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도 궁금했다! 사역동사의 목적보어엔 왜 동사원형을 쓸까? | 엉클잭의 쇼킹한 영문법 [제6편]

평소 궁금했지만 속시원하게 알 수 없었던 영문법 이야기!
준사역동사 help는 어째서 동사원형, to부정사 둘 다 쓸 수 있을까?

Пікірлер: 140

  • @odyssey1453
    @odyssey14532 жыл бұрын

    무조건 외우라고 했는데 바로 이런 이유가 있었군요 사역동사라고 하기보다 인과동사라고 해야될듯 하네요 영어 문장의 뜻도 좀 더 명확하게 알게되는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영문법은 언제나 바뀔까요?

  • @mywayhomealice
    @mywayhomealice2 жыл бұрын

    제 평생에 영어공부하면서 궁금했던 것들을 이렇게 명백히 설명해주시다니요.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goldsun9975

    @goldsun9975

    2 жыл бұрын

    get도 사역동사인가요? 사역동사라면 왜 to를 쓰나요? 제가 잘못 알고 있는지 알려주세요.

  • @archi-techleesenglish2500
    @archi-techleesenglish25002 жыл бұрын

    오~ 영상 아주 좋았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help는 사역 동사가 아니기 때문에 제가 알기로는 She helped him succeed.와 She helped him to succeed.는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원어민들이 ‘직접적인 도움’ 또는 ‘간접적인 도움’과는 별로 상관없이 구별하지 않고 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흥미로운 것은 사역 동사가 과거분사의 모양으로 수동태 형식을 취할 때에는 to-부정사의 모양을 취한다는 것입니다. [I made him sleep. ---> He was made to sleep.] [I had him succeed. ---> He was made to succeed.] [I let him go. ---> He was let go.] (let go는 예외)

  • @elaines2534
    @elaines25342 жыл бұрын

    영어 공부 하는 유투브 채널중 유일하게 더 듣고 싶게 만들어서 제 스스로 놀라는 중이에요. 알고 있던것도 복습하는 재미가 쏠쏠해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vipfj
    @vipfj2 жыл бұрын

    앗 help 동사 정말 궁금했는데 영어공부 40년만에 깔끔하게 해결했네요.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 @miinsun0
    @miinsun02 жыл бұрын

    사역동사에 대해 공식처럼 그냥 외웠는데... 사역동사~ 넌 이유가 다 있었구나

  • @user-lr2jk2su4m

    @user-lr2jk2su4m

    2 жыл бұрын

    글쎄말입니다....꼴리는대로 쓰는 줄 알았더니만.

  • @miinsun0

    @miinsun0

    2 жыл бұрын

    @@user-lr2jk2su4m ^^

  • @User-Indoku-
    @User-Indoku-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학교 다닐때 영어 선생님은 이런 설명 없이 외우라고만 했는데... 그때 교육 방식이 얼마나 않좋았는지 뼈저리게 느낌니다. 다만 지금이라도 이런 강의를 들을 수 있는것과 제 자식들은 이련 명강의를 들으며 논리적으로 공부를 할수 있게 되서 기쁘네요.

  • @daveha8623
    @daveha86232 жыл бұрын

    영문법 첨 배울때, 어떤 문장구조에 대해 A도 쓸 수 있고, B도 쓸 수 있으면 2개를 다 쓸 수 있다는 사실 자체를 외우지 말고, 2개의 의미 차이에 집중하라고 배웠는데, 왜 help에 대해선 그 생각을 못하고 맨날 "help는 준사역 동사라서 to R이랑 R을 같이 쓸 수 있다"고만 외웠는지.ㅋㅋ 항상 명료한 강의 감사합니다. :)

  • @SK-in5fo
    @SK-in5fo2 жыл бұрын

    또 새겨보고 갑니다 . 감사합니다.

  • @sj3885
    @sj3885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역시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m.j9627
    @m.j96272 жыл бұрын

    무릎을 탁치고 갑니다. 문법 강의가 더 대단한것 같습니다.!

