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 세계에서는 일단 이기고 봐야 돼

*기사 및 커뮤니티 등의 재가공을 금합니다.
한길쌤 인강 www.megagong.net/teacher/home...
한길쌤 카페 cafe.naver.com/hangilhistory
메가공무원 www.megagong.net/megagong.asp
한길쌤의 저서 전한길의 성공수업
book.naver.com/bookdb/book_de...
#한국사전한길 #메가공무원 #전한길

Пікірлер: 1 100

  • @user-ym7nz1td5x
    @user-ym7nz1td5x2 жыл бұрын

    내가 약자로 살아보니까 힘들다고 도와주는 사람 아무도 없고 도와달라고 부탁 할 사람도 없더라 ... 세상 욕 그만하고 내가 뒤질때까지 노력해서 강자가 되는게 현명한거다.

  • @bunny3001

    @bunny3001

    2 жыл бұрын

    ㄹㅇ ㅋㅋ

  • @user-pg7uq7pw5p

    @user-pg7uq7pw5p

    Ай бұрын

    정답

  • @Folk_world3

    @Folk_world3

    Ай бұрын

    정답..! 이긴자가 강한거라고.

  • @sukmin9088
    @sukmin90882 жыл бұрын

    사회나가보니 정말 순진하고 착하면 먹힌다는 걸 뼈저리게 느낌

  • @user-nx5vc2ls7z

    @user-nx5vc2ls7z

    2 жыл бұрын

    만고의 진리입니다.

  • @icedog3240

    @icedog3240

    2 жыл бұрын

    순진하고 착한게 아니라 무능하고 멍청해서 먹힌게 아닌가...

  • @user-vu8jp3si2r

    @user-vu8jp3si2r

    2 жыл бұрын

    순진함 따위는 사회생활 사회성에 도움이 되지 않다는걸 뼈저리게 느끼죠.

  • @user-pr1hx8zd5e

    @user-pr1hx8zd5e

    2 жыл бұрын

    @@user-vu8jp3si2r 순진하게 행동하면서 트랩 설치하는사람도 많은데?

  • @user-vu8jp3si2r

    @user-vu8jp3si2r

    2 жыл бұрын

    @@user-pr1hx8zd5e 그건 겉으로 순진한거디 속은 아닌거잖아요 ㅋㅋㅋ

  • @user-tq6qy2ef4w
    @user-tq6qy2ef4w2 жыл бұрын

    이분은 현실을 정확히 아시는 분이다. 바른말 하는분은 늘 귀하다.

  • @tpK-kx8lc

    @tpK-kx8lc

    2 жыл бұрын

    @@TV-sy1bt 선생 ㄴㄴ 강사. 강사분들은 적자생존 좋아하죠 그래야 수강생들이 더 딴생각안하고 수업에 집중할수있으니까요

  • @co377

    @co377

    2 жыл бұрын

    @@user-jf6cz2df6u 동감합니다 ,하지만 쫌 관점울 다르게 보셔야되요 저도 당시 현강을 들었던 학생이였고 왜 저런류의 말씀을 하시는지 그 당시 생각해보면 그냥 공시생들 정신차리라고 말해주는 입장으로 보셔야되요

  • @user-or7yy8rd8l

    @user-or7yy8rd8l

    2 жыл бұрын

    @@TV-sy1bt 적자생존인걸 뭘로 바꿔 ㄷㅅ아 약자생존?ㅋㅋ

  • @june-zn2qe

    @june-zn2qe

    2 жыл бұрын

    @@TV-sy1bt 제동이?

  • @user-li3gs3ol7q

    @user-li3gs3ol7q

    2 жыл бұрын

    귀한분입니다

  • @short_view_AZ
    @short_view_AZ2 жыл бұрын

    강자가 되어야 주장에 힘도 생깁니다. 선생님 말에 동의합니다.

  • @user-qz8bd4dq1d

    @user-qz8bd4dq1d

    2 жыл бұрын

    강자가 돼야 촛불양아치들(이재명지지자선동이된놈들) 과 제대로 싸울텐데 사기나 처당하고

  • @user-mb2lt5gb7x

    @user-mb2lt5gb7x

    9 ай бұрын

    힘없어서 미국에 손벌리게 좋은방법인가????

  • @short_view_AZ

    @short_view_AZ

    9 ай бұрын

    @@user-mb2lt5gb7x 공산권 국가에 먹히는거 보다는 좋지요. 한반도에서 공산세력이 없어진다면 미국의 도움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 @user-os9ql2bk9g
    @user-os9ql2bk9g2 жыл бұрын

    저는 공무원 2년 하다기 포기하고 사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가끔식 한길샘 애기나 듣고갑니다. 약하면 끝입니다. 무조껀 이겨야 삽니다.

  • @user-mo9lv6oc5d

    @user-mo9lv6oc5d

    2 жыл бұрын

    맞아

  • @user-bq2ie4le5b

    @user-bq2ie4le5b

    Ай бұрын

    무조건 이긴다는 말은 수단방법 안가린다는 뜻인데 조폭 끼고 이긴 사람들로 넘쳐나는 한국을 알아야 됨

  • @user-rq9st8ux3n
    @user-rq9st8ux3n2 жыл бұрын

    밑바닥도 쳐보고 1타도 되어본 사람의 조언이라...이거 귀하네요

  • @user-tu5vw7eb3g

    @user-tu5vw7eb3g

    2 жыл бұрын

    오랫동안 유명한 분이죠 ㅎㅎ 대구출신 40대후반까지는 다알겁니다~

  • @user-rm5wg7yi9d

    @user-rm5wg7yi9d

    2 жыл бұрын

    @@TV-sy1bt 그렇게해서 될 세상이었으면 여긴 진작에 유토피아였어요

  • @steady6338

    @steady6338

    2 жыл бұрын

    @@TV-sy1bt 그건 당신이 "극좌" 성향이라 그렇게 보이는거 아닐까요? 뭐 눈엔 뭐만 보이는 법이죠 ㅎㅎ

  • @naturalvoice9317

    @naturalvoice9317

    2 жыл бұрын

    @@TV-sy1bt 바꾸어 가라 .. 뭘 어떤 방식으로 바꾸어 가라는 건지 대책은 있습니까? 세상을 바꾼다고요? 한 사람의 평생가는 습관도 바꾸기가 매우 어려운데 집단지성의 습관의 결정체인 세상을 바꾸는게 님 생각처럼 쉽지 않습니다.

