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방법으로 3개월 만에 5수생 치대 보냈습니다

✍🏻 치대 합격한 제자 후기
링크: bit.ly/489P88V
💪🏻 9종 교과서를 단 한권에
수학의 단권화 : bit.ly/497YSBL
😉 인스타그램 @kjs_math 팔로우하기
👨🏻‍🎓 지석쌤 미친 이력 👨🏻‍🎓
- 누적 수강생 62,265명 EBS-i, 오르비 인강 강사
- 서울대 수학교육과 졸업, 영문학 부전공
- 공신닷컴(gongsin.com) 대표멘토
- 미국 Lehi High School 교사 인턴
- 책 "대박타점 공부법" 저자
- MBC "오늘의 아침" 출연
- MBC "경제 매거진" 출연
- MBC "베란다쇼" 출연
- KBS "취재파일4321" 출연
- KBS "세상의 아침" 출연
- KBS "생방송 오늘" 출연
- TVN "80일만에 서울대 가기" 출연
- 중앙일보 "공부 개조 프로젝트" 자문 멘토
- 여성중앙 "공신 멘토링" 멘토
- 동아일보 "신나는 공부" 코너 인터뷰
- 신동아 "'1등 코드'를 찾아서" 출연
- 조인스 TV "열려라 공부" 출연
- 메가 TV "수능공부법" 수리영역 공부법 강의

Пікірлер: 373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4 ай бұрын

    수학 1등급인 목표라면 제가 오늘 영상에서 알려드린 '수학의 단권화' 방법을 꼭 적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등급이 안 오르는 학생들이 실천하면 분명 효과 보실 거라 생각합니다 :) ✍🏻 치대 합격한 제자 후기 링크: bit.ly/489P88V 💪🏻 수학의 단권화로 수학 1등급 달성하기 링크: bit.ly/497YSBL

  • @user-pb8wc3bs2k

    @user-pb8wc3bs2k

    2 ай бұрын

    링크가 안들어가져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 ай бұрын

    @@user-pb8wc3bs2k 현재 다른 기기들로 체크했을 때 접속에는 이상이 없습니다! 가끔 모바일이나 PC에서 발생하는 오류인 것 같은데요. 모바일이나, 컴퓨터 재부팅해보신 후 다시 한번 클릭해보시겠어요~?

  • @pojima700

    @pojima700

    10 күн бұрын

    교재만 사서 독파 할려고 하는데 이미 10일 잡고 하면 되겠죠?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8 күн бұрын

    @@pojima700 네! : ) 꼭 누적복습하면서 진도나가길 권합니다! 개념연구와 필기노트를 자주 읽어주시고 문풀을 할 때도 개념연구를 까먹지 않도록 관리해주세요!

  • @Theall_class
    @Theall_class4 ай бұрын

    kzread.info/dash/bejne/dYtn3MyEn5iodsY.htmlsi=jIYVIYjTs4tDq83R 같은 맥락의 내용이네요! 단권화 너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존경하는 선생님🙏 (매번 오르비에서 글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jane-pd1qf

    @jane-pd1qf

    4 ай бұрын

    @@mathhyukmyung_kjs 글이 어딧나요? 링크 좀 부탁드려요. 읽어보고싶어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jane-pd1qf orbi.kr/profile/66129 현재 제가 칼럼을 기고하고 있는 곳입니다. : )

  • @user-kq5wc3kt7i
    @user-kq5wc3kt7i4 ай бұрын

    와~~ 수학 공부법 설명 너무 이해가 됩니다 용기을 내어 새로운 도전 해보고 십어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ㅎㅎ :)

  • @user-fr9zd7st3j
    @user-fr9zd7st3j3 ай бұрын

    선생님 저 노베인데요(수학상하는 다 알아요) 수학의 단권화 강의와 교재로 공부 할 계획인데 강의 듣기 전에 먼저 교과서로 전체내용을 쭉 보고 이해한 뒤 강의 들어가야 할까요?? 아님 그냥 시작해도 될까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3 ай бұрын

    수학의 단권화는 이미 기초개념을 한 바퀴 돌렸다는 전제하에 개념을 더 깊게 한 번 파보는 과정이라 교과서로 빠르게 한 번 돌리고 수강하시면 좋습니다! 교과서 유제예제와 ebs에 핵심개념쏙쏙 강좌를 같이 들으면서 교과서로 수상부터 수2까지 같이 진도나가봐요 ㅎㅎ 수상하를 잘한다면 진도가 빨리나갈거라서 지금 할 때 한 번 더 보면 좋습니다! 그렇게 교과서와 ebs 콤보 후에 수학의단권화 개념설명을 들으면서 아 이게 이런내용이었어?????? 하는 깨달음을 얻어가실 수 있습니다. : )

  • @pangpangsharon7983
    @pangpangsharon7983Ай бұрын

    아이가 중3인데 수학자존감이 몹시 떨어져있습니다. 지금 학원에서는 많은 문제를 풀게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개념이 부족한듯 해서 중2겨울방학 때 중학교 개념 총정리 문제집을 사서 혼자 풀게했는데.. 아이 반응은 별로 좋지 않았습니다.😅 아이는 선행이 떨어지고 있다고 불안해 하고 내신은 점점 떨어지고… ㅠㅠ 정말 저러다 영영 수포자로 굳히는게 아닌지 걱정이에요 어디부터 어떤것부터 해줘야 할까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학생이 공부를 열심히 하고, 지속하게 되는 요인 중 중요한 것 중 하나가 '효능감' 이 있습니다. 지금 자녀분이 효능감이 많이 떨어진 상태인 것 같아 자녀분도 어머님도 걱정이 많을 것 같습니다 ㅠㅠ 수학 공부에서 경계해야 할 점은 밑 빠진 독을 자꾸 크기만 키우는 것 입니다. 내가 자꾸 '어 이거 내가 배웠던 건데' '내가 할 수 있었던건데' 하면서 분명 내가 했지만 기억 못하고 못풀었을 때 난 수학을 못하나봐 ㅠㅠ 하면서 포기하게 되는 것이 수포자를 만드는 요인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선행학습에 관한 제 의견을 담은 영상을 올렸는데 선행에 관해서 어떻게 하고 있는지 점검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kzread.info/dash/bejne/gJ2Es6mbpd2wkZs.html 우선 제일 먼저 진행해야 할 것이 지난 학년에 대한 교과과정이 빵꾸가 나 있는 건 아닌지 점검해봤으면 좋겠습니다. 시간이 절대 오래 걸리지도 않습니다. 지난 교육과정에 대해 내신공부하듯 고난도~초고난도 문제까지 풀 필요가 없고 그저 교과서로 한 번 훑어보고 교과서 문제만 잘 풀 수 있는 정도면 됩니다. 만약 지난학년 수학 내용이 괜찮다면 지금 하고 있는 교육과정에 대한 준비를 튼실히 하고 난 다음 선행 준비를 하시면 좋겠습니다. : )

  • @user-joyfulinJ
    @user-joyfulinJ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ㅎㅎ 저는 7살 아들을 둔 엄마입니다. 공부가 전부가 아니라고 하고싶은엄마, 공부를 잘하는사람만 가치있고, 그사람만 특별하다고 무의식적으로 심겨주는 엄마가 안되고싶은데.. 아이가 아직 한글을 못깨우쳤습니다 ㅋㅋㅋ 우연히 선생님 강의가 알고리즘에 오늘떠서봤는데.. 말씀하시는 느낌이.. 제가 원하는 그런 교육자이신것같아요. 선생님의 인생관과 교육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스스로 공부할수있게 할수있는건지..ㅎ 7살 아이에게는 어떻게 지적 호기심을 자극할수있을지 물어보고싶네요 ㅎㅎ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제가 일개 사교육 강사라, 어머님께서 생각하시는 그런 큰 그릇의 교육자의 자질은 아직 부족합니다. ㅎㅎ 좋게 봐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저는 '성장' 이라는 단어를 참 좋아합니다. 누구는 성공과 성장을 동일선상에 놓고 생각하지만, 제가 생각하는 성장은 성공과 다릅니다. 인간은 누구나 과정 앞에서는 무적이지만, 결과 앞에서는 무력합니다. 이 말은 제 인생의 좌우명이기도 합니다. 성공은 단순히 어느 한 순간의 결과고 순간이며 내 자신이 성공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해버리기 쉬워 무너지더라도 일어나기 쉽지 않지만 성장을 위해 노력한다면, 그건 내가 나의 내실을 쌓는 과정이라 내 자신이 수단으로 전락해버리는 일이 없고 잠시 무너지더라도 다시 일어날 수 있는 힘을 주고 잠시뿐인 기쁨보다 제 인생을 더 행복하게 해주는 듯 합니다. : ) 그렇다고 성공을 추구하지 않는 건 아닙니다만, 매일 조금씩 성장하는 사람이 되고자 노력하는 건 있습니다. ㅎㅎ 제 교육도 저의 이런 가치관과 조금 닮았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자신을 성적과 입학의 수단으로 삼는 것이 참 안타까워 하고, 공부 속에서 끈기, 인내, 침착, 전략, 집중력 등도 함께 배웠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있습니다. 끈기와 인내, 침착과 전략, 집중력이 좋아지게 되면, 결과도 덩달아 더 좋게 되는 경우가 많기도 합니다. 7살 아이라면, 전 그 아이와 보드게임을 열심히 해줄 거 같습니다. 동물 메모리 게임은 아이의 집중력 향상에 좋고, 코잉스라는 게임은 공간감각과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도 좋습니다. 물론 재미도 있구요! 전 그래서 조카들과 만나면 함께 보드게임 하고 놉니다. 그리고 전 어렸을 때 바둑을 뒀었는데요. 상당한 수준까지 두었고 초등학교 때 수학도 공부도 못했지만, 나중에 공부를 할 때 그 바둑을 두었던 것이 나중에 제 자신이 공부하기로 마음 먹었을 때 굉장한 힘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잘 놀고, 또 잘 놀 줄 알아야 공부할 때 공부를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매체를 통해서 수동적으로 노는 것 이상으로, 본인이 퍼즐을 이리저리 맞춰보면서 문제를 해결했을 때의 기쁨을 알게 된다면, 공부에도 수월히 재미를 붙일 수 있으리라 봅니다. 어머님의 질문으로 잠시 제 자신을 돌아보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 @jjjj-lk7jj
    @jjjj-lk7jj4 ай бұрын

    선생님 혹시 재수생이라 수학 교과서가 없는 경우에 인강 강사님 책 교재에 수록된 개념으로 선생님께서 이 영상에서 말씀하신 내용과 방법들을 적용시키면 될까요? (꼭 교과서로 해야 한다면 교과서를 구하겠습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넵 제 책으로 하셔도 되고, 교과서로 하셔도 되는데 교과서가 없으시다면 제 책으로 하셔도 좋을 거 같습니다 :)

  • @user-nw7yd7pu3x
    @user-nw7yd7pu3x3 ай бұрын

    단권화를 해야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지금 수학의 단권화 책 사서 하고 있는데 최대한 이해하고 음미햐며 단권화하고 있는데 가끔 뭔가 그냥 따라쓰는 느낌이 없지않아 있어요… 단권화를 해야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답글로 알려주시면 제가 목적을 잃지 않고 단권화를 끝낼 수 있을 것 같아요..!! 부탁드립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 ) 단권화를 하다가 가끔 따라쓰는 건가 내가 이해하고 있는 건가 싶으시군요! : ) 그렇다면, 우리 같이 고민을 해결해 볼까요! : )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 (1) 단권화를 하면서 아하! 하는 것들이 부족하다면 일단 단권화 뒤편에 있는 개념연구 테스트부터 전범위 테스트를 먼저 해보는 걸 권해요! 내가 기초개념 강의를 끝낸 부분까지 일단 전범위 실시를 한 다음 내가 미처 대답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단권화 하는 것이죠! : ) (2) 일단 필기노트를 보지 말고 빈칸책 위에 있는 연구 파트를 기준으로 빈칸책에 내가 쓸 수 있는 최대한의 것들을 써보는 거예요.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의 총동원! 이라는 생각으로 최대한 쓸 수 있을 만큼 쓰고 그런다음 필기노트를 확인하면서 내가 채우지 못한 부분들을 채워나가고 내가 빈칸책에서 쓰지 못했던 것들을 필기노트를 통해 채워나간 부분들은 꼭 읽기복습으로 복습해 나가면서 단권화 하면 좋겠습니다! 단권화를 하는 이유는 파편화된 개념을 하나로 모으고 (1) 내가 개념이 부족했던 부분은 어디였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함께 거치며 (2) 내 개념을 탄탄하게 만드는 것이 목적이 있고 (3) A에서 B개념이 나오고 B개념에서 C개념이 나오는 유기적 연결고리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예요. : ) 그렇게 되어야 고난도 문제를 잘 풀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추천드린 (1)번 방법과 (2)번 방법중 본인에게 맞는 방법으로 단권화를 하면 조금 더 효과적으로 단권화 할 수 있을 겁니다! : )

  • @jungwoolee5444
    @jungwoolee54444 ай бұрын

    선생님 강의 ebs에서 너무 잘 들었던 학생입니다! 올해는 더 승승장구 하시길 바랍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고마워요 정우 학생 ㅎㅎ

  • @user-rp7mw7dp7i
    @user-rp7mw7dp7i4 ай бұрын

    도움이되네요 감사합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ㅎㅎ!

