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욕은 어디서 왔을까?ㅣ욕쟁이들 입 막을 영상

나쁘다는 것을 알면서도
많은 사람이 자연스럽게 쓰는 비속어와 욕설.
이 욕설의 어원을 살펴보면
생각보다도 더 고약하고 나쁜 의미들이
잔뜩 들어있습니다.
우리 생활을 지배하고 있는
비속어와 욕설의 기원을 알아봅니다.
지식이 고플 만두하지? B급 교양 채널 '교양만두'
이야기가 유익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하기 눌러주세요!
일러스트│박도경
#욕 #비속어 #어원 #역사 #말 #교양만두
*참고 문헌
『우리말 비어, 속어, 욕설의 어원연구』 ㅣ조항범ㅣ충북대학교출판부

Пікірлер: 828

  • @user-gu5bx3os7e
    @user-gu5bx3os7e2 жыл бұрын

    세종께서는 한글 반포를 반대하는 신하더러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비열한 자"라고 말씀하신적 있습니다 정조만큼은 아니지만 나름 할말 다 하셨을듯

  • @VoidX930

    @VoidX930

    2 жыл бұрын

    말싸움으로 세종 이긴 사람 있음?

  • @user-gi6yg5hp2i

    @user-gi6yg5hp2i

    2 жыл бұрын

    @@VoidX930 엌ㅋㅋㅋㅋㅋㅋㅋ

  • @user-nj9fb7jd1n

    @user-nj9fb7jd1n

    2 жыл бұрын

    @@VoidX930 없을 듯 ㅋㅋㅋㅋ

  • @passfade4458

    @passfade4458

    2 жыл бұрын

    순화되어서 쓰였던 점을 감안하면 그냥 욕설이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럼 대체 정조는 쌍욕을 얼마나 많이 했던걸까요

  • @jiyoonkim1582

    @jiyoonkim1582

    2 жыл бұрын

    @@VoidX930 서희는 이길지도? ㅋ

  • @user-mg7gj5uu8y
    @user-mg7gj5uu8y2 жыл бұрын

    Tmi: 독일의 경우 일반적인 욕설은 250유로(우리 돈 약 35만원), 경찰에게 반말을 할 경우 600유로(우리 돈 약 90만원), 그리고 다른 사람을 가리켜 '늙은 돼지'라고 하면 2500유로(우리 돈 약 350만원)의 벌금이 부과된다고 합니다.

  • @user-um8mt8my1n

    @user-um8mt8my1n

    2 жыл бұрын

    와.. 벌금이.. 으마무시하다..

  • @sssssrrrrre

    @sssssrrrrre

    2 жыл бұрын

    @그래나 잼민이다 어쩔래? 과학적으로

  • @user-ko8zn7xk9q

    @user-ko8zn7xk9q

    2 жыл бұрын

    별 이상한 법이 다 있네;;

  • @user-gk8hb3qx1v

    @user-gk8hb3qx1v

    2 жыл бұрын

    경찰한테 반말 못하게 하는 법은 겁나 좋네

  • @user-qm4fq9sw8o

    @user-qm4fq9sw8o

    2 жыл бұрын

    근데 경찰욕설말고 일반욕설까지 잡는건 그냥 독재아님?

  • @nahyeon1482
    @nahyeon14822 жыл бұрын

    어렸을 땐 욕하면 쎄보이는줄 알았는데 제3자 입장에서 보니 사람이 정말 수준 없어보이더라구요. 그 이후로 욕 끊음

  • @user-ml7vi7nt2w

    @user-ml7vi7nt2w

    Жыл бұрын

    ㄹㅇ

  • @user-xe9zn8nm4x

    @user-xe9zn8nm4x

    8 ай бұрын

    ㅇㅈ 저도요

  • @boring-su7rr
    @boring-su7rr2 жыл бұрын

    만두는 입에 또다른 인격이 있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

  • @user-ze7ry8wi4n

    @user-ze7ry8wi4n

    2 жыл бұрын

    그런점이 만두의 매력 아닌가요?

  • @user-eh2ie7kb3z

    @user-eh2ie7kb3z

    2 жыл бұрын

    어둠의 만두

  • @what_the_f--k

    @what_the_f--k

    2 жыл бұрын

    김치만두 고기만두 였던거임 ㅇㅇ

  • @user-zd7ru8nz4e

    @user-zd7ru8nz4e

    2 жыл бұрын

    @@what_the_f--k 그러면 만두는 인격이 얼마나 있는거지

  • @hwajin2651

    @hwajin2651

    2 жыл бұрын

    당연하지. 만두는 각나라마다도 다르고 우리나라도 만두가 몇가지인데...!

  • @shffoal
    @shffoal2 жыл бұрын

    욕설은 사회의 약자를 담고있다는 말을 들었을때 참 씁쓸했습니다.. 욕설로 쓰이는 언어들은 대부분 여성, 장애인, 외국인 등이 있고 우리는 알게모르게 욕을통해 어떤 집단을 차별해왔었죠... 이런 사실을 자각하고 웬만하면 쓰지 않았음합니다

  • @Ultrapenis6974

    @Ultrapenis6974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그래도 친구들끼리는 쌉가능 진짜 그런 뜻으로 하기보다는 추임새용이 좀 더 강하죠 ㅇㅇ

