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 대신 좋아하는 일을 쫒아라?' | 그 허망한 조언 | 좋아하는 것을 아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되는데? | 진짜로 '좋아하는 일'을 찾는 법 | 꿈,진로,직업 | 라이프 코드

Тәжірибелік нұсқаулар және стиль

”학벌은 예전같지 않으니, 일찌감치 좋아하는 일/잘하는 일에 투자하는 게 낫다.”
는 조언들을 자주 보게 됩니다.
헌데, 현실에서는 그냥 ‘좋은 소리'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자기가 진짜로 좋아하는 일을 알고 있는 사람은 소수이기 때문입니다.
진짜로 좋아하는 것을 찾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자잘한 기술(Skill)이 아닌, 본질적 방법(CODE)을 알게 됩니다.
스터디코드 유료강의 - www.studycode.com/?m=S755&main=1

Пікірлер: 135

  • @LIFECODEofficial
    @LIFECODEofficial Жыл бұрын

    📺라이프코드 철학의 본체, 강연콘서트 풀버전 kzread.info/dash/bejne/ZWdlqamjeNPflJM.html 🚩라이프코드 커뮤니티, 충만의 세계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kzread.info/dash/bejne/amhqqbJtp7zbl6g.html

  • @77mrwow
    @77mrwow Жыл бұрын

    53년을 살았어도 당신처럼 시원한 인간은 처음이다,멋지다.

  • @user-db2ij4br4d
    @user-db2ij4br4d Жыл бұрын

    무슨 일을 하든 그 일에 온전히 몰입하고 끝을 보아야, 그 일에 대해 좋아하는 부분과 싫은 부분을 구분할 수 있다. 그렇게 구분해나가야 좋아하는 것으로 인생을 채울 수 있다.

  • @user-vy6tb5dq8l

    @user-vy6tb5dq8l

    Жыл бұрын

    어~~.....어~~....어...음~..... 저 뭔가 알거 같은데 모르는 느낌을 받아서 그러는데 이해가 쉽게끔 요약 부탁드려도 될까요?

  • @chanidug0

    @chanidug0

    Жыл бұрын

    깨닫고 느끼는대로 살다보면...내가 추구하는 삶에 이르게 된다~ 뭐 그런. 전 그냥 책임감으로 삽니다. 그게 더 쉽습니다. ㅎ

  • @user-ze9mj8os5v

    @user-ze9mj8os5v

    Жыл бұрын

    @@user-vy6tb5dq8l kzread.info/dash/bejne/loGLssdyirTHo7w.html

  • @light_seop105

    @light_seop105

    Жыл бұрын

    정확하게 요약해주셨어요!

  • @darie2904
    @darie2904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의다. 나에게 주어진 환경을 흡수하는데 온전히 집중하면 다음 판단을 내리는 것에 더 나은 통찰을 제공한다는 것으로 이해했다. 기본 전제는 인간은 더 나은 방향으로 가려 노력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 강의에서 더 좋은 방향이란 스스로의 만족감지만 조남호씨는 여기서 나아가 '선한 영향력'이라는 삶의 충만함을 찾아 가고 계신 것 같다. 이곳에 나의 경험을 공유하고 싶다. 스스로의 경험에 비춰 좋아하는 일을 하면 성장한다. 물론 시작이 좋지만은 않다. 내가 좋아한다고 생각한 것에는 사실 많은 불순물이 껴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포기 않고 그 프로젝트나 과정의 끝, 즉 내가 만족할만큼의 성과나 이 정도면 됐다의 시점이 올 때, 혹은 더 이상 재미가 없다고 느낄 때 그곳에서 발을 뺐다. 그러면 이 다음엔 더 큰게 보인다. 다음부턴 내가 진짜로 원했던 것을 늘리고 내가 가장 어려움을 느꼈던 것을 줄이는 선택을 한다. 성장은 지그제그란 말이 있듯 다른 분야에서 처음부터라도 다시 시작한다. 이전과는 비교할수없는 성장속도를 가지며 나의 소질과 좋아하는 것에 집중할 수 있다. 심지어 이때 되면 싹수 좋은 놈이라고 기회도 많이 받는다. 즉 당장에 좋아하는 일, 가슴뛰는 일을 상황과 환경에 맞게 조금이라도 시작해보고 아니면 빨리 그만두고를 반복하다보면, 이전보단 나은 판단력으로 소질을 발견하고 성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것에 자신감과 기술, 실력이 발전할 수 있다.

