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원리, 한자는 형상화된 부호 문자다!

형상화된 부호 문자!
한자는 문자이므로 당연히 고유부호로 되어 있다.
우리가 이제껏 그렇게 배우지 않았다고 해서 누구도 이를 부정할 수는 없다.
한자는 모두 9개 알파벳으로 되어 있고, 너무 당연하게도 언제나 같은 뜻으로 쓰인다.
몇몇 글자가 꼭 그림처럼 보이는 것은 의미를 충족하는 글자를 고른 뒤 실제 사물처럼 보이게 하거나, 또는 특정 장면이 연상되게끔 배치하였기 때문이다.
그것이 바로 상형(象形)이고 지사(指事)다.
그림은 그림일 뿐 고유부호로 된 문자와는 다르다.
六書는 잘못 해석되었다.
이것은 하나의 글자가 여섯 가지 원리로 만들어졌다는 것이지, 글자 하나하나를 다른 항목으로 구별하라는 말이 아니다.
------------------------------------------
한자 원리!
마침내 수수께끼가 풀렸다~ 3천 년 만에 나온 한자 사용설명서
한자해례 1800+ 1 330쪽
한자해례 1800+ 2 318쪽
한자해례 1800+ 3 324쪽
***********************************
고유부호로 밝힌 조자원리를 적용,
교육부 지정 1,800자(한자능력시험 3급) 를 예시를 들어 풀이함(총 4,700여 자)
------------------------------------------------------------
각 권 50,000원
저자 직접 구매 - 각 권 45,000원(10% 할인)
인터넷 서점 - 각 권 50,000원
---------------------------------------------------------
주문 방법
문자로 주소, 연락처 기재
010-8530-8910 (주문 전용입니다. 통화 안 됨)
카카오톡 아이디 9hanja
--------------------------------------------------
입금 계좌
카카오뱅크(최규화) 3333 01 922 3587
연락처 9hanja@naver.com
후원계좌 카카오뱅크(최규화) 3333 01 922 3587
----------------------------------------------------------
키워드 : 한자, 한문, 한자능력시험, 부수
베르디 : 오페라 '라트라비아타' 中 축배의 노래 intro by SellBuyMusic
🎧 Download / Stream
- www.sellbuymusic.com/musicDet...

Пікірлер: 51

  • @user-mg7gu9ev7e
    @user-mg7gu9ev7e10 ай бұрын

    강단에서 학자짓 교수짓 선생짓 하는 애들 다 잡아다가 주리를 틀어야됩니다.

  • @user-ex3jp7wx7j
    @user-ex3jp7wx7j10 ай бұрын

    응원합니다!

  • @user-mg7gu9ev7e
    @user-mg7gu9ev7e10 ай бұрын

    선생님은 천재이십니다.

  • @user-ze8fi5dd4k
    @user-ze8fi5dd4k8 ай бұрын

    2000년만에 한자의 기본부호를 찾아내신 최선생님께 1억 한민족의 이름으로 대한민국 최고문화훈장을 드립니다 샘의 업적은 한민족의 홍복이자 세종대왕과 함께 태산북두 입니다 진심으로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 @9hanja

    @9hanja

    8 ай бұрын

    축하드립니다! 2023년 최고의 댓글왕 후보로 선정되었습니다!

  • @user-yq9pp2ef8z
    @user-yq9pp2ef8z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쭉...

  • @hermessanhaehan
    @hermessanhaehan9 ай бұрын

    한자해례 중에서도 하이라이트네요 ~ 전세계 교과서로 채택되어도 모자람이 없는 인류의 보고입니다 ~ ! ^^ 언어계의 흥민 쏘니 ~ 최선생님 화이팅입니다 ~ ! 낭중지추 ~ 언젠가는 세상에 빛을 비추실 겁니다 ~ 잘 정리해서 후세에 잘 넘겨주시자고요 ~ 올바른 언어생활을 위하여 ~

  • @user-ji7ev1ms8q
    @user-ji7ev1ms8q10 ай бұрын

    다시 또 시작 😂 하는김에 아리아리😊

  • @god8888
    @god8888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덕분입니다.