  • @user-rg9vg3zx8w

    @user-rg9vg3zx8w

    2 жыл бұрын

    우와 심각하다 나도 욕하는데

  • @IMFkores

    @IMFkores

    Жыл бұрын

    언어는 어쩔 수 없음. 십몇년전만해도 애미, 애비는 욕이 아니라 사투리로 게임에서 써도 필터링 안당했었듯이

  • @user-qn8mo5zq9f

    @user-qn8mo5zq9f

    Жыл бұрын

    남성도 있는데 왜그건쏙빼냐ㅋㅋ

  • @user-jt1df8ky5j

    @user-jt1df8ky5j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남성은 쏙 빼서 이야기하는 것봐 ㅋㅋㅋ

  • @user-dt3rd1ci3r
    @user-dt3rd1ci3r2 жыл бұрын

    TMI : 외국인들이 한국어 배울때 신기해하는점중 하나가 모든 단어에 '개'라는 단어를 붙이면 욕설이거나 강조어가 된다. 예 : 개같다, 개조아, 개굿.....

  • @user-nl2nu3mm4k

    @user-nl2nu3mm4k

    2 жыл бұрын

    TMI2: 예시에 나온 개는 dog지만, 한국어에는 원래도 부정적인 의미로 접두사 개-가 쓰였다. 빛좋은 '개'살구, '개'떡, '개'꽃(=철쭉. 먹지 못해서. 먹을 수 있는 진달래=참꽃)

  • @taotao2127

    @taotao2127

    2 жыл бұрын

    영어도 있음 killing이나 fucking 붙이면됨

  • @contero

    @contero

    2 жыл бұрын

    개: '정도가 심한'의 뜻을 접하는 접두사-표준국어대사전

  • @StarKnyan

    @StarKnyan

    2 жыл бұрын

    참고로 개판의 개는 dog가 아니라 고칠 개 자입니다. 씨름 경기에서 둘이 같이 넘어져 경기를 새로 하는 것을 개판이라고 하는데, 이 개판이 일어나면 '누가봐도 쟤가 먼저 쓰러졌는데 왜 개판'이냐며 서로 치고박으며 아수라장이 되는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개판 5분전이라는 말도 여기서 유래되었죠.

  • @user-nl2nu3mm4k

    @user-nl2nu3mm4k

    2 жыл бұрын

    @@StarKnyan 개판의 경우 6 25 직후 식량 배급제에서 기원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식량을 배급해주는 곳이 개(open)판을 한다고 하면 당연히 난리가 나겠죠. 그래서 그냥 개판만 쓰는 경우도 많지만 '개판 오분전' 이란 말도 쓰입니다. 식량 배급 5분 전이니 얼마나 난리통이겠어요...

  • @CYB0915
    @CYB09152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때까진 욕은 쓰지도 않았습니다. 그러다 중학교때 부터 머리에 피 좀 말랐다고 욕으로 시작해서 욕으로 끝나지 않으면 말을 못하게 되었습니다… 뭐 고3때 욕의 뜻을 찾아보고 너무 상스러운 의미가 많아서 20살에 욕을 끊었습니다! …대신 그동안 책을 읽으며 익힌 어휘력을 동원해 육두문자 없는 비속어를 쓰기 시작했죠…헤헤!

  • @CYB0915

    @CYB0915

    2 жыл бұрын

    이로써 인간은 바뀌질 않는다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 @user-hz4oo1rz8c

    @user-hz4oo1rz8c

    2 жыл бұрын

    중딩이라서 욕뜻을 알고 처음엔 안쓰려고했지만 친구들이 너무 많이 쓰다보니 자연스럽게 쓰게되네여 ㅋㅋㅋㅋㅋㅋㅋ

  • @park-li-hyeon

    @park-li-hyeon

    2 жыл бұрын

    실화냐 개구린데

  • @user-fc5ne5tx8f

    @user-fc5ne5tx8f

    2 жыл бұрын

    @@park-li-hyeon 🐸?

  • @user-pj3pc3nm9x

    @user-pj3pc3nm9x

    2 жыл бұрын

    @@user-fc5ne5tx8f ㅋㅋㅋㅋㅋㅋㅋㅋ

  • @dlweed88
    @dlweed882 жыл бұрын

    어떤 단어건 그 어원을 찾아보는건 매우 의미있는 행동이라 생각합니다. 이로 인해 이게 얼마나 심한 말인지 경각심을 일깨워주기 좋다고 생각합니다. 마냥 욕을 하지말라고 혼내기 보다는 이 말이 어떤 의미를 가졌고 그렇기 때문에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가르쳐 주는 것이 더 효과있을거라 생각하기에 이 영상은 매우 큰 의미를 가진 영상이라 생각합니다.

  • @user-ob8bs9gk9f

    @user-ob8bs9gk9f

    Жыл бұрын

    야 어른같이 하면 멋저보일것 같냐? ㅋㅋㅋㅋㅋㅋ 니 중2병이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TheThelily0731

    @TheThelily0731

    Жыл бұрын

    @@user-ob8bs9gk9f 그래서 뭐가 중2병 같다는 거죠? 이유도 없고 이건 뭔상황 인가요? 초면에 반말 찍찍 말하고.

  • @Racoon_man917

    @Racoon_man917

    8 ай бұрын

    ​@@TheThelily0731 첫댓이 더 병신이긴 한데 님 말투도 개틀딱같음;;

  • @olomeo

    @olomeo

    8 ай бұрын

    ​​@@user-ob8bs9gk9f 뭐가 불만이기에 왜 이리 못마땅하신가요?

