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제를 죽이고 어머니를 폐위시킨 왕 광해군! 그가 폭군이 된 진짜 이유 [역사읽어드립니다 EP.23] | 심용환 작가

#사피엔스 #역사읽어드립니다 #심용환작가
노트 필기 금지, ONLY 재미로 듣기!
교과서엔 없는 역사 TMI가 궁금하다면
사피엔스 오리지널 〈역사읽어드립니다〉EP.23

Пікірлер: 1 500

  • @sapiens_studio
    @sapiens_studio3 жыл бұрын

    사피엔스 오리지널 〈역사읽어드립니다〉 전체 회차 보기! ☞ bit.ly/3ooMyW8

  • @user-ss6kb7qk8z

    @user-ss6kb7qk8z

    3 жыл бұрын

    말씀이 좀 빠르신듯해요ㅠ

  • @user-uk5cc8yc9h

    @user-uk5cc8yc9h

    3 жыл бұрын

    실체가 저렇다하더라도 임진왜란때 나가서 싸웠고 중립외교를 해서 여진족이 함부로 우리나라와 전쟁하지않는게 다행입니다 안그래도 임진왜란때문에 힘든데 또 전쟁을 했던 인조가 더 문제였죠 그래서 안죽어도 되는 사람이 죽은거죠 사람은 그가어떤사람이였나보단 그가한 일과 업적을 보고 판단할뿐입니다 다는 알생각없습니다 이미 지나간 과거고 다시는 이땅에 전쟁을 안라는게 최선이죠

  • @syh9401

    @syh9401

    3 жыл бұрын

    @@user-ss6kb7qk8z ㅇㅇㄹㄴ5⁵5⁵

  • @user-sr4yo6jq2m

    @user-sr4yo6jq2m

    3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때싸움잘허정치를 잘해 우리나라가 안정

  • @user-sr4yo6jq2m

    @user-sr4yo6jq2m

    3 жыл бұрын

    대동법

  • @hohocapela
    @hohocapela3 жыл бұрын

    왕이나 평민이나 부모의 사랑이 이렇게 중요함. 왜란때 광해가 리더로 견딘 이유는 아버지에게나 주변에 인정받고싶어서가 아니었을까. 아버지가 선조라는게 빌런

  • @lat4455

    @lat4455

    3 жыл бұрын

    하필 아버지가 선조...

  • @user-ew9nd5nl3v

    @user-ew9nd5nl3v

    3 жыл бұрын

    말년까지 ㅅㅅ해서 영창대군 낳아버리는건 진짜 엿 재대로 먹인거지

  • @user-hu7hr8ps4p

    @user-hu7hr8ps4p

    3 жыл бұрын

    @@user-yo7cm6ty4i ㄹㅇㅋㅋ

  • @Hhhappy1234

    @Hhhappy1234

    3 жыл бұрын

    폐모살제. 유교국가에서 가당킨한가??ㅋㅋ 아버지가 아들며느리를 살하고(인조-소현세자 부부) 신하가 임금을 살하고(정조) 할머니가 손자를살하고(정순왕후) 이건 가능했던가, 유교국가에서.

  • @user-bs6qz1iw3j

    @user-bs6qz1iw3j

    3 жыл бұрын

    @@user-yo7cm6ty4i에휴~ 외신보도 안보냐? 실제통계 안보냐? 국격이 올라가도 이런 버러지같은 놈이 있구나. 대통령이전에 인권변호사로 이삼십년 일하신분임.그거 하나로도 너와 비교 누가 더 훌륭한지 알겠다

  • @user-zp2sb9fb5j
    @user-zp2sb9fb5j3 жыл бұрын

    승리자인 인조의 입장에서 쓰여진 기록이므로 광해가 좋게 쓰여질리없고 .. 우린 인조가 얼마나 무능한 왕인지 알고있지

  • @user-ji4vr6uf4g

    @user-ji4vr6uf4g

    3 жыл бұрын

    좋게쓰여짐

  • @user-kg4uz1qd2j

    @user-kg4uz1qd2j

    3 жыл бұрын

    인조가 뭐가 무능한데 그놈의 씨발 중립외교 ㅋㅋㅋㅋ광해군의 무능함이 이렇게 처빨리는게 이해할수가없네 승자의 기록이니 뭐니하면서 지는 과거보면서 평가하는거 ㅈㄴ웃기네 그당시 시대상황을 보고 평가해야지

  • @user-kr9ig3mt6k

    @user-kr9ig3mt6k

    3 жыл бұрын

    @@user-kg4uz1qd2j 씨발 중립외교 안해서 정묘호란 병자호란 당했죠?

  • @user-kr9ig3mt6k

    @user-kr9ig3mt6k

    3 жыл бұрын

    상황을 보고 평가를 해야지^^ 아는척 그만하고

  • @user-ks6th9ck4e

    @user-ks6th9ck4e

    3 жыл бұрын

    @@user-kg4uz1qd2j 아는척하는거봐라ㅋㅋㅋ 가만히좀있지

  • @user-st9db1jc7q
    @user-st9db1jc7q3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때 보여준 능력은 능히 선군이 될수 있었지만 아버지의 질투와 중전의 세력의 견제로 인해 정신병에 갈려 제 능력 빛을 못본것같음

  • @kyuyoon4937

    @kyuyoon4937

    3 жыл бұрын

    그래도 광해군은 오히려 왕좌에 내려오고 편했을 거라고 추측이 되는게 폐위되고 제주도로 유배되었지만 66세까지 살았습니다. 왕좌에 내려오고 18년을 더 살았죠. 조선 왕중에서는 4번째로 장수. 반면에 그의 정적들이나 그를 반대했던 사람들은 다 오래 못살았어요. 선조는 아시다시피고, 인조 역시 아들며느리까지 죽이고 오랑캐에게 굴욕을 보이는 등 왕 안되는 삶보다 못했고 말년도 비참했습니다. 인목왕후는 다시 대비로 돌아와도 홧병으로 더 금방 죽었습니다. 분명 광해보다 더 어렸지만, 훨 일찍 죽었죠 광해를 나름 견제했던 아내 유씨도 금방 죽었구요. 사실 인간적으로 불쌍한 건 제대로 된 자기 편이 없었던 거 같아요. 자기의 든든한 편은 커녕 늘 시기하고 견제하는 아버지, 눈치라고는 눈꼽만큼도 없는 젊은 새 어머니 형제들은 말할 것도 없고, 동복 형제인 형조차도 도움은 커녕 평생 방해만 되고 뒤차닥거리 그나마 평생 살맞대고 산 아내 조차도 자기 편이 못 되었음. 명종이랑은 비슷한 점이 많은데 오히려 명종과는 비교도 안되게 업적이 많죠 전형적인 양날의 칼과 같은 인물이 광해군 같습니다.

  • @smssk1144

    @smssk1144

    3 жыл бұрын

    다 핑계지 세상에 핑계없는 왕이 어딨음? 그냥 광해의 수준이 딱 그 모양이었던거임

  • @user-tp1uk7hl2h

    @user-tp1uk7hl2h

    3 жыл бұрын

    그런 논리면 안 그런 왕이 어딨습니까? 영ㆍ정조도 세제ㆍ세손 시절 죽을 위기를 얼마나 겪었는데요? 뛰어넘지 못한 광해군 탓이지, 상황에 탓하지 맙시다.

