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산골짜기 동네이지만 아파트와 병원 대학교까지 들어선 서울 동작구 상도동, 흑석동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KBS 20190706 방송]

Ойын-сауық

김영철의 동네 한바퀴 [오르고 싶다 언덕마을 - 서울 동작구 흑석동 · 상도동]
□ 처음으로 발길이 닿은 곳은, 한강과 북한산, 남산, 그리고 동작대교와 올림픽 도로가 한눈에 내다보이는 흑석동의 중심에 위치한 정자인 효사정이다. 조선 시대 효의 마음을 담아 지어진 효사정은, 일제 강점기 아름다운 풍경을 품고 있다는 이유로 한강 신사로 쓰였던 모진 역사를 안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 때문일까. 효사정을 오르는 길목엔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문학가였던 심훈 선생이 지은 나라 잃은 설움을 담긴 시비와 그의 동상이 있다. 미처 몰랐던 흑석동의 숨은 명소, 효사정에얽힌 이야기들을 가만히 들여다보며 동네의 여정을 시작한다.
발길을 옮겨 언덕길을 따라 오르다 보니, 산의 초입에서 활기찬 기합 소리가 울린다. 소리를 따라 들어간 곳에서 배우 김영철을 반겨주는 건 평균 연령 80세에 가까운 어르신들. 동년배보다 10살은 젊어 보이는 어르신들의 동안 비결은, 매일 아침 웃으며 즐기는 배드민턴이란다. 왁자지껄 유쾌한 어르신들과 함께 배드민턴을 하며 활기차게 아침을 연다.
산비탈을 지나 내려온 곳은 흑석동 중앙에 위치한 대학로다. 이른 아침부터 학생 맞이를 위해 음식 준비가 한창인 식당에 잠시 들렀다 나오는 길. 배우 김영철의 시선이 머문 곳은, 한눈에 보기에도 연륜이 느껴지는 다방이다. 삐걱대는 오래된 나무 계단을 지나 안으로 들어가 보니 실내는 1983년으로 시간여행을 온 듯한 풍경이다. 이곳의 대표 메뉴는 과학 수업에서나 사용할 법한 도구로 끓여내는 ‘사이폰 커피’. 다방 벽면을 가득 채운 대학생들의 낙서와 함께 추억 한 점을 채우고, 넉넉한 마음이 담긴 신기한 도구로 뽑아낸 향긋한 커피 한 잔을 마시며 청춘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본다.
흑석동에서 상도동으로 향하는 중, 우두커니 길을 지키고 있는 두 장승과 마주한 배우 김영철. 장승배기라 이름 붙은 이곳은, 조선시대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를 잊지 못해 화성 현릉원으로 참배를 가다 쉬었다 간 곳이란다. 장승배기에 얽힌 이야기를 살펴보며 땀을 식히던 중, 동네 어르신을 만나 잠시 담소를 나누다 다시 길을 떠난다.
상도동 초입, 배우 김영철의 발길을 잡아끈 장소가 있다. 바로, 허리를 굽혀야 겨우 들어갈 수 있을 만큼 키 작은 문에 두 평 남짓밖에 되지 않는 오래된 헌책방이다. 낡은 책장 안에 빼곡하게 들어찬 헌책들. 그중 주인장이 가장 아끼는 건 한국 전쟁 직후 만들어진 한 초등학교 앨범과 400년 된 고서란다. 단 한 명의 손님이라도 찾는 사람들이 있어 책방 문을 닫지 못한다는 주인장. 그가 파는 책 안엔, 사람들의 향수가 담긴 오래된 추억이 가득하다.