  • @user-vo7we6wf3f
    @user-vo7we6wf3f Жыл бұрын

    좋아하는 일 -> 돈이 처참하게 부족할 수 있음, 부자되길 원하는 사람은 그냥 애초에 지원해서도 안 됨, 대출만 하다가 나중에 좋아하는 열정이 식어지면 그 대출금 갚아 나가는데 힘겨움. 잘하는 일-> 돈이 저절로 따라오게 됨, 한 분야의 전문인이 됨(모든 사람들에게 인정), 나의 장단점이 뚜렷함, 추진력이 있음, 어려운 일 있어도 능숙함, 돈을 돈으로 투자

  • @JASONKINGMATHK
    @JASONKINGMATHK Жыл бұрын

    결국 자퇴하면 안되고 좋아하는 일없으면 공부나 하라는 얘기입니다. 중고생들은 자기계발을 열심히 하세요.

  • @alxososnddux

    @alxososnddux

    Жыл бұрын

    좋아하는 일을 찾으려고 노력해야지 다시 공부하라는 결론이 되면 어캄

  • @never-give-up123

    @never-give-up123

    Жыл бұрын

    불쾌 함이 공부라면 먼저 그것을 끝까지 시도하고 나서 그 반대편의 있는 쾌 라는 감정을 느끼라는 것입니다. 그것도 아주 '충만'하게.

  • @user-dc3hp1rl1u

    @user-dc3hp1rl1u

    Жыл бұрын

    기술 책 여행도 공부입니다

  • @alpha-oe5gi

    @alpha-oe5gi

    8 ай бұрын

    그게아니고 한국에서 입시공부 자체는 피할수 없는 강제된 일이니 싫다면 싫은대로 최선을 다하여 전념해보다 입시가 안풀렸다면 고통받았던 만큼 자기일을 더 즐겁게 수행할수 있다는 맥락이에여

  • @yejunk99
    @yejunk99 Жыл бұрын

    진짜 감동이어서 눈물이 납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이 본질을 깨닫고 남에게 설명 할 수 있을때까지 얼마나 힘드셨을까요. 진짜 말도 안되고 이 시기에 최고의 내용이었고 한글자도 빼먹을 수 없습니다. 제가 나중에 꼭 이 댓글에 답글로 후기를 남길 수 있으면 좋겠어요. 그게 감사를 표현하는 최선이니까요.

  • @user-qb7ju5wt6x
    @user-qb7ju5wt6x Жыл бұрын

    사실 본질을 깨닫느냐 깨닫지못하느냐에 따라 삶이 달라집니다 깨닫지못한 사람은 평생 불안과 공허함에 불행한 삶을살다가 후회하며 죽움을 맞이할겁니다

  • @user-ex5cf8qt5y
    @user-ex5cf8qt5y Жыл бұрын

    무슨일을 하든지 열심히 해야하는 이유

  • @JG-nw9lg
    @JG-nw9lg Жыл бұрын

    친구 선배 어른들에게 인생상담을해봐도 아무도모르던 그 해법을 정확히알려주셨네요. 맞아요 무슨일이든 제대로해봐야 그과정속에서 내가 좋아하는게 무엇인지 판별이되고 그것들이 쌓이면 자아가형성되서 나라는 존재가 어떤행위를할때 행복하고 이행위와 관련된직업을 선택하면 물론 힘들때도있겟지만 최선의직업선택을 할 수 있을거같아요.

  • @gratata909
    @gratata909 Жыл бұрын

    ㄹㅇ 이래서 뭐든 제대로 하는게 중요하지만 제대로 안하고 설렁설렁 하면 할 수록 인생이 낭비되는거같아서 기분이 불쾌해짐

  • @user-lc6kt5ip2l
    @user-lc6kt5ip2l Жыл бұрын

    가슴을 채워본 사람의 명언입니다. 우선 가슴을 채워보세요. 여러분을 자아를 찾아서요.

