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의 거란어 거울을 해독했습니다

〈타임라인〉
00:00 고려와 거란이 교류한 흔적
01:22 거란어 연구의 발전
02:29 거란어의 계통적 위치
03:45 아이신교로 울히춘의 해석
05:02 향문천의 해석
07:08 한 가지 더…
〈참고문헌〉
・愛新覚羅烏拉熙春・吉本道雅(2011)『韓半島から眺めた契丹・女真』
・大竹昌巳(2014)「關於契丹語的兄弟姊妹稱謂系統」
・大竹昌巳(2016)「契丹語形容詞の性・数標示体系について」
・大竹昌巳(2020)『契丹語の歴史言語学的研究』
・Shimunek, Andrew (2017) - Languages of Ancient Southern Mongolia and North China
Artlist는 저작권 걱정 없는 고품질 스톡 영상, 음악, 효과음, 템플릿, 플러그인을 하나의 라이선스로 모두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구독 기간 중에 받은 콘텐츠는 평생 간직하여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 구독하시면 추가로 2개월을 무료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 광고가 아님을 밝힙니다.)
artlist.io/referral/2169082/b...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bungbungnue
웹사이트: www.bungbungnue.com
제휴: bungbungnue.com/affiliate
연락: bungbungnue@gmail.com

Пікірлер: 2 200

  • @bungbungnue
    @bungbungnue11 ай бұрын

    단일 라이선스로 저작권 걱정 없는 영상과 음악 소재를 받을 수 있는 Artlist와 Artgrid를 2개월 추가로 이용할 수 있는 가입 링크입니다. 구독을 고려하고 계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꼭 혜택을 챙기시기 바랍니다. artlist.io/referral/2169082/bungbungnue 향문천에 의한 「동제(거란소자)명 원형경」 해독문의 변경사항 및 근거(블로그 글 최하단에 첨부됨)는 향문천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www.bungbungnue.com/post/%EA%B5%AD%EB%A6%BD%EC%A4%91%EC%95%99%EB%B0%95%EB%AC%BC%EA%B4%80-%EC%86%8C%EC%9E%A5-%E3%80%8C%EA%B1%B0%EB%9E%80%EC%86%8C%EC%9E%90-%EC%B9%A0%EC%96%B8%EC%A0%88%EA%B5%AC-%EB%8F%99%EA%B2%BD%E3%80%8D-%ED%95%B4%EC%84%9D 〈주의사항〉 6:17에서 「전구」의 거란어 전사문이 「승구」의 것으로 잘못 표시되었습니다. 이를 다음과 같이 바로잡습니다: čim ərəə üüň t/dabal-uuǰ šää nəgud-d ör-əľ (örəľ-ľ). 7:30에 비교에 대해 복수의 지적 댓글이 달렸습니다. 여기에 부가 설명을 덧붙입니다. 거란어와 현대 한국어의 친족 호칭을 언급한 것은, 둘의 유형적 유사성을 지적하기 위함이지, 계통적 혹은 어휘의 동원성을 주장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형」이 한자어라거나(다만 이것도 원래는 한자어가 아니었다는 유효한 주장이 알렉산더 보빈 교수에 의해 제기된 바 있음) 본래는 「언니」가 더 넓은 용법을 가졌다거나 하는 사실은, 여기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공시적인 비교는 단어 하나하나의 역사를 살피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둘의 유형적 유사성만을 조명하고 있으므로, 그 부분에 집중해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Lingua-qv6ym

    @Lingua-qv6ym

    11 ай бұрын

    근데 이런자료 어디서 얻는건가요 해석 못한 문자중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user-pn9we3xw2p

    @user-pn9we3xw2p

    11 ай бұрын

    대단합니다!👍

  • @user-xh3vz6ic8d

    @user-xh3vz6ic8d

    11 ай бұрын

    장례식때 같이 묻은 유품일듯

  • @kulkul5517

    @kulkul5517

    11 ай бұрын

    열심히 하는 건 알겠지만 볼때마다 엉터리가 많네요. 하나만 지적하자면 지금은 손아래 여자가 손윗 여자 자매를 일컫는 언니가 불과 몇 십년 전만해도 손윗 남자, 여자 모두에게 쓰였던 호칭입니다. 전에 중세국어를 댁이 읽던 영상을 봤는데 하도 엉터리라서 실소를 금할 수 없었습니다. 중세국어는 현대 경상도 말과 상당히 닮아서 경상도 사람이 들으면 대부분 알아들을 수 있는데 댁이 올린 영상은 무슨 외계어더군요. 그런데 그 영상을 보고 오도된 사람들이 인터넷에서 괴상한 소리를 하고 다니는 걸 보니 기도 안찹디다. 세상 어지럽히지 말고 공부나 더 하시죠.

  • @bungbungnue

    @bungbungnue

    11 ай бұрын

    @@kulkul5517 1. 거란어와 현대 한국어의 친족 호칭을 언급한 것은, 둘의 유형적 유사성을 지적하기 위함이지, 계통적 혹은 어휘의 동원성을 주장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형」이 한자어라거나(다만 이것도 원래는 한자어가 아니었다는 유효한 주장이 알렉산더 보빈 교수에 의해 제기된 바 있음) 본래는 「언니」가 더 넓은 용법을 가졌다거나 하는 사실은, 여기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공시적인 비교는 단어 하나하나의 역사를 살피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둘의 유형적 유사성만을 조명하고 있으므로, 그 부분에 집중해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중세 한국어 낭독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이미 다른 영상( kzread.info/dash/bejne/app7ps-GXdDdfLA.html )에서 다룬 바 있으니 시청해주시기 바랍니다.

  • @user-ow2vp2bj7o
    @user-ow2vp2bj7o10 ай бұрын

    여기서 대단한 사실 향문천님 언어전공아니고 컴공계열에 심지어 군대에서 제대한지 얼마 안된 20대에 언어공부는 심지어 취미로 하고 있는 분임.. 진심 대단함

  • @minseok8726

    @minseok8726

    10 ай бұрын

    ㄹㅇ?? 진짜면 존나대단한거

  • @user-gf2lb1zy9o

    @user-gf2lb1zy9o

    10 ай бұрын

    아 누군지 알겠네~

  • @tonnesghen5198

    @tonnesghen5198

    10 ай бұрын

    진짜면 미쳤다…..

  • @pioni776

    @pioni776

    10 ай бұрын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에 빠져들다가 흑화되어서 언어학으로 깊이 몰입하신 상황이 되신게 아닐까...

  • @user-sd1ww4ej4x

    @user-sd1ww4ej4x

    10 ай бұрын

    이정도면 대학원생수준은 넘은듯

  • @ch.6688
    @ch.668811 ай бұрын

    와 학자도 아니고 유튜버가 새로운 해석을? 형은 더이상 그저 유튜버가 아니야... 가슴이 웅장해진다

  • @hongkonggaibar2964

    @hongkonggaibar2964

    11 ай бұрын

    억빠는 좀;;

  • @pureangel1348

    @pureangel1348

    11 ай бұрын

    ​@@hongkonggaibar2964대단한건 맞아요. 인정할껀 인정해야죠

  • @bavan4744

    @bavan4744

    11 ай бұрын

    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분석하시는 거니까 오버는 자제..게다가 학자들은 거의 확실하지 않으면 정설로 하지 않으니 유튜버의 추측은 논문으로써 다른 학설을 이겨야 하는 단계가 남아 있음. 학자들은 이 단계를 거쳐야 업적을 쌓을 수 있는 것임.

  • @ch.6688

    @ch.6688

    11 ай бұрын

    @@bavan4744 하지만 가슴이 웅장해지는 것은 사실

  • @pureangel1348

    @pureangel1348

    11 ай бұрын

    @@bavan4744 물론 학자만큼은 아니더라도 취미로 언어를 독학한 유튜버가 대학교 학부생도 잘 모를 만한 미야코어나 협화어등과 같은 지식까지 지닌거 자체가 대단한거고 (더군다나 이과생에 군복무까지 최근까지 한 상태로 거란어 공부까지), 사어가 되어가는 방언들도 두루 알고 있는것도 왠만한 열정과 지식이 아니면 할수없는 것들이죠.

