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are Skyscrapers Built? Principles of Ingenious High-Rise Construction!

#HighRiseBuilding #Architecture #Skyscraper
How were skyscrapers around the world built?
Easy explanation of the principle behind high-rise construction!

Пікірлер: 662

  • @user-mp4wf9og2u
    @user-mp4wf9og2u2 жыл бұрын

    진짜 교육은... 누가 가르치냐에 따라 다른가봐....건축이 이렇게 재밌는 분야였다고?

  • @user-lv6jy2in8u

    @user-lv6jy2in8u

    2 жыл бұрын

    물론 그런 것도 있겠지만.. 강단에 서실 때는 다르겠죠. 전공책 한챕터는 진도 나가야 되니까 빡빡하게 이론수업 하시겠죠 ㅎㅎ 진짜 빡빡하고 어려워했던 자기 학과 교수님도, 교양 들어가면 또 재밌게 가르치거든요. 악명높은 F학점 폭격기도 타과생들한테는 천사일 수 있거든요. 우리가 교양 삼아서 재미 삼아서 들으니까 그렇지 전공으로 공부하면, 진짜 힘듭니다 모든 학문이.

  • @liya8664

    @liya8664

    2 жыл бұрын

    철학이나 역사도, 위와 같이 유튜브 하는거나 다큐 같은거 보면 재밌어요. 재밌게 푼 책들도 굉장히 많구요. 철학책 되게 좋아해서.... 그런데 대학 교양수업에서 철학이나 역사 들으면 머리 쥐나요^^ 철학 B- 받았었음

  • @user-wi4pj4hk4z

    @user-wi4pj4hk4z

    2 жыл бұрын

    이건 흥미위주의 사건들을 얘기하는 거고 전공지식은 오직 공식 공식 공식임 그래서 아무리 재밌는 교수, 강사라 해도 전공 강의를 할 때는 지루할 수 밖에 없음

  • @user-jm2ev3jc2o

    @user-jm2ev3jc2o

    2 жыл бұрын

    흠... 지금 이 영상에서 설명하시는건 '가르친다'의 개념은 아닌것 같아요. 건축을 1도 모르는 사람들에게 흥미를 유발할 정도의 맛보기 설명만 하시는거죠. 실제 건축과 수업이 저럴거라고 생각하시는건 아니죠?ㅎㅎ

  • @frisebichon1519

    @frisebichon1519

    2 жыл бұрын

    친척분이 내가 다니는 대학 유기화학 교수님이셨는데 수업 재미없기로 유명했음. 근데 그분이랑 사석에서 만나서 대화하면 엄청 재미있고 유쾌한 분이셨음..

  • @user-gn1jw2bi8w
    @user-gn1jw2bi8w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은 어떻게 보면 심오할 수 있는 주제를 비전공자도 항상 가깝게 느낄 수 있게 설명해 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user-bs3cu4hg6n

    @user-bs3cu4hg6n

    2 жыл бұрын

    그게 바로 교수우우우우

  • @brookeslucas8464

    @brookeslucas8464

    2 жыл бұрын

    진짜 힐링되는 교양과목느낌

  • @user-qr2xt2wk6x

    @user-qr2xt2wk6x

    2 жыл бұрын

    @@user-bs3cu4hg6n 라기엔 그 기준에 충족되지 않는 교수들이 넘많아..

  • @user-gn1jw2bi8w

    @user-gn1jw2bi8w

    2 жыл бұрын

    @@user-qr2xt2wk6x 인정 ㅋㅋㅋㅋ

  • @user-xm5jo1qe7y

    @user-xm5jo1qe7y

    2 жыл бұрын

    현재기술로는 10킬로미터는가능..

  • @parkkea
    @parkkea Жыл бұрын

    1.바람을 견디는 디자인 2:04 2.극초고층 마천루 5:10 3.두바이가 계속 초고층 건물을 짓는 이유 9:16 4.건물은 어디까지 높아질까 10:05 초고층 빌딩에 대해 이야기하는 영상 잘 봤습니다. 초고층 빌딩 건설을 계획할때 바람을 잘 견디는게 중요하다는건 처음 알았네요. 바람이 강하면 뭐 얼마나 강하다고 건물은 끄떡도 안하지...라고 생각했는데 높으면 높을수록 바람도 그만큼 거세져서 초고층이면 유의해야할 점인거군요. 건물의 높이에 대한 욕심은 제 생각이긴 하지만 우주에 대해서 접근할려는 것과 같이 끝도 없을 것 같아요 ㅋㅋㅋ