  • @user-st9db1jc7q

    @user-st9db1jc7q

    3 жыл бұрын

    @@user-tp1uk7hl2h 남이 그랬다고 광해군이 못했다고 너무 생각하는게 너무 그렇지 않는가? 게다가 광해군은 정치적으로 위협을 받고 게다가 아버지의 심한 모욕과 질투 미움를 받았는데 다른 왕과 비교한다는게 그렇네요

  • @user-st9db1jc7q

    @user-st9db1jc7q

    3 жыл бұрын

    @@user-tp1uk7hl2h 님은 무슨 생각하시는지 알겠지만 남처럼 해라 하는말은 너무 무책임한 말같네요 제가 듣기에는

  • @user-ew9nd5nl3v
    @user-ew9nd5nl3v3 жыл бұрын

    광해군 쫓아내고 삼전도굴욕은 레전드ㅋㅋ 잠실 지날때마다 볼수있는 굴욕비ㅋㅋㅋ

  • @user-gx5lo7nk8p
    @user-gx5lo7nk8p3 жыл бұрын

    한마디로 능력이 외교부 장관이 한계였다는거네 근데 선조 때문에 세자시절을 10년이상을 불안한 채로 살아서 이해됨 후금이 인조 내쫓고 광해군을 다시 옹립할려던걸 광해군이 거절했다고 하던데 폐주가 된 와중에도 나라 생가한거 보면 세자시절을 잘 보냈으면 어떻게 되었을까 진짜 아까운 왕재임 물론 지도자는 모든걸 완벽해야 하고 어떤 변명도 할수없긴 하지만 그래도 유독 연민이 가는 왕임

  • @ohilyeojoh-a

    @ohilyeojoh-a

    3 жыл бұрын

    옹립하려고한게아니라 청의 정묘호란 명분이 광해군의 복수였음 한마디로 걍 명분용 도구였었음

  • @ESSAY_J
    @ESSAY_J3 жыл бұрын

    아버지가 선조인데 정상인이라도 미칠건데 광해 정도면 오래 버틴거지

  • @user-rp4gw4lm1z

    @user-rp4gw4lm1z

    3 жыл бұрын

    충분히 영창이 광해군에게 위협이 되는 상황이였던게 그당시 영의정이였던 유영철이 영창대군 라인을 타서 조정에 영창대군 파가 많아졌음 게다가 새로 들어온 중전은 계속 세자를 압박하고 선조가 10년만 더살아서 적자를 새운다는 이유로 영창을 세웠으면 광해군은 무조건 사사였음 나같으면 진짜 엄마도 아니고 무조건 죽였을것 같다 계다가 광해군이 왕이였다면 정묘호란은 피할수 있었을 것이고 병자호란은 못피한다 해도 그렇게 비굴적인 조약은 맺지 않았을 거임 당시 조선의 방어채재가 산성 농섯 채재였는데 이 전술은 적이 산성을 무시하고 지나치거나 일부의 병력만 남기고 진격하면 소용이 없어짐 그래서 광해군은 이러한 상황을 미리 인지하고 중도에서 막을 계책을 논의하라고 했지만 인조새끼는 그냥 지들끼리 척화파 주화파 ㅇㅈㄹ하고 권력싸움 하다가 병자호란으로 며칠만에 한양 점령 ㅋ

  • @ohilyeojoh-a

    @ohilyeojoh-a

    3 жыл бұрын

    @@user-rp4gw4lm1z 말도안되는 소리를하시네요 선조죽을때 영창이 2살이었습니다 광해는 33살이었구요 심지어 중전보다도 나이가 9살이나 많았죠 그리고 극소수의 영의정 라인만 영창을 지지했고 거의100퍼센트에가까운신하들이 광해를 지지했고 민간에서의 광해의 인기도 장난아니었죠 게다가 선조는 끝까지 세자를바꾸겠다라고 한적도 없구요 거기다 광해는 수십년전부터 명나라에서도 인정한 공인세자였습니다 더해서 광해의 정통성은 아버지인 선조보다도 더 강했습니다 오히려 광해가 맘먹으면 영창을 숙청할수있었죠

  • @ohilyeojoh-a

    @ohilyeojoh-a

    3 жыл бұрын

    @@user-rp4gw4lm1z 병자호란은 청의 기습전쟁이었습니다 청군이 워낙빨라서 이미 당도할때쯤이나 알게되죠

  • @user-gy8yn7hi1d

    @user-gy8yn7hi1d

    3 жыл бұрын

    @@ohilyeojoh-a 그것도 문재아님? 뭔놈에 나라 국경 방어선이 보고도 닿기 전에 걍 뚤리냐

  • @ohilyeojoh-a

    @ohilyeojoh-a

    3 жыл бұрын

    @@user-gy8yn7hi1d 청의 진군속도가 인간의 상식을 초월할정도로 빨라서 문제였죠 2차세계대전 롬멜의 기갑사단의 진격속도보다도 빨랐으니까요 이틀만에 180km를 이동한 기록도 있습니다

  • @user-cc6wb5li6v
    @user-cc6wb5li6v3 жыл бұрын

    내 생각에는 광해군이 미쳐간 이유는 전쟁을 직접 겪었기때문이라고 생각함 전쟁의 끔찍함과 참혹함을 몸소 느꼈기 때문에 정신적으로 트라우마를 가지고있었던것같음

  • @sjwclover

    @sjwclover

    Жыл бұрын

    추가적으로 정치적과 즉위 명분적 약한 점이 문제

  • @jinsukcha5081

    @jinsukcha5081

    Ай бұрын

    저도 동감 거기다 나날히 자라는 영창대군은 자신뿐 아니라 자신의아들을 위협하는 존재로 느껴졌을겁니다.

  • @wingxxxg-01w8
    @wingxxxg-01w83 жыл бұрын

    굳이 따져 폐모살제를 명분으로 세운건 좀 가식적임. 조선의 태종이, 세조가 그리 친족을 죽여 왕위에 올랐는데.

  • @HenryPorter001

    @HenryPorter001

    3 жыл бұрын

    태종은 친족이라기보단 엄연히 외척을 죽였었고 세조 또한 조카를 죽인 건 맞지만 그래도 태종, 세조 당시에는 아직 조선이 불교의 나라에 가까웠고 성리학이 제대로 발달하기 전이었어서 그런 유교적 사상이 충분히 도입되기 전이었어요. 더군다나 나라가 이제 막 세워진 참이라 조선이라는 새로운 국가 내에서 어떤 계파라던가 힘 있는 무리가 형성되었던 것도 아니라 그 때에는 그런 명분을 통해 태종, 세조를 몰아내기 쉽지 않았을 겁니다. 태종 때는 특히 그랬고 세조 때는 그래도 사육신이라던가 이징옥의 난, 이시애의 난이 있었지만 아무튼 그랬습니다.

  • @user-po7id4nh1q

    @user-po7id4nh1q

    3 жыл бұрын

    왕권의 차이가 엄청났으니.. 애초에 태종 세조는 사병도 있었고 장자는 아니지만 본처의 자식으로 명분도있고 수틀리면 죽여버릴 힘이 있었지만, 첩의 자식이자 차남 아비에게 인정도 못받는 상황과 전쟁때문에 약해진 왕권 강해진 신권 아비가 어마어마한 암군선조 라는게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대비가 저렇게 깝치는데 아무도 광해 편을 들 생각조차 안했으니..솔직히 대비가 저렇게 깝치면 왕이 단식하고 신하가 쇼하면서 찍어눌러버리는게 일반적이었는데

  • @wingxxxg-01w8

    @wingxxxg-01w8

    3 жыл бұрын

    태종이나 세조 당시의 명분이나 권력의 균형에 대해 논한게 아니라, 이미 조선 왕가의 선조인 세번째와 다섯번째의 왕에서 '살제'를 통해 권력을 잡았는데, 그 후대인 인조가 살제를 명분으로 반정을 일으킨 것이 모순적인 상황이라는 뜻이었습니다 ㅎㅎ

  • @HenryPorter001

    @HenryPorter001

    3 жыл бұрын

    @@wingxxxg-01w8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 이미 광해군은 폐모살제 이전에 왕이 됐었고 이후에 왕권이 위협을 받으니까 인목대비였나를 폐하고 영창대군이었나 동생을 죽인 거고, 인조와 측근들은 대의명분 성리학 나라 조선에서 폐모살제, 우리 부모 명에 대한 배신, 회퇴변척이면 사실상 현대의 잣대로 봤을 때의 잘잘못을 떠나서 그 당시 반정에 대한 명분만은 충분했다고 봐요.