  • @hoonsanglee3723
    @hoonsanglee372311 ай бұрын

    역사 전공자로서 늘 언어 때문에 힘든 시간을 겪고 있지요. 이 영상과 향천님의 글은 처음 접하는 데 정말 놀랍고 존경스럽습니다. 거듭 보고 더 많이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더불어 댓글을 단 많은 분들의 깊은 관심과 이해에도 놀랍다는 말씀을 전합니다.

  • @ILovekorea365

    @ILovekorea365

    10 ай бұрын

    👍

  • @iremindongbudak4968

    @iremindongbudak4968

    10 ай бұрын

    20대 초반이라는 게 더 놀라워요

  • @user-up5jh2ok2d

    @user-up5jh2ok2d

    9 ай бұрын

    더불어??? 님 더불어공산당원 이세요??? 더불어 라는 단어가 여기서 왜 나오지 어울리지도 않는데

  • @kim_._._eggtart

    @kim_._._eggtart

    9 ай бұрын

    ​@@user-up5jh2ok2d진짜 어딜가나 정치병 말기 환자는 존재하는구나···

  • @user-up5jh2ok2d

    @user-up5jh2ok2d

    9 ай бұрын

    @@kim_._._eggtart 니 애미가 널 낳고 미역국을 먹기는 했냐?ㅋㅋㅋㅋ

  • @user-ki1ej5wc3e
    @user-ki1ej5wc3e10 ай бұрын

    유튭의 순기능중 하나가 이채널인듯.....자극적이고 휘발성 강한 채널만 난무하는 진흙속 유튭에서 작은 연꽃을 하나 발견한 느낌.....구독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 @user-vc7ck8lg3u
    @user-vc7ck8lg3u11 ай бұрын

    사어를 해석하시다니... 덕질이 깊게 들어가면 이 정도 수준까지 가게되는군요

  • @user-nx2xr6nv9v
    @user-nx2xr6nv9v11 ай бұрын

    평소 만주어,여진어,거란어에 관심이 있었습니다. 세상에 이걸 해내셨네요. 박수 보냅니다.

  • @dcacao1

    @dcacao1

    11 ай бұрын

    북방계신가요?

  • @Hi_Bixby_

    @Hi_Bixby_

    11 ай бұрын

    ​@@dcacao1님도 북방계임

  • @user-oj9bh8rw1l

    @user-oj9bh8rw1l

    11 ай бұрын

    @@Hi_Bixby_ 남방계일수도 있잖아

  • @Hi_Bixby_

    @Hi_Bixby_

    11 ай бұрын

    @@user-oj9bh8rw1l ㄴㄴ 북방계 냄새가 남

  • @rubyplaybutton718

    @rubyplaybutton718

    11 ай бұрын

    ​@@Hi_Bixby_관상이 북방계임

  • @ojoh3883
    @ojoh388310 ай бұрын

    비밀일기를 몰래 읽는 듯 합니다. 이 정도 실력이면 학계의 저명한 언어학자이셔야 합니다. 정말 대단하십니다.

  • @user-fi2pe6nt2g

    @user-fi2pe6nt2g

    5 ай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한번 뵙고 싶네요 저에게 거란 고문자로 적혀진 물건이 있어서요

  • @hkpark4958
    @hkpark495810 ай бұрын

    대단하시네요.. 이런 수고가 이어지고 있는 줄 몰랐습니다. 좋은 결과를 맺으시길 바랍니다

  • @funsjoe
    @funsjoe11 ай бұрын

    거란문자까지 해석하다니 ㄷㄷㄷ 단순히 언어 덕후라기엔 특이점이 와버린 그의 덕력 +보빈 센세가 선비, 거란, 만주에에 한국어 어휘 차용된게 많다고 했던거야 예전부터 알았지만 친족어도 비슷한건 흥미롭네

  • @chappy3125

    @chappy3125

    11 ай бұрын

    선생님*

  • @Musket_Ukraine

    @Musket_Ukraine

    11 ай бұрын

    ​@@chappy3125 피곤하게도 산다

  • @Zarathustra69

    @Zarathustra69

    11 ай бұрын

    한국의 역사에서, 우리는 임금의 면전에서 신하가 임금을 뭐라고 불렀는지 모릅니다. 녹음기록도 없고 사관의 기록은 있으되 한자로 기록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그저 임금이라고 불렀을 것이라고 추정할뿐입니다. 이것이 역사학자들의 생각입니다.

  • @movedaccount9958

    @movedaccount9958

    11 ай бұрын

    @@Zarathustra69 석보상절(1447)이나 두시언해(1481) 등 15세기 한글 문헌에서 왕에 해당하는 단어로 '님금', '님굼' 등이 문증되며 중국 사신들이 조선 초기의 구어체를 기록한 조선관역어(~1424)에서도 이를 중국식으로 음차한 '림궁(臨貢)'이 기록되어 있어 적어도 조선시대의 신하가 임금을 불렀던 순우리말 단어는 '님금(오늘날의 임금)'이었음을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전하, 마마 등의 한자어 표현도 같이 쓰였겠지만 워낙 잘 알려져 있기에 이 댓글에서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조선 후기인 18세기부터는 두음법칙에 의해 어두의 ㄴ이 탈락하여 '임금'으로 불렸을 것이며, 실제 문헌 상으로도 이러한 표기가 나타납니다. 이보다 이전인 고려시대에는 고려사에서 '왕과 기장이 우리말로 비슷하다'는 기록이 있으며, '기장'이라는 단어는 향약구급방(1236)에서 '깆(只叱)'으로 문증되기 때문에 대체로 '기ᄌᆞ(기저)' 정도로 불렀을 것이라 추정됩니다. 실제로 조선 전기의 광주천자문(1575)에서는 임금 왕(王)자의 훈을 '긔ᄌᆞ'라고 달고 있어 해당 어휘의 흔적이 남아 있죠. 삼국시대에는 여러 어휘가 나타나지만 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 하나는 상술한 '기ᄌᆞ'의 원형으로 보이는 것으로, 삼국사기(1145)에 기록된 고구려 지명에서는 '개차(皆次)', 중국 사서 주서(636)에 기록된 백제어로는 '길지(吉支)'가 발견됩니다. 일본서기(720)에서도 왕을 지칭하는 백제어를 '키시(キシ)'라고 기록하였죠. '길지' 앞에 크다는 뜻의 접두사를 더해 '건길지(鞬吉支)'라고도 했는데, 이는 백제의 평민들이 주로 쓰던 호칭으로서 귀족들이 사용한 '어라하(於羅瑕)'라는 호칭과는 차이가 있었습니다. 반면 신라에서는 한국사 교육과정에서 배우듯이 시대에 따라 여러 왕호가 사용되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니사금(尼斯今)과 마립간(麻立干), 그리고 매금(寐錦)입니다. 이 중 어원을 고찰해볼 수 있는 것은 앞의 두 호칭으로, 8세기에 활동한 신라인 김대문이 추정한 어원설이 삼국사기에 실려 있으나 여느 민간어원설이 그렇듯 이를 곧이곧대로 믿기는 곤란합니다. 니사금은 '니사'와 '금'으로 분석되며, 뒤의 '금'은 15세기 중세 한국어의 '님금' 속 '금' 및 일본어 '키미(君)'와 어원을 공유한다는 설이 유력하지만 '니사'의 경우 의미를 추적하기 어렵습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서 지명 '노사'화현(奴斯火縣)과 자인현(慈仁縣)이 대응한다는 점을 참고하여 자음이 일치하는 '니사(尼斯)' 또한 '자비롭다'는 뜻이 아니었을까 하는 추측이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김대문은 '마립간(麻立干)'의 '마립'이 말뚝을 뜻하는 한국어에서 유래했을 것이라 추정했습니다. 그러나 15세기 한글 문헌에서는 말뚝에 해당하는 단어가 '맗'로 나타나는데, 당시 ㅎ으로 끝났던 체언은 고대 한국어에서 ㄱ으로 끝났을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므로 ㅂ으로 끝나는 '마립'과는 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마립간'의 정확한 어원은 불명이되, 뒤에 붙은 접미사 '-간(干)'은 삼국시대 문헌에서 수없이 문증되는 바와 같이 높임의 표현으로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일본서기의 백제어 기록에서 문증되는 '니리무(ニリム)'가 있습니다. 이는 '니림'을 일본식으로 음차한 결과로 생각되며, 문헌 상으로는 주인 주(主)자와 대응되지만 "왕이 탄생한 섬을 니리무세마(ニリムセマ)라고 하였다"는 기록을 통해 '왕'이라는 뜻도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단어는 어중의 ㄹ이 탈락한 뒤 15세기 한글 문헌에서 나타나는 '님(임)', '님잫(임자)', 그리고 '님금(임금)'으로 이어졌습니다. 즉 조선시대부터 문증되어 현재까지 계승되는 '임금'이라는 호칭은 백제어의 '니림'과 신라어의 '금'이 결합한 형태로 사료됩니다.