  • @My-Dear
    @My-Dear Жыл бұрын

    진짜 교양강의의 신이다 전공강의는 얼마나재밌으실까

  • @user-st4nf1vh8h

    @user-st4nf1vh8h

    Жыл бұрын

    교양이니까 재밌는거지..ㅋㅋ

  • @user-ly3is8wo2b

    @user-ly3is8wo2b

    Жыл бұрын

    @@user-st4nf1vh8h그치 전공이면 죽고싶을지도,,재밌지만 못 따라가는 그런 꽤 처참한 기분ㅋㅋ;

  • @eichenwalde5334

    @eichenwalde5334

    Жыл бұрын

    죽고싶으십니까휴먼

  • @201koreano1

    @201koreano1

    4 ай бұрын

    취미가 직업이 되면 재미가 있을까?ㅋ

  • @user-vj4kr4on1b
    @user-vj4kr4on1b2 жыл бұрын

    건축에 대한 막연한 관심을 교수님이 조금 대중들이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이해하기도 좋고 다시 또 건축에 대한 관심이 막 샘솟습니다 ㅎㅎㅎ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올려주시고 오늘도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 @user-jm4vp1mi3x
    @user-jm4vp1mi3x2 жыл бұрын

    전혀 관련없는 경영 전공 학생인데 초고층에 대한 주제로 너무 재밌게 설명해주시네요 덕분에 총몽이라는 작품도 읽어보게 되는거 같아요

  • @ArchiSHwan
    @ArchiSHwan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건축학적으로는 좋은 건축이지만, 실 사용상 문제가 많았던 건축에 대한 강의도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라이트의 낙수장 같이 학부생때 정말 많이 배웠던것이나, 그전 강의때 솔크 연구소가 건축학적으로는 너무 뛰어나지만, 실제 이용하는 연구원 등의 얘기같은것들이요. 학부생때는 그냥 멋있었던 건축이, 실무를 뛰면서 클라이언트와 빗는 그 묘한 신경전+클레임들이 이제는 더 좋은 건축을 만들 지 못하는 환경을 만드는지 꼬르뷔제의 롱샹성당처럼 간섭하지 않고 지어진 건축이 그 후에 얘기들 같은것도 궁금하구요.

  • @Sherlock_HJ

    @Sherlock_HJ

    2 жыл бұрын

    저도 잘 모릅니다...

  • @ArchiSHwan

    @ArchiSHwan

    2 жыл бұрын

    @@Sherlock_HJ 앗... 교수님은 다 아실것 같았어요 ㅠ

  • @user-qj5yz7zn8h

    @user-qj5yz7zn8h

    2 жыл бұрын

    @@ArchiSHwan 답하기 어려운 질문 같네요.

  • @203street

    @203street

    2 жыл бұрын

    답글 목록에 교수님 썸넬 있어서 후다닥 달려왔더니 저도 잘 모릅니다 입갤 ㅋㅋㅋㅋㅋㅋㅋ

  • @scoutidea

    @scoutidea

    2 жыл бұрын

    ㅇㅋ 다음에 다뤄볼게요! 이런 답글 기대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현웃터짐

  • @novelevsz
    @novelevsz Жыл бұрын

    진짜 지식을 갖추신 분이 강의하면 이렇게 재밌구나…

  • @SsSs-vx1pl
    @SsSs-vx1pl2 жыл бұрын

    12:08 물리학적인 오류 하나 말씀 드리자면 원심력은 실제 존재하는 힘이 아니라 가상의 힘입니다. 예를 들어 지구 주위의 공전에 의한 원심력은 회전에 이용 되는 중력에 대한 "계" 를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힘입니다. 계 내에서는 알짜힘이 0이여야 하기 때문이죠. 즉, 우리가 회전을 함에도 지구 밖으로 나가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이동 방향의 수직의 힘인 (속력은 바꾸지 않고 방향만 바꿔주는) 구심력을 받아 지구와 함께 같이 자전하기 때문이지, 원심력과 중력이 상쇄 되어서가 아닙니다. 오해 하실까봐 덧붙이자면, 우리 각각을 계로 생각해서 얘기 할때는 당연히 원심력을 언급해야 합니다. 그럴 려고 만들어낸 개념 이니깐요. 그래서 정확한 중력을 계산 할때 (저격, 로켓 등등) 원심력의 개념이 당연히 들어갑니다. 하지만 그게 정확한 원인은 아니라는 겁니다. 왜냐하면 원심력은 가상의 힘이니깐요.

