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 영어의 변화

정말 오랜만입니다. 이번 영상은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시리즈의 새로운 에피소드로, 영어의 변화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영상을 시청하실 때는 꼭 자막기능을 활성화해주시기 바랍니다.
※주의사항※
1) 본 영상에 포함된 옛 영어의 음성은 학술적 방법에 의해 재구된 것으로, 학자나 발화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어디까지나 재구된 음성이므로 실제 영어의 발음과는 다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역사언어학적 방법론에 입각하여 구해진 재구는 체계적인 이론과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이를 단순한 추측이라고 생각하시면 곤란합니다. 2) 해당 영상에서는 당시의 영어를 기록한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하므로 방언이나 발화집단과 같은 공시적인 요소를 감안하지 않았습니다. 3) 본 영상에서 나타나는 음운표기의 경우는 영어의 통시음운론적 연구를 진행한 논문 따위에서의 서술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이오나, 저의 실수 혹은 영어학에 대한 부족한 이해도로 인하여 미처 잡아내지 못하고 놓친 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점은 너그러이 이해해주시고 미흡한 부분을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불어 근대영어의 음소 /r/을 실수로 음성차원에서의 구분으로 음절초에서 치경 탄음, 음절말에서 치경 접근음으로 전사하였는데요, 이는 오류입니다. 음운 표기와 음성 표기를 합하다가 범한 실수입니다. 그리고 근대영어 시기에는 어떤 위치에서라도 치경 접근음으로 읽는 것이 더 바람직해보이므로 발화 상에서도 아쉬운 실수가 있었습니다. 4) 저는 영어 원어민 화자가 아니므로 현대영어 발화에 있어서 부자연스러운 면이 있을 수 있습니다.
〈타임라인〉
0:00 도입부
0:24 현대영어: 세계인권선언 제1조
0:39 근대영어: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소네트 18
1:32 중세영어: 오르물럼(Ormulum)
2:14 고대영어: 베오울프(Beowulf)
3:11 마무리
3:32 부록: 대모음추이(GVS)에 따른 발음의 변화
〈참고자료〉
〔논문〕
Anderson, J., & Britton, D. (1999). The orthography and phonology of the Ormulum.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3(2), 299-334.
‌Mokrowiecki, T. (2012). Reduplication of Consonant Graphemes in the Ormlum in The Light of Late Old English Scribal Evidence. Studia Anglica Posnaniensia, 47(4), 53-79.
〔기타〕‌
Original Pronunciation의 발음 전사.
〈이용된 소재〉
이 영상은 Pexels의 크리에이티브커먼즈 라이선스 하에 배포되는 클립을 포함합니다.
BGM: Ark by Ship Wrek
#영어 #시간여행
연락 및 문의 - bungbungnue@gmail.com

Пікірлер: 2 200

  • @bungbungnue
    @bungbungnue3 жыл бұрын

    ※주의사항※ 1) 본 영상에 포함된 옛 영어의 음성은 학술적 방법에 의해 재구된 것으로, 학자나 발화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어디까지나 재구된 음성이므로 실제 영어의 발음과는 다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역사언어학적 방법론에 입각하여 구해진 재구는 체계적인 이론과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이를 단순한 추측이라고 생각하시면 곤란합니다. 2) 해당 영상에서는 당시의 영어를 기록한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하므로 방언이나 발화집단과 같은 공시적인 요소를 감안하지 않았습니다. 3) 본 영상에서 나타나는 음운표기의 경우는 영어의 통시음운론적 연구를 진행한 논문 따위에서의 서술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이오나, 저의 실수 혹은 영어학에 대한 부족한 이해도로 인하여 미처 잡아내지 못하고 놓친 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점은 너그러이 이해해주시고 미흡한 부분을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불어 근대영어의 음소 /r/을 실수로 음성차원에서의 구분으로 음절초에서 치경 탄음, 음절말에서 치경 접근음으로 전사하였는데요, 이는 오류입니다. 음운 표기와 음성 표기를 합하다가 범한 실수입니다. 그리고 근대영어 시기에는 어떤 위치에서라도 치경 접근음으로 읽는 것이 더 바람직해보이므로 발화 상에서도 아쉬운 실수가 있었습니다. 4) 저는 영어 원어민 화자가 아니므로 현대영어 발화에 있어서 부자연스러운 면이 있을 수 있습니다.

  • @user-sb1pl1ln6b

    @user-sb1pl1ln6b

    3 жыл бұрын

    이걸말이라고하냐ㅡㅡ 당연히통하지

  • @user-jy2fz4vq1z

    @user-jy2fz4vq1z

    3 жыл бұрын

    저번 ipa도 그렇고 영국 유학하는 중국인에게서 많이 들을수 있는 억양같아요

  • @tonykim5004

    @tonykim5004

    3 жыл бұрын

    @@user-sb1pl1ln6b ???

  • @Master-tc1sy

    @Master-tc1sy

    3 жыл бұрын

    @@user-sb1pl1ln6b ????

  • @user-sb1pl1ln6b

    @user-sb1pl1ln6b

    3 жыл бұрын

    @@Master-tc1sy ㅂㅅ

  • @user-nq9ru5fw1o
    @user-nq9ru5fw1o3 жыл бұрын

    이건 흡사 미국에 사는,족보에 동양인이라곤 찾아볼 수 없는 금발의 푸른눈 선생님이 한국인들 모아놓고 청산별곡 수업하는 것과 같군요.

  • @user-re3ue7dj6y

    @user-re3ue7dj6y

    3 жыл бұрын

    영어권에서 만들어진 중세 한국어 영상 몇 개 있지 않나요? 그냥 그런 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은데요 ㅋㅋ 퀄리티 차이가 좀 있는 거 빼면

  • @useriwathins

    @useriwathins

    3 жыл бұрын

    ('이으드지에' 님 때문에 오랜만에 들어와 다시 씁니다.) 첫 대댓 '도른자 (前 계란말이)' 님에게 달았던 대댓 : 우성이면(,) 뭐가 다른가요? 유전적 우열(현잠)에 상관없이 동양인에게서 나오지 않는 서양인의 특성으로서 클리셰적인 표현이기도 한 '금발에 푸른 눈', 즉 '금발벽안'이 열성만 모아놓은 말이라서, 금발과 푸른 눈이 서양인을 묘사하기엔 대표성이 부족한 특성들이라 웃기다는 건지 궁금했습니다. 희소해도 인상에 강하게 남으면 대표적인 이미지가 될 수도 있고, 그런 사례이고, 아름답고 신비하게 여기는 서양인에 대한 대표적인 이미지 중 하나로서 희소성을 기준으로 적절성을 따질 만한 말은 아닙니다. 더구나 '족보에 동양인이 섞였음에도'가 아니라 '족보에 동양인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입니다. 서양인만 가질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빼박 서양인'이라는 뜻으로, 오히려 대표성이 충분합니다. 열성만 모아놓아서 웃기다는 게, 알량하게 우열은 알지만 '금발에 푸른 눈'이란 말을 진부한 표현으로서는, '금발벽안'이라는 사자성어로라든가는 접해본 적도 없고 문맥도 못 읽어서 웃기다는 건가? 우열 배운 지 얼마 안 된 학생이 아는 거 나와서 반가움에 그것만 생각하고 웃은 건지, 그게 궁금해서 물어봤습니다. 제가 보기엔 '왜 웃지?' 싶어서요.

  • @Jacubp

    @Jacubp

    3 жыл бұрын

    @@useriwathins ? 걍 유전적 열성이라는 걸 말하는 것 같은디

  • @jieuns_books_auther_jieun

    @jieuns_books_auther_jieun

    3 жыл бұрын

    @@useriwathins 삐빅 문과입니다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3 жыл бұрын

    @@useriwathins 금발 푸른 눈인 사람의 유전자는 상대적으로 열성이란 얘깁니다. 금발에 푸른 눈인 사람끼리만 결혼해야 자손이 금발에 푸른 눈인 거죠. 만약에 결혼한 둘 중 하나가 다른 색깔의 눈이나 머리카락 색이라면 금발 푸른 눈은 후손에게 나오질 않죠. 그런 의미에요.

  • @Freeator
    @Freeator3 жыл бұрын

    거슬러 올라갈 수록 확실히 독일어나 고대 북유럽 언어를닮아 가는것 같네 와 진짜 신기하다.