  • @user-fs7pd3mu6g

    @user-fs7pd3mu6g

    3 жыл бұрын

    @@HenryPorter001 명분이야 만들기 나름이죠. 이미 조선은 태조 때부터 숭유억불 정책이 진행되어서 태종 때에는 완전한 유교국가였습니다. 태종과 세조를 상대로 패륜의 죄를 물어 반정을 일으킬 명분은 충분했습니다. 다만 반정을 일으킬 힘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죠. 태종은 임기내내 강력한 왕권을 유지했기에 감히 반정을 일으킬 수 없었고 세조는 그를 지지하는 권신들의 보호를 받았기에 반정이 불가했습니다. 다만 광해는 재위 말기에 세자 시절 그를 지지했던 대신들은 이미 모두 죽고 없었고 거듭되는 숙청으로 충신은커녕 믿고 이야기를 터놓을 신하도 없었으며 무리한 궁궐 재건공사로 인해 백성들의 민심을 잃었고 또한 실명에 가깝도록 시력을 잃어 건강 또한 정말 좋지 못했습니다. 기록들을 살펴보면 중종반정 때와 달리 인조반정 때는 능양군을 위시한 반정군들은 정말 목숨을 걸고 도박하는 심정으로 거사를 치른 것이었는데 너무나도 쉽게 성공하여 의아했다고도 하죠. 그만큼 인조반정 당시 광해군은 정신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피폐했었습니다.

  • @shellk7883
    @shellk7883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을 떠올리면 나는 괜시리 '역사는 승자에의해 기록된다'라는 말이 생각남 역사는 개인적인 사견이 들어가서 해석되선 안되지만 광해군만보면 불쌍하다라는 생각밖에안남

  •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에 대한 기록 자체에 왜곡이 심한 것 같아요.

  • @shellk7883

    @shellk7883

    3 жыл бұрын

    @@user-gw2zu5do2r 그건 모르져

  • @statistics505

    @statistics505

    3 жыл бұрын

    @@user-uk1ws6wg9i 그래도 그담 인조에비하면 개 성군임

  • @SIGNIEL

    @SIGNIEL

    3 жыл бұрын

    실록보면 무당에 빠져서 국고탕진하고 풍수지리 병 도져서 백성 피 빨아먹을 생각만 했습니다 왜란 후 소실된 궁궐들을 재건하는데 백성들 생각은 1도 안하고 오히려 더 크고 화려하게 재건합니다 그리고 광해군이 하는 소리가 교하로 수도 옮길까? ㅇㅈㄹ합니다 아니 옮길거면 애초에 궁을 거기에 짓던가... 세자시절의 광해군과 왕시절의 광해군은 그냥 다른사람입니다

  • @statistics505

    @statistics505

    3 жыл бұрын

    @@SIGNIEL 그런다한들 정묘호란,병자호란 경신대기근만할까요?

  • @SP-ve1im
    @SP-ve1im3 жыл бұрын

    태종이 얼마나 뛰어난 군주인지 또한번 느끼게 해주는... 물론 광해군이 세종만큼 능력이 좋다는 아니지만 그래도 선조가 제대로 왕위를 물려줬으면 인조가 왕이되는일은 없었을텐데...

  • @Megumi-Fushiguro1004

    @Megumi-Fushiguro1004

    3 жыл бұрын

    최악을 이어주는 광해 선조=광해=인조

  • @user-oe7sd8qy1l

    @user-oe7sd8qy1l

    3 жыл бұрын

    선조 이놈은 진짜 국가정치부터 가족정치 까지 싹다 말아먹은 역대 최악의 왕.. 선조는 ㄹㅇ 폐위가 안됬기에 선조로 불리는거지 반정으로 축출 됬으면 역대 가장 무능한 왕 타이틀에 플러스로 가장 못난 성격을 가진 암군 취급 받았을듯 선조 이 무능력 자격지심 끝판왕의 찌질이가 왕위에 앉아있었다는 사실이야말로 진짜 이 나라 최악의 흑역사;

  • @user-ru5ir6wq9k

    @user-ru5ir6wq9k

    3 жыл бұрын

    난 선조, 인조가 개싫음 보면 볼수록 우리 주위에 있는 열등감에 쩌는데 허세부리는 사람들 보는것 같아서 진짜 역사책 볼때마다 ㅈㄴ 찌질해보이고 그 사이에 있었던 광해군이 너무 불쌍함...

  •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3 жыл бұрын

    @@Megumi-Fushiguro1004 정말 의식있는 사람들은 모두 공감하는 암군 투톱이죠. 광해군은 그 두 사람 사이에 끼어있는 불행한 왕

  • @kick1him1out

    @kick1him1out

    3 жыл бұрын

    @@Megumi-Fushiguro1004 연산도 넣어야 될거 같은데

  • @user-en7zw5wm8s
    @user-en7zw5wm8s3 жыл бұрын

    선조 다른 아들들 중 가망이 있는 건 광해군 뿐이었는데 그걸 모른척한 선조의 잘못이다. 솔직히 광해군 많이 죽이긴 했는데 옛날 궁은 피바다가 많이 부는 곳이었고, 어떤 임금은 사화를 세 번이나 일으켜도 임금이라 역사에 남았는데.. 광해군이 폐위당한 건 내부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렸던 게 진짜 이유고, 폐모살제는 명분에 불과한 것 같다. 자기 어머니 죽이고 형제 죽여도 권력의 힘이 강해 왕 된 분도 계신데.. 광해군이 큰 잘못을 했다고 하는 건 이중잣대같다.

  • @user-lh9sr6zx4f

    @user-lh9sr6zx4f

    Жыл бұрын

    ㅇㅈ 형은 연쇄살인범인데도 모른척 하고 편애하고 사랑하고 광해군만 학대함

  • @user-il3me2ye1d
    @user-il3me2ye1d3 жыл бұрын

    선조가 인성이 자기보다 잘 난 사람들은 이순신 장군 님 이건, 자기 아들 광해군이건 눈에 가시로 생각했다는 거죠. 그만큼 옹졸한 왕의 극치를 달리던 인물이 선조였고 덕분에 살신성인의 이순신 장군님, 아비의 부족함을 껴 안으려 했던 광해군마저 모지리 선조 임금 덕분에 불행한 인생의 끝을 보게 되었다는...정말 조선 역사에 선조라는 왕을 지우고 싶습니다.

  • @user-yy3qy4if6u

    @user-yy3qy4if6u

    Жыл бұрын

    ㄹㅇ 암덩어리ㅋㅋ

  • @hongfishjeonrado3318

    @hongfishjeonrado3318

    Жыл бұрын

    선조는 그래도 도망은 안갔지만 프랑스 드골놈은 정말로 완전 토꼈쨔나 ?? 근데 요 된장국민들은 또 빠다라면 미쳐서 프랑스 드골놈은 ㅈ 나게들 빨아대여 ㅋㅋㅋㅋ

  • @TititititititititiT

    @TititititititititiT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아까운 땅차지하는넓다란 왕릉에 둘게 아니라 납골당에 이장시켜야함. 뭐하면 그냥 청계천에 뿌려도 되고.

  • @hyunhoju

    @hyunhoju

    Жыл бұрын

    @@hongfishjeonrado3318 선조도 도망 가려고 했습니다. 단지 너무 빠르게 국경을 넘어 도주하려고 해서 명이 일본과 야합을 한지 의심하면서 넘어갈 수 없게 된 것 뿐입니다. 선조는 40년을 재위했던 왕으로서, 앞의 20년은 좋은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고 성군의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습니다. 다만, 철저히 국가를 기업처럼 경영했던 왕으로서 리더로서의 책임감과 자질이 부족했고, 국가 위기 상태에 무능함과 자신의 권력에만 집착했기 떄문에 최악의 암군으로서 평가 받는 것입니다. 저도 선조 앞의 치적이 모두 폄하되며 조선 최악의 임금으로 분류되는건 안타깝지만, 선조가 도망가지 않았던 왕은 아닙니다. 또한 능양군 이종에 비해서 나았던 왕이지 국가 위기 상태에서 선조는 절대 훌륭한 임금이 아니었습니다.