  • @sanghaitwist9844

    @sanghaitwist9844

    2 жыл бұрын

    이 형님 때문에 무릎 나간 사람들 꽤 돼지요.ㅎㅎ

  • @freebird7556
    @freebird75562 жыл бұрын

    너무 잘 이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jamesyouk
    @jamesyouk2 жыл бұрын

    깔끔하고 확실한 정리에 감사드립니다~

  • @eunice0691
    @eunice06912 жыл бұрын

    역시 명강의!! 감사합니다 ^^

  • @youngiep02
    @youngiep022 жыл бұрын

    역시 잭샘~~~!! 쉽게설명 감사해요.

  • @saintjung6354
    @saintjung6354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깔금하게 정리되는 내용에 감사합니다

  • @user-rq3tm5vm6c
    @user-rq3tm5vm6c2 жыл бұрын

    이런강의 너무 좋아요!

  • @yoochan2499
    @yoochan24992 жыл бұрын

    1년 넘도록 공부 안하고 있었는데 복습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 @sokmmhealth
    @sokmmhealth2 жыл бұрын

    궁금증이 해결되었습니다. 꼭 다음 시간에 뵙기를 바라겠습니다.

  • @dreamer9188
    @dreamer91882 жыл бұрын

    제 최애 유튜버이십니다. 정말 도움돼요!!!

  • @charliem432
    @charliem4322 жыл бұрын

    와 … 세상에.. help 설명에서 소름이 돋았습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user-bw3sg9mm2n
    @user-bw3sg9mm2n2 жыл бұрын

    궁금했지만 어디 질문하기도 난감했는데 이제 속이 시원합니다ㅎㅎ 명강의 감사합니다!

  • @user-em8xc6ih9b
    @user-em8xc6ih9b2 жыл бұрын

    영상이 보식도 듣기도 편하고 이해가 잘되네요. 감사합니다

  • @beom133
    @beom1332 жыл бұрын

    디테일한 영어강의 감사합니다~! 막연하게 궁금했지만 효율성을 핑계로 뒤로 묻었던 것들을 자세하게 가르쳐주시네요!

  • @user-rz5jl3ex3b
    @user-rz5jl3ex3b2 жыл бұрын

    와 이분은 왜 그런지를 설명해줘서 너무좋음.

  • @wise1633
    @wise16332 жыл бұрын

    잭선생님영상은 강의들을때마다 배우기+강의마다 감탄하기입니다. 최고~~~~👍

  • @SH-dy7rf
    @SH-dy7rf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사역동사 무조건 외웠는데 확실하게 이해했어요.

  • @stevehan7983
    @stevehan79832 жыл бұрын

    감탄하면서 감사드립니다

  • @leahsart3695
    @leahsart36952 жыл бұрын

    너무나 도움이 되네요!! 언어를 이해하려고 하지 않고 외우려고만 하니 오랜 세월이 지나도 그 차이를 전혀 이해 못했네요.

  • @namu947
    @namu94710 ай бұрын

    깔끔하고 명쾌한 설명에 확실하게 이해했습니다,ㅎㅎ

  • @joj820
    @joj8202 жыл бұрын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설명에 머리가 개운해 지네요. 왜 이런 요긴한 설명이 일반 문법책에선 찾아볼 수 없는지 안타까워요. 이유가 이해되는 선생님문법강의 늘 감탄하며 보게 됩니다~^^

  • @user-sz2vk3qo1f
    @user-sz2vk3qo1f2 жыл бұрын

    무턱대고 외웠는데 다 의미가 있는거네요^^ 감사합니다^^

  • @user-lv5oq9zk4w
    @user-lv5oq9zk4w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moodeongah
    @moodeongah Жыл бұрын

    크으…🤭 명쾌한 설명 감사합니다!

  • @hklee333
    @hklee3332 жыл бұрын

    원리를 쉽게 설명해줘서 감사합니다.

  • @gunhodo4863
    @gunhodo48632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dp2em1rj4i
    @user-dp2em1rj4i2 жыл бұрын

    준사역동사의 의미를 이제 알았네요.감사합니다

  • @sokmmhealth
    @sokmmhealth2 жыл бұрын

    You made me have an aha moment after your brilliant explanation.

