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 온돌 집 짓고 한국 농기계로 농사 짓는 자급자족 미국 자연인 부부┃대단한 철학도 돈이 많아서도 아니었다┃아무것도 없는 맨땅에서 인생을 개척한 가족┃숲이 그린 집┃

※ 이 영상은 2023년 6월 24일에 방송된 <숲이 그린 집 - 미국, 버몬트 숲의 작은 농부>의 일부입니다.
미국 버몬트주 깊은 숲속, 17년째 작은 농장을 일구며 사는 한 가족이 있다.
손수 지은 집에서 그들만의 행복을 찾아가는, 소박하지만 특별한 일상을 만나본다.
숲이 대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 버몬트주는 푸른 활엽수와 맑은 호수가 어우러진 풍경이 아름다운 곳이다. 오랜 시간 동안 야생을 누비며 여행하는 삶을 살던 남편 ‘에반’과 아내 ‘하이디’는 결국 도시가 아닌 숲속에 집을 짓고 살기로 결심했다. 자연에서 난 자재들을 활용하고, 길고 추운 버몬트의 겨울을 나기 위해 바닥에는 온돌을 깔았다. 지금과 같은 모습의 집이 완성되는 데까지 무려 4년의 세월이 필요했는데, 따뜻한 물도 전기도 없는 열악한 환경에서 이전에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던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하지만 부부는 이곳에서 아들 ‘허클’을 얻었다. 집에는 그들이 오랜 세월 쏟아낸 사랑과 인내, 그리고 추억이 담겼다.
집을 완성한 후, 에반과 하이디는 집 앞의 텃밭을 확장해 작은 농장을 꾸렸다. 땅의 크기에 비해 수확하는 채소의 종류가 상당히 많다. 70여 종이 넘는데, 여러 종류의 채소를 재배하는 것이 기후나 계절의 변화 속에서도 큰 손해를 보지 않고 농사를 지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부는 매주 다양하고 신선한 농작물을 유통업체나 식당은 물론, 지역사회의 주민들에게도 제공한다.
이들이 농사일에만 매달리는 것은 아니다. 주말에는 일을 쉬고 다 함께 모여 직접 요리한 아침 식사를 하고, 각종 여가 생활을 즐긴다. 일명 ‘취미 부자’라 할 수 있는데, 자연을 마음껏 누리기 위한 것이다. 부부는 계절에 따라 카약과 스케이트, 스키를 즐기고, 허클은 요즘 아버지 에반에게 배운 산악자전거에 푹 빠져있다. 하이디는 집에 있을 때는 뜨개질을 하고 그림을 그리는가 하면, 기타도 친다. 숲에서 난 나무들로 숟가락을 만드는 에반은, 집을 지었을 때와 같은 마음으로 자연의 나뭇결을 그대로 살려 나무를 조각한다고.
버몬트 깊은 숲속 작은 농부들의 특별한 행복에 관한 이야기를 만나본다.
✔ 프로그램명 : 숲이 그린 집 - 미국, 버몬트 숲의 작은 농부
✔ 방송 일자 : 2023.06.24

Пікірлер: 212

  • @EBSDocumentary
    @EBSDocumentary5 ай бұрын

    ※ 이 영상은 2023년 6월 24일에 방송된 <숲이 그린 집 - 미국, 버몬트 숲의 작은 농부>의 일부입니다.

  • @TheRoseChunsa
    @TheRoseChunsaАй бұрын

    미국친구들이 자발적으로 40명이 와서 도와주다니 정말 놀랍고 아름다운 삶이다. 한국인들에게는 자기 시간과 돈을 써가면서 자기집도 아닌 남의집을 무료로 돕는것은 바보같은짓이라 생각한다 .나도처음 이민와서 많은 미국이웃들에게 많은 도움을 물심양면으로 받았고 이제 똑같이 사회에 환원하려고 한다. 나에게 미국은 아름다운 나라 고마운 나라이다. God bless America!🙏💗💗💗🇺🇸

  • @kleenex23
    @kleenex232 ай бұрын

    40여명의 지인들이 와서 일손을 도운것 자체부터 성공한 사람입니다....^^

  • @jspaik486
    @jspaik4865 ай бұрын

    '주어진 것에 만족하지 않는다...'가 아닌 '주어진 것에 대한 사랑과 열정'. 이 사람들이 너무나 존경스럽습니다.

  • @shaft_jb
    @shaft_jb5 ай бұрын

    부부의 우정이 특별하네요. 서로 지배하려고 하지 않고, 친구처럼, 동업자처럼 협업하는 모습이 아름답습니다.