  • @user-du3ps7so2x

    @user-du3ps7so2x

    Жыл бұрын

    선조때문에 2차세계대전 일어남

  • @user-ss4dn5gg6q
    @user-ss4dn5gg6q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이 그래도 인조보단 나은 것 같아요

  • @user-ps2os3uf1b

    @user-ps2os3uf1b

    3 жыл бұрын

    @@user-pt5mu8vn3s 댓글 수준 하고는

  • @user-mf5vm3mg9g

    @user-mf5vm3mg9g

    3 жыл бұрын

    @@user-ps2os3uf1b ㄹㄱㄴ

  • @sy132

    @sy132

    3 жыл бұрын

    @@user-mf5vm3mg9g 1--:

  • @user-ny7gu9xn1x

    @user-ny7gu9xn1x

    3 жыл бұрын

    @유하란 한게 없기라도 하면 다행이지...아주 그냥 조선을 다 말아드심

  • @danielal4635

    @danielal4635

    3 жыл бұрын

    ㅇㅈ

  • @Hajiart
    @Hajiart3 жыл бұрын

    광해군 얘기는 들으면 들을수록 안쓰러워져요..쩝

  • @Hajiart

    @Hajiart

    3 жыл бұрын

    @@user-pt5mu8vn3s 안쓰럽다는 뜻이 그 죄가 가볍다는 건 아니죠

  • @user-qk2ec8uh9b

    @user-qk2ec8uh9b

    3 жыл бұрын

    @@user-pt5mu8vn3s 아니 ㅆㅂ 이해를 못하면 아가리좀 쳐 다물고있으셈 설명을 해 줘도 지 무능한 뇌로 생각한 말 그대로 처 꺼내네

  • @user-wd1mt1qu6f

    @user-wd1mt1qu6f

    3 жыл бұрын

    @@user-pt5mu8vn3shead 텅텅빔?

  • @Goodday900
    @Goodday9003 жыл бұрын

    선조가 마지막까지 똥 싸지르고 갔네 어린중전에 중전의 아들에 형에 이미 예견된 거였네

  • @whektiwlsnmg6053

    @whektiwlsnmg6053

    3 жыл бұрын

    그니까 미친 ㅋㅋㅋㅋㅋㅋ 멀쩡히 촉망받는 세자 하나 있는데 뭐하러 나이 차이 많이 나는 애를 또 싸지르고 지랄

  • @user-tp1uk7hl2h

    @user-tp1uk7hl2h

    3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임해는 중신들도 내버린 왕자니 상관 없음. 영창대군이 있어도 종법상 광해를 위협할 상황이 안 됨. 고로 선조 탓할 필요 없음.

  • @ohilyeojoh-a

    @ohilyeojoh-a

    3 жыл бұрын

    종법상으로도 광해는 문제없었고 모든 신하들이 광해를 지지하는마당에 광해보다 어린 중전에 2살짜리 애가 무슨 위협이 되었겠음 ㅋ

  • @JohnDoe-qe3fb

    @JohnDoe-qe3fb

    2 жыл бұрын

    @@whektiwlsnmg6053 이건 광해군 잘못도 있음... 단순히 촉망받는 세자가 아니라 세자시절부터 이미 선조의 왕위를 위협하는 정적이었으니까 그런거

  • @user-dj8tw5ih1j
    @user-dj8tw5ih1j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은 부왕이 선조가 아니였으면 그나마 괜찮은 군주가 됬을것이고 병자호란도 없었을 거라는 개인적은 뇌피셜

  • @Australia789

    @Australia789

    3 жыл бұрын

  • @user-ji4vr6uf4g

    @user-ji4vr6uf4g

    3 жыл бұрын

    뇌피셜은 혼자서만

  • @soridaizin79

    @soridaizin79

    3 жыл бұрын

    진짜 뇌피셜일 뿐이죠 광해군보다 훨씬 열악한 환경에서 집권한 태종이나 영조 정조 처럼 극복하고 성군이 된 임금도 있는걸 보면

  • @user-qr6tb1mo4h

    @user-qr6tb1mo4h

    3 жыл бұрын

  • @user-mk3ec4wf8j

    @user-mk3ec4wf8j

    3 жыл бұрын

    @@user-ji4vr6uf4g 대다수의 뇌피셜임

  • @user-qf1kh2vy9x
    @user-qf1kh2vy9x3 жыл бұрын

    인조는 진짜 임금이라고 하기도 쪽팔릴정도로 최악의 군주임 아들 며느리 손자 까지 사사하는 무능의극치

  • @nb4879
    @nb48793 жыл бұрын

    사피엔스 스튜디오에서 심용환작가님의 이야기를 가장 좋아합니다. 늘 잘 듣고있어요

  • @user-fq4fb6cp2o

    @user-fq4fb6cp2o

    3 жыл бұрын

    저두요

  • @user-tp1uk7hl2h

    @user-tp1uk7hl2h

    3 жыл бұрын

    심용환은 설민석 보다 더 심각한 수준. 사학 전공자마저 엉터리 강의라니.

  • @bagsi1010

    @bagsi1010

    Жыл бұрын

    @@user-tp1uk7hl2h 전 좋고 재밌는데

  • @user-ux3tg5mj7q
    @user-ux3tg5mj7q3 жыл бұрын

    선조의 다른 아들들이 정신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보인 경우가 많은것으로 봐서 유전적인 문제도 있는것 같아요

  • @j8663
    @j86633 жыл бұрын

    그 태종도 그렇고 세조.광해군.연산군.인조.영조 등등 대부분 친인척을 죽이거나 형제에 자식들을 죽여버린 군주들

  • @user-tk8tr4lo2g
    @user-tk8tr4lo2g2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지않게만 비춰줬던 광해군의 속사정을 알게 되니 많이 안타까운 것 같아요... 작가님이 해주시는 흥미로운 사실들 잘 듣고 갑니당!!

  • @sdoppelo6472
    @sdoppelo64723 жыл бұрын

    작가님 타고난 이야기꾼이시네요👍 너무 흥미롭게 이야기해주셔서 항상 재밌게 듣고 있습니다

  • @user-fy6uc8vz7x
    @user-fy6uc8vz7x3 жыл бұрын

    “역사 읽어드립니다” 시리즈 쭉 해주세요 너무 좋습니다 :)

  • @xoxoxo952
    @xoxoxo9523 жыл бұрын

    재밌어요! 편집깔끔하고 좋네요 👍

  • @user-cy7sg4dt9q
    @user-cy7sg4dt9q3 жыл бұрын

    늘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 @user-fq1ok7my4k
    @user-fq1ok7my4k Жыл бұрын

    진짜 왕은 정적들로 인해 엄청 스트레스 받는 직업이었구나. 단 한시도 마음이 편할날이 없었던 자리. 주변에 믿을 사람 없고 언제 권력을 뺏겨 쫒기거나 독살 당할지 모르는 불안한 자리. 정신쇠약이 걸리지 않는다면 진짜 자신감 넘치는 철인이거나 탄탄한 정통성을 가진 왕만이 자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자리네.

  • @nuevo9591
    @nuevo95913 жыл бұрын

    설명이 귀에 쏙쏙 박혀오네요.

  • @DRMDstyle
    @DRMDstyle3 жыл бұрын

    광해는 호란이 닥쳤을때 제주에서 어떤 심정이였을지 항상 궁금하지만 기록이 없음이 아쉽습니다

  • @kwangsoojeon6137
    @kwangsoojeon61373 жыл бұрын

    광해가 주인공인 이야기인데 광해 입장이 아닌 서인입장에서 이야기를 하시니 듣기가 어려웠습니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으로 남습니다. 과연 광해가 어떤 사람이였는지는 패자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 @user-zr4sy7of9r

    @user-zr4sy7of9r

    3 жыл бұрын

    동감~

  • @user-wm9vm2ic8k
    @user-wm9vm2ic8k3 жыл бұрын

    어느누구나 인생의 굴곡이있죠. 그사람의 평가보다는 우리가배워야 할 것을 배우는게 중요한듯

  • @user-hj6ok3ni4x
    @user-hj6ok3ni4x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은 자존감이 낮은 왕이었다 아비(선조)의 영향이 컸지 그러니 자신을 믿지 못하고 정적을 제거하고.. 피의 숙청을 거듭하고 스스로 자처했다 그것으로 인해 주변에 자기편이 없음 역사는 반복된다. 주변에 광해군 같은 사람있음 무조건 피해야 됨 부모 사랑 못받고 사회성 부족한 사람들은 답 없음 오늘날 지도자를 뽑을 때도 기준이 되어야 함...

