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make 4 times more powerful trucker's hitch?

Тәжірибелік нұсқаулар және стиль

In the last video, we learned about the scientific principles contained in the trucker's hitch, and explored various knot methods that applied it.
In this video, we will use this scientific principle to learn how to tie a 2x and 4x more powerful trucker's hitch.
This is a way to increase strength by adding the moving pulley we learned in the last video using a rope.
If you only know the principle, it is not difficult to knot, so it is helpful to use it when you need to fix heavy objects or strong binding.

Пікірлер: 77

  • @salgagi0711
    @salgagi07112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나온 유투버중 화물매듭 젤 쉽게 가르쳐주네요 감사합니다

  • @ULDDDD

    @ULDDDD

    2 жыл бұрын

    ^^ 네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지루하다는 분들도 많은데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앞으로 더 좋은 콘텐츠를 위해 노력해야죠. 화이팅!!

  • @user-tp9lr4sd3e
    @user-tp9lr4sd3e3 жыл бұрын

    오~~ 여러개를 걸 수 있는 방법이 있었군요.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 @cokeplay
    @cokeplay Жыл бұрын

    매듭학 박사님 두번 세번 반복적으로 알려주시니 이해가 잘 됩니다.

  • @ULDDDD

    @ULDDDD

    Жыл бұрын

    박사라니 부끄럽습니다. 저도 기억하기 위해서 만든 영상이니 누가 누구를 가르치기 보다는 모두 함께 배우고 기억하고 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해가 되신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fs9gc9th5l

    @user-fs9gc9th5l

    Жыл бұрын

    상세한 설명 넘감사합니다

  • @joohanlee4727
    @joohanlee47272 жыл бұрын

    2배더 하는 매듭은 처음 보았네요..! 좋은 정보 감사해요..! ^^ 😉😉😉😉😉 👍👍👍👍👍

  • @ULDDDD

    @ULDDDD

    2 жыл бұрын

    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원리적으로 설명한거라서 실 사용에서 효율성은 얼마나 될지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가끔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고맙습니다.

  • @frisebichon1519
    @frisebichon151914 күн бұрын

    진짜 설명 잘 하신다.... 도르레 원리랑 벡터의 합, 마찰까지 물리학 상식 다 나옴.. 이 분께서 설명한것. 1. 움직도르레랑 고정도르레. 밧줄을 단순 고리에 거는것은 움직도르레, 바 매듭을 만드는건 고정도르레 원리 2. 매듭을 여러개 만들어서 움직도르레 효과 극대화. 3. 마찰로 인해 한 고리에서 여러개의 움직 도르레 사용 못하는것을 설명 4 . 마찰로 매듭을 양쪽 고리에 걸었을때 힘의 방향이 백터의 합인것을 설명..

  • @ULDDDD

    @ULDDDD

    10 күн бұрын

    제 영상보다 훨씬 정리를 잘 해 주셨네요. 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듣는게 이런건가 봅니다. 시청해주시고 이렇게 정리까지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pack7677
    @pack76773 жыл бұрын

    조카들하고 도르래공부하기 좋은 방볍같아요 매듭도 배우고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 @ULDDDD

    @ULDDDD

    3 жыл бұрын

    조카 공부까지 신경쓰는 님은 정말 자상한 삼촌 혹은 고모, 이모 시군요. 저도 이걸로 애들이랑 얘기해 볼 생각은 못했네요. ^^

  • @user-dn9pb2rr4u
    @user-dn9pb2rr4u3 жыл бұрын

    고리바는 알고있었는데 여러개 하는건 생각도 못했네요 감사합니다

  • @ULDDDD

    @ULDDDD

    3 жыл бұрын

    저도 평상시에는 고리바를 잘 쓰다가, 한 번은 경운기를 싣고 가다가 고생을 한 적이 있어서 좀 더 세게 맬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보았습니다. 초등학교 때 배운 지식까지 동원하다보니 조금 조잡할 수도 있겠다 싶은데... 효과는 짱입니다. 잘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ki7cw4cd2w
    @user-ki7cw4cd2w2 жыл бұрын

    요즘 매듭 배우는 중에 이런 유용한 팁을 알게 되는군요. 잘 사용하도록 할께요. 감사합니다.새해복 많이받으세요.