  • @SsSs-vx1pl

    @SsSs-vx1pl

    2 жыл бұрын

    총몽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자면, 위에 떠 있는 도시는 점점 더 멀어질 수가 없습니다. 그 공전을 중력 이외의 다른 힘으로 회전 하지 않는 이상. 인공위성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인공위성은 달과 지구의 적절한 위치에 있어서 가만히 도는게 아니라 지구의 중력으로 공전을 하고 있는 겁니다. 만약 총몽의 도시들이 그런 방법으로 떠있는거라면 저런 케이블 조차 필요 없는 거죠. 단지, 지구의 특정 궤도에서 돌 수 있는 적절한 속력으로 지구의 중력의 수직 방향으로 해당 높이에서 밀어 주어야겠죠.

  • @Sherlock_HJ

    @Sherlock_HJ

    2 жыл бұрын

    앗!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

  • @SsSs-vx1pl

    @SsSs-vx1pl

    2 жыл бұрын

    @@Sherlock_HJ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다른 분야에서 일하고 있지만 항상 많은 영감 받고 가요 ㅎㅎ 답글도 감사합니다 ㅎㅎ

  • @user-qj5yz7zn8h

    @user-qj5yz7zn8h

    2 жыл бұрын

    알듯, 모를듯 하지만, 귀하는 천재십니다

  • @user-iq2xr1jl2o

    @user-iq2xr1jl2o

    2 жыл бұрын

    이 분 배우신 분

  • @daylight_310
    @daylight_3102 жыл бұрын

    편집자 월급 많이 받으셔야겠어요 그림 자료 덕에 더 이해가 잘 돼요. 감사합니다!!

  • @eddy1700
    @eddy1700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설명도 좋지만 편집을 정말 잘 하네

  • @user-wz5rr4xc6w
    @user-wz5rr4xc6w2 жыл бұрын

    최근 지식이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채널들은 개인적으로 피곤해서 줄여나가고 있는데 교수님 채널만큼은 끝까지 볼거같아요ㅋㅋ 너무 재밌어요

  • @sunheeman6671
    @sunheeman66712 жыл бұрын

    건축은 예술이고 과학이고 혁신 그리고 또 한가지 힘이군요!!! 신박한 강의 감사합니다!!!

  • @user-sm2ds1bw4d
    @user-sm2ds1bw4d2 жыл бұрын

    고층 빌딩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원리로 버티며 건물의 역할은 하는지 알게 되었던 유익한 영상인거 같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Soooo-ht8ck
    @Soooo-ht8ck2 жыл бұрын

    똑똑한 사람들 정말 많네요.. 건물에 있는 디자인들이 미학적인 목적이 아니라 기술적인 목적이 들어있다는게 참 놀랍습니다. 이때까지 그냥 겉치레 정도로만 생각했던 것들이었거든요. 건축물을 주의깊게 돌아보는 습관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나저나 총몽 처음듣는 만화인데, 너무 엄청난걸 들어버린 느낌???? 모르는 만화라 그냥 스포를 듣고 넘기려 했더니 흥미가 생겨서 한번 찾아봐야겠습니다ㅋㅋㅋ

  • @user-ut6sd4kc1i
    @user-ut6sd4kc1i Жыл бұрын

    현재와 미래 건축에 대한 훌륭한 강의 통해 많이 느끼고 많이 생각하게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joseab400
    @joseab4002 жыл бұрын

    이런 교수님에게 배우는 학생들이 부럽다... 어느 정도 공부해야 저런 이야기를 저렇게 잘 설명할 수 있을까?

  • @user-eb5oq1dy4x
    @user-eb5oq1dy4x Жыл бұрын

    와.. 이런 재미없는 주제를 이렇게 재미있게 만든다고? 이분 가둬놓고 하루종일 강의듣고싶다 ㅎ

  • @hahahoho3165
    @hahahoho31652 жыл бұрын

    가상의 공간으로 이야기를 풀어가니 더 재미있네요! 감사합니다!

