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 가려면 반공교육 받고 은행에 돈 맡겨야 했던 80년대 ㄷㄷ|크랩

#크랩 #80년대 #해외여행자유화
코로나19 장기화로 해외여행 가기가 어려워졌습니다.
그런데, 불과 30여 년 전까지만 해도 해외여행을 가는 것은 지금보다 훨씬 더 어려웠다고 하는데요.
지금은 상상하기 어려운 ‘연령 제한’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예치금, 소양교육 제도 등 여러 까다로운 조건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같은 규제는 1989년 해외여행 전면 자유화 전후로 사라지게 됩니다.
크랩이 당시 풍경을 모아봤습니다.
구성 김지원
편집 김진배
도움 서연주 인턴

Пікірлер: 1 200

  • @POISNYA
    @POISNYA2 жыл бұрын

    0:05 소련 해체 4개월전 ㄷㄷ

  • @I_love_aviation_of_ghibli

    @I_love_aviation_of_ghibli

    2 жыл бұрын

    ㄷㄷㄷ

  • @noprcyesroc6383

    @noprcyesroc6383

    2 жыл бұрын

    진짜 정확히 5개월이네

  • @orinugurii

    @orinugurii

    2 жыл бұрын

    ㅗㅜㅑ ㄷㄷ

  • @ganada6012

    @ganada6012

    2 жыл бұрын

    ㄷㄷㄷㄷ

  • @hoodie7745

    @hoodie7745

    2 жыл бұрын

    망하기전에 보고오는 레전드

  • @user-sr9nz9jj3u
    @user-sr9nz9jj3u2 жыл бұрын

    와 이래서 해외여행이 훈장? 같이 느껴졌었구나... 90년생인데 어릴때 주변에서 해외여행 가는 걸 금메달 따는 것 마냥여기더라구요... 그러한 어린시절 보냈는데 제가 크고 나서 해외로 나갈 때마다 왜 어릴 때는 그렇게 힘든일이라 생각했을까 했는데.. 저런 시기 (해외여행 가는 것에 대한 제재) 가 있어서 였군요.... 새로운 사실을 알아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agustino0

    @agustino0

    2 жыл бұрын

    90년생이면 나름 해외여행 자유로울때부터 살아오신건데 벼슬까진 아닌듯... 전 89년생인데 초등학교때 반에서 해외 어학연수 중간에 안갔다온게 이상할 정도였는데(2000년경)... 상당히 빡빡한 환경에서 사셨나보네요

  • @user-gg2ni7rb7f

    @user-gg2ni7rb7f

    2 жыл бұрын

    @@agustino0 어딜 사셧길래 해외연수를 다가요?

  • @JustRandomWonderer

    @JustRandomWonderer

    2 жыл бұрын

    @@agustino0 약오르게 아무렇지도 않게 혼자서 기만하네

  • @rubyplaybutton718

    @rubyplaybutton718

    2 жыл бұрын

    90년생이면 해외여행 자유화 되고 난 후에 태어났으니 경제적인 이유로 해외여행을 못 갔던 지인들이 많았겠지

  • @agustino0

    @agustino0

    2 жыл бұрын

    기만이 아니라 사실입니다... 저도 실제로 다녀왔었고.. 서울 한양초등학교 출신입니다. 반에서 안다녀온애들이 1~2명뿐이 없었어요

  • @Dannytaylor326
    @Dannytaylor3262 жыл бұрын

    이런거 보면 확실히 젊을때 여러 곳 갔다와야하는게 맞는거 같다.우리 외할아버지 외할머니도 80년대에 프랑스 호주 동남아일대는 다 갔다오셨는데…지금은 전부 80~90 되셔서 연세가 있으시니까 이제는 우리가 태워서 차타고 다른 지역가는것도 힘들어하심ㅠㅠ

  • @onnayama8129

    @onnayama8129

    2 жыл бұрын

    집이 좀 살았나보네 80년대에 유럽여행갔다온거면..

  • @Dannytaylor326

    @Dannytaylor326

    2 жыл бұрын

    @@onnayama8129 증조외할머니 집쪽이 일본인이셔서 옛날에 해외로는 일본에 자주 가시고 유럽 가봤다고 하네요 지금은 다 돌아가셔서 일본은 이제 갈일이 없지만…

  • @user-uo8fs9nu4i

    @user-uo8fs9nu4i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ㅠㅠ 아무리 좋은 해외라도 비행시간 너무 길면 할머니 할아버지 허리며 무릎이며 온몸쑤신다고해요

  • @hlsylsify

    @hlsylsify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ㅜㅜ

  • @chimmydono1176

    @chimmydono1176

    2 жыл бұрын

    @ᄋᄋ 님이랑 저 사람이랑 프사 똑같은 게 더 신기함

  • @네로킴
    @네로킴2 жыл бұрын

    4:10 "일본, 자유중국" 저당시 '자유중국'은 중화민국(대만)을 뜻하는 말이었다던데..

  • @케영다

    @케영다

    2 жыл бұрын

    아마 대만하고 단교하기 전이지 않나 싶네요...?

  • @KKAKKA80

    @KKAKKA80

    2 жыл бұрын

    단교전이라 그런듯

  • @oi_77i

    @oi_77i

    2 жыл бұрын

    @@케영다 단교하고도 자유중국이라고 계속 부르긴 했어요. 저도 어렸을 때 97년도까지 자유중국이라고 어른들이 불렀던 기억이 나네요.

  • @Dotori2
    @Dotori22 жыл бұрын

    91년도 소련 모스크바, 레닌그라드라...

  • @0.K.J.W.0

    @0.K.J.W.0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저 당시 러시아란 말보단 소련이란 말이 익숙하던 시절이죠 ㅎㅎㅎ

  • @user-kt9kn1yp6n

    @user-kt9kn1yp6n

    2 жыл бұрын

    @@0.K.J.W.0 소련 해체가 되기 전이니까요... 소련이 정식 명칭이기도 했겠네요...

  • @user-cv5cj8gv5g

    @user-cv5cj8gv5g

    2 жыл бұрын

    노태우 북방외교 한다고 소련하고 좀 친했던 시기라서 가능했겠는데 가보고는 싶다. 개궁금함

  • @user-cm8pd9dl6d

    @user-cm8pd9dl6d

    2 жыл бұрын

    레닌그라드 ㄷㄷ

  • @rubyplaybutton718

    @rubyplaybutton718

    2 жыл бұрын

    그 91년도에 너가 세운 나라가 망해

  • @user-wg6ji7fo3c
    @user-wg6ji7fo3c2 жыл бұрын

    80년대 시골살았었는데 아버지가 미국 다녀온다고 시골사람들 전부 밖에서 환영해주고 엄마.동생 할머니 눈물 흘렸던 기억 나네요. 고작 10일정도 다녀오는거였는데 ㅎㅎㅎㅎㅎㅎㅎ

  • @South.Korean

    @South.Korean

    2 жыл бұрын

    살아돌아오시오 아범

  • @user-rp8yh3qk6g

    @user-rp8yh3qk6g

    2 ай бұрын

    아니야 우리아빠는 미국갔어!