  • @oj555oj
    @oj555oj2 жыл бұрын

    인과관계가 성립해서 to를 안쓰는게 아닙니다.. 저번에 관사편에도 너무 일반화를 하면 안좋다고 댓글을 달았다가 지웠는데.. make / have / let 은 기본적으로 old English 의 어원을 가지는 단어입니다.. 원래 영국에는 barbarian들만 살았고 영어는 귀족이 아닌 서민층이 쓰는 언어였어요.. 프렌치나 스패니쉬가 훨씬 더 고차원(?)적인 언어였죠.. 그래서 라틴어 프렌치 스패니쉬의 어원을 가지고 있는 동사인 force persuade allow get 이런 단어들은 인과관계가 성립되어도 to를 씁니다.. Spanish 에서는 to 를 a 로 표현하죠.. 그래서 I made him go. 지만 비슷한 뜻으로 force를 사용하면 I forced him to go. 가 되는 거에요.. let 과 의미가 비슷한 allow 도 당연히 to를 써야 하는 거구요.. old English 는 공부를 하지 못하는 서민들이 쓰는 언어였기 때문에 말만 통하면 되지 문법이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거추장 스러운 to 따위는 필요 없었던 거구요.. 그런데 우리가 왜 make 는 목적격 보어자리에 원형 부정사를 써야 하는지 그 이유를 찾는 공부를 할 시간에 차라리 make / have / let 은 원형부정사를 쓴다 이렇게 외우는게 훨씬 빨라요.. 그리고 make 가 들어간 다양한 예문들에 많이 노출되는게 훨씬 효율적이고 실용적입니다.. 다른 영상들은 가끔씩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근데 그냥 외울것은 그냥 외우는 것이 더 낫다고 봐서 댓글 달아봅니다.. 괜히 오지랖 떠는거 같아 죄송합니다... She helped him succeed. 와 She helped him to succeed. 는 정확히 같은 뜻입니다... 전자가 좀 더 영어스럽고 후자가 좀 더 격식스러운 차이밖에 없어요.. 그리고 to 부정사의 to는 미래성 일반화 시키기는 무리가 있습니다.. 아 이 이야기는 너무 길어져서 ...... 아무튼 다른 영상들은 가끔씩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근데 그냥 외울것은 그냥 외우는 것이 더 낫다고 봐서 댓글 달아봅니다.. 괜히 오지랖 떠는거 같아 죄송합니다...

  • @gijaean1822

    @gijaean1822

    2 жыл бұрын

    언어를 배우다 보면 예외에는 항상 이유가 있을 거라는 생각을 갖는게 부질없는 짓인지 잘 알게되죠. 인간이 불완전하듯이 수세기를 발전해온 언어라 해도 불완전 할 수 밖에요 아이러니하게 Let get have 이 사역동사들은 일반적으로 수동태로 쓰이지 않지만 또 make는 잘만 쓰이구요

  • @oj555oj

    @oj555oj

    2 жыл бұрын

    @@gijaean1822 맞습니다 예외에 인과성과 합리성을 부여하려고 하는 노력보다 노출과 습득으로 언어를 배워야 한다고 봅니다. 수동태라는 문법또한 능동태에 비해서 고차원 적인 문법(?)입니다.. 원래 영어에는 능동태만 있었죠.. 유럽어와 접촉하면서 좀 더 고급스럽게 표현하기 위해 수동태가 생겼났고 수동태는 유럽어의 특히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말씀하신 사역동사 make 가 수동태가 되면 유럽어의 고차원 문법에 따라 to를 다시 붙여야 합니다.. 지각동사들도 마찬가지이구요~

  • @edwardlee2715

    @edwardlee2715

    2 жыл бұрын

    님의 설명이 본 영상보다 훨씬 설득력이 있습니다. 저도 영상에서 '관계 거리' 개념으로 설명할 때 딱 make, have, let을 보면 그럴듯 한데 하면서 force, allow등 그 개념으로 설명 안되는 더 많은 예들때문에 수긍하할 수 없었거든요.

  • @j2racheldwight165

    @j2racheldwight165

    2 жыл бұрын

    영상도 댓글도 상당한도움이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 @ohbae12

    @ohbae12

    Жыл бұрын

    오지랖 넓다는 것이 절대 나쁜 뜻 만은 아닌 표본 갔습니다. 잭선생님의 영상 잘 보고 있는 저도 사실 영상이 100 % 동의가 안되고 잘 이해가 안되는 부분에 님의 영국 상류층에 미친 라틴 계열 언어의 영향을 기반으로 한 멋진 설명에 많은 도움 얻어 갑니다. 그리고 동시에 이 댓글은 잭 선생님이 좋은 분이라는 것을 다시 깨우치게 하는 글입니다. 보통 나쁜 채널은 자신에게 동의하지 않는 글들은 무단 삭제해 버리는데 잭 선생님은 그대로 두고 읽는 사람의 판단에 맡겨 주셨으니 확실히 더 믿음이 갑니다. 이런 좋은 토론들이 유투버에서 드문데 오늘 좋은 경험 했습니다. 두분 모두 감사드립니다..

