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이 싫어하는 대학생과 감탄하는 대학생의 결정적 차이

#대학생 #교수 #취업 #대학교 #조별과제 #진로
교수님이 말해주는 대학생활과 취업
00:24 교수 연구실 소개
02:06 필기 노트 공개
03:56 학부 성적표 학점 공개
06:45 화장실 소개
07:20 대학생활과 진로 이야기 시작
07:37 교수라는 직업
09:35 목표
11:18 과제
12:43 공모전
15:19 팀플/조별과제
17:56 진로/유학
20:25 취업

Пікірлер: 466

  • @Nathaniel_7991
    @Nathaniel_79916 ай бұрын

    다 갖다버리셔도 라꾸라꾸는 버릴수 없으셨던 교수님..

  • @ss-qi5xr

    @ss-qi5xr

    6 ай бұрын

    😂라꾸라꾸가 뭐에요???

  • @mimiklove

    @mimiklove

    6 ай бұрын

    하하하 어린 친구들은 라꾸라꾸를 모른다는 …. 라꾸라꾸 못알아듣는척 해야 겠어요 ~

  • @minseokwon6484

    @minseokwon6484

    6 ай бұрын

    학교가서 랩실에 당연하단 듯이 라꾸라꾸 있으면 아차, 싶음

  • @sierra2069

    @sierra2069

    6 ай бұрын

    ​@@ss-qi5xr 라꾸라꾸가 있는 곳이 강제로 집이 되는겁니다 원래 집으로는 못가요

  • @htony6536

    @htony6536

    6 ай бұрын

    @@ss-qi5xr접이식 간이침대 , 집에 못간다 / 못갈수도 있다 / 안간다 는 정신적 무장아이템 같은것

  • @brandlee5089
    @brandlee50896 ай бұрын

    건축학과에만 국한되는 내용은 아니네요. 진짜 사회로 나오면 대학에서의 차이가 엄청나게 크게 나타난다고 봐요. 저도 막상 대학에서 뽑아먹을 것 다 하고 나오자라서 대외부터 학과 등 했지만 이러한 정보를 미리 알았다면 더 좋았겠어요❤ 감사합니다❤

  • @user-cu5oy9ph1f

    @user-cu5oy9ph1f

    6 ай бұрын

    저도 다른쪽인데 설계, 디자인 다 아우르는 내용같습니다 우연히 들어왔는데 참 많은생각을 하게만드시는..

  • @brandlee5089

    @brandlee5089

    5 ай бұрын

    @@Jasmine-s 현재 위촉연구원으로 출연(연)에서도 근무하고, 이전에 인공지능 헬스케어 스타트업에서 PM 및 총무도 해보고, 또 대학교에서 행정사무직으로 근무하고, 아르바이트로 아버지 전기 설비업 하시는데 거기서 현장 사무직으로 일해보고 그리고 잠깐이었지만 3개월가량 엘지전자 가전 설치 배송 부기사, 판촉 등 해봤지만 "커뮤니케이션"은 모든 부분에 관철합니다. 그만큼 모든 일이 나 혼자 하는 일이 아니라 대학 때 팀플을 통해 배운 교훈들은 잘 피드백해서 성장하는 자세도 필요하고요. 저야 그렇지 못해서 사회생활하면서 혼나면서 배웠지만 그렇지 않았으면 해서 적고 가네요.

  • @hyunho_07
    @hyunho_076 ай бұрын

    건축학과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이 영상이 그나마 도움이 될 수 있을꺼라고 생각해요. 사무실도 간단하게 소개 해주시고 바라는 점도 간단하게 소개도 해주시고 또 과제도 간단하게 소개도 해주신거 같에요. 괜찮은거 같에요.

  • @stehen02
    @stehen026 ай бұрын

    건축 쪽이 아닌 인문사회 계열 대학생이지만, 오늘 교수님 말씀에서 정말 많은 것을 배워갑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 @lunagale7758
    @lunagale77586 ай бұрын

    와....다른것보다 정말 대단한게 필요한걸 딱딱 찾으시는게 대단하신듯..영상 5분정도에 학부때 성적표를 포트폴리오로 정리한 것을 찾자마자 이분이 얼마나 체계적으로 살고계신가를 느낌...

  • @vamp_c502

    @vamp_c502

    6 ай бұрын

    저도 필요한 것을 찾을 수는 있지만, 저렇게 깔끔하게 정리된 수준은 아닌… ㅋㅋㅋ 어렸을 때 정리 잘 된 동생방과는 달리 제 방은 언제나 카오스였는데 어머니께서 대신 정돈해주실 때마다 항상 하던 말이 ‘정돈된 카오스’니까 방에 제발 손대지 말라고 그 난리. 그런데 어쩌다 필요한 물건이 있어 정리 잘 된 동생방에 몰래 갔다오면 동생이 귀신같이 알아차리고 짜증난다고 울기 시작 ㅋㅋㅋ 같은 배 속에서 태어났는데 너무 다르다고 어머니께서 하신 말씀이 떠오르네요 ㅋㅋㅋ 어느날 아버지가 뜬금없이 ‘천지개벽이다’ 그러시길래 그 이유가 뭔가 싶었는데 왜 네 방 정리가 잘 되어 있냐고 하셔서 완전 빵 터졌.. ㅋㅋㅋㅋ

  • @xlu_redxX

    @xlu_redxX

    6 ай бұрын

    ​@@vamp_c502이 정도 tmi는 질병아닐까

  • @vamp_c502

    @vamp_c502

    6 ай бұрын

    @@xlu_redxX 그럴수도 ㅋㅋㅋ 제가 보기에도 이 댓글 외 다른 댓글들도 거의 에세이 수준 ㅋㅋㅋ 여기서 왜 이러고 있나 싶기도 ㅋㅋㅋ 경각심 일깨워줘서 고맙습니다. 이제 그만 써야겠네요, 진짜…