  • @user-fk4to4go8n

    @user-fk4to4go8n

    10 ай бұрын

    @@Zarathustra69그럼 전하라고 부른 건 우리의 픽션인가요?

  • @sooyonkang
    @sooyonkang11 ай бұрын

    옛 언어가 재구되는 과정을 지켜보는 건 경이롭고 짜릿한 맛이 있네요 우리 고대 한국어도 더 많이 세상에 밝혀지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 @bungbungnue

    @bungbungnue

    11 ай бұрын

    언젠가 향가 해독도 문제 없이 해낼 수 있는 날이 오면 좋겠네요.

  • @zephiuse

    @zephiuse

    11 ай бұрын

    kzread.info/dash/bejne/qp2T17Nuh63XYbQ.html 현재 가장 오래된 고대 한국어 발음이라고 합니다.

  • @imnotparkour

    @imnotparkour

    11 ай бұрын

    @@zephiuse 어... 그 고대 한국어 재구는 minerva scientia라는 일본인 유튜버가 재구한건데, 사실상 자료가 없어서 향가를 그대로 발음한게 아니라 故 양주동님의 중세국어 해석을 그대로 읽은것에 불과합니다. 사실상 발음 창작이라고 해야할까요.. kzread.info/dash/bejne/haSHltimosvYYJM.html 차례대로 처용가, 제망매가, 혜성가를 낭독한 원본 영상입니다. 그리고 아래는 차례대로 양주동님의 처용가, 제망매가, 혜성가 해독입니다. 처용가 ᄉᆡᄫᆞᆯ ᄇᆞᆯ긔 ᄃᆞ래 밤드리 노니다가 드러ᅀᅡ 자리 보곤 가ᄅᆞ리 네히어라 둘흔 내 해엇고 둘흔 뉘 해언고 本ᄃᆡ 내 해다마ᄅᆞᆫ 아ᅀᅡᄂᆞᆯ 엇디 ᄒᆞ릿고 제망매가 生死路ᄂᆞᆫ 예 이샤매 저히고 나ᄂᆞᆫ 가ᄂᆞ다 맔도 몯 다 닏고 가ᄂᆞ닛고 어느 ᄀᆞᅀᆞᆯ 이른 ᄇᆞᄅᆞ매 이에 뎌에 ᄠᅥ딜 닙다이 ᄒᆞᄃᆞᆫ 가재 나고 가논 곧 모ᄃᆞ온뎌 아으 彌陀刹애 맛보올 내 道 닷가 기드리고다 혜성가 녜 ᄉᆡᆺ 믌 ᄀᆞᆺ 乾達婆ᄋᆡ 노론 잣ᄒᆞᆯ란 ᄇᆞ라고 옛 軍두 옷다 烽ᄉᆞ랸 ᄀᆞᆺ 이슈라 三花ᄋᆡ 오ᄅᆞᆷ 보샤올 듣고 ᄃᆞᆯ두 ᄇᆞ즈리 허렬바애 길 ᄡᅳᆯ 별 ᄇᆞ라고 彗星여 ᄉᆞᆯᄫᆞ녀 사ᄅᆞ미 잇다 아으 ᄃᆞᆯ 아래 ᄠᅥ가 잇ᄃᆞ라 이 어우 므스ᇝ 彗ᄭᅵ 이실꼬 영상과 위의 글을 대조해서 비교해보시길 바랍니다. 추가로, 고대국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연구하기 까다롭습니다. 1. 제한된 사료: 물론 1990년대에 추가로 구결 자료가 발견되어서 문법은 어느정도 파악한 상황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료가 얼마 없어서 (삼국유사의 향가, 사투리, 기타 자료 등등) 정확한 음운은 제시된 적이 없습니다. 2. 한국어는 비교언어학상 고립어입니다. 즉, 아직까지 명확한 계통이 밝혀진 바 없고, 몇몇 단어는 주변 나라의 언어들과 면밀한 관계가 있는 것이 있지만, 상당수는 어휘가 비교 불가능 합니다. 중국, 일본은 다양한 주변 언어로 고대중국/일본어 연구가 많이 진척 된 반면에 말이죠. p.s. 언어학 고수분들 혹시 틀린거 있으면 지적해주세요... 배우지도 않은 나부랑탱이가 한번 지껄여봤습니다..

  • @grunem124

    @grunem124

    11 ай бұрын

    @@imnotparkour 옛한글 저거 어케 하셨나요? 글자가 안 깨지네요...?

  • @imnotparkour

    @imnotparkour

    11 ай бұрын

    @@grunem124 나무위키에서 복붙했습니다. 아무래도 옛한글 입력기는 폰트가 안 맞는 경우가 많아서요.

  • @Warkytocky
    @Warkytocky10 ай бұрын

    정말 대단하다. 존경스럽습니다. 진짜이런분들이 학자구나 싶네요

  • @bright_energy
    @bright_energy11 ай бұрын

    형은 나라를 개국하면서 화살로 선과악을 명쾌하게 갈랐으니 대단하오.앞으로 영원히 친구로 함께 갈 맹세를 하오. ...라는 뜻으로 고려에게 개국 선물로 보낸거 아닐까요?

  • @innijo6026

    @innijo6026

    10 ай бұрын

    오오 가장 그럴듯 합니다

  • @user-gq4lv8sp5k

    @user-gq4lv8sp5k

    10 ай бұрын

    😂😂😂😂😂

  • @kaihann5184

    @kaihann5184

    3 ай бұрын

    나도 전체 내용을 생각하던 중 같은 의미로 받아들여졌습니다. 그말은, 님의 해석이 맞다는 말이지요.

  • @eyon44
    @eyon4411 ай бұрын

    거란문자가 해석 되다니 놀랍네요. 몇년전까지 거란어와 거란문자는 완전히 소멸돼서 해석불가라고 말했었는데.

  • @movedaccount9958

    @movedaccount9958

    11 ай бұрын

    ​@@user-cf5cw9fq5f 조작되었다는 증거는?

  • @user-fg7fc8fi8b

    @user-fg7fc8fi8b

    11 ай бұрын

    ​@@user-cf5cw9fq5f자유 " 민주 "ㅋㅋㅋㅋㅋㅋ 음모론자 그짝 답다

  • @see-your-face

    @see-your-face

    10 ай бұрын

    백제어와 고구려어도 알수 있을까요?

  • @user-lj2zq4gx2n

    @user-lj2zq4gx2n

    10 ай бұрын

    @@see-your-face 거란어보다 몇 세기 전이고 기록이 거란어보다 적고, 계통도 불분명한데 어느 계통이든 유의미한 단서를 많이 주진 못해서... 좀 "많이" 힘들듯요

  • @see-your-face

    @see-your-face

    10 ай бұрын

    @@user-lj2zq4gx2n ㅠㅠ 어렵겠네요

  • @downil7627
    @downil762710 ай бұрын

    학자 대신 유튜버분께서 이런 역사학적으로 대단한 일을 하다니 대단하시네요 ㄷㄷ

  • @mi_um
    @mi_um11 ай бұрын

    정말 놀랍고 신비합니다! 유튜브에서 이런 수준 높은 퀄리티의 연구를 마주하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 @user-yx1sy3ks9o
    @user-yx1sy3ks9o11 ай бұрын

    십년 이상의 연구 성과를 단 10분에 감상하게 되네요 ~~ 정말 감사하고 수고하셨습니다.

  • @user-yv3uj2sq8j
    @user-yv3uj2sq8j11 ай бұрын

    저는 다른 전공 연구자이지만 매번 향문천님 깊이에 놀라고 갑니다.. 이 분야 연구자라 해도 전혀 손색이 없으실 거 같네요.. 다시 한번 감탄하고 갑니다~

  • @ILovekorea365

    @ILovekorea365

    10 ай бұрын

  • @user-gi7fw4zv6n
    @user-gi7fw4zv6n10 ай бұрын

    와.. 그저 보면서 감탄사밖에 안나오네요. 언어를 만들면 만년의 역사가 이어진다고 했는데 존경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구독하겠습니다.

