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 성경은 여전히 의미 있는가? 에리히 프롬의 혁명적 구약 읽기 : 너희도 신처럼 되리라 1부

#에리히프롬 #구약 #성서 #성경 #유대교 #기독교 #휴머니즘 #하나님 #예수
구약은 현대인에게 여전히 의미 있는가? 에리히 프롬의 혁명적 구약 읽기
: 너희도 신처럼 되리라 1부
✋일당백 공지사항✋
‘광고의 신’ 정프로와 함께 하실 새로운 광고주님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일당백 광고 문의 : 1dang100tv@gmail.com 🔔
다양한 광고 기다리겠습니다!🤝
🥩소선당 1++ 한우🥩
최고급 한우를 합리적 가격으로! 선물 세트부터 육회까지 다양한 한우를 만나실 수 있습니다.
현재 할인 행사와 일당백 광고 기념 사골 곰탕 팩 증정 행사를 진행중입니다.
sosundang.co.kr/
☕️ 일당백과 항상 함께하는 1kg커피~~ 쇼핑몰은 구글플레이 혹은 애플 앱스토어에서 1kg커피 검색하셔서 다운 받으셔도 되고,
www.1kgcoffee.co.kr​​​​​ 로 접속하셔도 됩니다 ☕️
🍎 더 맛있고 신선한 영주 은하수 사과와 사과즙! 소백지향 홍삼 💪
m.yjapple.com/
sbjinseng.com
영주 은하수 사과와 사과즙 눌러주세요!
소백지향 홍삼도 눌러주세요.^^
🚘 대박114대리운전
앱 설치 시, 10,000원 적립!
me2.do/x3qhjYfr
대리운전의 신선한 개념. 미래의 대리운전
이제 더욱 편리하고, 저렴한 대리운전을 이용하세요

Пікірлер: 183

  • @jini7468
    @jini74683 ай бұрын

    교회안보다 더 교회다운 설교! 알파와 오메가란 의미가 진정 와닿는 시간이었습니다. 하나님의 성품을 닮아가는 삶이 진정 그리스도인의 삶이고 그 어떤 다른곳이 아닌 각자의 자리에서 마땅히 가족과 이웃을 사랑으로 섬기는것이 작은예수가 되는 길일거라고 믿습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

  • @user-vn5xp8ru1o

    @user-vn5xp8ru1o

    3 ай бұрын

    정답~~~예수팔아서 먹고사는 크고작은교회 사업가들ㅋㅋ 제일 천박한것들!

  • @catherine8899
    @catherine88993 ай бұрын

    정박님을 보면서 인간과 세상에대해 이렇게 배우고 알아야하는것이 많구나라고 깨닫고 . 언제나 존경스럽고. 겸손을 배웁니다 일당백 !!! 항상 감사드립니다

  • @sunghwajeung535
    @sunghwajeung5353 ай бұрын

    유툽광고부분이 젤로 싫은데 광고의 이미지를 깨준 일당백 ㅎㅎ 일당백의 매순간이 스스드~~~~

  • @mdjwy
    @mdjwy3 ай бұрын

    출애굽 역사에서 큰 깨달음을 얻고 갑니다. 노예근성에 쩔은 세대가 다 사라지기 전에는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에 들어갈 수 없었다는 걸요.

  • @jhhyun8407
    @jhhyun84073 ай бұрын

    교회에서는 절대로 들을수 없는 구약입니다. 감사합니다. ❤

  • @user-iq3qf6le5m
    @user-iq3qf6le5m3 ай бұрын

    구약을 누군가는 이렇게 이해하는군요. 컨텐츠는 해석하는 사람을 닮는 것 같아요. 맛집은 식재료가 아니라 요리사가 만든다는 걸 또 한 번 깨닫습니다. 좋은 컨텐츠를 발견하려면 먼저 좋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도 배웁니다.