  • @narsen92able
    @narsen92able10 ай бұрын

    헉.. 제가 가지고 있던 책들은 거의 다 보셨네요 ^^;;; 영상 다시 보니 쏙쏙 이해 되네요 ~

  • @YalleeKim
    @YalleeKim9 ай бұрын

    선생님 오늘에서야 다시 만나뵙네요...먼저책도 사서 읽고 있다가 어느날 다시오겠다고 하시고 사라지셨는데 건강하게 오셔서 우메한이들 깨우쳐주셔서 감사드립니다...신서적도 다 주문했습니다....건강하세요

  • @user-ko5fq4gv8d
    @user-ko5fq4gv8d9 ай бұрын

    놀라운 발견 , 21세기 위대한 업적 ~~ 각고의 노력으로 자원을 해독하신 최선생님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그 어떤 학자들도 한자 원리를 논리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던 것을 논리 정연하게 대부분의 한자를 해독하셨습니다 내 생에 를 볼 수 있다는 것은 더 없는 영광입니다. 넘 감사합니다.

  • @9hanja

    @9hanja

    9 ай бұрын

    축하합니다! 2023년 최고의 댓글왕 후보로 선정되었습니다!

  • @user-ko5fq4gv8d

    @user-ko5fq4gv8d

    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9hanja

  • @a77207787
    @a772077877 ай бұрын

    한자의 원리 깨우치면서 뇌의 시냅스가 정렬 되네요 마음이 하나로 통일되면 운명이 바뀌고 한자 공부를 이렇게 하면 뇌과학 에서 말하는 몰입이 되네요

  • @yongeunlim2000
    @yongeunlim20009 ай бұрын

    진정 재미의 환희가 느껴집니다. 딱딱들어맞으니. 스트레스가 해소됩니다.

  • @jowon
    @jowon4 ай бұрын

    이렇게 훌륭한 한자 강의를 들을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user-yy6xw7px7g
    @user-yy6xw7px7g21 күн бұрын

    이해하기 쉽운 강의 잘들었습니다.. 끝까지 도전 해보겠습니다..

  • @oz1h3
    @oz1h35 ай бұрын

    훌륭한 업적을 이루셨군요. 존경합니다.

  • @user-xn1xr3gc7c
    @user-xn1xr3gc7c2 ай бұрын

    육서법으로 한자 하나하나를 줄세워 구분지은것이아니고 한자 한글자에서 육서법에의해 조화가된것다 명쾌합니다~~~😊😊😊😊 세종때 집현전 신숙주가 중국을. 가서. 한자조자원리 육서법을 배워왓다는 기록이잇는데. 신숙주와. 세종임금은. 육서법을제대로 간파햇기에 한글이 나왓겠죠?

  • @user-bg7ji3wp7m
    @user-bg7ji3wp7m9 ай бұрын

    요즘 선생님 덕분에 한자를 알아가는 재미에 빠져 삽니다. ^^ (배움이 늦되다 보니 속도는 느리지만요. ) 그런데 근래에 한자 정자체가 글로 쓰기도 어렵고 배우기도 어려우니 중국처럼 줄여 쓰는 간자체 등으로 써야 한다고 말하는 이들을 종종 접하게 됩니다. 하지만 저는 우리나라는 번자체를 고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저는 겨우 걸음마 수준의 한자를 배우고 있어 배우고 쓰기가 어렵긴 합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의 변형은 없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주 오랫동안은 그리 유지돼야 한다고 봅니다. 그래야 원래 한자가 생성된 제 의미를 지키고 전수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생각에서지요. 한자가 우리 문자임을 온전히 굳힌 다음에는 세상 흐름에 따라 조금씩 변화해 가도 되겠지요. 그렇게 하지 않으면 현 중국처럼 자국의 언어를 글로 쓰거나 읽을 때 외국 언어인 영어 철자를 표기하여 참고하는 일이 벌어질지도 모르지 않겠습니까? 선생님은 '한자 간소화'에 대해 어떤 견해를 가지고 계신지가 궁금해 여쭤봅니다. 늘 강건하시길 빕니다. 화이팅입니다~!!

  • @user-bg7ji3wp7m

    @user-bg7ji3wp7m

    9 ай бұрын

    @@9hanja 😊 답변 고맙습니다. ^^

  • @crescendo_999
    @crescendo_9999 ай бұрын

    뭐하는 분이시죠? 미쳤는데 이거? 최근 한문 공부에 꽂혀서 네이버 한자 사전 자주 찾아보는데 설득력이 개허접해서 참 한자가 개판으로 발전한 언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선생님 강의를 들으니 퍼즐이 따다닥 맞아들어가네요. 신기해요. 잘만 하면 선생님이 시라카와 시즈카의 아성을 무너뜨리는 한국의 한문학자가 되지 않으실런지??? ㅎㅎㅎㅎ 아님 말고요 ㅋㅋㅋㅋㅋ 그래도 기왕이면 우리나라에서 그런 엄청난 분이 나오면 좋겠네요.