  • @user-qm4fq9sw8o
    @user-qm4fq9sw8o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욕이 왜 욕이겠음. 상대를 저주하고 모욕이 주목적인데.좋은 뜻의 욕은 없음

  • @kyu_0047

    @kyu_0047

    2 жыл бұрын

    뉴욕

  • @jin.24.

    @jin.24.

    2 жыл бұрын

    목욕

  • @user-go6kh1oe5i

    @user-go6kh1oe5i

    2 жыл бұрын

    굴욕

  • @user-cw6ii3wq1j

    @user-cw6ii3wq1j

    2 жыл бұрын

    식욕

  • @user-fw8cm5tm8c

    @user-fw8cm5tm8c

    2 жыл бұрын

    입욕

  • @giddenlee
    @giddenlee2 жыл бұрын

    욕하니까 세종대왕님 왈 "XX하고 자빠졌네!" 나올줄 알았는데 ㅋㅋㅋㅋㅋ 유익한 영상 잘 봤습니다

  • @gonyangs

    @gonyangs

    2 жыл бұрын

    앜ㅋㅋㅋ 나랑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이 있었다니 ㅋㅋㅋㅋㅋㅋ

  • @bbangdi170
    @bbangdi1702 жыл бұрын

    TMI:세종대왕님도 굉장히 욕쟁이셨다고한다 백성들과 워낙 가깝게 지내셨다고해서 자연스럽게 욕을 쓰셨다고한다

  • @sunapark3381

    @sunapark3381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 @lasvegascity

    @lasvegascity

    8 ай бұрын

    ???: 아 내가 쌍스런 욕은 다 백성들한테 배운 거라니께~

  • @Everything-jx7fs
    @Everything-jx7fs2 жыл бұрын

    TMI : 욕은 한국'말'이고 세종대왕님이 만드신건 한'글'이다. 어떤 욕을 하든 한글로 잘만 적는다면 딱히 노하실 리 없다.

  • @Skrr-uu5nn

    @Skrr-uu5nn

    2 жыл бұрын

    오 뭔가 일리있음

  • @juke2004

    @juke2004

    2 жыл бұрын

    ㅁㄷㅍㅋ보다는 ㄴㅁㅅㅂ이 낫다 이건가요? 개소리네요. 둘다 같은 뜻이네요

  • @T3T-

    @T3T-

    2 жыл бұрын

    개소리가 아니고 세종대왕님이 하신말씀은 상황과 때에 맞추어 누구든 자신의 뜻과상각을 막힘없이 표현할수 있는 도구를 준것이니 그책임은 각자의몫이죠 욕할상황에 욕하는게 뭐그리 대단하고 숨길일인가요 다들천사신가봐요 씨발?

  • @Everything-jx7fs

    @Everything-jx7fs

    2 жыл бұрын

    @@juke2004 세종대왕님은 우리말을 쉽게 글로 쓸수 있게 해준 '글'을 만든거라는 이야기였습니다. ㅁㄷㅍㅋ하고 ㄴㅁㅅㅂ이 어떤게 나은지 아닌지는 그냥 쓰는 나라와 사람이 다른 '말'의 문제니까 제가 말하고자 하는 점하고는 전혀 연관이 없어보이네요. 혹시 다른분들도 헷갈리실까봐 이야기하면 ㅁㄷㅍㅋ와 ㄴㅁㅅㅂ은 모두 한글 자음이에요. 어느나라 말인지, 말의 뜻이 무엇인지는 상관 없이 모두 한글이라는 '글자'라는 이야기에요. 세종대왕님은 자신이 발명한 한글이 지금도 쓰이는걸 기뻐하시지, 그 글자로 무엇을 쓰는지는 세종대왕님이 아니라 다른 비유를 들어야 한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특히 주제는 말이지 글자하고는 아무런 관계도 없는 이런 영상에서는요.

  • @bona5610

    @bona5610

    2 жыл бұрын

    궤변 ㅋㅋㅋㅋㅋ

  • @denturel
    @denturel2 жыл бұрын

    나이들어서 욕하면 그것만큼 없어보이는게 없음

  • @rootms2020

    @rootms2020

    2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어릴수록 막 욕을 해도 되냐? 나이에 상관 없이 욕을 하는게 미개 한거지

  • @rootms2020

    @rootms2020

    2 жыл бұрын

    @@user-jz3xh6yc6o 오히려 나이많은 인간들이 욕을 더 잘하던데 70넘은 인간들도 자리 안비켜준다고 욕하는 인간들이 허다 하구먼 나이를 떠나서 욕하는 인간들이 미개하다는 이야기임 이해 못하시나?

  • @illiililili6666

    @illiililili6666

    2 жыл бұрын

    @@rootms2020 세 분 다 맞는말 하고 있는데 혼자 너무 과민반응 중이에요 진정하세요 ㅋㅋㅋㅋ

  • @user-wc9oe6mz7y

    @user-wc9oe6mz7y

    2 жыл бұрын

    @@rootms2020 니가 문맥 파악을 못하는 듯 하다

  • @rootms2020

    @rootms2020

    2 жыл бұрын

    @@user-wc9oe6mz7y 여기서 문맥 찾네 학자 나오셨네 ㅋㅋㅋ

  • @APFSDSBB
    @APFSDSBB2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님과 정조는 굉장히 욕을 잘했다고 합니다 특히 정조는 암살위협도 자주 받다보니 욕배틀 만랩이라는

  • @user-ud4yv5ym2n
    @user-ud4yv5ym2n2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님이 만드신 것은 우리나라의 ‘글’입니다. 욕설은 우리나라의 ‘말’입니다. 제발 글과 말을 구별해서 인식해주세요. 세종대왕님이 훈민정음을 만들지 않으셨더라도 우리는 한국어와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욕설들을 사용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 @jaeyounghahn3955

    @jaeyounghahn3955

    2 жыл бұрын

    훈민정"자"가 아니고 "음"?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 발음기호

  • @user-hv8nw3id4n

    @user-hv8nw3id4n

    2 жыл бұрын

    그렇죠. 글은 말을 표기하기 위한 도구이죠. 망치는 못을 박는 도구이지만 망치를 못이라고 하지는 않듯이 글을 말과 동일시해서는 안 되죠.