  • @usinokaori
    @usinokaori3 ай бұрын

    저도 박….박…..박절한사람은 아닙니다😊

  • @katarina5709

    @katarina5709

    3 ай бұрын

    박…절하지 않으신 너무나 따뜻하신 세분처럼 사랑으로 맘을 다하여 다가가는 실천은 모든종교의 기본인듯합니다. 종교에 사람의 욕망을 넣지않고 선함에대한 인간의 본성을 찾아가게 하는 프로가 일당백!! 감사합니다❤

  • @user-yy7qb3uh7j

    @user-yy7qb3uh7j

    3 ай бұрын

    프롤로드​@@katarina5709

  • @woong8854
    @woong88543 ай бұрын

    이지선님 목소리 넘좋다^^ 자주 말해주세요^^ 얼굴도 질리지않고 볼매세요^^*

  • @user-oo1gx7yu6n
    @user-oo1gx7yu6n3 ай бұрын

    아흐, 밤 1시가 다 된 시간 기어이 듣고야마는👍🧡일당백은 사랑입니다😁

  • @user-ll4bc7mf6k
    @user-ll4bc7mf6k3 ай бұрын

    하!!! 오늘 말씀은 오랬동안 교회를 다녔어도 깨닫지 못한 이치를 알게 해주시네요 너~~~~~ 무 감사합니다. 무지했던 저를 깨우쳐 주셨어요

  • @user-tk4cn6lr1u
    @user-tk4cn6lr1u3 ай бұрын

    정박님 이렇게 박식 할 수 있을까!!!

  • @user-zs8su5lr7e
    @user-zs8su5lr7e3 ай бұрын

    정박님 존경합니다 🎉❤

  • @user-kd4el5nu2w
    @user-kd4el5nu2w3 ай бұрын

    나라의 보배 정박님~ 정프로^^🎉❤😊

  • @user-tk4cn6lr1u
    @user-tk4cn6lr1u3 ай бұрын

    이지선님 넘 잘하고 좋아요~집중도 높아지고 ~♡☆♡

  • @user-qv4kp2pm1e
    @user-qv4kp2pm1e3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

  • @user-fj3pw6my2f
    @user-fj3pw6my2f3 ай бұрын

    일당백을 보고 듣는 시간 정말 즐겁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sb1wy1qg4u
    @user-sb1wy1qg4u3 ай бұрын

    와우 반갑습니다 일당백은 사랑❤

  • @user-yj3rt5hw5r
    @user-yj3rt5hw5r3 ай бұрын

    일당백 안하고 쉴까봐 두려운1인 입니다~ 지선님

  • @user-jx2vo4hi4m
    @user-jx2vo4hi4m3 ай бұрын

    권력의 꿀~~~맛!!! 정영진,,, 맛깔나네요. 권력은 안 되니, 꿀이라도 헌 숟갈 먹으렵니다.

  • @user-qy1ju5bu7h
    @user-qy1ju5bu7h3 ай бұрын

    스스드~~~ㅋㅋㅋㅋ 정프로님 천재~~👍👏👏👏

  • @user-gg2zz4hb6z
    @user-gg2zz4hb6z3 ай бұрын

    일당백 항상 감사합니다.

  • @bujakim8984
    @bujakim89843 ай бұрын

    일당백 내인생의 행복

  • @pigterian
    @pigterian3 ай бұрын

    정박님❤

  • @user-cm1rm2oc5s
    @user-cm1rm2oc5s3 ай бұрын

    1키로 커피 마시며 일당백을 보고 듣습니다. 그동안 산책하면서 팟빵으로 들었는데 영상과 함께 하니 새롭네요.ㅎ의식을 확장시켜주는 시간입니다. 감사해요.

  • @heedoni73

    @heedoni73

    3 ай бұрын

    444444ㅇㅇㅇ

  • @user-te2xn8qw5v
    @user-te2xn8qw5v3 ай бұрын

    한주 못 만나서 아쉬웠습니다. 반갑습니다.❤

  • @user-xg5ke8df8y
    @user-xg5ke8df8y3 ай бұрын

    이지선씨와 같이 저도 꽉막혔나~했는데.... 5살에 엄마에게 사랑한다 했던것과 50세에 엄마에게 사랑한다 했던것은 같으면서도 달랐다는 느낌 있네요.60세 넘으시면 알게 되시지 않을까요😊

  • @likeliz
    @likeliz3 ай бұрын

    두번째 듣고 있습니다. 인류사를 꿰뚫는 정박님의 해설 덕분에 성서와 인간을 다시 돌아보게 됩니다. 정말 최고이십니다!!

  • @son9367
    @son9367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cc1by2cj2i
    @user-cc1by2cj2i3 ай бұрын

    넘 감사합니다..일당백 덕분에 살아갑니다..