  • @grace74_42
    @grace74_424 ай бұрын

    선생님. 단권화 책을 구입했는데요. 교과서가 없는데 먼저 "필기노트"로 공부하고, 빈칸책으로 개념체크 해 보면서 써보는 식으로 공부해도 효과가 같을까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먼저 빈칸책에다가 내가 아는 내용을 먼저 적고 내가 모르는 부분이 있다면 빈칸책과 필기노트에 체크해두고, 체크해둔 필기노트에 부분을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시간이 훨씬 덜 걸릴겁니다! : ) 또한 이후에 뒤편에 있는 개념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복습테스트를 봐주면 훨씬더 단단해지겠지요! :)

  • @user-hp4hx9vn2h
    @user-hp4hx9vn2h4 ай бұрын

    수학의단권화 책을 구입하고 싶은데 이과편이랑 문과편이랑 무엇이 다른가요? 참고로 전 미적선택자입니다. 무얼 사야하나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간접범위와 직접범위까지는 차이가 없고 선택과목포함여부가 다릅니다. : ) 이과편은 : 확통 미적 기하 선택과목 3개가 다 들어 있고, 문과편은 선택과목이 확통만 들어가 있습니다. : ) 따라서 미적선택자라면 이과편을 선택하면 되겠지요! : )

  • @phamhanni-love
    @phamhanni-love4 ай бұрын

    예전에 ebsi에서 올림포스 강의 들었는데 엄청 잘 가르치는 것 같아 믿음이 가네요 화이팅입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제 올림포스 강의를 들으셨군요ㅎㅎ 좋은 기억으로 제 강의가 남아계시다니 기분이 좋네요!! 감사합니다 :)

  • @user-tb8rk1qf6e
    @user-tb8rk1qf6e4 ай бұрын

    선생님 수학의 단권화 교재를 구매하여 이번남은 방학동안 개념정리를 할려는 고3현역 학생입니다 타선생님 언급 하는부분은 죄송합니다 제가 현우진 선생님의 뉴런 강의를 수1,2 수강중인데요 무언가 스킬의 체화는 되는듯하지만 뭔가 문제를 접하고서 "아 이런개념을 써야겠구나"를 생각하는게 아니라 "아 이스킬을 써야겠다."라는 생각이 계속 들더군요 지금으로선 훨씬 발전도되는 기분이 들지만 결국 수능날 개념부족으로 인하여 무너지는 제 미래가 보이더군요 그래서 그것을 방지하고자 잠시 뉴런진도를 스탑하고 선생님의 단권화 교재로 개념정리를 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딱 하나 걱정되는것이 있다면 제가 방학동안 계속 인강만듣는바람에 저혼자 공통과목기출을 분석할 시간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번방학과 5월달에는 개념정리와 현우진 선생님의 뉴런강의를 수강하고 수학 기출분석을 여름방학과 8월달,9월달까지 진행할려합니다 하지만 역시 시기가 시기인지라 다소 늦는건 아닌지,남들이 흔히들 말하는 N제문제들을 많이 접하지 못할거같은데 과연 제가 수능수학 1등급을 쟁취할수 있을까 걱정됩니다 수능수학 1등급을 쟁취하고 싶은 고3 현역으로서 정말 간절합니다 저에게 조언을 해주실게 있다면 기꺼이 조언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여름방학동안은 현우진 선생님의 수분감이란 강좌를 듣고 개학하고 나서는 시중 기출문제집으로 공부를 할려합니다만 어떤 문제집을 푸는게 좋을지도 추천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4,5월달에는 학교 내신 준비때문에 정시공부는 확통밖에 못할거같습니다 이점 유의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 ) 아직 3월이 아니라서 예비고3일텐데 이렇게 올해 수능준비 계획을 착실하게 세우는 것만 봐도 정말 멋진 친구군요! 고민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1) 이것도 해야하고 저것도 해야 하는데 할게 많은데 어떤걸 먼저 하면 좋을까? (2) 이 시기에 이런 것들을 남들이 많이 하던데 내거 하다보면 시간이 없을거 같은데 나 이대로 괜찮을까? 에 대한 걱정을 하는것 같아요. : ) 충분히 그럴 수 있어요. 그렇지만 이제 걱정하지 말아요. 같이 고민을 차근차근 해결해나가면 되니까요. [1] 일단, 뉴런 강의를 스탑하고 단권화를 진행한 다음 뉴런을 듣는다. → 아주 좋은 생각이예요. 일단 교과서로 단권화를 하든, 수학의 단권화로 단권화를 하든 최상위권으로 가려면 일단 내가 공부하는대로 '쌓여야' 합니다. 공부하는 대로 쌓이려면 일단 개념의 누수는 없어야겠죠. 그리고 개념과 개념간의 체계를 확실하게 잡아 촘촘하게 만들면 문제를 풀면서 시야가 트이는 걸 느낄 수 있을 거예요. 단권화를 한 뒤에 뉴런을 수강하고 공부하는동안 내가 단권화 한 것도 틈틈히 개념복습도 챙겨야 하는 걸 잊지 않으시면 됩니다. : ) [2] 방학동안 인강만 듣는 바람에 저 혼자 공통과목기출을 분석할 시간이 없다. → 혹시 뉴런이나 다른 인강을 수강하는 걸 복습을 하고 있는지가 염려되어요. 인강을 듣는 것은 '입력'을 하는 거지 '출력'하는 공부가 아니라서 실제 머리로 들어서 '아하!' 해도 복습을 해도 내 것을 만들지 않으면 시간만 날릴 수 있어요. 일단 하던 뉴런을 마저 다 듣고 복습하고 그 후 기출분석을 하는 것을 생각해봤으면 좋겠어요. : ) [3] 수학 기출분석을 여름방학과 8~9월달까지 진행하려 하는데 N제를 많이 접하지 못할 거 같아서 걱정이다. → 기출분석을 끝낸 뒤 풀 수 있는만큼 N제나 실모를 풀고 가도 괜찮습니다. 많은 문제를 접하는 것 보다 중요한건 내가 풀었던 문제들을 얼마나 내 것으로 만드는 지가 관건입니다. 출력할 수 있을 정도로 잘 써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지요. 만약 기출분석을 잘 해놓고 내가 풀었던 문제들을 내가 체화하면서 쌓아나가는 공부를 한다면 절대적인 시간이 얼마 안남아 있더라도 다른 학생들에 비해 내가 풀어내는 문제의 수가 압도적으로 더 많을 수 있습니다. 소화하지 않고 문제만 많이 푸는 학생들은 버벅이게 마련이거든요. 내가 꼼꼼하게 기출분석을 하고 내가 공부한 건 모조리 다 내 것으로 만든다! 라는 생각으로 공부한다면 학생분 생각보다 훨씬 더 많은 문제를 접할 수 있으니까 걱정하지 않아도 돼요. : ) [4] 시중 기출문제집 추천 이건 제가 올렸던 영상과 일맥상통 하는데 너무 두꺼운 기출문제집 보다 컴팩트한 기출문제집이 좋습니다. EBS 수능 기출의 미래 / 수능한권 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 ) 마침 어제 올린 영상이 도움이 될 것 같아서 링크 남겨드려요! : ) ▶ kzread.info/dash/bejne/lYWfo7OIqqzgj9Y.htmlsi=87Eap2HJPFbz61ow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 @user-tb8rk1qf6e

    @user-tb8rk1qf6e

    4 ай бұрын

    @@mathhyukmyung_kjs 감사합니다 최선을 다해볼께요 선생님

  • @meowbooks5045

    @meowbooks5045

    3 ай бұрын

    ​@@mathhyukmyung_kjs와.. 지나가던 시청자인데 댓글보고 괜시리 제가 감사하고 감동했습니다. 이렇게 상세하게 댓글을 달아주시니 너무 감사하네요.

  • @light_physics
    @light_physics4 ай бұрын

    과학교사로 공감갑니다 개념의 단권화 복습 반복은 정말 중요한거같아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JP_academy

    @JP_academy

    4 ай бұрын

    저도 공감 개념노트 만 썼는데 매년 100점 많이나오는걸보면~공감합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JP_academy 대단하신데요! 역시 수학과 과학은 개념과 유도과정 그리고 그배경까지 알고 있어야 고난도 문항도 잘 풀 수 있게 되는 기반을 닦아나가는 것 같아요 : ) 앞으로도 화이팅입니다!

  • @horong68
    @horong684 ай бұрын

    선생님 수능 뒤늦게 공부하는 학생인데 질문이 있습니다 ! 확통 선택자인데 중학도형 총정리와 도형의 필연성 강좌도 제가 수능보는 범위에 들어가는지, 기하에만 들어가는거라 듣지않아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수능 범위입니다! 수1 삼각함수 도형문제를 위하여 수강하는 것을 권장해요! :) 도형의 필연성 같은 경우 6시간 완성이기 때문에 한 번 완강하고 복습한다면 도형을 바라보는 시야도 트이게 되고, 도형문제로 고민하거나 틀릴 일이 없을거예요! : )

  • @horong68

    @horong68

    4 ай бұрын

    @@mathhyukmyung_kjs 감사합니다 방금 프리패스 결제했습니다 !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horong68 같이 힘내서 수능까지 달려봅시다! 화이팅!

  • @qfk375
    @qfk3754 ай бұрын

    현역 고3입니다. 저도 수교를 지망하는데 3,4 언저리입니다.. 추천해주신 개념 단권화를 하려하는데 단원 순서는 상관없나요?? 수1이라하면 삼각함수부터 정리해도 될까요?? 꼭 올리고 싶습니다ㅜㅜ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아주 좋은 질문이네요! q. 단권화 하려는데 단원 순서가 상관이 있냐? a. 네. 있습니다. : ) 수학 (상)에 있는 도형의 방정식은 수학(하)에 함수와 연결되어 있고, 또 기하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또 수학 (하)에 있는 함수는 수학1 삼각함수와 수열, 수학2에 함수의 극한과 연결되어 있지요. 이처럼 수학을 공부하기 어려운 이유는 개념의 체계가 꼼꼼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인거고, 이전 학년에 배웠던 수학 개념 체계가 불완전하면 아무리 많이 공부해도 실력이 늘지 않게되는 거예요. 그래서 단원 순서가 매우 상관있습니다! :) 또 한 가지 염두해 두어야 할 것은 수학을 단권화 할 때는 간접범위부터 직접범위까지 전부 단권화 하는 게 좋아요. 그것도 가급적 빠를 수록 좋고, 단권화 한다고 시간이 늘어지게 되면 단권화 하는 의미가 퇴색하기 때문에 1주일 정도 잡고 몰아서 하면 좋습니다. p.s. 수학교육과를 지망하고 있다니! 제 후배가 되시면 너무 좋겠습니다. :)

  • @qfk375

    @qfk375

    4 ай бұрын

    @@mathhyukmyung_kjs헉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저도 선생님 후배가 될 수 있도록 1년 완전 노력하겠습니다ㅜㅜ!!

