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사훈의 경제쇼] 안유화 - 한국과 중국은 이미 루비콘강을 건넜다!ㅣKBS 230831 방송

2023년 8월 31일
[홍사훈의 경제쇼]
KBS 1Radio FM 97.3MHz 월-금 16:05-16:54
#안유화 #홍사훈 #홍사훈의경제쇼

Пікірлер: 1 800

  • @KBS_1Radio
    @KBS_1Radio9 ай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의 신작 도 많이 사랑해주세요^^ : zrr.kr/f5mm

  • @user-ww7cx7bx1d

    @user-ww7cx7bx1d

    9 ай бұрын

    한국이면 가능한데 중국독재정권에서는 가능할까

  • @youngsinseo473

    @youngsinseo473

    7 ай бұрын

    Good 👍

  • @nick2429
    @nick242910 ай бұрын

    경제에는 영원한 동맹도 없고 적도 없음,,,

  • @alyciawang2892

    @alyciawang2892

    10 ай бұрын

    한비자= 사람에 마음 을 움직이는 것은 오로지 자신의 이익쁨이다

  • @jjhh0011

    @jjhh0011

    10 ай бұрын

    ㅋㅋ 석열이는 그런ㅌ거 모룬다

  • @userganada

    @userganada

    10 ай бұрын

    @@alyciawang2892한비자는 누군지 모르지만 그래서 이완용 비서 이승만이 나온것임 이승만 동급 젤린스키가 나오는거고 자기 이익을 위해 국민을 버릴 줄 아는 진정한 대통령들 ㅋㅋ

  • @juellmoon7422

    @juellmoon7422

    9 ай бұрын

    ​@@jjhh0011ㅎㅎㅎㅎㅎ.... 무식이는 좋은 얘기해도 무슨 말인지 모르지 ~~ ㅋㅋ

  • @kdh4jc
    @kdh4jc10 ай бұрын

    '누구 이익이라고 전쟁이 나겠냐'는 말은 우-러 전쟁 직전에 수많은 전문가들이 매일 내뱉던 말입니다.

  • @h_n6867

    @h_n6867

    10 ай бұрын

    러시아 이익이라는거 모르는사람도있었나? 해양출구가 중요한거 모르는사람도 있었나?

  • @sysj8559

    @sysj8559

    10 ай бұрын

    러우 전쟁으로 피해보는 나라? 우크라이나 말고 없는 듯 다 좋지

  • @user-eh2nk1rs9c

    @user-eh2nk1rs9c

    10 ай бұрын

    ​@@h_n6867그래서 러시아가 이익보고 있남?러우전쟁과 해양출구가 뭔 상관이냐 무식한 쉐끼야.. 2014년에 흑해로 나가는 크림반도는 러시아가 이미 합병했는데 뭔 해양출구가 필요해서 러우전쟁을 일으켰다는 거냐? 러우전쟁은 미국만 이익보고 모두 손해인 전쟁이잖여..이것이 미국이 우크라를 꼬드겨 전쟁을 유도한 이유란다 무식한 쉐끼야..

  • @user-br1de5mo4v

    @user-br1de5mo4v

    10 ай бұрын

    피해보는건 우크라이나 뿐. 러시아는 결국 영토일부를 합병하고 대양을 얻을 것이고 미국은 그동안 가스팔고 무기팔아서 돈많이 벌었고 유럽도 무기대줬으니 나중에 뭐라도 하나 챙길테고.

  • @jungking4033

    @jungking4033

    10 ай бұрын

    러시아도 막대한 피해를 보고 있슴.중공경제 힘들다해도 지금 이상태에서 중공같은 나라경제가,속은 썩었을지도 5%성장은 대단한것임. 중공은 성장하게되어 있슴.토쿄장기거주민

  • @youngsookim9845
    @youngsookim98459 ай бұрын

    안유화 교수의 강의를 들으면 중화사상이 기본으로 하고 있음을 느낀다. 편향성을 부인할 수 없다. 감안하고 들으시길 바란다

  • @jamesha6419

    @jamesha6419

    9 ай бұрын

    이여자 중공 국뽕. 중국 가라해야함

  • @user-bm4mo2ol3p

    @user-bm4mo2ol3p

    9 ай бұрын

    제삼자의 입장에서 보고 얘기하는겁니다.

  • @user-bz9fo5ss8d

    @user-bz9fo5ss8d

    8 ай бұрын

    듣는님의 편견이라봅니다 그러니 참고만하시고 골라들으시고 싫으면 않들으면 돼는것이고 안교수님도 당신같은분 감안해서 초대받았기때문에 중국경제설명을 고맙게생각하세요 편향성을 따지면 초대않받겠죠 어차피 예기해봤자 당신같은분 계시니까 긍정적으로 현실적으로 들으세요

  • @sjfhsnskfndwk

    @sjfhsnskfndwk

    8 ай бұрын

    맞아요 안유화 왜 계속 부르는지 모르겠네요

  • @user-xv7qq6sx9v

    @user-xv7qq6sx9v

    8 ай бұрын

    정신나간 우물안 깨구리 같은소리하고 자빠졋노 우려스럽다 조선민국 알라들 교육좀 똑바로 시키자 이렇게 시야가 좁아서야 니네들은 미국처럼 그런 강대국이 아니다 큰대륙도 아니고 식기들아 좀 정신좀 챙기고 현실좀 직시해라 을라들아 니네들한테 뭔말을 해주겟노 친중해라 그뜻으로 삐딱하게 듣지말고 현실이 어떤지 그의대해 방향성을 어케 잡아야될지 생각좀 해보자는건데 삐딱하게 나오노 이식기들은

  • @jungdanny7987
    @jungdanny798710 ай бұрын

    오늘 두분의 방송진행 참 좋습니다. 큰 그림에서 많은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질문을 해 주셨는데, 우리 국가나 개인의 방향을 어떻게 선택 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답니다. 물론 답을 내기는 어렵지만 가치있는 질문입ㄴ다.

  • @gvc48
    @gvc4810 ай бұрын

    과거의 동맹이였던 소련과 미국이 결국 서로의 적이 되었고 서로의 적이였던 미국과 일본은 지금은 동맹이 되었다. 영원한 동맹은 없고 영원한 적국도 없는 것.

  • @user-nd9ye6dg5c

    @user-nd9ye6dg5c

    10 ай бұрын

    중국도민주화가되고 언론자유가확립되면 한국과중국관계도 재고할수있지얺을까요

  • @user-os2rs6is9f

    @user-os2rs6is9f

    10 ай бұрын

    그게 외교죠 제발 투표좀 국익이 뭔지 아는자를 뽑읍시다 ㅡㅡ

  • @user-kq2vx5bp4u

    @user-kq2vx5bp4u

    10 ай бұрын

    동맹은 전쟁 때문에 잠시 했던거고 사상이념이 달라서 오래는 가지 못하겠죠 .. 소련 중국이 미국 말을 들으려 하겠나여 ..서로 우위를 잡으려고 하려니 ..가꺼워 질수 없는거겠죠 ..ㅎㅎ

  • @danieljang7869

    @danieljang7869

    10 ай бұрын

    중국에 올인한 독일경제 나락 가는거 알고 있나? 동북공정으로 한반도 까지 털도 안뽑고 처먹을려는 중국보다 한반도 공산화 막아준 미국이 백배낫다 중국놈들은 경제력과 군사력 올려서 다른나라 잡아 처먹을 생각 뿐인데 중국은 경제가 개박살 나고 필히 여러나라로 쪼개져야한다 중안 전쟁에 한국이 왜 개입하냐고 머저리 같은 생각을 하는 대가리들이 있는데 대만 중국이 먹으면 남중국에 뱃길이 막혀 한국이나 일본이나 그냥 시들어 죽는거야 가만히 있는다고 살아 남는게 아니라는 거야 중국 공산당 무너지기전엔 믿을수 없는 족속들인거지

  • @user-vy3ww1it4l

    @user-vy3ww1it4l

    9 ай бұрын

    빨갱이 년!

  • @user-sn6ko1wt1o
    @user-sn6ko1wt1o10 ай бұрын

    최고 홍사훈경제

  • @user-dd6qp4xh8r
    @user-dd6qp4xh8r9 ай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은 역시 중국인 맞습니다😂😂😂

  • @user-ih6uj9wq2j

    @user-ih6uj9wq2j

    9 ай бұрын

    너는일본인같구나

  • @yongutsa

    @yongutsa

    9 ай бұрын

    유화: 있을 유, 쭝공 화

  • @user-ih6uj9wq2j

    @user-ih6uj9wq2j

    9 ай бұрын

    @@yongutsa 뭔 개 소리냐?

