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yeongbokgung Palace Guard Inspection Ceremony, “Cheobjong” (Oct 2023) 경복궁 흥례문 첩종(疊鐘) 재연

🗓 Recording date: Oct, 2023
“Cheobjong” Palace Guard Inspection Ceremony
According to Gyeonggukdaejeon, Cheobjong, literally means “the big bell” used under an emergency state and the King´s inspection. At the toll of Cheobjong, palace guards gathered together to go under an inspection, along with the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It is recorded that such event was carried out not only to tighten the military discipline and but also to maintain the fundamentals of the country.
기간 : 2023. 10. 20.(금) ~ 10. 22.(일)
시간 : 오전 11시, 오후 2시
장소 : 경복궁 흥례문 앞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직무대리 신성희)는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과 오는 20일부터 22일까지 오전 11시와 오후 2시에 하루 2회 경복궁 흥례문 앞에서 2023년 궁궐 호위군 사열의식 첩종(疊鐘) 행사를 개최한다.
2011년 처음 시작된 궁궐 호위군 사열의식 ‘첩종(疊鐘)’은 코로나19 이후 4년 만에 재개되는 행사로, 『경국대전』을 토대로 국왕의 행차와 사열을 위한 진법(陣法)과 연무(鍊武)를 극으로 재구성하여 선보인다.
* 사열: 부대의 훈련 정도, 사기 따위를 살피는 일
* 진법(陣法): 전투를 수행하기 위하여 일정한 형태로 군대를 배치하는 방법
* 연무(鍊武): 무예 시연
‘첩종’은 경국대전(병전 25편)에 나와 있는 어전사열(御前査閱) 및 비상대기에 사용되는 큰 종을 의미하는 동시에, 궁궐에 입직한 군사뿐만 아니라 문무백관과 중앙군인 오위(五衛)의 병사들까지 모두 집합하여 점검을 받는 사열의식이기도 하다. 군대의 군율을 유지하고 군기를 다스려 국가의 근본을 유지하고자 하는 조선전기의 중요한 제도로, 건국 초기 문무의 조화 속에 국가의 안정을 꾀한 조선왕조의 면모를 보여준다.
* 어전사열(御前査閱): 국왕 앞에서 군사의 훈련 정도나 상태를 점검
* 문무백관(文武百官): 모든 문관과 무관
* 오위(五衛): 조선시대 중앙 군사 조직으로, 중위(의흥위), 좌위(용양위), 우위(호분위), 전위(충좌위), 후위(충무위)로 구성
이번 행사에서는 약 120명의 출연자들이 조선 초기 진법인 ‘오위진법’ 중 일부를 직접 펼쳐 ‘진(陳)’의 운영 원리를 사실적으로 보여주며, 전통무예 시연과 함께 실제 전투 장면도 연출한다. 특히, 고증을 기반으로 재현된 조선전기의 복식과 무기, 의장물도 볼 수 있다.
행사는 별도의 사전 예약 없이 현장에서 무료로 즐길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누리집(royal.cha.go.kr)과 한국문화재재단 누리집(chf.or.kr)을 참조하거나, 한국문화재재단 활용기획팀(☎02-3210-1645)으로 문의하면 된다.
참고로, ‘첩종’ 행사 기간 중에는 수문장 교대의식과 광화문 파수의식을 운영하지 않는다.
문화재청은 4년 만에 열리는 이번 ‘첩종’ 행사를 통해 국민들이 조선시대 궁궐 호위 문화의 생생함과 힘찬 기상을 엿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cha.go.kr
📷 Seoul Street Photography l Follow on Instagram
/ seoul_4k
#Gyeongbokgung #Cheobjong #경복궁 #첩종 #월대

Пікірлер: 86

  • @ps-tl4ls
    @ps-tl4ls8 ай бұрын

    이런거 전통행사 많아졌으면. 촬영감사합니다

  • @haninsuk5
    @haninsuk58 ай бұрын

    우리 궁에서 전통 사열의식을 펼칠 수 있는 전통이 있고 ...자랑할 수 있는 풍부한 문화가 많다는 사실에 새삼 자부심을 느낍니다.