  • @user-pl3qo3bt2o

    @user-pl3qo3bt2o

    Жыл бұрын

  • @moai538
    @moai5383 жыл бұрын

    기존에 알고 있던 모습이 다가 아니네요... 너무 유익하고 재밌어요!!ㅎㅎㅎ

  • @user-xc3ek6go3g
    @user-xc3ek6go3g3 жыл бұрын

    광해가 폭군이면 조선에 폭군 아닌 왕이 몇이나 있을까

  • @yklord3764

    @yklord3764

    2 жыл бұрын

    연산군 정도 빼면 다 광해보다 나음

  • @JohnDoe-qe3fb

    @JohnDoe-qe3fb

    2 жыл бұрын

    넘쳐나는데... 광해군이 정상이면 정상 아닌 왕이 없음...

  • @user-tt8vu1mk8w

    @user-tt8vu1mk8w

    2 жыл бұрын

    @@yklord3764 kzread.info/dash/bejne/qH-AuNKxqdWsmJc.html 이 영상 보면 생각 달라지실듯

  • @brightfuture6249

    @brightfuture6249

    2 жыл бұрын

    @@yklord3764 나아서 인조는 청황제앞에서 엎드려뻗쳐하고 자국민을 끌려간 노예 50만명으로 만들었나.? 상식적으로 생각하세요..

  • @user-lr8dy1sb3x

    @user-lr8dy1sb3x

    2 жыл бұрын

    @@brightfuture6249 맞아요 외교뿐만 아니라 자기가족 소현세자와 소현세자빈한테까지 의심에 질투에,,아주,, 광해군은 인목대비와 영창대군이 왕권에 걸림돌이 된것은 확실하니 어느정도 합리화가 되죠,,하다못해 나름 성군이라고 불린 태종또한 권력에 걸림돌이 되니 형제들을 죽인거구요,, 근데 인조는 소현세자와 세자빈이 타국에서 개고생하면서 오히려 조선이라는 국가 인식을 한결 낫게 해준데다가 인조를 미워하지도 않았고 왕위에 위협이 되지도 않았는데,, 죽였다고 확정은 나지 않았지만 단순병세악화라고 보기는 힘든 시체상태에,,치료주관했던 의사양반 토닥토닥,, 인조는 정말 광해보다 더한 암군이 맞죠

  • @user-nz8ng9qz1x
    @user-nz8ng9qz1x3 жыл бұрын

    나는 역사 강의중 이분 것을 불편함 없이 가장 재밌고 유익하게 본다. 중도적인 시선에서 벗어나 억지 감동을 지어내려하거나 자극적인 내용을 강조해 조회수를 노리는 몇몇 스타 역사강사들이랑 다르게, 역사에서 무언가를 배워나가야한다는 의식도 투철하신 것 같으며 자극적인 내용만 강조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흡입력있고 재미있게 이야기 해주시는 것 같다. 편집이랑 중간중간 일러스트도 잘어울려서 몰입된다.

  • @user-yo7od7sn9d
    @user-yo7od7sn9d3 жыл бұрын

    이것도 당시 상황에서 광해군 입장을 생각하면 정치적으로도 숙청이 없기 힘들었다 생각해요

  • @Ssabifighter
    @Ssabifighter3 жыл бұрын

    백성들에게 있어서 광해군의 가장 큰 과오는 무리한 궁궐공사인데 그 부분이 설명이 되있지 않아 아쉽습니다

  • @user-bs1nl9dd3m
    @user-bs1nl9dd3m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많은 지식 채험하고 갑니다.

  • @share_the_green
    @share_the_green3 жыл бұрын

    전쟁속에 살다 나이가 더 어린 어미(계모)가 싸가지 없이 구는데 신경질병이 안나면 이상하죠. 선조나 인조에 비하면 왕다운 왕이었다 생각드네요

  • @user-ie9ph3ym6z
    @user-ie9ph3ym6z3 жыл бұрын

    잘 보고갑니다 ~^^

  • @mya486
    @mya486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의 이면에 대한 역사적 내용을 이렇게 핵심적인 부분을 잘 정리해서 얘기해주시니 너무 재밌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soopark5003
    @soopark50033 жыл бұрын

    광기 어린 왕들과 주변 인물에 대한 해석이 훌륭합니다 !

  • @user-hl4ue6tq8y
    @user-hl4ue6tq8y2 жыл бұрын

    평생 신경쇠약으로 살아야했던 그는 아마도 폐주가 되어 유배생활을 하게되었을때 진정한 정신적 자유를 느꼈을수도 있다. 참... 안타까운 군주... 그가 태종 이방원같은 아버지의 자식이었더라면...

  • @user-mx9jf3pv9i
    @user-mx9jf3pv9i3 жыл бұрын

    내가 만약 저자리 있었더라도 저랬을 것 같네요 왕이 되기 어려운 처지에 신하들이 적극 추천했다는게 쉬운 일도 아니고 정말 훌륭하고 정치적으로도 잘했을 것 같은데 상황이 그를 나쁘게 몰은 것 같네요 광해군이 나쁜 상황에도 흔들리지 않고 왕의 자리를 지켰다면 조선의 역사가 달라졌을 것 같네요 저도 인간관계에서 나한테 어긋나는 사람들에게 매몰차고 삐딱하게 보던 것을 반성하게 되네요

  • @user-dx6el5mx6j
    @user-dx6el5mx6j3 жыл бұрын

    내가 광해였어도 영창대군 죽였음..

  • @user-io5tb8sy4o

    @user-io5tb8sy4o

    2 жыл бұрын

    영창대군의 죄값이 무엇인가???

  • @user-kv9zq6gy9z

    @user-kv9zq6gy9z

    2 жыл бұрын

    @@user-io5tb8sy4o 정적

  • @user-io5tb8sy4o

    @user-io5tb8sy4o

    2 жыл бұрын

    @@user-kv9zq6gy9z 정적이 무엇인가???

  • @JohnDoe-qe3fb

    @JohnDoe-qe3fb

    2 жыл бұрын

    나같으면 안죽임 오히려 반발만 더 생기지... 나이 차가 몇인데... 심지어 광해군 아들이랑도 거의 8년 차이남... 이러면 애초에 인목대비측이 세력이 처음부터 막강한게 아닌이상 의미가 없고 제거하면 할수록 독이 되지

  • @user-zk4sf5ji8q

    @user-zk4sf5ji8q

    2 жыл бұрын

    @@user-io5tb8sy4o 내가 하고자 하는 것을 막거나 위협이 되는자.. 쉽게 나를 죽일 수 있는 자.. 그것이 육체가 되었든 정신이 되었든 자존감이 되었든 의지가 되었든 나를 죽이는 자..

  • @user-rh1dq6cy9c
    @user-rh1dq6cy9c2 жыл бұрын

    광해군 한 개인은 기본적으로 대단이 뛰어났음. 이성계, 이방원을 제외하고 유일하고 전쟁터를 누비고 살아남은 사람임. 수많은 기록에서 광해군은 대단한 기량을 가졌다고 기록함

  • @user-if7nw7px4p
    @user-if7nw7px4p3 жыл бұрын

    초반에 나온 브금 이 뭔가요...?

