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연봉 도대체 얼마나 불러야 할까? (이력서 기재, 면접 답변, 연봉협상 팁)

#희망연봉 #연봉협상 #연봉협상팁
경력 이직 연봉협상 과정의 첫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희망연봉 책정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많은 분들이 희망연봉을 어떻게, 얼마나 불러야 할 지 고민합니다.
너무 많이 불렀다가 안좋게 보면 어떡하지? 너무 적게 불렀다가 받을 돈도 못받으면 어떡하지?
이런 걱정을 하실 수 있을 텐데요. 이번 영상에서 희망연봉에 대한 모든 것을 정리했습니다.
이력서에 희망연봉 적기 전에,
면접 들어가기 전에,
최종면접 합격 후 회사에 희망연봉 제출하기 전에,
이 영상을 꼭 보고 가시면 분명히 도움이 되실 겁니다.
0:44 1. 희망연봉 넉넉하게 부르자. (희망연봉 적정수준, 금액, 퍼센트)
1:10 2. 너무 많이 부르는게 아닐까? (채용취소, 협상결렬 가능성)
1:59 3. 연봉인상의 기준 금액 (총연봉의 개념)
3:15 4. 면접 희망연봉 답변방법, 헤드헌터 대응방법
4:19 5. 희망연봉 생각보다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연봉협상 팁)
#적정연봉 #희망연봉금액 #희망연봉수준 #희망연봉얼마 #연봉얼마 #이력서희망연봉 #면접희망연봉 #인사팀희망연봉

Пікірлер: 21

  • @bettersalary
    @bettersalary2 ай бұрын

    해 볼만큼 다 해봐야 후회가 남지 않습니다 (이직 연봉협상 컨설팅) kzread.info/dash/bejne/h6eusKiReKWvgpM.html

  • @AlexanderArd
    @AlexanderArd4 күн бұрын

    오늘 최종합격 통보를 받았습니다. 제가 기본금에서 +500으로 연봉으로, 희망 연봉은 기본급 기준 12%정도로 불렀습니다. 다만 회사에서 성과금이랑 식대를 500이나 생각하지는 않았을텐데 기본급애서 12%정도 불렀다고 결렬이나 취소하진 않겠죠??? 말그대로 희망이었고, 면접볼때 회사내규에 따른다고는 했거든요

  • @bettersalary

    @bettersalary

    4 күн бұрын

    네 단순히 부른 것 만을 이유로 채용취소나 결렬을 선언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어요. 차분하게 회사쪽 피드백을 기다려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응원하겠습니다!

  • @visittram6904
    @visittram69043 ай бұрын

    대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이직 준비중인데 현재연봉보다 옮기려는 곳의 테이블이 낮아서 연봉협상에 어려움을 두고 있습니다. 이럴때 반전카드가 뭐가 있을까요?

  • @bettersalary

    @bettersalary

    3 ай бұрын

    테이블이 낮다는게 추측이신건자 실제 제안받은 금액이 낮은건지는 확인해봐야하겠지만 기본적으로 전 직장 연봉 대비 상향이 아니라면 합격자에게 더 명분이 있습니다. 어떤 카드가 좋다기 보다 이직하면서 포기해야하는 가치를 언급하거나 제안 금액이 현재대비 비슷하거나 오히려 줄어드는 상황을 수치로 제시하면 재검토 요청하시는게 좋습니다. 필요시 연락주시면 코칭 가능합니다.

  • @1_1_30
    @1_1_30Ай бұрын

    처음에는 20% 이상 부르라고 하셨는데, 이후에는 정확한 금액을 부르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최종 면접에서 물어보는 경우, 어떻게 대답해야할까요? 20%는 맞지만 '중반'이런식으로 말해야 될까요?

  • @bettersalary

    @bettersalary

    Ай бұрын

    최종 면접에서 물어볼 때는 최대한 답을 회피하세요. 현재 연봉대비 상향을 희망하지만 구체적으로 생각해보지 않았다고 하시면 좋습니다. 만약 집요하게 물어봐서 구체적인 수준을 얘기 안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그때는 20% 이상 인상 희망한다고 하시고요. 그 기준을 절대 구체적으로(계약연봉 기준으로.. 성과급 포함해서.. 등등) 얘기하지는 마시고 그냥 두루뭉실하게 얘기하세요.

  • @1_1_30

    @1_1_30

    Ай бұрын

    넵 답변 감사합니다. 집요하게 물어볼때도 금액을 말하지말고 20% 인상으로 퍼센테이지로 말하라는 말씀이시죠~?