  • @user-uz7hk7gr4k
    @user-uz7hk7gr4k3 ай бұрын

    이런 다큐멘터리 너무 좋습니다.

  • @user-yk3im9gl7u
    @user-yk3im9gl7u4 ай бұрын

    서로의 생각이 통하고 지지해주는 동반자를 만났다는 것이 가장 큰 재산인거 같아요👍 엄청 부지런해야 하는 삶이기에 감히 엄두가 나지 않지만 삶을 자신이 원하는대로 주체적으로 사는 삶이 진짜 멋집니다!

  • @user-cb8bm3rp5v
    @user-cb8bm3rp5v5 ай бұрын

    아름다운 삶, 아름다운 가족이네요

  • @orange_lemon7
    @orange_lemon75 ай бұрын

    수 년 만에 겨우 오두막 하나 짓고 또 한참 세월이 지나서 제대로 된 집을 짓고 또 거기서 수 년 더 지나서 집에 전기와 수도가 들어오고.. 와.. 정말 대단한 끈기입니다

  • @cjdrl
    @cjdrl5 ай бұрын

    멋진 사람들 용기에 박수를 보냅니다

  • @user-qm5ot6yo5e
    @user-qm5ot6yo5e27 күн бұрын

    다큐 잘봤습니다. 욕심내지 않고 평화롭지만 분주히 사는 부부의 모습이 아름답네요.

  • @NoahsArk950
    @NoahsArk9505 ай бұрын

    What a life! At the end of this wonderful life, heaven awaits.

  • @Rou_SanGuun
    @Rou_SanGuun5 ай бұрын

    느껴지는 부분이 참 많네요.. 농사만으로도 힘들고 피곤할텐데.. 삶에 진심이 느껴지네요.취미생활도 다양하고 주변사람들과의 교류도 중요히 생각하시고, 영상속에 다 담지 못한 저분들의 생활 방식이 모범답안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 @sujeongkim8168
    @sujeongkim81685 ай бұрын

    눈이 정말 호강했네요. 초록색이 많이 들어있는풍경~ 너무나 아름답습니다. 그들의 삶도 정말 아름답고 꾸미지 않은 자연스러운 얼굴도 정말 좋아보입니다.

  • @user-gz9ql7po3y
    @user-gz9ql7po3y5 ай бұрын

    겨울이 긴 동네면 바닥난방 정말 탁월한 선택이 였네요~ 맨발로 지내시는 군요 ~.~

  • @hyunwoo5604
    @hyunwoo56044 ай бұрын

    부럽네요~~저만큼 이루기까지 얼마나 노력했는지 가늠이 안가네요~결코 농사는 쉬운일이 아니죠ㅎㅎ이루고자 하는 모든일~그에 따르는 물질적 정신적 안정 그리고 자연 환경이 질투날만큼 부럽게만 보입니다~화이팅!!저분들은 이 채널을 안보겠지만 그래도 응원 해주고 싶네요~

  • @pretty4884
    @pretty48845 ай бұрын

    비정상 회담 타일러의 고향 버몬트네요.아름답고 한적한 곳에서 욕심부리지 않고 자연과 더불어 사는 가족의 모습 잘 봤어요.한국식 난방과 농기계가 나와서 더 반가워요.😊

  • @yunjunestory7353
    @yunjunestory73535 ай бұрын

    하이디 손마디 보니 한국 산골에서 농사짓는 저보다 더 거칠군요. 그 손마디가 모든 세월을 웅변하고 있는... 파종기는 저도 비슷한 거 하나 쓰고 있는데 작은 영농에는 아주 편리한 것이죠.

  • @peterahn7557
    @peterahn75575 ай бұрын

    My daughter and her boyfriend live in Athens, Vermont. The closest neighbor is 50 miles away.

  • @lisamohr2220
    @lisamohr222020 күн бұрын

    은행 에 다니섰던 우리 시어머니 도 이렇게 여름 이면 겨울 저장 음식 을 만드셨죠 .

  • @ninehappy8363
    @ninehappy8363Ай бұрын

    유치원때부터 학원을 전전하기 시작하여 평생 학원의 노예가 되고 또 회사의 노예로 살다 비참한 노년을 맞이하는 삶 저런 삶이 얼마나 멋진 것인지 아직도 깨닫지 못하는 1인 너무나 멋진 풍경과 생활 / 당신들의 삶이 부럽습니다

  • @user-uy2mr1xg4r

    @user-uy2mr1xg4r

    7 күн бұрын

    너무 극단적 비교군요.

