 건식나방을 선호하지

  • @newstalktv828
    @newstalktv8282 ай бұрын

    저걸 사용한다면 반드시 태양광이 설치 되어야합니다. 누진폭탄....보조로 벽난로 혹은 주물난로를 두시는게 좋음.

  • @user-ex9fu4eb4y
    @user-ex9fu4eb4y2 ай бұрын

    와 이런기술. 대단해요 성공

  • @catherine-97
    @catherine-972 ай бұрын

    건식이니까 욕실엔 안되겠죠...? 욕실 바닥에 엑셀 자체가 안깔려 있어서 겨울에 너무 추워요.ㅠㅠ 저희 집은 기름보일러 쓰고 있는데요, 기존 기름보일러 그대로 거기에 분배기에서 연결만 하면 된다는 건가요? 그럼 전기료 폭탄하고는 상관이 없는거죠?

  • @user-is5vu2rz5p
    @user-is5vu2rz5p2 ай бұрын

    물을 댑혀주는 식으로 하는게 난방이 맞는듯. 찬물도 금방따뜻해 지드만. 공기도 따뜻해지면 좋고

  • @meguru420
    @meguru4203 ай бұрын

    바닥이 단단한것보다 소음차단효과가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조금 보완이 필요해보이고 필름난방보다 너무 두꺼운것도 별로로 봅니다

  • @TV-cj1so
    @TV-cj1so3 ай бұрын

    어차피 것도 물을 데워서 하는방식이라 호수가 터질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단 호수가 터졌을때 좀 쉽게 수리할수있다 정도네요

  • @user-eg7do9hz5l
    @user-eg7do9hz5lАй бұрын

    건식난방으로 모두 바꾸었으면 좋겠어요

  • @user-cd7bt1jo6p
    @user-cd7bt1jo6p2 ай бұрын

    호야난방 하지 마세요 저두 속았어요 상판 하판이 조립시 잘 안맞아서 꿀렁거려요, 호야난방은 아직도 꿀럴거림 해결못했어요

  • @user-ng5gj3ul3k
    @user-ng5gj3ul3k3 ай бұрын

    전기세 감당이 않되요 가정용전기로는 않됨 지난달 23도로 15일 정도사용하고 95000원나옴 영수증보여줄수있어요

  • @ltlkf-ir2vm

    @ltlkf-ir2vm

    3 ай бұрын

    걍 95000보다 평수를 알면 타 난방대비 비교가 쉽겠네요

  • @user-xo2qo5me9c

    @user-xo2qo5me9c

    3 ай бұрын

    전기라면 전자파문제가 심각할텐데 그 부분에 대해서는 대책이 없는게 좀 이상합니다

  • @jamesmillerjo

    @jamesmillerjo

    3 ай бұрын

    @@user-xo2qo5me9c 전기를 쓰는건 보일러뿐이고 그 이후는 물을 통해 가는건데 무슨 전자파입니까 대체 혹시 보일러 뚜껑위에 이불깔고 살고계십니까?

  • @picafon4020

    @picafon4020

    3 ай бұрын

    @@user-xo2qo5me9c 온돌 보일러랑 똑같아서 전자파는 관계 없다는걸 아실테고 다만 전기료가 너무 높은게 진입 장벽이 높을거 같네요.

  • @BBB-yn8wu

    @BBB-yn8wu

    2 ай бұрын

    좁은방에 원래 21도인데 23도로 매일 2시간 틀고 95000원 아닐까요 ㅋㅋㅋ 믿고 거릅니다 이런 생짜 거짓말은

  • @user-ef3tk4sl1p
    @user-ef3tk4sl1p3 ай бұрын

    이런 시공법은 여러업체가 있네요

  • @user-tj6ij4bk1l
    @user-tj6ij4bk1l3 ай бұрын

    자재비 평당 18만원이면 경쟁력이 없는데요? 강마루 시공도 안되고... 누수시 수리하면 판넬에 안끼워지고 수리부속도 상용화되있지도 않고... 가성비라도 좋아야 사용할수있을것 같습니다. 34평 아파트 전용이 25평정도 되니까 바닥자재비만 450만원. 아직은 너무 비싸네요

  • @marineviper
    @marineviper2 ай бұрын

    이걸 더 발전 시키면 층간소음 완화에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 @boosik
    @boosik3 ай бұрын

    아주 기가막히네여 부모님집에 호야온돌 하나 놔드려야겠어여

  • @hoyaondol

    @hoyaondol

    3 ай бұрын

    네, 원적외선 90.5% 효과로 몸속부터 따뜻합니다. 꼭 연락 주세요. ^^

  • @bosug75

    @bosug75

    2 ай бұрын

    전기누진요즘 조심 해야된다는데요.

  • @user-rw2eq2lh3e

    @user-rw2eq2lh3e

    Ай бұрын

    귀엷은 사람 하나 있네

  • @user-sq3uw2jh2w
    @user-sq3uw2jh2w3 ай бұрын

    신규 주택 설치시는 냉온수는 별도로 깔아야 하나요?