  • @kojunseo
    @kojunseo22 күн бұрын

    제가 창립맴버로 현 직장에서 동일한 산업군(AI)내의 경력, 스펙 대비 매우 낮은 금액으로 일하다가, 다른 도전을 위해 타 기업으로 이직하려는 상황인데요. 이런 상황에서 제가 현 산업군의 평균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희망 연봉을 제시하면 현직장보다 35% 이상으로 연봉을 올려야하는 상황입니다. 이런 경우에도 전 직장의 20% 이상으로 올리기는 힘들까요?

  • @bettersalary

    @bettersalary

    22 күн бұрын

    좀 특수한 상황이어서 전 직장 수준 기준으로 무리하게 적용하진 않을 것 같습니다. 일단 부르는건 생각하시는대로 여유있게 부르셔도 괜찮습니다. 안되더라도 굳이 처음부터 낮출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kojunseo

    @kojunseo

    22 күн бұрын

    @@bettersalary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구독했습니다! 혹시 실제 협상 때 필요하면 코칭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

  • @bettersalary

    @bettersalary

    22 күн бұрын

    bit.ly/3TIiOWO 위 링크로 신청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kojunseo

    @kojunseo

    14 күн бұрын

    @@bettersalary 말씀해주신대로, 빡빡하게 몇퍼센트로 정하고 올려주진 않더라구요ㅎㅎ 현직장 대비 35% 향상 받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bettersalary

    @bettersalary

    14 күн бұрын

    @kojunseo 좋은 처우로 이직하셨네요 축하드립니다!

  • @user-mo1xz8tx1t
    @user-mo1xz8tx1t21 күн бұрын

    안녕하십니까?! 다름이아니라 이번에 신입 웹기획자로 취업을 하게 되었는데요. 첫 면접에 제대로 된 첫 정규직 회사라 그런지 면접끝나고 담날에 전화가 오전 일찍 전화가 와서 희망연봉을 물어보시더라고요. 그래서 전 생각없이 당연히 세전을 생각하는 게 맞지만 머리속에서 이정도면 될 거 같다고 세후로 생각해서 금액을 3천100만원이면 어떨까 해서 불렀는데 그게 담날에 바로 적용이 되서 전화가 와서 면접 붙었다고 하시더라고요.. 그래서 우선 계약서 보내준다고 읽고 금요일까지 서명해서 메일로 보내달라고 하셨는데 2차로 협상이 가능할까 궁금해서 여쭈어봅니다. 신입 연봉이긴 하지만 저는 그보다 더 많이 받을 수 있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그래서 인사팀 분의 개인번호가 있는데 다시 말을 해야 할지 궁금해서 댓글남겨요 ㅜ

  • @bettersalary

    @bettersalary

    21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신입의 경우 재검토 요청을 하더라도 들어주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희망연봉을 착오로 세후로 얘기한거라 하더라도 그거에 따라 회사안이 바뀌지 않을 듯합니다. 내부 기준이라면서 방어논리가 나올 가능성이 높죠. 하지만 아쉬움을 남기지 않기 위해 연락해보시는 건 괜찮습니다. 희망연봉 설명에 착오가 있었기에 혹시 희망연봉이 처우 책정에 영향을 준거라면 재검토 해주실 수 있는지 정중하게 부탁조로 얘기해보시는게 좋습니다.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yeong1719
    @yeong17192 ай бұрын

    1차에서 너무 낮게부른거같은데 500정도 다시 조정할 수 있나요?

  • @bettersalary

    @bettersalary

    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부르자마자 다시 바로 조정해서 얘기하면 번복하는 모양새로 좋지 않아 보이고 회사 제안이 오면 그때 사유를 제시하면서 상향 희망 수준을 다시 부르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 @precious274
    @precious274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많은 도움이 되는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MBA 직후 연봉인상은 몇 퍼센트 정도를 제시하면 좋을지 여쭤볼수 있을까요?

  • @bettersalary

    @bettersalary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MBA 직후라고 해서 특별히 얼마정도는 더 불러야 한다를 정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합격한 회사가 속한 산업의 임금 수준에 맞춰 이전 경력과 MBA경력이 합쳐진 산정년차를 기준으로 해당회사의 테이블 수준을 근거로 아마 제시할텐데요. 지원자는 이 정보를 알 수는 없죠. 만약 물어보지 않는다면 회사가 제안한 금액을 바탕으로 추가 재검토 요청해서 받아내는 시도를 하시고 물어봐서 대답을 해야 한다면 넉넉하게 부르는게 안전하긴 합니다. 일반적인 이직 연봉협상은 전 직장을 기준으로 협상이 진행되는데 이 경우는 전 직장 베이스로 산정하는게 아니다보니 어느정도 %를 특정하기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해당 MBA 출신 지인들 중 비슷한 산업군의 연봉 수준을 참고하여 그보다 좀 더 넉넉하게 부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precious274

    @precious274

    Ай бұрын

    @@bettersalary 네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