  • @taegyukim8244

    @taegyukim8244

    9 ай бұрын

    ◈ 차이나 게이트 - 나무위키 대한민국에서 문재인 정부 집권 시절 2020년 2월 26일 일베저장소에 올라온 한 게시글에 의해 시작된 음모론이다. '중국 공산당이 조선족 등 한국어 구사가 가능한 중국인들을 동원해 인터넷상의 여론을 조작하는 방법으로 대한민국 정치에 개입해 더불어민주당이 집권하는 데 유리하도록 공작을 해 왔다'는 음모론적 주장이 올라와 대안우파, 제노포비아적 성향의 네티즌들이 해당 주장을 최소한의 검증도 하지 않고 믿은채 전 인터넷적으로 해당 음모론을 퍼트리게 된다. 차이나 게이트 주장 측은 이러한 반박에 대해 새로운 근거와 논리를 제시하기보다는 근거 제시조차 없는 우기기와 조선족 몰이로 대응했다. 우한 갤러리를 필두로 한 극우 커뮤니티는 근거보다는 조선족 몰이에 집중하는 모습을 취하면서 점차 혼란스러운 여론이 형성되었고, 결국 3월 1일에 발생한 우한 갤러리의 여론 총공이 같은 보수 커뮤니티에서도 비판적인 의견이 나올 정도로 큰 민폐를 끼치면서 자멸했다.

  • @Rooftop_Coreano

    @Rooftop_Coreano

    9 ай бұрын

    @@user-ih6uj9wq2j 한국말 잘하는 중국인 맞긴함...ㅋㅋㅋ

  • @user-bc7fo6ms1c
    @user-bc7fo6ms1c10 ай бұрын

    세상은 결국 인문학으로 매듭됩니다.안 교수님이 인문학적 경제관,국제관..등을 잘 설명해주시어 고맙습니다.

  • @user-gc8ed5gx7m
    @user-gc8ed5gx7m10 ай бұрын

    국가간 영원한 것은 없다 이익이 않되면 언제든지 깨진다

  • @user-lc2bt1rt5y
    @user-lc2bt1rt5y10 ай бұрын

    아시아경제 김민영기자:2~3년 후 주택공급대란 온다…올해 착공 실적 '반토막' 헤럴드 경제:신혜원기자1~7월 주택 착공물량 전년比 ‘반토막’…커지는 공급난 우려. 두 기자들 공급부족을 원인으로 무주택자들을 어떻게든 골탕 먹이려는 정부, 건설사,부동산개발자들 이익을 대변하는 것으로 보임

  • @user-pf1ed6my7q

    @user-pf1ed6my7q

    10 ай бұрын

    돈먹는 하마😂 기레기 ~~~~😂

  • @KRLAB-shorts

    @KRLAB-shorts

    9 ай бұрын

    기다리면 매물터집니다 실수요자는 기회입니다

  • @user-sn6xj2jx8e
    @user-sn6xj2jx8e10 ай бұрын

    교수님 생각이 참 깊네요.. 공감하는 부분이 너무 많습니다. 좋은말씀 감사 합니다. 인도??

  • @Fiesta18
    @Fiesta1810 ай бұрын

    우리는 미국 라인 탄게 정말 신의 한수임. 한미일+서유럽 인도 합해서 중러북 조져야 합니다

  • @mrdrillfpv8716

    @mrdrillfpv8716

    10 ай бұрын

    이런 단순무식한 편나누기는 우리에게 전혀 도움이 안되요.. 영원한 동맹도 영원한 적도 없어요.

  • @hojunews

    @hojunews

    10 ай бұрын

    영상을 제목과 내용도 안보시나... 지금 이 상태로는 우리나라는 루비콘강을 건너고 있다는건데

  • @112ssq2

    @112ssq2

    9 ай бұрын

    중국을 바라볼때 우린 경제뿐만 아니라 안보도 포함해서 봐야하는 나라입니다 극단적으로 북한이 미사일 쏴서 전쟁나더라도 중국은 한국편 안듭니다 신의 한수라는 표현보다 미국라인타는게 당연한거죠 ㅎㅎ

  • @user-pz2sp9of8u

    @user-pz2sp9of8u

    9 ай бұрын

    이게 맞는거죠..영원한 동맹 당연히 없지만 지금으로서는 최고의 동맹...

  • @user-pz2sp9of8u

    @user-pz2sp9of8u

    9 ай бұрын

    @@hojunews 아니 무슨 이 영상과 제목이 절대적인줄 아세요? 저 사람들도 그저 자기들 생각과 논리로 예측하는 거에요..저 교수들 말고도 수많은 다른 생각을 가진 지식인들 많아요.단순하긴

  • @joayo1111
    @joayo111110 ай бұрын

    너무너무 장사안되서 시간맞처 듣고있네요♥

  • @Listen-uv1hm

    @Listen-uv1hm

    10 ай бұрын

    힘내세요 ~!!

  • @shj3626

    @shj3626

    10 ай бұрын

    힘내세요. 파이팅입니다

  • @user-yvorne12559

    @user-yvorne12559

    10 ай бұрын

    힘내십시요!!!

  • @user-up4yi4pk4w

    @user-up4yi4pk4w

    10 ай бұрын

    동감요ㅜㅜ 죽겠슘다

  • @user-ij1pn6pf4q

    @user-ij1pn6pf4q

    10 ай бұрын

    힘내세요

  • @user-dy4sr7oy5n
    @user-dy4sr7oy5n10 ай бұрын

    경사가 심하네 내리막길 눈이 많이 오네. 날씨가 추워지네. 어두운 빙판 내리막길.

  • @user-eh7gu1mu4e
    @user-eh7gu1mu4e6 ай бұрын

    홍사훈기자님 최고 화이팅

  • @msq3241
    @msq324110 ай бұрын

    교수님말씀을 듣다보면 스케일이커서 풀기에는 항상 시간이 부족한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알기쉽게 큰흐름속에서 설명해주시니 귀에 쏙쏙들어옵니다.