  • @user-cj5uw1vx8k
    @user-cj5uw1vx8k5 ай бұрын

    이게 인간이 사는 진정한 모습이겠네요..현실은 그렇지못해도 이런삶을 꿈꾸는것도 괜찮죠^^

  • @user-kp9mb5xn2u
    @user-kp9mb5xn2u3 ай бұрын

    지구 사용하기 가장 잘하는 가족같아~ 부럽네요

  • @shin1252-g1u
    @shin1252-g1u5 ай бұрын

    이번 영상은 평온한 나레이션과 숲 풍경 속 모습들이 모두 잔잔한 활력을 주는군요. 고맙습니다. 가장 멋있고 최고 영상였습니다~ 😊

  • @RiverflowsinU
    @RiverflowsinU5 ай бұрын

    Ebs 는 정말 존경함.

  • @east_riversidehan5114
    @east_riversidehan51145 ай бұрын

    집이 너무 예쁘네

  • @user-je4md4cv5r
    @user-je4md4cv5r5 ай бұрын

    삶이 예술이네요

  • @svo2098
    @svo20985 ай бұрын

    정말 멋진 부부네요. 부럽습니다. 버몬트를 가보진 못했으나 소설 북경에서 온 편지를 통해 마음속으로 늘 동경하던 곳입니다. 기회되면 꼭 가보고 싶은 미국 촌동네 버몬트!😊 영상 잘 봤습니다. ❤❤❤

  • @nate.r7210
    @nate.r72105 ай бұрын

    멋있는 삶이네.. 부럽다.

  • @user-yw8fy8nv7l
    @user-yw8fy8nv7l5 ай бұрын

    표정들이 편안하고 행복해여 아주 보기 좋네요. 자연속에서 가족 모두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소원합니다.

  • @user-dn7sz1db2h
    @user-dn7sz1db2h5 ай бұрын

    니어링 부부의 삶이 이들 부부를 통해 계속 이어지네요. 아름답습니다.

  • @packer0408

    @packer0408

    5 ай бұрын

    오. 조화로운 삶의 니어링 부부를 아시는군요!

  • @cuac8027

    @cuac8027

    4 ай бұрын

    스콧 니어링. 멋진 .

  • @myang135

    @myang135

    2 ай бұрын

    저도 이거 보면서 니어링 책 생각했어요 소박한밥상도 재미나죠

  • @Touhtr
    @Touhtr5 ай бұрын

    친구들이 많음은 인생을 잘 살았다는 것이네요

  • @user-gl4gm8qv2l
    @user-gl4gm8qv2l5 ай бұрын

    버몬트주 가보진 않았지만... 진짜 인생 제대로 사시네요.. 부럽습니다..하하

  • @user-gg5cl8jj4m
    @user-gg5cl8jj4mАй бұрын

    진짜 삶을 살아가는 행운아들이네요

  • @user-ei8bf1qp4n
    @user-ei8bf1qp4n5 ай бұрын

    I think they have good idea to live in the forest and I love those! Be happy! I hope so!

  • @sangminlee3136
    @sangminlee31364 ай бұрын

    대학때 시골 고항집에 가장 친한 친구들 놀러오라했다가 동네사람들만 아는 절경의 계곡서 수영하다 익사사고로 친구하나를 잃었을때 그 죄책감은 겪어본 사람만 알죠. 몇년후 애인이었던 후배가 청첩장을 보냈는데, 신부방에서 울면서 축복해준 기억나네요.

  • @tsgmkang553
    @tsgmkang5535 ай бұрын

    정말 모든게 아름답네요.

  • @pavv-fk4ku
    @pavv-fk4ku5 ай бұрын

    자연과 인간 그리고 따뜻한 가족애가 느껴지네요. 잘보았습니다.

  • @lisamohr2220
    @lisamohr222020 күн бұрын

    존경 스럽습니다

  • @user-tk9ge5nz2c
    @user-tk9ge5nz2cАй бұрын

    간만에 좋은 영상 본거 같네요 특히 각자 자연에서 스포츠를 즐기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어요

  • @Han-ws8he
    @Han-ws8he5 ай бұрын

    많은걸 생각하게 하는 영상이네요

  • @harryy5353
    @harryy53535 ай бұрын

    젊은 부부의 열심히 일하는 삶! 존경스럽네요

  • @daekwang70
    @daekwang704 ай бұрын

    큰농사도 힘들지만 작은농사도 힘들지요 모든걸 사람이 해야되서 육체적으로는 더힘들지않을까 합니다. 멀리서 응원할께요 ^__^

  • @user-pv3qz9sn8c
    @user-pv3qz9sn8c4 ай бұрын

    참 멋진 분들이네요. 버몬트하면 타샤튜더가 생각납니다. 아름다운 자연에서 소박하지만 큰 삶을 살며 이웃과 소통하는 모습이 참 보기 좋네요.

