흄 : 자신까지 갖다버린 미니멀리스트

흄의 철학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하였습니다.

Пікірлер: 275

  • @deer.bug.
    @deer.bug.4 жыл бұрын

    인간이기 때문에 느끼는 것들..... 와 대박이다 진짜 ㅠㅜ하긴 사실 생각해보면, 물고기는 물 속이 답답하다고 느끼지 않을텐데 인간은 물 속에서 숨을 쉴 수 없기에 답답하다고 느끼죠. 반대로 인간은 공기중에서 숨을 쉬기 편하다 느끼지만 물고기는 공기 속에서 답답함과 괴로움만을 느끼겠죠. 인간은 철처하게 모든 외부적인 것들을 인간의 입장에서만 생각하고 인간들끼리의 규칙을 만들어서 인간만의 언어로 나누고 있네요.... 뭔가 촉각 미각 후각 청각 시각 도 사실 존재하지 않는것 일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드네요. (점점 허무주의(?)가 되가는 듯 ㅋㅋㅋ) 그렇게 생각해보면 꼭 물질적이나 형식적인 것이 아니더라도....편하다 괴롭다 답답하다 같은 모든 인식과 감정 자체가..사실 인간의 입장에서만 존재하는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음 이렇게 보니 엄청 자기중심적이네요 ㅋㅋㅋ 만약 외계인이(?) 어느날 찾아와서 인간의 기쁨 슬픔 화남, 좋음 고통스러움 편안함 답답함..같은 것들이 무엇인지 이해하려고 해도 그들은 결국 완전하게는 이해하지 못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들도 철저하게 그들의 입장에서 인간을 바라보고 이해하려 들 테니까요. 그들이 자기중심적 인식체계를 초월한 존재가 아닌이상(?) ㅋㅋㅋㅋㅋㅋ ( 아 아닌가 그들도 인간과 비슷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는 것 자체가 오히려 인간중심적인 사고일까요..?ㅋㅋ) 사실 근데 이런 생각은.. 각각의 인간들 사이에 적용해도 마찬가지인 것 같아요. 자신의 입장에서 다른 사람을 평가하고 다른 사물,사건 을 인식하니까요... 어쩌면 좀 더 역지사지 적인 사고를 할 필요가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ㅋㅋㅋㅋㅋㅋ (영상 주제에 한참 벗어난 쌉소리 ㅋㅋ)

  • @user-johnnase

    @user-johnnase

    3 жыл бұрын

    아닙니다.아주 훌륭한 생각이에요.적어도 님은 편견없이 세상을 바라볼 수 있으신 분이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 @user-xj6ju8vu6q
    @user-xj6ju8vu6q4 жыл бұрын

    인터넷에 떠도는 철학에 대한 쉬운 설명들 중에 가장 깊게 이해시켜주는 영상... 최곱니다

  • @lilillilili3239
    @lilillilili32394 жыл бұрын

    흄을 이렇게 알아듣기 쉽게 설명해주시다니ㅜㅜ 감사해요!!^^

  • @user-bg2et7yk3l
    @user-bg2et7yk3l2 жыл бұрын

    쌤 짱짱이에여.... 철학을 이렇게간단명료하게 이해시키다니..❤️

  • @jennifer27lim
    @jennifer27lim3 жыл бұрын

    지루하고 내 평생 인연이 없을 것 같던 철학이 덕분에 재미있어지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

  • @user-ms5mp2os2z
    @user-ms5mp2os2z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쉽고 간단하고 적절한 영상까지. 예전 ebs지식채널의 완벽한 철학버전입니다. 이 모든 걸 혼자서 완성했다니 정말 ㅎㄷㄷ 최고예요

  • @user-dr7ti8kt5p
    @user-dr7ti8kt5p4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자기전에 잘 보고갑니다 선생님.

  • @nunkal00
    @nunkal004 жыл бұрын

    아... 흄 기다리고있었습니다. 합리론보다 경험론에 더 관심이 많아서 근대철학 영상을 항상 즐겨보고있습니다.

  • @user-qb6cl4qb8w
    @user-qb6cl4qb8w5 ай бұрын

    교수님 최고예요❤BGM지렸당😊

  • @lily1004
    @lily10044 жыл бұрын

    캐나다에서 철학수업을 듣고 있습니다. 한국말로 알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아주 잘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Lm-xd9ev
    @Lm-xd9ev4 жыл бұрын

    철학으로 자연과 사람에 대해 생각하게 되네요. 사람의 길을 배워 갑니다. 감사합니다.