  • @user-hn1xl2eo7b

    @user-hn1xl2eo7b

    7 ай бұрын

    넘ㆍ넘좋아요~♡♡

  • @voyager1145
    @voyager11458 ай бұрын

    I love you Seoul🤘

  • @sophiecellie8270
    @sophiecellie8270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liajieon9737
    @liajieon97378 ай бұрын

    너무 멋있고 설명이 있어서 더 재미있고 뜻깊게 느껴지네요. 설명과 같이 관광하면 두배 이상으로 재미있고 뜻깊잖아요!!~^^** 실제 상황을 연출하듯이 대사가 있어서 그 때 상황을 보는 듯 하네요!~^^♡

  • @serthe2007
    @serthe20078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의 한국인 친구입니다. 괜찮으세요? 녹화해주신 영상 잘 봤습니다. 좋아요 버튼을 눌렀습니다. 이제 주말 잘 보내시길 바랍니다. 신의 가호가 함께 하시길 바랍니다. Sergio São Paulo Brazil

  • @yamiyami595
    @yamiyami5953 ай бұрын

    멋있다 ~ 긴데도 넋놓고 봤네요

  • @user-uo6if3mo6d
    @user-uo6if3mo6d8 ай бұрын

    멋있습니다!! 중앙군 대상의 대규모 사열인 열무(閱武)와 달리 금군(禁軍)은 첩종(疊鐘)이라는 점검을 했군요!

  • @heat8544
    @heat85447 ай бұрын

    멋지다

  • @lomejordelrincondemicocina2682
    @lomejordelrincondemicocina26828 ай бұрын

    Hermoso lugar 👍🌷

  • @K73029256
    @K730292567 ай бұрын

    연출 너무 멋지게 하셧네 영화 찍는줄 외국인 관광객 많아서 저런 멋진 행사 자주 했으면 좋겠네요

  • @user-vr7fi7lk7j
    @user-vr7fi7lk7j8 ай бұрын

    포케이라 다르구먼요😊

  • @percentone1325
    @percentone13258 ай бұрын

    사극 보는 느낌, 디민 클로즈업이 없으니 약간 아쉽다능~ 근데 하늘 빛깔이 정말 좋네요, 역시 아름다운 가을 하늘~

  • @bossbsj1739
    @bossbsj17397 ай бұрын

    여기 선비님들과 낭자들이 다 모이셨네 그 것 도 국제적으로 한마당 일세

  • @user-sz6jb9wb6z
    @user-sz6jb9wb6z7 ай бұрын

    궁궐 우리전통 덕후로써 이런행사 너무 좋아요💓

  • @user-sw5nt9qx8r
    @user-sw5nt9qx8r8 ай бұрын

    멋지네요 좀더 속도감있게 진행됐음 더 좋겠다

  • @bossbsj1739
    @bossbsj17397 ай бұрын

    왕은 옆 계단이 아닌 중앙에 있는 계단으로 가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충헌하여 주시 옵써서~~~ ^^

  • @kor22-24
    @kor22-248 ай бұрын

    이와중에 궁 지붕 위에 떠있는 구름 무엇!! 너무 이쁘네요🩵🩵

  • @user-jl1cu9bs8e

    @user-jl1cu9bs8e

    6 ай бұрын

    쯧쯧

  • @b8f57
    @b8f578 ай бұрын

    날짜하고 시간도 있었으면..

  • @golds527
    @golds5277 ай бұрын

    "Gyeongbokgung Palace" 가 아니라 "Gyeongbok Palace" 가 바른표현이라고 봅니다. 왜 그런고 하니 "Gyeongbokgung"에서 gung은 "Palace"임이 벌써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Gyeongbokgung Palace" 를 다시 한국어로 번역하면 "경복궁 궁"이라는 이상한 말이되기 때문입니다.

  • @june-vx3yl

    @june-vx3yl

    Ай бұрын

    븅신아 그거 누가 모르냐? 한국인들이 다 “경복궁” 이라고 부르는 고유명사니깐 “경복궁”을 그대로 쓰고 그게 무엇인지 알 수 있도록 뒤에 palace를 붙이는거다. 외국인 한국인에게 “경복팔레스가 어디에요?” 하면 알아듣냐???