  • @user-ex3jp7wx7j

    @user-ex3jp7wx7j

    8 ай бұрын

    발견으로치면 시라카와시즈카는 따라올수가 없습니다. 반딧불과 태양의 차이 만큼이나 간격이 큽니다. 물론 학자로서는 대학자 임에는 틀림이없습니다.

  • @user-ko5fq4gv8d
    @user-ko5fq4gv8d6 ай бұрын

    보고 또 봐도 나를 놀랍게 합니다. 위대한 발견!!! ~~~ 시계는 이왕이면 24시간으로 표시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을까요?

  • @user-do5vv7kx1n
    @user-do5vv7kx1n6 ай бұрын

    한자원리 강의 목차 0:00 서론 10:42 0. 목차 11:06 1. 몇 가지 알아야 할 것 - 1 14:22 1. 몇 가지 알아야 할 것 - 2 20:38 1. 몇 가지 알아야 할 것 - 3 26:28 1. 몇 가지 알아야 할 것 - 4 30:02 2. 모양 (고유부호) 49:19 3. 뜻 (의미를 만드는 방법) 1:20:38 4. 소리 1:26:17 육서법의 실체

  • @user-my8cp5xl5e
    @user-my8cp5xl5e10 ай бұрын

    ❤❤❤

  • @undaunted3202
    @undaunted3202Ай бұрын

    오늘도 아침 단 자를 보면서 땅위에 해가 떠 있더라구요!! 역시 하면서 다시 보기중입니다…

  • @undaunted3202
    @undaunted3202Ай бұрын

    중학1학년때 한문선생님이 설명하신 육서법이 나만 이해 하지 못한지 알았는데 다들 모르는데 아는척 대답만 했음을 알았네요… 시험문제에 상형인지 구분하는 문제 잘 틀렸는데… 틀릴수밖에 없었다는… 내가 부족한게 아니군요.

  • @user-xn1xr3gc7c
    @user-xn1xr3gc7c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9hanja

    @9hanja

    2 ай бұрын

    헐~ 우리 방 메인 영상입니다. 전에는 조회수 꽤 나왔는데, 재업로드 후 이 모양이 됐어요. 공항갈때오라이밴 형님, 감사합니다.

  • @narsen92able
    @narsen92able2 ай бұрын

    브라보!!!!

  • @user-wh4nc6bz8h
    @user-wh4nc6bz8h3 ай бұрын

    역학적으로 공부해봤는데...여전히 역학적해석도 공감이 안가더군요.한자도 언어고 문자인데..진짜 자연적 부호로 만들었겠 지..규칙없이 마구잡이로 만들지 않았을거라 생각됩니다. 책사서 공부해 보고 싶네요 ㅎ.ㅎ 목소리도 강력하니 설득력 있으심

  • @user-do5vv7kx1n
    @user-do5vv7kx1n6 ай бұрын

    11:10 예서가 사용되는 이유에 대한 추측 갑골문과 금문처럼 이전에는 종이가 발명되지 않아 무언가에 새기는 형태로 썻지만 기원전 50년대에 종이가 발명되고 나서는 붓과 먹물로 글을 썻는데 이때 붓은 특성상 직선과 점을 표기하기에 유리하고 곡선을 표기하기에는 어렵기에 예서가 유용하게 사용된 걸로 추측됩니다. 소전체는 그전의 중구난방인 글자들을 진시황이 승상 이사를 시켜 통합한 문체이고 그 후 정막이라는 사람이 투옥 되었을 당시 진시황에게 올려 만들어진것이 예서인데 이후 종이가 발명되고 종이에 소전체보다 예서체가 사용되기 용이하여 예서체가 주류가 된 것 같습니다. 소전체는 통일 직후 지역별 문자 통일을 위해 예서체는 통일후 오랜시간이 지나 종이가 발명되었을때 붓으로 쓰기 쉬워 사용된게 예서체 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때 만약 연필이 발명 되었다면 예서가 쓰일 일 도 없었겠다고 생각이 들지만 그때 연필이 만들어졌다고 해도 그때 당시의 종이가 연필을 써도 찢어지지 않을만큼 강하지 않았기에 붓으로 먹을 묻혀 사용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user-vj9sm8cj3y
    @user-vj9sm8cj3yАй бұрын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설문해자 책도 참고하려는데 어느 출판사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9hanja

    @9hanja

    Ай бұрын

    제 이메일로 연락주세요. 설문해자 영인본 보내드리겠습니다.