  • @SIMONLee-gz9sq
    @SIMONLee-gz9sq4 жыл бұрын

    어떤 철학책보다 간결하고 깔끔하게 정리 되어서, 생각을 정리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게다가,흄이 자체적인 숙고의 결과인지 혹은 당시 서구에서 유행하던 중국,인도 철학영향인지 머르겠지만,결론적으로 본성이라는 동양철학적 결론을 냈었다는게 놀랍습니다, 서구인들이 쓴 서양철학사는 하도 복잡고,제목들을 분산시켜 써 놓아서 이런 결론을 눈치를 챌 수 가 없었습니다.

  • @faustpanzer1462
    @faustpanzer14624 жыл бұрын

    추상화를 하나하나 더 작은 인상으로 분리해가며 얻은 논리인 것 같습니다. 사과는 형태 냄새 색갈이라는 인상으로 형태는 질량, 부피, 반지름, 굴절각 등으로.. 미분하면 공간 하나하나를 점유하는 입자라는 인상으로 냄새는 벤젠 화학 모델, 화학 입자라는 인상으로 색갈은 빛의 주파수와 빛의 세기라는 인상으로 분해되는 것 같아요. 이렇게 분해해 나가다 보면 사실 과학이라는 녀석이 가장 밑바탕을 떠받치고 있지만 과학 또한 필연적이라기 보다 인간의 시점에서의 관찰 결과의 축적일뿐 그 것이 정답이라는 어떠한 절대적인 보장도 없기에 갖다버리라는 것 같네요. 안다는 것은 싹다 착각이라는거죠. 필연적이라 생각하는 것조차... 칸트는 이게 맞는 말이라, 물리학을 재정의 해버렸군요. 인간을 관측자로 끼워넣어서요. 너무 재밌다고 인간의 관점에서 생각한 내용을 이렇게 한국인의 관점에서 쉽게 영상이라고 생각되는 시간축에 따른 소리와 RGB패턴의 2차원 배열로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kimgookhyun_1999
    @kimgookhyun_19994 жыл бұрын

    직접 보고 경험하여 가슴으로 느낀 것(마음에 주는 느낌)이 인상, 이것을 토대로 머릿속에 떠올린 생각(머릿속에 받은 생각)이 관념이라 할 수 있겠네요.

  • @Djejsksocowkw
    @Djejsksocowkw2 жыл бұрын

    주인장님 항상 감사해요

  • @ij7073
    @ij70732 жыл бұрын

    고품질 영상 항상 감사드립니다.

  • @ssunny3460
    @ssunny34603 жыл бұрын

    강의 재미있었습니다. 경험의 주체, 경험, 경험의 대상 중에서 주체에 대한 공부가 하고 싶어지네요

  • @TheFionamango
    @TheFionamango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아요. 감사합니다

  • @user-uw9ij8ub9y
    @user-uw9ij8ub9y2 жыл бұрын

    쉽고 재밌게 , 잘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Kay-ps1cw
    @Kay-ps1cw3 жыл бұрын

    어려워서 또 보고 또 보았습니다. 여전히 어렵지만 마지막 말씀 너무 와 닿습니다. 세상에 필연적인거 당연한것은 없고 그것이 인간의 오류라는...

  • @wdcm3995
    @wdcm39954 жыл бұрын

    경험을 중요하게 여겼지만 누구보다 경험을 부정했군요 칸트랑 연결해서 보니까 이해가 잘 되네요!

  • @user-kr9tx3tm6t
    @user-kr9tx3tm6t4 жыл бұрын

    와. 어렵긴 했지만 흥미로운 영상입니다~ 지금 제가 본 영상의 인상과 영상을 보면서 가지게 된 관념들 속에는 어떤 편견을 가지고 있는지부터 정리해보는 것도 좋겠네요... 잘 봤습니다!

