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만 중국을 잘 모른다, '진짜 중국을' 알려드리죠 (서강대 이욱연 교수 풀버전)

Тәжірибелік нұсқаулар және стиль

한국만 중국을 잘 모른다, '진짜 중국을' 알려드리죠 (서강대 이욱연 교수 풀버전)
※ 시청자 편의를 위해 자동자막을 설정했습니다. 자막이 불편하시면
(모바일 기준) 화면 우측 상단 'cc'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PC 기준) 화면 우측 하단 '자막(c)'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 김작가 『머니 트렌드 2024』 도서 구매
👉 zrr.kr/IBeT
📌 김작가의 신규 유튜브 채널 『리치』 오픈, 놀러오세요:)
👉 / @richrich_tv
✔ 출연 신청/강연 신청/광고 문의: smilekdy7@naver.com
✔ 김작가 인스타그램: / smilekdy7

Пікірлер: 2 100

  • @lucky_tv
    @lucky_tv7 ай бұрын

    🌟 『이욱연 교수_3부작』 풀버전을 업로드 했습니다. 📚 김작가 신간 『머니 트렌드 2024』 도서 구매 👉 zrr.kr/IBeT

  • @user-du5sb1ib9w

    @user-du5sb1ib9w

    7 ай бұрын

    말하는강도가 아직약해요. 이런강도로 한국인들 절대 정신 못차립니다. 중국에서 QR코드로 결제하는거. 10억명이상이 사용하고. 심지어 중국에사는 한국인들도 편리하다는데. 한국에서만 사는. 한국인들은. 사용도 안해보고. 공산국가다니 독재자다니. 정보빼간다니. 등등. 한심한소리합니다. 이런한국인들로 구성된 한국인데 . 나라가 안망하겠어요?

  • @user-du5sb1ib9w

    @user-du5sb1ib9w

    7 ай бұрын

    진심으로. 나라잘되기발하면. 제가쓴댓글 잘읽어보세요. 욕먹을가. 공격받을가. 걱정되면 아예이런 컨셉. 이런보도 하지말고요. 할려면. 제대로. 강하게 나가세요 그리고 의리있긴무슨. 조선민족배신하고. 조선말 조선글 쓰는. 한국인들인데. 이게 의리에요? 그래서. 무슨민족이나. 물어보면. 대답도. 못하지요. 의리 있는나라인데. 고구려가. 앞에서 싸우는데. 신라. 백제 는. 고구려 뒤에숨어 있다가. 고구려 뒤통수 치고. 공격해요?

  • @acdsee1372

    @acdsee1372

    6 ай бұрын

    전세계를 인간노예 식민지 삼는 미국나치를 조심해야된다 우리의 적은 중국 공산당이 아니다 주적은 미국이다 미국나치 뿌리 영국이 중국을 식민지로 삼고 아편전쟁으로 나라를 망하게 만들었다 대한민국 한국인을 가장 많이 학살한 놈들은 일본이 아닌 미국나치 놈들이다

  • @user-df8sy2jk2j

    @user-df8sy2jk2j

    6 ай бұрын

    중공인들 절대 착하지 않다는걸 한국인들은 영원히 잊지 않는다!!!!!!

  • @user-fu9yj3bb7s

    @user-fu9yj3bb7s

    6 ай бұрын

    이연욱 이거다 저거 다 말하지 말고.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라고 말해.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라고 말해. 니가 다 아는 거 아니야?

  • @user-mu6gj9nn9n
    @user-mu6gj9nn9n5 ай бұрын

    누구 밑에 있겠다는 생각을 버리고 강해져야한다. 아무도 건드리지 못하는 강하고 부유한 나라가 되어야 한다.

  • @user-sc7bu9sq1p

    @user-sc7bu9sq1p

    5 ай бұрын

    부유할수는 있겠으나 강하기에는 턱 없이 불가능 합니다!

  • @user-xb9br4ky7b

    @user-xb9br4ky7b

    5 ай бұрын

    불가능

  • @persona10

    @persona10

    4 ай бұрын

    대국들 사이에 둘러쌓여있는데 강해지는건 어렵지

  • @user-ik2st7fz4k

    @user-ik2st7fz4k

    3 ай бұрын

    ? ?

  • @enjoy5195

    @enjoy5195

    3 күн бұрын

    그렇게 되기도 전에 일본꼴남 미중이 같이 누를듯 ㄷㄷ

  • @user-yg1ns2xl2y
    @user-yg1ns2xl2y5 ай бұрын

    미리 준비 하는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는 역사에서 배워야 한다

  • @user-fk1qk1ef5x
    @user-fk1qk1ef5x6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국회의원을 모두 없애버리자. 국회의원들이 모두 돈과 권력에 혈안이되어 있다. 국가도 국민도 안중에도 없다. 똑똑한 자들이 국회에만 들어가면 시정잡배가 되어버린다. 오로지 권력에만 눈이 멀어버린다. 이런 국개의원이 더 이상 필요한가?

  • @user-rb9go6rh4h
    @user-rb9go6rh4h6 ай бұрын

    다른건몰라도 부동산 중국사람에 파는건 법으로 규제했읍좋겠다

  • @wowo885

    @wowo885

    3 ай бұрын

    最好这样,禁止中国人买韩国房地产

  • @adiosm57

    @adiosm57

    3 ай бұрын

    @@wowo885 아 진짜 더럽다... 좀 꺼져라 ㅋㅋㅋ

  • @Leekor685

    @Leekor685

    22 күн бұрын

    집없는 사람들은 외국인에 파는것 반대하겟지

  • @winnerkr6831
    @winnerkr68316 ай бұрын

    한국만 중국몰랐다는것 틀린말이다. 세계가 중국을 모랐다…하지만 정치인은 알고있으면서도 모르는척한것이다.

  • @user-by9mj6dt7n

    @user-by9mj6dt7n

    5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예를 들면 러시아 하마스가 침공할걸 바이든은 알고 있었죠. 전쟁나서 미국은 셰일가스 많이 팔아 돈 엄청 벌고 있죠.

  • @jungking4033

    @jungking4033

    5 ай бұрын

    중공이 대만 침공하는것은 당연한것이다..다만 기회를 보고 있는것이다.옛날 수 당나라는 우리 삼국 백제 고구려 신라가 태자들까지 보내면서 아양을 떨었지만 결국 우리를 침략했고 ,,중국의 한무제때 고조선이 합리적인 외교를 펼쳤지만 고조선을 침랼 멸망시켰다..명청 교체기에 청도 마찬가지..침략 기회만 있으면 침략하는게 중국역사 전통이다. 물론 미중 실리 외교는 찬성이다.토쿄장기거주민

  • @user-tp4ko5ox1t

    @user-tp4ko5ox1t

    5 ай бұрын

    중국 돈 처 먹은 또는 중국 여자와 북한 여자의 성적 관계로 약점 잡힌 것들. 노예된 정치인. 언론인.학자.법조인.등등이중국편드는매국노들입니다

  • @user-tp4ko5ox1t

    @user-tp4ko5ox1t

    5 ай бұрын

    중국은 변형된 공산주의 나라다.자유가없는나라.그게 사회주의다. 왜? 저런자들 말에 현혹되나? 틀렸다.아는척하는저런자들말에현혹되면안된다

  • @treel2607

    @treel2607

    5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윤 정권만 모릅니다.

  • @user-ix6mp4gf1f
    @user-ix6mp4gf1f5 ай бұрын

    교수닝의 판단...동의하기 어럽네요 예로부터 중국은 믿을 만하지 못하다는 말...흘려 들어서는 안됩니다

  • @user-ub4qs6ek6o
    @user-ub4qs6ek6o3 ай бұрын

    중국북한의 인권에 디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하네요. 정말 사고방식에 대해서는 놀랍네요

  • @user-ic2vy4gp6w
    @user-ic2vy4gp6w6 ай бұрын

    나쁜친구와는 적당한 거리를 둬야합니다

  • @ody8855
    @ody88557 ай бұрын

    중국이 패권 제국주의 강대국이 되면 옆나라는 경제 정치적으로 먹힐 수 있다. 옆 패권국가에서 살아 남으려면 먼 패권국가의 힘을 이용해야 한다. 그래야 안먹힌다.

  • @user-sj2gj9zm4x

    @user-sj2gj9zm4x

    7 ай бұрын

    중국에는( 돼지는 살 찌기 무섭고 사람은 명성나는게 무섭다)는 속담 있어요..될수록이면 능구렁이처럼 소리소문 없이 움직여요.얘네는 일위해도 내가 일위라고 말 안 할겁니다..아마도 골치 아픈 세계 경찰 노릇은 계속 미국 한테 주고 오직 돈 버는데만 신경 쓸거예요.돈만 있으면 귀신도 부려 먹을수있다는 사람들 입니다..