  • @9hanja

    @9hanja

    Ай бұрын

    @@user-vj9sm8cj3y 출판사는 모릅니다

  • @user-bv4xp7jh5k
    @user-bv4xp7jh5k2 ай бұрын

    시대적 한계와 개인들의 집필 능력.환경요소를 고려하면 옛 문헌들이 많이 부족한건 사실입니다. 중국 문명과 역사전반에 걸친 AI가 나오기 전까지는 혼란이 계속 될수밖에 없습니다.앞선 연구가들의 시각을 알아보는건 해야할일 이지만 그들을 평가하는건 나중으로 미루는게 좋겠습니다.

  • @user-do5vv7kx1n
    @user-do5vv7kx1n6 ай бұрын

    1:32:51 형성에 대한 의미에 대해서 생각이 들어 댓글 남겨봅니다. 먼저 선생님께서 형성은 소문이나 소식을 전해듣고 형상을 정했다고 말씀하셨는데 이 말이 틀린말은 아닙니다만 저는 여기서 더 나아가서 형성이란 49:19 에 나오는 "한자는 백과사전이다." 라는 말이 "형성"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백과사전이란 그 무언가의 성질 의미등의 정보를 적어놓은 책이잖아요? 즉 백과사전은 정보입니다. 그러나 글이 생기기 얼마 지나지 않은 그러니 글을 만들 당시의 시대상에 정보는 어떻게 알았을까요? 그것도 여러 사람의 보편적으로 알 정보를 말이죠 그것은 바로 소리 즉 말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였을겁니다. 우리가 아파서 병원에 가면 의사선생님께서 진단하시고 우리에게 "말"로 그 병의 정보를 이야기 하죠 즉 "형성"에서 "성"은 "소리"를 넘어서 "정보" 그 자체를 의미한다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52:40에 계수나무 계 에서 백과사전의 정보를 과거에는 어떻게 알았을까요? 물론 직접 계수나무를 보고 알았겠지만 그 알아낸 정보를 모든 사람들이 알도록 보편적이게 만드려면 소리 즉 말로 전달해 알려야 하겠죠 그러니 소리는 말소리 그 자체를 넘어 정보 즉 백과사전이란 말입니다. 그러니 형성이란 한자에다가 그 물체나 무언가의 정보나 성질을 반영하여 모양을 만든다. 를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요약하면 형성 = 한자는 백과사전이다.

  • @user-mg7gu9ev7e
    @user-mg7gu9ev7e10 ай бұрын

    갑골문은 어느날 갑자기 나타난 유물 몇점이 전부죠. 거북이 껍질이 몇천년이 지나도 완벽하게 발견된것도 이상하고, 그이후에 발견된것도 없고.. 미국에서 처럼 바위에 세겨진 갑골문이 발견되지 않는 이상 믿을수 없습니다.

  • @undaunted3202

    @undaunted3202

    Ай бұрын

    유물몇점??? 기가 찰 노릇이다!!! 헛똑똑이들이 넘쳐나~~

  • @user-mg7gu9ev7e

    @user-mg7gu9ev7e

    Ай бұрын

    @@undaunted3202 헛소리 씨부릴 시간에 공부 좀 해라

  • @undaunted3202

    @undaunted3202

    Ай бұрын

    @@user-mg7gu9ev7e 공부는 니가 해야겠다. 손가락으로 갑골문 검색만 해도 자료가 니통장 잔액보다 많단다… 어디서 주워듣고 까불지 말고 찾아 보고 지적질 해라

  • @user-ex3jp7wx7j
    @user-ex3jp7wx7j8 ай бұрын

    모든 사람들은 한자에대해서 ?이걸 가지지 않았다는거! 오직 최선생님이 ?이걸 가진겁니다. 뉴턴도 그렇지만 모든 발명 발견은 ?을 가진사람만이 해낼수있나봅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