  • @user-yi7ic4iu7f
    @user-yi7ic4iu7f7 ай бұрын

    김필영 교수님 영상 감사해요...한 달 전부터 흄의 사상에 빠졌으며 존경하는 분이 되었습니다. 흄의 일생이 궁금해 졌습니다. 이 영상 여러 번 돌려보고 있습니다. 완전히 이해 될 때 까지 보겠습니다. 건설현장 일 하는 40대 초 올림

  • @onbliss
    @onbliss4 жыл бұрын

    너무 잘 보았습니다

  • @user-zy1uv8bx3v
    @user-zy1uv8bx3v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는 고등학생 때도 생활과 윤리 과목을 못해서 철학이랑은 담 쌓은 대학생인데요! 경험론에 대한 과제를 하다 이전 영상(로크 영상)부터 보게 되었고, 흄의 인식론 내용도 필요해서 보게 되었어요! 지식백과도 찾아보고 했는데 영상이 경험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어요. 물론 제대로 이해했는지는 모르겠어요 지식백과랑 용어가 다른건지 내용이 다른건지 글쓰기는 힘드네요. 철학알못인데 쉽게 설명해주셔서 좋습니다 구독하고 시간 날때마다 다른 영상들도 챙겨보도록 할게요 오늘 영상도 감사합니다!

  • @TheNeoSuit
    @TheNeoSuit4 жыл бұрын

    미니멀리스트에 대한 설명 감사합니다~!!

  • @e.4179
    @e.41792 жыл бұрын

    두번째 보아도 어려워서 이해 못했다고 한다... 깡깡!! 담에 한 번 더 봐야지...(이것은 제 머리 문제이지 영상은 정말 너무 재밌고 흥미롭습니다 김필영선생님 감사합니다!!)

  • @JulieNam12
    @JulieNam124 жыл бұрын

    흄이 무신론자인지 아닌지는 철학자들 사이에 아주 핫한 논쟁이죠ㅎㅎ 영상 잘 봤습니다🍓 그리고 편집을 너무 잘하세요ㅎㅎ

  • @99sPigeon
    @99sPigeon4 жыл бұрын

    2:53 재미로 붙이신 별칭이 너무 와닿네요 ㅋㅋ

  • @user-xn7il3ft1t
    @user-xn7il3ft1t4 жыл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jinsim1004
    @jinsim10044 жыл бұрын

    참 좋네요 철학= 자신의 생각을 다른사람의 생각을 통해서 객관화 하는 작업 // 사람은 자기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사실은 당연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는 점 /// 한 사회에서 당연하다고 토용되는 믿음이 당연한 게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는것 // 한시대를 지배하는 가치관이 당연한 것이 아니라는 것 // 당연한것은 없다는 와우~! 머릿속에 둥둥 떠다니는 개념들이 디스크조각모음 된 느낌이네요 감사합니다 ㅎㅎ

  • @Gejjang-i-english
    @Gejjang-i-english Жыл бұрын

    한 영상에 댓글 두 번 달아보긴 처음이네요. 다시 봐도 명작이고 다시 봐도 천재인 흄입니다. 현대물리와 현대뇌과학을 이미 말하고있다니. 최고네요

  • @eight0358
    @eight03582 жыл бұрын

    꽤 잘생긴 얼굴과 영화같은 인생으로 끌린게 된 비트겐슈타인이, 오늘 또 흄으로 이어졌습니다. 무언가 너무 기쁩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 @bryanss716
    @bryanss7164 жыл бұрын

    귀찮아서 미니멀 라이프를 실천 못하지만 마음만은 흄을 존경하게 되었습니다. 사람 좋은 5분 쌤~ 오늘도 감사합니다 ^^

  • @TV-rk3co
    @TV-rk3co4 жыл бұрын

    철학도 유용하네요 푹잤어요.... 어려우면서재밌네요

  • @falconer8058
    @falconer8058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무슨일 있으신건 아니죠? 영상이 요새 안올라오는것 같아서요 ㅎㅎ제가 요즘 느꼈던게 세상에 당연한건 없다 그래서 제가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들을 다시 생각해보고 있었는데 이 영상을 보면서 너무 공감이 됐습니다!