  • @user-dx9hm5tb6q
    @user-dx9hm5tb6q2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면 100년도 안된 일인데 세상이 엄청 빨리 바뀌는구나,,

  • @vjsuyoung

    @vjsuyoung

    2 жыл бұрын

    미래에서 오셨어요??

  • @bando_in

    @bando_in

    2 жыл бұрын

    50년도 안 된 일임

  • @user-qg1ov5nn2q

    @user-qg1ov5nn2q

    2 жыл бұрын

    약 30~40년 전

  • @pisin221

    @pisin221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특히 빨리 바뀐겁니다ㅎㅎ

  • @user-hi5kz5wm1b

    @user-hi5kz5wm1b

    2 жыл бұрын

    30년도 안된일이구만

  • @pknvdgh3357
    @pknvdgh33572 жыл бұрын

    이 채널 진짜 유익하고 재밌어요 ㅠㅠㅠㅠ 엄마아빠가 이렇게 살았겠구나 상상하는 재미가 있음

  •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2 ай бұрын

    미개하다고 볼수 있지만 시대상으로 보면 아직은 불확실한 개도국 상황애서 과도한 외화유출은 치명적이기에 했던 과한 정책임 당시 원달러 환율 800원대를 맞추기 위해 엄청나게 노력했지 어찌보면 정부가 국민성을 잘 본것도 있을수 있음 우리나라는 엄청나게 관광 적자를 보는 나라임 너도나도 해외여행애 돈 쏟아붇는 몇 안되는 나라임 지금 이탈리아애 거주중인데 가끔 로마 나가면 저렇게 어린 애들이 여길 여행 올까 할정도로 연령대가 엄청 낮음

  • @titleno7266
    @titleno72662 жыл бұрын

    저 당시 미국비자 받는 조건이 현재 동남아 및 여러국가에서 한국 오는 조건이랑 비슷함. 격세지감이지.

  • @karmaoo3865

    @karmaoo3865

    2 жыл бұрын

    저때 미국 들어가면 불법체류하는 일이 많았죠

  • @dehwankim2269

    @dehwankim2269

    2 жыл бұрын

    @@karmaoo3865 무비자한 것도 불법체류와 신분변경을 막기 위해서죠..이제는 빽좋은 인간 아니면 6개월 관광비자 발급 받는 것은 불가능.

  • @frieden520

    @frieden520

    2 жыл бұрын

    에초에 미국비자는 지금도 어렵지않음?

  • @Ukrainan1910-fz4km

    @Ukrainan1910-fz4km

    3 ай бұрын

    문재인이가 아시아쿼터라는 걸 만들어 스포츠 선수들도 막 데려오고, 태국이랑은 누가했는지 무비자 협정 돼 있어서 또 막 들어오고 그러네요..... 박영선이가 대림동 가서 중공인들에게 서울시장 지지표 달라고 호소할 정도면 어마어마하게 늘어난 거지.. 장난 아님. 외국인 투표권 만든 게 김대중임. 처음엔 조선족 어쩌구 하다가 노무현이가 모든 외국인으로 확대함.

  • @hjungku

    @hjungku

    Ай бұрын

    88 직후에 미국 비자 받는데 남편의 보증이 필요했음.

  • @J-Zenith
    @J-Zenith2 жыл бұрын

    관광목적으로 출국도 함부로 할 수 없던 나라가 이제는 세계 어디든 거의 다 갈 수 있는 세계 최강급 여권 파워를 가진 나라가 됐다…ㄷㄷ

  • @11919_hn

    @11919_hn

    2 жыл бұрын

    @@instagram_officialㄹㅇㅋㅋ

  • @user-wf3hv4xk1c

    @user-wf3hv4xk1c

    2 жыл бұрын

    ㄴㄴ 해외못나감 2주자가격리함 지금현재 기준이면 그리고 코로나 터지고 한국여권으로 못들어가는 나라 엄청늘어남 2019년기준이면 맞겠지만

  • @penicillin_

    @penicillin_

    2 жыл бұрын

    @@user-wf3hv4xk1c 지금은 예외잖아...

  • @user-wf3hv4xk1c

    @user-wf3hv4xk1c

    2 жыл бұрын

    @@instagram_official ㅜㅜㅜㅜ

  • @enfj-t4603

    @enfj-t4603

    2 жыл бұрын

    @@user-wf3hv4xk1c 혹시...대가리 빠가?

  • @kimekono
    @kimekono2 жыл бұрын

    자유화 이후에도 미필자는 신원보증인 2명이 있어야 했어요. ㅋ

  • @Choky7

    @Choky7

    2 жыл бұрын

    미필자는 여권도 25세까지 ㅋㅋㅋ

  • @kyeonghyeonnam8855

    @kyeonghyeonnam8855

    2 жыл бұрын

    @@Choky7 그건 아직도 있음... 그이후로는 단수여권만 나옴

  • @xx-cv7gs

    @xx-cv7gs

    2 жыл бұрын

    유승준...

  • @normal77079

    @normal77079

    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유지되어있지만 유승준 때문에 더 강화됐죠

  • @7575ikw

    @7575ikw

    2 жыл бұрын

    @@kyeonghyeonnam8855 단수여권사라짐

  • @user-cm8pd9dl6d
    @user-cm8pd9dl6d2 жыл бұрын

    응답하라 시리즈 재밌네요 ㅋㅋㅋㅋ 다음 시리즈도 기대하겠습니다!

  • @user-mj1ng7qh4l
    @user-mj1ng7qh4l2 жыл бұрын

    2:41 부곡하와이 진짜 추억이네 예전에 놀이동산이나 워터파크도가고 야외온천즐기고했었는데 지금은 사라졌으니..