  • @user-qq8uv4ht4u
    @user-qq8uv4ht4u11 күн бұрын

    일주일에 1,2번 행사하면 한국을 알리는데 효과 엄청날것

  • @user-qq8uv4ht4u
    @user-qq8uv4ht4u11 күн бұрын

    중요 인물은 배우섭외해 관광차 한국방문하는 더 많이 방문하도록

  • @user-qq8uv4ht4u
    @user-qq8uv4ht4u11 күн бұрын

    마감때 청중이 환호할수 잇도록 음식을 다같이 즐길수 잇게 만찬을 다같이하면 좋은 장면이 연출될수잇겟네😊

  • @--ee6dm
    @--ee6dm7 ай бұрын

    서울에서 새파란 하늘이라니...

  • @ksmb2333
    @ksmb23334 ай бұрын

    조선 오빠들...

  • @tgpjyy
    @tgpjyy7 ай бұрын

    관굉 홍보의 목적이라면 관객이 편안하게 볼 수 있게 계단식 의자를 주변에 배치하면 좋을듯 설치외 철거가 용이한 구조로

  • @211st4
    @211st43 ай бұрын

    기획자가 전경출신인가

  • @chakawai9727
    @chakawai97277 ай бұрын

    촬영이 분명치 안햇서 상감마마 커영 그림자만 보일뿐..😢

  • @xena4975
    @xena4975Ай бұрын

    첩장 아니고 첩종 ㅋㅋㅋ

  • @user-rs1fp8yv7n
    @user-rs1fp8yv7n8 ай бұрын

    의자를 설치하여 앞줄은 앉아서 보게 하고 뒷줄은 자유롭게 했으면 관람하기 편했을텐데,,,,,관객들은 조용히좀 하고

  • @user-ht3ug5hh2r
    @user-ht3ug5hh2r3 ай бұрын

    천막 좀 에반데

  • @user-xv7kx7sz9p

    @user-xv7kx7sz9p

    Ай бұрын

    저 처막은 현대적인게 아니라 고증된 천막입니다..

  • @sharhu
    @sharhu8 ай бұрын

    강동원인간유전자

  • @wawang1379
    @wawang13798 ай бұрын

    오세발이가 덮어놓고 다시 까뒤집어서 칭찬받는 아이러니한 현상

  • @chinlee4391
    @chinlee43917 ай бұрын

    하나의 문화 상품으로 좀 재밌게 만들어야지 이게 뭐냐. 전통 보다는 엔터 쪽으로 치중해서 만드는게 낫다

  • @user-jl1cu9bs8e

    @user-jl1cu9bs8e

    6 ай бұрын

    판타지 사극처럼 날라다니고 장풍 쏘고 경공술하고 그래야 되는거지? ㅋㅋ당신수준으로 그런게 좋지

  • @ksmb2333

    @ksmb2333

    4 ай бұрын

    멀리서 찍으니까.. 그리고 님 10분만에 댓달고 튄 거 같음.

  • @Goingtothemars

    @Goingtothemars

    2 ай бұрын

    저기는 궁궐이니까요

  • @user-lo6bw1mp3g
    @user-lo6bw1mp3g7 ай бұрын

    그런데 이거 고증을 철저하게 거친건지 의심됨. 너무 현대식 군인 모습 같아서ᆢ과연 조선시대에도 저런 구령에 저런 동작에 저런 의식이었을까ᆢ

  • @user-jl1cu9bs8e

    @user-jl1cu9bs8e

    6 ай бұрын

    본인 무식함을 인증하지마시고요 복식고증도 완벽에 최대한 가깝게 잘재현했구요 구령동작 왜 절도없을거라고 편견을 왜 의구심으로 쓰는지 어이가 없구만요

  • @ksmb2333

    @ksmb2333

    4 ай бұрын

    저거 융복이라고 문관 무관이 둘다 전시에 입는 복장 스타일임.