  • @user-xg4ey2dr5n
    @user-xg4ey2dr5n9 ай бұрын

    쓰지 않고 없어진 문자와 언어를 생생하게 살려내시네요. 그 열정과 노력에 경의을 표합니다.

  • @user-iw6cl1mp7m
    @user-iw6cl1mp7m11 ай бұрын

    이 정도면 훌륭한 전문가지. 진정한 학자라 할 수 있고. 학자라 해서 많이 아는 것도 아니고 공부 더 하는 것도 아니지. 대학 다녀 본 사람들은 무식하고 머리 나쁜 교수, 공부 안 하는 교수, 남의 논문에 기생해서 먹고 사는 교수 얼마나 많은지 알 텐데? 빛도 안 나는 이런 연구를. 참으로 감동일세.

  • @BlackSkyUploadTube

    @BlackSkyUploadTube

    11 ай бұрын

    박사를 어찌 취득을 했는 지 궁금한 기타잡대에 교수들이 한 타스... 근데 실제로 전공 교수가 12명도 안되는 건 안 비밀... 비교적 최근에 들어온 교수님과 다른 젊은 한 교수님을 빼면...

  • @HeeJunLee-er4ji

    @HeeJunLee-er4ji

    10 ай бұрын

    학자가 잘 모르면 누가 잘 앎?

  • @user-iw6cl1mp7m

    @user-iw6cl1mp7m

    10 ай бұрын

    @@HeeJunLee-er4ji 글쎄요. 공부 제대로 하는 사람이겠지요. 전에 자신이 모른다는 것을 모르는 어떤 대학 역사 교수도 똑같은 말을 하던데요. 얄팍한 지식으로 무슨 근자감에서 그런 말을 하는 것인지. 그리고 대학에선 학생이 공부하면 교수 넘는 일은 많아요.

  • @user-lj2zq4gx2n

    @user-lj2zq4gx2n

    10 ай бұрын

    @@HeeJunLee-er4ji 적어도 교수나 학자라고 무조건 더 잘 안다는 사고방식이나, 이의를 눌러버리는 것은 권위에 호소하는 오류라는 것이지요.

  • @method9604

    @method9604

    4 ай бұрын

    대학에서 강의하는 역사학자들 수준보면 유튜버들이 나음

  • @brettfafata3017
    @brettfafata301711 ай бұрын

    Thanks for the English subtitles. If Khitan is ever fully deciphered, it would pave the way for a proper reconstruction of the Khitan-Mongolic proto language.

  • @Theresien_Gettysburg

    @Theresien_Gettysburg

    8 ай бұрын

    😊😊😊

  • @kosanja5073
    @kosanja507310 ай бұрын

    언어에 대한 대단한 관심과 치열한 연구정신에 경의를 표합니다 ❤❤❤

  • @min-yeongjeong3743
    @min-yeongjeong374310 ай бұрын

    성별의 차이보다 손위와 손아래를 더 세밀화했다는게 굉장히 매력적이네요. 거란 문화에 대해서 궁금해져보기는 처음입니다. 멋진 영상 잘봤어요 😊

  • @user-ly4mg9xi9u

    @user-ly4mg9xi9u

    10 ай бұрын

    성별의 차이를 왜 테크 거냐? ㅉㅉ

  • @user-gb4tv1qs2y

    @user-gb4tv1qs2y

    9 ай бұрын

    @@user-ly4mg9xi9uㅂㅅ

  • @morgos_

    @morgos_

    7 ай бұрын

    ​​@@user-ly4mg9xi9u잼민인가...? 분탕 치지 마세요. 거란어도 어휘에, 성별에 따라 구분해서 쓰는 존칭과 손위와 손아래 관계에 따라 구분해서 쓰는 존칭이 있는데, 성별 관계보단 손위와 손아래의 수직관계가 더 강조 거잖아요. 문해력 실화....?

  • @bandamkaromi
    @bandamkaromi11 ай бұрын

    잘봤습니다. 언어에는 문외한이지만 과거에 사라진(?) 언어의 발음과 발성을 한다는 것이 정말 대단합니다.

  • @wavikle4495
    @wavikle449511 ай бұрын

    신기하네요. 멀리서 보면 한자 같은 느낌은 있는데 자세히 보면 아는 글자가 하나도 없고 모양도 꽤나 독특하네요.

  • @Book_HI

    @Book_HI

    11 ай бұрын

    조선 문자 -> 부여 문자 -> 고구려 문자에서 발해 / 말갈 문자로 -> 거란, 몽골을 통했다가 여진으로 들어가서 최종 여진 만주족 문자로.

  • @movedaccount9958

    @movedaccount9958

    11 ай бұрын

    @@Book_HI 발해 문자는 그렇다 쳐도 대체 조선 문자, 부여 문자, 고구려 문자는 어디서 나온 개념입니까? 환단고기 같은 괴상한 위서 말고 제대로 된 사료에 관련 내용이 등장한 적이 있나요?

  • @Zarathustra69

    @Zarathustra69

    11 ай бұрын

    @@Book_HI 시간이 거꾸로 흘렀다 이거여?

  • @user-xh8cy6mr9j

    @user-xh8cy6mr9j

    11 ай бұрын

    ​@@Zarathustra69 조선은 고조선 말하는거 같은데요

  • @user-kd7fu7qI5z

    @user-kd7fu7qI5z

    11 ай бұрын

    @@movedaccount9958놔두셈ㅋㅋㅋ 환빠망상임

  • @Bodashiri
    @Bodashiri10 ай бұрын

    조회수가 백단위일 때 봤는데, 어느덧 56만이 넘었네요. 알고리즘 신의 은총이 향문천님께 내렸나 봅니다. ㅋㅋ 안그래도 연말에 KBS2에서 고려거란전쟁이라는 대하사극이 방송 예정인데 (강감찬 역은 최수종, 고려 현종 때가 배경이죠) 앞으로도 거란에 대한 관심은 점점 더 높아질 듯 하네요. 항상 대하사극에서 거란이니 여진이니 하면 털가죽 입고 우가우가하는 북방 야만 오랑캐로 묘사되는데, 거란과 요나라가 그렇게 만만하고 야만스러운 나라가 아니었다는 건 저 거울만 봐도 알 수 있겠습니다. 이번에는 좀 달라졌기를 바래 봅니다.

  • @women_tiger
    @women_tiger10 ай бұрын

    와..감탄만 나온다. 이분은 언어학의 인재다..

  • @user-xj3ck2dr4j
    @user-xj3ck2dr4j11 ай бұрын

    컨텐츠가 흥미롭고 전부터 관심있던 내용들이라 영상올라오면 늘 바로 시청해요 옛언어를연구하고밝혀내는 과정이 아주재밌고 짜릿하네요 좋은 영상감사합니다

  • @kyser_1004
    @kyser_100411 ай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갑니다. 일반인으로서는 이런 오래전의 기록들에서 상세한 발음과 어휘, 문법체계를 해독해나간다는 것이 정말 대단하게만 느껴지집니다. 내용과 별개로 오늘 영상은 평소와 다르게 더빙 볼륨이나 말의 강세가 파트마다 조금씩 다르게 들리는 부분이 느껴지네용

  • @bungbungnue

    @bungbungnue

    11 ай бұрын

    1. 거란문자를 다룬 초기 연구는 암호해독과 다를 바 없었고, 선학들의 연구를 이어받아 현재의 수준까지 발전시킨 오타케 마사미(大竹昌巳)의 연구는 예술의 경지라고 평가해도 과하지 않을 겁니다. 2. 녹음이 가능한 때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작업을 쪼개서 진행할 수밖에 없습니다. 개선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user-fk4to4go8n

    @user-fk4to4go8n

    10 ай бұрын

    @@bungbungnue 한국어가 지구상 어떤 언어와도 조상을 공유하지 않고 오로지 한국어 하나만의 계통이 존재한다고 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고립어설, 한국어족설, 반도일본어설, 니브흐어 동계설 등의 여러가지 가설이 있던데 영상 제작 좀 부탁드립니다.