  • @hanjin6192

    @hanjin6192

    3 жыл бұрын

    @@sdsssdd1987 앵글로 색슨족이나 노르만족이 바이킹 분파인거 생각하면 중세 영국어는 독일이나 북유럽 언어와 닮은게 맞습니다

  • @Freeator

    @Freeator

    3 жыл бұрын

    @Sdsss Dd 라틴어라고 답글을 다셨는데, 언어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구독자로써 개인의 감상을 이야기한것입니다. 옳고 그름을 따지자는게 아니라요 . 우리 즐겁게 감상하고 자유로이 이야기 나눕시다. 모두의 의견과 마음이 소중한 것입니다 :)

  • @user-nh3fp8ni2e

    @user-nh3fp8ni2e

    3 жыл бұрын

    @@Freeator 설마 댓삭하신 분이 영어가 라틴어에서 나왔다고 말씀하셨던 거면 그분이 틀리셨습니다. 영어는 독일어나 고대 북유럽 언어들과 같이 원시게르만어에서 나온 언어들입니다. 이탈리아어파에 속하는 라틴어와는 계통부터 달라요.

  • @user-wk8gu6ix5g

    @user-wk8gu6ix5g

    3 жыл бұрын

    색슨이라는 말이 옛 작센 지방이 현재의 니더작센과 함부르크 지방을 영어로 말한 겁니다. 색슨인을 독일식으로는 작센인이라느 뜻입니다. 고대 영어는 저지 독일어 쪽에서 갈려져 나온 언어 입니다.

  •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3 жыл бұрын

    @@user-wk8gu6ix5g 저지 독일어 고지 독일어라는 표현은 말 그대로 낮은 평원지역, 높은 산악지역을 말함인가요? 평원과 산기슭~?

  • @booming6509
    @booming65093 жыл бұрын

    고대영어: 크울 웨얼 꿈들라데 꿔드ㄹ 꿛 드락 고대중국어: 삵 드락 칽 드락 크웍 트릵 갉 드락

  • @user-rn1kv9kk8h

    @user-rn1kv9kk8h

    3 жыл бұрын

    😂😂😂😂😂

  • @Jj-og5nx

    @Jj-og5nx

    3 жыл бұрын

    @@user-rn1kv9kk8h 너 한국인이야 외국인이야 이해하고 웃는거여?

  • @user-xf9fo9ds9k

    @user-xf9fo9ds9k

    3 жыл бұрын

    😂😂😂😂😂😂😂😂

  • @yeojunnnn

    @yeojunnnn

    3 жыл бұрын

    😂😂😂😂😂😂😂😂

  • @mybloodyvalentine2316

    @mybloodyvalentine2316

    3 жыл бұрын

    I died laughing 😂😂🤣🤣😂😂

  • @isuy7892
    @isuy78923 жыл бұрын

    3:30 빨리 사라져 주면 고마울것 같습니다

  • @jm-pi6cf

    @jm-pi6cf

    3 жыл бұрын

    오오~~~ 나두 나두 이거 사라지면 겁나 고마울듯~~~ 사실 사라져도 뜻은 알기엔 별 안 부족해~~~

  • @user-go4sb3ts4g

    @user-go4sb3ts4g

    3 жыл бұрын

    ㄹㅇ 지금 당장 사라졌으면

  • @samsmithpepe2616

    @samsmithpepe2616

    3 жыл бұрын

    만약 오늘 사라진다 해도 수능영어엔 나올 가능성이 매우매우매유매우매우 높음!

  • @user-ce5dt4yx7c

    @user-ce5dt4yx7c

    3 жыл бұрын

    ㄹㅇ저것만 없어져도 영어 진입장벽 낮아질듯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3 жыл бұрын

    시간이 지나면 영어도 한국어만큼 특정 문법요소에 관해서는 좀 더 관대해 질지도요. ㅎㅎㅎ 근데 현재로도 영어는 프랑스어나 이탈리아어보다 훨씬 관대하고 마음씨 착한(?) 편입니다. 한 번 프랑스어 공부해보세요. 프랑스어는 명사에 성 gender 가 있어서 그거 다 외워야 되요. 남성명사/여성명사 다 외워야 함. 형용사도 주어나 꾸며주는 명사의 성/수에따라 다 바꿔줘야 합니다. 영어가 얼마나 착한 지 알게됨. ㅋㅋㅋㅋ

  • @Mindcolor
    @Mindcolor3 жыл бұрын

    언어가 변하는건 참 신기한거 같아요...

  • @user-xp3vp9lr6w

    @user-xp3vp9lr6w

    3 жыл бұрын

    ㅇㅈ

  • @user-nd8bl2qi2r

    @user-nd8bl2qi2r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 80년대중반까지 읍니다로 했는데 이후 습니다로 변경 사용중이잖아요

  • @sem3242

    @sem3242

    3 жыл бұрын

    @@user-nd8bl2qi2r 그건 표기법...

  • @Rageul

    @Rageul

    3 жыл бұрын

    @@user-nd8bl2qi2r 그건 언어가 바뀐게 아니라 그냥 표준어 표기법같은거 제정하면서 바뀐거고..

  • @user-ii7vq7te6v

    @user-ii7vq7te6v

    2 жыл бұрын

    @@Rageul 말이 바뀐 게 아니라 글이 바뀐것도 언어의 변화죠

  • @user-qu5hr8mz9x
    @user-qu5hr8mz9x3 жыл бұрын

    4:48 k발음 했었네 짱신기하다 ㅋㅋㅋ

  • @user-xf9fo9ds9k

    @user-xf9fo9ds9k

    3 жыл бұрын

    Knife도 원래는 크니프~ 였음

  • @user-op7vy5ny4r

    @user-op7vy5ny4r

    3 жыл бұрын

    지금도 k발음하는 언어들 꽤 있음

  • @quodlibet170

    @quodlibet170

    3 жыл бұрын

    Key

  • @hiswieder9398

    @hiswieder9398

    3 жыл бұрын

    이건 영어 표기법이 이상한거임 고대 영어 어두 자음군 hl hr hn는 h 탈락하면서 표기도 l r n로 바뀌었는데 kn gn pn ps는 15-17세기에 탈락해서 k, p가 탈락했음에도 불구하고 표기법이 안 바뀜

  • @user-up7jp8nh8d

    @user-up7jp8nh8d

    3 жыл бұрын

    나는 예전에 know랑 knew 단어 몰랐을때 윾노우 윾뉴라고 해서 막 아이 돈 노를 아이 돈크 윾노라고 이상하게 발음했는데.

  • @rmfjejs
    @rmfjejs3 жыл бұрын

    고대영어부터는 그냥 마법주문이네 ㅋㅋㅋㅋㅋ

  • @NO-nd3sb

    @NO-nd3sb

    3 жыл бұрын

    마법주문 ㅋㅋㅋㅋㅋ

  • @user-qw6gn8fs4u

    @user-qw6gn8fs4u

    3 жыл бұрын

    ?? : 악 오스 호쁘 오프 더 매내 미니 거리 ㄱㅅㄱ

  • @galluxytube5822

    @galluxytube5822

    3 жыл бұрын

    일루미나티도 한국말이랍니다, 한자는 우리글입니다,우리는 한자를 수입한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모든한자를 한음절로 모두 발흠할수있어요,중국 일본은 못하구요, 그리고 영어도 우리말이랍니다.마니->many, 我->i,汝->you,母-.mother,孫->son,耳=>ear,眼->eye,毫->hair,背->back,火->fire,雨->water,去->go,視->see,戶->house,間->gab,때->time,秀->super,誦->song. 예->yes,왜->why,언(제)->when,乎->how,하(다)-have,이(다)->is,색시->sexy,市->city,路->road,수(저)->spoon,(수)저->chopstick,국->cook,밀->meal,筆->pen,日->illuminati,차->car,船=>ship,骨=>scul,통틀어서->total,낫->knife,칼->carve,만(들다)->manufacture,日->year,둘->two,동(이트다)->dawn,齒->teeth,餌->eat,콩->corn,星->sun,똥->dung,에(서)->at,바닥->bottom,輪->wheel,聯->union,,,,,,그런데 유튜브에서 탄압을 해서 알려지지가 않네요,댓글도 자주삭제되구,동의하시면 많이퍼트려주세요^^

  • @i_am_a_fan_of

    @i_am_a_fan_of

    3 жыл бұрын

    @@galluxytube5822 님 댓이 중국이랑 뭐가달라요...;;

  • @galluxytube5822

    @galluxytube5822

    3 жыл бұрын

    @@i_am_a_fan_of 잘일거봐요, 반복해서, 그럼 이해될거에요

  • @feline-logic
    @feline-logic3 жыл бұрын

    혼술중인데 제가 제일 좋아하는 셰익스피어의 소네트나와서 쫌 감동 ㅠㅠ 아래로 내려갈수록 발음이 글자에 충실한 독일어 같아서 놀랍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tc9pr9uy5j

    @user-tc9pr9uy5j

    3 жыл бұрын

    혼숳중인데 조굼만 더맛시면 고대어 가능할듯! 홓ㅎ

  • @kidandRaftel

    @kidandRaftel

    3 жыл бұрын

    @@user-er5bz8li3g 잉?