  • @user-bg7zi4bt7j
    @user-bg7zi4bt7j2 ай бұрын

    1. 선생님께서 교과서를 보고 노트에 공식의 증명과정, 유도과정, 배경 등등을 직접 단권화하는 방법이 수리논술에도 도움이 될까요? 2. 단권화할때 내가 교사인 것처럼 입으로 설명하면서 해봐도 좋을까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 ай бұрын

    그럼요. 수리논술의 도움이 되지요! 교과서에 있는 공식의 유도과정 배경등을 직접해봄으로써 도움을 받을 수 있고 2번 역시 아주 훌륭한 방법입니다! : )

  • @fovyil.
    @fovyil.4 ай бұрын

    예비고2 입니다 지금 모의고사 4~5왔다갔다 하고있어요 근데 개념정리를 할 때 고1 수상부터 다시 시작하는 게 맞는건가요 아니면 수1부터 하는게 맞을까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고1 수(상)부터 하는게 좋아요 : ) 예비고2라면 수 상/하 다시 한다고 해서 구태여 수학 상/하 문제집을 풀 필요는 없습니다! 수 상/하 교과서를 다시 읽어보고 단권화를 해본다거나 수학의 단권화에서 나와있는 수 상/하 개념연구를 풀어낼 수준 정도면 충분합니다! 수학은 이전 학년에서 배웠던 것을 누적하며 쌓아 올라가는 탑과 같아서 이전 학년에 대한 내용도 알고 있으면 기초가 튼튼해지겠지요. : )

  • @1010cheong
    @1010cheong3 ай бұрын

    학원을 끊고 저 혼자 수학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는데 항상 하면서 이렇게하는게 맞는지 의문점이 들기도 했었는데 이 영상 보니 선생님과 비슷한 방향으로 공부를 하고있었다고 생각하게 되어 안심되기도 하네요!!이 영상 보고 다른 영상들도 다 보게되었는데 이렇게 수학을 친근하게 다가올수있게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3 ай бұрын

    아잇! 똑쟁이네요! 제 영상을 정주행 했다니! 더더욱 똑쟁이가 되겠군요! ㅋㅋ 단권화를 평상시 하고 있다면, 너무 오랫동안 하지 말고 집중해서 짧은 시간안에 단권화를 하고 여러번 자주 보는 거 잊지 말아요!

  • @1010cheong

    @1010cheong

    3 ай бұрын

    @@mathhyukmyung_kjs 네 감사합니다🥰

  • @alswnsdbs9739
    @alswnsdbs97394 ай бұрын

    선생님 수업 잠깐 들었었는데 선생님이 알려주신대로 모의고사 운영 연습하고 9모 3등급에서 수능 백분위 98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후기 너무 감사드립니다ㅜㅜ!! ㅎㅎ

  • @jane-pd1qf

    @jane-pd1qf

    4 ай бұрын

    모의고사 운영이 뭔가요?@@mathhyukmyung_kjs

  • @starcluster0
    @starcluster04 ай бұрын

    책 구매하려고 해요. 현우진쌤 시발점 개념강좌 듣고 나서 정리하면 좋을까요? 아니면 기출을 어느정도 풀고난 후 정리하는 게 좋을까요?

  • @starcluster0

    @starcluster0

    4 ай бұрын

    그리고 강의는 어디서 보는 건가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개념강좌 듣고 보셔도 됩니다! :) 강의는 class.orbi.kr/teacher/179 여기서 프리패스 구매하시거나 필요하신 강좌 개별로 구매하셔서 수강하시면 됩니다 :)

  • @user-hi4wo6fn4n
    @user-hi4wo6fn4n2 ай бұрын

    와~ 항상 이마를 탁! 치게 하는 깨달음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 ай бұрын

    ㅎㅎ 더욱 유익한 영상으로 찾아뵐게요!

  • @user-ke9cx4qh2s
    @user-ke9cx4qh2s4 ай бұрын

    저만 알고 싶어요 영상 내려주세욧 ㅋㅋㅋㅋ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고맙습니다! : )

  • @user-hd8bu3do4z
    @user-hd8bu3do4z4 ай бұрын

    단권화라는게 일단 그 개념을 알고 그걸 좀 요약적으로 정리하는 건데 선생님 방법대로 하려면 일단 수1,2,미적분 개념 완벽하게 알고 해야 될까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네 개념 강의는 한번 듣고 하시는 게 좋습니다!

  • @user-bn8wj8lk8i
    @user-bn8wj8lk8i4 ай бұрын

    재수할때 대박타점 인상깊게 읽었어요. 수학이라는 과목이 부담스러웠는데 당시에 교과서 사서 제대로 개념 공부해본 게 인생에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늘 생각해오기를 그때가 가장 수학을 재밌고 제대로 공부한 시기인 것 같아요. 제가 논리적인 생각에 재능이 있다는 걸 느낀 건 그때부터 였던 것 같아요. 현재는 개발자로서 살고 있으니 그 당시 경험이 제게는 참 값집니다. 오랜만에 유튜브 알고리즘 덕분에 얼굴 보게 돼서 반가웠습니다. 지금보다도 더 좋은 선생님이 되시길 기원합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아아.. ㅎㅎ 수많은 강연회를 나가고, 공부법 책이 아무리 많이 팔려도 그걸 그대로 실천하는 사람이 몇 없는데 제 말을 믿어주고 그대로 실천하신 그 몇 없는 분이시군요! 재수할 때 수학 과목이 부담스러우셨는데 논리적인 생각에 재능을 발견하시고 지금은 개발자까지 되셨다니 선생님의 재능을 발견하는데, 제가 작은 일조를 했다는 것이 너무 보람차고 제 직업의 사명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됩니다. 비록 사교육 강사지만 이런 말을 들을 때마다 제 직업에 엄청난 보람을 느끼며 활력을 얻습니다. 시간 내주어 댓글과 덕담을 달아주셔서 고맙습니다. : ) 앞으로도 열심히 정진하도록 하겠습니다!

  • @user-pc4wf3ri8p
    @user-pc4wf3ri8p3 ай бұрын

    선생님 제가 수학의 단권화 책을 구입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공부해야 할 지 막막해요ㅠ 강의는 책에 있는 바코드로 다 들을 수 있는 건가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3 ай бұрын

    내가 만약 개념에 자신있다! 하면 뒷 부분에 있는 개념연구 테스트를 한 번 쫙 진단하고 부족한 부분의 개념만 단권화를 하거나 강의를 들으면 됩니다! : ) 만약 개념의 자신이 없다면 나 혼자 단권화를 진행하거나 혹은 내가 개념이 군데군데 빵꾸나 나있거나 개념이 파편화 되어서 문제에 적용이 잘 안된다면 강의를 활용하시면서 같이 단권화를 진행하고 이후 개념연구로 복습을 하시면 됩니다! : )

  • @thex3682
    @thex36824 ай бұрын

    이 영상보고 바로 썜 구독박고 쌤 강의볼겁니다.. 솔직히 저는 수학개념이 다 분화되어있고 연결이 되어있지않아서 문제가 어려운3,쉬운4점문제부터 막혔는데 선생님방식따라하면서 공부해볼게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ㅎㅎ 어려운 3점, 쉬운 4점에서 막히는 상황이라면 도움되실 거예요 :)

  • @suhyuk000
    @suhyuk0004 ай бұрын

    단권화 정말 강력하죠ㅎㅎ 제가 모든시험에 적용한방법인데 단권화하는 과정까지는 힘든데 한번 하고나면 점수가 수직상승하더라고요ㅎㅎ 선생님 방법대로 지금 수학도 공부하고있는데 제가 잘하고있구나하고 확인받고갑니다ㅎㅎ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그렇죠! 정말 단권화는 강력합니다. : ) 단원간에 유기적인 연관성도 발견할 수 있고 어떤것보다 내 머릿속에 튼튼한 개념체계를 갖출 수 있지요! 수학공부를 원래부터 잘하시는 분이셨군요! 앞으로 더 많은 발전과 실력향상도 너무 기대됩니다! : )

  • @renater2552
    @renater25524 ай бұрын

    예비고3입니다 그동안 공부를 놓았다가 고2 11월부터 공부시작후 수학을 수상부터 시작해서 지금 수2 1단원하고있습니다 내용자체를 아예 모르는 노베이스가 하는게 효과가 될까요? 그리고 만약 한다면 현재 현우진쌤 시발점 듣고있는데 강의후 개념단권화를 하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개념 단권화를 끝낸뒤 속도를 붙이면서 강의로 개념을 완성시키는데 나을까요 솔직히 완강후 단권화까지할려면 진짜 겉햙기식으로 완강 해야지 3모 전까지 완강이될거같긴합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수2 1단원 시발점 강의 듣고 있다면 수2 적분단원 까지 강의 잘 듣고 단권화 하는게 더 좋습니다. : ) 단권화는 기초 개념을 하고 난 다음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에요. 지금 듣고 있는 강의가 본인이랑 맞다면 굳이 겉핥기식으로 공부할 필요도 없고 하고 있는 거 열공하면 됩니다! >_

  • @renater2552

    @renater2552

    4 ай бұрын

    @@mathhyukmyung_kjs 하지만 수상부터 개념을 한번 씩 다잡을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혹시 완강을 한뒤 시발저 교재로 단권화를 해도 상관없나요? 교과서만큼은 아니지만 개념은 잘 나와있어서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renater2552 단권화는 개념인강 교재나 시중 기본서 교재로 단권화 하는걸 별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 ) 물론 그 교재들로도 단권화를 할 수는 있지만 동일 시간대비 그 효용성이 그리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 ) 하나의 개념이 나오게 되는 자세한 배경과 친절하게 나와 있는 유도과정을 공부하고 그걸 바탕으로 이전 교육과정에서 배웠던 개념들을 지금 내용과 결합하여 촘촘하게 하나로 엮어가는 과정이 단권화를 하는 목표이기 때문에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 )

  • @mclarenmp4-x
    @mclarenmp4-x4 ай бұрын

    저는 개념서에서 수학적 정의와 성질을 다룰 때 그것들이 참인지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고 쭉 생각해왔습니다. 그것이 가짜일수도 있다고 생각하면서 천천히 유도하여 증명해보면 정의가 틀리지 않았다는 걸 확신하게 됩니다. 증명의 중요성을 잘 녹여낸 영상을 찾은것 같네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fb9pl3jn7w
    @user-fb9pl3jn7w4 ай бұрын

    선생님 50일수학 도형편 잘수강했습니다 덕분에 도형보는 눈이 많이 좋아졌습니다 감사합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제가 더 감사합니다 ㅎㅎ👍

  • @user-wp4eu1hl9x

    @user-wp4eu1hl9x

    2 ай бұрын

    쌤 오르비에 50일 수학 도형편 올라와있나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 ай бұрын

    @@user-wp4eu1hl9x 아뇨! 50일수학 도형편은 제가 ebs에서 강의를 했습니다. : )

  • @user-wp4eu1hl9x

    @user-wp4eu1hl9x

    2 ай бұрын

    @@mathhyukmyung_kjs 도형의 필연성이랑 50일 수학은 무슨 차이가 있나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 ай бұрын

    @@user-wp4eu1hl9x 도형의 필연성은 수1 삼각함수 도형을 다루는 것이고 : ) 50일 수학의 도형편은 중등범위 도형을 다루고 있습니다. : )

  • @lifelavie13
    @lifelavie134 ай бұрын

    .. 04:31 예시로 보여주니 너무 좋네요. 풀과 가위를 착착 꺼내야 된다는거 너무 공감가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hk9re6bk6o
    @user-hk9re6bk6oАй бұрын

    오르비 학원을 안다니고 강의로만 들어도 괜찮을까요..? 제가 모르는 부분을 직접 질문하지 못할 것 같아서 불안하네요.. 그리고 수학학원을 끊고 강의로 하려하는데 성적이 오를까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질의응답 게시판이나 오르비 쪽지로 보내주시면 질문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 )

  • @user-fb7sq6ss7d
    @user-fb7sq6ss7d12 күн бұрын

    선생님 안녕하세요 앞으로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고민입니다.. 3모,5모땐 국수영 131을 유지했었는데 번에 352로 확 떨어졌어요. 공부시간 대부분을 수학에 올인했었는데 이런 결과가 나와서 슬프기도 하고.. 뭐가 문제인지 앞으로 어떻게 보완해야할지도 잘 모르겠어요. 수1,수2는 개념이랑 쎈B,기출을 1번씩 끝냈고 미적분은 개념,쎈B풀이 이후 기출문제집 풀고 있습니다. 이번시험에서 시간부족으로 킬러 준킬러는 손도 못댔고 미적 3점문제랑 공통 쉬운4점 위주로 틀렸습니다. 미적 진도를 성급하게 빼느라 수1수2 내용도 까먹고, 부끄럽지만 기출 오답이나 복습도 거의 안 해서 실력이 퇴화한 느낌입니다. 복습의 필요성은 알고 있는데 개념,기출 복습을 얼마동안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수학의 단권화 책은 사뒀습니다) 혼자 생각하려니 마음만 급해지네요 이제부터 올리기엔 늦은건가 싶기도 하구요..조언 부탁드려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10 күн бұрын