  • @shinwoori84

    @shinwoori84

    2 жыл бұрын

    아무리 한글이 한국어만을 위한 문자라지만 너무 글과 말을 구분하지 못 하는 경우가 많은 거 같아요.

  • @pornxiyong
    @pornxiyong2 жыл бұрын

    "천문:하늘에 묻는다"에서 신하들이 장영실을 지들 멋대로 옥에 가두니까 극대노한 세종대왕님이 욕까지 하면서 화를 내던 장면이 기억나네요.

  • @moonreflect4350

    @moonreflect4350

    2 жыл бұрын

    개새끼야 한마디에 대신들 등골 빠지는 그 순간이 정말 대단했어요

  • @pornxiyong

    @pornxiyong

    2 жыл бұрын

    @@moonreflect4350 영화 내내 뭔가 상냥한 느낌이었는데 갑자기 욕을 하니까 저도 놀랐어요 ㅎㅎ

  • @perenna

    @perenna

    2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 왕권이 가장 센 왕 중 하나가 세종대왕이죠. 당장 아버지가 누군지 봐도.

  • @pornxiyong

    @pornxiyong

    2 жыл бұрын

    @@perenna 그 아버지가 킬방원 ㄷㄷ

  • @imthebestr6s118
    @imthebestr6s1182 жыл бұрын

    아니 세종대왕님 우리 정글이 갱을 안 오자나요 ㅠㅠㅠㅜ

  • @user-ee1du8lh8t
    @user-ee1du8lh8t2 жыл бұрын

    뜬금없지만 교양만두 채널 볼때마다 만두먹고싶어져서 큰일임.. 그리구 분명 교양?채널인데 너무 재밌어 중독성...

  • @gogo7703
    @gogo77032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user-kg8cc7vn8o

    @user-kg8cc7vn8o

    2 жыл бұрын

    저도 언제나!!!좋은 영상 감사합니다!!!!ㅇㅁㅇ9

  • @user-hs1ux1hf8j
    @user-hs1ux1hf8j2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에서 말을 더 꾹꾹 눌러서 하시는 건 기분탓일끼요 ㅎㅎ 민감하고 심의에 어긋나지 않는 선에서 영상 만드시느라 고생하셨겠어요 ~ 재밌게 잘 봤습니다!

  • @user-no7nz4op3b
    @user-no7nz4op3b2 жыл бұрын

    못된말이지만 기원에 관한 이야기는 너무 재미있네요! ㅎㅎㅎ

  • @user-to2d4e
    @user-to2d4e2 жыл бұрын

    정보가 있는 영상 감사하고 재밌게 봤어요

  • @user-ch7wy7ui7k
    @user-ch7wy7ui7k2 жыл бұрын

    앞으로도 욕 안 쓰도록 열심히 노력해야겠어요!!😆😆🌸👍

  • @user-jd7jx2jy8h

    @user-jd7jx2jy8h

    2 жыл бұрын

    저도요

  • @user-jd7jx2jy8h

    @user-jd7jx2jy8h

    2 жыл бұрын

    역시 세종 갓 대왕님 감사합니다

  • @user-qp9iq6vd7q

    @user-qp9iq6vd7q

    2 жыл бұрын

    -저도요-

  • @user-sz3sq4nq7l

    @user-sz3sq4nq7l

    2 жыл бұрын

    @이수희 으악...멈춰...욕나오게 하지마

  • @whatever-it-takes

    @whatever-it-takes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 @user-xi7bb2bx2f
    @user-xi7bb2bx2f2 жыл бұрын

    교양만두님들 힘내세요!

  • @user-ue9zn6qn5w

    @user-ue9zn6qn5w

    2 жыл бұрын

    @이수희 광고그만해라;;;

  • @user-fv3km1eq4h
    @user-fv3km1eq4h2 жыл бұрын

    한글로 대놓고 공무중에 욕을 섞어가며 말씀하신 정조 니뮤ㅠ

  • @user-iq6zn1mx6f
    @user-iq6zn1mx6f2 жыл бұрын

    교양만두 매력 중 하나: 팀장님 특유의 왠지 모르게 맥아리 없는 나레이션ㅎㅎ 욕도 맥이리 없이 또박또박 하실 듯...ㅎㅎ ㅇㅈ?