  • @user-su3wc8fe4x
    @user-su3wc8fe4x Жыл бұрын

    국제 사회는 철저한 약육강식입니다. 전쌤 말처럼 기본적으로 힘이 있어야 지킬 수 있습니다. 국가간엔 중재해줄 판사나 경찰이 없거든요. 철저한 약육강식. 그 본질을 열정적으로 알려주시는 전쌤 화이팅

  • @user-fw3tb3kp7q

    @user-fw3tb3kp7q

    10 ай бұрын

    오 정답이네요 중재해줄 판사나 경찰이 없어요 ^^

  • @flame_flower

    @flame_flower

    9 ай бұрын

    감성이 아니라 강성

  • @user-dr5ei7ms6x
    @user-dr5ei7ms6x2 жыл бұрын

    평화라는 것도 힘이 있어야 지킬 수 있고 유지될 수 있는 법

  • @xijinpingthesnail4633

    @xijinpingthesnail4633

    2 жыл бұрын

    힘 없는 정의는 무능, 정의 없는 힘은 폭력

  • @user-cm1mk3fi1u

    @user-cm1mk3fi1u

    2 жыл бұрын

    @@xijinpingthesnail4633 평화는 힘 있는 자의 특권

  • @bloominboomin8930

    @bloominboomin8930

    2 жыл бұрын

    Si vis pacem, para bellum

  • @user-vm7ee5yv3b

    @user-vm7ee5yv3b

    2 жыл бұрын

    평화는 구걸하는것이 아니라 힘으로 쟁취하는것이다

  • @ktb5965

    @ktb5965

    2 жыл бұрын

    @@user-jf6cz2df6u 네가 사회를 먼저 바꿔 ㅋㅋㅋ 왜 젊은 사람한테 바꾸라하노? 시회바꾸고 싶지 그러면 아떻게 바꿔야되는데? 니가 알려줘봐

  • @user-di2qg1bz6b
    @user-di2qg1bz6b2 жыл бұрын

    "작가가 세상에 관심이 없으면 세상도 작가에 관심이 없다"는 말을 머리속에 새긴 이종범 작가님처럼. 전한길 쌤은 돌아가는 세상에 관심이 있고, 인간의 본성을 알고 그걸 인정할 줄 알기에, 진짜 존경합니다. 세상에 관심을 가지고, 인간이 어떤 본성을 가지고 있는지 알면 강해집니다.

  • @Dante1120
    @Dante1120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바른말을 하시는분들이 늘어나야 나라가 산다.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жыл бұрын

    그러나 현재 국민들은 이런 분이 나와도 못 알아볼 듯

  • @user-qz8bd4dq1d

    @user-qz8bd4dq1d

    2 жыл бұрын

    @@Orang_Fantasy 맞습니다

  • @user-wk3zv5gk1z

    @user-wk3zv5gk1z

    Жыл бұрын

    @@Orang_Fantasy 그래서 포기하라? 비판만 하고 해결책을 주지 않으면... 아시죠?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Жыл бұрын

    @@user-wk3zv5gk1z 개소리 하지 마세요. 문제 지적이 곧 해결책 제시의 필요 조건은 아닙니다. 해결책을 못 내놓으면 문제 제기도 하지 말라는 식의 사고 방식은 망해가는 조직의 전형적인 특징입니다. 해결책을 가진 사람만이 문제 제기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틀린 건 틀린 거고 문제 지적을 한 사람의 몫은 거기까지입니다. 해결책은 해결이 필요한 사람들이 하면 되는 겁니다.

  • @user-gi6sv2qy6i

    @user-gi6sv2qy6i

    Жыл бұрын

    이런분이 교육부 장관하면 대한민국 교육이 많이 업그레이드 될듯...

  • @Flatwhite.
    @Flatwhite.2 жыл бұрын

    한길쌤 정치얘기 몰입하면 감정 몰아 붙히면서 끝까지 말씀하실만한데..... 항상 중간에 끊어버리시는게 평소에 정말로 이성적인 판단과 이성의 끈을 놓지 않으시려는 게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 @user-zf2oe7vs3h

    @user-zf2oe7vs3h

    8 ай бұрын

    ​@user-mt7tu4uu7t이런애들때문에 끊는듯

  • @user-dd7ww3mg7y
    @user-dd7ww3mg7y2 жыл бұрын

    전한길 쌤 현실을 너무 정확하게 알려주심.

  • @sam-mu_film
    @sam-mu_film Жыл бұрын

    저도 늘 마음약해지고,흔들리고,초심잃을때마다 한길선생님 쓴소리로 마음다잡고있습니다.늘 바른소리, 쓴소리,인생선배로써의 조언.늘 감사하게생각합니다.앞으로 더 흥하세요. 화이팅~~!!!