  • @user-zm5jp7uj2y
    @user-zm5jp7uj2y10 ай бұрын

    안교수님 경제쇼 항상 기다려지고 오늘도 감사드려요~~

  • @lenardmori8871
    @lenardmori887110 ай бұрын

    정말 안유화 교수님의 사고의 깊이와 크기가 남다르다는 걸 다시한번 느끼게 됩니다. 홍사훈님이 영상 말미에 미중 간에 열전(전쟁)의 가능성이 점점 올라간다는 안유화 교수님의 주장에 대해 '전쟁은 누군가에게 이익이 있어야 발생할텐데, 미중간 전쟁이 누구에게 이익이 있는가?' 라고 반문하셨는데 그에 대한 답은 그 뒤에 두 분 사이에 얘기가 이어진 "일본의 전략" 에 해답이 있다고 봅니다. 안유화교수님은 일본은 한국과 달리 매우 전략적인 나라라고 평가하면서, 현재 정말 일본이 원하는 것이 단순히 전범국가인 일본의 족쇄와도 같은 평화헌법을 폐지하고 '전쟁국가' 가 목표인 것인가? 반문하면서 자신은 잘 모르겠다고 하셨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현재 한중일 동맹과 북중러 동맹의 21세기 신냉전 구도의 형성에 일본이 아베 정권기부터 깊이 관여해왔다고 판단하고 있고 그 동북아 중심의 국제적 갈등 구도를 이용해 일본이 노리는 것은 바로 일본을 다시 백여년 전처럼 동북아 패권국가로 만들려는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일본이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일은 1985년 미국의 강압에 의한 플라자합의와 미일반도체 협정 등 미국의 폭력적 외교에 의해 지난 30여년 장기침체기를 거치면서 일본 정부의 부채가 일본 GDP의 260%를 훌쩍 넘어버려, 이제는 장기 고금리시대에 국가부도까지 걱정해야 할 정도로 심각해진 일본의 국가부채 문제입니다. 그런데, 일본GDP의 260%를 넘어선 정부부채 문제는 자본주의 시장경제 시스템에서 정상적인 방식으로는 극복이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이런 기형적 국가(정부)부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극히 이례적이거나 파격적인 방법밖에 없는데, 세계 패권의 판도가 몇차례 뒤바뀐 근현대 유럽의 경제사나 패전국 일본이 전후 40여년 간 급성장해서 세계 2위 경제대국이 된 과정을 안다면 일본을 장기 지배해온 극우(군국주의)세력이 선택할 방법은 바로 20세기 일본을 부흥시킨 원동력인 '전쟁특수'가 될 것이라는 걸 쉽게 예상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1945년 패전국으로 전락한 일본이 겨우 40여년만에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 된 20세기 경제사를 보면 일본 패전 직후 발생한 1950년대 한국전쟁과 1960~70년대의 베트남 전쟁이 일본의 국가경제 회복과 성장에 필요한 막대한 자본축적을 안겨주었다는 사실을 한국인 대부분이 잘 모르고 있죠.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 당시 일본은 미군과 유엔군의 군수물자 생산기지 및 보급창고 역할을 하면서 그 '전쟁특수'를 통해 매년 15~20%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정도로 막대한 자본 축적을 하게 되고 그 자본력을 바탕으로 제조업을 다시 부흥시켜서 40여년 만에 미국을 위협하는 세계2위 경제대국 (세계1위 제조업 강국)이 됐던 것입니다. 그런 20세기 일본 부활의 원동력이 된 '전쟁특수'를 두 차례나 실질적으로 체험하여 전쟁특수의 효과를 누구보다 잘 알고있는 일본의 현 기득권세력(군국주의세력)은 현재 일본경제의 치명적 난맥상을 푸는 해법으로 다시금 '전쟁특수' 전략을 (과거 아베 정권의 여러 정치외교 행보로 볼 때) 이미 십수년 전부터 치밀하게 수립해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쯤에서 더 긴 얘기는 생략하고, 다시 처음 홍사훈 님의 질문으로 돌아가서 얘기하면.. 저는 현재의 미중 패권경쟁을 가장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이끌어가고 있는 세력은 일본이라고 감히 단언합니다. 중국을 이용해 미국을 자극하여 미중 갈등을 부추기고 그 상황을 이용해 일본의 군비증강을 정당화 하면서, 패전국의 족쇄였던 평화헌법 폐지를 통해 정식 군대를 보유하며 전쟁국가로 전환하고, 미국 정부와 한국 내 친일수구세력을 이용해 한국을 미일동맹의 꼭두각시 총알받이로 앞세우면서 자신들의 치밀한 전략을 현실화 하고 있는 것입니다. 만약 미중 패권 경쟁(량전)이 안유화 교수님의 불안한 예측처럼 (일본 군국주의 세력의 계획대로) '열전(전쟁)' 으로 비화하게 되면 그 전쟁터는 일본이 아니라 대만이나 한국(한반도)이 될 것이 거의 유력하기 때문에 섬나라 일본은 전쟁의 직접적 포화에서 한발 물러난 후방에서 전쟁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유도해 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런 상황이 되면 일본은 과거 20세기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을 통해 천문학적 전쟁특수의 이득을 챙겼듯이 대만과 한반도의 전쟁터를 바다 너머에서 즐기면서 자신들은 막대한 경제적 외교적 이득을 챙기며, GDP 260%의 정부부채 문제를 쉽게 털어버릴 수 있고 좀 더 장기적으로는, 미중 간에 휴전 내지 종전 협상으로 전쟁이 종료되면 전쟁으로 초토화된 한반도의 전후 처리과정에 일본이 적극 참여해서 미국의 대리인을 자처하며 한반도(한국)를 일본이 대리 통치하고 (대만이나) 북한은 중국이 식민통치하는 나눠먹기식 방식으로 전후 처리 협상을 유도할 수 있다고 봅니다. 결국 한반도에서 한민족의 역사를 영원히 지우면서 과거 일본제국주의의 동북아 패권을 일부 회복하는 시나리오까지 일본 군국주의세력의 장기 전략 속에 숨겨져 있을 것이라고 개인적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안유화 교수님이 영상 말미에 뜬금없이(?) 당나라의 시인 이태백의 시구를 읊으면서 현 국제정세에 대한 깊은 소회를 은유적으로 표현하셨는데 전 그 시구를 들으면서 가슴이 시리고 저미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한국의 국운이 안교수님 말대로 이미 루비콘 강을 건넌 것이라면 밀려오는 풍랑 속 거대한 파도에 한국이 침몰하지 않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길은 이태백의 시구처럼 더욱 돛대를 치켜세우고 파도를 향해 정면으로 돌진해서 파도를 종으로 타고넘는 위험한 시도를 하는 방법뿐이겠지요.. 그러나, 현재 한국사회의 기득권을 장악한 친일독재세력은 휘몰아치는 풍랑 속에서 돛대를 세우고 키를 굳건히 움켜쥐기는 커녕 닥쳐오는 파도를 모른 척 하며 선원(국민)들을 갑판 아래 어둠 속에 가둔 채 (세월호 선장이 그랬듯...) 별 문제 없으니 가만히 움직이지 말고 있으라는 기만적 매국행위만 반복하고 있으니 참으로 안타깝고 두려울 따름입니다. 일본은 이미 작년에 공식적으로 '전쟁국가'가 되겠다고 선언했고 (이미 현재도 한국보다 많이 지출하고 있고, 이미 한국을 압도하는 해군과 공군 전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2028년까지 국방비 지출을 현재의 2배로 늘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앞으로 십 여년 사이 중국의 운명은 차치하고 한국의 운명이 어찌될지 수명이 허락한다면 제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겠지요... ...

  • @user-oj5vm3uu4w

    @user-oj5vm3uu4w

    10 ай бұрын

    저도 동감입니다

  • @user-ce6oy2uv3q

    @user-ce6oy2uv3q

    10 ай бұрын

    와우 !

  • @user-yf3xy5sd5p

    @user-yf3xy5sd5p

    10 ай бұрын

    참 시간이 많은 사람이구나.

  • @limsy0196

    @limsy0196

    10 ай бұрын

    잘 읽었습니다... 생각을 하게 하는 글입니다.

  • @user-zv9pe2se6z

    @user-zv9pe2se6z

    10 ай бұрын

    저는 님의 글에 100%공감합니다 일본은 대만이나 한국이 전쟁 일으나길 학수 고대하는 나라입니다 국민 모두 정신 바짝차리고 살아야 예전의 치욕을 겪지 않고 우리의 자녀들이 당당히 살아갈수 있는 나라가 되어야합니다 미국은 일본과 한국을 떨구내고 직접 중국과 장사해 먹을려고 하는 나라라고 생각해요 동맹들을 언젠가는 헌신짝 버리는 날이 올것입니다 버림받지 않는 나라로 우뚝서야 합니다^^

  • @user-tn1lg6ef8x
    @user-tn1lg6ef8x10 ай бұрын

    홍사훈 ㆍ안유화 두분 👍무거운경제 이야기 귀에 쏙옥~~~

  • @user-ry9is4bj9j
    @user-ry9is4bj9j10 ай бұрын

    안교수님 정말 존경 합니다. 안교수님 출연하실때 홍반장님은 가장 진행을 잘 하시고, 안교수님은 능력을 가장 잘 발휘하신다고 생각 합니다. 정말 40분 시간투자하여 들을 가치를 확실히 보여주시네요. 안교수님 정말 존경해요.

  • @cjs8804
    @cjs880410 ай бұрын

    루비콘강 건너서 땅투기하고 빚잔치합니다.

  • @user-np8kv3mq9p
    @user-np8kv3mq9p10 ай бұрын

    응원합니다 두분

  • @gamadalee4151
    @gamadalee41519 ай бұрын

    요즘 겁을 주는 스탠스를 취하는 중국통들 이시기가 조선시대 1950년대 이기를 바라는가 봅니다 그런데 어떻하나여 지금은 2023년인걸요 ㅋㅋㅋ

  • @songlanli8831
    @songlanli88315 ай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정말 대단하네요 홧팅 야무지게 말씀도 잘하십니다 🎉😂❤

  • @user-vw2bw4nb2e
    @user-vw2bw4nb2e10 ай бұрын

    홍반장님과 안유화교수님의 토론을 듣는시간 에너지충전이 참잘됩니다 공부많이하고 갑니다 고맙습니당^~^

  • @user-gi9pz5yx9m
    @user-gi9pz5yx9m10 ай бұрын

    환상의 콤비 ~~역시 안유화 교수님 최고 입니다.