  • @nanyoo6198
    @nanyoo61982 жыл бұрын

    유치원~초등학교 저 학년 때 친척이나 사촌들이 사용하던 욕을 시작으로 배웠는데 학창 시절에도 되도록 욕을 안 했고 하더라도 가끔 비속어나 제일 많이 알고 있었던 욕을 속으로 했었는데 고등학생 때 부터 더더욱 사용하지 않는 버릇을 들이기 위해 책을 읽으면서 쌓은 어휘력과 옛날 영상에서 길게 하던 욕 같은 비속어 방식을 응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역시 사람 인지라 아예 사용을 안 할 수 없더라고요ㅎㅎ

  • @juke2004
    @juke20042 жыл бұрын

    제 아이가 유치원에서 ㅅㅂ을 배워왔더군요. 그래서 이유도 말해주지 않고 엄청 혼냈던 기억이 있네요. 거짓말보다 더 안좋게 생각하는게 언어습관이라 여기는지라 욕을 안하려고 노력을 하죠. 직장땜에 처갓집살이를 할 때가 있었는데 장모님이 계신지 모르고 부부싸움을 한 적이 있는데 나중에 하시는 말씀이 자네는 싸울 때도 욕을 안하나? 하시면서 싸울 때도 답답하대요. 요즘 어린 친구들 말끝마다 욕하는거 이해는 하지만 나이들고도 ㅅㅂ거리면 천박해보이니 고치려는 노력은 해야해요.

  • @Ultrapenis6974

    @Ultrapenis6974

    2 жыл бұрын

    나이들고의 기준이 어느 기준임;;; 그건 님 생각이고요. 저도 성인이고 20대 후반이지만 시비터는 사람한테 만만하게 안 보이려면 차라리 세게 욕 박고 시작하는 게 낫더라고요 ㅇㅇ 가만히 있는 사람한테 화난다고 욕하는 건 문제지만 시비터는 새끼들한테는 욕 한 번 씨게 박아주는 게 나은 듯요

  • @user-mb3yl1sc1l

    @user-mb3yl1sc1l

    2 жыл бұрын

    @@Ultrapenis6974 나는 욕하면 옥할수록 그만큼 천박하고 상스럽기 그지없던데...

  • @user-wt6jp3vt3p

    @user-wt6jp3vt3p

    Жыл бұрын

    이유 안 알려주고 혼내면 습관 안 좋아질텐데

  • @user-xe9zn8nm4x

    @user-xe9zn8nm4x

    3 ай бұрын

    @@user-mb3yl1sc1l저도요 그래서 누가 시비걸면 저는 욕을 쓰지 않고 대처합니다

  • @user-xe9zn8nm4x

    @user-xe9zn8nm4x

    3 ай бұрын

    @@Ultrapenis6974저도 처음엔 시비거는 사람한테는 욕을 써야 된다고 생각했는데 이 영상보면서 욕을 안쓰는게 좋다고 생각하네요

  • @Jjun0313
    @Jjun03132 жыл бұрын

    역시 욕이란.....하지말자!! 오늘도 좋은 영상 굿굿👍👍👏

  • @user-lovelygyeong
    @user-lovelygyeong2 жыл бұрын

    전 초딩때도 욕을 안 좋아해서;; 언젠가부터 우리나라 조폭 영화나 학생들 많이 나오는 드라마에 ㅅㅂ나오면 거부감 들어서 안봐요. 웹소설에서도 진짜 화나는 상황에서 ㅅㅂ쓰는게 아니라 학생들 말할때 버릇처럼 쓰듯이 쓰는 소설이 아무리 재밌어도 패스. 욕을 할때 가장 먼저 내가 듣게 되고 가장 먼저 내 눈으로 보니까요. 본인이나 상대에게도 좋지 않는 것 같아요. 말이 얼마나 중요한지 물이나, 밥의 실험을 보면 알 수 있음. 오늘 영상 매우 유익하니 좋아요~ 감사합니다~

  • @whatever-it-takes

    @whatever-it-takes

    2 жыл бұрын

    전 초딩때 애들 욕쓸때도 안쓰고 욕쓰는거 이해 안됐는데 중고딩되면서 욕 많이 쓰게 되서 지금은 거의 욕쟁이됨.....ㅠㅠㅠ

  • @dalkijamproject

    @dalkijamproject

    2 жыл бұрын

    헐 저도요 특히 영화나 소설에서 욕나오면 몰입이 깨지고 갑자기 급발진하는 거 같아서 그냥 덮어버려요

  • @pangparae

    @pangparae

    2 жыл бұрын

    생각은 좋은데 물이나 밥실험을...

  • @qjawnsd

    @qjawnsd

    2 жыл бұрын

    하..ㅅㅂ기훈이형!!

  • @user-siahwoeh2sa

    @user-siahwoeh2sa

    2 жыл бұрын

    물 실험 조작인거 알려진지 언제인데

  • @paradox0618
    @paradox06182 жыл бұрын

    여러 욕설의 뜻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온라인이든 오프라인이든 좋은 말을 사용하는 대한민국이 되었으면 합니다~^^

  • @user-xe9zn8nm4x

    @user-xe9zn8nm4x

    5 ай бұрын

    진짜 욕 없는 문화가 왔으면 좋겠네요

  • @wincup
    @wincup2 жыл бұрын

    sibal 같은 거 말씀대로 굉장히 천하고 센 욕인데, 요즘 드라마에서도 그냥 막나오는거 진짜 좀 자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점점 TV 수위가 쓸데없이 높아지는 듯. (진짜 쓸데없슴- 그냥 자극적인거지).