  • @wldnswjd
    @wldnswjd Жыл бұрын

    고딩 때 스터디코드 학원 잠깐 다녔었는데 여전히 그때 배운 걸 토대로 이루고 싶은 직업을 상정하고 그걸 위해 공부했어요. 근데 제가 이걸 이루기 위해 너무 부족하고 저랑 안 맞는 거예요. 저를 먼저 알고 꿈을 꿨어야 했는데 그냥 남들이 좋다고 하는 걸 하고 싶다고 대강 생각한 다음에 제 직업 가치관 등을 거기에 끼워맞췄던 거죠. 제 꿈을 포기하고 취준으로 돌려서 방향성도 잃고 다 하기 싫은 상태가 돼서 다시 찾아왔어요. 이 영상을 보고 나니까 제 대학생활이 너무 후회되네요.. 전 치열하지 않았어요. 제가 치열하지 않다는 걸 알면서도 그냥 귀찮으니까, 난 이미 꿈 있고 똑똑하니까 괜찮겠지 하고 안일하게 생각했기 때문에 시간을 너무 낭비했어요. 이 영상을 보는 10대들이 너무 부럽네요ㅠㅜ 누군가에게는 제 나이 또한 너무나도 어리겠지만 저는 이제 마음 속의 쾌만을 쫓기에는 너무 불안감이 큰 나이가 됐거든요. 다시 스터디코드 영상들 쭉 훑으면서 제 인생에 대한 고찰을 해봐야겠습니다.. 여전히 이런 멋진 조언 해주시는 진정한 선생님으로 남아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다음에 제 인생의 어드메에서 인생선배의 명쾌한 고찰이 필요할 때 또 찾아뵐게요!

  • @wldnswjd

    @wldnswjd

    Жыл бұрын

    진심어린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큰 위로가 되었습니다. 늦었다고 생각하지 않고 계속 제 자신에 대해 공부하고 앞으로 전진해야겠어요!ㅎㅎ 감사합니다

  • @user-go1xq2ww4w

    @user-go1xq2ww4w

    Жыл бұрын

    지금 20대, 많아도 30대이실듯하네요^^ 우선 그런 젊은 나이에 깨달으신 것 축하드려요~~ 저는 47세이고, 3~4년전쯤부터 겨우 독서를 시작하며 조남호 님같은 멋진 분의 명강의도 들으며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중입니다 독서하며 강의들으며 깨달은 것들 실천하며 살려고 노력하니 집도 장만하고 일도 다시 시작하게 되었네요ㅎ 지금 절대 늦지 않았다고 말씀드리고 싶어서 댓글답니다 화이팅하세요^^

  • @light_seop105
    @light_seop105 Жыл бұрын

    완전히 몰입해서 본질을 파악하는 경지에 이르게 되었을 때 결국 나를 만족케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 할 수 있다는 말씀이었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일을 최선을 다해야하는 거에요! 그걸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청소년시기에 조금은 알기를 바라는 어른의 메시지 입니다.

  • @user-bg7mi6mj4x
    @user-bg7mi6mj4x Жыл бұрын

    1인 개발로 사업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진짜로 좋아하는 것을 찾을려면 확실한건 일단 해보고 깊이 들어가야된다는 말에 굉장히 동의합니다. 저도 독학만으로 여기까지 올라왔는데 3년정도 걸렸네요. 이러한 동기부여 영상이 굉장히 유익하다고 생각됩니다.

  • @user-xt9wn6mu7n
    @user-xt9wn6mu7n Жыл бұрын

    마흔이 넘은 지금도 고민하는 내용이에요. 깊이 있게 더 치열하게 본질까지 경험하라는 말씀 깊이 새겨들을게요. 아이와 함께 봐야겠네요.

  • @user-bs7xx2ln2j
    @user-bs7xx2ln2j Жыл бұрын

    치열함 !!! 귀중한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 ㅜㅜ 공허감을 채우겠습니다

  • @alisar4927
    @alisar4927 Жыл бұрын

    아이가 아니라 어른들이 들어야 할 강의입니다. 훌륭한 조언 감사해요❤

  • @user-yp4vt3sj4d
    @user-yp4vt3sj4d Жыл бұрын

    샘 명강의 . . 맨날 보고 우와 하며 봅니다 . .43세인데 지금도 공허를 통제 못하지만 확실히 나이가 들고 가족이 있으니 10대 20대 보다 나으네요. 아이들이 안쓰러워요

  • @user-zp3zr3ce8v
    @user-zp3zr3ce8v Жыл бұрын

    충만함을 경험해본자로써~~ 깊이 공감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sp2vd1wi4c
    @user-sp2vd1wi4c Жыл бұрын

    볼수록 정말 대단하신분이세요 저희 아이가 끝까지 봤으면 좋겠어요 감사드립니다^^

  • @user-ul9dz5rb3b
    @user-ul9dz5rb3b3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강연입니다 큰 울림을 주셨어요