  • @jwpark6166
    @jwpark61663 ай бұрын

    ㅋㅋㅋ광고부분이 재밌어요ㅋㅋ

  • @ssp2175
    @ssp21753 ай бұрын

    👍🏻👍🏻👍🏻👍🏻👍🏻👍🏻

  • @hi772902
    @hi7729023 ай бұрын

    플라톤 . 스피노자 특집.. 소원입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 @Lucky-cs9pi
    @Lucky-cs9pi3 ай бұрын

    항상 고맙습니다

  • @user-os9ym5nm2e
    @user-os9ym5nm2e3 ай бұрын

    반갑습니다♡♡♡

  • @user-bw9nu5mn8d
    @user-bw9nu5mn8d3 ай бұрын

    드디어!!!!!

  • @user-si7vz3xr6r
    @user-si7vz3xr6r3 ай бұрын

    일당백덕분에. 금욜밤이 즐겁습니다

  • @user-ly2cs6ls8k
    @user-ly2cs6ls8k3 ай бұрын

    정박님 광고타임까지 기가 막히네요 ㅋ 커피 안합니까 😂

  • @leekate842
    @leekate8423 ай бұрын

    세분 너무감사합니다~ 특히 지선님 너무 좋아요^^

  • @ellie-ipad
    @ellie-ipad3 ай бұрын

    일당백 시즌 1부터 주행하느라 귀에서 피나는 1인~~😅😅😅 늘 응원합니다❤❤❤

  • @user-hg9nl7jl4g

    @user-hg9nl7jl4g

    3 ай бұрын

    할말 다 하고 사는 정미녀가 있던 시즌1, 2시절이 재밌었지~~^^

  • @ellie-ipad

    @ellie-ipad

    3 ай бұрын

    @@user-hg9nl7jl4g 정미녀님 생각하면 웃음이 절로 나오지요,,ㅎㅎ 특히 29금 나오면 처진 눈매가 귀에까지 ~~~~ㅋㅋ

  • @user-ey5cu6nv3m

    @user-ey5cu6nv3m

    3 ай бұрын

    @@user-hg9nl7jl4g 그 분보다 지금 여성 사회자분이 더 듣기 편해요. 개취인듯합니다.

  • @user-yr1iz6wi7q
    @user-yr1iz6wi7q3 ай бұрын

    시즌2부터 정주행했습니다. 6개월만이 겨우 따라잡았네요 ㅠㅠ 정주행하면서 너무 많은 인사이트가 있었습니다. 이런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user-qy1ju5bu7h
    @user-qy1ju5bu7h3 ай бұрын

    사랑.. 그때 아마 유대인들이 오랫동안 써온 사랑의 개념은 헤세드 아닐까요? 히브리어로 헤세드 한때 열심했던 천주교 신자로서 성서 백주간인가.. 거기서 봤던 게 기억나네요. 헤세드란 말을 일당백에서 만날 줄이야~~!!! ㅠㅠ 정말 주님께서 날 잊지 않고 길 모퉁이에서 기다리고 계신 느낌입니다. 오늘은 하느님의 사랑을 헤세드 라는 말로 만나네요. 일당백, 고마운 강의입니다.

  • @sbchoi7726
    @sbchoi77263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나중에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도 한 번 부탁드립니다. 유일신과 인간의 관계, 기독교와 불교철학의 아름다운 만남으로 기억하고 있는데요. 박사님께서 한 번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user-dk3gf6qh1p
    @user-dk3gf6qh1p3 ай бұрын

    👍

  • @user-tc3vb6zf7t
    @user-tc3vb6zf7t3 ай бұрын

    일당백❤❤❤❤❤❤❤

  • @user-el8ml4ib8q
    @user-el8ml4ib8q3 ай бұрын

    일당백 정박님 최고🎉

  • @sookytv
    @sookytv3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강의. 해석이 참 좋습니다.