  • @user-dkwnvizosdm

    @user-dkwnvizosdm

    5 ай бұрын

    진짜 정리에 미친 거임 저도 정리를 좋아하는 인간으로서 진짜 존경스러움; 자기의 모든 물건을 인지하고 있다는 것 ; 그럼 생각과 인생과 인간관계 등등은 얼마나 정리가 잘 되어있을까

  • @gguwriter5724
    @gguwriter57246 ай бұрын

    학생뿐만아니라 직장인들도 귀담아 듣게되는 조언이었습니다. 자기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 그리고 일하고 싶은 분야의 회사와 맞는 핏을 발굴하는 것들이 일하면서도 필요한 것들이라는 생각을 하게되네요. 특히 설득하는 능력은 연차가 높아질수록 중요한 능력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요, 교수님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소통 능력과 설득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잘 수집해놔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 학생때, 그리고 일하면서 느낀 점들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번 콘텐츠에서는 실무에서 일하면서 느꼈던 점들도 콘텐츠도 나오길 기대하겠습니다.

  • @sunheeman6671
    @sunheeman66716 ай бұрын

    언어의 달인이신듯!! 지식과 생각을 듣기 좋게 쉽고 명쾌하게 쏙쏙!! 사이다처럼 시원함도!!! 최고!!!

  • @rahandu5305
    @rahandu53055 ай бұрын

    건축, 설계 등 이 분야에 1도 모르는 문돌이가 교수님 덕분에 공모전 최우수상 탔었던게 기억이 나네요.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라는 책 덕분에 제가 생각하던 내용들이 구체화될 수 있었고 도움이 참 많이 됐던 기억이 새록새록 납니다. 비록 지금은 그 당시 열정적으로 생각하고 노력했던 내용과는 전혀 다른 방향의 직업으로 살고 있지만 감사한 마음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 @Player-wp9xp
    @Player-wp9xp6 ай бұрын

    학교다니던 시절이 생각나네요 건축설계전공이여서 잘 이해할수 있었습니다 지금은 전공을 살리지 않았지만 설계는 언제나 마음 깊숙한곳에 있는것 같네요

  • @user-nowhere
    @user-nowhere6 ай бұрын

    교수님 한마디한마디가 주옥같네요. 제 아이들에게도 해주고싶은 이야기예요. 충분히 멋지게 포장할수도 있었을텐데 솔직하게 얘기해주셔서 더 감사합니다.

  • @sbyou5881
    @sbyou58816 ай бұрын

    대학교수는 진짜 그 업계 경험이나 실무를 해본사람이 해보는게 학생들한테 도움이된다. 사실상 경영학과교수라고 해도 사업체하나 안해보고 이론만 가르치거나 자산투자 운영도 안하면서 학생에게 무엇을 가르칠건가

  • @user-ve4xb1gr8j
    @user-ve4xb1gr8j6 ай бұрын

    교수님 특유의 나긋나긋한 목소리와 편안한 영상 분위기가 좋아서 영상 길이가 길어도 계속 보게되는 것 같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rj6kv9ps1s
    @user-rj6kv9ps1s6 ай бұрын

    대학교 2학년, 21살에 이 영상을 접하게 되어서 다행입니다. 좋은 말씀 해주신 교수님께 감사합니다.

  • @Kalien-rr3pp
    @Kalien-rr3pp6 ай бұрын

    팀플의 버스타는 멤버에 대한 스토리는 되게 공감합니다. ㅋㅋㅋ. 건축이 워낙 혼자서는 하기 힘든 작업이라서 팀멤버가 버스를 타면 힘들죠. 거의 모든것을 혼자서 맡아 안을수 있겠죠. 그것도 운수인것 같아요. 좋은 멤버를 팀으로 함께 하는거. 근데 뭐 그렇지 못하다 하더라도 힘들어도 자기만의 길을 꾸준히 걷다 나면 교수님말씀처럼 히어로가 될거라고 봅니다. 교수님 말씀은 모두 공감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ch1jf6hy9y

    @user-ch1jf6hy9y

    6 ай бұрын

    버스를 타는애는 패널티있어야한다고 봅니다. 교수님 학창시절땐 거의 팀플과제가 거의 없었던거 같은데 2인분 하는건 할 수 있어도 과실을 나눠먹는건 잘못된거니까요 그냥 불쌍하게 생각하세요 라고 치부하기엔 팀 과제로 스트레스 안받는 사람들이 쉽게 생각하는경향이 있더라고요

  • @Kalien-rr3pp

    @Kalien-rr3pp

    6 ай бұрын

    @@user-ch1jf6hy9y 고수들은 아무상황에서도 웃는 법이자나요

  • @user-ch1jf6hy9y

    @user-ch1jf6hy9y

    6 ай бұрын

    @@Kalien-rr3pp 고수건 하수건 관계없이 평가하는 사람 입장에서 버스타는 애들은 걸러줘야죠 나중에 그런 놈들이 허위경력으로 입사해서 사고치는거 아닙니까

  • @user-hx9vl5ij1h

    @user-hx9vl5ij1h

    6 ай бұрын

    ​@@user-ch1jf6hy9y저 때도 팀플은 있었어요. 내가 저 시절 건축학도였어서 압니다. 팀플이 없는 학부시절은 없어요 ^^

  • @user-ch1jf6hy9y

    @user-ch1jf6hy9y

    6 ай бұрын

    @@user-hx9vl5ij1h 그럼 지금 건축에 관한 사건사고들은 그때 팀플때 버스탄새끼들이 치고다니는거라고 짐작이 되겠네요

  • @gwisekor
    @gwisekor6 ай бұрын

    개발자 입장에서 들어도 도움이 되는 얘기가 많네요. 건축과 개발은 너무나 비슷해요.

  • @jugeora

    @jugeora

    6 ай бұрын

    1. 프론트엔드든 백엔드든 사업관리든, 전문화 되기 전 주니어 때는 다 할 줄 알아야 됨. 2. 말로만 조지고 실제로 구현할 수 없는 사람은 대우 못 받음. 3. 말이 안 통해도 코드를 보면 얘가 뭘 만들려고 했는지 알 수 있음.