  • @aprilpark6061
    @aprilpark60613 жыл бұрын

    군주 입장에서 역모와 관련되면 혈육이라도 죽여야하는게 그때의 이치고 인조가 광해군을 죽이지 못한건 청나라와의 외교관계를 잘 해서 청의 눈치를 봐야해서 살려둔거임.... 광해군이 명나라와 후금(뒤에 청) 그때 중립외교를 잘해서 아마 병자호란 안 일어났을거임 국제 정세를 읽지 못하는 인조와 서인 정권에 의해 나라가 그 지경이 되서 백성만 도륙당하게 됨...ㅜ

  • @user-ii2ul4zt4v
    @user-ii2ul4zt4v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이 잘했다고 생각하는게 일단은 전쟁을 막고있었음 근데 인조가 되고나서 병자호란 터져버림 그리고광해군이 폭군이라는건 인조가 그렇게 조작해놨을수도있음 일단 가장 쓰레기는 선조라는건 변함없고

  • @user-ye4ew2zx9s

    @user-ye4ew2zx9s

    3 жыл бұрын

    신기한게 선조의 인재 발굴, 등용 능력은 1티어라서 임진왜란 때 조선의 관리들 보면 난다 긴다 하는 네임드들 천지였음. 그 능력 때문에 나라가 안 망함. ㅋ ㅋ

  • @user-ye4ew2zx9s

    @user-ye4ew2zx9s

    3 жыл бұрын

    이순신 등용도 선조고 파직도 선조고 백의종군도 선조고 이정도면 선조 이 새낀 상황을 즐긴게 아닐까 싶음

  • @user-tp1uk7hl2h

    @user-tp1uk7hl2h

    3 жыл бұрын

    뭘 전쟁을 막고 있었단 건지? 누르하치 자체가 조선 침략에 부정적이었고, 인조 땐 후금에 호전론자인 홍타이지가 등극함. 그리고 청의 침입은 그들의 내부 식량 문제와 홍타이지 자신이 황제 등극을 인정받으려는 욕구가 결합해 나타난 결과인데 왜 인조 탓? 우습다 우스워.

  • @user-tp1uk7hl2h

    @user-tp1uk7hl2h

    3 жыл бұрын

    광해군 폭군이 조작되었다는 근거하나 제시못하면서 무슨ㅋㅋㄱㅋ

  • @user-ii2ul4zt4v

    @user-ii2ul4zt4v

    3 жыл бұрын

    @@user-tp1uk7hl2h 조작안했다는 근거있냐? 원래역사는 이긴쪽이 유리하게 해놓은건데ㅋㅋ

  • @user-rc4de9rq5m
    @user-rc4de9rq5m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이 실패한 이유는 너무 많은 사람을 죽인게 큰 원인입니다. 결국에 말년에는 정적이 너무 늘어났고 궁궐수비를 한 관원조차 배신을 하게 만들었죠. 반정이 성공한 이유는 광해군이 사대부들에게 이미 인심을 잃었다고 보면 됩니다.

  • @gerughigiulio9190

    @gerughigiulio9190

    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이 실패한 이유는 사람을 죽이는데 너무 주저해서입니다. 당장에 광해군을 쫓아낸 인조의 치세때 죽어나간 사람의 숫자가 정말 상상을 초월할 정도입니다. 인조는 아주 자기 지레짐작으로 반역이 날거 같다 생각하면 바로 옥사를 벌여서 많은 사람들을 살상했고 그 덕분에 정통성 없어 불안했던 자기 정권을 유지합니다.

  • @user-ji4vr6uf4g

    @user-ji4vr6uf4g

    3 жыл бұрын

    @@gerughigiulio9190 광해군이 죽인 사람이 몇 명인데 ㅋㅋㅋ 그딴소릴 ㅋㅋ 인조도 광해땜에 집안 박살나고 어휴

  • @zzang-mathis

    @zzang-mathis

    3 жыл бұрын

    @@gerughigiulio9190아니 이런 근거 없는 헛소리를 어디서 주워들으시는 건지. 인조가 다른 면은 몰라도 사람 살상하는 부분은 높게 평가해줄 면이 많은 사람이지만. 광해군은 권력형 살인마 그 자체인데

  • @user-tp1uk7hl2h

    @user-tp1uk7hl2h

    3 жыл бұрын

    @@gerughigiulio9190 뭐래는 거야. 광해군대 옥사가 있었고, 대북의 전횡으로 반발이 심해져 반정이 터진건데. 그 이후에 상황하고 왜 비교를 하냐?

  • @sangdodong

    @sangdodong

    3 жыл бұрын

    @@gerughigiulio9190 개소리ㅋ

  • @user-et7ss5cy1e
    @user-et7ss5cy1e2 жыл бұрын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왕 중 하나인 사람... 말년에 얼마나 씁쓸했을까

  • @user-sf4ku3bd1r
    @user-sf4ku3bd1r3 жыл бұрын

    참좋은 역사 풀이 잘들엇네요

  • @user-ii3ul9zw3w
    @user-ii3ul9zw3w3 жыл бұрын

    선조가 진짜 금을 똥으로 만드는 능력이 매우큼. 옥을 아무리 잘찾으면 뭐함. 끝에는 똥으로만들어버림

  • @shinlee1832
    @shinlee18323 жыл бұрын

    누가 뭐래도 인조보다는 나은 국왕이었지

  • @wlsdud2810
    @wlsdud28103 жыл бұрын

    5:30 내 생각엔 광해군이 고변이 들어와도 허허 웃으면서 주변 아래 신하들한테 절대 의심하거나 싫은티 안내고 뒤에서 그만의 개인 정보부 만들어서 최대한 몰래 개인적으로 조사 해서 진위를 가려내고 상대 공격에 덫을 파놓고 대비를 하는게 더 좋지 않았나 싶다..

  • @eegg8808
    @eegg88083 жыл бұрын

    아이들이 상장할때 부모의 역할이 정말 중요한 예

  • @enlightenmentlife39
    @enlightenmentlife39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말씀이 깊이 와닿는군요. 지도자가 자기 역할을 제대로 못했을때..그리고 모두가 지도자 탓만을 하면서 잘못된 판단을 할때...그것을 우리는 최근에 경험했다고 봅니다. 그러면서 국민도 정신을 차려야 하겠죠. 미국의 어느 대통령이 국가가 자신에게 무엇을 해주는가를 생각하지 말고 내가 국가를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까를 생각하라는 말이 생각나는군요. 가장 정상적인 말이 통용이 되기 어려운 세상이군요. 답은 멀리 있지 않다는 생각입니다.

  • @user-lu8ts5xe6l
    @user-lu8ts5xe6l3 жыл бұрын

    선조가 아들한테 쓰잘데기없는 자격지심을 느끼지않고 잘 대했다면..

  • @user-fk9jw9eu4p
    @user-fk9jw9eu4p3 жыл бұрын

    잘보고 갑니다~

  • @user-wt7nu3ry7y
    @user-wt7nu3ry7y3 жыл бұрын

    '한 지도자가 책무를 감당하지 못했을때 그리고 계속 지도자만을 탓하면서 모두가 잘못된 판단을 했을때 그 비극은 밀어닥칠 수 밖에 없었다' 지금 2021년 대한민국에도 해당되는 일이겠네요 ^^

  • @user-wx4xv7ty3e
    @user-wx4xv7ty3e Жыл бұрын

    이런 논리면 이방원은 세조는 정말 폭군이다 영창을 살려놓으면 너무 위험하니 왕권을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하나

  • @user-ij2dm7lj7q
    @user-ij2dm7lj7q3 жыл бұрын

    인목대비의 욕심과 질투가 결국에는 자신의 아들인 영창대군까지도 죽인 것도 있지

  • @ganzzii_nanda

    @ganzzii_nanda

    3 жыл бұрын

    @@andythiel9777 ?????존나 갑자기...?

  • @user-fe8ll2kl5z

    @user-fe8ll2kl5z

    3 жыл бұрын

    이정도면 병인데...

  • @maxlevel8370

    @maxlevel8370

    3 жыл бұрын

    @@andythiel9777 여기서 존나 갑자기?? 라는 말이 나올 수 밖에 없는게 물론 나도 남자고 사회가 남녀갈등을 겪으며 돌아가는건 사실이지만 이영상과 전혀 무관한 이야기니깐 그렇죠;; 계속 이렇게 끝없이 성별을 가지고 토론을하니 사회가 이모양이죠... 어떤 성의 잘잘못을 가리는게 아니라 서로 이해하고 타협을 봐야지 좋은 사회를 만들 수 있는겁니다..