  • @TP.universe
    @TP.universe2 жыл бұрын

    아직 이런저런 공부하고 계신 선생님들, 직장 갖게 되면 정말 정신 바짝 차리셔야합니다. 이 세상 모든것들이 선생님들의 돈을 가져가기 위해 날카로운 이빨을 숨겨놓고 웃으며 기다리고 있습니다. 기업, 공직, 자영업 구분 없습니다. 선생님들에게 이득이 되는걸 가르쳐주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사람 믿지 마시고 작더라도 스스로 자본가가 되기 위해 노력합시다...

  • @user-vt6mu4zu5z

    @user-vt6mu4zu5z

    2 жыл бұрын

    @ISS ZX 좋은 추억도 님이 말한 종이쪼가리가 있어야 쌓는겁니다^^ 아 그거없어도 쌓을순있겠죠 안좋은 추억

  • @user-bh6uh6fs3e

    @user-bh6uh6fs3e

    2 жыл бұрын

    @ISS ZX 대부분의 아이들이 돈 많고 바쁜 부모를 돈 없고 자상한 부모보다 좋아한다고 합니다. 추억도 돈이 있어야 쌓을 수 있어요. 당장 생계가 힘든데 아이들 장난감을 사줄 수는 없잖아요.

  • @onefunnyman925

    @onefunnyman925

    2 жыл бұрын

    @ISS ZX 속물이니 뭐니해도 돈이 있어야 건강을 잃었을때 불행을 막아줍디다. 돈과 행복과 비례하는 것은 아니지만 돈이 없으면서 행복할 수 있으려면 주위 가족들이 모두 지독한 감성주의자들이라야 가능합니다.

  • @user-vt6mu4zu5z

    @user-vt6mu4zu5z

    2 жыл бұрын

    @ISS ZX 뭘 계속 지나보면 안대ㅋㅋ 뭘 단단히 착각하면서 현실속에 안주하는 패배자로 밖에 안보여요

  • @user-vt6mu4zu5z

    @user-vt6mu4zu5z

    2 жыл бұрын

    @ISS ZX 난 돈의 노예가 아냐 난 지금도 행복해 이딴 자위질이나 하면서 속으로 돈의 노예라고 욕하는 자본가 밑에서 자기는 돈보다 소중한 시간, 젊음, 노동력, 감정 바쳐가면서 쥐똥만한 월급 받아가며 생계유지하는주제에 뭘 대단한걸 통달한마냥 입털고다니지 마세요. 속으로 욕해요 사람들이

  • @user-pl2mf8em9b
    @user-pl2mf8em9b Жыл бұрын

    오늘 2023년3월12일입니다 일년전 강의인데 어쩜 이렇게 오늘 딱 떨어지는 말씀을 하셨을까요 우매한 울국민들이 다같이 경청하면 얼마나 좋을까요ㅎ 너무 멋진 강의였어요 전투력 쩔어요ㅎㅎ

  • @user-sg6jt8mt5o
    @user-sg6jt8mt5o2 жыл бұрын

    30대 중반 자영업자.. 공무원시험과는 상관 없지만 선생님께 인생을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 @WolfcutAmadeusMozart
    @WolfcutAmadeusMozart2 жыл бұрын

    선생님께선 꽃미남 외치실때 가장 강해보이십니다

  • @user-eq8pj2dq9q
    @user-eq8pj2dq9q2 жыл бұрын

    학원부도 출판사 부도.. 이미 두번 죽고 살아나서 자수성가하신분의 말씀..

  • @69jameskang
    @69jameskang Жыл бұрын

    난 공무원 시험 준비하는 사람이 아닌데 전한길 샘의 저 카리스마 넘치는 정신 교육 받으러 왔습니다. 제대로 교육 받고 갑니다. 전한길 샘은 대한민국에서 표창장 줘야 할 만큼 기여하는 바가 적지 않습니다.

  • @You-yj3fh
    @You-yj3fh2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런말 해주는 사람이 진정 선생님이지.

  • @user-qz8bd4dq1d

    @user-qz8bd4dq1d

    2 жыл бұрын

    고마우신선생님 선생질은전교조놈들에게 써야 할 언어

  • @user-sf6yu8jb1x
    @user-sf6yu8jb1x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말씀 100번 공감합니다 약해지지 마세요 당장은 힘들겠지만 그게 장기적으로 사회 경제적으로는 옳은 방향라고 생각합니다

  • @user-qy6ze3yv9z
    @user-qy6ze3yv9z2 жыл бұрын

    내가 잘되고 힘이 있어야 사람들이 도와주고 붙지 그렇지 않으면 냉정한 현실입니다.. 좋은 사람도 있지만 내가 일이 잘 안풀릴 땐 무시하거나 그런 처지를 보고 위안감 삼고 우월감 느끼는 사람도 많아요ㅠㅠ 시험이 쉬웠던 운이좋았던 간에 합격한 사람은 합격한거고 떨어진 사람은 떨어졌을 뿐.. 억울하면 출세하라는 말이 딱 맞더군요ㅜㅜ 오늘도 한길쌤 동영상 보며 힘을 얻습니다

  • @user-fh8cc5so7y
    @user-fh8cc5so7y2 жыл бұрын

    수험생이 아니지만 이분 강의를 가끔 들으러 온다. 일상에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

  • @psungwan1
    @psungwan12 жыл бұрын

    내가 좋아하는 명언중 하나... "잘못는 용서하되 절대 잊지는 말자!" 다..