  • @user-kx2xf4sb6s
    @user-kx2xf4sb6s6 ай бұрын

    갓 학부 졸업한 취준생입니다. 보면서 지난 날을 많이 반성하고, 많이 배웠습니다. 이러한 가르침을 가지고 열심히 해볼게요!!

  • @user-tc3wz9qb5k
    @user-tc3wz9qb5k6 ай бұрын

    적지 않은 나이에 건축이야기를 들으면서 인문학, 철학, 과학 그리고 세상과 사람에 대해 배웁니다.

  • @yissmi2073
    @yissmi20736 ай бұрын

    우와와~~~제가 원하던 컨텐츠가 이렇게 바로 업로드 되다니요♡♡♡ 제작진이 구독자의 니즈를 이렇게 찰떡같이 이해해주시다니ㅎㅎ~~면접까지 끝난 아들에게~~선물같은 영상입니다~건축학과1탄과 건축학과와 진로에 관한이야기2탄, 아들에게 집중해서 봐보라고 추천해야겠어요♡ 2탄 진로 이야기 지금 얼른 시청합니당~

  • @myNoteV
    @myNoteV6 ай бұрын

    우와... 재미로 보다가 정말 하나하나 무게있는 말씀에 정신이 번쩍 들어서 각잡고 다시 봤네요. 소중한 조언 감사합니다. 필기노트 📝 1. 교수가 된 이유 1) 안정적인 수입 2) 커리어적 신뢰도 - 홍익대 교수 3) 매력적인 공간 - 젊음/ 새로운 실험/ 열린 생각 4) 건축에 대한 생각이 아직 영글지 않았을 때 생각이 발전하게 된 곳 2. 교육자로서의 목표 - 지식을 통해서 세상을 바라보는 나만의 관점과 시각을 기르게 해 주는 것. 3. 대학생활 중 집중해야 하는 것 1) 나만의 커리큘럼 만들기 2) 나만의 방식으로 해석하는 연습 4. 훌륭한 학생이란 v 교수의 지시에 바로 반응하여 따라오는 학생 > 훌륭한 학생 v 교수가 뭐라하든 나마의 길을 가다가 학기말에 기발한 생각과 모형을 가져와서 교수를 놀라게 하는 학생 > 위대한 학생 5. 과제의 포인트 1) 생각을 얼마나 발전시켰는가 2) 합리적인가/ 타인을 설득할 수 있는가 3) 이야기가 되냐/ 스토리텔링이 되는가 4) 설득할 자료를 준비하는가 - 말만 하는 것 XX 5) 비용 설정이 합리적인가/ 현실적인가 6. 공모전 추천 * 캠퍼스는 플레이 그라운드 X 스포츠 그라운드 O * 스포츠 그라운드: - 정해진 툴 안에서 공정한 경쟁을 하는 것. v 전국/전세계 공모전은 다양한 시각을 엿볼 수 있는 기회 v 대한민국건축대전 - 서로 배우고 도전하는 기회. - 가능한 한 많이 나가볼 것. 7. 팀 작업을 추천하지 않는 이유 v 슬램덩크 신현철 - 여러 포지션을 거치며 최고의 센터로 등극 v 저학년 때는 팀작업보다는 혼자 다양한 작업을 해 보는 것이 중요. v 팀워크는 나이대에 맞게 하는 기회가 온다. ​8. 팀플에서 무임승차 팀원이 있다면 v 그냥 불쌍하게 생각하세요. v 내가 두 명의 몫을 해 내면 그 만큼 역량이 느는 것. v 단, 내가 정말 잘 하고 싶은 분야에 몸담고 있어야 동기 부여가 될 것. 9. 건축에는 국경이 없다 v (예전에는) 한국인들의 시야가 대한민국 안에 갖혀 있었음 v but 건축은 매체 자체가 국경을 뛰어넘는다. v 건축을 희망하는 분들께 조언 - 확장성이 있는/ 진취적인 생각 10. 해외 진출 v 한국인들은 손이 빠르다! v but, 위로 올라갈 수록 클라이언트를 설득하는 언어적인 한계가 분명 있음 v 프로젝트를 따오는 여러가지 방법의 장벽 v 인종의 한계 v 그럼에도 불구하고, 젊었을 때는 오히려 시야를 넓게 가져볼 것 11. 미국 생활에선의 어려움 v 언어의 한계 v 특히 영어로 설득하는 것의 어려움 - 모형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극복 12. 학생 선발의 기준 v 기본기를 갖출 것 v 디자인 능력 + 표현 능력 v 콜라보레이션에서 제 몫을 할 것 *건축사무소 운영으로 느낀 것 v 자기의 건축 설계를 표현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애들은 '게으르다' v 코드가 맞을 것 - 디자인 결이 맞는 동료 v 사무실에 관심이 있는 동료 *리더로서 가장 바라는 점 v 개인 또한 사무실에서 성장하기를 바랍니다.

  • @DB-pd8os

    @DB-pd8os

    Ай бұрын

    와드

  • @phina1234
    @phina12346 ай бұрын

    짬밥ᆢ분야상관없이 ㅋㅋㅋ 교수님 학생과 교육에 대한 솔직한 견해 ᆢ 한 수 배우게 되네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재미있어요 😊

  • @phina1234

    @phina1234

    6 ай бұрын

    갑자기 열심히 살고 싶은 의욕이 생겨요

  • @DOLEKIM
    @DOLEKIM6 ай бұрын

    건축학과는 아니지만 글 많이쓰는 인문학 관련 학생으로써 영상 처음부터 제 정곡을 찔렸습니다.