발길을 옮겨 상도동 언덕길을 오르다 보면 눈에 띄는 두 가지가 있다. 가파른 길을 오르는 사람들과 자투리땅마다 살뜰하게 일군 텃밭이다. 그중 볕 잘 드는 옥상에 텃밭을 일구고 사는 한 노부부를 만났다. 홍당무, 토마토, 고추까지 10가지가 넘는 채소를 손수 키우며 옥상에 그들만의 작은 농장을 만든 노부부. 그 안엔 정년 후 적은 돈이라도 아끼기 위해 태양광 집열판을 설치한 할아버지의 깊은 속내까지 묻어있다. 햇살 가득한 집, 상도동에서 한평생 살아온 노부부의 일상을 들여다본다.
다시 길을 떠나려던 찰나, 동네를 가득 메운 아이들의 웃음소리에 발걸음을 멈춘 배우 김영철. 어린이집 마당에서 까르르 웃으며 자전거 페달을 밟는 아이들에게 다가가 본다. 알고 보니 태양광 집열판에 모아둔 전기와 함께 자전거 페달을 밟아 전기를 만들어내며 알기 쉽게 에너지 수업을 하고 있던 것. 아이들을 대신해 힘차게 자전거 페달을 밟아 시원하게 분수를 뿜어내고, 솜사탕을 만들어주며 아이들에게 아주 특별한 여름나기 시간을 선물하고 다시 길을 나선다.
다시 가파른 언덕을 오르다 보니, 어느새 이마에 송골송골 땀이 맺히고 숨이 차오른 배우 김영철. 그늘 한 점이 간절한 그때, 겉보기엔 평범한 가정집 앞에 ‘무인 카페’ 라고 쓰인 간판이 눈에 띈다. 조심스레 안으로 들어가 보니 누구나 언덕을 오르다 힘들면 들어와 물 한 모금, 차 한 잔 공짜로 마시고 편히 쉬다 갈 수 있는 마을 옹달샘 같은 곳이란다. 대문을 열어두기도 무서운 흉흉한 세상, 동네 사람들을 믿고 배려하는 주인장의 마음에서 따뜻함을 느끼고 남은 여정을 이어간다.
언덕 위 동네를 지나 숲이 우거진 산으로 발길을 옮겨본다. 자박자박 발길을 옮기다 산 중턱, 사찰 하나를 발견한 배우 김영철. 이곳에 우리가 미처 몰랐던 신비한 장소가 숨겨져 있었다. 바로, 신성한 물이 흐른다는 천연 동굴이다. 상도동과 흑석동에선 이미 소문난 소원 기도터란다. 그 신비한 물의 원천을 찾아 올라간 산 중턱엔 거북이 모양의 자연 암석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그리고 그 아래로 한강과 남산이 한눈에 내다보이는 그림 같은 풍경이 펼쳐진다. 서울에서도 손에 꼽힌다는 경관 명소 사찰 달마사에서 도심 속 고즈넉한 산사의 기운을 느끼고 다시 길을 떠나본다.
산을 내려와 길을 걷던 중, 우연히 간판 없는 한 식당을 발견한다. 오로지 [직접 묵 쑵니다. 묵집] 이란 글씨만 써있는 곳. 들어가니 여든을 내다보는 어머니가 도토리묵을 쑤고 있다. 이곳의 메뉴는 푹 익은 묵은지에 싸 먹는 도토리묵과 직접 뜯은 쑥으로 반죽한 쑥 수제비. 시골에서 먹고 살기가 팍팍해 48년 전 상경해 묵 장사로 4남매를 키워냈다는 할머니. 할머니의 음식엔 깊은 인생의 맛이 담겨있다. 이제 나이가 들어 장사를 접고 싶지만 2년 전 먼저 하늘로 떠나보낸 남편과의 오랜 정이 담긴 장소이자, 아직도 옛맛을 잊지 못해 찾는 손님들이 있어 장사를 이어간다는 할머니. 배우 김영철은 그곳에서 잊고 지냈던 어머니의 묵 맛을 회상하며 마음을 채우고 간다.
#김영철의동네한바퀴 #상도동 #흑석동