  • @user-dw5jg2ct7w
    @user-dw5jg2ct7w2 жыл бұрын

    89년도에 교환학생으로 고등학교때 일본가는데 소양교육을 받았는데 반공교육은 기본이고 애국심교육 국산품애용교육 등등 받았고 특히 일본은 조총련교육을 추가적으로 받은 기억이 나네요. 일본에서 친절한분이 학생들 반갑다고 맥도널드에서 햄버거 시줘서 먹었는데 갑자기 자긴 조총련이라 밝히는 바람에 귀국하면 안기부에서 끌려갈까봐 벌벌 떨었던 기억이 나네요^^

  • @user-do6hq1gp8e

    @user-do6hq1gp8e

    2 жыл бұрын

    코로 햄버거 드실뻔 했네요

  • @user-fh8yk4dr8p

    @user-fh8yk4dr8p

    2 жыл бұрын

    조총련 싸이코들...

  • @Ppudadat

    @Ppudadat

    2 жыл бұрын

    코렁탕 ㄷㄷ

  • @user-v38dle8dieo

    @user-v38dle8dieo

    2 жыл бұрын

    코버거 ㄷㄷ

  • @user-nr4sm5iz7i

    @user-nr4sm5iz7i

    Жыл бұрын

    안기부ㄷㄷ

  • @hadon245
    @hadon2452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보면 우리나라 사람들 아웅바둥 정말 열심히 잘 살아온것 같다. 해외여행 자율화는 올림픽개최의 영향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 @JD-nm1tc

    @JD-nm1tc

    2 жыл бұрын

    우리 아버지이고 삼촌들입니다.

  • @leelee-re4cw

    @leelee-re4cw

    2 жыл бұрын

    응 전두환이 개최권 따냄

  • @hadon245

    @hadon245

    2 жыл бұрын

    @@leelee-re4cw 그래서요?

  • @JD-nm1tc

    @JD-nm1tc

    2 жыл бұрын

    @@leelee-re4cw 지도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국민의 삶의 질에 대해 체감을 하게 됩니다. 진심 지금 이때 전두환 김재익 구성이였다면 지금 부동산가격 잡았을텐데 말이죠.

  • @leelee-re4cw

    @leelee-re4cw

    2 жыл бұрын

    @@hadon245 국뽕 취할 거면 성과 따낸 전두환 얘기는 하라는 거다

  • @Habanki
    @Habanki2 жыл бұрын

    진짜 지금이 살기 좋아졌구나 부모님 데리고 빨리 해외 가고싶다

  • @ddd-vs8st
    @ddd-vs8st2 жыл бұрын

    88년생 인데 애기때라서 신기하네요^^ 2021년도랑 완전 다른 분위기!!!

  • @모테트
    @모테트2 жыл бұрын

    2002년에 엄빠 따라 처음으로 태국으로의 해외여행을 시작으로 매 여름 겨울 방학마다 가족들이랑 해외여행 다녀왔던 게 생각난다. 당시 유럽 패키지로 여행했었는데 네 사람에 젤루 싼 거 했는데도 2000… 그래도 그때 가족들이랑 여행했던 게 성인이 되어서도 잊혀지지가 않음. 다양한 나라 돌아다닌 게 정말 훈장처럼 느껴짐.

  • @01068067765a

    @01068067765a

    2 жыл бұрын

    부럽다. 유복한 집안이셨나보네요.

  • @user-ez9uk1kf7d

    @user-ez9uk1kf7d

    2 жыл бұрын

    02년에 저정도 쓸 재력에 매년 해외여행이면 잘사는 집이셨네요 5년전이 imf였는걸 생각해봐도 ㄷㄷ

  • @cowe

    @cowe

    2 жыл бұрын

    저희도 딱 2002년에 미국 패키지 3000정도 였던거 같아요. 월드컵 직후라 한국에서 왔다고 하니깐 월드컵 이런거 기억나요

  • @cowe

    @cowe

    2 жыл бұрын

    @@01068067765a 4사람이니깐요 지금도 유럽 제대로 배낭여행할려면 700 정도 드는듯

  • @Seongyounbin

    @Seongyounbin

    2 жыл бұрын

    @@user-ez9uk1kf7d imf 터진게 97년이지 끝난거는 01년임 즉 1년만에 간거지

  • @user-bc6nc8mh3d
    @user-bc6nc8mh3d2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한 시대에 살고있구나….

  • @user-db7ef2gj9d
    @user-db7ef2gj9d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보는 즐거움 하나가 예전 노래가 나와서 좋음ㅋㅋㅋㅋ 추억에 잠김 더보기에 노래제목도 넣어주면 좋겠다

  • @-koreansingletrail3086
    @-koreansingletrail30862 жыл бұрын

    3:00 너무설렌다.. 드뎌 대망의 자유가 찾아온듯한 브금!🥲🥲 해외여행 제한이 아직도 저렇게 있었다면 여행유튜버는 꿈도 못꿨겠죠??😲

  • @poniha9378
    @poniha9378 Жыл бұрын

    군 미필자 해외 나가려면 재산세 2만원 이상 납부자의 연대 보증서류 2장(각기 다른 사람) 이 필요 했었음… 해외 출국이 생각보다 쉽지 않았던 이유임. 지금도 미필자에 대한 해외 출국이 어렵겠지만, 진짜 쉽지 않았음

  • @gohaha1
    @gohaha12 ай бұрын

    중간에 나온 사랑할거야라는 노래 넘 좋네요 알아갑니다

  • @herlifekim9932
    @herlifekim99322 жыл бұрын

    우린 모든 세대가 참 열심히 살았네. 나도 50대 이제 시작이지만 참 쉴틈이 없었다.

  • @qktkrqk
    @qktkrqk2 жыл бұрын

    70년대 중반 결혼하신 부모님 당시 사진 보면 부모님이 결혼식 끝마치자마자 제주도로 신혼여행을 가셨는데 양가 친척, 친구들까지 김포공항에 같이 가 기념 단체사진 찍으심 ㄷㄷㄷ (참고로 비수도권 지방에서 결혼식 했는데 그 먼 서울 김포공항까지 배웅하러 다들 그대로 따라옴) 하긴 제주도도 해외긴 하지 ㅎㅎㅎ 하여튼 88 올림픽 전까지만해도 국내외 막론하고 비행기 탄다는 거 자체가 엄청나게 큰 이벤트였지. 국민학교 3학년 땐가(85년) 담임선생님이 비행기 탔다고 자랑하며 비행기 안에서 보이는 풍경을 얘기해주셨던 기억이 남..