  • @NCJ-ie6zx
    @NCJ-ie6zx2 жыл бұрын

    볼라와 무한궤도 형태를 결합한 방식으로 지구와 바깥 인공우주섬을 축으로 묶어 만드는 아이디어 같은게 떠오르네요 늘 새로운 생각을 불러일으켜주는 영상 감사합니다

  • @user-je8qi2hp5b
    @user-je8qi2hp5b2 жыл бұрын

    , 도 찾아보고 싶네요. 고층 구조물을 만들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이 재료와 기술의 한계를 계속 뛰어 넘게 하네요. 알기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 @user-gh9by3vj4u
    @user-gh9by3vj4u2 жыл бұрын

    정말 흥미진진한 내용입니다 ~건축에 대한 관심이 많아 높아지고 있습니다 ㅎㅎ

  • @hhhhhhoooooomg
    @hhhhhhoooooomg2 жыл бұрын

    초고층건물 볼때마다 궁금했던 것인데 설명을 정말 잘해주시네요

  • @docruelee5714
    @docruelee57142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은 설명할 때 나오는 애니메이션이 대박입니다... 간결하고, 깔끔

  • @user-ru3yr7wx5b
    @user-ru3yr7wx5b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많이 배워갑니다👍😀

  • @user-vm9ed7um3l
    @user-vm9ed7um3l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다.. 전공자가 아니고 배경지식이 없어도 넘 흥미롭게 듣게되는 이야기

  • @pitts9124
    @pitts91242 жыл бұрын

    점점 똑똑해져가요. 30년전 대학에서 배우던거보다 왜 더 재밌죠? 다시 공부하고 싶어지네요.

  • @Samsungcnt
    @Samsungcnt2 жыл бұрын

    10:16 부르즈 칼리파 시공 당시 콘크리트 압송에 관한 고민이 많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뒤이어 나오는 케이블로 잡는 크릭타워도 신기하네요. 사장교나 현수교가 떠오릅니다. 완공되면 세계 최고층 빌딩의 기록이 바뀌겠는데요? 저도 구경갈래요~😍

  • @user-qj5yz7zn8h

    @user-qj5yz7zn8h

    2 жыл бұрын

    삼물은 영종도, 인천대교, 케이블공법 경험도 있으니, 수주추진 하시죠 ㅡ 삼물출신

  • @user-xk4xk9cx7c
    @user-xk4xk9cx7c2 жыл бұрын

    학교 교수님이 해주신 이야기를 여기서 또 들으니깐 재미있네요ㅋㅋㅋㅋ 항상 감사합니다!!

  • @user-oc4ce6sc1r
    @user-oc4ce6sc1r Жыл бұрын

    많이 배웠습니다. 책 몇 권 읽어야 할 것을 참 편하게 습득했네요.

  • @user-nowhere
    @user-nowhere2 жыл бұрын

    이야... 초고층건물들에 이런비밀이....진짜 재밌네요. 마지막 만화이야기까지! 이맛에 계속 구독하고 봅니다. 기술발전이야기인데 살짝 감동적이기까지 했습니다. 자연이 주는 한계를 극복하는 이야기같아서요.

  • @user-sg8kh8ge7d
    @user-sg8kh8ge7d2 жыл бұрын

    구조 엔지니어 입니다! 영상 너무 잘 보고있습니다. :) 구독자 여러분께 공학적인 측면에서 추가적으로 알려 드릴게 있다면 건물의 밀폐도, 건물의 형상비(폭, 두께)에 따라 정압(바람을 맞이하는 쪽[외부->내부]) 부압(내부->외부)이 더 쌘 경우도 있습니다. (바람을 맞이하는 쪽 외엔 다 부압이 생겨요!) 또한 일정 높이(60m)이상일땐 가장자리 0.1h(h=높이) 는 풍하중을 더 높게 보고 설계 합니다. ㅎㅎ 아파트 경우 태풍불때 창문이 깨지는 쪽은 항상 가장자리입니다.

  • @user-px9mc4td3r

    @user-px9mc4td3r

    2 жыл бұрын

    와 돈 많이 버시겠다

  • @zaqplm-hf5hj

    @zaqplm-hf5hj

    2 жыл бұрын

    건물 하나 짓는다는게 정말 어려운 일인것같아요

  • @dhwisnsmskxhak
    @dhwisnsmskxhak Жыл бұрын

    맞아... 내가 이런 매력들이 있어서 건축을 좋아했었는데..... 영상들 하나 하나 정주행 하면서 다시금 새기고 갑니다.

  • @saynoteaching
    @saynoteaching2 жыл бұрын

    케이블 누군가 짜르지 못하게 보안 감시도 해야겠네요. 물론 엄청난 힘을 버티니 쉽게 자르진 못하겠지만..! 너무 흥미롭고 재밌게 귀에 쏙쏙 들어오게 설명해주셔서 건축학의 대중화에 많은 이바지 하고 계신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 @user-ce1td4zi8w

    @user-ce1td4zi8w

    6 ай бұрын

    ❤대단한 건축학. 들을수록. 빠져들어가는. 강의 감사!