Пікірлер: 66

  • @davidkim439
    @davidkim43911 ай бұрын

    흑석동에서 태어나 30여년을 살다가 미국으로 이민을 온지 또 20여년이 흘렀어요. 지난 봄에 고국방문했을 때 흑석동을 한번 들러서 지금은 자이 아파트가 들어선 아버지 약국하시던 자리도 둘러보고 했던 즐거운 추억이 있네요. 특히 저 커피숍 아직도 있는 것 보고 눈물이 날 정도로 반가웠어요. 대학시절에 참 많은 사람들을 만났던 추억의 장소인데 마치 타임머신 타고 과거로 돌아간 듯한 느낌... 가게 지켜주신 주인분께 감사드려요.

  • @user-xj9hd8fg9c
    @user-xj9hd8fg9c11 ай бұрын

    역시는 역시~~명불허전 동네한바퀴는 역시 김영철님이 해야 딱 맞는 옷을 입은거 같은 폭근함이 있고 뭔가 추억을 느끼게끔 차분한 설명 이런게 넘 와 닿네요~~꼭 다시 오셔야 할듯 합니다~~~꼭

  • @user-ns2jy7vo2x
    @user-ns2jy7vo2x9 ай бұрын

    너무 훈훈합니다 김영철님 넘넘 멋집니다.목소리도 얼굴 모습도^^ 늘 보았는데 댓글 첨 올리고 구독을 이제 눌렀네요^^ 건강하시고 언제나 한결같이 오랫동안 뵐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고맙습니다^^❤❤❤❤❤❤❤

  • @starbooks988
    @starbooks98811 ай бұрын

    상도동에서 26년을 살았습니다. 제가 나온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모두 상도동. 흑석동에서 고교시절 3년. 어느덧 벌써 61세. 세월이 참. ㅠㅠ

  • @user-ci3vt7xm4f
    @user-ci3vt7xm4f11 ай бұрын

    너무 구수하고 정겨워요 힐링돼요 너무 좋아요 김영철 선생님 🫶🏻

  • @user-du6xd5im5h
    @user-du6xd5im5h11 ай бұрын

    상도동도 살기 좋은 곳이네요. 따뜻한 정과 사랑이 넘치는 푸근한 동네라 응원합니다.

  • @User-dhfewhews
    @User-dhfewhews10 ай бұрын

    흑석동에서 태어나 명수대 초등학교 다녔었는데. 고향 친구가 생각나네요. 중학교 끝나고 중대앞 지나다니다가 데모 막느라 채루탄에 눈물 콧물 범벅에 집에 갔던 기억도 나구요. 지금은 미국 이민와서 내 고향이 더 애틋하네요. 얼마나 변했을지 한국 가면 가보고 싶네요

  • @user-um7ph2kj1t
    @user-um7ph2kj1t11 ай бұрын

    지금은 없어졌진 흑석동 성모병원에서 태어나서 오래도록 살았던 동네입니다. 달마산에 놀러가고, 중대뒷산에서 아카시아 꽃 따먹던 기억이 아련합니다.

  • @user-ox9ow4pj9d
    @user-ox9ow4pj9d11 ай бұрын

    잘보았습니다. 무인카페 주인처럼 살고싶네요.

  • @yongchulee
    @yongchulee11 ай бұрын

    우리 육남매 모두 흑석동이 고향!! 부모님 모두 돌아 가시고 이제 모두 육십대에서부터 팔십대로 달리는 형제들… 작년 우리가 살던 흑석 2동 비계! 우리 가족이 살던 동네를 작년 한국을 방문했을 때 다녀왔다😢

  • @janepark2647

    @janepark2647

    10 ай бұрын

    혹시 은로국민학교 출신이세요?

  • @yongchulee

    @yongchulee

    10 ай бұрын

    @@janepark2647 녜

  • @user-sr4ol8wf2y
    @user-sr4ol8wf2y11 ай бұрын

    반드시 한번 쭉 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꼭 이방송으로 돌아와주세요

  • @user-od8uj9ri7t
    @user-od8uj9ri7t11 ай бұрын

    다시 김영철 선생님이 해주셔요 이만기씨 나오고는 안봅니다

  • @younglee59

    @younglee59

    6 ай бұрын

    ㅇㅈ

  • @thomasjin1541
    @thomasjin15418 ай бұрын

    18:50 이 부분 괜히 눈물난다 ㅠㅠ

  • @user-uw3hb5kq6w
    @user-uw3hb5kq6w11 ай бұрын

    대학때 자주갔던 터방네 ....여기 사이폰 커피 좋아했었는데 졸업한지 한참지났는데 추억의 장소 보니 방가워요~~

  • @__-rl5gy
    @__-rl5gy11 ай бұрын

    이렇게 지역이든 동네 돌아다니는거 엄청 좋아하는데.. 누비며 살고 싶다..