  • @user-wc6nh4tt4y

    @user-wc6nh4tt4y

    2 жыл бұрын

    지금 딱 베트남이 그럼. 베트남 가보면 비행기 안타는 친지 친구들 바글바글

  • @Bkbkbkbkbkbkbkbkbkbk
    @Bkbkbkbkbkbkbkbkbkbk2 жыл бұрын

    아버지가 80년대에 20대셨는데 삼성다니시다가 해외 발령나서 일본 도시바에서 일했는데 일본 출국할때 나이가 가장 어리셨다고 함

  • @4rr447

    @4rr447

    Ай бұрын

    어쩌라고

  • @soc08
    @soc082 жыл бұрын

    진짜 옛날엔 해외나가고 싶어서 꿈이 외교관인 사람이 많았었죠

  • @kwak5370
    @kwak5370 Жыл бұрын

    옛날영상이 제일 재밌네. 낭만이 있어...

  • @noprcyesroc6383
    @noprcyesroc63832 жыл бұрын

    해외여행을 나이제한한다라.. 30년 뒤에 셧다운제를 바라보는 시선도 저러지 않을까요? 문화 탄압과 연령 제한이라는 면에서 공통점이 있죠

  • @user-js5rq3bp8m

    @user-js5rq3bp8m

    2 жыл бұрын

    셧다운제만 그럴까요? 교복 치마길이 잡기 / 화장 규제 / 두발길이 규제 파보면 더 나올걸? ㅋㅋ

  • @noprcyesroc6383

    @noprcyesroc6383

    2 жыл бұрын

    @@user-js5rq3bp8m 21세기에 아직도 그딴 걸 하나요? 아직도 안 없어졌군요..

  • @physik802

    @physik802

    2 жыл бұрын

    셧다운제? 그거 여가부가 신세대 이념이라고 내세우면서 시행한건데 ㅋㅋㅋ

  • @dlc3842

    @dlc3842

    2 жыл бұрын

    @@noprcyesroc6383 21세기 벼슬 아닙니다ㅋ

  • @noprcyesroc6383

    @noprcyesroc6383

    2 жыл бұрын

    @@dlc3842 뭔소리하는거지? 이해가 안되는데 무슨 벼슬드립?

  • @daikimi99
    @daikimi992 жыл бұрын

    0:07 소련 붕괴 4개월 전 ㄷㄷ

  • @rubyplaybutton718
    @rubyplaybutton718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80년대까지는 중국이랑 크게 다를 게 없었다는 걸 실감하게 되는 영상

  • @user-iq5dl7my8y

    @user-iq5dl7my8y

    2 жыл бұрын

    1. 언론, 문화 검열 2. 해외여행의 어려움 (사실상 금지) 3. 야간통행 금지 4. 특유의 시민의식 5. 독재정부 6. 삼청교육대

  • @I_love_aviation_of_ghibli

    @I_love_aviation_of_ghibli

    2 жыл бұрын

    @만두 지금은 비슷해지고 있음 ㅅㅂ ㅠㅠㅠㅠ

  • @user-ly2ej4yi1m

    @user-ly2ej4yi1m

    2 жыл бұрын

    @@I_love_aviation_of_ghibli 엥? 뭐가?

  • @5ju1one

    @5ju1one

    2 жыл бұрын

    @@user-ly2ej4yi1m 그때는 반공, 우익적이기라도 했지 지금은 X갱이 통일 교육 초딩 때부터 시키고, 정책이나 검열이나 대통령 욕하면 고!소!당하고 ㅋㅋ

  • @user_yong

    @user_yong

    2 жыл бұрын

    @@5ju1one 그때는 대통령 욕하면 잡혀가서 구타당하고 불구되어서 나왔지

  • @kaul8038
    @kaul80382 жыл бұрын

    이제 코로나 때문에 해외못가 쓸쓸나는데 이 영상보면 뭐 참을 수가 있네요へへ

  • @nzurisana5938
    @nzurisana59382 жыл бұрын

    2004년에도... 군대가기 전이었는데 일본 4박5일 다녀오는거 때문에 보증인 세우고 각서까지 써야했음. 비자도 진짜 딱 5일치만 끊어주드라.

  • @jak4639
    @jak46392 жыл бұрын

    해외여행 가격이 살짝 보이는데 지금 봐도 어마무시하네요. 해외여행이 활성화되면서 가격도 저렴해졌는데요 90년대까지도 너무 비싸서 자주 가지 못했죠. 신혼여행정도만 해외로 갔고. 지금은 돈 없어서 멀리는 못가고 가까운 일본이나 대만으로 바람쐬러나 가야겠다.하는 시대죠

  • @user-rm6kk6tr8h
    @user-rm6kk6tr8h2 жыл бұрын

    97년에 휴학후 알바해서 모은 돈으로 군대가기전 미국배낭여행 비자못받았던 기억이..제대후 다시 비자신청하니 바로 되서 어이없었던 경험이..군도피할 생각도 없었는데..이때도 보증인 필수였었고 보증인 통장잔액이 달러환산 1만달러이상 보유해야됐던걸로 기억나네요.

  • @user-sv9kg1zf4s
    @user-sv9kg1zf4s2 жыл бұрын

    으와~인천공항가고싶다 인천공항가믄 먼가 설레이는 그런기분 그게 너무 좋음ㅋㅋ

  • @lucesicutstellae3143

    @lucesicutstellae3143

    2 жыл бұрын

    저는 비행기 탈 시간 어느 정도 다 되어서 출국하러 게이트로 갈 때가 그렇게 설레더라고요 ㅎㅎㅎㅎㅎㅎ ✈

  • @jojojo1922

    @jojojo1922

    2 ай бұрын

    출장차 출국할 때와는 마음이 다르겠지요 ㅎㅎ

  • @0.K.J.W.0
    @0.K.J.W.02 жыл бұрын

    참고로 1990년대 중후반까지도 해외여행 다녀온 초.중.고 친구 있으면 졸라 신기하게봤음 막 물어보고 ㅋㅋㅋ 우와~~ 그러면서 ㅋㅋㅋ 지금이야 코로나 때문에 못가지만 당일자 해외여행도 다녀올수있으니 예전에 내가 아는새끼는 일본라멘 쳐 먹고십다고 일본다녀와야지 하더니 아침에 비행기타고 그날 저녁 9시쯤에 자기 집에오고 이찔 ㅡㅡ;;;

  • @jaysjsj

    @jaysjsj

    2 жыл бұрын

    일본가서 하루만에 라면 먹고 오는것도 좋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yoonkyun9587

    @yoonkyun9587

    2 жыл бұрын

    본고장이니까 그럴 수 있죠ㅋㅋ

  • @zik30220

    @zik30220

    2 жыл бұрын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워홀 다녀와서 복학한 애들 아우라가 거진 유학파 느낌이었음

