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발 2,000m~4,000m 난공불락 잉카 제국은 어떻게 멸망했을까?│무려 600년 전 제국이라고는 믿을 수 없는 기술력을 지닌 잉카 문명 이야기│다큐프라임│

※ 이 영상은 2011년 8월 9일에 방송된 <다큐프라임 - 인류문명탐험 5부 안데스 신화 잉카문명>의 일부입니다.
도도한 인류 역사의 여정. 그것은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은 물론, 이곳 남아메리카에도 이어졌다. 잉카인들은 태양신을 믿으며 태양과 신, 그리고 인간의 합일을 위한 의식을 통해 독자적인 세계관을 유지하며 신비의 거대제국을 이루었다.
남미를 호령했던 제국 잉카. 그들은 평균해발 4천 미터가 넘는 안데스 고원에 찬란한 황금문명을 건설했으며 고도로 발달된 건축문화, 뇌수술이 가능할 정도로 의학기술 갖고 있었다. 찬란한 문명을 꽃 피웠던 제국 잉카. 그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 잉카 제국의 탐험이 시작된다.
‘하늘 정원’ 마추픽추! 태양 제국 잉카의 마지막 도시
평균해발 4천 미터가 넘는 안데스 산맥. 안데스 산맥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우루밤바강 450미터 절벽 위 남미 최고의 문화유산으로 손꼽히는 불가사의의 공중도시 마추픽추가 있다. 해발 2490미터의 깎아진 절벽에 세워진 이 고대도시는 종이 한 장 들어갈 수 없을 만큼 정교하게 쌓아올린 석조건축술, 황금으로 장식된 왕궁의 흔적, 물이 흘러가도록 만든 인공수로시설까지 갖춘 완벽한 고대의 계획도시다. 현대의 어느 도시에 견주어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이 고대도시는 도대체 누가. 언제, 어떤 목적으로 건설했을까?
잉카제국. 그 힘의 원천은 태양신
1438년 안데스 산맥의 여러 부족을 통합한 파차쿠텍. 그는 부족국가였던 잉카를 왕국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스스로 태양의 아들임을 선언했던 그는 잉카의 수도 쿠스코를 건설 하며 제국 곳곳에 뛰어난 석조건축물을 건설하였다.
16세기 스페인군에 의해 멸망 후 스페인풍으로 새로 도시를 채워 만들었지만 잉카의 흔적을 완전히 지우지는 못했다. 잉카의 배꼽이라 불리는 태양의 신전 코리찬카. 또 하나의 거대 유적 삭사이우만. 가장 미스터리의 건축술로 손꼽히는 삭사이우만. 이곳에서는 잉카인들의 찬란한 문화유산을 발견할 수 있다.
지지 않을 것 같던 제국 잉카는 어디에...
잉카제국은 산악지형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문명보다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었다. 해발 3천 미터 고원지역에 자리한 마라스염전. 잉카시대부터 존재했던 이곳은 산속에 있는 최대 규모의 천일염전중 하나다. 뿐만 아니라 농업의 경우 아직까지도 어떤 문명도 잉카를 능가하지 못할 정도의 기술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놀라운 건축술뿐만 아니라 풍부한 농산물과 막대한 사금 생산으로 경제적으로 풍요한 대국이었던 잉카제국. 이 위대한 왕국이 겨우 100년의 역사만을 만끽한 채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져버린 까닭은 무엇일까? 잉카제국은 멸망하고 없어졌지만 잉카인들은 아직까지 남아있다. 산 속 깊이 살아가고 있는 잉카제국의 후예들 속에 남아 있는 문화를 통해 풀리지 않는 제국 잉카를 탐험한다.
✔ 프로그램명 : 다큐프라임 - 인류문명탐험 5부 안데스 신화 잉카문명
✔ 방송 일자 : 2011.08.09
#골라듄다큐 #다큐프라임 #고대문명 #잉카 #안데스

Пікірлер: 47

  • @user-qf7br8np2m
    @user-qf7br8np2mАй бұрын

    이제야 시청하게 됐네요. 참 좋은 프로방송에 감사드립니다. 잉카제국 대단하군요. 그냥놔두지 않고 스폐인군대에. 멸망하다니 안타깝습니다.

  • @user-dk7zv9we2c
    @user-dk7zv9we2c3 күн бұрын

    6,7년전에 다녀왔는데 멋진곳이더군요ㆍ 이렇게 영상보니 감회가 새롭네요ㆍ

  • @user-tw7ev8dv2o
    @user-tw7ev8dv2oАй бұрын

    저 시절에 어떻게, 저렇게 높은 지대에서, 돌을 저렇게 반듯반듯 하게 잘라서 저렇게 거대하게,도시를 만들었을까............대단하다는 말밖에 안나오네.......