  • @abn-rw5ir
    @abn-rw5ir9 ай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 🍉

  • @user-bv6my9iu2e
    @user-bv6my9iu2e10 ай бұрын

    안유화교수는 역시 중국사람이네요

  • @jungjinkim1730

    @jungjinkim1730

    9 ай бұрын

    개한민국 경제수장이란 추경호보단 열배는 실력있어보이는데..

  • @user-ol8ld5rw5w

    @user-ol8ld5rw5w

    9 ай бұрын

    @@jungjinkim1730 개소리 하는 조족 ㅋ

  • @inshikkim4850

    @inshikkim4850

    9 ай бұрын

    어디 패널로 나오느냐에 따라 다르더군요.

  • @jungjinkim1730

    @jungjinkim1730

    9 ай бұрын

    @@inshikkim4850 그렇군요. 외국에서 20년째 사는중인데 안교수의 말이 상당히 참고가 됩니다..

  • @sunsong5193

    @sunsong5193

    9 ай бұрын

    Paqqqqqqqqqqqqĺ

  • @user-vn8ep1lz6s
    @user-vn8ep1lz6s10 ай бұрын

    홍 사훈 기자님!안 유화 교수님!두분의 케미 최고👍👍❤❤

  • @dotrjks
    @dotrjks10 ай бұрын

    전서계 경제가 휘청이고, 나날이 환율이 높아지고, 엔저에, 미국보다 기준금리낮고...경제 상황이 이렇게 불안한데, 재대로된 경제회의 한번 없고, 오직 자기 세력구축과 60년대 냉전시대 이념전쟁에 빠져있는 정부가 정말 노답이다. 노답!

  • @user-yf3xy5sd5p

    @user-yf3xy5sd5p

    10 ай бұрын

    한글이나 좀 배워.

  • @user-je3nz4rk7l

    @user-je3nz4rk7l

    10 ай бұрын

    전쟁하는 러시아보다 성장률이 꺾인게 우리나라임. 나머지는 마이너스 성장률은 아님

  • @user-rz5ry4ux8t
    @user-rz5ry4ux8t10 ай бұрын

    안교수님은 중국이 일인독재국가이자 통제경제체제인 공산주의 국가라는 점을 염두에 두지 않고 판단하시는 듯 합니다. 그들의 통계지표들은 믿을 수가 없고 독재.통제경제가 갖는 장점과 단점을 고려하면서 진단을 해야하는데 그렇지 못하는 듯 합니다. 이제 KBS도 안교수님의 이러한 측면을 생각하시어서 초청하시고 굳이 초청하신다면 홍기자님이 그 점을 지적하면서 대담을 진행 하셔야 좋겠습니다

  • @mrdrillfpv8716

    @mrdrillfpv8716

    10 ай бұрын

    지적은 개인자유이지만,, 구독자들은 여러 측면에서의 시각을 볼 권리가 있심.. 안유화 교수는 어쩔수없는 중국 교육을 받고 성인이 된 사람이기에, 중국 관점에 바라볼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심.. 그런걸 감안해서 보면 될듯. 그리고 핵심은 중국의 통계지표의 신뢰성 보다는, 현재의 공동부유 라는 마오쩌둥 시대로의 회귀추구 노선이 가장 문제임.. 현재 중국에서 스마트 팩토리, 친환경 사업영역에서 실제로 엄청난 효과와 선점을 하고있긴 함.. 단 이것들이 지속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업주체에게 자본주의적 혜택과 과실을 가질수있게 해야하는데, 공동부유는 그 의지를 꺾어버릴 독소중의 독소인것이 문제임. 공동부유.. 이미 역사적으로 실패한 노선임을 잘 아는 상황에서, 중국에서 지속적인 성장의 모멘텀을 가질수 없다는게 현재 중국에서의 가장 큰 리스크임.

  • @user-gihm_lp9fm

    @user-gihm_lp9fm

    10 ай бұрын

    안유화도 그쪽 인민이잖아요.

  • @user-hi2td4cd6y

    @user-hi2td4cd6y

    10 ай бұрын

    천멸중공 천멸민주당 천멸주사파 천멸민노총 천멸전교조 천멸전공노 중공 지구상멸하라

  • @user-fu7qg4fv9h

    @user-fu7qg4fv9h

    10 ай бұрын

    중국은 두번 생각하고 100년을 바라본다잖아요 ㅎㅎㅎ시진핑이 졸라 잘해서 헝다고 뭐고 부동산이 폭망이냐고

  • @mrdrillfpv8716

    @mrdrillfpv8716

    10 ай бұрын

    @@user-fu7qg4fv9h 부동산 위기는 사실 시진핑만의 잘못은 아니고, 98년 부동산 거래 자유화 이후의 중국에서 고착된 고질적 구조적 문제라고 봐야함. 물론 시진핑이 이커챵이 빨리 정리하자는 말안듣고 자기 정치적 위상을 위해서 질질 끌은 잘못은 있음.. 그리고 모든 부동산기업은 아니겠지만, 시진핑입장에선 어차피 도산하는 애들 적당히 도산시켜 국유기업으로 흡수 정리할 생각이 큼.

  • @yckim7724
    @yckim772410 ай бұрын

    아직도 고대중국적 사고범위에서 있는거같네요

  • @wanjili8659
    @wanjili865910 ай бұрын

    한국의 국가목표는 통일된 중립 국가여야한다.

  • @Ace-ch9kt

    @Ace-ch9kt

    10 ай бұрын

    통일되도 미국이랑 같이 가야함... ㅋㅋ 군사적으로는

  • @user-tq7ge2mq2f

    @user-tq7ge2mq2f

    10 ай бұрын

    거기다 핵을 가진 중립국가 대한민국!

  • @user-wk3jf3uz5t
    @user-wk3jf3uz5t10 ай бұрын

    흥미롭게 잘들엏습니다 고맙습니다

  • @user-uskxnfiw729
    @user-uskxnfiw72910 ай бұрын

    베트남 등지로 중국 공장이 이동하여 지금은 국제적 비용이 높아졌지만 결국 그 나라들도 중국에 처음엔 외국 공장 유치로 시작했듯이 결국 몇년 지나면 점차 자국의 부품공장들이 생기고 중국에서의 수입은 줄어들게 되어 있죠. 비용도 따라서 점차 줄어들거라 봅니디

  • @gpapa7809

    @gpapa7809

    10 ай бұрын

    중국은 이미 2019년에 망했다 앞으로는 수확체감의 시기로 접어들어서 다시는 일어날수가 없다

  • @mrdrillfpv8716

    @mrdrillfpv8716

    10 ай бұрын

    님 말씀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림.. 90~2000년대의 중국은 경쟁자가 없었던 무조공산이었던 상황이고, 현재의 베트남과 인도는 중국이라는 거대한 경쟁자가 버티고 있는 상황임.. 물론 미국을 위시한 동맹국들이 중국의 대체자인 인도나 베트남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해서 물량공세를 하고있긴 하지만, 인도라는 국가자체가 과거의 중국과 비교해서, 마인드나 물적/인적 인프라가 너무 없다는 것이고, 인도 특유의 정치 통치구조에서 보면 이걸 단숨에 해결할수없는 중앙통제지배체제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크리티컬한 문제임. 베트남은 중국을 대체할수있기엔 사이즈가 너무 작은 상황이고.. 결국은 인도의 의지와 중국의 반격이 어떻게 전개될지에 따라 결과가 나올것임. 그래서 반은 틀리고 반은 맞다고 하는거임.

  • @user-ke5zw6qy8n

    @user-ke5zw6qy8n

    9 ай бұрын

    ​@@mrdrillfpv8716 당신의 판단이 정답일까요? 타인의 글을 평가한다는 자체가 오류라봅니다.

  • @mrdrillfpv8716

    @mrdrillfpv8716

    9 ай бұрын

    @@user-ke5zw6qy8n 오류라는 단어의 의미부터 먼저 공부하고 오세요.. 니님 논리대로 말해준다면,, 타인의 의견을 평가한다는 자체가 오류라고 봅니다.. 어때요? 논리가 성립되는 문구일까요?

  • @mrdrillfpv8716

    @mrdrillfpv8716

    9 ай бұрын

    @@user-ke5zw6qy8n 님도 내 의견에 님의 반대의견을 개진하든 평가해도 해도 됩니다. 단 논리적인 의견과 분석으로 부탁해요~

  • @Tate06
    @Tate0610 ай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그냥 이 말만 드리고 싶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 @mc492
    @mc49210 ай бұрын

    "역사는 되풀이 된다." 는것 ...지리적 위치에서의 대한민국은 항상 강대국의 야욕에 희생물이었던것을 상기하여야함..지금도 똑같은 상황..