  • @ULDDDD

    @ULDDDD

    2 жыл бұрын

    실 사용에서는 그닥 쓸일이 많지는 않은데 한 번씩 쓰일 때가 있기는 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yanghieyeon6924
    @yanghieyeon6924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자주 사용하지 않으니까 배워도 잊게되는데 원리를 배우니 잊지 않겠네요. 잘 봤습니다.

  • @ULDDDD

    @ULDDDD

    3 жыл бұрын

    네 잘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저도 영상까지 찍었지만 간혹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 그 때마다 영상을 돌려보시면 됩니다 ^^

  • @user-br3os7sn7v
    @user-br3os7sn7v2 жыл бұрын

    잘 배워가지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LDDDD

    @ULDDDD

    2 жыл бұрын

    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destinyw8246
    @destinyw8246 Жыл бұрын

    잼있어요~~ 저는 한번해서 사용했었는데 2-3번 연속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생각도 못했네요...잘배웠어요~~^^

  • @ULDDDD

    @ULDDDD

    Жыл бұрын

    ㅎㅎ 저도 기계 같은거 실을 때나 씁니다. 평소에는 그냥 매듭만 해도 충분해서 말이죠.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apjaruworld9408
    @sapjaruworld9408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잘보고갑니다~

  • @ULDDDD

    @ULDDDD

    3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

  • @user-mn7su7rj2q
    @user-mn7su7rj2q11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 @ULDDDD

    @ULDDDD

    10 ай бұрын

    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SJ-mt1xz
    @SJ-mt1xz2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시네요..활용도가 많을듯 합니다.😀

  • @ULDDDD

    @ULDDDD

    2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영상에서도 밝혔지만 그렇게 많이 쓰이는 매듭은 아닙니다. 다만 고리바 매듭의 원리를 이해하기에 좋고 또 중량물을 부득이하게 묶어야 할 때 도움이 됩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GYUBAEK100
    @GYUBAEK1003 жыл бұрын

    짐 뿐만이 아니라 미운놈 꽁꽁 묶을 때 유용할 것 같습니다. 잘 봤습니다.

  • @ULDDDD

    @ULDDDD

    3 жыл бұрын

    뭐 얼마나 미운놈이 있으시길래 저리도 강력한 매듭으로 묶으시려는지... 궁금하네요. 간단하게 리본정도로 묶어주시는게 좋은듯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yb7uy5kd8e
    @user-yb7uy5kd8e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LDDDD

    @ULDDDD

    2 жыл бұрын

    네 영상봐주셔서 저도 감사드려요.

  • @user-sl5cg8xr5e
    @user-sl5cg8xr5e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LDDDD

    @ULDDDD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fb3mp3vn7g
    @user-fb3mp3vn7g3 жыл бұрын

    많이봐도 못했는데 자세한 설명으로 할수있을거 같네요

  • @ULDDDD

    @ULDDDD

    3 жыл бұрын

    저도 영상은 찍었지만 오래 안쓰다가 다시 하려고 하면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 많이 해서 몸으로 익히는 방법밖에는 없는것 같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xg2jt8gm9g
    @user-xg2jt8gm9g11 ай бұрын

    멋지네요 ㅎ

  • @ULDDDD

    @ULDDDD

    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pk1qb3vl8g
    @user-pk1qb3vl8g2 жыл бұрын

    흔히 8자엮기라고 하는데요. 로프를 옆에 두고 눈 감고도 할 수 있을때까지 연습에 연습을 해야 잊어버리지 않습니다. 처음 고리 만들때 밑에 도르래 역할하는 고리가 생기는데 이 부분을 보면 한쪽 방향으로 자동으로 돌아가는걸 볼수 있는데요. 이때 이 모양이 8자 모양이 됩니다. 그래서 보통 8자 엮기라고 합니다. 이 고리가 잘 만들어지면 구멍을 지나 로프를 걸때 고리를 안 잡고 있어도 풀리지 않습니다. 또한 위쪽으로 고리를 만들어야 힘이 잘 먹힙니다. 영상에서 보시듯이 중요한건, 로프를 옆에 두고 수시로 연습하는 겁니다. 반대편도 한번 더 묶어주면 좀 더 안정적이겠죠? 한쪽으로 짐이 쏠리는걸 방지하기 위함이죠. -전직 화물차 기사-