  • @user-pn4dy9ce3h
    @user-pn4dy9ce3h2 жыл бұрын

    0:07 독일군 ㅎㄷㄷ하겠네;;;

  • @Warboy-mk1

    @Warboy-mk1

    2 жыл бұрын

    (모스크바)중부집단군:아.... 좀만..... (레닌그라드) 북부집단군:..........!?ㅅㅂ

  • @Kim_Azu
    @Kim_Azu2 жыл бұрын

    말로만 들었지만 영상보니 어느정도 실감나네,,,

  • @normal77079
    @normal770792 жыл бұрын

    이 당시는 그럴수밖에 없는게 소련이 아직 건재하던 시기고 한국인 포섭이나 납치 등 굵직한 사건사고가 많아서 어쩔 수 없었음. 유학을 간다해도 남성보다 여성의 비자가 더 잘안나왔는데 유흥업소에서 돈버는 목적을 가진 위장유학자들이 많았죠. 그 당시만해도 일본에 유흥업에 몰래 일하다 발각된 뉴스가 자주나왔으니 비자발급이 쉽지않았어요. 부친이 사우디와 리비아 중동수로건설 건설노동자로 일했는데 업무 목적 출국아닌 이상 힘들었구요.

  • @user-lv5il2nv4c

    @user-lv5il2nv4c

    2 жыл бұрын

    아 그것도 그렇겠네요 ㄷㄷ.. 생각해보면 80 90년에 악질적인 범죄가 많았었네요..

  • @dehwankim2269

    @dehwankim2269

    2 жыл бұрын

    @@user-lv5il2nv4c 강력 흉악 범죄는 뇌무현때부터가 압도적으로 많음..저시절은 일가족 자x은 아예 없던 시절..

  • @user-mu4yu4dd2i

    @user-mu4yu4dd2i

    2 жыл бұрын

    @@dehwankim2269 어떻게 이런 병신같은소리를 아무렇지 않게 할수있냐? ㅋㅋㅋ

  • @dehwankim2269

    @dehwankim2269

    2 жыл бұрын

    @@user-mu4yu4dd2i 답글이 계속 삭제되고 있는데 애야 무식하면 가만 있거라 가만 있으면 2등이라도 한단다 ㅋㅋ

  • @MrDongkun

    @MrDongkun

    2 жыл бұрын

    그건 핑계고 해외 달러유출 방지라는 국가적인 목표때문에 개인의 자유를 제한한거지. 당시에는 기업도 수입위해 은행서 달러빌리려는것조차 관청허가 받아야할때인데

  • @user-sj3hr2ml1x
    @user-sj3hr2ml1x2 жыл бұрын

    심지어 저때 러시아가 아니라 소련…;;

  • @user-lv9ns5bn5e

    @user-lv9ns5bn5e

    2 жыл бұрын

    91년 12월 25일까지 소련이었죠

  • @blendingtea
    @blendingtea2 жыл бұрын

    3:39 ㅋㅋㅋ

  • @Jowoo1115
    @Jowoo11152 жыл бұрын

    해외여행을 한번도 가본 적이 없어서 얼른 가보고 싶네요..

  • @anhismog5969

    @anhismog5969

    2 жыл бұрын

    저도 스무살인데 아직 한번도 못 가봤어요 ㅠ

  • @dehwankim2269

    @dehwankim2269

    2 жыл бұрын

    가봐도 돈만 낭비..볼 것도 없어요..일본 감성 여행이라면 모를까..

  • @user-whysoserious

    @user-whysoserious

    2 жыл бұрын

    딱하네

  • @cornuni1417

    @cornuni1417

    2 жыл бұрын

    일본 감성여행은 뭐여..ㅋㅋ 아..우리나라 80년대를 느낄수 있는 감성여행이기는 하지..솔직히 가장 실망하는게 일본인데 할것도 없고 갈곳도 별로 없는...

  • @user-whysoserious

    @user-whysoserious

    2 жыл бұрын

    @@cornuni1417 할것도 없고 갈곳도 없는데 왜 한국인들은 2018년에 850만명이 놀러갔음?ㅋㅋ

  • @wonderful.i
    @wonderful.i2 жыл бұрын

    92년에 일본 오사카 갔는데 그때 대사관에서 비자 발급 받았던 기억이 나네요. 초등학교 5학년때였는데도 처음 탔던 비행기가 생생합니다..ㅎㅎ

  • @powerlkj120
    @powerlkj120Ай бұрын

    사람이 역사를 배우고 잊으면 안되는것이 지금 누리는것이 누군가의 피땀의 산물이고 그 감사를 잊고 교만하면 언제든 우리의 자유는 사라질수있고 한순간에 무너질수 있다는것이 모든 무너진 위대한 제국들과 폴포트 김일성 문화대혁명등 역사를 인식하고 있어야 지금의 것들을 지킬수 있습니다.

  • @hhhh-qk1gg
    @hhhh-qk1gg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코로나때문에 자유롭게 못가지 ㅠㅠ

  • @user-ue6il3zv8v
    @user-ue6il3zv8v2 жыл бұрын

    최고입니다

  • @user-yp3ce3do7o
    @user-yp3ce3do7o2 жыл бұрын

    3:38 앵커분 ㅋㅋ 뉴스가 되게 웃겼네

  • @user-nz9dw9tm5o
    @user-nz9dw9tm5o2 жыл бұрын

    정치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을 잘보여주는 영상인듯

  • @hyunwookpark788

    @hyunwookpark788

    2 жыл бұрын

    정치가 아니라, 경제가 우리 삶에 얼마나 영향을 보여주내의 영상. 국가가 아프리카 잠비아보다 못살던 시절에서 어느정도 경제가 궤도에 오르고 나니 가능한거

  • @user-wy6vd3oo7w

    @user-wy6vd3oo7w

    2 жыл бұрын

    @@hyunwookpark788 정치가 맞음. 제한 때문에 가지 못하던 사람들이 해외여행 자유화가 된 이후에 여권발급처로 몰리고, 비행기표 구하기가 어려웠다는 것만 봐도 이미 경제는 궤도에 오른 상태였다고 봐야함.

  • @Starsinger79

    @Starsinger79

    2 жыл бұрын

    @@hyunwookpark788 정치가 맞죠. 경제의 문제라면 굳이 제한할 이유가 뭐있습니까? 제한하지 않아도 돈없으면 못가는데. 설령 '나라가 발전해야하니 그때까지는 외화지출 줄이고 성장하자'라고 생각했다한들 (십중팔구 아니겠지만) 그 자체도 성장이라는 목적을 위해 국민의 자유를 제한한것이나 다름없습니다. 결국 그런 제한을 만든 정치가의 문제이니 정치적 문제지요.