  • @user-tz3hu2tk2q
    @user-tz3hu2tk2q9 ай бұрын

    김영철 님 반갑습니다 정감이 가게 진행 넘 잘 하셔서 빠져듭니다 김영철 님 하실 때 잘 시청 했었는데요

  • @hyunseungyoon3568
    @hyunseungyoon356811 ай бұрын

    커피 마실때 CF 같네요...ㅋㅋㅋ

  • @user-hy9jm3wb5x
    @user-hy9jm3wb5x11 ай бұрын

    흑석동고향이에요 늘그리운곳이에요

  • @user-uc3ly7cv7i
    @user-uc3ly7cv7i11 ай бұрын

    95년부터 97년5월까지 군생활했던 상도동

  • @user-lp3yc1kf6s
    @user-lp3yc1kf6s11 ай бұрын

    이젠너무나아쉬워요

  • @user-do9iq1ls2x
    @user-do9iq1ls2x10 ай бұрын

    중앙대학교 77학번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ph5wv7yw9p
    @user-ph5wv7yw9p7 ай бұрын

    저도흑석동이고향이예요

  • @normal77079
    @normal7707911 ай бұрын

    흑석동에서 2년정도 살았는데 그땐 너무 바쁘다보니 출퇴근만하구 주변을 못돌아봤거든요. 좋은곳이 많았네요. 지금은 재개발로 사라진곳에 아파트가 들어섰더군요.

  • @seungwooham3204
    @seungwooham320411 ай бұрын

    맨날 옆에 고속도로 타고 다니면서 몬지도 몰랐는데 ㅋㅋ 정보 감사합니다

  • @sushidushi8472
    @sushidushi847211 ай бұрын

    달마사와 토굴 속의 옹달샘 가히 신비스헙고 영험합니다. 도심에 이런 곳이…… 놀라와요.

  • @younglee59

    @younglee59

    6 ай бұрын

  • @gracepark1106
    @gracepark110611 ай бұрын

    흑석동 너무 좋았어요! 언덕만 빼고 ㅎ ㅎ

  • @user-mh8xt1uf1r
    @user-mh8xt1uf1r2 ай бұрын

    그립다.. 내 고향 상도동... 지금은 지장때문에 울산에 거주 하지만.... 내 고향 상도동... 가고싶다....

  • @hyounkim8815
    @hyounkim881511 ай бұрын

    내가 상도동에 살때는 주변에 미나리밭도있었어요

  • @younglee59
    @younglee596 ай бұрын

    수재비❤

  • @user-fe8gm4bu7g
    @user-fe8gm4bu7g6 ай бұрын

    장승백이에서 태어나고 성인이 되서도 주변에 있는데 아딕도 여기나온 헌책방이 있을 줄은 몰랐네요. 중학교시절 만확책도 소설책도 사보던 곳인데....너무 반갑네요.

  • @changsungpark460
    @changsungpark46015 күн бұрын

  • @user-xe9zn8nm4x
    @user-xe9zn8nm4x10 ай бұрын

    저도 상도동 살고 싶네요

  • @user-yo3hk4hk2d
    @user-yo3hk4hk2dАй бұрын

    떠나온지 30년이지만 주차로 살인난다는 말이 딱 어울리던 내 고향

  • @younglee59
    @younglee596 ай бұрын

    50:01

  • @user-vn9eq9uw3f
    @user-vn9eq9uw3f9 ай бұрын

    흑석동에 살았던 중학교 동창 고 광림 친구야! 어디에 있는 거니? 친구야 !

  • @kevinkim978
    @kevinkim97811 ай бұрын

    무인카페 좋은 아이디어로 좋은 일 하시는데 아이들이 마시는 티 보다는 레몬에이드가 어떨까요? 카페인이 없어서 좋을듯 합니다 오해는 없으시길 바랍니다

  • @tmrnjfn4558
    @tmrnjfn455811 ай бұрын

    흑석동이 언덕인것만 빼고는 좋은듯

  • @ncgsmb
    @ncgsmb10 ай бұрын

    바둑이도 같이 놀자 동네 한바퀴 ㅋㅋㅋ

  • @younglee59

    @younglee59

    6 ай бұрын

    다같이놀자동네한바퀴

  • @user-mn1nr6zl2x
    @user-mn1nr6zl2x11 ай бұрын

    저 정도 장소에 땅 차지했다는 것은 악질 변사또처럼 완전 악질 부자들이 하는 짓 아니던가? 효자는 무슨... 남 괴롭혀서 효도하면 효자인건가?