  • @goodmorningsky
    @goodmorningsky3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 @user-oe4mk3ld8q
    @user-oe4mk3ld8q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actionhee
    @actionhee4 жыл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

  • @ChanhongPark-nq1ni
    @ChanhongPark-nq1ni4 жыл бұрын

    경험적 인식이 없는 관념은 무의미하지만 그 인식마저 인간중심으로 인지된 것 뿐이라는 것이네요. 언어로 표현되는 것들도 세계에 대한 인식의 하나일 뿐이고 당연하다고 여기는 것들은 인간이 가진 인식체계 안에서 이루어진 것들. 인간의 패러다임안에서 형성된 것들이다. 다만 인간은 같은 패러다임 안에 있기에 서로 소통도 할 수 있는 것이고요. 또 역으로 생각하면 인간은 한계적인 자신들의 체계 안에서 언어를 창조하고 세계를 이해하려는 시도들을 하면서 분명 발전해나가고 있다고 봅니다. 분명 이성과 신체의 틀 안에서 한계가 있는 인간이지만 이렇게 철학영상을 보며 배우려고 노력하듯이 그 깊이에는 끝이 없는 것 같습니다.

  • @VanCleefLee
    @VanCleefLee Жыл бұрын

    영상 깔끔하네요

  • @user-qj2ld3pq5u
    @user-qj2ld3pq5u4 жыл бұрын

    넘 재미있게 잘 설명해 주셔 감사합니다~^^ 선생님 오늘 넘 멋지시네요~! 세월을 역주행하시는듯 ~~ㅎ

  • @Gamechanger_93
    @Gamechanger_934 жыл бұрын

    너무재밌어요 ㅎㅎㅎ 진짜 bb

  • @heavenlee416
    @heavenlee4164 жыл бұрын

    이번건 살짝 어렵긴 하네요... 그래도 재밌게 보고 갑니다! 불교철학 책읽고 있는데 존재는 이름이 있기에 존재한다고 하던 내용도 떠오르네요 이 해석을 적용해보면 사실 빨갛다 동그랗다 덥다 춥다 개념조차 우리가 언어로 구성한 추상적 개념들이고 지각한다고 착각하는거지 존재하지 않는다고 비슷하게 말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건너 듣기로는 불교철학이 서양근대철학들 모두 초월한다고 빠져서 불교 대학원 가신 분들도 있다고 들었는데 나중에 시간나면 동양철학도 꼭 부탁드립니다!

  • @user-oe3ug4zk1s
    @user-oe3ug4zk1s3 жыл бұрын

    흄이 전자의 이중슬릿 실험의 결과를 보고 무엇이라고 애기할지 궁금하네요. 흄은 그래도 자기 감각은 믿은 것 같은데.... 안볼때는 파장이고 볼때는 입자이면 원래의 흄이면 경험하지 않는 파장일때는 버리는 것일까요? 과거의 철학자들을 불러와서 현재의 물리학 결과들을 보여주면 어떻게 바뀔지도 궁금하네요,^^

  • @user-nf2bi6ze7e
    @user-nf2bi6ze7e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너무 좋은 콘텐츠에요. 좀 더 공부하고싶어서 선생님 책 구매했습니다. 앞으로 더 좋은 강의부탁드려요^^

  • @user-bs6xe3gn2c
    @user-bs6xe3gn2c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최근에 영상을 잘 안 보게 되어 몰랐는데 영상이 안 올라오고 있네요? ㅎㅎ 아마 책 집필 중이신가 봐요. 혹시 역사에 대해서 알려주실 생각 있으신가요? 이 채널에서 역사까지 들으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 @ceceeeeee_
    @ceceeeeee_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yc5wq3hk3y
    @user-yc5wq3hk3y Жыл бұрын

    흄 형 미쳤네요.. 칸트의 철학이 난해하다고 느꼈는데 철학사적 배경을 보니 칸트의 입장이나 이론이 너무 이해가 잘되네요.. 와우

  • @capzzan
    @capzzan3 жыл бұрын

    비트켄슈타인의 전기철학에서 '형이상학을 언어로서 논할 수 없다는 것이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라는 의미와 같이 흄은 '물리 법칙이 경험적 철학으로 논할 수 없는 무의미한 명제라는 것이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라는 의미인 것인가요?

  • @angelraf5822
    @angelraf58224 жыл бұрын

    흄이 있었기에 칸트가 있었네요.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존재란 결국 칸트의 용어를 빌리자면 감각 기관에 의해 감각된 표상만이 인식할 수 있다는 거잖아요. 그러나 역시 칸트의 용어를 빌리자면 물자체가 있기에 그로부터 표상이 지각될 수 있죠. 따라서 우리가 감각적으로 표상되는 것은 물자체가 존재한다는 견해가 맞다고 생각합니다.그러나 흄의 생각은 칸트 뿐만 아니라 현대과학에서서의 관점, 즉 과학의 법칙이 상대적이고 확률적이다 라는 각성으로 이끄는데 기여한 것 같습니다.