  • @bluewater3216

    @bluewater3216

    2 жыл бұрын

    해외여행 자유화 시킨게 전두환. 역시 전두환이 잘했네

  • @dehwankim2269

    @dehwankim2269

    2 жыл бұрын

    @@user-wy6vd3oo7w 정치 때문에 세계 최고의 자x 대국에 결혼율, 출산율 전세계 꼴치에 멸망 직전 ㅋㅋ 사상 최악의 실업율 ㅋㅋ 단지 해외여행 가지고 지금이 80년대 보다 살기 좋다는 돌대가리들이 넘쳐남 ㅋㅋ

  • @jjomin
    @jjomin2 жыл бұрын

    어릴때 미국에서 누가 이거사줬다 이러면 우와 하면서 부러워 하던시절....

  • @jinirene4467
    @jinirene44672 ай бұрын

    89년생인데 05년도에 혼자 비행기타고 해외갔었어요. 출국하는날 부모님이 공항에서 엄청 자랑스러워하시던게 떠오르네요 제 입장에선 그냥 고딩이 비행기타는건데 이게 뭐? 이 생각이었는뎅 ㅋㅋㅋㅋ이 영상보니까 비행기타는게 대단한 일이었던 시대를 사셨던 우리 부모님인데 고등학생인 딸이 혼자 비행기 탄다고 하니까 걱정스러우시면서도 좀 기분 좋으셨겠어요 ㅋㅋ

  • @Shineyongs.
    @Shineyongs.2 жыл бұрын

    88 올림픽 이전엔 여행을 맘대로 못 가던 시절도 있다니.. 지금은 코르나 땜에 못 가지만 ㅜㅜ

  • @user-pu6os9di1v

    @user-pu6os9di1v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코로나풀려서 앵간하면 다갈수있음

  • @user-ji4dp8he2u

    @user-ji4dp8he2u

    2 ай бұрын

    라고 할때가 이젠 2년전이지 ㅋㅋ

  • @user-yf4kz8bw5x
    @user-yf4kz8bw5x2 жыл бұрын

    92년 중국과의 수교전에 중국을 가게 됬는데 삼성동 무역 센터 안기부에서 반공교육 받고 관광공사 에서도 교육을 받았던 기억이 난다.

  • @user-ky1kt6hr8o
    @user-ky1kt6hr8o2 жыл бұрын

    93년도 대학 1학년때 성당에서 독일 갈 일 있었는데 그때 대학교장 서류받고, 군대 다녀오기 전이라 병무청가서 서류받고, 한 1주일동안 서류 받으러 댕겼던 기억이... 그렇게 프랑크푸르트행 비행기를 탔던 기억이... 그 공항에서 우연잖게 츄리닝 바람으로 지인 마중 나오셨던 조영수 교수님(가수 조영남 동생분) 만났던 기억도...ㅋㅋㅋ 한달 유럽 여행, 독일 우체국서 집으로 국제 전화했더니 영장 나왔다고 해서, 귀국하고 2주만에 군대로...ㅋㅋ

  • @hslpaul7589

    @hslpaul7589

    2 жыл бұрын

    부모님이 신원보증서와 연대보증인도 있어야 병무청에서 ok를 해줬음.

  • @user-tv7wz2bt5y
    @user-tv7wz2bt5y2 жыл бұрын

    부곡하와이 바로 옆에 있는데 그립다 부곡하와이 ㅠㅠ

  • @user-fd8eh5sl1t
    @user-fd8eh5sl1t2 жыл бұрын

    1:25 나도 젊지만 와 저시절 개빡세네........

  • @zik30220
    @zik302202 жыл бұрын

    저때는 레알 ㅋㅋ 정치 경제 문화전반의 사회 지도층들은 물론이고 일반 조직들도 저런 바이브 였다는걸 생각하면 정말 지금은 천지가 개벽한거임

  • @yoojeonglee4269
    @yoojeonglee42692 жыл бұрын

    대만을 자유 중국으로 표현한 게 인상적이네요. 저 시절 아직 아빠 쪽에 있어서 참 다행이었다..

  • @user-rl3sc5pg2p
    @user-rl3sc5pg2p2 жыл бұрын

    이래서 해외는 갈수있을때 실컷 가야되는거임. 코로나가 창궐해서 해외를 못갈지 누가 알았음?

  • @user-whysoserious

    @user-whysoserious

    2 жыл бұрын

    해외여행 뿐만 아니라 다양한거를 실컷하는게 중요하지 니가 교통사고 당해서 반ㅂ신 될수도 있고 말이지

  • @Bbrnbrbrne

    @Bbrnbrbrne

    2 жыл бұрын

    이제가는뎅

  • @user-ob4rg6pd1y
    @user-ob4rg6pd1y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다른 이유로 제약 생기는 중...ㅠ 정말 내년에는 자유로이 나갈 수 있기를!!

  • @tjgus21k
    @tjgus21k2 жыл бұрын

    빨리 다시 해외여행 가고 싶다 정말 너무 간절하다

  • @user-gq1hi1dt7y
    @user-gq1hi1dt7y2 жыл бұрын

    이당시 해외여행 붐이여서 우리집 여행사했었는데ㅎㅎㅎ 그때는 가이드가 한국에서부터 같이갔었지ㅎㅎ 울아버지 안가본곳 없이 갔었지 ㅎㅎ해외는 다가봐놓고 제주도는 못가보고 돌아가신 아버지 ㅠ

  • @user-rc4js5es1y
    @user-rc4js5es1y2 жыл бұрын

    코로나때문에 2년동안 해외여행도 국내여행도 못갔는데ㅠ 얼른 다시 가고싶다

  • @KIADFORHY

    @KIADFORHY

    2 ай бұрын

    난 갔는데 난 왜 못감? 집이 가난해??

  • @nweda7

    @nweda7

    Ай бұрын

    ​@@KIADFORHY집이 폭삭 망하길 기원합니다

  • @user-vm3be5kt7x
    @user-vm3be5kt7x2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는 88년도에 없어졌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07년도에 조금 더 완화되었을 뿐 아직도 안사라짐. 07년도에 18세 이상 남성의 출국제한이 완화됨. 예전엔 남성이 해외여행 하려면 교장추천서, 귀국보증인이 있어야 하며 출국할 땐 출국신고, 귀국하면 귀국신고를 해야 했었고 보증인까지 세워야 했음. 05년에 보증인 제도가 사라졌고 07년에 24세 미만에 한해 허가없이 출국 가능 해 짐. 아직도 25세 미필남성은 출국 허가를 받아야 출국가능 함.