  • @jrkim8321

    @jrkim8321

    10 ай бұрын

    세계 2차대전이후 지리적때문에 한국이 선진국이되었죠 2차대전이후 식민지출신국가중 선진국이된국가는 소련주변 미국편에선 국가만 잘삽니다

  • @afistfulofdollars-ue8rq

    @afistfulofdollars-ue8rq

    10 ай бұрын

    @@jrkim8321 필리핀.인도, 아푸리카 ? 그닥인데... 그럼 식민지출신 국가중 러시아 편이라서 못사는 나라는 어디?

  • @episteme6165

    @episteme6165

    10 ай бұрын

    정확하게 남한과 북한의 차이가 발생한 이유

  • @sintsoo

    @sintsoo

    10 ай бұрын

    역사는 되풀이된다는데 동의하는데요... 한반도는 수많은 침략을 당했지만, 고유한 국가(왕조)가 결국 만들어졌죠. 제 잘난 맛에 살며 말 안 듣는 사람이 너무 많아요.

  • @jrkim8321

    @jrkim8321

    10 ай бұрын

    @@afistfulofdollars-ue8rq 필리핀이 소련 국경지대에 있냐? 미소 패권 지역에서만 선진국이 나왔다고 했다 지도를 놓고 소련 주변국중 미국과동맹만 선진국이되었단다 한반도가 아프리카에 있었다면 한강의기적은 없었다는 말이란다 소련국경 아시아부근 대만 한국 잘살지 답이되었니

  • @sangbongchoi177
    @sangbongchoi17710 ай бұрын

    소개하신 시는 아주 적절하고 훌륭한 비유입니다

  • @user-wr8qk2cp9y
    @user-wr8qk2cp9y10 ай бұрын

    항상느끼지만 .두분 진행이 너무 재밌어요.시작부터 빵 터짐요..내용도 제 사고범위를 확장시켜주셔서 참 유익합니다😊😊

  • @user-fj4ev4hr9w
    @user-fj4ev4hr9w10 ай бұрын

    오랜만에 듣는 거 같습니다. 야무지게 듣겠습니다~ 두 분 감사해요.

  • @JA-zw1wc
    @JA-zw1wc10 ай бұрын

    개인도 그렇듯 안유화 교수님의 국가가 어떠한 목표와 스토리를 그리며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고 좀 더 크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성장해야 한다는 말에 공감이 가네요! 철학적인 말씀 고맙습니다!! 이 질문이 가장 근본적이고 기본적인 것 같네요!!!

  • @user-yg4ze4bf6e
    @user-yg4ze4bf6e10 ай бұрын

    안교수님. 고맙습니다. 정말 갈 방향이죠.

  • @user-ig3zx7ns5b
    @user-ig3zx7ns5b9 ай бұрын

    홍기자님 응원합니다

  • @thatsnotcool007
    @thatsnotcool00710 ай бұрын

    전 미국 삽니다. 어바인 대학이라는데는 처음 들어 봅니다. 명문주립 UC Irvine이 아닌 건 확실한데… 인가되지 않은 (not accredited) 무명 대학인지… 한국과 달리 미국에서는 회사와 학교는 돈 들이지 않고 얼마든지 아무나 세울 수 있는 건데… 사회자는 그 학교에 대해 좀 알고 이름 들먹이는 게 좋을 듯.

  • @user-gs1im2dv9v
    @user-gs1im2dv9v10 ай бұрын

    안교수님의 안목에 적극 공감합니다. 미국의 앞잡이를 자청한 지금의 결정이 옳았는지. 틀렸는지는 역사가 알려주겠지만 지금의 역사적 시점에서 저는 틀린 판단이라 봅니다.

  • @user-ev4gn5fr2t
    @user-ev4gn5fr2t10 ай бұрын

    아프지만 정확한지적... 모지리가 한국인 먹거리사업을 미국에모두 상납...

  • @user-zj7wc8ny9f

    @user-zj7wc8ny9f

    10 ай бұрын

    문죄인때 삼성을 얼마나 괴롭혀서 이재용이가 자살하지않고 살아있다는것도 장하다~~ ㅜㅜ

  • @user-yf3xy5sd5p

    @user-yf3xy5sd5p

    10 ай бұрын

    상납의 뜻은 아니?

  • @user-vr8vn4vc8x

    @user-vr8vn4vc8x

    10 ай бұрын

    @@user-yf3xy5sd5p 저런 내로남불 정치 사이코패X가 알리가 없지요 ㅋ

  • @mrdrillfpv8716

    @mrdrillfpv8716

    10 ай бұрын

    @@user-yf3xy5sd5p 윗 사람에게 갖다 바치는걸 상납이라고 함.. 현재 미국에게 갖다 바치고 있잖심.. 상납의 뜻을 진짜 모르고 물은듯 하군..

  • @HRK-wq5zd

    @HRK-wq5zd

    10 ай бұрын

    그쵸 모지리가 북한에 다 상납햇죠😂😂😂ㅣ

  • @user-gn4ng5gx4o
    @user-gn4ng5gx4o10 ай бұрын

    어제 방송 듣고 읽기 시작했습니다. 목차 보니 흥미가 생기네요. 방송 내용도 참 좋았습니다.

  • @user-zn6cb3mz8x
    @user-zn6cb3mz8x7 ай бұрын

    홍사훈 대기자님, 쵝오~!!!

  • @jaisonyan3597
    @jaisonyan359710 ай бұрын

    항상 잘 보고있어요 감사합니다

  • @susu_c
    @susu_c10 ай бұрын

    역시 홍반장과 안유화 교수님편은 꼭 봐야 함 ❤ 어떤 기자가 대중 수출이 줄어든 부분을 ...대중 의존도를 줄인 부분은 긍정적이지만 , 대안을 못 찾은게 아쉽다 ...라고 평가했던게 떠오르네요 ㅎㅎ 미국의 가치동맹이란 과거 공산주의처럼 뜬 구름 잡는 말인데 사람들이 열광한다건 둘다 똑같음 ... 미제국주의 본질은 과거 영국이 중국으로의 차 도자기 무역 적자를 해결하느라,,, 시장 열어달라고 견륭황제 알현부터...산업혁명 성공후 방직품 수출 시도했지만 중국의 저렴한 인건비에 실패하고 ... 결국은 아편을 강매하다가 거부하니 아편잔쟁으로 해결했듯이....미국이 절대적 우위에 있었던 시절이니 방법이 교묘햐지고 문명해졌을뿐이지 본질은 똑같은것... 증국의 일본 오염수에 대한 반발은 그전과 달리 일반인들의 자발적인 성격이 더 강한것은 일본의 노골적인 대만 간섭 발언이 증국인들 그동안 엄청 자극했음...중국에게 대만은 레드라인임... 마지막에 약간 산으로 간듯한 철학적인 부분 ... 너무 좋았아요 ~ 오늘도 학습하고 힐링 받고 갑니다 ^^

  • @icefairy-tf6it

    @icefairy-tf6it

    10 ай бұрын

    중국 공산당원. 연변출신. 시진핑 존경한다고 했던 뼛속까지 중화사상인.

  • @kdh5940
    @kdh594010 ай бұрын

    중국하고는 거리를 두고 전략적으로 상대하면 된다 중국과는 밀착하면 망한다

  • @hojunews

    @hojunews

    10 ай бұрын

    지금은 우리 정부가 초반부터 탈중국을 외치면서 전략이고 뭐고 아무것도 없이 개판으로 시작했다가 이제 좀 완화되기 시작

  • @user-cj8ki7ym3v
    @user-cj8ki7ym3v10 ай бұрын

    솔직한 경제논리 많은 지식을 얻어갑니다.푸근하고 정감있어 따끈따끈한 마음의 여유를 전해주는 홍사훈의 경제쇼 응원합니다.

  • @phoebuslipton9565
    @phoebuslipton956510 ай бұрын

    안유화 질문은 항상 내가 묻거 싶었던 거네. 지금은 국가 목표에 대한 방향이 없으니.

  • @icefairy-tf6it

    @icefairy-tf6it

    10 ай бұрын

    중국 공산당원

  • @user-st8pb5rl6g
    @user-st8pb5rl6g10 ай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이백의 시를 인용하여, 현재의 중국을 묘사한 부분!!!, 참으로 경이롭습니다.!!! 이 방송에서, 저의 처음 다는 댓글입니다. 항상 건승하시길 기도합니다.!!!