    아이고..국수영 전반적으로 유지하던 성적이 아니라서 상심이 크셨겠습니다. ㅠㅠ 개념+쎈+기출과 수학을 대부분 투자했지만 5등급이 나온 상황인데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해 함께 고민해봅시다. 일단 써주신 댓글을 꼼꼼히 읽어봤을 때 꼭 개선해야 하는 부분은 1. 수능 전범위에 대한 개념이 생생하게 있지 않은 상태 2. 최근 공부한 것만 잘하는 상태 3. 기출분석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 이 3가지를 꼽을 수 있을 거 같습니다. 1. 수능 전범위에 대한 개념이 생생하지 않은 상태 미적 진도를 일단 성급하게 빼느라 수1수2 내용에 대한 기억이 없다는 부분이고 이번 6모를 5등급 맞았을 경우 쉬운 계산 문제도 틀렸다는 것이라 아마 기초 개념까지 생생하지 못한 상태에서 문제를 풀어내는라 쉬운 문제도 맞추지 못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아마 다시 보면 아 내가 이걸 왜틀렸지? 하는 부분들이라던가 아니면 이거 내가 계산실수야~하고 넘어가는 부분들에 대한 개념이 완전하게 잡혀있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수학의 단권화 교재를 갖고 계시니까 수1수2 7일, 미적분 3일, 총 10일이면 단권화를 하게 됩니다. 이렇게 단권화를 우선적으로 하시면 좋겠습니다. 단권화를 할 때도, 진도를 빼는데에 급급하지 마시고 반드시 누적적으로 복습하면서 나가셔야 합니다. day2를 할 때는 day1을 읽기 복습을 하고 day1 개념연구 테스트를 한 번 보고난 뒤 day2 진도를 나가고 day3 진도를 나갈 때는 day1~day2 읽기복습, day1~2 개념연구 테스트 보기 이렇게 누적적으로 공부해줘야 합니다. 그래야 10일차 미적분 진도를 나갔을 때, 전범위 개념이 생생한 상태가 될 수 있어요. 그리고! 이 개념연구에서 내가 모르는 문항이 없도록 한 다음 문제풀이를 들어가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래야 개념이 문제에 붙어서 실력이 잘 오를 수 있게 됩니다. 2. 최근 공부한 것만 잘하는 상태 정신 없으시겠지만, 제 생각에 예전에 공부하던 문제집이랄지라도 지금 상태에서는 그 문제집에서 맞았던 문항일지라도 내가 이거 어떻게 풀었더라? 하면서 기억이 안나는 경우가 많을 거 같아요. 공부라는 것은 누적적으로 내 실력을 쌓아 나가야 하는 것이지만 많은 학생들이 대부분 2주 메모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게 뭔말이냐면, 최근 2주동안 공부했던 건 잘하는데 3주 전에 했던 것은 복습을 안해서 장기기억으로 넘어가지 못하고 내 머릿속의 지우개로 삭제를 하는 채로 공부를 하게 되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공부해도 쌓이는 것이 없고 공부를 하면 할 수록 늘지 않아 지치기 마련입니다. 이걸 방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내가 공부를 했던 것들을 '유지하기' 위한 공부도 따로 해줘야 합니다. 일주일에 하루는 이번주 내가 공부했던 것을 전부 다시 복습해본다던지 아니면 하루 중에 한시간을 오늘 공부했던 것을 다시 살펴본다던지 이렇게 계속 내가 했던 것들을 자꾸 들춰봐야 합니다. 그럼 이런 고민이 생기실거예요. 내가 지금까지 공부했던 양이 얼마나 많은데 이걸 다 다시 들춰봐야 하나요? 현실적으로 이미 까먹어 버린 것은 기억에 희미하게 남아있거나 처음보는 생경한 상태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나마 내가 기억할 수 있는 것들은 리마인드를 하시지만 이미 차게 식어버리는 것을 데우느라 고생하지 마시고 앞으로 공부할 때 제 말을 기억하시면서 공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3. 기출분석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 이번 6모는 기출확장이 많았던 시험이었습니다. 그래서 내가 기출공부를 했어도 정말 기출분석까지 잘 이루어져있는지 경향별로 어떤 출제요소들이 있는지 기출을 통해 얻어낸 실전개념들은 잘 갖춰져있는지 한 번 점검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기출 문제집은 두꺼운거 말고 얇은걸로 푸시고 가급적 한 권의 기출문제집을 완전하게 모르는 문항이 없도록 공부한 다음 다른 문제집으로 넘어가면 좋겠어요. 이렇게 질문하신 내용에 제 답변이 도움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언제든지 여기에 추가 댓글 달아주시거나 다른 영상에 댓글 달아주시면 제가 시간을 들여 꼼꼼하게 읽어보고 답변달아드릴게요!

  • @donghyunryu7817
    @donghyunryu781726 күн бұрын

    현재 고1 아이가 중학교때 선생님 ebs 도형 강의로 엄청나게 도움을 받았습니다. 오르비에서 선생님의 강의를 구독하려고 합니다. 수학의 단권화가 너무 좋아 보여서 찾다보니 선생님 커리큘럼이 있더군요. 고1이지만 선생님의 커리로 갈려고 합니다. 혹시 개념측면에서 부족할까요? 수능이나 공부 자세에 대해서는 당연히 선생님 강의로 확정인데 개념부분은 다른 선생님 강의 후 선생님의 커리를 타야할까요? 선생님의 커리만으로 내신, 수능을 다 잡고 싶은 욕심이 있습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5 күн бұрын

    제 ebs 도형 강의를 들었군요! 고1이면 제 커리큘럼 전체를 타는 것이 아마 힘들 수도 있습니다. :) 선행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무래도 내신대비도 같이 해야 하는데 제 커리는 고1 내신 대비를 하는 강의가 없기 때문이예요. 만약 내가 등차수열이나 등비수열이 무엇인지 모른다면 처음부터 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볼륨이 큰 인강보다 교과서로 빠르게 공부하고 그 다음 단권화를 한 뒤 단권화로 까먹지 않게 관리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거 같습니다! 제가 28일만에 전체 수학 고등학교 기초-기본 개념을 마스터 할 수 있도록 플랜을 짜둔 것이 있는데, 그 걸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 :) 이 영상에서 플래너를 신청하시고 그 미션 플래너로 한 번 해결해보시면 좋겠습니다! kzread.info/dash/bejne/nZiImcmpecndYc4.html

  • @user-fo9tu2mr8d
    @user-fo9tu2mr8d4 ай бұрын

    선생님 저 수학의 단권화 필기노트만 있고 빈칸책이 없는데 빈칸책만 구매 할 수 있는 방법 없나여?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현재 2권을 합본하여 한 세트로 판매하고 있어서요. 빈칸책만 따로 구매하시는 건 어려울 것 같습니다. ㅜㅜ

  • @user-dc8lo8ri3j
    @user-dc8lo8ri3j2 ай бұрын

    선생님 개념을 안다는건 교과서에 나오는 모든 개념의 정의와 증명과정 그리고 그게 어떻게 유도 되었는지도 전부 다 알아야 한다는 건가요? 그럼 단권화를 할때도 저걸 전부 적고 암기해야 하는 건가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 ай бұрын

    내가 출력할 수 있을 정도면 됩니다. : ) 어떤 조건이 있고 그것에 대한 결론인 공식이 있다면 그 조건에서부터 공식이 나오기까지 그 흐름을 내가 출력하게끔 하는 것이 핵심이지요! : ) 실제로 많이도 없고 수상부터 수하 수1 수2 확미기 다 포함해도 300개 정도 됩니다. : )

  • @richmanjackjack
    @richmanjackjackАй бұрын

    이제 30대후반 이지만 수학에 흥미가 있어서 취미로 시작 해보려고 합니다. 단권화로 시작!!!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오오 정말 멋진 취미를 가지고 계시는군요!

  • @unknown-vq7tg
    @unknown-vq7tg16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6모 보고 깨진뒤에야 뒤늦게 정신차린 고3입니다.. 앞으로의 공부 방향성이 잘 잡히지 않아서 제 상황에서 수능까지 어떻게 해나갈지 가이드 해주시면 모든 정말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전 공부를 두 세 달 하다가 중간에 다른요소들로 인해 안하고 이렇게 반복되다가 6평까지 공부를 안했어요.. 그래서 국수영 555가 떴습니다 ㅠ 공통 개념과 문풀을 전에 충분히 했었는데 공부 놓은지 좀 돼서 많이 까먹은 상태구요(+수 하 경우의 수 단원이랑 수1 수열 단원은 개념도 안뗐어요) 그리고 수하 경우의수도 안해서 확통 개념 배우다 막혀서 확통은 아예 노베이스에요 이 상황에서 제가 어떻게 공부해야 효율적으로 성적을 올릴까요?(책은 수학의 단권화, 인강 실전개념, 기출 있습니다. 정말 간절한데 뭐든 제시해주세요!!ㅠ) 또 국어와 영어 탐구 공부 시간도 고려하면 하루 수학 공부를 어느정도하는게 적당할까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15 күн бұрын

    현재 국수영 모두 5등급이라면 탐구를 여름방학 이후에 공부할 생각을 하고 국수영만 일단 공부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그중 제일 오래 걸리는 수학을 공부시간 50%를 할당하고 영어는 영어단어+영어독해를 하고 국어역시 독서지문에 대한 공부를 해두면 좋습니다. 수학은 개념을 쉽게 잘 까먹을 수 있는 그런 과목이기 때문에 내가 배웠던 것을 유지하기 위한 공부를 함께 해둬야 합니다. 그래야 까먹지 않고 내가 공부했던 성적을 유지할 수가 있지요! 일단 한 번 공부를 해봤으니까 수학의 단권화나 교과서로 단권화를 하고 개념의 유기적인 연결성과 체계를 만들어 가야 합니다! 그래야 복합개념이 쓰이는 고난도문제를 풀 수 있는 힘을 만들 수 있고 개념이 문제에 붙어 문풀 할 때 실력이 올라가게 되거든요! : ) kzread.info/dash/bejne/nZiImcmpecndYc4.html 여기서 빠르게 수학 전범위를 채우는 플래너를 제공해주고 있어요! :) 그 미션플래너대로 빠르게 전범위 채우면서 공부하고 기출로 실력을 쌓으면 정말 좋아질 거예요! 화이팅!

  • @goldbird5613
    @goldbird56134 ай бұрын

    임용고시 장수생인데 실패요인 분석 중 단권화를 제대로 하기위해 시뮬레이션 돌려서 생각한방법이 있는데 거의 일치하네요. 확신이 생겼습니다. 감사합니다 😊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이 방법대로 정진하시면 분명 좋은 결과 있을 거예요! 파이팅입니다 :)

  • @chh6028

    @chh6028

    4 ай бұрын

    전공 마인드맵 꼭 그려보세요 선대 대수, 해석 복소, 위상 미기 등 전공서보고 개념간 연결고리 만들어두고, 백지에 계속 인출하는 훈련 추천드립니다.

  • @theonlycatruru
    @theonlycatruruАй бұрын

    선생님 안녕하세요 저는 작수 5등급에 이번 모의고사는 32점을 맞았던... 노베이스 재수생입니다 재수를 시작하며 쎈도 제대로 못 푸는 제 모습에, 저는 평생 수학이라는 벽을 절대 넘을 수 없을 것 같아서 좌절하고 있던 찰나에 이 영상을 발견하게 되었어요 🍀 정말 감사합니다 저도 진짜 수학을 잘하는 사람이 되고 싶은데 한계를 넘어보지도 못하고 수험생활을 마무리하기가 싫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선생님이 제시해준 방향대로 공부를 해서 꼭 수학이 뭔지 제대로 아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 그래서 영상을 보고 교과서부터 시작해야겠다고 생각은 했는데요!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 여쭤보고 싶어요 1. ebs 핵심개념쏙쏙강좌 + 지학사 교과서 유제예제 풀기 - 찾아보니 미적분은 강좌가 없던데 수학의 별도의 강의 없이 바로 단권화를 들어가면 되는 걸까요? 더 자세한 플랜 방법이 궁금해요 2. 수학의 단권화 하기 3. 실전개념 강의 듣기 일단 이 순서로 진행하려고 하는데 1~2번은 부분별로 얼마 안에 끝내는 게 좋을까요? 하루 수학 시간은 5~6시간 정도로 잡고 있습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오잉! 답글 달아드렸는데! 기초부터 시작하시겠다는 생각은 정말 잘하셨어요! 수학은 기초가 안되어 있다면 아무리 고난도 문제를 풀어도 실력이 쌓이지 않거든요 ㅠㅠ 일단 공부할 때 수상수하수1수2 기초 기본개념 후에 미적분을 공부하면 좋겠습니다. 지학사 교과서와 ebs 핵심개념쏙쏙 강좌로 수상수하수1수2 다하는데 빠르면 2주 늦어도 4주 안에는 끝납니다! : ) 이 부분에 대해서 제가 지금 준비하고 있는 것이 있는데 (초특급!) 곧 올라올 영상에서 도움받으시면 좋겠어요! : ) 이렇게 지학사 교과서와 ebs 핵심개념쏙쏙 강좌로 공부하고 이후 수학의 단권화로 7일동안 단권화를 해주고 단권화를 한 다음 그 주 부터 수능때까지 주1회 개념연구 복습을 무조건한다! 라는 생각으로 끊임없이 수학의 단권화 뒷 부분에 있는 개념연구 복습은 무조건 가져가셔야 합니다! : ) 그리고 미적분은 듣고 싶은 개념인강을 들어도 좋은데 가급적 볼륨이 적은 개념인강을 들으시고 이후 수학의 단권화를 하시고 미적분 개념연구 복습을 해주셔도 좋고 아니면 교과서로 먼저 예제와 유제를 풀어보고 교과서 내용을 한 번 읽어본 다음 수학의 단권화 미적분 강의를 바로 들으시고 이후 미적분 개념연구 복습을 해주셔도 좋습니다. : ) 미적분은 수1수2가 부실하면 아무리 공부해도 실력이 쌓이지 않기 때문에 일단 수1수2 개념을 꼼꼼하게 해두시는 편이 좋습니다! 이런식으로 공부한다면 1. 수(상)~수2 교과서+ebs : 빠르면 2주 늦어도 4주 2. 수학의 단권화 (수상~수2) : 1주 이후부터 개념연구 복습 2-1. 미적분 교과서 + 수학의 단권화 : 1주 혹은 개념인강 + 수학의 단권화 : N주 이렇게 미적분 기본개념까지 끝내는데 빠르면 4주 늦어도 6주 언저리로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 ) 이후 바로 실전개념 강의를 들어도 좋은데 저 같은 경우 바로 실전개념 강의를 듣기 보다 기출분석+실전개념을 같이 가져가고 이후 내가 듣고 싶었던 실전개념 강의를 듣는다면 훨씬 더 빠르고 안정적이게 체화가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 언제든지 질문남겨주시면 제가 꼼꼼히 읽고 댓글 달아드리겠습니다!