  • @englishinchunks
    @englishinchunks2 жыл бұрын

    깔끔 명쾌한 강의 너무너무 유익합니다~~!👑 어휘 말고도 어법 컨텐츠도 대박이네요~ 잘봤습니다 선생님🥰

  • @heuisooklee9260
    @heuisooklee92602 жыл бұрын

    와 이렇게 깔끔한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 @indigohj
    @indigohj2 жыл бұрын

    You're good, RESPECT!

  • @kkssonare
    @kkssonare Жыл бұрын

    절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j2racheldwight165
    @j2racheldwight1652 жыл бұрын

    난 엉클잭의 귀에 쏙 들 어오는 내용과 개그가 넘 조아요 ㅋ

  • @TUBEROSITY
    @TUBEROSITY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영상 보고 든 생각인데 접미사 접두사 품사별로 엉클잭이 설명해주시면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것같습니다.

  • @HCPark-qd7ju
    @HCPark-qd7ju2 жыл бұрын

    박식함과 유머 동시에 뽐내심 존경스럽습니다. 질문이 있어요. 그럼 Cause ~to v 는 왜 to가 붙는걸까요?

  • @airbloom2046
    @airbloom20462 жыл бұрын

    우와 쌤 최고!

  • @Rita0423
    @Rita0423 Жыл бұрын

    준사역이라 부르는 help의 목적격보어가 to있을때와 없을때 뉘앙스의 차이가 있다는걸 첨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lee-vv6tn
    @lee-vv6tn2 жыл бұрын

    수면제와 설X약 ..정말 빵터졌어요. ㅋㅋ

  • @Polyeee
    @Polyeee2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왔는데요 샘 영상퀄이 더 대박이에요 ㅋㅋㅋ 그나저나 영어 왜이렇게 어려워요 샘 ㅠㅠ퓨퓨퓨

  • @omg3314
    @omg33142 жыл бұрын

    야위어 보여요. 잠을 못 주무셔서? ㅜㅜ 오늘 영상도 👍🙂

  • @user-tb6pf5fn5q
    @user-tb6pf5fn5q2 жыл бұрын

    You help me study English. Thank you very much.

  • @krazewraith9225
    @krazewraith92252 жыл бұрын

    최고!

  • @user-sz9td1zz8w
    @user-sz9td1zz8w2 жыл бұрын

    칭찬합니다!

  • @pyunghwacho2201
    @pyunghwacho2201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너무재밋슴..😌

  • @ethanyoon2069
    @ethanyoon2069 Жыл бұрын

    준 사역동사 help 와 마찬가지로 사역동사도 iconicity 와 관련이 있는 거였군요!

  • @Wannabe2023
    @Wannabe20232 жыл бұрын

    awesome, terrific !!!!

  • @user-st9kr2zl9y
    @user-st9kr2zl9y2 жыл бұрын

    오 선생님 감사요

  • @user-dq1lc2ep7h
    @user-dq1lc2ep7h2 жыл бұрын

    영상잘봤습니다👍🏻 질문이 하나 있는데 다른 준사역동사 get도 목적격보어로 to부정사가 오는이유도 동사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서 그런걸까요??

  • @user-ng7uy9rj7g
    @user-ng7uy9rj7g7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 @user-bl4lo7nk6j
    @user-bl4lo7nk6j2 жыл бұрын

    지각동사는 왜 목적보어에 동사원형이 오는지도 설명해주세요~

  • @dragony3931
    @dragony39312 жыл бұрын

    주어가 목적격보어에 끼치는 영향력으로 원형부정사를 이해 캬~~

  • @user-gk6dq4zw7e
    @user-gk6dq4zw7e2 жыл бұрын

    아니 이렇게 고퀄 강의가 공짜로 유튜브에 돌아다니다니

  • @sanghaitwist9844

    @sanghaitwist9844

    2 жыл бұрын

    무료지만 돈을 안 받는것은 아니다

  • @user-jw9kw9jo3u
    @user-jw9kw9jo3u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많이 됩니다^^ 사역동사 목적보어로 현재분사를 쓰지 않는 이유는 뭘까요? 이유를 몰라 헤매이고 있네요^^;

  • @LacccuN
    @LacccuN2 жыл бұрын

    should의 느낌이 있어서 원형이 오는줄 알았네요. 원형부정사를 썼을때 (인과의) 강조의 느낌이 있다는것을 처음 알았습니다.