  • @user-eg6qm2zp8p
    @user-eg6qm2zp8p2 жыл бұрын

    디자인개념과 그 실현을 위한 구조개념등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이유있는 디자인의 건축을 학생들에게 지도해주시기 바랍니다!

  • @goodluck3269
    @goodluck3269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용🙇‍♀️ 꼭 가서 보고싶네용🤔 오늘도. 재미있어용💪 감기조심하세용

  • @power.of.experiment
    @power.of.experiment2 жыл бұрын

    넘나 재밌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hortkoreatravel
    @shortkoreatravel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영상을 보다 보면 건축이 재밌게 느껴지네요!!

  • @richoistudio5528
    @richoistudio5528 Жыл бұрын

    덧붙이자면 전공생들은 당연히 알고 일부 사람들도 자각한 사람들이 있겠지만, 화장실 급할 때 화장실 위치가 헷갈린다면 엘레베이터 주변을 살펴보면 됩니다.

  • @user-rw7ul3tk2h
    @user-rw7ul3tk2h2 жыл бұрын

    초고층 빌딩의 건축 원리에 대한 이야기였네요. 오늘도 정말 흥미로운 건축의 세계 이야기.. 새롭고도 재미있습니다. 두바이는 참 초고층 빌딩에 대한 욕구가 강한 도시인듯 싶습니다. 어찌보면 그 욕심이 과하단 생각도 드네요. 하지만 한편으론, 초고층 빌딩을 보면 새삼 경이로움과 경탄스러움을 느끼기도 합니다. 인간의 한계란 정말.. 교수님 말씀처럼, 앞으로 더 나은, 훌륭한 소재들이 등장하여, 더욱 멋지고 안전한 고층 건물들을 볼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 오늘 강의도 고맙습니다~

  • @michaelsavage9305
    @michaelsavage93052 жыл бұрын

    항상 느끼지만 설명을 너무 잘해주세요. 오늘도 많이 배우고 갑니다.

  • @annelee6876
    @annelee68762 жыл бұрын

    우연히 들었다가 끝까지 들었습니다. 재미있어요. 감사합니다~

  • @heehee3235
    @heehee32352 жыл бұрын

    총몽에 대한 이야기들으면서 과학적인 입장에서의 설명도 궁금해지네요 나중에 게스트가 나올 수 있다면 함께 다뤄주심 너무 재밌을거 같아요 건축X과학 콜라보 ㅎㅎ

  • @xashic3
    @xashic32 жыл бұрын

    살다살다 누군가의 말을 이렇게 집중력높게 흥미롭게 보는건 처음이네요..대단하십니다

  • @user-il3zq5uz8b
    @user-il3zq5uz8b2 жыл бұрын

    건축 딱히 관심없었는데 너무 재밌게 설명해주시네욬ㅋㅋㅋ 책만 읽으면서 수업하는 교육자가 아닌 건축이라는 학문과 분야에 깊이있는 관심과 흥미 지식이 엄청난 분인거 같아요...교수님 수업들으면 재밌을듯...하지만 시험문제는 어려울거같아....

  • @user-sh2iy1uc4l

    @user-sh2iy1uc4l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인정해요! 수업 잘하시는 교수님분들의 특징이 시험을 어렵게 내시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 @hanskim8029
    @hanskim80292 жыл бұрын

    비 전공자인데 알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늘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고층 빌딩 얘길 해주시니 재밌게 듣다가 문득 궁금한 것이 생겼는데 혹시 성경에 나오는 바벨탑에 대해서도 기록이나 묘사 뿐이겠지만 건축학적 관점에서 나눠주실 수 있으실까요?

  • @_seoa7710

    @_seoa7710

    Жыл бұрын

    바벨탑은 유태인들의 반란을 바벨로니아가 진압하면서 진압된 유태인들을 예루살렘에서 쫒아내면서 방황하게 만들었다는 상징적인 의미로 우리는 땅을 잃고 말을 잃었다는 신에게 올라가려다가(종교가 정부에 개기다가) 무너졌다라고 바벨탑의 혼란이란 명제를 만든 것이죠.

  • @user-im3cl2tq9w
    @user-im3cl2tq9w2 жыл бұрын

    8:30 피라미드 짓듯 두껍게 지은후 대응되는 방향끼리 케이블을 모두 설치하고 불 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식으로가 적당할거 같아요

  • @choyunGallery
    @choyunGallery2 жыл бұрын

    한편의 영화 🎥 를 보는 느낌이었습니다. 좋은 👍 강의 감사드립니다~

  • @user-jh9is5id8i
    @user-jh9is5id8i2 жыл бұрын

    항상 궁금했는데, 오늘 영상도 잘 보겠습니다!