  • @SammyUTV
    @SammyUTV5 ай бұрын

    힘든이들에게 용기를주는 상황에 굴하지않고 두분의 멋진 도전이 이루어낸 결실이네요. 멋져부러요 🎊🎉❤

  • @user-lk1xi9hv3q
    @user-lk1xi9hv3q5 ай бұрын

    저렇게 살아보고 싶네요.

  • @user-co7vw8ey7r
    @user-co7vw8ey7r5 ай бұрын

    욕망을 극복하면 비로소 편안한삶이 되는모습 좋다좋아.......

  • @user-ic9gq6ss3p
    @user-ic9gq6ss3p5 ай бұрын

    정말 제목그대로 숲이그린 집 답게 자연과 더불어 꾸밈없이 소박하고 쉬엄쉬엄 취미생활도 즐기며 자연속에서 열심히 살아가는 모습들이 참 부럽고 보기좋네요 늘 건강하고 행복하시길.......

  • @user-wq8he5hi1c
    @user-wq8he5hi1c4 ай бұрын

    존경스럽네요^^ 자연을진정으로 느끼시고 사랑하고 자연과 함께 가족이 살아가시는 모습에 희망이 넘쳐나요 늘 행복하세요~😊😊

  • @DogMonG9
    @DogMonG93 ай бұрын

    자연 속에서 사는 삶을 실천하는 멋진 분 들.. 미국가면 놀러가고 싶다^^

  • @ksj5588
    @ksj55885 ай бұрын

    아름 다운 삶~~~

  • @BenChung78
    @BenChung782 ай бұрын

    Very inspirational to see America in its purest blessed original way. May the good God always bless and protect your precious family and people in all that God's continual blessing leads. 🙏 😊

  • @sukhunchung2232
    @sukhunchung22324 ай бұрын

    정말 아름다운 부부 네요. 특히 자연을 진짜 사랑하는 분들 이구요. 이렇게 힘든일 하시면서 보람 느끼시고 자연 속에서 산다는게 정말 쉽지 않은일인데 말이죠. 이런분들 보면 고개가 절로 숙여집니다. 항상 가족 모두 건강하시고 행복 하세요 ~~

  • @jjinjaU
    @jjinjaU4 ай бұрын

    나무집을 보니 지은 방식으로 하여금 나무가 죽지 않고 집 안에서 그대로 살아 숨쉬는 듯 해서 뭔가 위로가 되고 보기에 좋다..

  • @suniiiiiii618
    @suniiiiiii61812 күн бұрын

    감정 전달이 너무 잘되는것도 힘들다 마지막 1분에 눈물이 계속 나네 부럽기도 ,현재 가진 것을 더 가지려는, 가지고 있는 것으르내려놓지 못하는 사란이ㅡ대부분인데 무에서 유를 만드는 과정 또한 순탄치ㅡ않았을건데 그 과정이 눈에 그려지네

  • @user-li9fu8rf2w
    @user-li9fu8rf2w11 күн бұрын

    부럽다 나도 진작에 나다운 삶을 찾았어야 했는데

  • @user-gu5uo2ez7u
    @user-gu5uo2ez7u5 ай бұрын

    멋진 삶입니다. 부럽네요~^^

  • @user-zq2sc3cn7k
    @user-zq2sc3cn7k3 ай бұрын

    정말 아주많이.너무나도 근사하구멋지고 훌룡하고. 존경스러운 남과여.부부입니다. 농사짖는 아름다운부인.남편.아들 까지..정말.너무 멋집니다.

  • @user-vz7oz7je8v
    @user-vz7oz7je8v4 ай бұрын

    몸이 고될수는 있어도 행복해 보여 부럽네요.

  • @bokwhanlee9212
    @bokwhanlee92124 ай бұрын

    아 멋지게 사네. 여행도 하고 즐길 때는 즐기면서...저렇게 못사는 성공한 도시인들이 많거든요

  • @DogMonG9
    @DogMonG93 ай бұрын

    너무 예쁜 나무 숟가락. 그들이 함께하는 모든 것이 저것처럼 아름답다. 숲속에서 건강하게 지낼 수 있도록 몸을 잘 돌보시길 바랍니다.