  • @user-ft5qu9fe7o

    @user-ft5qu9fe7o

    4 жыл бұрын

    angel Raf 물자체러는말이 철학용어에 자주 나오던데 이것이 사물자체라는 말인가요? 마시는 물은 아닌거죠? 저의 부족함에 부끄러워집니다.

  • @user-ft7oc4ts4z
    @user-ft7oc4ts4z4 жыл бұрын

    끝에 스코틀랜드 전통 음악은 흄의 출생지 땜에 넣으신건가요?

  • @no-body6794
    @no-body67944 жыл бұрын

    * Grateful again!

  • @kielee7831
    @kielee78313 жыл бұрын

    달리 말하면 흄은 과학을 철학으로부터 출가시킨 셈인가요? 흄을 읽을 기회가 없었는데 님의 간단한 흄을 통해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을 조금 더 다가갈 수 있다는 느낌이 큰 소득~ 캄사!

  • @Ssjsoo
    @Ssjsoo3 жыл бұрын

    설명 대박ㅋㅋㅋㅋㅋ

  • @cjdixjdnjsn334
    @cjdixjdnjsn3344 жыл бұрын

    슬슬 형님 강의를 쫓아가지를 못하네요 ㅋ 제가바쁜건지 게으름을 피우는건지 강의가 어려운건지 ㅋㅋㅋ

  • @maizzo1234
    @maizzo12344 жыл бұрын

    형님~ 이번 영상도 유익하게 잘 봤습니다만, 요청사항이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1. 다른 채널 보니까 구글 설문페이지? 시스템을 이용해서 다음 컨텐츠 요청을 받던데, 그런 시스템 도입하시는 건 어떨까 합니다. 형님이 하시고 싶으신 대로 다루는 게 어디까지나 0순위이기는 하지만, 구독자들의 가려운 부분을 파악하시는 일을 병행하신다면 앞으로 더 나은 컨텐츠를 만드시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합니다. 2. '게오르크 헤겔' 한 번 다뤄주세요. 지금 철학 공부 중인데, 다른 철학자는 일일이 설명은 못 해도 와닿는 느낌이 있는데 헤겔만 유독 와닿질 않네요. 그의 철학의 핵심 키워드를 정리해주시고 '법철학'도 다뤄 주세요! 부탁드려요😀 3. 재생목록 정리도 요청드려요. 썸네일을 이쁘게 꾸며주셔서 영상 골라 보기 한결 편해졌지만, 재생목록도 분야별로 깔끔히 정리된다면 시청이 한결 수월해지겠어요. 항상 난해한 철학 얘기를 쉽게 풀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난해한 텍스트도 이제는 수월하게 읽을 수 있게 되었네요. 코로나에 몸 상하시지 않게 건강 유의하시길.

  • @maizzo1234

    @maizzo1234

    4 жыл бұрын

    @@5philosophy 오홋~ 순서를 보니 기대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joypraythanks
    @joypraythanks4 жыл бұрын

    구글 알고리즘이 데려다 주는 영상-철학, 과학, 심리-을 볼수록 제 결론은 한 가지로 모이네요. 신기합니다. 아직 철학이고 심리고 뭐고 햇병아리 하룻강아지 정도이지만요.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 @chimmydono1176
    @chimmydono11764 жыл бұрын

    2:55 진지충 설명충 깔끔충ㅋㅋㅋㅋㅋㅋㅋ

  • @bluesky-zv5hr

    @bluesky-zv5hr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귀여우시다

  • @goodandtak1331
    @goodandtak13314 жыл бұрын

    경험론 시리즈로 러셀의 경험론도 다뤄주시는 것이겠죠??? 제발 부탁드립니다!!!!!!

  • @goodandtak1331

    @goodandtak1331

    4 жыл бұрын

    기대하겠습니다:)

  • @yjk6663
    @yjk66634 жыл бұрын

    흄의 철학 = 색즉시공 공즉시색 인가요?

  • @jamescho5667
    @jamescho56672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흄의 인식론은 독특하긴 하네요.