  • @user-mz3db8wj8d
    @user-mz3db8wj8dАй бұрын

    알앗어요 좀더 진즉에 나왓으면 좋앗을걸 그래도 천만다행이로다

  • @dukkeunpak4818
    @dukkeunpak48182 ай бұрын

    오래 사용하다보면 물통로에(호스안쪽) 쌓이는 불순물로 막히거나 물호스가 파손될 경우엔 어떻게 찾아내고 수리를 해야 합니까 ? 또 국외에서도 배송받을수도 있나요 ?

  • @Maldduines
    @Maldduines2 ай бұрын

    제가 직접 주문해서 직접 설치했습니다 (3.5평 설치후 가동하며 느낀점) 1. 습식난방보다 연전도율 높지않습니다 오히려 보일러 콘트롤러 최강으로 맞춰놓고 1시간 틀어도 따뜻함보단 그저 뜨뜻하다정도입니다. A/S 신청하니 일주일만에 와서 전체 점검후 보일러 출력 한단계 높은걸로 교체해 주었지만 역시 한시간 가동후 조금 나아진 정도입니다 2.전기세 장난아닙니다 가정용전기 하루 세시간만 사용해도 누진세로 눈 돌아갈겁니다 3.결론: 주변인들에게 추천하면 원망 바가지로 받을겁니다 실제로 사용하고있는 실사용자의 후기입니다

  • @truth4598

    @truth4598

    2 ай бұрын

    호야는 전시장에서도 이불 덮어놔야 따뜻한 건식난방으로 유명합니다. 전기온수보일러로는 열량이 부족해 가스나 기름으로 쓰라고 이제와 그럴 정도니 말 다했죠~ 소재만 특허? 풉 저거 짜르면 플라스틱 냄세 엄청 심해서 역합니다. 무게도 너무 무겁고요 그냥 플라스틱이라고 보시면 되고 열전도율 전혀 높지 않습니다. 유투버한테 돈주고 광고하느랴 너무 애쓰네요ㅋ 소비자는 호구 당하는거고~ 이런 건식난방 업처 수명 길지 않습니다. 딱 그정도 제품인거고 그정도 가격인 겁니다. 이도 밑천 다 들어날거고 이거 깔았던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또 후회를 할 것입니다. 늘 이런 건식난방 업체들한테 당한것처럼...

  • @user-dw8wr8tw6e
    @user-dw8wr8tw6e3 ай бұрын

    호야 온돌로 공사를 한 사람입니다 셀프 시공은 모르겠으나 시공 하는 업체에 따라 다릅니다 나는 시공 대리점에서 시공을 했더니 선전과는 다릅니다 저는 호야회사 제품 선전을 100% 믿지 않습니다 시공 하는 대리점 선택을 잘하셔야 합니다 꿀렁 거리지는 않아도 삐그 덕 걸입니다

  • @user-mo7bf3pl3g
    @user-mo7bf3pl3g3 ай бұрын

    한국에서는 외제는 비싸게 단가를 메겨야 잘 팔린다는 얘기가 있지만 국산은 단가가 높으면 안 팔리는 희한한 나라이죠

  • @user-xd4xo7mc5w
    @user-xd4xo7mc5w2 ай бұрын

    유지보수는 참 편할듯요

  • @user-cd7bt1jo6p
    @user-cd7bt1jo6p2 ай бұрын

    제가 시공하고 많이 후회했어요 시공비도 일반 습식난방에 비해 절대 저렴하지 않아요

  • @user-uc4em4pd2w
    @user-uc4em4pd2w2 ай бұрын

    기존에설치된보일 러가오래되서 교체하려면 어트게해야되나요 안방 만따뜻 하게할수도있나여

  • @donghunlee7640
    @donghunlee76403 ай бұрын

    거실형 모노륨 온수매트가 최고임..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고..

  • @kke5664
    @kke56643 ай бұрын

    이 제품에 장점이 뭔가요? 온수매트랑 다른점은 위에 무거운걸 올려둘수 있다는 건가요?

  • @yoonmarshall9215
    @yoonmarshall92152 ай бұрын

    맨 위에 올라오는 패널의 색감이 타일칼라였다면 그위에 장판이나 다른것을 올리지 않을수 있어 더 비용절감과 디자인에 좋지않을까요? 미국에있는 사람들은 어디서 구매하나요?

  • @user-kn9lq1pd2p
    @user-kn9lq1pd2p2 ай бұрын

    중국에서 기술 빼가지못하게 잘 지켜주세요~😅

  • @user-vx8fw9br5b
    @user-vx8fw9br5b2 ай бұрын

    기름보일러도 되죠?

  • @user-ix7pc4pl1t
    @user-ix7pc4pl1t2 ай бұрын

    기존 문보다 높으면 문짝을 바꿔야 하나요?

  • @user-lb9gw5kn9d
    @user-lb9gw5kn9d3 ай бұрын

    들어간 에너지량과 나오는 양만 계산하면됨. . . . 들어가는게 적은데 나오는 것이 많을 수 없음

  • @user-df3em2ef3g
    @user-df3em2ef3g3 ай бұрын

    궁금해서요. 불연, 쥰불연, 난불연, 어떤 재질 인가요?