  • @harynlaryn
    @harynlaryn2 жыл бұрын

    경쟁이 심한 분야에서 잘나가고 승승장구하는 사람들과 넘 비교되서 제 자신이 넘 초라하고 자존심도 상해서 자책하고 무기력해지고 요즘 우울해서 다 내려놓고 한동안 쉬고 싶었는데 위대하신 전한길 선생님의 "아뭏든 저는 개인적으로 경쟁에서 일단 C발 이기고 봐야된다!!!" 한마디에 뒤통수 한 대 맞은듯 정신이 확 차려집니다. 밥먹고 힘내고 와서 화이팅 해야겠네요, 항상 현실적이고 와닿는 멋진조언들 감사합니다. 어떤 이야기보다 진솔하고 도움이 많이 되어요, 항상 건강하셔요^^♡♡♡♡♡

  • @user-ln8mr4vz2k

    @user-ln8mr4vz2k

    9 ай бұрын

    아무튼

  • @user-rv9tn3uh3q
    @user-rv9tn3uh3q2 жыл бұрын

    오늘따라 한길쌤이 유난히 흥분하셨네요~ 인생에 도움되는 현실적인 충고를 많이 해주셔서 진심 감사합니다.

  • @yh687
    @yh6872 жыл бұрын

    일단 나부터 잘되고 그 때 주변사람 도와줘도 않 늦음...

  • @eugene3040
    @eugene30405 ай бұрын

    정말 이분은 성실함, 인내심, 자존감 다 풀스텟인듯… ㄹㅇ 세계사랑 사회시간에 이런걸 배워야함 ㅜ

  • @user-cy3ck6bz4d
    @user-cy3ck6bz4d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정말 힘이 있어야해요 가정도 친구도 사회도 나라도~

  • @shlee5909
    @shlee59092 жыл бұрын

    만물의 영장인 인간이 아무리 지적이고 교양있고 도덕적인 척 해도 본질은 자연 속의 한 동물의 종류일 뿐 어떻게 보면 가장 정교하고 치밀하게 약육강식이 뿌리내리고 있는 거지 약자가 아무리 발버둥치고 벗어나려고 해도 강자에게서 못 벗어나는 구조로

  • @itsme-wj9yl

    @itsme-wj9yl

    2 жыл бұрын

    정답

  • @AsD-hl9sv

    @AsD-hl9sv

    2 жыл бұрын

    자연주의 오류

  • @user-lh7bn1kr3c
    @user-lh7bn1kr3c2 жыл бұрын

    인류 역사상 약육강식이 없었던 적이 단 1초도 없었는데 "그건 너무 인간답지 않다" 는 말처럼 나이브한 말이 또 어딨을까. 인간이 그렇게 살아왔었는데 인간답지 않다니 이게 무슨 궤변이란 말인가. 한길쌤의 요지는 약육강식은 팩트이고 역사이며 거짓 하나 없는 찐 그 자체이므로 개인 기업 국가 모두 그걸 받아들이고 현명하게 살아야 하고 자기 목숨은 자기가 지킬 줄 아는 힘과 실력을 길러야 한다는 걸 강조하는 거다. 지극히 상식적이고 합리적인 의견임에도 불구하고 이상한 감성에 젖어 그건 아니라고 하는 건 그냥 현실을 인정하기 싫다는 거지. 문제는 내가 인정하든 말든 진리는 불변이라는 거다. 자 그럼 어떻게 할 것인가? 그건 아니라고 정신승리 하면서 도태될 것인가 아니면 적응하고 살아남을 것인가? 선택은 본인이 자기 능력 선에서 하면 되지만 그 결과에 대해서는 온전히 자기 책임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만 기억하면 된다. 사실 이 주제는 논쟁거리가 될 수 없다. 그냥 약육강식은 역사적으로 수천년 동안 입증된 만고불변의 '진리'이기 때문이다.

  • @user-co3zs4gp9j
    @user-co3zs4gp9j2 жыл бұрын

    열정을 잃어버린 30대입니다 관련동영상에 떠서 하나 하나 볼때마다 선생님의 넘치는 열정이 너무 멋지십니다 제가 선생님처럼 망했었다면 다시 일어나지 못했을것 같습니다 대단하신분 같습니다 선생님의 그열정 제가 뺏아가고 싶습니다 전한길 선생님 너무 멋지십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 @TV-pc9ri

    @TV-pc9ri

    2 жыл бұрын

    이런 말을 쓰는 사람들은 노이해 왜 남의것을 뺏아간다는 식으로 표현할까

  • @MoBeeRang

    @MoBeeRang

    2 жыл бұрын

    @@TV-pc9ri 질to투

  • @user-ew4nf5fz9x

    @user-ew4nf5fz9x

    Жыл бұрын

    닮고싶습니다, 뒤따르고 싶습니다, 본받고 싶습니다 등등의 표현도 많은데.. 나이 30대인거 맞으시죠? 표현력이 좀 많이 서툴러요!

  • @user-zz3tr6qw4g

    @user-zz3tr6qw4g

    Жыл бұрын

    왜 뺏어가 ㅋㅋㅋ 배워가면 되지요

  • @user-zp2is1gx2m

    @user-zp2is1gx2m

    Жыл бұрын

    뻇아가(X) 배우고(ㅇ) 글쓴사람 다시 이글보면 창피할듯 어서 글 수정해요

  • @kwakbii1
    @kwakbii12 жыл бұрын

    저는 공무원 준비하는 사람은 아니지만 정말 인생에 도움이 되는 말씀만하십니다👍

  • @dw8176
    @dw81762 жыл бұрын

    진짜.. 정신 해이해졌다 싶음 들으러 와야되..