  • @ULDDDD

    @ULDDDD

    2 жыл бұрын

    우와... 전문가분께서 설명해주시니 이해가 잘 되네요. 말씀하신 대로 연습에 연습, 실전에 실전을 거듭해야 내것이 되는 것 같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 @user-xq5hd4wd5h
    @user-xq5hd4wd5h11 ай бұрын

    고리가 풀리면 위의 고리를 원 줄에 한번 묶어요 그리고 밑에고리를 꼬지 마세요 고리바로 화물을 묶어서 가다가 위험에 처했을때 바로 풀어지질 않아요 그리고 2고리 3리고리 해서 당기면 차도 끌려와요 옛날에 무거운 물건을 달아 올릴때 사용 하던 방식입니다 지엠시 산에서 원목 싣고 내릴때 고리바로 사용 했지요 약한바는 두번 감지만 안전바 만큼굵은 바는 한번만 감아요

  • @ULDDDD

    @ULDDDD

    10 ай бұрын

    아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아래 줄을 꼬지 않아도 풀리지 않는 방법이 있군요. 저도 한 번 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ThisVeryLife
    @ThisVeryLife Жыл бұрын

    이거 사회생활하면서 엄청 도움되는 기술입니다. 물론 모두가 사무직하고 기술 개발하고 그럼 좋겠지만 제조업이랑 뭔가 연관이 있다?! 그럼 무조건 필요한 기술이라 신입인데 저거 척척척하면 우오오하는 그런 광경을 볼 수 있습니다.

  • @ULDDDD

    @ULDDDD

    Жыл бұрын

    좋은 글 감사합니다. 노동이 가치있는 일이되고 존중받기를 저도 기원합니다.

  • @vladimirmelnik6289
    @vladimirmelnik6289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로프로 체인 호이스트를 만드는 방법을 보고 싶었습니다. 니 영상에서 다 봤어.. 언어는 몰라도... 😉👍👌👏

  • @ULDDDD

    @ULDDDD

    2 жыл бұрын

    제가 더 감사합니다 Are you Rusian?

  • @vladimirmelnik6289

    @vladimirmelnik6289

    2 жыл бұрын

    @@ULDDDD Ukraine

  • @rnral5365
    @rnral536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과쪽으로 공부 많이 하신 분이신듯 합니다~~~~

  • @ULDDDD

    @ULDDDD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대를 다니기는 했는데 공부는 지지리 못했습니다. 대신 관심이 많고 뭔가 해보기를 좋아하는 편입니다.

  • @user-ghj3d8dgh
    @user-ghj3d8dgh Жыл бұрын

    10:20 에 나오는 고정도르래3개와 움직도르래 3개로 연결된 복합도르래 힘은 한 줄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힘은 (1/2)^3=1/8이 아니라 움직도르래 하나당 1/2이라 1/(2*3)=1/6입니다. 과학은 정확한 계산이 원칙입니다.

  • @ULDDDD

    @ULDDDD

    Жыл бұрын

    에구 어설픈 제 지식이 들통나버렸네요. ㅎㅎ. 정확한 지적 감사드립니다. 다음 부터는 좀 더 정확한 계산으로 영상을 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 @user-sz5cy4xx9w
    @user-sz5cy4xx9w Жыл бұрын

    월리 가위 못쓰는것으로 즉 가위는 이러한 공구를 만드라는 힌트를 드림니다 오른쪽과 왠쪽이 끈어진줄을 이용하여 당기면 아주 강하게

  • @ULDDDD

    @ULDDDD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od2dl9gg3l
    @user-od2dl9gg3l Жыл бұрын

    힘의 방향과 크기가 있음으로 벡터가 맞습니다.

  • @ULDDDD

    @ULDDDD

    Жыл бұрын

    네 깔끔하게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wtsnu
    @wtsnu Жыл бұрын

    최고 멋집니다.( >∇< )

  • @ULDDDD

    @ULDDDD

    Жыл бұрын

    좋게 잘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좋은 영상으로 찾아뵐께요 ㅎㅎㅎ

  • @user-peterpan
    @user-peterpan2 жыл бұрын

    매듭 영상 여러개 봤지만 이 방법과 설명은 최고... 다만 영상 길이만 좀 줄이고 핵심만 추렸으면...