  • @virtuosoji1
    @virtuosoji14 жыл бұрын

    Enquiry 말미에 어느 정도 타협을 하죠.. 그래서 피로니즘과 같은 극단적인 회의주의는 부정하는 것이구요. 우리가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해 나가려면 인과율을 깡그리 무시할 순 없습니다. 과학도 마찬가지구요. 다만 이게 합리론자들이 말하는 '법칙(율)'과 같은 정도의 필연성이 있는 것은 아니고, 우리는 단지 그걸 '믿고' 살아간다고 이야기 합니다. 한 마디로 우리가 가진 지식 체계들이란게 따지고 보면 이성이 아니라 '믿음'과 '본능' 차원에서 웬만하면 다 설명 가능하다는게 흄이 가진 파격성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럼에도 수학과 논리학에 대한 신봉은 대단하긴 했지만요.. 아무튼 조금 다른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영상이라 흥미롭게 봤네요ㅎㅎ

  • @asdqwe8921
    @asdqwe8921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국가별 철학 별명이 재미있네요 ㅋㅋㅋㅋㅋㅋ

  • @G_Auspicious_S_cover
    @G_Auspicious_S_cover4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엔딩 영상이 이번 영상으로 말하고 싶은 것을 참 적절한 예시로 보여주네요 ㅎㅎ ‘남자가 무슨 치마야!’ 라는 관념을 가진 누군가에게 ‘치마 입은 남자’도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군요~

  • @user-fe5kf5ob5z
    @user-fe5kf5ob5z4 жыл бұрын

    작가님! 2분42초에서 "독일철학자들의 색깔도 있고"라고 말하실때는 지도상에서 프랑스를 가리키셨고 "프랑스철학자들의 색깔도 있"다고 말하실때는 지도상에서 독일을 가리키셨어용

  • @hyeoklee8739
    @hyeoklee87393 жыл бұрын

    칸트의 물자체가 떠오르는 강의네요 흄의 경험주의는 칸트의 인식론과 겹치는 부분이 많다고 생각이듭니다.

  • @user-fg5fb5by9b
    @user-fg5fb5by9b3 жыл бұрын

    혹시 브금이 영국 척탄병 행진곡인가요? 인상적이네요~ 좋은 콘텐츠 잘 보고 갑니다

  • @aa-hf3nd
    @aa-hf3nd2 жыл бұрын

    그럼 감각을 느끼는 ‘나’는 없는건가요? 이 세상과 법칙, ‘나’라는 존재까지 감각이라는 렌즈를 통해 보는 것인데 그 렌즈 뒤에는 무엇이 있는건가요?? 제가 이해력이 부족해서 그런지 궁금증이 남아있습니다 ㅠㅠ

  • @user-vl8ey6hb5m
    @user-vl8ey6hb5m3 жыл бұрын

    와... 바지에 지렸습니다

  • @heran6899
    @heran68994 жыл бұрын

    흄은 경험론 끝판왕인데 왜 나는 흄이 오히려 관념론자 처럼 보이는 걸까요? 아니면 관념도 버리고 경험도 버리고, 인간이 주장하는 실재를 다 철학적으로 버린 듯이 보이네요. 관념론 설명 다시 들으려 가야겠어요. ㅎㅎ 양자물리학에서 우리가 인식하는 시간을 허상으로 지적했듯이, 흄은 어떤 의미에서 인간 인식의 한계를 철학적으로 간파한 굉장한 인물이네요. 다시한번 철학은 인간 지성사에서 참 중요함을 놀랍게 알아가고 있습니다. 😊

  • @user-ll3gl8jf2b
    @user-ll3gl8jf2b3 жыл бұрын

    5분 뚝딱 철학 (18분 48초) 감사합니다!

  • @segon4147
    @segon414711 ай бұрын

    알가잘리의 물리학에 대한 설명이 어렴풋이 기억나네요... 예를들어 당구공 충돌로 일어나는 일정한 현상은 매번 신의 기적으로 가능한거라고 설명했던거 같네요... 어렸을때는 버클리의 철학과 함께 그저 웃기고 기발한 생각이라고 느꼈었는데 양자역학 등을 생각해보면 더 이상 웃기지는 않아보인다는...

  • @uanai7057
    @uanai70572 жыл бұрын

    사과의 비유(우리가 사과라는 본질은 알 수 없고 사과는 단지 빨갛고,시큼하다는것만 알고있다)라는 부분은 플라톤의 이데아론과 연관시켜서 볼 수도 있는건가요??