  • @cab06215

    @cab06215

    2 жыл бұрын

    소넷 고딩 때 많이 배웠는데 한 문장이 12음절로 나눠지는게 특징이죠

  • @user-yd4zv6pu4t
    @user-yd4zv6pu4t3 жыл бұрын

    진짜 컨셉은 전세계적으로 독보적인 유튜버

  • @acorn00

    @acorn00

    2 жыл бұрын

    Langfocus가 사실 원조임

  • @acorn00

    @acorn00

    2 жыл бұрын

    kzread.info/dash/bejne/lX6Es6ePntWWlso.html

  • @baziraccarlcox2008

    @baziraccarlcox2008

    2 жыл бұрын

    언어학자가 전세계에 얼마나 많은데... 절대 독보적이지 않음

  • @user-mp3bl9kl2n

    @user-mp3bl9kl2n

    2 жыл бұрын

    @@baziraccarlcox2008 오. 이분하고 비슷한데 먼저시작한 다른 유튜버도 있나요?

  • @user-qk8ql2dv3q

    @user-qk8ql2dv3q

    2 жыл бұрын

    @@baziraccarlcox2008 언어학자가 아니므로 독보적인 것

  • @really2760
    @really27603 жыл бұрын

    도대체 얼마나 많이 공부하셨길래... 생소한 고대언어 까지 발음하시는 걸까...

  • @vy.e

    @vy.e

    3 жыл бұрын

    @@park5178 아무리 발음기호를 봐도.. 저렇게 발음하기까지 연습 많이 했을 듯

  • @user-uu4gq9qs3m

    @user-uu4gq9qs3m

    2 жыл бұрын

    이 사람 컴공과라는데...

  • @user-yz5xz3bc2g

    @user-yz5xz3bc2g

    2 жыл бұрын

    ㅇㅇ 서울대 컴공과임

  • @acorn00

    @acorn00

    Жыл бұрын

    @@user-yz5xz3bc2g 컴어컴문학 ㄸ

  •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Жыл бұрын

    ​@@user-yz5xz3bc2g C언어도 언어니까 천직이네요~

  • @user-pj3xx4tr2s
    @user-pj3xx4tr2s3 жыл бұрын

    이사람 진짜 뭐하는 사람입니까

  • @user-mg8dw9ou8z

    @user-mg8dw9ou8z

    3 жыл бұрын

    니코로빈이야

  • @user-sq3yn3fz7g

    @user-sq3yn3fz7g

    3 жыл бұрын

    "항문"천 입니다

  • @user-sr5fc7pl3y

    @user-sr5fc7pl3y

    3 жыл бұрын

    유투버요...

  • @zhonglitalmo

    @zhonglitalmo

    3 жыл бұрын

    애널스카이입니다

  • @Kapital_

    @Kapital_

    3 жыл бұрын

    대학원생입니다

  • @ericrla6394
    @ericrla63943 жыл бұрын

    지금 표기는 하지만 발음을 하지 않는 글자들이 15세기에는 다 발음이 됐었네 ㄷㄷ 이게 표기의 보수성이란 건가......

  • @namutnipp

    @namutnipp

    3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면 우리말도 그런게 좀 있죠 닭[닥] 흙[흑] 여덟[여덜] ㅐㅔ ㅙㅞㅚ

  • @kidandRaftel

    @kidandRaftel

    3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문법이란게 있다는거 자체가 표기와 발화가 다르다는걸 나타냄

  • @namutnipp

    @namutnipp

    3 жыл бұрын

    @Keynes Smith 정식 표준 발음법은 그게 맞지만, 실제로는 닥과 흑으로 소리나는것 같으니 말이죠😅 ㅐㅔ와 ㅙㅞㅚ도 사실상 똑같아져 버렸고...

  • @user-sj3zy1ck1l

    @user-sj3zy1ck1l

    3 жыл бұрын

    과거로 갈수록 문법과 발음에 대한 구분이 휠씬 더 적지요.. ㅋㅋ 현대 시대에 와서 고쳐지고 바꾸고 체계화 되고 더 구체적이 된겁니다. 무슨 예전에는 발음을 했다고 근거도 없는 생각은 어디서 오는건지.. 고대에 말을 어찌 했는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언어의 체계화 변천사 과정을 보면 그런 가설은 확률에서 멀어지죠. 예전에 언문이나 글을 보면 셔. 여 므로. 이런것이 많은것은 그당시에 말이 그런것일뿐입니다. 하셔요..하세요가 아니라.. 그게 주류의 말이었기 때문이죠. 존댓말이 그런 형식이었습니다. 수십년전말 해도 거꾸로가 아니라 까꿀로가 표준어였습니다. 주류 언어였구요. 어디서 가 아니라 어데서가 주로 쓰이는 언어 였습니다. 변쳔을 거쳐 어디서로 바뀐것이고 불과 몇십년전에 바뀐것이구요.. 그리고 극히 100년동안 기본언어는 거의 변하지 않았습니다.

  • @user-qm2pt5bj7e

    @user-qm2pt5bj7e

    3 жыл бұрын

    @@user-sj3zy1ck1l 중세국어의 경우 표음적 표기를 했는데 종성에 자음군이 오는 것으로 보아 자음군이 종성에서 발음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거 보면 중세국어와 이후 국어의 발음의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중세국어 자음 체계에서 후음계열이 굉장히 발달했던 것(여린 히읗 히읗 쌍히읗으로 삼지적 상관속을 이루었으며 후음계열 유성음까지도 있었음)을 보더라도 지금의 음운과는 큰 차이가 있었고, 발음되어졌다고 생각되는데요, 이러한 것들도 모두 중세국어 시기 문법에 대한 무지로 인해 생긴 것인가요?

  • @koreanational
    @koreanational3 жыл бұрын

    Really well done! I could see that you put a LOT of studying / research / practice into this video. Thank you!

  • @rtfm8708
    @rtfm87083 жыл бұрын

    한국어도 그렇고 영어도 중세 시점에서 급격하게 변하는듯....그냥보면 영어인지도 모를듯 근대 영어에 익숙해서 그렇게 느껴지는건가...

  • @useriwathins

    @useriwathins

    3 жыл бұрын

    @@DRsolochu 단순히 시간 비례가 아니라, 전반적인 영역에 걸쳐 역사시대를 가장 크게 구분하는 '고대, 중세, (근세,) 근대, 현대'의 변화 속에서, 지역이나 국가별로 그렇듯 분야별로도 정확히 그 구분이 맞아떨어지진 않더라도, 언어의 가장 급격한 변화는 대체로 '중세->근대'인 듯 하다는 말입니다. 다른 언어라고 느껴질 정도로.

  • @dongwonkim5043

    @dongwonkim5043

    3 жыл бұрын

    @@useriwathins 언어가 중세에서 근대로 갈 때 급격하게 변하는 것이 아니라 같은 속도로 변하는데, 근대의 어휘를 많이 알아 들을 수 있기에 변화를 더 많이 알아챌 수 있는 것 뿐이겠지요. 속도가 다를 리는 없습니다.

  • @sgty3182

    @sgty3182

    3 жыл бұрын

    @@useriwathins 고대에 비해 중세가 남아있는 기록이 많아서 급격한 변화인것처럼 느껴지는 거에요.