  • @user-qg7pf9nu7u
    @user-qg7pf9nu7u6 ай бұрын

    젊음이 느껴지는 시간이었습니다. 지금 이 순간 능력을 갖추려고 최선을 다하는 학생 모습이 교수님한테 보이네요

  • @nvmjv3
    @nvmjv36 ай бұрын

    4:57 저두 1학년때 평균학점 1.7이라 학사경고를 받았습니다 ㅜㅜ f를 엄청 맞아서 ㅜㅜ 2학년때부터 정신차리고 학점챙길 계획세워서 겨우겨우 총학점 4.0 넘기고 졸업했습니다 ㅜㅜ 졸업즈음엔 교수님추천으로 대회출전 제안도 받고 나름 에이스가 되었어요

  • @badalee302
    @badalee3026 ай бұрын

    "자기만의 커리큘럼".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symt1015
    @symt10156 ай бұрын

    학생때 이 영상을 보면 너무 좋았을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지금은 일을 하고 있지만 내 일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을 들게 하는 영상입니다

  • @mee-jungcha7272
    @mee-jungcha72725 ай бұрын

    내용이 참 좋습니다~~ 교수님의 영향력이 커지기를^^

  • @mimiklove
    @mimiklove6 ай бұрын

    교수님은 40대 엄마와 10대 아들이 유일하게 함께 구독한 분이에요~저도2002년 월드컵 시절 학점이 난리도 아니었어요. 월드컵이면 봐줄줄 알았던 얼빵이 시절이 있었네요~😂

  • @BlueKill0309
    @BlueKill03096 ай бұрын

    진짜 유튜브 영상을 넘어서 강의 수준입니다. 메모하면서 봤습니다.

  • @sskim1882
    @sskim18826 ай бұрын

    나는 왜 대학때 교수님처럼 생각하질 못했을까... ㅠㅠ 지금이라도 좋은 교수님 유튜브 보면서 좋은 생각을 하게되는 것 같습니다

  • @killxxi4442
    @killxxi44426 ай бұрын

    유튜브 원래 돌려보지는 않는데 20분짜리 영상 3번을 다시 봤네요.. 업종을 불문하고 '나만의 시각'이 극으로가면 이런 느낌이지 않을까 생각이드네요. 자신이 사랑하는 일에 몰두할 수 있다면 인턴, 학생부터 대표, 교수까지의 마인드셋을 간접적으로 볼 수 있었습니다. 너무나도 현실적이면서 영화처럼 우연에 기대지 않으면서 꿈꾸는 이상도 바라는 삶... 미쳤다...

  • @IiIiiIiIiliiIIIIiIIiIiIIiil
    @IiIiiIiIiliiIIIIiIIiIiIIiil6 ай бұрын

    이제 막 군복학해서 학교 다니고있는 2학년 공대생입니다. 지금 대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될 내용들을 많이 담아주셨네요 ㅎㅎ 비록 당장은 전공공부가 맞지 않아 재미없고 어려운데 마땅히 대안도 없어서 어거지로 붙잡고 있는 대학생활을 이어가고 있지만 언젠가 가고자 하는 길을 찾게 된다면 이 영상의 조언들을 기억하면서 한 발 한 발 내딛을 용기를 얻어갑니다.

  • @dunkelhaus

    @dunkelhaus

    5 ай бұрын

    stay strong my man

  • @user-td5js6yg5k
    @user-td5js6yg5k6 ай бұрын

    갑자기 젊어지는 할머니 기분이 잠깐 활기차 지는 한달남은 올해도 배웠어요. 감사합니다 💕

  • @sooooo__bini
    @sooooo__bini6 ай бұрын

    정말 교수님 존경스럽습니다... 비단 건축학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네요.... 전 항상 현실만, 오늘, 내일만 열심히 살자! 그럼 내일의 나, 앞으로의 내가 달라지겠지? 라고만 생각했는데 이 영상을 보면서 그냥 매년 80명씩 쏟아져 나오는 졸업생이 된다는 교수님의 말씀이 가슴에 와닿습니다... 좋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어 너무 감사합니다...♡ 저도 저만의 커리큘럼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저도 제 개인의 역량을 높이기 위해 책도 많이 읽고, 생각도 많이 하고, 상상도 많이 하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교수님 좋은 말씀 감사해요...😢❤ 저는 유아교육과 학생이라 1학년 때부터 팀플이 엄청 많았어요! 교수님 말씀처럼 팀플이어도 혼자 수업을 만드려는 노력을 많이 했는데 정말 교수님 말씀처럼 다같이 하는 것보다 혼자 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네요!! 앞으로도 역량을 더 높이기 위해 더 노력해보겠습니다!! 교수님의 말씀이 많이 힘이 되네요~♡♡♡♡

  • @user-ij2oj2eu4c
    @user-ij2oj2eu4c6 ай бұрын

    감기조심하세요 영상 감사합니다

  • @user-vl7nk1fl9s
    @user-vl7nk1fl9s6 ай бұрын

    저와 생각이 정확히 일치하는 지점이 있네요 정말 대학생때 세상을 바라보는 본인만의 관점과 통찰력을 기르는데 부단히 노력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은 사람과 인생을 바라보는 시각이나 삶의 방식 등 여러면에서 정말 많은 차이가 날 겁니다 대학 졸업하고 취직하고나면 먹고살기 바빠서 이쪽에 신경쓰기도 힘들고요 그럴 여유도 없고요

  • @UZUGROOVE
    @UZUGROOVE6 ай бұрын

    항상 많이 배웁니다 교수님. 채널 초창기에는 건축에 대해 배웠다면 지금은 인생을 배우는 중입니다 ㅎㅎ

  • @user-mr7xi9en9k
    @user-mr7xi9en9k6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생각을 알수 있었고 거기에서 또 제가 배웁니다~~

  • @user-bk9ub6yt3i
    @user-bk9ub6yt3i6 ай бұрын

    딸이 건축학도여서 교수님 영상 보며 딸의 고민과 공감하며 대화할 수 있는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 @user-ys9ic7zn2r