  • @bbokdoong
    @bbokdoong7 ай бұрын

    중국과도 친하게 지내면서 균형잡힌 외교를 해야한다는 사람들의 논리는 대부분 중국이 공정한 경쟁을 하는 나라라는 착각을 밑바닥에 깔고 있는듯. 하지만 현실은 중국은 기술 훔쳐서 비슷한 수준의 기술에 올라가는 순간 애국소비 강조하면서 우리 기업들을 토사구팽 시키죠. 삼성도 그랬고 현대도 그랬죠. 반도체도 미중갈등 아니였으면 몇년안에 그렇게 됐겠죠. 우리는 미국 덕분에 시간을 좀 벌었죠. 우리가 중국과 나서서 원수질 일은 없지만 먼저 중국이 아쉬워서 우리를 찾게 해야 우리에게 유리한 조건을 얻어낼수있지 우리가 중국과 잘 지낸다고 중국이 우리와 상부상조하는 타입은 아니죠. 우리가 먼저 중국에게 손내밀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 @bbokdoong

    @bbokdoong

    7 ай бұрын

    @@A-cup-of-coffee 교수라는 분들도 탁상공론에 빠지는 분들이 많은듯. 경제학 교수가 주식 투자 잘하는게 아니듯 혼자 책보고 공부하는거 하고 상대가 있는거하곤 다르죠. 상대는 맘대로 움직여 주지 않죠

  • @user-ze5ei9ri4r

    @user-ze5ei9ri4r

    7 ай бұрын

    교수님은 걍 책상에서 연구나~~~

  • @user-te4mr7do1y

    @user-te4mr7do1y

    7 ай бұрын

    한국사람들은자존심이강해서 중국이싱ㅎ다고하니깐 중국어도할생각안하니깐 거것이바로한국인의자존심때문

  • @user-kh1gh7qe8w

    @user-kh1gh7qe8w

    7 ай бұрын

    교수라는사람이초등학교선생수줂ㅎㅎ

  • @user-du5sb1ib9w

    @user-du5sb1ib9w

    7 ай бұрын

    @@bbokdoong 푸하하하하하. 한심한것들. 전세계. 어느나라가. 안그러냐? 미국은 안그래? 한국은. 안그래? 이래서 한국인 라면 전세계 사람들이 비웃고. 무시하고. 사람으로 안보지. 푸하하하하하

  • @user-re4xu5tw7d
    @user-re4xu5tw7d2 ай бұрын

    공산주의는 공산주의다 정답이다 다른말 필요없다 말말말 우리는 분별력이 있어야 똑바른 국민이 된다

  • @barnabaspark
    @barnabaspark6 ай бұрын

    중국 공산당을 아직도 미국 자유주의와 동급으로 보려는 한국 교수님도 존재 하는구나

  • @user-rd5ut6kc9e

    @user-rd5ut6kc9e

    5 ай бұрын

    대가리가참 단순해서 스트레스는 안받겠네

  • @user-wy2nv3nn7t

    @user-wy2nv3nn7t

    5 ай бұрын

    중국가서 국가가 얼마나 개인을감시하고 통제하는지 언론이얼마나 심각하게통제받고있는지 현장을겪어보고 중국이 미국과같은 저울로 놓고비교할수있는 나라인지 판단하시죠

  • @DwightMeline

    @DwightMeline

    5 ай бұрын

    @@user-wy2nv3nn7t 중국은 공산당을 타도했다고 말할 수 없고, 미국은 유대인을 타도했다고 말할 수 없으며, 한국은 작다고 말할 수 없다. 어떻게 그런 간단한 것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습니까, 모든 국가에는 고유 한 빨간 선이 있습니다.

  • @adiosm57

    @adiosm57

    3 ай бұрын

    한국인 아님... 그냥 기회주의자일 뿐 ㅋ

  • @user-lm7my5zu4b

    @user-lm7my5zu4b

    2 ай бұрын

    A~E 9라치네

  • @jhkim5388
    @jhkim53886 ай бұрын

    지피지기 백전불패 알고는 있었지만 교수님이 언급하시기 전까지 생각지도 못했네요.... 중국을 알아야 중국에 대응할 수 있다...!

  • @nate-gw9cb

    @nate-gw9cb

    3 ай бұрын

    백전불패(x) 백전불태(o)

  • @blueyun7
    @blueyun77 ай бұрын

    중공에서 영업이 너무 어렵습니다. 중공에는 환상을 버리세요.

  • @user-wx1bi2fw7q

    @user-wx1bi2fw7q

    7 ай бұрын

    공산국은 포악무지. 1초후를 기약할수 없다

  • @lianshunjin6879

    @lianshunjin6879

    7 ай бұрын

    너희들 미국일본 씨뇌가 너무 됏다.식민지 에 절어잇네

  • @freedoms584

    @freedoms584

    5 ай бұрын

    중공은 인간들 후져서 사업도 안돼요

  • @user-oi9le9xu9i

    @user-oi9le9xu9i

    5 ай бұрын

    중공? 언제적 시절 얘기를 하고있냐

  • @blueyun7

    @blueyun7

    5 ай бұрын

    @@user-oi9le9xu9i 당해 본 사람은 트라우마가 람는다. 이사람아!!!

  • @user-yb4ub2op8z
    @user-yb4ub2op8z5 ай бұрын

    중국이 역사적으로 볼때 우리나라에 또한 지금 드러나는 전세계 국가에 끼치는 해악은 세계 도처에서 드러나고 있고 한국도 미처 몰랐다 지나친 중국에 대한 편중된 사고로 중국에 대한 자신의 논리에 빠져 있는 것 같습니다

  • @user-pk4wp9dj3k
    @user-pk4wp9dj3k6 ай бұрын

    중국이 한국위해 도움줄거라생각하지말거라

  • @mhcho1649
    @mhcho16497 ай бұрын

    중국에서 철수하는 것은 돈이 안되기 때문인데, 누가 나오라고 해서 나온단 것인지... 무슨 말씀인지 모르겠네요.

  • @user-kr2rj8uw2y

    @user-kr2rj8uw2y

    6 ай бұрын

    중국 시장 경쟁에서 못 이기고 나온거죠

  • @user-tp3eo3mt3d

    @user-tp3eo3mt3d

    6 ай бұрын

    ​@@user-kr2rj8uw2y중공정부가 자국기업을 불공정하게 감싸고 도는데 경쟁 운운하는게 비웃음당할 일이죠

  • @user-tg4ry9pn1x

    @user-tg4ry9pn1x

    6 ай бұрын

    중국몽을 지원하는 친중분 같네요! 미국이 중국과 전쟁 하려고 대만 문제를 이용할 수 있다는 데서 필이 확 왔네요! 미국이 중국과 전쟁을 왜 하겠어요! 중국이 만만한 상대가 아닌데, 친중이니 이간질 위해 할 수 있는 말 같네요!

  • @zena9429

    @zena9429

    6 ай бұрын

    친중이 분명합니다! 귀가 얇은 사람들은 혹 하고 넘어 가겠어요! ㅋㅋㅋ 미국이 대만 문제로 중국과 전쟁을? 이건 완전 오바네요!

  • @xiandi

    @xiandi

    6 ай бұрын

    ​@@user-tp3eo3mt3d현재 미국도 유럽도 다 보호주의인데,,,,,,,,

  • @yssim4563
    @yssim45637 ай бұрын

    교수님 의견에 어느정도 동의합니다만 중국은 일당독재 정치로 인해서 경제 발목잡는것 아닌가요? 누가 경제는 일류 정치는 삼류라고... 지금대로 가면서 중국이 민주화가 되고 투명해지고 믿을수 있으면 그때 실용적으로 해도 좋지 않을까요?

  • @user-mu2yj9hr4i

    @user-mu2yj9hr4i

    6 ай бұрын

    중국이 그때가 되면 이미 우리나라는 먹힌뒤.. 중국애들이 바보가아님..

  • @dddk236

    @dddk236

    6 ай бұрын

    ​@@user-mu2yj9hr4i왜 우리가 중국에 먹혀야만 한다고 생각함

  • @kencidhan

    @kencidhan

    5 ай бұрын

    중국은 옛날부터 쭉 일당독재였고, 그런 상황에서 발전 해왔습니다.

  • @user-mm5vy6oq3u

    @user-mm5vy6oq3u

    4 ай бұрын

    경제는 원래 일당독재체제에서 발전 한다 정신들 차려라 한국이 발전한것도 박정희 정부때 한강의기적으로 경제발전했다 그뒤에 민주화하고 경제가 바닥나고 있고 뭘 알고 얘기해라

  • @user-tc3vc2db6d

    @user-tc3vc2db6d

    4 ай бұрын

    서강대 중국문화 학과 교수라 그럴수 있지 그런데 중국이 망하고 있다는데 이욱연 교수만 딴소리 하네 참 답답하다 누구나 양다리 걸치고 싶어하지 한쪽만 선택하는 바보가 어딨냐 양다리 허용하는 여자가 있냐 중국이냐 미국이냐 선택의 시간이 왔는데 계속 양다리 고집하면 아웃이다 이교수

  • @mygurumi
    @mygurumi5 ай бұрын

    우리가 일단 힘을가진 독립적인 존재가 돼야죠.그 다음에 누구와 어떻게 지낼지가 제대로 판단이 될것같네요 . 경제.전시작전권 등등. 독립이 필요합니다. 현실을 제대로 보여주려는 의지로보면 김작가티비가 공영방송보다 낫네요^^

  • @user-bp7jd5iz6q

    @user-bp7jd5iz6q

    5 ай бұрын

    울나라사람 누구나 바라는 일이지만 뭐가 있어야 독립을 하던가 하지요. 현실적으로 보세요. 울나라가 미국덕분에 일본에게서 해방되었고 미국덕분에 공산주의에서 벗어났고 미국덕분에 발전을 하게된건 사실이네요. 울나라에 지하자원이 있나요. 아님 땅더미가 크기를 하나요. 우리의 이상과 현실이 다른걸 인정하고 살아남아야져. 어쩔수없이 받아들이고 열심히 살아야져

  • @user-qr9ly9cu7u
    @user-qr9ly9cu7u3 ай бұрын

    이욱연교수님💌응원합니다

  • @ybppark8585
    @ybppark85857 ай бұрын

    지나온 역사와 현재의 상황을 보면 중국이 어떤 나라인지 알수있다. 중국은 절대 간과하면 안된다.

  • @ps35339072

    @ps35339072

    7 ай бұрын

    중국을 무시하지는 않는다 멀리해야하고 경계해야될 상대이고 싫어할뿐~

  • @OO-to1sf

    @OO-to1sf

    7 ай бұрын

    그래서 일본 치마속으로 들어가야 한다!

  • @user-du5sb1ib9w

    @user-du5sb1ib9w

    7 ай бұрын

    @@ps35339072 그런데. 지금까지 중구돈 벌어먹고 살았냐? 한심한것들

  • @user-wm9rn4cw8l

    @user-wm9rn4cw8l

    7 ай бұрын

    한마디로 이념관계 너무따지지말고 먹을것을 따라다니는 하이에나같이 하늘을 높이날아 먹이의동태를 살피는 솔개같이 잘보고 살라는것이다. 동물의왕국이 주는 교훈을 깊이새겨야 할것이다.