  • @user-dc3hp1rl1u
    @user-dc3hp1rl1u Жыл бұрын

    진자최고의 강의입니다

  • @yhw40
    @yhw40 Жыл бұрын

    어릴때부터 만화랑 소설을 미친듯이 읽었습니다. 친구들도 비슷한 친구들만 사귀었고 어른들은 매번 아직도 만화보니? 나이가 몇인데... 하고 한심하게 여겼죠. 하지만 지금 그 일은 제 직업이 되었습니다. 전 남들이 이상하게 쳐다보는 일을 놓을 수가 없었고 그걸로 돈을 벌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게 제 쾌였기 때문이겠죠. 제 자식은 남들이 한심하게 바라보던 쾌를 창출하는 일로 번 돈으로 먹고 자고 배우며 크고 있습니다. '쟤가 나중에 커서 자기 앞가림이나 할까.' 싶었던 애가 참으로 신기하게 가정을 지키는 어른이 된거죠. 결국 좋아하는 일을 쫓아 뭔가를 이루는 과정은, 한번쯤은 남들에게 이상한 사람 취급을 받아야 한다는 이야기와 일맥상통하는 것 같습니다. 학생시절 하라는 공부는 안하면서 스터디코드는 열심히 봤었는데...ㅋㅋㅋ 어른이 되어서도 여전히 금이되고 옥이되는 강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alpha-oe5gi

    @alpha-oe5gi

    4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하기싫은 일만 강요받으며 살다 위기가 한 번 왔는데 크게 와닿습니다

  • @user-jy4ml6kq3n
    @user-jy4ml6kq3n Жыл бұрын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저도 본질을 중요하게 여기고 현상에 혹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교육에 관심이 있어서 교육업을 하고 있는데, 많이 배우고 항상 크게 느낍니다. ^^

  • @seaunderthemoonlight
    @seaunderthemoonlight Жыл бұрын

    날것의 표현으로 들으니 뭔가 선명해지는 느낌이네요. 몇년째 가시지 않는 공허때문에 너무 힘들었는데 이유를 알겠어요. 쾌와 불쾌를 충만히 느껴야하는 순간조차도 저는 남들과 저를 비교하는데에 시간을 써버린 거군요.

  • @user-tl9ow8mz6n
    @user-tl9ow8mz6n Жыл бұрын

    전 너무 재미있는걸요. 저는 완전 동의해요. 감사합니다.

  • @vincent5793
    @vincent5793 Жыл бұрын

    낼모레 60되는데... 강의를 듣는데 그냥 눈물이 스르르 흐르네요.... 참, 좋은 일을 하시네요~

  • @LIFECODEofficial

    @LIFECODEofficial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스터디코드입니다. 스터디코드에 많은 관심을 보여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스터디코드에서 공허한 삶을 살아가는 학생/청년들에게 전달하고자 이전 세대를 살아오신 분들의 인터뷰 영상을 제작하려고 합니다. 이전 시대를 살아온 선배로서 지난 삶의 이야기를 전달해주실분을 찾습니다. 인터뷰를 원하신다면 아래로 연락을 주시거나 (스터디코드 고객센터 1588-2759) 아래 URL을 눌러 연락처를 남겨 주시면 연락드리도록 하겠습니다. forms.gle/vtw6J6jEkZGFHvtZ8 감사합니다.

  • @user-ul2wd9xl4d
    @user-ul2wd9xl4d4 ай бұрын

    대졸로 가서 성공하는 시대는 끝난듯 명문대나와도 지금은 먹고살기힘듬 좋아하는 일 찾아서 사업아이템 짜라

  • @user-fc7wv5rq1h
    @user-fc7wv5rq1h Жыл бұрын

    항상 공허하고 허무하다 느꼈고 주변에 표현하면 반응은 왜 그렇게 예민하냐고 지금 그냥 즐겁게 살으라고 하던데.. 언젠가 몰려 올 공허함을 나만 느끼는건가 항상 고민했어요. 더 많은 이야기를 듣고싶습니다. 더 다양한 삶의 이야기를 해주세요

  • @user-dj2rr2lk3x
    @user-dj2rr2lk3x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뭐 게임하고 술마시고 놀고 여행가는건 안좋아하는 사람이 없죠 그런데 이런것들로 돈을 벌 수는 없잖아요? 맨날 놀고먹으며 돈버는 유튜버들도 많지만 그렇게 성공할 확률은 거의 로또당첨확률과 같죠 결국 돈을 벌 수 있는 일을 해서 그 돈으로 좋아하는 것을 하는게 이상적인 삶 아닐까 싶네요

  • @user-nb6xo3bj6s

    @user-nb6xo3bj6s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 @user-jr1go7xn1y
    @user-jr1go7xn1y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tarek7451
    @tarek7451 Жыл бұрын

    진짜 대박 명강의다..