  • @theonlycatruru

    @theonlycatruru

    Ай бұрын

    헉 저한테는 답글이 안 떠서 혹시나 하고 다시 삭제하고 댓글 달았는데.. 이렇게 길고 정성스러운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ㅠㅠㅠ 6주 안에 반드시 끝내고 다시 돌아올게요!

  • @Pink-rosegarden-0701
    @Pink-rosegarden-0701Ай бұрын

    정말 이렇게 훌륭한 강의를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미 대학 졸업한 사람이지만, 선생님 강의는 너무 근본적인 것을 말씀하셔서 응용이 가능한 점이 많다고 생각해요! 더 흥하세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아잇 ♥ 감사합니다! >_

  • @user-dx5px2wl3i
    @user-dx5px2wl3iАй бұрын

    수학의 단권화를 10일동안 끝내고 이후에 개념 연구로 복습을 계속 하는걸까요? 그리고 매주 복습하라고 하셨는데 하루에 전범위를 끝낼 수는 없을텐데 분량을 어느정도두고 복습을 할까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수학의 단권화를 할 때 그 다음날 진도 나가기 전에 개념연구 복습을 해주고 진도를 나가기를 권합니다! : ) 그러면 나중에 개념연구 질문지에 아리송하거나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들도 별로 없을 거예요! :) 학생들에게 개념연구 테스트를 시키면 수1 30분, 수2 30분 정도면 다 쓸 수 있습니다!

  • @LYY10112
    @LYY101122 ай бұрын

    편입수학 같이 깊은 사고를 요하진 않고 전형적인 유형의 문제들이 대부분인 시험같은 경우도 비슷하게 적용되나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 ай бұрын

    제가 편입수학에 대해 잘 알지 못하여 조언드리기가 어렵습니다 ㅠㅠ 만약 범위가 넓고 개념의 유기적 연결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면 추천드립니다!

  • @user-ih9xl5kr2e
    @user-ih9xl5kr2e2 ай бұрын

    이거 대박아닙니까? 저가 공부하겠습니다. 김지석선생님 감사합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 ай бұрын

    ㅎㅎ 수학은 튼튼한 개념으로 개념이 문제에 적용이 되어야 하는건데, 개념따로 문제따로 놀면 실력이 늘지 않죠 ㅠㅠ 그래서 개념이 빵꾸가 나있거나 개념이 부실한 친구들에게는 꼭 단권화를 권합니다! : ) 저도 감사해요!

  • @user-gu5uo2ez7u
    @user-gu5uo2ez7u4 ай бұрын

    수학의 단권화 대박입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ㅎㅎ

  • @user-pq4wr8ml7g
    @user-pq4wr8ml7gАй бұрын

    수학 등급이 낮아서 고민이었는데 뭐가 문제였는지 알것같아요! 정말 감사합니다 열심히 해볼게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탄탄한 개념과 그 개념의 유도과정이 나의 자산이 되고 그 다음 문제에 개념을 적용하면서 문제를 풀 수 있을 거예요! 응원합니다!

  • @cpo-uw9hb
    @cpo-uw9hb4 ай бұрын

    50대 아들둔엄마입니다 요새 중학생아들 수학을 봐주는데 선생님 동영상보구 길이 보이는 느낌입니다 학원에서 문제들만 너무 많이 풀리는데 틀렸던문제 또 틀리고 개념도 안잡혀있고 너무 답답한 심정이었습니다 그런데 선생님 말씀 듣고 나니 어떻게 접근해야할지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제 동영상이 도움이되셨다니 너무 기쁩니다. : ) 맞습니다! 다양한 문제풀이의 장점은 많은 문제를 접하는 건데 이는 득보다 실이 더 클 때가 많습니다. 몇 가지 예를 들자면, 대부분의 학생은 많은 문제를 풀게되면 개념이 튼튼하지 못했던 학생들은 문제풀이만 충실한 나머지 내가 배운 개념이 휘발되면서 개념의 빵꾸가 생긴다거나 뒷부분 공부할때 내가 앞부분 무심코 보았을때 이 문제를 어떻게 풀었더라? 하며 내가 풀었던 문제조차 다시 풀기 막막하다던가 문제집에서 자주나오는 유형만 잘 풀게되고 문제집에서 적게나오거나 여러가지개념을 쓰는 문제들을 어려워한다거나 문제를 풀면서 생기는 사소한 것들이 쌓여서 오개념을 만들어낸다거나 합니다. ㅎㅎ

  • @cpo-uw9hb

    @cpo-uw9hb

    3 ай бұрын

    선생님 동영상 하나하나 꼼꼼히 보고 요점들 필기해놓았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말씀부탁드립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 @user-lh6lj4em8p
    @user-lh6lj4em8pАй бұрын

    오늘 고2아이에게 다시 개념을 공부하라고 했습니다 단 모르는건 패스하고 지금까지 배운데까지 공부를 최대한 빨리 정리하고 반복 작업을 하라고 했어요 반복을 하다보면 못풀었던 문제도 어느샌가 풀스가 있으면서 자연스럽게 정리가 될거라고 말했는데 이 애길하는 선생님은 처음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제생각이 완전히 틀렸다는게 아니라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그럼요! : ) 개념과 개념의 유도과정은 문제를 출제하는 사람으로서 항상 참고하는 부분이고 그 유도과정의 원리로 문제를 만들다 보니까, 개념의 유도과정을 출력할 수 있다면 문제에 개념이 잘 적용이 됩니다. 또한 수학은 일상용어가 아니기 때문에 굉장히 반복이 중요한 학문이죠! 너무 잘하셨네요!

  • @young-won7410
    @young-won74104 ай бұрын

    수학교육과를 희망하는 학생이 영상을 보고 정말 수학교사라는 직업이 얼마나 대단하고 멋있는 직업인지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수학교사를 희망하면서도 어떻게 공부를 해야하고 모고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는지 고민하다가 영상을 통해 앞으로 어떻게 다 잡고 가야하는지 알게되었습니다. 저도 수학교육과를 진학하기 위해 정말 열심히 노력해야 겠어요 ( •́દ•̩̥̀ )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지금처럼 열심히 정진하면 분명 좋은 결과 있을 거예요! 파이팅!!!!

  • @starstar2657
    @starstar265726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이가 개념은 완벽한데 시험에 아려운 문제가 나오면 어떤 개념을 활용해서 풀어야 하는지 생각해 내는 시간이 많이 든다고 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도 단권화가 도움이 될까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5 күн бұрын

    시험에서 어려운 문제가 나왔을 때 어떤 개념을 활용해서 풀어야 하는지 모른다면 개념을 단순하게 입력된 상태로만 알고 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아니면 개념의 결과인 공식만 알고 있는 상태일 수 있고요! 예를 들면, 미분가능하다는 것에 정의를 쓰고, 조건을 쓰고, 조건을 유도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 만약 저 3가지에 대답을 못하는 상황이라면 단권화가 도움이 됩니다! :)

  • @eunwooocha
    @eunwooocha2 ай бұрын

    선생님, 수학 단권화 교재 하고난 뒤에 현우진 뉴런 들으면 되려 헷갈릴까요? 현우진쌤은 정석대로 푸는것보다 테크닉? 사용하며 푸는거라 들어서...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 ай бұрын

    아니오! : ) 수학의 단권화 교재 하고 난뒤 뉴런 들으면 더욱 효과적일겁니다!

  • @eunwooocha

    @eunwooocha

    2 ай бұрын

    @@mathhyukmyung_kjs 네 답글 감사해요~단권화 강의 구독해서 강의도 들으면서 하려고요 ㅎ 열심히 할게요~

  • @user-uu6vr8jx2j
    @user-uu6vr8jx2jАй бұрын

    선생님. 현 중3아이라 고등학교 가면 교과서가 개정되는데 지금 단권화 책으로 공부해도 될까요? 혹시 개정된 단권화가 나오나요? 그리고 혹시 중학교 수학도 단권화 만들 계획은 없으신가요?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22개정교육과정 수학의 단권화는 출판예정인데 아직 언제 출판될 지 확정된 바는 없습니다 ㅠㅠ 중학 수학의 단권화는 출판예정이 없습니다 ㅠㅠ

  • @user-uu6vr8jx2j

    @user-uu6vr8jx2j

    Ай бұрын

    ​@@mathhyukmyung_kjs아쉽네요.ㅠㅠ

  • @user-lt7xo3lt7c
    @user-lt7xo3lt7c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설명너무 잘 들었습니다 이 단권화 개념공부가 수리논술공부의 기초가 될 수 있을가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3 ай бұрын

    네 : ) 수리 논술기초를 준비하기에 굉장히 좋습니다. 수리논술 같은 경우 교과개념의 심도깊은 이해와 증명을 요구하기 때문에 단권화를 통한 개념의 유기적인 연관성과 증명과 유도과정을 학습하신다면 도움이 되겠지요!

  • @User.dkeisjnwjwwkwm
    @User.dkeisjnwjwwkwm4 ай бұрын

    내용 좋다. 뭔가 떡상할 거 같은 느낌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user-to1mc9kk1m
    @user-to1mc9kk1m6 күн бұрын

    선생님 자세한 후기는 이 단권화가 끝나고 정말 달라진 제 모습을 느꼈을때 써보겠습니다 한가지 여쭤보고 싶은건 이 단권화가 여러번 회독으로 체화가 될 정도의 수준이면 쌤이 말하신 수기미나 수능한권을 풀수있는 수준까지 가는걸까요? 본인 수준에 맞는 문제집을 풀라고 하셨는데 이 단권화로 수능 한권을 온전히 소화시킬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물론 막힘없이 술술을 말하는건 아닙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күн бұрын

    단권화를 하지 않아도 바로 기출문제집은 풀 수 있을 수 있습니다. : ) 오잉! 이게 무슨 말인가 의아하실 수 있을거예요. 단권화를 하는 이유는 수능에 모든 범위를 생생하게 기억하기 위함이고 내가 지금 당장 풀고 있는 부분이 수1이라고 하면 수2와 선택과목을 까먹지 않고 안심하면서 수1 문제를 풀 수 있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부분 많은 학생들이 개념 끝! 문제풀이 시작! 하면서 수1을 공부할 때 수2와 선택과목을 배웠던 것들을 까먹고 수2를 공부할 때 수1과 선택과목을 까먹고 선택과목을 공부할 때 수1과 수2를 까먹어서 '내가 배웠던 거 어디갔어?' 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의 문제점은 개념이 머릿속에 체계가 잡히지 않은 대로 파편적으로 흩어져서 문제를 풀기는 풀 되 문제풀이할 때 속도가 나지 않는 다는 단점이 있어요. 하지만 단권화를 할 때 꾸준히 뒷 부분에 있는 개념연구를 반복학습을 하면서 수능한권을 풀게 되면 수1을 풀 때도 안심하면서 수2와 선택과목의 실력을 유지시킬 수 있고 개념이 체계화가 잡혀서 문제를 풀 때 개념을 적용하면서 문제를 풀게 되어 남들이 낑낑거리면서 아맞다! 이런 개념이 있었지! 하면서 문제풀이 속도가 나지 않을때 혼자 슝슝 문제를 풀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단권화는 내가 본격적으로 기출문제를 풀 때 안심하면서 문제를 풀 수 있고 문제를 풀 때 개념이 문제에 붙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또한 내가 문제를 풀때 얻어가야 하는 것들을 나의 단권화 책에 기록하면서 단권화 책을 자주 본다면 문풀에서 얻어가는 것들 또한 한꺼번에 단권화를 하면서 수능이 다가올 무렵 정말 강력한 나만의 무기가 탄생하게 되는 겁니다!