    @user-ys9ic7zn2r

    6 ай бұрын

    좋은 부모님이시네요😊

  • @user-hj2lp9mb6z
    @user-hj2lp9mb6z5 ай бұрын

    알쓸신잡을 계기로 책을 찾아보고 유튜브를 보면서 들었던 생각은 늘 참신하고 좋은 영감과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내용들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오늘의 이야기도 비단 20대의 청춘에게만 해당되는 얘기가 아닌 세상을 살아가는 사회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서 갖추고 있어야 할 덕목이란 생각이 듭니다. 지나온 시간도 돌아보고 스스로에게 자녀에게 주변인에게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지 생각해보는 좋은 계기가 될 것 같습니다. 건축에 대한, 세상에 대한 교수님의 열정과 오랜시간 녹아들어있는 철학과 가치관에서 나온 말씀인 것 같아서 더 귀기울여 들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terayang186
    @terayang1866 ай бұрын

    슬램덩크, 시카고불스 비유를 통해서 젊은학생들에게도 바로 스며들 수 있게 설명할 줄 아시는 교수님 대단

  • @iraf27

    @iraf27

    6 ай бұрын

    둘다 모르는데ㅠㅠ

  • @INVISIBLE988

    @INVISIBLE988

    6 ай бұрын

    슬램덩크가 젊은 학생들이 알만한 만화는 아닌... ㅋㅋ 제목정도야 들어봤겠지만 그 내용을 전부 아는 젊은 학생은 보기 힘들죠

  • @reality_is_also_pizza

    @reality_is_also_pizza

    3 ай бұрын

    고3인데 슬램덩크 아주 좋아합니다. 신현철 예시 들때 제가 더 짜릿했음

  • @rosemaryhan
    @rosemaryhan6 ай бұрын

    전 화면에 교수님 뒤에서 존재감을 드러내는 레고 꽃도 넘 이쁘네요. 강의 너무 잘 들었습니다😊

  • @carlyounsh
    @carlyounsh6 ай бұрын

    대학생 여러분들 이 영상 진짜로 잘 보셔야 합니다. 자칫 잘못해서 교수님을 감탄시키는 행동을 하시면 랩실에 끌려가실 수 있습니다! 교묘하게 교수님이 싫어하는 행동과 감탄하는 행동 사이에서 밸런스를 잘 잡아야 대학원에 끌려가지 않고 좋은 직장에 들어가실 수 있습니다!!

  • @himmelszone

    @himmelszone

    6 ай бұрын

    대학원도 좋은 랩실 찾아가면 좋은데, 쉽지 않아서 문제.. 교수님 인품, 랩 분위기, 인건비, 졸업 후 진로 모든 것을 다 고려하면 좋겠으나 정보 구하기도 쉽지 않고 그런 보석 같은 랩실은 보통 자대생 혹은 동급 학부 출신들 선점 ㅎ (서카포 기준)

  • @hyuns_bun

    @hyuns_bun

    6 ай бұрын

    거절하면 되지 않나요? 서카포에서 기술이랑 경영능력 둘 다 갖춘 애들은 대학원 대신 창업하려는 애들이 꽤 많던데.. 지인도 대학원 제안 그냥 거절했다고 했었어요

  • @user-sv8yi3ez9v

    @user-sv8yi3ez9v

    4 ай бұрын

    대학원이 어때서요?? 건축사 딸려면 대학원을 졸업해야되는데 .. 건축과도 대학원은 비추인가요? 전 4년제라..

  • @carlyounsh

    @carlyounsh

    4 ай бұрын

    @@user-sv8yi3ez9v 그냥 인터넷 밈 같은 소재로 농담 한 거니까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 @jeoneojin
    @jeoneojin6 ай бұрын

    화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비록 분야가 다르지만 다른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는 좋은 말이 많은 것 같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Rooloobary
    @Rooloobary5 ай бұрын

    확실히 자기자신이 일당백이 되어야 팀플할 때 어떤 하나의 역할을 맡았을 때 다른 구성원들과 원활한 팀워크 그리고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다는 게 맞는 듯 합니다. 이것을 학생 때 더 빨리 느끼고 더 갈고 닦았다면 어땠을까라는 반성을 하게하는 영상이기도 하네요 대신에 미생의 장백기(강하는 분) 같은 직원은 되지 말아야 겠어요^^ 못보신 분들은 미생 추천합니다.

  • @HeraKang-st5dr
    @HeraKang-st5dr6 ай бұрын

    Wow~~~^^ 어찌나 재미있게 보았는지~~~^^🤗👏👍 시간가는줄도 모르고 자꾸자꾸 몇번이나 반복해서 보게되네요 ~~~^^👍 You are the best ~~~^^👍

  • @yeonkim3614
    @yeonkim36146 ай бұрын

    30대 조교수입니다 ㅋㅋㅋ요즘 연구실 꾸미기에 한창인데 교수님도 연구실 예쁘게 꾸며놓으셨군요! ㅋㅋㅋㅋ 다른 동료들이 연구실 뭐하러 꾸미냐고 하지만 예쁜 연구실에서 일 능률이 오르는 법. 저도 소파침대 있습니다 ㅋㅋㅋㅋㅋ대공감

  • @vamp_c502

    @vamp_c502

    6 ай бұрын

    이번 영상 어두운 와우실 복도 포함 햇살 가득한, 예쁘게 꾸미신 교수님 연구실 보는데 왜 슬픈지(?), 슬프다기보다 마음이 헛헛한(?) 그런 느낌이 드는지 모르겠네요. 저번 영상에서 어떤 분이 교수님 슬퍼 보인다고 하셨는데 교수님이나 연구실 자체가 정말 슬퍼 보인다기보다 설명을 잘 못 하겠는데 바라보는 사람의 마음도 투영되어서 그런 것일지도 모르지만, 그 분이 말씀하시는 느낌을 알 것 같기도…

  • @rose1004yu
    @rose1004yu6 ай бұрын

    우리교수님 완전 귀여움 뿜뿜 외유내강 유.현.준!! 학점 빵터짐요~ 방어율 1위에서 타율 1위로 마무리 최고!!