  • @user-uf9ef5jr4b
    @user-uf9ef5jr4b3 ай бұрын

    팟캐스트로 듣고 유튜브로도 봐요. 고맙습니다~

  • @_____ani
    @_____ani3 ай бұрын

    오늘도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karmagne
    @karmagne3 ай бұрын

    시즌1부터 감사하게 듣고 있습니다. 정박님 구수한 말씀이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우리시대 고전읽기는 조카한테 부탁해서 다음주면 손에 들어올 것 같습니다. 1킬로 커피는 마셔보지도 않았는데 세뇌가 되었네요. 한국에 들어가면 꼭 주문하겠습니다. ㅋ

  • @user-ew6ev2dz5j
    @user-ew6ev2dz5j3 ай бұрын

    재미있어요 고맙습니다😊

  • @user-jw4kx6sn6h
    @user-jw4kx6sn6h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SarahKayaComson
    @SarahKayaComson3 ай бұрын

    👍👍👍

  • @katarina5709
    @katarina57093 ай бұрын

    42:24 저애게 우상은 광고요정 정영진입니다. 최고!!

  • @user-ng9uv5tc3g
    @user-ng9uv5tc3g3 ай бұрын

    완전체~!!😊

  • @user-hl5nz3kj1g
    @user-hl5nz3kj1g3 ай бұрын

    일당백 감사합니다❤

  • @ACRUX-Z
    @ACRUX-Z3 ай бұрын

    신이 진화한 것이 아니라 신은 묵묵히 세상에 모든 섭리가운데 있었지만 인간이 신을 바라보는 관점이 진화해 가며 성숙해졌을 것이라 생각이 드네요 과거에 기록한 것이 미흡하니 실수하더라도 계속 탐구하며 수정해 가야 된다고 생각듭니다

  • @user-vd8zf1qn2j
    @user-vd8zf1qn2j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son9367
    @son93673 ай бұрын

    좋은 책을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uk9uh7ki3b
    @user-uk9uh7ki3b3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보고있어요~

  • @anhokeun8648
    @anhokeun86483 ай бұрын

  • @hyejinlee7212
    @hyejinlee72123 ай бұрын

    이번 주도 고맙습니다 🎉

  • @breakthewall5566
    @breakthewall55663 ай бұрын

    쨘!

  • @user-tk4cn6lr1u
    @user-tk4cn6lr1u3 ай бұрын

    박절하지 못해서...ㅎㅎㅎ

  • @arhturkim
    @arhturkim3 ай бұрын

    2000년 대학교 수업 과제로 읽었던책….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rachelshin3210
    @rachelshin32103 ай бұрын

    요즘 AI의 급격한 발전을 보며 두려움을 갖는 우리들의 모습을 보면서 “만물을 창조했다는 신은 과연 전능자였을까?”라는 질문이 생겼습니다. 지금 우리 와 AI이의 관계가 에덴동산의 신과 인간의 모습이 많이 닮았습니다. 그 사과, 생명나무… 이것을 AI에게 줄것인가 말아야 할것인가에 딜레마에 빠져있는데…이미 선은 넘은둣합니다. 조금 있으면 우리 인간도 AI와 계약을 해야 할자도 무르겠네요. 요즘 정말 흥미로운 시대입니다.

  • @user-yg1rb2ih8s
    @user-yg1rb2ih8s3 ай бұрын

    너무 좋습니다😊

  • @ShallSetmefree
    @ShallSetmefree3 ай бұрын

    누군가의 말처럼 진리는 정말 간단하다. 다만 듣고 행동하기 싫을 뿐 21세기가 과연 진보된 세계인가? 그저 우리는 방구석 평론가가 되어 사회를 비판하며 축구를 보며 치킨과 맥주를 먹는 존재가 아닌가? 아름다움은 생각보다 쉽다.

  • @tgam8374
    @tgam83743 ай бұрын

    제게는 일당백이 최고 인데 이번 에피소드가 그중 또 최고입니다.

  • @boachung3482
    @boachung34823 ай бұрын

    최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상황을 보면서 우리의 책읽기조차 너무 유대인들의 상황에만 편중된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물론 세상에 똑똑한 유대인들이 많은 것도 부인하지는 않으나.. ) 하여 일당백에서 팔레스타인 작가들의 이야기를 한번 다뤄보는게 어떨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user-hz1mw2kq9t

    @user-hz1mw2kq9t

    3 ай бұрын

    공감요. 역사는 승리자에 의해 기록되는 안타까움.. !