  • @itsme-wj9yl

    @itsme-wj9yl

    2 жыл бұрын

    되 -> 돼

  • @user-si9yz3iv3i

    @user-si9yz3iv3i

    2 жыл бұрын

    @@itsme-wj9yl 역시 백지장도 맛대면 낳다고 잘 배우고 갑니다

  • @itsme-wj9yl

    @itsme-wj9yl

    2 жыл бұрын

    @@user-si9yz3iv3i 낳x 낫o…

  • @user-ye6ty1bj4e

    @user-ye6ty1bj4e

    2 жыл бұрын

    비꼬는건데 또 지적질이넼ㅋㅋㅋㅋㅋㅋㅋ 맛도 틀렸는데 지적할라면 제대로 지적하던갘ㅋㅋㅋㅋㅋㅋㅋ

  • @Qkdcjfdl
    @Qkdcjfdl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세계도 동물의 세계와 똑같습니다. 약육강식 어디 안 갑니다

  • @user-ft7us4cy2b
    @user-ft7us4cy2b2 жыл бұрын

    쌤의 열정에 박수를 보냅니다.건강하세요~👍👍👍

  • @user-uo5wz9dt8f
    @user-uo5wz9dt8f3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힘이 있어야 나라도 정치도 가정도 경쟁입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 @hakkemi0329
    @hakkemi03292 жыл бұрын

    40년 살아보니 사회에서 착하면 호구된다 행님 믿고 독하게 살고 독하게 공부해라 공무원도 독해야 정년까지 간다 안그럼 지 스스로 못견뎌 이상 현직 선배가...

  • @userjivttrr24rriee
    @userjivttrr24rriee2 жыл бұрын

    최고의 선상님 이십니다 현실을 정확히 말씀해주시는 스승이시네요 정말 선한 빛을 나눠주시는군요

  • @user-rd238pir45qedjbd
    @user-rd238pir45qedjbd2 жыл бұрын

    지력은 인생의 매개체임 이 사회에서 공부 안하면 직업과 신분이 평생 몸으로 때워야 하는 비참한 인생을 살게 됨 평생......어차피 한번 사는거 야무지게 공부하고 지식을 쌓자 ( 갓난아기도 아는 상식 )

  • @annycho4581

    @annycho4581

    2 жыл бұрын

    옳소!

  • @windmill2004
    @windmill20042 жыл бұрын

    정말 바른 역사관을 가르치시는 참쌤 ㅠㅠ

  • @user-rn7dz4gi6m
    @user-rn7dz4gi6m2 жыл бұрын

    스위스가 중립국가를 유지할수있었던 이유도 군사적인 힘이 세서라던데 다 힘이 있어야한다..

  • @hawaii8558

    @hawaii8558

    2 жыл бұрын

    지형이 너무 험악해서 길막 유즈맵으로 학살하고 버팀 ㅋㅋㅋ

  • @user-ds6bz8gp5r

    @user-ds6bz8gp5r

    2 жыл бұрын

    위치가 한몫하긴 했져

  • @jung4754

    @jung4754

    2 жыл бұрын

    거기에다 나치 비위도 잘맞춰줌

  • @victorybylaw9803

    @victorybylaw9803

    2 жыл бұрын

    군사적인 힘은 형편없어서 언제든 침공할 수 있었고, 딱히 군사적, 경제적 가치도 크지 않았기에 완충지대로 그냥 냅둔 것.

  • @user-cl5xt1nv8i

    @user-cl5xt1nv8i

    2 жыл бұрын

    @@hawaii8558 입구막기 ㅋㅋㅋㅋ

  • @kkkk1877
    @kkkk18772 жыл бұрын

    지극히 현실적인 말씀~ 공감되네요. 쏙빠져드는 강의 잘들었습니다.

  • @Radish965
    @Radish9652 жыл бұрын

    맞는말 이런 선생님이 많아져야함

  • @user-mt3ip6it1c
    @user-mt3ip6it1c2 жыл бұрын

    매일매일 끊임없이 경쟁하는사회에서 잘 살아갈 자신이없습니다ㅠㅠ

  • @user-cm1mk3fi1u

    @user-cm1mk3fi1u

    2 жыл бұрын

    도태되는거죠. 자연스럽게.

  • @user-df4yu9cy8r

    @user-df4yu9cy8r

    2 жыл бұрын

    힘내셔야 합니다.

  • @anamyaonge

    @anamyaonge

    2 жыл бұрын

    피터지게 경쟁해서 성취하느냐 편안하게 만족해서 안분지족하느냐

  • @HaHa-qd8kf

    @HaHa-qd8kf

    2 жыл бұрын

    자연으로 떠나시죠

  • @thenry7493

    @thenry7493

    2 жыл бұрын

    인생이 죽을때까지 경쟁임..동물이나 사람이나.. 그래서 인생이 힘든거임. 멀리서 보면 희극 가까이 보면 비극

  • @parkyoungmin
    @parkyoungmin2 жыл бұрын

    힘을 기르지 않으면 나보다 강한 사람에게 먹히는 게 현실이다. 힘이 있어야 언어폭력이든, 신체폭력이든 그 어떤 폭력이나 난관도 역경도 극복할 수 있다. 스스로 힘을 길러야만 한다.

  • @user-ud6by6xt6c
    @user-ud6by6xt6c2 жыл бұрын

    네 이겨야 아름답고 숨쉴수있지 패배하면 억압당하고 살아갈수가 없는.. 공감갑니다

  • @user_16744mkkh
    @user_16744mkkh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올바르고 객관적인 역사교육 너무 감사합니다

  • @user-abcd12346
    @user-abcd12346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일단, 강하고 똑똑하고 가진게 많아야 합니다.... "가까운 새끼(동료+친구)일수록, 적일 확률이 높습니다. - 아군은 "가족[부모+배우자+자식] 밖에 없다.