  • @user-gb4bu6eh5c
    @user-gb4bu6eh5c6 ай бұрын

    다른 영상들도 좋았는데, 건축 관련내용이다보니 약간 다른 세상의 얘기 같았는데, 이번 영상은 배움에 관한 내용이어서 그런지 뭔가 더 울림이 있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yj-jz9gc
    @yj-jz9gc6 ай бұрын

    셜록현준의 영상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영상이네요.. 인생을 다 담아낸 놀라운 23분이었습니다!!

  • @CHOOSANG
    @CHOOSANG6 ай бұрын

    이번 영상을 보니 제 남은 20대를 가치있는 것들로 채워넣고싶은 마음이 새삼 타오릅니다. 그것이 역량이 되었든 추억이 되었든 다시 돌아볼 때 스스로에게 감사할 수 있는 무언가들로요.

  • @kimdoyun89
    @kimdoyun896 ай бұрын

    멋진 얘기 입니다.

  • @user-qp5rl8un7n
    @user-qp5rl8un7n6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겸손함과 성실함이 항상 좋아요. 학생들이 지식 습득이 아닌 지식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기르게 해 주는일이 대학생활이며, 훌륭한 건축가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것들, 그리고 성장하길 바라는 교수님의 모습도 좋습니다. 👍👏🥰

  • @usa0201k
    @usa0201k6 ай бұрын

    저랑 비슷한 시기에 대학 다니셨는데 학점 곡선도 비슷하시네요 1학년 때 폭망, 대학원 가려고 2학년 때부터 열공했어요 😊

  • @ddu_neenee
    @ddu_neenee6 ай бұрын

    와 교수님 진짜 제목부터 클릭을 안 할 수가 없었습니다 진짜 원하시는 주제와 사람들이 재밌어하고 궁금해하는 걸 정확하게 알고 계시는거 같아요 교수실도 너무 예쁘고 논문과 필기했던 것들을 보면서 입에서 내내 '멋있다'라는 얘기만 했습니다 제가 딱 원하고 꿈꿨던 낭만있는 20대를 교수님께서 보내신것 같네요 저는 그러진 못했지만^^ 정말 부럽기도 하면서 저는 다시 되돌아가도 못했을 거 같기도 하고 완전 멋지십니다!! 20대에 씨앗을 심고 40대에 결과를 보았다는 표현도 너무 좋습니다 저는 늘 어린나이에 일찍 성공하고 싶었는데 저에게 큰 울림이 있는 말씀이셨습니다 늘 그저 바라만 보다가 오늘에서야 댓글을 달았네요 정말 잘 봤습니다!!!!

  • @vamp_c502

    @vamp_c502

    6 ай бұрын

    두번째 문단 ‘교수실도’를 ‘교수님도’로 0.1초 잘못 읽었…😂 항상 하는 생각이지만, 같은 영상을 보고 각자 다른 생각을 한다는 사실이 정말 흥미로운 것 같습니다. ‘딱 원하고 꿈꿨던 낭만있는 20대‘를 보신 반면 저는 ’삶의 전쟁터’를 본 것 같은… 😅 지금 연구실에 들어오는 햇살이 뭐랄까 ‘그동안 고생했어. 이제 좀 쉬어도 괜찮아‘ 하는 느낌? 그런데 쉴 수 없는 상황? 아, 제가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

  • @DK-lx2py
    @DK-lx2py6 ай бұрын

    건축공학도로 건축학과 뿐만 아니라 건축공학과도 계속 언급해주셔서 기분이 좋네요. "4년제 커리큘럼은 기초과목일 뿐이고 나만의 커리큘럼을 쌓아야한다." 그저 그런 졸업생이 되지 않기 위해 저만의 통찰력을 가지려는 노력을 계속하며 살아가겠습니다.

  • @user-qm3ie8sz7c
    @user-qm3ie8sz7c3 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하네요 다른채널과달리 진짜 교수님사무실가서 면담받는 기분..보통 이런영상은 2배속으로 보는편인데 중간에 기본속도로 제대로 들었네요 도움되는 조언입니다.

  • @hoonsroomback2
    @hoonsroomback26 ай бұрын

    진짜 멋있으시다..

  • @ohsungc2
    @ohsungc26 ай бұрын

    공모전 나가는건 단지 스펙올리는 수단이라고 생각했는데 확실히 이영상을 보고 개념이 확장된것 같아요

  • @user-we9zf3hu4r
    @user-we9zf3hu4r6 ай бұрын

    부드럽고 소프트해 보이지만 라꾸라꾸를 보면서 일에대해 근성을 엿보는 시간이었습니다

  • @user-cu5oy9ph1f
    @user-cu5oy9ph1f6 ай бұрын

    전자공학과고 회로설계쪽 생각하는데 맥락이 비슷한 부분이 참 많은거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칩가지고 깨작거리고 있는 저를 보니 건축설계라는게 참 크고 멋있게 보이네요 ㅎㅎ

  • @user-dkwnvizosdm
    @user-dkwnvizosdm5 ай бұрын

    스스로 다 할 줄 알아야한다는 게 어느정도 공감이 됩니다. 정말로 모든 능력이 필요해진 시대인 거 같아요. 이것저것 관심이 많아서 얕게 두루두루 할 줄 아는 게 걱정이었는데, 그래도 하고 싶은 건 배워봐야겠습니다.

  • @user-gr7zk1pc7n
    @user-gr7zk1pc7n6 ай бұрын

    요즘은 블라인드로 많이 채용하지만, 예전에는 아니었을때도, 설계만큼은 자신의 포트폴리오로 승부할수있는 학벌보다는 개인의 역량을 잘 표현할수있는 분야라 생각합니다. 어느 분야나 누군가는 나아가고, 누군가는 떨어져 나가겠죠. 저 역시 떨어져 나온 사람이지만, 그 또한 각자의 길을 선택해 가는 과정이니까요. 어떤 선택을 하시던 자신의 무기를 갖추시면 되요.............근데 저도 과수석이었는데 또르르ㅠ

  • @ukimed27

    @ukimed27

    6 ай бұрын

    어쩌다가 탈건축 하게되셨나요..?? 저도 건축학부생인데 설계할때든 물리 수학을 할때든 회의가 많이 들어서요.