  • @user-ul8wy5pw8d
    @user-ul8wy5pw8d2 жыл бұрын

    와!!영상이다!!잘보겠습니다

  • @HappyUnderBoss
    @HappyUnderBoss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ㅎㅎ 좋은 말 쓰는지 잘 지켜볼게요~

  • @user-pq3pn3bi5s
    @user-pq3pn3bi5s2 жыл бұрын

    앗! 목요일 교양만두~ 주제가 욕 생활을 지배하고있죠 ㅎㅎ

  • @PoochonMuhyul
    @PoochonMuhyul2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시절 바른말 쓰자며 학교 국어 선생님이 욕설 뜻을 알려준적 있는데 상당히 강력한 뜻을 내포하지만 사람들은 쉽게 뜻 모르고 쓰고 있긴하죠.

  • @jihoo_hwang
    @jihoo_hwang2 жыл бұрын

    와... 이번꺼는 정말 만들기 어려우셨을 것 같습니다. 자료 찾기 조차 어려우셨을텐데 시간 마감은 어떻게;;;

  • @user-ps5oj6wj6f
    @user-ps5oj6wj6f2 жыл бұрын

    어머나!목요일은 교양만두님 만나는 날!♡ 건강한 계절 되세요!욕쟁이 만두님 이라니요!바르고 고운말♡

  • @0xcplus
    @0xcplus2 жыл бұрын

    슬슬 욕설의 유래도 나올 것 같았는데! 믿고 있었습니다!

  • @user-zb6fd2rw2b
    @user-zb6fd2rw2b2 жыл бұрын

    교양만두님 영상 재밌게 봤어요.!!

  • @soyh8133
    @soyh81332 жыл бұрын

    한글날 특집 기대하겠습니다.

  • @uhjy1404
    @uhjy14042 жыл бұрын

    진짜 궁금한 것중 하나였어요 ㅎㅎ

  • @user-nm8xj7to9h
    @user-nm8xj7to9h2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

  • @user-rk9ko4zx3w
    @user-rk9ko4zx3w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양만두님. 도덕수업에서 선플 달기 수업하고 있는 중학생입니다. 교양만두님의 영상이 자신의 말과 행동이 타인에게 어떤 피해를 줄지 다시한번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내가 무심코 했던 말들이 다른사람에게 해악이 될 수 있다는 것도 깨달았습니다. 점점 교양이 쌓여가는 느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좋은 영상들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KimCookTV
    @KimCookTV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재미있네요 ❤

  • @user-wo5bj2jf7d
    @user-wo5bj2jf7d2 жыл бұрын

    욕도 하면 늘고 안하면 잊혀져요 이쁜 말 하기~~❤

  • @user-gn8jy6lu4c
    @user-gn8jy6lu4c2 жыл бұрын

    욕이란게 평소에는 아 이제 욕안해야지 하는데 친구얼굴을 보면 반사적으로 나와서 안하기가 힘듦,,

  • @glassesbrother
    @glassesbrother2 жыл бұрын

    아무렇지 않게 사용하던 욕이였지만 뜻을 알게 되었으니 앞으로는 뜻과 함께 쓰겠습니다

  • @gae-ja-sik
    @gae-ja-sik2 жыл бұрын

    ^^ 좋은 영상 잘 보고 가겠습니다.

  • @hackbumlee725
    @hackbumlee725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보고 갑니다

  • @prawnycat3551
    @prawnycat35512 жыл бұрын

    2:23 중국에 중화민국이 들어서기 전까지는 일본에서 중국을 지칭할 때는 대부분 명, 청과 같은 왕조의 이름을 사용하거나 '지나(支那)'라는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중화민국 건국 이후에도 관습적으로, 혹은 멸칭으로 지나, 지나인이라는 표현이 공식적, 비공식적으로 널리 사용되었죠. 중화민국에서 '지나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말아달라'고 일본에 공식 요청하는 경우도 더러 있었고, 중국인이라는 명칭 자체가 중국인 스스로를 지칭할 때 쓰였던만큼 당시 일본인들이 중국인을 업신여길 때 쓸 호칭으로는 부적절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2:31 淸國奴(청국노)의 경우에는 원나라 시절 용어라기보단 일본이 중국에 본격적으로 침략하던 시기부터 쓰였던 용어가 맞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 병사들이 중국에 침투하면서 생긴 일본어와 중국어의 혼성어로 보이며, 일본어로는 ちゃんころ(짱꼬로)라 읽었고 중국어로 '청국노'라는 단어에 대해 설명하는 페이지가 여럿 있는 것으로 보아 꽤 널리 쓰였던 멸칭인 것 같습니다.

  • @wjd9711
    @wjd97112 жыл бұрын

    이 시베리아 벌판에서 귤 🍊 이나 까먹으라는 어떤 할머니가 떠오르네요 ㅋㅋㅋㅋ

  • @user-od2xo4rq3w
    @user-od2xo4rq3w2 жыл бұрын

    진짜 나이에 상관없이 욕이 입에 붙어버린 사람들은... 사람이 싸보임...

  • @bmlim6238
    @bmlim62382 жыл бұрын

    재밋네요.. 중국말(보통어)은 비속어가 발전하지못했죠.. 많이 발전한 언어는 비속어도 많더라구요..