  • @sang-junlee6561

    @sang-junlee6561

    7 ай бұрын

    6.25때 제대로 훈련 받지도 못 하고 무기도 형편없던 중공군에 밀려 세계최강이라는 미군이 퇴패한 과거를 보면 알 수 있다.

  • @usx8759
    @usx87596 ай бұрын

    객관적인 보도 감사합니다

  • @sjm507
    @sjm5074 ай бұрын

    교수님 대단하십니다.정확하게 보고 있어요 정치가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네요ㅜㅜ

  • @user-mm3gw2vd8l
    @user-mm3gw2vd8l6 ай бұрын

    남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을 만나도 반갑다.......................환절기 늘 건강하시길......

  • @user-mk5nu6ku5x
    @user-mk5nu6ku5x6 ай бұрын

    중국에서 이런 패권싸움 없었을때도 망해서 나온 사람들이 공산주의 국가에 투자한 걸 얼마나 후회했는데 중국에 몰빵은 절대로 안됩니다

  • @w-jp5617
    @w-jp56175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말씀 감사합니다

  • @user-gk9ty7tj6b
    @user-gk9ty7tj6b7 ай бұрын

    국익에 따라 외교 정책을 하여야 합니다.

  • @user-uy2xl9vr8l

    @user-uy2xl9vr8l

    6 ай бұрын

    중국이 대만침략이 아니라 북한이 남침을 유도하고 남침으로 한국의 공산화가 되면 북한의 남침을 비난하면서 유리한 국제정세로 한반도를 중국이 재 장악하고 수뇌부와 요인을 암살하고 한반도를 잠식하고 한반도는 중공 잠수함의 태평양 교두보가 되고 한국인은 고비사막으로 강제이주정책으로 나라도 잃고 모조리 멸종을 당한다는 안보정책이 중공의 대응이며 역사상 한중관계의 역사적 고찰과 한미 우호협력 관계에서 얻어지는 이익과 혜택을 따져보는 전략도 중요하다 중공의 미완성 우위 결론을 내리고 미국에서 중국으로 변화는 혼란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가장위협은 첨단기술이 아니라 친중으로 한국의 공산화입니다 중국이경제로아무리 성장해도 정치노선은 공산화가 불변하듯이 한국 공산화를 실현시키기 위한 음모의 전술도 끊임없이 펼친다 그끝은 한반도 침략이다

  • @user-qz3lq3hs9t

    @user-qz3lq3hs9t

    6 ай бұрын

    지금부터라도 제주도 외국인들 자유로 드나들지 못하게해야한다 서울에서 오게해야지 자유로 배로 마음대로 못 오게 법을만들어야 한다

  • @maxtv721

    @maxtv721

    6 ай бұрын

    사과는 과일입니다

  • @user-vn5ms3vi8s
    @user-vn5ms3vi8s7 ай бұрын

    더이상 중립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그동안 세계화와 자유무역으로 인해 무역의 공급망이 전세계적으로 얽혔기 때문이고 이제는 공급망이 서방과 반서방으로 나뉘고 있어서 중립은 불가능하고 양쪽으로 줄타기를 할 수 없는 구조인 시대입니다. 예를들어 러시아산 가스와 석유 의존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는 유럽과 칩4동맹으로 중국을 반도체 공급망에서 배제하려는 미국등 어느 한쪽편에 줄을 서지 않으면 가스도 석유도 반도체도 아무것도 팔거나 살 수 없는 시대라는 겁니다. 물론 얻는것도 있고 잃는것도 있겠지만 아무것도 못얻고 모든걸 잃는것 보다는 낫고 이제는 선택지가 없는 시대입니다.

  • @user-dp5ov4kv6m

    @user-dp5ov4kv6m

    7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 @user-pp2cb9io5k

    @user-pp2cb9io5k

    7 ай бұрын

    독독한 나라는 어느세대가도줄타기로 행복하게 살수있는데오직 바보들만 이걸 못한다.

  • @user-rx7zi4cw2k

    @user-rx7zi4cw2k

    7 ай бұрын

    우크라이나전이나 국가간 전쟁이 진행중이니까 어쩔수없이 민주. 공산주의에 편승할수밖에 ㅡ 대만 홍콩 한테 한짓 보면 나름대로의 견제는 필요하다 ㅡ 김작가 채널도 좌파인가 보네 .

  • @fabianfabfab

    @fabianfabfab

    6 ай бұрын

    저 교수도 '진짜 중국'에 대해서 잘 모르는 거 같음. 중국 수출이 줄어든 게 한중 사이가 좋지 않아서라는 데 잘 못된 진단임. . 중국 수출이 줄어드는 건 친중 정책을 펴던 문재인 정부 때부터 시작되었음. . 박근혜 때 중국 무역 흑자가 대략 몇 백억 달라였지만, 문재임 퇴임 시 무역 흑자가 몇십억 달라에 불과하였음. . 중국 수출이 줄어든 주된 이유는 한중간 사이가 나빠서가 아니라 중국의 부품 내재화와 성장률 둔화 때문임. . 한중간 관계가 순탄치 않으면 그 원인을 무조건 한국 탓으로 돌리는 거 보기 좋지 않음. 원인 제공자는 명백히 중국임. . 한국에 중화 사대주의적 시각을 가진 교수들 많고 경계해야함. . 그리고 한미 관계가 소원해지면 중국이 한국을 국가 취급이나 할까? 미국이 떠난 필리핀 앞바다를 중국이 어떻게 했나를 보면 됨. . 중국은 잠재적 적국이고 미국은 동맹이기 때문에, 잠재적 적국과 동맹국을 동등하게 대한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임. 당연히 동맹국과 더 가깝게 지내야 함.

  • @fabianfabfab

    @fabianfabfab

    6 ай бұрын

    @@user-pp2cb9io5k 줄타기는 언젠가는 떨어지게 되어 있는 위험한 짓임. . 그래서 언젠가는 내려와야 하는 것이고, 지금이 바로 그때임.

  • @user-qr9ly9cu7u
    @user-qr9ly9cu7u10 күн бұрын

    이욱연 교수님 응원합니다💌

  • @user-dl4nh5bl6i
    @user-dl4nh5bl6i5 ай бұрын

    김작가 TV 방송을 우연히 지나다가 중국에대해 좀더알고싶은 마음이생겨서 이욱연 교수님의 얘기를잘들어봣습니다 감사 😶😶🙂

  • @user-vn5ms3vi8s
    @user-vn5ms3vi8s7 ай бұрын

    수백년간 중립이던 스웨덴과 핀란드마저 나토에 가입했다는 사실을 알아야 되고 이제 더이상 세계에 중립같은건 존재하지 않는 시대입니다. 제발 착각들 하지 마세요.

  • @user-vn5ms3vi8s

    @user-vn5ms3vi8s

    7 ай бұрын

    더이상 중립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그동안 세계화와 자유무역으로 인해 무역의 공급망이 전세계적으로 얽혔기 때문이고 이제는 공급망이 서방과 반서방으로 나뉘고 있어서 중립은 불가능하고 양쪽으로 줄타기를 할 수 없는 구조인 시대입니다. 예를들어 러시아산 가스와 석유 의존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는 유럽과 칩4동맹으로 중국을 아예 공급망에서 배제하려는 미국등 어느 한쪽편에 확실하게 줄을 서지 않으면 가스도 석유도 반도체도 아무것도 팔거나 살 수 없는 시대라는 겁니다.

  • @erff5564

    @erff5564

    6 ай бұрын

    우크라이나는 어떻게 설명할래? 무식아.

  • @user-rm7cy4wm2f

    @user-rm7cy4wm2f

    6 ай бұрын

    븅신들 쩝. 스웨덴 핀란드 이건 유럽이고. 중국은 아시아에있다. 미국의 첬재대상은 중국이다. 그래서 중국과 마찰은 미국대 러시아와 격이 틀리다 뭔뚯인지 이해가냐? 그냥 한국이 중미에서 실리외교를 잘하란 뜻이다. 참고로 난 조선족이다 ㅆㅃ. 좀 글을 읽는다고 읽지말고 생각을하면서 좀 ㅇㅋ?

  • @user-mu2yj9hr4i

    @user-mu2yj9hr4i

    6 ай бұрын

    중립인 국가들이 다수입니다만.. 중립의 입장에서 봐봐요..

  • @DwightMeline

    @DwightMeline

    5 ай бұрын

    싱가포르의 균형 잡힌 외교가 좋은데, 왜 중국 국가의 70%가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잘 놀 수 있는지, 이것이 작은 나라들이 배워야 할 목표가 아닙니까?

  • @wheelleverage
    @wheelleverage7 ай бұрын

    북침보다 더 큰이슈가 잇나요 북침시 중국은 적국아닌가요

  • @Love19822
    @Love198223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현실을 콕 집어주는군요

  • @user-iw3ez8qy1f
    @user-iw3ez8qy1f6 ай бұрын

    선택하는 입장이 되지말고 선택 받는 한국이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 좋은 영상 잘 봣습ㄴ디ㅏ

  • @user-qo4on9fv4g
    @user-qo4on9fv4g7 ай бұрын

    영원한 친구도 없고 영원한 적도 없다 영원한 이익만 존재합니다

  • @BOCHOBYUNG
    @BOCHOBYUNG7 ай бұрын

    중국의 가장 큰 리스크는 독재입니다 왜 글로벌 기업이 왜 이탈할까요

  • @nocoffee6029

    @nocoffee6029

    7 ай бұрын

    독재

  • @JohnnyRRR674

    @JohnnyRRR674

    7 ай бұрын

    어떤 글로벌 기업이 이탈하나요? 애플? 테슬라? 스타벅스? 삼성?

  • @sang-junlee6561

    @sang-junlee6561

    7 ай бұрын

    인건비가 올라 그런거지. 간단히

  • @user-du5sb1ib9w

    @user-du5sb1ib9w

    7 ай бұрын

    한국인들은. 왜. 방구석에서. 이래야합니다. 저래야한니다. 이런말만하고살가? 푸하하하하하하.

