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전부 진짜라고?!?! ㅋㅋㅋㅋ [이왜진 월드컵 우주편]

Ойындар

#취한무드등 #취무등 #이상형월드컵
저기 한번 가면 생각하는 걸 그만두겠는데?
편집 - 안떠님
썸네일 - 취한무드등

Пікірлер: 273

  • @user-evolmangle12
    @user-evolmangle12 Жыл бұрын

    6:01 이걸 "냉각 용접"이라고 부릅니다. 낮은 온도에서 같은 금속끼리 만난다면 하나가 되는 현상으로, 지구에선 산소때문에 금속표면에 산화막으로 둘러쌓여서 일어나지 않습니다. 우주에선 온도도 낮고 산소도 없으니 발생할 수 있지만요. 6:08 뭐...금니가 붙으려면 우주공간에서 헬멧을 벗어야 되지만요ㅋ

  • @user-tk6yy5vd7h

    @user-tk6yy5vd7h

    Жыл бұрын

    미리 하셨네 쓰려했는데

  • @Lettuce1214

    @Lettuce1214

    Жыл бұрын

    ㅋㅋㅋ아깝

  • @viewerblack2983

    @viewerblack2983

    Жыл бұрын

    오 정보 감사합니다

  • @harang056

    @harang056

    6 ай бұрын

    지구에서 가져온 금속에도 산화막이 있기 때문에 냉간용접 현상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산화막을 제거해야 되죠

  • @user-ug6xo9vx4m

    @user-ug6xo9vx4m

    4 ай бұрын

    와 지나가던 이과다

  • @uca_
    @uca_ Жыл бұрын

    우주는 넓고 이왜진 월드컵은 많네..

  • @real_chicken_soup

    @real_chicken_soup

    Жыл бұрын

    근데 너무넓다ㄷㄷ

  • @Tucoy.Incredibox.0705

    @Tucoy.Incredibox.0705

    Жыл бұрын

    ​@@real_chicken_soup ㄹㅇㅋㅋ

  • @user-zo1kp9ue8l

    @user-zo1kp9ue8l

    Жыл бұрын

    ㅅㅂ근데이런걸어캐알아내는거냐고외계인고문해서근런정보알아내는거냐고

  • @DIXduckinbox

    @DIXduckinbox

    Жыл бұрын

    이왜진은 넓고 우주는 이왜진이다 이 말은 참말입니까?

  • @user-dk1fn6dj2v

    @user-dk1fn6dj2v

    Жыл бұрын

    그거 아시나요? 취무등님은 남자입니다.

  • @user-eu6pt3mt4b
    @user-eu6pt3mt4b Жыл бұрын

    1:41 살선생이 달이 아니라 우주가 되버리셨네 ㅋㅋㅋ

  • @leejunseok0528
    @leejunseok0528 Жыл бұрын

    3:16 유진 슈메이커는 오랫동안 달에 가보고 싶어하며 아폴로 프로젝트 후보로도 올려졌지만 프로젝트에 곤란한 질병이 있어 달을 못가게 됩니다.1997년 그가 교통사고로 사망하고 시신이 화장된 후 나사의 달탐사선 루나프로스펙터에 실려 우주로 갔으며 1999년 7월 31일 루나프로스펙터가 임무를 다하고 추락하며 달에 묻히게 된거라 유골은 볼 수 없습니다.그래도 그는 죽고나서라도 달에 가게 되었네요.

  • @ROB.61
    @ROB.61 Жыл бұрын

    썸네일에 시선강탈인 [생각을 그만둔 카즈] ㅋㅋㅋ

  • @gaengsaeng1

    @gaengsaeng1

    Жыл бұрын

    시선강탈 카즈 ㅋㅋ

  • @Nomong_kw
    @Nomong_kw Жыл бұрын

    이곳은 교육용 방송인가요? 선생님 텐션이 상당이 높으시네요.^^

  • @jaemmin_origami_life
    @jaemmin_origami_life Жыл бұрын

    2:36 참고로 저 성운의 이름은 궁수자리 B2이며 폼산에틸 이라는 물질이 있어 라즈베리 맛이 나는겁니다. 하지만 궁수자리 성운 폼산에틸 한입 먹으려다가 프로필 시아나이드까지 같이 먹으면 그대로 죽습니다 6:23 그리고 금속이 붙는 이유는 우주는 진공상태기 때문에 원자가 왔다갔다 하는게 편해요. 그래서 순식간에 만난 두 금속의 원자가 왔다갔다 하면서 분자구조상 한 덩어리로 만들어버리죠