  • @qyeniic

    @qyeniic

    3 жыл бұрын

    중세는 동서에 활자가 발달할 만큼 기록이 많아지기 때문이죠

  • @JK-jd4jw

    @JK-jd4jw

    3 жыл бұрын

    통합적으로 정리하는 사람이 언제 나타나는가에 다른듯

  • @user-gi1ks6lh7z
    @user-gi1ks6lh7z3 жыл бұрын

    근대 영어는 좀 익숙한 발음이 몇몇 들리나, 중세부터는 영어든 한국어는 둘 다 알아먹기 힘드네요 ㅎㅎ

  • @KRW200

    @KRW200

    3 жыл бұрын

    근대 영어는 괴악한 영국 촌구석 사투리같아요 ㅋㅋㅋㅋ

  • @miso5700

    @miso5700

    3 жыл бұрын

    @@KRW200 근대 영어가 미국 남부 사투리, 스코틀랜드 사투리 보다는 잘 들리는거 같아요 ㅋㅋㅋ

  • @maximilianje7201

    @maximilianje7201

    3 жыл бұрын

    미국영어보다는 영국영어가 알아먹기는 더 쉬움

  • @galluxytube5822

    @galluxytube5822

    3 жыл бұрын

    일루미나티도 한국말이랍니다, 한자는 우리글입니다,우리는 한자를 수입한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모든한자를 한음절로 모두 발흠할수있어요,중국 일본은 못하구요, 그리고 영어도 우리말이랍니다.마니->many, 我->i,汝->you,母-.mother,孫->son,耳=>ear,眼->eye,毫->hair,背->back,火->fire,雨->water,去->go,視->see,戶->house,間->gab,때->time,秀->super,誦->song. 예->yes,왜->why,언(제)->when,乎->how,하(다)-have,이(다)->is,색시->sexy,市->city,路->road,수(저)->spoon,(수)저->chopstick,국->cook,밀->meal,筆->pen,日->illuminati,차->car,船=>ship,骨=>scul,통틀어서->total,낫->knife,칼->carve,만(들다)->manufacture,日->year,둘->two,동(이트다)->dawn,齒->teeth,餌->eat,콩->corn,星->sun,똥->dung,에(서)->at,바닥->bottom,輪->wheel,聯->union,,,,,,그런데 유튜브에서 탄압을 해서 알려지지가 않네요,댓글도 자주삭제되구,동의하시면 많이퍼트려주세요^^

  • @miso5700

    @miso5700

    3 жыл бұрын

    @@galluxytube5822 컨셉인줄 알았는데 실화냐

  • @user-py5eg7nl3d
    @user-py5eg7nl3d3 жыл бұрын

    이분 진짜 어떤 분인지 너무 알고 싶음

  • @user-oq2hm3kf2o

    @user-oq2hm3kf2o

    3 жыл бұрын

    @진아라 이분 취미시래요

  • @user-hs1jo8pg7z

    @user-hs1jo8pg7z

    3 жыл бұрын

    @진아라 뭣.. 뭐요? 열두개? 대단하다.. (ㅁㅊㅁㅊ)

  • @user-fn9cq4kb4h

    @user-fn9cq4kb4h

    3 жыл бұрын

    @진아라 네~

  • @hk4030

    @hk4030

    3 жыл бұрын

    @진아라 순수구사라는 게, 모국어처럼(유럽언어기준, C1~C2) 자유롭게 구사가 가능하다는 말씀이신가요, 아니면 일상생활이 가능한 정도(B1~B2)라는 말씀이신가요?

  • @lliliiiliiilliililiil

    @lliliiiliiilliililiil

    3 жыл бұрын

    @진아라 머머머함

  • @user-ec4te9we6t
    @user-ec4te9we6t3 жыл бұрын

    정말...... 이런 훌륭하고 유익한 영상을 무료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영광일 따름입니다...... 향문천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채널 번창하세요!

  • @RHK51
    @RHK513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은 향문천 보유국입니다

  • @lljiljiliil8230

    @lljiljiliil8230

    3 жыл бұрын

    항문이요?

  • @ahs1670hs

    @ahs1670hs

    3 жыл бұрын

    항문인줄 알았었음ㅋㅋㅋ

  • @user-tb6dl8yi7k

    @user-tb6dl8yi7k

    3 жыл бұрын

    든든하다!

  • @julian6729

    @julian6729

    3 жыл бұрын

    애스홀스카이 ㄷㄱ

  • @user-sw3fv7ou2b

    @user-sw3fv7ou2b

    3 жыл бұрын

    동시에 문재앙보유국이기도하지

  • @wtd3597
    @wtd3597 Жыл бұрын

    영어가 이렇게 변화되었다니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되어 영상을 보는내내 매우 흥미롭고 재미있었습니다. 조금씩 달라지는 것이 정말 신기하기도 합니다. 유익한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만들어주세요!

  • @mjw3914
    @mjw39143 жыл бұрын

    Know는 현재 k는 묵음처리 되는데 아주 옛날엔 k발음이 살아있었네요. 좋은 영상입니다!

  •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3 жыл бұрын

    옛날에 '크노르'라는 수프 광고 보고 kn 옛날 발음이 궁금했죠.

  • @user-os9px6ne1r

    @user-os9px6ne1r

    3 жыл бұрын

    참고로 kn 붙는 영어는 모두 덴마크어에서 왔어용. 그래서 덴마크른 지금도kn에서 k발음 나요

  • @maximilianje7201

    @maximilianje7201

    3 жыл бұрын

    @@user-os9px6ne1r 유익한 정보네요!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3 жыл бұрын

    @@user-os9px6ne1r 바이킹이 영국 섬에 쳐들어가서 약탈, 살인, 방화, 강간한 결과죠. ㅋㅋ

  • @user-nh3fp8ni2e

    @user-nh3fp8ni2e

    3 жыл бұрын

    @@user-os9px6ne1r know란 단어는 고대영어 cnawen에서 왔고, knight 또한 덴마크어가 아니라 고대영어 cniht에서 왔습니다. 애초에 know는 덴마크어로 vide라고 합니다.(영단어 wit와 어원이 같음)

  • @AA-ib1of
    @AA-ib1of3 жыл бұрын

    한중일에 이어서 영어까지 마스터한...

  • @Vladmirborges

    @Vladmirborges

    3 жыл бұрын

    저랑 사진이 같은데 좌우반전이시네요

  • @AA-ib1of

    @AA-ib1of

    3 жыл бұрын

    @@Vladmirborges 냐옹

  • @rengdu84

    @rengdu84

    3 жыл бұрын

    @@Vladmirborges 응~~아! 응~~아!

  • @user-kn5yx3xk8e

    @user-kn5yx3xk8e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endgame165

    @endgame165

    3 жыл бұрын

    @@Vladmirborges 어느 방향이 오리지날이에유?

  • @user-zd5bc2fw6d
    @user-zd5bc2fw6d3 жыл бұрын

    정말 신기한게 과거로 갈수록 한중일영 모두 언어가 듣기에는 비슷해지는거 같아요 근데도 또 각국의 언어 특징은 살아있는거같고 진짜 신기

  • @user-qw9jl8pl9e

    @user-qw9jl8pl9e

    2 жыл бұрын

    한중일 모두 한자에서부터 퍼진 거니 그럴 수도요

  • @user-hs1jo8pg7z

    @user-hs1jo8pg7z

    2 жыл бұрын

    @@user-qw9jl8pl9e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는 모두 계통이 다릅니다

  • @chanikun

    @chanikun

    2 жыл бұрын

    @@user-hs1jo8pg7z 한자 발음은 뿌리가 비슷한 경우가 많습니다. kzread.info/dash/bejne/Y4OjqbNpYpDcesY.html

  • @murdoc._.

    @murdoc._.

    2 жыл бұрын

    @@chanikun 그쵸 발음은 비슷한 경우 엄청 많죠 부부,夫婦,夫妇 처럼요..

  • @hweiktomeyto

    @hweiktomeyto

    2 жыл бұрын

    @@user-qw9jl8pl9e they're not in the same language family. Mandarin and Cantonese is in the Sino-Tibetan language family, Japanese is in the Japonic language family, and Korean is in the Koreanic language family.