  • @JWH-yf8fe
    @JWH-yf8fe Жыл бұрын

    지금 가슴 속에 거대한 공허감이 있습니다.. 이 공허감을 넓히지 않기 위해, 메우기 위해서라도 매순간 치열하게 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gw5dv7iz7v
    @user-gw5dv7iz7v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감동이에요 ㅠㅠ 저도 그렇게 충만하게 살고 싶고 제 아들도 조남호 코치님이 말씀하신것처럼 딱 그렇게 키우고 싶어요 ㅠㅠ

  • @MASTERY7
    @MASTERY74 ай бұрын

    좋은내용 인것 같습니다! 대단한 열정!

  • @Goc-pd6zr
    @Goc-pd6zr Жыл бұрын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dooja8781
    @dooja8781 Жыл бұрын

    저희집 얘기네요 ㅎㅎ 다들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있고 매일 매일 열정적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저는 이 영상을 백퍼센트 이해합니다

  • @user-is7tr1fm7t
    @user-is7tr1fm7t5 ай бұрын

    라이프코드에서 하는 강의들 제 인생에 있어서 큰 도움이 됐습니다! 사실 현실에 치여서 언제 철학적 생각을 하고 있고 그럴 여유도 없는데 가슴 한켠엔 내가 잘 살고 있는게 맞나? 할 때가 너무 많았어요. 대중들이 이해하기 쉽게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통찰과 적용을 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ERROR-qj1jz
    @ERROR-qj1jzАй бұрын

    전직 고 1이고, 덕분에 자퇴후 저의 삶을 살고 있습니다. 행동력이 따르지 않는 인생은 아무 변화도 없는 무미건조한 인생이라 생각하고 있었는데, 조남호 박사님 덕에 깔끔하게 손 땔 수 있었습니다. 박사님의 의도와 맞는 행동은 아닐지 모르나 박사님의 영상들이 저에게 큰 트리거로 작용해서 이란 결정으로 저를 이끌었지 않나 생각합니다. 학생때는 ’스터티‘코드로 봤고, 지금은 ‘라이프’코드로 보고 있고, 앞으로는 ‘가이드’코드로 보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user-xk3mm7ld5t
    @user-xk3mm7ld5t3 ай бұрын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선생님.!!!🙏

  • @user-bv7qo8nf8t
    @user-bv7qo8nf8t Жыл бұрын

    완전 공감입니다

  • @stunmilk2
    @stunmilk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남호형 폼 미쳤다..

  • @user-os5qx7ws7n
    @user-os5qx7ws7n Жыл бұрын

    경험을 통해서 충만하게 해라. 즉 경험을 통해서 나자신이 좋고 싫은 것을 아주 세부적으로 통찰하고 깊이 파고 들어서 알아내라는 말씀이시군요. 오늘도 좋은 코드, 본질 하나 얻어 갑니다. 감사합니다

  • @MrKowee123
    @MrKowee12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never-give-up123
    @never-give-up123 Жыл бұрын

    싫어하는 일을 먼저 빨리 해봐야겠다 그것도 가득하게

  • @user-bj6wq7hw2o
    @user-bj6wq7hw2o Жыл бұрын

    사람에.대해서 얼마나 관찰하고 고민하고 생각하고 정리하실지.. 얼핏 지나가는 생각들을.. 저걸 아이들에게 강연을 하기위해 정리해서 말을 한다는게 정말 어려운것인데... 들으면서 사람들이 공통으로 아맞어!!하게 하기가 얼마나어려운지... 대단하시다고 느끼는 아침입니다..

  • @user-cc1pe2nc6d
    @user-cc1pe2nc6d Жыл бұрын

    관계는 자아를 찾는데 방해요소입니다. 내가 외향인이냐 내향인이냐 타고난 성향도 영향을 끼칩니다. 어떤걸 미친듯이 몰입해보지 않으면 나를 절대로 발견할 수 없습니다.