  • @521Qom-gv8ke
    @521Qom-gv8ke6 ай бұрын

    역사적 고증으로 재현한 의상이 아닌 드라마등 판타지에 영향을 받은 복장같네요..조선은 염색기술이 매우 열악해 색상있는 의복은 왕족과 소수의 권력층만 입었고 일반백성이나 양반등은 흰옷만 입었다고합니다..흰색을 사랑하는 백의민족으로 교묘히 포장한것

  • @user-jl1cu9bs8e

    @user-jl1cu9bs8e

    6 ай бұрын

    어휴 여기도 또 무식이 판치는 수준바닥을 인증하는 댓글 또 있네 15세기 복식고증한건데 이걸 판타지라고요? ㅋㅋ 사극이 오히려 대부분이 판타지의상인데 어설픈게 만든 유사 구한말 사극옷이 고증인줄 아슈?

  • @user-jl1cu9bs8e

    @user-jl1cu9bs8e

    6 ай бұрын

    그리고 또 한가지 흰옷도 염색한것임 처음부터 흰색이 아님

  • @user-jl1cu9bs8e

    @user-jl1cu9bs8e

    6 ай бұрын

    색상있는 옷을 고위관족옷이라는 편견을 버려 물론 염색이 비용이들지만 흰옷도 염색하는것이라 같음 님이 똥닦는 휴지도 처음부터 흰색이 아니듯이

  • @ksmb2333

    @ksmb2333

    4 ай бұрын

    저 복장들 해외로 반출되었던 조선 왕실 행사 복원도 찾아내서 그대로 고증한 것들이에요... 복원해 놓고 나니까 저렇게 칼라풀해진거. 제발 역사 공부하는 성의라도 보이고 댓 싸지르세요. 일제가 창작하고 조선까들이 베껴쓰는 어설픈 사이비 주장을 그대로 가져오지 말고

  • @ksmb2333

    @ksmb2333

    4 ай бұрын

    조선 염색기술 후지다는 일본발 정신승리는 30년도 전에 진즉 끝장난 주장인데... 조선까 찐따 인증하고 싶음 사이비 주장이라도 좀 발전된 주장을 가져오든가..

  • @user-qq8uv4ht4u
    @user-qq8uv4ht4u11 күн бұрын

    일본어는 하지마라

  • @cjpark3001
    @cjpark30018 ай бұрын

    알아 듣지도 못하는 마이크의 시끄러운 목소리 보다 부채춤이나 아름다운 궁중음악을 한복입고 입장한 관광객이 더 좋아 합니다. 외국인도 같이 참가해서 춤을 추는 강강술래, 아리랑 노래가 궁궐 호위군 사열의식 보다 훨씬 Welcome 의미가 전달 됩니다!!!❤

  • @ibrahimo6075

    @ibrahimo6075

    8 ай бұрын

    갑자기 광화문에서 부채춤을 추라구요? 무슨 지역관광축제인줄 아시나? 이건 재연 행사인데 .. 안그래도 한국 근본 없다고 욕 먹는데

  • @msshh2

    @msshh2

    8 ай бұрын

    지랄 그 나라의 문화도 존중못하고 외국인한테 보기좋은것만 대접하면 그게 신 사대주의지 문화홍보냐 뼛속부터 남한테 기생못하면 숨을 못쉬는 병이라도 있음?

  • @user-jl1cu9bs8e

    @user-jl1cu9bs8e

    6 ай бұрын

    당신혼자 보세요 부채춤 추시고

  • @kor22-24
    @kor22-248 ай бұрын

    일본어는 왜 나오는건지 참 이해않되고 거북스럽네요. 중국어도 그렇고. 영어통역만 나오면됐지!!!