  • @user-hx4tw4or7j
    @user-hx4tw4or7j3 жыл бұрын

    흄의 철학은 보편성이란 인간이 임의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라고 짧게 정리할수도 있을것 같네요

  • @Etz_Chayim
    @Etz_Chayim3 жыл бұрын

    세상엔 땅만이 존재하고 땅 위의 수많은 생명은 사실 존재하지 않는것이다 라는 말처럼 들리네요.

  • @azure1892
    @azure18924 жыл бұрын

    감각만으로 인식한 물체의 속성들, 즉 '관념'만으로는 '생생한 인상'을 가진 어떤 '물자체'가 '필연적으로 그 시각 그 자리에 존재해야 했다'라는 결론을 이끌어낼 수 없으므로 존재를 증명할 수 없다는 것이 아닐까요.

  • @bobokyung
    @bobokyung9 ай бұрын

    08:08 방금 고양이가 양탄자에 누워 있는 사진을 보고 인상이 있디고 주장한다면, 날개 달린 말이라는 합성된 이미지를 보고 이에 대한 인상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는 거 아닌가요?

  • @cjdixjdnjsn334
    @cjdixjdnjsn3344 жыл бұрын

    흄 ㅋㅋㅋ 문세윤닮았어요 ㅋㅋㅋ

  • @Jamric-gr8gr

    @Jamric-gr8gr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 @user-ww9rh8vx1e
    @user-ww9rh8vx1e3 жыл бұрын

    제목이 너모 웃겨욬ㅋㅋㅋㅋㅋㅋ

  • @user-wo8kq3hf9x
    @user-wo8kq3hf9x4 жыл бұрын

    영국의 유명론 철학자들을 보면 당시 영국이 얼마나 살기 힘들었는지 간접적으로 느껴지는것 같습니다 삶이 고되고 혼란할수록 단순해 지려고 하는 속성이 있이니까요 그에 비해 프랑스 철학자들은 참 부르주아적이죠 ㅎㅎ

  • @user-ft5qu9fe7o

    @user-ft5qu9fe7o

    4 жыл бұрын

    오늘 정리의 달인기사보니 삶이 고된사람들일수록 물건을 더 많이 구입해 짐에 쌓여산다는데 철학적삶과는 반대인가???

  • @gk20246

    @gk20246

    3 жыл бұрын

    ㅋㅋ 통찰력 있는 설명이네요. 매슬로우의 인간욕구 5단계설에서도 생존을 위한 기본 욕구가 해결되야 최상위 자아실현의 욕구실천으로 나가야 한다고 하니까요.

  • @Gejjang-i-english
    @Gejjang-i-english2 жыл бұрын

    한국어가 모국어라는 게 너무나 감사합니다. 이 영상을 원어로 이해할 수 있어서.

  • @est1908boss
    @est1908boss3 жыл бұрын

    혹시 불교중 선공부 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무심선원의 직지인심 같은..매우 궁금합니다

  • @soongsoong123
    @soongsoong1234 жыл бұрын

    흄이 있었기에 칸트와 쇼펜하우어가 있었다는 걸 보면 인식론에 있어서 흄의 지위는 전무후무하다고 봅니다. 위대한 철학자 흄!!

  • @user-el2lv8rw2q
    @user-el2lv8rw2q4 жыл бұрын

    👍👍👍

  • @bangtong5438
    @bangtong54383 жыл бұрын

    나라는 것의 감각, 느낌만 있을 뿐 실제 나는 없다 라... 뭔가 불교 철학의 내용과도 상당히 유사하게 느껴지는데 무슨 차이가 있는 건지도 더 알고싶어 지네요.

  • @cioudsugar8106
    @cioudsugar81064 жыл бұрын

    방심하고 봤는데... 흄 철학 난이도가 상당하네요 ㅋㅋㅋ

  • @bobokyung
    @bobokyung9 ай бұрын

    날개달린 말 인상을 영상으로부터 봄으로써, 날개달린 말 관념을 떠올릴 수 있는 거 아닌가요? 또한, 전 영상 속과 비슷한 날개를 본 적이 없습니다.

  • @DK-ks5xm
    @DK-ks5xm3 жыл бұрын

    12:00 선생님 만약, "당구공의 충돌이 운동의 원인이다." 앞에 전제를 붙이면 다른 명제가 나올 수도 있나요? 예를 들어, '지구에서' 당구공 충돌이 운동의 원인이다. 를 부정하면 바로 모순이니까요.