  • @user-qf4dg2ix9b
    @user-qf4dg2ix9b2 жыл бұрын

    오프닝 만두와 제가 매우많이 비슷하군요.. 지 입으로 욕하고 지 귀로 듣고 후회하는..다른사람이 말 시키면 무슨일이냐듯이 친절(?)해지고.. 하하…

  • @kitjnuunadu1751
    @kitjnuunadu17512 жыл бұрын

    와 이거 진짜 궁금햇는데ㅠㅠ

  • @officeworker444
    @officeworker4442 жыл бұрын

    동방예의지국이라는 표현을 지양해야하나요? 써도 되나요? 영상에도 나와 있는데 저도 항상 헷갈려서요 중국에서 동쪽에 있는 예의바른 나라다 라는 뜻으로 사용힌거라 안쓰는게 좋다라고 들어본 적이 있는 것 같아서요

  • @blueskytiger.
    @blueskytiger.2 жыл бұрын

    중학교때 우리반은 아니지만 다른반이 욕을 많이 한다고 쌤이 욕의 뜻을 알려주고 충격받고 그때부터 욕잘안씀

  • @user-op8us2fz4v
    @user-op8us2fz4v2 жыл бұрын

    _구독과 좋아요 눌러 줄게요♡^^_

  • @Sibalpenguin
    @Sibalpenguin2 жыл бұрын

    소리만 듣다가 등갓이 뭐지? 하며 다시 봤다가 터졌네요ㅋㅋㅋㅋ

  • @user-xd6ed9th7h
    @user-xd6ed9th7h2 жыл бұрын

    우왕 넘 재미있어요

  • @user-cb7tn2vm6t
    @user-cb7tn2vm6t2 жыл бұрын

    화날때 이런 사과같은,산딸기같은,이런 오렌지 등등 과일이름으로 욕을 대신한다고 했던 분이 계셨죠

  • @user-pf3tk6xu5n
    @user-pf3tk6xu5n2 жыл бұрын

    너무이거👍👍👍👍에요

  • @user-xu8qt1cq6g
    @user-xu8qt1cq6g2 жыл бұрын

    욕 하는게 안좋은 거란걸 알면서도 화가나면 어느새 욕지거리를 내뱉고 있는 내 자신을 봄,,ㅠㅠ 이 영상 보고 반성이 많이 되네..앞으론 욕 좀 줄여야겠다..

  • @user-vx6mq3tm8r
    @user-vx6mq3tm8r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을 올려주시는 교양만두 관계자분들께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여러분들의 노고가 느껴질 정도로 스토리 및 영상 퀄리티가 너무나도 훌륭합니다^^ 이번 편 2:40 부분에서 '중국 원나라'라고 이야기를 하셨는데, 원나라는 지금의 중국 영토에서 세워진 곳이긴 하지만 몽골 칭기스칸의 막내아들인 톨로이 가문의 쿠빌라이칸이 건국한 나라입니다. 그러니 '중국 원나라'라는 표현은 적합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제가 몽골인이라 유독 더 예민하게 받아들인 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교양만두를 즐겨보는 구독자의 입장에서 채널을 사랑하는 마음을 담아서 솔직하게 말씀을 드리는 것이 맞는 것 같단 판단이 들었기에 이렇게 장문의 댓글을 남깁니다. 모두 건강하세요^^

  • @sanghakkim9865
    @sanghakkim98652 жыл бұрын

    욕설을 잘못 하다가 걸리면 모욕죄로 빵에 갑니다.

  • @user-nj3qj2bf2w
    @user-nj3qj2bf2w2 жыл бұрын

    뭔가 만두님 눈이 땡그라지셨엉...

  • @user-vn3ot2rc6f
    @user-vn3ot2rc6f2 жыл бұрын

    학교급식에 대해서 다뤄두세요

  • @user-cn1fl2pr2m
    @user-cn1fl2pr2m2 жыл бұрын

    황봉알 선생님의 우리욕기행 보면 욕의 근원 및 적절한 사용법 까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참고해주세요 여러분~’-^v

  • @user-qy9ew4hv4x
    @user-qy9ew4hv4x2 жыл бұрын

    교양만두의 입을 막을 영상이군요

  • @user-loft
    @user-loft2 жыл бұрын

    니미, 지미, 염병, 육시, 육갑 같은 욕은 요새 사람들은 잘 안쓰지만 상당히 ㅎㄷㄷ한 의미들을 갖고 있다죠.. 요새 부모 안부 묻는 욕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여튼 바른말 고운말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ㅎ

  •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2 жыл бұрын

    3:18 돼지 족발도 여기서 나온 말로 아는데 이것도 한번 다뤄주세요. 8:08 요요의 본심

  • @Coffee_pencilbear
    @Coffee_pencilbear2 жыл бұрын

    교양만두님 짱짱님 핸드폰대한 역사도 알려주세요 👍👍👍👍👍👍

  • @user_yong
    @user_yong2 жыл бұрын

    이미 세종께서도 말빨이 강력하신 걸로 실록에 나와있음.

  • @i-wanna-go-home
    @i-wanna-go-home2 жыл бұрын

    팀장님 로또 당첨되셨나 보군요 이제부터 이 영상엔 노딱이 붙을 거라 예상합니다

  • @user-yw2dk9vn8j
    @user-yw2dk9vn8j2 жыл бұрын

    하~~~ 이과는 울고갑니다. 욕도 복잡하고 어려웡~ㅜㅜ

  • @lampboy926
    @lampboy9262 жыл бұрын

    나이드신 분들은 가끔 진짜 몸이 불편한 경우를 병신이라 하기도 하죠. 물론 좋은 어감으로 들리지는 않지만요.