  • @user-to1mc9kk1m

    @user-to1mc9kk1m

    4 күн бұрын

    @@mathhyukmyung_kjs 정성스런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문풀하며 어떻게든 단권화 회독 시키며 체화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yj8zl6zu4o
    @user-yj8zl6zu4o8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선생님 저희아들은 고2입니다 수학학원을 옮기고나서 스스로가 이렇게바닥이었나?... 라는생각에 수학에 자신감을잃어하고 수학학원선생님이 조금은 부담스러운듯해보입니다 아들은 옮긴학원에서 공부하는방법은 맞다고합니다 단지 본인이 이전학원에서 편안하게 곤부해왔던 습관을 고치는게 쉽지않다고는하네요 개념을 잘외운건지 알고는 있는데 개념을 대입하는 수준으로 문제를풀고 왜이렇게되는지에대한 고민은 좀 약한편인가봅니다 그리고 어려운문제들이 잘안풀려 숙제하는데 시간이 모자라는 상황이라고합니다 그래서 수학의단권화를 이과형 주문하였습니다 성실한스타일입니다 학원에서는 마플시너지로 수업을합니다 풀이하고 틀린거 다시풀이하고 모르거나 이해안된거 다시질문하는스타일입니다 기가죽은? 아들을보니마음이 아프고 어떻게 격려를 해야할까하다가 선생님영상을 보기를 권하고있고 책을구입하였습니다 수학의단권화를 학원다니며 어떻게 활용하면좋을까요?~ 😢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8 күн бұрын

    아이고 ㅜㅜ 이런 옮긴학원에 대한 스트레스를 자녀분께서 받으시군요! 일단 개념이 문제에 적용이 안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준비하신 수학의단권화로 지금까지 공부한 부분에 대해 복습과 개념을 단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후 필기노트와 개념연구를 꾸준히 반복학습을 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후 숙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일단 10초씩 짧게 여러번 고민하는 것을 권해드려요. 아무래도 오랜시간 고민하게 된다면 공부하는데 지치기만 하거든요. 그렇게 여러번 고민하고 안풀리는 것은 해설지를 보고 해설지를 보고 이해한 문항은 여러번 풀어보고 학원 선생님께 내가 어려웠던 문항들을 쉬는시간이나 끝난 시간에 질문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내가 이 부분을 보면서 어떻게 이 문제를 풀어야 할 지 모르겠다 혹은 문제를 풀다가 이런 부분에서 막혔다라던가 아니면 이 문제는 이런 개념을 쓰는 문제인줄 알았는데 안풀렸다 등 질문할 때 단순히 이 문제가 안 풀려요가 아니라 이 문제를 풀 때 내가 느꼈던 어려움에 대한 부분을 얘기하면서 질문하신다면 선생님께서도 아 이 친구가 어떤 부분에 대해 어려움을 겪는지 확실하게 알 수 있어서 자녀분을 지도할 때 큰 참고가 될겁니다! 이렇게 내가 모르는 문항을 문제를 풀려고 오래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안 풀리는 문제를 짧게 여러번 고민하고 그 다음 해설지를 보고 이해하고 내가 이 문제를 풀 때 왜 어려운건지 왜 못푼건지 왜 막힌건지 그 이후의 과정에 대한 고민이 길어져야 실력이 늡니다! 이해안된거를 질문할 때 조금 더 구체적으로 질문할 수 있도록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질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렇게 모르는 문제를 구체적으로 고민하고 구체적으로 질문하도록 하고 학원에서 나갔던 진도는 반드시 수학의 단권화로 단권화를 해두고 반드시 쉬는시간 틈나는시간 때 필기노트를 자주 읽기복습하고 개념연구를 지속적으로 반복복습하면서 배우는 내용 이외의 것들을 까먹지 않도록 관리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user-yj8zl6zu4o

    @user-yj8zl6zu4o

    8 күн бұрын

    @@mathhyukmyung_kjs 선상님께서 이리도 정성스럽게 댓글을달아주셔서 정말 감동이고 감사드립니다 아들에게도 김지석선생님이보내주신내용 잘 전달하겠습니다 혹시 선생님께서 계신곳은 어디신지요 오르비에강의가 킸는것같던데 학원이나 수업을하시는지요? 혹시 한번 뵙고 상담을 할수있나요? 절실하네요 대학휴학하고 재수하는 큰아들도있어서 상담한번꼭 받고싶습니다 어떻게연락드리면될까요....

  • @bornfrompain.
    @bornfrompain.4 ай бұрын

    선생님 피부가 너무 좋으세요 ㄷ ㄷ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ㅎㅎ

  • @fjfkejdjfk123
    @fjfkejdjfk1234 ай бұрын

    와 저도 최근에 저런 방식으로 수학 공부를 시작했는데 이 방법이 맞는가 싶었는데 선생님께서 올려주신 영상을 보니 제가 잘 하고 있는 것 같아서 기분이 좋습니다 이대로 정진해서 좋은 결과 있었으면 좋겠네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댓글 감사합니다 ㅎㅎ 응원할게요! :)

  • @jiyepark9332
    @jiyepark9332Ай бұрын

    수학을 3학년때부터 포기했던 5세 아이 엄마입니다 알고리즘에 선생님 영상이 떠서 보게 되었어요 저처럼 수포자가 되지 않게 되길 바라는데 어떻게 가정에서 도움을 주면 좋을지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아이가 5살이니까 저라면 1. 보드게임하기 2. 바둑 하기를 먼저 할 거 같습니다. 수학을 잘하기 위해서 (1) 문제에서 구하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 (2) 문제에서 직접적인 단서는 무엇이고 내가알고있는 개념과 어떻게 결합할 수 있는가 (3) 단서와 단서를 어떻게 이어서 정답을 도출해나갈 수 있는가 에 대한 사고과정이 이뤄집니다. 하지만 보드게임이나 바둑같은 경우 (1) 이 게임을 승리하기 위한 승리조건은 무엇인가 (2) 승리하기 위해 나는 규칙안에서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 것인가 (3) 규칙안에서 내가 갖고있는 자원을 어떻게 결합하여 승리할 수 있는가 와 사고과정이 유사합니다. 따라서 어렸을 때 문제집 몇 권 더 푸는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아이가 천재적으로 뛰어나지 않는 한 유초등 경시대회를 위해 사교육을 하거나 문제집 많이 푸는 것 보다 사고하는 즐거움을 알려주시면 나중에 더 도움이 많이 될거예요! 수학은 사고하는 즐거움이 있는 사람들이 잘합니다! ㅎㅎ

  • @user-mu2zb4zv7i
    @user-mu2zb4zv7i2 ай бұрын

    수학의 단권화 책을 보려는데 얼마의 시간을 투자해서 보는것이 맞을까요? 첫 학습을 10일에 끝내고 바로 수능 한권을 하는건가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 ай бұрын

    수학의 단권화는 몰아서 한 번에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 ) 10일동안 수학의 단권화를 하고 그 다음 주1회 개념연구 복습을 하면서 수능한권을 하는 것을 권해요! : )

  • @user-mu2zb4zv7i

    @user-mu2zb4zv7i

    2 ай бұрын

    @@mathhyukmyung_kjs 수능한권은 수12확통을 병행하는게 좋나요 아님 한권 끝낸 후 다음권으로 넘어가는게 좋나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 ай бұрын

    @@user-mu2zb4zv7i 상관 없습니다. : ) 다만 수1을 다 끝내고 수2를 할거야! 하면서 수1을 오래붙잡고 있는 것 보다 수1을 1회독 하였으면 틀린 문항만 수2를 하면서 풀어주는 식으로 공부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 전체 회독 기간이 길어지지 않게만 관리해주면 됩니다!

  • @JSMHYJSH
    @JSMHYJSH4 ай бұрын

    정확하네요. 개념을 이해하고 적재적소에 끄집어내어 사용하는 능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grace74_42
    @grace74_424 ай бұрын

    미적 선택자입니다. 고2 11월모의고사 3등급인데요. 단권화 책에서 수학상,하를 꼭 다 해야 하나요..? *수학(상) 1.다항식,2방정식과 부등식3.도형의방정식 *수학(하) 2. 함수 (집합과명제, 경우의 수 제외) 이렇게 해도 되는 지요.. 꼭 답변부탁드려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미적분 선택자라면 수학(상) 3.도형의 방정식, 수학(하) 2.함수만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 ) 수학(상)1.다항식, 2.방정식과 부등식은 한 번 읽어보시고 모르는 내용이 없다면 그냥 넘어가셔도 무방합니다. : )

  • @GreatHumiliator
    @GreatHumiliator9 күн бұрын

    38살입니다. 19년전 공부를 열심히는 했는데 제대로는 못해서 그 결과에 늘 아쉬움이 있습니다. 저녁 먹으면서 보는데 구구절절 옳은 말입니다. 당시 제게도 이런 코치가 있었다면 결과가 조금 더 달라졌겠죠. 입시라는 틀을 넘어 배움의 근간에 대해 설파해주시니 많은 분들이 영상 보시고 수학 외 자신의 세계에도 접목해봤으면 좋겠습니다. 수고하세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8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 ) 시간내어 귀중한 말씀을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께서 얘기하신 부분이 빛이 바라지 않도록 더욱 정진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lw4yx3hy3y
    @user-lw4yx3hy3y4 ай бұрын

    제가 수학기초가 안 잡혀 고생을 했어요 고2 때였는데 좀 난이도 있는 잘 정리된 문제집을 여름방학 동안 5번 풀었습니다 매번 풀때마다 안풀리는 문제 어려운 문제 체크해 놓고 풀이과정 확인 하고 다시 풀어보고 풀리면 체크 지우고 안 풀리면 다시 확인하고 또 풀어보고. 이렇게 했는데 방학마치고 첫시험에 전교8등 했고 결국은 한의대 갔답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오 맞습니다! 같은 문제를 여러번 풀어볼 수록 문제에 대한 기본기와 뼈대가 생기죠. : ) 해당 내용에 대한 영상도 준비중에 있는데, 이미 공부의 신이시군요! >_

  • @Snowflake_tv

    @Snowflake_tv

    2 ай бұрын

    한의대 갈 생각은 어케 하신거에요? 아님 걍 점수맞춰서 지원하신 걸까여?

  • @user-lw4yx3hy3y

    @user-lw4yx3hy3y

    2 ай бұрын

    @@Snowflake_tv 저때는 의대 치대보다 한의대가 더 높았답니다~

  • @Snowflake_tv

    @Snowflake_tv

    2 ай бұрын

    @@user-lw4yx3hy3y 네.. 저는 학과선택의 동기가 궁금해서용. 학과선택=커리어의 시작=진로 잖아용.

  • @user-dw8ti6vj5y
    @user-dw8ti6vj5y4 ай бұрын

    작년수학의단권화 (주황색버전)과는 차이가 클까요? 주황색이 이미있는데 새로구매해야될까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신권에서는 내용들이 조금 바뀌었고, 개념어 사전 및 개념 연구 질문이 추가되었습니다. 다만, 엄청 차이나는 부분이 아니라서 지금의 교재로 단권화 학습하셔도 충분합니다 :)

  • @user-ye1pv3zm8k
    @user-ye1pv3zm8k4 ай бұрын

    올해 46살입니다 아직도 수학잘하는사람들 보면 신기할따름입니다 수고하세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 @rmflsrhdnxm
    @rmflsrhdnxm4 ай бұрын

    지석좌 10일의 기적 지렸습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ㅋㅋㅋ 감사합니다!

  • @hummmmmmmmmmm
    @hummmmmmmmmmmАй бұрын

    어머 선생님 ebs에서 강의하셨던쌤 맞으시군요 ebs강의도 진짜 잘 들었어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 맞습니다! >_< 감사합니다!