  • @sylee7136

    @sylee7136

    2 жыл бұрын

    모든 명제가 철학에서 다루어진다면, 명제들 중 인과관계는 과학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명제인데, 제가 이해하기로 흄은 과학이 이 인과관계에 대한 명제를 진리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한 문제제기를 한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하신 부분도 뉴턴에 의하여 밝혀진 과학원리를 '진리'라고 가정하신 상태, 즉 작용이 있으면 반작용이 있다, "작용은 반작용의 원인이다." 라는 명제를 진리로 받아들이신 상태에서 질문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흄은 바로 이 부분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한 것입니다. 예컨대 우리가 어떤 매트릭스와 같은 프로그램 안에 있다고 가정합시다. 그리고 그 프로그램 안의 모든 장소와 시간에서 공을 치면 공을 친 힘에 비례하여 공이 멀리 날아간다고 프로그래밍 되어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렇다면 이 프로그램 세계 안에서는 "공을 타격한 것이 공이 날아가는 사건의 원인이다."라는 명제는 진리이고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런데 프로그램 안에 있는 우리는 이 프로그래밍 되어있는 소스코드를 직접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 단지 공을 때리니까 공이 날아가는 사건만 관찰할 수 있을 뿐이죠. 그리고 단지 위 진리와 같은 '가설'을 세울 수 있을 뿐입니다. 그런데 이 코드를 확인하려면 매트릭스 주인공 '네오'처럼 컴퓨터 프로그램 내에서 탈출하여 컴퓨터를 관찰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현실에서 우리가 우주 밖으로 탈출할 방법이 있나요? 이러한 한계가 흄이 제기한 인식의 한계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인간의 존재론적 한계에 의하여, 명제에 어느 조건을 붙이더라도, 관찰에 의한 것이라면 진정한 진리를 발견할 수 있다고 보기엔 어렵다(위 영상의 설명에 의하면, 인과관계에 관한 명제는 무의미하다)는 것이 흄의 입장으로 보입니다.

  • @user-xz5pu4oo2j
    @user-xz5pu4oo2j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질문이 있습니다. 흄과 같은 경험주의자들이 경험할 수 없는것은 존재하지않는다는 맥락이라면, 플라톤의 이데아나 정신세계에 대해서 회의적인 입장인가요?

  • @user-dp7pw8fk8d

    @user-dp7pw8fk8d

    3 жыл бұрын

    흄은 정신 윗단계에 관해서는 내가 알 수 있는 길이 없으니 거기서 더 가지않고 끝내버립니다.

  • @user-fp4tm4rk6d
    @user-fp4tm4rk6d4 жыл бұрын

    사부님 고대철학 부터 다시 시청하고 있는데, 고대철학 카테고리에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이 들어가 있는것을 목격하였습니다.

  • @aa-hf3nd
    @aa-hf3nd2 жыл бұрын

    뭔가 러셀의 존재론이 생각나는데 저만의 생각일까요? 뭔가 제 스타일인거같아요 ㅋㅋㅋ

  • @kjun2268
    @kjun22682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보면 과학을 넘는 시대가 올지 궁금하네요...

  • @user-sl8il6my9u
    @user-sl8il6my9u4 жыл бұрын

    오직 사유를 그만들 때, 그때만이 진실로...

  • @aerockh
    @aerockh4 жыл бұрын

    당구 예제도 고급이네요. ㅋㅋㅋ

  • @user-iu7im8el5n
    @user-iu7im8el5n4 жыл бұрын

    선생님도 최고의 철학자이십니다. 원효대사같은 철학자.

  • @S-MKim
    @S-MKim3 жыл бұрын

    바로 지금 당신께서 미니멀리즘을 실현하셨습니다. 강의에서

  • @dongdongwwww
    @dongdongwwww4 жыл бұрын

    싯다르타는 심리적인것도 결국 존재하지 않는거라고 했잖아요. 흄 영상을 보니 싯다르타가 떠올랐습니다.

  • @cjdixjdnjsn334
    @cjdixjdnjsn3344 жыл бұрын

    선추천 감상

  • @yschoe5016
    @yschoe50164 жыл бұрын

    직접 보고 듣지 않은 것은 걍 믿지 않았으니 도마네여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