  • @davincicode569
    @davincicode5693 жыл бұрын

    이분 자모음 음절을 끊어읽는 능력이 좋으시네요 과거로 갈수록 더 딜레이 되고, 톤도 다운되서 읽으시네요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도 함 해주세요

  • @user-cs4my8dp3v
    @user-cs4my8dp3v3 жыл бұрын

    영상 언제 올라오나 기다리고 있었어요🤗 게다가 제가 제일 재밌게 봤던 주제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영어편이라니,,, 두근두근한 마음으로 선댓글 후감상갑니당🎊

  • @xfan_
    @xfan_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영어선생님이 영어 변화과정에서 예전에는 지금 도치된거처럼 do가 먼저 나가고 이후 본동사가 오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do가 먼저 나가는건 강조의 의미가 담겨있을때만 나오도록 변화되었다고 들었는데 실제로 0:48 부분에서 존재했다는게 정말 놀랍네요

  • @user-ib5gm9wk5n
    @user-ib5gm9wk5n2 жыл бұрын

    이분 채널 진짜 유익하고 뭔가 과거로 돌아가는 느낌을 가지게 해주네.. 말이 이렇게 중요하다니 처음 알았다

  • @kumuseum
    @kumuseum Жыл бұрын

    발음기호에 능통하신게 대단합니다. 영문과 수업에서 교수들도 셰익스피어 소네트 현대 영어처럼 발음하던데

  • @hepster72
    @hepster723 жыл бұрын

    와우. 공대 출신이신데 발음이 너무 좋으셔서 놀랐어요. 특히 lowercase e하고 epsilon의 차이를 또렷하게 발음하셨더라고요

  • @sukagon
    @sukagon3 жыл бұрын

    유튜브엔 정말 신기한 사람이 많은것같다

  • @galluxytube5822

    @galluxytube5822

    3 жыл бұрын

    일루미나티도 한국말이랍니다, 한자는 우리글입니다,우리는 한자를 수입한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모든한자를 한음절로 모두 발흠할수있어요,중국 일본은 못하구요, 그리고 영어도 우리말이랍니다.마니->many, 我->i,汝->you,母-.mother,孫->son,耳=>ear,眼->eye,毫->hair,背->back,火->fire,雨->water,去->go,視->see,戶->house,間->gab,때->time,秀->super,誦->song. 예->yes,왜->why,언(제)->when,乎->how,하(다)-have,이(다)->is,색시->sexy,市->city,路->road,수(저)->spoon,(수)저->chopstick,국->cook,밀->meal,筆->pen,日->illuminati,차->car,船=>ship,骨=>scul,통틀어서->total,낫->knife,칼->carve,만(들다)->manufacture,日->year,둘->two,동(이트다)->dawn,齒->teeth,餌->eat,콩->corn,星->sun,똥->dung,에(서)->at,바닥->bottom,輪->wheel,聯->union,,,,,,그런데 유튜브에서 탄압을 해서 알려지지가 않네요,댓글도 자주삭제되구,동의하시면 많이퍼트려주세요^^

  • @user-fh7jm7tu5m

    @user-fh7jm7tu5m

    3 жыл бұрын

    @@galluxytube5822 지능적 매국노

  • @galluxytube5822

    @galluxytube5822

    3 жыл бұрын

    @@user-fh7jm7tu5m 자신의 나라에 참된역사를 찾아보세요

  • @SJH_CHR_1127

    @SJH_CHR_1127

    3 жыл бұрын

    @@galluxytube5822 이사람 중국인인가;

  • @galluxytube5822

    @galluxytube5822

    3 жыл бұрын

    @@SJH_CHR_1127 님나라의 역사와 철학과 사상과 신앙과 문화를 찾아보세요

  • @dubu999
    @dubu9993 жыл бұрын

    영어 전공으로서 반가운 영상이네요 ㅋㅋ 사람들이 영어도 어마어마한 변화를 거친 언어이고 유럽의 각 언어들이 영어에서 사라진것들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경우도 많아 영어가 국제어로서 기능하는게 차라리 다행이라는걸 잘 모르는경우가 많죠

  • @slowjam1592
    @slowjam15923 жыл бұрын

    진심 당신의 지적호기심 탐구의열정에 박수를 보냅니다 너무 잘보고 있어요

  • @user-kk2zf5ng2v
    @user-kk2zf5ng2v3 жыл бұрын

    향문천님,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물음표나 느낌표같은 특수문자들 전세계에서 공통으로 쓰일 수 있었던 계기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중세와 고대의 특수문자 체계도 알려주리면 고맙겠습니다!!

  • @kidandRaftel

    @kidandRaftel

    3 жыл бұрын

    오 궁금하다

  • @NO-nd3sb

    @NO-nd3sb

    3 жыл бұрын

    항문천님 저도 궁굼해요

  • @dawntown5305

    @dawntown5305

    3 жыл бұрын

    오 저도 궁금해요~~!

  • @user-oq3qk7tu2l

    @user-oq3qk7tu2l

    3 жыл бұрын

    네~알려드렸습니다~

  • @YAMA_Customized

    @YAMA_Customized

    3 жыл бұрын

    @@user-oq3qk7tu2l 거,,,뭘,,알려줬다는거야,,,00이는 거..없나?

  • @YeonJ78
    @YeonJ783 жыл бұрын

    이분은 정말 대단하신듯 너무 대단하신듯 모르는 분야이지만 멋지네요!!!

  • @SexyCute
    @SexyCute3 жыл бұрын

    이런 재미있고 고급진 영상을 유튜브를 통해 접근성 좋게 볼수있다니 이 시대 정말 최고군요....

  • @boomsakalaka2
    @boomsakalaka23 жыл бұрын

    아 너무너무너무 흥미롭네요, 역시 애널스카이 클라스 ㅎㄷㄷㄷㄷ

  • @maximilianje7201

    @maximilianje7201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애널스카이렠ㅋㅋㅋㅋ

  • @user_edylsb3655

    @user_edylsb3655

    3 жыл бұрын

    김스카이 동생인가여

  • @Yamaneko_KR

    @Yamaneko_KR

    3 жыл бұрын

    위안스카이도 아니고 ㅋㅋㅋㅋ

  • @user-rt9iy4qd2h

    @user-rt9iy4qd2h

    3 жыл бұрын

    애널스카이도랏냐곸ㅋㅋ

  • @summunbonum

    @summunbonum

    3 жыл бұрын

    애카이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vw2jo7wy7i
    @user-vw2jo7wy7i3 жыл бұрын

    언알못 외국인 입장에서 볼때 알파벳발음이 딱딱 1대1로 규칙성있게 대응되다가 점점 그 규칙성이 사라지고 단어마다 각각 다르게 분화된 느낌이네요.

  • @user-lg7sf1sp4e

    @user-lg7sf1sp4e

    3 жыл бұрын

    ㄷㄷ 한국어 패치 지렸다

  • @user-vw2jo7wy7i

    @user-vw2jo7wy7i

    3 жыл бұрын

    @@user-mq1wd7gy5w 그 대모음 추이가 일어난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굳이 편한길 나두고 왜 난잡하고 어렵도록 변화되는것인지.. 한국어만봐도 점점 단순, 간략해지는 경향이 있는거같은데 말이죠..

  • @polyonomata

    @polyonomata

    3 жыл бұрын

    @@user-mq1wd7gy5w 독일어의 움라우트 ä ö ü 가 그 대모음추이의 결과물이죠. Haus의 복수형이 Häuser가 된다든가... 학부때 독어독문 전공이었는데 졸업한지 10년이 지나니 많이 까먹었네요.

  • @user-dl6et6xk5s

    @user-dl6et6xk5s

    3 жыл бұрын

    @@polyonomata 독일어를 전공하면 어디에 취업할 수 있나요?

  • @polyonomata

    @polyonomata

    3 жыл бұрын

    @@user-dl6et6xk5s 지금으로부터 딱 10년 전에 제가 그 고민을 했었지요. 그때는 내가 독일로 갈 생각도 있었고, 실제로 간보려고 가서 살아보기도 하고 했지만 현실은 녹록하지 않습디다. 일단 독어 하는 한국사람 의외로 많았고, 일자리도 별로 없고요. 그때 그 고민하다가 지금은 터키에 있네요. 터키어 하는 사람은 매우 적은데 날이 갈 수록 중요한 나라가 되어가고 있기도 하고, 한국이랑 교류도 많은 나라기도 하고, 프리랜서 통번역사하면서 먹고사는 중입니다. 대학원 다니면서

  • @user-jn8xl5wc4f
    @user-jn8xl5wc4f3 жыл бұрын

    고대로 거슬러갈수록 게르만 조어에 점점 더 가까워지네요. 게르만계 언어가 분화되면서 각자 언어의 독자성을 갖춰가는 모습 잘 봤습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 @user-nh3fp8ni2e
    @user-nh3fp8ni2e3 жыл бұрын

    고대영어나 중세영어 문법을 배워보면 독일어와 정말 비슷해 역시 같은 서게르만어군이란게 느껴집니다. 명사, 형용사 격변화도 독일어를 알고 배우니까 그나마 외우기 쉽더군요

  • @hahapsycho

    @hahapsycho

    3 жыл бұрын

    고대영어는 독일어 같고, 중세영어는 이태리어 같은 느낌?