  • @user-kf1gr9oz3b

    @user-kf1gr9oz3b

    3 жыл бұрын

    @@andythiel9777 ㅋㅋㅋㅋ피해의식도 가지가지다 ㅋㅋㅋ살인자는 그냥 욕하는 글이 대다수인데 ㅋㅋ 뭔 그게 베스트야 ㅋㅋ 하다못해 고유정 기사에 고유정이 왜 그랬는지 원인 파악하는 댓글 본 적 있냐? 단 한 번도 못 봄.근데 뭔 여자 범죄자는 감싸준다는 듯이 ㅈ.ㄹ이야 ㅋㅋㅋ 그리고 여기도 대다수는 그 광해군이 왜 그리 됐는지에 대해 말하고 있고 그게 월등히 추천수도 많다 ㅋㅋㅋ 지 편한대로 해석하고 사는 것 봐 ㅋㅋㅋ 영아 어쩌고 하는 거 보니 산후우울증에 아이도 살해하고 본인도 자살하는 그런 사례에 베스트 보고 지 편한대로 해석 하나 본데 그런 식으로 따지면 아빠가 정신지체 아들 죽이고 본인 스스로도 자살하면 대부분 니가 말한 반응 나온다. 맥락 파악 못 하고 여자는~~이러고 앉았네. 엄여인. 고유정 대표적인 여자 살인범들 기사,유튜브 찾아봐라. 왜 저리됐나 알려고 하는 댓글 있는지 찾아 보시라고 ㅋㅋㅋ 다 욕하느라 바쁘지. 그게 당연한 거고 ㅉㅉ 그놈의 남녀 남녀 징글징글해 죽겠네 하다못해 이젠 광해군에 관한 유튜브에서도 ㅋㅋㅋㅋ남자 여자를 찾고 앉았네

  • @user-yi9me6bz7o

    @user-yi9me6bz7o

    3 жыл бұрын

    @@andythiel9777 여자건 남자건 다 똑같이 대해요. 하고싶은말이 뭔데요. 남자의 허물은 또 뭔소리임?

  • @litey3227
    @litey32272 жыл бұрын

    형제를 죽여서 폭군이라면 조선시대 왕중 폭운 아닌 왕이 몇이나 될까? 태종도 그렇고

  • @user-ny1dy7fh2z
    @user-ny1dy7fh2z3 жыл бұрын

    네티즌들에겐 뛰어난 성군이지만 이미 역사학적으론 굉장히 비판받는 이중적인 군주. 광해군이 이렇게 후한평가를 받는 이유는 두가지 1. 영화 광해. 2. 선조와 인조 사이에 존재.

  • @user-et3mf1jd7y
    @user-et3mf1jd7y3 жыл бұрын

    2:20 와 선조 ㄹㅇ

  • @user-hq7dx6yv8h
    @user-hq7dx6yv8h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강의 잘 하시네요~

  • @stern121
    @stern1213 жыл бұрын

    4:46 선조실록...'내 뜻을 몸받아라'는 본받아라의 오타인건지 아니면 옛 말에 '몸받다' 라는게 있는지 궁금하네. 오타 하나하나 트집잡으려는건 아니고 혹시 다른 말이 있는건지가 궁금해서요..

  • @user-yt7zb7xt9s

    @user-yt7zb7xt9s

    3 жыл бұрын

    @@user-uh6dt6fo8l 고맙습니다 ~~^^

  • @YSCh01-xj8vz

    @YSCh01-xj8vz

    3 жыл бұрын

    오호~~

  • @BianJinyan
    @BianJinyan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jaytoonyi
    @jaytoonyi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에 대해 몰랐던 부분을 알게되머 뜻깊은 시간이였습니다

  • @kitsxh
    @kitsxh3 жыл бұрын

    심작가님 너무 재밌어요 좋아요수가 잘 안나와서 업로드 그만두실까 봐 겁날 정도로 재밌어요 계속 올려주세요 작가님 책도 읽어볼게요

  • @dawn3127
    @dawn31273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 당시 광해는 젊은 정도가 아니라 고딩나이 였을텐데... 정말 왕재였는데 안타깝네요

  • @fakerlove
    @fakerlove3 жыл бұрын

    다들공부잘하네..알고리즘타고 학계의 점심에 왔구만

  • @user-bl1vc2no7t
    @user-bl1vc2no7t3 жыл бұрын

    현대에 와서 광해군의 경우 무슨 성군인데 간신들한테 쫒겨난 것처럼 묘사되는 경우가 많지만 제 생각이지만 결국은 청나라는 외세에 무릎꿇는 등 온갖 실정을 거듭했던 인조에 반사된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 @galbom2
    @galbom23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미지네요

  • @hoo1211
    @hoo12113 жыл бұрын

    너무 슬프다...ㅠㅠ

  • @user-oc2kn5cz3d
    @user-oc2kn5cz3d2 жыл бұрын

    저는 광해를 폭군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폐모살제는 당연히 잘못된 행동이 맞지만 명의 파병요구를 강홍립을 통해 적절히 대처하고 대동법시행 허준을 살려두어 동의보감 완성등 위대한 업적도 많고 그당시 서인과 남인이 너무나 명을 숭상한것과 대동법시행으로 인한 직접적인 본인들이 피해를 우려해 인조반정을 한것이라고 저는 개인적으로 생각해요 이후 인조가 선조의 업적을 올려치기 했듯이 광해를 내려치기한 부분도 많을거라고 생각합니다

  • @MJ-xw7vs
    @MJ-xw7vs2 жыл бұрын

    저는 광해가 성군이었다고 생각해요 유일하게 연산군이랑 비교된다는게 씁쓸했거든요 인조나 선조도 조로 불리는데.. 광해는 왜 군이야? 왜? 이런생각도 들구요..사람을 많이 죽였다 하는데 조선시대 왕들은 다 그랬던거 같아서 구분짓기가 좀 어려운거 같아요 사람은 완벽하지 않으니까 주변 사람들이 워낙 최악이라 마지막엔 믿을수 조차 없게된 그의 삶이 안타깝게 느껴져요

  • @zzangGuV_V
    @zzangGuV_V3 жыл бұрын

    전쟁의 PTSD를 겪던 게 아니었을까

  • @user-ih3sq9uf7d
    @user-ih3sq9uf7d Жыл бұрын

    국사를 심도있게 배웠다고생각하는데 중립외교가 가장 실질적인 반정의 이유라고 배웠습니다. 폐모살제는 명분이구요. 성리학의 이기론에서 이(사물의 본질)는 중국, 기(쓸모없는 것)는 후금으로 생각하였으며 자신들은 소중국(작은 중국)으로 칭할 정도로 중국이라는 나라를 신격화했으며 이에 후금으로부터 위협받는 명나라의 편을 들지않고 실리외교를 구사했던 광해군을 사대부들 입장에서는 도저히 용납되지않았다는 이유가 가장 크다고 배웠는데 이런 큰 이유들도 있었네요. 많이 배우고갑니다.

  • @wootaekjeong5027
    @wootaekjeong50273 жыл бұрын

    경쟁을 통해 선출되는 게 아니라 세습제이다 보니 지도자가 되기에는 좋은 인재보다 나쁜 인재가 더 많았던 것 같다. 역시 공화제가 답이다.

  • @user-hf7vi4nk8k
    @user-hf7vi4nk8k3 жыл бұрын

    다 죽이다가 마지막에 현타 와서 진짜로 죽여야 할 때를 놓쳐서 쫓겨나버렸네요 아쉽

  • @user-ul2xp5tp7u
    @user-ul2xp5tp7u3 жыл бұрын

    요즘 같은 시기에 딱 어울리는 방송입니다

  • @doubleplay06
    @doubleplay063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은 약간 다릅니다. 솔직히 폐모살제....는 크게 중요한 부분은 아니었다고 보여집니다. 결정적인 명분을 제공한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들고요. 선조의 기축옥사로 시작해서 광해군대까지 2대에 걸친 사림척살과 겹쳐서 임진왜란에도 그리 고생을 했는데 종전후에도 자기들이 정말 죽을지 모르겠다는 생각에 쿠데타, 반정의 정도가 아니라 아예 왕조가 절단나고도 이상하지 않는 상황이었을 것이라고 봅니다. 이조왕조 500년을 멀찍이서 크게 보면... 역시 선조가 결정적인 하강변곡점을 제공한 것이 틀림없습니다. 유림세력도 더 이상 왕을 신뢰하진 않게 되니깐요. 무서워하더라도(복종) 충성하지는 않죠...