  • @FieryFutorian
    @FieryFutorian4 ай бұрын

    노인들이 노하우가 많아 도시 형성엔 노인이 필수 검단같은 신도시가 걱정됨 젊은이들만 있고 풍습 뭐를 전수받이서 바른지 ㅉㅉ 요즘은 노인도 건강하고 아픈것은 확률이 높아서고 미쿡은 100세 교수도 있슴 젊은이들도 30부터 저세상으로 가고, 북한 평균나이 30세 ㅎㅎ 노인들 건강한 사람 많고, 은평으로 와요 ㅎㅎ 새빌라도 1억 오천에, 맛거리는 넘치고, 친구사귈 교회나 절도 많고, 장사도 하게끔 꼬마빌딩 수두루룩 ㅎㅎ 천당수준 외로운 은퇴자 안될렴 남녀노소, 부자와 가난한자 어울려 사는 응암동이 최고 - 일주인전부터 자칭 응암 홍보대사 😸💚

  • @user-pk4hs4qi4y
    @user-pk4hs4qi4y11 ай бұрын

    ???:오늘 궁예 우리동네온 썰푼다

  • @younglee59

    @younglee59

    6 ай бұрын

    김두한

  • @ejngjgb4792
    @ejngjgb479210 ай бұрын

    동작구에는 대형마트가 한개도 없음... 그리고 너무 언덕동네가 많음...

  • @halo-oy8cg

    @halo-oy8cg

    10 ай бұрын

    그게 동작구 매력아니겠음? ㅋㅋ 유니크한 동네지.. 한강도 있고. 낙후된곳도 아직 많고

  • @user-pm8ex9qg7c

    @user-pm8ex9qg7c

    9 ай бұрын

    맞아요 !대형마트가려면 굳이 영등포역,용산역,여의도까지는 가야 나오니 불편..동네수퍼도 갈려면 오르막길 내리막길 가야 나오니ㅜ그래서 보통 인터넷쇼핑을 하는데 마트가고싶을때가 있죠ㅜ

  • @KoKo-ve7on
    @KoKo-ve7on11 ай бұрын

    부동산 투자 전문가 흑석의겸 선생님 초빙 안하나요?

  • @user-fd8uw9sl1v
    @user-fd8uw9sl1v11 ай бұрын

    흑석 김의겸 선생의 부동산특강이. 없는게 옥 의티네요

  • @user-hv7ox9nq7y
    @user-hv7ox9nq7y11 ай бұрын

    천공을 앞질렀던 우리 투기계의 지존 흑석선생이 잠시 등기땄던 동네

  • @user-cn9zj3cc8g

    @user-cn9zj3cc8g

    11 ай бұрын

    ㅋㅋㅋ😂😂😂

  • @user-rc7mi7ks2n

    @user-rc7mi7ks2n

    11 ай бұрын

    ㅎㅎㅎ 그런 기억이 있는곳이네요

  • @qwerty-ro8kl

    @qwerty-ro8kl

    9 ай бұрын

    흑석의 ㄱㅇㄱ

  • @user-uy6qr1om6t

    @user-uy6qr1om6t

    6 ай бұрын

    사서 대출 이빠이 빼서 팔아 시세차익. 개뻔뻔놈

  • @glnwxezdynrsqwt
    @glnwxezdynrsqwt6 ай бұрын

    개의겸 씦섂히

  • @user-un3yl2ci9f
    @user-un3yl2ci9f16 күн бұрын

    "옛날에는 한 쪽 눈이 없었는데 지금은 고쳤네?" 우하하하하! 옴마니 밤메홈!

  • @bsl9415
    @bsl941510 ай бұрын

    60년대,지금의 한강대교 밑에서,수영도 했음.. 국군의 날에 한강철교 교각 사이로 전투기 날아가서,부근 백사장에 폭탄투하도 했었고…

  • @mid327076
    @mid32707611 ай бұрын

    상도초등학교 신상도 초등학교 출신 모여라

  • @user-vn5id3iw5p

    @user-vn5id3iw5p

    11 ай бұрын

    나랑 둘째동생은 상도초졸, 막내동생이 상도에서 신상도로 가서 졸업! 후배시구나..ㅋ

  • @user-yo3hk4hk2d

    @user-yo3hk4hk2d

    Ай бұрын

    급식한다고 몇 년을 설레발 치더니 졸업때까지 도시락 까먹은 신상도초 ㅋㅋ

  • @_moonstargram
    @_moonstargram10 ай бұрын

    해방촌 느낌이 나는 동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