  • @user-fk4to4go8n

    @user-fk4to4go8n

    10 ай бұрын

    @@bungbungnue또한 삼국 시대 혹은 그 이전의 고대 한국어 또한 심층있게 연구하여 영상 제작 부탁드립니다. 물론 관련 사료가 매우 적어 힘들 건 저도 잘 알지만..

  • @m_42

    @m_42

    10 ай бұрын

    ​@@user-fk4to4go8n반도일본어 가설에 관한 영상을 올렸다가 삭제했던 적이 있는지라 앞으로도 한국어의 형성 과정과 같은 주제의 영상은 안 만들지 않을까 싶네요... 논지를 잘못 이해해서 향문천이 특정 나라를 지지한다고 오해하는 사람들이 여지없이 나타날 겁니다.

  • @user-dk7si5ej7u

    @user-dk7si5ej7u

    10 ай бұрын

    ​@@m_42아 ㄹㅇ 정치병자들 때문에 그영상 다시보고 싶은데 못보고있음😮‍💨

  • @user-if9tr1rb8f
    @user-if9tr1rb8f10 ай бұрын

    이렇게 깊이 연구하신걸 편안히 집에서 보는게 송구스럽네요! 정말 대단하십니다! 부끄럽지만 거란어를 생각해본적도 없는데…댓글님들의 깊은지식수준에도 존경심이 생깁니다. 고맙습니다.

  • @user-pk1qd8od5t

    @user-pk1qd8od5t

    10 ай бұрын

    거란어 모르는게 왜 부끄러워요?

  • @user-vx3go7uz1s

    @user-vx3go7uz1s

    10 ай бұрын

    학자같으신대 자신이 생각지 못한걸 알게되어 그런것 같습니다.

  • @user-ho5vm7xz9p
    @user-ho5vm7xz9p10 ай бұрын

    참말로 향문천님의 학문적 자질, 언어적 자질은 대단하다는 감탄밖에 안 나옵니다. 앞으로 큰 학문적 성취 있으시길 바랍니다.

  • @Solemn_Cat
    @Solemn_Cat11 ай бұрын

    거란문자랑 여진문자 항상관심 있었는데 이번 영상도 흥미롭네요!

  • @bungbungnue

    @bungbungnue

    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국내에 일반인이 참고할 수 있는 양질의 여진·거란어 자료가 없어서 아쉬운 마음에 제작하게 됐습니다.

  • @ykha815

    @ykha815

    Ай бұрын

    ​@@bungbungnue❤❤❤ㄱ08514

  • @vladimirbodhisattva2947
    @vladimirbodhisattva294711 ай бұрын

    훌륭하고 멋집니다.🙏🏼 죽은 문자를 해독함으로 그 시절에 머물던 끊어진 문화의 다리를 시간과 공간를 넘어 전달해주는 전령 같습니다. 샹폴리옹이 돌덩이에 기호를 해석해서 이집트 문화를 살려냈듯이 만주를 누비던 민족들의 문자가 살아나길 바랍니다. 나날이 해독이 정교해지고 다듬어지는 멋진 과정 같습니다. 거란 문화도 다양한 문자를 통해 회복되어 우리와 연결성이 큰 민족임이 알려지길 바랍니다.

  • @user-vj8sw2wu2f

    @user-vj8sw2wu2f

    7 ай бұрын

    kzread.info/dash/bejne/hp5316usgrfNibg.html 한글을 다시 볼수 있는 내용입니다

  • @moosanghoon
    @moosanghoon10 ай бұрын

    저도 잘은 모르는 내용이지만 유튜브에서 정말 좋은 순기능 같습니다. 응원합니다.

  • @semilife2
    @semilife28 ай бұрын

    해석 뿐만 아니라 읽기까지 술술 하시는 건 정말 신기하고 대단하시네요!

  • @user-qw4wi3de7i
    @user-qw4wi3de7i11 ай бұрын

    거란어는 이제는 사라져서 발음도 뜻도 모르는 줄도 알았는데, 대단하십니다.

  • @user-ty7vg7bc2x
    @user-ty7vg7bc2x11 ай бұрын

    이야~~놀랍고도 놀랍도다...이 채널의 무궁한 발전 기원하오~~~~!

  • @user-ro2js5ff1u
    @user-ro2js5ff1u10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향문천님 거란어를 해독하시다니 정말 대단하시네요 그게 궁금한게 있는데 왜 제주 사투리는 다른 육지 언어랑 많이 차이가 나는 지 정말 궁금합니다 언젠가는 이 주제로 영상을 제작하시면 정말 감사드릴 거 같습니다

  • @lcy5169
    @lcy516910 ай бұрын

    와 ㅁㅊ 그 해독이 완전히 안된 거울이 이제야 풀려졌다고요?? 예전부터 때깔좋은 영상에 언어잡지식이거저거를 알려줘서 눈독들였는데, 이걸 풀이해서 밝혀주다니.. 너무나도 존경스럽습니다.

  • @hiiiiii_mj
    @hiiiiii_mj11 ай бұрын

    참..대단하셔요. 늘 흥미롭게 보고있습니다. 감사해요😊

  • @western416
    @western41611 ай бұрын

    와... 오늘 종로쪽에 볼일이 있어서 국립중앙박물관도 잠깐 들를 예정이였는데 오늘 한번 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CH-xv1yb
    @CH-xv1yb10 ай бұрын

    해석된 내용을 보면 뭔가 죽은 벗(형)의 죽음을 안타까워 하며 생전의 그의 용맹함과 명철함, 그리움을 기록해서 무덤에 넣은 부장품 같은 느낌이네요. 동경에 글귀까지 새긴거 보면 해당 인물의 지위가 어느정도 있는 사람이었겠다 싶네요. 일반인이 봐도 상당히 흥미로운 유물이네요. 거란시대의 부장품 같은 유뮬이 한반도에서 발견되었다는 걸 보면 그에 따른 역사적 사건이 무엇이었을까 궁금해지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 @lemeyessi

    @lemeyessi

    10 ай бұрын

    가인 아벨 얘기면 고대가 대박이네요

  •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3 ай бұрын

    ​@@lemeyessi 종교충들은 신화와 역사를 구분하는 능력이 없음?

  • @jkp99999

    @jkp99999

    2 ай бұрын

    거란이 고려에 준거라 하지 않으심? 죽은 동맥국 고려 왕에게 준 조의 선물 아니려나요. 형의 적을 몰아냈다는건 일반인 형이 아니라 동맹국인 고려가 (자칭 형인) 거란의 적을 몰아냈다는 뜻일거 같네요

  • @seosanculture
    @seosanculture10 ай бұрын

    예전에 언어학을 공부할때 어려웠는데 이렇게 대단한분이 계실줄 몰랐습니다.

  • @user-du9cz9cr2b
    @user-du9cz9cr2b11 ай бұрын

    등 줄기에서 소름이 쫙~ 늘 잘 보고 있습니다!

  • @grunem124
    @grunem12411 ай бұрын

    진짜 밍고스나 향문천 님같이 언어덕후가 새로운 해석까지 하는 게 대단합니다. 존경스럽네요

  • @bungbungnue

    @bungbungnue

    11 ай бұрын

    실제로 연구 활동을 하는 그분과 달리 저는 일개 취미가에 불과합니다. 윤희수 씨가 아니었다면 평범한 고등학생이었던 제가 역사언어학에 입문할 일도 없었을 것이며 이 채널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윤희수 씨는 현재 일본 종합연구대학원대학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계십니다.

  • @thyuuu

    @thyuuu

    11 ай бұрын

    밍고스?? 제가 아는 그 일본어 갤러리에 나타나는 그분인가요?

  • @grunem124

    @grunem124

    11 ай бұрын

    @@thyuuu 일본어 갤은 모르겠고 언어학 갤 등 언어학 관련 커뮤에서 밍고스사랑해라는 닉으로 고대 한국어와 류큐어 등을 연구하시는 분이긴 합니다. 이번에 일본 대학원까지 들어갔죠

  • @movedaccount9958

    @movedaccount9958

    11 ай бұрын

    밍고스 그 사람이 인성은 좀 그래도 역사언어학에 대한 해석만큼은 정말 괄목할 만하더라고요

  • @kimx5

    @kimx5

    11 ай бұрын

    밍고스 이 세 글자를 유튜브에서 보게 될 줄은ㅋㅋㅋㅋㅋㅋ

  • @user-sc4cc5ek2n
    @user-sc4cc5ek2n10 ай бұрын

    고문자 고학문 열정에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 @santayoon2828
    @santayoon282811 ай бұрын

    훌륭하신 분이네. 우리나라에 이런 똑똑한 인재들이 많은 것이 자랑스럽기도 하네요.