  • @pintgillespie7401

    @pintgillespie7401

    6 ай бұрын

    가장 큰 리스크가 아니고 공산당 1당독재 때문에 고속성장이 가능했던 것이고 중국을 아직까지 유지할 수 있는 겁니다. 공산당 아니었으면 신장 위구르 시작으로 여러 민족국가로 분열될 것은 뻔합니다. 상해나 북경 같은 지역은 독립하면 당장 소득이 3배 늘어나는데 누가 반대할까요. 공산당 절대 권력이 흔들리면 맨 먼저 독립요구할 지역들입니다. 1인당 국민소득이 1만달러 넘어가면 민주화요구가 필연적으로 발생합니다. 현재 중국 곳곳에서 부도위기가 감지되고 있지만 공산당이 억지로 누루고 있죠. 미래학자들은 2~30년 이내에 중국이 분열될거라고 예측합니다.

  • @user-ln1um7ez2g
    @user-ln1um7ez2g6 ай бұрын

    지정학적으로 우리나라에 젤 재수없는 이유는 중공이 바로 옆에 있는거고 정말 재수좋은 이유는 최강대국 미국이 떨어져 있는데 동맹이라는것.

  • @user-ep3nx7sk5k
    @user-ep3nx7sk5k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eq2ws1vq9b
    @user-eq2ws1vq9b7 ай бұрын

    힘부터 길러야. 이. 나라. 지킬 수 있습니다.세계 최고의. 군사력.최고의 무기개발에 총력을 부어야합니다.힘없는. 정의는 무능하여,노예가 되는법!세계사는. 약육강식의. 역사요,권력의 투쟁사입니다.전 국민이 히을 모아서 국력.군사력을 최고의 수준으로 획보해야한다.비능률적인 요소들을 일제히. 정비하여,전 .국민이 일심으로. 정진해야 합니다.

  • @user-kr2hi3lf8b
    @user-kr2hi3lf8b7 ай бұрын

    한국이 양다리 걸쳐라 하는건 현 시점에서 중국의 바람이지요.

  • @zhongdapiao9106
    @zhongdapiao91066 ай бұрын

    중국에 가보면 압니다 주말에 대학로 가보면조용합니다 대학안 전부공부하는애들입니다 한국보세요 모텔 먹자골목 그냥인산인해 미래가걱정입니다 비젼이없읍니다

  • @user-vn5lg4os3l
    @user-vn5lg4os3l4 ай бұрын

    신난다.....야호...👏 롯본님❤해요. 건강하십시요👍

  • @jungkyungho1600
    @jungkyungho16007 ай бұрын

    중국이랑 협력관계 보다 경쟁관계가 더 커지고 있는데. 중국이랑은 당연히 싸워야지. 그리고 일본이건 중국이건 우리 옆나라가 강해지면 피곤해 지는 거다.

  • @user-xd9nk7ru5z

    @user-xd9nk7ru5z

    6 ай бұрын

    @@MyFaceTime (센터까이고 피질질 흘리며) 중국과 감히 경쟁관계라니? 미국도 진 경쟁을 (사실 이겨본적도 없음)

  • @user-jm2bw6cc6x

    @user-jm2bw6cc6x

    6 ай бұрын

    완전 노예근성이 몸에 베여 있네요. 발전이란 서로 경쟁하에 생기는 일. 그러니깐 지금도 미국 신민지나 마찬가지죠. 작전도 없는 나라가 이 세상에 또 어디 있는가? 댓글에 똑똑한 척 하지 말고 자주권이나 찾은 다음 얘기해야지. 냉정하고 꼼꼼하게 생각해보면 답이 나올듯…… 쉬운말로 헛똑똑이…

  • @globalpeace0191
    @globalpeace01917 ай бұрын

    공산주의는 공산주의다. 다른 말이필요없다.

  • @user-si5xh2di4c

    @user-si5xh2di4c

    6 ай бұрын

    담담타타.

  • @user-jm2bw6cc6x

    @user-jm2bw6cc6x

    6 ай бұрын

    소에 경 읽기다. 돌대가리네

  • @donalddo3918

    @donalddo3918

    6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공산주의는 시장 형태가 바껴도 공산주의다. 기회주의 하이에나 같은 저 교수말은 객관성있게 멀하는것 같지만 중국몽이다. 즁국찬양 주의

  • @kim.394

    @kim.394

    5 ай бұрын

    너 보기는 중국이 공산주이냐?중국이란 나라가 자본주의입니다.한국인들 너무~~보수랄까?터페적이랄까?미국이나,중국이나 자기나라 국익위하는 자본주의입니다.

  • @user-si5xh2di4c

    @user-si5xh2di4c

    5 ай бұрын

    @@kim.394 저자들은 공산주의라 부르고싶은겁니다. 무지랭이들‥

  • @user-vn5ms3vi8s
    @user-vn5ms3vi8s7 ай бұрын

    한국인들의 문제는 아무리 건드려도 보복을 안한다는 겁니다. 심지어 요즘은 한마디 화조차 못내던데 그러면서 정작 자국민끼리는 매일 싸우죠. 이런 사실을 국내외 모든 외국인들이 눈치 채고 있고 그게 바로 전세계 외국인들이 한국인을 건드려도 보복이 없는 쉽고 만만한 사람들로 생각하고 찍혔다는 겁니다. 못사는 태국같은 외세에도 굴복만 하는게 한국인들 입니다.

  • @user-vn5ms3vi8s

    @user-vn5ms3vi8s

    7 ай бұрын

    외국인에게는 비판조차 용납 못하면서 정작 자국민에게는 일상적으로 혐오발언을 하고(거의 모든 댓글마다 보임) 역차별을 하는 한국인들의 이중성도 툐나옵니다. 자국민에게는 한없이 엄격하고 쟌인하고 싸우기만 하면서 외국인에게는 한없이 관대하고 굴종적이고 눈치만 보고 자국민 보다 더 우대하는게 한국인들입니다. 부끄러운 줄 아시길

  • @user-bu2tn5gh4w

    @user-bu2tn5gh4w

    7 ай бұрын

    역차별 당하는거죠 참 특이한 종자ㅡㄷㄹ

  • @user-cm4sx1pz9t

    @user-cm4sx1pz9t

    7 ай бұрын

    개같은소리에다 너만의 망상이자 환상속에 산다.. 어지간히 하시겠어요.. 말을 하는것도 한심해서 헛웃음만 나오네~~

  • @danielshon5294

    @danielshon5294

    7 ай бұрын

    지금 중국에서 한국입국 비자받는 것이 몹시 힘듭니다. 한국대사관에서 쉽게 내주지 않아서 인데 중국쪽에서는 보복으로 봅니다. 중국쪽 비자받기 힘든만큼 한국도 조건 까다롭게하고 있는겁니다.

  • @symongw

    @symongw

    7 ай бұрын

    한국도 이제 Top 10에 드는 국가인 만큼 제 목소리를 내어야. 그리고 한국은 주요 전통 산업 & 유망 신규/4차산업 분야에서 모두 잘하고 있으니 경제적으로 꿀릴 것도 없고, 첨단 반도체 등 오히려 중국을 위협할 수 있는 카드도 많으니 중국에 당당하게 대응해야.

  • @LoriK-xq7qu
    @LoriK-xq7qu2 ай бұрын

    우린 이미 가치를 기반으로 미국과 동맹을 맺고 있어요 미국도 안보와 관계없는 것에는 신경쓰지 않지만 안보와 관계있는 것은 당연히 큰 문제가 되죠 그걸 조심해야 되는 겁니다

  • @lsspfrdcenter2552
    @lsspfrdcenter25526 ай бұрын

    중국은 약자를 괴롭하는 전문국가

  • @user-et4bk4zq5z
    @user-et4bk4zq5z7 ай бұрын

    우리가 과거 일제가 제일 좋다고 하다 지금은 우리제품이 좋아지니 조금씩 아래로 보듯 중국이 초고속 성장 할때 한국이 제일 좋았다 중국 제품과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한국은 최고가 더이상 아닌 것과 같지요 중국시장 얘기하지만 자본주의 아닌 사회주의 시장은 한계가 많지요

  • @user-ew5mp7jj6c
    @user-ew5mp7jj6c7 ай бұрын

    얍삽한 박쥐를 택하느냐? 우직한 황소를 택하느냐? 시대의변화를 어떻게 알고 지금 선택을 한다는 말인가? 아무리 씨부리봤자 소용돌이에 휘말리면 별 방법이 없다. 나라를 지키려면 정치인들이 공정해야한다.

  • @user-jc5st7rd7i

    @user-jc5st7rd7i

    6 ай бұрын

    시대의 변화도 알지 못하는 사람이 어떻게 정치를 하냐고? 차라리 집에가서 아이 똥걸레나 발아야지. . .

  • @user-rq7cx5oz9o

    @user-rq7cx5oz9o

    6 ай бұрын

    뭘 들은 건가?

  • @Coreajustice
    @Coreajustice4 ай бұрын

    우선 친미 반대하란 말은 절대 아니다 몰빵은 멈춰야 한다.💢무역수지 북한 100위,한국200위,경제 성장13위,성장율 일본1.78%,한국1.4%이다. 이러니 정치 지도자(전문가 아닌 검깡 뿐)를 잘 뽑아야 한다. 이교수 님의 많은 부분 의견에 공감한다.

  • @user-fs1jn1cn7b
    @user-fs1jn1cn7b7 ай бұрын

    중국의 속성은 크면클수록 더큰것을 원하지

  • @cloudykim5603

    @cloudykim5603

    Ай бұрын

    그러는 너는 더 잘 살려고 안하나?

  • @limiteom5863
    @limiteom58637 ай бұрын

    인구가 많은 중국과 장사를 해야하니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건 발등의 불 인 안보가 아닌가? 그들은 북을 대변하고 있다 수출을 다변화하고 이익에 따라 대응해야~

  • @user-mu2yj9hr4i

    @user-mu2yj9hr4i

    6 ай бұрын

    북한애들이 바보임? 전쟁은 그냥하는게 아님..