  • @user-pd9wi5zm1h
    @user-pd9wi5zm1h Жыл бұрын

    2:08 항성과 행성의 구분법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느냐라 쟤는 행성이 맞음

  • @starLove-dw8bf
    @starLove-dw8bf Жыл бұрын

    오렌만에 이왜진 월드컵 게다가 우주편이니 더 신기하고 무슨 개소린지 모르겠네요 감사합니다

  • @ban_yeon02
    @ban_yeon02 Жыл бұрын

    이야.. 오늘도 ㅈㅁㄱㅇㅇㄸ

  • @dmdpr
    @dmdpr Жыл бұрын

    세상에는 신기한 것들이 정말 많구나..

  • @EZ-signal
    @EZ-signal Жыл бұрын

    4:34 저건 천체들의 이름을 붙이다 보니 너무 많아져서 아무 이름이나 갖다 붙이다 생긴 결과물입니다

  • @jcoco692
    @jcoco692 Жыл бұрын

    너무유익해!형!

  • @kankokusinminnoseisi
    @kankokusinminnoseisi Жыл бұрын

    오 형 이상형 월드컵 오랜만이네!

  • @marun069
    @marun069 Жыл бұрын

    이왜진은 못참지 아ㅋㅋ

  • @user-wh2ib8ef7i
    @user-wh2ib8ef7i Жыл бұрын

    와!영상이다!

  • @user-evolmangle12
    @user-evolmangle12 Жыл бұрын

    4:50 실제로 지구에 비슷한 환경인 장소가 있는데, 그곳에서 생명체가 발견되어서 학자들도 있다고 추측 중

  • @user-gt7mt3lm4v
    @user-gt7mt3lm4v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 @youyou54159

    @youyou54159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BACH-V-5
    @BACH-V-5 Жыл бұрын

    2:22 이부분에서 우주의 온도는 3K로 우주배경복사로인해 다른 행성, 항성들이 없는경우에는 항상 3K를 유지합니다

  • @Mr.BGM-man
    @Mr.BGM-man Жыл бұрын

    썸네일을 보자마자 "머지않아 나는 생각을 그만두었다"

  • @oh-ohoh
    @oh-ohoh Жыл бұрын

    월드컵 재생목록 하나만 만들어줘...

  • @user-ij4lt4mn2l
    @user-ij4lt4mn2l Жыл бұрын

    귀.여.워

  • @user-xw3ve6jc2o
    @user-xw3ve6jc2o Жыл бұрын

    우주 좋아하는 사람으로써 퀘이사에 지구의 100조배에 달하는 물이 있다는건 충격이여도 충격의 2배다ㅋㅋㅋ

  • @user-vx8xm6po6h
    @user-vx8xm6po6h Жыл бұрын

    아니잠만 ㅋㅋㅋㅋ 썸네일 카즈ㅋㅋㅋㅋㅋㅋㅋ

  • @LYRHURM
    @LYRHURM Жыл бұрын

    이왜진은 과연 어디까지 이어지는 것일까.. ㅎㄷㄷㄷ

  • @CHEOL-qm8oe

    @CHEOL-qm8oe

    Жыл бұрын

    심해편, 곤충편, 날씨편 쌉가능

  • @guslie14
    @guslie1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cw4tv4fk8o
    @user-cw4tv4fk8o4 ай бұрын

    4:32 여기 가운데부분이 아니고 겉부분이 육각형이라는 것 같은데 확대하셨네 ㅋㅋ

  • @user-pn6wr4yf2y
    @user-pn6wr4yf2y Жыл бұрын

    1:26 태어났는데 옆집이 너무 빛난다

  • @user-wp1uw8fv6y
    @user-wp1uw8fv6y5 ай бұрын

    이왜진 우주 월드컵 원작자입니다. 104개까지 목록을 늘려 놨고 일부 선택지 및 그림은 교체했습니다.