  • @user-ns4bg7it9l

    @user-ns4bg7it9l

    Жыл бұрын

    맞아요

  • @gellergreen13

    @gellergreen13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말입니다

  • @user-km9xh1gm2s

    @user-km9xh1gm2s

    Жыл бұрын

    반드시 방해요소라고 할 수 있을까요? 좋은 멘토 아니면 내가 좋은 멘티, 시기 적절하게 천운이 도와서 그런 일이 생긴다면 자아를 찾는데 남보다 훨씬 빠를 것 같아요

  • @Extreme_5252

    @Extreme_5252

    9 ай бұрын

    ​@@user-km9xh1gm2s양날의 검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user-dm4ou3xb2g
    @user-dm4ou3xb2g Жыл бұрын

    좋아하는 일은 못 찾더라도 적어도 싫어하는 일은 하고 살면 안 되죠 좋아하는 일은 찾기가 어려운데 적어도 싫어하는 일은 조그만 노력하면 압니다 싫어하는 일은 하고 살지 맙시다

  • @moonkim5062
    @moonkim50624 ай бұрын

    추상적으로 알고 있던 내용인데 구체화 시켜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ub9qj1yt2g
    @user-ub9qj1yt2g9 ай бұрын

    가장 위대한 강연

  • @user-li8gj5qy9q
    @user-li8gj5qy9q Жыл бұрын

    왜 요즘 라이브 안하시나요? 아직 질문 남은 걸로 기억하는데...

  • @user-kn8je5wi2b
    @user-kn8je5wi2b Жыл бұрын

    이게 찐이다ᆢ크레이지 어바웃 썸씽~ 을 경험한 자와 못한 자는 매사를 대하는 태도가 다름

  • @goddessholicofficial
    @goddessholicofficial Жыл бұрын

    진짜 끝나긴 끝났나 보다

  • @user-bj2rq5uh2p
    @user-bj2rq5uh2p Жыл бұрын

    0:33 0:50 6:20 7:34

  • @user-md1fs8ix5l
    @user-md1fs8ix5l Жыл бұрын

    없죠? 뜨끔

  • @user-qv1km2lm8l
    @user-qv1km2lm8l Жыл бұрын

    영어회화의 코드 언제 나오나요

  • @Asdopi574ghjj
    @Asdopi574ghjj Жыл бұрын

    이 강연을 좀더 일찍봤으면 좋았겠네요...

  • @Awesome-im1sf

    @Awesome-im1sf

    Жыл бұрын

    선생님들이 이런 조언을 해줄수 없다면 중고딩때 보여주고 늦어도 사회초년생때 보면 좋을 영상..

  • @Awesome-im1sf
    @Awesome-im1sf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문제는 수능만을 위한 교육으로 진짜로 좋아하거나 하고싶은게 뭔지 모름 적성검사를 중딩부터 하는데 중딩때는 아직 어림 검사도 대충하고 자는 애들 많고 고2-3때 해야지 수능보다 이게 더 중요함

  • @user-kz1bk3zs6g

    @user-kz1bk3zs6g

    Жыл бұрын

    한의사검사 4시간

  • @kwisiw

    @kwisiw

    Жыл бұрын

    그니까 ㅋㅋ 솔까 고딩 때랑 중딩 때 시험ㅁ 출제 스타일 자체가 다르다해서 걱정했는데 영어 본문 외우는 건 똑같더라 ㅋㅋ 외워서 어따 써먹을건데 어차피 일주일도 안돼 까먹기 일순데 ㅋㅋㅋ 수능 하나로 인생이 역전되는 세상...ㅜㅜ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 뭔지도 모른채 공부에만 매진해가며 살아가는 학생들 너무 안타깝다

  • @user-vx5me7jn7s
    @user-vx5me7jn7s Жыл бұрын

    ㅇㅈ

  • @kwisiw
    @kwisiw Жыл бұрын

    근데 한 분야에서 싫어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을 구분하면 도움되는게 뭔가요? 어차피 그 분야로 진로를 결정한다면 그 분야에 관한건 모든 해야할텐데요 그리고 끝까지 해보는 것은 결코 쉬운게 아닙니다 차라리 그렇게 시간낭비를 할 빠엔 조금이라도 관심있는 일을 시작하는게 낫죠 솔직히 어떤 일을 하던 대부분은 공부보단 나을걸요? 학업스트레스 때문에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례는 흔히 있어도 다른 일 하면서 힘들어서 그런 선택을 하는 사례는 못 봤던 것 같네요