  • @user-bi8bk3fd7w
    @user-bi8bk3fd7w5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 @user-ml9ri8ju9y
    @user-ml9ri8ju9y7 ай бұрын

    어째뜬 중국은 독립국가를 만들어야된다 그래야 인간다운 인본주의국가가된다 ㅡ자유국가에서도 불안이있는데 ㅡ저독재국가가바뀌려면 100년이 걸린다

  • @kim.394

    @kim.394

    5 ай бұрын

    천년갈수도 있지않을까요,😊

  • @aigktj
    @aigktj7 ай бұрын

    미국에도, 중국에도, 일본에도.... 이제 대한민국은 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당당하게 나아가야 합니다. 그럴만한 인물또한 많습니다. 세계속에서 자존감이 좀 부족할 뿐 입니다. 화이팅 합시다. 교수님 말씀도 그걸 외치고 싶은신거 같네요. 고맙습니다

  • @user-jo1mh4vh5w

    @user-jo1mh4vh5w

    6 ай бұрын

    개가주인한고한상에서밥먹고싶다?😂😂😂😂

  • @user-pj8un7nu5s

    @user-pj8un7nu5s

    6 ай бұрын

    @@user-jo1mh4vh5w 개돼지인 너는 루저라 생각이 신박 하다. 캬캬캬

  • @ayibe2022

    @ayibe2022

    6 ай бұрын

    나란히 하고 싫어서가 아니라 못해서 입니다. 한국처럼 해외시장과 수입에 의존하는 구도상에서 항상 갑이 되기가 힘들어서 그렇죠, 한국에 시장경제 자체가 불안요소가 너무 많고 국내시장만을 바라보기에는 지금까지의 인건비나 경제규모가 비대칭하여 해외시장을 바라볼수밖에 없는 상황이고,,,뭐 여러가지가 많죠, ,,,여러가지 기술이 못하는것은 절때 아니지만, 1등을 못해서 당당하게 얘기를 하기가 어렵습니다.

  • @user-hj1mq3ol9v

    @user-hj1mq3ol9v

    6 ай бұрын

    @@ayibe2022 진짜 인정 음식점 사장님이 우리는 소비자 판매자간 정당히 재화를 교환한 대등한 당사자라고 말하면 그 가게 망함. 그게 사실일지언정. 녜녜 맞습니다 늘 감사드립니다 해야하는는 모두 인정하면서 우리나라 포지션이 그 상인이라는걸 많은 국민들이 모름. 국민이 다 양반들임

  • @user-eh9px6qv2f

    @user-eh9px6qv2f

    6 ай бұрын

    미국의 문지기 똥개라는 타이틀부터 벗어나길....

  • @kjy10030328
    @kjy100303285 ай бұрын

    시진핑이가 사회주의가 안되는걸 알고 자본주의를 병행을 하는 겁니다

  • @user-kf7ik2xu4o

    @user-kf7ik2xu4o

    4 ай бұрын

    저도 그리 생각합니다

  • @user-on5en7bs2y
    @user-on5en7bs2y5 ай бұрын

    도덕적이고 정의롭기때문에 이렇게 잘살지 않았을까요. 하지만 교수님 말처럼 실용적이어야 한다는말 맞습니다. 좋은사람은 지혜로워야 함정에 빠지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 @persona10

    @persona10

    4 ай бұрын

    도덕적, 정의랑 경제적이득과는 어떤관계가 있나요?

  • @user-wk2jm9jq3i
    @user-wk2jm9jq3i7 ай бұрын

    어쨌든 지금은 중국은 아니다 중국공산당이 우리나라에 미치는영향이 정치적으로 얼마나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모른다 우리나라를 자기네 속국정도로 생각한다는점 꼭 명심하고 대해야한다

  • @alleni9217
    @alleni92177 ай бұрын

    줄서는게 아니고 미국은 자유민주주의 상징이고 중국은 사회주의의 상징이기에 남북이 대치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힘을 빼는데 동참하는 것이지. 중국은 당연 북한편이니까. 단순한 경제논리가 아닌 정치논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거다.

  • @user-jx6qu1rv5h

    @user-jx6qu1rv5h

    7 ай бұрын

    옳소

  • @user-ec3sq7cr9i

    @user-ec3sq7cr9i

    7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 @mrx04288

    @mrx04288

    7 ай бұрын

    맞소 괴뢰를 한번더 때리고 싶소

  • @user-db9qz4in4u

    @user-db9qz4in4u

    7 ай бұрын

    배고파 봐라, 눈돌아간다 정치적 논리가 끼어 들수 있는지.

  • @ayibe2022

    @ayibe2022

    6 ай бұрын

    맞다 허자만, 줄선다는게 아니고 그냥 목걸이 해서 끌려가는거지, 선택권이라는게 있엇나?

  • @user-ch2ji3jv9b
    @user-ch2ji3jv9b4 ай бұрын

    교수님. 냉철한 분석 감사합니다

  • @user-pk5bm6lw2b
    @user-pk5bm6lw2b6 ай бұрын

    누가 우리 기업들한테 중국서 나오라고 했나? 아니면 기업들이 바보처럼 이익을 버리고 나오길 했나? 사드 보복을 벌써 잊은 것인지, 어처구니가 없다. 뻑하면 한한령 때리는 중국 공산당 때문에 기업들이 다 쫒겨나온 것인데 뭔 소린지ᆢ

  • @user-lh8qh3mc6p

    @user-lh8qh3mc6p

    5 ай бұрын

    뭔소리지

  • @saenghwalhangook6451

    @saenghwalhangook6451

    5 ай бұрын

    미국은 우리에게 협박이 없었나? 일본른 90년대에 강제로 협약을 당하고 정체가 되버렸지요. 국제정치는 이익입니다..미국과 70년이 넘어서 영원한 우방인줄 아는데 아직 이익선이 유지되는 것이죠.

  • @hoonjung1062

    @hoonjung1062

    5 ай бұрын

    사드보복도 박근혜때의 외교실패고 지금의 무역보복도 윤석렬의 외교실패죠. 미국품에서 중국을 때리면 미국이 우리를 우대해주나요? 아니죠 오히려 김대중때 노무현때 문재인때가 미국에서 더 존중을 받았습니다 이때의 미국은 우리가 증국쪽으로 혹시 기울지 몰라서 신경 써주는척이라도 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용산에 도청이나 하고 IRA로 현기차 보조금 탈락시키고 반도체마저 빼앗려고 합니다. 현재 중국에서는 한국이 미국쪽으로 기울자 보복을 하고있습니다 중국도 문제가 많은 나라지만 미국이나 중국이나 도찐개찐 자기들 이익이 최고입니다... 현명한 외교와 통찰이 그어느때보다 필요한 시기네요

  • @wowtv3767
    @wowtv37677 ай бұрын

    미국은 왜 중국의 부상을 두려워하는가? 핵심은 기축통화때문입니다. 미국은 지금까지 기축통화국의 지위를 십분 활용하여 우주연구와 최첨단 군사무기개발에 예산을 마음대로 퍼붓고 있으며, 유동통화를 늘렸다 줄였다 하면서 세계경제를 주무르고 있습니다. 정부는 시장에 간섭하면 안된다는 논리로 지유무역질서가 확립되면 결국 기축통화국이 지맘대로 하는 세계경제가 만들어집니다. 각국의 정부가 시장에 간섭을 안하면 안할수록 기축통화국의 경제 영향력은 더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근데 중국경제의 부상으로 위안화가 달러의 지위를 위협하고 기축통화국의 지위를 흔들면 미국의 영향력은 급속히 줄어들 수밖에 없겠죠. 결국 미국중심의 패권질서도 흔들릴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러니 지금 미국이 부랴부랴 중국의 부상을 막을려고 하는 것입니다.그럼 중국은 미국이 반도체 제재를 가하고 다른 나라와 연대해서 정치적 압박을 계속 해나가면 소련처럼 망할 것인가? 아니라는 것이죠. 소련과 달리 중국은 이미 타국이 아무리 제재를 가해도 자국내의 순환경제만로도 경제성장을 할 수 있는 경제시스템을 완성했으며, 무엇보다 사회주의 헌법을 바탕으로 얼마든지 안좋은 경제상황이 발생해도 자국내의 경제문제를 풀어나갈 수단들이 많습니다. 중국 스스로가 말하는 중국 특유의 사회주의 시스템이란게 별게 아닙니다. 단순하게 말하면 경제가 잘 돌아가면 자본주의 시스템으로 계속 가는 것이고, 잘 안되면 그때 그때 사회주의 정책으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가장 유연한 자본주의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지 모릅니다. 대한민국처럼 정부가 시장에 조금만 간섭해도 경제가 잘 안돌아간다고 세뇌된 나라들에서는 정부가 시장에 간섭하는 게 쉽지가 않지만 중국은 그렇지 않습니다. 경제제재로 중국을 굴복시키기가 힘들다면 남은 건 전쟁밖에 없는데 중국이든 미국이든 서로 핵무기가 있기 때문에 군사적인 수단은 동원하기가 어렵습니다. 결론은 미중이 대치하더라도 서로가 망할일은 없으며, 피해는 주변국들만 보게 됩니다.

  • @user-ov2fd7uu5s
    @user-ov2fd7uu5s7 ай бұрын

    중국도 바꿔어야. 모든 나라가 싫어하는데

  • @eunseoglee3706

    @eunseoglee3706

    7 ай бұрын

    한국사람과 일본만 그럴걸.. 브릭스가 생긴 이유는? 미국과 유럽의 경제적 수탈에 대한 반발

  • @KrMorgan12

    @KrMorgan12

    6 ай бұрын

    ​@@eunseoglee3706유럽가봐요. 오히려, 한일이 중국인한테 잘 해줌.

  • @user-hj4vo8ro2x
    @user-hj4vo8ro2x3 ай бұрын

    진짜교수네요 존경합니다

  • @user-rs6or5ih2b
    @user-rs6or5ih2b2 ай бұрын

    어려운 상황을 잘 헤쳐나가는 길이 우리의 삶입니다. 틀을 두면그 틀에 갖히게 됩니다. 마음을 열고 우리는 앞으로 어떤 나라든 덕망을 논해야 후대들이 공명정대한 나라에서 인류공영적 에너지를 고루 펼치게 될것이며 의리가 생기는 원인이 될것입니다. 이처럼 오늘날 스승님 들이 많은 시대를 우리는 너무나 감사하게 생각하여야 합니다. 대한민국 ❤❤❤합니다.