  • @c-sharp-minor

    @c-sharp-minor

    3 жыл бұрын

    예를 들어, 중세 영어와 현대 독일어의 동사 변화를 구분해보면 중세 영어) (1인칭) Ich 어근 -e (2인칭) Thou 어근 -est (3인칭) Hit/He/Sche 어근 -eth 현대 독일어) (1인칭) Ich 어근 -e (2인칭) Du 어근 -st (3인칭) Er/sie/Es 어근 -t

  • @user-nh3fp8ni2e

    @user-nh3fp8ni2e

    3 жыл бұрын

    @@c-sharp-minor 불규칙인 haven과 haben의 동사변화도 상당히 비슷하죠 Ich have, thou hast, he hath Ich habe, du hast, er hat

  • @maximilianje7201

    @maximilianje7201

    3 жыл бұрын

    독일어 ㅈ도 모르는 나는 여기서 찐따가 된것 같다... ㅠㅠ

  • @dolgum826

    @dolgum826

    3 жыл бұрын

    @@maximilianje7201 Was machen Sie hier drin?

  • @user-fp2xg9lh8w
    @user-fp2xg9lh8w3 жыл бұрын

    다시 한번 알고리즘 떡상 영상의 기가 느껴진다....

  • @mildaejo
    @mildaejo3 жыл бұрын

    3:49 어디선가 희미하게 들려오는 "listen!"

  • @user-wy6gp5ec2d

    @user-wy6gp5ec2d

    3 жыл бұрын

    엌ㅋㅋㅋㅋㅋㅋㅋ 진짜네옄ㅋㅋㅋㅋ

  • @karlysh8953

    @karlysh8953

    3 жыл бұрын

    누에?

  • @a95660803
    @a956608032 жыл бұрын

    2:53 고대영어에서 유일하게 현대영어와 비슷하게 느껴져서 바로 알아들은 것 That was good king!

  • @kimsungju

    @kimsungju

    2 жыл бұрын

    그 뜻 맞나요??

  • @user-ke4ro5uk1z

    @user-ke4ro5uk1z

    2 жыл бұрын

    @@kimsungju Cyning이 왕이란 뜻이니까 뭐 맞겠죠

  • @hweiktomeyto

    @hweiktomeyto

    2 жыл бұрын

    @@kimsungju yes

  • @user-rw6yo8qo1j

    @user-rw6yo8qo1j

    Жыл бұрын

    어순이 그대로고 영어 고유어만 쓰여서

  • @NaeMutt
    @NaeMutt3 жыл бұрын

    해리포터 오디오북으로 듣다보면 아직도 영국 일부 지역에서는 R발음을 저렇게 굴림 rrrr

  • @user_asdfg
    @user_asdfg3 жыл бұрын

    내가 어디가서 이런 지식을 또 얻을까...새벽에 침대에 디비누워서 이런것도 보네 ㅋㅋㅋ 늘 감사요 덕분에 모르던 세계를 알아가네요 글고 한국어 발음이랑 목소리 더 듣기 좋아지신 것 같아요

  • @user-xt8hb6pb8m
    @user-xt8hb6pb8m3 жыл бұрын

    선생님..빨리 영상 올려주세요 하루만에 이채널 영상 컨텐츠 다봄

  • @user-lt1mk1hr1i
    @user-lt1mk1hr1i3 жыл бұрын

    3:25 나는 누에를 사랑해 그는 누에를 사랑해 그놈의 누에...

  • @user-ii7vq7te6v

    @user-ii7vq7te6v

    2 жыл бұрын

    나는 베이징의 향천문을 사랑해

  • @user-og1dj3th7k
    @user-og1dj3th7k3 жыл бұрын

    대모음 추이 전인 중세 전기 영어는 독일어나 스칸디나비아 국가 언어 느낌이 나고, 고대 영어는 아이슬란드어 느낌이 나네요!

  • @user-mv5pg4yh5f

    @user-mv5pg4yh5f

    3 жыл бұрын

    너가 여기서 왜 나와?

  • @user-og1dj3th7k

    @user-og1dj3th7k

    3 жыл бұрын

    @@user-mv5pg4yh5f (임시)독일인이 여기 왜....?!

  •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3 жыл бұрын

    아이슬란드어가 게르만조어와 비슷하군요?

  • @user-og1dj3th7k

    @user-og1dj3th7k

    3 жыл бұрын

    @@user-gw2zu5do2r 네! 게르만어파인데다가, 고대 노르드어 옛 모습을 많이 간직하고 있어서 더욱 그래요!

  • @JK-jd4jw

    @JK-jd4jw

    3 жыл бұрын

    영국도 고대부터 침략을 많이 당해서 지배층이 어느민족이냐에 따라 많이 다른듯해여 ㅎㅎ

  • @user-ki4gz4cd7s
    @user-ki4gz4cd7s3 жыл бұрын

    언어를 진화생물학 관점으로 연구하고 싶었는데 아주 좋은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 @user-lr7gm1il6y
    @user-lr7gm1il6y3 жыл бұрын

    헐완전궁금했는데 짱이에여 마음이 웅장해진다

  • @user-xs2zu7py4p
    @user-xs2zu7py4p3 жыл бұрын

    난 이 시리즈가 너무 좋음 계속 만들어주세용 ㅎㅎㅎㅎ

  • @evanchae2657
    @evanchae26573 жыл бұрын

    정말 흥미롭네요 특히 지금 영어가 순수히 게르만족이 아닌 여러가지 언어가 짬뽕되서 만들어졌다는게 보이는 부분에서

  • @Musicality77
    @Musicality773 жыл бұрын

    이 분 일어 중국어 비교하신 것도 봤는데 중국어 일어 다 발음이 너무 좋으셔서 어떻게 한 사람이 이렇게 많은 언어를 완벽하게 발음하지 하고 신기했는데 영어를 들으니까 아 기계가 아닌 사람 맞구나 하고 느낌ㅋㅋ 그래도 엄청 잘 하시지만!! 여튼 콘텐츠 너무 재밌어요

  • @campsite97
    @campsite973 жыл бұрын

    드디어 나왔군요!! 이런 거 참고하면 좋을 것 같네요 8세기 서사시/ Beowulf 10세기 시/ Deor 14세기 자장가/ Als i lay on yoolis night 14세기 소설/ 캔터베리 이야기 시대별 주기도문 변화. 이거 보면 재밌어요. "같은 내용일텐데 이렇게 달라진다고?"싶거든요. +넷플릭스의 Vikings(바이킹스)란 드라마를 보면, 고대 영어와 고대 노르드어 등, 재구된 당대 언어를 서로 다른 민족이 만날때마다 들을 수 있습니다. 심지어 중세 프랑스어나 아랍어도 들을 수 있습니다. 고대영어는 앵글족, 색슨족, 유트족이 쳐들어와서 살게 되면서 형성됩니다. 이들이 살던 곳은 네덜란드 프리슬란트(프리지아)와 유틀란트반도(덴마크) 지역이죠. 유튜브를 찾아보면 프리지아어 화자와 고대영어를 재구한 학자가 각자의 언어로 대화가 가능한 것을 보여주는 영상이 있습니다. 당시의 고대영어은 굴절어적 특성을 강하게 보여줍니다. 중세엔 노르만 정복 이후 귀족들간의 공용어가 한동안 프랑스어였기 때문에, 민중어였던 영어가 지역마다 독자적으로 발전합니다. 영국이 프랑스와는 다른 국가란 의식이 퍼질 때 쯤, 영어가 각광받기 시작하여 정립되어 나가죠. 헨리5세가 특히 영어를 장려했습니다. 이런 경향이 백년전쟁을 겪으며 고정되게 되죠. 근대가 되어도 지역별로 영어의 편차는 매우 컸습니다. 문법이 다르고, 굴절이 다르고, 사용하는 단어가 다르고, 발음도 달랐죠. 당시의 한 소설에는 데번 출신 아주머니가 런던 사람의 주문을 듣고 "전 프랑스어는 못해요. 영어로 말해주세요"라고 말하는 장면이 있을 정도였습니다. 셰익스피어 당시 런던에선 -en이 복수형에 붙는 접미사였습니다. child가 children으로 변하는 것에 그 흔적이 남아있죠. (재미있게도 독일어에서도 복수형에 어미로 -en이 붙곤 합니다.) 현재까지도 영국의 영어에는 법적 지위의 표준어가 없습니다. 다만 방송용이나 공무용으로 만들어서 이에 준하는 RP가 있고, 교육을 받은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이 이 RP를 사용하죠. 방송매체로 보게 되는 영국식 영어의 대부분이 이 RP입니다. 현재의 영어는 1차적으로 19~20세기 교육에 힘입어 문법이 획일화되어갔고, 현재는 매체의 발달로 단어까지 획일화되어가는 중입니다. 여전히 지역 고유의 단어가 남아있고, 그럼에도 발음과 억양에는 영향이 크지않은 것이 경상도 사투리와 비슷한 모습이죠. 궁정에선 프랑스어를 사용하고, 민중은 민중대로 자신들의 언어를 쓰다가, 민족의식이 고취되며 공용어에 준하는 존재를 만들어내어 그것을 교육하게 되고, 그 공용어가 계속 사용되며 방언의 영향을 줄여가는 모습이 독일어의 변천과정과 굉장히 흡사하다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니까 기회가 되면 독일어랑 저지 게르만어, 네덜란드어 해주세요 허허허허허허헣