  • @nightmaresoldiers
    @nightmaresoldiers2 жыл бұрын

    옛날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에도 이런 대사 나왔잖아요. "강자는 약자를 병탄한다, 강자는 약자를 인탄한다. 강자는 약자의 것을 빼앗지 강자의 것을 빼앗냐? 천년 전에도 천년 후에도 똑같다" 라는 대사요 ㅋㅋ 잡아먹히지 않을려면 힘이 있어야 합니다.

  • @Craig.H

    @Craig.H

    2 жыл бұрын

    현실이 그러한거랑 정당성은 다른문제인데 국제질서야 정글과같아서 그렇다하지만 국내정치,경제에서도 그래야하는가?는 다른문제입닏ㅏ

  • @msp6981

    @msp6981

    2 жыл бұрын

    @@Craig.H 그 정당성이란게 도대체 뭔데요? 자유민주주의에서 경쟁은 필수불가결의 요소입니다 기본적으로 취업조차 경쟁을 해서 이겨내야 내가 원하는곳에서 일할수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경술국치의 부당함을 알리려고 을사조약의 부당함을 알리려고 갖은 노력을 다했지만 그 누구도 안들어줬습니다 정당성을 주장하고싶으세요? 당신이 일론머스크,빌게이츠처럼 돈벌어서 하층민들을 위한 자선 사업을 펼치시면 됩니다 아무리 좋은 주장도 본인이 영향력이 있으면 그 주장도 영향력있지만 본인이 아무것도아니면 그 주장도 묻히게되는거에요

  • @Craig.H

    @Craig.H

    2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면 민주주의지 자유민주주의 ㅋㅋㅋㅋ자본주의랑 민주주의랑 매우 잘못 혼동하시는것같은데요, 그것도 우리나라 극우들처럼. 자본주의는 경제를 위해 선택한 도구이고 민주주의 정치를 위해 선택한 원칙입니다. 제가 말씀드린 포인트도 파악못하신것같은데, 먼저 국제질서와 국내정치의 구분이 필요하구요, 현실이 경쟁과 약육강식이라고 하는것과 그것이 정당한건 다르다는 겁니다. 올림픽 육상 100m 경기에서 우린 옆 레인과 경쟁하는게 “현실”이고 그 와중에 옆 레인 선수를 밀칠수없고, 신호가 울릴때 출발해야한다 그렇게 룰를정하고 따르는게 정당성입니다.

  • @msp6981

    @msp6981

    2 жыл бұрын

    @@Craig.H 정확히 자유민주주의가 맞습니다 민주주의의 갈래는 많고 사회주의에도 사회민주주의가 있습니다 그냥 앞에 붙은건 경제체제라고 생각하시면되요 그리고 그 똑같은 출발선은 모두에게 주어져요 하지만 자유경제체제에서는 그 출발선을 출발할때 돈많은 사람들은 더 좋은 보조기구가 있을뿐이죠 뛰어난 사교육시스템,공부에만 전념할수있는 환경혹은 다른 자신만의 재능을 찾을 수 있는 환경등이요 그게 부당하다고 느껴질순 있겠죠 그렇다고 그걸 정당성이란 이유로 억압한다면 그것또한 또다른 부당함이죠 그래서 제가 글 말미에 님이 돈 많이 벌어서 하층민들도 의지가 있다면 그 레이스를 하는데있어서 외부적요인에 신경쓰지않고 레이스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자선사업으로 도와주라한겁니다 행하지도 않고 부당해하고 빼액대봤자 달라지는거 없어요

  • @user-fs7zc5vw7e

    @user-fs7zc5vw7e

    2 жыл бұрын

    이상주의자들 특: 말은 참 잘해요. 말만.

  • @user-lw8ly8jd4s
    @user-lw8ly8jd4s2 жыл бұрын

    진짜 주옥같은 강의다. 공시생들아 공부도 중요하지만 나이 20 넘었으면 세상 돌아가는것도 알고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는게 더 중요하다ㅜㅜ 내년 대선에 나라의 운명이 걸려있다 제발 정신차려라

  • @hj6686

    @hj6686

    2 жыл бұрын

    뽑을사람이 없다 인물이....

  • @bonobono3810

    @bonobono3810

    2 жыл бұрын

    40-60 들이나 정신차리쇼

  • @user-lw8ly8jd4s

    @user-lw8ly8jd4s

    2 жыл бұрын

    @@bonobono3810 40,50이 젤 문제다. 아주 제대로 깨졌네

  • @azarov2738

    @azarov2738

    Жыл бұрын

    둘 다 등신이었습니다~

  • @user-lq9le9zf1w

    @user-lq9le9zf1w

    9 ай бұрын

    그나마 차악....차선...다행..자유가 젤 중요~~~

  • @user-nn6fb2ui4t
    @user-nn6fb2ui4t2 жыл бұрын

    구독 박고 갑니다 선생님 목소리 톤 열정이 넘 칩니다 현실성 일는 명언

  • @user-cc4rw9ol2h
    @user-cc4rw9ol2h2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무결점한 지도자 찾다가 무능한놈만 남는다 동감

  • @user-xd3sg4mu6b
    @user-xd3sg4mu6b2 жыл бұрын

    다른 어떤 영상보다도 직관적이고 현실적인 조언! 수험생은 아니지만 이런 스승을 둔 수험생 제자분들은 참 좋을 것 같습니다 ! 늘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

  • @utopial9796
    @utopial97962 жыл бұрын

    공무원 강의 수강해본적도 없는 사람이지만 매번 영상나올때마다 챙겨봅니다 항상 공감되고 감동적인 말씀 많이 해주시거든요~ 감사드려요

  • @user-vh4dm7ir8c
    @user-vh4dm7ir8c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저 사람 착하다 사람좋다 본질은 저 놈 다루기 쉬운놈이다!