  • @user-km7lc5gj4v
    @user-km7lc5gj4v6 ай бұрын

    경제는 경제인이 사업은 사업가가 장사는 상인에게 맏겨야 합니다 돈에게 맏기면 제일 잘합니다 섣부르게 정치하는 사람들이 이래라 저래라 하면 아됩니다 성공의 지름길은 정치와 경제는 분리해서 해야 됩니다

  • @MrSamhan38
    @MrSamhan384 ай бұрын

    유익한 강의였어요

  • @samj9257
    @samj92576 ай бұрын

    고구려가 망한 과정을 보면 답이 나온다. 중국이 패권을 잡지 않았을 때 고구려는 문제가 없었다. 당이 돌궐을 칠때 고구려는 강건너 불로 생각하고 방관만 하고 있었으나, 돌궐이 무너지고 난뒤, 고구려가 선택할 길은 둘중 하나였다. 완전히 무릎꿇고 제후국이 되어서 많은 것을 빼앗기고 생명을 유지하거나 사생결단의 싸움을 하거나. 그 때 상황이 더욱 어려웠던 것은 배후에 신라가 있었던것이다. 지금 우리는 꼭같은 상황에 있다. 미중이 패권을 겨루는 것을 남의 일로 보고 있다가 중국이 패권을 차지하고 나면 그다음 중국의 타겥은 우리가 된다. 더구나 옛날의 신라역할을 북한이 할것이다. 북한입장에서 남한적화통일은 남한의 2/3이상을 중국에 양보하는 통일이 될것이다. 어쩌면 한반도 전체가 중국에 먹힐지도 모른다. 그나마 신라는 나당전쟁을 이기므로서 만주는 포기한 독립을 유지했으나 북한이 그정도라도 할수 있는 깜이 될지는 의문이다.

  • @kkkpjdk9212
    @kkkpjdk92127 ай бұрын

    균형잡힌 정책! 좋은 말 같기는 한데 우리가 중국에서 얻을게 갈수록 줄어 들고 중국과 잘지낸다고 달라질게 없다는 사실이다. 중국과 잘 지낸 이전 정부에서 중국의 행태를 보면 바로 알수 있다.

  • @user-ts2cd5si1l

    @user-ts2cd5si1l

    6 ай бұрын

    중국하고 잘 지낸 정부가 있나?ㅉㅉ 잘 지내려면 미국이 무서워 뒤에서 다 휘방 놓는데.박근혜 보았지.당시 중국하고 한국이 진짜 잘 지내기 시작했지.북한이 포격하니 중국이 대놓고 북한을 욕하며 한국 편들어 주기까지 했는데 미국이 한중이 가깝게 지내는게 무서워 근혜 모르게 국방부 강박해 사드 설치하게 해서 한중이 쉬틀리게 하고.민주당 때도 마찬가지지.

  • @guangzhu3753

    @guangzhu3753

    6 ай бұрын

    흠... 중국에서 얻을게 갈수록 줄어드는데 어제부터인지 생각해봐야할것같네요 결국은 무역인데... 무역이란게 결국은 외교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질거라고 생각해요 이영상내용 꼭 잘 생각해봤으면 좋겠네요

  • @user-jp2eu9pw7z88

    @user-jp2eu9pw7z88

    5 ай бұрын

    너무 단세포적인 사고라고 느껴짐. 중국은 세상에서 가장 큰 양향력을 우리에게 끼치는 나라임. 그들이 좋든 나쁜든 그들과의 교역과 특히 수입물품은 우리의 일상소비 생활만 해도 엄청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지난 정권에서 취해온 외교정책은 아무리 멍청한 윤정권이라도 배워야 함. 우리는 일본을 각별히 경계해야 하는데 그것을 억지할 수 있는 것도 중국임. 미국만 쳐다보고 있다가는 자칫 손절 대상으로 뒤통수 맞을 수도 있음. 미국은 일본만큼 한반도를 중히 여기지는 않음. 미국의 입장은 일본을 지키기 위해 한반도가 필요하고, 또 일본을 지키는 게 미국의 뒷마당인 태평양을 방어하는 길인 것임. 한반도에 미군을 주둔시켜 놓고도 일본 역시 미군이 주둔하는 이유를 잘 생각해야 함. 우리의 핵개발을 가장 싫어하는 국가는 미국과 일본. 미국은 한국이 핵무기를 갖게 될 경우 일본의 핵무장을 맞을 도리가 없음. 문제는 일본이란 나라는 호전적인 민족으로 자신들에게 핵폭력을 행사한 미국에 보복할 우려를 미국은 알고 있음. 다시 말해 , 미국은 일본을 지키기는 하는데 핵무장만큼 절대 못하게 함. 그런 대신에 미국은 일본 자위대의 해외 전쟁 수행을 가능케 하는 헌법개정을 지원하고, 또 중국에 대등하기 위해 일본의 재래 전력을 급격히 끌어 올리는 걸 부추키고 있음. 동북아에서 일본의 파워를 키워서 중국을 막고자 하는 미국의 입장에선 한국 역시 일본을 따라 주길 바라는 것임. 그런 관계로, 일본은 유사시에 한반도에 군대를 주둔할 수 있다는 것을 가능케 만들었음. 일본은 어떻게든 지난 날 식민지인 한반도에 군대를 주둔시킬 수 있는 명분만 찾는다면 나머지 점령지 관할권을 취하는 건 자신들의 무력과 미국과의 협상의 문제로 봄. 다만 핵을 가진 북한 만큼은 일본이 가장 두려워 하고 있어서 그것이 그들의 야욕을 주저 앉히고 있는 상태임. 우리는 중국을 싫어도 교역 거래를 해가면서 외교적인 양다리를 걸쳐야 하고, 북한과 평화를 공존하는 방법이 있다면 무슨 수를 쓰든 해야 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더 귀중하고 시급한 일임. 이념이든 정책이든 국민을 살리기고 나라를 유지하는 것을 위해 있는 것이고, 그일을 하기 위해선 권력자의 한갖 자존심 같은 건 그냥 개나 줘야 할 것임. 그런데 윤석렬은 함부로 지절대면서 전쟁을 불사한다는 언동을 무시로 해대는 데 그것은 무지의 소치이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전혀 생각치 않는 허접한 놈이라는 걸 말해준다. 지금 정권으로는 국가와 국민을 지키기데는 너무 위태로운 불장난만 치는 것뿐이다. 그러다가 자칫 누가 이기든 말든 불벼락 한번 맞으면 그 죽음과 희생은 결국 국민이라는 걸 윤정권을 깨닫기 바란다.

  • @TV-rq2ki

    @TV-rq2ki

    5 ай бұрын

    중국이 현재 세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임에는 동의를 합니다. 그런데 그런만큼 미국이 전 세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은 간과하고 있군요. 중국의 소비재를 우리가 수입하지 않고 생활이 되겠느냐라는 취지에는 어느 정도 동의를 합니다. 우리가 동남아국가든 중국이든 그 나라에 진출하여 성공하기는 쉽지 않습니다만 자신의 나라의 물건을 사 주겠다고 하는데 안 팔 나라는 없기 때문에 그런 점은 염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고, 윤정부도 중국물건 사지 않겠다고 한 적이 없고, 다만. 중국이 과거의 역사를 왜곡하고, 한국의 좋아보이는 것은 모두 자기것이라 하고, 주권국가인 한국의 내정까지 간섭을 해서는 안 되며 우리의 자위를 지키기위해 하는 것까지 이래라 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는 것이죠. 미국은 당연히 중국을 막는데 일본과같이 한국도 따라주기를 원합니다. 그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봅니다. 어떤 나라를 상대하는데 한 나라가 막기 보다는 여러나라가 다 같이 방어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겠죠. 이것은 일본을 지키기 위한 것도 아니고, 우선 미국의 패권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고, 그것이 미국의 이익을 위한 것도 있지만 일본도 그것이 자신의 이익과 결부되기 때문이고 우리나라의 이익에도 부합되기 때문입니다. 국제환경이 어느곳에나 줄서지 않고, 살 수 있으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그리고 양다리를 걸치고 살 수 있다면 그것도 괜찮겠지요. 그런데 그것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못 하는 것이고, 어느 한쪽만을 택하기를 강요당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인 것이죠. 유사시에 일본군이 우리땅에 상륙하는 것을 염려하는데 그것이 왜 나쁩니까. 여기서 유사시라고 하는 것은 북한이 남침을 했을 때 우리에게 절실히 우방의 도움이 필요할 때 일본군이든 미군이든 상륙하여 우리와함께 적과 싸워주겠다는데 그 땐 당연히 도움을 받아야죠. 우리가 죽게 생겼는데. 김정은의 개가 될 판인데 자유민주주의 이념을 같이하는 강력한 우방이 우리를 피흘리며 지켜 주겠다는데 같은 민족이라고 하면서 남침을 하여 우리의 죽이겠다고 하는 사람을 동족이 우리를 죽이는 것이 일본이 우리의 목숨을 살려주겠다는 것 보다 낮으니 그냥 북한군에 총칼에 맞아 죽는 것이 낮다고 그냥 죽겠다는 것은 아니겠죠. 그리고 지금은 남의 나라 땅을 뺏어서 지배하겠다는 제국주의 시대가 아닙니다. 한세기전 제국주의시대가 마감을 한 것도 그것이 식민지를 경영하는 것이 오히려 번거롭고, 힘들었기 때문에 시대의 흐름에따라 포기한 것입니다.

  • @bono6921
    @bono69217 ай бұрын

    우리가 미.중국의 선택이 아니고 미.중이 우리를 선택햘 수 밖에 없도록 만들어 가야한다.

  • @user-no4vd6yl1h

    @user-no4vd6yl1h

    7 ай бұрын

    ㅋㅋㅋ

  • @user-jv5pc7st2c

    @user-jv5pc7st2c

    7 ай бұрын

    현실적이지 않은 말인것 같네요.