  • @ULDDDD

    @ULDDDD

    2 жыл бұрын

    영상 시청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제가 할 말도 많은데다 말까지 느려터져서 자꾸 시간만 길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치려고 열심히 노력하고 있는데 편집하다보면 또 찍은게 아까워서 점점 길어지고 그러네요. 말씀해 주신대로 핵심만 추려서 좀 간결하게 영상을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 좋은 말씀도 감사합니다.

  • @gombaefarm
    @gombaefarm3 жыл бұрын

    40배 더 강해진것 같아요!!

  • @ULDDDD

    @ULDDDD

    3 жыл бұрын

    40배 고맙습니다. ^^ 좋은 한 주 되세요.

  • @user-uq1ry6ty3f
    @user-uq1ry6ty3f3 жыл бұрын

    문과는 상상도 못한 방법

  • @ULDDDD

    @ULDDDD

    3 жыл бұрын

    네 저는 수학 잘 못하는 이과네요 ㅋㅋㅋ

  • @korea_nice
    @korea_nice2 жыл бұрын

    와 신기하다 근대 현실에선.. 어이 김씨 거기 뭐하는거야 매듭하나 매는데 비켜 비켜

  • @ULDDDD

    @ULDDDD

    2 жыл бұрын

    ㅋㅋ 100% 공감합니다. 비켜비켜 소리가 제 귀에 들리는것 같네요. 저도 김씨라서요 ^^. 사실 현장은 뭔가 몰라서 못한다기 보다는 늘 시간과 마감에 바쁘게 움직이다보니 '하던대로' 가 맞는것 같습니다.

  • @user-pu4bh4ib2s
    @user-pu4bh4ib2s2 жыл бұрын

    잘활용할수잏을것같아요

  • @ULDDDD

    @ULDDDD

    2 жыл бұрын

    네 평소에는 그냥 고리바만 치셔도 되는데 저도 중량물을 실을 때만 활용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tn9cq7vc8n
    @user-tn9cq7vc8n11 ай бұрын

    원줄이 한가닥인데 자꾸 당기면 한계치에 도달해서 첫부분이 끊어집니다

  • @ULDDDD

    @ULDDDD

    11 ай бұрын

    네 맞는 말씀입니다. 원줄이 끊어지지 않을만큼 당겨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jongrolee6084
    @jongrolee60842 жыл бұрын

    매듭은 다 좋은데 까먹는게 문제임 ㅠㅠ

  • @ULDDDD

    @ULDDDD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저도 그래서 제 영상을 수시로 보고 있습니다 ^^

  • @user-qt4eo4uf1k
    @user-qt4eo4uf1k2 жыл бұрын

    밧줄을 묶는법을 올리는 유튜브가 많은데.대부분 비전문가(화물을업으로하지않는 사람)는 줄의 마찰에의한 줄의 손상을 무시하는데 이번영상은 줄의힘은 2배 4배보다 약하고 줄의 손상은 2배 4배이상 더 크지는것입니다.한두번 사용은 몰라도 계속적으로 오래사용하는줄은 저는 절대 안합니다

  • @ULDDDD

    @ULDDDD

    2 жыл бұрын

    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저도 영상에서 로프의 마찰에 대해서 언급하였는데 실제로 매듭을 매보면 로프의 정렬 상태에 따라서 생각보다 마찰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는 보았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자주 쓰는 방법을 될 수 없으며 간혹 아주 큰 힘이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 사용하면 괜찮을 것 같아서 영상을 제작해보았습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user-wz9lf1im3k
    @user-wz9lf1im3k2 жыл бұрын

  • @ULDDDD

    @ULDDDD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wy2pq6qf2p
    @user-wy2pq6qf2pАй бұрын

    연습하실때는 박스를 뒤집어서 하셔야 찌그러짐이 없을거 같은데요

  • @ULDDDD

    @ULDDDD

    Ай бұрын

    ㅎㅎ 네 연습할 때는 뒤집어서 !! 근데 뒤집어도 찌그러지기는 마찬가지더라고요. 좀 덜할 뿐. 감사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