  • @user-nf4vi5tm5c
    @user-nf4vi5tm5c2 жыл бұрын

    두바이에 가운데가 뚫린 빌딩들이 많은데 바람 때문에 그렇게 설계한거였네요. 앞으로 부르즈 칼리파 외 고층 빌딩 지날 때마다 더 열심히 살펴봐야겠어요. 🌆

  • @LHKtube
    @LHKtube2 жыл бұрын

    엄청난 규모의 초고층 건축물을 짓기 전에 우풍실험도 진행을 하게 되겠죠. 그 건물로 인해서 기존에 지어진 다른 건축물과 서로 어떤 영향을 끼칠지 알아야할테니까요. 그리고 비대칭 건축물 마리나베이샌즈호텔을 지을때도 와이어를 썼다고 들었는데 그 와이어를 건물 밖에 현수교처럼 설치하는 아이디어라... 건물 지탱을 위해서 적당한 양이 사용될수있다면 정말 예쁜 건물이 탄생할 수 있을것같다는 생각도 들지만 관리가 장난아니게 힘들것같다는 생각도 같이 드네요.

  • @GilTube_ENFP_Engineer
    @GilTube_ENFP_Engineer2 жыл бұрын

    교량 쪽 구조엔지니어입니다! 케이블부재가 초고층에도 쓰인다니 신기하네요~! 다만 질량이 작아지면 상시진동이나 내진에 좋지않을것 같은데 물론 다 고려했겠죠 ㅎㅎ 건축-토목 가깝지만 먼사이같은데 협업할일도 생기고하면좋겠어요~!

  • @user-vv4hp5yd1i
    @user-vv4hp5yd1i2 жыл бұрын

    설명도 너무 좋은데 편집이 진짜 이뻐요 잘 배웠습니다

  • @misoonlee7029
    @misoonlee70292 жыл бұрын

    "달과 지구의 인력이 만나는 어느 지점"..가슴이 왜 뭉클해지는지...과학은 어쩌면 조물주가 숨겨놓은 비밀을 하나씩 캐내는 과정이란 생각이 듭니다.

  • @user-ir7pi6py6j
    @user-ir7pi6py6j2 жыл бұрын

    와 설명도 너무 잘하시고 교수님 오늘도 새로운.상식을 얻어갑니다 앞으로도 자주 들러서 지식을 얻겠습니다 ^^

  • @user-tc9ql8vp5s
    @user-tc9ql8vp5s2 жыл бұрын

    제가 구독하고있는 수많은 유튜버중 가장 의미있고 알찬 내용만 있는 채널인것 같습니다. 항상 고맙습니다.

  • @ShinDaegyu
    @ShinDaegyu2 жыл бұрын

    총몽 얘기가 나올줄은 몰랐네요. 설명이 너무 쉬워서 좋습니다

  • @Doronbo199
    @Doronbo1992 жыл бұрын

    케이블까지는 다리생각하면서 그런가?했는데 천막구조라는 설명으로 기획부터가 대단했다는걸 이해했어요

  • @wowo2360
    @wowo23602 жыл бұрын

    영상 기다렸어요~

  • @user-dv8pe2sh1y
    @user-dv8pe2sh1y2 жыл бұрын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

  • @glory9182
    @glory91822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재밌고 유익한 시간 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Jamureable
    @Jamureable2 жыл бұрын

    저도 궁금하면서 기다려지네요. 디자인을 하는것과 시공의 영역은 또 별개다!! 이렇게 들은 것 같습니다. 요새 제가 살고 있는 주변에 건물을 하나 짓고 있는데요. 거기서 근로하시는 분들이 고생을 많이 하시더라구요. 모두들 힘든 코로나 시기 버티길 바라며, 위 영상에서 나온 혁신적인 건물이 어떻게 시공될지도 기대됩니다.

  • @shinhomotors
    @shinhomotors2 жыл бұрын

    아ㅡ너무 유익하고 재밌네요~

  • @user-xk3pq8tw5o
    @user-xk3pq8tw5o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 @user-ud8wx1sv2b
    @user-ud8wx1sv2b9 ай бұрын