  • @oyoun5902
    @oyoun590211 ай бұрын

    국박에서 자주 보며 항상 내용이 궁금했는데..와우 감동입니다❤

  • @user-yd1mv4dt9i
    @user-yd1mv4dt9i10 ай бұрын

    멋집니다 와 소름돋음 이런 오래된 문자를 읽는 히열은 세상뭐보다 행복하고 값질겁니다 계속연구해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 @user-wk4dd8lx1f
    @user-wk4dd8lx1f10 ай бұрын

    좋은 역사느낌을 느끼게 되어 감사합니다 다음이 기대됩니다

  • @candlecrown8717
    @candlecrown871711 ай бұрын

    와.. 직접 해독하는 경지까지..

  • @kealchuncho5650
    @kealchuncho565011 ай бұрын

    일반인 중에 거란어 연구를 오래 하신분이 최범영 선생님인데 거란어 폰트도 작접 제작하시고 계시더군요

  • @user-uv8yq9zo8v
    @user-uv8yq9zo8v10 ай бұрын

    왐마;; 유튜브에서 본 영상중에 이렇게 깊은 지식을 탐구한 영상이 있었나 싶네요. 응원하고 싶습니다.

  • @sanny-puppy
    @sanny-puppy10 ай бұрын

    와, 정말 대단하십니다. 제가 20대로 돌아간다면 가장 하고 싶은 게 고대 동북아 언어 복원에 기초한 고대사 재구성이거든요.

  • @GangnamTVcom
    @GangnamTVcom10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언어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이 엿보이는 영상이네요. 더욱 발전하시길 응원합니다.

  • @user-bs5is9kn4s
    @user-bs5is9kn4s11 ай бұрын

    거란어는 해석이 안되는 언어 정도로 알고 있었는데, 많은 연구가 진행이 된 언어였군요! 그나저나 이걸 공부해서 해석을 하시다니 정말 향문천님의 깊은 지식이 대단합니다!! 거란어에 대해서 좀 더 알아 보고 싶네요 ㅎ

  • @MalangMolang

    @MalangMolang

    5 ай бұрын

    신기하게 거란어 만주어 몽골어 선비어 돌궐어 흉노어 등등은 한국어 언어 어순하고 100프로 똑같더라구요 ㅎㅎㅎㅎㅎ

  • @evandiner

    @evandiner

    5 ай бұрын

    ​@@MalangMolang유전적으로 볼 때, 한국인은 북방을 통해 반도까지 넘어와 정착한거고 중국인은 베트남쪽 남방을 통해 넘어와서 차이가 존재한다고 봅니다. 말씀하신 민족들은 북방계 민족들이죠.

  • @user-jo8ew2ki5c

    @user-jo8ew2ki5c

    3 ай бұрын

    ​​​​@@MalangMolang 전세계 언어의 절반이 SOV 구조에요. 엄청 흔한 어순임

  • @MalangMolang

    @MalangMolang

    3 ай бұрын

    @@user-jo8ew2ki5c 아시아는 동북아 언어 계통이 돌궐족하고 한국어 등 sov이고 동남아 언어 계통이 베트남하고 중국어 등 svo에요 ㅎㅎ 소수 예외는 뺏어요 ㅎㅎㅎ

  • @darlsanryu9034
    @darlsanryu903411 ай бұрын

    영상을 보니 대학시절 대학 도서관에 있는 느낌입니다. 본향에 온 것처럼 무척 익숙한 느낌이 드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tj8ty6zj3l
    @user-tj8ty6zj3l10 ай бұрын

    정조대왕이 직접 쓴 송사전(宋史筌)에서 야율초재의 이름을 처음 알았습니다. 얼마전에. 여기서 야율초재의 이름이 나오니 ...반갑네요. 성길사한(징기스칸)이 거란의 종실 야율초재를 얻어서 승승장구하는 내용이 있더군요. 또 1920년 4월 1일 동아일보에 한글학자 권덕규 선생의 다음 기사를 보면서 우리가 몰랐던 내용이 많지 않은가 생각되네요. 우리 朝鮮이라는 地域이 陰山南北、黑水以南、半島까지의 東亞밋北亞의 大陸임은 歴史를 읽는 이의 다 認定하는거니와 이地域에 盤根된 人族을 「퉁구스」라하니 퉁구 쓰 는 漢譯하야 通古斯며 그語源 은 漢人의指稱인 東胡 轉音이라하나 그러타하면 東亞와는 매우 連關(연관)이 잇을법하되 꼭 그러타못할지며 다시 詳考(상고)하건대 「퉁구스」 곳朝鮮族이東亞의西北에서 祖産됨도 事實(사실)이요 北亞의 「예니세이」河의 上流名이 「퉁구쓰」 임으로 東亞人種의 祖產 된 地域의 河名을 取하야 稱함이러라 通古斯族을 古에 倍達族 이라하니 그始祖檀君의 檀(단)의 我語를 取(취)함이요 次(차)에 肅愼族(숙신족)이 라하니 주신 곳 朝鮮(조선)을 標榜(표방)함 이며 一(일)에 「디대」族이라하니 「다대」 곳 韃靼族(달단족)이 蒙古(몽고)라는 이름으로世界에 雄飛(웅비)할 時(시)의 稱(칭)인데 이에 對(대)하야 異人族(이인족)이 아닌가 懷疑(회의)할 이 잇슬지라 暫問說明(잠문설명) 할진대 龍飛御天歌詐에 「디대」는 靺鞨(말갈)의 後(후), 女真別稱(여진별칭)이니 陰山南北(음산남북)에 移居하야 熟生二部(숙생이부)가 되었다하고 宋의 孟琪(맹기)이 元太祖成吉思汗(원태조성길사한)을 評(평)하야 「다대」人(인) 가온대에 特 別(특별)히 생긴 이라하얏고 洪原의 「디대골」(韃靼洞)은 女真(여진)곳 金人의 居生하던 洞名(동명)이며 庫頁(고혈)곳 今(금)의 樺太島(화태도)와 大陸(대륙) 사이의 海峽(해협)을 韃靼海峽(달단해협)이라 하는等(등)을 보아 그我族(아족)됨이 確實(확실)할지며에 今(금)에 通古斯라함에도 半島(반도)에 生長(생장)하야 조상을 이즌 우리라 저의稱呼(칭호)를 모르기 人보다 甚?니 寒心하기 그지업도다

  • @nanoman1657

    @nanoman1657

    10 ай бұрын

    야율 성씨가 요태조 야율아보기 황족성이죠. 여진족의 그은 완안. 요가 금에 멸망한후 대대로 금에 종사했는데 야율초재의 외모가 굉장히 수려하고 박식하여 징기스칸이 중히 썼죠. 수염이 관우를 능가할만큼 멋있고 키도 컸다네요. 야율초재가 몽고족들의 야만성을 최대한 말려 수많은 인명의 살상을 막았다고 하네요. 후일 징기스칸이 죽을때 야율초재 승상을 아버지섬기듯하라 유언했을만큼 인재였죠.

  •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10 ай бұрын

    다들 대단하다

  • @user-ed5gu4ro3i

    @user-ed5gu4ro3i

    10 ай бұрын

    이런 역사적 사실을 연구하여 많은 사람들이 알고 깨우칠 수 있도록 방송하여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승승장구하시기 바랍니다.

  • @Fortecoup

    @Fortecoup

    8 ай бұрын

    반도에서 생장하야 조상을 잊은 우리라..... 슬픈 말이네요

  • @jachunkoo4368
    @jachunkoo436810 ай бұрын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건 신이죠. 근거 하나하나 찾고 또 찾고 파고 또 파고 쌓고 또 쌓고 지우고 쓰고 수없이 반복했을 당신에게 찬사를 보냅니다.