  • @user-te7gf2zt8s
    @user-te7gf2zt8s Жыл бұрын

    2:00 이건 그럴만한게 우선 복잡한 물리학 다 건너뛰고 WD 1856 항성계같은 경우엔 백색왜성이 모항성이죠? 그런데 기본적인 우주관점에서본 물리학에따르면 항성계는 작은천체가 큰천체를 공전하는게아닌 가벼운천체가 무거운천체를 공전하는겁니다. 그렇다는건 WD 1856 은 작은공간안에 그 행성보다 더 무거운양의 질량이 모여있는것. 즉 밀도가 높은것 뿐이고. 행성은 그냥 평범한 목성같은 우주의 흔한 대형 가스행성의 밀도와 비슷하기때문에 저게 가능한겁니다. 추가설명하자면 어떻게 저 공간에 목성보다 큰질량이 모여는건지 알기전에 백색왜성이 죽기전에 어떤별이었냐가 중요합니다. 기본적으로 별은 간단히보자면 핵융합이 일어나는 거대 구체입니다. 가장작은별인 적색왜성만해도 목성질량의 100배에 달하는데 별의 질량이 그렇게 큰만큼 중력도 강합니다. 핵융합으로 인한 에너지가 팽창력을내서 중력으로인한 수축력을 버티고있는겁니다. 하지만 별이 죽는다는건 핵융합할 재료를 다 소진했다는것이기 때문에 중력을 이겨낼 힘이 사라져 버티지 못할정도로 수축해 행성상성운이나 초신성이되며 핵만남기고 다른물질을 다 날려보내는데 핵이 애초에 밀도가 무지막지하게 높다보니 별 무게의 평균 35%가 핵이죠. 따라서 기존 질량의 35%만 남았더라도 목성보다 35배는 더 무거운것이기에 물리법칙에따라 비교적 가벼운 행성이 비교적 작지만 무거운 백색왜성을 공전할수 있는것이죠

  • @user-xn7ly7zb4e
    @user-xn7ly7zb4e Жыл бұрын

    몇달전에 우주에 꽃혀서 계속 봤는데... 내가 한바 빨랐군!

  • @Kkobugi01
    @Kkobugi01 Жыл бұрын

    3:38 우주정거장의 평균속도는 27000km/h로 지구를 90분에 한바퀴 돌수있는 속도입니다.그렇기 때문에 90분에 한번씩 하루에 15번 볼수 있었던 것이죠

  • @e-vac2896
    @e-vac2896 Жыл бұрын

    2:43 성운이나 항성 혹은 행성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빛 파장으로 행성의 대기 구성 성분 항성의 물질분포도 등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이 또한 스펙트럼 분석 결과값이 기가막히게 라즈베리 향을 내는 화합물과 일치하여서 생긴 일인걸로 보입니다.

  • @Sky_Pluto
    @Sky_Pluto Жыл бұрын

    6:00 냉간 용접 현상(Cold Welding)이라 불립니다. 지구로부터 온 금속에는 이미 산화 금속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실제로 우주에 간다고 용접이 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 인공적으로 조성된 실험 환경에서나 볼 수 있는 현상이라고 합니다.(2014년 정보라 지금은 우주에서 해봤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 @Lettuce1214

    @Lettuce1214

    Жыл бұрын

    오케이 땡큐

  • @Sky_Pluto

    @Sky_Pluto

    Жыл бұрын

    @@Lettuce1214 여기선 냉간 용접이 맞는 명칭입니다.(*냉간(冷間):금속 따위를 재결정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처리함.(표준국어대사전))

  • @Gyu111
    @Gyu111 Жыл бұрын

    1:58 그래서 수성 매직과 유성 매직이...

  • @Neverending__story
    @Neverending__story Жыл бұрын

    와하우~ 끊어진 필름 이론같이 신기하잖아?

  • @jo_pussle
    @jo_pussle4 ай бұрын

    7:33 그래서 지금 지구 온난화…이미 진행중인거 아님??