  • @user-cq6ln6ch8y
    @user-cq6ln6ch8y2 жыл бұрын

    경쟁에서 이기는게 중요하지만 때로는 지는게 이기는 경쟁도 있고 당시에는 경쟁에 져서 손해였지만 장기적으로는 그게 이득인게 있습니다. 전자를 소탐대실이라하고 후자를 전략적인내라고 하지요. 경쟁에서 이기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게 이겨야 하는건지 져야하는건지 분별있게 판단하는 지혜역시 필요하고, 개인의 행복의 관점으로 봤을 때 역시 지나치게 경쟁적인 태도는 마음의 여유를 잃게하고 이는 한 개인이 누리는 행복의 관점에서 좋은 태도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사회 전체적으로도 지나친 경쟁은 경쟁만능주의고 사회 구성원간의 연대에는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생각합니다.

  • @user-jv7zq9vy4g

    @user-jv7zq9vy4g

    Жыл бұрын

    저도 격하게 동감합니다. 우리가 지향해야하는 방향이 말씀하신 거처럼 가야하는 점은 분명합니다. 다만, 냉혹한 현실에서의 한길쌤의 조언도 새겨들을 필요는 있다고 봅니다.

  • @whaleofeuropa
    @whaleofeuropa2 жыл бұрын

    나이 먹을수록 사회가 무섭다

  • @HappyUnderBoss
    @HappyUnderBoss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ㅎㅎ

  • @user-iy5pi1or7n
    @user-iy5pi1or7n2 жыл бұрын

    우크라이나 러시아 침공 이후로 또 와닿는 강의네요

  • @user-ff5nf3by2m
    @user-ff5nf3by2m Жыл бұрын

    진심이 너무너무 느껴집니다. 전한길 쌤 흥하십쇼

  • @user-rd4jd1db4o
    @user-rd4jd1db4o2 жыл бұрын

    진짜 제가 느끼는 감정 생각 그대로입니다.

  • @sunyounglee9181
    @sunyounglee91812 жыл бұрын

    저도 공무원이랑 상관없는 사람인데 선생님 얘기 듣고 싶어서 자꾸 찾아보게 되네요

  • @user-rg9xn8xh2r

    @user-rg9xn8xh2r

    10 ай бұрын

    저도요

  • @dt7826
    @dt78262 жыл бұрын

    너무 멋지십니다 최고입니다

  • @samemoon1977
    @samemoon1977 Жыл бұрын

    구구절절 맞는 말씀 감사합니다❤

  • @YTN24
    @YTN242 жыл бұрын

    개인이 파산해도 살아갈길은 있음 기업이 파산해도 살아갈길은 있음 나라가 파산해도 살아갈갈이 있을까? (있기야 있지만 감당 불가..)

  • @dogcrazy8864
    @dogcrazy8864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태어날때부터 뭔가 하나씩은 가지고 태어나야합니다. 잘생기거나 돈이 많거나 머리가 좋거나 이도저도 아니면 일단 시작부터 힘듭니다.

  • @user-rk7dh2yu8z
    @user-rk7dh2yu8z9 ай бұрын

    반일해서 남는게 없다 공감

  • @user-go5mc4rs4g
    @user-go5mc4rs4g Жыл бұрын

    속이 다 시원하네요. 고마워요

  • @user-es2en3nj4j
    @user-es2en3nj4j2 жыл бұрын

    정말 옳은 말씀 하시네요. 동의합니다.

  • @user-pl6oy7vp7v
    @user-pl6oy7vp7v2 жыл бұрын

    나도 미국 철수 하라는놈들 한심하고 철수할까봐 걱정이다 그럴일 없겠지만 철수하자마자 러시아 중국 북한 일본 생각만하도 지옥이다 ㅋ ㅋ진짜 미국에게 감사해야지..

  • @user-fp2wo7wu2b

    @user-fp2wo7wu2b

    2 жыл бұрын

    미군철수 하라는 놈들은 한심한게 아니고 빨갱이 입니다

  • @user-jh8ns4qo1r

    @user-jh8ns4qo1r

    2 жыл бұрын

    @호연 미국으로 인한 우방입니다 적국이에요

  • @suki8900

    @suki8900

    2 жыл бұрын

    @호연 일본인?

  • @user-li2tx2xv1x
    @user-li2tx2xv1x Жыл бұрын

    너무 옳으신 말씀입니다. 최고의 강사입니다^^

  • @user-si9ri5pu1q

    @user-si9ri5pu1q

    6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ㅎㅎ

  • @JH-qu3mn
    @JH-qu3mn2 жыл бұрын

    전한길선생님의 소신과 당당함을 존경합니다. 논리적인 사이다 발언 응원합니다. 일본과 조금만 친해지려면 친일몰이, 허울좋은 자주로 남좋은 일만 하려는 미군철수, 노사 갈라치는 세력들, 종교에 대한 합리적 관점을 당당히 하시는 모든 것을 존경합니다. 미래의 공무원들에게 균형된 역사관을 가르치시는 것만으로도 안심이 됩니다.

  • @user-dq1tq4lq1u
    @user-dq1tq4lq1u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냉정한 현실입니다 내가힘이있어야 최소한 이용안당하고 내거를 지킬수가있어요

  • @hereiam3600
    @hereiam3600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제가 하고 싶은 말 다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sp2jf3mz3i
    @user-sp2jf3mz3i2 жыл бұрын

    역시 최고강의 클라스!!!!!