  • @sylee481

    @sylee481

    24 күн бұрын

    5만명......40년 동원하면 됩니다. 피라미드, 만리장성도 만드는데........까지 것....안되는 것이 없음.

  • @user-fp4vv2yo9m

    @user-fp4vv2yo9m

    22 күн бұрын

    5ㄴㅈㅈ65ㄷ5ㅈㄴㅈ2ㅈㅋ😂ㄴㅅㄹ​@@sylee481

  • @user-nu5zc1jm3i
    @user-nu5zc1jm3i14 күн бұрын

    마추피추는 맞춤비주..안성맞춤..맞춤안성 내지는 맞춤피주..비밀의 도시 내지는 피란을 위한 도시..누가 쳐들어 오면 지배층이 피해 숨어 생활하는 그런 곳..울나라도 과거 왕릉에는 150가구 정도가 대대손손 관리하며 살았다,광개토왕비에는 300가구가 수묘인 하라고 적혀 있다..땅을 받고 농사짓고 새 곡식으로 제를 지내고 유지 보수하고 제를 지내는 사람은 왕족..그런 기능의 장소..마추피추는 있는 지도 모르고 세월이 흘러 흘러 가면 근친으로 인구수는 줄어 들게 되고 멸종에 이르게 됨..신라도 진덕여왕 때 성골은 사라지고 진골이 바턴을 이어 받음..

  • @user-tr2fc7kc9n
    @user-tr2fc7kc9nАй бұрын

    목소리가 너무 좋아요❤

  • @user-vy8kp2ws9w

    @user-vy8kp2ws9w

    Ай бұрын

    포켓몬스터 웅이.

  • @iiiiiiijjjjj

    @iiiiiiijjjjj

    Ай бұрын

    @@user-vy8kp2ws9w진짜요???

  • @Mr.k201

    @Mr.k201

    26 күн бұрын

    @@iiiiiiijjjjj 동시에 이누야샤에 나온 미륵 법사이신

  • @user-vw1hh5qs5c
    @user-vw1hh5qs5cАй бұрын

    중요한건 지금 현대사회의 지구촌도 저렇게 될것이다 물의 중요성과 지구가 무너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야한다

  • @user-pt3rv7pb9w
    @user-pt3rv7pb9wАй бұрын

    신기합니다

  • @user-no8td6uc3s
    @user-no8td6uc3sАй бұрын

    잉카제국이 해양을 건너 온 또 다른 문명인 스페인한테 개털렸듯이 우리나라도 일본한테 개털렸었지

  • @AtelierRyza3
    @AtelierRyza319 күн бұрын

    잉카, 아즈텍, 마야는 정확히는 구석기시대였음. 그것도 16세기때까지도 청동무기 하나 없었고 돌멩이로만 싸웠던 구석기시대였음(잉카에는 청동이 있긴했지만 장신구에 불과했음) 그렇지만 특출나게 몇가지가 발달했는데 그게 마추픽추, 피라미드같은 건축 기술과 의학이었음. 특히 잉카의 건축 기술은 유럽보다 발달해서 유럽의 건물들이 다 지진에 무너질때 잉카의 건물들만 멀쩡했고, 당시 16세기 잉카의 의학으로 마취없이 뇌 수술이 가능했음 ㄷ; 그런데 잉카, 아즈텍, 마야의 경제력, 군사력은 세계에서 가장 최약체로 약했다보니 스페인의 돼지치기 농민에게 허무하게 무너져내림. 기원전의 청동기 ~ 철기국가(위만조선)였던 고조선이 16세기 근세시대때까지 구석기~신석기시대를 살아가던 잉카, 아즈텍, 마야를 침략해도 정복가능할 정도로 구대륙과 신대륙 간의 격차는 넘사벽으로 차이가 컸음.

  • @user-eo2id9yj7z

    @user-eo2id9yj7z

    13 күн бұрын

    신석기라고 한다면 그럴수 있다고 하겠는데 구석기? 그건 아니지 구석기인들이 정교한 건축을 ㅋㅋㅋ

  • @gunwookim2624
    @gunwookim262423 күн бұрын

    망한게 아니고 지상으로 흣터지고 내려 왔다고!

  • @user-tm1mm5mw8h
    @user-tm1mm5mw8h6 күн бұрын

    잉카인들과 마야인들은 저렇게 큰돌을 어떻게 다듬고 쌓아올렸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 @user-ve6um8bd2m
    @user-ve6um8bd2mАй бұрын

    공중정원....지금은 역사적 유물로 생각하지만....당시의 민중과 노예들은 얼마나 피와 땀을 흘렸을까요...이런 유적이 없이 사는게 좋아요.....