  • @user-ok9gi1yp7c
    @user-ok9gi1yp7c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anda8369
    @anda8369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잘배우고 있습니다. allow는 어떤가요? let과 비슷한 느낌이라고 생각했는데요 to를 안붙여도 되나요? I allowed him to do that. I allowed him do that.

  • @gijaean1822

    @gijaean1822

    2 жыл бұрын

    동사 allow let permit은 뜻 자체에 차이는 없지만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해서 써야지요 Let은 allow permit과 다르게 뒤에 오는 부정사에 to가 붙지않고요 Let과 allow의 가장 큰 차이점은 allow는 수동태로 아주 많이 쓰이는데 ex) You're not allowed to do that. let은 수동태로 쓰이지 않습니다.

  • @seouh1
    @seouh12 жыл бұрын

    Help의 경우 to 부정사를 쓰는 것은 영국식, 원형부정사를 쓰는 것은 미국식 ... 이렇게 알고 있었는데 ... 뉘앙스까지 세밀하게 짚어주시니 감사합니다.

  • @yyb6715
    @yyb67152 жыл бұрын

    사랑해요 형님

  • @user-tb1gk2ob2h
    @user-tb1gk2ob2h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당

  • @user-co7po5fp7v
    @user-co7po5fp7v2 жыл бұрын

    Hoxy, 화장하셨나요? 아름다우십니다!

  • @user-cg6hr9us1k
    @user-cg6hr9us1k2 жыл бұрын

    왜 요즘 안보이시죠? ㅠㅠ 강의 기다리고 있어요!

  • @user-fh1co6ir6z
    @user-fh1co6ir6z Жыл бұрын

    get 도 5형식으로 쓰일땐 사역의 뜻이 있다고 배웁니다. ~하게하다. 보어자리엔 to V쓰죠. 강요하다 force 등도 보어자리 to V씁니다. 다 간접적이어서 그런가요? 직접적인 힘을 가해도 tov쓰는 것도 많은 것 같은데요.. 지각동사도 원형을 쓰는데 그건 뭘까요? 님의 분석이 개인적인 것인지, 영미의 책이나 논문에 정리된 부분인지도 궁금합니다 (순수한 학문적 호기심임다)

  • @user-tw7jw9kr4m
    @user-tw7jw9kr4m2 жыл бұрын

    사역동사 make가 수동태로 전환될땐 원형부정사가 to부정사로 바뀌게 되는데 그건 어떤 이유에서일까요? 정말 궁금합니다.

  • @user-kb8fe4vd4j
    @user-kb8fe4vd4j2 жыл бұрын

    네이티브처럼 생각안하고 자연스럽게 튀어나오면 좋을텐데요

  • @user-bb5ii9eg7y
    @user-bb5ii9eg7yАй бұрын

    사역동사 make have let 뒤에 동사 앞에는 to를 생략하는데,,,, 생략이라고 하면 원칙상 to를 쓰는 게 맞는 것인가요? 아니면 to를 쓸 수 없나요? 쓸 수 없다면 생략이 아니라 to를 제외해야 한다가 맞을 수 있어 보입니다

  • @hwang4k
    @hwang4k Жыл бұрын

    영상의 설명과 달리 force, persuade, impel 같은 경우도 인과관계가 명확해 보이는데 왜 to 부정사를 쓸까 궁금해서 좀 찾아보니 이들은 순수 영어 단어가 아니라 나중에 영어로 유입된 외래어라고 하네요. 해당 블로그에 따르면 to 부정사의 의미상에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 @archi-techleesenglish2500
    @archi-techleesenglish25002 жыл бұрын

    She helped him succeed.와 She helped him to succeed.는 '직접적인 도움'과 '간접적인 도움'하고는 상관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She helped him succeed.는

  • @user-fs2pl4fc8l
    @user-fs2pl4fc8l2 жыл бұрын

    넘 어려워요! 강도의 정도를 판단하기가 쉽지않네요!