  • @johndory0750

    @johndory0750

    3 ай бұрын

    미국 문화 한정 유대인 커뮤니티가 끼치는 영향이 적지 않은 건 사실이나 유대계 작가나 그 시선이 지배적이라고 보기는 결코 어렵습니다 현재 세계적인 철학자들 다수가 이스라엘을 규탄하고 있고요

  • @baekminkim8281
    @baekminkim82813 ай бұрын

    야회...확정되어 있으면 질리지. 질리면 잊혀지지. 변화하는. 발전하는. 무한한. 신박하네

  • @user-bw9nu5mn8d
    @user-bw9nu5mn8d3 ай бұрын

    재미져용!!

  • @butterpeanut7839
    @butterpeanut78393 ай бұрын

    박절하지 못한 정프로 ❤

  • @user-tq4lr3no4c
    @user-tq4lr3no4c3 ай бұрын

    이름있는 자(유한)를 통해 이름없는 자(무한)의 의지를 해석하고 이름없는 자의 정체를 이해가게 되는 것 (기독교신앙).

  • @jiyangkimxx
    @jiyangkimxxАй бұрын

    광고가 넘 재밌어요 ☺️

  • @choix2961
    @choix29612 ай бұрын

    일당백 너무 좋아요🎉

  • @0k879
    @0k8793 ай бұрын

    신약도 그렇죠 예수님 처럼 사랑을 실천하는것 네 이웃을 내 몸 같이 사랑하라 인간의 자유의지로 삶을 계속 창조해가는것 그래서 창조의신

  • @davidshin9200
    @davidshin92003 ай бұрын

    애기때 성인된후 어마 사랑해.. 엄만 변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결론은 내가 나의 지성 성숙도의 변화가 있다.

  • @user-yw2lt7bx8t
    @user-yw2lt7bx8t3 ай бұрын

    최근 교회를 다시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모태신앙이어도 항상 성경에 대한 하나님에 대한 미스테리(?)로 믿음이 이어지지 않더라구요. 학문으로서의 해설이지만 도움이 많이 되네요

  • @eunkim3845
    @eunkim38453 ай бұрын

    ❤❤❤

  • @munjeongjang5105
    @munjeongjang51053 ай бұрын

    누미노제 라는 단어 너무 반갑습니다

  • @user-bg8tn9sr2y
    @user-bg8tn9sr2y2 ай бұрын

    하느님은 무엇과 비교해도 최고의 가치이다. 아담과 이브가 에덴동산을 떠났듯이ㅡ죄를 지어 추방당한것이 아니라ㅡ 자립하고 이성과 사랑으로 행동하면 너희도 신처럼 되리라.

  • @user-xg1rx2tf4j
    @user-xg1rx2tf4j3 ай бұрын

    인간의 삶~ 고난ㆍ역경ㆍ감사ㆍ질곡ㆍ고통ㆍ사랑

  • @uuioo
    @uuioo3 ай бұрын

    nobody~ nobody~ But you!

  • @laundryproject5065
    @laundryproject50653 ай бұрын

    꽉막힌 사람을 대표해주네요

  • @MsPeace2all
    @MsPeace2allАй бұрын

    진정한 사랑은 동등한 인격에서 출발하기에 하나님은 인간을 사랑의 관계로 부르신 듯!

  • @Leptospermumssp
    @LeptospermumsspАй бұрын

    이지선님이 꽉막히신게 아니고 올바르신거에요^^ 사랑이라는 가치의 본질은 역사의 시작부터 지금까지 조금도 변하지 않았고 영원히 변하지 않아요ㅎㅎ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영원불변 진리라는 개념을 부정하므로써 모든것을 변질되는것으로 격하시키는것 뿐이죠. 포스트모더니스트들에게는 중력의 존재도 social construct 에 불과하답니다 ㅎㅎ

  • @youngjakimrahman8735
    @youngjakimrahman87353 ай бұрын

    사람은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 것에 한계가 있습니다. 사탄같은인간들이 너무많아서. 지쳐서 힘듭니다

  • @patrickkim8503
    @patrickkim85033 ай бұрын

    운전할때 일당백 두세편이면 전국 어디든 심심하게 갈 일이 없습니다 ㅎㅎ

  • @user-ii1tl4sc3r

    @user-ii1tl4sc3r

    3 ай бұрын

    오 저도요!! 너무 운전이 즐겁습니다 ㅎㅎ😊

  • @user-cv4is1iz9b
    @user-cv4is1iz9b3 ай бұрын

    반갑습니다. 요즘 침팬지 폴리틱스가 많이 인용되고 있더라구요. 정박님의 견해가 궁금합니다. 늘 감사합니다.