  • @ecohome7048

    @ecohome7048

    7 ай бұрын

    어떻게?

  • @obumkim957

    @obumkim957

    6 ай бұрын

    말도 아닌 말을 하고 있내요..

  • @user-kr6qx3zj4b

    @user-kr6qx3zj4b

    6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wt5vf9lh3v
    @user-wt5vf9lh3v5 ай бұрын

    감사

  • @user-rd7ye5so9f
    @user-rd7ye5so9f5 ай бұрын

    김종호 교수님 폭넓은시각 필요

  • @user-jr1dj7hx9x
    @user-jr1dj7hx9x7 ай бұрын

    실리외교가 중요하죠. 그리고 과학기술에 투자를 많이 해야 합니다.

  • @user-uy9dy5tz4p

    @user-uy9dy5tz4p

    7 ай бұрын

    과학기술 투자요? 문정권때 과고 학교부터 끌어내렸죠. 과고 학생들 낙동강 오리알 되서 결국 과학자길 걷지 않는 친구들 많습니다.ㅜㅜ

  • @zena9429

    @zena9429

    6 ай бұрын

    중국에 투자 하는게 실리 외교라고 보나요? 중국 대 동남아 누가 더 위험 부담이 작을까요! 과학기술 투자는 많이 할 필요가 있죠.

  • @zena9429

    @zena9429

    6 ай бұрын

    @@user-uy9dy5tz4p 문정부 원전 폐쇄는 정말 꾤툥 인증이었죠! 백년대계를 내다보지 못하는 한심한 수준!

  • @user-wy6ff7gx9g
    @user-wy6ff7gx9g7 ай бұрын

    선택의 길이 최소한 50년이 가더라도 선택은 항상 미국이다.

  • @user-dd8hk1bn2f

    @user-dd8hk1bn2f

    7 ай бұрын

    미국의 똥개니깐... 😊

  • @waitaoyuanshi5081

    @waitaoyuanshi5081

    7 ай бұрын

    명나라 모시다가 청나라에 얻어 터지구, 청나라 모시다가 일본에 얻어 터지구, 미국 모시구 잘살았는데, 50년 가나요

  • @Death2communists

    @Death2communists

    7 ай бұрын

    @@waitaoyuanshi5081 너 만주족이냐? 몽고족이냐. 같은시기에 니들은 노예였잖아. 그 후에 영국 미국 포르투갈 독일 일본에 돌림빵 당했잖아ㅋㅋㅋ우리까지 껴가지고 한번 더 또 다시 시작한거 같은데? ㅋㅋㅋ아니야?

  • @longjibai6456

    @longjibai6456

    7 ай бұрын

    한국망해😂

  • @hyesukkang

    @hyesukkang

    7 ай бұрын

    이 번 에 이 회 의 에 미 국 온 씨진 핑 과 같은 태 풀 에 서 식 사 하 기 위 해 서 미 국 기 업 인 들 은 몇 만 불 씩 내 고 식 사 을 했 지 요. 그 냥 같 은 장 소 에 참 석 해 서 식 사 한 끼 하 는 데 2 천 불 씩 내 고 참 석 했 지 요. 미 국 기 업들 은 이 익 을 위 해 서 움 직 이 지 요. 그 자 리 을 켈 리 포 니 아 주 지 사 가 앞 장 을 서 서 마 련 했 다 고 들 었 습 니 다. 정 부 정 책 이 뒷 바 침 해 주 지 않을 때 는 스 스 로 기 업 들 이 길 을 찾아 야 하 지 않을까 요? 한 국 에 사 는 사 람 들 은 너 무 순 진 하 나 봐 요. 정 부 말 을 다 따 을 필 요 가 없 지 않 을 까 요 각 자 기 업 들 이 알 아 서 해 야 되 지 않을까 요? 법 을 어 기 는 게 아 니 라 면....

  • @user-le5fd5rv2g
    @user-le5fd5rv2g2 ай бұрын

    브랜드 포지션이 제일 중요. 중국의 부유층은 최고 명품 선호. 다수 하층들의 소비 형태는 가성비위주 한국제품은 프리미엄 명품도 아니고. 가성비가 좋은 저가도 아니기 때문에 마케팅 타킷이 애매모호 함에 따라 발생함. 중국에서 히트치는 쵸코파이 신라면 이것은 부담 없는 가격대 시정에서 상대적 최고의 품질과 가성비를 자랑하기 때문에 잘 나가는것입니다. 시장원리와 타겟 시장을 어떻게 가져가고 전략을 가져가는것도 중요하지만 제품력(가격대. 성능. 만족도. 상대성. 특수성등)이 제일 중요함.

  • @user-nf8ze4yu5n
    @user-nf8ze4yu5n2 ай бұрын

    수고하셧어요 `

  • @user-vn5ms3vi8s
    @user-vn5ms3vi8s7 ай бұрын

    줄을 잘선 나라를 예로들면 바로 사우디 아라비아죠. 사우디와 중동은 원래 오스만제국에 수백년을 지배받았고 사우디는 국토 대부분이 사막이라 여러 부족이 거주하던 지역이였는데 오스만제국과 영국이 전쟁을 벌이던중에 사우디의 한부족장이 우리가 부족을 모아서 오스만을 공격할테니 같이 손을 잡자고 영국에 줄을 섰고 결국 영국이 승리하고 오스만 제국은 멸망하지만 사우디는 독립을 하게 됩니다. 물론 대부분의 중동 국가들은 안타깝게도 영국과 프랑스의 식민지로 전락했지만 사우디는 줄을 잘서서 하나의 독립국가로 통일하게 되었고 그부족장이 지금의 사우디 왕실이 된 겁니다. 그리고 나중에 사우디는 미국에 줄을 잘서서 페트로오일로 다시 석유패권도 차지하게 됐죠. 사우디가 줄을 잘못섰으면 다른 산유국들처럼 수탈만 당하거나 내전에 휘말리는 나라가 됐을 겁니다. 우리가 조선시대 명나라와 청나라 사이에서 줄다리기만 하다 그런 수모를 당했다는 역사적 교훈을 잊지 말아야 되고 우리는 이제 줄을 서고 말고 할것도 없습니다. 세계 최대의 미국 시장을 잃느니 중국 시장을 잃는게 더 나은 선택이고 더이상의 줄타기는 이미 사드사태때 다 끝나서 기회조차 없습니다.

  • @user-vn5ms3vi8s

    @user-vn5ms3vi8s

    7 ай бұрын

    수백년간 중립이던 스웨덴과 핀란드마저 나토에 가입했다는 사실을 알아야 되고 이제 더이상 세계에 중립같은건 존재하지 않는 시대입니다. 제발 착각들 하지 마세요.

  • @js-wm2wj

    @js-wm2wj

    5 ай бұрын

    옳소 말씀 잘하시네요 찬성합니다.

  • @user-rw3nd7ey2d
    @user-rw3nd7ey2d7 ай бұрын

    중국이 북한의 강력한 우방이라서 걱정하는겁니다.

  • @user-xd2jz6xs8r

    @user-xd2jz6xs8r

    6 ай бұрын

    중국에서 기르는 개일 뿐이다

  • @Tntd861
    @Tntd8615 ай бұрын

    냉전의 결과가 소련의 붕괴, 수많은 나라로 쪼개진 역사가 반복되길 바랍니다

  • @jasoncho264
    @jasoncho2645 ай бұрын

    단지 이런 말을 한다는 것 만으로도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좌클릭이고 매국노라고 하는 사람들이 너무 나도 많습니다. 가슴 아프게도요. 어느나라도 영원한 적도 아군도 없습니다. 이게 현실이죠.

  • @abcd-tf7fm
    @abcd-tf7fm7 ай бұрын

    교수 개인의 생각일뿐 우리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중국은 지금 사회주의에서 군주국가로 가고 있는중으로 보인다

  • @user-gu7eo6js7g

    @user-gu7eo6js7g

    5 ай бұрын

    나는 그렇게 생각 안하는데

  • @mjsongff
    @mjsongff7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공부하면 친미, 프랑스에서 공부하면 친불, 중국에서 공부하면 친중, 거의 그렇다 .이분도 친중이 밑바닥에 깔려있다. 굉장히 중국에 큰 점수를 주고 논리를 전개하는 게 확실하다. 이분의 중국에 대한 점수에서 50%는 깎아서 보는게 좋을 것 같다. 중국 공산당이 장악하는한 중국의 미래는 없다.

  • @goldenapplemon1858

    @goldenapplemon1858

    7 ай бұрын

    편협한 생각을 표방하신듯하네요 그 나라를 이해한다고 그걸 친중이라 하는지요

  • @user-xo1vl3nz7z

    @user-xo1vl3nz7z

    6 ай бұрын

    그래서 안된다입니다

  • @user-mu2yj9hr4i

    @user-mu2yj9hr4i

    6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공부한 우리는? 딴나라를 모르니..

  • @user-vq3xe5kn4b

    @user-vq3xe5kn4b

    5 ай бұрын

    빙고

  • @xiasun5883
    @xiasun58835 ай бұрын

    한국이 중국을 잘 모르는것도 있지만 한국인들은 자존심이 강해 중국현실을 부정하고

  • @user-xi4hc1ex5y
    @user-xi4hc1ex5y4 ай бұрын

    좋아요

  • @user-zd8os9vk9u
    @user-zd8os9vk9u7 ай бұрын

    한국제품이 중국에서 안팔리는 이유는 중국제품이 가성비가 좋아서 입니다 또 미국은 공장이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한국제품이 미국에 수출 되는 겁니다 그래도 중국이 한국의 수출 1위 국가 입니다

  • @xlobo9822
    @xlobo98227 ай бұрын

    한국은 미국이 패권국일 때 유리한가? 중국이 패권국일 때 유리한가?