  • @user-iy8rd6zg9c
    @user-iy8rd6zg9c5 ай бұрын

    점점 나아져가는 소박한환경속에 기쁨이 느껴집니다

  • @clarakim3367
    @clarakim33673 ай бұрын

    자연과 어우러져 사는 자유로운 아름다운 영혼들… 축복이 따로 있는게 아니네요 !

  • @Jins-jh3is
    @Jins-jh3is5 ай бұрын

    열정이 대단한 부부네요

  • @ganekim
    @ganekim3 ай бұрын

    라벨도 아름답고 뭔가 있어 보이네요. 창의력은 역시 서양인이 최고네요. 그리고 지역사회의 배려심으로 아름다운 삶을 만드네요

  • @user-vu1lk3tt2d
    @user-vu1lk3tt2d5 ай бұрын

    마음 따뜻해지는 좋은 영상입니다. 추천 박고갑니다

  • @DanielHLee-eg1ou
    @DanielHLee-eg1ou5 ай бұрын

    훌륭한 풍경, 스토리, 나레이션 정말 최곱니다

  • @user-ow1tv4gu7l
    @user-ow1tv4gu7l5 ай бұрын

    멋집니다. ㅎㅎㅎㅎㅎ.

  • @nozion1881
    @nozion18815 ай бұрын

    나도 저런 여자 만나서 저렇게 살고 싶다. 멋진 부부다.

  • @user-gq8ni2nl6o
    @user-gq8ni2nl6o5 ай бұрын

    신기하네요. 잡풀이 하나도 없어요^^ 풍요로운 느끼이네요

  • @user-gi9zr4cz8f
    @user-gi9zr4cz8f5 ай бұрын

    멋지다 ~~

  • @user-ty9cz4el5w
    @user-ty9cz4el5w4 ай бұрын

    너무나 좋은 프로 감사합니다.

  • @cJeremy
    @cJeremy5 ай бұрын

    40명의 친구가 있다는게 대단한거 같다...

  • @user-mw9bz6ge6s

    @user-mw9bz6ge6s

    5 ай бұрын

    한국자연인특 = 사회에서 상처받았거나 낙오된 사람들이 그리고 가족과 헤어진 사람들이 또는 이혼한 사람들이 제2의 인생또는 세상과 등지고 살려고 들어와서 혼자 단절된 삶을 살아가는 취약계층들이 대부분임 또는 자연인 컨셉으로 살아가는 그냥 시골인이 대부분이고 ㅋㅋ 미국자연인특 = 자연인을 가장한 시골 자영업자 ㅋ 또는 지역사업가 ㅋ 충분한 자본력으로 주택과 토지를 소유 자동차도 여러대소유 ㅋ 여가활동도 충분히 소비 그리고 지역커뮤니티와 잘연결되 있고 집단의 도움을받음 혼자 단절되지않고 가족들과 행복하게 같이 잘지내고 있음 ㅋ 그리고 그40명이 친구라기 보다는 지역커뮤니티의 힘이자 연대감입니다 우리가 편견갖는 부분중에 미국의 개인주의가 심하다고 생각하는데요 그건 미국도시기준 개념이고요 미국시골의 이웃간 서포트 커뮤니티 네트워크는 꽤 잘갖추어져 있습니다 이부분은 미국이 한국을 압도합니다 한국시골들은 개인간의 아마추어식 1대1 커뮤니티가 대분이라서 그냥 오지랖 참견들까지 정으로 애써 포장하는데요 그래서 시골텃세나 시골갑질로 까지 연결되는 단점이 있고 개인사생활까지 터치하는 단점이 많습니다 그에비해 미국시골인들의 커뮤니티 연대는 미국인들 정서에 맞게 각자 본인들의 사생활은 보호해주되 개인들이 해결하기 힘든 집단의 힘이 필요한 건축이나 시골정착에 필요한 새로운 보금자리건설 시골 경제권 네트워크 편입등등 개인들이 해결하기 힘든 부분을 지원해주는 본인들이 거주하는 지역내 사람들이 서로 자발적으로 구성한 시골지역 네트워크이자 커뮤니티이자 조합성격의 단체들입니다 미국인답게 정부나 관의 도움을 받기보다는 이런 자발적인 자유로운 민간주도의 제도를 이용해서 미국시골인들은 시골정착부터 경제나 문화부분까지의 문제를 해결합니다 이것이 미국방식의 합리적 정이자 시골 네트워크 커뮤니티의 힘입니다 도움은 제공하되 사생활은 간섭하지 않는다는 서구식 방식의 합리적 정이죠 그에반해 한국은 개인사생활까지 간섭하고 개입하고 갑질이나 텃새까지 벌어지는데 이런부분 모두를 그넘의 한국시골의 정이라는 단어로 미화 시키고 있죠 여기에 불만을 표현하면 사회부적응자 또는 도시인의 개인주의라고 오히려 마녀사냥하고요 ㄷㄷ 아무튼간에 저런게 바로 미국의힘인거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성인들도 너무 애같은 부분이 많고 국민이 너무 어린아이들 같아요 모든걸 정부나 관에서 도움을주거나 지원을 해주거나 개입을 해야한다고 생각하는 마인드나 시민의식이 있어요 그래서 유난히도 정부에 바라는게 많고 요구하는게 많죠 물론 한국법륩도 너무 국민을 애취급하고 모든걸 간섭하고 규제하는법률 투성이에요 뭔가 한국법률은 유교식 헌법시스템 같아요 국민을 계몽하고 통제해야한다는 개념의 법률성격이 강해요 그에반해 미국은 정부의 개입과 지원 간섭은 최소화하고 모든걸 대부분 민간자율에 맡겨서 저렇게 민간지역공동체도 살아있고 유기적으로 자연스럽게 합리적으로 작동되는거 같아요 그에반해 한국은 민간이 해야할 부분까지도 모두 세금투입해서 지방정부나 중앙정부나 주민센터등에서 시행하는데 관주도로 세금으로 하다보니까 잘되지도 않을뿐더러 존재하는지 조차 모르고요 참여율도 저조하죠 주민인 원한다기 보다는 세금으로 비시장성 정책으로 진행하는게 많으니까 헛발질 할때가 많아요 진짜 필요하지도 않고요 괜히 세금만 낭비되죠 이런점이 미국과 한국의 차이점같아요