  • @user-bm4mo2ol3p
    @user-bm4mo2ol3p2 ай бұрын

    설치후 드는 비용문제도 따져 봐야지!

  • @kiyoon9621
    @kiyoon96213 ай бұрын

    아니 위아래 동일재질이면...이상한데요?.. 배관 하단이 단열이되야 내집이 따뜻할텐데...단열이 안되면 아래집 찬장 데피는거고 단열이 되는 재질이면..덜따수운거 아닌가요?...바닥이랑 상판 단열이 달라야될거같은데...

  • @taesoolim4030
    @taesoolim40302 ай бұрын

    천정이 높은곳에도 효과가 있을까요 대류난방은 효과가 떨어져서요 단기간에 몇시간 행사있을 때만 사용하는 경우도 괜찮을까요 ?

  • @jungsublee3497
    @jungsublee34973 ай бұрын

    층간소음 측면에선 어떤지 궁금합니다

  • @user-fb7rm9hy7o
    @user-fb7rm9hy7o2 ай бұрын

    층간소음까지 해결되면 완벽 할거 같네요

  • @ljy3355
    @ljy33552 ай бұрын

    가정용 전기로 저걸 돌리면 요금 핵폭탄 급 이라고 느끼실 겁니다. 오래전 200×200×100mm 정도의 온풍기 욕실등 빠르고 요금 적게 나온다는 광고로 많이 샀는데 전기요금이 3~40 만원씩 나와서 머리 쥐난 사람들 열 받아서 버린게 고물상에 많이 나왔었죠. 모터는 효율이 올라서 소비전력 이 내려 갔지만 물 데우는 원리는 거의 변함이 없죠.

  • @JoongangHomecare
    @JoongangHomecare3 ай бұрын

    인테리어하는 업자인데..관심이많습니다. 최종마감은 마루나 , 폴리싱타일종류들도 전부 시공이가능할까요? 그리고 장판은 당연히 문제가 없겟지만 마루나 타일종류는 교체시기가되었을때 교체가 가능할까요? 본드때문에 철거가 안되고 장판만가능한건 아닌지요?

  • @A_national_boiler
    @A_national_boilerАй бұрын

    건식은 틀때만따뜻하구 습식은 한번 데우면 돌이 식을때까지 따듯해져서 사실 건식은 비추천 임당 .. 가스비용으로 따진데도 습식이 훨씬 낳아용

  • @user-en8qu2vi7p
    @user-en8qu2vi7pАй бұрын

    열전도율이 좋다는건 열을 빨리 내보낸다는건데 전도율이 좋은건 윗판에 해당하고 아랫판은 열 보존성이 높아야죠

  • @MKimID
    @MKimID2 ай бұрын

    순환수의 온도가 일반 습식에 비해서 낮은 온도로 설치를 해야하는 것 같기도 하네요... 상판이 좀더 두꺼운 옵션이 있었으면 좋겠네요,

  • @DeepRootedTreeForest
    @DeepRootedTreeForest3 ай бұрын

    예전에 다른 유튜브 영상으로 봤던 제품인데 국산이었군요 열변형도 없고 고장도 없다고 하지만 만약 물이 새도 수리가 쉬울 것 같습니다

  • @hoyaondol

    @hoyaondol

    3 ай бұрын

    네, 하자 발생 시 유지보수에도 좋은 제품입니다. ^^

  • @user-ul4yj5wx3c
    @user-ul4yj5wx3c3 ай бұрын

    다좋아요 근디비싸요 고것이문제입니다

  • @geumdung
    @geumdung2 ай бұрын

    수출해야 할듯요 해외 공기온열?집들이 많아서 불편했는데 한인들 엄청 좋아할듯요

  • @user-lj2nh3np8j
    @user-lj2nh3np8j2 ай бұрын

    바닥 동파이프 오래된 관계로 자주터지는데 기존있던 온수나 수돗가 터지면 골란하지않나요

  • @young1721
    @young17213 ай бұрын

    호스깔고 남은 공간을 모래로 체워넣으면 열 축적이 되서 더 효과적이 아닐 까요?

  • @user-qx3ih3uf4i
    @user-qx3ih3uf4i2 ай бұрын

    옛날전기온돌은 부분고장이나면다뜯어야했는데 이건고장시어떻게as하나요

  • @user-fw4wz5jv1n
    @user-fw4wz5jv1n3 ай бұрын

    앞으로 건축당시 부터 난방은 이방식대로 하고 냉온수 배관은 천정에 시공 하면 누수는 금방 수리한다

  • @user-mv4iv3rl9p
    @user-mv4iv3rl9p3 ай бұрын

    제일관건은 개발했다고 방만하지말고 가격경쟁에서 우위 를 점하는게 중요해요

  • @lionoosupa2081

    @lionoosupa2081

    2 ай бұрын

    개발이랄것도 없고 평범한데 난방비가 큰 단점이지

  • @A-cup-of-coffee
    @A-cup-of-coffee2 ай бұрын

    시공은 영상속 제품으론 좋은데 보일러는 가스 보일러가 훨씬 낫겠내요 전기세 좀 모으면 가스 보일러 사도 되겠네요 ㅡㅡ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