  • @user-ws8cb9ev5e
    @user-ws8cb9ev5e5 ай бұрын

    말씀잘하시네요❤❤❤❤

  • @user-wx3qp8go5d
    @user-wx3qp8go5d4 ай бұрын

    국제정치는다각적인현실을말한다 추상적은금해야된다

  • @user-yt1yw3kc5s
    @user-yt1yw3kc5s7 ай бұрын

    상기하자625 중공군

  • @you-iw5zt
    @you-iw5zt5 ай бұрын

    23년도 중국은 개인으로 갈때 방을 예약 잘 못합니다ㅡ 외국인 숙박은 따로 있다며 아무대나 숙박을 할 수 없다는데 그부분에 설명도 해 주심 감사 하겠습니다

  • @user-ev5bl7yy1c
    @user-ev5bl7yy1c2 ай бұрын

    중국인 한족으로 볼때 그 초기교육의 시작점이 한국인들의 초기교육과 완전히 다릅니다. 땅에 떨어진 콩 한알 주으면? 조선인들은 어렸을때부터 부모님한테서 콩 한알이라도 다른사람과 반으로 나누어 먹으라고 배우고 한족인들은 어렸을때부터 부모님한테서 콩 한알이라도 뺏아오던지 훔쳐오라고 배웁니다. 초기교육의 차이는 어마어마한 차이점을 보여주지요!!

  • @user-xz5pl9sm6b
    @user-xz5pl9sm6b7 ай бұрын

    경제보단 안보가 더 중요

  • @jkpark22

    @jkpark22

    7 ай бұрын

    경제도, 안보도, 모두 중요합니다.

  • @user-lo2kn8so7d

    @user-lo2kn8so7d

    7 ай бұрын

    안보가 더중요합니다.

  • @user-qr8se7kj6r
    @user-qr8se7kj6r7 ай бұрын

    대부분 20년전 중국단체 여행갔던 사람들이 중국을 바르게 바라보는 눈을 잃어버렸다

  • @rongyaowang1075

    @rongyaowang1075

    6 ай бұрын

    중국인들은 우주의 위대한 나라인 한국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까? 나르시시스트를 유지하세요! 가서 우주를 더 공부해 보세요!

  • @pj7244

    @pj7244

    6 ай бұрын

    중국에 여행가서 포섭된 사람들의 공통점이 임진왜란 때 명나라가 조선을 도왔다는 겄이죠.6.25 때 북한 공산당을 도운것이지 자유 대한민국을 도운것이 아니지요

  • @user-mu2yj9hr4i

    @user-mu2yj9hr4i

    6 ай бұрын

    맞음.. 잘못된 눈꺼풀이 생겨버림.. 아직도 나이있는 사람들 중국 무시함..ㅋㅋ

  • @jeongholee2720

    @jeongholee2720

    5 ай бұрын

    사드를 들여오며 중국과 관계가 악화 되었는데 사드를 한국이 미국산을 들여와 조립하는 방식ㆍ즉 한국이 개발한양 모양새로 한국에 배치했다면 지금처럼 악화되진 않았을것ㆍ

  • @JHKim-dx8sg

    @JHKim-dx8sg

    2 ай бұрын

    이욱연교수 서강대학교 중국 문화 전공교수 (중국현대문학)

  • @user-jj1ib4vv5j
    @user-jj1ib4vv5j5 ай бұрын

    지혜의 기술이 필요한때입니다 세상이 생각좀하고 일좀 했으면 좋겠어용

  • @fkalrud61
    @fkalrud617 ай бұрын

    중국이 일당독재가 강럭한게 사회주의 맞죠

  • @user-kc6ot3qm5d

    @user-kc6ot3qm5d

    6 ай бұрын

    박통때는 ? 러시아는?

  • @ruoguu
    @ruoguu7 ай бұрын

    중국인들 중 약 60~70%가 여전히 한국인들 한테 우호적인 이유가 뭐냐? 매체에 달려있다. 한국은 완전 서구의 시각과 정보를 근거하여 중국을 보도하고 상당수는 왜곡보도 입니다. 예를 들면 위구르문제, 그리고 홍콩 문제도 편파보도 입니다. 하지만 중국 매체들은 한국을 그나마 긍정적인 보도가 대부분이다. 공산당 특성상 루머조장이나 이런걸 금절하는 관습도 있고...

  • @mrx04288

    @mrx04288

    7 ай бұрын

    @@user-wq5ye7sm2q 니 몇살이니?너부터 공부 하거라. 한국처럼 편파보도 하는건 맞잖아. 멍청아 미국 식민지에서 오래 살다 보니 대중국에 의견잇나? 의견잇으면 너 집안 중국 믈건들 다버려라. 너 그럴 자신 없으면 이런데서 댓글 함부로 달지마

  • @user-mu2yj9hr4i

    @user-mu2yj9hr4i

    6 ай бұрын

    우호적인건 맞음.. 공산당 수뇌부의 중국 큰그림과는 반대..

  • @user-qd5ip5zp4w
    @user-qd5ip5zp4w6 ай бұрын

    이제는 우리모두가 정신 차려야 합니다!!! 2012년 당시에 만주가 우리민족, 우리땅이라고, 8도가 아니고 13도라고 하면, 똘아이 취급 받음. 그래서 '흠정만주원류고'를 추천하기도함. 우물 밖에서 10여년 공부해서 제가 바라본 우리역사입니다. 일제 강점기 당시 만주에서 일본군과 전쟁하고,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1919.4.13)를 신설한 것은 우리땅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동이족)는 고조선부터 연방국가 체제로 이어져 내려온 민족입니다. 항상 집안 싸움이지, 동이족은 우리민족입니다!!! 일제 강점기때까지 황제국을 유지했던 민족입니다. 대륙을 넘본 주변국들과 일제가 ‘청’을 아편으로 망가지게 하고, ‘청’과의 이간질로 '개화기' 당시 ‘청’과의 독립운동으로 시작된 '청일전쟁'(1894~1895) 빌미로 안방을 내주고, '황제국'을 이어 받았으나, '을미사변'(1895)과 '러일전쟁'(1904~1905)으로 이어진, '을사늑약'(1905)과 '고종독살'(1919.1.21)까지, 황실을 장악한 후, 일제의 36년간의 ‘역사조작’이 이루어졌습니다. [초대총독 ‘데라우치’가 1902년부터 역사서 수집 시작. 1910년부터 자료 수집 본격화. 3국(청,조,만주)자료를 고향(야마구치)으로 18,000여권 반출. 14개월 동안 (1910.11~1911.12) 20여 만권의 각종 도서를 약탈 수거, 남산에서 불태움.] 취조국(1910) 중추원(1915) 조선편찬위원회(1923) 조선사편수회(1925) 한,일 역사학자로 구성. 1945년 해방때, ‘파’가 나뉘면서, 1950년 ‘6.25 전쟁’후 지금까지 일본으로 부터 ‘역사학 지원금’을 받으면서 ‘돈’에 ‘노예’가 된 대한민국 ‘역사학자’들이 정신 차려야합니다. 지금의 ‘중화민국’은 북쪽을, ‘일본’은 남쪽을 넘 보고 있습니다. ‘돈’과 ‘명예’에 취해 ‘방관’만 하고 있다면, ‘대한민국’은 영원히 사라질지 모릅니다. 더 늦기전에 바로 잡아야 합니다. 〈魏略〉:百濟高麗新羅基三國全朝鮮裔裳也用同語。 중국 위나라의 역사책인 위략에 따르면 고구려, 신라, 백제, 3국은 고조선의 후예 이며, 모두 같은 언어를 썼다. 語言 根據中國資料的記載,魏國的史書〈魏略〉記載, 朝鮮三國時代的,高句麗,新羅,百濟都講同一種語言。 〈魏略〉:百濟高麗新羅基三國全朝鮮裔裳也用同語。 古朝鮮語的分支,高句麗、扶餘、沃沮、東濊、百濟、新羅都出自同源, 從流傳下來的高句麗、百濟、新羅的文獻資料分析, 朝鮮三國的語言均屬於范阿爾泰語系和黏著語,和漢藏語系的漢語不相通。 대륙 고조선 대륙 삼한 대륙 고구려 대륙 백제 대륙 신라 대륙 고려 대륙 명조선 대륙 청조선 대륙 대조선 대륙 대한제국 고조선의 후예(동이족) = 삼한, 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 명조선, 청조선, 대조선, 대한제국, '단일민족', '단일국가'가 아닌 연방체제 '황제국' 단 한번도 단일국가 였던 적이 없었습니다. 현재 국호가 '대한민국'이라 명칭한 이유. 1895년 '대조선국'국호 선포. (독립신문 창간전) 1896년 '독립신문'(1896~1899)만 보더라도 '대조선' '황제국'인지 알수 있고, 당시 땅이 얼마나 큰지 알수 있습니다. 1897년 ‘대한제국’선포 (현재 조작되서 전해오는 한반도 8도 국경) '중국'이란 말부터 잘 '이해' 해야 합니다. 예전의 '중국'은 '황제국'을 말하는 겁니다. 지금의 '중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약자’이지요. CHINA = 신라. 금 = 신라의후예 명조선, 청조선 = 동이족. 13도 = 13국. (‘지방도’가 아닌 1국 ‘수도’) 일제강점기 당시 대륙 전체에서 우리말과 글을 못쓰게 한 이유가 연방국가 체제를 무너뜨리려 한 것입니다. 일제가 주입한 '단일민족'이란 세뇌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우리민족'입니다. 지금까지도 ‘이간질’해서 철처히 분열 시키고 있습니다. 이제는 우리가 스스로 역사를 열린 마음으로 넓고 크게 봐야 합니다. 그들이 만든 조작역사에 세뇌 당하지 마시고, 우물밖으로 나와서 넓은 세상을 보셨으면 합니다. '우리민족' 화이팅!!! 추천영상 KBS일요스페셜 1996.9.15. 방송. 백제 22담로의 비밀.

  • @user-qb5uw1uk4m
    @user-qb5uw1uk4m6 ай бұрын

    긴시간 강의 잘들었습니다 김작가님 감사합니다

  • @user-fu9lt9sl8q
    @user-fu9lt9sl8q7 ай бұрын

    그소리는 허튼소리다 중국이 볜할줄안것이아니고 중국이이렇게부상해서 미국을넘볼수잇다는것을 보지못한것이다 중국이 당장 자본주의하면 미국이봐준다는 개소리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