  • @songkim1437
    @songkim14374 ай бұрын

    행복~

  • @user-dk2nf1op4f
    @user-dk2nf1op4f5 ай бұрын

    대단한 하시네요

  • @user-mp4sh1fr3u
    @user-mp4sh1fr3u4 ай бұрын

    좋아요❤❤❤

  • @user-sy7it3jr8r
    @user-sy7it3jr8r4 ай бұрын

    아름다운 삶 ❤축복합니다 ❤

  • @Shawshank_Maskdance
    @Shawshank_Maskdance3 ай бұрын

    힘든만큼 행복한 부부 모습인거 같아요^^ 보는사람도 힐링하고 갑니다~

  • @yut83
    @yut835 ай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제가 꿈꾸는 제 2의 인생 같은 것인데 아마 우리나라에서는 규제가 많고 여러 가지 요소 등으로 어려울 것 같은 삶을 즐기며 사는 것을 보고 적지 않게 충격을 받았습니다. 역시 미국입니다.

  • @user-gp4nf7oe8d

    @user-gp4nf7oe8d

    5 ай бұрын

    해봤어요?

  • @yut83

    @yut83

    5 ай бұрын

    해봤습니다.@@user-gp4nf7oe8d

  • @user-jp1qt2jw3d

    @user-jp1qt2jw3d

    5 ай бұрын

    관공서를 방문 해보신게 언제쯤 인가요~? 요즘은 관공서도 친절하고 상담도 성실하게 대답해줍니다~ 전 우리나라의 공공서비스가 아주 좋은 나라라고 생각합니다~ 건축법과 공법을 공부 하시면 규제에는 다 이유가 있음을 알게 되실것이고~ 규제에 저촉 되지않게 얼마든지 꿈을 이룰수 있습니다~ 님이 정말 꿈꾸고 있다면~~

  • @jinwoojeon5888

    @jinwoojeon5888

    5 ай бұрын

    그럼에도 불구하고...그런마인드가 필요해 보입니다

  • @user-tx5ts1wm4o

    @user-tx5ts1wm4o

    5 ай бұрын

    관공서에서 방해. 요즘 ㄱ런거 잘 없음. 도와주려 하던데

  • @user-pj4sf3yf9m
    @user-pj4sf3yf9m3 ай бұрын

    여유로운삶이 보기좋습니다^^

  • @youngbogchoi5738
    @youngbogchoi57383 ай бұрын

    친구들 기억하는 법이 너무 감동적입니다 ~♡😊

  • @user-wg7im8bg5q
    @user-wg7im8bg5q4 ай бұрын

    진짜 존경 스럽다.... !! 진정 아름다운삶이라느껴진다.