  • @user-gc7we5tk9l

    @user-gc7we5tk9l

    9 ай бұрын

    자신이 평소 가지고있던 사상과 아예 다른 내용의 영상이라 초장부터 거부감들어서 팔짱끼고 분석하면서 어떻게든 꼬투리 잡으려고 하는건 아닌지? 난 적당히 하며 사는 것이 좋다고 생각 혹은 그렇게하는게 편하니까 별 생각없이 살고있었는데 어떤 빡빡이가 나와서 아니? 그렇게 살면 너 위험해 생각을 바꿔봐 라고 말하니까 본능적으로 마음 속 깊이 불편함이 올라와서 이 영상 내용을 있는 그대로 흡수하지않고 어떻게든 논리적 오류를 찾아내서 까내리려고 하는 것 밖에 느껴지지 않네요 자기가 싫어하는 일임에도 해야되는 일이니 치열하게 수년을 미친듯이 노력하며 살고 좋은일이든 싫은일이든 밑바닥까지 본질을 파악해보는 일에 대해 그렇게 유튜브 댓글 몇마디로 평가할 수 있으려면 당신부터 우선 한번 그렇게 제대로 경험은 해보시고 그런 말씀은 하시는건지 모르겠네요 자기의 사사로운 감정때문에 서양문물에 본능적인 거부감을 느끼고 제대로 듣지도 경험하지도 않은채 자기 아들 얼굴에 자명종을 던져버린 인조의 모습이 당신에게 보이네요

  • @lliliililli

    @lliliililli

    14 күн бұрын

    @@user-gc7we5tk9l 와 속시원하다 ㄷㄷㄷㄷ

  • @user-ih1zn7rg9t
    @user-ih1zn7rg9t Жыл бұрын

    이 얘기에 공감하는 사람은 별로 없을것 같긴함 치열하게 사는사람만이 알수 있는 얘기

  • @user-qz3vu6qb4k
    @user-qz3vu6qb4k Жыл бұрын

    근데 좋아하는 일이 의사고 변호사인데 그거할라면 경쟁에서 이겨야지. .

  • @user-kz1bk3zs6g

    @user-kz1bk3zs6g

    Жыл бұрын

    의사판사 한의사검사 약사변호사

  • @user-ob6hd8uv6o

    @user-ob6hd8uv6o

    5 ай бұрын

    그 직업 자체보다 그 직업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더 좋은 거겠죠.

  • @thankyou_1035
    @thankyou_103510 ай бұрын

    욕하는 사람은 아직 모르는 거~

  • @everylittlething4497
    @everylittlething449710 ай бұрын

    흥분을 조금만 가라앉히시고 명령적인 어조만 수정해주시면 더욱더 완벽하고 진실되게 전해질거 같습니다.

  • @user-hk2qb8sl1c

    @user-hk2qb8sl1c

    9 ай бұрын

    본질은 내용입니다. 말투는 껍데기 입니다.

  • @everylittlething4497

    @everylittlething4497

    9 ай бұрын

    @@user-hk2qb8sl1c 본질은 내용인데 껍데기가 이쁘지 않으면 듣고 싶지 않습니다

  • @user-hk2qb8sl1c

    @user-hk2qb8sl1c

    9 ай бұрын

    어떤 선택을 하던 본인 자유 입니다 ㅎ

  • @everylittlething4497

    @everylittlething4497

    9 ай бұрын

    @@user-hk2qb8sl1c 제 의견과는 전혀 관계없는 말인거 같습니다

  • @user-hk2qb8sl1c

    @user-hk2qb8sl1c

    9 ай бұрын

    껍데기는 상관없이 본질에 집중하든, 껍데기에 치우쳐 본질을 무시하든 본인 자유란 얘기.. 본질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전달하고 싶을 뿐. 본질에 집중하라 강요할 생각은 없다는 그런 얘기에요

  • @user-vo1sr6ms8s
    @user-vo1sr6ms8s Жыл бұрын

    맞는말이긴한데.. 뭐든 끝까지 하는 인내도 타고난 재능이고 근성이다. 예전엔 가난이 근성을 만들었는데 요즘애들은 근성이 있을수없다, 그리고 자기의 쾌를 제대로 찾아도 그걸로 밥먹고살기가쉽지않다. 그 쾌는 예술적인게많기때문이다. 영업이나 마케팅이 쾌인사람이어딨겠냐..

  • @user-bj6wq7hw2o

    @user-bj6wq7hw2o

    Жыл бұрын

    요즘애들이 근성이 없는이유가 가난하지 않아서일까요? 부모들이 실패의 기회를 주지않아서 이지 않을까요?? 가난이 근본이 아니라 가난해서 아이만보고 온실만들어줄 시간과 여력이 없어서 아이가 실패해보고 생각하고 다시일어나는 과정으로 근성이 생길 기회가 있었던건데.. 그 근본이 가난일까요?기회일까요? 여유있는사람들이 다 근성이 없을까요?그건아니던데요.. 영업이나 마케팅이 쾌인 사람이 왜 없겠어요.. 내가 그게 쾌가 아니라고 세상사람 다 아닐거는 아니더라구요.. 다 다르니 세상일하는곳이 다 다르고 굴러가는거지요