  • @user-eq1cw2jb5f
    @user-eq1cw2jb5f11 күн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꼭 선생님의 ’수학의 단권화‘ 강좌 보면서 공부하고 싶은데 노베도 봐도 괜찮은가요? 아니면 개념 어느 정도 알아야 볼 수 있을까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10 күн бұрын

    강좌를 보면서 공부하면 노베도 공부할 수 있지만 가급적 제가 다른 영상에서 드리는 미션 플래너로 먼저 교과서 1회독을 하고 그 다음 수학의 단권화를 했을 때 훨씬 더 개념이 꽉 잡힌 느낌이 들거예요!

  • @an-oz4ym
    @an-oz4ymАй бұрын

    수학 공부의 정말 핵심입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수학은 공식(결과)만 달랑 외우는 것보다 추론의 영역이 더 크지요!

  • @user-gu2jc4hz8g
    @user-gu2jc4hz8g4 ай бұрын

    와~ 수학의 단권화! 정말 대박 좋은 방법 너무 감사합니다. 완전 빛이네요. 당장 시도해 보겠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김지석선생님!♡♡♡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ㅎㅎ

  • @user-vc6gx9bt4s
    @user-vc6gx9bt4s26 күн бұрын

    선생님 수학의 단권화 책을 사서 공부해보고 싶은데 몇 가지 여쭤볼 점이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일단 저는 작수 3등급이었고, 현재는 재종반을 다니고 있는 재수생입니다. 수학 공부를 하긴 하는데 계속 점수가 그대로여서 원인을 계속 생각해봤고, 그 결과 개념이 부족한데 단순히 개념을 모르는 것보다도 어떤 문제에서 어떤 개념을 꺼내서 사용해야 하는지를 잘 골라내지 못 한다는 생각이 들어 해결 방안을 찾아보던 중 선생님 영상을 이제서야.. 발견하게 되고 책을 사려고 했는데 6모가 약 10일밖에 남지 않은 지금 시점에서 문제 푸는 거 말고 개념 단권화를 하는 게 맞을지 조금 걱정이 됩니다. 물론 개념도 제대로 안 잡혔으니 그것부터 하는 게 순서 상 맞는 거지만.. 문제를 많이 안 풀고 시험을 보게 되는 것이니 불안한 마음이 자꾸 듭니다ㅠㅠ 또, 7일정도 잡고 단권화를 끝내라고 하셨는데 문제는 책을 지금 주문해도 주말+배송 기간 합치면 언제 도착할지 알 수가 없기도 하고 저는 재종반 수업을 듣다 보니 숙제는 많지 않아도 수업 복습하는 데에 시간을 며칠씩 써야 해서 7일 안에 끝낼 수 있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질문을 정리하자면 1. 6모가 10일 남았는데 남은 10일동안 문제풀이를 할지 아니면 개념 단권화를 할지 2. 1-1. 단권화를 6모 전에 끝내라고 하신다면-> 배송 기간 때문에 6모 전까지 절대적 시간이 부족할 것 같은데 어쩌면 좋을지&문제 풀이를 거의 못 하고 6모를 봐도 괜찮을지(교과서는 버려서 없고.. 선생님 책이 정리가 잘 되어 있어서 꼭 그걸로 학습하고 싶습니다ㅜㅜ) 3. 1-2. 6모 이후에 단권화를 하라고 하신다면-> 6모까지 남은 10일동안 어떤 공부를 하는 걸 추천하시는지(현재는 재종 수업 커리에 맞춰서 학습중입니다. 수업은 3시간 반 수업이 주 2회이고, 하루는 실전 개념&테마별 문제풀이, 하루는 미니 모의고사&기출 분석&변형 문제풀이 수업이고, 복습은 수업 때 배운 개념 다시 이해하며 정리, 풀었던 문제들 다시 풀기, 수업 시간에 안 풀고 넘어갔던 문제들 스스로 푸는 방식으로 하고 있고, 그 주 복습이 끝났는데 다음 수업까지 며칠 시간이 남으면 추가로 ‘EBS 수능 등급을 올리는 변별 문항 공략’ 이라는 강의를 듣고 문제를 풀고 있습니다. 이대로 6모 전까지 가도 괜찮을까요?) 4. 재종 수업 후 복습 시간 확보가 필요하여 일주일 수학 학습 시간 전체를 개념 단권화에 쓰기는 어려운데 해결 방안? 5. 추가로 평소 수학 학습을 하며 저는 어려운 3점 쉬운 4점 문제를 한 번에 쓱 풀어내지 못 하고 복잡하게 삥 돌아서 풀어내는 경향이 있는 것이 고민이었는데 이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할지 선생님 의견이 궁금합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5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계속 3등급 정도에서 정체상태라면 아무래도 개념을 단순하게만 알면 정체상태가 지속되기 쉬운데, 개념에 대한 유도과정에 대한 것을 배우고 그걸 문제에 적용하게 만들면 탄탄해지겠지요! 아주 좋은생각이예요! :) 일단 6모든 9모든 모의고사에서 점수를 잘 받는 것 보다 중요한 것이 내가 지금상태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한 수학공부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지금 6모가 며칠 남았는지는 저라면 크게 신경을 쓰지 않을 거 같아요. :) 내 개념이 유기적인 체계가 잡혀있지 않고, 개념이 문제에 적용되지 않는다면 문제를 풀어봤자 자꾸 흘리는 공부를 하게 돼서 문제풀이를 더 한다고 더 점수를 잘 받는다는 보장이 없다고 생각해요. 지금 하고있는 공부가 재종반 수업 + 재종반 수업 복습 +ebs 수능 등급 올리는 변별 문항 공략 수업이라면 지금 현재 듣고 있는 재종반 수업과 ebs 수업 모두 문제풀이에 대한 수업이기 때문에 겹치는 부분이 있으니 6모 이전이든 이후든 재종반 수업+ 재종반 수업 복습 + 수학의 단권화 플랜으로 바꾸면 좋겠습니다. : ) 현재 내가 듣고 있는 수업에 대한 복습을 하고 그 다음 남은 시간에 수학의 단권화로 투자하면 되겠지요! :) 수학의 단권화를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면 좋겠지만 아무래도 지금 나가는 수업이 있고 그 수업에 대한 복습 역시 중요하기 때문에 남은시간 공부하면 되겠습니다. :) 어려운 3점과 쉬운 4점에 대해 한 번에 풀어내지 못한다면 일단 김지석의 문제풀이 공식!이 잘 적용하면서 문제를 풀고 있는지 점검하면 좋겠습니다. 어떤 문제든지 일단 문제를 만나면 1. 문제에서 구하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지 2. 문제에서 제시된 단서는 무엇인지 3. 이 문제에 쓰이는 개념이 어떤 것인지 끊임없이 이 3가지를 기억하면서 문제를 풀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3가지 스텝을 염두해 두고 항상 매 문제마다 접근한다면 삥 돌아서 풀어내거나 복잡하게 풀어내는 부분을 고칠 수 있을 거예요!

  • @user-vc6gx9bt4s

    @user-vc6gx9bt4s

    24 күн бұрын

    긴 댓글인데 정성스럽게 답변 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ㅠㅠ 최근 한 달 간 수학 점수가 오르지 않는 것에 대해 스트레스를 정말 크게 받고 있었는데 선생님 영상을 보게 되어 정말 다행인 것 같아요🥹 수학의 단권화 책으로 개념 열심히 쌓고 개념 적용 능력을 키워서 꼭 등급 올려보겠습니다!! 다시 한 번 정말 감사드립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3 күн бұрын

    @@user-vc6gx9bt4s 아이고 ㅠㅠ 스트레스가 많았군요! 너무 걱정하지 마요! 우리 같이 으쌰으쌰 해봅시다!

  • @user-xm6ic3ks1c
    @user-xm6ic3ks1c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김지석 선생님 고1때 올림포스 강의로 선생님을 처음으로 알았던 것 같은데, 고3이 되어 다시 찾아왔습니다 현재 국영탐은 좀 자신도 있고 성적도 잘 나와서 문제가 별로 없는데 수학 때문에 정말 죽고 싶습니다 한 쉬운 4점까지는 잘풀리는것 같은데 어려운 4점부터 막히니 점수는 안오르고 재미는 없어지고, 그러니 좀 놓다가 모고 볼 시즌에서야 또 부랴부랴 챙기는 악패턴이 작년부터 이어져 오는 것 같습니다 현재 고3 미적 3모 기준 3등급정도 나왔는데 미적도 뒷부분이 자신이 없어 확통으로 이주한 상황이라 확통은 진짜 노베 상태입니다 이런 상황인데 수학의 단권화부터 시작하여 6개월 정말 선생님 커리대로 열심히 달리면 정말 나쁜 심보이긴 하지만, 1컷이라도 맞출 수 있을까요... 또 수학의 단권화 들어가기전에 확통 한바퀴정도 돌리고 가는것이 맞을까요 정말 간절한 마음으로 질문드려봅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올림포스의 인연이 여기까지 닿았네요! 정말 반가워요! 수학때문에 울지 말고 우리 함께 극복해 봅시다! 국영탐이 잘 나오는데 수학이 안나와 마음 고생이 심하셨군요 ㅠㅠ 저희 한 번 같이 고민을 해결해 보도록 합시다. 확통은 일단 개념의 내용이 많지 않고 어렵지 않습니다. 개념에 대해서 공부할 분량도 많지 않구요. 확통을 공부할거라면 수학(하)에 있는 경우의 수 까지 함께 공부하실 권해요. 하지만 확통이 까다로운 이유는 개념의 양이 많지는 않지만 어떨 때는 이렇게 풀고 저럴 때는 요렇게 풀고 일관된 풀이법이라고 느껴지지 않아 많이 헤메고 그렇기 때문에 많이 틀리는 과목이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학의 단권화로 단권화를 하고 꼭 수능한권에 있는 확통 오개념 잡기를 한 후에 이후에 확통 문제집을 풀어보길 권해요. : ) 미적분 3등급인데 어려운 4점 부터 막히고 오르지 않았다면 그래프에 대한 대비와 도형에 대한 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문제만 많이 풀었던게 아닐까 싶어요. 그렇기 때문에 일단 도형에 대한 대비를 먼저하고 그런 다음 그래프에 대한 대비를 하고 이후 실전 N제를 풀어나간다면 훨씬더 도구정리가 잘 되어 있어서 어려운 4점 문제도 잘 풀어나갈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일단 빠르게 수학의 단권화를 먼저 하고 개념연구 누적복습을 지속적으로 하는 채로 확통 개념을 하면 좋겠습니다. 확통은 개념자체가 어렵지 않아서 지학사 교과서를 준비한뒤 수학의 단권화 인강으로 강의를 한 번 듣고 교과서에 있는 예제와 유제를 풀고 수학의 단권화 뒷부분에 개념연구를 누적적으로 복습하시면 좋겠습니다. 제가 힘껏 도와드릴게요! 우리 함께 1등급 찍어봅시다!

  • @user-xm6ic3ks1c

    @user-xm6ic3ks1c

    Ай бұрын

    @@mathhyukmyung_kjs 선생님 믿고 프리패스&단권화 구매하였습니다! 내일 도착 예정인데 정말 열심히 해서 늦은만큼 빠르게 그리고 정확하게 선생님 커리 씹어먹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정말정말 수학 좀 올리고 싶네요ㅜㅜ 믿고 따르겠습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수학의 단권화 뒷부분에 있는 개념연구를 내손으로 잘 출력할 수 있는 상태와 수능한권으로 기출분석을 하고 도형의 필연성이랑 그래프 테크닉으로 훈련한다면 도형과 그래프에 대한 기본기와 심화를 쌓게 되고 이후에 실전 N제를 풀면서 학습하게 되면 반드시 좋은 결과가 있을 거예요! : ) 언제든지 궁금한 점 있다면 질문하러 오세요! :)

  • @user-qf2ew8zf1r
    @user-qf2ew8zf1r4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혹시 수학의 단권화 강의는 굳이 듣지 않아도 되는건가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그럼요 :) 영상에서 보여드린 방법처럼 혼자서 교과서로 얼마든지 단권화 할 수 있고 만약 교과서로 하기 귀찮다면 혼자서 수학의 단권화 교재로 단권화하면 됩니다. 포인트는 단권화 해서 자주보고 많이보고 개념의 체계를 내 머릿속에 확실하게 집어넣는 것이 핵심이에요!