  • @user-wg7im8bg5q
    @user-wg7im8bg5q4 ай бұрын

    멋진 농부님들~~우리나라 농부님들도 저분들처럼 즐기면서 사셨으면좋겠네요 👍 👍

  • @HeeSookShin-dw3tu
    @HeeSookShin-dw3tu5 ай бұрын

    ❤부부가 함께 의논하며 살아가는 모습이 좋습니다❤

  • @user-mu5mq2iw7k
    @user-mu5mq2iw7k4 ай бұрын

    몰입하며 보게 됐네요. 여기도 귀농이 화두지만 대부분 실패하는 이유가 동경하던 전원생활을 시작하면서 겪는 낭만과 현실과의 괴리 때문이죠. 강인한 적응력과 자연을 대하는 철학이 이 분들처럼 분명하면 성공할 확률이 크죠.

  • @user-xr8pb4wx6c
    @user-xr8pb4wx6c3 ай бұрын

    참으로 아름다운 삶이고 아름다운 분들이군요...부럽습니다^^.

  • @gghhhkk241
    @gghhhkk2413 ай бұрын

    멋진 인생이네요~~~~~

  • @user-wj5dy9ey2k
    @user-wj5dy9ey2k5 ай бұрын

    부러운삶이네 다음생에는❤

  • @user-cb4ig7wc8i
    @user-cb4ig7wc8i5 ай бұрын

    스콧과 헬렌 니어링 부부의 삶을 실천하는 중이군요. 저도 젊은 시절에는 저런 삶을 동경했었는데...

  • @shaft_jb
    @shaft_jb5 ай бұрын

    먼저 간 친구 켈시에 대한 추모방식이, 코끼리의 추모같네요. 먼저 간 코끼리 가족을 잊지 않고 오명가명 들러서 뼈를 만지며 오랫동안 머물러 추모하는. 한 번만 슬퍼하는 것이 아니라, 기억속에 늘 함께 하는.

  • @user-xw6ln8li7q
    @user-xw6ln8li7q4 ай бұрын

    뜨게질한 모자도 파는 것처럼 예쁘고 나무 숫가락도 멋지네요~ 목기 좋아하는데 한번 해보고 싶어요!

  • @sys6810
    @sys68104 ай бұрын

    멋있게 사네요.