  • @hasagom
    @hasagom Жыл бұрын

    썸네일부터 벌써 어지러운걸? 0:33 1:09 1:52 2:04 2:18 3:03 3:17 5:08 5:21 5:58 7:03 8:04 어? 1:01 바로 사망이지 1:19 2:50 4:38 6:23 7:21 2:31 이건 어케 아는거임? 4:01 취무언니가 32살에.... 6:33 어린왕자만 겁나 봐서 기억하지 ㅋㅋ 7:32 취무언니 상상도 너무하면 병이래요

  • @Steinich
    @Steinich Жыл бұрын

    2:37 꼭 냄새를 맡아봐야만 아는 건 아니잖아요? 똥이 있으면 '저 주변에는 똥 냄새가 날 거다' 라는 건 알듯이. 향을 내는 것도 화학적 작용이기 때문에 구성하는 화학식만 알아내면 무슨 향일지는 이론상으로 유추할 수 있어요. 그리고 현대 과학으로 구성 성분 파악 정도는 시간 문제일 뿐, 파악 자체는 껌이죠. 알코올과 카복시산의 종류만 알면 무슨 향일지 파악하는 거 자체는 가능해요. 물론 구성 성분상 그 향이 난다고 해서, 비율이나 화학반응 후의 침전물 같은 것들 때문에 우리가 진짜 그렇게 인식할지는 모르지만요. 5:35 이거도 같은 원리입니다. 오히려 달은 직접 모래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어요. 그냥 직접 맡아보고, 모르겠으면 구성 재질을 뜯어보면 되거든요.

  • @Kkobugi01
    @Kkobugi01 Жыл бұрын

    2:05 별은 천문학적용어로 항성이라하는데 항성은 원자의 충돌로 인해 스스로 빛을 낼수있습니다,하지만 행성은 빛을 낼수없죠 그래서 항성과 행성의 비율이 다르다고 행성이 항성이 돼진 않습니다.

  • @user-nn6hi4kx4e
    @user-nn6hi4kx4e Жыл бұрын

    07:30 대충 인류는 화성에서 왔다는 가설도 존제하긴해요

  • @lIllIllIIIllIllL
    @lIllIllIIIllIllL11 ай бұрын

    2:50 명왕성 외에 다른 크기가 비슷한 행성들이 많이 발견돼서 퇴출 된 거라고 하네요

  • @aurablue76
    @aurablue76 Жыл бұрын

    생각하길 포기했기에 이왜진은 양산되었다...

  • @user-dodolavender
    @user-dodolavender Жыл бұрын

    1:16 일론 화성씨가 거의 반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 화성 가다 우주 쓰레기에 죽겠다ㅏㅏㅏㅏㅏ

  • @kakana715
    @kakana715 Жыл бұрын

    이왜진 언제끝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Lettuce1214
    @Lettuce1214 Жыл бұрын

    중성자별은 그거 자체가 별이기 때문에 낮도 없고 밤도 없는 방사능 지옥이에요 더 놀라운게 좀 작은 축에 속하는 중성자별이 2km 짜리가 발견이 됐었다네요

  • @Lettuce1214

    @Lettuce1214

    Жыл бұрын

    참고로 라즈베리 구름 마시면 뒤1짐

  • @user-re1ww4es3e
    @user-re1ww4es3e Жыл бұрын

    썸넬에 행성 카즈 아닌가요?ㅋㅋㅋㅋㅋㅋㅋ

  • @Steinich
    @Steinich Жыл бұрын

    4:49 그래서 실제 학자들 중에서는 잘 보이지도 않는 암석 행성보다 이런 얼음으로 된 위성 행성에 생명체가 살고 있을 수 있다고 판단하는 분들도 꽤 있답니다

  • @Circe_Entropy
    @Circe_Entropy Жыл бұрын

    2:05 형.백색왜성은 대충 지구만하다고 생각하면돼. 달정도 크기인거도 있다더라. 6:48 형.중성자별이 그렇게 작진 않아.

  • @R.O.K.SimGameEnjoyer
    @R.O.K.SimGameEnjoyer Жыл бұрын

    2:44 이건 우주 전체에서 성분별로 각기 다른 냄새가 나고 있고, 그 중에 우리 은하 중심 성분이 라즈베리 냄새 성분을 유발하는 물질이 빛의 스펙트럼 분석 결과 검출된 걸겁니다. 3:23 이분은 그냥 화장한 뒤 그 뼛가루를 달 성분분석용 충돌선에 실어 달에다 꼬라박아 버렸답니다. 6:01 이건 냉간용접이라고 해서, 우주 공간에서 형성된 순수 금속들은 표면에 산화된 막이 없어서 서로 들러붙습니다. 지구에서 만들어진 금속들은 우주에서도 잘 안붙으니 주의.