  • @user-iw8eg9xy2y
    @user-iw8eg9xy2y10 ай бұрын

    홍사훈 기자님 방송 쭉 들을수 있음 좋겠네요..

  • @user-sp2tt3bv2e
    @user-sp2tt3bv2e10 ай бұрын

    안교수님 찐팬입니다^^

  • @samuel8969
    @samuel896910 ай бұрын

    친구 or 적 이분법으로 보는 어리석은 지도자 때문에 격랑의 경제상황을 과연 넘어설 수 있을런지..

  • @nagwonk8656
    @nagwonk865610 ай бұрын

    세계 정세의 흐름의 맥을 알기 쉽게 짚어 주시니 너무 잼있고 유익했습니다.....안유화 교수님 혜안에 감명 받았습니다...감사드립니다.

  • @user-yr6ww1pb4q

    @user-yr6ww1pb4q

    10 ай бұрын

    , ㄹ1ㅋㅋ ❤

  • @asdfasdf8916
    @asdfasdf891610 ай бұрын

    오늘도 홍반장님 쩔쩔 매는 모습 보니 재미 있네요.

  • @nicoyg2919
    @nicoyg291910 ай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정말 혜안이 있으시군요. 존경스럽습니다. 전략도 계획도 없이 미국에만 매달리는 우리나라가 정말 부끄럽군요..

  • @user-zj7wc8ny9f

    @user-zj7wc8ny9f

    10 ай бұрын

    그럼 중국에 매달려요!!

  • @user-zl8lg8jh2o

    @user-zl8lg8jh2o

    10 ай бұрын

    ​@@user-zj7wc8ny9f어디매달리든 매달리는 입장이라 부끄러다는말이다.

  • @user-bt9es7gx6e

    @user-bt9es7gx6e

    10 ай бұрын

    미국하고 중공은 패권 전쟁을 해야하는데 누가 이길까요? 지는 편에 서면 어떻게 되는지 몰라요? 구한말 고종이 아관파천 러시아 편으로 줄섰기에 그 당시 패권국 영국을 중심으로한 서방이 한국 식민지를 동의하였기에 일본의 식민지를 겪은 걍험이 있는데 또 약한편에 서면 한국은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꼴 날겁니다.

  • @sulleevan

    @sulleevan

    10 ай бұрын

    님만이 부끄럽지 남들은 선호할 수도 있지

  • @user-yvorne12559
    @user-yvorne1255910 ай бұрын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교수님😊

  • @cklee6630
    @cklee663010 ай бұрын

    숨겨진 이야기인가? (안보차원에서 보면) 중국이 항모 등 군사력을 증가하는 순간 그 군사력으로 동북아, 동남아는 격량으로 바뀐 것. 결국 소규모 국가들은 아무리 중국을 믿고 미래를 같이 하고 있지만 국가이므로 사드 등 10만양병도 할 수밖에 없고 외국과도 제휴를 핮 않을 수밖에 없다. 이건 이념이 아니라 생존을 찾는 문제.

  • @user-yvorne12559
    @user-yvorne1255910 ай бұрын

    교수님 집필서 The flow 서적 읽어봐야겠습니다

  • @user-zz3fc1fd7r
    @user-zz3fc1fd7r10 ай бұрын

    안유화교수님 지금정서를 이백의 시로 잘표현해주셨습니다~모두들 잘 알아들으셨겠지요~

  • @user-rc9qf1sk5o
    @user-rc9qf1sk5o10 ай бұрын

    이미 한미일은 편먹었고, 중국이랑 전쟁까지도 각오해라는 뜻인거 같은데. 그 전선의 최전방은 한반도이다.

  • @user-yf3xy5sd5p

    @user-yf3xy5sd5p

    10 ай бұрын

    중국은 대만과 일을 벌이면 대만과 미국과 일본과 인도와 베트남과 필리핀을 상대해야 할 것. 물론 한국도...

  • @user-dc8qw7vg7u

    @user-dc8qw7vg7u

    10 ай бұрын

    그럴 수 밖에 일본 외교사 170년, 중국 외교사 120년, 한국 외교사...70년..?

  • @user-zu9gr7eb8g

    @user-zu9gr7eb8g

    10 ай бұрын

    진짜 노예 근성인 분들 많네

  • @robinmeng

    @robinmeng

    10 ай бұрын

    많은분들이 잘 모르시는것 같은데, 해방 이후 한국은 늘 최전방 이었습니다.

  • @user-yp3kb3pi4o

    @user-yp3kb3pi4o

    10 ай бұрын

    최전방이란건 아무 의미가 없음..미국과 중국의 대리전으로 남북이 싸운다.이게 아니면 최전방 이딴건 그냥 말장난임..최전방이고 나발이고 그냥 다 전쟁판속으로 들어가는거임...미사일의 사거리가 얼마인데..최전방 이딴게 뭔 의미가 있냐...

  • @user-pd8hw6qp2d
    @user-pd8hw6qp2d10 ай бұрын

    홍사훈 기자님 건승하세요.

  • @user-mo8fn8kk8d
    @user-mo8fn8kk8d9 ай бұрын

    안유화씨는 역시 중국 중심 가치를 피력하시는 구랴~~ 중국을 멀리 하지말라 이말을 어렵게 하시는구려~~

  • @seongjaekim4887

    @seongjaekim4887

    9 ай бұрын

    맞습니다...이 여자가 무슨 강의나 토론을 잘 들어보면 기본이 중국을 감싸고 피력을 하는 것 같은데여...조선족인지 한족인지...?? 더불어 그 조선족들이 625때 선봉부대로 해서 남침을 했다는 것도 사실이지요...

  • @pyongsoonkim2816

    @pyongsoonkim2816

    9 ай бұрын

    안유화씨가 어떤 전문가 인가요? 은근한 중공의 나팔수 아닌가요? 한마디로 변할수 없는 공산주의자..

  • @focusonj2070

    @focusonj2070

    9 ай бұрын

    중공 연길 출신 조선족 ㅡ 조선족들은 정체성이 공산주의 중공인으로 알고 있음. 편의상 귀화를 했다 쳐도 그냥 중공인으로 보면 될듯함. . .

  • @user-ex9os6qp8n

    @user-ex9os6qp8n

    9 ай бұрын

    친중공파 교수일뿐이다. 중공이 살면 누가 죽나

  • @user-ol8ld5rw5w

    @user-ol8ld5rw5w

    9 ай бұрын

    답은 중국을 멀리해서 빛이 보인다, 몰빵 하다가 개피보는 독일도 그렇고 한국도 마찬가지,

  • @someday341
    @someday34110 ай бұрын

    좀 기개를 가진 인물이 국가의 책임있는 자리에 가면 좋겠다. 짤릴까봐, 연금 못받을 까봐 국가 대계를 망치는 인간들 앞에서 굽신대는 그런 인간들 말고

  • @user-dx7qv1ww3f

    @user-dx7qv1ww3f

    10 ай бұрын

    유승민이요 유일하게 연금개혁 하자합니다. 표떨어지는거 신경안쓰고 할 소리는 다하는 분

  • @misookkim3775
    @misookkim377510 ай бұрын

    안교수님 참 멋지시네요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또한 많은 공부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 @user-dc3le5cs8z
    @user-dc3le5cs8z10 ай бұрын

    ❤❤❤

  • @raumhaul7745
    @raumhaul774510 ай бұрын

    어차피 중국은 한국에게 기회안준다. 세계최고인 삼성핸드폰이 중국에서 점유율이 제로인것을 보면 알수있다. 일단은 식량안보부터 챙기고, 인도와 인도네시아, 남미등의 시장을 늘려야한다.

  • @user-id5bv1ks4d
    @user-id5bv1ks4d10 ай бұрын

    재밌어요

  • @user-vr4ov8ui6h
    @user-vr4ov8ui6h10 ай бұрын

    무식한 내가 조금씩 알아가면서 느끼는게 미국은 자신을 위해선 동맹의 안위를 생각않한다는 것이다 키워잡아먹기도 함 바보같은자를 오랫동안 지도자로 모실정도로 한가하지않다 술배가 많이 나왔던데, 좋아하는 술이나 많이먹고 살게해줍시다

  • @user-zj7wc8ny9f

    @user-zj7wc8ny9f

    10 ай бұрын

    수준하곤 ㅜㅜ

  • @user-yf3xy5sd5p

    @user-yf3xy5sd5p

    10 ай бұрын

    중국도 동맹이 있었으면 난리쳤겠지. 그런데 돈주고 만든 친구빼고 동맹이 없네 그려. 참 하나 있었네 북한...