  • @billionaire456
    @billionaire4562 ай бұрын

    학부모입니다 역시 옛날에 했던 전통적인 방식이 맞는군요~ 저는 증명을 중요하게 생각했었어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 ) 수학은 정말 증명이 중요합니다. '증명'에서 많은 수학적 아이디어와 문제 출제 포인트가 나오거든요! : )

  • @user-jv9zw8py8w
    @user-jv9zw8py8w4 ай бұрын

    옛날에 수능공부할때 지석쌤 공부법책이랑 수능기출100프로 기출 도움 많이됬습니다 유튜브 알고리즘에 뜨셔서 반갑네요ㅋㅋ 세월이 많이흐른건가 느낌이 엄청 달라지셨네요 지금은 졸업하고 국가직 공무원하고 있습니다 구독 좋아요 누르고갑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제 수업이 도움이 되었다는 댓글 남겨주셔서 정말 큰 힘이 됩니다! 제 제자가 국가직 공무원이라니... 너무 너무 자랑스럽고 대단합니다 :)) 고마워요 👍👍👍

  • @jane-pd1qf

    @jane-pd1qf

    4 ай бұрын

    @@mathhyukmyung_kjs 공부법 책은 뭔가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jane-pd1qf 제가 예전에 쓴 공부법 책을 말합니다. : ) 제가 대학생 때 공부법 강연회를 다니면서 말하는 노하우와 공신으로 활동할 때 쓴 칼럼을 바탕으로 쓴 책이에요. ㅎㅎ

  • @user-si2gs9gv8g
    @user-si2gs9gv8gАй бұрын

    고3인데영.. 노베는아닌 5등급인데.. 단권화 수1,2 미적분만 해도 충분하겠죵?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미적분 선택자라면 미적분 단권화까지 하는 것이 좋겠지요! : ) 같은 5등급이라도 내가 문제풀이 경험이 부족한 5등급일 수 있고 내가 개념이 빵구가 많이 나서 분명 공부했는데 까먹어서 문제를 못푸는 5등급일 수 있고 5등급인 이유는 다양하지요! 내가 만약 개념은 잘 갖춰졌는데 문풀 경험이 없는 5등급이라면 단권화 대신 문풀을 하길 권해요! :)

  • @eunhyelee3215
    @eunhyelee32154 ай бұрын

    초등교사이자 수학에 관심많은 아이를 둔 학부모입니다. 이거네요! 어릴 때 공부할 땐 이렇게 했었던 것 같은데 잊고 있었어요 딸에게 알려줘야겠어요 감사합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선생님 : ) 수학은 문제를 잘 푸는 것보다 중요한게 수학적 사고력과 개념체계가 탄탄한게 중요하죠! 아이가 수학에 관심이 많다니 너무 좋군요!

  • @user-yt3hy4tg9s
    @user-yt3hy4tg9s26 күн бұрын

    혹시 수상 수하만 한 아이들도 수학의 단권화가 가능할까요? 수1 수2를 해봐야 가능하겠죠?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5 күн бұрын

    단권화에 수상+수하+수1+수2+선택과목이 모두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내가 지금까지 한 부분에 대해 단권화를 하는 것도 좋습니다! 일단 내가 한 공부를 까먹지 않고 탄탄하게 만들어주는 과정이 단권화 하는 과정이기 때문이예요! :)

  • @LaCodileClimbing
    @LaCodileClimbing4 ай бұрын

    와 김지석 선생님 스타일 많이 바뀌셨네요 못알아볼뻔했습니다 ㅋㅋ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ㅋㅋㅋ더 좋게 바뀌었나요? 칭찬 감사합니다 :)

  • @LaCodileClimbing

    @LaCodileClimbing

    4 ай бұрын

    @@mathhyukmyung_kjs 네 훨씬 스타일리쉬해지셨네요 멋지십니다 예전에 진짜 잘봤습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 @user-kv7mq3ub3z
    @user-kv7mq3ub3zАй бұрын

    아예 개념이 없는 상태에서 수학의 단권화 공부를 하는 것이 유의미한가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기본적인 수학용어를 알고 단권화를 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될 거예요! : )

  • @imsocold..822
    @imsocold..8224 ай бұрын

    헉 이비에스에서 뵌 적 있는데!!!! 여기서 보니까 왕반갑네여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반가워요 ㅎㅎ!

  • @user-ox7ke5jp4d
    @user-ox7ke5jp4d4 ай бұрын

    수학의 단권화 문과편/이과편 차이가 뭔가용?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문과편과 이과편의 차이는 선택과목 포함여부가 다릅니다 : ) 문과편은 : 간접범위+직접범위(수1,수2)+확통 이과편은: 간접범위+직접범위(수1,수2)+확통, 미적, 기하 이렇게 이과편에는 선택과목이 3개가 다 들어있고 문과편은 선택과목1개 확통만 있습니다. : )

  • @user-np5ub3lr2s
    @user-np5ub3lr2sАй бұрын

    제가 먼저보고 아이에게 꼭 보라고 얘기해 줬어요. 선생님 강의는 인강에서만 볼 수 있나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인강에서도 보실 수 있고, 현장강의에서도 보실 수 있는데 현재 현장강의에서는 수학의 단권화를 진행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ㅠㅠ

  • @user-wp4eu1hl9x
    @user-wp4eu1hl9x2 ай бұрын

    수학의 단권화 책이랑 수학의 단권화 강의랑 들으면 돼나영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 ай бұрын

    교과서로 혼자 하기 귀찮다하면 강의와 책을 통해 도움을 받으면 수상부터 수2까지 공통 전범위 +간접범위를 7일안에 끝내실 수 있을 거예요! : )

  • @epsilondelta__
    @epsilondelta__4 ай бұрын

    수학이 이미 1인데 맨날 공통에서 한두개를 틀려요 어떡해야 백분위 100을 받을수 있을까요.. 진짜 만년 96이여서..(미적러)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고정1이라면 문제를 그냥 푸는 것이 아니라 단서와 답 사이의 필연적인 논리적 인과 관계를 추론하는 연습을 훈련해야 합니다. : ) 그래야 처음보는 최고난도 문제도 시험시간에 내 머리로 풀어낼 수 있게 되는 힘이 길러집니다!

  • @user-lb3km3tl6q
    @user-lb3km3tl6q4 ай бұрын

    책 구매하려는데 문과편은 없나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문과편도 있습니다 :) 오르비 북스 이과편 들어가셔서 구매하기 옆에 문과편 체크하시면 되세요!

  • @user-nf1sc2tg6m
    @user-nf1sc2tg6m4 ай бұрын

    너무 감사합니다😢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제가 더 감사합니다 ㅎㅎ!

  • @linkin8774
    @linkin87744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이 수학의 단권화에 대한 인강도 있다는 말씀이신가요? 수학의 단권화 인강은 어디서 접할 수 있나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네! 인강도 있지요! 인강에서는 모든 개념에 유도과정과 배경설명을 다하기 때문에 만약 혼자서 단권화 하기 자신 없다면 꽤 유용하게 도움받을 수 있을거예요! :) class.orbi.kr/teacher/179 < 여기서 보실 수 있습니다. :)

  • @linkin8774

    @linkin8774

    4 ай бұрын

    @@mathhyukmyung_kjs 감사합니다!

  • @kjUS1111
    @kjUS11112 ай бұрын

    선생님 수학 문제집 추천 해주세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 ай бұрын

    어떤 문제집을 추천받고 싶나요! ㅎㅎ

  • @user-tr1vh9nm1q
    @user-tr1vh9nm1q2 ай бұрын

    N수생이라 교과서가 없어서 개념서 추천 가능할까요 ㅠㅠ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 ай бұрын

    교과서가 없다면 구매하시면 됩니다! ㅎㅎ www.ktbookmall.com/ 여기에서 고등학교 교과서를 구매하실 수 있어요. 개념서에서 설명하는 개념들은 교과서보다 유도과정이 부족하거나 혹은 기본개념 필요이상으로 채워넣다보니 내용의 양이 방대해져서 잘 까먹습니다. 그러니까 꼭 필요한 기본개념과 자세한 유도과정이 있는 교과서가 좋지요! 교과서마다 개념을 풀어내는 방식이 약간 차이가 있지만 이걸 학습자 측면에서 어느 것이 더 좋고 나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 ) 다만 교과서별로 문제 수 차이가 꽤 많이 벌어지는데 수학상하, 수학1, 수학2 문제를 다 더했을 때 지학사는 1282문제 동아 1358문제 신사고 1527문제 교학사 1550문제 미래엔 1582문제 비상 1676문제 금성 2229문제 가 있습니다. : ) 제일 많은 문제수를 가진 금성 교과서와 제일 적은 문제수를 가진 지학사 교과서의 문제 수 차이가 900문제 넘게 차이가 납니다. 볼륨이 너무 크면 잘 까먹으니까 볼륨은 적게, 회독은 많이, 단계적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지학사나 동아 교과서로 학습하면 좋겠지요! : )

  • @tj1009900
    @tj1009900Ай бұрын

    혹시 교과서 말고 개념원리같은 개념서로 단권화해도 되나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개념서 문제집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 ) 교과서로 단권화 하거나 수학의 단권화로 단권화 하는 것을 추천해요. 개념서 문제집을 추천하지 않는 이유는 개념의 유도과정에 대한 자세한 안내나 설명이 없고, 혹은 특정 개념은 공식(개념의 결과)만 있기 때문이예요! : )

  • @bulibulim
    @bulibulimАй бұрын

    제가 찾던 선생님이에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우리 함께 달려가봅시다! 모르거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면 꼼꼼하게 읽고 답변달아드릴게요!

  • @ysson5049
    @ysson50493 ай бұрын

    10분 가량 보고, 책을 구매했음 내가 잘 선택 했는지, 어쩐지 모르겠다. 일단 한번 볼 것임

  • @mogy_222

    @mogy_222

    Ай бұрын

    좋은 것 같아요??

  • @heyyoungkim5007
    @heyyoungkim5007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고2까지 운동선수였고, 고3때는 마음을 잡지 못해 공부를 못했습니다. 지금은 재수를 하고 있는데요. 열심히는 하는데, 공부 방법도 모르겠고,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해하고 너무 힘들어 하네요 ㅜㅜ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운동선수였던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기초체력이 좋습니다. : ) 공부를 하는 것이 참 에너지를 많이 써야 하고 집중력도 좋아야 하는데 그 근본중에 '체력'이 있다고 생각해요! : ) 그렇기 때문에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전 여겨집니다. 현재 어떻게 공부하고 있고, 혹은 내가 어디가 문제인지 혹은 나의 고민이 무엇인지 들려주시면 제가 꼼꼼히 읽고 답변달아드리겠습니다! : )

  • @heyyoungkim5007

    @heyyoungkim5007

    Ай бұрын

    @@mathhyukmyung_kjs 우선,관심 갖고 답장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은 재수종합학원에 다니고 있습니다. 선생님 말씀처럼 두꺼운 수학문제집으로 진도를 나가고 있는데요. 아직 한권의 진도도 나가지 못했습니다. 말씀처럼 진도를 나가면, 앞부분은 잊어 버리는 것 같아요. 부모 입장에서는 2,3점 문제라도 모두 맞았으면 좋겠는데요 ㅜㅜ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heyyoungkim5007 수학을 잘하기 위해서는 1.볼륨은 적게 2. 전체 범위 회독은 많이 3. 단계적 풀이 (쉬운 문항 -> 중간 -> 심화) 이렇게 3가지를 명심하면서 공부하면 좋습니다. : ) 이렇게 공부하면 2,3 점 문제 뿐만 아니라 4점 문항도 잘 할 수 있을 거예요! : ) 또한 내가 전범위 개념을 유도할 수 있는지없는지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 ) 그래야 문제를 풀 때 개념이 문제에 적용이 되거든요!

  • @heyyoungkim5007

    @heyyoungkim5007

    Ай бұрын

    @@mathhyukmyung_kjs 네 선생님~~ 소중한 답장 감사드립니다!

  • @user-ck2dm9fh6l
    @user-ck2dm9fh6lАй бұрын

    혹시ㅜ교과서가 아니라 쓰고있는 인강교재를써도 될까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Ай бұрын

    교과서나 수학의 단권화가 아니라면 추천하지 않습니다. :) 개념의 공식(결과)이 중요한게 아니라 유도과정이 중요하고 유도과정을 내손으로 써보면서 개념의 체계를 잡아가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예요!

  • @user-my4cr7fb3w
    @user-my4cr7fb3w4 ай бұрын

    선생님, 예비고1인데 수능말고 내신도 이런식으로 수(상), 수(하)를 정리하면서 해보면 도움이 많이 되겠죠?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4 ай бұрын

    그럼요! : ) 교과서로 빠르게 기초개념을 진도나가고 단권화 하면 도움이 될 겁니다! 중요한 건 자주 복습해주면서 출력할 수 있는지 점검해야 해요!

  • @user-cd9rg9rh5h
    @user-cd9rg9rh5h25 күн бұрын

    교고ㅏ서 말고 개몀원리 같은걸로 정리해도더ㅣ나요?

  • @mathhyukmyung_kjs

    @mathhyukmyung_kjs

    25 күн бұрын

    아니오! 추천하지않습니다. :)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