  • @user-lf3kq1np1x

    @user-lf3kq1np1x

    8 ай бұрын

    반일은 정신병

  • @KBH0407

    @KBH0407

    8 ай бұрын

    현직 경복궁 수문장 교대의식 안내 방송하는 사람입니다. 일, 중어를 제가 맡지는 않지만 이 언어를 방송해주시는 분들도 한국 사람이시고 하나의 직업으로 박봉 받아가면서 열심히 일하고 계십니다. 저는 해외 여행을 가면 한국어로 번역되어있거나 한국어로 안내를 해주면 정말 감사함을 느낍니다. 그만큼 한국의 위상이 오른 것도 있겠지만 또 그만큼 그 나라가 한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서 나름 서비스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지요. 그런 까닭에 이런 서비스를 받을 때마다 내가 어렵게 느껴지던 행사나 공연들에 대해 그래도 일부 이해할 수 있어 고마움을 느낍니다. 사실 이 분들은 선생님 같은 분들의 기분을 나쁘게 하라고 이 일을 하는게 아니라 국내에 해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서 나름 최선을 다해 일하는 것입니다. 이런 서비스가 오히려 해외에 귀감이 되고 해외의 언어를 모르는 우리나라의 다양한 사람들이 해외에 나가서 같은 대접을 받을 수 있는 밑거름이 된다고 자부합니다. 사실 국내에 반일, 반중 정서가 있기 때문에 그렇게 말씀하실 수도 있지만 선생님 같은 분들의 말씀에 일하는 사람들은 상처를 받습니다. 댓글을 쓰실 땐 비록 내 눈 앞에 보이지 않더라도 상대방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댓글을 작성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user-ow6ry2ks4x

    @user-ow6ry2ks4x

    8 ай бұрын

    병신 ㅋ

  • @user-fv2st6zq5j

    @user-fv2st6zq5j

    7 ай бұрын

    2023년을 살아ㅋㅋ 니는 혼자 무슨 독립운동 이라도 하냐 니 얼굴이 더 거북해ㅋ

  • @user-ud2xn4oy4k

    @user-ud2xn4oy4k

    7 ай бұрын

    맞춤법이나 맞춰써라

  • @user-rd1eg8np8y
    @user-rd1eg8np8y7 ай бұрын

    누가 연출 한건지 참 완전한 전통도 아니고 그렇다고 시대에 맞는것도 아니고

  • @user-jl1cu9bs8e

    @user-jl1cu9bs8e

    6 ай бұрын

    시대에 안맞는다니 15세기에 당신지식의 한계인 19세기모습이 아니라 놀랐나 무식쟁이씨

  • @shawnmontana6905
    @shawnmontana69057 ай бұрын

    조선의 호위군이라..별볼일 없을듯. 역사를 알기에 유추할 수 있지.

  • @user-jl1cu9bs8e

    @user-jl1cu9bs8e

    6 ай бұрын

    당신 지식과 수준을 별볼일 없는 댓글보고 유추할수있네 역사공부 학습만화 사극으로 하니 이런 헛소리하는 댓글을 쓰지

  • @ksmb2333

    @ksmb2333

    4 ай бұрын

    학습만화 볼 성의라도 있음 다행이지.. 일뽕 커뮤에서 역사공부 하는 타입 같은데요.ㅎㅎ

  • @yongkilkim1177
    @yongkilkim11778 ай бұрын

    말이 길다 잡소리가 많다 외국 관광객 눈높이를 모르냐/

  • @user-hn1xl2eo7b

    @user-hn1xl2eo7b

    7 ай бұрын

    짧게하면효율적일듯ᆢ 넘ㆍ시끄러워안들림

  • @Rotspring
    @Rotspring7 ай бұрын

    진짜 재미없다 보는재미 1도 없음

  • @cho5377

    @cho5377

    7 ай бұрын

    누가 보라고 등 떠 밀었음 초 치고 있네

  • @user-jl1cu9bs8e

    @user-jl1cu9bs8e

    6 ай бұрын

    그러면서 보고 댓글보는 능지 보소

  • @JL-el7fg
    @JL-el7fg8 ай бұрын

    Fake 假的

  • @user-vb8qe1wt1y

    @user-vb8qe1wt1y

    8 ай бұрын

    Fake bastard

  • @user-zc1oj1fn6f

    @user-zc1oj1fn6f

    7 ай бұрын

    중국인들과 대만인들은 한국을 향한 질투와 열등감으로 항상 거짓말을 한다. 그들은 그들의 전통문화를 스스로 없애고 잊었기 때문이다.

  • @user-zc1oj1fn6f

    @user-zc1oj1fn6f

    7 ай бұрын

    한국인들은 그들의 전통 문화를 잘 계승해왔을 뿐이다. 한국인들이 무엇을 잘못했나요? 전혀 없다. 가짜 뉴스를 만들지 마세요.

  • @seafirst1

    @seafirst1

    7 ай бұрын

    Chinese? Japanese? funny

  • @tooniscom
    @tooniscom7 ай бұрын

    관광 안내도 좋지만 궁에서는 외국어 방송 하지말고 안내 자료나 줘라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