  • @S2HOONI
    @S2HOONI3 ай бұрын

    멋진 사람들, 멋진 삶

  • @juliannajade8005
    @juliannajade80053 ай бұрын

    돈이 많으나 적으나.. 이들은 참 맘에 여유는 있어서 좋다^^

  • @soungbujo2401
    @soungbujo24015 ай бұрын

    저두 저렇게 살고픕니다

  • @user-oy1ri2ie2e
    @user-oy1ri2ie2e4 ай бұрын

    아..보는 것 자체가 힐링

  • @chaltomato7522
    @chaltomato75224 ай бұрын

    자신만의 세상을 만들어 가는게 진정 행복한 인생이 아닌가 생각해보네요

  • @yeonzonza5737
    @yeonzonza57375 ай бұрын

    제목 어그로만 빼면 아주 나무랄데 없이 잘 만든 다큐라서 칭찬해 짝짝짝... 이 영상 한 편이면 전통적인 미국인의 자연과 생활을 대하는 정서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아들이름이 허클.. 필시 허클베리 핀에서 따왔을 것이다. 아예 그냥 허클베리라고 지었어도 어울렸을 듯. 허클의 친구가 흑인인것도 허클베리 핀에 나오는 흑인 친구가 연상된다. 허클이 어렸을 때부터 집안 농사일을 도우며 일할 때마다 현금을 부모가 주었다는 것 이것이 바로 한국인의 정서로는 낯선 풍경이지만 미국인에게는 아주 자연스러운 정서이며 이것이 바로 서양과 동양의 교육차이다. 한국은 자식이면 그저 이뻐하고 공부외에는 신경쓰지 않는데 서양인, 특히 미국인은 자본주의의 본산국민 답게 분명하게 노동의 가치를 현금을 주어서 자본주의 정신을 어릴때부터 자연스럽게 몸에 베개 한다. no pain no gain의 일상화.. 이것이 바로 미국인의 개척정신이다. 서양중에서도 미국인의 차별성이 바로 내가 어릴때 교과서에서 배웠던 개척정신이다. 워낙 한국인들이 현대사에 굴곡지고 고생을 많이 해서 미국인의 개척정신을 대수롭지 않게 무시하는데 결코 그렇게 가볍지 않다. 미국이 자본주의 나라라서 화려하고 극단적인 면만 한국인의 스크린에 비추고 있지만 실제는 저렇게 맨땅에서 시작하여 온갖 물리적 고생을 감내하는 개척정신이 있었기에 오늘날 미국이 세계패권국가가 된 것이라고 봐야 한다. 현대문명의 이기를 유효적절하게 쓰면서도 자연유기능법으로 특화하며 짭짤한 부수입을 안정,고정적으로 거둬들이고 때되고 철되면 위대하고 아름다운 자연을 아들과 부부가 함께 누리고 즐기고... 열심히 일하지만 또한 행복하게 자연을 누리고 그러면서도 자본주의 정신으로 수익을 챙기고... 이것이 바로 균형적인 어메리칸 라이프스타일... 보고 배울 점이 많다. 교육몰빵, 취업몰빵, 그게 안돼서 자포자기에 이르는 극한적인 선택과 포기를 강요당하는 아둥바둥 살아하는 한국인들을 가련하게 만드는 어메리칸 라이프... 부럽다... 옥의 티라면 제목인데 한국식 온돌이 아니고 미국식 온돌이다. 원래 한국식 온돌은 주방 아궁이에 불을 때서 그 열기로 바닥을 데우는 것이고 이를 본 미국인 건축전문가가 불을 물로 아궁이를 보일러로 불열기를 온수관으로 바꿔서 만든게 바로 미국식 온돌이다. 흔히 한국인들은 온수난방 방식을 한국식이라고 갖다붙이는데 만약 중국인 건축업자가 온수난방을 개발했다고 하면 아마 중국인들은 길길이 날뛰며 한국놈들이 온돌을 훔쳐갔다고 개난리를 피웠을 것이다. 미국인이 만들었으니까 쿨하게 그냥 아무 비판 안하는 것이다. 온수난방에 대해 말하는 장면을 보면 미국에서 흔하지 않은 방식이라고만 했지 한국에 대해선 한마디도 하지 않는다. 온수난방은 한국인이 아니라 미국인이 최초로 만들었고 그게 팩트니까 그런 것이다. 온수난방은 불난방에서 착안하긴 했어도 엄연히 미국이 원조다. 그럼에도 미국인 누구도 이런 한국인의 온수난방에 대한 건너띄기 인식에 대해 불평하지 않는다. 자연과 인간이 문명을 통해 조화로운 삶.... 아무튼 아름답다.

  • @diplogroove

    @diplogroove

    5 ай бұрын

    저도 전체적인 내용은 흠잡을곳 없이 좋은데 제목 어그로가 옥의 티라고 생각하던 차인데 선생님 말씀에 깊이 공감하고 갑니다.

  • @jhkim5305

    @jhkim5305

    5 ай бұрын

    제목 어그로에 공감해.서 다 읽고 자세히 눌렀는데 글이 겁나게 길게 더있으면 어쩌자는거야. 미국은 온수 바닥이 거의 전혀 없다시피 하고 한국은 100% 다있어. 온돌바닥에서 가스먹고 디지다가 온수온돌로 자연스럽게 넘어왔고 한국식이 마자. 쓸데없는 말이 넘 길었어. 농사하면서 산악자전거와 보트로 여가 생활하는거 부럽네.

  • @yeonzonza5737

    @yeonzonza5737

    5 ай бұрын

    @@jhkim5305 온수난방은 미국인이 원조야. 미국인이 최초로 만든거 맞아. 미국인이 안쓴다고 해서 미국인이 최초로 만들었다는 사실을 호도하지마. 사실 똑바로 알도록

  • @awkwardtruth_

    @awkwardtruth_

    Ай бұрын

    @@yeonzonza5737 In modern usage it refers to any type of underfloor heating, or to a hotel or a sleeping room in Korean (as opposed to Western) style. 엄~ 우리 미쿡인들은 구석기 시대로부터 전해진 한국의 온돌을 현대의 바닥난방이라 봅니다.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브로가 한국식 온돌을 체험하고 착안해서 만들었지요. 한쿡의 온돌의 자연친화적인 기술력은 최코입니다~ 미쿡의 개척정신이요? 오마이갓!!! Frontier Thesis!!

  • @GoroOyama
    @GoroOyama5 ай бұрын

    전채적으로생각하면한국사람보다,아메리카쪽유럽쪽사람들이소박하게살아가는듯하다.

  • @sinabro0357
    @sinabro03574 ай бұрын

    멋있고 부럽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