  • @sylee9165

    @sylee9165

    3 жыл бұрын

    ㅇㄷ박습니다

  • @maplesams5692
    @maplesams56923 жыл бұрын

    Wow this was so interesting to watch lol I remember in high school reading shakespeare’s plays and reading the newer version of beowulf.. youre so amazing to have studied all those different pronunciations 👏🏻 looking forward to more cool videos 👍🏻

  • @agarlicsorbet6482

    @agarlicsorbet6482

    2 жыл бұрын

    Check oot this channel on English of olden days if you haven't tried! It's pretty awesome. kzread.info/dash/bejne/oXqMk9CbdJbKhpM.html

  • @hweiktomeyto

    @hweiktomeyto

    2 жыл бұрын

    ikr

  • @user-yr8gm1kv1x
    @user-yr8gm1kv1x3 жыл бұрын

    J.R.R. 톨킨 교수가 반지의 제왕 속 로한의 설정으로 앵글로 색슨의 문화와 고대영어을 차용했다는게 생각나네요. 대표적인 단어들이 'Theoden - 세오덴 왕', 'Eorlingas - 에오를왕의 백성들', 'Meduseld - 메두셀드 홀'

  • @hsm7948
    @hsm7948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아이들이랑 수업할때 자료로도 쓰는데 사실, 그냥 재미있어요. 어쩜 그렇게 궁금한것만 올려주시는지!

  • @user-bs5is9kn4s
    @user-bs5is9kn4s3 жыл бұрын

    영어도 이렇게 옛날에 사용 되던 걸 들어보니 신기하네요! 마지막쯔음에 3인칭 단수 동사에 s 붙는 그거는 진짜 생각해보니까 그런 것 같아요! 중고딩때 학교 다닐때나 중요하게 생각했지 성인이 되서 각종 미디어나 사무에서 쓸때는 생각을 한 번도 안해봤네요;

  • @Etienne0112
    @Etienne01123 жыл бұрын

    영어편 기다리고있었습니다 :)

  • @Musikalische_Ausbildung
    @Musikalische_Ausbildung3 жыл бұрын

    이 채널 정말 대박이야 유투브의 순기능의 대표적인 예 🤍🤍🤍

  • @user-zc8yx2sz6e
    @user-zc8yx2sz6e3 жыл бұрын

    와 사랑해요 넘 재밌어요 이런 영상 많이 만들어 주세요!!👍💕

  • @uviskorea
    @uviskorea3 жыл бұрын

    언어의 변화는 참으로 놀라운거 같네요. 뭔가 발음하기 쉬워지는 방향으로 변화가 이루어지듯 향문천님 채널명도 언젠가는 항문천으로 바뀔거 같은;;;;;

  • @soomin714

    @soomin714

    9 ай бұрын

    ㅋㅋㅋ

  • @davidbaek3752
    @davidbaek37523 жыл бұрын

    미국 유학파인데 진짜 대단하신거 같음

  • @it_so_good
    @it_so_good3 жыл бұрын

    당신은 정말 귀한 사람입니다

  • @weie6955
    @weie69553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합니다 선생님

  • @paullee5282
    @paullee52823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부럽네요

  • @user-me7ms6gw8h
    @user-me7ms6gw8h3 жыл бұрын

    우와 엄청납니다!!!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향문천님의 영상! 흥미롭게 잘 보고 갑니다~~~

  • @chong_inhee
    @chong_inhee3 жыл бұрын

    꺄~ 형 기다리고 있었음요~♡♡♡

  • @suelee190
    @suelee1903 жыл бұрын

    멋있는 영상이다... 멋있고 신기해요!!

  • @mendel_meow
    @mendel_meow3 жыл бұрын

    진짜 향문천님이랑 커피마시면서 1시간만 대화해보고싶다...

  • @only2sea

    @only2sea

    3 жыл бұрын

    그르겕꺽디리 라고 말하실 거 같음.

  • @aymate3239
    @aymate32393 жыл бұрын

    제가 호주 학교에서 영어 시간에 눈물 흘린게 이 망할 셰익스피어 입니다... ㅠㅠ 진짜 서럽게 눈물 나더라고요. 당시에 영어도 잘 못했는데 ㅠㅠ 진짜 학창시절에 눈물 질질 나더라고요

  • @harrrrrr3034
    @harrrrrr3034Ай бұрын

    현재 캐나다에서 사는 사람인데 3:34 부분이 흥미롭네요! 저는 Atlantic 지역에 사는데, 여기 나이가 좀 있으신 토박이 분들은 House도 /həus/ 나 /hʊus/에 가깝게 발음하고, house이외에도 without이나 about도 다르게 발음하던데... 이 지역이 지리적으로 고립된 편이라 옛날 발음이 유지가 되는 거려나요 ㅋㅋㅋ 너무 신기합니닷...

  • @doohealee7170
    @doohealee71703 жыл бұрын

    그 사회의 문서 활성화 정도와 언어 변화 속도의 관계을 연구해 보는 것도 재밌겠네요

  • @seoulforest275
    @seoulforest2753 жыл бұрын

    대모음추이와 인쇄술발달이 겹쳐서 글말은 고정되는데 입말은 변화해버린.. 반면 독일어는 모음추이 현상이 더 일찍 일어나서 루터가 독일어로 성경을 번역한 시점(독일어 정립)엔 발음 맞춰서 쓸수 있었기 때문에 지금도 독일어는 철자법과 발음법이 꽤 일치함

  •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3 жыл бұрын

    영어와 덴마크어 외에는 유럽 언어의 표기와 발음 괴리가 그렇게 심하지는 않다고 들었는데 아닌가요? 불어도 불규칙이 심하겠지만요.

  • @user-wm6wy4uz9j

    @user-wm6wy4uz9j

    3 жыл бұрын

    @@user-gw2zu5do2r 그 예로 아이슬란드어는 12세기 문서를 현재에도 무리없이 읽을수있다고 하죠

  •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3 жыл бұрын

    @@user-wm6wy4uz9j 그렇군요. 리투아니아어, 아이슬란드어 등이 언어의 화석인 모양이네요. 리투아니아어 네이티브 스피커는 산스크리트 듣고 어느 정도 의미를 안다고 하더라구요.

  • @seoulforest275

    @seoulforest275

    3 жыл бұрын

    @@user-gw2zu5do2r 게르만 계통 언어에서 모음변화가 심했는데 영어나 덴마크어는 철자법(인쇄술)이 정립된 이후에 일어났고 다른 언어는 그 전에 일어나서 생긴 차이에요

  • @aozi86
    @aozi863 жыл бұрын

    사견인데 중세영어에서 근대영어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초서의 켄터베리 테일즈를 넣었으면 좀더 스무드하지 않았을까란 생각이 드네요. 셰익스피어랑 킹제임스 성경까진 충분히 현대인이 이해할수 있는데 11세기 영어로 바로가면 너무 간극이 큰거같아서요

  • @doxxxxer
    @doxxxxer3 жыл бұрын

    붕붕누에님 덕에 언어라는 것에 대해 깊게 생각해보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 @user-tk2or3gd4d
    @user-tk2or3gd4d3 жыл бұрын

    신기하고 여러언어를 구사하시는게 대단하다는말밖에..