  • @user-fx8pw9uo6h
    @user-fx8pw9uo6h14 күн бұрын

    3:43 요약 지구공전속력

  • @user-rd8xy6ro6t
    @user-rd8xy6ro6t Жыл бұрын

    이젠 우주까지.....

  • @user-kf6su9bw1v
    @user-kf6su9bw1v Жыл бұрын

    8:05 왘 씨 나 진짜 변탠가봐

  • @user-xb4qy7vp8t
    @user-xb4qy7vp8t Жыл бұрын

    점점 지구가 월-E 영화처럼 되간다...

  • @wani_ww1ee1
    @wani_ww1ee1 Жыл бұрын

    그리고 화성의 노을이 푸른 이우는 화성엔 이산화탄소가 주 공기라서 지구가 받는 태양의 색이랑 화성의 색이 푸른 빛만 받아서 그런거에요

  • @Dr.Lin_H
    @Dr.Lin_HАй бұрын

    퀘이사 특:블랙홀인데 태양의 700조배,가장 밝은 은하의 100개의 빛을 내면서 지구의 100조배에 달하는 물이 있으며 양쪽으로 뿜어져나오는 에너지(제트)의 시작점은 특이점이 아니라 겉 부분이며 블랙홀도 제트를 빨아들이지 못함(빛의 속도보다 더 빠르게 뿜어져나오기 때문)

  • @Steinich
    @Steinich Жыл бұрын

    6:05 더럽게 차가운 금속에 인체를 대면 딱 달라붙어서 찢어야 하는 것처럼, 우주의 온도가 너무 저온이기 때문에 금속 표면은 매우 차갑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금속끼리도 딱 붙어서 그 낮은 온도만으로 용접되는 거죠. 근데 맨몸으로 우주에 노출되는 거 아니면 금니끼리 딱 붙어서 안 떨어질 만큼 추울 리가 없는데

  • @user-qn4kx7jc5j

    @user-qn4kx7jc5j

    Жыл бұрын

    일반적인 지구환경에서 대부분의 금속은 표면에 산화피막을 가집니다. 우주에서는 초진공상태로 약간의 양성자 중성자 전자 중성미자 전자기파를 제외하면 붙을 것이 없죠. 이때 금속표면의 산화막을 갈아낸 뒤 표면을 맞닿으면 두금속이 금속결합을 형성합니다. 매우낮은 온도도 한몫하죠.

  • @avo8363
    @avo8363 Жыл бұрын

    5:20 wow! 샌즈

  • @2sero
    @2sero7 ай бұрын

    철을 맞댈때 용접처럼 붙는이유는 지구에서는 철과 철 사이에 공기가 있어서 그런데 우주는 진공 상태이기에 사이에 공기 아님 둘 사이에 있는 물체가 없어서 합체됀다 실제로 인공위성 띄우다가 철이 합체돼서 실패한 사레이 있다

  • @itsmeee143
    @itsmeee1436 ай бұрын

    초반부터 댕청한 모습 보이는 무드등 클라스

  • @user-tt1hs4st7v
    @user-tt1hs4st7v6 ай бұрын

    6:49 중성자별은 중력, 자기장도 엄청나고 수시로 엄청난 양의 방사선을 내뿜습니다. 그런 데서 정말 생명체가 산다면 존경스럽네요.

  • @user-lm7ij6fl1s
    @user-lm7ij6fl1s11 ай бұрын

    3:25 지구보다 빨리 돌아서 하루가 45분이라네요

  • @win_aery
    @win_aery Жыл бұрын

    3:10초 중성자별은 질량보존법칙때문에 그렇답니다!! 아주 큰 별이 터지고 핵만 남은상태이기 때문에 질량은 보존되어서 저런상태가 된것이죠

  • @user-io3vu1cg1w

    @user-io3vu1cg1w

    Жыл бұрын

    질량보존법칙 때문이 아니고요... 항성일때 자전하던 속도 그대로 중성자별이 되는거라서 크기대비 매우 빠른 자전속도를 갖게되는겁니다...