  • @sanglocoubray2167
    @sanglocoubray2167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직 시청 전인데요. 구약이라고 하니.... 제주도에 사시는 김근수 성서학자님을 한번 모셔 주세요. 페이스북으로 연락이 가능한 것 같아요. 오늘도 재밌게 듣겠습니다. 일당백은 어떻게 몇 주간의 휴가도 없이 일년내내 업로드가 가능하신지요? 종종 휴가를 떠나 주세요. 늘 고맙습니다.

  • @Thomas-sl1qt

    @Thomas-sl1qt

    3 ай бұрын

    김근수 선생은 성서학자가 아닙니다.

  • @user-fc4vc3bu4g
    @user-fc4vc3bu4g3 ай бұрын

    책이 다 품절이당.ㅠㅠ..

  • @jongeunkim8047
    @jongeunkim80473 ай бұрын

    ”살아있는 동물의 살을 먹지말라“ 를 어떻게 육회를 먹지 마라라고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인가?! 단지 피를 빼고 먹으라고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인가?! 구약이 요리책인가?!

  • @user-ef1zy2kb2z
    @user-ef1zy2kb2z3 ай бұрын

    같기도하고다르기도하지. 어디를 보는가에 따라 같거나달라.

  • @user-sh2ik9ky7k
    @user-sh2ik9ky7k3 ай бұрын

    전, 선악과 이야기는 인간의 완전한 자아획득을 말하는 걸로 봅니다. 즉, 자연과의 동화 속에서(천국에서) 살다가 자아의 획득으로 그 동화된 삶에서 벗어나고 자연과 대립하는 삶을 살게 된 것. 원죄. 이렇게 보면 하나님은 자연의 총체적 섭리가 되고 그에 대립하거나 순응하는 인간의 역사,,, 머 저처럼 생각하시는 분도 많을거예요,, 그리고 이삭을 바치는 일화는 당시 지중해 등 그 근방에 맏아들을 신에게 바치는 풍습이 있었고 그것에 대한 유대교의 차별성 인도주의를 나타낸 것 아닐까,,,

  • @user-jg4ow9re8m
    @user-jg4ow9re8m3 ай бұрын

    댓번은 들어야 반이나 알거같음매,,,

  • @user-pd5cj7vo4s
    @user-pd5cj7vo4s3 ай бұрын

    예레미아에서는내이름이여호와인줄....이라는데요

  • @user-xm9ve1tn2f
    @user-xm9ve1tn2f3 ай бұрын

    에리히 프롬씨가 분명 아시아 역학을 치링했을듯 ᆢ

  • @user-bg8tn9sr2y
    @user-bg8tn9sr2y2 ай бұрын

    그럼 유대교성전에는 동상, 스테인드글라스라든지 눈에 보이는게 없나요? 이슬람사원 같을까요? 하느님은 살아계신 분이고 생성 중이시라 죽은 우상으로 만들 수 없다 행위를 통해 존재가 드러난다. 사회적 실천을 통해서 어떤 인간인지 규정된다. 골방에서 생각만, 기도만해서는 하느님이 될수 없다. 하느님처럼 행동해야 하느님에 가까워질 수 있다.

  • @sonicforest521
    @sonicforest5213 ай бұрын

    GD ㅋㅋㅋ 지드래곤이 괜히 아이돌(idol:우상)이 아니었군요 ㅋ

  • @imway_hun
    @imway_hun3 ай бұрын

    종교를 이야기 하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神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를 해야 합니다. 저 한자가 우리는 [신]으로 읽으면 많은 문제점을 낳게 됩니다. 그러면 신발의 개념과 같아지게 됩니다. 여기서 우리는 인간의 놔가 소리로 표현되는 언어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선이해가 필요합니다. 언어에서 단어를 만들 때 이들 소리간의 관계를 이용해서 만들게 됩니다. 그 관계가 깨진 낱말을 만들면 우리의 뇌는 그것을 정확하게 인식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현재 우리말이 그렇고 그걸 쓰는 우리의 머리는 혼란스럽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神이라는 한자는 영어단어 god으로 인식을 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