  • @galluxytube5822

    @galluxytube5822

    3 жыл бұрын

    일루미나티도 한국말이랍니다, 한자는 우리글입니다,우리는 한자를 수입한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모든한자를 한음절로 모두 발흠할수있어요,중국 일본은 못하구요, 그리고 영어도 우리말이랍니다.마니->many, 我->i,汝->you,母-.mother,孫->son,耳=>ear,眼->eye,毫->hair,背->back,火->fire,雨->water,去->go,視->see,戶->house,間->gab,때->time,秀->super,誦->song. 예->yes,왜->why,언(제)->when,乎->how,하(다)-have,이(다)->is,색시->sexy,市->city,路->road,수(저)->spoon,(수)저->chopstick,국->cook,밀->meal,筆->pen,日->illuminati,차->car,船=>ship,骨=>scul,통틀어서->total,낫->knife,칼->carve,만(들다)->manufacture,日->year,둘->two,동(이트다)->dawn,齒->teeth,餌->eat,콩->corn,星->sun,똥->dung,에(서)->at,바닥->bottom,輪->wheel,聯->union,,,,,,그런데 유튜브에서 탄압을 해서 알려지지가 않네요,댓글도 자주삭제되구,동의하시면 많이퍼트려주세요^^

  •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3 жыл бұрын

    영어를 유럽언어 중에서도 유난히 읽고 쓰기 어려운 언어로 만든 대모음추이 현상의 실체를 체감하게 됐습니다. 그 유명한 농담 '티메'(Time)지 이야기가 단순한 농담이 아니군요. 유럽언어 중에서 영어보다 표기와 구어발음 격차가 큰 유일한 언어가 현대 덴마크어라던데 다뤄주실 수 있나요?

  • @blueogange
    @blueogange3 жыл бұрын

    영국영어가 미국영어보단 좀 더 옛날 발음이랑 비슷한 거 같아서 재밌네요. 것보다 항문이형 발음 재현하는게 존내 신기함

  • @junerahm6128
    @junerahm61283 жыл бұрын

    항상 궁금하던것을 알려주시네 ㅎㅎ

  • @syrup_654
    @syrup_6543 жыл бұрын

    이 채널 너무 재미씀 호호

  • @changwanyu4231
    @changwanyu4231 Жыл бұрын

    영국 유학생인데, 18, 17세기 영어는 일부 영국 방언과도 매우 비슷하게 들리네요

  • @softpixie
    @softpixie3 жыл бұрын

    벨기에 사는데 중세 영어가 벨기에 플랑드르 지방의 플랑드르어와 많이 닮아서 놀랐어요! 신기하네요!

  • @semilife2
    @semilife22 жыл бұрын

    이걸 직접 다 읽으시다니....대단하시네요!

  • @user-pq9lb7uc8k
    @user-pq9lb7uc8k3 жыл бұрын

    와 영어가 과거에 이랬다는건 정말 신기하네요.... 항상잘보고있습니다

  • @user-sf8fx7mb4q
    @user-sf8fx7mb4q3 жыл бұрын

    영국 억양에서는 아직도 몇 발음들 남아있는데 확실히 미국식영어와는 많은 차이가 있네요

  • @user-qh8op5me8p
    @user-qh8op5me8p3 жыл бұрын

    3인칭 없어진다는게 역시 현대인들이 편하게 슬랭으로 말하는 회화들이 정착하게 된다는거 같네요. 예를들어 미국에서도 3인칭 무시하고 대화하는 경우가 많은데 she doesn’t know 가 아니고 짧게 she don’t know.. 이렇게 말하거나 it doesn’t get better이 아닌 it don’t get better 이라는 가사도 어디서 들어봤어요

  • @leostuhler7440
    @leostuhler74403 жыл бұрын

    Althochdeutsch 고대고지독일어나 고트어 관련해서 올려주셔도 재미있을 거 같아요. 영어랑도 비슷한 부분들이 많아서 흥미로울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아니면 프랑크어가 고대 프랑스어에 미친 영향이나 이런것도 다루기 괜찮을듯 싶네요.

  • @user-bo7nw2dw6f
    @user-bo7nw2dw6f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질높은 영상이네요

  • @InTheMegaDust
    @InTheMegaDust3 жыл бұрын

    더 바이킹스에 나오는 고대영어가 고증이 잘됬다던데 어떤가요? 우리나라 역사드라마에서도 그런 언어 고증이 조금이라도 반영된 작품이 나왔으면 좋겠네요.

  • @Neky_Hina
    @Neky_Hina3 жыл бұрын

    한국어는 앞으로 어떻게 변할까요? 아래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1. 겹받침 발음이 단순화한다. 이미 '닭이', '흙을' 등을 [다기], [흐글] 등으로 발음하는 사람이 많다. 따라서 이것이 보편화되고 최종적으로 표준화한다. 2. 파열음의 연음이 대표음 [ㄱ], [ㅂ], [ㅅ]로 일어난다. 예를 들어, '밑이'가 [미시]로, '부엌을'이 [부어글]로 발음되는 식이다. 3. 일부 단어(어떤 단어인지는 불규칙)의 첫 예사소리가 된소리가 된다. '다른'이 [따른]이 되고 '과(학과)'가 [꽈]로 발음되는 것이 그 예이다. 4. 자음 뒤에서 일부 이중모음이 단모음으로 바뀐다. '괴'가 [게]가 되고 '좌'가 [자]가 되는 식이다. 단, 모든 자음+이중모음이 이를 따르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5. 불규칙 고유 수사 표현이 소멸하고 한자어 표현이 대신한다.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따위가 '하루', '이틀' 정도만 살아남고 그 뒤로는 '삼일', '사일' 등이 될 것이다. 참고로, 일본어에서 이미 유사한 현상이 일어났다. (사람을 세는 '히토리', '후타리', '미타리' 따위가 셋 이하로 소멸해서 '후타리'까지만 남고 그 뒤로는 '산닌' 등 한자어 기반으로 통일됨. 지금은 그래서 노인네들이나 셋 이상을 고유어로 말함.) 그리고 한국어 역시 일찍이 '하릅', '이듭', '사듭', '나듭' 따위의 동물의 나이를 세는 표현이 싹 다 소멸한 전례가 있다. 6. 모든 지역 방언이 소멸하고 표준어 등 중앙어로 대체된다. (이미 언어적으로 보수적인 경남 방언권조차 꼬마 애들은 억양부터 표준어인 사례가 늘어 가고 있음. 울산 등 도시 지역에서 가장 강하게 진행되고 있음.)

  • @emiliofermi9994

    @emiliofermi9994

    2 жыл бұрын

    너 헛소리 좀 그만해라.

  • @Helium5120
    @Helium51203 жыл бұрын

    근대영어 발음 듣고 멘붕 ㅋㅋㅋㅋㅋㅋ 알고리즘신이 알려주신 영상인데 구독해놓고 몇번 더 찾아볼게요 ㅋㅋㅋ

  • @user_edylsb3655
    @user_edylsb3655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갑자기 영상 올려주시면 감사합니다.

  • @swirlmapping7778
    @swirlmapping77783 жыл бұрын

    The Shakespeare Sonnet was perfect, but there was 1 tiny error. Sonnets are written in an iambic pentameter, so they're supposed to be read in a ". / . / . / . / . /" stressed syllable scheme. Other than that, nice vid bruh

  • @Halloong
    @Halloong3 жыл бұрын

    한국어만 잘 하시는 줄 알았는데 외국어도 발음이 어마어마...

  • @jjmmff
    @jjmmff3 жыл бұрын

    와 대모음추이에서 소름 돋음 ㄷㄷ 저걸 어떻게 다 구별해서 발음하지 👍

  • @haelinkim6781
    @haelinkim67812 жыл бұрын

    우와 이제 영어까지 ㅎㄷㄷ 이렇게 되면 이 분의 본업이 궁금해짐

  • @horseswager7248
    @horseswager72483 жыл бұрын

    알파벳 묵음무시, 있는 글자대로 읽는 옛말로 콩글리쉬가 중세영어랑 그나마 쪼금 비슷한듯 ㅋㅋㅋ

  • @kidandRaftel

    @kidandRaftel

    3 жыл бұрын

    영어 까막눈인 내가 미국에서는 중세어 마스터?? ㄷㄷ

  • @mingel4058

    @mingel4058

    3 жыл бұрын

    @@kidandRaftel 현대 영어도 도전합시다

  • @kidandRaftel

    @kidandRaftel

    3 жыл бұрын

    @@mingel4058 네..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3 жыл бұрын

    한국어의 지방 사투리 쓰는 분이 현대영어를 한국어 지방사투리 억양과 발음으로 하시면 다소 중세 영어 느낌이 나온다는...ㅋㅋㅋㅋ

  • @ergck-hd6mv
    @ergck-hd6mv3 жыл бұрын

    이분 언어학자신가 못하는 게 없으시네 한국어 중세 고대도 신기했는데...

  • @user-xp2jg6to2l
    @user-xp2jg6to2l3 жыл бұрын

    셰익스피어 이후 영어 어휘 변화 정리하는 영상 기다릴게요!!

  • @kimdk154
    @kimdk1543 жыл бұрын

    오호... 직접 발음하신건가요? 영어만 쓰면서 살아온 사람들도 못하는것들을 너무 잘하시네여~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