  • @user-tp1xr6mk5v
    @user-tp1xr6mk5v2 жыл бұрын

    욕한테 이런말은 좀 그렇지만 우리나라 욕은 너무 찰지고 창의적임.... 우리나라 욕만큼이나 이렇게 찰진 외국어 욕도 없는것 같음

  • @user-wd6ck1ln2c

    @user-wd6ck1ln2c

    2 жыл бұрын

    무언가 울나라 욕은 조합하는 맛이 있는 듯

  • @whatever-it-takes

    @whatever-it-takes

    2 жыл бұрын

    그냥 어떻게 하면 저런 표현을 생각해내지 라는 생각이 들정도임ㅋㅋ

  • @swte4840

    @swte4840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예전부터 주변 강국들의 침략을 계속 받아서 전반적으로 성향이 호전적이여진 면이 있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그게 영향을 준거 같습니다

  • @user-boros
    @user-boros2 жыл бұрын

    바른말 고운말

  • @user-rm8ws4tf5d
    @user-rm8ws4tf5d2 жыл бұрын

    참고로 "~염병하네" 라고 할때 쓰는 '염병'이라는 단어는 과거 전염병(장티푸스)을 일컫는 말에서 나온 단어입니다

  • @user-rg9vg3zx8w
    @user-rg9vg3zx8w2 жыл бұрын

    헐 대박 ...

  • @Oberon_
    @Oberon_2 жыл бұрын

    와 욕의 기원을 알게되니 더욱 기분 나쁘게 들을수 있게됬어요!

  • @user-ps7ws8tu3w
    @user-ps7ws8tu3w2 жыл бұрын

    0:31 그나물에 그밥이라는 소리가 딱 맞는

  • @pine6932
    @pine69322 жыл бұрын

    오늘 포인트 요요

  • @user-fy8gv5kq7x
    @user-fy8gv5kq7x2 жыл бұрын

    오늘영상에 뜻이 조상님무덤에서 나오기전에 입예쁘게쓰라는건가요?

  • @user-dn6qy8pv6k
    @user-dn6qy8pv6k2 жыл бұрын

    고약하다는말도 세종대왕께 하도 간언을하는 고약해라는 신하가있었는데 세종께서 답답하고 말이안통할때 아 진짜 고약해 그놈같다.에서파생되었다는 말이 많죠.

  • @user-jk7gg9jy9w
    @user-jk7gg9jy9w2 жыл бұрын

    허허허. 잘보고 갑니다. 허허허.

  • @user-dc3ps2nc1s
    @user-dc3ps2nc1s2 жыл бұрын

    욕 해본적 없읍니다.

  • @user-rp1vf8hf6l

    @user-rp1vf8hf6l

    2 жыл бұрын

    ~~

  • @user-us8qc4kq9t
    @user-us8qc4kq9t2 жыл бұрын

    욕의 기원까지 알게되다니ㅜㅋㅋㅋ 역시 생각보다 더 나쁜 기원이많네요!!!!

  • @cabshow1234
    @cabshow12342 жыл бұрын

    kzread.info/dash/bejne/doye1dJuo5Wog5M.html 덧붙이자면 지금 발음과 중세 발음에 차이가 있습니다. 흔히 훈민정음의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나랏말이 중국과 달라) 처럼 중세 발음과 근현대 발음의 차이가 있어서 저 중세 당시 조선임금이 욕을 어떤 발음으로 썼는지는 명확하진 않습니다. 욕이 근현대에 유래했다면 근현대 발음과 중세 발음의 비교가 필요할겁니다. 물론 저 훈민정음 발음도 추정치이며 결국 중세 발음의 욕이 무엇인지 정확한 확인은 불가능합니다. 추측만 가능할 뿐입니다.

  • @chuihara
    @chuihara2 жыл бұрын

    욕보셨어요 만두님🤗

  • @92sugaralice
    @92sugaralice2 жыл бұрын

    평소엔 험한말과 부정적인 단어 조차 입밖으로 안끄내다가 핸들만 잡으면 거칠어지는 입을 가진 저의 또다른 인격이 이영상을 좋아합니다👍

  • @user-ph2sm5ln3p
    @user-ph2sm5ln3p2 жыл бұрын

    염병의 염도 영상에서 설명해주신것처럼 염때문에 유래한걸까요?

  • @Blue_mango_riso
    @Blue_mango_riso Жыл бұрын

    이거 저번 도덕시간에 봤는데 ㅋㅋㅋㅋ

  • @user-qr5bt9em3e
    @user-qr5bt9em3e Жыл бұрын

    1:32 중학 국어 교과서 천재 박 2-2에 있는 자료입니다 천재 박이면 다 봤습니다 ㅎ

  • @TheJinMinHo
    @TheJinMinHo2 жыл бұрын

    1:19 최초 그 대상 - 자신의 어미...

  • @MinC-KIM
    @MinC-KIM2 жыл бұрын

    제가 알고 있는 "엿 먹어라"의 어원은 엿이 아닌 연이었다는 설입니다. 도자기를 가마에 넣고 구울때 연기가 잘 빠져야 하는데, 연기가 안빠져서 도자기가 먹게 되면 색상이 탁하거나 제품 질이 안좋고 망치기 때문에 "연 먹어라"라고 해서 일이 망치라는 의미 였다고 하더군요.

  • @user-tr2rs1lj9i
    @user-tr2rs1lj9i2 жыл бұрын

    꿀잼꿀팁

  • @user-fj7of4jf2h
    @user-fj7of4jf2h2 жыл бұрын

    교양만두님 같은 천사도 욕은 하구나

  • @user-rp1vf8hf6l

    @user-rp1vf8hf6l

    2 жыл бұрын

    ~~

  • @Doomboom22
    @Doomboom222 жыл бұрын

    so true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