  • @user-wn4zv2vc5k
    @user-wn4zv2vc5k3 жыл бұрын

    역사는 이긴사람이 좋게쓰이고 지는사람이 나쁘게쓰이는겁니다. 광해군은 역사하고 다르게 실제로는 성군이었을수도 있고 좋은군주일수도있죠 이후의 인조이야기를 본다면요. 그리고 과거의행적과

  • @user-ig3kg7oe3i
    @user-ig3kg7oe3i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이 계속 왕좌에 있었으면 삼전도의 굴욕은 일어나지 않았을것인데..

  • @doradoradolpari
    @doradoradolpari3 жыл бұрын

    다른 편들도 보면서 느끼지만 참 선택적 유교국가임 조선은...

  • @user-rf5zc8if2b
    @user-rf5zc8if2b3 жыл бұрын

    대부분의 사람들은 보스를 잡기전에 잡몹들을 다 처리하고 잡습니다 청의 입장에선 명과 전쟁전에 주변정리는 필연적이었을듯

  • @paul-ik6zt
    @paul-ik6zt3 жыл бұрын

    이 프로 완전 사랑합니다

  • @ssr_seoda
    @ssr_seoda3 жыл бұрын

    작가님 매번 감사합니다~ 잘보고 듣고 있어요!!

  • @user-bb8tr7li3o

    @user-bb8tr7li3o

    3 жыл бұрын

    프사 님이에요? 이쁘시다 저랑 사귀실?

  • @user-ii2xg1ny1r
    @user-ii2xg1ny1r3 жыл бұрын

    설민석을 보고나서 이런 역사이야기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어디까지가 뇌피셜인지...

  • @kmsg816

    @kmsg816

    3 жыл бұрын

    실록이 날조된게 아닌 이상 저거 다 맞는 기록임. 역사책에서 일반적으로 다뤄지는 일반적인 사실들만 소개됐음

  • @user-gh2dn3oc7v

    @user-gh2dn3oc7v

    Жыл бұрын

    @@kmsg816 선조실록 이후 실록 기록은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면 안됩니다. 선조실록(북인), 선조수정실록(서인), 광해군일기(서인), 현종실록(남인), 현종개수실록(서인), 숙종실록(노론), 숙종실록보궐정오(소론), 경종실록(소론), 경종수정실록(노론) 1. 선조실록을 국역한 강대걸 박사님 코멘트: 당쟁이 일어나기 이전의 실록은 비교적 직필(直筆)로 공정하게 편찬되었으나, 당론(黨論)이 발생한 이후의 실록은 당시 정권을 잡고있던 당파에는 유리하고 반대편 당에는 불리하게 기록되는 등 기사 내용의 공정성과 시비곡직이 불분명한 곳이 적지 않았다. 따라서 반대당이 집권을 하게 되면 이를 수정하여 다른 실록을 편찬하는 경우가 있게 되었는데, [선조수정실록]이 그 효시를 이루었고, 뒤에 [현종개수실록]과 [경종개수실록]이 편찬 된 것도 같은 이유이다. 2. 광해군일기와 효종실록을 국역한 임승표 박사님 코멘트: 광해군일기는 이괄의 난으로 초초본의 기초사료(승정원일기, 시정기)의 90% 이상 산실되어 다른 실록과는 다르게 턱없이 부족한 초초본을 메우기 위해 사대부가에 소장하고 있는 일기, 장소, 조보, 야사 및 문집 등을 수집하여 편찬되었다. 인조반정에 의하여 집권한 서인에 의하여 광해군일기가 편찬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주관이 상당 부분 작용하였다는 점을 충분히 감안해야 함. 그러므로 [광해군일기]는 사료 비판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3. 숙종실록을 국역한 이재호 박사님 코멘트: 소론이 정권을 잡은 후, 노론이 편찬한 숙종실록은 당연히 기재하여야 할 기사도 노론에게 불리하면 이를 빼고 혹은 고의로 왜곡시킨 기록도 있다고 하여 실록을 개수(改修)하려고 했으나, 개수 작업은 용이한 일이 아니므로, 각 권말에 빠진 기사를 보입하고 왜곡된 부분을 바로잡는다는 이른바 보궐정오를 붙이기로 결정하고, 보궐정오를 편찬하였다. 4. 경종실록을 국역한 이재호 박사님 코멘트: 경종수정실록은 경종실록의 잘못된 부분을 다시 수정 편찬한 기록이라서 경종실록에 기록된 노론에게 불리한 기사는 대부분 삭제 수정된 반면에 상대적으로 소론에게 불리한 기사가 많이 기록되어 있다. [결론] 당쟁이 격화되면서 권력을 잡은 당이 편찬한 실록은 왜곡이 적지 않았으며, 선조수정실록 이후 부터의 실록들은 승자의 기록임을 충분히 감안해서 접근해야 한다고 조선왕조실록을 국역한 학자분들께서도 이구동성으로 말씀하십니다. 즉, 승자의 기록임을 충분히 감안해서 접근해야 합니다.

  • @user-po3yj1gr8e
    @user-po3yj1gr8e2 жыл бұрын

    재밌당

  • @user-mb3qh5rt2x
    @user-mb3qh5rt2x2 жыл бұрын

    인조 반정후 쓰여진 사료바탕인가요? 알던바와다르네요. 근거귱금합니다

  • @gerughigiulio9190
    @gerughigiulio9190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이 영창대군을 살해했다는 설을 제기한 사람이 누구인지 실록에는 이렇게 증언... ☞ 어떤 사람... 그럼에도 영창대군의 증살설을 마치 사실인것처럼 떠벌리는 사극들이 참 한심...

  • @boring4088

    @boring4088

    3 жыл бұрын

    늘 승리자의 기록

  • @user-tp1uk7hl2h

    @user-tp1uk7hl2h

    3 жыл бұрын

    그렇다고 광해군이 사주하지 않았다고 볼 수도 없음.

  • @no__snow

    @no__snow

    3 жыл бұрын

    언제나 신료들의 모함에 왕들이 놀아난 것 같아요 결국 그 책임은 왕이...

  • @user-yo4vg1lm3h
    @user-yo4vg1lm3h3 жыл бұрын

    1:16 오리 이원익대감은 진짜 조선사 정승중에서 황희대감이나 체제공대감 같은 분들에게 뒤지지 않을정도 굉장한분입니다. 무려 이원익대감이 겪은 왕이 선,광,인... 왜란 똥치우고 광해군 똥치우고 노인이 되서도 (정묘)호란 똥치웠던분임...

  • @user-lh9sr6zx4f
    @user-lh9sr6zx4f Жыл бұрын

    선조가 광해군에게만 심각한 아동학대함 어미배 찢고 나온 놈이라고 반면 형은 연쇄살인마인데 선조가 애지중지 편애하고 방관하고 보호함 광해군 외엔 왕의 재목이 없었음

  • @ojisten
    @ojisten Жыл бұрын

    연산군 Vs 광해군 누가 더 심한가요

  • @user-ix8ue2lx2y
    @user-ix8ue2lx2y3 жыл бұрын

    이 와중에 레전드 오브 개ㅅㄲ 임해군이 광해군의 형이있구나

  • @user-zh7qm6tr7m

    @user-zh7qm6tr7m

    3 жыл бұрын

    @@swithannah0114 그...임해군 성격이....좀...그래요...유튜브에 임해군쳐보셈...

  • @LMinkyu
    @LMinkyu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이 태종처럼 치밀하고 강철멘탈이었다면 계속 왕을 할 수 있지않았을까

  • @user-go5zi6hn1c
    @user-go5zi6hn1c Жыл бұрын

    앞이 선조고 뒤가 인조인데 둘다 뒤에 조를 붙혀주면서 어케 광해가 폭군인가요? 그냥 상식적으로 뭔가 잘못된거 아닌가요?

  • @user-tq6fc9oo7s
    @user-tq6fc9oo7s2 жыл бұрын

    배경음악 소리를 좀 줄였으면 좋겠습니다 내용이 잘 안들리는군요 감사합니다 💕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