  • @user-lz5zj3dx2h
    @user-lz5zj3dx2h11 ай бұрын

    저는 소름이 돋았습니다. 영상 잘밨습니다. 감사합니다. 향문천 선생님

  • @minorreview
    @minorreview11 ай бұрын

    아주 재미있습니다 것보다 누가 거란어 재구음 최신 연구자료 보러 일본에 가서 공부해요

  • @bungbungnue

    @bungbungnue

    11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지인을 통해 대리로 인쇄를 부탁하느라 고생 좀 했습니다…;; 단조로웠던 군생활 중에 오타케 마사미 박사의 논문을 공부하는 게 가장 큰 즐거움이었습니다.

  • @lliliiiliiilliililiil

    @lliliiiliiilliililiil

    11 ай бұрын

    마리갤 닉값하네

  • @macsungminson3583

    @macsungminson3583

    11 ай бұрын

    오 여기도 왔네

  • @KitKat-mi6kl

    @KitKat-mi6kl

    11 ай бұрын

    어디 갔나 했더니 군생활중이엌ㅅ누

  • @grunem124

    @grunem124

    11 ай бұрын

    와 마리갤이다~

  • @user-mb7mh4gb1g
    @user-mb7mh4gb1g8 ай бұрын

    정말 대단 하시네요. 너무 신기해서 숨도 안쉬고 보았네요. 해석한 기승전결을 자꾸 보며 읽게 되네요 위에서 아래로 거꾸로읽어도 중간에서 맞춰 읽어도 글이 되는게 신기 하네요. 저만 느끼는건 아니겠죠. 좋은 글이 적힌거 같아요. 구독합니다♡

  • @erum4804
    @erum480410 ай бұрын

    연구가 더 발전돼서 첫 해석보다 더 그럴싸하고 말이되는 해석이 나오는게 너무 경이롭네요 😮 짜릿하다

  • @okeyndokey
    @okeyndokey11 ай бұрын

    ㄷㄷ....처음으로 이 유튜버 접한 영상이 이 영상입니다. 영상 보고 "어느 젊은 박사 자격 가진 분이 옛날 몽골어에 관한 연구를 올리시나 보다.... 근데 구독자가 15만명이나 될 수 있나?" 하고 댓글 봤더니 그냥 여러 언어들을 고루고루 파시는 거였군요 ㄷㄷㄷㄷㄷ발음도 발음인데 연구의 깊이가 꽤나 깊어 보여서 관련어 학자이신 줄 알았습니다. 정말 멋지네요.

  • @Maroun1110
    @Maroun111011 ай бұрын

    언어에 대해 깊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시는게 늘 영상에서 느껴져서 올라올 때 마다 주의깊게 잘 보고 있습니다. 고려와 거란의 관계가 역사적으로 복잡했던걸 생각하면 권력의 상징인 청동거울을 보냈다는게 재밌는 부분이네요.

  • @user-ph8bq4tc6u

    @user-ph8bq4tc6u

    11 ай бұрын

    저 거울은 누가 언제 만든건지 어디서 나온 물건인지 아무도 모른다. 조선놈들은 원래 여진어인줄 알았는데 저 애신각라씨가 와서 거란어라고 하니까 바꿨대잖아. 갓본 통치때 역사 만들기 하면서 골동품상 통해 흘러들어온 정체불명 유물이 많다.

  • @Maroun1110

    @Maroun1110

    11 ай бұрын

    @@user-ph8bq4tc6u 다 좋은데 조선놈 갓본이라는 단어는 지양해야하지 않을까요? 한글로 한국어 쓰시는 것 보면 본인도 한국인이신거 같은데 스스로 얼굴에 침뱉는 일은 하지마세요. 본인의 품격은 본인이 표현하고 나타냅니다.

  • @user-ph8bq4tc6u

    @user-ph8bq4tc6u

    11 ай бұрын

    @@Maroun1110 세뇌된 국뽕에 절어가지고 능지수듄인증 쌉솔이 하면서 품격 운운 ㅋㅋ 조선놈들이란

  • @user-vx3go7uz1s

    @user-vx3go7uz1s

    10 ай бұрын

    이위 색귀 일본색귀 이거나 토왜 개색귀인듯

  • @mo-sh5km

    @mo-sh5km

    9 ай бұрын

    @@user-ph8bq4tc6u 왜노

  • @raylee8424
    @raylee842410 ай бұрын

    종종 올리시는 영상을 보다가 이 영상 보고 구독했습니다. 더 많은 연구 기대합니다

  • @gudcom24
    @gudcom2410 ай бұрын

    2011년경 중앙박물관에서 보았던 청동거울에는 여진문자라 적혀있었고 해독이 불가하다는 내용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거란문자였다니... 발음을 들으니 몽골어에 타지크어 연결음이 덧입혀지고 중국어 사성이 녹아있는 소리가 벅찬 느낌으로 다가옵니다.

  • @jensooonyengh1525
    @jensooonyengh152511 ай бұрын

    국내에 거란어 연구하시는 분이 없는가요? 내용을 다듬어서 학계에 충분히 보고할 수 있을거 같네요

  • @user-hd9sd1zx3q
    @user-hd9sd1zx3q11 ай бұрын

    천재성이 돋보이는 분이십니다 응원합니다

  • @bardohi1981
    @bardohi198110 ай бұрын

    발음 들으면서 헝거리어가 생각나네요 목구멍 소리 많아서 어렵던데요. 대단하십니다. 소리 까지 내서 읽어 주셔서요. 여진어 쓰여 있다고 해서 지난주에 삼전도비 보고 왔는데요. 언어가 생기고 소실 된다는 게 너무 신기합니다. 😊

  • @user-yt5hq9sg5b
    @user-yt5hq9sg5b10 ай бұрын

    내용은 들어도 모르겠지만 이런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근거를 두고 해석하는 생각은 일반 학자들보다 훨씬 낫다..

  • @2024jinseo
    @2024jinseo11 ай бұрын

    정말 대단하십니다!!!

  • @soyeonjung448
    @soyeonjung44811 ай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참 흥미롭네요. 저는 언어 전공과는 무관한 사람입니다만... 올려주시는 영상 매번 관심가지고 시청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콘텐츠 부탁드리겠습니다.

  • @bungbungnue

    @bungbungnue

    11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_.-_.-_.-

    @_.-_.-_.-

    11 ай бұрын

    ​@@user-qf3hp5vt7b향문천님께서 예전에 관련 영상을 올리셨습니다. 닭도리탕 명칭 논란 - 통시언어학적 해석 kzread.info/dash/bejne/YoyHmrugg5PbcbA.html

  • @user-po4or6uy9l
    @user-po4or6uy9l10 ай бұрын

    애널스카이 선생님 대단한 건 알고있었지만 거란어 해석을 할 정도로 대단하실 줄은 몰랐네요 ㄷㄷ

  • @user-it8dk2oe7m

    @user-it8dk2oe7m

    10 ай бұрын

    향이라고요 ㅋㅋㅋㅋㅋㅋ

  • @abcdefghi446

    @abcdefghi446

    10 ай бұрын

    와..이렇게 진지한 채널에

  • @jjlee5629

    @jjlee5629

    8 ай бұрын

    ㅋㅋㅋ 빵 터졌습니다

  • @B00TDOG

    @B00TDOG

    4 ай бұрын

    향나는 떵꼬…와 하늘..

  • @soundsgood4
    @soundsgood410 ай бұрын

    향문천 님은 천재예요 진짜. 와 감탄밖에... 누가 뭐래도 최.고.입니다.

  • @user-ul8tf5eq3k
    @user-ul8tf5eq3k11 ай бұрын

    대단한 분이십니다. 존경합니다

  • @JSJSKYLER
    @JSJSKYLER11 ай бұрын

    왜케 오랜만이세요 ㅠㅠ 언어학적으로는 유튜브 최강이신분인데.

  • @clickyourheart

    @clickyourheart

    11 ай бұрын

    군대 . . .

  • @JSJSKYLER

    @JSJSKYLER

    11 ай бұрын

    @@clickyourheart 대박ㅋㅋㅋㅋㅋㅋㅋ

  • @user-gu5zh8wz5e
    @user-gu5zh8wz5e10 ай бұрын

    이 방송을 처음 봤지만 진정한 일인 크리에이터라고 감히 말씀드리고 싶네요. 감사압니다!

  • @mijug4776
    @mijug477610 ай бұрын

    멋지네요, 앞으로도 좋은 내용 기대하겠습니다!!