  • @user-wx9fm2ir7v
    @user-wx9fm2ir7v2 жыл бұрын

    지각 동사는 어떻게 설명 할수 있나요 목적어의 to 유 무는 의지 무의미 표현으로 보아야 한다고 봅니다.

  • @user-cg6hr9us1k
    @user-cg6hr9us1k2 жыл бұрын

    👍👍

  • @ArkofFortune
    @ArkofFortune Жыл бұрын

    그럼 force같은 동사는 사실상 make처럼 강요하는 느낌의 단어인데 이 단어는 왜 투부정사를 사용하는지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 @sungjinpark5794
    @sungjinpark57942 жыл бұрын

    쇼킹한 문법은 아니에요 사역동사에 동사원형은 그런 뜻으로 오는 것은 아닙니다. 사역의 뜻이 너무 강해서 시키자 마자 해야 하기에 동시동작을 나타내는 원형을 사용했어요

  • @kjun6840
    @kjun68402 жыл бұрын

    I helped him in doing this work 형태로 쓰이나요??

  • @minsukim2991
    @minsukim29912 жыл бұрын

    👍

  • @m.j9627
    @m.j96272 жыл бұрын

    근데 get은 왜 사역동사가 아닐까요?

  • @kookistar
    @kookistar2 жыл бұрын

    그럼 사역동사 have 다음에 현재분사형 목적보어가 오는 이유가 뭐죠??

  • @sukkim8445
    @sukkim84452 жыл бұрын

    글쎄 이 설명대로면 수동태에서 사역동사가 to 부정사를 쓰는 이유는 설명되지 않네요? I was made to go home.

  • @user-rr2uw4zx7w
    @user-rr2uw4zx7w2 жыл бұрын

    👍👍👍👍👍👍👍

  • @caomos
    @caomos2 жыл бұрын

    지각동사도 부탁드립니다.

  • @user-ll5ir5ei3p
    @user-ll5ir5ei3p2 жыл бұрын

    우와 😍 유레카

  • @user-lg6fw6kj5q
    @user-lg6fw6kj5q2 жыл бұрын

    흠 오늘 영상은 이전 훌륭했던 영상에 비해 많이 아쉽네요. 사역동사 설명에는 반드시 역사적인 과정이 있어야 완성이 됩니다. 의미적으로 접근하면 사이비가 됩니다.

  • @dugwons40
    @dugwons402 жыл бұрын

    사역동사? 잘 몰라요? 해외에 영어(English) 경험은? 우선 대화(speaking Enlish)더군요. 대화엔 문법 안따져요. 예: Where, Restroom? 미국인들 모두 알아요! 이게 문장으로 ? 언제,어디, 무엇,어케 상세한 상황 설명요해요. 예: I went to supermarket. I didn`t know where it is restroom. I asked somebody which an area is ppippi? 미국에서,

  • @ssAMHs
    @ssAMHs2 жыл бұрын

    👍👍👍👍👍👍👍👍👍👍

  • @user-ug8nq1nc3f
    @user-ug8nq1nc3f2 жыл бұрын

    역시

  • @user-wn7eh2ej7q
    @user-wn7eh2ej7q2 жыл бұрын

    사역동사 오랜만에 듣는 단어군...

  • @china-pink
    @china-pink2 жыл бұрын

    help 느깜을 조금 다르게 표현한다면, She helped him succeed. (여자가 자발적 원해서) 그녀는 그가 성공하도록 도왔다. She helped him to succeed. (주어진 여건상) 그녀는 그를 도왔으나 성공은 남자하기 나름임.

  • @oj555oj

    @oj555oj

    2 жыл бұрын

    정확하게 두문장 다 같은 의미입니다..

  • @kk-oe9ly
    @kk-oe9ly2 жыл бұрын

    엄청 웃기당

  • @KimDeKhan
    @KimDeKhan2 жыл бұрын

    . 🙏

  • @morrissey4614
    @morrissey46142 жыл бұрын

    초면에 실례지만, 무슨 근거로 그런 설명을 하시는지요. 인과관계라서 동사원형이 목적보어로 나온다고요? make와 의미가 같은 force나 get은 to부정사를 목적보어로 취합니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는 근거가 어디에 있는지 공신력 있는 출처를 알려주시지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