  • @maroo3351

    @maroo3351

    10 ай бұрын

    계속 무식하군. 개선의 여지가 없어.

  • @user-vr4ov8ui6h

    @user-vr4ov8ui6h

    10 ай бұрын

    사우디 이란등 원유를 위안화로 결제할 수 있답니다 모든 나라들이 자기나라이익을위해서 발빠르고 현명하게 외교를 펼치는데, 우린 모든걸 미국에 맏겨 버린듯한 바보스런 외교를 펼친것같아 답답하다 미국내에선 바이든의 이미지가 나약하고 노쇠한 치매끼가 있는 부정적여서 트럼프가 다음 대통령이 될 개연성이 많다고 걱정하는 미국국민들이 많답니다 . 바이든이야 약삭빠르게 우리걸 빼먹는데 트럼프는 바보를 바보라 말하면서 빼먹을것임

  • @user-mm8og3tg2g
    @user-mm8og3tg2g10 ай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미래 예측에 많이 동의한게 되네요! 이 백 시를 비유로 든 것도 후륭하십니다!🎉🎉🎉🎉🎉🎉🎉

  • @user-vr3wv9hg6i
    @user-vr3wv9hg6i10 ай бұрын

    중국이 가만있는데 한미일이 뭉쳐서 중국과 거리를 두는게 아니잖아.중국이 좀 살게되니까 투자해주던 한국포함 외국들에게 국제상식을 벗어난 갑질하려들고 주변국들에게 영토침략,문화침략하며 패권국으로 가려하니까 한미일이 뭉칠수밖에..안그러면 중국이 하려는데로 끌려다니란 얘긴가.가장큰 문제는 중국이 힘있다고 무례하고 상식없이 나가고 있다는거

  • @user-ts2cd5si1l

    @user-ts2cd5si1l

    9 ай бұрын

    말을 반대로 하는게 아니냐,소경도 다 아는일인데.중국이 너무 크니 미국이 한미일 유럽 보고 중국 제재하라해서 탈중하고 베트남 들간다 인도 들간다 하다 한국만이 돌격대장 되여서 탈중해 베트남 들가고 프랑스 독일에 유럽 집행자까지 중국 방문가서 투자하고 일본도 눈치 보다 장관이 중국 방문가서 투자하고 미국도 안되니 국방 장관에 재무장관까지 거기에 미국 대그릅회장들도 중국 방문가서 투자하고 ㅉㅉ ㅂㅂ 한국만 돌격대장 되여서 돌격했다 ㅈ 되고 중국 욕하냐?ㅂㅅ 잘못한 인간이나 욕해라.그 인간 아니면 중국에 반도체 잘 팔아 먹었을거야.저 많은 재고 어떻게 하지? 피해 본 저 많은 기업들하고 자영업자들 어떻게 하지.실업율은 어떻게 하지. 그래서 보면서 까블어라는거야 .싸다 싸

  • @user-md9gz5xz2u

    @user-md9gz5xz2u

    9 ай бұрын

    한미일이 뭉쳤다고 하지마라. 대통령 잘못뽑아서 혓짓거리하고 자빠졌는데. 강대국 사이에서 영리하게 처신해야지. 친일을 넘어 섬기고 있는 미친. 동해도 넘기고 독도도 넘길판에 말조심해라. 돌로 처맞는다.

  • @user-wv5fz5bo3g

    @user-wv5fz5bo3g

    9 ай бұрын

    모처럼 좋은 댓글을 봤네요

  • @user-ec8pz7kv5r

    @user-ec8pz7kv5r

    9 ай бұрын

    안미화 교수 이사람 국제관들어보면 중국의관점에서 모든문제를 이야기하는대 그건아니지. 어차피중국사람 한국전쟁참전해서 통일도방해하고 역사적으로도 우리에게좋은이웃은아니지않나? 안미화씨 그런중국에편향된 논리는 더이상 아니지요.

  • @user-np7vh2ec4b

    @user-np7vh2ec4b

    9 ай бұрын

    지금도 중국은 통일반대세력의 선봉 아닌가?

  • @user-xj9wu9zu5z
    @user-xj9wu9zu5z10 ай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잘들었어요~~

  • @user-qy3bs2pb1m
    @user-qy3bs2pb1m10 ай бұрын

    미인 안교수님~~ 드뎌 플루 구입했습니다.

  • @ghtyrdfvvgi
    @ghtyrdfvvgi10 ай бұрын

    투표 잘 합시다

  • @user-yy8jt8ml7n
    @user-yy8jt8ml7n10 ай бұрын

    안유화교수님 넘 귀여워요.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당!!~

  • @user-et3ye2zv2v
    @user-et3ye2zv2v10 ай бұрын

    시간가는줄모르고잘듣고갑니다.안교수님대단하십니다

  • @user-vr4ov8ui6h
    @user-vr4ov8ui6h10 ай бұрын

    중요한 시기에 우리 윤통은 이념으로 먹고 싸우고자한다니 숨이 막힌다 초등수준의 지적지식으로 나라를 운영하고 있으니 나라를 위해서라도 빨리물러나게해야. 저 안유화교수는 미워할래야 미워할수없음 공부하는 학자라는게 보임 우리의 미래에 대해 고민하게 만듬

  • @user-lc2jn4jg3t

    @user-lc2jn4jg3t

    10 ай бұрын

    아주어리석은 인간. 중국과 붙는순간 필리핀꼴납난다.

  • @user-ec4ze9yh8o

    @user-ec4ze9yh8o

    10 ай бұрын

    ​@@user-lc2jn4jg3t 2찍들 은 일본에 충성맹세하는 인간들인가??

  • @user-dr8hh3yu1u

    @user-dr8hh3yu1u

    10 ай бұрын

    ​@@user-ec4ze9yh8o말도 안돼는 친일프레임.ㅋㅋ 일제삼푸요정은?

  • @user-ym1lx5lx6d

    @user-ym1lx5lx6d

    10 ай бұрын

    안교수님이 그리 열변을 토했건만~사고의 간극을 메울순 없네

  • @user-db2fu8gx1x

    @user-db2fu8gx1x

    10 ай бұрын

    그 갈라치기 시작은 양산으로 토낀 그색힌데 왤케 달창스럽냐

  • @user-ge9mj8db4n
    @user-ge9mj8db4n10 ай бұрын

    두분.좋아요

  • @kjwons
    @kjwons10 ай бұрын

    중국 대체시장으로 인도을 말하지만, 문제는 인도의 교육과 인프라가 열악하며, 더 큰문제는 인도의 내부상황입니다. 인도전문가들도 힘들꺼라고 하더군요. 1년 365일 선거을 하는곳이 인도이며, 그로인해 농업쪽으로 지원이 쏠린다고 합니다. 그에 반면 교육은 형편없다고 합니다. 교수진들조차도 부족하며, 그렇다고 인재을 구하는것도 힘들다고 하더군요. 왜냐면, 고급인재들은 모두 미국이나 외국으로 나가서, 유턴을 안한다고 하더군요. 더큰 문제는 통제가 안되는게 문제입니다. 수많은 부족들이 있으며, 그들이 내부에서 문제을 일으키면 내전으로 갈수도 있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기득권들은 변화을 바라지 않는다고 합니다. 변화가 일어나면, 그들 기득권들의 힘이 약해지니까요. 인도가 제대로 자리가 잡힐려면, 언제될지도 모르며, 그 사이 많은 부작용들이 발생할수 있다는것도 변수입니다. 이외에도 많은 문제들이 있으며, 결국 중국을 대체할려는 인도는 언제될지 가늠할수 없다이며, 이 문제에 대해서는 불확실하다고 봐야합니다. 여기에 달의흔들림 주기가 2030년 전후로 나타나서, 기후재앙으로 많은 곡물과 식량에 영향을 끼칠겁니다. 인도의 밀.쌀외 곡물들에게 악영향을 미칠수 있다는것. 아니 세계 여기저기서 문제가 발생하겠죠. 지금도 공급망 사슬붕괴로 이어지고 있지만, 그때쯤이면, 더 심각해져 있을겁니다.