  • @win_aery

    @win_aery

    Жыл бұрын

    @@user-io3vu1cg1w 아 에너지보존의 법칙이었나요?? 본지 오래되어서용

  • @win_aery

    @win_aery

    Жыл бұрын

    @@user-io3vu1cg1w 앗 각운동량 보존법칙이네욧 잘못된 부분 바로잡아주셔서 감사해요!!

  • @user-io3vu1cg1w

    @user-io3vu1cg1w

    Жыл бұрын

    @@win_aery 빠른 인정 리스펙

  • @user-wg7iu7hp1g
    @user-wg7iu7hp1g Жыл бұрын

    2:11 항성이 될수있는 조건 스스로 빛을 내는가? 핵융합을 하는가? 3:40 우주정거장 ISS는 7.66km/s 의 속도로 지구를 돌기 때문이다 시속 약 27,000km의 속도로 돈다 (지구의 자전속도는 1,670km/h이다) 7:09 우주에서 제일 많은것은 수소이다

  • @lopain0120
    @lopain0120 Жыл бұрын

    3:59 이때 태어난 아이들은 달의 기운을 물러받고 태어나는건가? 개쩐다... -문 카타스트로 본...-

  • @user-ix5yl7ff5b
    @user-ix5yl7ff5b Жыл бұрын

    3:46 은 우주정거장이 지구 한바퀴를 도는데 90분이 걸려서 그럴겁니다

  • @god.of.silver-gun
    @god.of.silver-gun Жыл бұрын

    우주보다 차가운 카즠ㅋㅋㅋㅋㅋㅋ

  • @Drunk_StreetLamp
    @Drunk_StreetLamp Жыл бұрын

    이젠 하다하다 우주까지가네 ㅋㅋㅋㅋㅋㅋ

  • @dongwk2662

    @dongwk2662

    Жыл бұрын

    취한 가로등이면 머리에 가로등 있어야 하는거 아님?

  • @user-yw4yh2ch7j

    @user-yw4yh2ch7j

    Жыл бұрын

    퀘이사 초창기 은하입니다 그 거리가 상상도 못할만큼 멀어서 지금 저희는 138억년 전 은하를 보는것입니다.

  • @user-jn9vj9fo6d
    @user-jn9vj9fo6d Жыл бұрын

    카즈 뭐냐고ㅋㅋ

  • @jobidi
    @jobidi9 ай бұрын

    썸넬에 카즈라니......너무 좋아

  • @say_annyeong
    @say_annyeong Жыл бұрын

    3:10 밀도가 블랙홀 다음으로 높고 각운동량 보존법칙에 따라 존나 컷던 항성이 저렇게 되면서 완성됩니다.

  • @N2alje

    @N2alje

    Жыл бұрын

    아주 좋소!

  • @Eich_koru
    @Eich_koru Жыл бұрын

    뉴호라이즌스호에는 명왕성발견자 톰보의 유골이 들어가있다네요

  • @impellisim
    @impellisim Жыл бұрын

    5:33 와 닝겐!

  • @M1NCH0
    @M1NCH0 Жыл бұрын

    찾아보니 와우는 연구진이 흥분에도가니에빠저 쓴거라네요

  • @user-yj1fm8fe7i
    @user-yj1fm8fe7i Жыл бұрын

    혹시 달에 박물관에 있는거 아세요?

  • @user-te7gf2zt8s
    @user-te7gf2zt8s Жыл бұрын

    3:40 우주정거장이 지구의 자전속도보다 더 빨라서 그럴겁니다 (아마도)

  • @yeonu82
    @yeonu82 Жыл бұрын

    ..세상에 신기한 건 많구나.......ㅋ....

  • @monnami
    @monnami4 ай бұрын

    중성자별은 원래 겁나 크던 별이 초신성 폭발로 밀도가 겁나 높은 핵만 남은건데, 각운동량 보존법칙때문에 속도가..ㄷㄷ

  • @kv_kive
    @kv_kive Жыл бұрын

    가장 식상하지만 가장 신기한건 우주가 팽창하면서 천체들은 점점 멀어져 가고 그 천체들은 관측 가능한 우주 넘어로 끌려가 결국은 볼수 없게됨 예외적으로 안드로메다 은하같은 애들은 가까워지는중이며 우리은하가 위치한 은하단은 계속 보일거임

  • @user-qb9ew3tq4t
    @user-qb9ew3tq4t Жыл бұрын

    우주에서 물체가 붙는 이유는 원래는 산소가 물체간의 분자이동을 막고있는데 우주에는 산소가없어서 분자가 이동하면서 붙는다 하네요

  • @Hayase_Yuuka
    @Hayase_Yuuka Жыл бұрын

    중성자별이 0.003초에 자전을 1번한다 그리고 목성방사성때문에 생명체가 살수없다

  • @user-yw4yh2ch7j
    @user-yw4yh2ch7j Жыл бұрын

    행성보다 작은 항성이어도 밀도가 높아서 자기보다 큰 행성을 거느릴수 있습니다.