  • @user-nb4zn7oi2e
    @user-nb4zn7oi2e6 ай бұрын

    저도 졸업반인데 전공 보다 교양 성적 평균이 높더라구요 돌이켜보면 타 학과 학생들 심지어 간호학과 학생들이랑 경쟁을 하니까 더 집중하게 공부하고 과제 준비하고 발표하고 등등 열심히 살았던것 같아요 2.5전액장학금 받고 나니까 그 동안 교양이던 필수교양이던 시각을 넓힐수 있는데에서 더 흥미를 갖게 된것 같네요 심지어 이렇게 유튜브라든가 혼자 여행 공모전 대외활동 서포터즈 등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매번 성장하고 넓혀지는 시각으로 제가 평소에 생각했던 것들이나 비교할 거리들을 경험했던 것들이 뒷배경이 되어 아이디어라든지 저만의 견해가 되어 인스타로 포스팅 하는 재미도 있었습니다

  • @user-sh5cc8eu5u
    @user-sh5cc8eu5u6 ай бұрын

    잘 시청했습니다~ 울림이 있는 말씀이었어요~

  • @user-jf5qf6ne4n
    @user-jf5qf6ne4n6 ай бұрын

    교수님~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계속 반복 읽기하고 있는 건축과 전혀 상관 없는 아줌마에요. 올 한해 저를 위해 책 읽기 좋은 의자 찾는 중인데 책꽂이 앞에 있는 의자 정보 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

  • @user-or4wc3ch7q
    @user-or4wc3ch7q6 ай бұрын

    또한번 좋은지식을 받아가네요 감사합니다 😊

  • @soohyun86
    @soohyun866 ай бұрын

    짧지만, 좋은 내용으로 영상을 준비해주셔서 많은 영감을 얻었습니다. 선순환적인 방식으로 기회가 많이 생길듯합니다. 앞으로도 하시는 모든 일 모두 번창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user-of5vo1wg9d
    @user-of5vo1wg9d6 ай бұрын

    교수님 유튭 보면서 꿀잠가능 보이스 취저

  • @thehappiest7777
    @thehappiest77776 ай бұрын

    이십년전 의상 디자인 전공자입니다. 오늘응 세대를 아우르는 모든 분들에게 적용되는 조언 같습니다. 각설하고, 교수님 착장은 누가 선택해 주시는 지 궁금합니다.꾸안꾸로 과하지 않는 세련미가 있는 의상을 입으시더라구요

  • @user-us3le5dh5o
    @user-us3le5dh5o6 ай бұрын

    학점이 딱ABCD로만 나눠지던 시절, 1학년 성적 재끼고 2학년부터 노력해 엠아이티 하버드가셨다는게 놀랍네요.자신이 원하고 맞는 전공을 한다는게 그마만큼 중요합니다. 자신이 원하는 학교와 스승 아래서의 공부라면 의욕의 날개를 달고서 바람까지 타는 격!그러나 모두가 그럴 수 없다는게 함정.

  • @LilianeDCho
    @LilianeDCho6 ай бұрын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 @user-ei5lz8bj1y
    @user-ei5lz8bj1y2 ай бұрын

    이번 팀플과제를 하게 되었는데 참 곤란한 짝을 만나 고민중이였는데 이 얘기 듣고 기분이 좋아졌어요..

  • @eugeniahan2384
    @eugeniahan23846 ай бұрын

    아 역시 와우관 리모델링 한지 얼마 안돼서 너무 좋네 ㅠㅠㅠ i동도 리모델링 해줘요

  • @user-kp2tg8vn3i
    @user-kp2tg8vn3i6 ай бұрын

    공모전…많이 나가도 좋지만 그렇다고 오바하면 안돼요 ㅠ 특히 팀플 위주로 나가는 분야는 더욱 더 ㅋㅋ 기본적으로 학교와 밸런스는 맞춰야합니다.

  • @julia57167
    @julia571673 ай бұрын

    학생의 입장으로 배운다는 생각으로 회사를 다니는데 좋은 말씀 기억해놓겠습니다. 고등학교 대학교 시절을 이렇게 보내면 좋을것 같아요. 소통 정말 중 요해요. 동료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계속 바꾸고 만들어가는데 소통만큼 좋은게 없어요. 학교, 회사가 중요합니다.

  • @jagdishsama4085
    @jagdishsama40856 ай бұрын

    play, sports, battle ; ground ㅋㅋㅋㅋㅋㅋㅋ 공감되는 말이네요

  • @user-pn2pc7fe2s
    @user-pn2pc7fe2s6 ай бұрын

    스테판쿡 니트를 멋있게 소화하시는 교수님이 대단하십니다

  • @user-pi2yp6wj9m
    @user-pi2yp6wj9m6 ай бұрын

    일본의 어느 교수가 '공부란 세상을 보는 해상도를 높이는 것이다'라고 했는데 비슷한 말씀을 해주시네요. 특히 집중적인 독서와 공부를 하는 20대 대학 시기에 그러한 작업을 해야한다는 것이죠?

  • @vamp_c502

    @vamp_c502

    6 ай бұрын

    아무래도 20대가 그보다 나이많은 30,40대보다 기억력이 뛰어나니, 한마디로 말해서 머리가 잘 돌아가니 공부하기가 더 쉽죠. 게다가 아직 부양의 의무가 없어서 집중하기도 더 수월하고… 또한 사고가 유연하고,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더 열려 있고, (그러다보니 타분야에 대한 접근도 더 용이하고), 무엇보다 배우는 과정 속에 ‘성장한다’는 것을 오롯이 즐길 수 있는 나이대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그리고 실패를 해도 30,40대보다 주위 시선 덜 신경쓰고, 덜 두려운 나이. 실패를 자양분으로 삼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나이대.