  • @seaweeDumb

    @seaweeDumb

    Жыл бұрын

    07년이면 초등학교 들어가기 직전인데 와..생각보다 최근에 바뀐거네요

  • @halfkiwi
    @halfkiwi9 ай бұрын

    해외여행은 늙기전에.. 멋진 풍경을 보면서 가슴이 떨릴때 다녀와야지, 늙으면 다리가 떨려서 못다닌다. 난 해외여행 자율화 되자마자 젊을때 많이 다녀와서 여한이 없슴

  • @nweda7

    @nweda7

    Ай бұрын

    몇개국 정도 다니셧나요??

  • @daewookkim4795
    @daewookkim4795Ай бұрын

    진짜 80년대 이전까지는 외국에 가는 것 자체가 특권층만 갈 수 있다고 인식되던 시절입니다. 실제로 미국도 70년대 시절에는 진짜 돈이 많아야 비행기표를 살 수 있던 시절이었으니......... 거기에 여권은 중앙정보부 허가가 떨어진 뒤 외교부에 직접 가서 받아오는 그러 식이었으니........ 그래서 저 당시에는 재미교포의 가족들은 진짜 부러움의 대상이었습니다. 그 이유는 재미교포의 가족이 초청 식으로 비행기표를 보내는 것이 가능했고 그 당시 재미교포는 미국인 그 자체로 인정되어서 비행기표 자체도 할인이 되었고 그들이 보낸 비행기표는 다 노스웨스트. 팬암같은 그런 항공사 표였으니............

  • @user-ix8go7rr5n
    @user-ix8go7rr5n2 жыл бұрын

    87년도.. 저땐 나가기 엄첨 힘들었구나.. 애기때라 기억이 안남.. 94년 때 국민학교 보이스카웃 걸스카웃에서 해외여행 1년에 한두번 같던거 같음.. 그때 돈으로 200~300만원 정도 비용 들어 갔던 기억이..

  • @Hatsune-Miku82
    @Hatsune-Miku822 жыл бұрын

    저는 82년생인데 저런 규정이 있었던것이 신기하게 느껴지네요~

  • @atteanJp

    @atteanJp

    Жыл бұрын

    82년생 동지... 저런 규정있었어요 ㅋ 지금이야 쉽지만 그때당시 일본 다녀오는것도 비자받고 아후 고생 많이 했습니다 ㅋ

  • @titleno7266
    @titleno72662 жыл бұрын

    군미필 남자는 같은 나이 여자에 비해 해외여행조건이 까다로왔음. 이래저래 준비하다가 결국 군대갔음 ㅋㅋㅋㅋㅋ

  • @jzc3011
    @jzc30112 жыл бұрын

    내가 1990년대~2000년대를 그리워하는 이유

  • @gm-fl1gr
    @gm-fl1gr2 жыл бұрын

    80년생인데 우리때는 imf이후라 어학연수할돈은 없고 스펙쌓으면서 돈번다고 대학생들 사이에 워홀 1년이 당연한거처럼 갔었는데 나도 호주 갔었던 기억이 좋은 기억이였다

  • @user-wc6nh4tt4y
    @user-wc6nh4tt4y2 жыл бұрын

    90년대 방학끝나면 초딩때 담임이 해외여행 갔다온애들 손들어봐 이럼. 이때 진짜 1~2명 들음. 해외여행 갔다온애들 신기하게 바라보고 그랬음. 지금 생각해보면 촌지 뜯을려고 한거같음. 잘사는친구 파악해서

  • @user-lr4ef8rx8x
    @user-lr4ef8rx8x2 жыл бұрын

    반공교육 받고 출국하던 나라에서 여권파워 2위나라 까지...

  • @dajeonge

    @dajeonge

    2 жыл бұрын

    3위아님?

  • @user-ep8fl8yl6o

    @user-ep8fl8yl6o

    2 жыл бұрын

    @@dajeonge 2~6 와리가리함

  • @JH-ek5bn

    @JH-ek5bn

    2 жыл бұрын

    @@dajeonge 10위 안쪽이면 보통 개듣보잡 나라 한두개로 갈리는 수준이라 사실상 동급

  • @juyeonglee1605
    @juyeonglee16052 жыл бұрын

    80년대 초반 까지만 하더라도 북한이 그럭저럭 우리랑 비등비등하게 비벼볼만한 경제력이 있을 때라 우리나라 안에서 공산주의 교육 받고 북한에 대한 환상에 빠져서 북한으로 넘어가는 사람들이 진짜 많았지

  • @qktkrqk

    @qktkrqk

    2 жыл бұрын

    특히 독일 교민 유학생들이 북한 공작원 포섭 대상이었음. 윤이상, 송두율 등등.. 참.. 일본도 빼놓을 수 없음.. 조총련쪽 사람들에게 포섭되는 거 흔한 일이었음..

  • @unchan1526
    @unchan15262 жыл бұрын

    1:10 1:50 노래 제목 뭐에요?

  • @user-nt1fu4so1z
    @user-nt1fu4so1z2 жыл бұрын

    우리 아버지 얘기도 나오네 나 태어나고 사우디 건설현장에 운전기사로 갔다오셨는데. 해외건설 노동자 이야기는 초등학교 때 교과서에도 실렸었죠. 80년대 초딩시절 얼핏 해외여행 자유화라는 단어를 몇번 들었던 기억이 있는데. 실제로 90년대부터 소위 대학생들 배낭여행이 유행하기 시작해서 90년대 청소년들의 로망이었죠.

  • @kakama99
    @kakama992 жыл бұрын

    90년 첫 여권 받을때 자유총연맹에 3만원인가 5만원인가 주고 안보교육을 받아야만 했다. 자금 생각하면 어이없는 사단법인에 국비 몰아주기였지..

  • @Ukrainan1910-fz4km

    @Ukrainan1910-fz4km

    3 ай бұрын

    지금은 더 많아요 대신 빨갱이 단체로 바뀌었을 뿐이지.

  • @taewon0219
    @taewon02192 жыл бұрын

    97년생인데도 옛날모습보면 질리지가않아...