  • @user-zp2sp2mb7c
    @user-zp2sp2mb7c10 ай бұрын

    한국 상황이 댓글에 이미 다 나와있네 . 배가 돛을 올리면 뭐함니까 어디로갈지 목표가 뭔지도 모르는데 ㅎㅎ

  • @selltech3223

    @selltech3223

    10 ай бұрын

    현 정부의 방향과 목표는 정확하게 제시하고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진행중이라서 그 성과를 논하기는 조금 이른 것 같습니다... 안교수는 건방지게 대한민국을 지들 나라 부마국으로 보는 시각으로 논리를 펼치고 있네요. 협박하는 것도 아니고... 싸가지없이... 양다리 걸친 전 정부에서, 중국으로 부터 한 국가로 인정받고 정당한 대우를 받은 것이 있나요. 부당한 대우에 한마디도 못한 것이 양다리 걸친 전 정부들이 행한 일들이지요. 현재는 강한 대한민국의 위상으로, 현재 중국은 대한민국을 함부로 못하고 있지요. 한한령도 알아서 풀고, 미국과의 자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대한민국이 꼭 필요하고, 알아서 기라는 표현은 과하지만, 경제 동맹이라면 정당한 대화가 오고가는 나라대 나라의 공펑함이 묻어나야 하겠습니다. 양다리 걸친 전 정부에서 중국의 만행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용서가 안되는 분노가 치밀었었지요. 방향은 정해져있고, 흔들리지 않고 밀고나가면, 나라의 자존도 지키고, 생각지도 않는 곳에서의 부가가치가 기하급수적으로 창출 될 수도 있겠습니다. 조금 더 지켜보시면 좋은 날 있겠습니다. .

  • @gudaee2
    @gudaee210 ай бұрын

    중국과 미국의 현상황 입장이 이렇다는걸 말하고 한국은 어떠냐 묻는 논조인데 댓중 무지성 중국비하는 핵심에서 너무벗어났네요

  • @gudaee2

    @gudaee2

    10 ай бұрын

    저분도 얘기 하잖아요 생각과 판단에 따른결론은 미래의 역사가 판단할 일이라고요 한국은 난세가 예상되는 이상황에 어떠한 항해를 준비중이냐는 반문이잖아요

  • @user-ss6du1dn5w
    @user-ss6du1dn5w10 ай бұрын

    홍반장 안유화 대화를 재미있게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main69chang
    @main69chang9 ай бұрын

    홍사훈_홍반장님 화이팅입니다. ㅎㅎ

  • @kimjulie2355
    @kimjulie235510 ай бұрын

    멋진 말씀 진심으로 느껴집니다 이백 시 모든상황이 시한편으로 가슴으로 닿았습니다

  • @user-lh1sr1lv1p
    @user-lh1sr1lv1p10 ай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xundlerc7382
    @xundlerc738210 ай бұрын

    안유화선생의 대화는경제적 힐링 이다.웃는모습도 너무 힐링 된다.

  • @user-iu1mo8ix4t

    @user-iu1mo8ix4t

    10 ай бұрын

    ㅋㅋㅋ 말투가 조선족 말투야 ㅋㅋㅋ

  • @xundlerc7382

    @xundlerc7382

    10 ай бұрын

    @@user-iu1mo8ix4t 조선족 비하는 왜놈들이 조센징이라고 하는것보다 더나쁘단다.나는 자네보다 늙은 사람이란다.

  • @misookkim3775
    @misookkim377510 ай бұрын

    안교수님 일본의 관한 국가의 이념 100% 공감합니다 참으로 한국은 좀 갑갑하네요 한국의 정치인들이 안교수님의 이 유튜브를 많이 봐야 할텐데 ......

  • @user-bw3ot9vr2t

    @user-bw3ot9vr2t

    10 ай бұрын

    😊😊😊😊😊😊😊😊😊😊😊😊😊😊😊😊😊😊😊😊

  • @user-bw3ot9vr2t

    @user-bw3ot9vr2t

    10 ай бұрын

    😊

  • @user-bw3ot9vr2t

    @user-bw3ot9vr2t

    10 ай бұрын

    😊

  • @user-dr8hh3yu1u

    @user-dr8hh3yu1u

    10 ай бұрын

    깡패나라 중국은?

  • @frankyj6605

    @frankyj6605

    10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한국 이런 나라 대한민국이라구 한국인들이 자랑하지만 사실은 아주 작은나라이고 이런 작은 나라사람들은 소심하기도 하고 시야도 쫍아서 큰 나라를 알수가 없습니다,그니깐 항상 강대국 사이에서 오판을 하는거죠.

  • @mrdragonrider
    @mrdragonrider10 ай бұрын

    중국이 단지 베트남으로만 생산 기지를 이전하는 게 아닙니다. 지난 2년간 중국의 대멕시코 수출은 2배 늘었습니다. 그리고 그 수입 내역을 보면 기계, 전자 부품, 중간재입니다. 즉 중국의 전통 제조업은 미중 갈등으로 생산 기지들을 이전하고 있는 겁니다. 그래서 미중 갈등 속에서 중국 제조업이 생산 기지를 중국 밖으로 이전하니 공급망 변화가 불가피하고 이에따라 우리 대중 수출이 치명타를 맞고있죠. 생각이 좀 있으면 중국의 생산 기지 이전과 맞물려 우리 중간재 수출이 함께 갈 수 있도록 지원을 해줘도 시원치 않은데 정치적 위험을 잔뜩 높이고 있죠. 머리는 도대체 장식으로 달고 있는건지 아니면 우리나라가 이제는 더이상 수출은 필요가 없는 나라인건지 헷갈리네요.

  • @user-dm9td8er3y

    @user-dm9td8er3y

    10 ай бұрын

    장식용머리를가지고있는 현정권과대통령만바라보는 관리들 앞으로3년동안 나라가 얼마나망할지 심히걱정됩니다!

  • @user-dr8hh3yu1u

    @user-dr8hh3yu1u

    10 ай бұрын

    문죄앙이가 말아먹은 경제에는 일언반구가 없네?그래서 이죄명이가 됐으면 더잘했으꺼락 생각하냐?참 웃기는 소리하구있네.

  • @user-ec8tn1ui6e

    @user-ec8tn1ui6e

    10 ай бұрын

    소선거구제는 국힘 민주 2등 보장법입니다.. 저 두 당에서만 대통령 나오고 두 당만 교차집권하죠.

  • @naver765

    @naver765

    10 ай бұрын

    국힌 기득권이 백만배 더 문제죠..

  • @user-dr8hh3yu1u

    @user-dr8hh3yu1u

    10 ай бұрын

    @@naver765 ㅎㅎ 어떤 근거로? 더듬당이 이리 문제시하는것은 그나마 잠깐 맛보았던 그 기득권(이해골이 백년 해먹자라고 외쳤던)이 조국 추미애 덕에 또 잃어 버렸으니 조국수호대랑 개딸들이 개떼처럼 모여서 우리편은 무조건 옳고 반대편은 무조건 나쁘다는 이성과 도덕심은 개나 줘버리는 편가르기와 가짜뉴스로 선전선동하고 포퓰리즘식 퍼주기로 국가경제는 파탄이 나건말건 푼돈받고 빈곤층으로 떨어지는 줄 모르는 국민들을 개돼지화해서 다시 정권과 기득권을 찾아보자라는 것이 무늬만 진보인 좌파정권의 추악한 속셈을 드러내는 것이지.

  • @user-fb3lp8ko3u
    @user-fb3lp8ko3u10 ай бұрын

    안유화교수님~~ 경제를 보시는 관점과 설명을 재미있게 잘 해주시네요 설명 하시는데 귀여우세요~~^^

  • @bungdducho809
    @bungdducho80910 ай бұрын

    힘내셔 홍기자~

  • @user-qn3xb7yy7x
    @user-qn3xb7yy7x10 ай бұрын

    ❤!!

  • @user-jd3fe7uk4z
    @user-jd3fe7uk4z10 ай бұрын

    홍사훈의경제쇼 는 톰과 제리 🎉❤🎉😊😊

  • @HH-hq3sm
    @HH-hq3sm10 ай бұрын

    미국시다바리 하다가 이졔는 일본시다바리까지 하는 한심한것들

  • @gudaee2
    @gudaee210 ай бұрын

    안타깝게 한국은 현재 아무것도 없죠 저도 작년과 다르게 전쟁의 가능성이 훨씬 높아 졌다고 봐요

  • @okhacho9902
    @okhacho990210 ай бұрын

    홍사훈ㆍ안유화님~ 응원합니다 ~ 존경합니다 ~❤❤❤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