  • @user-bb6qt3zc5x

    @user-bb6qt3zc5x

    9 ай бұрын

    진짜 좋아하는 일이면 돈 안되는 일이라도 선택합니다 남의 시선도 버리거든요

  • @user-cc5zy5df4l
    @user-cc5zy5df4l Жыл бұрын

    현실의 행복을 갖고 싶으시면 조남호 선생님의 말씀이 정답입니다. 이 길이 정답이며, 단답이예요. 하나님을 믿고 창조주의 안간 지으심을 아신다면 노숙자도 행복할 수 있지만, 대한민국 교육이 해결하기엔 종교인들(목사들)이 너무 망쳐 놓았네요. 하나님은 반드시 계십니다.

  • @user-nb6xo3bj6s

    @user-nb6xo3bj6s

    Жыл бұрын

    목사들은 신학대학 4년동안 공부한 결과 하나님이 없다는 걸 알기에! 하나님, 예수 가지고 돈을 번다. 자정능력을 상실한 대한민국 개신교! 사회가 오히려 개신교를 걱정한다. 미쳐 돌아가는 개신교와 교인들!

  • @min3205
    @min3205 Жыл бұрын

    너무 화나신듯

  • @user-wb2kk4fi2i
    @user-wb2kk4fi2i Жыл бұрын

    본질.. 무기력.. 열정.. 심리.. 무슨이야기예요?

  • @user-wb2kk4fi2i
    @user-wb2kk4fi2i Жыл бұрын

    이분 강사인가요??

  • @user-xx1ru4cb1r
    @user-xx1ru4cb1r Жыл бұрын

    내가 보기엔 그냥 듣기 좋으라고 하는 소리. 모든 사람이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산다면 직장 생활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을틴데 그렇게 되면 세상이 원활하게 돌아갈까.

  • @user-fc5pn1ww5g

    @user-fc5pn1ww5g

    Жыл бұрын

    핀트를 잘 못 잡으신 듯

  • @user-gp8jl6ul1l

    @user-gp8jl6ul1l

    Жыл бұрын

    직장생활이 무조건 나쁘다는게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경험을 하지 않고 인생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무회사나 들어가서 퇴근시간만 바라보고있는데 인생이 명확해지면 회사도 자신에게 필요한 곳으로 갈 수가 있죠

  • @alpha-oe5gi

    @alpha-oe5gi

    4 ай бұрын

    직장생활도 재능이죠. 자유가 없고 동질적인 환경에서 잘 사는것도 재능이에요.

  • @user-kz1bk3zs6g
    @user-kz1bk3zs6g Жыл бұрын

    한의사검사

  • @frogeatssnake6811
    @frogeatssnake6811 Жыл бұрын

    챗GPT가 박사 학위급 이상의 논문을 3초만에 딱 뽑아주는 시대입니다. 전세계의 모든 빅테크가 AI에 달려들고 있어서 이것은 훨씬 더 강력해질 거고요. 학교의 시대는 끝났습니다. 좋아하는 일, 하고 싶은 일, 또는 하기 싫더라도 돈 많이 버는 일을 하는 게 맞습니다.

  • @bababam16

    @bababam16

    Жыл бұрын

    님 대학원 가서 공부해본 적 없죠? ChatGPT는 아직 박사는 커녕 학사수준 레포트도 뽑기 힘듭니다. 뉴스에 나오는 건 겨우 낙제를 면한 정도라는 거에요. 솔직히 요즘 학생들 수준이 떨어진 이유도 한몫 합니다.

  • @user-bj6wq7hw2o

    @user-bj6wq7hw2o

    Жыл бұрын

    그런데 그것도 검색어를 뭐를 넣느냐에 따라 나온다면서요.. 그 검색어는 어떻게 선택해서 넣을까요.. 그 검색후 나온결과를 판단 선택없이 뺏겨쓰는게 내거일까요?? 다행히 논문썼어. 냈어.통과됐다쳐요.. 내 머릿속엔 뭐가 남을까요? 그 논물패쓰되고 시체놀이하나요?어디가서 일을하던 의견을나누던 빈깡통인거 표시나지 않을까요??

  • @GTG555
    @GTG555 Жыл бұрын

    닥치고 학벌 sky가야함! 아이비리그 가면 더 좋다!

  • @user-cn9le1wj9p
    @user-cn9le1wj9p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당신도 시험보려고 공부해서 원하는 학교 일 하고 있잖소 현재 쾌 인 상태가 된 이유이기도하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