    재밌어요,,,!! 감사합니다!!,, 시간가는줄 모르고 몰입해서 봤어용,,

  • @DoIbung
    @DoIbung2 жыл бұрын

    디자인 강의도 너무 재밌지만 이런 공학 강의가 제 취향이네요 자주하면 좋겠당ㅎㅎ

  • @user-vl7yr4zh6j
    @user-vl7yr4zh6j2 жыл бұрын

    볼때마다 재밌고 신나는 걸 보면 확실히 저의 건축에 대한 열망은 높네요 ㅋㅋㅋㅋ

  • @user-bp6rr8tb8v
    @user-bp6rr8tb8v2 жыл бұрын

    정말 말씀도 빠르지만 머리에 쏙쏙 들어옵니다. 여행할때 건축물에 한번 더 생각하고 보게될것같아요. 아줌마지만 지식습득의 희열을 느껴요. ㅎ

  • @merry-go-round2467
    @merry-go-round24672 жыл бұрын

    인장력 말씀하셨을때 일본 신주쿠에 있는 Mode Gakuen Cocoon Tower 가 생각났어요! 교수님 영상 보기 전에는 그냥 디자인 특이하다 이러고 말았는데 역시 아는 만큼 보이네요.

  • @System.Error.
    @System.Error.2 жыл бұрын

    우주엘리베이터의 현실성에 대한 영상도 재미있을 것 같아요!

  • @_songofmongsim7796
    @_songofmongsim7796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서재밖도 연두연두 봄이네요ᆢ오늘도 명쾌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저는 건물을 짓는 사람들이 참 대단대단하다고 늘 생각했지요 특히 아파트요 어찌그리 금새 뚝딱 올리는 걸까요 위대하게 생각되더리구요ㅎㅎ ᆢ감사합니다 늘건안하세요♡

  • @user-ud4ff8wu4g

    @user-ud4ff8wu4g

    2 жыл бұрын

    그건 부실공사랑 실적부풀리기땜에 빨리 올라가는거에요 아줌마 꿈깨세요~

  • @uuaksj
    @uuaksj2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 좋네요! 구독했습니다: )

  • @bdshin8896
    @bdshin8896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모듈러 공법 및 건물에 대해서도 건축가 입장에서 한번 다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북미나 유럽 싱가포르에서는 꽤나 활성화된 시장인데, 한국은 아직 그렇지 못하더라고요.

  • @user-jq3en6xb8g
    @user-jq3en6xb8g2 жыл бұрын

    오호 초고층의 비밀을 ^^😀 건축가들만 아는 신비한 세상을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하늘에 둥둥 뜬 집에 살고 싶네요 신세계를 아는 기쁨 최곱니다

  • @FutabaRio1023
    @FutabaRio10232 жыл бұрын

    늘 감사합니다!

  • @K.Y.S.
    @K.Y.S.2 жыл бұрын

    다음엔 일본 유명 괴담 이상한 집 도면 얘기도 해주시면 재밌겠어요! 진짜 이 괴담에 대해 잘 모르실 것 같은데 셜록처럼 추리해주시면 어떤 의견이 나오실지 궁금해요!

  • @oh1169
    @oh11692 жыл бұрын

    건축은 과학+예술+꿈 ㅎㅎㅎ 건축의 진화가 놀랍습니다🙆🙆

  • @user-xf1oz4cv9v
    @user-xf1oz4cv9v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건축소재 중에서 목재나 자연소재로 만들수있는 건물의 한계 소재 이런 주제로 이야기 해주세요.

  • @dotkabi
    @dotkabi2 жыл бұрын

    온난화로 인류가 살기 힘든 곳이 늘어나게 되면 기후가 좋은 곳에 초고층화된 도시가 생겨나겠다는 상상을 해봅니다. 온도, 강수, 지진, 해일, 화산, 먼지 등.. 환경에 적응한 건축기술과 트렌드를 볼 수 있겠네요.

  • @user-um6kd8wk4n
    @user-um6kd8wk4n2 жыл бұрын

    참 신기하네요 항상 말에 흡입력이있으시네요 시간 가는지 모르고봤네요

  • @shchung487
    @shchung4872 жыл бұрын

    이번편도 잘 봣습니다° 감사합니다☆

  • @barroco05
    @barroco052 жыл бұрын

    9:32 저도 영상 보기 전에 드는 생각이었는데 정확하게 짚어주셨네요. 바벨탑 사건이 대표적이었죠.