  • @user-bj3xq8gl1r
    @user-bj3xq8gl1r6 ай бұрын

    쉽게쉽게 사시지않은것같아 위안이됩니다 세상살이쉽지않다 따님아~

  • @user-oc3sy3pi6n
    @user-oc3sy3pi6n6 ай бұрын

    존경합니다.선생님😊

  • @su_a1227
    @su_a12276 ай бұрын

    유튜브의 순기능! 교수님🫵🏻

  • @user-hw8pz9ro4z
    @user-hw8pz9ro4z6 ай бұрын

    초 공감 모든것을 할줄알아야 매니져가 될수 있는거죠

  • @joshua3964
    @joshua39644 ай бұрын

    1학년 학점 듣고 순간 "응....?? 학점이 시력이여...??" 했네요ㅋㅋㅋㅋㅋㅋㅋ 저에게 희망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노력하면 교수님처럼 될수있겠죠?! 물론 각고의 노력이 필요하겠지만요...ㅠ

  • @savemyhearts
    @savemyhearts2 ай бұрын

    교수님 방을 보고 뭔가 숙연해져서 비오는 오늘 잡동사니 서재방에 간만에 정리하러 들어갔습니다. 1학년 성적은 시력보다 잘나오면 되는걸로요❤❤ ㅎㅎ 😊

  • @jaeypupo8121
    @jaeypupo81216 ай бұрын

    가르치면서 정리되는경우가 많죠. 자신만의 정리가 아니라 타인에게 가르치면서 대중(?)적(업계)인 정리가 되는듯...

  • @sjfkkkkk0090
    @sjfkkkkk00906 ай бұрын

    말씀 너무 잘하셔 ㅋㅋㅋㅋ

  • @interpark8306
    @interpark83066 ай бұрын

    항상 이런 부분에 대한 고민과 매너리즘적 자기비하가 많았는데 교수님의 의견이 제가 생각하는 부분과 같은거 같아 안심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user-sd3ft1gs2d
    @user-sd3ft1gs2d6 ай бұрын

    가족들 다같이 앉아서 봤어요 정말 유익한 정보였습니다 신랑도 건축학과 나왔는데..아들과 영상 보면서 이런저런 이야기도 나누고...영상을 본뒤 확실하게 아들은 학풍을 따지면 홍익대를 제일 가고 싶어하네요..

  • @badguy4927
    @badguy49276 ай бұрын

    교수님이 입으신 니트 너무 멋있어요

  • @rose1004yu
    @rose1004yu6 ай бұрын

    교수님 반갑습니다^^♡ 의상컨셉 탐나요^^ 보면서 1빠 댓글 욕심내봐요~~~♡

  • @user-rb8gx1ny1v
    @user-rb8gx1ny1v6 ай бұрын

    미대다니는 울딸예게 도움될듯해서 가족단톡방에 공유합니다ㅎ

  • @user-rk5by3ub3j
    @user-rk5by3ub3j6 ай бұрын

    예비대학생 이 영상을 보고 풍부한 대학생활을 하겠다고 다짐합니다

  • @chicaquedices01
    @chicaquedices015 ай бұрын

    분야는 다르지만 남은 대학생활 후회없게 잘 마무리해야겠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Silver_099
    @Silver_0996 ай бұрын

    보면서 느낀건 “잘났어 정말~” 비꼬는 거 아닙니다. 교수님의 성실함+노력+재능이 빛을 발하고 있어서 감탄한 거였습니다. 👏 👏👏👏👏

  • @rrrgggbbb

    @rrrgggbbb

    6 ай бұрын

    ㅋㅋ

  • @user-ji5rc7rj6k

    @user-ji5rc7rj6k

    5 ай бұрын

    정말 엘리트의 교과서같은 분이시죠 ㅎㅎㅎ

  • @TheFenelo
    @TheFenelo5 ай бұрын

    건축은 관심없고 침착맨 영상과 궤도님 영상으로 타고타고 와서 매력에 빠져버린 1인입니다 말씀하시는 모습 그 자체가 너무 매력적이셔서 영상들 하나하나 거꾸로 가며 보고 있습니다 제작진분들과 교수님께 이런 좋은 영상을 접할 기회를 주신것에 감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 @Denverian
    @Denverian6 ай бұрын

    흠... 엔지니어링 쪽에서 시스템 디자인 설계쪽으로 일하고 있는데,,, 대학부 경험/능력 수준에서 현실적인 "설계"라고 하는게 가능한가요? 현업에서 10년 20년 굴러 다녀도 시스템 디자인/설계 못하는 사람이 넘쳐나는데 한국 고등학교 수능에 목메는 공부만 하다가 대학에 들어가서 1년 2년 안에 설계를 목표로 활로를 개척하고 경험을 쌓고 실무가 가능한 수준으로 졸업을 시킬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기네요. 엘리트 위주의, 이미 재능이 충만한 옥석을 가려내기 위한 선별과정인건지 아니면 2-4년이라는 시간이 설계를 가르치기에 충분한 기간인건지 궁금해지는 내용이네요. 안그래도 요즘들어 지금까지와 앞으로의 경력에 대해 이런저런 생각이 많아 지고 있었는데 비슷한 맥락의 내용이라 집중해서 보게됐네요.

  • @user-jf7gy1cu8d
    @user-jf7gy1cu8d6 ай бұрын

    라꾸라꾸는 집처럼 지내라는 진리의 증표죠. 제가본 마지막 라꾸라꾸는 히터가 들어온 모델로 누워보지 않고 다른 대학원생 후배가 좋아하는 모습을 본것이 마지막이네요. 학부때는 실험대 위에서 담요깔고 잤던때가 벌써;;;;

  • @hoit309
    @hoit3095 ай бұрын

    교수님 대학교 탐방 컨텐츠 더 해주세요.. 연대편 홍대편 정말 재밌게 봤습니다

  • @madeun
    @madeun6 ай бұрын

    교수님도 버릴 수 없던 라꾸라꾸😅😂

  • @user-wo6cz7uq8d
    @user-wo6cz7uq8d6 ай бұрын

    12:41 ㅋㅋㅋㅋㅋㅋㅋㅋ저 웃음 안에 수많은 기억들이 담겨있으시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