  • @ia_r
    @ia_r Жыл бұрын

    이분 천문학 전공하셨나 이해가 빠르다...

  • @Lettuce1214

    @Lettuce1214

    Жыл бұрын

    저는 불편해서 디질것같았는데

  • @monnami

    @monnami

    4 ай бұрын

    @@Lettuce1214저도요

  • @AnBle_
    @AnBle_ Жыл бұрын

    😂

  • @bo2om
    @bo2om Жыл бұрын

    1:08 영짱아니면 가정쌤이 공놀이 하던거 아님ㅋㅋㅋ

  • @user-sh7iw8op1l
    @user-sh7iw8op1l Жыл бұрын

    아오 진찌 이 대갈통 취무등ㅋㅋㅋㅋㅋㅋ 볼때마다 답답해 뒤지겠다 ㅋㅋㅋㅋㅋㅋ

  • @panguin_monster
    @panguin_monster Жыл бұрын

    섬네일 저거 카즈 아니냐

  • @ChunInhee
    @ChunInhee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bf7ob7lu9h
    @user-bf7ob7lu9hАй бұрын

    정확히는,명왕성의 자,공전궤도가 불균형해서 마치 소행성의 공전궤도랑 비슷해보여서 퇴출 된 가능성도있어요

  • @tv-gd4ou
    @tv-gd4ou Жыл бұрын

    취무등님이 왜 랩하나 했더니 재생속도가 1.5배네요

  • @win_aery
    @win_aery Жыл бұрын

    내가 좋아하는 우주이지만 모두 알고있었다.. 😢😢😢

  • @ADEN12345
    @ADEN1234511 ай бұрын

    근데 게임 광고 ㅋㅋㅋㅋ

  • @user-tv7hf2hg5s
    @user-tv7hf2hg5s Жыл бұрын

    인류는 진짜 멸망하지 않고 영원히 간다 해도 우주에 대해서는 전부 못 밝혀낼듯..

  • @user-bp7pk5sy2e
    @user-bp7pk5sy2e Жыл бұрын

    이..이게 진짜라구??

  • @user-tc8dy1ot1n
    @user-tc8dy1ot1n Жыл бұрын

    1번째 조건 태양계를 돌아야 한다 2번째 완전한 둥근모양을 갖출 만큼 질량이 크지 않다,3번째 명왕성의 위성 카론이 명왕성과 카론이 같이 돌아서 이게 가장 큰 이유입니다

  • @TV-we3oe
    @TV-we3oe Жыл бұрын

    3:16여기 오른쪽이 인터스텔라에서 보면 블랙홀 갖다온 주인공 보다 딸이 늙게 나오자나요 같은원리 아닌가요?

  • @user-io3vu1cg1w

    @user-io3vu1cg1w

    Жыл бұрын

    그냥 우주정거장이 90분에 한번 지구를 공전해서 생기는 현상이고요 우주정거장의 속력으로는 그런 시간차이를 낼 수 없습니다

  • @yloo7101
    @yloo7101 Жыл бұрын

    찾아보니 제일 처음 이왜진한게 7개월전이던데.. 이정도면 그냥 고정 컨텐츠 아님?

  • @ya000888
    @ya000888 Жыл бұрын

    참고:메탄과 에탄은 영하 170°C부터 엑체가 됩니다 타이탄의 표면온도는 영하 178°C입니다

  • @user-tq1zm1kz3t
    @user-tq1zm1kz3t Жыл бұрын

    이:이게.왜:왜?.진:진짜?!

  • @user-rr8qh2zm9f
    @user-rr8qh2zm9f11 ай бұрын

    썸네일에 생각하는걸그만둔 유성이...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