  • @thenry7493
    @thenry74932 жыл бұрын

    인생 멀리서 보면 희극 가까이 보면 비극

  • @user-kg4jh8iv5k

    @user-kg4jh8iv5k

    2 жыл бұрын

    오...굿

  • @graves376

    @graves376

    2 жыл бұрын

    찰리채플린

  • @BiElseuki
    @BiElseuki2 жыл бұрын

    역시 대단한 전한길 샘

  • @nachos10879
    @nachos108792 жыл бұрын

    가끔 누군가는 이런 얘길 들으면 "무자비하고 정없다"고 하겠죠. 그런 본인 역시 정작 누군가를 밟고, 이기고 살아왔을텐데

  • @uuib_asdf0_0
    @uuib_asdf0_02 жыл бұрын

    강해져서 자기 사람들을 지키는 힘을 갖는게 살아가는것에 있어서 큰 목적이 아닐까싶네요

  • @dnjsdn0912
    @dnjsdn0912 Жыл бұрын

    한길쌤 최고입니다~!!!👍👍👍👍

  • @minpark8733
    @minpark873310 ай бұрын

    흐아 화끈합니다. . 진정 부랄달린 남자의 목소리 ㅡ진정한 . 세상살이 의 강의입니다. . 굿입니다.

  • @user-sn7is4dz6e
    @user-sn7is4dz6e2 жыл бұрын

    너무 멋있다 진짜 거를 말씀이 없어요 선생님

  • @user-nt6lw6yy6i
    @user-nt6lw6yy6i2 жыл бұрын

    역사는 한길선생님 밖에 없네요... 뭐 공무원 시험과 관계는 없지만 지나가다 유투브 체널보이면 항상 신청하게 되네요...

  • @user-nn4uz6yz8m
    @user-nn4uz6yz8m2 жыл бұрын

    한길이형 최고

  • @user-zj3ez2zy6z
    @user-zj3ez2zy6z2 жыл бұрын

    모든 말씀에 다 동의합니다 선배님^^ 딱 선까지만 가셨다가 다시 침착하게 내려오시는 모습이 대단하십니다..ㅎㅎㅎㅎ긁어부스럼은 만들지 않으면서도 소신을 피력하시는 모습.. 킹받..♡

  • @user-tr6yn5cf5r
    @user-tr6yn5cf5r2 жыл бұрын

    역시 선생님 짱 ㅡ

  • @Director_LeeSY
    @Director_LeeSY2 жыл бұрын

    저도 같은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아주 반갑네요. 전강사님

  • @taeuum
    @taeuum2 жыл бұрын

    정말 어디가나 피라미드처럼 경쟁이 있기에 지금 현재에 만족되는 직업은 없는 것 같습니다 :)

  • @repeat-77
    @repeat-77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ev5ou3ms9q
    @user-ev5ou3ms9q2 жыл бұрын

    전한길쌤 영상 자주 보는데 오늘 특히 독이 올라오셨네요 ㄷㄷ

  • @parkjeongbin792
    @parkjeongbin7922 жыл бұрын

    그렇지 이게 맞지 힘이 없는 주제에 무슨 자주국방이냐

  • @jungjoolee2427

    @jungjoolee2427

    2 жыл бұрын

    2021년 1월 16일 미국의 군사력 평가기관인 글로벌파이어파워(GFP)가 발표한 2021년 군사력 순위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세계 138개국 중 6위에 올랐다. 우리나라 힘없죠? 북한이 28위입니다.

  • @Lee-ry6ks

    @Lee-ry6ks

    2 жыл бұрын

    @@jungjoolee2427 적국이 중국인데 자주국방이 가능하다고 믿나요?

  • @user-gj8be3dz7k

    @user-gj8be3dz7k

    2 жыл бұрын

    @@jungjoolee2427 6위라쳐도 비대칭무기 제외한 전력이겠죠 주변에 중국 러시아가있는데 자주국방같은 개소리 자제좀하세요 제발

  • @parkjeongbin792

    @parkjeongbin792

    2 жыл бұрын

    보세요 여러분 저따위 의미도 없는 랭크를 보여주면서 국뽕으로 자위질하는 인간들이 많으니.... 그저 안타까울 뿐입니다 이러면 또 매국노니 뭐니 하면서 ㅈㄹ하겠지

  • @user-lv8ci8lb1y

    @user-lv8ci8lb1y

    2 жыл бұрын

    @@jungjoolee2427 핵무기 앞에 아무 의미없는 전력

  • @msgyoo6416
    @msgyoo64162 жыл бұрын

    자막 대박입니다ㅎㅎ 꽃미남들ㅎㅎㅎㅎ 실 내용은 무척 다르네요

  • @user-vv7jq6uf3t
    @user-vv7jq6uf3t2 жыл бұрын

    멋지십니다!!!

  • @user-mp4hr4qu2n
    @user-mp4hr4qu2n2 жыл бұрын

    역시 썸네일에서 진정한 한길쌤스피릿이 보이네요:)

  • @user-ds9lg5dh7j
    @user-ds9lg5dh7j Жыл бұрын

    너무나 현명하고 지혜로운 분 응원합니다 전한길님!

  • @mjroomguitar
    @mjroomguitar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동물의 왕국을 좋아하는데, 기상천외 피눈물도 없는 생존, 번식.. 문명의 울타리 속에서도 근본은 안바뀜

  • @sangsukkim8901
    @sangsukkim89012 жыл бұрын

    구구절절 옳으신 말씀 감사합니다.

  • @yusoo52
    @yusoo529 ай бұрын

    지당하신 말씀이십니다 ❤

  • @user-id6jw2os9u
    @user-id6jw2os9u2 жыл бұрын

    시원하다 꽃보다 전한길 씨발... 형님 다시 한번 마음 다잡고 일해보자.. 씨발 무한경쟁, 약육강식! 어쩔수없어 씨발 이겨야 되는거야 전한길 쌤 존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