  • @macsungminson3583
    @macsungminson358311 ай бұрын

    저는 거란어 친족명칭을 보니 양성간 위계가 병렬적이라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한국어의 경우 손윗사람에게 동성 이성을 불문하고 호칭을 부여하고 손아래는 뭉뚱그립니다. 반면 거란어는 동성의 손위 손아래에 호칭을 부여하되 이성에 대해서는 손위 손아래조차 구별하지 않습니다. 뭐랄까... 동성간 위계만 중요하고 이성에 대해서는 우리와 위계가 별개인 남남이라는 거지요. 마치 군대에서 같은 중대 선임과 후임 간에는 다나까를 쓰고 반말을 쓰지만 타 중대 선임 후임 간에는 그냥 동등한 병사로 생각하고 서로 해요체를 쓰는 것처럼 말입니다. 이로 미루어보아 거란 문화는 남녀가 공간적인 영역이든 업무적인 영역이든, 각자의 분리된 영역을 가지고 서로 침범하지 않았던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듧니다. 남자는 여자의 세계의 위계에 관여할 수 없고 여자는 남자의 세계의 위계에 관여할 수 없는 거죠. 제 추측이 어떤가요?

  • @bungbungnue

    @bungbungnue

    11 ай бұрын

    훌륭한 통찰입니다. 거란어에서 이성 형제에 대한 호칭이 지나치게 단순한 데에는 분명 문화적인 배경이 작용하고 있을 것입니다.

  • @messipark
    @messipark11 ай бұрын

    개인적인 사견을 바탕으로 해석해 보았습니다. 개국하면서 만든 화살이 XX 몰아내고, 형의 적을 ->(옛부터 동이 라고 불린 고구려는 활을 잘쏜다고 알려져 있기에) 거란의 형님국가인 고려의 시초인 고구려 주몽의 화살이 고구려의 적을 활로써 몰아냈기에 혁혁하고 명철하게 재단하네, 악과 선을 -> 이후 한반도의 국가들이 악과 선을 명철하게 혁혁하게 싸움으로 갈랐다. 항상 이민족의 침입에 나라를 지키는 등, 의와 불의의 싸움에서 이겼듯이 그대를 이제 거룩히 묻으리, 좋은 벗에게 오래 -> 이 거울을 이제 거룩하게 좋은 벗인 고려에게 바치리 XX 늘 두고 싶네, 내 가까운 반열에. -> 항상 고려와 거란이 가까운 사이가 되길 바라네.

  • @messipark

    @messipark

    11 ай бұрын

    고려와 거란의 교류에 의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고, 개성에서 출토된 가능성도 있으니, 개인적인 추론은 *1번 :고려 거란 전쟁에서 강감찬 장군에게 패배 후에 화친을 도모코자 특수제작후 외교적 선물로 전달될 가능성, *2번: 고려 개국에 맞추어 낙타 50마리와 함께 선물로 전달됬을 가능성

  • @messipark

    @messipark

    10 ай бұрын

    그리고 거란을 무시하는건 아니지만.. 당시 기술력이나 문화수준으로 저정도의 상대를 치켜세우는 문장과 맞춤형거울을 만들어낸것은 최대치의 외교역량을 발휘했다고 보여지면서… 당시 강감찬 귀주대첩이후 고려가 역공을 들어올지 모르고 나라가 고려에 의해 멸망할지도 모른다는 절체절명의 사태를 극복하고자 하는 거란의 노력이 느껴집니다. 저의 개인적인 사견입니다.

  • @user-br8sp6cz7g

    @user-br8sp6cz7g

    10 ай бұрын

    최승희 온냐가 다른 사람들에게도 잘하듯 내게 솔직하게 잘함,,,속 마음이야 므,,, 모르지

  • @cSyaK69

    @cSyaK69

    10 ай бұрын

    고구려는 중국에서 고려로 불리웠습니다. 그러므로, 중국에서 고려라고 하면 고구려인지 또는 왕건의 고려인지를 따져봐야 합니다.

  • @XIl_1000

    @XIl_1000

    10 ай бұрын

    금나라와 발해의 관계성, 그리고 발해는 고구려의 명맥을 잇는 계승국이라는 점과 당시 시대상으로 보았을때 고려는 주변국 (특히 일본서적에 의하면 고구려의 후계국으로 불려지는 만큼 고구려와의 대의적 연관성, 당시 발해의 유민의 흡수로 국력이 강해지고 있던 고려의 국력 이러한 모든 정황을 종합할때 님의 해석은 상당히 당시 흥미롭다고 생각되는군요

  • @marinelife8309
    @marinelife83097 ай бұрын

    이런분들이 많아져야 합니다. 훌륭한 노력과 영상 감사히 보았습니다

  • @BicNJetstream
    @BicNJetstream10 ай бұрын

    고생이 많으십니다. 많은 선배들의 걸음들이 쌓여 우리의 지식이 되었듯 이 한걸음 역시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믿습니다.

  • @jaynee4287
    @jaynee428710 ай бұрын

    언어에 대한 관심으로 이런 전문적인 분석을 해주신다니, 그 지식에 대단함을 느낍니다. 잘 보고 갑니다~

  • @kttjhkim6715
    @kttjhkim671511 ай бұрын

    감탄스럽습니다 젊은분이 대단한 깊이의 지식과 연구능력

  • @chrispark363
    @chrispark3637 ай бұрын

    와, 미쳤다 알고리즘 ㅠㅜ 요즘 나는 내가 과거의 어느 시점에 가 있다면을 자주 생각하는데.. 그 시절에 태어났다면.. 신라도 궁금하고, 고조선과 가야도 궁금하고. 그 시절의 오늘같은 10월의 가을날에는 저마다의 시대마다 어떤 날들일까가 너무 궁금한데, 거란어 해석이라니.. 이렇게 궁금해하면서 우리에게 그 시대를 공유해주시는 분도 있다니, 그저 감사🙏🏻 바로 구독했습니다. 공유 감사합니다 ❤

  • @peacemaker84
    @peacemaker8410 ай бұрын

    향문천 님의 열정에 감탄이 나옵니다. 언어학 참 어려워보이는데 내용은 매우 흥미로워요.

  • @user-pb7gc6su6b
    @user-pb7gc6su6b11 ай бұрын

    직접 발음을 들으니 아 진짜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는 맞다 싶네요 ㅋㅋ

  • @HeoSum
    @HeoSum11 ай бұрын

    언제나 흥미로운 이야기 잘보고 있습니다..

  • @user-qj8cx8js4x
    @user-qj8cx8js4x8 ай бұрын

    오 ~ 훌륭한 프로그램이에요 칭찬과 존경을 표합니다 ^^

  • @user-yq4qd7pg3p
    @user-yq4qd7pg3p11 ай бұрын

    우와.. 우와 밖에 안 나오는 영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user-mt4gd4ws4z
    @user-mt4gd4ws4z11 ай бұрын

    향문천님 드디어 왔습니까. 반갑습니다.

  • @user-pd6le6zf5q
    @user-pd6le6zf5q11 ай бұрын

    대단하군요. 아직도 이렇게 근본적인 문제를 연구하는 분이 계시다는 것이 신기하군요.

  • @user-hv4ib3gh6k
    @user-hv4ib3gh6k10 ай бұрын

    대단하다 ! 댓글쓴 분들도 전부 대단들 하시고 👏👏

  • @blueogange
    @blueogange10 ай бұрын

    역시 덕질은 유익하구먼ㄷㄷ 예전부터 흥미롭게 지켜보고 있습니다 화이팅!

  • @so._.sei_hrt
    @so._.sei_hrt11 ай бұрын

    여러 지식채널을 보지만 애널스카이는 진짜 찐이다...👍🏻👍🏻

  • @mik8630
    @mik86304 ай бұрын

    청동거울에 어울리는 멋진 싯구가 써있었네요. 발음이 중국어랑 러시아어랑 섞인듯한 독특한 느낌입니다. 역사는 언제나 사람을 매료시키는 힘이 있는것 같습니다.

  • @user-dr5xd8bo1d
    @user-dr5xd8bo1d4 ай бұрын

    대단합니다. 진행자님의 학문적 열정을 응원합니더.

  • @user-ss7st8ik2c
    @user-ss7st8ik2c10 ай бұрын

    놀라운 연구와 분석입니다. 잘 보고 갑니다.

Келесі