  • @user-qp1md5ix8r
    @user-qp1md5ix8rАй бұрын

    아 노래 너무 좋아 ㅠㅠ

  • @user-rh5og7vr6q
    @user-rh5og7vr6q2 жыл бұрын

    중동으로 일하러 다니신분들 덕분에 경제가 이만큼 발전했고 우리가 마음편히 여행 다닐수 있게 되었네요 코로나 시펄놈

  • @user-ce4wz6gs8p
    @user-ce4wz6gs8p2 жыл бұрын

    참 그 시절이........그 때가 언제였던가.......

  • @cy_-xh2zt
    @cy_-xh2zt2 жыл бұрын

    88년올림픽아니였으면 나이제한 어떻게됐을지도 몰랐겠네 ㅋㅋ 글고 지금은 풀려도 코로나때메 해외못가네 ㅠㅜ

  • @tkp1202
    @tkp12022 ай бұрын

    군미필자 친인척 연대보증 서는건 2000년대 초반까지도 유지됐습니다.. 일단 해외나가면 안들어오는 경우가 많아서요. 그만큼 병역 기피가 많았다는 반증이죠

  • @TV-bo1tt
    @TV-bo1ttАй бұрын

    낭만의 시대여~

  • @user-xk1fm5ef2l
    @user-xk1fm5ef2lАй бұрын

    선배 세대들은 저렇게 열악한 여건속에서 결혼출산도 하면서 악착같이 살아 아프리카보다도 못살던 이 나라를 이 정도로 만들었는데, 요즘 세대는 선배들은 상상도 못할 것들을 다 누리면서도 선배 욕이나 하고 징징. 선배들은 열심히 사느라 앞세대 욕할 시간도 없었다. 지금은 대한민국의 빠른 인터넷으로 전 세계 정보를 신속하게 획득 가능하고 전 세계와 소통이 가능하고 전 세계 어디든 갈 수 있고. 열심히 하면 전 세계 시장이 돈 벌 기회의 장이 되는데 국내 취업문이 좁다고 정부지원금이나 탈 생각이나 하지말고 세계로 나가라.

  • @user-tu8dh3py6f

    @user-tu8dh3py6f

    Ай бұрын

    선배가 뭐임? 알빠노 느그앰

  • @user-me82ukiu09kya

    @user-me82ukiu09kya

    Ай бұрын

    틀니 쉰내🤮

  • @user-md7qh2nw4u

    @user-md7qh2nw4u

    Ай бұрын

    ㅋㅋㅋㅋ딸피 얼른 리스폰장소나 알아보셔

  • @kettlemong

    @kettlemong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웃고간다

  • @user-me82ukiu09kya

    @user-me82ukiu09kya

    Ай бұрын

    트으으을~ 따아아악~ ㅋ

  • @hkm497
    @hkm4972 жыл бұрын

    젊은 사람들하고 나이 든 기성세대들하고 해외여행에 대한 생각이 다른 이유가 다 있었구나.

  • @user-ky5tz3wf9h
    @user-ky5tz3wf9h2 жыл бұрын

    초딩때 해외여행 갈까말까 하다가 갔는데 그뒤로 그뒤로 코로나 터지고 이제는 고딩이라 바빠서 못가는데 그때 가길 잘한듯

  • @naepoori
    @naepoori2 жыл бұрын

    6~7살쯤이었을때 김포공항에 처음 가봤는데.......... 물론 내가 비행기 타러 간거는 아니지만.......... 일제강점기 일본에 강제징용가신 작은 할어버지와 수십년만에 연락이되어 할아버지 할머니께서 동생분의 초대를 받아 안보교육을 받고 일본 오사카에 다녀오셨죠............ 시골 촌놈이 에스컬레이트에서 사람들 가만히 서있는데 마네킹인가 사람인가 참 신기했는데....................

  • @user-it4eu1tg2w
    @user-it4eu1tg2w11 ай бұрын

    지들 자식들은 온갖 방법 다 써서 외국유학 보내고 국민들은 제한 시켜놓고, 외국에서 학위 따 와서 기득권 유지하고

  • @hjfuitff
    @hjfuitff2 жыл бұрын

    80년대 소련이라 하니까 되게 낮선 느낌이다..

  • @minsong8997
    @minsong89972 ай бұрын

    미국에 86년에 이민왔는데, 한국에 있을 때는 해외 여행 제한이 있는 줄도 몰랐네요...

  • @user-en4xo9ko5m
    @user-en4xo9ko5m2 жыл бұрын

    89년부터 자유화가 되었구나 지금이야 코로나만 끝나면 당연한 건데 그때는 아니었구나 지금은 코로나 때문에 가기가 어려운거지 가기는 하지 격리 없는 나라로 나도 중국 남방항공사에서 근무하는데 중국에서 꼭 일을 해야하는 게 아니면 안 간다 코로나 때문에 만약 그 항공사가 89년보다 전에 생겼으면 아얘 가는 걸 상상도 못했네 나도 못 가거나 어럽게 갔겠네

  • @uindaily5185
    @uindaily51852 жыл бұрын

    이때만해도 지금. 도피성 유학이 아닌 진심 잘하는 애들만 유학가는시대

  • @user-bj9xy6bv9p
    @user-bj9xy6bv9p2 жыл бұрын

    ㅁㅊ 30년 일찍 태어났으면 억울할뻔했네

  • @jhoon2871
    @jhoon28712 жыл бұрын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일본 가는것도 비자가 필요해서 대사관 가서 비자발급받고 갔었는데 요즘엔 무비자 입국 가능한 나라가 많아서 비자 발급비용도 아끼고 편하게 여행 다니는거지

  • @Khoptt
    @Khoptt2 жыл бұрын

    아 정겨운 배경음악 좋다

  • @sml834
    @sml8342 жыл бұрын

    저 시대에 해외여행 다녀온거면 엄청 부자였지

  • @gagoogcompany
    @gagoogcompany2 жыл бұрын

    이런 시절도 있었군요.

  • @illailla001
    @illailla0012 жыл бұрын

    어떻게보면 해외여행 자유화 이후로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의 황금기였던 시절..해외는 물론이고 제주 노선도 꽉 잡고 있었으니..ㅠㅠ

  • @sabujak_fac
    @sabujak_fac2 жыл бұрын

    확실히... 내 동년배덜 해외여행 굉장히 쉽게다니구 생각보다 금방 발전한게 참 신기하네요..... 해외여행마렵다~~~~~~~~

  • @dehwankim2269

    @dehwankim2269

    2 жыл бұрын

    해외여행 하나 가지고 나라 발전했다는 돌대가리들이 이렇게 많을 줄이야 ㅋㅋ 정치꾼들이 참으로 가지고 놀기 좋겠다 ㅋㅋ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