  • @user-wx3xl5iy6t

    @user-wx3xl5iy6t

    Ай бұрын

    정말 올은 말씀 입니다

  • @_SINIU_

    @_SINIU_

    Ай бұрын

    피라미드 조차도 노예들이 없이 지었는데 뭘 안다고 이리 진지하게 말하는걸까 그리고 어쩜 그리들 나이들 티내면서 댓글들을 싸지르지

  • @user-rj3nl3ee8b

    @user-rj3nl3ee8b

    Ай бұрын

    응 내가 안지었어~~~더지어라 노예들아

  • @reo6785

    @reo6785

    Ай бұрын

    그건 본인 생각이고요

  • @user-jb5kh8vz3g

    @user-jb5kh8vz3g

    Ай бұрын

    뭔 소리야… 말도 안되는 소릴하네…

  • @cijjeehh2302
    @cijjeehh2302Ай бұрын

    이럴수가...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절반이 노비였는데... 아직도 모르는 사람이 있네

  • @sicpimpmania9266

    @sicpimpmania9266

    Ай бұрын

    이럴수가.. 짱꼴라도 요기 있네..

  • @user-ml1of2tm5d
    @user-ml1of2tm5dАй бұрын

    콘도르모양은 개억지자나 왼쪽은 날개가 억지로 잇다고쳐 근데 오른쪽 날개는 없는데 산을 억지로 날개라고 우기면 안대지 .. 이건 진짜 당시 만든사람들은 전혀 콘도르 생각안하고 만든걸 현시대사람들이 억지로 끼워맞추는거라고

  • @l8449
    @l844928 күн бұрын

    전쟁에서 진 패잔병들이 잠깐살다간거 같은데 ~ 너무띄운다

  • @metalkokorea
    @metalkokoreaАй бұрын

    나는 소름돋는 것이 600명도 안되는 스페인 놈들한테 정복되었다는 것이다. 이 생각을 할 때마다 정말 슬프다. 역사상 이런 일은 정말 없었다.

  • @user-gt5qm2un7b
    @user-gt5qm2un7b24 күн бұрын

    신에 의존해 힘없는 민초들 가지고 놀더니 망할수 밖에

  • @user-ol2th5pr6q
    @user-ol2th5pr6q11 күн бұрын

    그짓말 고만 볼랍니다..도시도 아니고..우리나라 군대 같은건데..뭐 어쩌고 저쩌고..ㅉㅉㅉ

  • @vaughansung
    @vaughansungАй бұрын

    연구같은 소리하고 있네, 계단밭에서 나오는 옥수수양이 얼마나 되겠냐? 계단밭때기 2..3개 있어야 1사람 먹을 양이 나오는데 과연 몇명이 먹고 살았겠냐? 본인도 직접가서 면밀이 봤는데 농경지 전부 합처도 한국 논으로 치면 2백마지기도 않되는 면적이고 몇백명이 먹고살기도 어려운 면적이다, 지대가 높고 당시 오늘날처럼 비료도 없었을 것이고 생산량이란 보잘것 없었을 것이다. 아직도 주위의 인디오들이 같은 방식으로 감자나 옥수수을 심는데 그 소득량이란 보잘것 없다. 마추피추에 뭔가 대단한게 있는냥 온갖 잡다한 것을 붙이고 또 붙이고 온갖 연구네 뭐네 하는 짖걸이을 한답시고 온갖 군산들이 계단밭은 기어단니는 꼴이 정말 과관이다. 그저 한 집단이 살다간 시골 동네이다. 5..6십년대 강원도나 지리산에 계단논도 마추피추보다 몇 곱절많은 곳이 많았다.혀바닥을 헐떡거리면서 죽도록 올라간 고생치고 너무 실망서러웠고 차라리 주위의 이름없는 유적과 경치가 더 많다.

  • @sicpimpmania9266

    @sicpimpmania9266

    Ай бұрын

    머찌세요 존문가님. 담엔 최소 한두달이라도 저기 짱박혀서 제대로 연구 결과 발표 좀 해쥬세요

  • @mikim2464

    @mikim2464

    25 күн бұрын

    짖걸이× 짓거리ㅇ 과관× 가관ㅇ 혀바닥× 혓바닥ㅇ

  • @Dokdo119

    @Dokdo119

    11 күн бұрын

    니가봤냐?? 머 시간여행자여??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