  • @ArchiSHwan
    @ArchiSHwan2 жыл бұрын

    저번 강의때 댓글로 칼라트라바 어떻게 생각하는지 질문을 했는데, 오늘 강의에 나왔네요 오늘 강의는 예전 대만 여행갔을때 타이베이 101 빌딩 생각이 났습니다. 설명하신 브레이싱도 없이 큰 추를 내부에 설치를 해서 건물이 흔들릴때 진동을 상쇄하는걸 방지한다고 설명을 들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내부에 굉장히 큰 공간을 차지하는데, 하나의 아이덴티티로 관광상품으로 설명을 하던게 기억이 나네요

  • @siasyeong9020
    @siasyeong9020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자기전에 잠들려고 틀었는데 보면서 눈이 말똥말똥 해졌다 개꿀잼

  • @user-io4pj3hz4p
    @user-io4pj3hz4p2 жыл бұрын

    항공기 구조설계도 매우 흥미롭고 재밌습니다

  • @Jay-Bco
    @Jay-Bco2 жыл бұрын

    넘 재밌고 유익해요

  • @user-ej3kx8nw1z
    @user-ej3kx8nw1z2 жыл бұрын

    너무좋아합니다교수님의말씀집을새로꾸며보고싶은데감힣ㅎㅎ

  • @user-pl6ln4ut7u
    @user-pl6ln4ut7u2 жыл бұрын

    항상 잼나게 보고있어요 넘 스마트하고 귀여워ㆍ미술사관심있어 자연히 인문학이나 건축학 다 좋아요

  • @Dolby_Cinema
    @Dolby_Cinema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쉽게 잘 설명해주시는 교수님들 특: 시험 겁나 어렵게 냄

  • @user-qj5yz7zn8h

    @user-qj5yz7zn8h

    2 жыл бұрын

    과제도 많을듯^^

  • @pitts9124

    @pitts9124

    2 жыл бұрын

    그런가요 잠시 배우고싶다는 생각했는데 실행은 안하는거로ㅎㅎ

  • @user-qj5yz7zn8h

    @user-qj5yz7zn8h

    2 жыл бұрын

    @@pitts9124 수강생들에게 직접 확인해야 됨니다, 속단은 하지 마십시요

  • @217gun2

    @217gun2

    Жыл бұрын

  • @jaeyeonpark2530
    @jaeyeonpark25302 жыл бұрын

    역시 👍 교수님 처럼 오늘 영상도 꿋~~ 감사합니다

  • @officialwemakeprice
    @officialwemakeprice2 жыл бұрын

    항상 너무나 유익한 건축 이야기 감사합니다 >_ 괜히 지금 근무하는 울 회사 건물 괜찮은건지 발로 쿵쿵 굴러봤습니다 ^_^

  • @user-zg4tr9ch2f
    @user-zg4tr9ch2f2 жыл бұрын

    컨텐츠가 매회 너무 좋음

  • @jibagmyo
    @jibagmyo2 жыл бұрын

    재밌는 내용 감사합니다!

  • @ddongddong95
    @ddongddong952 жыл бұрын

    예루살렘은 상상도 못했는데 진짜 재밌었습니다!!

  • @AndreKostolany.
    @AndreKostolany.2 жыл бұрын

    왜 이 시간에 올려요. 자려고 했는데. 하나 더 보고 자야하잖아요.ㅋㅋㅋㅋ

  • @wave2278
    @wave22782 жыл бұрын

    전문가의 영역에 있는 다소 어려울법한 지루한 얘기를 이렇게 흥미롭고 재밌게 풀어 나가시는 진행력이 너무도 훌륭하시네요.. 흡입력이 장난 아닙니다ㄷㄷ 시간 가는줄 모르고 영상 봤어요 바로 구독 누릅니다

  • @snowj.1906
    @snowj.19062 жыл бұрын

    지난 편 홍콩 HSBC 건물의 다리모양 구조와 이번 편 크릭타워의 천막형 구조. 마음이 심쿵하네요^^ 초고층 주복에 살고 있는데 코어에 엘리베이터가 있는 이유가 있군요. 오늘도 깨달음 얻고 갑니다 from 왓슨 인 부산

  • @user-gf8bd8wy8y
    @user-gf8bd8wy8y2 жыл бұрын

    요즘 건물 보면 기둥의 수가 확 줄어들었는데 그것은 시멘트에 화력발전소 석탄재를 석었더니 콘크리트 강도가 확 올라갔는데 또 이제는 거기에 제철소에서 나오는 쇠 찌끄기를 섞어 또 더강한 콘크리트가 나올거라 하네요 강화 콘크리트 기술을 특허내고 그 자기들만 쓰고 싶지만 화력 발전소나 제철소에 에서 나온 차들이 대량으로 시멘트 회사로 들어가는걸 가릴수가 없잖아요

  • @user_evan0049k
    @user_evan0049k Жыл бұрын

    영상의 그래픽 수준이 최고예요!! 👍👍👍

  • @leedaq7767
    @leedaq77672 жыл бұрын

    재미있는 내용 감사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